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108A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108A
KR20180138108A KR1020170134460A KR20170134460A KR20180138108A KR 20180138108 A KR20180138108 A KR 20180138108A KR 1020170134460 A KR1020170134460 A KR 1020170134460A KR 20170134460 A KR20170134460 A KR 20170134460A KR 20180138108 A KR20180138108 A KR 20180138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xhaust fan
room
toilet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성
황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CN201810619725.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140714B/zh
Priority to KR1020180069872A priority patent/KR20180137436A/ko
Publication of KR20180138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108A/ko
Priority to KR1020200090253A priority patent/KR102301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24F2110/22Humidity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이나 화장실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해 배기팬이 동작하는 경우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기시킬 수 있고, 배기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a) 실내에 설치된 배기팬의 동작신호가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에 상기 배기팬의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실외 공기를 상기 실내로 유입시키도록 급기모드로 가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실 또는 주방과 같은 실내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거나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거나 정화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에는 실내 환경조건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값이 기준값을 벗어났을 때 공기조화기를 가동시켜 실내 공기의 환기와 정화, 가습 및 제습 등의 제어가 수행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4791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제습로터를 이용하여 환기모드시 제1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제2공기유로와 제습로터의 제2영역을 거쳐 실외로 배출시키고, 상기 실외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1공기유로와 제습로터의 제1영역을 거쳐 실내로 유입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내의 환기와 습도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주방기기의 하나인 주방후드는 주방에 설치되어 주방에서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및 음식냄새,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방의 공기 오염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주방후드는 가스레인지, 전기레인지 등을 포함하는 주방기기의 상측부에 설치되고, 조리기기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기팬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주방후드를 가동시키더라도 조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및 음식냄새의 일부는 배기팬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거실 등 실내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장실 사용시 발생하는 냄새와 수증기(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기팬을 가동시키게 되는데, 배기팬을 가동시키더라도 냄새 및 수증기(습기) 일부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실내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방과 화장실에 발생한 냄새 및 수증기(습기)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기팬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배기팬의 용량이 커지면 배기팬의 크기가 커져 설치공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기팬의 크기가 커지면 배기팬 동작시 소비전력이 커지게 되어 전기요금이 증가하게 되며, 배기팬 동작시 진동 및 소음이 커져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방이나 화장실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해 배기팬이 동작하는 경우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기시킬 수 있고, 배기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기팬의 효율을 향상시켜 용량이 작은 배기팬으로도 종래와 동일한 성능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배기팬의 설치에 소요되는 공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배기팬의 동작시 소요되는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기팬의 효율을 향상시켜 작은 용량의 배기팬을 사용할 수 있어 배기팬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주방이나 화장실의 오염된 공기가 주방이나 화장실에 인접한 다른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a) 실내에 설치된 배기팬의 동작신호가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에 상기 배기팬의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실외 공기를 상기 실내로 급기시키는 급기모드로 가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팬의 동작신호는, 상기 배기팬으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배기팬에 부착되어 상기 배기팬의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주방에 설치된 레인지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레인지 동작 감지 센서, 가스레인지로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가스 유량 센서, 상기 배기팬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배기팬 회전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배기팬의 동작세기에 대한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배기팬의 동작세기에 비례하여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급기량이 증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내는 주방 또는 화장실이고; 상기 주방과 상기 주방에 인접한 실내공간 사이 또는 상기 화장실과 상기 화장실에 인접한 실내공간 사이에 상기 실외 공기를 급기시킬 수 있다.
상기 실내가 주방인 경우, 상기 배기팬을 포함하는 주방후드에 인접한 공간의 바닥에 구비된 토출구를 통해 상기 실외공기의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기팬의 동작세기에 대한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배기팬의 동작에 따른 배기량보다 더 많은 공기량이 급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기팬의 가동이 정지되면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급기모드의 가동이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제습부에서 제습이 이루어진 건조공기일 수 있다.
상기 실외공기의 습도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고, 상기 실외공기의 습도가 설정된 습도 이상이 되면, 상기 제습이 이루어진 공기를 실내로 급기할 수 있다.
상기 실외공기의 습도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고, 상기 실외공기의 습도가 설정된 습도 이상이 되면, 상기 급기모드의 가동을 정지시키고, 실외공기를 제습한 후 실내로 유입시키고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환기모드로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 환기모드로 가동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량보다 많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습부는 흡착재를 포함하는 제습로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외공기에 포함된 습기는 상기 제습로터의 제1영역에서 흡착되고, 상기 제습로터가 회전하여 상기 제1영역에서 습기를 흡착한 흡착재가 제2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실외공기의 일부를 이용하여 제1영역에서 흡착된 습기를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a)단계 이전에, 상기 배기팬이 설치된 실내가 주방이고, 상기 주방에 사용자가 체류하고 있음을 주방체류감지부에서 감지한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거나; 상기 배기팬이 설치된 실내가 화장실이고, 상기 화장실의 변기에 사용자가 착좌한 것을 착좌센서에서 감지하거나, 상기 화장실에 사용자가 입실하고 있음을 화장실출입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면; 상기 배기팬이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단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에 있는 복수의 실내공간 중 상기 배기팬의 동작신호가 감지된 실내공간에만 상기 실외공기를 급기시키고, 나머지 실내공간에는 상기 실외공기의 급기가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의 급기모드로 가동이 시작되면, 사용자로부터 가동모드 변경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더라도 상기 급기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배기팬의 동작 종료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될 때까지 상기 급기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급기모드가 시작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급기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배기팬의 동작이 정지되면 상기 급기모드의 가동이 종료되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 또는 실내공기를 여과한 후 실내로 다시 실내로 배출하는 공기청정모드 중 어느 하나로 가동될 수 있다.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 중,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급기송풍기의 회전수가 감소하고,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송풍기의 회전수가 증가하게 되면,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배기송풍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급기송풍기만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실내로 급기되는 실외 공기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실외 공기를 가열부로 가열한 후 실내로 급기시킬 수 있다.
상기 a)단계 이전에, 상기 급기가 필요한 실내공간 이외의 다른 실내공간의 환기를 위해 환기모드로 가동중인 경우에는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을 중단한 후 상기 b)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내가 화장실인 경우 상기 화장실 내부공간에 상기 실외공기를 직접 급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b)단계 이후, 상기 실내가 화장실인 경우, 사용자가 화장실을 나간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경과하거나 냄새센서에서 감지된 냄새가 설정값이 되거나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습도가 설정값이 될 때까지 상기 배기팬의 가동과 실내 급기를 유지시킨 후 상기 배기팬의 가동과 실내 급기를 정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b)단계의 급기모드가 가동될 때 상기 급기가 필요한 제1실내공간 이외의 다른 제2실내공간에 이미 급기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급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실내공간에 급기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방이나 화장실과 같은 실내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해 배기팬이 동작하는 경우 공기조화기에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배기팬을 통해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기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팬 동작시 실내로 급기가 이루어지면 배기팬을 통한 배기 효율이 향상되므로 작은 용량의 배기팬으로도 종래와 동일한 배기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용량이 작은 배기팬을 사용하게 되면 배기팬의 설치에 소요되는 공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배기팬의 동작시 소요되는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주방의 경우 주방후드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싱크대를 비롯한 주방가구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어 쾌적한 주방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배기팬의 효율을 향상시켜 작은 용량의 배기팬을 사용하게 되면 배기팬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방이나 화장실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가 인접한 다른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내 환경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장실 사용시 공기조화기를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급기하게 되면 냄새 및 수증기가 화장실 밖으로 확산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화장실 사용시 화장실 출입문을 개방시킬 수 있어 배기팬의 소음을 적게 느낄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에서 급기를 하는 경우 제습된 건조한 공기를 화장실과 주방에 공급함으로써 습한 공기와 오염된 공기가 혼합되어 냄새를 유발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팬에 의해 배기가 이루어지는 실내공간에 급기가 이루어지는 경우 급기를 하고자 하는 실내 공간을 제외한 다른 실내 공간에서 이미 환기모드로 가동중인 경우에는 상기 환기모드 가동을 종료하고, 급기가 필요한 실내공간에 급기를 하는 급기모드로 전환하게 되면, 충분한 급기량을 확보할 수 있어 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공기를 화장실 내부에 직접 급기하게 되면 사용자가 화장실 문을 닫은 상태에서도 냄새 및 수증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기시킬 수 있다.
또한, 실외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가열시킨 후 급기함으로써 겨울철에 차가운 실외공기가 화장실로 급기됨으로 인해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시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고, 화장실의 수분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와 배기팬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유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와 배기팬의 제어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00)는 배기팬(210,220)의 동작 여부를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에서 감지하고, 상기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모드로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급기모드를 포함하여, 환기, 공기청정, 제습, 가습, 냉방 및 난방모드로 가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일측단과 타측단이 실내와 각각 연통하는 제1공기유로(121), 일측단과 타측단이 실외와 각각 연통하는 제2공기유로(122), 상기 제1공기유로(121) 상에 설치된 필터(123), 상기 제2공기유로(122) 상에 설치된 필터(125), 상기 제1공기유로(121)와 제2공기유로(122)의 교차점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유로전환부(126), 상기 제1공기유로(121) 상에 구비된 급기송풍기(110a), 상기 제2공기유로(122) 상에 구비된 배기송풍기(110b), 상기 제1공기유로(121)를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습부, 실내에 구비된 배기팬(210,220)의 동작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통신이 이루어지는 통신부(150), 상기 통신부(150)가 수신받은 통신신호에 의해 상기 송풍기(110a,110b)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0)에는 실외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실외습도센서(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로(121)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121a)와 실내로 공기를 배출하는 출구부(121b)를 포함한다. 상기 제2공기유로(122)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122a)와 실외로 공기를 배출하는 출구부(12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공기유로(121) 상에는 제1공기유로(121)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124)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공기유로(122)상에는 제2공기유로(122)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1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126)는 2개의 입구와 2개의 출구 및 유로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유로전환부재(126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2개의 입구와 출구는 환기모드(급기모드)와 공기청정모드시 유로전환부재(126a)의 방향 전환에 의해 그 연결 방향이 변경된다.
상기 제습부는 제1공기유로(121)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수분을 흡수하고, 상기 흡수된 수분을 제2공기유로(122)에서 방출하는 제습로터(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습부는 냉동싸이클 또는 히트펌프의 증발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습로터(130)는, 상기 제1공기유로(121) 상에 구비된 제1영역(131)과, 상기 제2공기유로(122) 상에 구비된 제2영역(132)과,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131)과 제2영역(132)을 교대로 통과하는 흡착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재는 제1영역(131)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제습하고, 가열부(127)에 의해 가열된 공기에 의해 제2영역(132)에서 수분을 방출함으로써 재생된다.
상기 제1공기유로(121)의 출구부(121b) 측에 구비된 급기송풍기(110a)는 공기청정모드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실내로 배출하며, 환기모드시와 급기모드시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공기유로(122)의 출구부(122b) 측에 구비된 배기송풍기(110b)는 환기모드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공기유로(121)의 입구부(121a)와 출구부(121b), 제2공기유로(122)의 입구부(122a)와 출구부(122b)에는 그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댐퍼(미도시)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내공간의 벽면에는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를 위한 조절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조절기에는 앱 스토어 혹은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제공하는 홈네트워크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며, 바탕화면에 홈네트워크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바로가기 아이콘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팬(210,220)은, 주방에 설치된 주방후드의 제1배기팬(210), 화장실에 설치된 제2배기팬(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기팬(210,220)이 설치되는 실내는 주방, 화장실을 포함하여 가스 또는 냄새 등 오염된 공기가 발생하는 모든 장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기팬의 개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주방과 화장실과 같이 오염된 공기를 배출할 필요성이 있는 실내공간에 추가로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는, 제1배기팬(210)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제1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와, 제2배기팬(220)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제2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기팬 동작감지센서는 배기팬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제2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는, 제1,제2배기팬(210,220)의 동작 여부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제1,제2동작감지부(310-1,310-2), 상기 제1,제2동작감지부(310-1,310-2)에서 감지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통신부(150)와 통신이 이루어지는 제1,제2통신부(320-1,320-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는 사용자가 별도의 센서를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고, 배기팬(210,22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배기팬(210,220) 자체에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배기팬(210,220)의 동작 신호를 공기조화기(100)의 통신부(150)를 통해 제어부(140)에 송신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는, 배기팬(210,220)에 부착되어 상기 배기팬(210,220)의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주방에 설치된 레인지(가스레인지, 전기레인지)의 동작을 감지하는 레인지 동작 감지 센서, 가스레인지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배관 상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가스 유량 센서, 상기 배기팬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배기팬 회전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인지 동작 감지 센서는 레인지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지거나, 음식 조리시 발생하는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가스 감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기팬(210,220)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센서의 감지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주방에 사용자가 체류하고 있음을 주방체류감지센서(410), 화장실 변기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감지하는 착좌센서(420)의 감지 신호에 의해 배기팬(210,220)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장실에 출입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화장실출입감지센서(430) 또는 사용자가 배변시 발생하는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 냄새센서(440)의 감지 신호에 의해 제2배기팬(220)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샤워 후 화장실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해 화장실 내부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장실습도센서(450)의 감지 신호에 의해 제2배기팬(220)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장실출입감지센서(430)와 냄새센서(440) 및 화장실습도센서(450)는 제2배기팬(220) 및 공기조화기(100)와는 별도로 이루어진 부품으로서, 사용자가 임의로 화장실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 가능하다.
상기 냄새센서(440)를 화장실에 별도로 설치하면, 감지된 냄새가 설정된 값 이상이 될 때마다 제2배기팬(220)을 자동으로 동작시켜 배기시킬 수 있다.
상기 주방체류감지센서(410)와 화장실출입감지센서(430)는 사용자가 주방 또는 화장실에 출입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20-1,320-2)는 공기조화기(100)의 통신부(15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통신부(320-1,320-2)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조절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의 감지신호를 공기조화기(100)의 통신부(15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통신부(150)와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의 통신부(320-1,320-2)는 유선 또는 다양한 방식의 무선 통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조절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를 제어부(14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렇게 공기조화기(100)의 조절기에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을 등록하고 배기팬(210,220)을 동작시키면, 배기팬(210,22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50,320-1,320-2) 사이의 무선통신에 의해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14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공기유로(121)의 출구부(121b)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분배기(20)로 유동하고, 상기 분배기(20)에서는 방, 거실, 주방, 화장실 등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공기를 분배하여 공급하고, 상기 공기의 분배를 위해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연결되는 공기통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공기조화기(1)에서 급기되는 공기가 분배기(20)에 의해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분배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공기조화기(1)에서 급기되는 공기가 분배기(20)를 거치지 않고 직접 화장실이나 드레스룸처럼 급기만 필요한 곳에 공급될 수 있도록 급기덕트(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분배기(20)에서 급기되는 공기가 화장실과 이에 인접하는 실내공간(거실, 방)과의 사이 공간에 급기가 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화장실 천장에 급기덕트를 연결하여 화장실 내부공간에 직접 급기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화장실 내부공간에 직접 급기하는 경우에는 화장실 사용시 화장실 문이 닫혀 있는 상황에서도 화장실 내부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01에서 제1,제2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가 공기조화기(100)의 조절기에 등록된다.
공기조화기(100)의 조절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기기검색을 실행한다. 상기 기기검색이 실행되면 통신부(150,320-1,320-2)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져 주방 또는 화장실에 설치된 제1,제2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가 조절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아이콘을 자동으로 생성시킨다. 일례로 조절기에는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를 위한 아이콘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기기검색에 의해 검색된 제1,제2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가 자동으로 주방용 아이콘에 매칭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제1,제2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가 구비되지 않고 배기팬(210,220) 자체에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배기팬(210,220)의 동작 신호를 공기조화기(100)의 통신부(150)를 통해 제어부(140)에 직접 송신하는 경우에는 단계 S101이 수행되지 않고 단계 S102부터 수행된다.
또한, 주방체류감지센서(410)와 착좌센서(420)와 화장실출입감지센서(430)와 냄새센서(440) 및 화장실습도센서(450)에 대해서도 공기조화기(100)의 통신부(150)와 통신 가능하도록 단계 S101의 과정이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02에서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140)에서 제1배기팬(210) 또는 제2배기팬(220)의 동작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요리시 또는 화장실 사용시 제1배기팬(210) 또는 제2배기팬(220)을 수동으로 동작시키거나, 주방체류감지센서(410)와 착좌센서(420)와 화장실출입감지센서(430)와 냄새센서(440) 및 화장실습도센서(450) 중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에 의해 제1배기팬(210) 또는 제2배기팬(220)을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주방체류감지센서(410)가 적외선 센서인 경우 주방의 출입구 측에서 사용자의 인체 열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주방 출입을 판단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제1배기팬(210)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착좌센서(420)에서 사용자가 변기에 착좌한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제2배기팬(220)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화장실의 경우 상기 화장실출입감지센서(430)에서 사용자가 화장실에 입실하고 있음을 감지하거나, 냄새센서(440)에서 감지된 냄새에 의해 사용자가 배변 중임을 감지하면, 그 감지한 신호가 제어부(140)에 수신되면 제2배기팬(220)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샤워를 하고 난 이후에는 화장실 내부의 습도가 높은 상태이므로, 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화장실습도센서(450)에서 설정된 습도 이상의 습도가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제2배기팬(220)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배기팬(210) 또는 제2배기팬(220)이 자동으로 동작하게 되면 단계 S103에서 공기조화기(100)가 급기모드로 가동된다. 만약 제1배기팬(210) 또는 제2배기팬(220)이 수동으로 동작하게 되면 제1,제2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에서 동작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통신부(320-1,320-2,150)를 통해 제어부(140)에 송신한다.
상기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가 진동센서 또는 배기팬 회전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설정된 진동값 이상이 감지되거나, 설정된 회전수 이상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주방에서 요리를 하거나, 화장실에서 사용자가 배변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를 기초로 배기팬(210,220)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기팬(210,220)의 동작 세기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진동센서에서 감지되는 진동의 세기가 상기 배기팬(210,220)이 동작되는 단수에 대응하여 증감하게 된다. 또한, 배기팬 회전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회전수도 배기팬(210,220)이 동작되는 단수에 대응하여 증감하게 된다.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140)는 진동센서와 배기팬 회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배기팬(210,220)의 동작 단수에 대응하여 공기조화기(100)의 급기송풍기(110a)에 의해 급기되는 급기량을 조절함으로써 동작세기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주방에 설치된 제1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가 레인지 동작 감지 센서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1배기팬(210)의 동작 여부를 직접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레인지의 동작으로부터 제1배기팬(210)이 동작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레인지 동작 감지센서가 열 감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인 경우 일정 온도가 감지되거나, 가스 감지 센서에서 가스 사용이 감지되거나, 가스 유량 센서에서 가스의 흐름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레인지를 이용하여 요리를 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를 기초로 제1배기팬(210)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배기팬 동작감지센서(300-1,300-2)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배기팬(210,220) 자체에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배기팬(210,220)의 동작 신호를 공기조화기(100)의 통신부(150)를 통해 제어부(140)에 송신하는 것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공기조화기(100)는 배기팬(210,220)으로부터 직접 신호를 수신받아 급기모드로 가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40)에 수신된 신호를 판단한 결과 제1배기팬(210) 또는 제2배기팬(220)의 동작이 감지되면 단계 S10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102가 유지된다.
단계 S103에서 공기조화기(100)가 급기모드로 가동된다.
제1배기팬(210)의 동작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주방에서 요리를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배기팬(220)의 동작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화장실에서 배변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공기조화기(100)를 급기모드로 가동시킴으로써 실외공기를 주방 또는 화장실로 급기시킨다. 급기모드시 급기송풍기(110a)만 동작하고, 배기송풍기(110b)는 동작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이다.
주방에서 요리를 할 때 발생하는 가스, 냄새 및 수증기를 포함한 오염된 공기는 제1배기팬(210)에 의해 실외로 배출되고, 화장실에서 배변시 발생하는 가스, 냄새 및 샤워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포함한 오염된 공기는 제2배기팬(220)에 의해 실외로 배출되지만, 실외로 배출되지 않은 일부 오염된 공기는 주방 또는 화장실에서 인접한 실내의 다른 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
특히 배기팬(210,220)만을 가동하는 경우에는 배기팬(210,220)의 용량이 크더라도 오염된 공기를 전부 실외로 배기시킬 수 없고, 주방 또는 화장실 공간에 장시간 잔존하거나 인접한 다른 실내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배기팬(210) 또는 제2배기팬(220)을 가동시킬 때, 공기조화기(100)를 급기모드로 가동하게 되면, 급기송풍기(110a)가 동작하게 되어 실외공기가 제2공기유로(122)의 입구부(122a), 제1공기유로(121), 제1공기유로(121)의 출구부(121b)를 통해 실내로 급기된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100)에 의해 급기되는 공기의 양이 충분하면 급기가 이루어진 실내공간은 양압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된 공기가 제1배기팬(210) 또는 제2배기팬(220)의 동작에 의해 음압이 형성된 주방 또는 화장실을 향해 유동하게 되므로, 배기팬(210,220)에 의해 배기되는 오염된 공기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오염된 공기가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기되어 배기효율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배기효율이 향상되면 용량이 작은 배기팬(210,220)을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용량이 작은 배기팬(210,220)을 사용하게 되면 배기팬(210,220)의 설치에 소요되는 공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배기팬(210,220)의 동작시 소요되는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주방의 경우 제1배기팬(210)이 구비된 주방후드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싱크대를 비롯한 주방가구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어 쾌적한 주방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작은 용량의 배기팬(210,220)을 사용하게 되면 배기팬(210,220)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되는 공기에 의해 배기되지 않고 주방 또는 화장실에 잔존하는 오염된 공기가 주방 또는 화장실에 인접한 실내 다른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기팬(210,220)에 연동하여 주방 또는 화장실로 급기를 하는 경우 급기량이 충분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기량이 충분하면 오염된 공기가 배기팬(210,220)에 의해 보다 신속하게 배기될 수 있고, 배기되지 않고 잔존하는 오염된 공기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급기량을 충분하게 구현할 수 있는 제어방법의 일례로, 배기팬(210,220)의 동작세기에 비례하여 공기조화기(100)를 가동시키거나,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량을 실외로 배기되는 공기량보다 더 많게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배기팬(210,220)의 동작세기에 비례하여 공기조화기(100)를 가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1,제2배기팬(210,220)의 동작세기가 다단으로 조절되는 경우에는 제1,제2배기팬(210,220)의 동작세기에 비례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급기량이 증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된 진동의 세기 또는 회전수가 큰 경우에는 배기팬(210,220)을 통해 배기되는 공기량이 많기 때문에 공기조화기(100)에서 급기되는 공기량을 증가시켜 배기팬(210,220)을 통한 배기가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된 진동의 세기 또는 회전수가 작은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여 공기조화기(100)에서 급기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불필요한 공기조화기(100)의 가동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배기팬(210,220) 자체에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배기팬(210,220)의 동작 신호를 공기조화기(100)의 통신부(150)를 통해 제어부(140)에 직접 송신하는 경우에는 배기팬(210,220)의 동작 단수에 따른 전류값에 대한 신호에 따라 급기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량을 실외로 배기되는 공기량보다 더 많게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1,제2배기팬(210,220)의 동작세기에 대한 신호가 상기 제어부(140)에 수신되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된 제1,제2배기팬(210,220)의 동작에 의해 실외로 배출되는 배기량보다 더 많은 공기량이 급기되도록 급기송풍기(110b)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급기량이 배기량보다 더 많게 하면, 주방 또는 화장실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팬(210,220)을 통해 더욱 신속하게 배기시킬 수 있어 배기효율이 향상되고,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방, 화장실, 주방, 거실과 같이 실내에 있는 복수의 실내공간이 있고, 제1배기팬(210) 또는 제2배기팬(220)의 동작신호가 감지되면, 그 동작신호가 감지된 배기팬이 있는 실내공간에만 실외공기를 급기시키고, 나머지 실내공간에는 실외공기의 급기가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배기팬(210)의 동작이 감지된 경우에는 주방으로만 급기시키고, 제2배기팬(220)의 동작이 감지된 경우에는 화장실로만 급기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분배기(20)에는 방, 주방, 거실, 화장실로 연결되는 공기통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댐퍼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댐퍼 중 배기팬의 동작이 감지된 주방 또는 화장실로만 공기가 유동하도록 대응하는 댐퍼를 개방시키고, 나머지 실내공간에 연결되는 댐퍼는 폐쇄시킨 상태에서 급기송풍기(110a)를 동작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급기를 하게 되면, 배기팬(210,220)이 동작하는 주방 또는 화장실에 집중적으로 충분한 공기량 급기할 수 있어 신속한 배기가 이루어지고, 배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배기팬(210,220)이 가동되기 시작할 때 공기조화기(1)가 이미 환기모드로 가동중인 경우에는 환기모드의 가동을 중단하고, 급기가 필요한 실내공간인 주방 또는 화장실로 급기를 하기 위한 급기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를 수행하면 충분한 급기량을 확보할 수 있어 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배기팬(210)이 가동되어 제1실내공간인 주방에 급기를 하고 있는 도중에 제2배기팬(220)이 가동되면 주방에 급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2실내공간인 화장실에 급기를 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화장실에 급기를 하고 있는 도중에 제1배기팬(210)이 가동되면 화장실에 급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주방에 급기를 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주방의 경우 천장에 설치된 급기덕트를 통해 급기할 수도 있고, 급기덕트를 주방후드 근처의 주방 바닥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바닥에 구비된 토출구를 통해 주방후드가 설치된 상방향으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토출구의 상측에 주방후드가 위치해 있으면 상향 토출된 급기로 인해 배기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분배기(20)에서 주방의 바닥으로 연결되는 공기통로를 통해서만 급기가 이루어지고, 나머지 실내공간으로의 급기를 차단시키도록 분배기(20)의 댐퍼를 제어하면 신속한 급기가 이루어져 주방에서 요리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가 제1배기팬(210)을 통해 신속하게 배기된다.
또한, 주방 또는 화장실에서 오염된 공기가 발생한 경우 공기조화기(100)를 통한 실내공기의 순환(Circulation)이 이루어지면 배기팬(210,220)을 통한 배기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오염된 공기가 주방 및 화장실을 비롯하여 다른 실내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으므로, 급기모드로 가동되는 도중에는 공기조화기(100)에 의한 실내공기의 순환(Circulation)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급기모드로 가동되는 도중에 환기모드 또는 공기청정모드를 비롯한 다른 모드로 가동모드가 변경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에서 배기팬(210,220)의 동작을 감지하여 급기모드가 가동되면 사용자가 조절기를 통해 환기모드 또는 공기청정모드로 가동모드의 변경신호를 입력하더라도, 배기팬(210,220)의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는 급기모드가 계속 유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기팬(210,220)의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 급기모드가 유지되도록 하면 배기팬(210,220)에 의한 배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오염된 공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방과 주방에 인접한 실내공간 사이, 화장실과 화장실에 인접한 실내공간 사이에는 공기조화기(100)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하방향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하여 에어커튼(air curtain)을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주방과 거실 사이에 위치하는 천장에 실외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를 형성하면, 상기 토출구(11)에서 토출된 실외공기가 주방과 거실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흐름으로써 주방의 가스 또는 냄새가 거실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1)에서 토출된 공기로 인해 주방의 오염된 공기는 제1배기팬(210)을 통해 보다 신속하게 배기될 수 있어 배기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화장실과 화장실에 인접한 실내공간(거실 또는 방) 사이에도 동일하게 토출구(12)에 의한 에어커튼을 형성시켜 화장실에서 발생한 가스 및 냄새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드레스 룸은 여성이 주로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드레스 룸이 화장실과 인접해 있는 경우 화장실의 오염된 공기로 인해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화장실 사용시 드레스 룸과 화장실 사이의 천장에 구비된 토출구(13)를 통해 드레스 룸에 급기를 하게 되면 화장실의 오염된 공기가 제2배기팬(220)에 의해 신속히 배기되어 오염된 공기가 드레스 룸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장실 문을 닫은 상태에서 화장실 사용시에는 화장실 외부의 실내공간에 급기를 하더라도 화장실 내부공간에는 급기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화장실 천장에 연결된 급기덕트를 통해 화장실 내부 공간에 직접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장실 문이 닫힌 경우에도 제2배기팬(220)의 가동시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화장실 문이 닫히거나 열린 경우에 따라 화장실 내부에의 급기와 화장실 외부의 실내공간에의 급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동시에 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에서 급기되는 공기가 분배기(20)를 거치지 않고 직접 화장실이나 드레스룸처럼 급기만 필요한 곳에 공급될 수 있도록 급기덕트가 구비된 경우에는 실내의 다른공간에서는 환기모드 또는 다른 가동모드의 가동상태를 유지하고, 급기가 필요한 화장실이나 드레스룸에 독립적으로 급기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외공기에 포함된 수분의 적어도 일부가 제습부에서 제거된 건조공기인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습한 경우에는 상기 습한 공기와 주방 또는 화장실에서 발생한 냄새가 혼합되어 더욱 불쾌한 냄새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실외공기의 습도를 실외습도센서(160)로부터 수신받고, 상기 수신된 실외공기의 습도가 미리 설정된 습도(또는 습도범위)에 이상이 되면 제습부에서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한 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하면, 주방 또는 화장실의 오염된 공기는 배기되고, 습기가 제거된 건조 공기가 실내로 급기되어 실내공간을 쾌적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습부가 제습로터(130)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급기모드의 가동을 정지시키고, 환기모드로 가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습로터(130)를 이용하여 제습을 하기 위해서는 제습로터(130)의 제2영역(132)에 공기를 공급해야 하므로, 실외공기의 실내 급기와 동시에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동작이 이루어져야 한다.
급기모드의 가동을 정지시키고, 제습로터(130)와 가열부(127)를 동작시킨 상태에서 환기모드로 가동한다. 이에 따라 실외공기는 제습로터(130)의 제1영역(131)에서 제습이 이루어진 후 제1공기유로(121)의 입구부(121b)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고, 제1영역(131)에서 흡착된 수분은 회전에 의해 제2공기유로(122) 상에 구비된 제2영역(132)에 위치하여, 가열부(127)에 의해 가열된 공기에 의해 흡착된 수분이 방출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이 경우 급기송풍기(110a)의 동작세기를 배기송풍기(110b)의 동작세기보다 더 세게하면,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량보다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많아져 급기모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물론, 제습로터(13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습로터(130)를 회전시키고, 제2공기유로(122)의 입구부(122a)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 중 일부는 제1공기유로(121)로 유동하도록 하고, 나머지 일부는 제2공기유로(122)를 통해 제습로터(130)의 재생영역인 제2영역(132)을 통과하도록 하면 환기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급기모드를 유지하면서 제습된 건조공기를 주방 또는 화장실로 급기할 수 있다.
한편, 환기모드의 가동 중에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급기송풍기(110a)의 회전수가 감소하고,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송풍기(110b)의 회전수가 증가하는 것을 송풍기 회전수 감지부(미도시)에서 감지하게 되면, 실내에 음압이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배기송풍기(110b)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급기송풍기(110a)만 동작시킴으로써 실내에 음압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급기송풍기(110a)만을 동작시켜 급기송풍기(110a)와 배기송풍기(110b)의 회전수가 원래 회전수로 다시 증감한 것을 감지하게 되면 다시 환기모드로 가동할 수도 있다.
또한, 겨울철에는 급기모드시 가열부(124)를 동작시켜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를 가열하게 되면 차가운 공기의 실내 급기로 인한 실내 온도 하락을 방지하여 따뜻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외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실외온도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실외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하가 되면 급기모드시 가열부(124)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겨울철에 차가운 실외공기가 그대로 화장실로 급기되면 화장실 사용시 불쾌감을 느끼거나 화장실의 수분이 결빙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열부(124)에서 가열된 공기를 급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기공기의 가열은 공기조화기(100) 내부에 구비된 가열부(124)를 이용할 수도 있고, 공기조화기(100) 외부에 구비된 급기덕트에 히터를 구비하여 급기공기를 가열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단계 S104에서 제1배기팬(210) 또는 제2배기팬(220)의 동작이 정지되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제1배기팬(210) 또는 제2배기팬(220)의 동작이 정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0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104가 유지된다.
만약 제2배기팬(220)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장실을 나간 후에도 일정시간 동안 배기와 급기가 지속된 후 배기와 급기가 종료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일정시간은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냄새센서(440)에서 감지된 냄새가 일정수준 이하가 되거나 화장실습도센서(450)에 의해 감지된 습도가 일정수준 이하가 되었을 때 배기와 급기가 종료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화장실을 나갔는지 여부를 착좌센서(420) 또는 화장실출입감지센서(430)로부터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105에서 급기모드의 가동이 종료되도록 급기송풍기(110a)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 경우 단계 S104에서 제1배기팬(210) 또는 제2배기팬(220)의 동작이 정지된 것으로 판단된 때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단계 S105의 급기모드의 가동이 종료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를 하게 되면, 제1배기팬(210) 또는 제2배기팬(220)의 동작이 정지된 이후에도 주방 또는 화장실에 실외로 배출되지 않고 가스 또는 냄새가 잔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때까지 급기모드를 유지함으로써 가스 또는 냄새가 주방 또는 화장실에 인접한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급기모드의 가동이 종료된 후에도 단계 S106의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06에서 공기조화기(100)를 환기모드 또는 공기청정모드로 가동시킨다. 급기모드의 가동이 종료되더라도 일부 가스 또는 냄새는 주방 또는 화장실로부터 다른 실내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환기모드를 가동시켜 잔존하는 가스 또는 냄새를 실외로 배출시키거나, 공기청정모드를 가동시켜 가스 또는 냄새를 필터(123)에서 여과함으로써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환기모드로 가동되면, 급기송풍기(110a)와 배기송풍기(110b)가 동작하여 제1공기유로(121)의 입구부(121a)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는 제2공기유로(122)의 출구부(122b)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고, 제2공기유로(122)의 입구부(122a)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는 제1공기유로(121)의 출구부(121a)를 통해 실내로 급기된다. 따라서 환기모드를 가동시키면 주방 또는 화장실에 잔존하는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모드로 가동되면, 실내공기가 제1공기유로(121)의 입구부(121a)를 통해 유입되어 필터(123)를 통과하면서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걸러진 후 제1공기유로(121)의 출구부(121b)를 통해 실내로 다시 배출된다. 이 경우 상기 필터(123)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사용할 수 있고, 복수의 필터를 구비하여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가스 또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가 이루어지면, 주방이나 화장실과 같은 실내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를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기시킬 수 있어 배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오염된 공기가 다른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 환경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장실 사용시 화장실 출입문을 닫은 상태에서 제2배기팬(220)을 동작시키면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데, 본 발명과 같이 급기모드를 가동시키면 화장실 사용시 화장실 출입문을 개방시키더라도 오염된 공기가 화장실 밖으로 확산되지 않으므로 화장실 사용시 화장실 출입문을 개방시키게 되면 제2배기팬(220)의 동작 소음을 적게 느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공기조화기 110a : 급기송풍기
110b : 배기송풍기 121 : 제1공기유로
121a : 입구부 121b : 출구부
122 : 제2공기유로 122a : 입구부
122b : 출구부 123,125 : 필터
124 : 냉각부 126 : 유로전환부
127 : 가열부 130 : 제습로터
131 : 제1영역 132 : 제2영역
140 : 제어부 150 : 통신부
160 : 실외습도센서 161 : 실내습도센서
162 : 실외온도센서 163 : 실내온도센서
210 : 제1배기팬 220 : 제2배기팬
300-1,300-2 : 배기팬 동작감지센서 310-1,310-2 : 동작감지부
320-1,320-2 : 통신부

Claims (24)

  1. a) 실내에 설치된 배기팬의 동작신호가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에 상기 배기팬의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실외 공기를 상기 실내로 급기시키는 급기모드로 가동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의 동작신호는,
    상기 배기팬으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배기팬에 부착되어 상기 배기팬의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주방에 설치된 레인지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레인지 동작 감지 센서, 가스레인지로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가스 유량 센서, 상기 배기팬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배기팬 회전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의 동작세기에 대한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배기팬의 동작세기에 비례하여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급기량이 증감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는 주방 또는 화장실이고;
    상기 주방과 상기 주방에 인접한 실내공간 사이 또는 상기 화장실과 상기 화장실에 인접한 실내공간 사이에 상기 실외 공기를 급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가 주방인 경우, 상기 배기팬을 포함하는 주방후드에 인접한 공간의 바닥에 구비된 토출구를 통해 상기 실외공기의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의 동작세기에 대한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배기팬의 동작에 따른 배기량보다 더 많은 공기량이 급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의 가동이 정지되면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급기모드의 가동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제습부에서 제습이 이루어진 건조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기의 습도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고, 상기 실외공기의 습도가 설정된 습도 이상이 되면, 상기 제습이 이루어진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기의 습도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고, 상기 실외공기의 습도가 설정된 습도 이상이 되면, 상기 급기모드의 가동을 정지시키고, 실외공기를 제습한 후 실내로 유입시키고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환기모드로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모드로 가동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량보다 많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는 흡착재를 포함하는 제습로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외공기에 포함된 습기는 상기 제습로터의 제1영역에서 흡착되고, 상기 제습로터가 회전하여 상기 제1영역에서 습기를 흡착한 흡착재가 제2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실외공기의 일부를 이용하여 제1영역에서 흡착된 습기를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전에,
    상기 배기팬이 설치된 실내가 주방이고, 상기 주방에 사용자가 체류하고 있음을 주방체류감지부에서 감지한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거나;
    상기 배기팬이 설치된 실내가 화장실이고, 상기 화장실의 변기에 사용자가 착좌한 것을 착좌센서에서 감지하거나, 상기 화장실에 사용자가 입실하고 있음을 화장실출입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면;
    상기 배기팬이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단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에 있는 복수의 실내공간 중 상기 배기팬의 동작신호가 감지된 실내공간에만 상기 실외공기를 급기시키고, 나머지 실내공간에는 상기 실외공기의 급기가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급기모드로 가동이 시작되면, 사용자로부터 가동모드 변경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되더라도 상기 급기모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의 동작 종료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될 때까지 상기 급기모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모드가 시작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급기모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의 동작이 정지되면 상기 급기모드의 가동이 종료되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 또는 실내공기를 여과한 후 실내로 다시 실내로 배출하는 공기청정모드 중 어느 하나로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 중,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급기송풍기의 회전수가 감소하고,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송풍기의 회전수가 증가하게 되면,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배기송풍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급기송풍기만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로 급기되는 실외 공기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실외 공기를 가열부로 가열한 후 실내로 급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전에, 상기 급기가 필요한 실내공간 이외의 다른 실내공간에 상기 급기모드를 제외한 다른 제어모드로 가동중인 경우에는 상기 다른 제어모드의 가동을 중단한 후 상기 b)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가 화장실인 경우 상기 화장실 내부공간에 상기 실외공기를 직접 급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이후, 상기 실내가 화장실인 경우, 사용자가 화장실을 나간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경과하거나 냄새센서에서 감지된 냄새가 설정값이 되거나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습도가 설정값이 될 때까지 상기 배기팬의 가동과 실내 급기를 유지시킨 후 상기 배기팬의 가동과 실내 급기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급기모드가 가동될 때 상기 급기가 필요한 제1실내공간 이외의 다른 제2실내공간에 이미 급기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급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실내공간에 급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70134460A 2017-06-16 2017-10-17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80138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619725.7A CN109140714B (zh) 2017-06-16 2018-06-14 空调的控制方法及空调
KR1020180069872A KR20180137436A (ko) 2017-06-16 2018-06-18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KR1020200090253A KR102301358B1 (ko) 2017-06-16 2020-07-21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76865 2017-06-16
KR1020170076865 2017-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108A true KR20180138108A (ko) 2018-12-28

Family

ID=650088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460A KR20180138108A (ko) 2017-06-16 2017-10-17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200090253A KR102301358B1 (ko) 2017-06-16 2020-07-21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253A KR102301358B1 (ko) 2017-06-16 2020-07-21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1381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702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릴타워 스팀공급량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10107240A (ko) * 2020-02-23 2021-09-01 연규문 공기청정 환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1408B2 (ja) * 1998-09-14 2001-10-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給排気システム
JP2002039599A (ja) * 2000-07-25 2002-02-06 Osaka Gas Co Ltd 換気システム及び換気用制御装置及び換気方法
JP2006097959A (ja) * 2004-09-29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換気装置および室内の換気方法
KR101291647B1 (ko) * 2011-06-24 2013-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욕실 통합형 환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64791B1 (ko) * 2015-11-18 2016-10-1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702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릴타워 스팀공급량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10107240A (ko) * 2020-02-23 2021-09-01 연규문 공기청정 환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703A (ko) 2020-07-29
KR102301358B1 (ko) 202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4694A (en) Bathroom dehumidifier method and apparatus
WO2020085339A1 (ja) 除湿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2055298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JP2006105423A (ja) 換気装置及び建物
KR20180137436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KR10230135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WO2006035825A1 (ja) 換気装置及び建物
KR102159704B1 (ko) 급기 시스템 및 급기 방법
KR100791919B1 (ko) 환기와 냉난방 및 제습기능을 갖는 욕실용 건조장치
KR102216720B1 (ko) 급기 시스템 및 급기 방법
JP4247636B2 (ja) 浴室乾燥機
KR102506254B1 (ko) 공기청정기능 및 환기기능을 구현하는 냉방제습기
JP3670771B2 (ja) 空調装置
KR20190005733A (ko) 실내 배기장치와 급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0304326A (ja) 熱交換換気装置
CN113251658B (zh) 利用热泵热水器除湿的控制方法
JP4924031B2 (ja) 換気システム
JP2007139336A (ja) 換気装置及び建物
KR20190005695A (ko) 실내 배기장치 및 이에 연동된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JP3959182B2 (ja) 熱交換換気システム
KR20180036235A (ko) 통합 배기 장치 및 통합 배기 유닛, 그리고 통합 배기 방법
KR102260499B1 (ko) 급기장치 및 이에 연동된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KR200416876Y1 (ko) 쾌적한 실내환경을 가능하게 하는 쾌적제어시스템
JP2004257605A (ja) 浴室換気暖房乾燥装置
JPH05240464A (ja) 空気調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