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301A -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계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301A
KR20180138301A KR1020170078330A KR20170078330A KR20180138301A KR 20180138301 A KR20180138301 A KR 20180138301A KR 1020170078330 A KR1020170078330 A KR 1020170078330A KR 20170078330 A KR20170078330 A KR 20170078330A KR 20180138301 A KR20180138301 A KR 20180138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acting
space
device capable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530B1 (ko
Inventor
우상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퀄
Priority to KR1020170078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53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2Brokering proxy services
    • H04L67/280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음성 인식 기반의 스피커의 공간적 제약을 없애줄 수 있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계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중계 장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로서, 클라우드 서버에 접근하거나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부,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랙션 신호 수신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의 결과값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출력부, 및 중계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계 방법{Repeater for a devic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 user and relay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지능 엔진을 탑재한 스피커와 같이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공지능 엔진을 탑재한 스피커(이하, 인공지능 스피커라고 함)들이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인공지능 스피커로는 아마존 알렉사, 구글 홈, 기가 지니(KT), SKT NUGU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 스피커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받아들이는 임계범위(또는 임계점)가 존재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인공지능 스피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게 되면 인공지능 스피커의 마이크는 사용자의 작은 목소리를 수신하여 클라우드 서버에게로 보낸다. 이 경우, 클라우드 서버는 사용자의 목소리가 너무 작아서 분석이 용이하지 않아서 제대로 된 결과값을 인공지능 스피커에게로 보낼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인공지능 스피커는 정상적인 결과값을 사용자에게 보낼 수 없게 된다.
결국, 사용자가 인공지능 스피커와 멀리 떨어진 곳에 있을 경우에는 인공지능 스피커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25245호(표정 인식에 기반한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00752호(인공 지능에 기초한 휴먼 컴퓨터 인터랙션 방법, 장치 및 단말 설비)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음성 인식 기반의 스피커의 공간적 제약을 없애줄 수 있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계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로서,
클라우드 서버에 접근하거나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부;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랙션 신호 수신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의 결과값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출력부; 및 상기 중계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계 장치는 공간별로 설치된 조명 스위치 또는 콘센트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계 장치 간에는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가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가 있는 제 1 공간에 존재하고, 상기 제 1 공간과는 다른 제 2 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사용자가 인터랙션 신호를 표출하게 되면, 상기 제 2 공간의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가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에 직접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의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가 상기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를 거치지 않고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에게로 직접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가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가 있는 제 1 공간에 존재하고, 상기 제 1 공간과는 다른 제 2 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사용자가 인터랙션 신호를 표출하게 되면, 상기 제 2 공간의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가 상기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에게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가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가 있는 제 1 공간에 존재하고, 상기 제 1 공간과는 다른 제 2 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사용자가 인터랙션 신호를 표출하게 되면, 상기 제 2 공간의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게로 직접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의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가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 및 상기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를 거치지 않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게로 직접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는 음성 또는 행동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부는, 와이 파이 모듈, 지그비 모듈, 지웨이브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는 음성인식 기반의 스피커일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의 결과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의 터치를 통한 접촉식 인터랙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를 이용한 중계 방법은, 상기 중계 장치는 공간별로 설치된 조명 스위치 또는 콘센트에 설치되되,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가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가 있는 제 1 공간에 존재하고 상기 제 1 공간과는 다른 제 2 공간에 있는 사용자가 인터랙션 신호를 표출하게 되면, 상기 제 2 공간의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를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에 직접 전달한다.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가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에 직접 전달되면,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는 수신한 인터랙션 신호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게로 보내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결과값을 상기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를 거치지 않고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에게로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는 상기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제 2 공간의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에게로 상기 결과값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를 이용한 중계 방법은, 상기 중계 장치는 공간별로 설치된 조명 스위치 또는 콘센트에 설치되되,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가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가 있는 제 1 공간에 존재하고 상기 제 1 공간과는 다른 제 2 공간에 있는 사용자가 인터랙션 신호를 표출하게 되면, 상기 제 2 공간의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를 상기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에게로 전달한다.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가 상기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에게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는 수신한 인터랙션 신호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게로 보내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결과값을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에게로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는 상기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를 거쳐 상기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에게로 상기 결과값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를 이용한 중계 방법은, 상기 중계 장치는 공간별로 설치된 조명 스위치 또는 콘센트에 삽입되되,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가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가 있는 제 1 공간에 존재하고 상기 제 1 공간과는 다른 제 2 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사용자가 인터랙션 신호를 표출하게 되면, 상기 제 2 공간의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에게로 직접 전달한다.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를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 및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를 거치지 않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게로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가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 및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를 거치지 않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게로 직접 전달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 및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에게로 결과값을 직접 보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지능 스피커와 같이 사용자와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와의 인터랙션을 더 넓은 범위에서 가능하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은 사용자(2, 3, 4)와 인터랙션(interaction)이 가능한 기기로서, 음성인식 기반의 스피커(즉, 인공지능 스피커)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스피커로는 아마존 알렉사, 구글 홈, GIGA 지니(KT), SKT NUGU 등이 있을 수 있다.
인공지능 스피커(1)는 사용자(2, 3, 4)의 인터랙션 신호(예컨대, 음성, 행동 등)를 받아서 클라우드 서버(10)에게로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스피커(1)는 클라우드 서버(10)로부터의 결과값을 해당 사용자(2, 3, 4중 하나)에게 다시 전달하는 방식으로 인터랙션을 한다.
클라우드 서버(10)는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는 사용자(2, 3, 4)의 고유 ID 값을 가지고 있으며, 인공지능(AI)이라 불리는 별도의 서버 엔진(도시 생략)을 가지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10)는 사용자(2, 3, 4)가 인터랙션을 위해 전달한 신호를 서버 엔진을 통해 받아 신호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처리는 신호해석 및 해석결과에 따른 각종의 명령생성 등이 있을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0)는 신호처리에 따라 사용자(2, 3, 4)가 원하는 값 또는 행위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2)에게 전달 내용을 음성으로 전달해야 하는 경우에는 클라우드 서버(10)는 전달 내용을 인공지능 스피커(1)에게로 보내고 인공지능 스피커(1)는 자신에게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2)에게 전달 내용을 음성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2)에게 전달 내용을 표시가능한 메시지 형태로 전달해야 하는 경우에는 클라우드 서버(10)는 전달 내용을 인공지능 스피커(1)에게로 보내고 인공지능 스피커(1)는 자신에게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해당 전달 내용을 표시해 줄 수 있다. 다르게는, 이미 기존에 등록된 또는 접근 가능한 다른 서비스에 사용자(2, 3, 4)가 원하는 값을 전달하여 결과를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2, 3, 4)가 인공지능 스피커(1)와 인터랙션을 하는 방법은, 행동(또는 행동패턴) 또는 음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2, 3, 4)와 인공지능 스피커(1)간의 인터랙션은 비접촉식 인터랙션이라고 할 수 있다.
비접촉식 인터랙션일 경우, 사용자(2, 3, 4)와 인공지능 스피커(1)간에 인터랙션이 가능한 범위는 반드시 한정적으로 제한되어 있다. 그 범위는 인공지능 스피커(1)의 주변을 반원 형태로 둘러싸고 있는 영역(R)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예를 들어 도 1에서 사용자(2)는 인공지능 스피커(1)와 인터랙션이 가능한 범위(R) 내에 있으므로 인공지능 스피커(1)와 인터랙션을 직접 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3) 또는 사용자(4)는 범위(R) 밖에 있으므로 인공지능 스피커(1)와 인터랙션을 직접적으로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공지능 스피커(1)와 인터랙션이 불가능한 위치(예컨대, 다른 층에 있거나, 다른 공간에 있거나, 인터랙션이 가능한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도 인공지능 스피커(1)와 인터랙션이 가능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인공지능 스피커(1)와 멀리 떨어져 있어도 사용자와 인공지능 스피커(1)간의 인터랙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도 2에서와 같은 내부 구성을 갖는 리피터(중계기)(20)를 채용한다. 통상적으로, 리피터(repeater)는 신호를 받아 더 높은 힘으로 재전송함으로써 신호가 더 먼 거리에 다다를 수 있게 도와 주는 전자 기기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의 리피터(20)는 단순히 신호 리피터가 아니라, 인공지능 스피커(1)와 같은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랙션을 더 넓은 범위에서 가능하도록 해주는 리피터이다. 그리고, 그 인터랙션 신호는 음성 또는 행동에만 국한되지 않고, 인공지능 스피커(1)가 지원하는 다양한 인터랙션에 대응할 수 있는 신호이다. 리피터(20)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중계 장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피터(20)는 모든 공간(방, 거실 등)에 반드시 설치되어 있는 조명 스위치(또는 콘센트)(5, 6, 7, 8, 9)에 삽입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별도의 설치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결국, 조명스위치 또는 콘센트(5, 6, 7, 8, 9)가 리피터(20)의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도 1에는 리피터(20)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피터(20)는 조명 스위치(또는 콘센트)(5, 6, 7, 8, 9)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도시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리피터(20)는 독립적으로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는 기기일 수 있다. 그리고, 리피터 간에는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메시망(mesh network) 방식일 수도 있고 스타 토폴로지(star topology) 방식일 수도 있다.
리피터(20)는 도 2에서와 같이, 통신 모듈부(30), 마이크(31), 스피커(32), 표시부(33), 버튼(34), 카메라(35), 전원부(36), 및 제어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내부 구성 이외의 구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통신 모듈부(30)는 클라우드 서버(10)에 접근하거나 인공지능 스피커(1)와 직접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부(30)는 와이 파이(Wi-Fi) 모듈(30a), 지그비(Zigbee) 모듈(30b), 지웨이브(Z-wave) 모듈(30c), 블루투스(bluetooth) 모듈(30d)과 같은 통신 모듈을 하나 이상 가지고 있다. 물론, 통신 모듈부(30)내의 통신 모듈은 상기에서 예시한 와이 파이 모듈, 지그비 모듈, 지웨이브 모듈, 블루투스 모듈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이크(31)는 사용자가 인공지능 스피커(1)와 인터랙션을 하기 위해 보내는 신호(예컨대, 음성)를 채집할 수 있다.
스피커(32)는 사용자가 인공지능 스피커(1)와 인터랙션을 하기 위해 마이크(31)에게로 보낸 신호에 대응하여 클라우드 서버(10)에서 신호처리된 결과값(예컨대, 음성)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32)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출력부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표시부(33)는 클라우드 서버(10)로부터의 결과값을 다양한 기호(부호, 그림, 문자 등을 포함)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33)에 표시되는 기호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10)로부터의 결과값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33)는 사용자의 터치(touch)를 통한 접촉식 인터랙션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2, 3, 4)와 인공지능 스피커(1)간의 인터랙션은 비접촉식 인터랙션 뿐만 아니라 접촉식 인터랙션이라고 할 수 있다.
버튼(34)은 리피터(20)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버튼일 수 있다.
카메라(35)는 사용자의 행동(또는 행동 패턴)을 촬영할 수 있다.
상술한 마이크(31) 및 카메라(35)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인터랙션 신호 수집부의 예가 될 수 있다.
전원부(36)는 리피터(20)의 내부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36)는 SMPS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7)는 리피터(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7)는 MCU(MicroControlle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7)는 인공지능 스피커(1)와 같은 스마트 기기와 사용자가 인터랙션을 하는 방식에 대한 제어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아마존 알렉사(Amazon alexa)와 같은 제품은 사용자와 음성으로 인터랙션을 한다. 이러한 경우, 리피터(20)내의 제어부(37)는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31)를 통해 수신하고 그 내용이 통신 모듈부(30)를 통해 인공지능 스피커(1)에게로 직접 전달되거나, 클라우드 서버(10)에게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보낸 음성 명령에 대해 음성으로 피드백을 주어야 하는 경우 제어부(37)는 클라우드 서버(10)에게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달하고, 클라우드 서버(10)로부터의 결과값이 리피터(20)의 스피커(3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으로, 사용자가 보낸 음성 명령이 조명을 꺼야 하거나, 보일러를 켜야 하는 상황과 같이 다른 기기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제어부(37)는 클라우드 서버(10)에게 해당 음성 명령을 통신 모듈부(30)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10)는 사용자가 요구한 기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인 인공지능 스피커(1)와 클라우드 서버(10)를 상호 별개의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클라우드 서버(10)가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인 인공지능 스피커(1)에 포함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인 인공지능 스피커(1)는 스스로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처리할 수도 있지만, 검색 또는 인터넷에 연결이 필요한 경우(예컨대, "&&에 대해서 검색해줘"와 같은 명령어) 포함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이 인터랙션에 대한 피드백을 계산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인공지능 스피커(1)는 기기 자체적으로 리피터(20)와 통신할 수 있는 모듈(예컨대, zigbee, zwave, bluetooth wifi 등)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지만,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클라우드 서버(10)에게 리피터(20)가 받은 인터랙션 신호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모든 디스플레이(즉, 인터랙션에 대한 피드백; 음성일 수도 있고 그 외의 다른 형태일 수도 있음)는 인공지능 스피커(1)가 해야 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를 위한 인터랙션의 연산은 인공지능 스피커(1)가 스스로 할 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10)가 필요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인공지능 스피커(1)가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아도 되는 연산일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10)가 필요할 수 있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터넷을 활용해야 하는 경우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공지능 스피커(1)가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만약 앞서 말한 상황 즉, 사용자가 인터랙션을 인공지능 스피커(1)에 직접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두 가지의 데이터 흐름을 가질 것이다.
첫번째 데이터 흐름은, 만약 인공지능 스피커(1)가 리피터(20)와 통신할 수 있는 모듈을 가지고 있고 직접 통신할 수 있는 거리에 있다면 리피터(20)가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를 받아서 이를 인공지능 스피커(1)에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두번째 데이터 흐름은, 만약 인공지능 스피커(1)가 리피터(20)와 통신할 수 있는 모듈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또는 가지고 있더라도 직접 통신할 수 있는 거리가 아니라면 리피터(20)가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를 받아서 이를 클라우드 서버(10)에게로 전송하고 클라우드 서버(10)는 인공지능 스피커(1)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리피터(20)가 조명 스위치 또는 콘센트에 삽입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조명 스위치 또는 콘센트 이외의 별도의 기기에도 삽입가능한 것으로 이해하여도 무방하다.
이번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리피터를 이용한 중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인공지능 스피커(1)는 조명 스위치(9)가 있는 공간에 존재하고, 다른 공간에 있는 사용자(3)의 인터랙션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3)는 인공지능 스피커(1)와 인터랙션을 하기 위해 음성 또는 행동과 같은 인터랙션 신호를 표출하게 된다. 여기서, 인터랙션 신호는 음성 또는 행동 이외로 인공지능 스피커(1)가 지원가능한 또 다른 인터랙션 방법이어도 무방하다.
그에 따라, 해당 사용자(3)가 존재하고 있는 공간의 조명 스위치(7)내의 리피터(20)는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10)에게로 직접 전달하거나, 인공지능 스피커(1)에 직접 전달하거나, 인공지능 스피커(1)에 직접 전달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또 다른 리피터를 통해 인공지능 스피커(1)에 전달한다. 이와 같은 전달은 해당 사용자(3)가 있는 공간의 조명 스위치(7)내의 리피터(20)의 제어부(37)의 제어에 의해 행해진다고 볼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해당 사용자(3)가 존재하고 있는 공간의 조명 스위치(7)내의 리피터(20)는 사용자(3)의 인터랙션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10)에게로 직접 전달한다"라는 내용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내용은, 다수의 공간중에서 사용자(3)가 현재 존재하고 있는 공간의 조명 스위치(7)내의 리피터(20)는 사용자(3)의 인터랙션 신호를 마이크(31) 또는 카메라(35)로 수신하여 통신 모듈부(3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10)에게로 직접 전달한다라는 의미이다. 다시 말해서, 조명 스위치(7)내의 리피터(20)는 사용자(3)의 인터랙션 신호를 인공지능 스피커(1) 및/또는 조명스위치(9)에 설치된 리피터를 거치지 않고 클라우드 서버(10)에게로 직접 전달한다라는 의미일 것이다. 이 경우, 클라우드 서버(10)는 조명스위치(9)에 설치된 리피터 및 인공지능 스피커(1)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3)가 존재하는 공간의 조명 스위치(7)내의 리피터(20)에게로 결과값을 직접 보낼 수 있다. 그에 따라, 해당 리피터(20)의 스피커(32) 또는 표시부(33)를 통해 결과값이 표출된다. 이러한 내용은 별도의 플로우차트를 제시하지 않더라도,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상술한 내용으로 충분히 흐름 파악을 할 수 있으리라 본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해당 사용자(3)가 존재하고 있는 공간의 조명 스위치(7)내의 리피터(20)는 사용자(3)의 인터랙션 신호를 인공지능 스피커(1)에 직접 전달한다"라는 내용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내용은, 다수의 공간중에서 사용자(3)가 현재 존재하고 있는 공간의 조명 스위치(7)내의 리피터(20)는 사용자(3)의 인터랙션 신호를 마이크(31) 또는 카메라(35)로 수신하여 통신 모듈부(30)를 통해 조명 스위치(9)내의 리피터를 거치지 않고 인공지능 스피커(1)에게로 직접 전달한다라는 의미이다. 이 경우, 인공지능 스피커(1)는 수신한 인터랙션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10)에게로 보내고, 클라우드 서버(10)는 결과값을 조명스위치(9)의 리피터를 거치지 않고 인공지능 스피커(1)에게로 전달한다. 그리고, 인공지능 스피커(1)는 조명 스위치(9)내의 리피터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3)가 있는 공간의 조명 스위치(7)내의 리피터(20)에게로 결과값을 전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해당 리피터(20)의 스피커(32) 또는 표시부(33)를 통해 결과값이 표출된다. 이러한 내용은 별도의 플로우차트를 제시하지 않더라도,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상술한 내용으로 충분히 흐름 파악을 할 수 있으리라 본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해당 사용자(3)가 존재하고 있는 공간의 조명 스위치(7)내의 리피터(20)는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를 인공지능 스피커(1)에 직접 전달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또 다른 리피터를 통해 인공지능 스피커(1)에 전달한다"라는 내용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내용은, 다수의 공간중에서 사용자(3)가 현재 존재하고 있는 공간의 조명 스위치(7)내의 리피터(20)는 사용자(3)의 인터랙션 신호를 마이크(31) 또는 카메라(35)로 수신하여 통신 모듈부(30)를 통해 조명 스위치(9)내의 리피터를 거쳐 인공지능 스피커(1)에게로 전달한다라는 의미이다. 이 경우, 인공지능 스피커(1)는 수신한 인터랙션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10)에게로 보내고, 클라우드 서버(10)는 결과값을 인공지능 스피커(1)에게로 전달한다. 그리고, 인공지능 스피커(1)는 조명 스위치(9)내의 리피터를 거쳐 사용자(3)가 있는 공간의 조명 스위치(7)내의 리피터(20)에게로 결과값을 전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해당 리피터(20)의 스피커(32) 또는 표시부(33)를 통해 결과값이 표출된다. 이러한 내용은 별도의 플로우차트를 제시하지 않더라도,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상술한 내용으로 충분히 흐름 파악을 할 수 있으리라 본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인공지능 스피커와 같이 사용자와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와의 인터랙션을 더 넓은 범위에서 가능하도록 해주므로, 사용자가 어디에 있든지 간에 인터랙션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음성 인식 기반의 스피커(즉, 인공지능 스피커)의 공간적인 제약을 없애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를 이용한 중계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인공지능 스피커
5, 6, 7, 8, 9 : 조명 스위치
10 : 클라우드 서버
20 : 리피터
30 : 통신 모듈부
31 : 마이크
32 : 스피커
33 : 표시부
34 : 버튼
35 : 카메라
36 : 전원부
37 : 제어부

Claims (18)

  1.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로서,
    클라우드 서버에 접근하거나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부;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랙션 신호 수집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의 결과값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출력부; 및
    상기 중계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공간별로 설치된 조명 스위치 또는 콘센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 간에는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가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가 있는 제 1 공간에 존재하고, 상기 제 1 공간과는 다른 제 2 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사용자가 인터랙션 신호를 표출하게 되면,
    상기 제 2 공간의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가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에 직접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의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가 상기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를 거치지 않고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에게로 직접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가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가 있는 제 1 공간에 존재하고, 상기 제 1 공간과는 다른 제 2 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사용자가 인터랙션 신호를 표출하게 되면,
    상기 제 2 공간의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가 상기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에게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가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가 있는 제 1 공간에 존재하고, 상기 제 1 공간과는 다른 제 2 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사용자가 인터랙션 신호를 표출하게 되면,
    상기 제 2 공간의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게로 직접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는 음성 또는 행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부는,
    와이 파이 모듈, 지그비 모듈, 지웨이브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는 음성인식 기반의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의 결과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의 터치를 통한 접촉식 인터랙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13.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를 이용한 중계 방법으로서,
    상기 중계 장치는 공간별로 설치된 조명 스위치 또는 콘센트에 설치되되,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가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가 있는 제 1 공간에 존재하고 상기 제 1 공간과는 다른 제 2 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사용자가 인터랙션 신호를 표출하게 되면,
    상기 제 2 공간의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를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에 직접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를 이용한 중계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가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에 직접 전달되면,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는 수신한 인터랙션 신호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게로 보내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결과값을 상기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를 거치지 않고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에게로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는 상기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제 2 공간의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에게로 상기 결과값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를 이용한 중계 방법.
  15.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를 이용한 중계 방법으로서,
    상기 중계 장치는 공간별로 설치된 조명 스위치 또는 콘센트에 설치되되,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가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가 있는 제 1 공간에 존재하고 상기 제 1 공간과는 다른 제 2 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사용자가 인터랙션 신호를 표출하게 되면,
    상기 제 2 공간의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를 상기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에게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를 이용한 중계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가 상기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에게로 전달되면,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는 수신한 인터랙션 신호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게로 보내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결과값을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에게로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는 상기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를 거쳐 상기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에게로 상기 결과값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를 이용한 중계 방법.
  17.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를 이용한 중계 방법으로서,
    상기 중계 장치는 공간별로 설치된 조명 스위치 또는 콘센트에 삽입되되,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가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가 있는 제 1 공간에 존재하고 상기 제 1 공간과는 다른 제 2 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사용자가 인터랙션 신호를 표출하게 되면,
    상기 제 2 공간의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에게로 직접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를 이용한 중계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신호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게로 직접 전달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제 1 조명 스위치 또는 제 1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 및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제 2 조명 스위치 또는 제 2 콘센트내의 중계 장치에게로 결과값을 직접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를 이용한 중계 방법.
KR1020170078330A 2017-06-21 2017-06-21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계 방법 KR102281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330A KR102281530B1 (ko) 2017-06-21 2017-06-21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330A KR102281530B1 (ko) 2017-06-21 2017-06-21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301A true KR20180138301A (ko) 2018-12-31
KR102281530B1 KR102281530B1 (ko) 2021-07-26

Family

ID=6495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330A KR102281530B1 (ko) 2017-06-21 2017-06-21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5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846A (ko) * 2008-08-01 2010-02-10 (주)에프씨언와이어드 무선통신기능을 가진 독서용책상
KR20100134469A (ko) * 2009-06-15 2010-12-23 주식회사 씨에스 영역 우선 음성인식 홈네트워크 시스템
KR20140078518A (ko) * 2012-12-17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 관리 방법, 외부 기기의 동작 방법, 호스트 단말, 관리 서버 및 외부 기기
KR20170000752A (ko) 2015-06-24 2017-01-03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인공 지능에 기초한 휴먼 컴퓨터 인터랙션 방법, 장치 및 단말 설비
KR20170025245A (ko)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코코넛네트웍스 표정 인식에 기반한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846A (ko) * 2008-08-01 2010-02-10 (주)에프씨언와이어드 무선통신기능을 가진 독서용책상
KR20100134469A (ko) * 2009-06-15 2010-12-23 주식회사 씨에스 영역 우선 음성인식 홈네트워크 시스템
KR20140078518A (ko) * 2012-12-17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 관리 방법, 외부 기기의 동작 방법, 호스트 단말, 관리 서버 및 외부 기기
KR20170000752A (ko) 2015-06-24 2017-01-03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인공 지능에 기초한 휴먼 컴퓨터 인터랙션 방법, 장치 및 단말 설비
KR20170025245A (ko)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코코넛네트웍스 표정 인식에 기반한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530B1 (ko)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11948B (zh) 在语音接口设备处的服务器提供的视觉输出
US10861461B2 (en) LED design language for visual affordance of voice user interfaces
KR102177786B1 (ko) 미디어 출력 디바이스들 사이의 미디어 전달
US9547980B2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2906662B (zh) 带有冗余通信路径的对接站
EP3479305A1 (en) Technologies for distributed acting and knowledge for the internet of things
CN104601838A (zh) 一种语音、无线控制智能家用电器操作系统
WO2017058001A1 (en) A type of smart home management method based on instant messasing (im)
CN105518645A (zh) 负载平衡的持久连接技术
CN105739447A (zh) 家庭智能设备远程管理的方法、装置及系统
CN114172757A (zh) 服务器、智能家居系统及多设备语音唤醒方法
Sfikas et al. Creating a Smart Room using an IoT approach
Murthy et al. A smart office automation system using raspberry pi (model-b)
CN109587536A (zh) 一种远程遥控方法、设备、服务器和系统
CN104950853A (zh) 一种智能控制系统
CN207441234U (zh) 一种基于ZigBee网关的语音识别系统
JP6181486B2 (ja)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4179783A (ja) 電気機器および通信装置
KR20180138301A (ko)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기를 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계 방법
CN105610678A (zh) 一种信息交互的方法、装置及系统
KR102213333B1 (ko) 챗봇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1495600B1 (ko) 발광 장치 및 대기전력 관리 장치
CN105676803A (zh) 一种基于实景界面的智能家居控制系统
CN106019966A (zh) 基于实景界面的智能家居控制系统
JP2009260523A (ja)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管理装置、制御方法、管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管理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