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449A -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 - Google Patents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449A
KR20180138449A KR1020170078679A KR20170078679A KR20180138449A KR 20180138449 A KR20180138449 A KR 20180138449A KR 1020170078679 A KR1020170078679 A KR 1020170078679A KR 20170078679 A KR20170078679 A KR 20170078679A KR 20180138449 A KR20180138449 A KR 20180138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r
ring
bending
wire
met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875B1 (ko
Inventor
김희수
Original Assignee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수 filed Critical 김희수
Priority to KR1020170078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87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16Auxiliary equipment, e.g. for heating or cooling of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1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combined with measuring of bends or leng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확한 절곡 형상 및 절곡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으며, 절곡 및 형상유지, 길이의 연장이 더욱 용이한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바의 양단에는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의 사이에는 복수의 제1링 및 제2링이 교대로 결합되며, 상기 제1링 및 제2링의 내측에는 절곡부재에 결합된 와이어가 삽입되며, 상기 절곡부재의 양단은 상기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에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금속 파이프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이나 슬라브내 에서 가이드바를 밀착한 후 파이프의 형상에 따라 절곡함으로써 금속 파이프의 절곡 형상 및 절곡 위치를 정확히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절곡부재가 와이어로 이루어져 조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음 작업을 위한 변형이 빠르고, 작업상 길이가 긴 현장에서는 두개의 가이드바를 연결하여 길이를 임의로 연장할 수 있어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Guide bar for bending metal pipe for wire arrangement}
본 발명은 금속관 공사에서 파이프의 절곡 형상 및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확한 절곡 형상 및 절곡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으며, 절곡 및 형상유지, 길이의 연장이 더욱 용이한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이용하여 사용되는 제품이 개발된 이후 제품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 및 케이블의 사용은 필수적인 것이 되었으며, 이러한 전선 및 케이블은 실내에 설치될 경우 바닥면과 벽면 및 천장 등에 고정하여 사람의 통행이나 물품 등의 이동에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는 가정용 및 산업용의 전기 제품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바닥과 벽면 사이의 모서리나 천장과 벽면 사이의 모서리에 못과 같은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하였으나, 이와 같은 전선 고정은 장기간이 지나면 못과 같은 고정부재가 부식되면서 전선의 피복을 상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그 고정부재에 눌린 부분의 전선은 꺾이게 되어 내부의 동선이 단선 되므로 누전과 합선 등의 전기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금속면에 전선을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나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질의 전선 보호대가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파이프(P)를 브래킷(도면 미표시)을 이용하여 벽면에 견고히 결합하고, 파이프(P)의 내측으로 전선을 삽입하여 정리하였다.
그러나 상기 금속 파이프(P)는 벽면에 부착된 기구물 등을 피해 외측으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 1과 같은 형태로 금속 파이프(P)를 미리 절곡한 후에 벽면에 결합해야 하는데, 이때 각 부위를 정확한 위치에서 절곡하지 않으면 금속 파이프(P)를 폐기해야 하기 때문에 절곡 공정이 용이하지 않고 자원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금속 파이프(P)를 절곡하기 전에 정확한 측량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절곡 위치를 정확히 안내하는 가이드가 절실히 요청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파이프의 절곡 형상 및 절곡 위치를 정확히 가이드할 수 있는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로 이루어져 절곡 및 형상유지, 길이의 연장이 더욱 용이한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는 가이드바의 양단에는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의 사이에는 복수의 제1링 및 제2링이 교대로 결합되며, 상기 제1링 및 제2링의 내측에는 절곡부재에 결합된 와이어가 삽입되며, 상기 절곡부재의 양단은 상기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에 각각 결합된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에 의하면, 금속 파이프를 절곡하고자 하는 면에 가이드바를 파이프 간격에 맞게 하여 A와 B의 나사를 조이면서 가이드를 조정하여 현장 작업형태로 절곡 할 수 있겠끔 하여 절곡한 자재를 형태와 비교하기 위해 현장을 왔다 갔다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기에 위치와 작업 공간과 상관없이 가이드한 치수는 공동 작업장소에 파이프의 절곡 형태의 위치를 정확히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절곡부재가 와이어로 이루어져 조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음 작업을 위한 변형이 빠르고, 작업상 길이가 긴 현장에서는 두개의 가이드바를 연결하여 길이를 임의로 연장할 수 있어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바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바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바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이드바를 절곡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가이드바가 서로 연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관 작업에서 파이프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이드바(100)의 선단에는 제1고정구(10)가 결합되어 있고, 타단에는 제2고정구(5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고정구(10)와 제2고정구(50)의 사이에는 복수의 제1링(30) 및 제2링(40)이 교대로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고정구(10) 및 제2고정구(50), 제1링(30) 및 제2링(40)의 길이를 일정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링(30) 및 제2링(40)이 결합된 숫자를 통해 전체 길이를 파악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확대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구(10) 및 제2고정구(50)의 길이를 각각 50Cm로 형성하고, 상기 제1링(30) 및 제2링(40)의 길이를 각각 10Cm로 형성함으로써 10번째의 링이 결합되는 100Cm의 부위에 색상이 인쇄된 링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전체 길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구(10) 및 제2고정구(50)와, 상기 제1링(30) 및 제2링(40)의 내측에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절곡부재(20)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부재(20)의 선단과 타단은 상기 제1고정구(10) 및 제2고정구(50)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구(10)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에 암나사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삽입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부(11)와 삽입부(13)의 사이에는 암나사로 이루어진 볼트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구(10)를 관통하여 절곡부재(20)가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절곡부재(20)의 선단에는 육각머리볼트(21)가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무두볼트(23)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육각머리볼트(21)와 무두볼트(23)의 사이에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며 금속으로 이루어진 와이어(22)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무두볼트(23) 및 와이어(22)는 제1고정구(10)를 관통하여 우측으로 인출되며, 상기 육각머리볼트(21)는 볼트결합부(12)에 나사 결합되고, 이렇게 인출된 와이어(22)에는 복수의 제1링(30) 및 제2링(40)이 교대로 결합된다.
상기 제1링(30)의 양측에는 볼록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링(40)의 양측에는 상기 볼록부(31)에 삽입되는 오목부(4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와이어(22)를 중심으로 제1링(30) 및 제2링(40)이 적층 결합된다.
상기 제1고정구(10)의 삽입부(13)는 제1링(30)의 볼록부(31)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볼록부(31)의 지름은 삽입부(13) 및 오목부(41)의 지름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어 유격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링(30) 및 제2링(40)이 가이드바(100)의 마디 역할을 하게 되어 자유로운 절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고정구(50)는 일측에 수나사부(51)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제1링(30)의 볼록부(31)가 삽입되는 삽입부(5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부(51)와 삽입부(53)의 사이에는 상기 무두볼트(23)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로 이루어진 볼트결합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무두볼트(23)가 볼트결합부(52)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의 가이드바(100)의 조립이 완료되는데, 조립의 용이성을 위하여 제1고정구(10)의 볼트결합부(12)의 지름을 무두볼트(23)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거나, 홀(hole)로 형성하여 무두볼트(23)가 쉽게 관통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고정구(10) 및 제2고정구(50)와 제1링(30) 및 제2링(40)는 몰드 금형에 의해 합성수지로 성형함으로써 대량생산에 적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육각머리볼트(21) 및 무두볼트(23)는 합성수지로 구성하여 상기 와이어(22)와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으며, 육각머리볼트(21) 및 무두볼트(23)를 금속으로 제작하여 와이어(22)와 용접 또는 나사결합에 의해 더욱 견고히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와이어(22)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가감하여 결합함으로써 제1링(30) 및 제2링(40)의 결합 개수를 변화시켜 가이드바(100)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금속관 작업에서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는 도 1과 같은 형태로 절곡되는 금속 파이프(P)를 제작하기 위하여 벽면의 설치위치에 가이드바(100)를 밀착하고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 파이프와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금속 파이프(P)의 절곡 형상 및 절곡 위치를 정확히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절곡부재(20)의 와이어(22)는 작은 지름으로 이루어져 절곡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절곡된 형상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가이드바(100)를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때는 제1고정구(10)의 암나사부(11)에 다른 가이드바(100)의 제2고정구(50) 수나사부(51)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간단히 연장할 수 있다.
10 : 제1고정구 11 : 암나사부
12, 52 : 볼트결합부 13, 53 : 삽입부
20 : 절곡부재 21 : 육각머리볼트
22 : 와이어 23 : 무두볼트
30 : 제1링 31 : 볼록부
40 : 제2링 41 : 오목부
50 : 제2고정구 51 : 수나사부

Claims (5)

  1. 가이드바(100)의 양단에는 제1고정구(10) 및 제2고정구(50)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구(10) 및 제2고정구(50)의 사이에는 복수의 제1링(30) 및 제2링(40)이 교대로 결합되며,
    상기 제1링(30) 및 제2링(40)의 내측에는 절곡부재(20)에 결합된 와이어(22)가 삽입되며, 상기 절곡부재(20)의 양단은 상기 제1고정구(10) 및 제2고정구(50)에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2)의 일측에는 육각머리볼트(21)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무두볼트(23)가 결합되며,
    상기 제1고정구(10) 및 제2고정구(50)의 내측에는 상기 육각머리볼트(21) 및 무두볼트(23)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로 이루어진 볼트결합부(12)(52)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머리볼트(21) 및 무두볼트(23)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와이어(22)와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거나, 금속으로 이루어져 와이어(22)와 용접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30) 및 제2링(40)의 양측에는 볼록부(31) 및 오목부(4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31)는 오목부(41)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구(10) 및 제2고정구(50)에는 서로 나사 결합하여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암나사부(11) 및 수나사부(51)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
KR1020170078679A 2017-06-21 2017-06-21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 KR101967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679A KR101967875B1 (ko) 2017-06-21 2017-06-21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679A KR101967875B1 (ko) 2017-06-21 2017-06-21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449A true KR20180138449A (ko) 2018-12-31
KR101967875B1 KR101967875B1 (ko) 2019-08-19

Family

ID=64959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679A KR101967875B1 (ko) 2017-06-21 2017-06-21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209A1 (ko) 2018-11-12 2020-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모듈 하우징을 포함한 배터리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128A (ja) * 1996-06-06 1997-12-16 Calsonic Corp 金属製パイプの曲げ加工装置
JP2005007437A (ja) * 2003-06-19 2005-01-13 Opton Co Ltd 曲げ加工用マンドレ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128A (ja) * 1996-06-06 1997-12-16 Calsonic Corp 金属製パイプの曲げ加工装置
JP2005007437A (ja) * 2003-06-19 2005-01-13 Opton Co Ltd 曲げ加工用マンドレ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209A1 (ko) 2018-11-12 2020-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모듈 하우징을 포함한 배터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875B1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1967B2 (en) Coupler
KR101703496B1 (ko) 호스를 이용한 케이블 지지 보호유닛
KR20140046406A (ko) 컨덕터 블록 및/또는 장착 브래킷을 포함하는 접지 바 조립체
WO2015077254A1 (en) Quick lock tube securing system
KR20180138449A (ko)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
KR101574515B1 (ko) 직선 또는 각도가 주어진 철근용 유니버셜 토크쉐어 커플러
KR20130125697A (ko) 철근의 정착길이 확보용 정착부재
US9024195B2 (en) Grommet
JP6416510B2 (ja) 連結装置
US20190051998A1 (en) Quick connect plug for cables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CN206478358U (zh) 一种直插式波纹管接头
JP5607976B2 (ja) 棒状部材の連結継手
DE502008002127D1 (de) Knotenverbinder
JP6412408B2 (ja) 連結治具
CN203476965U (zh) 一种防位移铆栓及连接结构
CN204729904U (zh) 一种分体式型材固定装置与型材组件
JP3191790U (ja) 引込電線引留具
CN216450934U (zh) 一种用于组装电气柜的型材结构
CN206480493U (zh) 一种互感器的安装结构
CN218586841U (zh) 一种86型暗装接线盒
CN220291607U (zh) 一种增强母线槽连接稳定性的结构
RU214356U1 (ru) Муфта для металлорукава
CN210160211U (zh) 一种新型空调绕管夹模
CN110635311B (zh) 变电站侧拔式管式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