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027A - Roasting device - Google Patents

Roas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027A
KR20190000027A KR1020170078784A KR20170078784A KR20190000027A KR 20190000027 A KR20190000027 A KR 20190000027A KR 1020170078784 A KR1020170078784 A KR 1020170078784A KR 20170078784 A KR20170078784 A KR 20170078784A KR 20190000027 A KR20190000027 A KR 20190000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roaster
beans
roasting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7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53873B1 (en
Inventor
염선재
나인순
김승재
조동현
이종선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엘티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엘티,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엘티
Priority to KR1020170078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873B1/en
Publication of KR20190000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0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8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4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 B01F27/1143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screw-shaped, e.g.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9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 B01F7/00416
    • B01F7/0062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bean roasting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fruits, that is, coffee beans to brew coffee. More particularly,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a roaster provided in the body and heating and roasting the coffee beans introduced; and a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roasted coffee beans. The roast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screw member made up of three screw blades, and the coffee beans are stirred and roasted so that a high heat quantity is evenly distributed to the coffee beans. As a result, coffee with the highest quality taste and flavor can be produced. As a burner heats the roaster by getting close to the roaster,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ffee beans are roasted evenly.

Description

원두 로스팅 장치{ROASTING DEVICE}[0001] ROASTING DEVICE [0002]

본 발명은 커피열매, 즉 원두를 볶아 커피를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원두 로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투입된 원두를 가열하여 로스팅하는 로스터 및 로스팅된 원두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닛으로 구성되되, 상기 로스터에 3개의 스크류날개로 이루어진 스크류부재를 더 구비하여 원두를 교반하여 로스팅함에 따라 원두에 골고루 고온의 열량이 공급되어 최고 품질의 맛과 향이 나는 커피를 생산할 수 있으며, 로스터에 근접시켜 버너가 로스터를 가열함에 따라 원두의 겉과 속이 골고루 볶아지는 원두 로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roasting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that is, roasting coffee bea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asting machine for roasting coffee roasting, Wherein the roaster further comprises a screw member made up of three screw blades, and the roasted coffee beans are supplied with a high heat quantity evenly to the beans to produce coffee having the highest quality taste and flavor, And the roaster is brought close to the roaster so that the roaster is roasted.

커피열매를 볶는데 사용되는 커피 로스터는 열원을 드럼이 직접 전달받아 커피를 볶는 직화방식과 열원과 드럼의 사이에 차단판을 구성하여 간접열에 의해 커피를 복는 간접열방식과, 열원에 의해 데워진 공기를 이용하여 드럼을 덥혀 커피를 볶는 열풍방식이 있다.The coffee roaster used to roast the coffee is a direct roasting method in which the drum is directly received by the drum to roast the coffee, an indirect heating method in which coffee is wrapped by the indirect heat by constituting a blocking plate between the heat source and the drum, There is a hot air method in which the drum is heated to roast the coffee.

이 중, 직화방식의 경우에는 버너와 같은 열원이 커피가 수용되는 드럼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드럼의 온도가 급격하게 가열되어 커피가 미처 볶아지지 전에 타게 되어 커피의 손상이 야기되고, 열원이 전달되는 바깥쪽 커피와 열원이 전달되지 않는 안쪽 커피와의 열전달성이 달라 커피가 제대로 볶아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직화방식은, 열원인 화염이 커피열매를 수용한 드럼의 표면에 직접 닿기 때문에 화염공급기의 불꽃이 조금만 커지거나 작아져도 커피볶음 온도가 쉽게 상승되거나 낮아서 커피열매의 볶음온도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여 맛과 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서 매우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면 동일한 커피 열매를 볶아 내었을 때 일정한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flame-directing method, since a heat source such as a burner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drum in which the coffee is received, the temperature of the drum is suddenly heated so that the coffee is burnt before being roas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eat transfer between the outer coffee to be delivered and the inner coffee to which the heat source is not transferred is different and the coffee is not roasted properly. Further, since the flame which is a heat source directly touches the surface of the drum containing the coffee beans, even if the flame of the flame supply device is slightly increased or decreased, the roasting temperature of the coffee is easily raised or lowered and it is not easy to control the roasting temperature of the coffee beans The taste and aroma can not be maintained constantl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 highly skilled engineer can not maintain a certain taste and aroma when roasting the same coffee beans.

또한, 간접열방식이나 열풍방식의 경우, 드럼에 전달되는 간접열에 의해 드럼을 데우는 시간이 지연되어 열효율성이 크게 떨어지고, 드럼의 내부의 온도가 낮아 로스팅의 적절온도까지 상승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맛과 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Also, in the case of the indirect heat method or the hot air method, indirect heat transmitted to the drum causes a delay in warming up the drum, resulting in a drastic decrease in thermal efficiency, a low temperature inside the drum, There is a problem that taste and fragrance are dropped.

현재 국내·외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 제10-2009-0055112호인 커피 로스터가 안출된 바 있으며, Looking at the domestic and foreign technologies, a coffee roaster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09-0055112 has been developed,

이는 원통형으로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형성된 화염투입구로 공급되는 화염을 연소하는 원통형의 연소챔버와, 상기 연소챔버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연소챔버에 삽입되어 내부에 투입되는 커피 열매를 로스팅하는 로스팅 챔버와, 상기 로스팅 챔버의 개방된 영역의 상부에 하부의 위치에 투입구와 배출부를 가지고 상기 연소챔버의 개구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 결합된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투입구에 연결되어 낙하되는 커피열매를 상기 로스팅 챔버로 투입하고 상기 로스팅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투입/배출튜브와, 상부는 깔때기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형성된 투입 튜브의 일측이 신장된 연도 개폐부를 가지고 상기 투입/배출튜브의 상부에 결합되며 수용된 커피열매를 상기 튜입/배출튜브로 공급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튜입/배출튜브의 연기배출통로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호퍼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며 전원공급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로스팅 챔버를 회전시키는 로스팅 모터와, 상기 로스팅 챔버의 회전축을 수평 이동시키는 로스팅 챔버 공극 조절기로 구성되어 있다.A cylindrical combustion chamber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n opening at one side thereof and burning a flame supplied to a flame inlet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combustion chamber; A cover plate fixedly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support frame and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at a lower posi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 region of the roasting chamber; An inlet / outlet tube for injecting coffee powder falling into the roasting chamber and discharging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from the roasting chamber, and a flue opening / closing part having a funnel shape and extending at one side of the inlet tube formed at the lower part, Outlet tube, and the received coffee beans are introduced into the top of the inlet / A roasting motor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and rotated by a power supply to rotate the roasting chamber; a roasting chamber connected to the roasting chamber to rotate the roasting chamber; And a roasting chamber air conditioner for horizontally moving the rotary shaft of the air conditioner.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커피가 수용되어 볶아지는 로스팅 챔버가 단순한 드럼형으로 구성되어 로스팅 모텅 의해 일방향 회전되기 때문에, 로스팅 챔버 내부에 수용되는 커피가 고르게 교반되지 못함으로써 커피의 볶음이 균등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roasting chamber in which the coffee is received and roasted is composed of a simple drum type and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roasting mold, the coffee contained in the roasting chamber is not uniformly stirred, There is a problem.

뿐만 아니라, 상기 연소챔버를 통해 유입되는 열원이 상기 연소챔버의 내부에 구성된 로스팅 챔버에 간접전달되기 때문에, 적은 열원에 의해 커피의 볶는 시간이 더디어지고 이에 따라 열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at source flowing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is indirectly transferred to the roasting chamber formed in the combustion chamb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asting time of the coffee is shortened by a small heat source and the thermal efficiency is greatly deteriorated.

더욱이, 다 볶아진 커피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지 못함으로써 볶아짐에 따라 뜨거워진 커피의 빠른 냉각이 어려워 커피의 고유 맛고 향이 제대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more, since the roasted coffee can not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rapid cooling of the roasted coffee is difficult due to frying, so that the inherent taste and aroma of the coffee can not be maintained proper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로스터 및 냉각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로스터에 3개의 스크류 날개를 구비하여 투입되는 원두를 교반함으로서 로스팅 온도편차를 3도 이하로 감소시키며 커피의 겉과 속이 고르게 볶아지도록 하여 커피의 향 및 맛을 최고품질로 유지할 수 있는 원두 로스팅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roaster is provided with three screw blades, and the roasting temperature difference is reduced to 3 degrees or less by stirring the inserted beans, and the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coffee are evenly distributed Roasted coffee beans, roasted coffee beans, roasted coffee beans, roasted coffee beans, roasted coffee beans, and roasted coffee beans.

또한 냉각유닛을 통하여 로스팅 완료된 원두가 배출되되 냉각이 빨리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두의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풍량 가변형 버너를 통하여 온도와 시간에 따른 로스팅 단계와 정도에 따른 원두의 색깔 변화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원두 로스팅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asted bean is discharged through the cooling unit, but the cooling is performed quickly so that the taste and flavor of the bean can be maintained, and the change of the color of the bea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asting apparatus for roasting a coffee bea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두 로스팅 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an root roasting apparatus comprising:

원두를 투입하는 투입호퍼가 구비된 본체;A main body having a feed hopper for feeding a bean;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투입된 원두를 가열하여 로스팅하는 로스터;A roast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roasting the charged beans heated;

상기 로스팅 완료된 원두를 냉각하는 냉각유닛;A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roasted beans;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 / RTI >

상기 로스터는 투입된 원두를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교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이 교반부재에는 제1 내지 제3 스크류날개로 이루어지는 스크류부재가 구비되어 투입된 원두를 3개의 스크류날개를 통해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aster includes a stirring member which stirs the charged beans while heating the stirring rod. The stirr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screw member composed of first to third screw blades, and stirs the charged beans through three screw blades do.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두 로스팅 장치는 로스터에 3개의 스크류 날개를 도입함으로서 로스팅 온도편차를 3도 이하로 감소시키고, 풍량 가변형 버너를 통하여 열효율을 5프로 이상 향상시킬 수 있으며, 로스터 내부 공간에 균일한 온도분포를 유지하고 원두에 골고루 고온의 열량이 공급되어 최고 품질의 맛과 향이 나는 커피 원두 생산을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introducing three screw blades into the roaster, the roasting temperature deviation can be reduced to 3 degrees or less, the thermal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5 degrees or more through the variable-volume type burner, It maintains a 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evenly supplied high-calorie heat to the beans, thereby enabling the production of coffee beans having the highest quality taste and aroma.

또한 냉각유닛에 와류부재를 도입하여 공기유동이 난류유동을 생성하므로서 공기유동의 대류열전달계수를 증가시켜 커피 원두가 급속 냉각이 되도록 하여 커피의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고,Also, by introducing a vortex member into the cooling unit, the air flow generates a turbulent flow to increase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air flow, thereby rapidly cooling the coffee bean, thereby maintaining the taste and aroma of the coffee,

시스템의 열효율을 향상시켜 전기에너지 절감을 구현하고,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system to realize electric energy saving, and to improve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두 로스팅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두 로스팅 장치의 로스터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두 로스팅 장치의 냉각유닛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두 로스팅 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두 로스팅 장치의 변형례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n roo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roaster of the bea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oling unit of the bean-
Figure 4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bean-
5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bean roo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원두 로스팅 장치(A)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로스터(20) 및 냉각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1 to 4, a bean rooting apparatus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roaster 2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a cooling unit 30 consist of.

먼저 상기 본체(10)에는 로스팅 하고자 하는 원두를 투입하는 투입호퍼(11)가 일측에 구비되어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호퍼(11)에는 공급되는 원두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1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feed hopper 11 for feeding a bean to be roaste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the feed hopper 11 is provided with a control It is preferable that the valve 111 is provided.

다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는 투입된 원두에 열을 가하여 로스팅 하기 위한 로스터(20)와, 로스팅 완료된 원두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닛(30)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고, 상기 본체(10)에는 로스팅 완료된 원두가 배출되는 배출부재(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배출부재(12)에는 배출레버(121)를 구비하여 원두의 배출을 작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4,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roaster 20 for roasting the loaded beans by applying heat thereto, and a cooling unit 30 for cooling the roasted beans,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member 12 through which roasted beans are discharged. The discharge member 12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lever 121 to discharge the beans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이러한 모든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ontrol unit 13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o control all of the operations.

먼저, 커피열매를 볶는데 사용되는 커피 로스터(20)는 열원을 드럼이 직접 전달받아 커피를 볶는 직화방식과 열원과 드럼의 사이에 차단판을 구성하여 간접열에 의해 커피를 복는 간접열방식과, 열원에 의해 데워진 공기를 이용하여 드럼을 덥혀 커피를 볶는 열풍방식이 있다. First, the coffee roaster 20 used for roasting the coffee beans has a direct-burning method in which a drum is directly received by a drum to roast the coffee, an indirect heating method in which a blocking plate is formed between the heat source and the drum, There is a hot air method in which coffee is roasted by warming the drum using air heated by a heat source.

1. 직화방식 로스터(20)(Conventional Roaster, Drumroaster) 1. Conventional Roaster (Drumroaster) 20

일반 커피숍에서 사용되고 있는 보편적인 커피 생두 로스터(20)로 원통형의 드럼을 가로로 눕힌 형태가 대부분이다. 가스나 오일버너(14)에 의해 가열된 드럼의 표면과 뜨거워진 내부 공기에 의해 배전된다. 드럼의 회전에 의해 커피 생두를 고르게 섞어가며, 볶고, 볶음이 완료되면, 앞족의 냉각기로 방출된다. 이와 같은 직화방식의 경우에는 버너(14)와 같은 열원이 커피가 수용되는 드럼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드럼의 온도가 급격하게 가열되어 커피가 미처 볶아지지 전에 타게 되어 커피의 손상이 야기되고, 열원이 전달되는 바깥쪽 커피와 열원이 전달되지 않는 안쪽 커피와의 열전달성이 달라 커피가 제대로 볶아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직화방식은, 열원인 화염이 커피열매를 수용한 드럼의 표면에 직접 닿기 때문에 화염공급기의 불꽃이 조금만 커지거나 작아져도 커피볶음 온도가 쉽게 상승되거나 낮아서 커피열매의 볶음온도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여 맛과 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서 매우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면 동일한 커피 열매를 볶아 내었을 때 일정한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볶음 시간이 단축되며, 볶음 에너지가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Most of the common coffee bean roasters (20) used in ordinary coffee shops are laid out with cylindrical drums laid horizontally. And is distributed by the surface of the drum heated by the gas or oil burner 14 and the heated internal air. When the drum is rotated, the coffee beans are evenly mixed, roasted, and roasted. In the case of such a direct flame method, since the heat source such as the burner 14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drum in which the coffee is received, the temperature of the drum is suddenly heated, and the coffee is burnt before being roas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eat transfer between the outer coffee to which the heat source is transferred and the inner coffee to which the heat source is not transferred is different and the coffee is not roasted properly. Further, since the flame which is a heat source directly touches the surface of the drum containing the coffee beans, even if the flame of the flame supply device is slightly increased or decreased, the roasting temperature of the coffee is easily raised or lowered and it is not easy to control the roasting temperature of the coffee beans The taste and aroma can not be maintained constantl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 highly skilled engineer can not maintain a certain taste and aroma when roasting the same coffee beans. However, the roast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roasting energy is less.

2. 반열풍식 로스터(20)(Semi-Rotating Fluidized Roaster) 2. Semi-Rotating Fluidized Roaster (20)

직화 로스터(20)의 변형으로, 드럼의 몸체에 구멍을 뚫어(perforated) 고온의 연소가스가 드럼 내부를 지나도록 한 것이다. 팬(fan)이나 모터(motor)를 이용하여 강제로 불어 넣는 방식, 고온의 연소가스를 재활용(recycle)하여 열효율을 높이고 있다. 반 열풍방식의 경우, 드럼에 전달되는 간접열에 의해 드럼을 데우는 시간이 지연되어 열효율성이 크게 떨어지고, 드럼의 내부의 온도가 낮아 로스팅의 적절온도까지 상승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맛과 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드럼 내부의 온도편차가 감소되어 커피 생두가 균일하게 볶이는 장점이 있다. Deformation of the roaster 20 causes the drum body to be perforated so that hot combustion gases pas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drum. It uses a fan or a motor to blow it in a forced manner, and recycles the combustion gas at a high temperature to increase thermal efficiency. In the case of the semi-hot air type, indirect heat transmitted to the drum delays the time for warming the drum, resulting in a drastic decrease in the heat efficiency, and a low temperature in the drum, . However, the temperature variation inside the drum is reduced, so that coffee beans are roasted uniformly.

3. 열풍식 로스터(20)(Rotating Fluidized Bed Roaster)3. Rotating Fluidized Bed Roaster (20)

고온의 열풍을 불어넣어 배전하는 방식이다. 고온의 고속 열풍에 의해 커피 생두가 공중에 뜬 상태로 섞이고, 볶기 때문에 직화식보다 균일하게 볶을 수 있으며, 배전시간도 빠르다. 배전실과 냉각실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 열손실이 적은 장점이 있다. It is a method to blow hot air of high temperature and distribute. Because of high temperature high-speed hot air, coffee beans are mixed in a floating state in the air, and they can be roasted more uniformly than the direct-firing type because they are roasted. Since the power distribution room and the cooling room are separately provid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eat loss is small.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에 버너(14)를 구비하되, 상기 버너(14)가 상기 로스터(20)에 근접하게 구비됨에 따라 버너(14)에 의해 발생된 열이 로스터(20)의 외면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rner 14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the burner 14 is provided close to the roaster 20 so that the heat generated by the burner 14 flow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oaster 20 Is indirectly heated.

또한 이 버너(14)는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풍량 가변형 버너(14)인 것으로서, 로스팅 시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Further, the burner 14 is a variable-volume type burner 14 capable of adjusting the air volume,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aintain and operate a uniform temperature during roasting.

로스팅은 "로스팅 시간과 온도에 의존하는 공정(time temperature dependent process)기술이다. 커피생두의 물리화학적 변화와 함께 구조적 변형이 로스팅에서 시작되고 완성된다. 수분이 증발되고, 이산화탄소가 생성되어 방출되며, 여러 휘발성 향기성분이 생성되고 손실된다. 부피는 약 2배까지 증가하고 커피생두 조직이 다공성으로 바귀면서 밀도는 반 이하로 감소한다. 로스팅 정도에 비례헤서 감소하는 커피의 성분으로는 트리고넬린(trigoneline),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이 있는대, 이들의 함량을 측정하여 배전정도를 파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스팅 시간과 온도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과 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기 풍량 가변형 애프터 버너(14)를 구비함에 따라 온도와 시간에 따른 로스팅 단계와 로스팅 정도에 따른 원두의 색깔 변화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Roasting is a "time temperature dependent process" technology that relies on the roasting and the physical transformation of the coffee bean, along with the physical transformation of the coffee bean, begins and ends with the roasting. Water evaporates, carbon dioxide is produced and released, Several volatile flavor components are created and lost: the volume increases by about 2 times and the density of the coffee bean tissue becomes porosity, reducing the density to less than half. Coffee components that decrease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roasting include trigoneline ), And chlorogenic acid, and the content of these is measur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power distribution. Thus, the roasting time and temperature greatly affect the taste, aroma and quality of coffee. By providing the variable-volume afterburner 14, the temperature and the time of roasting according to the time and the color of the bean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asting Angry so that they can be uniformly maintained.

다시 본 발명에 따른 원두 로스팅 장치(A)는 투입된 원두를 교반 및 가열하는 로스터(20)가 구비되어 있다.The roaster 20 for stirring and heating the charged beans is also provided in the bean rooting apparatus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로스터(20)는 투입된 원두를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교반부재(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이 교반부재(21)에는 제1 내지 제3 스크류날개(211)(212)(213)로 이루어지는 스크류부재(21A)가 구비되어 투입된 원두를 3개의 스크류날개를 통해 교반하며, 이 때 상기 제1 스크류날개(211)는 상기 스크류부재(21A)를 회동시키는 회전축(231)에 구비되고, 제2 및 제3 스크류날개(212)(213)는 상기 교반부재(21)의 내측에 형성되어 원두를 고르게 섞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1 and 2, the roaster 20 includes a stirrer 21 which stirs the charged beans while heating the bean. The stirrer 21 is provided with first to third The screw member 21A including the screw blades 211, 212 and 213 is provided so as to stir the inserted beans through three screw blades. At this time, the first screw blades 211 are rotated by the screw member 21A, And the second and third screw vanes 212 and 213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tirring member 21 so as to mix the beans evenly.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로스터(20)에는 상기 교반부재(21) 내측에 구비되는 스크류부재(21A)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23)가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 구동부재(23)가 스크류부재(21A)를 회전시켜 내부에 투입되는 원두를 고르게 섞을 수 있게 하였으며, 이 때 상기 교반부재(21)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버너(14)에 의해 공급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내측에 투입된 원두를 볶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roaster 20 is provided at its one side with a driving member 23 for rotating a screw member 21A provided inside the agitating member 21, and the driving member 23 is fixed to the screw member 21 The stirrer 21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is heated by the heat supplied by the burner 14 so as to mix the beans fed into the inside It is made to roast.

또한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교반부재(21)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통공(215)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Further, in order to prevent overheat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5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agitating member 21, but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아울러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스크류날개(211)(212)(213)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스크류날개가 나선형으로 구성된 3중 나선 스크류타입인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o third screw blades 211, 212, and 213 are each a triple screw type in which each screw blade is formed in a spiral shape.

일반적으로 로스팅 원리는 열전달에 크게 영향이 있다. 전도(conduction), 대류(convection), 복사(radiation)에 의해 공급된 열이 원두를 가열하면서 일어나는 반작용이다. 로스팅 단계는 20분 정도 예열 후 로스터(20)기 내부의 열흐름을 균일하게 유지하고, 원두 투입 시 최적의 조건이 되도록 개발한다. 그리고 예열은 낮은 온도로부터 시작하여 210 oC 까지 천천히 온도를 올려주는 방식으로 한다. 로스팅 초기에는 흡열반응이 일어나도록 하고, 원두 자체의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면서 원두가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증발하도록 한다. 원두의 자체온도가 190 oC 에 도달하게 하여, 이와 같은 온도에서 열을 방출하는 발열반응이 일어나서 내부온도가 급속이 상승하도록 구성하여 원두의 향기성분이 최대한 많이 생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3중 나선 스크류타입 로스터(20)를 통하여 내부 공간에 균일한 온도분포를 유지하고, 원두에 골고루 고온의 열량이 공급되어, 최고 품질의 맛과 향이 나는 원두가 생산되도록 한다. 또한 3중 나선 스크류타입 로스팅기 구성하므로서 볶아지는 원두의 교반이 용이하도록 하며, 다 볶아진 원두가 드럼의 외측에 구성되는 배출부재(12)를 통해 빠르게 냉각유닛(30)으로 배출되어 냉각이 빨리 이루어져 원두의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general, the roasting principle has a great effect on heat transfer. The heat supplied by conduction, convection, and radiation is the reaction that occurs when heating the beans. The roasting step maintains the heat flow uniformly in the roaster 20 after the preheating for 20 minutes and develops it to be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beans. The preheating is carried out by slowly increasing the temperature from 210 ° C to 210 ° C. At the beginning of roasting, the endothermic reaction occurs, and the temperature of the bean itself gradually increases so that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bean is evaporated. The temperature of the bean reaches its own temperature of 190 oC, and an exothermic reaction that emits heat at such a temperature occurs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rapidly increases, thereby generating as many fragrance components of the bean as possi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is maintained in the inner space through the triple spiral screw type roaster (20), and a high-temperature heat is uniformly supplied to the bean so that the beans having the highest quality taste and aroma are produced. In addition, the triple spiral screw type roaster unit facilitates agitating of the roasted beans, and the roasted beans are rapidly discharged to the cooling unit 30 through the discharge member 12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drum, So that the taste and flavor of the bean can be maintained.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로스터(20)에 의해 로스팅 된 원두가 상기 배출부재(12)를 통해 배출될 때 보다 빠른 냉각을 위하여 냉각유닛(30)을 더 구비하고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oling unit 30 for cooling the roasted roasted coffee beans faster than the roasted coffee beans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member 12.

도 1 및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냉각유닛(3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냉각유닛(30)은 냉각된 원두를 회수하는 회수부(311)가 일측에 형성된 냉각부재(31)로 이루어지며, 이 냉각부재(31)의 상부에는 상기 배출부재(12)를 통해 배출되는 원두가 안착되어 냉각될 수 있는 냉각부(313)가 형성되고, 이 냉각부(313)의 저면에는 보다 빠르게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냉각공(313A)이 구비되어 있다.1 and 3, the cooling unit 30 includes a cooling member 31 having a collecting part 311 for collecting the cooled beans, A cooling part 313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cooling part 31 so that the bea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rt 12 is seated and cooled and the bottom part of the cooling part 313 emits heat A plurality of cooling holes 313A ar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냉각유닛(30)에는 보다 빠르게 냉각을 유도하기 위하여 서로 중첩되게 구비되는 제1 와류날개(331)와 제2 와류날개(333)로 이루어진 와류부재(33)를 더 포함하며, 이 제1 와류날개(331)와 제2 와류날개(333)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굴곡진 나선형의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와류부재(33)가 회전하면 냉각부(313)의 공기에 와류를 형성하여 원두를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cooling uni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vortex member 33 consisting of a first vortex blade 331 and a second vortex blade 333 which are provid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in order to induce faster cooling, The first vortex 331 and the second vortex 333 form a spiral shap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When the vortex member 33 rotates, it forms a vortex in the air of the cooling part 313,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cool the heat exchanger.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와류날개(331)와 제2 와류날개(333)에 의하여 공기유동이 난류유동을 생성함으로서 공기유동의 대류열전달계수를 증가시켜 원두의 급속냉각을 유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vortex flow 331 and the second vortex flow flow 333 generate a turbulent flow, thereby increasing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air flow and inducing rapid cooling of the bean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두 로스팅 장치(A)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Fig. 5 shows a modification of the roasting apparatus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원두 로스팅 장치(A)는 로스팅 동작에 의해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시킬 수 있고, 진동에 의해 원두의 교반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roasting operation of the bean rooting apparatus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ause vibration and noise,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and may cause smooth stirring of the bean owing to vibration May occur.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10)를 설치부에 고정하는 경우,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본체(10)에 전달되지 않도록 본체(10) 하부에 완충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buffer means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o prevent generated vibration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10 when the main body 10 is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상기 완충수단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완충수단은More specifically, the buffering means includes:

설치부에 고정 설치된 바닥판(41),A bottom plate 41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상기 바닥판(41)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되고, 상면에 상기 본체(10)가 설치된 지지판(42),A support plate 42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4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provided with the main body 10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바닥판(41)과 상기 지지판(42) 사이에 게재된 완충 스프링(43),A buffer spring 43 disposed between the bottom plate 41 and the support plate 42,

상기 바닥판(41)의 상면에 설치되고, 스윙축(44b)을 축으로 양단이 시소 운동하는 전달부재(44),A transmitting member 44 install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1 and having both ends swung about the swing shaft 44b,

상단이 상기 바닥판(41)의 하면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전달부재(44)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 제1 승강부재(45),A first elevating member 45 whose upper end is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1 and whose lower end is hinged to one end of the transmitting member 44,

상단이 상기 바닥판(41)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하도록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전달부재(44)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제2 승강부재(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d a second elevating member 46 having an upper e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4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lower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mitting member 44.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판(41)과 지지판(42)은 동일 크기의 판상 부재로써,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되며, 측면 개구부를 밀폐하는 하우징이 더 추가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ottom plate 41 and the support plate 42 may be plate members of the same size,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for sealing the side openings.

아울러 바닥판(41)과 지지판(42) 사이에는 완충 스프링(43)이 구비되어 지지판(42)의 승하강 높이 변위가 가능하다.A buffer spring 43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41 and the support plate 42 to allow the support plate 42 to be displaced upward and downward.

상기 전달부재(44)는, 양단이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판(41) 상면에 고정 설치된 지지부(44a)에 스윙축(44b)으로 결합된다.The transmitting member 44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portion 44a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1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a swing shaft 44b.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전달부재(44)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양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ransmitting member 44 is of a telescopic type and has a length-adjustable shape at both ends.

그리고 상기 제1 승강부재(45)는 상기 지지판(42)의 하면에 연결되어 지지판(42)과 함께 승하강되고, 상기 제2 승강부재(46)는 상기 바닥판(41)의 상면에서 상측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47)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승하강되며,The first elevating member 45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42 and is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supporting plate 42. The second elevating member 46 is vertically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1, And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guide 47,

전달부재(44)의 일단과 제1 승강부재(45)의 하단 및 전달부재(44)의 타단과 제2 승강부재(46)의 하단은 각각 회동축(45a)(46a)으로 결합되어, [제1 승강부재(45)-전달부재(44)-제2 승강부재(46)] 상호간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진다.One end of the transmitting member 44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elevating member 45 and the other end of the transmitting member 44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levating member 46 are coupled with the pivot shaft 45a, The angle between the first elevating member 45, the transmitting member 44,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46 is adjusted.

이러한 완충수단(40S)은, 지지판(42) 상부의 본체(10)에 진동이나 흔들림이 발생하면 지지판(42)이 함께 상하로 승하강되며, 제1 승강부재(45)의 승하강 시 전달부재(44)의 시소 운동에 의해 제2 승강부재(46)가 제1 승강부재(45)의 반대 방향으로 승하강이 이루어진다.The shock absorber 40S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main body 10 on the support plate 42 vibrates or shakes, the support plate 42 vertically moves up and down toge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members 45, The second elevating member 46 ascends and descend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elevating member 45 by the seesaw motion of the second elevating member 44.

따라서 지지판(42)이 하강할 때 제2 승강부재(46)가 상승하면서 제2 승강부재(46)의 상단이 지지판(42)의 하면에 접촉하고, Therefore, when the support plate 42 descends, the second lift member 46 rises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ft member 46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42,

반대로 지지판(42)이 상승할 때 제2 승강부재(46)가 하강하면서 제2 승강부재(46)의 하단(회동축(46a))이 바닥판(41)의 상면에 접촉하며,Conversely, when the support plate 42 rises, the second lift member 46 descends and the lower end (the pivot shaft 46a) of the second lift member 46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1,

이로 인해 완충 스프링(43)의 탄성력이 본체(10)의 진동 내지 흔들림을 흡수함과 동시에, 지지판(42) 또는 바닥판(41)에 접촉하는 제2 승강부재(46)가 지지판(42)의 승하강을 정지시킴으로써, 완충 스프링(43)의 탄성력 반발에 의해 증대될 수 있는 본체(10)의 진동 내지 흔들림을 억제시켜, 본체(10)의 완충 및 지지 기능이 동시에 발생하게 된다.As a result, the elastic force of the buffer spring 43 absorbs the vibration or fluctuation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econd lift member 46 contacting the support plate 42 or the bottom plate 4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42 By stopping the lifting and lowering, the vibration or fluctuation of the main body 10, which can be increased by the resilience of the buffer spring 43, is suppressed, and the buffering and supporting functions of the main body 10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즉, 완충 스프링(43)만으로 본체(10)의 진동 내지 흔들림을 흡수할 수 있으나, 진동 내지 흔들림이 클 경우 완충 스프링(43)이 신장되면서 발생하는 탄성력이 커지면서 본체(10)의 진동 내지 흔들림이 배가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완충 스프링(43)을 통한 충격 흡수와 함께 제2 승강부재(46)를 통한 스토핑 작동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vibration or vibration of the main body 10 can be absorbed only by the cushioning spring 43. However, when the vibration or shaking is large, the elastic force generated when the cushioning spring 43 is stretched increases,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by stopping the operation through the second lifting member 46 together with shock absorption through the buffer spring 43. [

상기한 구성의 완충수단(40S)은, 받침대(40)에서 서로 대향하는 양 측변에 구비되며(도면에서는 받침대(40)의 각 모서리에 완충수단(40S)이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였음.),The buffering means 40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pedestal 40 (in the figure, the buffering means 40S is provided at each corner of the pedestal 40)

이때 완충수단(40S)은, 각 제2 승강부재(46)의 상단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동부재(48)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본체(10)의 진동 내지 흔들림이 일측으로 쏠려 지지판(42)이 좌우 불균형하게 승하강될 때, 양측 완충수단(40S)의 각 승강부재(45)(46)들이 동시에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지지판(42)의 좌우 균형을 맞추면서 충격 흡수 및 스토핑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buffering means 40S includes an interlocking member 48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respective second lifting members 4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vibration or shaking of the body 10 is directed to one side, The lifting members 45 and 46 of the both side shock absorbing means 40S simultaneousl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hock absorbing and stopping can be performed while balancing the right and left of the supporting plate 42 .

즉, 본체(10)의 진동 내지 흔들림이 일측으로 편중되어 발생할 경우, 지지판(42)의 일측 높이 변화 폭이 커지면서 본체(10)의 무게 중심일 일측으로 쏠리면서 본체(10)가 전복될 수 있는데, That is, when the vibration or shaking of the main body 10 is caused to occur on one side, the main body 10 may be overturned while being shifted toward one side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body 10, ,

본 발명은 진동 내지 흔들림이 편중되는 일측 제2 승강부재(46)가 승하강될 때, 연동부재(48)로 인해 반대편의 타측 제2 승강부재(46)가 함께 동일 방향으로 승하강이 이루어져, 높이 변화 폭이 작은 지지판(42)의 타측단이 반대편의 일측단과 동일하게 승하강되면서, 지지판(42) 전체가 좌우 균형을 맞추면서 완충수단(40S)들의 완충 및 스토핑 작동이 이루어져, 본체(10)가 일측으로 쏠리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e second side elevating member 46 on the opposite side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in the same direction due to the interlocking member 48 when the second side elevating member 46 having one side oscillated or shaken is moved up and down, The other side end of the support plate 42 having a small height varying width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same manner as one side of the opposite side so that buffering and stopping operations of the buffering means 40S are performed while the entire support plate 42 is balanced right and left, Can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without being deflected to one side, thereby solving the above problems.

또한 상기 제2 승강부재(46)의 상, 하측단 및 연동부재(48)의 상면에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재(48a)가 구비되어, 스토핑 접촉 시 발생하는 소음 감소 및 충격 흡수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A shock absorber 48a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lifting member 46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locking member 48, Reduction and a shock absorbing function.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원두 로스팅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 원두 로스팅 장치 10 : 본체
11 : 투입호퍼 111 : 조절밸브
12 : 배출부재 121 : 배출레버
13 : 제어부 14 : 버너
20 : 로스터 21 : 교반부재
21A : 스크류부재 211 : 제1 스크류날개
212 : 제2 스크류날개 213 : 제3 스크류날개
215 : 통공 23 : 구동부재
231 : 회전축 30 : 냉각유닛
31 : 냉각부재 311 : 회수부
313 : 냉각부 313A : 냉각공
33 : 와류부재 331 : 제1 와류날개
333 : 제2 와류날개
A: bean rooting apparatus 10: main body
11: Feed hopper 111: Regulating valve
12: exhaust member 121: exhaust lever
13: control unit 14: burner
20: Roaster 21: stirring member
21A: screw member 211: first screw blade
212: second screw blade 213: third screw blade
215: through hole 23: driving member
231: rotation shaft 30: cooling unit
31: cooling member 311:
313: Cooling section 313A: Cooling hole
33: vortex member 331: first vortex member
333: 2nd vortex blade

Claims (4)

원두를 투입하는 투입호퍼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투입된 원두를 가열하여 로스팅하는 로스터;
상기 로스팅 완료된 원두를 냉각하는 냉각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로스터는 투입된 원두를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교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이 교반부재에는 제1 내지 제3 스크류날개로 이루어지는 스크류부재가 구비되어 투입된 원두를 3개의 스크류날개를 통해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 로스팅 장치.
A main body having a feed hopper for feeding a bean;
A roast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roasting the charged beans heated;
A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roasted beans;
, ≪ / RTI >
The roaster includes a stirring member which stirs the charged beans while heating the stirring rod. The stirr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screw member composed of first to third screw blades, and stirs the charged beans through three screw blades Roast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터의 스크류부재는
상기 스크류부재를 회동시키는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1 스크류날개와, 상기 교반부재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는 제2 및 제3 스크류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 로스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crew member of the roaster
A first screw blade provided on a rotating shaft for rotating the screw member; and second and third screw blades provid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stirr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로스터를 가열하는 버너가 더 구비되되, 상기 버너는 상기 로스터에 공급하는 가열된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 가변형 버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 로스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ing a burner for heating the roaster, wherein the burner is a variable-volume type burner for adjusting a heated air amount supplied to the roaste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배출된 원두를 냉각시키는 냉각부가 구비된 냉각부재와, 상기 냉각부에 구비되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굴곡진 제1 와류날개 및 제2 와류날개로 이루어지는 와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 로스팅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oling unit
A cooling member having a cooling section for cooling the discharged beans; and a vortex member provided in the cooling section, the vortex member comprising first vortex blades and second vortex blades curv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
KR1020170078784A 2017-06-21 2017-06-21 Roasting device KR1019538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84A KR101953873B1 (en) 2017-06-21 2017-06-21 Roas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84A KR101953873B1 (en) 2017-06-21 2017-06-21 Roas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27A true KR20190000027A (en) 2019-01-02
KR101953873B1 KR101953873B1 (en) 2019-03-06

Family

ID=65021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784A KR101953873B1 (en) 2017-06-21 2017-06-21 Roas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87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489B1 (en) * 2020-01-13 2020-06-12 김영식 Total coffee processing system
KR20220128570A (en) * 2021-03-13 2022-09-21 산들바람 작목반 영농조합법인 Home Hot Air Top-Down Coffee Bean Proces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863U (en) 2020-10-13 2022-04-20 기백준 Roasting machine for coffee bean
KR102585729B1 (en) 2021-02-03 2023-10-05 김원곤 Hot-air Roast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997B1 (en) * 2010-04-26 2010-08-25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Coffee beans roaster
KR101036997B1 (en) * 2008-10-06 2011-05-25 송유진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
KR101130547B1 (en) * 2010-06-30 2012-03-27 (주)한선 A coffee roaster and its operational method thereof
KR101641575B1 (en) * 2014-11-03 2016-07-29 정정모 A Cooling device for roasting coffee bea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997B1 (en) * 2008-10-06 2011-05-25 송유진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
KR100977997B1 (en) * 2010-04-26 2010-08-25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Coffee beans roaster
KR101130547B1 (en) * 2010-06-30 2012-03-27 (주)한선 A coffee roaster and its operational method thereof
KR101641575B1 (en) * 2014-11-03 2016-07-29 정정모 A Cooling device for roasting coffee bea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489B1 (en) * 2020-01-13 2020-06-12 김영식 Total coffee processing system
KR20220128570A (en) * 2021-03-13 2022-09-21 산들바람 작목반 영농조합법인 Home Hot Air Top-Down Coffee Bean Proc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873B1 (en)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873B1 (en) Roasting device
KR100583386B1 (en) coffee bean roasting method and coffee bean roasting apparatus
KR100907684B1 (en) Heat-blowing type coffee roaster
KR101289347B1 (en) coffee bean roasting apparatus
KR20060050159A (en) Corn roasting apparatus
JPH1156321A (en) Roasting of granular material and device therefor
CN106461232A (en) Stirring and cooking assembly and cooking equipment including same
US2639133A (en) Coffee roaster
JP52902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 treating fluid plant products
KR101196924B1 (en) Multi-function cooking device
KR20110019409A (en) Coffee roaster
US11478012B2 (en) Fluid bed coffee roasting system
CN105433405B (en) Baking device
KR102130737B1 (en) Coffee roaster
CN212260421U (en) Conduction convection radiation self-selection bean drying machine with double heat sources
KR101802321B1 (en) Direct flame type coffee roasting apparatus roasted in a low temperature method
JP2019110824A (en) Roasting device
KR101953378B1 (en) Charcoal Coffee Roaster Machine using Front and Back Rotation
CN113115962B (en) Conduction convection radiation self-selection bean drying machine with double heat sources
KR20220030725A (en) Vacuum coffee roasting device
JP6849996B2 (en) Roaster
CN208693043U (en) A kind of oven
KR20180037643A (en) Rotary Cooking Stove
CN219000092U (en) Oven with multifunctional module
JP3215053U (en) Heat treatment device 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