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462A -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462A
KR20180138462A KR1020170078708A KR20170078708A KR20180138462A KR 20180138462 A KR20180138462 A KR 20180138462A KR 1020170078708 A KR1020170078708 A KR 1020170078708A KR 20170078708 A KR20170078708 A KR 20170078708A KR 20180138462 A KR20180138462 A KR 20180138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eye
data
unit
fati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4843B1 (ko
Inventor
경규형
황기태
최동희
이송일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78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843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41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observation of ocular blood flow, e.g. by fluorescein angi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1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sychiatry (AREA)
  • Multimedia (AREA)
  • Phy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는 운전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본체; 운전자의 안구를 촬영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된 제1데이터로 상기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판단하여 차량의 중앙 제어부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 안구의 충혈도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방법{The eyeball fatigue measuring device of the operator and The eyeball fatigue measuring method of the oper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체 교통사고에서, 중대법규(중앙선 침범, 신호 위반, 속도위반 사고 등) 위반에 의한 사고보다는 피로로 인한 졸음운전 등의 사고가 전체 교통사고의 25~30%를 차지하고, 순간적 의식 상실로 인한 치사율이 높다.
유럽은 상업용 차량 운전자들의 피로 및 졸음 관련사고 감소를 위해 운전자 피로에 대한 규제를 실행 예정이며, 이에 따라 유수의 자동차 제조사들이 경쟁적으로 유사한 기술을 개발하고 실차를 진행 중에 있다. 기존 기술은 선글라스, 안경, 마스크, 모자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졸음상태 인식률이 낮기 때문에 신뢰도 확보에 문제가 있어 오랫동안 적용 성을 검토하고 있으나 여러 제약과 신뢰도 문제로 인해 아직 만족할 만한 수준의 제품이 상용화된 사례가 없다.
따라서, 운전자의 안구 피로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등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운전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본체; 운전자의 안구를 촬영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된 제1데이터로 상기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판단하여 차량의 중앙 제어부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의 안구 결막의 충혈도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판단하는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한 제1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획득부; 상기 획득부에서 획득된 제1데이터로 안구의 충혈도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제2데이터로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판단하는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별부에는 안구 결막의 충혈도 기준 데이터가 기설정되며, 상기 판별부에 기설정된 안구 결막의 충혈도 기준 데이터와 상기 제2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데이터의 RGB 분석 및 엣지 디텍션(edge detection)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에는 상기 RGB 분석에 따른 상기 제1데이터의 Red, Green, Blue값과 비교 분석하기 위한 안구 결막의 충혈에 따른 Red, Green, Blue분포값이 기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드선택부는 운전자의 안구를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연속촬영모드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운전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절약촬영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가 절약촬영모드로 촬영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 안구의 촬영 시작 시간임을 알리는 알림부가 상기 본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운전자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의 촬상부에 의해 촬영된 제1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운전자의 안구 결막의 충혈도를 포함하는 제2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상기 제1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제2데이터를 기설정된 안구 결막의 충혈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차량의 중앙 제어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는 운전자 안구의 충혈도를 분석하여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판단함으로써,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정밀하게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안구를 측정하는 촬상부가 안경과 같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안경을 쓰는 운전자도 용이하게 안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의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에서 제어부의 분석부에서 분석을 위해 사용하는 운전자의 안구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에서 제어부의 판별부에 저장된 안구 결막의 충혈도 기준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의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에서 제어부의 분석부에서 분석을 위해 사용하는 운전자의 안구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에서 제어부의 판별부에 저장된 안구 결막의 충혈도 기준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를 일례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지 않으며,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는 사용자들 또는 모바일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도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100)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100)는 본체(110), 촬상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운전자의 얼굴에 착용될 수 있다. 본체(110)는 일반적으로 안경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는 운전자의 안구 전면에 위치되는 안경테(111)와, 안경테(111)의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운전자의 귀에 착용되는 안경다리(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안경테(111)는 한 쌍의 렌즈결합부재(113)와 한 쌍의 렌즈결합부재(113)를 연결하며 운전자의 코에 지지되는 코받침대(114)로 이루어진다.
촬상부(120)는 운전자의 안구를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촬상부(120)는 가시광선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시광선 렌즈 외에 적외선 렌즈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추후에 RGB 분석시, 가시광선 렌즈로 분석이 어려울 경우 적외선 렌즈에서 촬영된 데이터로 분석을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촬상부(120)는 안경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촬상부(120)는 운전자의 안구를 측정해야 하므로 안구에 대응되는 코받침대(114)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촬상부가 코받침대(114)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촬상부(120)가 안경다리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촬상부(120)는 안경다리 중에서도 안구의 측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안경테(111)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촬상부(120)는 본체(11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안경을 착용하는 운전자인 경우, 촬상부(120)는 운전자의 안경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촬상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결합부(150)에 설치될 수 있다. 착용결합부(150)는 코받침대(11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착용결합부(150)는 일례로 탄성을 가지고 코받침대(114)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착용결합부(150)의 하부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코받침대(114)의 하부측에 결합되며, 이에 착용결합부(150)가 코받침대(1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착용결합부(150)는 촬상부(120)를 본체(110)에 착탈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여도 상관없다.
촬상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제어부(130)의 획득부(131)로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촬상부(120)에 촬영된 제1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촬상부(120)와 연결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비콘,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WB, 지그비 등과 같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본체(110)에 내장될 수 있지만, 본체(110)에 근접하여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제어부(130)는 차량의 중앙 제어부와 함께 연동되도록 차량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제어부(130)는 획득부(131), 분석부(133) 및 판별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부(131)는 촬상부(120)에서 촬영한 제1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도 4의 S210), 분석부(133)는 획득부(131)에 획득된 제1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고, 판별부(135)는 분석된 제2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는 운전자의 안구 충혈 정도를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부(133)는 촬상부(120)에서 촬영된 제1데이터를 분석하여 제2데이터를 획득한다. 즉, 분석부(133)는 획득부(131)에 저장된 제1데이터를 분석하여 운전자의 안구 결막의 충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데이터를 획득한다(도 4의 S220).
보다 상세하게, 도 5를 참조하면, 획득부(131)에 저장된 제1데이터는 운전자의 안구를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다.
분석부(133)에서 이루어지는 제1데이터의 분석 방법은 운전자의 동공 크기 분석과 함께 엣지 디텍션(edge detection) 분석 및 RGB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먼저, 획득된 제1데이터는 동공 크기 분석에서 운전자의 동공 크기 변화를 분석한다. 만약, 운전자의 동공 크기 분석 시 운전자의 동공 크기가 일정 수준 이하로 줄어든 것으로 분석되면, 운전자의 안구가 피로하다고 1차적으로 판단하여 엣지 디텍션(edge detection) 분석 및 RGB 분석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데이터를 사용하여 엣지 디텍션 및 RGB 분석 할 때, 먼저, 엣지 디텍션을 통하여 제1데이터 중 필요한 부분만 분리한다.
일례로, 제1데이터가 운전자의 안구 이미지일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안구는 안구 결막을 제1 내지 제6영역으로 구획한다. 그리고 엣지 디텍션을 통하여 안구 결막의 제1 내지 제6영역 중 제4 내지 제6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제외시킨다. 즉, 제4 내지 제6영역으로 엣지 디텍션 분석 및 RGB 분석을 수행한다.
분석부에서 수행하는 RGB 분석은 제1데이터를 Red, Green, Blue 값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이때, 분석부(133)에는 제1데이터의 Red, Green, Blue 값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안구 결막의 충혈에 따른 Red, Green, Blue분포값이 기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석부(133)는 RGB 분석에 의해 획득된 제1데이터의 Red, Green, Blue 값을 기설정된 안구 결막의 충혈에 따른 Red, Green, Blue분포값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운전자의 안구 결막의 충혈 정도가 분석된다.
엣지 디텍션은 제1데이터를 흑백 이미지로 변환한 다음 캐니 엣지 디텍터(Canny Edge Dector)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수행된다. 이때, 흑백 이미지로 변환된 제1데이터는 1 x 1, 2 x 2, 3 x 3 와 같은 픽셀 크기를 기준으로 분석된다.
이렇게 제1데이터로 엣지 디텍션 분석 및 RGB 분석이 수행되면, 안구 결막 충혈에 의해 나타나는 혈관 분포 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방법들 중 RGB 분석은 일정 수준 색상을 구분할 수 있는 일정 수준 이상의 명도가 확보되었을 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엣지 디텍션은 명도에 상관없이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단 RGB 분석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일 경우에,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에, 필요에 따라 RGB 분석 및 엣지 디텍션 중 하나를 선택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또는 RGB 분석 및 엣지 디텍션 모두 사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획득부(131)에 저장된 제1데이터는 분석부(133)에서 운전자의 동공 크기 분석, RGB 분석 및 엣지 디텍션 분석에 의해 분석되어 정량화된 제2데이터가 생성된다. 이때, 제2데이터는 안구 결막의 충혈에 의해 나타나는 혈관 분포 밀도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판별부(135)는 분석부(133)에서 분석된 제2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판별부(135)에는 안구 피로도의 기준이 되는 기준 데이터가 기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기준 데이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구 결막의 충혈도 기준 데이터가 사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안구 결막의 충혈도 기준 데이터는 안구 결막의 충혈도 사진과 안구 결막의 충혈도에 따른 안구 피로도 수치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안구 피로도 수치가 1 또는 2이면 정상으로 판단하며, 도 6c 및 도 6d에서와 같이 안구 피로도 수치가 3 이상이면 안구 피로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데이터는 안구 결막의 충혈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며, 제2데이터가 안구 결막의 충혈도 기준 데이터 중 어느 데이터와 유사한지 판별함으로써,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판단할 수 있다(도 4의 S230).
이렇게 판별부(135)에서 판단한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는 자동차의 중앙 제어부(130)로 전송된다. 특히, 제2데이터가 도 6의 기설정된 안구 충혈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가 3을 넘어가면, 차량의 중앙 제어부(140)로 전송될 수 있다(도 4의 S240).
이때, 차량 제어부(140)는 제어부(130)에서 송신하는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안구 피로가 확인됨을 알려주거나, 운전자에게 인접한 곳에 위치한 휴게소나 휴식 공간을 알려주거나, 운전자의 운전모드를 변경하는 등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와 차량 제어부(140)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은 비콘,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WB, 지그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운전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드선택부(137)는 운전자의 안구를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연속촬영모드(137a)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운전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절약촬영모드(137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속촬영모드(137a)는 운전자가 운전을 시작할 때부터 운전자의 안구를 촬영하며, 촬영된 데이터들은 제어부에서 실시간으로 분석 판별됨으로써, 운전자의 안구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절약촬영모드(137b)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운전자의 안구를 촬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의 획득부에는 절약촬영모드(137b)를 위한 시간이 설정된다. 일례로, 한시간 간격으로 운전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은 운전자가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러면, 절약촬영모드(137b)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운전자의 안구를 촬영하며, 촬영된 데이터들은 제어부에서 분석 판별됨으로써, 운전자의 안구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촬상부(120)가 절약촬영모드(137b)로 촬영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안구의 촬영 시작 시간임을 알리는 알림부가 본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알림부(미도시)는 LED와 같은 조명 또는 소리를 내는 버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는 운전자 안구 결막의 충혈도를 분석하여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판단함으로써,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정밀하게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안구를 측정하는 촬상부가 안경과 같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안경을 쓰는 운전자도 용이하게 안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
110 : 본체 120 : 촬상부
130 : 제어부 131 : 획득부
133 : 분석부 135 : 판별부
137 : 모드선택부

Claims (8)

  1. 운전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본체;
    운전자의 안구를 촬영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된 제1데이터로 상기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판단하여 차량의 중앙 제어부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의 안구 결막의 충혈도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판단하는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한 제1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획득부;
    상기 획득부에서 획득된 제1데이터로 안구의 충혈도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제2데이터로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판단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에는 안구 결막의 충혈도 기준 데이터가 기설정되며,
    상기 판별부에 기설정된 안구 결막의 충혈도 기준 데이터와 상기 제2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판별하는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데이터의 RGB 분석 및 엣지 디텍션(edge detection)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에는 상기 RGB 분석에 따른 상기 제1데이터의 Red, Green, Blue값과 비교 분석하기 위한 안구 결막의 충혈에 따른 Red, Green, Blue분포값이 기설정되는 안구 피로도 측정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드선택부는 운전자의 안구를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연속촬영모드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운전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절약촬영모드를 포함하는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가 절약촬영모드로 촬영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 안구의 촬영 시작 시간임을 알리는 알림부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
  8. 운전자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의 촬상부에 의해 촬영된 제1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운전자의 안구 결막의 충혈도를 포함하는 제2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상기 제1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제2데이터를 기설정된 안구 결막의 충혈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를 차량의 중앙 제어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방법.
KR1020170078708A 2017-06-21 2017-06-21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방법 KR101944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08A KR101944843B1 (ko) 2017-06-21 2017-06-21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08A KR101944843B1 (ko) 2017-06-21 2017-06-21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462A true KR20180138462A (ko) 2018-12-31
KR101944843B1 KR101944843B1 (ko) 2019-02-01

Family

ID=6495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708A KR101944843B1 (ko) 2017-06-21 2017-06-21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68920A (zh) * 2022-08-18 2023-03-31 上海佰翊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结膜充血的量化评估方法、装置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2524A (ko) * 2012-12-05 2014-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시각피로도 측정장치
KR20170049997A (ko) * 2015-10-29 2017-05-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안구 상태로부터 피로도를 판단하여 추천장소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추천장소 제공서버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2524A (ko) * 2012-12-05 2014-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시각피로도 측정장치
KR20170049997A (ko) * 2015-10-29 2017-05-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안구 상태로부터 피로도를 판단하여 추천장소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추천장소 제공서버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68920A (zh) * 2022-08-18 2023-03-31 上海佰翊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结膜充血的量化评估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5868920B (zh) * 2022-08-18 2023-11-21 上海佰翊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结膜充血的量化评估方法、装置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843B1 (ko) 201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79884B (zh) 用于确定人的两个眼睛的瞳孔中间点的方法和眼镜
JP5549721B2 (ja) ドライバモニタ装置
US8295559B2 (en) Face image pickup device and method
JP5974915B2 (ja) 覚醒度検出装置、および覚醒度検出方法
KR102291179B1 (ko) 시각 보조 장치 및 시각 보조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시각 보조 방법
US8988597B2 (en) Imaging control device and program for controlling facial image taking apparatus which radiates infrared light toward the face
CN108152996A (zh) 智能眼镜
JP2009116742A (ja) 車載用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14362B1 (ko) 차량 내/외부 정보 통합 분석 기반의 위험 상황 경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402632A (zh) 切换显示增强现实图像和虚拟现实图像的方法和智能眼镜
KR20170086411A (ko) 표시 시스템, 안용 장착구, 및 표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944843B1 (ko)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전자의 안구 피로도 측정방법
EP2976990B1 (en) Pupil detection device and pupil detection method
JP4895874B2 (ja) 目状態判別装置、目状態判別方法及び目状態判別プログラム
CN105380590B (zh) 一种具有眼位检测功能的设备及其实现方法
KR20150061668A (ko) 졸음운전 경보 장치 및 그 방법
JP2019118548A (ja) 角膜反射位置検出装置、視線検出装置及び角膜反射位置検出方法
CN116524877A (zh) 车载屏幕亮度调节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90044818A (ko) 운전자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80000580A (ko) 조명기를 구비한 스테레오 매칭 시스템에서의 코스트 볼륨 연산장치 및 그 방법
KR101360412B1 (ko) 머리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는 산만/졸음 운전 감시 시스템
KR102072910B1 (ko) 졸음 인식 장치를 이용한 졸음 인식 방법
JP5641224B2 (ja) 顔撮影システム
JPH06323832A (ja) 車両用インターフェイス
KR101487801B1 (ko) 졸음 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