KR20190000104U - 치약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치약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104U
KR20190000104U KR2020170003427U KR20170003427U KR20190000104U KR 20190000104 U KR20190000104 U KR 20190000104U KR 2020170003427 U KR2020170003427 U KR 2020170003427U KR 20170003427 U KR20170003427 U KR 20170003427U KR 20190000104 U KR20190000104 U KR 201900001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driving
hollow
hous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4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호
Original Assignee
정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호 filed Critical 정승호
Priority to KR2020170003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104U/ko
Publication of KR201900001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0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squeeze bott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65D35/30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이하게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고, 단순한 구조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구현한 치약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공부가 하우징부; 일부분이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종단면에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구동부; 및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어 상기 구동부의 일부분과 맞물리는 가압 이동부를 포함하되, 치약이 상기 구동부와 상기 이동 가압부 사이의 중공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는 회전하여 상기 이동 가압부를 상기 중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치약을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한다.

Description

치약 배출 장치{Toothpaste Discharging Device}
본 고안은 치약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치약을 원하는 양만큼 배출시키면서 저장한 치약을 남김없는 배출할 수 있는 치약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약은 칫솔을 이용하여 치아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때 더욱 효율적인 칫솔에 의한 연마 작용을 위하여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겔 타입의 약제이다.
이러한 치약은 연마 작용을 위한 연마제, 향기를 내는 향료 및 연마제를 겔 타입으로 형성시켜 주는 젤로 이루어지고, 칫솔에 적정량으로 묻혀진 상태에서 사용된다.
한편, 치약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튜브에 저장되고, 치약을 배출하기 위하여 튜브는 눌러지거나 쥐어짜진다. 이때, 튜브는 일그러지고, 심하게 다룰 경우에 터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튜브에 저장된 치약은 전부 사용되지 않은 상태로 버려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5732호(2009. 08. 10. 공개)는 욕실이나 화장실 벽면에 직,간접적으로 고정설치되는 토출기케이스와, 상기 토출기케이스 외부로 항상 헤드부분이 돌출되도록 후단이 복귀스프링에 의해 탄설지지된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노즐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면서 치약입구결합구에 입구가 결합된 치약튜브 내의 치약이 토출공을 통해 토출가능토록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치약노즐과,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노즐개폐수단과 연동기어로 연결설치되어 동시 작동하면서 상,하 승강되는 상,하작동래크와, 상기 상,하작동래크의 상,하승강에 따라 이송대에 설치된 기어군에 동력을 간헐적으로 전달하여 이송대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이송대에 구비되고 토출기케이스에 형성된 한쌍의 수직장공에 각각 삽입설치된 한쌍의 가압롤러를 회전시켜 치약튜브의 후단부를 가압하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한 가압장치 및, 상기 상,하작동래크의 반대편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일측 가압롤러의 기어와 치합된 상승방지기어와 재차 치합되어져 이송대의 상승이 단속되도록 한 고정래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누름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 치약노즐의 개방 및 치약튜브의 가압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치약이 토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구조가 매우 견고하고 작동이 정확하면서도 매우 원활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고장이 거의 없으며, 치약 튜브를 장착한 다음 치약토출기에 구비된 누름버튼 및 작동레버를 누를때마다 매번 한번 사용할 만큼의 적당량의 치약이 치약튜브로부터 토출되므로 사용자가 안심하고 오랫동안 매우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2593호(2017. 03. 23. 공개)는 내부에 치약튜브가 구비되는 중공형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판,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판 중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판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판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치약 튜브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토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적절한 양의 치약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치약이 과다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일방향 사용이 완료된 후 타방향으로 사용이 바로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치약 배출 장치는 편리하게 적정량으로 치약을 배출할 수 있으나,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하는 데에 있어 불편한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구성이 다소 복잡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5732호(2009. 08. 1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2593호(2017. 03. 23. 공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 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이하게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고, 단순한 구조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구현한 치약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공부가 하우징부; 일부분이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종단면에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구동부; 및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어 상기 구동부의 일부분과 맞물리는 가압 이동부를 포함하되, 치약이 상기 구동부와 상기 이동 가압부 사이의 중공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는 회전하여 상기 이동 가압부를 상기 중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치약을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는 치약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나선 형태의 하우징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가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 나사홈에 상응하도록 이동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종단면에 상기 배출부가 형성되고, 제2 종단면에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구동 몸체부; 및 상기 구동 몸체부의 내측 종단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동 가압부와 맞물리는 구동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 연결부는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 인접하면서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 부분적으로 대응되고,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곡률을 갖고, 상기 이동 가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 연결부와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이동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 연결부가 상기 이동 연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 연결부는 상기 이동부에 맞물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구동 핸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핸들부에서 상기 구동 몸체부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측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 몸체부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에 대응하는 측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구동 몸체부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 핸들부의 종단부는 상기 구동 몸체부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에 대응하는 측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 핸들부는 상기 구동 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착탈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배출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배출부를 폐쇄하는 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제1 종단면에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1 삽입 하우징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제1 삽입 하우징부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 삽입 하우징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 몸체부의 제2 종단면에는 상기 제1 삽입 하우징부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제1 하우징 삽입공간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삽입공간부의 종단면에는 상기 제2 삽입 하우징부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제2 하우징 삽입공간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 삽입공간부의 종단면에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제3 하우징 삽입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 하우징부가 상기 삽입공간부에 삽입되어 더 이상 삽입되지 않을 때, 상기 제2 삽입 하우징부는 상기 제2 하우징 삽입공간부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일부는 상기 제3 하우징 삽입공간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치약 배출 장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 가압부와 상기 구동 몸체부 사이의 상기 구동 연결부에 접촉되고, 상기 배출부에 대응하도록 용기 배출부가 형성되고, 치약을 수용하여 저장한 치약 용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치약 배출 장치는, 상기 중공부의 제2 종단면을 폐쇄하면서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치약 배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용이하게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고, 단순한 구조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약 배출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약 배출 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치약 배출 장치에서 치약이 저장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치약 배출 장치에서 치약이 배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약 배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약 배출 장치(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약 배출 장치(10)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치약 배출 장치(10)에서 치약이 저장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치약 배출 장치(10)에서 치약이 배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약 배출 장치(10)는 하우징부(100), 구동부(200) 및 이동 가압부(300)를 포함하여, 저장한 치약을 일정량만큼 배출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하우징부(10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100a)가 형성된다. 중공부(100a)에는 치약이 수용된다. 중공부(100a)의 내측면에는 나선 형태로 하우징 나사홈(100b)이 형성된다.
하우징부(100)의 제1 종단면에는 하우징부(10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1 삽입 하우징부(101)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우징부(100)와 제1 삽입 하우징부(101) 사이에는 하우징부(1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 삽입 하우징부(102)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부(10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부(100)는 치약이 중공부(100a)에 수용되어 저장된 정도를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부(100)에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부분이 치약이 수용되어 저장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일부분이 하우징부(100)의 중공부(100a)에 삽입되고, 중공부(100a)의 제1 종단면을 폐쇄하면서 하우징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부(200)의 제1 종단면에는 배출부(200a)가 형성된다. 또한, 구동부(200)는 구동 몸체부(201), 구동 연결부(202), 및 구동 핸들부(203)를 포함한다.
구동 몸체부(201)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동 몸체부(201)의 제1 종단면에는 배출부(200a)가 형성되고, 구동 몸체부(201)의 제2 종단면에는 삽입공간(211)이 형성된다. 이때, 삽입공간(211)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배출부(200a)의 횡단면보다 현저하게 큰 횡단면을 갖는다. 하우징부(100)는 삽입공간(211)에 삽입가능하다.
구동 몸체부(201)의 제2 종단면에는 제1 삽입 하우징부(101)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제1 하우징 삽입공간부(211a)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1 하우징 삽입공간부(211a)의 종단면에는 제2 삽입 하우징부(102)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제2 하우징 삽입공간부(211b)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2 하우징 삽입공간부(211b)의 종단면에는 하우징부(100)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제3 하우징 삽입공간부(211c)가 형성된다.
구동 연결부(202)는 삽입공간(211)의 내측 종단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삽입공간(211)에 하우징부(100)가 삽입될 때 구동 연결부(202)는 중공부(100a)에 삽입된다.
구동 연결부(202)가 하우징부(100)의 중공부(100a)에 삽입되면서, 제1 삽입 하우징부(101)는 삽입공간(211)에 삽입되어 제1 하우징 삽입공간부(211a)까지 삽입된다. 한편, 제1 삽입 하우징부(101)가 더 이상 삽입공간(211)에 삽입되지 않을 때, 제2 삽입 하우징부(102)는 제2 하우징 삽입공간부(211b)에 삽입되고, 제1 삽입 하우징부(101)와 제2 삽입 하우징부(102) 이외의 하우징부(100)의 일부는 제3 하우징 삽입공간부(211c)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구동 몸체부(201)는 하우징부(100)에 결합되어, 하우징부(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구동 연결부(202)는 하우징부(10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 몸체부(201)에 의해 회전된다.
한편, 구동 연결부(202)는 중공부(100a)에 삽입되되, 중공부(100a)의 내주면에 인접하면서 중공부(100a)의 내주면에 부분적으로 대응되고, 중공부(100a)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다. 이로 인해, 구동 연결부(202)는 중공부(100a)에 위치되면서, 중공부(100a)는 구동 연결부(202)와 조합하더라도 원래 형상에 근접한 횡단면을 갖는다.
구동 핸들부(203)는 구동 몸체부(201)의 외주면 상에 돌출형성되어, 구동 몸체부(201)를 회전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사용자는 하우징부(100)를 손을 이용하여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구동 핸들부(203)를 조작할 수 있다. 구동 핸들부(203)가 조작됨으로써 구동 몸체부(201) 및 구동 연결부(202)도 회전된다.
구동 핸들부(203)에서 구동 몸체부(201)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측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구동 몸체부(201)의 회전 방향의 반대방향에 대응하는 측은 상측으로 갈수록 구동 몸체부(201)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하우징부(100)를 손을 이용하여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구동 핸들부(203)를 조작할 때, 엄지손가락은 부드러운 감각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구동 핸들부(203)의 종단부는 구동 몸체부(201)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에 대응하는 측으로 구부러진다. 이로 인해, 엄지손가락은 구동 핸들부(203)에서 미끄러져 벗어나지 않은 상태로 구동 몸체부(20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핸들부(203)는 경우에 따라 구동 몸체부(201)로부터 착탈가능하다. 이로 인해, 구동 핸들부(203)는 상기와 같이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오른손 또는 왼손에 적합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구동부(200)는 캡부(204)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캡부(204)는 배출부(200a)를 개폐하는 데에 이용된다. 캡부(204)는 배출부(200a)를 통한 치약의 배출이 필요할 때에만 배출부(200a)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부(200a)를 개방한다. 반면에, 배출부(200a)를 통한 치약의 배출이 필요하지 않을 때, 캡부(204)는 배출부(200a)에 결합되어 배출부(200a)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로 인해, 치약은 배출부(200a)를 통해 불필요하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고,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해 건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캡부(204)는 구동 몸체부(201)의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구동부(201)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면서 평면으로 이루어진 종단면을 갖는다. 이로 인해, 캡부(204)는 배출부(200a)에 결합된 상태에서 치약 배출 장치(10)를 선반이나 탁자 등의 상면에 세우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이동 가압부(300)는 하우징부(100)의 중공부(100a)에 수용된다. 이때, 중공부(100a)에는 치약이 저장되는 데, 이동 가압부(300)와 구동부(200)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이동 가압부(300)는 하우징부(100)의 중공부(100a)의 제2 종단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이로 인해, 치약은 중공부(100a)에 많은 양으로 저장되어 배출부(200a)를 통해 배출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이동 가압부(300)는 중공부(100a)에 수용된 상태에서 구동부(200)의 일부분, 특히 구동 연결부(202)와 맞물린다. 이때, 구동부(200)가 회전하면 이동 가압부(300)는 하우징부(100)의 중공부(100a)를 따라 이동한다. 특히, 이동 가압부(300)가 배출부(200a)를 향하여 이동하면 치약은 중공부(100a)에 저장된 상태에 이동 가압부(300)에 의해 가압되어 배출부(200a)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이동 가압부(300)의 외주면에는 하우징 나사홈(100b)에 상응하도록 이동 나사산(301)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이동 나사산(301)은 하우징 나사홈(100b)에 맞물려, 구동부(200)의 회전에 의해 이동 가압부(300)는 중공부(100a)를 따라 하우징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구동 연결부(202)는 중공부(100a)의 내주면에 인접하면서 중공부(100a)의 내주면에 부분적으로 대응되고, 중공부(100a)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다. 이러한 구동 연결부(202)와 맞물리기 위하여, 이동 가압부(300)에는 이러한 구동 연결부(202)와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이동 연결홈(302)이 형성된다. 구동 연결부(202)가 이동 연결홈(302)에 삽입됨으로써, 이동 가압부(300)는 구동 연결부(202)와 맞물린다. 구동 몸체부(201)의 회전으로 인해, 구동 연결부(202)가 회전될 때, 구동 연결부(202)는 이동 연결홈(302)의 측벽에 간섭되어 이동 가압부(300)를 하우징 나사홈(100b)을 따라 회전시킨다. 이때, 이동 가압부(300)는 구동 연결부(202)를 따라 하우징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 예의 치약 배출 장치(10)는 구동부(200) 및 이동 가압부(300)를 하우징부(100)의 중공부(100a)에 삽입하여, 중공부(100a) 내의 구동부(200)와 이동 가압부(300)의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형성된 공간에 치약이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구동부(200)가 회전할 때 이동 가압부(300)도 함께 회전하면서 중공부(10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치약은 구동부(200)에 형성된 배출부(200a)를 통해 배출된다. 즉, 본 실시 예의 치약 배출 장치(10)는 손에 파지된 상태에서 구동부(200)를 회전시키는 단순한 조작만으로도 치약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치약 배출 장치(10)에서 하우징부(100)는 중공부(100a)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이고, 이동 가압부(300)는 하우징부(100)에 수용되며, 구동부(200)는 하우징부(100)와 결합되면서 이동 가압부(300)와 맞물려 이동 가압부(300)를 이동시켜 치약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처럼 치약 배출 장치(10)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기에, 원가 및 제작 비용에 있어서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치약 배출 장치(10)는 마감부(400) 및 치약 용기부(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마감부(400)는 중공부(100a)의 제2 종단면을 폐쇄하면서 하우징부(100)에 결합된다. 이때, 이동 가압부(300)는 중공부(100a)에 수용된 상태이다. 이로 인해, 마감부(400)는 중공부(100a)에 수용된 이동 가압부(300)를 보호하고, 구동부(200)의 조작 실수로 인해 이동 가압부(300)가 중공부(100a)로부터 돌출되거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감부(400)는 평면으로 이루어져, 하우징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치약 배출 장치(10)를 선반이나 탁자 등의 상면에 세우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치약 용기부(50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치약을 수용하여 저장한다. 치약 용기부(500)는 하우징부(100)의 중공부(100a)에 수용되어, 이동 가압부(300)와 구동부(200) 사이에 위치된다. 특히, 치약 용기부(500)의 외주면은 구동부(200)의 구동 연결부(202)의 곡면에 접촉된다. 치약 용기부(500)의 제1종단면에는 용기 배출부(501)가 형성되고, 배출부(200a)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이로 인해, 치약은 용기 배출부(501)로 배출되면서 배출부(200a)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동 가압부(300)가 구동 연결부(202)를 따라 이동할 때, 치약 용기부(500)는 이동 가압부(300)에 가압되어, 부피가 감소된다. 이때, 치약 용기부(500)에 저장된 치약은 용기 배출부(501) 및 배출부(200a)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치약 용기부(500)는 비닐 재질로 이루어져,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치약이 완전히 배출된 치약 용기부(500)는 폐기되기도 하고, 새로운 치약으로 충진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치약 용기부(500)는 치약을 저장한 상태로 하우징부(100)의 중공부(100a)에 수용되기에, 중공부(100a)는 치약으로 인해 지저분해지지 않을 수 있고, 깔끔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치약 배출 장치
100: 하우징부
100a: 중공부
100b: 하우징 나사홈
101: 제1 삽입 하우징부
102: 제2 삽입 하우징부
200: 구동부
200a: 배출부
201: 구동 몸체부
211: 삽입공간
211a: 제1 하우징 삽입부
211b: 제2 하우징 삽입부
211c: 제3 하우징 삽입부
202: 구동 연결부
203: 구동 핸들부
204: 캡부
300: 이동 가압부
301: 이동 나사산
302: 이동 연결홈
400: 마감부
500: 치약 용기부
501: 용기 배출부

Claims (5)

  1.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공부가 하우징부;
    일부분이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종단면에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구동부; 및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어 상기 구동부의 일부분과 맞물리는 가압 이동부를 포함하되,
    치약이 상기 구동부와 상기 이동 가압부 사이의 중공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는 회전하여 상기 이동 가압부를 상기 중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치약을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는 치약 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나선 형태의 하우징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가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 나사홈에 상응하도록 이동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배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종단면에 상기 배출부가 형성되고, 제2 종단면에는 삽입공간부가 형성되는 구동 몸체부; 및
    상기 구동 몸체부의 내측 종단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동 가압부와 맞물리는 구동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배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연결부는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 인접하면서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 부분적으로 대응되고,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곡률을 갖고,
    상기 이동 가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 연결부와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이동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 연결부가 상기 이동 연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 연결부는 상기 이동부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배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구동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배출 장치.
KR2020170003427U 2017-07-03 2017-07-03 치약 배출 장치 KR201900001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427U KR20190000104U (ko) 2017-07-03 2017-07-03 치약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427U KR20190000104U (ko) 2017-07-03 2017-07-03 치약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04U true KR20190000104U (ko) 2019-01-11

Family

ID=6501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427U KR20190000104U (ko) 2017-07-03 2017-07-03 치약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104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732A (ko) 2008-02-05 2009-08-10 주식회사 삼진기업 치약토출기
KR20170032593A (ko) 2015-09-15 2017-03-23 김성훈 양방향 치약 토출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732A (ko) 2008-02-05 2009-08-10 주식회사 삼진기업 치약토출기
KR20170032593A (ko) 2015-09-15 2017-03-23 김성훈 양방향 치약 토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4104A (en) Toothpaste dispenser having a slip clutch drive mechanism
EP2793741B1 (en) Oral care implement
US6347724B1 (en) Automatic dispenser apparatus
JP3468469B2 (ja) ヘアダイディスペンサー
WO2001098163A1 (en) Toothpaste dispenser
KR101920971B1 (ko) 정량 배출장치
JP2008120460A (ja) 中空体
KR20190000104U (ko) 치약 배출 장치
US20190290406A1 (en) Motor-Driven Dispensing Gun for and Method of Dispensing Fluid or Semi-Fluid Material
KR20060097420A (ko) 치약 배출기
KR100666333B1 (ko) 치약 토출기
US20090144922A1 (en) Toothbrush
KR100910351B1 (ko) 치약 자동공급기
US7581661B2 (en) Multipurpose tooth paste dispenser
CN211154246U (zh) 一种防滴液口灰尘聚集堵塞的液态化妆品
KR20170032593A (ko) 양방향 치약 토출기
KR200392871Y1 (ko) 치약 토출기
KR101857411B1 (ko) 치약이 내장된 전동칫솔
KR100530527B1 (ko) 치약압출기
EP3169187B1 (en) Oral care system and method
KR101253103B1 (ko) 전동식 화장품 강제 토출 용기
KR200417715Y1 (ko) 치약이 구비된 칫솔
CN210447246U (zh) 一种洗牙机
CN209441805U (zh) 一种便于拆卸的挤牙膏装置
EP2134223B1 (en) Device for dispensing toothpaste and a kit for oral hygiene containing th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