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938A -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938A
KR20180136938A KR1020187027219A KR20187027219A KR20180136938A KR 20180136938 A KR20180136938 A KR 20180136938A KR 1020187027219 A KR1020187027219 A KR 1020187027219A KR 20187027219 A KR20187027219 A KR 20187027219A KR 20180136938 A KR20180136938 A KR 20180136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ymbol
carrier
phase chang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6630B1 (ko
Inventor
유타카 무라카미
도모히로 기무라
미키히로 오우치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riority to KR1020217036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494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7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different delays betwee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phase diversity (e.g. phase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0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6Matrix or vector computation, e.g. matrix-matrix or matrix-vector multiplication, matrix factoriz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91Circuits with frequency synthesizers, frequency converters or 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제 1 베이스밴드 신호와 제 2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하여 프리코딩 처리를 실시하여 제 1 프리코딩 신호와 제 2 프리코딩 신호를 생성하고, 제 1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고, 제 2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그 위상 변경이 실시된 제 2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고, 그 파일럿 신호가 삽입된 위상 변경 후의 제 2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다시 위상 변경을 행한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본 개시는, 멀티 안테나를 이용한 통신을 행하는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직접파가 지배적인 LOS(Line of Sight) 환경에 있어서, 멀티 안테나를 이용한 통신 방법으로서, 예컨대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로 불리는 통신 방법이 있다. 이것은, 양호한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송신 방법으로서,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방식이다.
도 17은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송신 안테나 수가 2, 송신 변조 신호(송신 스트림) 수가 2일 때의, DVB-NGH(Digital Video Broadcasting - Next Generation Handheld) 규격에 근거한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송신 장치에서는, 부호화기(002)에 의해 부호화된 데이터(003)가, 분배부(004)에 의해, 데이터(005A), 데이터(005B)로 나누어진다. 데이터(005A)는, 인터리버(004A)에 의해, 인터리브의 처리, 매핑부(006A)에 의해, 매핑의 처리가 실시된다. 마찬가지로, 데이터(005B)는, 인터리버(004B)에 의해, 인터리브의 처리, 매핑부(006B)에 의해, 매핑의 처리가 실시된다. 가중 합성부(008A, 008B)는, 매핑 후의 신호(007A, 007B)를 입력으로 하여, 각각 가중 합성을 행하고, 가중 합성 후의 신호(009A, 016B)가 생성된다. 가중 합성 후의 신호(016B)는, 그 후,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그리고, 무선부(010A, 010B)에 의해, 예컨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관련되는 처리, 주파수 변환, 증폭 등의 처리가 행해지고, 안테나(012A)로부터 송신 신호(011A), 안테나(012B)로부터 송신 신호(011B)가 송신된다.
비특허문헌 1 : "MIMO for DVB-NGH, the next generation mobile TV broadcasting," IEEE Commun. Mag., vol.57, no.7, pp.130-137, July 2013. 비특허문헌 2 : "Standard conformable antenna diversity techniques for OFDM and its application to the DVB-T system," IEEE Globecom 2001, pp.3100-3105, Nov. 2001. 비특허문헌 3 : IEEE P802.11n(D3.00) Draft STANDARD for Information Technology-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Specific requirements-Part11 :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PHY) specifications, 2007.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서는, 싱글 스트림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가 고려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싱글 스트림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송신 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검토되어 있지 않다.
본 개시는, OFDM 방식과 같은 멀티 캐리어 전송 방식을 이용했을 때에도, 싱글 스트림의 신호와 복수의 스트림의 신호를 아울러 송신하는 경우의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태양은, 싱글 스트림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LOS(line-of sight)를 포함하는 전파 환경에 있어서 복수 스트림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되는 송신 장치는, 제 1 베이스밴드 신호와 제 2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하여 프리코딩 처리를 실시하여 제 1 프리코딩 신호와 제 2 프리코딩 신호를 생성하는 가중 합성부와, 상기 제 1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는 제 1 파일럿 삽입부와, 상기 제 2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제 1 위상 변경부와, 상기 제 1 위상 변경부에 의해 위상 변경이 실시된 제 2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는 제 2 파일럿 삽입부와, 상기 제 2 파일럿 삽입부에 의해 파일럿 신호가 삽입된 위상 변경 후의 제 2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다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제 2 위상 변경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와 관련되는 송신 방법은, 제 1 베이스밴드 신호와 제 2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하여 프리코딩 처리를 실시하여 제 1 프리코딩 신호와 제 2 프리코딩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고, 상기 제 2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이 실시된 제 2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고, 파일럿 신호가 삽입된 위상 변경 후의 제 2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다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또, 이들의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태양은, 시스템,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기록 매체로 실현되더라도 좋고,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되더라도 좋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는, 싱글 스트림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LOS(line-of sight)를 포함하는 전파 환경에 있어서 복수 스트림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송신 장치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무선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송신 신호의 일 프레임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송신 신호의 일 프레임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제어 정보 생성에 관한 부분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안테나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수신 장치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안테나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5의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매핑부에서 사용하는 변조 방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송신 신호의 일 프레임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송신 신호의 일 프레임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CCD를 이용했을 때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OFDM을 이용했을 때의 일 캐리어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DVB-NGH 규격에 근거한 송신 장치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기지국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단말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기지국과 단말의 일 통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기지국과 단말의 일 통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도 25의 데이터 심볼이 전송되는 영역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25의 프리앰블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STF 및 CEF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STF 및 CEF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은 경우의 스펙트럼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위상 변경을 행한 경우의 스펙트럼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도 1의 변조 신호의 일 프레임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도 1의 변조 신호의 일 프레임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도 1의 변조 신호의 일 프레임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은 도 1의 변조 신호의 일 프레임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는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5는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은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은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은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는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은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은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2는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3은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4는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5는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은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은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8은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9는 도 1의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0은 제 1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1은 제 2 신호 처리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본 실시의 형태의 송신 방법, 송신 장치, 수신 방법, 수신 장치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예컨대,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방송국 등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오류 정정 부호화부(102)는, 데이터(101) 및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100)에 포함되는 오류 정정 부호에 관한 정보(예컨대, 오류 정정 부호의 정보, 부호 길이(블록 길이), 부호화율)에 근거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부호화 데이터(103)를 출력한다. 또, 오류 정정 부호화부(102)는, 인터리버를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고, 인터리버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부호화 후에 데이터의 재배열을 행하고, 부호화 데이터(103)를 출력하더라도 좋다.
매핑부(104)는, 부호화 데이터(103),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100)에 포함되는 변조 신호의 정보에 근거하여,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매핑을 행하고, 매핑 후의 신호(베이스밴드 신호)(105_1) 및 매핑 후의 신호(베이스밴드 신호)(105_2)를 출력한다. 또, 매핑부(104)는, 제 1 계열을 이용하여, 매핑 후의 신호(105_1)를 생성하고, 제 2 계열을 이용하여, 매핑 후의 신호(105_2)를 생성한다. 이때, 제 1 계열과 제 2 계열은 상이한 것으로 한다.
신호 처리부(106)는, 매핑 후의 신호(105_1, 105_2), 신호군(110),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100)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고,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를 출력한다. 이때,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를 u1(i),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를 u2(i)라고 나타낸다(i는 심볼 번호이고, 예컨대,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 신호 처리에 대해서는, 도 2를 이용하여, 뒤에서 설명한다.
무선부(107_A)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100)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에 대하여, 처리를 실시하고, 송신 신호(108_A)를 출력한다. 그리고, 송신 신호(108_A)는, 안테나부#A(109_A)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무선부(107_B)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100)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에 대하여, 처리를 실시하고, 송신 신호(108_B)를 출력한다. 그리고, 송신 신호(108_B)는, 안테나부#B(109_B)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안테나부#A(109_A)는,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하고 있다. 이때, 제어 신호(100)에 근거하여, 송신 신호(108_A)에 대하여 처리를 실시하고, 전파로서 출력한다. 단, 안테나부#A(109_A)는,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하지 않더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안테나부#B(109_B)는,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하고 있다. 이때, 제어 신호(100)에 근거하여, 송신 신호(108_B)에 대하여 처리를 실시하고, 전파를 출력한다. 단, 안테나부#B(109_B)는,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 제어 신호(100)는, 도 1의 통신 상대인 장치가 송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것이더라도 좋고, 도 1의 장치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것이더라도 좋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106)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가중 합성부(프리코딩부)(203)는 매핑 후의 신호(201A)(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1)에 상당한다) 및 매핑 후의 신호(201B)(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2)에 상당한다) 및 제어 신호(200)(도 1의 제어 신호(100)에 상당한다)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가중 합성(프리코딩)을 행하고, 가중 후의 신호(204A) 및 가중 후의 신호(204B)를 출력한다. 이때, 매핑 후의 신호(201A)를 s1(t), 매핑 후의 신호(201B)를 s2(t), 가중 후의 신호(204A)를 z1(t), 가중 후의 신호(204B)를 z2'(t)라고 나타낸다. 또, t는 일례로서, 시간으로 한다. s1(t), s2(t), z1(t), z2'(t)는 복소수로 정의되는 것으로 한다(따라서, 실수이더라도 좋다).
가중 합성부(프리코딩부)(203)는, 이하의 연산을 행한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1
식 (1)에 있어서, a, b, c, d는 복소수를 이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a, b, c, d는 복소수로 정의하는 것으로 하지만, 실수이더라도 좋다. 또, i는 심볼 번호로 한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를 출력한다. 또,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를 z2(t)로 나타내고, z2(t)는 복소수로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실수이더라도 좋다).
위상 변경부(205B)의 구체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상 변경부(205B)에서는, 예컨대, z2'(i)에 대하여 y(i)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z2(i)=y(i)×z2'(i)라고 나타낼 수 있다(i는 심볼 번호(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의 값을 이하와 같이 설정한다(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N은 위상 변경의 주기가 된다). N은 3 이상의 홀수로 설정하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다.
[수학식 2]
Figure pct00002
j는 허수 단위이다. 단, 식 (2)는, 어디까지나 예이고,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위상 변경치 y(i)=ej×δ(i)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때 z1(i) 및 z2(i)는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ct00003
또, δ(i)는 실수이다. 그리고, z1(i)와 z2(i)는,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동일 주파수대)로,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식 (3)에 있어서, 위상 변경의 값은, 식 (2)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주기적, 규칙적으로 위상을 변경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식 (1) 및 식 (3)에 있어서의 (프리코딩) 행렬을,
[수학식 4]
Figure pct00004
로 한다. 예컨대, 행렬 F는, 이하와 같은 행렬을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pct00005
또는,
[수학식 6]
Figure pct00006
또는,
[수학식 7]
Figure pct00007
또는,
[수학식 8]
Figure pct00008
또는,
[수학식 9]
Figure pct00009
또는,
[수학식 10]
Figure pct00010
또는,
[수학식 11]
Figure pct00011
또는,
[수학식 12]
Figure pct00012
또, 식 (5), 식 (6), 식 (7), 식 (8), 식 (9), 식 (10), 식 (11), 식 (12)에 있어서, α는 실수이더라도 좋고, 허수이더라도 좋고, β는 실수이더라도 좋고, 허수이더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이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이 아니다.
또는,
[수학식 13]
Figure pct00013
또는,
[수학식 14]
Figure pct00014
또는,
[수학식 15]
Figure pct00015
또는,
[수학식 16]
Figure pct00016
또는,
[수학식 17]
Figure pct00017
또는,
[수학식 18]
Figure pct00018
또는,
[수학식 19]
Figure pct00019
또는,
[수학식 20]
Figure pct00020
또, 식 (13), 식 (15), 식 (17), 식 (19)에 있어서, β는 실수이더라도 좋고, 허수이더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이 아니다(θ는 실수).
또는,
[수학식 21]
Figure pct00021
또는,
[수학식 22]
Figure pct00022
또는,
[수학식 23]
Figure pct00023
또는,
[수학식 24]
Figure pct00024
또는,
[수학식 25]
Figure pct00025
또는,
[수학식 26]
Figure pct00026
또는,
[수학식 27]
Figure pct00027
또는,
[수학식 28]
Figure pct00028
또는,
[수학식 29]
Figure pct00029
또는,
[수학식 30]
Figure pct00030
또는,
[수학식 31]
Figure pct00031
또는,
[수학식 32]
Figure pct00032
단, θ11(i), θ21(i), λ(i)는 i의(심볼 번호의) 함수이고(실수), λ는 예컨대 고정치이고(실수)(고정치가 아니더라도 좋다), α는 실수이더라도 좋고, 허수이더라도 좋고, β는 실수이더라도 좋고, 허수이더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이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이 아니다. 또한, θ11, θ21은 실수이다.
또한, 이들 이외의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하더라도, 본 명세서의 각 실시의 형태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수학식 33]
Figure pct00033
또는,
[수학식 34]
Figure pct00034
또는,
[수학식 35]
Figure pct00035
또는,
[수학식 36]
Figure pct00036
또, 식 (34), 식 (36)의 β는 실수이더라도 좋고, 허수이더라도 좋다. 단, β도 0(제로)이 아니다.
삽입부(207A)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파일럿 심볼 신호(pa(t))(t : 시간)(251A),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근거하여,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 파일럿 심볼 신호(pb(t))(251B),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근거하여,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한다.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x'(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x(i))는, x(i)=ej×ε(i)×x'(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또, 뒤에서 설명하지만, 위상 변경부(209B)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도 3은 도 1의 무선부(107_A, 107_B)의 구성의 일례이다. 시리얼 패러렐 변환부(302)는, 신호(301) 및 제어 신호(300)(도 1의 제어 신호(100)에 상당한다)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300)에 근거하여, 시리얼 패러렐 변환을 행하고, 시리얼 패러렐 변환 후의 신호(303)를 출력한다.
역 푸리에 변환부(304)는, 시리얼 패러렐 변환 후의 신호(303) 및 제어 신호(3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300)에 근거하여, 역 푸리에 변환(예컨대,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 :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을 실시하고, 역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305)를 출력한다.
처리부(306)는, 역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305), 제어 신호(3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300)에 근거하여, 주파수 변환, 증폭 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변조 신호(307)를 출력한다.
예컨대, 신호(301)를 도 1의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로 한 경우, 변조 신호(307)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A)에 상당한다. 또한, 신호(301)를 도 1의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로 한 경우, 변조 신호(307)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B)에 상당한다.
도 4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이다. 도 4에 있어서, 가로축은 주파수(캐리어), 세로축은 시간이다. OFDM 등의 멀티 캐리어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캐리어 방향에 심볼이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도 4에서는,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심볼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시각 $1로부터 시각 $11의 심볼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401은 파일럿 심볼(도 2의 파일럿 신호(251A)(pa(t)에 상당한다.)), 402는 데이터 심볼, 403은 그 외의 심볼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파일럿 심볼은, 예컨대, PSK(Phase Shift Keying)의 심볼이고, 이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 장치가 채널 추정(전반로 변동의 추정), 주파수 오프셋ㆍ위상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이고, 예컨대, 도 1의 송신 장치와, 도 4의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 장치가 파일럿 심볼의 송신 방법을 공유하고 있으면 된다.
그런데, 매핑 후의 신호(201A)(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1))를 "스트림#1"이라고 이름 붙이고, 매핑 후의 신호(201B)(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2))를 "스트림#2"라고 이름 붙인다. 또, 이 점은, 이후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볼(402)은, 도 2에 의한 신호 처리로 생성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상당하는 심볼이고, 따라서, 데이터 심볼(402)은, ""스트림#1"의 심볼과 "스트림#2"의 심볼의 양쪽을 포함한 심볼" 또는 ""스트림#1"의 심볼" 또는 ""스트림#2"의 심볼" 중 하나이고, 이것은, 가중 합성부(203)에서 사용하는 프리코딩 행렬의 구성에 의해 정해진다.
그 외의 심볼(403)은, 도 2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신호(242) 및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에 상당하는 심볼인 것으로 한다. 단, 그 외의 심볼이, 프리앰블, 제어 정보 심볼 이외의 심볼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이때, 프리앰블은, (제어용의)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좋고,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정보 심볼은, 도 4의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 장치가, 데이터 심볼의 복조 및 복호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 심볼이 된다.
예컨대, 도 4에 있어서의 시각 $1로부터 시각 $4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은,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그리고, 시각 $5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11은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이후, 시각 $5의 캐리어 12는 파일럿 심볼(401)이 되고, 시각 $5의 캐리어 13으로부터 캐리어 23은 데이터 심볼(402)이 되고, 시각 $5의 캐리어 24는 파일럿 심볼(401)이 되고, …, 시각 $6의 캐리어 1ㆍ캐리어 2는 데이터 심볼(402)이 되고, 시각 $6의 캐리어 3은 파일럿 심볼(401)이 되고, …, 시각 $11의 캐리어 30은 파일럿 심볼(401)이 되고, 시각 $11의 캐리어 31로부터 캐리어 36은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5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이다. 도 5에 있어서, 가로축은 주파수(캐리어), 세로축은 시간이다. OFDM 등의 멀티 캐리어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캐리어 방향에 심볼이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도 5에서는,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심볼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시각 $1로부터 시각 $11의 심볼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501은 파일럿 심볼(도 2의 파일럿 신호(251B)(pb(t)에 상당한다)), 502는 데이터 심볼, 503은 그 외의 심볼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파일럿 심볼은, 예컨대, PSK의 심볼이고, 이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 장치가 채널 추정(전반로 변동의 추정), 주파수 오프셋ㆍ위상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이고, 예컨대, 도 1의 송신 장치와, 도 5의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 장치가 파일럿 심볼의 송신 방법을 공유하고 있으면 된다.
데이터 심볼(502)은, 도 2에 의한 신호 처리로 생성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상당하는 심볼이고, 따라서, 데이터 심볼(502)은, ""스트림#1"의 심볼과 "스트림#2"의 심볼의 양쪽을 포함한 심볼" 또는 ""스트림#1"의 심볼" 또는 ""스트림#2"의 심볼" 중 하나이고, 이것은, 가중 합성부(203)에서 사용하는 프리코딩 행렬의 구성에 의해 정해진다.
그 외의 심볼(503)은, 도 2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신호(252) 및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에 상당하는 심볼인 것으로 한다. 단, 그 외의 심볼이, 프리앰블, 제어 정보 심볼 이외의 심볼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이때, 프리앰블은 (제어용의)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좋고,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정보 심볼은, 도 5의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 장치가 데이터 심볼의 복조 및 복호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 심볼이 된다.
예컨대, 도 5에 있어서의 시각 $1로부터 시각 $4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은,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그리고, 시각 $5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11은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이후, 시각 $5의 캐리어 12는 파일럿 심볼(401)이 되고, 시각 $5의 캐리어 13으로부터 캐리어 23은 데이터 심볼(402)이 되고, 시각 $5의 캐리어 24는 파일럿 심볼(401)이 되고, …, 시각 $6의 캐리어 1ㆍ캐리어 2는 데이터 심볼(402)이 되고, 시각 $6의 캐리어 3은 파일럿 심볼(401)이 되고, …, 시각 $11의 캐리어 30은 파일럿 심볼(401)이 되고, 시각 $11의 캐리어 31로부터 캐리어 36은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4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하고, 도 5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했을 때, 도 4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과 도 5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은,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로 송신된다. 또, 프레임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도 5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어디까지나, 도 4, 도 5는 프레임 구성의 예이다.
그리고, 도 4, 도 5에 있어서의 그 외의 심볼은, "도 2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에 상당하는 심볼이고, 따라서, 도 4의 그 외의 심볼(403)과 동일 시각, 또한, 동일 주파수(동일 캐리어)의 도 5의 그 외의 심볼(503)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동일한 데이터(동일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다.
또, 도 4의 프레임과 도 5의 프레임을 수신 장치는 동시에 수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도 4의 프레임만 또는 도 5의 프레임만을 수신하더라도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도 6은 도 2의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정보 생성에 관한 부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 정보용 매핑부(602)는, 제어 정보에 관한 데이터(601), 제어 신호(6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600)에 근거한 변조 방식으로, 제어 정보에 관한 데이터(601)에 대하여, 매핑을 실시하고, 제어 정보용 매핑 후의 신호(603)를 출력한다. 또, 제어 정보용 매핑 후의 신호(603)는, 도 2의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에 상당한다.
도 7은 도 1의 안테나부#A(109_A), 안테나부#B(109_B)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안테나부#A(109_A), 안테나부#B(109_B)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예이다.
분배부(702)는, 송신 신호(701)를 입력으로 하여, 분배를 행하고, 송신 신호(703_1, 703_2, 703_3, 703_4)를 출력한다.
승산부(704_1)는, 송신 신호(703_1) 및 제어 신호(7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700)에 포함되는 승산 계수의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 신호(703_1)에 승산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후의 신호(705_1)를 출력하고, 승산 후의 신호(705_1)는, 전파로서 안테나(706_1)로부터 출력된다.
송신 신호(703_1)를 Tx1(t)(t : 시간), 승산 계수를 W1(W1은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 따라서, 실수이더라도 좋다)로 하면, 승산 후의 신호(705_1)는, Tx1(t)×W1로 나타내어진다.
승산부(704_2)는, 송신 신호(703_2) 및 제어 신호(7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700)에 포함되는 승산 계수의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 신호(703_2)에 승산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후의 신호(705_2)를 출력하고, 승산 후의 신호(705_2)는, 전파로서 안테나(706_2)로부터 출력된다.
송신 신호(703_2)를 Tx2(t), 승산 계수를 W2(W2는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 따라서, 실수이더라도 좋다)로 하면, 승산 후의 신호(705_2)는, Tx2(t)×W2로 나타내어진다.
승산부(704_3)는, 송신 신호(703_3) 및 제어 신호(7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700)에 포함되는 승산 계수의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 신호(703_3)에 승산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후의 신호(705_3)를 출력하고, 승산 후의 신호(705_3)는, 전파로서 안테나(706_3)로부터 출력된다.
송신 신호(703_3)를 Tx3(t), 승산 계수를 W3(W3은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 따라서, 실수이더라도 좋다)으로 하면, 승산 후의 신호(705_3)는 Tx3(t)×W3으로 나타내어진다.
승산부(704_4)는, 송신 신호(703_4) 및 제어 신호(7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700)에 포함되는 승산 계수의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 신호(703_4)에 승산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후의 신호(705_4)를 출력하고, 승산 후의 신호(705_4)는, 전파로서 안테나(706_4)로부터 출력된다.
송신 신호(703_4)를 Tx4(t), 승산 계수를 W4(W4는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 따라서, 실수이더라도 좋다)로 하면, 승산 후의 신호(705_4)는, Tx4(t)×W4로 나타내어진다.
또, "W1의 절대치, W2의 절대치, W3의 절대치, W4의 절대치가 동일"하더라도 좋다. 이때, 위상 변경이 행해진 것에 상당한다. 당연하지만, W1의 절대치, W2의 절대치, W3의 절대치, W4의 절대치는 동일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도 7에서는, 안테나부는, 4개의 안테나(및 4개의 승산부)로 구성되어 있는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안테나의 개수는 4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2개 이상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그리고, 도 1의 안테나부#A(109_A)의 구성이 도 7일 때, 송신 신호(701)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A)에 상당한다. 또한, 도 1의 안테나부#B(109_B)의 구성이 도 7일 때, 송신 신호(701)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B)에 상당한다. 단, 안테나부#A(109_A) 및 안테나부#B(109_B)는, 도 7과 같은 구성으로 하지 않더라도 좋고, 앞에도 기재한 바와 같이, 안테나부는,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하지 않더라도 좋다.
도 8은 도 1의 송신 장치가 예컨대, 도 4, 도 5의 프레임 구성의 송신 신호를 송신했을 때, 그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무선부(803X)는, 안테나부#X(801X)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802X)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변환, 푸리에 변환 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베이스밴드 신호(804X)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무선부(803Y)는, 안테나부#Y(801Y)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802Y)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변환, 푸리에 변환 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베이스밴드 신호(804Y)를 출력한다.
또, 안테나부#X(801X) 및 안테나부#Y(801Y)는, 제어 신호(810)를 입력으로 하는 구성을 도 8에서는 기재하고 있지만, 제어 신호(810)를 입력으로 하지 않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제어 신호(810)가 입력으로서 존재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런데, 도 9에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안테나(901_1, 901_2)는 송신 안테나이고, 도 9의 안테나(901_1)는 도 1의 안테나부#A(109_A)에 상당한다. 그리고, 도 9의 안테나(901_2)는 도 1의 안테나부#B(109_B)에 상당한다.
그리고, 도 9의 안테나(902_1, 902_2)는 수신 안테나이고, 도 9의 안테나(902_1)는 도 8의 안테나부#X(801X)에 상당한다. 그리고, 도 9의 안테나(902_2)는 도 8의 안테나부#Y(801Y)에 상당한다.
도 9와 같이, 송신 안테나(901_1)로부터 송신하는 신호를 u1(i), 송신 안테나(901_2)로부터 송신하는 신호를 u2(i), 수신 안테나(902_1)에서 수신하는 신호를 r1(i), 수신 안테나(902_2)에서 수신하는 신호를 r2(i)로 한다. 또, 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예컨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송신 안테나(901_1)로부터 수신 안테나(902_1)로의 전반 계수를 h11(i), 송신 안테나(901_1)로부터 수신 안테나(902_2)로의 전반 계수를 h21(i), 송신 안테나(901_2)로부터 수신 안테나(902_1)로의 전반 계수를 h12(i), 송신 안테나(901_2)로부터 수신 안테나(902_2)로의 전반 계수를 h22(i)로 한다. 그러면, 이하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수학식 37]
Figure pct00037
또, n1(i), n2(i)는 노이즈이다.
도 8의 변조 신호 u1의 채널 추정부(805_1)는, 베이스밴드 신호(804X)를 입력으로 하여, 도 4, 도 5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및/또는 파일럿 심볼을 이용하여, 변조 신호 u1의 채널 추정, 다시 말해, 식 (37)의 h11(i)를 추정하고, 채널 추정 신호(806_1)를 출력한다.
변조 신호 u2의 채널 추정부(805_2)는, 베이스밴드 신호(804X)를 입력으로 하여, 도 4, 도 5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및/또는 파일럿 심볼을 이용하여, 변조 신호 u2의 채널 추정, 다시 말해, 식 (37)의 h12(i)를 추정하고, 채널 추정 신호(806_2)를 출력한다.
변조 신호 u1의 채널 추정부(807_1)는, 베이스밴드 신호(804Y)를 입력으로 하여, 도 4, 도 5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및/또는 파일럿 심볼을 이용하여, 변조 신호 u1의 채널 추정, 다시 말해, 식 (37)의 h21(i)를 추정하고, 채널 추정 신호(808_1)를 출력한다.
변조 신호 u2의 채널 추정부(807_2)는, 베이스밴드 신호(804Y)를 입력으로 하여, 도 4, 도 5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및/또는 파일럿 심볼을 이용하여, 변조 신호 u2의 채널 추정, 다시 말해, 식 (37)의 h22(i)를 추정하고, 채널 추정 신호(808_2)를 출력한다.
제어 정보 복호부(809)는, 베이스밴드 신호(804X, 804Y)를 입력으로 하여, 도 4, 도 5에 있어서의 "그 외의 심볼"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하고, 제어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810)를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811)는, 채널 추정 신호(806_1, 806_2, 808_1, 808_2), 베이스밴드 신호(804X, 804Y), 제어 신호(810)를 입력으로 하여, 식 (37)의 관계를 이용하여, 또한, 제어 신호(810)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예컨대, 변조 방식, 오류 정정 부호 관련의 방식의 정보)에 근거하여, 복조 및 복호를 행하고, 수신 데이터(812)를 출력한다.
또, 제어 신호(810)는, 도 8과 같은 방법으로 생성한 것이 아니더라도 좋다. 예컨대, 도 8의 제어 신호(810)는, 도 8의 통신 상대(도 1)인 장치가 송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것이더라도 좋고, 도 8의 장치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것이더라도 좋다.
도 10은 도 8의 안테나부#X(801X), 안테나부#Y(801Y)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안테나부#X(801X), 안테나부#Y(801Y)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예이다.
승산부(1003_1)는, 안테나(1001_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1002_1), 제어 신호(10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1000)에 포함되는 승산 계수의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 신호(1002_1)에 승산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후의 신호(1004_1)를 출력한다.
수신 신호(1002_1)를 Rx1(t)(t : 시간), 승산 계수를 D1(D1은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 따라서, 실수이더라도 좋다)로 하면, 승산 후의 신호(1004_1)는, Rx1(t)×D1로 나타내어진다.
승산부(1003_2)는, 안테나(1001_2)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1002_2), 제어 신호(10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1000)에 포함되는 승산 계수의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 신호(1002_2)에 승산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후의 신호(1004_2)를 출력한다.
수신 신호(1002_2)를 Rx2(t), 승산 계수를 D2(D2는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 따라서, 실수이더라도 좋다)로 하면, 승산 후의 신호(1004_2)는, Rx2(t)×D2로 나타내어진다.
승산부(1003_3)는, 안테나(1001_3)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1002_3), 제어 신호(10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1000)에 포함되는 승산 계수의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 신호(1002_3)에 승산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후의 신호(1004_3)를 출력한다.
수신 신호(1002_3)를 Rx3(t), 승산 계수를 D3(D3은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 따라서, 실수이더라도 좋다)으로 하면, 승산 후의 신호(1004_3)는, Rx3(t)×D3으로 나타내어진다.
승산부(1003_4)는, 안테나(1001_4)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1002_4), 제어 신호(10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1000)에 포함되는 승산 계수의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 신호(1002_4)에 승산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후의 신호(1004_4)를 출력한다.
수신 신호(1002_4)를 Rx4(t), 승산 계수를 D4(D4는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 따라서, 실수이더라도 좋다)로 하면, 승산 후의 신호(1004_4)는, Rx4(t)×D4로 나타내어진다.
합성부(1005)는, 승산 후의 신호(1004_1, 1004_2, 1004_3, 1004_4)를 입력으로 하여, 승산 후의 신호(1004_1, 1004_2, 1004_3, 1004_4)를 합성하고, 합성 후의 신호(1006)를 출력한다. 또, 합성 후의 신호(1006)는, Rx1(t)×D1+Rx2(t)×D2+Rx3(t)×D3+Rx4(t)×D4로 나타내어진다.
도 10에서는, 안테나부는, 4개의 안테나(및 4개의 승산부)로 구성되는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안테나의 개수는 4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2개 이상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그리고, 도 8의 안테나부#X(801X)의 구성이 도 10일 때, 수신 신호(802X)는 도 10의 합성 신호(1006)에 상당하고, 제어 신호(710)는 도 10의 제어 신호(1000)에 상당한다. 또한, 도 8의 안테나부#Y(801Y)의 구성이 도 10일 때, 수신 신호(802Y)는 도 10의 합성 신호(1006)에 상당하고, 제어 신호(710)는 도 10의 제어 신호(1000)에 상당한다. 단, 안테나부#X(801X) 및 안테나부#Y(801Y)는, 도 10과 같은 구성으로 하지 않더라도 좋고, 앞에도 기재한 바와 같이 안테나부는, 제어 신호(710)를 입력으로 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 제어 신호(800)는, 통신 상대인 장치가 송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것이더라도 좋고, 장치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것이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도 1과 같이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B)와 위상 변경부(209B)를 삽입하고 있을 때의 특징과, 그때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계열을 이용하여 매핑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매핑 후의 신호 s1(i)(201A)(i는 심볼 번호이고,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와 제 2 계열을 이용하여 매핑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매핑 후의 신호 s2(i)(201B)에 대하여, 프리코딩(가중 합성)을 실시하고, 얻어진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204B) 중 한쪽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는 것이, 위상 변경부(205B)이다. 그리고,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와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는, 동일 주파수, 동일 시간에 송신된다. 따라서, 도 4, 도 5에 있어서, 도 5의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도 2의 경우, 위상 변경부(205B)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에 대하여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5의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다.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경우는, 도 4의 데이터 심볼(4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 점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예컨대, 도 11은 도 5의 프레임에 대하여,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5, 시각 $4로부터 시각 $6을 추출한 것이다. 또, 도 5와 마찬가지로, 501은 파일럿 심볼, 502는 데이터 심볼, 503은 그 외의 심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15(i)"라고 하고,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25(i)"라고 하고,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35(i)"라고 하고,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45(i)"라고 하고,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55(i)"라고 하고,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16(i)"라고 하고,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26(i)"라고 하고,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46(i)"라고 하고,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56(i)"라고 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2,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3,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4,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5,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3, 시각 $6)의 파일럿 심볼은,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대상이 아니다.
이 점이 위상 변경부(205B)의 특징적인 점이다. 또, 도 11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대상인,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과 "동일 캐리어, 동일 시각"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캐리어가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도 4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은 데이터 심볼이다. 다시 말해, MIMO 전송을 행하고 있는(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는) 데이터 심볼이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대상이다.
또, 위상 변경부(205B)가 데이터 심볼에 실시하는 위상 변경의 예로서, 식 (2)와 같이, 데이터 심볼에, 규칙적(위상 변경의 주기 N)인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이 있다. 단, 데이터 심볼에 실시하는 위상 변경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특히, LOS 환경일 때에, MIMO 전송을 행하고 있는(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는) 데이터 심볼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이 점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예컨대, 도 1의 매핑부(104)에서 사용하는 변조 방식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인 것으로 한다. 도 2의 매핑 후의 신호(201A)는 QPSK의 신호이고, 또한, 매핑 후의 신호(201B)도 QPSK의 신호가 된다. 다시 말해, 2개의 QPSK의 스트림을 송신한다. 그러면, 도 8의 신호 처리부(811)에서는, 예컨대, 채널 추정 신호(806_1, 806_2)를 이용하여, 16개의 후보 신호점을 얻는다. QPSK는 2비트를 전송할 수 있고, 2스트림에 의해, 합계 4비트를 전송한다. 따라서, 24=16개의 후보 신호점이 존재한다. 또, 채널 추정 신호(808_1, 808_2)를 이용하여, 다른 16개의 후보 신호점을 얻게 되지도 하지만, 설명은 마찬가지가 되기 때문에, 채널 추정 신호(806_1, 806_2)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16개의 후보 신호점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설명을 진행한다.
이때의 상태의 일례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A), 도 12(B), 모두 가로축은 동상 I, 세로축은 직교 Q이고, 동상 I-직교 Q 평면에 있어서, 16개의 후보 신호점이 존재한다. 16개의 후보 신호점 중, 하나가, 송신 장치가 송신한 신호점이다. 이 때문에, "16개의 후보 신호점"이라고 부르고 있다.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특히, LOS 환경일 때, 이하의 케이스를 생각할 수 있다.
제 1 케이스 :
도 2의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다시 말해, 도 2의 위상 변경부(205B)에 의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경우)
를 생각한다.
"제 1 케이스"의 경우, 위상 변경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도 12의 (A)와 같은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도 12(A)의 상태에 빠진 경우, "신호점 1201과 1202", "신호점 1203, 1204, 1205, 1206", "신호점 1207, 1208"과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 도 2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B)를 삽입하고 있다. 위상 변경부(205B)를 삽입하면, 심볼 번호 i에 의해, 도 12(A)와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는 심볼 번호와, 도 12(B)와 같이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심볼 번호가 혼재한다. 이 상태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를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오류 정정 능력을 얻을 수 있고,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높은 데이터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 도 2에 있어서,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 등, 데이터 심볼을 복조(검파)하기 위한, 채널 추정을 행하기 위한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에 대하여, 도 2의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심볼에 있어서, 심볼 번호 i에 의해, 도 12(A)와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는 심볼 번호와, 도 12(B)와 같이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심볼 번호가 혼재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단,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 등, 데이터 심볼을 복조(검파)하기 위한, 채널 추정을 행하기 위한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에 대하여, 도 2의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데이터 심볼에 있어서, "심볼 번호 i에 의해, 도 12(A)와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는 심볼 번호와, 도 12(B)와 같이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심볼 번호가 혼재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에 대하여, 어떠한 조건을 부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에 대한 위상 변경의 규칙과는 다른 규칙을 마련하여, "파일럿 심볼 및/또는 프리앰블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고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예로서,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주기 N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파일럿 심볼 및/또는 프리앰블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주기 M의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고 하는 방법이 있다(N, M은 2 이상의 정수가 된다).
앞에도 기재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x'(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x(i))는, x(i)=ej×ε(i)×x'(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이 케이스의 경우, 심볼 번호 i의 대상이 되는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프리앰블(그 외의 심볼) 등이 된다. 도 2의 경우,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5에 기재되어 있는 각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도 2의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경우는, 도 4에 기재되어 있는 각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 점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따라서, 도 5의 프레임에 있어서, 시각 $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마찬가지로,
"시각 $2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3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4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5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6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7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8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9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10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1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도 13은 도 1의 송신 신호(108_A)의 도 4와는 상이한 프레임 구성이다. 도 13에 있어서, 도 4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다. 도 13에 있어서, 가로축은 주파수(캐리어), 세로축은 시간이다. 도 4와 마찬가지로, OFDM 등의 멀티 캐리어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캐리어 방향에 심볼이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도 13에서는, 도 4와 마찬가지로,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심볼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3에서는, 도 4와 마찬가지로, 시각 $1로부터 시각 $11의 심볼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서는, 파일럿 심볼(401)(도 2의 파일럿 신호(251A)(pa(t)에 상당한다)), 데이터 심볼(402), 그 외의 심볼(403)에 더하여, 널 심볼(1301)을 삽입하고 있다.
널 심볼(1301)은, 동상 성분 I가 제로(0), 또한, 직교 성분 Q가 제로(0)인 것으로 한다. 또, 여기서는, "널 심볼"이라고 부르고 있지만, 이 부르는 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도 13에서는 널 심볼을 캐리어 19에 삽입하고 있다. 또, 널 심볼의 삽입 방법은, 도 13과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어느 특정한 시간에 널 심볼을 삽입하거나, 어느 특정한 주파수 및 시간 영역에 널 심볼을 삽입하거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연속적으로 널 심볼을 삽입하더라도 좋고,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이산적으로 널 심볼을 삽입하더라도 좋다.
도 14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B)의 도 5와는 상이한 프레임 구성이다. 도 14에 있어서, 도 5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다. 도 14에 있어서, 가로축은 주파수(캐리어), 세로축은 시간이다. 도 5와 마찬가지로, OFDM 등의 멀티 캐리어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캐리어 방향에 심볼이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도 14에서는, 도 5와 마찬가지로,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심볼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4에서는, 도 5와 마찬가지로, 시각 $1로부터 시각 $11의 심볼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서는, 파일럿 심볼(501)(도 2의 파일럿 신호(251B)(pb(t)에 상당한다)), 데이터 심볼(502), 그 외의 심볼(503)에 더하여, 널 심볼(1301)을 삽입하고 있다.
널 심볼(1301)은, 동상 성분 I가 제로(0), 또한, 직교 성분 Q가 제로(0)인 것으로 한다. 또, 여기서는, "널 심볼"이라고 부르고 있지만, 이 부르는 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도 14에서는 널 심볼을 캐리어 19에 삽입하고 있다. 또, 널 심볼의 삽입 방법은, 도 14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어느 특정한 시간에 널 심볼을 삽입하거나, 어느 특정한 주파수 및 시간 영역에 널 심볼을 삽입하거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연속적으로 널 심볼을 삽입하더라도 좋고,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이산적으로 널 심볼을 삽입하더라도 좋다.
도 13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하고, 도 14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했을 때, 도 13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과 도 14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은,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로 송신된다. 또, 도 13, 도 14의 프레임 구성은, 어디까지나 예이다.
그리고, 도 13, 도 14에 있어서의 그 외의 심볼은, "도 2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에 상당하는 심볼이고, 따라서, 도 13의 그 외의 심볼(403)과 동일 시각, 또한, 동일 주파수(동일 캐리어)의 도 14의 그 외의 심볼(503)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동일한 데이터(동일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다.
또, 도 13의 프레임과 도 14의 프레임을 수신 장치는 동시에 수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도 13의 프레임만 또는 도 14의 프레임만을 수신하더라도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x'(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x(i))는, x(i)=ej×ε(i)×x'(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때, 널 심볼도 위상 변경의 대상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케이스의 경우, 심볼 번호 i의 대상이 되는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프리앰블(그 외의 심볼), 널 심볼 등이 된다. 그러나, 널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위상 변경 전의 신호와 위상 변경 후의 신호는 동일하다(동상 성분 I는 제로(0), 또한, 직교 성분 Q는 제로(0)). 따라서, 널 심볼은 위상 변경의 대상이 아니라고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의 경우,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14에 기재되어 있는 각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도 2의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경우는, 도 13에 기재되어 있는 각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 점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따라서, 도 14의 프레임에 있어서, 시각 $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시각 $2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3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4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5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6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7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8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9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10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1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위상 변경부(209B)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를 Ω(i)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B)는 x'(i)이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는 x(i)이다. 따라서, x(i)=Ω(i)×x'(i)가 성립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의 값을 이하와 같이 설정한다. Q는 2 이상의 정수이고, Q는 위상 변경의 주기가 된다.
[수학식 38]
Figure pct00038
j는 허수 단위이다. 단, 식 (38)은, 어디까지나 예이고,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주기 Q를 갖도록 위상 변경을 행하도록 Ω(i)를 설정하더라도 좋다.
또한, 예컨대, 도 5, 도 14에 있어서, 동일 캐리어에 대하여, 동일한 위상 변경치를 주고, 캐리어마다 위상 변경치를 설정한다고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이하와 같이 된다.
ㆍ도 5, 도 14에 있어서의 캐리어 1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하기와 같이 한다.
[수학식 39]
Figure pct00039
ㆍ도 5, 도 14에 있어서의 캐리어 2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하기와 같이 한다.
[수학식 40]
Figure pct00040
ㆍ도 5, 도 14에 있어서의 캐리어 3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하기와 같이 한다.
[수학식 41]
Figure pct00041
ㆍ도 5, 도 14에 있어서의 캐리어 4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하기와 같이 한다.
[수학식 42]
Figure pct00042
이상이,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의 동작예가 된다.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의 그 외의 심볼(403, 503)에는, 제어 정보 심볼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앞에도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외의 심볼(403)과 동일 시각, 또한, 동일한 주파수(동일한 캐리어)의 도 5의 그 외의 심볼(503)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동일 데이터(동일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있다.
그런데, 이하의 경우를 생각한다.
케이스 2 :
제어 정보 심볼을, 도 1의 안테나부#A(109_A) 또는 안테나부#B(109_B)의 어느 한쪽의 안테나부를 이용하여 송신한다.
"케이스 2"와 같이 송신한 경우, 제어 정보 심볼을 송신하는 안테나 수가 1이기 때문에, "안테나부#A(109_A)와 안테나부#B(109_B)의 양자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심볼을 송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공간 다이버시티의 게인이 작아지기 때문에, "케이스 2"일 때, 도 8의 수신 장치로 수신하더라도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향상이라고 하는 점에서는, "안테나부#A(109_A)와 안테나부#B(109_B)의 양자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심볼을 송신하는" 쪽이 좋다.
케이스 3 :
제어 정보 심볼을, 도 1의 안테나부#A(109_A)와 안테나부#B(109_B)의 양자를 이용하여 송신한다. 단, 도 2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부(209B)에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
"케이스 3"과 같이 송신한 경우, 안테나부#A(109_A)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와 안테나부#B(109_B)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가 동일(또는, 특정한 위상의 어긋남이 있다)하기 때문에, 전파의 전반 환경에 따라서는, 도 8의 수신 장치는, 매우 열악한 수신 신호가 될 가능성이 있음과 아울러, 양자의 변조 신호가 동일한 멀티 패스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저하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이 과제를 경감하기 위해, 도 2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B)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시간 또는 주파수 방향으로, 위상을 변경하고 있기 때문에,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열악한 수신 신호가 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A(109_A)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가 받는 멀티 패스의 영향과 안테나부#B(109_B)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가 받는 멀티 패스의 영향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고, 이것에 의해,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이상의 이유로부터, 도 2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B)를 마련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다.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는, 제어 정보 심볼 이외에, 예컨대,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이, 제어 정보 심볼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하기 위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는, 파일럿 심볼(401, 501)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을 이용함으로써, 제어 정보 심볼을 보다 정밀하게 복조 및 복호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는,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의해, 동일 주파수(대), 동일 시간을 이용하여, 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다(MIMO 전송을 행하고 있다). 이들 데이터 심볼을 복조하기 위해서는,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을 이용한다.
이때,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은, 앞에도 말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다.
그와 같은 상황 중,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상술한 설명의 경우는,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이 처리를 반영시키지 않은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하는 경우, 위상 변경부(209B)에서 행한 위상 변경에 대한 처리를 반영시킨 복조 및 복호를 행할 필요가 있고, 그 처리는 복잡해질 가능성이 높다.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은, 위상 변경부(209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B)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상술한 설명의 경우는,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을 이용하여 추정한, 채널 추정 신호(전반로 변동의 추정 신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B)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상술한 설명의 경우는,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 경우, 멀티 패스에 있어서의, 주파수축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의 급격한 감소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심볼의 대상"과 "위상 변경부(209B)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심볼의 대상"이 상이한 점이 특징적인 점이 된다.
이상과 같이, 도 2의 위상 변경부(205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예컨대,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 심볼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이 향상됨과 아울러,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복조 및 복호의 동작이 간단해진다.
또, 도 2의 위상 변경부(205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 도 2에서는 위상 변경부(209B)가 삽입부(207B)의 후단에 마련되고,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상술한 위상 변경부(205B)에 의한 위상 변경의 효과 및 위상 변경부(209B)에 의한 위상 변경의 효과의 양쪽을 얻기 위한 구성은 도 2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도 2의 구성으로부터 위상 변경부(209B)를 제거하고, 삽입부(207B)로부터 출력되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로 하고, 삽입부(207A)의 후단에 위상 변경부(209B)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하는 위상 변경부(209A)를 추가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위상 변경부(209A)가 위상 변경을 실시한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를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로 한 구성의 변형예이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이더라도, 상술한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위상 변경부(205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부(209A)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 심볼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충 1)
실시의 형태 1 등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 B"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SD)이더라도 좋다고 기재했다. 이 점에 대하여, 보충 설명을 행한다.
도 15에 CDD(CSD)를 이용했을 때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1501은, 사이클릭 딜레이(Cyclic Delay)를 실시하지 않을 때의 변조 신호이고, X[n]이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사이클릭 딜레이부(순회 지연부)(1502_1)는, 변조 신호(1501)를 입력으로 하여, 사이클릭 딜레이(순회 지연)의 처리를 행하고, 사이클릭 딜레이 처리 후의 신호(1503_1)를 출력한다. 사이클릭 딜레이 처리 후의 신호(1503_1)를 X1[n]으로 하면, X1[n]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수학식 43]
Figure pct00043
또, δ1은 순회 지연량(δ1은 실수)이고, X[n]은, N개의 심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고(N은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따라서, n은 0 이상 N-1 이하의 정수로 한다.
사이클릭 딜레이부(순회 지연부)(1502_M)는, 변조 신호(1501)를 입력으로 하여, 사이클릭 딜레이(순회 지연)의 처리를 행하고, 사이클릭 딜레이 처리 후의 신호(1503_M)를 출력한다. 사이클릭 딜레이 처리 후의 신호(1503_M)를 XM[n]으로 하면, XM[n]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수학식 44]
Figure pct00044
또, δM은 순회 지연량이고(δM은 실수), X[n]은, N개의 심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고(N은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따라서, n은 0 이상 N-1 이하의 정수로 한다.
따라서, 사이클릭 딜레이부(순회 지연부)(1502_i)는(i는 1 이상 M 이하의 정수(M은 1 이상의 정수로 한다)), 변조 신호(1501)를 입력으로 하여, 사이클릭 딜레이(순회 지연)의 처리를 행하고, 사이클릭 딜레이 처리 후의 신호(1503_i)를 출력한다. 사이클릭 딜레이 처리 후의 신호(1503_i)를 Xi[n]으로 하면, Xi[n]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수학식 45]
Figure pct00045
또, δi는 순회 지연량이고(δi는 실수), X[n]은, N개의 심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고(N은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따라서, n은 0 이상 N-1 이하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사이클릭 딜레이 처리 후의 신호(1503_i)는 안테나 i로부터 송신된다. 따라서, 사이클릭 딜레이 처리 후의 신호(1503_1), …, 사이클릭 딜레이 처리 후의 신호(1503_M)는 각각 상이한 안테나로부터 송신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이클릭 딜레이에 의한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고(특히, 지연파의 악영향을 경감할 수 있고),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예컨대,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를, 도 15에 나타낸 사이클릭 딜레이부로 바꾸고, 위상 변경부(209B)의 동작을 사이클릭 딜레이부와 동일한 동작으로 하더라도 좋다.
따라서,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에 있어서, 순회 지연량 δ(δ는 실수)를 주고, 위상 변경부(209B)의 입력 신호를 Y[n]이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출력 신호를 Z[n]이라고 나타냈을 때, Z[n]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수학식 46]
Figure pct00046
또, Y[n]은, N개의 심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고(N은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따라서, n은 0 이상 N-1 이하의 정수로 한다.
다음으로, 순회 지연량과 위상 변경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OFDM에 CDD(CSD)를 적용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 OFDM을 이용했을 때의 캐리어 배치는, 도 16과 같이 하는 것으로 한다.
도 16에 있어서, 1601은 심볼이고, 가로축을 주파수(캐리어 번호)로 하고, 낮은 주파수로부터 높은 주파수로, 오름차순으로 캐리어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가장 낮은 주파수의 캐리어를 "캐리어 1"이라고 하면, 그것에 계속하여 "캐리어 2", "캐리어 3", "캐리어 4", …로 늘어서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예컨대, 도 2의 위상 변경부(209B)에 있어서, 순회 지연량 τ를 주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캐리어 i"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 Ω[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47]
Figure pct00047
또, μ는, 순회 지연량, FFT(Fast Fourier Transform) 사이즈 등으로부터 구할 수 있는 값이다.
그리고, 위상 변경 전(순회 지연 처리 전)의 "캐리어 i", 시각 t의 베이스밴드 신호를 v'[i][t]로 하면, 위상 변경 후의 "캐리어 i", 시각 t의 신호 v[i][t]는, v[i][t]=Ω[i]×v'[i][t]라고 나타낼 수 있다.
(보충 2)
당연하지만,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실시의 형태, 그 외의 내용을 복수 조합하여, 실시하더라도 좋다.
또한, 각 실시의 형태, 그 외의 내용에 대해서는, 어디까지나 예이고, 예컨대, "변조 방식,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사용하는 오류 정정 부호, 부호 길이, 부호화율 등), 제어 정보 등"을 예시하고 있더라도, 다른 "변조 방식,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사용하는 오류 정정 부호, 부호 길이, 부호화율 등), 제어 정보 등"을 적용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조 방식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고 있는 변조 방식 이외의 변조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실시의 형태, 그 외의 내용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APSK(Amplitude Phase Shift Keying)(예컨대, 16APSK, 64APSK, 128APSK, 256APSK, 1024APSK, 4096APSK 등),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예컨대, 4PAM, 8PAM, 16PAM, 64PAM, 128PAM, 256PAM, 1024PAM, 4096PAM 등), PSK(Phase Shift Keying)(예컨대, BPSK, QPSK, 8PSK, 16PSK, 64PSK, 128PSK, 256PSK, 1024PSK, 4096PSK 등),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예컨대, 4QAM, 8QAM, 16QAM, 64QAM, 128QAM, 256QAM, 1024QAM, 4096QAM 등) 등을 적용하더라도 좋고, 각 변조 방식에 있어서, 균일 매핑, 비균일 매핑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I-Q 평면에 있어서의 2개, 4개, 8개, 16개, 64개, 128개, 256개, 1024개 등의 신호점의 배치 방법(2개, 4개, 8개, 16개, 64개, 128개, 256개, 1024개 등의 신호점을 갖는 변조 방식)은, 본 명세서에서 나타낸 변조 방식의 신호점 배치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복수의 비트에 근거하여 동상 성분과 직교 성분을 출력한다고 하는 기능이 매핑부에서의 기능이 되고, 그 후, 프리코딩 및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본 개시의 하나의 유효한 기능이 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 "∃"가 존재하는 경우, "∀"는 전칭 기호(universal quantifier)를 나타내고 있고, "∃"는 존재 기호(existential quantifier)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복소 평면이 있는 경우, 예컨대, 편각과 같은, 위상의 단위는, "라디안(radian)"으로 하고 있다.
복소 평면을 이용하면, 복소수의 극좌표에 의한 표시로서 극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복소수 z=a+jb(a, b는 모두 실수이고, j는 허수 단위이다)에, 복소 평면 상의 점(a, b)를 대응시켰을 때, 이 점이 극좌표에서 [r, θ]로 나타내어진다면, a=r×cosθ, b=r×sinθ
[수학식 48]
Figure pct00048
이 성립되고, r은 z의 절대치(r=|z|)이고, θ가 편각(argument)이 된다. 그리고, z=a+jb는, r×e로 나타내어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의 수신 장치와 안테나가 별개로 되어 있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예컨대, 안테나로 수신한 신호 또는 안테나로 수신한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변환을 실시한 신호를, 케이블을 통해서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수신 장치가 구비하고, 수신 장치는 그 후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수신 장치가 얻은 데이터ㆍ정보는, 그 후, 영상이나 소리로 변환되고, 디스플레이(모니터)에 표시되거나, 스피커로부터 소리가 출력되거나 한다. 또한, 수신 장치가 얻은 데이터ㆍ정보는, 영상이나 소리에 관한 신호 처리가 실시되고(신호 처리를 실시하지 않더라도 좋다), 수신 장치가 구비하는 RCA 단자(영상 단자, 음용 단자), USB(Universal Serial Bus), HDMI(등록상표)(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디지털용 단자 등으로부터 출력되더라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송신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은, 예컨대, 방송국,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단말, 휴대 전화(mobile phone) 등의 통신ㆍ방송 기기인 것을 생각할 수 있고, 이때, 수신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은, 텔레비전, 라디오, 단말,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등의 통신 기기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송신 장치, 수신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고 있는 기기이고, 그 기기가, 텔레비전, 라디오,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에 어떠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할 수 있는 형태인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심볼 이외의 심볼, 예컨대, 파일럿 심볼(프리앰블, 유니크 워드, 포스트앰블, 레퍼런스 심볼 등), 제어 정보용의 심볼 등이, 프레임에 어떻게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그리고, 여기서는,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용의 심볼이라고 이름 붙이고 있지만, 어떠한 이름 붙이는 방법을 행하더라도 좋고, 기능 자체가 중요하게 되어 있다.
파일럿 심볼은, 예컨대, 송수신기에 있어서, PSK 변조를 이용하여 변조한 기지의 심볼(또는, 수신기가 동기를 취하는 것에 의해, 수신기는, 송신기가 송신한 심볼을 알 수 있더라도 좋다.)이면 되고, 수신기는, 이 심볼을 이용하여,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 (각 변조 신호의) 채널 추정(CSI(Channel State Information)의 추정), 신호의 검출 등을 행한다.
또한, 제어 정보용의 심볼은, (애플리케이션 등의) 데이터 이외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 상대에게 전송할 필요가 있는 정보(예컨대, 통신에 이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ㆍ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ㆍ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의 부호화율, 상위 레이어에서의 설정 정보 등)를 전송하기 위한 심볼이다.
또, 본 개시는 각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로서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통신 방법을 소프트웨어로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2개의 변조 신호를 2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프리코딩 전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4개의 매핑 후의 신호에 대하여, 프리코딩을 행하고, 4개의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4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방법, 다시 말해, N개의 매핑 후의 신호에 대하여, 프리코딩을 행하고, N개의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N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프리코딩 웨이트(행렬)를 변경하는, 프리코딩 전환 방법으로서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프리코딩", "프리코딩 웨이트" 등의 용어를 이용하고 있지만, 부르는 방법 자체는, 어떠한 것이더라도 좋고, 본 개시에서는, 그 신호 처리 자체가 중요하게 된다.
스트림 s1(t), s2(t)에 의해, 상이한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좋고,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좋다.
송신 장치의 송신 안테나, 수신 장치의 수신 안테나, 모두,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1개의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에 의해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송신 장치는, 수신 장치에 대하여, 송신 방법(MIMO, SISO, 시공간 블록 부호, 인터리브 방식), 변조 방식,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을 통지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실시의 형태에 따라서는 생략되고 있다. 이것은,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프레임에 존재한다. 수신 장치는 이것을 얻음으로써, 동작을 변경한다.
또, 예컨대, 상기 통신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미리 ROM(Read Only Memory)에 저장하여 두고, 그 프로그램을 CPU(Central Processor Unit)에 의해 동작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통신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하고,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컴퓨터의 RAM(Random Access Memory)에 기록하여, 컴퓨터를 그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상기의 각 실시의 형태 등의 각 구성은,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서 실현되더라도 좋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1칩화되더라도 좋고, 각 실시의 형태의 모든 구성 또는 일부의 구성을 포함하도록 1칩화되더라도 좋다. 여기서는, LSI로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Integrated Circuit),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일도 있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하더라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를 대체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하더라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본 개시는,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각각 상이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시스템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송신 개소를 갖는 유선 통신 시스템(예컨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시스템, 광통신 시스템, DSL(Digital Subscriber Line : 디지털 가입자선) 시스템)에 있어서, MIMO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도 2와는 상이한 구성의 실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예컨대,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방송국 등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이고,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신호 처리부(106)는, 매핑 후의 신호(105_1, 105_2), 신호군(110),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100)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고,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를 출력한다. 이때,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를 u1(i),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를 u2(i)라고 나타낸다(i는 심볼 번호이고, 예컨대,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 신호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도 1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106)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가중 합성부(프리코딩부)(203)는, 매핑 후의 신호(201A)(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1)에 상당한다) 및 매핑 후의 신호(201B)(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2)에 상당한다) 및 제어 신호(200)(도 1의 제어 신호(100)에 상당한다)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가중 합성(프리코딩)을 행하고, 가중 후의 신호(204A) 및 가중 후의 신호(204B)를 출력한다. 이때, 매핑 후의 신호(201A)를 s1(t), 매핑 후의 신호(201B)를 s2(t), 가중 후의 신호(204A)를 z1(t), 가중 후의 신호(204B)를 z2'(t)라고 나타낸다. 또, t는 일례로서, 시간으로 한다. s1(t), s2(t), z1(t), z2'(t)는 복소수로 정의되는 것으로 한다(따라서, 실수이더라도 좋다).
여기서는, 시간의 함수로서 취급하고 있지만 "주파수(캐리어 번호)"의 함수로 하더라도 좋고, "시간ㆍ주파수"의 함수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심볼 번호"의 함수로 하더라도 좋다. 이 점은, 실시의 형태 1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가중 합성부(프리코딩부)(203)는, 식 (1)의 연산을 행한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를 출력한다. 또,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를 z2(t)로 나타내고, z2(t)는 복소수로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실수이더라도 좋다).
위상 변경부(205B)의 구체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상 변경부(205B)에서는, 예컨대, z2'(i)에 대하여 y(i)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z2(i)=y(i)×z2'(i)라고 나타낼 수 있다(i는 심볼 번호(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의 값을 식 (2)와 같이 설정한다.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N은 위상 변경의 주기가 된다. N은 3 이상의 홀수로 설정하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다. 단, 식 (2)는, 어디까지나 예이고,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위상 변경치 y(i)=ej×δ(i)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때 z1(i) 및 z2(i)는 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 δ(i)는 실수이다. 그리고, z1(i)와 z2(i)는,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동일 주파수대)로,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식 (3)에 있어서, 위상 변경의 값은, 식 (2)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주기적, 규칙적으로 위상을 변경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 (1) 및 식 (3)에 있어서의(프리코딩) 행렬로서는, 식 (5)로부터 식 (36)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단, 프리코딩 행렬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의 형태 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삽입부(207A)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파일럿 심볼 신호(pa(t))(t : 시간)(251A),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근거하여,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 파일럿 심볼 신호(pb(t))(251B),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근거하여,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한다.
위상 변경부(209A)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x'(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x(i))는, x(i)=ej×ε(i)×x'(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또, 실시의 형태 1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A)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도 3은 도 1의 무선부(107_A, 107_B)의 구성의 일례이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하고, 도 5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했을 때, 도 4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과 도 5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은,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로 송신된다. 또, 프레임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도 5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어디까지나, 도 4, 도 5는 프레임 구성의 예이다.
그리고, 도 4, 도 5에 있어서의 그 외의 심볼은, "도 2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에 상당하는 심볼이고, 따라서, 도 4의 그 외의 심볼(403)과 동일 시각, 또한, 동일 주파수(동일 캐리어)의 도 5의 그 외의 심볼(503)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동일한 데이터(동일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다.
또, 도 4의 프레임과 도 5의 프레임을 수신 장치는 동시에 수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도 4의 프레임만 또는 도 5의 프레임만을 수신하더라도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도 6은 도 2의 제어 정보 신호(253)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정보 생성에 관한 부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도 1의 안테나부#A(109_A), 안테나부#B(109_B)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안테나부#A(109_A), 안테나부#B(109_B)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예이다. 도 7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1의 송신 장치가, 예컨대, 도 4, 도 5의 프레임 구성의 송신 신호를 송신했을 때, 그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도 8의 안테나부#X(801X), 안테나부#Y(801Y)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안테나부#X(801X), 안테나부#Y(801Y)가 복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예이다. 도 10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1과 같이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B)와 위상 변경부(209A)를 삽입하고 있다. 그 특징과, 그때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계열을 이용하여 매핑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매핑 후의 신호 s1(i)(201A)(i는 심볼 번호이고,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와 제 2 계열을 이용하여 매핑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매핑 후의 신호 s2(i)(201B)에 대하여, 프리코딩(가중 합성)을 실시하고, 얻어진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204B) 중 한쪽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는 것이, 위상 변경부(205B)이다. 그리고,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와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는, 동일 주파수, 동일 시간에 송신된다. 따라서, 도 4, 도 5에 있어서, 도 5의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도 18의 경우, 위상 변경부(205)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5의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다.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경우는, 도 4의 데이터 심볼(4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 점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예컨대, 도 11은 도 5의 프레임에 대하여,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5, 시각 $4로부터 시각 $6을 추출한 것이다. 또, 도 5와 마찬가지로, 501은 파일럿 심볼, 502는 데이터 심볼, 503은 그 외의 심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15(i)"라고 하고,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25(i)"라고 하고,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35(i)"라고 하고,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45(i)"라고 하고,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55(i)"라고 하고,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16(i)"라고 하고,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26(i)"라고 하고,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46(i)"라고 하고,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56(i)"라고 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2,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3,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4,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5,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3, 시각 $6)의 파일럿 심볼은,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대상이 아니다.
이 점이 위상 변경부(205B)의 특징적인 점이다. 또, 도 11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대상인,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과 "동일 캐리어, 동일 시각"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캐리어가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도 4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은 데이터 심볼이다. 다시 말해, MIMO 전송을 행하고 있는(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는) 데이터 심볼이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대상이다.
또, 위상 변경부(205B)가 데이터 심볼에 실시하는 위상 변경의 예로서, 식 (2)와 같이, 데이터 심볼에, 규칙적(위상 변경의 주기 N)인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이 있다. 단, 데이터 심볼에 실시하는 위상 변경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특히, LOS 환경일 때에, MIMO 전송을 행하고 있는(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는) 데이터 심볼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이 점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예컨대, 도 1의 매핑부(104)에서 사용하는 변조 방식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인 것으로 한다. 도 18의 매핑 후의 신호(201A)는 QPSK의 신호이고, 또한, 매핑 후의 신호(201B)도 QPSK의 신호가 된다. 다시 말해, 2개의 QPSK의 스트림을 송신한다. 그러면, 도 8의 신호 처리부(811)에서는, 예컨대, 채널 추정 신호(806_1, 806_2)를 이용하여, 16개의 후보 신호점을 얻는다. QPSK는 2비트를 전송할 수 있고, 2스트림에 의해, 합계 4비트를 전송한다. 따라서, 24=16개의 후보 신호점이 존재한다. 또, 채널 추정 신호(808_1, 808_2)를 이용하여, 다른 16개의 후보 신호점을 얻게 되기도 하지만, 설명은 마찬가지가 되기 때문에, 채널 추정 신호(806_1, 806_2)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16개의 후보 신호점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설명을 진행한다.
이때의 상태의 일례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A), 도 12(B), 모두 가로축은 동상 I, 세로축은 직교 Q이고, 동상 I-직교 Q 평면에 있어서, 16개의 후보 신호점이 존재한다. 16개의 후보 신호점 중, 하나가, 송신 장치가 송신한 신호점이다. 이 때문에, "16개의 후보 신호점"이라고 부르고 있다.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특히, LOS 환경일 때,
제 1 케이스 :
도 18의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다시 말해, 도 18의 위상 변경부(205B)에 의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한다.
"제 1 케이스"의 경우, 위상 변경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도 12의 (A)와 같은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도 12(A)의 상태에 빠진 경우, "신호점 1201과 1202", "신호점 1203, 1204, 1205, 1206", "신호점 1207, 1208"과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 도 18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B)를 삽입하고 있다. 위상 변경부(205B)를 삽입하면, 심볼 번호 i에 의해, 도 12(A)와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는 심볼 번호와, 도 12(B)와 같이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심볼 번호가 혼재한다. 이 상태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를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오류 정정 능력을 얻을 수 있고,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높은 데이터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 도 18에 있어서,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 등, 데이터 심볼을 복조(검파)하기 위한, 채널 추정을 행하기 위한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에 대하여, 도 18의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심볼에 있어서, "심볼 번호 i에 의해, 도 12(A)와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는 심볼 번호와, 도 12(B)와 같이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심볼 번호가 혼재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단,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 등, 데이터 심볼을 복조(검파)하기 위한, 채널 추정을 행하기 위한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에 대하여, 도 18의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데이터 심볼에 있어서, "심볼 번호 i에 의해, 도 12(A)와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는 심볼 번호와, 도 12(B)와 같이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심볼 번호가 혼재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에 대하여, 어떠한 조건을 부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에 대한 위상 변경의 규칙과는 다른 규칙을 마련하여, "파일럿 심볼 및/또는 프리앰블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고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예로서,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주기 N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파일럿 심볼 및/또는 프리앰블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주기 M의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고 하는 방법이 있다(N, M은 2 이상의 정수가 된다).
앞에도 기재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A)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x'(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x(i))는, x(i)=ej×ε(i)×x'(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이 케이스의 경우, 심볼 번호 i의 대상이 되는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프리앰블(그 외의 심볼) 등이 된다. 도 18의 경우, 위상 변경부(209A)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4에 기재되어 있는 각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4의 프레임에 있어서, 시각 $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마찬가지로,
"시각 $2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3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4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5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6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7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8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9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10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1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도 13은 도 1의 송신 신호(108_A)의 도 4와는 상이한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B)의 도 5와는 상이한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하고, 도 14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했을 때, 도 13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과 도 14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은,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로 송신된다. 또, 도 13, 도 14의 프레임 구성은, 어디까지나 예이다.
그리고, 도 13, 도 14에 있어서의 그 외의 심볼은, "도 18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에 상당하는 심볼이고, 따라서, 도 13의 그 외의 심볼(403)과 동일 시각, 또한, 동일 주파수(동일 캐리어)의 도 14의 그 외의 심볼(503)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동일한 데이터(동일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다.
또, 도 13의 프레임과 도 14의 프레임을 수신 장치는 동시에 수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도 13의 프레임만 또는 도 14의 프레임만을 수신하더라도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위상 변경부(209A)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x'(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x(i))는, x(i)=ej×ε(i)×x'(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때, 널 심볼도 위상 변경의 대상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케이스의 경우, 심볼 번호 i의 대상이 되는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프리앰블(그 외의 심볼), 널 심볼 등이 된다. 그러나, 널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위상 변경 전의 신호와 위상 변경 후의 신호는 동일하다(동상 성분 I는 제로(0), 또한, 직교 성분 Q는 제로(0)). 따라서, 널 심볼은 위상 변경의 대상이 아니라고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의 경우, 위상 변경부(209A)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13에 기재되어 있는 각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13의 프레임에 있어서, 시각 $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시각 $2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3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4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5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6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7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8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9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10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1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위상 변경부(209A)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를 Ω(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A)는 x'(i)이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는 x(i)이다. 따라서, x(i)=Ω(i)×x'(i)가 성립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의 값을 식 (38)로 설정한다. Q는 2 이상의 정수이고, Q는 위상 변경의 주기가 된다. j는 허수 단위이다. 단, 식 (38)은, 어디까지나 예이고,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주기 Q를 갖도록 위상 변경을 행하도록 Ω(i)를 설정하더라도 좋다.
또한, 예컨대, 도 4, 도 13에 있어서, 동일 캐리어에 대하여, 동일한 위상 변경치를 주고, 캐리어마다 위상 변경치를 설정한다고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이하와 같이 된다.
ㆍ도 4, 도 13에 있어서의 캐리어 1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39)로 한다.
ㆍ도 4, 도 13에 있어서의 캐리어 2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0)으로 한다.
ㆍ도 4, 도 13에 있어서의 캐리어 3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1)로 한다.
ㆍ도 4, 도 13에 있어서의 캐리어 4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2)로 한다.
이상이,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의 동작예가 된다.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의 그 외의 심볼(403, 503)에는, 제어 정보 심볼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앞에도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외의 심볼(403)과 동일 시각, 또한, 동일한 주파수(동일한 캐리어)의 도 5의 그 외의 심볼(503)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동일 데이터(동일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있다.
그런데, 이하의 경우를 생각한다.
케이스 2 :
제어 정보 심볼을, 도 1의 안테나부#A(109_A) 또는 안테나부#B(109_B)의 어느 한쪽의 안테나부를 이용하여 송신한다.
"케이스 2"와 같이 송신한 경우, 제어 정보 심볼을 송신하는 안테나 수가 1이기 때문에, "안테나부#A(109_A)와 안테나부#B(109_B)의 양자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심볼을 송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공간 다이버시티의 게인이 작아지기 때문에, "케이스 2"일 때, 도 8의 수신 장치로 수신하더라도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향상이라고 하는 점에서는, "안테나부#A(109_A)와 안테나부#B(109_B)의 양자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심볼을 송신하는" 쪽이 좋다.
케이스 3 :
제어 정보 심볼을, 도 1의 안테나부#A(109_A)와 안테나부#B(109_B)의 양자를 이용하여 송신한다. 단, 도 18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부(209A)에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
"케이스 3"과 같이 송신한 경우, 안테나부#A(109_A)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와 안테나부#B(109_B)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가 동일(또는, 특정한 위상의 어긋남이 있다)하기 때문에, 전파의 전반 환경에 따라서는, 도 8의 수신 장치는, 매우 열악한 수신 신호가 될 가능성이 있음과 아울러, 양자의 변조 신호가 동일한 멀티 패스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저하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이 과제를 경감하기 위해, 도 18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A)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시간 또는 주파수 방향으로, 위상을 변경하고 있기 때문에,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열악한 수신 신호가 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A(109_A)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가 받는 멀티 패스의 영향과 안테나부#B(109_B)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가 받는 멀티 패스의 영향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고, 이것에 의해,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이상의 이유로부터, 도 18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A)를 마련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다.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는, 제어 정보 심볼 이외에, 예컨대,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이, 제어 정보 심볼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하기 위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는, 파일럿 심볼(401, 501)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을 이용함으로써, 제어 정보 심볼을 보다 정밀하게 복조 및 복호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는,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의해, 동일 주파수(대), 동일 시간을 이용하여, 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다(MIMO 전송을 행하고 있다). 이들 데이터 심볼을 복조하기 위해서는,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을 이용한다.
이때,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은, 앞에도 말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A)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다.
그와 같은 상황 중,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상술한 설명의 경우는, 데이터 심볼(402)에 대하여), 이 처리를 반영시키지 않은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하는 경우, 위상 변경부(209A)에서 행한 위상 변경에 대한 처리를 반영시킨 복조 및 복호를 행할 필요가 있고, 그 처리는 복잡해질 가능성이 높다.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은, 위상 변경부(209A)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A)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상술한 설명의 경우는, 데이터 심볼(4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을 이용하여 추정한, 채널 추정 신호(전반로 변동의 추정 신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A)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상술한 설명의 경우는, 데이터 심볼(4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 경우, 멀티 패스에 있어서의, 주파수축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의 급격한 감소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심볼의 대상"과 "위상 변경부(209A)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심볼의 대상"이 상이한 점이 특징적인 점이 된다.
이상과 같이, 도 18의 위상 변경부(205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예컨대,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 심볼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이 향상됨과 아울러,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복조 및 복호의 동작이 간단해진다.
또, 도 18의 위상 변경부(205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도 18의 위상 변경부(209A)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 식 (38)에 있어서의 Q는 -2 이하의 정수이더라도 좋고, 이때, 위상 변경의 주기는, Q의 절대치가 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도 2와는 상이한 구성의 실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예컨대,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방송국 등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이고,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신호 처리부(106)는, 매핑 후의 신호(105_1, 105_2), 신호군(110),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100)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고,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를 출력한다. 이때,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를 u1(i),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를 u2(i)라고 나타낸다(i는 심볼 번호이고, 예컨대,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 신호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도 1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106)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가중 합성부(프리코딩부)(203)는, 매핑 후의 신호(201A)(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1)에 상당한다) 및 매핑 후의 신호(201B)(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2)에 상당한다) 및 제어 신호(200)(도 1의 제어 신호(100)에 상당한다)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가중 합성(프리코딩)을 행하고, 가중 후의 신호(204A) 및 가중 후의 신호(204B)를 출력한다. 이때, 매핑 후의 신호(201A)를 s1(t), 매핑 후의 신호(201B)를 s2(t), 가중 후의 신호(204A)를 z1(t), 가중 후의 신호(204B)를 z2'(t)라고 나타낸다. 또, t는 일례로서, 시간으로 한다. s1(t), s2(t), z1(t), z2'(t)는 복소수로 정의되는 것으로 한다(따라서, 실수이더라도 좋다).
여기서는, 시간의 함수로서 취급하고 있지만 "주파수(캐리어 번호)"의 함수로 하더라도 좋고, "시간ㆍ주파수"의 함수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심볼 번호"의 함수로 하더라도 좋다. 이 점은, 실시의 형태 1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가중 합성부(프리코딩부)(203)는, 식 (1)의 연산을 행한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를 출력한다. 또,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를 z2(t)로 나타내고, z2(t)는 복소수로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실수이더라도 좋다).
위상 변경부(205B)의 구체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상 변경부(205B)에서는, 예컨대, z2'(i)에 대하여 y(i)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z2(i)=y(i)×z2'(i)라고 나타낼 수 있다(i는 심볼 번호(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의 값을 식 (2)와 같이 설정한다.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N은 위상 변경의 주기가 된다. N은 3 이상의 홀수로 설정하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다. 단, 식 (2)는, 어디까지나 예이고,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위상 변경치 y(i)=ej×δ(i)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때 z1(i) 및 z2(i)는 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 δ(i)는 실수이다. 그리고, z1(i)와 z2(i)는,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동일 주파수대)로,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식 (3)에 있어서, 위상 변경의 값은, 식 (2)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주기적, 규칙적으로 위상을 변경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 (1) 및 식 (3)에 있어서의 (프리코딩) 행렬로서는, 식 (5)로부터 식 (36)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단, 프리코딩 행렬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의 형태 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삽입부(207A)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파일럿 심볼 신호(pa(t))(t : 시간)(251A),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근거하여,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 파일럿 심볼 신호(pb(t))(251B),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근거하여,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한다.
위상 변경부(209A)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x'(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x(i))는, x(i)=ej×ε(i)×x'(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또, 실시의 형태 1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A)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y'(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y(i))는, y(i)=ej×τ(i)×y'(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또, 실시의 형태 1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B)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여기서의 특징적인 점은, ε(i)에 의한 위상 변경 방법과 τ(i)에 의한 위상 변경 방법이 상이한 점이다. 또는, 위상 변경부(209A)에서 설정하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의 순회 지연량의 값과 위상 변경부(209B)에서 설정하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의 순회 지연량의 값이 상이한 점이다.
도 3은 도 1의 무선부(107_A, 107_B)의 구성의 일례이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하고, 도 5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했을 때, 도 4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과 도 5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은,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로 송신된다. 또, 프레임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도 5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어디까지나, 도 4, 도 5는 프레임 구성의 예이다.
그리고, 도 4, 도 5에 있어서의 그 외의 심볼은, "도 2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에 상당하는 심볼이고, 따라서, 도 4의 그 외의 심볼(403)과 동일 시각, 또한, 동일 주파수(동일 캐리어)의 도 5의 그 외의 심볼(503)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동일한 데이터(동일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다.
또, 도 4의 프레임과 도 5의 프레임을 수신 장치는 동시에 수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도 4의 프레임만 또는 도 5의 프레임만을 수신하더라도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도 6은 도 2의 제어 정보 신호(253)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정보 생성에 관한 부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도 1의 안테나부#A(109_A), 안테나부#B(109_B)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안테나부#A(109_A), 안테나부#B(109_B)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예이다.),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1의 송신 장치가, 예컨대, 도 4, 도 5의 프레임 구성의 송신 신호를 송신했을 때, 그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도 8의 안테나부#X(801X), 안테나부#Y(801Y)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안테나부#X(801X), 안테나부#Y(801Y)가 복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예이다.) 도 10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1과 같이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B)와 위상 변경부(209A, 209B)를 삽입하고 있다. 그 특징과, 그때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계열을 이용하여 매핑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매핑 후의 신호 s1(i)(201A)(i는 심볼 번호이고,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와 제 2 계열을 이용하여 매핑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매핑 후의 신호 s2(i)(201B)에 대하여, 프리코딩(가중 합성)을 실시하고, 얻어진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204B) 중 한쪽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는 것이, 위상 변경부(205B)이다. 그리고,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와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는, 동일 주파수, 동일 시간에 송신된다. 따라서, 도 4, 도 5에 있어서, 도 5의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도 19의 경우, 위상 변경부(205)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에 대하여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5의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다.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경우는, 도 4의 데이터 심볼(4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 점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예컨대, 도 11은 도 5의 프레임에 대하여,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5, 시각 $4로부터 시각 $6을 추출한 것이다. 또, 도 5와 마찬가지로, 501은 파일럿 심볼, 502는 데이터 심볼, 503은 그 외의 심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15(i)"라고 하고,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25(i)"라고 하고,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35(i)"라고 하고,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45(i)"라고 하고,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55(i)"라고 하고,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16(i)"라고 하고,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26(i)"라고 하고,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46(i)"라고 하고,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56(i)"라고 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2,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3,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4,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5,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3, 시각 $6)의 파일럿 심볼은,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대상이 아니다.
이 점이 위상 변경부(205B)의 특징적인 점이다. 또, 도 11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대상인,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과 "동일 캐리어, 동일 시각"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캐리어가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도 4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은 데이터 심볼이다. 다시 말해, MIMO 전송을 행하고 있는(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는) 데이터 심볼이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대상이다.
또, 위상 변경부(205B)가 데이터 심볼에 실시하는 위상 변경의 예로서, 식 (2)와 같이, 데이터 심볼에, 규칙적(위상 변경의 주기 N)인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이 있다. 단, 데이터 심볼에 실시하는 위상 변경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특히, LOS 환경일 때에, MIMO 전송을 행하고 있는(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는) 데이터 심볼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이 점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예컨대, 도 1의 매핑부(104)에서 사용하는 변조 방식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인 것으로 한다. 도 19의 매핑 후의 신호(201A)는 QPSK의 신호이고, 또한, 매핑 후의 신호(201B)도 QPSK의 신호가 된다. 다시 말해, 2개의 QPSK의 스트림을 송신한다. 그러면, 도 8의 신호 처리부(811)에서는, 예컨대, 채널 추정 신호(806_1, 806_2)를 이용하여, 16개의 후보 신호점을 얻는다. QPSK는 2비트를 전송할 수 있고, 2스트림에 의해, 합계 4비트를 전송한다. 따라서, 24=16개의 후보 신호점이 존재한다. 또, 채널 추정 신호(808_1, 808_2)를 이용하여, 다른 16개의 후보 신호점을 얻게 되기도 하지만, 설명은 마찬가지가 되기 때문에, 채널 추정 신호(806_1, 806_2)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16개의 후보 신호점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설명을 진행한다.
이때의 상태의 일례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A), 도 12(B), 모두 가로축은 동상 I, 세로축은 직교 Q이고, 동상 I-직교 Q 평면에 있어서, 16개의 후보 신호점이 존재한다. 16개의 후보 신호점 중, 하나가, 송신 장치가 송신한 신호점이다. 이 때문에, "16개의 후보 신호점"이라고 부르고 있다.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특히, LOS 환경일 때,
제 1 케이스 :
도 19의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다시 말해, 도 19의 위상 변경부(205B)에 의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한다.
"제 1 케이스"의 경우, 위상 변경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도 12의 (A)와 같은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도 12(A)의 상태에 빠진 경우, "신호점 1201과 1202", "신호점 1203, 1204, 1205, 1206", "신호점 1207, 1208"과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 도 19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B)를 삽입하고 있다. 위상 변경부(205B)를 삽입하면, 심볼 번호 i에 의해, 도 12(A)와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는 심볼 번호와, 도 12(B)와 같이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심볼 번호가 혼재한다. 이 상태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를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오류 정정 능력을 얻을 수 있고,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높은 데이터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 도 19에 있어서,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 등, 데이터 심볼을 복조(검파)하기 위한, 채널 추정을 행하기 위한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에 대하여, 도 19의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심볼에 있어서, "심볼 번호 i에 의해, 도 12(A)와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는 심볼 번호와, 도 12(B)와 같이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심볼 번호가 혼재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단,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 등, 데이터 심볼을 복조(검파)하기 위한, 채널 추정을 행하기 위한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에 대하여, 도 19의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데이터 심볼에 있어서, "심볼 번호 i에 의해, 도 12(A)와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는 심볼 번호와, 도 12(B)와 같이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심볼 번호가 혼재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에 대하여, 어떠한 조건을 부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에 대한 위상 변경의 규칙과는 다른 규칙을 마련하여, "파일럿 심볼 및/또는 프리앰블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고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예로서,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주기 N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파일럿 심볼 및/또는 프리앰블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주기 M의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고 하는 방법이 있다(N, M은 2 이상의 정수가 된다).
앞에도 기재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A)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x'(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x(i))는, x(i)=ej×ε(i)×x'(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이 케이스의 경우, 심볼 번호 i의 대상이 되는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프리앰블(그 외의 심볼) 등이 된다. 도 19의 경우, 위상 변경부(209A)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4에 기재되어 있는 각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4의 프레임에 있어서, 시각 $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마찬가지로,
"시각 $2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3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4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5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6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7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8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9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10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1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앞에도 기재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y'(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y(i))는, y(i)=ej×τ(i)×y'(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이 케이스의 경우, 심볼 번호 i의 대상이 되는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프리앰블(그 외의 심볼) 등이 된다. 도 19의 경우,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5에 기재되어 있는 각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5의 프레임에 있어서, 시각 $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마찬가지로,
"시각 $2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3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4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5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6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7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8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9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10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1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도 13은 도 1의 송신 신호(108_A)의 도 4와는 상이한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B)의 도 5와는 상이한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하고, 도 14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했을 때, 도 13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과 도 14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은,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로 송신된다. 또, 도 13, 도 14의 프레임 구성은, 어디까지나 예이다.
그리고, 도 13, 도 14에 있어서의 그 외의 심볼은, "도 19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에 상당하는 심볼이고, 따라서, 도 13의 그 외의 심볼(403)과 동일 시각, 또한, 동일 주파수(동일 캐리어)의 도 14의 그 외의 심볼(503)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동일한 데이터(동일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다.
또, 도 13의 프레임과 도 14의 프레임을 수신 장치는 동시에 수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도 13의 프레임만 또는 도 14의 프레임만을 수신하더라도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위상 변경부(209A)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x'(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x(i))는, x(i)=ej×ε(i)×x'(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때, 널 심볼도 위상 변경의 대상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케이스의 경우, 심볼 번호 i의 대상이 되는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프리앰블(그 외의 심볼), 널 심볼 등이 된다. 그러나, 널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위상 변경 전의 신호와 위상 변경 후의 신호는 동일하다(동상 성분 I는 제로(0), 또한, 직교 성분 Q는 제로(0)). 따라서, 널 심볼은 위상 변경의 대상이 아니라고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의 경우, 위상 변경부(209A)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13에 기재되어 있는 각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13의 프레임에 있어서, 시각 $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시각 $2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3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4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5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6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7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8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9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10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1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위상 변경부(209A)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를 Ω(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A)는 x'(i)이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는 x(i)이다. 따라서, x(i)=Ω(i)×x'(i)가 성립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의 값을 식 (38)로 설정한다. Q는 2 이상의 정수이고, Q는 위상 변경의 주기가 된다. j는 허수 단위이다. 단, 식 (38)은, 어디까지나 예이고,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주기 Q를 갖도록 위상 변경을 행하도록 Ω(i)를 설정하더라도 좋다.
또한, 예컨대, 도 4, 도 13에 있어서, 동일 캐리어에 대하여, 동일한 위상 변경치를 주고, 캐리어마다 위상 변경치를 설정한다고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이하와 같이 된다.
ㆍ도 4, 도 13에 있어서의 캐리어 1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39)로 한다.
ㆍ도 4, 도 13에 있어서의 캐리어 2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0)으로 한다.
ㆍ도 4, 도 13에 있어서의 캐리어 3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1)로 한다.
ㆍ도 4, 도 13에 있어서의 캐리어 4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2)로 한다.
이상이,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의 동작예가 된다.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y'(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y(i))는, y(i)=ej×τ(i)×y'(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때, 널 심볼도 위상 변경의 대상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케이스의 경우, 심볼 번호 i의 대상이 되는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프리앰블(그 외의 심볼), 널 심볼 등이 된다. 그러나, 널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위상 변경 전의 신호와 위상 변경 후의 신호는 동일하다(동상 성분 I는 제로(0), 또한, 직교 성분 Q는 제로(0)). 따라서, 널 심볼은 위상 변경의 대상이 아니라고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의 경우,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14에 기재되어 있는 각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14의 프레임에 있어서, 시각 $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시각 $2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3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4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5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6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7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8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9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10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1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위상 변경부(209B)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를 Ω(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B)는 y'(i)이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는 y(i)이다. 따라서, y(i)=Δ(i)×y'(i)가 성립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의 값을 이하의 식으로 설정한다. R은 2 이상의 정수이고, R은 위상 변경의 주기가 된다. 또, 식 (38)의 Q와 R의 값이 상이한 값이면 된다.
[수학식 49]
Figure pct00049
j는 허수 단위이다. 단, 식 (49)는, 어디까지나 예이고,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주기 R을 갖도록 위상 변경을 행하도록 Δ(i)를 설정하더라도 좋다.
또, 위상 변경부(209A)와 위상 변경부(209B)의 위상 변경 방법은 상이한 것으로 한다. 예컨대, 주기는 동일하더라도 좋고, 상이하더라도 좋다.
또한, 예컨대, 도 5, 도 14에 있어서, 동일 캐리어에 대하여, 동일한 위상 변경치를 주고, 캐리어마다 위상 변경치를 설정한다고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이하와 같이 된다.
ㆍ도 5, 도 14에 있어서의 캐리어 1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39)로 한다.
ㆍ도 5, 도 14에 있어서의 캐리어 2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0)으로 한다.
ㆍ도 5, 도 14에 있어서의 캐리어 3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1)로 한다.
ㆍ도 5, 도 14에 있어서의 캐리어 4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2)로 한다.
위상 변경치를 식 (39), (40), (41), (42)로서 기술하고 있지만, 위상 변경부(209A)와 위상 변경부(209B)의 위상 변경 방법은 상이한 것으로 한다.
이상이,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B)의 동작예가 된다.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 209B)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의 그 외의 심볼(403, 503)에는, 제어 정보 심볼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앞에도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외의 심볼(403)과 동일 시각, 또한, 동일한 주파수(동일한 캐리어)의 도 5의 그 외의 심볼(503)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동일 데이터(동일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있다.
그런데, 이하의 경우를 생각한다.
케이스 2 :
제어 정보 심볼을, 도 1의 안테나부#A(109_A) 또는 안테나부#B(109_B)의 어느 한쪽의 안테나부를 이용하여 송신한다.
"케이스 2"와 같이 송신한 경우, 제어 정보 심볼을 송신하는 안테나 수가 1이기 때문에, "안테나부#A(109_A)와 안테나부#B(109_B)의 양자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심볼을 송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공간 다이버시티의 게인이 작아지기 때문에, "케이스 2"일 때, 도 8의 수신 장치로 수신하더라도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향상이라고 하는 점에서는, "안테나부#A(109_A)와 안테나부#B(109_B)의 양자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심볼을 송신하는" 쪽이 좋다.
케이스 3 :
제어 정보 심볼을, 도 1의 안테나부#A(109_A)와 안테나부#B(109_B)의 양자를 이용하여 송신한다. 단, 도 19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부(209A, 209B)에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
"케이스 3"과 같이 송신한 경우, 안테나부#A(109_A)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와 안테나부#B(109_B)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가 동일(또는, 특정한 위상의 어긋남이 있다)하기 때문에, 전파의 전반 환경에 따라서는, 도 8의 수신 장치는, 매우 열악한 수신 신호가 될 가능성이 있음과 아울러, 양자의 변조 신호가 동일한 멀티 패스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저하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이 과제를 경감하기 위해, 도 19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A, 209B)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시간 또는 주파수 방향으로, 위상을 변경하고 있기 때문에,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열악한 수신 신호가 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A(109_A)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가 받는 멀티 패스의 영향과 안테나부#B(109_B)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가 받는 멀티 패스의 영향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고, 이것에 의해,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이상의 이유로부터, 도 19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A, 209B)를 마련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다.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는, 제어 정보 심볼 이외에, 예컨대,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이, 제어 정보 심볼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하기 위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는, 파일럿 심볼(401, 501)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을 이용함으로써, 제어 정보 심볼을 보다 정밀하게 복조 및 복호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는,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의해, 동일 주파수(대), 동일 시간을 이용하여, 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다(MIMO 전송을 행하고 있다). 이들 데이터 심볼을 복조하기 위해서는,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을 이용한다.
이때,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은, 앞에도 말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A, 209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다.
그와 같은 상황 중,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이 처리를 반영시키지 않은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하는 경우, 위상 변경부(209A, 209B)에서 행한 위상 변경에 대한 처리를 반영시킨 복조 및 복호를 행할 필요가 있고, 그 처리는 복잡해질 가능성이 높다.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은, 위상 변경부(209A, 209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A, 209B)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을 이용하여 추정한, 채널 추정 신호(전반로 변동의 추정 신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A, 209B)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 경우, 멀티 패스에 있어서의, 주파수축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의 급격한 감소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심볼의 대상"과 "위상 변경부(209A, 209B)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심볼의 대상"이 상이한 점이 특징적인 점이 된다.
이상과 같이, 도 19의 위상 변경부(205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 209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예컨대,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 심볼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이 향상됨과 아울러,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복조 및 복호의 동작이 간단해진다.
또, 도 19의 위상 변경부(205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도 19의 위상 변경부(209A, 209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 식 (38)에 있어서의 Q는 -2 이하의 정수이더라도 좋고, 이때, 위상 변경의 주기는, Q의 절대치가 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식 (49)에 있어서의 R은 -2 이하의 정수이더라도 좋고, 이때, 위상 변경의 주기는 R의 절대치가 된다.
또한, 보충 1에서 설명한 내용을 고려하면, 위상 변경부(209A)에 있어서 설정하는 순회 지연량과 위상 변경부(209B)에 있어서 설정하는 순회 지연량을 상이한 값으로 하면 된다.
(실시의 형태 4)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도 2와는 상이한 구성의 실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예컨대,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방송국 등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이고,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신호 처리부(106)는, 매핑 후의 신호(105_1, 105_2), 신호군(110),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100)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고,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를 출력한다. 이때,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를 u1(i),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를 u2(i)라고 나타낸다(i는 심볼 번호이고, 예컨대,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 신호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도 1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106)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가중 합성부(프리코딩부)(203)는, 매핑 후의 신호(201A)(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1)에 상당한다) 및 매핑 후의 신호(201B)(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2)에 상당한다) 및 제어 신호(200)(도 1의 제어 신호(100)에 상당한다)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가중 합성(프리코딩)을 행하고, 가중 후의 신호(204A) 및 가중 후의 신호(204B)를 출력한다. 이때, 매핑 후의 신호(201A)를 s1(t), 매핑 후의 신호(201B)를 s2(t), 가중 후의 신호(204A)를 z1'(t), 가중 후의 신호(204B)를 z2'(t)라고 나타낸다. 또, t는 일례로서, 시간으로 한다. s1(t), s2(t), z1'(t), z2'(t)는 복소수로 정의되는 것으로 한다(따라서, 실수이더라도 좋다).
여기서는, 시간의 함수로서 취급하고 있지만 "주파수(캐리어 번호)"의 함수로 하더라도 좋고, "시간ㆍ주파수"의 함수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심볼 번호"의 함수로 하더라도 좋다. 이 점은, 실시의 형태 1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가중 합성부(프리코딩부)(203)는, 이하의 연산을 행한다.
[수학식 50]
Figure pct00050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A)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A)를 출력한다. 또,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A)를 z1(t)로 나타내고, z1(t)는 복소수로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실수이더라도 좋다).
위상 변경부(205A)의 구체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상 변경부(205A)에서는, 예컨대, z1'(i)에 대하여 w(i)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z1(i)=w(i)×z1'(i)라고 나타낼 수 있다(i는 심볼 번호(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의 값을 이하와 같이 설정한다.
[수학식 51]
Figure pct00051
M은 2 이상의 정수이고, M은 위상 변경의 주기가 된다. M은 3 이상의 홀수로 설정하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다. 단, 식 (51)은, 어디까지나 예이고,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위상 변경치 w(i)=ej×λ(i)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를 출력한다. 또,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를 z2(t)로 나타내고, z2(t)는 복소수로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실수이더라도 좋다).
위상 변경부(205B)의 구체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상 변경부(205B)에서는, 예컨대, z2'(i)에 대하여 y(i)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z2(i)=y(i)×z2'(i)라고 나타낼 수 있다(i는 심볼 번호(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의 값을 식 (2)와 같이 설정한다.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N은 위상 변경의 주기가 된다. N≠M이다. N은 3 이상의 홀수로 설정하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다. 단, 식 (2)는, 어디까지나 예이고,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위상 변경치 y(i)=ej×δ(i)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때 z1(i) 및 z2(i)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52]
Figure pct00052
또, δ(i), 및 λ(i)는 실수이다. 그리고, z1(i)와 z2(i)는,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동일 주파수대)로,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식 (52)에 있어서, 위상 변경의 값은, 식 (2), 식 (52)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주기적, 규칙적으로 위상을 변경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 (50) 및 식 (52)에 있어서의 (프리코딩) 행렬로서는, 식 (5)로부터 식 (36)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단, 프리코딩 행렬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의 형태 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삽입부(207A)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파일럿 심볼 신호(pa(t))(t : 시간)(251A),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근거하여,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 파일럿 심볼 신호(pb(t))(251B),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근거하여,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한다.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x'(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x(i))는, x(i)=ej×ε(i)×x'(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또, 실시의 형태 1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B)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도 3은 도 1의 무선부(107_A, 107_B)의 구성의 일례이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하고, 도 5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했을 때, 도 4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과 도 5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은,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로 송신된다. 또, 프레임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도 5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어디까지나, 도 4, 도 5는 프레임 구성의 예이다.
그리고, 도 4, 도 5에 있어서의 그 외의 심볼은, "도 2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에 상당하는 심볼이고, 따라서, 도 4의 그 외의 심볼(403)과 동일 시각, 또한, 동일 주파수(동일 캐리어)의 도 5의 그 외의 심볼(503)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동일한 데이터(동일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다.
또, 도 4의 프레임과 도 5의 프레임을 수신 장치는 동시에 수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도 4의 프레임만 또는 도 5의 프레임만을 수신하더라도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도 6은 도 2의 제어 정보 신호(253)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정보 생성에 관한 부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도 1의 안테나부#A(109_A), 안테나부#B(109_B)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안테나부#A(109_A), 안테나부#B(109_B)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예이다.),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1의 송신 장치가, 예컨대, 도 4, 도 5의 프레임 구성의 송신 신호를 송신했을 때, 그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도 8의 안테나부#X(801X), 안테나부#Y(801Y)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안테나부#X(801X), 안테나부#Y(801Y)가 복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예이다. 도 10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1과 같이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A, 205B)와 위상 변경부(209A)를 삽입하고 있다. 그 특징과, 그때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계열을 이용하여 매핑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매핑 후의 신호 s1(i)(201A)(i는 심볼 번호이고,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와 제 2 계열을 이용하여 매핑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매핑 후의 신호 s2(i)(201B)에 대하여, 프리코딩(가중 합성)을 실시하고, 얻어진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204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는 것이, 위상 변경부(205A, 205B)이다. 그리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A)와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는, 동일 주파수, 동일 시간에 송신된다. 따라서, 도 4, 도 5에 있어서, 도 4의 데이터 심볼(402), 도 5의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예컨대, 도 11은 도 4의 프레임에 대하여,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5, 시각 $4로부터 시각 $6을 추출한 것이다. 또, 도 4와 마찬가지로, 401은 파일럿 심볼, 402는 데이터 심볼, 403은 그 외의 심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부(205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15(i)"라고 하고,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25(i)"라고 하고,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35(i)"라고 하고,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45(i)"라고 하고,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55(i)"라고 하고,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16(i)"라고 하고,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26(i)"라고 하고,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46(i)"라고 하고,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56(i)"라고 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2,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3,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4,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5,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3, 시각 $6)의 파일럿 심볼은, 위상 변경부(205A)의 위상 변경의 대상이 아니다.
이 점이 위상 변경부(205A)의 특징적인 점이다. 또, 도 11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대상인,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과 "동일 캐리어, 동일 시각"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캐리어가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도 4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은 데이터 심볼이다. 다시 말해, MIMO 전송을 행하고 있는(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는) 데이터 심볼이 위상 변경부(205A)의 위상 변경의 대상이다.
또, 위상 변경부(205A)가 데이터 심볼에 실시하는 위상 변경의 예로서, 식 (50)과 같이, 데이터 심볼에, 규칙적(위상 변경의 주기 N)인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이 있다. 단, 데이터 심볼에 실시하는 위상 변경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도 11은 도 5의 프레임에 대하여,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5, 시각 $4로부터 시각 $6을 추출한 것이다. 또, 도 5와 마찬가지로, 501은 파일럿 심볼, 502는 데이터 심볼, 503은 그 외의 심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15(i)"라고 하고,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25(i)"라고 하고,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35(i)"라고 하고,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45(i)"라고 하고,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55(i)"라고 하고,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16(i)"라고 하고,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26(i)"라고 하고,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46(i)"라고 하고,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56(i)"라고 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2,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3,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4,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5,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3, 시각 $6)의 파일럿 심볼은,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대상이 아니다.
이 점이 위상 변경부(205B)의 특징적인 점이다. 또, 도 11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대상인,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과 "동일 캐리어, 동일 시각"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캐리어가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도 4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은 데이터 심볼이다. 다시 말해, MIMO 전송을 행하고 있는(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는) 데이터 심볼이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대상이다.
또, 위상 변경부(205B)가 데이터 심볼에 실시하는 위상 변경의 예로서, 식 (2)와 같이, 데이터 심볼에, 규칙적(위상 변경의 주기 N)인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이 있다. 단, 데이터 심볼에 실시하는 위상 변경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특히, LOS 환경일 때에, MIMO 전송을 행하고 있는(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는) 데이터 심볼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이 점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예컨대, 도 1의 매핑부(104)에서 사용하는 변조 방식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인 것으로 한다. 도 18의 매핑 후의 신호(201A)는 QPSK의 신호이고, 또한, 매핑 후의 신호(201B)도 QPSK의 신호가 된다. 다시 말해, 2개의 QPSK의 스트림을 송신한다. 그러면, 도 8의 신호 처리부(811)에서는, 예컨대, 채널 추정 신호(806_1, 806_2)를 이용하여, 16개의 후보 신호점을 얻는다. QPSK는 2비트를 전송할 수 있고, 2스트림에 의해, 합계 4비트를 전송한다. 따라서, 24=16개의 후보 신호점이 존재한다. 또, 채널 추정 신호(808_1, 808_2)를 이용하여, 다른 16개의 후보 신호점을 얻게 되기도 하지만, 설명은 마찬가지가 되기 때문에, 채널 추정 신호(806_1, 806_2)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16개의 후보 신호점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설명을 진행한다.
이때의 상태의 일례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A), 도 12(B), 모두 가로축은 동상 I, 세로축은 직교 Q이고, 동상 I-직교 Q 평면에 있어서, 16개의 후보 신호점이 존재한다. 16개의 후보 신호점 중, 하나가, 송신 장치가 송신한 신호점이다. 이 때문에, "16개의 후보 신호점"이라고 부르고 있다.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특히, LOS 환경일 때,
제 1 케이스 :
도 20의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다시 말해, 도 20의 위상 변경부(205A, 205B)에 의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한다.
"제 1 케이스"의 경우, 위상 변경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도 12의 (A)와 같은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도 12(A)의 상태에 빠진 경우, "신호점 1201과 1202", "신호점 1203, 1204, 1205, 1206", "신호점 1207, 1208"과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 도 20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A, 205B)를 삽입하고 있다. 위상 변경부(205A, 205B)를 삽입하면, 심볼 번호 i에 의해, 도 12(A)와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는 심볼 번호와, 도 12(B)와 같이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심볼 번호가 혼재한다. 이 상태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를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오류 정정 능력을 얻을 수 있고,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높은 데이터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 도 20에 있어서,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 등, 데이터 심볼을 복조(검파)하기 위한, 채널 추정을 행하기 위한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에 대하여, 도 20의 위상 변경부(205A, 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심볼에 있어서, "심볼 번호 i에 의해, 도 12(A)와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는 심볼 번호와, 도 12(B)와 같이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심볼 번호가 혼재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단,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 등, 데이터 심볼을 복조(검파)하기 위한, 채널 추정을 행하기 위한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에 대하여, 도 20의 위상 변경부(205A, 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데이터 심볼에 있어서, "심볼 번호 i에 의해, 도 12(A)와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는 심볼 번호와, 도 12(B)와 같이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심볼 번호가 혼재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에 대하여, 어떠한 조건을 부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에 대한 위상 변경의 규칙과는 다른 규칙을 마련하여, "파일럿 심볼 및/또는 프리앰블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고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예로서,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주기 N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파일럿 심볼 및/또는 프리앰블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주기 M의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고 하는 방법이 있다(N, M은 2 이상의 정수가 된다).
앞에도 기재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x'(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x(i))는, x(i)=ej×ε(i)×x'(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이 케이스의 경우, 심볼 번호 i의 대상이 되는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프리앰블(그 외의 심볼) 등이 된다. 도 20의 경우,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5에 기재되어 있는 각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5의 프레임에 있어서, 시각 $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마찬가지로,
"시각 $2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3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4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5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6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7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8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9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10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1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도 13은 도 1의 송신 신호(108_A)의 도 4와는 상이한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B)의 도 5와는 상이한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하고, 도 14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했을 때, 도 13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과 도 14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은,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로 송신된다. 또, 도 13, 도 14의 프레임 구성은, 어디까지나 예이다.
그리고, 도 13, 도 14에 있어서의 그 외의 심볼은, "도 20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에 상당하는 심볼이고, 따라서, 도 13의 그 외의 심볼(403)과 동일 시각, 또한, 동일 주파수(동일 캐리어)의 도 14의 그 외의 심볼(503)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동일한 데이터(동일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다.
또, 도 13의 프레임과 도 14의 프레임을 수신 장치는 동시에 수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도 13의 프레임만 또는 도 14의 프레임만을 수신하더라도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x'(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x(i))는, x(i)=ej×ε(i)×x'(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때, 널 심볼도 위상 변경의 대상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케이스의 경우, 심볼 번호 i의 대상이 되는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프리앰블(그 외의 심볼), 널 심볼 등이 된다. 그러나, 널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위상 변경 전의 신호와 위상 변경 후의 신호는 동일하다(동상 성분 I는 제로(0), 또한, 직교 성분 Q는 제로(0)). 따라서, 널 심볼은 위상 변경의 대상이 아니라고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0의 경우,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14에 기재되어 있는 각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14의 프레임에 있어서, 시각 $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시각 $2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3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4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5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6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7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8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9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10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1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위상 변경부(209B)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를 Ω(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B)는 x'(i)이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는 x(i)이다. 따라서, x(i)=Ω(i)×x'(i)가 성립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의 값을 식 (38)로 설정한다. Q는 2 이상의 정수이고, Q는 위상 변경의 주기가 된다. j는 허수 단위이다. 단, 식 (38)은, 어디까지나 예이고,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주기 Q를 갖도록 위상 변경을 행하도록 Ω(i)를 설정하더라도 좋다.
또한, 예컨대, 도 5, 도 14에 있어서, 동일 캐리어에 대하여, 동일한 위상 변경치를 주고, 캐리어마다 위상 변경치를 설정한다고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이하와 같이 된다.
ㆍ도 5, 도 14에 있어서의 캐리어 1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39)로 한다.
ㆍ도 5, 도 14에 있어서의 캐리어 2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0)으로 한다.
ㆍ도 5, 도 14에 있어서의 캐리어 3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1)로 한다.
ㆍ도 5, 도 14에 있어서의 캐리어 4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2)로 한다.
이상이,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의 동작예가 된다.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의 그 외의 심볼(403, 503)에는, 제어 정보 심볼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앞에도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외의 심볼(403)과 동일 시각, 또한, 동일한 주파수(동일한 캐리어)의 도 5의 그 외의 심볼(503)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동일 데이터(동일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있다.
그런데, 이하의 경우를 생각한다.
케이스 2 :
제어 정보 심볼을, 도 1의 안테나부#A(109_A) 또는 안테나부#B(109_B)의 어느 한쪽의 안테나부를 이용하여 송신한다.
"케이스 2"와 같이 송신한 경우, 제어 정보 심볼을 송신하는 안테나 수가 1이기 때문에, "안테나부#A(109_A)와 안테나부#B(109_B)의 양자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심볼을 송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공간 다이버시티의 게인이 작아지기 때문에, "케이스 2"일 때, 도 8의 수신 장치로 수신하더라도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향상이라고 하는 점에서는, "안테나부#A(109_A)와 안테나부#B(109_B)의 양자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심볼을 송신하는" 쪽이 좋다.
케이스 3 :
제어 정보 심볼을, 도 1의 안테나부#A(109_A)와 안테나부#B(109_B)의 양자를 이용하여 송신한다. 단, 도 20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부(209B)에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
"케이스 3"과 같이 송신한 경우, 안테나부#A(109_A)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와 안테나부#B(109_B)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가 동일(또는, 특정한 위상의 어긋남이 있다)하기 때문에, 전파의 전반 환경에 따라서는, 도 8의 수신 장치는, 매우 열악한 수신 신호가 될 가능성이 있음과 아울러, 양자의 변조 신호가 동일한 멀티 패스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저하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이 과제를 경감하기 위해, 도 20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B)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시간 또는 주파수 방향으로, 위상을 변경하고 있기 때문에,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열악한 수신 신호가 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A(109_A)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가 받는 멀티 패스의 영향과 안테나부#B(109_B)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가 받는 멀티 패스의 영향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고, 이것에 의해,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이상의 이유로부터, 도 20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B)를 마련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다.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는, 제어 정보 심볼 이외에, 예컨대,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이, 제어 정보 심볼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하기 위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는, 파일럿 심볼(401, 501)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을 이용함으로써, 제어 정보 심볼을 보다 정밀하게 복조 및 복호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는,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의해, 동일 주파수(대), 동일 시간을 이용하여, 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다(MIMO 전송을 행하고 있다). 이들 데이터 심볼을 복조하기 위해서는,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을 이용한다.
이때,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은, 앞에도 말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다.
그와 같은 상황 중,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상술한 설명의 경우는,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이 처리를 반영시키지 않은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하는 경우, 위상 변경부(209B)에서 행한 위상 변경에 대한 처리를 반영시킨 복조 및 복호를 행할 필요가 있고, 그 처리는 복잡해질 가능성이 높다.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은, 위상 변경부(209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B)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상술한 설명의 경우는,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을 이용하여 추정한, 채널 추정 신호(전반로 변동의 추정 신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B)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상술한 설명의 경우는,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 경우, 멀티 패스에 있어서의, 주파수축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의 급격한 감소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심볼의 대상"과 "위상 변경부(209B)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심볼의 대상"이 상이한 점이 특징적인 점이 된다.
이상과 같이, 도 20의 위상 변경부(205A, 205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예컨대,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 심볼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이 향상됨과 아울러,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복조 및 복호의 동작이 간단해진다.
또, 도 20의 위상 변경부(205A, 205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 식 (38)에 있어서의 Q는 -2 이하의 정수이더라도 좋고, 이때, 위상 변경의 주기는, Q의 절대치가 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5)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도 2와는 상이한 구성의 실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예컨대,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방송국 등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이고,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신호 처리부(106)는, 매핑 후의 신호(105_1, 105_2), 신호군(110),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100)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고,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를 출력한다. 이때,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를 u1(i),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를 u2(i)라고 나타낸다(i는 심볼 번호이고, 예컨대,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 신호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2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도 1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106)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가중 합성부(프리코딩부)(203)는, 매핑 후의 신호(201A)(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1)에 상당한다) 및 매핑 후의 신호(201B)(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2)에 상당한다) 및 제어 신호(200)(도 1의 제어 신호(100)에 상당한다)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가중 합성(프리코딩)을 행하고, 가중 후의 신호(204A) 및 가중 후의 신호(204B)를 출력한다. 이때, 매핑 후의 신호(201A)를 s1(t), 매핑 후의 신호(201B)를 s2(t), 가중 후의 신호(204A)를 z1'(t), 가중 후의 신호(204B)를 z2'(t)라고 나타낸다. 또, t는 일례로서, 시간으로 한다. s1(t), s2(t), z1'(t), z2'(t)는 복소수로 정의되는 것으로 한다(따라서, 실수이더라도 좋다).
여기서는, 시간의 함수로서 취급하고 있지만 "주파수(캐리어 번호)"의 함수로 하더라도 좋고, "시간ㆍ주파수"의 함수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심볼 번호"의 함수로 하더라도 좋다. 이 점은, 실시의 형태 1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가중 합성부(프리코딩부)(203)는, 식 (49)의 연산을 행한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A)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A)를 출력한다. 또,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A)를 z1(t)로 나타내고, z1(t)는 복소수로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실수이더라도 좋다).
위상 변경부(205A)의 구체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상 변경부(205A)에서는, 예컨대, z1'(i)에 대하여 w(i)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z1(i)=w(i)×z1'(i)라고 나타낼 수 있다(i는 심볼 번호(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의 값을 식 (50)과 같이 설정한다.
M은 2 이상의 정수이고, M은 위상 변경의 주기가 된다. M은 3 이상의 홀수로 설정하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다. 단, 식 (50)은, 어디까지나 예이고,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위상 변경치 w(i)=ej×λ(i)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를 출력한다. 또,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를 z2(t)로 나타내고, z2(t)는 복소수로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실수이더라도 좋다).
위상 변경부(205B)의 구체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상 변경부(205B)에서는, 예컨대, z2'(i)에 대하여 y(i)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z2(i)=y(i)×z2'(i)라고 나타낼 수 있다(i는 심볼 번호(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의 값을 식 (2)와 같이 설정한다.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N은 위상 변경의 주기가 된다. N≠M이다. N은 3 이상의 홀수로 설정하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다. 단, 식 (2)는, 어디까지나 예이고,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위상 변경치 y(i)=ej×δ(i)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때 z1(i) 및 z2(i)는 식 (51)로 나타낼 수 있다.
또, δ(i), 및 λ(i)는 실수이다. 그리고, z1(i)와 z2(i)는,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동일 주파수대)로,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식 (51)에 있어서, 위상 변경의 값은, 식 (2), 식 (51)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주기적, 규칙적으로 위상을 변경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 (49) 및 식 (51)에 있어서의 (프리코딩) 행렬로서는, 식 (5)로부터 식 (36)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단, 프리코딩 행렬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의 형태 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삽입부(207A)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파일럿 심볼 신호(pa(t))(t : 시간)(251A),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근거하여,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 파일럿 심볼 신호(pb(t))(251B),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근거하여,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한다.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x'(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x(i))는, x(i)=ej×ε(i)×x'(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또, 실시의 형태 1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B)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도 3은 도 1의 무선부(107_A, 107_B)의 구성의 일례이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하고, 도 5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했을 때, 도 4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과 도 5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은,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로 송신된다. 또, 프레임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도 5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어디까지나, 도 4, 도 5는 프레임 구성의 예이다.
그리고, 도 4, 도 5에 있어서의 그 외의 심볼은, "도 2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에 상당하는 심볼이고, 따라서, 도 4의 그 외의 심볼(403)과 동일 시각, 또한, 동일 주파수(동일 캐리어)의 도 5의 그 외의 심볼(503)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동일한 데이터(동일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다.
또, 도 4의 프레임과 도 5의 프레임을 수신 장치는 동시에 수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도 4의 프레임만 또는 도 5의 프레임만을 수신하더라도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도 6은 도 2의 제어 정보 신호(253)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정보 생성에 관한 부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도 1의 안테나부#A(109_A), 안테나부#B(109_B)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안테나부#A(109_A), 안테나부#B(109_B)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예이다. 도 7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1의 송신 장치가, 예컨대, 도 4, 도 5의 프레임 구성의 송신 신호를 송신했을 때, 그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도 8의 안테나부#X(801X), 안테나부#Y(801Y)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안테나부#X(801X), 안테나부#Y(801Y)가 복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예이다. 도 10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1과 같이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A, 205B)와 위상 변경부(209B)를 삽입하고 있다. 그 특징과, 그때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계열을 이용하여 매핑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매핑 후의 신호 s1(i)(201A)(i는 심볼 번호이고,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와 제 2 계열을 이용하여 매핑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매핑 후의 신호 s2(i)(201B)에 대하여, 프리코딩(가중 합성)을 실시하고, 얻어진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204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는 것이, 위상 변경부(205A, 205B)이다. 그리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A)와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는, 동일 주파수, 동일 시간에 송신된다. 따라서, 도 4, 도 5에 있어서, 도 4의 데이터 심볼(402), 도 5의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예컨대, 도 11은 도 4의 프레임에 대하여,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5, 시각 $4로부터 시각 $6을 추출한 것이다. 또, 도 4와 마찬가지로, 401은 파일럿 심볼, 402는 데이터 심볼, 403은 그 외의 심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부(205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15(i)"라고 하고,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25(i)"라고 하고,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35(i)"라고 하고,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45(i)"라고 하고,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55(i)"라고 하고,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16(i)"라고 하고,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26(i)"라고 하고,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46(i)"라고 하고,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56(i)"라고 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2,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3,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4,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5,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3, 시각 $6)의 파일럿 심볼은, 위상 변경부(205A)의 위상 변경의 대상이 아니다.
이 점이 위상 변경부(205A)의 특징적인 점이다. 또, 도 11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대상인,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과 "동일 캐리어, 동일 시각"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캐리어가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도 4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은 데이터 심볼이다. 다시 말해, MIMO 전송을 행하고 있는(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는) 데이터 심볼이 위상 변경부(205A)의 위상 변경의 대상이다.
또, 위상 변경부(205A)가 데이터 심볼에 실시하는 위상 변경의 예로서, 식 (50)과 같이, 데이터 심볼에, 규칙적(위상 변경의 주기 N)인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이 있다. 단, 데이터 심볼에 실시하는 위상 변경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도 11은 도 5의 프레임에 대하여,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5, 시각 $4로부터 시각 $6을 추출한 것이다. 또, 도 5와 마찬가지로, 501은 파일럿 심볼, 502는 데이터 심볼, 503은 그 외의 심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15(i)"라고 하고,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25(i)"라고 하고,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35(i)"라고 하고,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45(i)"라고 하고,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55(i)"라고 하고,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16(i)"라고 하고,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26(i)"라고 하고,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46(i)"라고 하고,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56(i)"라고 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2,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3,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4,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5,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3, 시각 $6)의 파일럿 심볼은,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대상이 아니다.
이 점이 위상 변경부(205B)의 특징적인 점이다. 또, 도 11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대상인,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과 "동일 캐리어, 동일 시각"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캐리어가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도 4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은 데이터 심볼이다. 다시 말해, MIMO 전송을 행하고 있는(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는) 데이터 심볼이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대상이다.
또, 위상 변경부(205B)가 데이터 심볼에 실시하는 위상 변경의 예로서, 식 (2)와 같이, 데이터 심볼에, 규칙적(위상 변경의 주기 N)인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이 있다. 단, 데이터 심볼에 실시하는 위상 변경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특히, LOS 환경일 때에, MIMO 전송을 행하고 있는(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는) 데이터 심볼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이 점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예컨대, 도 1의 매핑부(104)에서 사용하는 변조 방식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인 것으로 한다. 도 18의 매핑 후의 신호(201A)는 QPSK의 신호이고, 또한, 매핑 후의 신호(201B)도 QPSK의 신호가 된다. 다시 말해, 2개의 QPSK의 스트림을 송신한다. 그러면, 도 8의 신호 처리부(811)에서는, 예컨대, 채널 추정 신호(806_1, 806_2)를 이용하여, 16개의 후보 신호점을 얻는다. QPSK는 2비트를 전송할 수 있고, 2스트림에 의해, 합계 4비트를 전송한다. 따라서, 24=16개의 후보 신호점이 존재한다. 또, 채널 추정 신호(808_1, 808_2)를 이용하여, 다른 16개의 후보 신호점을 얻게 되기도 하지만, 설명은 마찬가지가 되기 때문에, 채널 추정 신호(806_1, 806_2)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16개의 후보 신호점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설명을 진행한다.
이때의 상태의 일례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A), 도 12(B), 모두 가로축은 동상 I, 세로축은 직교 Q이고, 동상 I-직교 Q 평면에 있어서, 16개의 후보 신호점이 존재한다. 16개의 후보 신호점 중, 하나가, 송신 장치가 송신한 신호점이다. 이 때문에, "16개의 후보 신호점"이라고 부르고 있다.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특히, LOS 환경일 때,
제 1 케이스 :
도 21의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다시 말해, 도 21의 위상 변경부(205A, 205B)에 의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한다.
"제 1 케이스"의 경우, 위상 변경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도 12의 (A)와 같은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도 12(A)의 상태에 빠진 경우, "신호점 1201과 1202", "신호점 1203, 1204, 1205, 1206", "신호점 1207, 1208"과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 도 21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A, 205B)를 삽입하고 있다. 위상 변경부(205A, 205B)를 삽입하면, 심볼 번호 i에 의해, 도 12(A)와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는 심볼 번호와, 도 12(B)와 같이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심볼 번호가 혼재한다. 이 상태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를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오류 정정 능력을 얻을 수 있고,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높은 데이터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 도 21에 있어서,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 등, 데이터 심볼을 복조(검파)하기 위한, 채널 추정을 행하기 위한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에 대하여, 도 21의 위상 변경부(205A, 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심볼에 있어서, "심볼 번호 i에 의해, 도 12(A)와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는 심볼 번호와, 도 12(B)와 같이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심볼 번호가 혼재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단,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 등, 데이터 심볼을 복조(검파)하기 위한, 채널 추정을 행하기 위한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에 대하여, 도 21의 위상 변경부(205A, 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데이터 심볼에 있어서, "심볼 번호 i에 의해, 도 12(A)와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는 심볼 번호와, 도 12(B)와 같이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심볼 번호가 혼재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에 대하여, 어떠한 조건을 부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에 대한 위상 변경의 규칙과는 다른 규칙을 마련하여, "파일럿 심볼 및/또는 프리앰블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고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예로서,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주기 N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파일럿 심볼 및/또는 프리앰블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주기 M의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고 하는 방법이 있다(N, M은 2 이상의 정수가 된다).
앞에도 기재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A)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x'(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x(i))는, x(i)=ej×ε(i)×x'(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이 케이스의 경우, 심볼 번호 i의 대상이 되는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프리앰블(그 외의 심볼) 등이 된다. 도 21의 경우, 위상 변경부(209A)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4에 기재되어 있는 각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4의 프레임에 있어서, 시각 $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마찬가지로,
"시각 $2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3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4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5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6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7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8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9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10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1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도 13은 도 1의 송신 신호(108_A)의 도 4와는 상이한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B)의 도 5와는 상이한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하고, 도 14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했을 때, 도 13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과 도 14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은,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로 송신된다. 또, 도 13, 도 14의 프레임 구성은, 어디까지나 예이다.
그리고, 도 13, 도 14에 있어서의 그 외의 심볼은, "도 21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에 상당하는 심볼이고, 따라서, 도 13의 그 외의 심볼(403)과 동일 시각, 또한, 동일 주파수(동일 캐리어)의 도 14의 그 외의 심볼(503)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동일한 데이터(동일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다.
또, 도 13의 프레임과 도 14의 프레임을 수신 장치는 동시에 수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도 13의 프레임만 또는 도 14의 프레임만을 수신하더라도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위상 변경부(209A)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x'(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x(i))는, x(i)=ej×ε(i)×x'(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때, 널 심볼도 위상 변경의 대상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케이스의 경우, 심볼 번호 i의 대상이 되는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프리앰블(그 외의 심볼), 널 심볼 등이 된다. 그러나, 널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위상 변경 전의 신호와 위상 변경 후의 신호는 동일하다(동상 성분 I는 제로(0), 또한, 직교 성분 Q는 제로(0)). 따라서, 널 심볼은 위상 변경의 대상이 아니라고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1의 경우, 위상 변경부(209A)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13에 기재되어 있는 각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13의 프레임에 있어서, 시각 $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시각 $2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3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4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5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6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7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8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9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10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1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위상 변경부(209A)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를 Ω(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A)는 x'(i)이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는 x(i)이다. 따라서, x(i)=Ω(i)×x'(i)가 성립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의 값을 식 (38)로 설정한다. Q는 2 이상의 정수이고, Q는 위상 변경의 주기가 된다. j는 허수 단위이다. 단, 식 (38)은, 어디까지나 예이고,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주기 Q를 갖도록 위상 변경을 행하도록 Ω(i)를 설정하더라도 좋다.
또한, 예컨대, 도 4, 도 13에 있어서, 동일 캐리어에 대하여, 동일한 위상 변경치를 주고, 캐리어마다 위상 변경치를 설정한다고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이하와 같이 된다.
ㆍ도 4, 도 13에 있어서의 캐리어 1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39)로 한다.
ㆍ도 4, 도 13에 있어서의 캐리어 2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0)으로 한다.
ㆍ도 4, 도 13에 있어서의 캐리어 3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1)로 한다.
ㆍ도 4, 도 13에 있어서의 캐리어 4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2)로 한다.
이상이,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의 동작예가 된다.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의 그 외의 심볼(403, 503)에는, 제어 정보 심볼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앞에도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외의 심볼(403)과 동일 시각, 또한, 동일한 주파수(동일한 캐리어)의 도 5의 그 외의 심볼(503)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동일 데이터(동일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있다.
그런데, 이하의 경우를 생각한다.
케이스 2 :
제어 정보 심볼을, 도 1의 안테나부#A(109_A) 또는 안테나부#B(109_B)의 어느 한쪽의 안테나부를 이용하여 송신한다.
"케이스 2"와 같이 송신한 경우, 제어 정보 심볼을 송신하는 안테나 수가 1이기 때문에, "안테나부#A(109_A)와 안테나부#B(109_B)의 양자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심볼을 송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공간 다이버시티의 게인이 작아지기 때문에, "케이스 2"일 때, 도 8의 수신 장치로 수신하더라도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향상이라고 하는 점에서는, "안테나부#A(109_A)와 안테나부#B(109_B)의 양자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심볼을 송신하는" 쪽이 좋다.
케이스 3 :
제어 정보 심볼을, 도 1의 안테나부#A(109_A)와 안테나부#B(109_B)의 양자를 이용하여 송신한다. 단, 도 21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부(209A)에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
"케이스 3"과 같이 송신한 경우, 안테나부#A(109_A)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와 안테나부#B(109_B)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가 동일(또는, 특정한 위상의 어긋남이 있다)하기 때문에, 전파의 전반 환경에 따라서는, 도 8의 수신 장치는, 매우 열악한 수신 신호가 될 가능성이 있음과 아울러, 양자의 변조 신호가 동일한 멀티 패스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저하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이 과제를 경감하기 위해, 도 21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A)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시간 또는 주파수 방향으로, 위상을 변경하고 있기 때문에,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열악한 수신 신호가 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A(109_A)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가 받는 멀티 패스의 영향과 안테나부#B(109_B)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가 받는 멀티 패스의 영향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고, 이것에 의해,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이상의 이유로부터, 도 21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A)를 마련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다.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는, 제어 정보 심볼 이외에, 예컨대,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이, 제어 정보 심볼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하기 위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는, 파일럿 심볼(401, 501)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을 이용함으로써, 제어 정보 심볼을 보다 정밀하게 복조 및 복호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는,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의해, 동일 주파수(대), 동일 시간을 이용하여, 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다(MIMO 전송을 행하고 있다). 이들 데이터 심볼을 복조하기 위해서는,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을 이용한다.
이때,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은, 앞에도 말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A)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다.
그와 같은 상황 중,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상술한 설명의 경우는, 데이터 심볼(402)에 대하여), 이 처리를 반영시키지 않은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하는 경우, 위상 변경부(209A)에서 행한 위상 변경에 대한 처리를 반영시킨 복조 및 복호를 행할 필요가 있고, 그 처리는 복잡해질 가능성이 높다.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은, 위상 변경부(209A)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A)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상술한 설명의 경우는, 데이터 심볼(4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을 이용하여 추정한, 채널 추정 신호(전반로 변동의 추정 신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A)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상술한 설명의 경우는, 데이터 심볼(4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 경우, 멀티 패스에 있어서의, 주파수축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의 급격한 감소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심볼의 대상"과 "위상 변경부(209A)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심볼의 대상"이 상이한 점이 특징적인 점이 된다.
이상과 같이, 도 21의 위상 변경부(205A, 205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예컨대,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 심볼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이 향상됨과 아울러,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복조 및 복호의 동작이 간단해진다.
또, 도 21의 위상 변경부(205A, 205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도 21의 위상 변경부(209A)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 식 (38)에 있어서의 Q는 -2 이하의 정수이더라도 좋고, 이때, 위상 변경의 주기는, Q의 절대치가 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6)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도 2와는 상이한 구성의 실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예컨대,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방송국 등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이고,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신호 처리부(106)는, 매핑 후의 신호(105_1, 105_2), 신호군(110),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100)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고,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를 출력한다. 이때,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를 u1(i),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를 u2(i)라고 나타낸다(i는 심볼 번호이고, 예컨대,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 신호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도 1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106)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가중 합성부(프리코딩부)(203)는, 매핑 후의 신호(201A)(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1)에 상당한다) 및 매핑 후의 신호(201B)(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2)에 상당한다) 및 제어 신호(200)(도 1의 제어 신호(100)에 상당한다)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가중 합성(프리코딩)을 행하고, 가중 후의 신호(204A) 및 가중 후의 신호(204B)를 출력한다. 이때, 매핑 후의 신호(201A)를 s1(t), 매핑 후의 신호(201B)를 s2(t), 가중 후의 신호(204A)를 z1'(t), 가중 후의 신호(204B)를 z2'(t)라고 나타낸다. 또, t는 일례로서, 시간으로 한다. s1(t), s2(t), z1'(t), z2'(t)는 복소수로 정의되는 것으로 한다(따라서, 실수이더라도 좋다).
여기서는, 시간의 함수로서 취급하고 있지만 "주파수(캐리어 번호)"의 함수로 하더라도 좋고, "시간ㆍ주파수"의 함수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심볼 번호"의 함수로 하더라도 좋다. 이 점은, 실시의 형태 1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가중 합성부(프리코딩부)(203)는, 식 (49)의 연산을 행한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A)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A)를 출력한다. 또,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A)를 z1(t)로 나타내고, z1(t)는 복소수로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실수이더라도 좋다).
위상 변경부(205A)의 구체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상 변경부(205A)에서는, 예컨대, z1'(i)에 대하여 w(i)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z1(i)=w(i)×z1'(i)라고 나타낼 수 있다(i는 심볼 번호(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의 값을 식 (50)과 같이 설정한다.
M은 2 이상의 정수이고, M은 위상 변경의 주기가 된다. M은 3 이상의 홀수로 설정하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다. 단, 식 (50)은, 어디까지나 예이고,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위상 변경치 w(i)=ej×λ(i)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를 출력한다. 또,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를 z2(t)로 나타내고, z2(t)는 복소수로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실수이더라도 좋다).
위상 변경부(205B)의 구체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상 변경부(205B)에서는, 예컨대, z2'(i)에 대하여 y(i)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z2(i)=y(i)×z2'(i)라고 나타낼 수 있다(i는 심볼 번호(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의 값을 식 (2)와 같이 설정한다.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N은 위상 변경의 주기가 된다. N≠M이다. N은 3 이상의 홀수로 설정하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다. 단, 식 (2)는, 어디까지나 예이고,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위상 변경치 y(i)=ej×δ(i)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때 z1(i) 및 z2(i)는 식 (51)로 나타낼 수 있다.
또, δ(i), 및 λ(i)는 실수이다. 그리고, z1(i)와 z2(i)는,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동일 주파수대)로,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식 (51)에 있어서, 위상 변경의 값은, 식 (2), 식 (51)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주기적, 규칙적으로 위상을 변경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 (49) 및 식 (51)에 있어서의 (프리코딩) 행렬로서는, 식 (5)로부터 식 (36)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단, 프리코딩 행렬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의 형태 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삽입부(207A)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파일럿 심볼 신호(pa(t))(t : 시간)(251A),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근거하여,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 파일럿 심볼 신호(pb(t))(251B),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근거하여,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한다.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x'(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x(i))는, x(i)=ej×ε(i)×x'(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또, 실시의 형태 1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B)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도 3은 도 1의 무선부(107_A, 107_B)의 구성의 일례이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하고, 도 5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했을 때, 도 4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과 도 5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은,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로 송신된다. 또, 프레임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도 5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어디까지나, 도 4, 도 5는 프레임 구성의 예이다.
그리고, 도 4, 도 5에 있어서의 그 외의 심볼은, "도 2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에 상당하는 심볼이고, 따라서, 도 4의 그 외의 심볼(403)과 동일 시각, 또한, 동일 주파수(동일 캐리어)의 도 5의 그 외의 심볼(503)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동일한 데이터(동일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다.
또, 도 4의 프레임과 도 5의 프레임을 수신 장치는 동시에 수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도 4의 프레임만 또는 도 5의 프레임만을 수신하더라도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도 6은 도 2의 제어 정보 신호(253)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정보 생성에 관한 부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도 1의 안테나부#A(109_A), 안테나부#B(109_B)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안테나부#A(109_A), 안테나부#B(109_B)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예이다.),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1의 송신 장치가, 예컨대, 도 4, 도 5의 프레임 구성의 송신 신호를 송신했을 때, 그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도 8의 안테나부#X(801X), 안테나부#Y(801Y)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안테나부#X(801X), 안테나부#Y(801Y)가 복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예이다. 도 10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1과 같이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A, 205B)와 위상 변경부(209B)를 삽입하고 있다. 그 특징과, 그때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계열을 이용하여 매핑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매핑 후의 신호 s1(i)(201A)(i는 심볼 번호이고,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와 제 2 계열을 이용하여 매핑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매핑 후의 신호 s2(i)(201B)에 대하여, 프리코딩(가중 합성)을 실시하고, 얻어진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204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는 것이, 위상 변경부(205A, 205B)이다. 그리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A)와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는, 동일 주파수, 동일 시간에 송신된다. 따라서, 도 4, 도 5에 있어서, 도 4의 데이터 심볼(402), 도 5의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예컨대, 도 11은 도 4의 프레임에 대하여,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5, 시각 $4로부터 시각 $6을 추출한 것이다. 또, 도 4와 마찬가지로, 401은 파일럿 심볼, 402는 데이터 심볼, 403은 그 외의 심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부(205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15(i)"라고 하고,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25(i)"라고 하고,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35(i)"라고 하고,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45(i)"라고 하고,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55(i)"라고 하고,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16(i)"라고 하고,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26(i)"라고 하고,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46(i)"라고 하고,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λ56(i)"라고 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2,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3,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4,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5,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3, 시각 $6)의 파일럿 심볼은, 위상 변경부(205A)의 위상 변경의 대상이 아니다.
이 점이 위상 변경부(205A)의 특징적인 점이다. 또, 도 11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대상인,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과 "동일 캐리어, 동일 시각"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캐리어가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도 4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은 데이터 심볼이다. 다시 말해, MIMO 전송을 행하고 있는(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는) 데이터 심볼이 위상 변경부(205A)의 위상 변경의 대상이다.
또, 위상 변경부(205A)가 데이터 심볼에 실시하는 위상 변경의 예로서, 식 (50)과 같이, 데이터 심볼에, 규칙적(위상 변경의 주기 N)인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이 있다. 단, 데이터 심볼에 실시하는 위상 변경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도 11은 도 5의 프레임에 대하여,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5, 시각 $4로부터 시각 $6을 추출한 것이다. 또, 도 5와 마찬가지로, 501은 파일럿 심볼, 502는 데이터 심볼, 503은 그 외의 심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15(i)"라고 하고,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25(i)"라고 하고,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35(i)"라고 하고,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45(i)"라고 하고,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55(i)"라고 하고,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16(i)"라고 하고,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26(i)"라고 하고,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46(i)"라고 하고,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의 위상 변경치를 "ej×δ56(i)"라고 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심볼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2,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3,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4,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5, 시각 $4)의 그 외의 심볼, (캐리어 3, 시각 $6)의 파일럿 심볼은,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대상이 아니다.
이 점이 위상 변경부(205B)의 특징적인 점이다. 또, 도 11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대상인, (캐리어 1,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의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의 데이터 심볼과 "동일 캐리어, 동일 시각"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캐리어가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도 4에 있어서, (캐리어 1,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3,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5)는 데이터 심볼, (캐리어 1,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2,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4, 시각 $6)은 데이터 심볼, (캐리어 5, 시각 $6)은 데이터 심볼이다. 다시 말해, MIMO 전송을 행하고 있는(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는) 데이터 심볼이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대상이다.
또, 위상 변경부(205B)가 데이터 심볼에 실시하는 위상 변경의 예로서, 식 (2)와 같이, 데이터 심볼에, 규칙적(위상 변경의 주기 N)인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이 있다. 단, 데이터 심볼에 실시하는 위상 변경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특히, LOS 환경일 때에, MIMO 전송을 행하고 있는(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는) 데이터 심볼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이 점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예컨대, 도 1의 매핑부(104)에서 사용하는 변조 방식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인 것으로 한다. 도 18의 매핑 후의 신호(201A)는 QPSK의 신호이고, 또한, 매핑 후의 신호(201B)도 QPSK의 신호가 된다. 다시 말해, 송신 장치는, 2개의 QPSK의 스트림을 송신한다. 그러면, 도 8의 신호 처리부(811)에서는, 예컨대, 채널 추정 신호(806_1, 806_2)를 이용하여, 16개의 후보 신호점을 얻는다. QPSK는 2비트를 전송할 수 있고, 2스트림에 의해, 합계 4비트를 전송한다. 따라서, 24=16개의 후보 신호점이 존재한다. 또, 채널 추정 신호(808_1, 808_2)를 이용하여, 다른 16개의 후보 신호점을 얻게 되기도 하지만, 설명은 마찬가지가 되기 때문에, 채널 추정 신호(806_1, 806_2)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16개의 후보 신호점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설명을 진행한다.
이때의 상태의 일례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A), 도 12(B), 모두 가로축은 동상 I, 세로축은 직교 Q이고, 동상 I-직교 Q 평면에 있어서, 16개의 후보 신호점이 존재한다. 16개의 후보 신호점 중, 하나가, 송신 장치가 송신한 신호점이다. 이 때문에, "16개의 후보 신호점"이라고 부르고 있다.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특히, LOS 환경일 때,
제 1 케이스 :
도 22의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다시 말해, 도 22의 위상 변경부(205A, 205B)에 의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한다.
"제 1 케이스"의 경우, 위상 변경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도 12의 (A)와 같은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도 12(A)의 상태에 빠진 경우, "신호점 1201과 1202", "신호점 1203, 1204, 1205, 1206", "신호점 1207, 1208"과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 도 22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A, 205B)를 삽입하고 있다. 위상 변경부(205A, 205B)를 삽입하면, 심볼 번호 i에 의해, 도 12(A)와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는 심볼 번호와, 도 12(B)와 같이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심볼 번호가 혼재한다. 이 상태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를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오류 정정 능력을 얻을 수 있고,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높은 데이터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 도 22에 있어서,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 등, 데이터 심볼을 복조(검파)하기 위한, 채널 추정을 행하기 위한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에 대하여, 도 22의 위상 변경부(205A, 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심볼에 있어서, "심볼 번호 i에 의해, 도 12(A)와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는 심볼 번호와, 도 12(B)와 같이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심볼 번호가 혼재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단,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 등, 데이터 심볼을 복조(검파)하기 위한, 채널 추정을 행하기 위한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에 대하여, 도 22의 위상 변경부(205A, 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데이터 심볼에 있어서, "심볼 번호 i에 의해, 도 12(A)와 같이 신호점이 조밀한(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존재하는 심볼 번호와, 도 12(B)와 같이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심볼 번호가 혼재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파일럿 심볼, 프리앰블에 대하여, 어떠한 조건을 부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에 대한 위상 변경의 규칙과는 다른 규칙을 마련하여, "파일럿 심볼 및/또는 프리앰블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고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예로서,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주기 N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파일럿 심볼 및/또는 프리앰블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주기 M의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고 하는 방법이 있다(N, M은 2 이상의 정수가 된다).
앞에도 기재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A)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x'(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x(i))는, x(i)=ej×ε(i)×x'(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이 케이스의 경우, 심볼 번호 i의 대상이 되는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프리앰블(그 외의 심볼) 등이 된다. 도 22의 경우, 위상 변경부(209A)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4에 기재되어 있는 각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4의 프레임에 있어서, 시각 $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마찬가지로,
"시각 $2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3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4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5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6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7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8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9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10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1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앞에도 기재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y'(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y(i))는, y(i)=ej×η(i)×y'(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이 케이스의 경우, 심볼 번호 i의 대상이 되는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프리앰블(그 외의 심볼) 등이 된다. 도 22의 경우,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5에 기재되어 있는 각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5의 프레임에 있어서, 시각 $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마찬가지로,
"시각 $2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3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4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5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6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7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8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9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10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시각 $1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도 13은 도 1의 송신 신호(108_A)의 도 4와는 상이한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도 1의 송신 신호(108_B)의 도 5와는 상이한 프레임 구성이고,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하고, 도 14의 캐리어 A, 시각 $B에 심볼이 존재했을 때, 도 13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과 도 14의 캐리어 A, 시각 $B의 심볼은, 동일 시간, 동일 주파수로 송신된다. 또, 도 13, 도 14의 프레임 구성은, 어디까지나 예이다.
그리고, 도 13, 도 14에 있어서의 그 외의 심볼은, "도 22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신호(252), 제어 정보 심볼 신호(253)"에 상당하는 심볼이고, 따라서, 도 13의 그 외의 심볼(403)과 동일 시각, 또한, 동일 주파수(동일 캐리어)의 도 14의 그 외의 심볼(503)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동일한 데이터(동일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다.
또, 도 13의 프레임과 도 14의 프레임을 수신 장치는 동시에 수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도 13의 프레임만 또는 도 14의 프레임만을 수신하더라도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위상 변경부(209A)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x'(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x(i))는, x(i)=ej×ε(i)×x'(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때, 널 심볼도 위상 변경의 대상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케이스의 경우, 심볼 번호 i의 대상이 되는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프리앰블(그 외의 심볼), 널 심볼 등이 된다. 그러나, 널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위상 변경 전의 신호와 위상 변경 후의 신호는 동일하다(동상 성분 I는 제로(0), 또한, 직교 성분 Q는 제로(0)). 따라서, 널 심볼은 위상 변경의 대상이 아니라고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2의 경우, 위상 변경부(209A)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13에 기재되어 있는 각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13의 프레임에 있어서, 시각 $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시각 $2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3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4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403)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5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6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7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8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9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10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1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401) 또는 데이터 심볼(4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위상 변경부(209A)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를 Ω(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A)는 x'(i)이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A)는 x(i)이다. 따라서, x(i)=Ω(i)×x'(i)가 성립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의 값을 식 (38)로 설정한다. Q는 2 이상의 정수이고, Q는 위상 변경의 주기가 된다. j는 허수 단위이다. 단, 식 (38)은, 어디까지나 예이고,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주기 Q를 갖도록 위상 변경을 행하도록 Ω(i)를 설정하더라도 좋다.
또한, 예컨대, 도 4, 도 13에 있어서, 동일 캐리어에 대하여, 동일한 위상 변경치를 주고, 캐리어마다 위상 변경치를 설정한다고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이하와 같이 된다.
ㆍ도 4, 도 13에 있어서의 캐리어 1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39)로 한다.
ㆍ도 4, 도 13에 있어서의 캐리어 2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0)으로 한다.
ㆍ도 4, 도 13에 있어서의 캐리어 3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1)로 한다.
ㆍ도 4, 도 13에 있어서의 캐리어 4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2)로 한다.
이상이,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의 동작예가 된다.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심볼 번호 i(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함수로 하고, y'(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x(i))는, y(i)=ej×η(i)×y'(i)라고 나타낼 수 있다(j는 허수 단위).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동작으로서는,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B)의 특징으로서는, 주파수축 방향에 존재하는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점이다. 예컨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등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때, 널 심볼도 위상 변경의 대상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케이스의 경우, 심볼 번호 i의 대상이 되는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 심볼, 프리앰블(그 외의 심볼), 널 심볼 등이 된다. 그러나, 널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위상 변경 전의 신호와 위상 변경 후의 신호는 동일하다(동상 성분 I는 제로(0), 또한, 직교 성분 Q는 제로(0)). 따라서, 널 심볼은 위상 변경의 대상이 아니라고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2의 경우, 위상 변경부(209B)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14에 기재되어 있는 각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따라서, 도 14의 프레임에 있어서, 시각 $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시각 $2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3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4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모두, 그 외의 심볼(503)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5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6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7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8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9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10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각 $1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의 모든 심볼에 대하여(이 경우, 파일럿 심볼(501) 또는 데이터 심볼(502)이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B)는,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단, 널 심볼(1301)의 위상 변경의 취급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다."
위상 변경부(209B)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를 Δ(i)라고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베이스밴드 신호(208B)는 y'(i)이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10B)는 y(i)이다. 따라서, y(i)=Δ(i)×y'(i)가 성립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의 값을 식 (49)로 설정한다. R은 2 이상의 정수이고, R은 위상 변경의 주기가 된다. 또, 식 (38)의 Q와 R의 값이 상이한 값이면 된다.
예컨대, 주기 R을 갖도록 위상 변경을 행하도록 Δ(i)를 설정하더라도 좋다.
또한, 예컨대, 도 5, 도 14에 있어서, 동일 캐리어에 대하여, 동일한 위상 변경치를 주고, 캐리어마다 위상 변경치를 설정한다고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이하와 같이 된다.
ㆍ도 5, 도 14에 있어서의 캐리어 1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39)로 한다.
ㆍ도 5, 도 14에 있어서의 캐리어 2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0)으로 한다.
ㆍ도 5, 도 14에 있어서의 캐리어 3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1)로 한다.
ㆍ도 5, 도 14에 있어서의 캐리어 4에 대하여,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변경치를 식 (42)로 한다.
이상이, 도 20의 위상 변경부(209B)의 동작예가 된다.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 209B)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의 그 외의 심볼(403, 503)에는, 제어 정보 심볼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앞에도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외의 심볼(403)과 동일 시각, 또한, 동일한 주파수(동일한 캐리어)의 도 5의 그 외의 심볼(503)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동일 데이터(동일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있다.
그런데, 이하의 경우를 생각한다.
케이스 2 :
제어 정보 심볼을, 도 1의 안테나부#A(109_A) 또는 안테나부#B(109_B)의 어느 한쪽의 안테나부를 이용하여 송신한다.
"케이스 2"와 같이 송신한 경우, 제어 정보 심볼을 송신하는 안테나 수가 1이기 때문에, "안테나부#A(109_A)와 안테나부#B(109_B)의 양자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심볼을 송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공간 다이버시티의 게인이 작아지기 때문에, "케이스 2"일 때, 도 8의 수신 장치로 수신하더라도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향상이라고 하는 점에서는, "안테나부#A(109_A)와 안테나부#B(109_B)의 양자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심볼을 송신하는" 쪽이 좋다.
케이스 3 :
제어 정보 심볼을, 도 1의 안테나부#A(109_A)와 안테나부#B(109_B)의 양자를 이용하여 송신한다. 단, 도 22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부(209A, 209B)에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
"케이스 3"과 같이 송신한 경우, 안테나부#A(109_A)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와 안테나부#B(109_B)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가 동일(또는, 특정한 위상의 어긋남이 있다)하기 때문에, 전파의 전반 환경에 따라서는, 도 8의 수신 장치는, 매우 열악한 수신 신호가 될 가능성이 있음과 아울러, 양자의 변조 신호가 동일한 멀티 패스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저하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이 과제를 경감하기 위해, 도 22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A, 209B)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시간 또는 주파수 방향으로, 위상을 변경하고 있기 때문에,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열악한 수신 신호가 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A(109_A)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가 받는 멀티 패스의 영향과 안테나부#B(109_B)로부터 송신한 변조 신호가 받는 멀티 패스의 영향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고, 이것에 의해, 도 8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이상의 이유로부터, 도 22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A, 209B)를 마련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있다.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는, 제어 정보 심볼 이외에, 예컨대,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이, 제어 정보 심볼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하기 위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는, 파일럿 심볼(401, 501)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을 이용함으로써, 제어 정보 심볼을 보다 정밀하게 복조 및 복호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는,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의해, 동일 주파수(대), 동일 시간을 이용하여, 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다(MIMO 전송을 행하고 있다). 이들 데이터 심볼을 복조하기 위해서는,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을 이용한다.
이때,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은, 앞에도 말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A, 209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다.
그와 같은 상황 중,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상술한 설명의 경우는, 데이터 심볼(402)에 대하여), 이 처리를 반영시키지 않은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하는 경우, 위상 변경부(209A)에서 행한 위상 변경에 대한 처리를 반영시킨 복조 및 복호를 행할 필요가 있고, 그 처리는 복잡해질 가능성이 높다.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은, 위상 변경부(209A, 209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A, 209B)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그 외의 심볼(403) 및 그 외의 심볼(503)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검출을 위한 심볼,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볼, 채널 추정을 위한 심볼(전반로 변동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을 이용하여 추정한, 채널 추정 신호(전반로 변동의 추정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복조 및 복호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9A, 209B)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한 경우, 멀티 패스에 있어서의, 주파수축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의 급격한 감소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심볼의 대상"과 "위상 변경부(209A, 209B)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심볼의 대상"이 상이한 점이 특징적인 점이 된다.
이상과 같이, 도 22의 위상 변경부(205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 209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예컨대, "도 4 및 도 5의 프레임" 또는 "도 13 및 도 14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 심볼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이 향상됨과 아울러,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복조 및 복호의 동작이 간단해진다.
또, 도 22의 위상 변경부(205A, 205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에 대하여, 도 22의 위상 변경부(209A, 209B)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볼(402) 및 데이터 심볼(502)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 식 (38)에 있어서의 Q는 -2 이하의 정수이더라도 좋고, 이때, 위상 변경의 주기는, Q의 절대치가 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식 (49)에 있어서의 R은 -2 이하의 정수이더라도 좋고, 이때, 위상 변경의 주기는 R의 절대치가 된다.
또한, 보충 1에서 설명한 내용을 고려하면, 위상 변경부(209A)에 있어서 설정하는 순회 지연량과 위상 변경부(209B)에 있어서 설정하는 순회 지연량을 상이한 값으로 하면 된다.
(실시의 형태 7)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로부터 실시의 형태 6에서 설명한 송신 방법, 수신 방법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또는, 액세스 포인트 등)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송신 장치(2303)는, 데이터(2301), 신호군(2302), 제어 신호(2309)를 입력으로 하여, 데이터(2301), 신호군(2302)에 대응하는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안테나로부터 변조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송신 장치(2303)의 구성의 일례로서는,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고, 데이터(2301)는 도 1의 101에 상당하고, 신호군(2302)은 도 1의 110에 상당하고, 제어 신호(2309)는 도 1의 110에 상당한다.
수신 장치(2304)는, 통신 상대, 예컨대, 단말이 송신한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이 변조 신호에 대하여, 신호 처리ㆍ복조 및 복호를 행하고, 통신 상대로부터의 제어 정보 신호(2305) 및 수신 데이터(2306)를 출력한다.
이때, 수신 장치(2304)의 구성의 일례로서는, 예컨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고, 수신 데이터(2306)는 도 8의 812에 상당하고, 통신 상대로부터의 제어 정보 신호(2305)는 도 8의 810에 상당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2308)는, 통신 상대로부터의 제어 정보 신호(2305) 및 설정 신호(2307)를 입력으로 하여, 이들에 근거하여, 제어 신호(2309)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도 24는 도 23의 기지국의 통신 상대인 단말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송신 장치(2403)는, 데이터(2401), 신호군(2402), 제어 신호(2409)를 입력으로 하여, 데이터(2401), 신호군(2402)에 대응하는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안테나로부터 변조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송신 장치(2403)의 구성의 일례로서는,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고, 데이터(2401)는 도 1의 101에 상당하고, 신호군(2402)은 도 1의 110에 상당하고, 제어 신호(2409)는 도 1의 110에 상당한다.
수신 장치(2404)는, 통신 상대, 예컨대, 기지국이 송신한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이 변조 신호에 대하여, 신호 처리, 복조 및 복호를 행하고, 통신 상대로부터의 제어 정보 신호(2405) 및 수신 데이터(2406)를 출력한다.
이때, 수신 장치(2404)의 구성의 일례로서는, 예컨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고, 수신 데이터(2406)는 도 8의 812에 상당하고, 통신 상대로부터의 제어 정보 신호(2405)는 도 8의 810에 상당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2408)는, 통신 상대로부터의 제어 정보 신호(2305) 및 설정 신호(2407)를 입력으로 하여, 이들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 신호(2409)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도 25는 도 24의 단말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가로축을 시간으로 한다. 2501은 프리앰블이고, 통신 상대(예컨대, 기지국)가 신호 검출,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 주파수 오프셋의 추정, 채널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볼이고, 예컨대, PSK(Phase Shift Keying)의 심볼인 것으로 한다. 또한, 지향성 제어를 행하기 위한 트레이닝 심볼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 여기서는, 프리앰블이라고 이름 붙이고 있지만, 다르게 부르더라도 좋다.
2502는 제어 정보 심볼이고, 2503은 통신 상대에게 전송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심볼이다.
제어 정보 심볼(2502)에는, 예컨대, 데이터 심볼(2503)을 생성하는데 사용한 오류 정정 부호의 방법(부호 길이(블록 길이), 부호화율)의 정보, 변조 방식의 정보 및 통신 상대에게 통지하기 위한 제어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도 25는 어디까지나 프레임 구성의 일례이고, 이 프레임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 25에 나타낸 심볼 중에 다른 심볼, 예컨대, 파일럿 심볼이나 레퍼런스 심볼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좋다. 그리고, 도 25에 있어서, 세로축에 주파수가 있고, 주파수축 방향(캐리어 방향)에 심볼이 존재하고 있더라도 좋다.
도 23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프레임 구성의 일례는, 예컨대, 도 4, 도 5, 도 13,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고,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그 외의 심볼(403, 503)에는, 지향성 제어를 행하기 위한 트레이닝 심볼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지국은, 복수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하에서는, 기지국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3의 기지국의 송신 장치(2303)는, 도 1의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도 1의 신호 처리부(106)는, 도 2,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는다. 또,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을 행한다. 이때,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동작을 통신 환경이나 설정 상황에 따라 전환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프레임 구성 도 4, 도 5, 도 13, 도 14에 있어서의 그 외의 심볼(403, 503)의 제어 정보 심볼로 전송하는 제어 정보의 일부로서, 기지국이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u0, u1로 하는 것으로 한다. [u0 u1]과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관계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u0, u1은, 그 외의 심볼(403, 503)의 제어 정보 심볼의 일부로서, 예컨대, 기지국이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단말은, 그 외의 심볼(403, 503)의 제어 정보 심볼에 포함되는 [u0 u1]을 얻고, [u0 u1]로부터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동작을 알고, 데이터 심볼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표 1]
Figure pct00053
표 1의 해석은 이하와 같이 된다.
ㆍ"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고 기지국이 설정했을 때, "u0=0, u1=0"이라고 설정한다. 따라서, 위상 변경부(205A)는, 입력 신호(204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신호(206A)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위상 변경부(205B)는, 입력 신호(204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신호(206B)를 출력한다.
ㆍ"위상 변경부(205A, 205B)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한다"라고 기지국이 설정했을 때, "u0=0, u1=1"이라고 설정한다. 또,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로부터 실시의 형태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1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20, 도 21, 도 22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는 경우, "위상 변경부(205A)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부(205B)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을" 때, "위상 변경부(205A)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위상 변경부(205B)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할" 때에 대해서도 "u0=0, u1=1"이라고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ㆍ"위상 변경부(205A, 205B)가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라고 기지국이 설정했을 때, "u0=1, u1=0"이라고 설정한다. 여기서,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부(205A)에 있어서,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입력 신호(204A)를 z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 그러면,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실시한" 경우, 출력 신호(206A)는, e×z1(i)라고 나타내어진다(α는 실수이고, 특정한 위상 변경치가 된다). 이때, 진폭을 변경하더라도 좋고, 이 경우, 출력 신호(206A)는, A×e×z1(i)라고 나타내어진다(A는 실수).
마찬가지로, 위상 변경부(206A)에 있어서,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입력 신호(204B)를 z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 그러면,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실시한" 경우, 출력 신호(206B)는, e×z2(i)라고 나타내어진다(α는 실수이고, 특정한 위상 변경치가 된다). 이때, 진폭을 변경하더라도 좋고, 이 경우, 출력 신호(206B)는, B×e×z2(i)라고 나타내어진다(B는 실수).
또, 도 1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20, 도 21, 도 22, 도 31, 도 32, 도 33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는 경우, "위상 변경부(205A)가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부(205B)가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지 않을" 때, "위상 변경부(205A)가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위상 변경부(205B)가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실시할" 때에 대해서도 "u0=1, u1=0"이라고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특정한 위상 변경치"의 설정 방법의 예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이하에서는, 제 1 방법, 제 2 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제 1 방법 :
기지국이 트레이닝 심볼을 송신한다. 그리고, 통신 상대인 단말이, 트레이닝 심볼을 이용하여,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얻은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정보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한다.
또는, 기지국이 트레이닝 심볼을 송신한다. 그리고, 통신 상대인 단말이, 트레이닝 심볼의 수신 결과에 관한 정보(예컨대, 채널 추정치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얻은 "트레이닝 심볼의 수신 결과에 관한 정보"로부터,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적합한 값을 구하고, 위상 변경을 행한다.
또, 기지국은, 설정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값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 통지할 필요가 있고, 이 경우, 도 4, 도 5, 도 13, 도 14에 있어서의 그 외의 심볼(403, 503)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 심볼에 의해, 기지국이 설정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값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제 1 방법의 실시예를, 도 2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6(A)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시간축에 있어서의 심볼을 나타내고 있고, 가로축은 시간이다. 그리고, 도 26(B)는 단말이 송신하는 시간축에 있어서의 심볼을 나타내고 있고, 가로축은 시간이다.
이하에서는, 도 26의 구체적인 설명을 행한다. 우선, 단말은, 기지국에 대하여, 통신의 요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적어도, "기지국이 데이터 심볼(2604)을 송신하는데 사용하는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를 추정하기" 위한 트레이닝 심볼(2601)을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또, 트레이닝 심볼(2601)을 이용하여, 단말은, 다른 추정을 행하더라도 좋고, 또한, 트레이닝 심볼(2601)은, 예컨대, PSK 변조를 이용하면 된다. 그리고, 트레이닝 심볼은, 실시의 형태 1로부터 실시의 형태 6에서 설명한 파일럿 심볼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된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트레이닝 심볼(2601)을 수신하고, 트레이닝 심볼(2601)을 이용하여, 기지국이 구비하는,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 실시하는, 적합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를 산출하고, 이 산출한 값을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 심볼(2602)을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피드백 정보 심볼(2602)을 수신하고, 이 심볼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하고, 적합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정보를 얻는다. 이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의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가 실시하는 위상 변경의 위상 변경치(세트)가 설정된다.
그리고, 기지국은, 제어 정보 심볼(2603) 및 데이터 심볼(2604)을 송신하지만, 적어도 데이터 심볼(2604)은, 설정된 위상 변경치(세트)에 의해,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또, 데이터 심볼(2604)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1로부터 실시의 형태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복수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한다. 단, 실시의 형태 1로부터 실시의 형태 6과는 달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는, 상술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에 의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 26의 기지국, 단말의 프레임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다른 심볼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좋다. 그리고, 트레이닝 심볼(2601), 피드백 정보 심볼(2602), 제어 정보 심볼(2603), 데이터 심볼(2604)의 각각의 심볼은, 예컨대, 파일럿 심볼과 같은 다른 심볼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제어 정보 심볼(2603)에는, 데이터 심볼(2604)을 송신할 때에 사용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단말은, 이 정보를 얻음으로써, 데이터 심볼(2604)의 복조 및 복호가 가능하게 된다.
실시의 형태 1로부터 실시의 형태 6에서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기지국이, 도 4, 도 5, 도 13, 도 14와 같은 프레임 구성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술한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 실시하는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에 의한 위상 변경은, 데이터 심볼(402, 502)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9B)에서 실시하는 위상 변경의 대상이 되는 심볼은, 실시의 형태 1로부터 실시의 형태 6에서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파일럿 심볼(401, 501)", "그 외의 심볼(403, 503)"이 된다.
단,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파일럿 심볼(401, 501)", "그 외의 심볼(403, 503)"에 대해서도 위상 변경을 실시하더라도, 복조 및 복호는 가능하게 된다.
또,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라고 기재하고 있다. 도 2, 도 18, 도 19, 도 31, 도 32, 도 33의 경우, 위상 변경부(205A)는 존재하지 않고,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 경우, 위상 변경부(205B)에서 사용하는 특정한 위상 변경치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20, 도 21, 도 22, 도 31, 도 32, 도 33의 경우, 위상 변경부(205A) 및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한다. 이 경우, 위상 변경부(205A)에서 사용하는 특정한 위상 변경치#A와, 위상 변경부(205B)에서 사용하는 특정한 위상 변경치#B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라고 기재했다.
제 2 방법 :
기지국은, 단말에 대하여, 프레임의 송신을 개시한다. 그때, 기지국은, 예컨대, 난수의 값에 근거하여,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값을 설정하고, 특정한 위상 변경치에 의한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 후, 단말이, 프레임(또는, 패킷)을 얻을 수 없었던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고, 기지국이 이 정보를 수신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예컨대, 난수의 값에 근거하여,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값(세트)을 설정하고,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적어도, 단말이 얻을 수 없었던 프레임(패킷)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심볼은, 재설정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에 근거한 위상 변경을 실시한 변조 신호에 의해, 전송된다. 다시 말해, 제 1 프레임(패킷)의 데이터를 재송 등에 의해, 2회(또는 2회 이상) 기지국이 송신하는 경우, 1번째에 송신할 때에 사용되는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와 2번째에 송신할 때에 사용되는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가 상이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재송의 경우, 2번째의 송신에 의해, 프레임(또는, 패킷)을 단말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후에도,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프레임(또는, 패킷)을 얻을 수 없었다고 하는 정보"를 얻으면, 예컨대, 난수의 값에 근거하여,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값을 변경한다.
또, 기지국은, 설정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값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 통지할 필요가 있고, 이 경우, 도 4, 도 5, 도 13, 도 14에 있어서의 그 외의 심볼(403, 503)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 심볼에 의해, 기지국이 설정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값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또, 상기의 제 2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은, 예컨대, 난수의 값에 근거하여,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값을 설정한다"고 기재했지만,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설정은 이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설정을 행할 때에,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가 새롭게 설정되는 구성이면, 어떠한 방법으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를 설정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ㆍ어느 규칙에 근거하여,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를 설정한다.
ㆍ랜덤하게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를 설정한다.
ㆍ통신 상대로부터 얻은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를 설정한다.
중 어느 방법으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를 설정하더라도 좋다. 단, 이들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 2 방법의 실시예를, 도 2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7(A)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시간축에 있어서의 심볼을 나타내고 있고, 가로축은 시간이다. 그리고, 도 27(B)는 단말이 송신하는 시간축에 있어서의 심볼을 나타내고 있고, 가로축은 시간이다.
이하에서는, 도 27의 구체적인 설명을 행한다.
우선, 도 27의 설명을 위해,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1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106)의 구성의 일례로서, 도 2,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의 구성을 나타냈지만, 그 변형예의 구성을,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에 나타낸다.
도 28은 도 2의 구성에 대하여, 위상 변경부(205B)의 삽입 위치를 가중 합성부(203)의 앞으로 하고 있는 예이다. 다음으로, 도 28의 동작에 대하여, 도 2와 상이한 부분만 설명한다.
위상 변경부(205B)는, 매핑 후의 신호(201B)(s2(t))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매핑 후의 신호(201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801B)를 출력한다.
위상 변경부(205B)에서는, 예컨대, s2(i)에 대하여 y(i)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위상 변경 후의 신호(2801B)를 s2'(i)로 하면, s2'(i)=y(i)×s2(i)라고 나타낼 수 있다(i는 심볼 번호(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 y(i)를 주는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가중 합성부(203)는, 매핑 후의 신호(201A)(s1(i)) 및 위상 변경 후의 신호(2801B)(s2'(i))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가중 합성(프리코딩)을 행하고,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및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매핑 후의 신호(201A)(s1(i)) 및 위상 변경 후의 신호(2801B)(s2'(i))로 구성하는 벡터에 대하여, 프리코딩 행렬을 승산하고,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및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를 얻는다. 또, 프리코딩 행렬의 구성예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후의 설명은, 도 2에 있어서의 설명과 마찬가지가 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29는 도 18의 구성에 대하여, 위상 변경부(205B)의 삽입 위치를 가중 합성부(203)의 앞으로 하고 있는 예이다. 이때, 위상 변경부(205B)의 동작, 가중 합성부(203)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8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가중 합성부(203)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8에 있어서의 설명과 마찬가지가 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30은 도 19의 구성에 대하여, 위상 변경부(205B)의 삽입 위치를 가중 합성부(203)의 앞으로 하고 있는 예이다. 이때, 위상 변경부(205B)의 동작, 가중 합성부(203)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8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가중 합성부(203)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9에 있어서의 설명과 마찬가지가 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31은 도 20의 구성에 대하여, 위상 변경부(205A)의 삽입 위치를 가중 합성부(203)의 앞으로 하고, 또한, 위상 변경부(205B)의 삽입 위치를 가중 합성부(203)의 앞으로 하고 있는 예이다.
위상 변경부(205A)는, 매핑 후의 신호(201A)(s1(t))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매핑 후의 신호(201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신호(2801A)를 출력한다.
위상 변경부(205A)에서는, 예컨대, s1(i)에 대하여 w(i)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위상 변경 후의 신호(2801A)를 s1'(i)로 하면, s1'(i)=w(i)×s1(i)라고 나타낼 수 있다(i는 심볼 번호(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 w(i)를 주는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위상 변경부(205B)에서는, 예컨대, s2(i)에 대하여 y(i)의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위상 변경 후의 신호(2801B)를 s2'(i)로 하면, s2'(i)=y(i)×s2(i)라고 나타낼 수 있다(i는 심볼 번호(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 y(i)를 주는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가중 합성부(203)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801A)(s1'(i)) 및, 위상 변경 후의 신호(2801B)(s2'(i))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가중 합성(프리코딩)을 행하고,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및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801A)(s1'(i)) 및 위상 변경 후의 신호(2801B)(s2'(i))로 구성하는 벡터에 대하여, 프리코딩 행렬을 승산하고,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및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를 얻는다. 또, 프리코딩 행렬의 구성예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후의 설명은, 도 20에 있어서의 설명과 마찬가지가 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32는 도 21의 구성에 대하여, 위상 변경부(205A)의 삽입 위치를 가중 합성부(203)의 앞으로 하고, 또한, 위상 변경부(205B)의 삽입 위치를 가중 합성부(203)의 앞으로 하고 있는 예이다. 이때, 위상 변경부(205A)의 동작, 위상 변경부(205B)의 동작, 가중 합성부(203)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31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가중 합성부(203)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1에 있어서의 설명과 마찬가지가 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33은 도 22의 구성에 대하여, 위상 변경부(205A)의 삽입 위치를 가중 합성부(203)의 앞으로 하고, 또한, 위상 변경부(205B)의 삽입 위치를 가중 합성부(203)의 앞으로 하고 있는 예이다. 이때, 위상 변경부(205A)의 동작 및 위상 변경부(205B)의 동작, 가중 합성부(203)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31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가중 합성부(203)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2에 있어서의 설명과 마찬가지가 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27에 있어서, 단말은, 기지국에 대하여, 통신의 요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예컨대, 난수를 이용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 실시하는 위상 변경치를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결정한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때, 제어 정보 심볼(2701_1)에는,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라고 기재했다. 도 2, 도 18, 도 19, 도 28, 도 29, 도 30의 경우, 위상 변경부(205A)는 존재하지 않고,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 경우, 위상 변경부(205B)에서 사용하는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20, 도 21, 도 22, 도 31, 도 32, 도 33의 경우, 위상 변경부(205A) 및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한다. 이 경우, 위상 변경부(205A)에서 사용하는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A와, 위상 변경부(205B)에서 사용하는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B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라고 기재했다.
기지국은, 제어 정보 심볼(2701_1) 및 데이터 심볼#1(2702_1)을 송신하지만, 적어도 데이터 심볼#1(2702_1)은, 결정한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에 의한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제어 정보 심볼(2701_1) 및 데이터 심볼#1(2702_1)을 수신하고, 제어 정보 심볼(2701_1)에 포함되는 적어도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1(2702_1)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그 결과, "데이터 심볼#1(2702_1)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다"고, 단말이 판단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단말은, "데이터 심볼#1(2702_1)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다"고 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단말 송신 심볼(2750_1)을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단말 송신 심볼(2750_1)을 수신하고, 단말 송신 심볼(2750_1)에 포함되는 적어도 "데이터 심볼#1(2702_1)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다"의 정보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 실시하는 위상 변경(세트)을, 데이터 심볼#1(2702_1)을 송신할 때와 마찬가지로,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라고 결정을 한다. 기지국은, "데이터 심볼#1(2702_1)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다음 데이터 심볼을 송신할 때도,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를 사용하더라도, 단말은, 오류 없이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말은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기지국은, 결정한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때, 제어 정보 심볼(2701_2)에는,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기지국은, 제어 정보 심볼(2701_2) 및 데이터 심볼#2(2702_2)를 송신하지만, 적어도 데이터 심볼#2(2702_2)는, 결정한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에 의한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제어 정보 심볼(2701_2) 및 데이터 심볼#2(2702_2)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 심볼(2701_2)에 포함되는 적어도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2(2702_2)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그 결과, "데이터 심볼#2(2702_2)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다"고, 단말이 판단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단말은, "데이터 심볼#2(2702_2)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다"고 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단말 송신 심볼(2750_2)을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단말 송신 심볼(2750_2)을 수신하고, 단말 송신 심볼(2750_2)에 포함되는 적어도 "데이터 심볼#2(2702_2)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다"의 정보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 실시하는 위상 변경을,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부터 변경한다고 판단한다. 기지국은, "데이터 심볼#2(2702_2)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다음 데이터 심볼을 송신할 때,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부터 위상 변경치를 변경하면, 단말은, 오류 없이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말은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기지국은, 예컨대, 난수를 이용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 실시하는 위상 변경치(세트)를 "제 1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부터 "제 2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변경한다고 결정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결정한 "제 2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때, 제어 정보 심볼(2701_3)에는, "제 2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제 2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라고 기재했다. 도 2, 도 18, 도 19, 도 28, 도 29, 도 30의 경우, 위상 변경부(205A)는 존재하지 않고,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 경우, 위상 변경부(205B)에서 사용하는 제 2 특정한 위상 변경치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20, 도 21, 도 22, 도 31, 도 32, 도 33의 경우, 위상 변경부(205A) 및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한다. 이 경우, 위상 변경부(205A)에서 사용하는 제 2 특정한 위상 변경치#A와, 위상 변경부(205B)에서 사용하는 제 2 특정한 위상 변경치#B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제 2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라고 기재했다.
기지국은, 제어 정보 심볼(2701_3) 및 데이터 심볼#2(2702_2-1)를 송신하지만, 적어도 데이터 심볼#2(2702_2-1)는, 결정한 "제 2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에 의한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또, "제어 정보 심볼(2701_2)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2(2702_2)"와 "제어 정보 심볼(2701_3)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2(2702_2-1)"에 있어서, "제어 정보 심볼(2701_2)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2(2702_2)"의 변조 방식과 "제어 정보 심볼(2701_3)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2(2702_2-1)"의 변조 방식은, 동일하더라도 좋고, 상이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어 정보 심볼(2701_2)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2(2702_2)"가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 정보 심볼(2701_3)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2(2702_2-1)"가 포함하고 있다. "제어 정보 심볼(2701_3)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2(2702_2-1)"가 재송용의 심볼이기 때문이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제어 정보 심볼(2701_3) 및 데이터 심볼#2(2702_2)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 심볼(2701_3)에 포함되는 적어도 "제 2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2(2702_2-1)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그 결과, "데이터 심볼#2(2702_2-1)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다"고, 단말이 판단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단말은, "데이터 심볼#2(2702_2-1)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다"고 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단말 송신 심볼(2750_3)을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단말 송신 심볼(2750_3)을 수신하고, 단말 송신 심볼(2750_3)에 포함되는 적어도 "데이터 심볼#2(2702_2-1)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던" 정보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 A 및 위상 변경부 B에서 실시하는 위상 변경을 "제 2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부터 변경한다고 판단한다. 기지국은, "데이터 심볼#2(2702_2-1)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다음 데이터 심볼을 송신할 때, "제 2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부터 위상 변경치를 변경하면, 단말은, 오류 없이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말은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기지국은, 예컨대, 난수를 이용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 실시하는 위상 변경치(세트)를 "제 2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부터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때, 제어 정보 심볼(2701_4)에는,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라고 기재했다. 도 2, 도 18, 도 19, 도 28, 도 29, 도 30의 경우, 위상 변경부(205A)는 존재하지 않고,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 경우, 위상 변경부(205B)에서 사용하는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20, 도 21, 도 22, 도 31, 도 32, 도 33의 경우, 위상 변경부(205A) 및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한다. 이 경우, 위상 변경부(205A)에서 사용하는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A와, 위상 변경부(205B)에서 사용하는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B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라고 기재했다.
기지국은, 제어 정보 심볼(2701_4) 및 데이터 심볼#2(2702_2-2)를 송신하지만, 적어도 데이터 심볼#2(2702_2-2)는, 결정한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에 의한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또, "제어 정보 심볼(2701_3)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2(2702_2-1)"와 "제어 정보 심볼(2701_4)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2(2702_2-2)"에 있어서, "제어 정보 심볼(2701_3)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2(2702_2-1)"의 변조 방식과 "제어 정보 심볼(2701_4)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2(2702_2-2)"의 변조 방식은, 동일하더라도 좋고, 상이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어 정보 심볼(2701_3)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2(2702_2-1)"가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 정보 심볼(2701_4)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2(2702_2-2)"가 포함하고 있다. "제어 정보 심볼(2701_4)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2(2702_2-2)"가 재송용의 심볼이기 때문이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제어 정보 심볼(2701_4) 및 데이터 심볼#2(2702_2-2)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 심볼(2701_4)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2(2702_2-2)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그 결과, "데이터 심볼#2(2702_2-2)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다"고, 단말이 판단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단말은, "데이터 심볼#2(2702_2-2)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다"고 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단말 송신 심볼(2750_4)을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단말 송신 심볼(2750_4)을 수신하고, 단말 송신 심볼(2750_4)에 포함되는 적어도 "데이터 심볼#2(2702-2)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다"의 정보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 실시하는 위상 변경(세트)을, 데이터 심볼#2(2702_2-2)를 송신할 때와 마찬가지로,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라고 결정을 한다. 기지국은, "데이터 심볼#2(2702_2-2)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다음 데이터 심볼을 송신할 때도,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를 사용하더라도, 단말은, 오류 없이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말은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기지국은, 결정한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때, 제어 정보 심볼(2701_5)에는,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기지국은, 제어 정보 심볼(2701_5) 및 데이터 심볼#3(2702_3)을 송신하지만, 적어도 데이터 심볼#3(2702_3)은, 결정한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에 의한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제어 정보 심볼(2701_5) 및 데이터 심볼#3(2702_3)을 수신하고, 제어 정보 심볼(2701_5)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3(2702_3)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그 결과, "데이터 심볼#3(2702_3)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다"고, 단말이 판단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단말은, "데이터 심볼#3(2702_3)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다"고 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단말 송신 심볼(2750_5)을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단말 송신 심볼(2750_5)을 수신하고, 단말 송신 심볼(2750_5)에 포함되는 적어도 "데이터 심볼#3(2702_3)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다"의 정보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 실시하는 위상 변경(세트)을, 데이터 심볼#3(2702_3)을 송신할 때와 마찬가지로,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라고 결정을 한다. 기지국은, "데이터 심볼#3(2702_3)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다음 데이터 심볼을 송신할 때도,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를 사용하더라도, 단말은, 오류 없이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말은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기지국은, 결정한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때, 제어 정보 심볼(2701_6)에는,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기지국은 제어 정보 심볼(2701_6) 및 데이터 심볼#4(2702_4)를 송신하지만, 적어도 데이터 심볼#4(2702_4)는, 결정한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에 의한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제어 정보 심볼(2701_6) 및 데이터 심볼#4(2702_4)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 심볼(2701_6)에 포함되는 적어도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4(2702_4)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그 결과, "데이터 심볼#4(2702_4)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다"고, 단말이 판단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단말은 "데이터 심볼#4(2702_4)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다"고 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단말 송신 심볼(2750_6)을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단말 송신 심볼(2750_6)을 수신하고, 단말 송신 심볼(2750_6)에 포함되는 적어도 "데이터 심볼#4(2702_4)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다"의 정보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 실시하는 위상 변경을,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부터 변경한다고 판단한다. 기지국은, "데이터 심볼#4(2702_4)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다음 데이터 심볼을 송신할 때,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부터 위상 변경치를 변경하면, 단말은, 오류 없이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말은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기지국은, 예컨대, 난수를 이용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 실시하는 위상 변경치(세트)를 "제 3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부터 "제 4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변경한다고 결정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결정한 "제 4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때, 제어 정보 심볼(2701_7)에는, "제 4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제 4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라고 기재했다. 도 2, 도 18, 도 19, 도 28, 도 29, 도 30의 경우, 위상 변경부(205A)는 존재하지 않고,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 경우, 위상 변경부(205B)에서 사용하는 제 4 특정한 위상 변경치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20, 도 21, 도 22, 도 31, 도 32, 도 33의 경우, 위상 변경부(205A) 및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한다. 이 경우, 위상 변경부(205A)에서 사용하는 제 4 특정한 위상 변경치#A와, 위상 변경부(205B)에서 사용하는 제 4 특정한 위상 변경치#B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제 4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라고 기재했다.
또, "제어 정보 심볼(2701_6)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4(2702_4)"와 "제어 정보 심볼(2701_7)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4(2702_4-1)"에 있어서, "제어 정보 심볼(2701_6)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4(2702_4)"의 변조 방식과 "제어 정보 심볼(2701_7)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4(2702_4-1)"의 변조 방식은, 동일하더라도 좋고, 상이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어 정보 심볼(2701_6)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4(2702_4)"가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 정보 심볼(2701_7)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4(2702_4-1)"가 포함하고 있다. "제어 정보 심볼(2701_7)의 직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볼#4(2702_4-1)"가 재송용의 심볼이기 때문이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제어 정보 심볼(2701_7) 및 데이터 심볼#4(2702_4-1)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 심볼(2701_7)에 포함되는 적어도 "제 4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4(2702_4-1)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또, 데이터 심볼#1(2702_1), 데이터 심볼#2(2702_2), 데이터 심볼#3(2702_3), 데이터 심볼#4(2702_4)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1로부터 실시의 형태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복수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한다. 단, 실시의 형태 1로부터 실시의 형태 6과는 달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는, 상술한 "특정한 위상 변경치"에 의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 27의 기지국, 단말의 프레임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다른 심볼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좋다. 그리고, 제어 정보 심볼(2701_1, 2701_2, 2701_3, 2701_4, 2701_5, 2701_6), 데이터 심볼#1(2702_1), 데이터 심볼#2(2702_2), 데이터 심볼#3(2702_3), 데이터 심볼#4(2702_4)의 각각의 심볼은, 예컨대, 파일럿 심볼과 같은 다른 심볼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제어 정보 심볼(2701_1, 2701_2, 2701_3, 2701_4, 2701_5, 2701_6)에는, 데이터 심볼#1(2702_1), 데이터 심볼#2(2702_2), 데이터 심볼#3(2702_3), 데이터 심볼#4(2702_4)를 송신할 때에 사용한 "특정한 위상 변경치"의 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단말은, 이 정보를 얻음으로써, 데이터 심볼#1(2702_1), 데이터 심볼#2(2702_2), 데이터 심볼#3(2702_3), 데이터 심볼#4(2702_4)의 복조 및 복호가 가능하게 된다.
또, 상술한 설명에서는, 기지국이, "난수"를 이용하여,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값(의 세트)을 결정하고 있지만,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값의 결정은 이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지국은,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값(의 세트)을 규칙적으로 변경하더라도 좋다.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값은 어떠한 방법으로 결정하더라도 좋고,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변경 전과 변경 후에,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의 값(의 세트)이 상이하면 된다.
실시의 형태 1로부터 실시의 형태 6에서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기지국이, 도 4, 도 5, 도 13, 도 14와 같은 프레임 구성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술한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 실시하는 "특정한 위상 변경치"에 의한 위상 변경은, 데이터 심볼(402, 502)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9B)에서 실시하는 위상 변경의 대상이 되는 심볼은, 실시의 형태 1로부터 실시의 형태 6에서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파일럿 심볼(401, 501)", "그 외의 심볼(403, 503)"이 된다.
단,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파일럿 심볼(401, 501)", "그 외의 심볼(403, 503)"에 대해서도 위상 변경을 실시하더라도, 복조 및 복호는 가능하게 된다.
앞에 설명한,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방법은, 이 송신 방법 단독으로 실시하더라도, 단말은,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의 도 1의 신호 처리부(106)의 구성으로서, 도 2,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의 구성을 나타냈지만, 위상 변경부(209A) 및 위상 변경부(209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실시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좋고, 다시 말해, 도 2,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A) 및 위상 변경부(209B)를 삭제한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때, 신호(208A)가 도 1의 신호(106_A)에 상당하고, 신호(208B)가, 도 1의 신호(106_B)에 상당한다.
기지국이 구비하는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술한 [u0 u1]을 [u0 u1]=[01](u0=0, u1=1)로 설정했을 때, 다시 말해,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에, 구체적으로 행하는 위상 변경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u2, u3으로 하는 것으로 한다. [u2 u3]과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구체적으로 행하는 위상 변경의 관계를 표 2에 나타낸다(또, u2, u3은, 예컨대, 그 외의 심볼(403, 503)의 제어 정보 심볼의 일부로서, 기지국이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단말은, 그 외의 심볼(403, 503)의 제어 정보 심볼에 포함되는 [u2 u3]을 얻고, [u2 u3]으로부터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동작을 알고, 데이터 심볼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그리고, "구체적인 위상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2비트로 하고 있지만, 비트 수는, 2비트 이외이더라도 좋다).
[표 2]
Figure pct00054
표 2의 해석의 제 1 예는 이하와 같이 된다.
ㆍ[u0 u1]=[01](u0=0, u1=1), [u2 u3]=[00](u2=0, u3=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01_1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01_1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53]
Figure pct00055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ㆍ[u0 u1]=[01](u0=0, u1=1), [u2 u3]=[01](u2=0, u3=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01_2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01_2 :
위상 변경부(205A)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54]
Figure pct00056
ㆍ[u0 u1]=[01](u0=0, u1=1), [u2 u3]=[10](u2=1, u3=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01_3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01_3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55]
Figure pct00057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56]
Figure pct00058
ㆍ[u0 u1]=[01](u0=0, u1=1), [u2 u3]=[11](u2=1, u3=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01_4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01_4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57]
Figure pct00059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58]
Figure pct00060
표 2의 해석의 제 2 예는 이하와 같이 된다.
ㆍ[u0 u1]=[01](u0=0, u1=1), [u2 u3]=[00](u2=0, u3=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01_1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01_1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59]
Figure pct00061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ㆍ[u0 u1]=[01](u0=0, u1=1), [u2 u3]=[01](u2=0, u3=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01_2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01_2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60]
Figure pct00062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ㆍ[u0 u1]=[01](u0=0, u1=1), [u2 u3]=[10](u2=1, u3=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01_3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01_3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61]
Figure pct00063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ㆍ[u0 u1]=[01](u0=0, u1=1), [u2 u3]=[11](u2=1, u3=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01_4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01_4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62]
Figure pct00064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표 2의 해석의 제 3 예는 이하와 같이 된다.
ㆍ[u0 u1]=[01](u0=0, u1=1), [u2 u3]=[00](u2=0, u3=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01_1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01_1 :
위상 변경부(205A)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63]
Figure pct00065
ㆍ[u0 u1]=[01](u0=0, u1=1), [u2 u3]=[01](u2=0, u3=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01_2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01_2 :
위상 변경부(205A)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64]
Figure pct00066
ㆍ[u0 u1]=[01](u0=0, u1=1), [u2 u3]=[10](u2=1, u3=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01_3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01_3 :
위상 변경부(205A)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65]
Figure pct00067
ㆍ[u0 u1]=[01](u0=0, u1=1), [u2 u3]=[11](u2=1, u3=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01_4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01_4 :
위상 변경부(205A)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66]
Figure pct00068
표 2의 해석의 제 4 예는 이하와 같이 된다.
ㆍ[u0 u1]=[01](u0=0, u1=1), [u2 u3]=[00](u2=0, u3=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01_1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01_1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67]
Figure pct00069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68]
Figure pct00070
ㆍ[u0 u1]=[01](u0=0, u1=1), [u2 u3]=[01](u2=0, u3=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01_2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01_2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69]
Figure pct00071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70]
Figure pct00072
ㆍ[u0 u1]=[01](u0=0, u1=1), [u2 u3]=[10](u2=1, u3=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01_3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01_3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71]
Figure pct00073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72]
Figure pct00074
ㆍ[u0 u1]=[01](u0=0, u1=1), [u2 u3]=[11](u2=1, u3=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01_4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01_4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73]
Figure pct00075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74]
Figure pct00076
이상과 같이, 제 1 예로부터 제 4 예를 기재했지만,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의 구체적인 위상 변경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위상 변경부(205A)에 있어서,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한다
<2>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한다
<3>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한다
<1>, <2>, <3>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이 [u2 u3]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술한 설명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기지국이 구비하는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술한 [u0 u1]을 [u0 u1]=[10](u0=1, u1=0)으로 설정했을 때, 다시 말해,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경우에, 구체적으로 행하는 위상 변경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u4, u5로 하는 것으로 한다. [u4 u5]와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구체적으로 행하는 위상 변경의 관계를 표 3에 나타낸다. 또, u4, u5는, 예컨대, 그 외의 심볼(403, 503)의 제어 정보 심볼의 일부로서, 기지국이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단말은, 그 외의 심볼(403, 503)의 제어 정보 심볼에 포함되는 [u4 u5]를 얻고, [u4 u5]로부터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동작을 알고, 데이터 심볼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그리고, "구체적인 위상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2비트로 하고 있지만, 비트 수는 2비트 이외이더라도 좋다.
[표 3]
Figure pct00077
표 3의 해석의 제 1 예는 이하와 같이 된다.
ㆍ[u0 u1]=[10](u0=1, u1=0), [u4 u5]=[00](u4=0, u5=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0_1의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0_1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75]
Figure pct00078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ㆍ[u0 u1]=[10](u0=1, u1=0), [u4 u5]=[01](u4=0, u5=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0_2의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0_2 :
위상 변경부(205A)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76]
Figure pct00079
ㆍ[u0 u1]=[10](u0=1, u1=0), [u4 u5]=[10](u4=1, u5=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0_3의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0_3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77]
Figure pct00080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78]
Figure pct00081
ㆍ[u0 u1]=[10](u0=1, u1=0), [u4 u5]=[11](u4=1, u5=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0_4의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0_4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79]
Figure pct00082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80]
Figure pct00083
표 3의 해석의 제 2 예는 이하와 같이 된다.
ㆍ[u0 u1]=[10](u0=1, u1=0), [u4 u5]=[00](u4=0, u5=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0_1의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0_1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81]
Figure pct00084
식 (81)의 경우, 위상 변경부(205A)에서는,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ㆍ[u0 u1]=[10](u0=1, u1=0), [u4 u5]=[01](u4=0, u5=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0_2의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0_2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82]
Figure pct00085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ㆍ[u0 u1]=[10](u0=1, u1=0), [u4 u5]=[10](u4=1, u5=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0_3의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0_3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83]
Figure pct00086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ㆍ[u0 u1]=[10](u0=1, u1=0), [u4 u5]=[11](u4=1, u5=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0_4의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0_4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84]
Figure pct00087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표 3의 해석의 제 3 예는 이하와 같이 된다.
ㆍ[u0 u1]=[10](u0=1, u1=0), [u4 u5]=[00](u4=0, u5=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0_1의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0_1 :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85]
Figure pct00088
식 (85)의 경우, 위상 변경부(205B)에서는,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A)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ㆍ[u0 u1]=[10](u0=1, u1=0), [u4 u5]=[01](u4=0, u5=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0_2의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0_2 :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86]
Figure pct00089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A)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ㆍ[u0 u1]=[10](u0=1, u1=0), [u4 u5]=[10](u4=1, u5=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0_3의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0_3 :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87]
Figure pct00090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A)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ㆍ[u0 u1]=[10](u0=1, u1=0), [u4 u5]=[11](u4=1, u5=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0_4의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0_4 :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88]
Figure pct00091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A)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표 3의 해석의 제 4 예는 이하와 같이 된다.
ㆍ[u0 u1]=[10](u0=1, u1=0), [u4 u5]=[00](u4=0, u5=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0_1의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0_1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89]
Figure pct00092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90]
Figure pct00093
식 (90)의 경우, 위상 변경부(205B)에서는,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지 않다.
ㆍ[u0 u1]=[10](u0=1, u1=0), [u4 u5]=[01](u4=0, u5=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0_2의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0_2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91]
Figure pct00094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92]
Figure pct00095
ㆍ[u0 u1]=[10](u0=1, u1=0), [u4 u5]=[10](u4=1, u5=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0_3의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0_3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93]
Figure pct00096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94]
Figure pct00097
ㆍ[u0 u1]=[10](u0=1, u1=0), [u4 u5]=[11](u4=1, u5=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0_4의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0_4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95]
Figure pct00098
식 (95)의 경우, 위상 변경부(205A)에서는,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심볼 번호에 의존하지 않고 고정의 위상치가 된다).
[수학식 96]
Figure pct00099
이상과 같이, 제 1 예로부터 제 4 예를 기재했지만,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의 구체적인 위상 변경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4> 위상 변경부(205A)에 있어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5>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6>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4>, <5>, <6>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이 [u4 u5]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술한 설명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구비하는 위상 변경부(205A, 205B)에 있어서,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의 조합의 모드를 표 1의 "Reserve", 다시 말해, [u0 u1]=[11](u0=1, u1=1)에 할당하는 것으로 한다.
기지국이 구비하는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동작을 제어하는, [u0 u1]=[11](u0=1, u1=1)로 설정했을 때, 다시 말해,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경우에, 구체적으로 행하는 위상 변경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u6, u7로 하는 것으로 한다. [u6 u7]과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구체적으로 행하는 위상 변경의 관계를 표 4에 나타낸다. 또, u6, u7은, 예컨대, 그 외의 심볼(403, 503)의 제어 정보 심볼의 일부로서, 기지국이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단말은, 그 외의 심볼(403, 503)의 제어 정보 심볼에 포함되는 [u6 u7]을 얻고, [u6 u7]로부터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동작을 알고, 데이터 심볼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그리고, "구체적인 위상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2비트로 하고 있지만, 비트 수는, 2비트 이외이더라도 좋다.
[표 4]
Figure pct00100
표 4의 해석의 제 1 예는 이하와 같이 된다.
ㆍ[u0 u1]=[11](u0=1, u1=1), [u6 u7]=[00](u6=0, u7=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1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1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97]
Figure pct00101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98]
Figure pct00102
ㆍ[u0 u1]=[11](u0=1, u1=1), [u6 u7]=[01](u6=0, u7=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2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2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99]
Figure pct00103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00]
Figure pct00104
ㆍ[u0 u1]=[11](u0=1, u1=1), [u6 u7]=[10](u6=1, u7=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3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3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01]
Figure pct00105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02]
Figure pct00106
ㆍ[u0 u1]=[11](u0=1, u1=1), [u6 u7]=[11](u6=1, u7=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4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4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03]
Figure pct00107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04]
Figure pct00108
표 4의 해석의 제 2 예는 이하와 같이 된다.
ㆍ[u0 u1]=[11](u0=1, u1=1), [u6 u7]=[00](u6=0, u7=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1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1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05]
Figure pct00109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06]
Figure pct00110
ㆍ[u0 u1]=[11](u0=1, u1=1), [u6 u7]=[01](u6=0, u7=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2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2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07]
Figure pct00111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08]
Figure pct00112
ㆍ[u0 u1]=[11](u0=1, u1=1), [u6 u7]=[10](u6=1, u7=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3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3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09]
Figure pct00113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10]
Figure pct00114
ㆍ[u0 u1]=[11](u0=1, u1=1), [u6 u7]=[11](u6=1, u7=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4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4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11]
Figure pct00115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12]
Figure pct00116
표 4의 해석의 제 3 예는 이하와 같이 된다.
ㆍ[u0 u1]=[11](u0=1, u1=1), [u6 u7]=[00](u6=0, u7=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1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1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13]
Figure pct00117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14]
Figure pct00118
ㆍ[u0 u1]=[11](u0=1, u1=1), [u6 u7]=[01](u6=0, u7=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2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2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15]
Figure pct00119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16]
Figure pct00120
ㆍ[u0 u1]=[11](u0=1, u1=1), [u6 u7]=[10](u6=1, u7=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3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3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17]
Figure pct00121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18]
Figure pct00122
ㆍ[u0 u1]=[11](u0=1, u1=1), [u6 u7]=[11](u6=1, u7=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4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4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19]
Figure pct00123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20]
Figure pct00124
표 4의 해석의 제 4 예는 이하와 같이 된다.
ㆍ[u0 u1]=[11](u0=1, u1=1), [u6 u7]=[00](u6=0, u7=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1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1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21]
Figure pct00125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22]
Figure pct00126
ㆍ[u0 u1]=[11](u0=1, u1=1), [u6 u7]=[01](u6=0, u7=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2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2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23]
Figure pct00127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24]
Figure pct00128
ㆍ[u0 u1]=[11](u0=1, u1=1), [u6 u7]=[10](u6=1, u7=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3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3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25]
Figure pct00129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26]
Figure pct00130
ㆍ[u0 u1]=[11](u0=1, u1=1), [u6 u7]=[11](u6=1, u7=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4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4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27]
Figure pct00131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28]
Figure pct00132
표 4의 해석의 제 5 예는 이하와 같이 된다.
ㆍ[u0 u1]=[11](u0=1, u1=1), [u6 u7]=[00](u6=0, u7=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1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1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29]
Figure pct00133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30]
Figure pct00134
ㆍ[u0 u1]=[11](u0=1, u1=1), [u6 u7]=[01](u6=0, u7=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2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2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31]
Figure pct00135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32]
Figure pct00136
ㆍ[u0 u1]=[11](u0=1, u1=1), [u6 u7]=[10](u6=1, u7=0)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3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3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33]
Figure pct00137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34]
Figure pct00138
ㆍ[u0 u1]=[11](u0=1, u1=1), [u6 u7]=[11](u6=1, u7=1)일 때, 기지국은,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가, 방법 11_4의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과 특정한 위상 변경치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방법 11_4 :
위상 변경부(205A)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1(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1(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35]
Figure pct00139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가,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산에 사용하는 계수를 y2(i)로 한다(i는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0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이때, y2(i)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36]
Figure pct00140
이상과 같이, 제 1 예로부터 제 5 예를 기재했지만,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의 구체적인 위상 변경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7> 위상 변경부(205A)에 있어서,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한다.
<8> 위상 변경부(205A)에 있어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에 의해,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한다.
<3> 위상 변경부(205A),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한다.
<7>, <8>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이 [u2 u3]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술한 설명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기지국이 구비하는 가중 합성부(203)에서는, 가중 합성의 행렬을 전환하더라도 좋다. 가중 합성의 행렬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u8, u9로 한다. [u8 u9]와 가중 합성부(203)가 구체적으로 사용하는 가중 합성의 행렬의 관계를 표 5에 나타낸다. 또, u8, u9는, 예컨대, 그 외의 심볼(403, 503)의 제어 정보 심볼의 일부로서, 기지국이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단말은, 그 외의 심볼(403, 503)의 제어 정보 심볼에 포함되는 [u8 u9]를 얻고, [u8 u9]로부터 가중 합성부(203)의 동작을 알고, 데이터 심볼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그리고, "구체적인 가중 행렬"의 지정을 위한 제어 정보를 2비트로 하고 있지만, 비트 수는, 2비트 이외이더라도 좋다.
[표 5]
Figure pct00141
ㆍ[u8 u9]=[00](u8=0, u9=0)일 때, "기지국의 가중 합성부(203)에 있어서, 행렬 1을 이용한 프리코딩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ㆍ[u8 u9]=[01](u8=0, u9=1)일 때, "기지국의 가중 합성부(203)에 있어서, 행렬 2를 이용한 프리코딩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ㆍ[u8 u9]=[10](u8=1, u9=0)일 때, "기지국의 가중 합성부(203)에 있어서, 행렬 3을 이용한 프리코딩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ㆍ[u8 u9]=[11](u8=1, u9=1)일 때, "기지국은, 통신 상대로부터, 예컨대, 피드백 정보를 얻고, 그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의 가중 합성부(203)에 있어서, 사용하는 프리코딩 행렬을 구하고, 구한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한 프리코딩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기지국의 가중 합성부(203)는, 사용하는 프리코딩의 행렬을 전환한다. 그리고, 기지국의 통신 상대인 단말은, 제어 정보 심볼에 포함되는 u8, u9를 얻고, u8, u9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파 전반 환경의 상태 등의 통신 상황에 따라, 적합한 프리코딩의 행렬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은,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의 위상 변경부(205A, 205B)와 같이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했지만, 표 1 대신에, 표 6과 같은 설정을 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도 23의 기지국의 송신 장치(2303)는, 도 1의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도 1의 신호 처리부(106)는, 도 2,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는다. 이때,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동작을 통신 환경이나 설정 상황에 따라 전환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프레임 구성 도 4, 도 5, 도 13, 도 14에 있어서의 그 외의 심볼(403, 503)의 제어 정보 심볼로 전송하는 제어 정보의 일부로서, 기지국이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u10으로 하는 것으로 한다. [u10]과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관계를 표 6에 나타낸다.
[표 6]
Figure pct00142
또, u10은, 그 외의 심볼(403, 503)의 제어 정보 심볼의 일부로서, 예컨대, 기지국이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단말은, 그 외의 심볼(403, 503)의 제어 정보 심볼에 포함되는 [u10]을 얻고, [u10]으로부터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동작을 알고, 데이터 심볼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표 6의 해석은 이하와 같이 된다.
ㆍ"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고 기지국이 설정했을 때, "u10=0"이라고 설정한다. 따라서, 위상 변경부(205A)는, 입력 신호(204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신호(206A)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위상 변경부(205B)는, 입력 신호(204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신호(206B)를 출력한다.
ㆍ"위상 변경부(205A, 205B)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한다"고 기지국이 설정했을 때, "u10=1"이라고 설정한다. 또,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로부터 실시의 형태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1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20, 도 21, 도 22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는 경우, "위상 변경부(205A)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부(205B)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을" 때, "위상 변경부(205A)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위상 변경부(205B)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할" 때에 대해서도 "u10=1"이라고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전파 전반 환경 등의 통신 상황에 따라,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위상 변경의 동작의 ON/OFF를 행함으로써, 단말은,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도 23의 기지국의 송신 장치(2303)는, 도 1의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도 1의 신호 처리부(106)는, 도 2,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는다. 이때, 위상 변경부(209A, 209B)의 동작을 통신 환경이나 설정 상황에 따라 전환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 209B)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프레임 구성 도 4, 도 5, 도 13, 도 14에 있어서의 그 외의 심볼(403, 503)의 제어 정보 심볼로 전송하는 제어 정보의 일부로서, 기지국이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위상 변경부(209A, 209B)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u11로 하는 것으로 한다. [u11]과 위상 변경부(209A, 209B)의 관계를 표 7에 나타낸다.
[표 7]
Figure pct00143
또, u11은, 그 외의 심볼(403, 503)의 제어 정보 심볼의 일부로서, 예컨대, 기지국이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단말은, 그 외의 심볼(403, 503)의 제어 정보 심볼에 포함되는 [u11]을 얻고, [u11]로부터 위상 변경부(209A, 209B)의 동작을 알고, 데이터 심볼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표 7의 해석은 이하와 같이 된다.
ㆍ"위상 변경부(209A, 209B)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고 기지국이 설정했을 때, "u11=0"이라고 설정한다. 따라서, 위상 변경부(209A)는, 입력 신호(208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신호(210A)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위상 변경부(209B)는, 입력 신호(208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신호(210B)를 출력한다.
ㆍ"위상 변경부(209A, 209B)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한다(또는, 사이클릭 딜레이 다이버시티를 적용한다)"고 기지국이 설정했을 때, "u11=1"이라고 설정한다. 또, 위상 변경부(209A, 209B)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는 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로부터 실시의 형태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1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19, 도 22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는 경우, "위상 변경부(209A)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부(209B)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을" 때, "위상 변경부(209A)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위상 변경부(209B)가 주기적/규칙적으로 심볼마다 위상 변경을 행할" 때에 대해서도 "u11=1"이라고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전파 전반 환경 등의 통신 상황에 따라, 위상 변경부(209A, 209B)의 위상 변경의 동작의 ON/OFF를 행함으로써, 단말은,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표 1과 같이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동작을 전환하는 일례를 설명한다.
예컨대, 기지국과 단말은, 도 27과 같은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 도 27에 근거한 통신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했으므로, 설명의 일부를 생략한다.
우선, 단말은, 기지국에 대하여, 통신의 요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표 1의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를 선택하고,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는,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에 상당하는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데이터 심볼#1(2702_1)을 송신한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제어 정보 심볼(2701_1) 및 데이터 심볼#1(2702_1)을 수신하고, 제어 정보 심볼(2701_1)에 포함되는 송신 방법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1(2702_1)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그 결과, "데이터 심볼#1(2702_1)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다"고, 단말이 판단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단말은, "데이터 심볼#1(2702_1)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다"고 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단말 송신 심볼(2750_1)을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단말 송신 심볼(2750_1)을 수신하고, 단말 송신 심볼(2750_1)에 포함되는 적어도 "데이터 심볼#1(2702_1)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다"의 정보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 실시하는 위상 변경(세트)을, 데이터 심볼#1(2702_1)을 송신할 때와 마찬가지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고 결정을 한다. 기지국은, "데이터 심볼#1(2702_1)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다음 데이터 심볼을 송신할 때도,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를 사용하더라도, 단말은, 오류 없이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말은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기지국은, 결정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기지국은, 제어 정보 심볼(2701_2) 및 데이터 심볼#2(2702_2)를 송신하지만, 적어도 데이터 심볼#2(2702_2)는, 결정한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에 의한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제어 정보 심볼(2701_2) 및 데이터 심볼#2(2702_2)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 심볼(2701_2)에 포함되는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2(2702_2)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그 결과, "데이터 심볼#2(2702_2)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다"고, 단말이 판단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단말은, "데이터 심볼#2(2702_2)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다"고 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단말 송신 심볼(2750_2)을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단말 송신 심볼(2750_2)을 수신하고, 단말 송신 심볼(2750_2)에 포함되는 적어도 "데이터 심볼#2(2702_2)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다"의 정보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 실시하는 위상 변경을, "심볼마다 위상 변경치를 변경한다(주기적/규칙적)"로 변경한다고 판단한다. 기지국은, "데이터 심볼#2(2702_2)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다음 데이터 심볼을 송신할 때, "심볼마다 위상 변경치를 변경한다(주기적/규칙적)"로 위상 변경 방법을 변경하면, 단말은, 오류 없이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말은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기지국은, "심볼마다 위상 변경치를 변경한다(주기적/규칙적)"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때, 제어 정보 심볼(2701_3)과 "데이터 심볼#2(2702_2-1)"를 기지국은, 송신하지만, 적어도, "데이터 심볼#2(2702_2-1)"에 대하여, "심볼마다 위상 변경치를 변경한다(주기적/규칙적)"에 근거한 위상 변경을 행한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제어 정보 심볼(2701_3) 및 데이터 심볼#2(2702_2)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 심볼(2701_3)에 포함되는 송신 방법의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2(2702_2-1)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그 결과, "데이터 심볼#2(2702_2-1)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다"고, 단말이 판단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단말은, "데이터 심볼#2(2702_2-1)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다"고 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단말 송신 심볼(2750_3)을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단말 송신 심볼(2750_3)을 수신하고, 단말 송신 심볼(2750_3)에 포함되는 적어도 "데이터 심볼#2(2702_2-1)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다"의 정보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 A 및 위상 변경부 B에서 실시하는 위상 변경을, 다시, "심볼마다 위상 변경치를 변경한다(주기적/규칙적)"로 설정한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심볼마다 위상 변경치를 변경한다(주기적/규칙적)"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때, 기지국은, 제어 정보 심볼(2701_4)과 "데이터 심볼#2(2702_2-2)"를 송신하지만, 적어도, "데이터 심볼#2(2702_2-2)"에 대하여, "심볼마다 위상 변경치를 변경한다(주기적/규칙적)"에 근거한 위상 변경을 행한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제어 정보 심볼(2701_4) 및 데이터 심볼#2(2702_2-2)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 심볼(2701_4)에 포함되어 있는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2(2702_2-2)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그 결과, "데이터 심볼#2(2702_2-2)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다"고, 단말이 판단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단말은, "데이터 심볼#2(2702_2-2)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다"고 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단말 송신 심볼(2750_4)을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단말 송신 심볼(2750_4)을 수신하고, 단말 송신 심볼(2750_4)에 포함되는 적어도 "데이터 심볼#2(2702-2)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다"의 정보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 실시하는 위상 변경(세트)을,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고 결정을 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기지국은, 제어 정보 심볼(2701_5) 및 데이터 심볼#3(2702_3)을 송신하지만, 적어도 데이터 심볼#3(2702_3)은,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에 근거하는,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제어 정보 심볼(2701_5) 및 데이터 심볼#3(2702_3)을 수신하고, 제어 정보 심볼(2701_5)에 포함되어 있는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3(2702_3)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그 결과, "데이터 심볼#3(2702_3)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다"고, 단말이 판단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단말은, "데이터 심볼#3(2702_3)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다"고 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단말 송신 심볼(2750_5)을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단말 송신 심볼(2750_5)을 수신하고, 단말 송신 심볼(2750_5)에 포함되는 적어도 "데이터 심볼#3(2702_3)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얻을 수 있었다"의 정보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 실시하는 방법을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방법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특정한 위상 변경치(세트)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4(2702_4)를 송신한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제어 정보 심볼(2701_6) 및 데이터 심볼#4(2702_4)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 심볼(2701_6)에 포함되는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4(2702_4)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그 결과, "데이터 심볼#4(2702_4)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다"고, 단말이 판단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단말은 "데이터 심볼#4(2702_4)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다"고 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단말 송신 심볼(2750_6)을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단말 송신 심볼(2750_6)을 수신하고, 단말 송신 심볼(2750_6)에 포함되는 적어도 "데이터 심볼#4(2702_4)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얻을 수 없었다"의 정보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서 실시하는 위상 변경을, "심볼마다 위상 변경치를 변경한다(주기적/규칙적)"로 변경한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심볼마다 위상 변경치를 변경한다(주기적/규칙적)"에 근거하여,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 이때, 제어 정보 심볼(2701_7)과 "데이터 심볼#4(2702_4-1)"를 기지국은, 송신하지만, 적어도, "데이터 심볼#4(2702_4-1)"에 대하여, "심볼마다 위상 변경치를 변경한다(주기적/규칙적)"에 근거한 위상 변경을 행한다.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제어 정보 심볼(2701_7) 및 데이터 심볼#4(2702_4-1)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 심볼(2701_7)에 포함되는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4(2702_4-1)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한다.
또, 데이터 심볼#1(2702_1), 데이터 심볼#2(2702_2), 데이터 심볼#3(2702_3), 데이터 심볼#4(2702_4)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1로부터 실시의 형태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복수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한다.
도 27의 기지국, 단말의 프레임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다른 심볼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좋다. 그리고, 제어 정보 심볼(2701_1, 2701_2, 2701_3, 2701_4, 2701_5, 2701_6), 데이터 심볼#1(2702_1), 데이터 심볼#2(2702_2), 데이터 심볼#3(2702_3), 데이터 심볼#4(2702_4)의 각각의 심볼은, 예컨대, 파일럿 심볼과 같은 다른 심볼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제어 정보 심볼(2701_1, 2701_2, 2701_3, 2701_4, 2701_5, 2701_6)에는, 데이터 심볼#1(2702_1), 데이터 심볼#2(2702_2), 데이터 심볼#3(2702_3), 데이터 심볼#4(2702_4)를 송신할 때에 사용한 "특정한 위상 변경치"의 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단말은, 이 정보를 얻음으로써, 데이터 심볼#1(2702_1), 데이터 심볼#2(2702_2), 데이터 심볼#3(2702_3), 데이터 심볼#4(2702_4)의 복조 및 복호가 가능하게 된다.
또, 도 27을 이용한, 기지국의 본 실시의 형태에서 기재한 "표 1"에 근거하는 송신 방법의 전환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술한 설명은, 송신 방법 전환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보다 유연하게 "표 1"에 근거하는 송신 방법의 전환을 행하더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송신 방법의 전환, 위상 변경 방법의 전환, 위상 변경의 동작의 ON/OFF를, 통신 환경 등에 따라, 보다 유연하게 동작을 전환함으로써, 통신 상대의 수신 장치는,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표 1의 u0=1 또한 u1=1의 Reserve에 대하여, 통신 상대로부터의 정보 등에 의해, 프리코딩 행렬을 전환하는 방식을 할당하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MIMO 전송 방식을 선택했을 때, 통신 상대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프리코딩 행렬을 선택하는 방식을 고를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도 1의 신호 처리부(106)의 구성으로서,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에 대하여 설명을 행했지만, 실시의 형태 1로부터 실시의 형태 6에 대하여, 도 1의 신호 처리부(106)로서,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을 적용하더라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충 3)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매핑부에 있어서, 심볼마다 매핑의 방법을, 예컨대, 규칙적/주기적으로 전환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변조 방식으로서, 동상 I-직교 Q 평면에 있어서, 4비트 전송을 위한 16개의 신호점을 갖는 변조 방식이라고 설정한 것으로 한다. 이때, 심볼마다, 동상 I-직교 Q 평면에 있어서의 4비트를 전송하기 위한 16개의 신호점의 배치를 전환하더라도 좋다.
또한, 실시의 형태 1로부터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 OFDM 등의 멀티 캐리어 방식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싱글 캐리어 방식에 적용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충 4)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송신 장치의 구성으로서 도 1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도 1의 신호 처리부(106)의 구성으로서, 도 2,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렇지만, 송신 장치의 구성은 도 1에서 설명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신호 처리부(106)의 구성은, 도 2,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에서 나타낸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송신 장치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의 어느 하나와 동일한 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안테나부를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으면, 송신 장치 및 그 신호 처리부(106)는, 어떠한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하에서는, 그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송신 장치 및 그 신호 처리부(106)의 상이한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이한 구성예의 하나로서는, 도 1의 매핑부(104)가, 부호화 데이터(103) 및 제어 신호(100)에 근거하여, 도 2,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204B)에 상당하는 신호를, 매핑 후의 신호(105_1, 105_2)로서 생성한다. 신호 처리부(106)는, 도 2,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중 합성부(203)를 제외한 구성을 구비하고, 매핑 후의 신호(105_1)가 위상 변경부(205A) 또는 삽입부(207A)에 입력되고, 매핑 후의 신호(105_2)가 위상 변경부(205B) 또는 삽입부(207B)에 입력된다.
또한, 상이한 구성예의 다른 하나로서는, 가중 합성(프리코딩)의 처리가, 식 (33) 또는 식 (34)에서 나타내는 (프리코딩) 행렬 F로 나타내어지는 경우, 도 2에 있어서의 가중 합성부(203)는, 매핑 후의 신호(201A, 201B)에 대하여, 가중 합성을 위한 신호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매핑 후의 신호(201A)를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로서 출력하고, 매핑 후의 신호(201B)를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로서 출력한다. 이 경우, 가중 합성부(203)는, 제어 신호(200)에 근거하여, (ⅰ) 가중 합성에 대응하는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 204B)를 생성한다, (ⅱ) 가중 합성을 위한 신호 처리를 행하지 않고, 매핑 후의 신호(201A)를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로서 출력하고, 매핑 후의 신호(201B)를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로서 출력한다고 하는 (ⅰ)의 처리와 (ⅱ)의 처리를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가중 합성(프리코딩)의 처리로서, 식 (33) 또는 식 (34)의 (프리코딩) 행렬 F로 나타내어지는 것밖에 실시하지 않는 경우, 가중 합성부(203)를 구비하고 있지 않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송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이 상이하다고 하더라도,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의 어느 하나와 동일한 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안테나부를 이용하여 송신하면, 수신 장치에 있어서,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특히, LOS 환경일 때에, MIMO 전송을 행하고 있는(복수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는) 데이터 심볼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 도 1의 신호 처리부(106)에 있어서, 가중 합성부(203)의 앞과 뒤의 양쪽에 위상 변경부를 마련하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106)는, 가중 합성부(203)의 전단에, 매핑 후의 신호(201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여 위상 변경 후의 신호(2801A)를 생성하는 위상 변경부(205A_1) 및 매핑 후의 신호(201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여 위상 변경 후의 신호(2801B)를 생성하는 위상 변경부(205B_1)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구비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106)는, 삽입부(207A, 207B)의 전단에,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여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A)를 생성하는 위상 변경부(205A_2) 및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여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를 생성하는 위상 변경부(205B_2)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구비한다.
여기서, 신호 처리부(106)가 위상 변경부(205A_1)를 구비하는 경우, 가중 합성부(203) 한쪽의 입력은 위상 변경 후의 신호(2801A)이고, 신호 처리부(106)가 위상 변경부(205A_1)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가중 합성부(203) 한쪽의 입력은 매핑 후의 신호(201A)이다. 신호 처리부(106)가 위상 변경부(205B_1)를 구비하는 경우, 가중 합성부(203)의 다른 쪽의 입력은 위상 변경 후의 신호(2801B)이고, 신호 처리부(106)가 위상 변경부(205B_1)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가중 합성부(203)의 다른 쪽의 입력은 매핑 후의 신호(201B)이다. 신호 처리부(106)가 위상 변경부(205A_2)를 구비하는 경우, 삽입부(207A)의 입력은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A)이고, 신호 처리부(106)가 위상 변경부(205A_2)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삽입부(207A)의 입력은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A)이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06)가 위상 변경부(205B_2)를 구비하는 경우, 삽입부(207B)의 입력은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이고, 신호 처리부(106)가 위상 변경부(205B_2)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삽입부(207B)의 입력은 가중 합성 후의 신호(204B)이다.
또한, 도 1의 송신 장치는, 신호 처리부(106)의 출력인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에 대하여, 다른 신호 처리를 실시하는 제 2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이때, 제 2 신호 처리부가 출력하는 2개의 신호를 제 2 신호 처리 후의 신호 A, 제 2 신호 처리 후의 신호 B로 하면, 무선부(107_A)는, 제 2 신호 처리 후의 신호 A를 입력으로 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고, 무선부(107_B)는, 제 2 신호 처리 후의 신호 B를 입력으로 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시한다.
(실시의 형태 8)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싱글 캐리어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의 위상 변경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송신 장치는, 예컨대 도 1이나 도 17의 구성을 구비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예컨대 도 25와 같은 프레임 구성의 신호를 송신한다. 도 34는 도 25의 데이터 심볼이 전송되는 영역(2503)의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4의 데이터 영역(3400)은, 도 25의 데이터 심볼이 전송되는 영역(2503)에 대응한다. 데이터 영역(3400)은, 각각 448 심볼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데이터 블록(3402)과 각 데이터 블록의 전방에 배치된 64 심볼의 가드 기간(3401)과, 최후의 데이터 블록에 후속하여 배치된 가드 기간을 포함한다.
여기서, 가드 기간은, 예컨대, 64비트의 Golay 시퀀스 등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여 생성된 64 심볼의 신호가 송신된다. 또, 가드 기간의 신호의 생성에 Golay 시퀀스를 이용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송신 장치는, 그 외의 상보 부호나 직교 부호 계열 등의 임의의 계열을 이용하여 가드 기간의 신호를 생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비트 수는, 64비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34는 데이터 블록의 수가 3개인 경우의 데이터 영역(340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데이터 블록의 수는 1 이상의 정수이면, 몇 개이더라도 좋다. 또한, 가드 블록의 수는, 데이터 블록의 수에 따라 변화하고, 예컨대, 데이터 블록의 수에 1을 더한 수가 된다.
도 35는 도 25의 프리앰블(2501)의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5에 있어서, 프리앰블(3500)은, 도 25의 프리앰블(2501)에 대응한다. 프리앰블(3500)은, 수신 장치가, 신호 검출이나,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 등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STF(Short Training Field)(3501)와, 채널 추정에 이용할 수 있는 CEF(Channel Estimation Field)(3502)를 포함한다.
송신 장치는, STF(3501)에 있어서, 예컨대 128비트의 Golay 시퀀스 등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여 생성된 128 심볼의 신호를 소정의 횟수 반복하여 송신하고, 그 후에 +와 -의 부호를 반전시킨 128비트의 Golay 시퀀스 등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여 생성된 128 심볼의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 장치는, CEF(3502)에 있어서, 예컨대 각각 128비트로 이루어지는 서로 상이한 복수의 Golay 시퀀스 등의 상보 부호 계열, 및 해당 상보 부호 계열의 +와 -의 부호를 반전시킨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여 생성된 복수의 128 심볼의 신호를, 미리 정해진 순서로 송신한다.
또, STF(3501)나 CEF(3502)로 송신되는 신호의 생성에 Golay 시퀀스를 이용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송신 장치는, 그 외의 상보 부호나 직교 부호 계열 등의 임의의 계열을 이용하여 생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비트 수는, 상술한 값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다음으로, 송신 장치가 행하는 위상 변경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우선, 송신 장치가 도 1의 구성을 구비하고, 도 1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2, 18, 19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 변경부(205B)가 행하는 위상 변경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도 2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B)는,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고,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따라서, 위상 변경부(209B)를 삭제하고,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가, 210B에 상당하고 있더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도 18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A)는,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고,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따라서, 위상 변경부(209A)를 삭제하고,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가, 210A에 상당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A, 209B)는,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고,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따라서, 위상 변경부(209B)를 삭제하고,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가, 210B에 상당하고 있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를 삭제하고,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가 210A에 상당하고 있더라도 좋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위상 변경의 처리는, 신호 처리부(106)가 도 20, 21, 22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 또는 송신 장치가 도 17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 변경부(205B)가 행하더라도 좋고, 신호 처리부(106)가 도 31, 32, 33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 변경부(205B)가 행하더라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B)는, N종류의 위상 변경의 값을 미리 정해진 순서로 주기적으로 이용하는, 주기 N의 위상 변경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 처리의 주기 N으로서, 데이터 블록의 심볼 수의 약수 중 3 이상의 값을 이용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블록의 심볼 수가 448이기 때문에, 위상 변경부(205B)는 주기가 4, 7, 8, 14, 16, 28, 32, 56, 64, 112, 224, 448 중 어느 하나인 위상 변경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위상 변경부(205B)가 행하는 위상 변경 처리에 있어서의 N종류의 위상 변경의 값과 그 전환의 순서는, 식 (2)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그 경우, 위상 변경부(205B)가 실시하는 위상 변경의 값은, 선두의 심볼에서는 0이고, 2번째 이후의 심볼에서는, 앞의 심볼에서 이용된 위상 변경의 값에 2π/N을 가산한 값이다. 단, 위상 변경부(205B)가 이용하는 N종류의 위상 변경의 값과 전환의 순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 구성에 의해, 상술한 송신 장치가 송신한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의 수신 상태가 정상(定常)적인 상황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 위상 변경부(205B)는, 가드 기간의 신호에 대해서도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가드 기간의 심볼 수는 64이기 때문에, 위상 변경부(205)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64의 약수 중 3 이상의 값인 4, 8, 16, 32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이 위상 변경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송신 장치는 가드 기간과 데이터 블록을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각 가드 기간의 선두의 심볼 및 각 데이터 블록의 선두의 심볼에 실시되는 위상 변경의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신 장치는 몇 번째에 송신된 가드 기간, 또는 데이터 블록인지의 정보를 이용하는 일 없이, 가드 기간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로부터 몇 심볼째인지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송신측에서 사용된 위상 변경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복조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송신 장치는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를 생성하고, 위상 변경의 값이 식 (2)로 나타내어지는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를 생성한다고 했다. 여기서, 송신 장치가,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처리에 있어서의 주기 N의 값으로서, 가드 기간의 심볼 수의 약수의 값(2 이상이다)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송신 장치가,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의 각각의 가드 기간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동일한 계열(예컨대, Golay 시퀀스)을 이용했다고 하더라도, 신호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의 가드 기간에 대응하는 심볼 열과,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의 가드 기간에 대응하는 심볼 열을 직교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장치가, 가드 기간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직교 계열이나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가드 기간의 신호를 서로 직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2개의 송신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송로 특성(채널 변동)을 가드 기간의 신호로부터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송신 장치가 위상 변경의 값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식 (2)로 나타내어지는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위상 변경부가, 위상 변경의 값으로서 2π/N씩 상이한 N종류의 값을 미리 정해진 임의의 순서로 주기적으로 이용한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한다고 하더라도 좋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송신 장치가, 동일한 주파수로 동시에 송신되는 2개의 신호의 가드 기간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직교 계열이나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가드 기간의 신호를 서로 직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2개의 송신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송로 특성(채널 변동)을 가드 기간의 신호로부터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송신 장치는, 프리앰블(3500)에 대해서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예컨대, 상술한 위상 변경의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송신 장치는, 예컨대, 서로 직교하는 직교 계열, 또는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여 MIMO용의 전송로의 추정에 이용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MIMO용의 전송로의 추정에 이용하는 신호는, 프리앰블(3500)의 CEF(3502)와는 상이한 영역에서 송신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제어 심볼의 뒤에, 예컨대, 서로 직교하는 직교 계열, 또는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여 생성한 MIMO용의 전송로의 추정에 이용하는 신호가 송신되는 영역이 마련되더라도 좋다.
이상의 내용을 다른 표현으로 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송신 장치는, 송신 안테나#1로부터 변조 신호#X, 송신 안테나#2로부터 변조 신호#Y를 송신한다. 이때, 변조 신호#X, 변조 신호#Y는 모두 싱글 캐리어 방식으로 한다. 그리고, 변조 신호#X의 데이터 심볼은, GI(GI : 가드 인터벌)(GI#X라고 이름 붙인다)와 함께 송신된다. 마찬가지로, 변조 신호#Y의 데이터 심볼도 GI(GI#Y라고 이름 붙인다)와 함께 송신된다. 그리고, GI#X의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와 GI#Y의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는 동일(공통)한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송신 장치, 수신 장치에서 Golay sequence에 관련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회로의 공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하면, 송신 장치의 통신 상대인 수신 장치는, GI#X와 GI#Y를 식별할 수 없다. 다시 말해, 변조 신호#X, 변조 신호#Y의 복조가 어렵다. 따라서, 수신 장치에서, GI#X와 GI#Y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컨대, GI#X 또는 GI#Y의 어느 하나에서, 위상 변경을 행한다.
예 1) GI#X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X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위상 변경부를 공통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 2) GI#Y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Y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위상 변경부를 공통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규칙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GI#X에 있어서의 시간적으로 최초의 심볼을 GI#X(0)으로 하고, GI#Y에 있어서의 시간적으로 최초의 심볼을 GI#Y(0)으로 한다.
예 1)과 같이, "GI#X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X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한다"고 한 경우, GI#X(0)의 위상 변경치는 어느 특정한 값이 되고, 그 후, 규칙적인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예컨대, 시간 1에 있어서, "GI#X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고, 시간 2에 있어서, "GI#X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시간 1에 송신하는 "GI#X"의 "GI#X(0)"의 위상 변경치를 A라디안으로 하고, 시간 2에 송신하는 "GI#X"의 "GI#X(0)"의 위상 변경치도 A라디안으로 한다.
예 2)와 같이, "GI#Y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Y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한다"고 한 경우, GI#Y(0)의 위상 변경치는 어느 특정한 값이 되고, 그 후, 규칙적인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예컨대, 시간 1에 있어서, "GI#Y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고, 시간 2에 있어서, "GI#Y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시간 1에 송신하는 "GI#Y"의 "GI#Y(0)"의 위상 변경치를 B라디안으로 하고, 시간 2에 송신하는 "GI#Y"의 "GI#Y(0)"의 위상 변경치도 B라디안으로 한다.
다음으로, 송신 장치가 도 1의 구성을 구비하고, 도 1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20, 21, 22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 변경부(205A, 205B)에서 행해지는 위상 변경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하는 위상 변경의 처리는, 송신 장치가 도 17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행하더라도 좋고, 신호 처리부(106)가 도 31, 32, 33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행하더라도 좋다.
위상 변경부(205A, 205B)에서 행해지는 위상 변경 처리는, 식 (52)로 나타내어지고, 식 (52)에 있어서의 w(i)는 이하의 식 (137)로 나타내어지고,
[수학식 137]
Figure pct00144
y(i)는, 식 (2)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위상 변경 처리의 주기 N으로서 동일한 값을 이용한다. 또한,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위상 변경 처리의 주기 N으로서 데이터 블록의 심볼 수의 약수 중 3 이상의 값을 이용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블록의 심볼 수가 448이기 때문에,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주기가 4, 7, 8, 14, 16, 28, 32, 56, 64, 112, 224, 448 중 어느 하나인 위상 변경 처리를 행한다.
단,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이용하는 N종류의 위상 변경의 값과 전환의 순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 구성에 의해, 상술한 송신 장치가 송신한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의 수신 상태가 정상적인 상황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가드 기간의 신호에 대해서도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가드 기간의 심볼 수는 64이기 때문에,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64의 약수 중 3 이상의 값인 4, 8, 16, 32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이 위상 변경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송신 장치는 가드 기간과 데이터 블록을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각 가드 기간의 선두의 심볼 및 각 데이터 블록의 선두의 심볼에 실시되는 위상 변경의 값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신 장치는 몇 번째로 송신된 가드 기간, 또는 데이터 블록인지의 정보를 이용하는 일 없이, 가드 기간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로부터 몇 심볼째인지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송신측에서 사용된 위상 변경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복조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송신 장치는 위상 변경의 값이 식 (137)로 나타내어지는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를 생성하고, 위상 변경의 값이 식 (2)로 나타내어지는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를 생성한다고 했다. 여기서, 송신 장치가,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위상 변경의 처리에 있어서의 주기 N의 값으로서, 가드 기간의 심볼 수의 약수의 값(2 이상이다)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송신 장치가,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의 각각의 가드 기간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동일한 계열(예컨대, Golay 시퀀스)을 이용했다고 하더라도, 신호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의 가드 기간에 대응하는 심볼 열과,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의 가드 기간에 대응하는 심볼 열을 직교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장치가, 가드 기간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직교 계열이나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가드 기간의 신호를 서로 직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2개의 송신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송로 특성을 가드 기간의 신호로부터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상기의 설명에서는, 도 1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2, 18, 19, 20, 21, 22, 31, 32, 33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싱글 캐리어 방식을 이용하고 있고, 주파수축 방향에 1개의 심볼만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위상 변경부(209A, 209B)에서 행해지는 위상 변경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더라도 좋다. 그 경우,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는, 도 2, 18, 19, 20, 21, 22, 31, 32, 33으로부터 위상 변경부(209A, 209B)를 삭제한 구성이 된다.
단, 위상 변경부(209A, 209B)가 실시의 형태 1 등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의 처리와는 상이한 위상 변경의 처리를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송신 장치가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는 채널 본딩을 행하여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경우, 채널마다 상이한 위상 변경의 값을 이용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신 장치가 데이터 영역에 있어서 448 심볼의 데이터 블록과, 64 심볼의 가드 기간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데이터 블록과 가드 기간의 심볼 수는 상이한 값이더라도 좋다.
데이터 블록과 가드 기간의 심볼 수로서 상이한 값을 이용한 경우의 일례로서, 데이터 블록의 심볼 수와 가드 기간의 심볼 수의 합이 위상 변경의 처리의 주기 N의 배수가 아닌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데이터 영역 전체 또는 데이터 영역에서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에 걸쳐 연속적으로 적용하면(데이터 영역 전체 또는 데이터 영역에서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 중에서는 위상 변경의 값의 초기화를 행하지 않고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면), 데이터 영역의 선두의 가드 기간의 선두의 심볼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값과 다음 가드 기간의 선두의 심볼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값은 동일해지지 않는다.
송신 장치는, 예컨대, (1) 데이터 영역 전체 또는 데이터 영역에서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에 걸쳐 위상 변경의 값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킨다(데이터 영역 전체 또는 데이터 영역에서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 중에서는 위상 변경의 값의 초기화를 행하지 않는다), (2) 가드 기간의 선두의 심볼에 적용되는 위상 변경의 값이 항상 일정해지도록 가드 기간의 선두에서 위상 변경의 값을 초기화한다, 등의 어느 위상 변경 처리를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1) 및 (2)의 방식을 포함하는, 위상 변경치의 초기화 조건이 상이한 복수의 방식을 전환하여 사용하는 경우, 송신 장치는 사용하는 위상 변경치의 초기화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 심볼로서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수신 장치는, 수신한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초기화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의 복조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신 장치는,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초기화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나, 필요하다면 위상 변경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 등의 그 외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 데이터 심볼에서 사용되고 있는 위상 변경의 크기를 판정하고, 해당 데이터 심볼의 복조를 행한다.
다음으로, 도 1에 있어서의 매핑부(104) 또는 도 17에 있어서의 매핑부(006A, 006B)가 이용하는 변조 방식의 다른 일례로서, 심볼마다 소정의 위상 변경량씩 위상을 변경한 컨스텔레이션으로부터 입력 비트의 값에 따라 하나의 신호점을 선택하는, 위상 회전(또는 위상 변경)을 수반하는 매핑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매핑부가 행하는 위상 회전을 수반하는 매핑 방식의 일례로서, π/2-BPSK에 대하여 설명한다. π/2-BPSK를 이용하는 경우, 매핑부는, 입력된 비트열로부터 1비트마다 1개의 매핑 후의 신호(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π/2-BPSK를 이용한 경우에 k번째로 생성되는 매핑 후의 신호(베이스밴드 신호) sk는 이하의 식 X1로 나타내어진다. ck는 입력된 비트열 k번째의 비트의 값이고, 0 또는 1의 값을 갖는다.
[수학식 138]
Figure pct00145
[수학식 139]
Figure pct00146
또, s'k는, 위상 회전(또는 위상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BPSK로 생성되는 매핑 후의 신호(베이스밴드 신호)의 일례와 동일하다. π/2-BPSK를 이용하는 경우, 컨스텔레이션의 위상은 심볼마다 π/2씩 회전(변화)하므로, 위상 회전(또는 위상 변경)의 주기는 4이다.
매핑부가 행하는 위상 회전을 수반하는 매핑 방식의 다른 일례로서, π/2-QPSK에 대하여 설명한다. π/2-QPSK를 이용하는 경우, 매핑부는, 입력된 비트열로부터 2비트마다 1개의 매핑 후의 신호(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π/2-QPSK를 이용한 경우에 k번째로 생성되는 매핑 후의 신호(베이스밴드 신호) sk는 이하의 식 X2로 나타내어진다. ck는 입력된 비트열 k번째의 비트의 값이고, 0 또는 1의 값을 갖는다.
[수학식 140]
Figure pct00147
[수학식 141]
Figure pct00148
또, s'k는, 위상 회전(또는 위상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QPSK로 생성되는 매핑 후의 신호(베이스밴드 신호)의 일례와 동일하다. π/2-QPSK를 이용하는 경우, 컨스텔레이션의 위상은 심볼마다 π/2씩 회전(변화)하므로, 위상 회전(또는 위상 변경)의 주기는 4이다.
위상 회전(또는 위상 변경)을 수반하는 매핑 방식으로서 π/2-BPSK와 π/2-QPSK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다른 매핑 방식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매핑부는, 위상 회전(또는 위상 변경)되는 컨스텔레이션으로서, APSK(Amplitude Phase Shift Keying)(예컨대, 16APSK, 64APSK, 128APSK, 256APSK, 1024APSK, 4096APSK 등),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예컨대, 4PAM, 8PAM, 16PAM, 64PAM, 128PAM, 256PAM, 1024PAM, 4096PAM 등), PSK(Phase Shift Keying)(예컨대, BPSK, QPSK, 8PSK, 16PSK, 64PSK, 128PSK, 256PSK, 1024PSK, 4096PSK 등),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예컨대, 4QAM, 8QAM, 16QAM, 64QAM, 128QAM, 256QAM, 1024QAM, 4096QAM 등) 등의 컨스텔레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매핑부는, 상기의 각 매핑 방식으로서, 균일 매핑의 컨스텔레이션, 비균일 매핑의 컨스텔레이션의 어느 하나를 이용한 매핑을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매핑부는, 위상 회전(또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π/2-BPSK나 π/2-QPSK에서 이용하고 있는 4뿐만 아니라, 8, 16 등의 임의의 2 이상의 정수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수신 장치는, 예컨대 도 8의 구성을 구비하고, 지금까지 설명한 프레임 구성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 심볼로 전송되는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의 복조를 행한다.
그런데, GI의 심볼을 생성함에 있어서, Golay sequence에 대하여, 매핑을 행하고, 심볼을 생성한다. 이때, GI의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변조 방식으로서는, 예컨대, 상술한 π/2-BPSK(π/2 시프트 BPSK), BPSK 등을 적합한 변조 방식으로서 들 수 있다. 단, 변조 방식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술한 변조 방식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 상술에서는, GI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도 35에서 설명한, STF(Short Training Field)(3501)와, 채널 추정에 이용할 수 있는 CEF(Channel Estimation Field)(3502)에 대해서도 위상 변경을 실시하더라도 좋다. 이하에서는, 이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경우, 도 35에서 설명한 STF(3501) 및/또는 CEF(3502)에 대해서도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 36에 STF(3501) 및 CEF(350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STF(3501)는, 5120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128비트로 구성된 제 1 Golay sequence(도 36에서는, Ga128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및 128비트로 구성된 제 2 Golay sequence(도 36에서는 Gb128이라고 기재하고 있다)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 1 Golay sequence(Ga128)에 대하여, 예컨대, π/2-BPSK(π/2 시프트 BPSK)를 실시하고, 128 심볼이 생성되고, 또한, 제 2 Golay sequence(Gb128)에 대하여, 예컨대, π/2-BPSK(π/2 시프트 BPSK)를 실시하고, 128 심볼이 생성된다. 또, 예컨대, 계열 Ga4={1, 1, 1, 1}의 경우, -Ga4={-1, -1, -1, -1}이 된다. 따라서, STF(3501)는, 5120 심볼의 π/2-BPSK(π/2 시프트 BPSK) 심볼이 된다.
CEF(3502)는, 1152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512비트로 구성된 제 4 Golay sequence(도 36에서는, GU512라고 기재하고 있다) 및 512비트로 구성된 제 5 Golay sequence(도 36에서는, GV512라고 기재하고 있다) 및 128비트로 구성된 제 6 Golay sequence(도 36에서는 GV128이라고 기재하고 있다)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 4 Golay sequence(GU512)에 대하여, 예컨대, π/2-BPSK(π/2 시프트 BPSK)를 실시하고, 512 심볼이 생성되고, 또한, 제 5 Golay sequence(GV512)에 대하여, 예컨대, π/2-BPSK(π/2 시프트 BPSK)를 실시하고, 512 심볼이 생성되고, 또한, 제 6 Golay sequence(GV128)에 대하여, 예컨대, π/2-BPSK(π/2 시프트 BPSK)를 실시하고, 128 심볼이 생성된다. 또, CEF(3502)는, 1152 심볼의 π/2-BPSK(π/2 시프트 BPSK) 심볼이 된다.
위상 변경부(205B)는, STF(3501) 및/또는 CEF(3502)에 대해서도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STF(3501)는, 128비트의 Golay sequence(128 심볼)를 복수 묶음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므로, 위상 변경부(205)(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128의 약수 중 4보다 큰 정수, 예컨대, 8, 16, 32, 64, 128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π/2 시프트 BPSK를 이용한 것에 의한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의 삭감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주기는 4보다 큰 정수일 필요가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장치가 가드 기간, 데이터 블록, STF(3501)를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8, 16, 32가 적합한 값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송신 장치는, 가드 기간, 데이터 블록, STF(3501)를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각 가드 기간의 선두 심볼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의 심볼 및 STF(3501)의 선두의 심볼에 실시되는 위상 변경의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신 장치는 몇 번째로 송신된 가드 기간, 또는 데이터 블록인지의 정보를 이용하는 일 없이, 가드 기간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로부터 몇 심볼째인지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송신측에서 사용된 위상 변경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복조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EF(3502)는, 128비트의 Golay sequence(128 심볼) 및 512비트의 Golay sequence(512 심볼)를 묶어 구성되어 있으므로, 위상 변경부(205)(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512와 128의 공약수 중 4보다 큰 정수, 예컨대, 8, 16, 32, 64, 128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단, 512비트 Golay sequence(512 심볼)를, 128비트의 Golay sequence에 상당하는 128 심볼을 4개 결합함으로써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위상 변경부(205)(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128의 약수 중 4보다 큰 정수, 예컨대, 8, 16, 32, 64, 128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또, π/2 시프트 BPSK를 이용한 것에 의한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의 삭감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주기는 4보다 큰 정수일 필요가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장치가 가드 기간, 데이터 블록, STF(3501), CEF(3502)를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8, 16, 32가 적합한 값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송신 장치는, 가드 기간, 데이터 블록, STF(3501), CEF(3502)를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각 가드 기간의 선두 심볼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의 심볼 및 STF(3501)의 선두의 심볼에 실시되는 위상 변경의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신 장치는 몇 번째로 송신된 가드 기간, 또는 데이터 블록인지의 정보를 이용하는 일 없이, 가드 기간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로부터 몇 심볼째인지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송신측에서 사용된 위상 변경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복조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7은 STF(3501) 및 CEF(3502)의 구성의 도 36과는 상이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STF(3501)는, 2176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128비트로 구성된 제 1 Golay sequence(도 37에서는, Ga128이라고 기재하고 있다)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 1 Golay sequence(Ga128)에 대하여, 예컨대, π/2-BPSK(π/2 시프트 BPSK)를 실시하고, 128 심볼이 생성된다. 또, 예컨대, 계열 Ga4={1, 1, 1, 1}의 경우, -Ga4={-1, -1, -1, -1}이 된다. 따라서, STF(3501)는, 5120 심볼의 π/2-BPSK(π/2 시프트 BPSK) 심볼이 된다.
CEF(3502)의 구성은, 도 36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위상 변경부(205B)는, STF(3501) 및/또는 CEF(3502)에 대해서도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STF(3501)는, 128비트의 Golay sequence(128 심볼)를 복수 묶음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므로, 위상 변경부(205)(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128의 약수 중 4보다 큰 정수, 예컨대, 8, 16, 32, 64, 128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π/2 시프트 BPSK를 이용한 것에 의한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의 삭감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주기는 4보다 큰 정수일 필요가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장치가 가드 기간, 데이터 블록, STF(3501)를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8, 16, 32가 적합한 값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송신 장치는, 가드 기간, 데이터 블록, STF(3501)를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각 가드 기간의 선두 심볼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의 심볼 및 STF(3501)의 선두의 심볼에 실시되는 위상 변경의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신 장치는 몇 번째로 송신된 가드 기간, 또는 데이터 블록인지의 정보를 이용하는 일 없이, 가드 기간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로부터 몇 심볼째인지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송신측에서 사용된 위상 변경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복조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EF(3502)는, 128비트의 Golay sequence(128 심볼) 및 512비트의 Golay sequence(512 심볼)를 묶어 구성되어 있으므로, 위상 변경부(205)(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512와 128의 공약수 중 4보다 큰 정수, 예컨대, 8, 16, 32, 64, 128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단, 512비트 Golay sequence(512 심볼)를, 128비트의 Golay sequence에 상당하는 128 심볼을 4개 결합함으로써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위상 변경부(205)(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128의 약수 중 4보다 큰 정수, 예컨대, 8, 16, 32, 64, 128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또, π/2 시프트 BPSK를 이용한 것에 의한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의 삭감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주기는 4보다 큰 정수일 필요가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장치가 가드 기간, 데이터 블록, STF(3501), CEF(3502)를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8, 16, 32가 적합한 값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송신 장치는, 가드 기간, 데이터 블록, STF(3501), CEF(3502)를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각 가드 기간의 선두 심볼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의 심볼 및 STF(3501)의 선두의 심볼에 실시되는 위상 변경의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신 장치는 몇 번째로 송신된 가드 기간, 또는 데이터 블록인지의 정보를 이용하는 일 없이, 가드 기간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로부터 몇 심볼째인지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송신측에서 사용된 위상 변경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복조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송신 장치는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를 생성하고, 위상 변경의 값이 식 (2)로 나타내어지는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를 생성한다고 했다. 여기서, 송신 장치가,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처리에 있어서의 주기 N의 값으로서, STF를 구성하는 128비트 Golay sequence에 상당하는, 128 심볼의 약수의 값(2 이상이다)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송신 장치가,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의 각각의 STF(3501)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동일한 계열(예컨대, Golay 시퀀스)을 이용했다고 하더라도, 신호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의 Golay sequence에 대응하는 128 심볼의 심볼 열과,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의 Golay sequence에 대응하는 128 심볼의 심볼 열을 직교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장치가, STF(3501)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직교 계열이나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각 Golay sequence의 구간의 신호를 서로 직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2개의 송신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송로 특성(채널 변동) 등(왜곡 성분)을 각 Golay sequence의 구간의 신호로부터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송신 장치가 위상 변경의 값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식 (2)로 나타내어지는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위상 변경부가, 위상 변경의 값으로서 2π/N씩 상이한 N종류의 값을 미리 정해진 임의의 순서로 주기적으로 이용한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한다고 하더라도 좋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송신 장치가, 동일한 주파수로 동시에 송신되는 2개의 신호의 STF(3501)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직교 계열이나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각 Golay sequence의 구간의 신호를 서로 직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2개의 송신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송로 특성(채널 변동) 등(왜곡 성분)을 각 Golay sequence의 구간의 신호로부터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송신 장치는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를 생성하고, 위상 변경의 값이 식 (2)로 나타내어지는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를 생성한다고 했다. 여기서, 송신 장치가,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처리에 있어서의 주기 N의 값으로서, CEF는, 128비트 Golay sequence에 상당하는 128 심볼 및 512비트 Golay sequence에 상당하는 512 심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128과 512의 공약수의 값(2 이상이다)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512비트 Golay sequence에 상당하는 512 심볼을, 128비트의 Golay sequence에 상당하는 128 심볼을 4개 결합함으로써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주기 N의 값으로서, 128(2 이상이다)의 약수를 이용한다. 이때, 송신 장치가,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의 각각의 CEF(3502)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동일한 계열(예컨대, Golay 시퀀스)을 이용했다고 하더라도, 신호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의 Golay sequence에 대응하는 512 심볼 또는 128 심볼의 심볼 열과,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의 Golay sequence에 대응하는 512 심볼 또는 128 심볼의 심볼 열을 직교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장치가, CEF(3502)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직교 계열이나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각 Golay sequence의 구간의 신호를 서로 직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2개의 송신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송로 특성(채널 변동) 등(왜곡 성분)을 각 Golay sequence의 구간의 신호로부터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송신 장치가 위상 변경의 값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식 (2)로 나타내어지는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위상 변경부가, 위상 변경의 값으로서 2π/N씩 상이한 N종류의 값을 미리 정해진 임의의 순서로 주기적으로 이용한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한다고 하더라도 좋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송신 장치가, 동일한 주파수로 동시에 송신되는 2개의 신호의 CEF(3502)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직교 계열이나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각 Golay sequence의 구간의 신호를 서로 직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2개의 송신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송로 특성(채널 변동) 등(왜곡 성분)을 각 Golay sequence의 구간의 신호로부터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내용을 다른 표현으로 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송신 장치는, 송신 안테나#1로부터 변조 신호#X, 송신 안테나#2로부터 변조 신호#Y를 송신한다. 이때, 변조 신호#X, 변조 신호#Y는 모두 싱글 캐리어 방식으로 한다. 그리고, 변조 신호#X의 STF(STF#X라고 이름 붙인다)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변조 신호#Y의 STF(STF#Y라고 이름 붙인다)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그리고, STF#X의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와 STF#Y의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는 동일(공통)한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송신 장치, 수신 장치에서 Golay sequence에 관련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회로의 공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하면, 송신 장치의 통신 상대인 수신 장치는, STF#X와 STF#Y를 식별할 수 없다. 다시 말해, 변조 신호#X, 변조 신호#Y의 복조가 어렵다. 따라서, 수신 장치에서, STF#X와 STF#Y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컨대, STF#X 또는 STF#Y의 어느 하나에서, 위상 변경을 행한다.
예 3)
STF#X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X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위상 변경부를 공통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예 4)
STF#Y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Y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위상 변경부를 공통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규칙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STF#X에 있어서의 시간적으로 최초의 심볼을 STF#X(0)으로 하고, STF#Y에 있어서의 시간적으로 최초의 심볼을 STF#Y(0)으로 한다.
예 3)과 같이, "STF#X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X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고 한 경우, STF#X(0)의 위상 변경치는 어느 특정한 값이 되고, 그 후, 규칙적인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예컨대, 시간 1에 있어서, "STF#X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고, 시간 2에 있어서, "STF#X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시간 1에 송신하는 "STF#X"의 "STF#X(0)"의 위상 변경치를 A라디안으로 하고, 시간 2에 송신하는 "STF#X"의 "STF#X(0)"의 위상 변경치도 A라디안으로 한다.
예 4)와 같이, "STF#Y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Y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고 한 경우, STF#Y(0)의 위상 변경치는 어느 특정한 값이 되고, 그 후, 규칙적인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예컨대, 시간 1에 있어서, "STF#Y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고, 시간 2에 있어서, "STF#Y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시간 1에 송신하는 "STF#Y"의 "STF#Y(0)"의 위상 변경치를 B라디안으로 하고, 시간 2에 송신하는 "STF#Y"의 "STF#Y(0)"의 위상 변경치도 B라디안으로 한다.
송신 장치는, 송신 안테나#1로부터 변조 신호#X, 송신 안테나#2로부터 변조 신호#Y를 송신한다. 이때, 변조 신호#X, 변조 신호#Y는 모두 싱글 캐리어 방식으로 한다. 그리고, 변조 신호#X의 CEF(CEF#X라고 이름 붙인다)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변조 신호#Y의 CEF(CEF#Y라고 이름 붙인다)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그리고, CEF#X의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와 CEF#Y의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는 동일(공통)한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송신 장치, 수신 장치에서 Golay sequence에 관련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회로의 공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하면, 송신 장치의 통신 상대인 수신 장치는, CEF#X와 CEF#Y를 식별할 수 없다. 다시 말해, 변조 신호#X, 변조 신호#Y의 복조가 어렵다. 따라서, 수신 장치에서, CEF#X와 CEF#Y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컨대, CEF#X 또는 CEF#Y의 어느 하나에서, 위상 변경을 행한다.
예 5)
CEF#X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X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위상 변경부를 공통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예 6)
CEF#Y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Y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위상 변경부를 공통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규칙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CEF#X에 있어서의 시간적으로 최초의 심볼을 CEF#X(0)으로 하고, CEF#Y에 있어서의 시간적으로 최초의 심볼을 CEF#Y(0)으로 한다.
예 5)와 같이, "CEF#X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X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고 한 경우, CEF#X(0)의 위상 변경치는 어느 특정한 값이 되고, 그 후, 규칙적인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예컨대, 시간 1에 있어서, "CEF#X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고, 시간 2에 있어서, "CEF#X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시간 1에 송신하는 "CEF#X"의 "CEF#X(0)"의 위상 변경치를 A라디안으로 하고, 시간 2에 송신하는 "CEF#X"의 "CEF#X(0)"의 위상 변경치도 A라디안으로 한다.
예 6)과 같이, "CEF#Y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Y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고 한 경우, CEF#Y(0)의 위상 변경치는 어느 특정한 값이 되고, 그 후, 규칙적인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예컨대, 시간 1에 있어서, "CEF#Y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고, 시간 2에 있어서, "CEF#Y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시간 1에 송신하는 "CEF#Y"의 "CEF#Y(0)"의 위상 변경치를 B라디안으로 하고, 시간 2에 송신하는 "CEF#Y"의 "CEF#Y(0)"의 위상 변경치도 B라디안으로 한다.
다음으로, 송신 장치가 도 1의 구성을 구비하고, 도 1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20, 21, 22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 변경부(205A, 205B)에서 행해지는 위상 변경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하는 위상 변경의 처리는, 송신 장치가 도 17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행하더라도 좋고, 신호 처리부(106)가 도 31, 32, 33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행하더라도 좋다.
위상 변경부(205A, 205B)에서 행해지는 위상 변경 처리는, 식 (52)로 나타내어지고, 식 (52)에 있어서의 w(i)는 식 (137)로 나타내어지고, y(i)는, 식 (2)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위상 변경 처리의 주기 N으로서 동일한 값을 이용한다. 또한,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위상 변경 처리의 주기 N으로서 데이터 블록의 심볼 수의 약수 중 3 이상의 값을 이용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블록의 심볼 수가 448이기 때문에,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주기가 4, 7, 8, 14, 16, 28, 32, 56, 64, 112, 224, 448 중 어느 하나인 위상 변경 처리를 행한다.
단,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이용하는 N종류의 위상 변경의 값과 전환의 순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 구성에 의해, 상술한 송신 장치가 송신한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의 수신 상태가 정상적인 상황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도 35, 도 36의 STF(3501) 및/또는 CEF(3502)의 신호에 대해서도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STF(3501) 및/또는 CEF(3502)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조건이 중요해진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또한, STF(3501)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CEF(3502)의 위상 변경의 주기를 공통으로 하고, 회로의 공통화를 행하고, 회로 규모를 삭감하기 위해서는, 128의 약수(단, 4보다 큰 정수)로 하면 된다. 또한, 가드 구간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도 공통화하기 위해서는, 64의 약수(단, 4보다 큰 정수)이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양자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위상 변경을 행하면,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변조 신호의 PAPR을 동일한 정도로 할 수 있고, 송수신에 있어서, PAPR의 영향의 경감을 위한 회로 규모를 삭감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송신 장치는 위상 변경의 값이 식 (137)로 나타내어지는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를 생성하고, 위상 변경의 값이 식 (2)로 나타내어지는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를 생성한다고 했다. 여기서, 송신 장치가,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위상 변경의 처리에 있어서의 주기 N의 값으로서, 가드 기간의 심볼 수의 약수의 값(2 이상이다)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송신 장치가,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의 각각의 STF 및/또는 CEF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동일한 계열(예컨대, Golay 시퀀스)을 이용했다고 하더라도, 신호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의 동일 구간의 Golay sequence에 대응하는 심볼 열과,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의 Golay sequence에 대응하는 심볼 열을 직교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장치가, STF 및/또는 CEF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직교 계열이나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STF 및/또는 CEF의 신호를 서로 직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2개의 송신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송로 특성 등의 왜곡을 STF 및/또는 CEF의 신호로부터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상기의 설명에서는, 도 1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2, 18, 19, 20, 21, 22, 31, 32, 33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싱글 캐리어 방식을 이용하고 있고, 주파수축 방향에 1개의 심볼만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위상 변경부(209A, 209B)에서 행해지는 위상 변경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더라도 좋다. 그 경우,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는, 도 2, 18, 19, 20, 21, 22, 31, 32, 33으로부터 위상 변경부(209A, 209B)를 삭제한 구성이 된다.
단, 위상 변경부(209A, 209B)가 실시의 형태 1 등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의 처리와는 상이한 위상 변경의 처리를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송신 장치가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는 채널 본딩을 행하여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경우, 채널마다 상이한 위상 변경의 값을 이용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
상술한 송신 장치의 변조 신호의 송신에 대하여, 통신 상대의 수신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수신 장치는, 예컨대 도 8의 구성을 구비하고, 지금까지 설명한 프레임 구성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 심볼로 전송되는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의 복조를 행한다. 그리고, 예컨대, 수신 장치의 채널 추정부(805_1, 805_2, 807_1, 807_2)는, 수신 신호에 있어서, 예컨대, 상술한 STF, CEF, GI를 추출하고, 각 송신 안테나와 각 수신 안테나의 채널 변동(도 9의 h11(i), h12(i), h21(i), h22(i))을 추정하고, 신호 처리부(811)는, 이들 채널 변동의 값을 이용하여, 데이터 심볼을 복조한다.
또, STF(3501), CEF(3502)는, BPSK의 심볼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STF(3501) 및/또는 CEF(3502) 및/또는 GI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한다고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각 개별적으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STF(3501), CEF(3502)의 심볼의 구성은, 도 36, 도 37의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구성이더라도, STF(3501), CEF(3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면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변조 신호#X에 있어서의 STF를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와 변조 신호#Y에 있어서의 STF를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를 동일하게 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양자는 상이하더라도, 본 실시의 형태를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변조 신호#X에 있어서의 CEF를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와 변조 신호#Y에 있어서의 CEF를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를 동일하게 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양자는 상이하더라도, 본 실시의 형태를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변조 신호#X에 있어서의 GI를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와 변조 신호#Y에 있어서의 GI를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를 동일하게 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양자는 상이하더라도, 본 실시의 형태를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9)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싱글 캐리어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의 위상 변경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송신 장치는, 예컨대 도 1이나 도 17의 구성을 구비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예컨대 도 25와 같은 프레임 구성의 신호를 송신한다. 도 34는 도 25의 데이터 심볼이 전송되는 영역(2503)의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4의 데이터 영역(3400)은, 도 25의 데이터 심볼이 전송되는 영역(2503)에 대응한다. 데이터 영역(3400)은, 각각 448 심볼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데이터 블록(3402)과 각 데이터 블록의 전방에 배치된 64 심볼의 가드 기간(3401)과, 최후의 데이터 블록에 후속하여 배치된 가드 기간을 포함한다.
여기서, 가드 기간은, 예컨대, 64비트의 Golay 시퀀스 등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여 생성된 64 심볼의 신호가 송신된다. 또, 가드 기간의 신호의 생성에 Golay 시퀀스를 이용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송신 장치는, 그 외의 상보 부호나 직교 부호 계열 등의 임의의 계열을 이용하여 가드 기간의 신호를 생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비트 수는, 64비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34는 데이터 블록의 수가 3개인 경우의 데이터 영역(340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데이터 블록의 수는 1 이상의 정수이면, 몇 개이더라도 좋다. 또한, 가드 블록의 수는, 데이터 블록의 수에 따라 변화하고, 예컨대, 데이터 블록의 수에 1을 더한 수가 된다.
도 35는 도 25의 프리앰블(2501)의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5에 있어서, 프리앰블(3500)은, 도 25의 프리앰블(2501)에 대응한다. 프리앰블(3500)은, 수신 장치가, 신호 검출이나, 주파수 동기ㆍ시간 동기 등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STF(Short Training Field)(3501)와, 채널 추정에 이용할 수 있는 CEF(Channel Estimation Field)(3502)를 포함한다.
송신 장치는, STF(3501)에 있어서, 예컨대 128비트의 Golay 시퀀스 등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여 생성된 128 심볼의 신호를 소정의 횟수 반복하여 송신하고, 그 후에 +와 -의 부호를 반전시킨 128비트의 Golay 시퀀스 등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여 생성된 128 심볼의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 장치는, CEF(3502)에 있어서, 예컨대 각각 128비트로 이루어지는 서로 상이한 복수의 Golay 시퀀스 등의 상보 부호 계열, 및 해당 상보 부호 계열의 +와 -의 부호를 반전시킨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여 생성된 복수의 128 심볼의 신호를, 미리 정해진 순서로 송신한다.
또, STF(3501)나 CEF(3502)로 송신되는 신호의 생성에 Golay 시퀀스를 이용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송신 장치는, 그 외의 상보 부호나 직교 부호 계열 등의 임의의 계열을 이용하여 생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비트 수는, 상술한 값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다음으로, 송신 장치가 행하는 위상 변경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우선, 송신 장치가 도 1의 구성을 구비하고, 도 1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2, 18, 19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 변경부(205B)가 행하는 위상 변경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도 2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B)는,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고,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따라서, 위상 변경부(209B)를 삭제하고,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가, 210B에 상당하고 있더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도 18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A)는,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고,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따라서, 위상 변경부(209A)를 삭제하고,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가, 210A에 상당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9A, 209B)는,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고,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따라서, 위상 변경부(209B)를 삭제하고,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가, 210B에 상당하고 있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를 삭제하고,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가 210A에 상당하고 있더라도 좋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위상 변경의 처리는, 신호 처리부(106)가 도 20, 21, 22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 또는 송신 장치가 도 17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 변경부(205B)가 행하더라도 좋고, 신호 처리부(106)가 도 31, 32, 33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 변경부(250B)가 행하더라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B)는, N종류의 위상 변경의 값을 미리 정해진 순서로 주기적으로 이용하는, 주기 N의 위상 변경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 처리의 주기 N으로서, 데이터 블록의 심볼 수의 약수 중 3 이상의 값을 이용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블록의 심볼 수가 448이기 때문에, 위상 변경부(205B)는 주기가 4, 7, 8, 14, 16, 28, 32, 56, 64, 112, 224, 448 중 어느 하나인 위상 변경 처리를 행한다.
또한,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 처리의 주기 N으로서, 데이터 블록의 심볼 수의 약수 2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여기서, 위상 변경부(205B)가 행하는 위상 변경 처리에 있어서의 N종류의 위상 변경의 값과 그 전환의 순서는, 식 (2)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그 경우, 위상 변경부(205B)가 실시하는 위상 변경의 값은, 선두의 심볼에서는 0이고, 2번째 이후의 심볼에서는, 앞의 심볼에서 이용된 위상 변경의 값에 2π/N을 가산한 값이다. 단, 위상 변경부(205B)가 이용하는 N종류의 위상 변경의 값과 전환의 순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 구성에 의해, 상술한 송신 장치가 송신한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의 수신 상태가 정상적인 상황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 위상 변경부(205B)는, 가드 기간의 신호에 대해서도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가드 기간의 심볼 수는 64이기 때문에,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64의 약수 중 3 이상의 값인 4, 8, 16, 32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이 위상 변경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송신 장치는 가드 기간과 데이터 블록을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각 가드 기간의 선두의 심볼 및 각 데이터 블록의 선두의 심볼에 실시되는 위상 변경의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신 장치는 몇 번째로 송신된 가드 기간, 또는 데이터 블록인지의 정보를 이용하는 일 없이, 가드 기간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로부터 몇 심볼째인지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송신측에서 사용된 위상 변경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복조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위상 변경부(205B)는, 가드 기간의 신호에 대해서도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할 때, 가드 기간의 심볼 수는 64이기 때문에, 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64의 약수 중 2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이 위상 변경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송신 장치는 가드 기간과 데이터 블록을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각 가드 기간의 선두의 심볼 및 각 데이터 블록의 선두의 심볼에 실시되는 위상 변경의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신 장치는 몇 번째로 송신된 가드 기간, 또는 데이터 블록인지의 정보를 이용하는 일 없이, 가드 기간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로부터 몇 심볼째인지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송신측에서 사용된 위상 변경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복조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송신 장치는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를 생성하고, 위상 변경의 값이 식 (2)로 나타내어지는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를 생성한다고 했다. 여기서, 송신 장치가,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처리에 있어서의 주기 N의 값으로서, 가드 기간의 심볼 수의 약수의 값(2 이상이다)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송신 장치가,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의 각각의 가드 기간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동일한 계열(예컨대, Golay 시퀀스)을 이용했다고 하더라도, 신호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의 가드 기간에 대응하는 심볼 열과,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의 가드 기간에 대응하는 심볼 열을 직교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장치가, 가드 기간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직교 계열이나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가드 기간의 신호를 서로 직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2개의 송신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송로 특성(채널 변동)을 가드 기간의 신호로부터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송신 장치가 위상 변경의 값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식 (2)로 나타내어지는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위상 변경부가, 위상 변경의 값으로서 2π/N씩 상이한 N종류의 값을 미리 정해진 임의의 순서로 주기적으로 이용한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한다고 하더라도 좋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송신 장치가, 동일한 주파수로 동시에 송신되는 2개의 신호의 가드 기간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직교 계열이나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가드 기간의 신호를 서로 직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2개의 송신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송로 특성(채널 변동)을 가드 기간의 신호로부터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송신 장치는, 프리앰블(3500)에 대해서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은 위상 변경의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송신 장치는, 예컨대, 서로 직교하는 직교 계열, 또는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여 MIMO용의 전송로의 추정에 이용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MIMO용의 전송로의 추정에 이용하는 신호는, 프리앰블(3500)의 CEF(3502)와는 상이한 영역에서 송신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제어 심볼의 뒤에, 예컨대, 서로 직교하는 직교 계열, 또는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여 생성한 MIMO용의 전송로의 추정에 이용하는 신호가 송신되는 영역이 마련되더라도 좋다.
이상의 내용을 다른 표현으로 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송신 장치는, 송신 안테나#1로부터 변조 신호#X, 송신 안테나#2로부터 변조 신호#Y를 송신한다. 이때, 변조 신호#X, 변조 신호#Y는 모두 싱글 캐리어 방식으로 한다. 그리고, 변조 신호#X의 데이터 심볼은, GI(GI : 가드 인터벌)(GI#X라고 이름 붙인다)와 함께 송신된다. 마찬가지로, 변조 신호#Y의 데이터 심볼도 GI(GI#Y라고 이름 붙인다)와 함께 송신된다. 그리고, GI#X의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와 GI#Y의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는 동일(공통)한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송신 장치, 수신 장치에서 Golay sequence에 관련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회로의 공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하면, 송신 장치의 통신 상대인 수신 장치는, GI#X와 GI#Y를 식별할 수 없다. 다시 말해, 변조 신호#X, 변조 신호#Y의 복조가 어렵다. 따라서, 수신 장치에서, GI#X와 GI#Y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컨대, GI#X 또는 GI#Y의 어느 하나에서, 위상 변경을 행한다.
예 1) GI#X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X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위상 변경부를 공통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 2) GI#Y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Y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위상 변경부를 공통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규칙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GI#X에 있어서의 시간적으로 최초의 심볼을 GI#X(0)으로 하고, GI#Y에 있어서의 시간적으로 최초의 심볼을 GI#Y(0)으로 한다.
예 1)과 같이, "GI#X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X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한다"고 한 경우, GI#X(0)의 위상 변경치는 어느 특정한 값이 되고, 그 후, 규칙적인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예컨대, 시간 1에 있어서, "GI#X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고, 시간 2에 있어서, "GI#X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시간 1에 송신하는 "GI#X"의 "GI#X(0)"의 위상 변경치를 A라디안으로 하고, 시간 2에 송신하는 "GI#X"의 "GI#X(0)"의 위상 변경치도 A라디안으로 한다.
예 2)와 같이, "GI#Y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Y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한다"고 한 경우, GI#Y(0)의 위상 변경치는 어느 특정한 값이 되고, 그 후, 규칙적인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예컨대, 시간 1에 있어서, "GI#Y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고, 시간 2에 있어서, "GI#Y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시간 1에 송신하는 "GI#Y"의 "GI#Y(0)"의 위상 변경치를 B라디안으로 하고, 시간 2에 송신하는 "GI#Y"의 "GI#Y(0)"의 위상 변경치도 B라디안으로 한다.
다음으로, 송신 장치가 도 1의 구성을 구비하고, 도 1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20, 21, 22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 변경부(205A, 205B)에서 행해지는 위상 변경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하는 위상 변경의 처리는, 송신 장치가 도 17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행하더라도 좋고, 신호 처리부(106)가 도 31, 32, 33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행하더라도 좋다.
위상 변경부(205A, 205B)에서 행해지는 위상 변경 처리는, 식 (52)로 나타내어지고, 식 (52)에 있어서의 w(i)는 이하의 식 (137)로 나타내어진다. 또, y(i)는, 식 (2)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위상 변경 처리의 주기 N으로서 동일한 값을 이용한다. 또한,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위상 변경 처리의 주기 N으로서 데이터 블록의 심볼 수의 약수 중 3 이상의 값을 이용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블록의 심볼 수가 448이기 때문에,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주기가 4, 7, 8, 14, 16, 28, 32, 56, 64, 112, 224, 448 중 어느 하나인 위상 변경 처리를 행한다. 또한,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주기가 2인 위상 변경 처리를 행하더라도 좋다.
단,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이용하는 N종류의 위상 변경의 값과 전환의 순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 구성에 의해, 상술한 송신 장치가 송신한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의 수신 상태가 정상적인 상황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
또,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가드 기간의 신호에 대해서도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가드 기간의 심볼 수는 64이기 때문에,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64의 약수 중 3 이상의 값인 4, 8, 16, 32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또한, 가드 기간의 심볼 수는 64이기 때문에,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64의 약수인 2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이 위상 변경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송신 장치는 가드 기간과 데이터 블록을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각 가드 기간의 선두의 심볼 및 각 데이터 블록의 선두의 심볼에 실시되는 위상 변경의 값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신 장치는 몇 번째로 송신된 가드 기간, 또는 데이터 블록인지의 정보를 이용하는 일 없이, 가드 기간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로부터 몇 심볼째인지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송신측에서 사용된 위상 변경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복조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송신 장치는 위상 변경의 값이 식 (137)로 나타내어지는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를 생성하고, 위상 변경의 값이 식 (2)로 나타내어지는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를 생성한다고 했다. 여기서, 송신 장치가,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위상 변경의 처리에 있어서의 주기 N의 값으로서, 가드 기간의 심볼 수의 약수의 값(2 이상이다)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송신 장치가,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의 각각의 가드 기간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동일한 계열(예컨대, Golay 시퀀스)을 이용했다고 하더라도, 신호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의 가드 기간에 대응하는 심볼 열과,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의 가드 기간에 대응하는 심볼 열을 직교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장치가, 가드 기간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직교 계열이나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가드 기간의 신호를 서로 직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2개의 송신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송로 특성을 가드 기간의 신호로부터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상기의 설명에서는, 도 1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2, 18, 19, 20, 21, 22, 31, 32, 33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싱글 캐리어 방식을 이용하고 있고, 주파수축 방향에 1개의 심볼만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위상 변경부(209A, 209B)에서 행해지는 위상 변경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더라도 좋다. 그 경우,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는, 도 2, 18, 19, 20, 21, 22, 31, 32, 33으로부터 위상 변경부(209A, 209B)를 삭제한 구성이 된다.
단, 위상 변경부(209A, 209B)가 실시의 형태 1 등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의 처리와는 상이한 위상 변경의 처리를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송신 장치가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는 채널 본딩을 행하여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경우, 채널마다 상이한 위상 변경의 값을 이용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신 장치가 데이터 영역에 있어서 448 심볼의 데이터 블록과, 64 심볼의 가드 기간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데이터 블록과 가드 기간의 심볼 수는 상이한 값이더라도 좋다.
데이터 블록과 가드 기간의 심볼 수로서 상이한 값을 이용한 경우의 일례로서, 데이터 블록의 심볼 수와 가드 기간의 심볼 수의 합이 위상 변경의 처리의 주기 N의 배수가 아닌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데이터 영역 전체 또는 데이터 영역에서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에 걸쳐 연속적으로 적용하면(데이터 영역 전체 또는 데이터 영역에서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 중에서는 위상 변경의 값의 초기화를 행하지 않고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면), 데이터 영역의 선두의 가드 기간의 선두의 심볼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값과 다음 가드 기간의 선두의 심볼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값은 동일해지지 않는다.
송신 장치는, 예컨대, (1) 데이터 영역 전체 또는 데이터 영역에서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에 걸쳐 위상 변경의 값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킨다(데이터 영역 전체 또는 데이터 영역에서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 중에서는 위상 변경의 값의 초기화를 행하지 않는다), (2) 가드 기간의 선두의 심볼에 적용되는 위상 변경의 값이 항상 일정해지도록 가드 기간의 선두에서 위상 변경의 값을 초기화한다, 등의 어느 위상 변경 처리를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1) 및 (2)의 방식을 포함하는, 위상 변경치의 초기화 조건이 상이한 복수의 방식을 전환하여 사용하는 경우, 송신 장치는 사용하는 위상 변경치의 초기화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 심볼로서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수신 장치는, 수신한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초기화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의 복조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신 장치는,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초기화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나, 필요하다면 위상 변경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 등의 그 외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 데이터 심볼에서 사용되고 있는 위상 변경의 크기를 판정하고, 해당 데이터 심볼의 복조를 행한다.
다음으로, 도 1에 있어서의 매핑부(104) 또는 도 17에 있어서의 매핑부(006A, 006B)가 이용하는 변조 방식의 다른 일례로서, 심볼마다 소정의 위상 변경량씩 위상을 변경한 컨스텔레이션으로부터 입력 비트의 값에 따라 1개의 신호점을 선택하는, 위상 회전(또는 위상 변경)을 수반하는 매핑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매핑부가 행하는 위상 회전을 수반하는 매핑 방식의 일례로서, π/2(시프트)-BPSK에 대하여 설명한다. π/2(시프트)-BPSK를 이용하는 경우, 매핑부는, 입력된 비트열로부터 1비트마다 1개의 매핑 후의 신호(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π/2(시프트)-BPSK를 이용한 경우에 k번째로 생성되는 매핑 후의 신호(베이스밴드 신호) sk는 이하의 식 X1로 나타내어진다. ck는 입력된 비트열 k번째의 비트의 값이고, 0 또는 1의 값을 갖는다(식 (138), 식 (139) 참조).
또, s'k는, 위상 회전(또는 위상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BPSK로 생성되는 매핑 후의 신호(베이스밴드 신호)의 일례와 동일하다. π/2(시프트)-BPSK를 이용하는 경우, 컨스텔레이션의 위상은 심볼마다 π/2씩 회전(변화)하므로, 위상 회전(또는 위상 변경)의 주기는 4이다.
매핑부가 행하는 위상 회전을 수반하는 매핑 방식의 다른 일례로서, π/2(시프트)-QPSK에 대하여 설명한다. π/2(시프트)-QPSK를 이용하는 경우, 매핑부는, 입력된 비트열로부터 2비트마다 1개의 매핑 후의 신호(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π/2(시프트)-QPSK를 이용한 경우에 k번째로 생성되는 매핑 후의 신호(베이스밴드 신호) sk는 이하의 식 X2로 나타내어진다. ck는 입력된 비트열 k번째의 비트의 값이고, 0 또는 1의 값을 갖는다(식 (140), 식 (141) 참조).
또, s'k는, 위상 회전(또는 위상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QPSK로 생성되는 매핑 후의 신호(베이스밴드 신호)의 일례와 동일하다. π/2(시프트)-QPSK를 이용하는 경우, 컨스텔레이션의 위상은 심볼마다 π/2씩 회전(변화)하므로, 위상 회전(또는 위상 변경)의 주기는 4이다.
위상 회전(또는 위상 변경)을 수반하는 매핑 방식으로서 π/2(시프트)-BPSK와 π/2(시프트)-QPSK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다른 매핑 방식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매핑부는, 위상 회전(또는 위상 변경)되는 컨스텔레이션으로서, APSK(Amplitude Phase Shift Keying)(예컨대, 16APSK, 64APSK, 128APSK, 256APSK, 1024APSK, 4096APSK 등),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예컨대, 4PAM, 8PAM, 16PAM, 64PAM, 128PAM, 256PAM, 1024PAM, 4096PAM 등), PSK(Phase Shift Keying)(예컨대, BPSK, QPSK, 8PSK, 16PSK, 64PSK, 128PSK, 256PSK, 1024PSK, 4096PSK 등),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예컨대, 4QAM, 8QAM, 16QAM, 64QAM, 128QAM, 256QAM, 1024QAM, 4096QAM 등) 등의 컨스텔레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매핑부는, 상기의 각 매핑 방식으로서, 균일 매핑의 컨스텔레이션, 비균일 매핑의 컨스텔레이션의 어느 하나를 이용한 매핑을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매핑부는, 위상 회전(또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π/2(시프트)-BPSK나 π/2(시프트)-QPSK에서 이용하고 있는 4뿐만 아니라, 8, 16 등의 임의의 2 이상의 정수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수신 장치는, 예컨대 도 8의 구성을 구비하고, 지금까지 설명한 프레임 구성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 심볼로 전송되는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의 복조를 행한다.
그런데, GI의 심볼을 생성함에 있어서, Golay sequence에 대하여, 매핑을 행하고, 심볼을 생성한다. 이때, GI의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변조 방식으로서는, 예컨대, 상술한 π/2(시프트)-BPSK(π/2 시프트 BPSK), BPSK 등을 적합한 변조 방식으로서 들 수 있다. 단, 변조 방식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술한 변조 방식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 상술에서는, GI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도 35에서 설명한, STF(Short Training Field)(3501)와, 채널 추정에 이용할 수 있는 CEF(Channel Estimation Field)(3502)에 대해서도 위상 변경을 실시하더라도 좋다. 이하에서는, 이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경우, 도 35에서 설명한 STF(3501) 및/또는 CEF(3502)에 대해서도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 36에 STF(3501) 및 CEF(350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STF(3501)는, 5120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128비트로 구성된 제 1 Golay sequence(도 36에서는, Ga128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및 128비트로 구성된 제 2 Golay sequence(도 36에서는 Gb128이라고 기재하고 있다)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 1 Golay sequence(Ga128)에 대하여, 예컨대, π/2(시프트)-BPSK(π/2 시프트 BPSK)를 실시하고, 128 심볼이 생성되고, 또한, 제 2 Golay sequence(Gb128)에 대하여, 예컨대, π/2(시프트)-BPSK(π/2 시프트 BPSK)를 실시하고, 128 심볼이 생성된다. 또, 예컨대, 계열 Ga4={1, 1, 1, 1}의 경우, -Ga4={-1, -1, -1, -1}이 된다. 따라서, STF(3501)는, 5120 심볼의 π/2(시프트)-BPSK(π/2 시프트 BPSK) 심볼이 된다.
CEF(3502)는, 1152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512비트로 구성된 제 4 Golay sequence(도 36에서는, GU512라고 기재하고 있다.) 및 512비트로 구성된 제 5 Golay sequence(도 36에서는, GV512라고 기재하고 있다) 및 128비트로 구성된 제 6 Golay sequence(도 36에서는 GV128이라고 기재하고 있다)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 4 Golay sequence(GU512)에 대하여, 예컨대, π/2(시프트)-BPSK(π/2 시프트 BPSK)를 실시하고, 512 심볼이 생성되고, 또한, 제 5 Golay sequence(GV512)에 대하여, 예컨대, π/2(시프트)-BPSK(π/2 시프트 BPSK)를 실시하고, 512 심볼이 생성되고, 또한, 제 6 Golay sequence(GV128)에 대하여, 예컨대, π/2(시프트)-BPSK(π/2 시프트 BPSK)를 실시하고, 128 심볼이 생성된다. 또, CEF(3502)는, 1152 심볼의 π/2(시프트)-BPSK(π/2 시프트 BPSK) 심볼이 된다.
위상 변경부(205B)는, STF(3501) 및/또는 CEF(3502)에 대해서도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STF(3501)는, 128비트의 Golay sequence(128 심볼)를 복수 묶음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므로, 위상 변경부(205A)(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128의 약수 중 4보다 큰 정수, 예컨대, 8, 16, 32, 64, 128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π/2 시프트 BPSK를 이용한 것에 의한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의 삭감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주기는 4보다 큰 정수일 필요가 있다.) 또한, 위상 변경부(205A)(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128의 약수인 2이더라도 좋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장치가 가드 기간, 데이터 블록, STF(3501)를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8, 16, 32가 적합한 값이 된다. 또한,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2도 적합한 값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송신 장치는, 가드 기간, 데이터 블록, STF(3501)를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각 가드 기간의 선두 심볼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의 심볼 및 STF(3501)의 선두의 심볼에 실시되는 위상 변경의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신 장치는 몇 번째로 송신된 가드 기간, 또는 데이터 블록인지의 정보를 이용하는 일 없이, 가드 기간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로부터 몇 심볼째인지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송신측에서 사용된 위상 변경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복조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EF(3502)는, 128비트의 Golay sequence(128 심볼) 및 512비트의 Golay sequence(512 심볼)를 묶어 구성되어 있으므로, 위상 변경부(205A)(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512와 128의 공약수 중 4보다 큰 정수, 예컨대, 8, 16, 32, 64, 128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또한,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512와 128의 공약수인 2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단, 512비트 Golay sequence(512 심볼)를, 128비트 Golay sequence에 상당하는 128 심볼을 4개 결합함으로써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위상 변경부(205A)(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128의 약수 중 4보다 큰 정수, 예컨대, 8, 16, 32, 64, 128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또한, 위상 변경부(205A)(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128의 약수인 2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 π/2 시프트 BPSK를 이용한 것에 의한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의 삭감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주기는 4보다 큰 정수일 필요가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장치가 가드 기간, 데이터 블록, STF(3501), CEF(3502)를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8, 16, 32가 적합한 값이 된다. 또한,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2도 적합한 값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송신 장치는, 가드 기간, 데이터 블록, STF(3501), CEF(3502)를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각 가드 기간의 선두 심볼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의 심볼 및 STF(3501)의 선두의 심볼에 실시되는 위상 변경의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신 장치는 몇 번째로 송신된 가드 기간, 또는 데이터 블록인지의 정보를 이용하는 일 없이, 가드 기간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로부터 몇 심볼째인지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송신측에서 사용된 위상 변경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복조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7은 STF(3501) 및 CEF(3502)의 구성의 도 36과는 상이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STF(3501)는, 2176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128비트로 구성된 제 1 Golay sequence(도 37에서는, Ga128이라고 기재하고 있다)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 1 Golay sequence(Ga128)에 대하여, 예컨대, π/2(시프트)-BPSK(π/2 시프트 BPSK)를 실시하고, 128 심볼이 생성된다. 또, 예컨대, 계열 Ga4={1, 1, 1, 1}의 경우, -Ga4={-1, -1, -1, -1}이 된다. 따라서, STF(3501)는, 5120 심볼의 π/2(시프트)-BPSK(π/2 시프트 BPSK) 심볼이 된다.
CEF(3502)의 구성은, 도 36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위상 변경부(205B)는, STF(3501) 및/또는 CEF(3502)에 대해서도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STF(3501)는, 128비트의 Golay sequence(128 심볼)를 복수 묶음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므로, 위상 변경부(205A)(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128의 약수 중 4보다 큰 정수, 예컨대, 8, 16, 32, 64, 128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또한, 위상 변경부(205A)(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128의 약수인 2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π/2 시프트 BPSK를 이용한 것에 의한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의 삭감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주기는 4보다 큰 정수일 필요가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장치가 가드 기간, 데이터 블록, STF(3501)를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8, 16, 32가 적합한 값이 된다. 또한, 송신 장치가 가드 기간, 데이터 블록, STF(3501)를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2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송신 장치는, 가드 기간, 데이터 블록, STF(3501)를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각 가드 기간의 선두 심볼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의 심볼 및 STF(3501)의 선두의 심볼에 실시되는 위상 변경의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신 장치는 몇 번째로 송신된 가드 기간, 또는 데이터 블록인지의 정보를 이용하는 일 없이, 가드 기간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로부터 몇 심볼째인지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송신측에서 사용된 위상 변경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복조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EF(3502)는, 128비트의 Golay sequence(128 심볼) 및 512비트의 Golay sequence(512 심볼)를 묶어 구성되어 있으므로, 위상 변경부(205A)(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512와 128의 공약수 중 4보다 큰 정수, 예컨대, 8, 16, 32, 64, 128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또한, 위상 변경의 주기는 2이더라도 좋다. 단, 512비트 Golay sequence(512 심볼)를, 128비트의 Golay sequence에 상당하는 128 심볼을 4개 결합함으로써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위상 변경부(205A)(위상 변경부(205B))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128의 약수 중 4보다 큰 정수, 예컨대, 8, 16, 32, 64, 128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또한,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128의 약수인 2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 π/2 시프트 BPSK를 이용한 것에 의한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의 삭감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주기는 4보다 큰 정수일 필요가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장치가 가드 기간, 데이터 블록, STF(3501), CEF(3502)를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8, 16, 32가 적합한 값이 된다. 또한, 송신 장치가 가드 기간, 데이터 블록, STF(3501), CEF(3502)를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 2도 적합한 값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송신 장치는, 가드 기간, 데이터 블록, STF(3501), CEF(3502)를 구별하는 일 없이,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각 가드 기간의 선두 심볼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의 심볼 및 STF(3501)의 선두의 심볼에 실시되는 위상 변경의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신 장치는 몇 번째로 송신된 가드 기간, 또는 데이터 블록인지의 정보를 이용하는 일 없이, 가드 기간 및 데이터 블록의 선두로부터 몇 심볼째인지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송신측에서 사용된 위상 변경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복조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송신 장치는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를 생성하고, 위상 변경의 값이 식 (2)로 나타내어지는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를 생성한다고 했다. 여기서, 송신 장치가,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처리에 있어서의 주기 N의 값으로서, STF를 구성하는 128비트 Golay sequence에 상당하는, 128 심볼의 약수의 값(2 이상이다)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송신 장치가,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의 각각의 STF(3501)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동일한 계열(예컨대, Golay 시퀀스)을 이용했다고 하더라도, 신호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의 Golay sequence에 대응하는 128 심볼의 심볼 열과,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의 Golay sequence에 대응하는 128 심볼의 심볼 열을 직교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장치가, STF(3501)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직교 계열이나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각 Golay sequence의 구간의 신호를 서로 직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2개의 송신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송로 특성(채널 변동) 등(왜곡 성분)을 각 Golay sequence의 구간의 신호로부터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송신 장치가 위상 변경의 값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식 (2)로 나타내어지는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위상 변경부가, 위상 변경의 값으로서 2π/N씩 상이한 N종류의 값을 미리 정해진 임의의 순서로 주기적으로 이용한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한다고 하더라도 좋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송신 장치가, 동일한 주파수로 동시에 송신되는 2개의 신호의 STF(3501)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직교 계열이나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각 Golay sequence의 구간의 신호를 서로 직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2개의 송신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송로 특성(채널 변동) 등(왜곡 성분)을 각 Golay sequence의 구간의 신호로부터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송신 장치는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를 생성하고, 위상 변경의 값이 식 (2)로 나타내어지는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를 생성한다고 했다. 여기서, 송신 장치가,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처리에 있어서의 주기 N의 값으로서, CEF는, 128비트 Golay sequence에 상당하는 128 심볼 및 512비트 Golay sequence에 상당하는 512 심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128과 512의 공약수의 값(2 이상이다)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512비트 Golay sequence에 상당하는 512 심볼을, 128비트의 Golay sequence에 상당하는 128 심볼을 4개 결합함으로써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주기 N의 값으로서, 128(2 이상이다)의 약수를 이용한다. 이때, 송신 장치가,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의 각각의 CEF(3502)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동일한 계열(예컨대, Golay 시퀀스)을 이용했다고 하더라도, 신호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의 Golay sequence에 대응하는 512 심볼 또는 128 심볼의 심볼 열과,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의 Golay sequence에 대응하는 512 심볼 또는 128 심볼의 심볼 열을 직교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장치가, CEF(3502)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직교 계열이나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각 Golay sequence의 구간의 신호를 서로 직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2개의 송신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송로 특성(채널 변동) 등(왜곡 성분)을 각 Golay sequence의 구간의 신호로부터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송신 장치가 위상 변경의 값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식 (2)로 나타내어지는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위상 변경부가, 위상 변경의 값으로서 2π/N씩 상이한 N종류의 값을 미리 정해진 임의의 순서로 주기적으로 이용한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한다고 하더라도 좋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송신 장치가, 동일한 주파수로 동시에 송신되는 2개의 신호의 CEF(3502)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직교 계열이나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각 Golay sequence의 구간의 신호를 서로 직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2개의 송신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송로 특성(채널 변동) 등(왜곡 성분)을 각 Golay sequence의 구간의 신호로부터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내용을 다른 표현으로 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송신 장치는, 송신 안테나#1로부터 변조 신호#X, 송신 안테나#2로부터 변조 신호#Y를 송신한다. 이때, 변조 신호#X, 변조 신호#Y는 모두 싱글 캐리어 방식으로 한다. 그리고, 변조 신호#X의 STF(STF#X라고 이름 붙인다)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변조 신호#Y의 STF(STF#Y라고 이름 붙인다)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그리고, STF#X의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와 STF#Y의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는 동일(공통)한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송신 장치, 수신 장치에서 Golay sequence에 관련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회로의 공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하면, 송신 장치의 통신 상대인 수신 장치는, STF#X와 STF#Y를 식별할 수 없다. 다시 말해, 변조 신호#X, 변조 신호#Y의 복조가 어렵다. 따라서, 수신 장치에서, STF#X와 STF#Y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컨대, STF#X 또는 STF#Y의 어느 하나에서, 위상 변경을 행한다.
예 3)
STF#X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X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위상 변경부를 공통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예 4)
STF#Y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Y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위상 변경부를 공통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규칙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STF#X에 있어서의 시간적으로 최초의 심볼을 STF#X(0)으로 하고, STF#Y에 있어서의 시간적으로 최초의 심볼을 STF#Y(0)으로 한다.
예 3)과 같이, "STF#X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X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고 한 경우, STF#X(0)의 위상 변경치는 어느 특정한 값이 되고, 그 후, 규칙적인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예컨대, 시간 1에 있어서, "STF#X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고, 시간 2에 있어서, "STF#X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시간 1에 송신하는 "STF#X"의 "STF#X(0)"의 위상 변경치를 A라디안으로 하고, 시간 2에 송신하는 "STF#X"의 "STF#X(0)"의 위상 변경치도 A라디안으로 한다.
예 4)와 같이, "STF#Y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Y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고 한 경우, STF#Y(0)의 위상 변경치는 어느 특정한 값이 되고, 그 후, 규칙적인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예컨대, 시간 1에 있어서, "STF#Y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고, 시간 2에 있어서, "STF#Y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시간 1에 송신하는 "STF#Y"의 "STF#Y(0)"의 위상 변경치를 B라디안으로 하고, 시간 2에 송신하는 "STF#Y"의 "STF#Y(0)"의 위상 변경치도 B라디안으로 한다.
송신 장치는, 송신 안테나#1로부터 변조 신호#X, 송신 안테나#2로부터 변조 신호#Y를 송신한다. 이때, 변조 신호#X, 변조 신호#Y는 모두 싱글 캐리어 방식으로 한다. 그리고, 변조 신호#X의 CEF(CEF#X라고 이름 붙인다)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변조 신호#Y의 CEF(CEF#Y라고 이름 붙인다)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그리고, CEF#X의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와 CEF#Y의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는 동일(공통)한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송신 장치, 수신 장치에서 Golay sequence에 관련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회로의 공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하면, 송신 장치의 통신 상대인 수신 장치는, CEF#X와 CEF#Y를 식별할 수 없다. 다시 말해, 변조 신호#X, 변조 신호#Y의 복조가 어렵다. 따라서, 수신 장치에서, CEF#X와 CEF#Y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컨대, CEF#X 또는 CEF#Y의 어느 하나에서, 위상 변경을 행한다.
예 5)
CEF#X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X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위상 변경부를 공통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예 6)
CEF#Y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Y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위상 변경부를 공통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규칙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CEF#X에 있어서의 시간적으로 최초의 심볼을 CEF#X(0)으로 하고, CEF#Y에 있어서의 시간적으로 최초의 심볼을 CEF#Y(0)으로 한다.
예 5)와 같이, "CEF#X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X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고 한 경우, CEF#X(0)의 위상 변경치는 어느 특정한 값이 되고, 그 후, 규칙적인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예컨대, 시간 1에 있어서, "CEF#X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고, 시간 2에 있어서, "CEF#X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시간 1에 송신하는 "CEF#X"의 "CEF#X(0)"의 위상 변경치를 A라디안으로 하고, 시간 2에 송신하는 "CEF#X"의 "CEF#X(0)"의 위상 변경치도 A라디안으로 한다.
예 6)과 같이, "CEF#Y에서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변조 신호#Y의 데이터 심볼 부분에서도 규칙적으로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고 한 경우, CEF#Y(0)의 위상 변경치는 어느 특정한 값이 되고, 그 후, 규칙적인 위상 변경이 행해진다. 예컨대, 시간 1에 있어서, "CEF#Y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고, 시간 2에 있어서, "CEF#Y와 데이터 심볼"을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시간 1에 송신하는 "CEF#Y"의 "CEF#Y(0)"의 위상 변경치를 B라디안으로 하고, 시간 2에 송신하는 "CEF#Y"의 "CEF#Y(0)"의 위상 변경치도 B라디안으로 한다.
다음으로, 송신 장치가 도 1의 구성을 구비하고, 도 1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20, 21, 22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 변경부(205A, 205B)에서 행해지는 위상 변경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하는 위상 변경의 처리는, 송신 장치가 도 17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행하더라도 좋고, 신호 처리부(106)가 도 31, 32, 33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행하더라도 좋다.
위상 변경부(205A, 205B)에서 행해지는 위상 변경 처리는, 식 (52)로 나타내어지고, 식 (52)에 있어서의 w(i)는 식 (137)로 나타내어지고, y(i)는, 식 (2)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위상 변경 처리의 주기 N으로서 동일한 값을 이용한다. 또한,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위상 변경 처리의 주기 N으로서 데이터 블록의 심볼 수의 약수 중 3 이상의 값을 이용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블록의 심볼 수가 448이기 때문에,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주기가 4, 7, 8, 14, 16, 28, 32, 56, 64, 112, 224, 448 중 어느 하나인 위상 변경 처리를 행한다. 또한,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위상 변경 처리의 주기 N으로서, 데이터 블록의 심볼 수의 약수인 2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단, 위상 변경부(205A, 205B)가 이용하는 N종류의 위상 변경의 값과 전환의 순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 구성에 의해, 상술한 송신 장치가 송신한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특히, LOS 환경에 있어서의 수신 상태가 정상적인 상황을 피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다.
또,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도 35, 도 36의 STF(3501) 및/또는 CEF(3502)의 신호에 대해서도 위상 변경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STF(3501) 및/또는 CEF(3502)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위상 변경의 주기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조건이 중요해진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또한, STF(3501)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CEF(3502)의 위상 변경의 주기를 공통으로 하고, 회로의 공통화를 행하고, 회로 규모를 삭감하기 위해서는, 128의 약수(단, 4보다 큰 정수)(2 이상이더라도 좋다)로 하면 된다. 또한, 가드 구간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도 공통화하기 위해서는, 64의 약수(단, 4보다 큰 정수)(2 이상이더라도 좋다)이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양자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위상 변경을 행하면,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변조 신호의 PAPR을 동일한 정도로 할 수 있고, 송수신에 있어서, PAPR의 영향의 경감을 위한 회로 규모를 삭감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송신 장치는 위상 변경의 값이 식 (137)로 나타내어지는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를 생성하고, 위상 변경의 값이 식 (2)로 나타내어지는 주기 N의 위상 변경의 처리를 실시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를 생성한다고 했다. 여기서, 송신 장치가,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위상 변경의 처리에 있어서의 주기 N의 값으로서, 가드 기간의 심볼 수의 약수의 값(2 이상이다)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송신 장치가,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 106_B)의 각각의 STF 및/또는 CEF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동일한 계열(예컨대, Golay 시퀀스)을 이용했다고 하더라도, 신호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의 동일 구간의 Golay sequence에 대응하는 심볼 열과,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의 Golay sequence에 대응하는 심볼 열을 직교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장치가, STF 및/또는 CEF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직교 계열이나 복수의 상보 부호 계열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STF 및/또는 CEF의 신호를 서로 직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2개의 송신 신호의 각각에 대한 전송로 특성 등의 왜곡을 STF 및/또는 CEF의 신호로부터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상기의 설명에서는, 도 1의 신호 처리부(106)가, 도 2, 18, 19, 20, 21, 22, 31, 32, 33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싱글 캐리어 방식을 이용하고 있고, 주파수축 방향에 1개의 심볼만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위상 변경부(209A, 209B)에서 행해지는 위상 변경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더라도 좋다. 그 경우,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는, 도 2, 18, 19, 20, 21, 22, 31, 32, 33으로부터 위상 변경부(209A, 209B)를 삭제한 구성이 된다.
단, 위상 변경부(209A, 209B)가 실시의 형태 1 등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의 처리와는 상이한 위상 변경의 처리를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송신 장치가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는 채널 본딩을 행하여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경우, 채널마다 상이한 위상 변경의 값을 이용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더라도 좋다.
상술한 송신 장치의 변조 신호의 송신에 대하여, 통신 상대의 수신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수신 장치는, 예컨대 도 8의 구성을 구비하고, 지금까지 설명한 프레임 구성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 심볼로 전송되는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심볼의 복조를 행한다. 그리고, 예컨대, 수신 장치의 채널 추정부(805_1, 805_2, 807_1, 807_2)는, 수신 신호에 있어서, 예컨대, 상술한 STF, CEF, GI를 추출하고, 각 송신 안테나와 각 수신 안테나의 채널 변동(도 9의 h11(i), h12(i), h21(i), h22(i))을 추정하고, 신호 처리부(811)는, 이들 채널 변동의 값을 이용하여, 데이터 심볼을 복조한다.
또, STF(3501), CEF(3502)는, BPSK의 심볼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STF(3501) 및/또는 CEF(3502) 및/또는 GI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한다고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각 개별적으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STF(3501), CEF(3502)의 심볼의 구성은, 도 36, 도 37의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구성이더라도, STF(3501), CEF(35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면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변조 신호#X에 있어서의 STF를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와 변조 신호#Y에 있어서의 STF를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를 동일하게 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양자는 상이하더라도, 본 실시의 형태를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변조 신호#X에 있어서의 CEF를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와 변조 신호#Y에 있어서의 CEF를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를 동일하게 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양자는 상이하더라도, 본 실시의 형태를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변조 신호#X에 있어서의 GI를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와 변조 신호#Y에 있어서의 GI를 생성하기 위한 Golay sequence를 동일하게 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양자는 상이하더라도, 본 실시의 형태를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다.
다음으로 위상 변경의 주기를 2로 설정한 경우의 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도 2, 도 18, 도 19의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심볼 번호 i의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를 y(i)로 한다. 그리고, y(i)를 다음 식으로 주는 것으로 한다.
[수학식 142]
Figure pct00149
위상 변경의 주기를 2로 하고, λ(i)-λ(i-1)=π라디안으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도 38에,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은 경우의 스펙트럼을 도 38의 실선(3801)으로 나타낸다. 또, 도 38에 있어서, 가로축은 주파수이고, 세로축은 진폭이다.
그리고, 도 2의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λ(i)-λ(i-1)=π라디안이라고 설정하여, 위상 변경을 행했을 때의 스펙트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8에 있어서, 스펙트럼(3801)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시프트한 스펙트럼이, 3802_A와 3802_B로 형성된 스펙트럼이다. 그리고, 사선으로 형성된 3802_B의 스펙트럼을 왼쪽으로 이동시키고, 도 39와 같이, 스펙트럼 3802_B와 3802_A로 형성한 스펙트럼을 생각한다. 이 스펙트럼이, λ(i)-λ(i-1)=π라디안이라고 설정하여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했을 때의 스펙트럼이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이 되도록 송신한 경우, 기지국과 통신 상대인 단말의 전반 환경이 멀티 패스 환경인 경우, 송신 신호(108_A)의 멀티 패스의 영향과 송신 신호(108_B)의 멀티 패스의 영향이 상이하고, 공간 다이버시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공간 다이버시티의 효과는, λ(i)-λ(i-1)이 0에 가까워짐에 따라, 작아진다.
따라서, "λ(i)-λ(i-1)이 π에 가까운 값을 취하는" 것이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기 위한 적합한 조건이 된다.
또, 실시의 형태 9의 보충 설명을 실시의 형태 10에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0)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을 실현하기 위한, 송신 장치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행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이다. 또, 도 1의 동작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도 설명을 행하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의 송신 장치는, 싱글 캐리어 방식의 변조 신호를 안테나부#A(109_A), 안테나부#B(109_B)로부터 송신한다.
도 40은 도 1의 안테나부#A(109_A)에서 송신하는 변조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또한, 도 41은 도 1의 안테나부#B(109_B)에서 송신하는 변조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0에 있어서, 도 34, 도 35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또한,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및 실시의 형태 9에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0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이다.
시각 t1로부터 시각 t2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프리앰블(3500)을 송신한다.
시각 t3으로부터 t4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가드(3401)(가드 심볼(GI의 심볼))를 송신한다.
시각 t5로부터 시각 t6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데이터 블록(3402)(데이터 심볼)을 송신한다.
시각 t7로부터 시각 t8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가드(3401)(가드 심볼(GI의 심볼))를 송신한다.
시각 t9로부터 시각 t10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데이터 블록(3402)(데이터 심볼)을 송신한다.
시각 t11로부터 시각 t12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가드(3401)(가드 심볼(GI의 심볼))를 송신한다.
시각 t13으로부터 시각 t14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데이터 블록(3402)(데이터 심볼)을 송신한다.
도 41에 있어서, 도 34, 도 35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또한,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및 실시의 형태 9에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1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이다.
시각 t1로부터 시각 t2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프리앰블(3500)을 송신한다.
시각 t3으로부터 시각 t4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가드(3401)(가드 심볼(GI의 심볼))를 송신한다.
시각 t5로부터 시각 t6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데이터 블록(3402)(데이터 심볼)을 송신한다.
시각 t7로부터 시각 t8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가드(3401)(가드 심볼(GI의 심볼))를 송신한다.
시각 t9로부터 시각 t10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데이터 블록(3402)(데이터 심볼)을 송신한다.
시각 t11로부터 시각 t12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가드(3401)(가드 심볼(GI의 심볼))를 송신한다.
시각 t13으로부터 시각 t14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데이터 블록(3402)(데이터 심볼)을 송신한다.
또, 도 40과 도 41의 동일 시간 구간에 있는 심볼은,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여,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도 42는 도 1의 안테나부#A(109_A)에서 송신하는 변조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의 제 2 예를 나타내고 있고, 또한, 도 43은 도 1의 안테나부#B(109_B)에서 송신하는 변조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의 제 2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2에 있어서, 도 34, 도 35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또한,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및 실시의 형태 9에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2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이다.
시각 t1로부터 시각 t2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프리앰블(3500)을 송신한다.
시각 t3으로부터 시각 t4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데이터 블록(3402)(데이터 심볼)을 송신한다.
시각 t5로부터 시각 t6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가드(3401)(가드 심볼(GI의 심볼))를 송신한다.
시각 t7로부터 시각 t8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데이터 블록(3402)(데이터 심볼)을 송신한다.
시각 t9로부터 시각 t10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가드(3401)(가드 심볼(GI의 심볼))를 송신한다.
시각 t11로부터 시각 t12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데이터 블록(3402)(데이터 심볼)을 송신한다.
도 43에 있어서, 도 34, 도 35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또한,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및 실시의 형태 9에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3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이다.
시각 t1로부터 시각 t2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프리앰블(3500)을 송신한다.
시각 t3으로부터 시각 t4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데이터 블록(3402)(데이터 심볼)을 송신한다.
시각 t5로부터 시각 t6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가드(3401)(가드 심볼(GI의 심볼))를 송신한다.
시각 t7로부터 시각 t8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데이터 블록(3402)(데이터 심볼)을 송신한다.
시각 t9로부터 시각 t10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가드(3401)(가드 심볼(GI의 심볼))를 송신한다.
시각 t11로부터 시각 t12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데이터 블록(3402)(데이터 심볼)을 송신한다.
또, 도 42와 도 43의 동일 시간 구간에 있는 심볼은, 동일 주파수를 이용하여,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단, 상술에서는, 도 40, 도 41, 도 42, 도 43을 예로 설명했지만, 프레임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 40, 도 41, 도 42, 도 43에 나타내고 있는 이외의 심볼이 존재하고 있더라도 좋다.
도 44는 도 1의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을 행하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40, 도 41의 프레임 구성을 이용했을 때를 예로서 설명을 행한다. 이때, 도 40은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도 1의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의 프레임 구성이고, 도 41은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도 1의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의 프레임 구성이다. 또, 프레임 구성은, 도 40, 도 41이 아니라, 도 42, 도 43이더라도 좋다.
도 44에 있어서의 매핑 후의 신호(201A)(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1)에 상당한다)는, 도 40의 데이터 블록(3402)에 상당하는 신호이고, 또한, 매핑 후의 신호(201B)(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2)에 상당한다)는,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의 신호에 상당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위상 변경부(205B)는, 데이터 블록(34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부분이 된다.
심볼 번호를 i로 했을 때, 위상 변경부(205B)의 입력 신호(204B)를 I(i)로 하면, 위상 변경부(205B)의 출력 신호(206B) O(i)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43]
Figure pct00150
또, I(i) 및 O(i)는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실수이더라도 좋다), λD2(i)는 위상 변경치라고 정의하고, 실수인 것으로 한다. j는 허수 단위이다. 또, λD2(i)는 0라디안 이상 2π라디안 미만이라고 정의하더라도 좋다.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1A)는, 도 40에 있어서의 가드(3401)에 상당하는 신호이다.
또한,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1B)는, 도 41에 있어서의 가드(3401)에 상당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위상 변경부(4403B)는, 도 41의 가드(3401)(가드 심볼(GI의 심볼))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부분이다.
위상 변경부(4403B)는,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1B)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신호에 근거하여,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1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B)를 출력한다.
심볼 번호를 i로 했을 때, 위상 변경부(4403B)의 입력 신호(4401B)를 I(i)로 하면, 위상 변경부(4403B)의 출력 신호(4404B) O(i)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44]
Figure pct00151
또, I(i) 및 O(i)는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실수이더라도 좋다), λG2(i)는 위상 변경치라고 정의하고, 실수인 것으로 한다. j는 허수 단위이다. 또, λG2(i)는 0라디안 이상 2π라디안 미만이라고 정의하더라도 좋다.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의 설명으로부터, 다음 식이 성립하는 것이 하나의 중요한 것이 된다.
[수학식 145]
Figure pct00152
단, K는 0(제로)이 아니다.
이것에 의해,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1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는 동일해진다. 이 점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1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관계에 대해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하고 있는 바와 같은 요건이더라도 좋다.
4402A는 프리앰블의 신호이고, 도 40의 프리앰블(3500)에 상당하는 신호이다. 그리고, 4402B는 프리앰블의 신호이고, 도 41의 프리앰블(3500)에 상당하는 신호이다.
삽입부(207A)는, 프리코딩 후의 신호(204A),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1A), 프리앰블의 신호(4402A),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 신호에 근거한, 다시 말해, 도 40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한다.
그리고,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 위상 변경 후의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B), 프리앰블의 신호(4402B),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다시 말해, 도 41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한다.
도 45는 도 1의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의, 도 44와는 상이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44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도,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의 설명으로부터, 식 (145)가 성립하는 것이 중요해진다(단, K는 0(제로)이 아니다). 이것에 의해,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1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는 동일해진다. 이 점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1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관계에 대해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하고 있는 바와 같은 요건이더라도 좋다.
또한, 도 45에서는, 위상 변경부(4405B)가 존재하고 있다. 위상 변경부(4405B)는, 도 41에 있어서의 프리앰블(3500)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부분이다.
위상 변경부(4405B)는, 프리앰블의 신호(4402B),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신호에 근거하여, 프리앰블(4402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프리앰블 신호(4406B)를 출력한다. 또, 프리앰블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주기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한 바와 같다.
삽입부(207A)는, 프리코딩 후의 신호(204A),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1A), 프리앰블의 신호(4402A),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 신호에 근거한, 다시 말해, 도 40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한다.
그리고,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 위상 변경 후의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B), 위상 변경 후의 프리앰블의 신호(4406B),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다시 말해, 도 41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한다.
도 46은 도 1의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의, 도 44, 도 45와는 상이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44, 도 45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도,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의 설명으로부터, 식 (145)가 성립하는 것이 중요해진다(단, K는 0(제로)이 아니다). 이것에 의해,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1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는 동일해진다. 이 점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1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관계에 대해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하고 있는 바와 같은 요건이더라도 좋다.
또한, 도 46에서는, 위상 변경부(4405A)가 존재하고 있다. 위상 변경부(4405A)는, 도 40에 있어서의 프리앰블(3500)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부분이다.
위상 변경부(4405A)는, 프리앰블의 신호(4402A),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신호에 근거하여, 프리앰블(4402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프리앰블 신호(4406A)를 출력한다. 또, 프리앰블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주기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한 바와 같다.
삽입부(207A)는, 프리코딩 후의 신호(204A),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1A), 위상 변경 후의 프리앰블의 신호(4406A),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 신호에 근거한, 다시 말해, 도 40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한다.
그리고,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 위상 변경 후의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B), 프리앰블의 신호(4402B),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다시 말해, 도 41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한다.
도 47은 도 1의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의, 도 44, 도 45, 도 46과는 상이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44, 도 45, 도 46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도,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의 설명으로부터, 식 (145)가 성립하는 것이 중요해진다(단, K는 0(제로)이 아니다). 이것에 의해,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1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는 동일해진다. 이 점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1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관계에 대해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하고 있는 바와 같은 요건이더라도 좋다.
또한, 도 47에서는, 위상 변경부(4405A)가 존재하고 있다. 위상 변경부(4405A)는, 도 40에 있어서의 프리앰블(3500)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부분이다.
위상 변경부(4405A)는, 프리앰블의 신호(4402A),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신호에 근거하여, 프리앰블(4402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프리앰블 신호(4406A)를 출력한다. 또, 프리앰블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주기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한 바와 같다.
그리고, 도 47에서는, 위상 변경부(4405B)가 존재하고 있다. 위상 변경부(4405B)는, 도 41에 있어서의 프리앰블(3500)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부분이다.
위상 변경부(4405B)는, 프리앰블의 신호(4402B),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신호에 근거하여, 프리앰블(4402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프리앰블 신호(4406B)를 출력한다. 또, 프리앰블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주기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한 바와 같다.
삽입부(207A)는, 프리코딩 후의 신호(204A),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1A), 위상 변경 후의 프리앰블의 신호(4406A),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 신호에 근거한, 다시 말해, 도 40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한다.
그리고,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 위상 변경 후의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B), 위상 변경 후의 프리앰블의 신호(4406B),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다시 말해, 도 41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한다.
도 48은 도 1의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44, 도 45, 도 46, 도 47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이미 설명을 행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40, 도 41의 프레임 구성을 이용했을 때의 예의 설명을 행한다. 프레임 구성은, 도 40, 도 41이 아니라, 도 42, 도 43이더라도 좋다. 이때, 도 40은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도 1의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A))의 프레임 구성이고, 도 41은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도 1의 신호 처리 후의 신호(106_B))의 프레임 구성이다.
도 48에 있어서의 매핑 후의 신호(201A)(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1)에 상당한다)는, 도 40의 데이터 블록(3402)에 상당하는 신호이고, 또한, 매핑 후의 신호(201B)(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2)에 상당한다)는,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의 신호에 상당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위상 변경부(205A)는, 도 40의 데이터 블록(34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부분이고, 또한, 위상 변경부(205B)는,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부분이다.
심볼 번호를 i로 했을 때, 위상 변경부(205A)의 입력 신호(204A)를 I(i)로 하면, 위상 변경부(205A)의 출력 신호(206A) O(i)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46]
Figure pct00153
또, I(i) 및 O(i)는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실수이더라도 좋다), λD1(i)는 위상 변경치라고 정의하고, 실수인 것으로 한다. j는 허수 단위이다. 또, λD1(i)는 0라디안 이상 2π라디안 미만이라고 정의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5B)의 입력 신호(204B)를 I(i)로 하면, 위상 변경부(205B)의 출력 신호(206B) O(i)는, 식 (143)으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1A)는, 도 40에 있어서의 가드(3401)에 상당하는 신호이다.
그리고,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1B)는, 도 41에 있어서의 가드(3401)에 상당하는 신호이다.
위상 변경부(4403A)는,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1A)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신호에 근거하여,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1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A)를 출력한다.
심볼 번호를 i로 했을 때, 위상 변경부(4403A)의 입력 신호(4401A)를 I(i)로 하면, 위상 변경부(4403A)의 출력 신호(4404A)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47]
Figure pct00154
또, I(i) 및 O(i)는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실수이더라도 좋다), λG1(i)는 위상 변경치라고 정의하고, 실수인 것으로 한다. j는 허수 단위이다. 또, λG1(i)는 0라디안 이상 2π라디안 미만이라고 정의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4403B)의 입력 신호(4401B)를 I(i)로 하면, 위상 변경부(4403B)의 출력 신호(4404B) O(i)는, 식 (144)로 나타내어진다.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의 설명의 예로서, 다음 식이 성립하는 것이 하나의 중요한 것이 된다.
[수학식 148]
Figure pct00155
단, K는 0(제로)이 아니고, 또한, 다음 식이 성립한다.
[수학식 149]
Figure pct00156
[수학식 150]
Figure pct00157
[수학식 151]
Figure pct00158
[수학식 152]
Figure pct00159
이것에 의해, 도 40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0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는 동일해진다. 또한,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1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는 동일해진다. 이 점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도 40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0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관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하고 있는 바와 같은 요건이더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1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관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하고 있는 바와 같은 요건이더라도 좋다.
4402A는 프리앰블의 신호이고, 도 40의 프리앰블(3500)에 상당하는 신호이다. 그리고, 4402B는 프리앰블의 신호이고, 도 41의 프리앰블(3500)에 상당하는 신호이다.
삽입부(207A)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A), 위상 변경 후의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A), 프리앰블의 신호(4402A),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다시 말해, 도 40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한다.
그리고,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 위상 변경 후의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B), 프리앰블의 신호(4402B),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다시 말해, 도 41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한다.
도 49는 도 1의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의,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도 48과는 상이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도 48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이미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도,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의 설명으로부터, 식 (148)로부터 식 (152)가 성립하는 것이 중요해진다(단, K는 0(제로)이 아니다). 이것에 의해,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1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는 동일해진다. 이 점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도 40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0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관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하고 있는 바와 같은 요건이더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1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관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하고 있는 바와 같은 요건이더라도 좋다.
또한, 도 49에서는, 위상 변경부(4405B)가 존재하고 있다. 위상 변경부(4405B)는, 도 41에 있어서의 프리앰블(3500)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부분이다.
위상 변경부(4405B)는, 프리앰블의 신호(4402B),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신호에 근거하여, 프리앰블(4402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프리앰블 신호(4406B)를 출력한다. 또, 프리앰블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주기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한 바와 같다.
삽입부(207A)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A), 위상 변경 후의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A), 프리앰블의 신호(4402A),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다시 말해, 도 40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한다.
그리고,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 위상 변경 후의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B), 위상 변경 후의 프리앰블의 신호(4406B),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다시 말해, 도 41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한다.
도 50은 도 1의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의,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도 48, 도 49와는 상이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도 48, 도 49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이미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도,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의 설명으로부터, 식 (148)로부터 식 (152)가 성립하는 것이 중요해진다(단, K는 0(제로)이 아니다). 이것에 의해,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1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는 동일해진다. 이 점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도 40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0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관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하고 있는 바와 같은 요건이더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1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관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하고 있는 바와 같은 요건이더라도 좋다.
또한, 도 50에서는, 위상 변경부(4405A)가 존재하고 있다. 위상 변경부(4405A)는, 도 40에 있어서의 프리앰블(3500)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부분이다.
위상 변경부(4405A)는, 프리앰블의 신호(4402A),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신호에 근거하여, 프리앰블(4402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프리앰블 신호(4406A)를 출력한다. 또, 프리앰블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주기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한 바와 같다.
삽입부(207A)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A), 위상 변경 후의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A), 위상 변경 후의 프리앰블의 신호(4406A),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다시 말해, 도 40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한다.
그리고,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 위상 변경 후의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B), 프리앰블의 신호(4402B),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다시 말해, 도 41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한다.
도 51은 도 1의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의,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도 48, 도 49, 도 50과는 상이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도 48, 도 49, 도 50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이미 설명을 행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도,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의 설명으로부터, 식 (148)로부터 식 (152)가 성립하는 것이 중요해진다(단, K는 0(제로)이 아니다). 이것에 의해,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1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는 동일해진다. 이 점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도 40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0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관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하고 있는 바와 같은 요건이더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도 41의 데이터 블록(3402)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도 41의 가드(3401)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관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하고 있는 바와 같은 요건이더라도 좋다.
또한, 도 51에서는, 위상 변경부(4405A)가 존재하고 있다. 위상 변경부(4405A)는, 도 40에 있어서의 프리앰블(3500)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부분이다.
위상 변경부(4405A)는, 프리앰블의 신호(4402A),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신호에 근거하여, 프리앰블(4402A)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프리앰블 신호(4406A)를 출력한다. 또, 프리앰블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주기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한 바와 같다.
그리고, 도 51에서는, 위상 변경부(4405B)가 존재하고 있다. 위상 변경부(4405B)는, 도 41에 있어서의 프리앰블(3500)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는 부분이다.
위상 변경부(4405B)는, 프리앰블의 신호(4402B),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신호에 근거하여, 프리앰블(4402B)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 후의 프리앰블 신호(4406B)를 출력한다. 또, 프리앰블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의 주기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말한 바와 같다.
삽입부(207A)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A), 위상 변경 후의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A), 위상 변경 후의 프리앰블의 신호(4406A),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다시 말해, 도 40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한다.
그리고,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 후의 신호(206B), 위상 변경 후의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B), 위상 변경 후의 프리앰블의 신호(4406B),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신호(200)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다시 말해, 도 41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한다.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 있어서, 위상 변경의 주기를 2로 설정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때의 이점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1의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의 구성이, 도 44 또는 도 45 또는 도 46 또는 도 47일 때, 식 (145)에 있어서의 K가, K=π라디안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한다.
도 38에,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도 38의 실선(3801)으로 나타낸다. 또, 도 38에 있어서, 가로축은 주파수이고, 세로축은 진폭이다.
그리고, K=π라디안이라고 설정했을 때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의 스펙트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8에 있어서, 스펙트럼(3801)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시프트한 스펙트럼이, 3802_A와 3802_B로 형성된 스펙트럼이다. 그리고, 사선으로 형성된 3802_B의 스펙트럼을 왼쪽으로 이동시키고, 도 39와 같이, 스펙트럼 3802_B와 3802_A로 형성한 스펙트럼을 생각한다. 이 스펙트럼이, K=π라디안이라고 설정했을 때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의 스펙트럼이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이 되도록 송신한 경우, 기지국과 통신 상대인 단말의 전반 환경이 멀티 패스 환경인 경우, 송신 신호(108A)의 멀티 패스의 영향과 송신 신호(108B)의 멀티 패스의 영향이 상이하고, 공간 다이버시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공간 다이버시티의 효과는, K가 0에 가까워짐에 따라, 작아진다. 따라서, "K가 π에 가까운 값을 취하는" 것이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기 위한 적합한 조건이 된다.
도 1의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의 구성이, 도 48 또는 도 49 또는 도 50 또는 도 51일 때, 식 (148)에 있어서의 K가, K=π라디안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한다. 단, 식 (149)로부터 식 (152)를 만족시키는 것으로 한다.
도 38에,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도 38의 실선(3801)으로 나타낸다. 또, 도 38에 있어서, 가로축은 주파수이고, 세로축은 진폭이다.
그리고, K=π라디안이라고 설정했을 때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의 스펙트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8에 있어서, 스펙트럼(3801)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시프트한 스펙트럼이, 3802_A와 3802_B로 형성된 스펙트럼이다. 그리고, 사선으로 형성된 3802_B의 스펙트럼을 왼쪽으로 이동시키고, 도 39와 같이, 스펙트럼 3802_B와 3802_A로 형성한 스펙트럼을 생각한다. 이 스펙트럼이, K=π라디안이라고 설정했을 때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베이스밴드 신호(208B)의 스펙트럼이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이 되도록 송신한 경우, 기지국과 통신 상대인 단말의 전반 환경이 멀티 패스 환경인 경우, 송신 신호(108A)의 멀티 패스의 영향과 송신 신호(108B)의 멀티 패스의 영향이 상이하고, 공간 다이버시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공간 다이버시티의 효과는, K가 0에 가까워짐에 따라, 작아진다. 따라서, "K가 π에 가까운 값을 취하는" 것이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기 위한 적합한 조건이 된다.
도 52는 도 1의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의, 도 44와는 상이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44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2의 구성은, 전환부(220B)가 마련되어 있는 점이, 도 44의 구성과 상이하다. 전환부(220B)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매핑 후의 신호(201B)(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2)에 상당한다)를, 가중 합성부(203)에 입력시키는지 여부(예컨대 신호의 통과의 온/오프의 설정)를 전환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오프인 경우는, 매핑 후의 신호(201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바꿔 읽더라도 좋다. 또, 도 5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환부(220B)에는, 제어 신호(200)가 입력되더라도 좋다. 제어 신호(200)가 입력되는 경우, 전환부(220B)는, 제어 신호(200)를 이용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신호(201B)의 통과의 온/오프를 제어하더라도 좋다.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가중 합성부(203)에는, 매핑 후의 신호(201B)가 입력된다. 이 경우는 도 44와 마찬가지가 된다.
한편,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오프인 경우, 가중 합성부(203)에는, 매핑 후의 신호(201B)가 입력되지 않는다. 이 경우, 가중 합성부(203)는, 매핑 후의 신호(201B) 대신에, 매핑 후의 신호(201A)(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1)에 상당한다)가 입력된 것으로서 취급한다. 또, 이 경우, 가중 합성부(203)는, 식 (33) 또는 (34)의 행렬 F를 이용한다고 한다. 또, 가중 합성부(203)가, 식 (33) 또는 식 (34)를 이용한 연산을 행하는 경우, 가중 합성부(203)는 가중 합성을 행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프리코딩의 연산을 행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가중 합성부(20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204A, 204B)는, 동일한 신호가 된다. 예컨대, 신호(204A)는, 매핑 후의 신호(201A)에 상당하는 신호이고, 또한, 신호(204B)는, 매핑 후의 신호(201A)에 상당하는 신호이다. 또, 도 52에 있어서,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오프인 경우, 가중 합성부(203)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위상 변경부(205B)는,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와 오프인 경우에,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바꾸더라도 좋다. 예컨대, 위상 변경부(205B)는,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실시의 형태 8, 9에서 설명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어느 하나의 주기로 변경하고,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오프인 경우,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2"로 변경한다. 단,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와 오프인 경우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 변경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온인 경우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과, 오프인 경우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은, 상기와는 상이한 다른 값이더라도 좋다. 또한,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B)에서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경우, 입력 신호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오프인 경우에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2"로 하는 것에 의해, 프리코딩 후의 신호(204A)와, 프리코딩 후의 신호(204B)에 위상 변경이 실시된 후의 신호(206B)는, 위상이 반전된 동일한 신호가 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은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위상 변경부(4403B)도, 위상 변경부(205B)와 동일하도록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바꾸더라도 좋고, 위상 변경부(4403B)도, 상술한 설명과 같이, 위상 변경부(205B)와 동일하도록,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을 때가 있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부(205B)와 동일한 주기로 위상 변경된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B)를 삽입하여, 도 41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하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할 수 있다.
또, 전환부(220B)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위상 변경부(205B) 및 위상 변경부(4403B)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바꾸더라도 좋다. 예컨대, 위상 변경부(205B) 및 위상 변경부(4403B)는, 소정의 타이밍에,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실시의 형태 8, 9에서 설명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어느 하나의 주기로 바꾸더라도 좋다. 단, 위상 변경부(4403B)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 변경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과,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은, 상기와는 상이한 다른 값이더라도 좋다.
도 53은 도 1의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의, 도 45, 도 52와는 상이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45, 도 52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53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환부(220B)에는, 제어 신호(200)가 입력되더라도 좋다. 제어 신호(200)가 입력되는 경우, 전환부(220B)는, 제어 신호(200)를 이용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신호(201B)의 통과의 온/오프를 제어하더라도 좋다.
도 53은 도 45의 구성에, 도 52와 마찬가지의 전환부(220B)를 마련한 구성에 상당한다. 도 53의 구성에서는, 도 52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부(205B, 4403B)에 더하여, 위상 변경부(4405B)도, 전환부(220B)의 설정 온/오프에 따라, 위상 변경부(205B)와 동일하도록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바꾼다.
이것에 의해,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부(205B)와 동일한 주기로 위상 변경된, 프리앰블 신호(4406B) 및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B)를 삽입하여, 도 41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하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4는 도 1의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의, 도 46, 도 52와는 상이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46, 도 52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54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환부(220B)에는, 제어 신호(200)가 입력되더라도 좋다. 제어 신호(200)가 입력되는 경우, 전환부(220B)는, 제어 신호(200)를 이용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신호(201B)의 통과의 온/오프를 제어하더라도 좋다.
도 54는 도 46의 구성에, 도 52와 마찬가지의 전환부(220B)를 마련한 구성에 상당한다. 도 54의 구성에서는, 도 52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부(205B, 4403B)에 더하여, 위상 변경부(4405A)도, 전환부(220B)의 설정의 온/오프에 따라, 위상 변경부(205B)와 동일하도록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바꾼다.
이것에 의해, 삽입부(207A)는, 위상 변경부(205B)와 동일한 주기로 위상 변경된 프리앰블 신호(4406A)를 삽입하여, 도 40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하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5는 도 1의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의, 도 47, 도 52, 도 53, 도 54와는 상이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47, 도 52, 도 53, 도 54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55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환부(220B)에는, 제어 신호(200)가 입력되더라도 좋다. 제어 신호(200)가 입력되는 경우, 전환부(220B)는, 제어 신호(200)를 이용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신호(201B)의 통과의 온/오프를 제어하더라도 좋다.
도 55는 도 47의 구성에, 도 52와 마찬가지의 전환부(220B)를 마련한 구성에 상당한다. 도 55의 구성에서는, 도 52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부(205B, 4403B)에 더하여, 도 53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부(4405B) 및 도 54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부(4405A)도, 전환부(220B)의 설정의 온/오프에 따라, 위상 변경부(205B)와 동일하도록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바꾼다.
이것에 의해, 삽입부(207A)는, 위상 변경부(205B)와 동일한 주기로 위상 변경된 프리앰블 신호(4406A)를 삽입하여, 도 40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하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부(205B)와 동일한 주기로 위상 변경된, 프리앰블 신호(4406B) 및 가드 심볼(GI의 심볼) 신호(4404B)를 삽입하여, 도 41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하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6은 도 1의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의, 도 48과는 상이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48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6의 구성은, 전환부(220B)가 마련되어 있는 점이, 도 48의 구성과 상이하다. 전환부(220B)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매핑 후의 신호(201B)(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2)에 상당한다)를, 가중 합성부(203)에 입력시키는지 여부(예컨대 신호의 온/오프)를 전환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오프인 경우는, 매핑 후의 신호(201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바꿔 읽더라도 좋다. 또, 도 56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환부(220B)에는, 제어 신호(200)가 입력되더라도 좋다. 제어 신호(200)가 입력되는 경우, 전환부(220B)는, 제어 신호(200)를 이용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신호(201B)의 통과의 온/오프를 제어하더라도 좋다.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가중 합성부(203)에는, 매핑 후의 신호(201B)가 입력된다. 이 경우는 도 48과 마찬가지가 된다.
한편,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오프인 경우, 가중 합성부(203)에는, 매핑 후의 신호(201B)가 입력되지 않는다. 이 경우, 가중 합성부(203)는, 매핑 후의 신호(201B) 대신에, 매핑 후의 신호(201A)(도 1의 매핑 후의 신호(105_1)에 상당한다)가 입력된 것으로서 취급한다. 또, 이 경우, 가중 합성부(203)는, 식 (33) 또는 (34)의 행렬 F를 이용한다고 한다. 또, 가중 합성부(203)가, 식 (33) 또는 식 (34)를 이용한 연산을 행하는 경우, 가중 합성부(203)는 가중 합성을 행하지 않는다고, 다시 말해, 프리코딩의 연산을 행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가중 합성부(20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204A, 204B)는, 동일한 신호가 된다. 예컨대, 신호(204A)는, 매핑 후의 신호(201A)에 상당하는 신호이고, 또한, 신호(204B)는, 매핑 후의 신호(201A)에 상당하는 신호이다. 또, 도 56에 있어서,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오프인 경우, 가중 합성부(203)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와 오프인 경우에,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바꾸더라도 좋다. 예컨대, 위상 변경부(205A, 205B)는,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실시의 형태 8, 9에서 설명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어느 하나의 주기로 변경하고,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오프인 경우,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2"로 변경한다. 단,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 변경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과,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은, 상기와는 상이한 다른 값이더라도 좋다. 또, 상기에서는,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도, 오프인 경우도, 위상 변경부(205A)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 및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으로, 동일한 값이 설정된다고 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와 오프인 경우의 양쪽 또는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A)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 및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으로, 서로 상이한 값이 설정되더라도 좋다. 또한,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A) 및 위상 변경부(205B)의 어느 한쪽에서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좋다. 혹은,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A) 및 위상 변경부(205B)의 양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경우, 입력 신호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오프인 경우에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2"로 하는 것에 의해, 위상 변경부(205A)에 의해 위상 변경이 실시된 후의 신호(206A)와, 위상 변경부(205B)에 의해 위상 변경이 실시된 후의 신호(206B)는, 위상이 반전된 동일한 신호가 된다. 이것에 의해, 높은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위상 변경부(4403A, 4403B)도, 위상 변경부(205A, 205B)와 동일하도록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바꾸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삽입부(207A)는, 위상 변경부(205A)와 동일한 주기로 위상 변경된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A)를 삽입하여, 도 40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하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부(205B)와 동일한 주기로 위상 변경된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B)를 삽입하여, 도 41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하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할 수 있다.
또, 전환부(220B)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위상 변경부(205A, 205B) 및 위상 변경부(4403A, 4403B)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바꾸더라도 좋다. 예컨대, 위상 변경부(205A, 205B) 및 위상 변경부(4403A, 4403B)는, 소정의 타이밍에,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실시의 형태 8, 9에서 설명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어느 하나의 주기로 바꾸더라도 좋다. 단, 위상 변경부(4403A, 4403B)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 변경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과,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은, 상기와는 상이한 다른 값이더라도 좋다. 또한,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4403A) 및 위상 변경부(4403B)의 어느 한쪽에서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좋다. 혹은,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4403A) 및 위상 변경부(4403B)의 양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경우, 입력 신호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도 57은 도 1의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의, 도 49, 도 56과는 상이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49, 도 56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57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환부(220B)에는, 제어 신호(200)가 입력되더라도 좋다. 제어 신호(200)가 입력되는 경우, 전환부(220B)는, 제어 신호(200)를 이용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신호(201B)의 통과의 온/오프를 제어하더라도 좋다.
도 57은 도 49의 구성에, 도 56과 마찬가지의 전환부(220B)를 마련한 구성에 상당한다. 도 57의 구성에서는, 도 56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부(205A, 205B, 4403A, 4403B)에 더하여, 위상 변경부(4405B)도, 전환부(220B)의 설정의 온/오프에 따라, 위상 변경부(205B)와 동일하도록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바꾼다. 또, 도 56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7에 있어서도,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도, 오프인 경우도,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으로, 동일한 값이 설정된다. 그러나,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와 오프인 경우의 양쪽 또는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A)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 및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으로, 서로 상이한 값이 설정되더라도 좋다. 또한, 위상 변경부(4403A, 4403B)에 대해서도,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도, 오프인 경우도,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으로서, 동일한 값이 설정된다. 그러나,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와 오프인 경우의 양쪽 또는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4403A)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 및 위상 변경부(4403B)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으로, 서로 상이한 값이 설정되더라도 좋다. 또한,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A) 또는 위상 변경부(205B)의 어느 한쪽에서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좋다. 혹은,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A) 및 위상 변경부(205B)의 양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4403A) 또는 위상 변경부(4403B)의 어느 한쪽에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좋다. 혹은,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4403A) 및 위상 변경부(4403B)의 양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경우, 입력 신호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부(205A, 205B)와 동일한 주기로 위상 변경된, 프리앰블 신호(4406B) 및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B)를 삽입하여, 도 41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하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8은 도 1의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의, 도 50, 도 56과는 상이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50, 도 56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58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환부(220B)에는, 제어 신호(200)가 입력되더라도 좋다. 제어 신호(200)가 입력되는 경우, 전환부(220B)는, 제어 신호(200)를 이용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신호(201B)의 통과의 온/오프를 제어하더라도 좋다.
도 58은 도 50의 구성에, 도 56과 마찬가지의 전환부(220B)를 마련한 구성에 상당한다. 도 58의 구성에서는, 도 56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부(205A, 205B, 4403A, 4403B)에 더하여, 위상 변경부(4405A)도, 전환부(220B)의 설정의 온/오프에 따라, 위상 변경부(205A)와 동일하도록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바꾼다. 또, 도 56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8에 있어서도,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도, 오프인 경우도,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으로, 동일한 값이 설정된다. 그러나,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와 오프인 경우의 양쪽 또는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A)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 및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으로, 서로 상이한 값이 설정되더라도 좋다. 또한, 위상 변경부(4403A, 4403B)에 대해서도,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도, 오프인 경우도,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으로서, 동일한 값이 설정된다. 그러나,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와 오프인 경우의 양쪽 또는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4403A)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 및 위상 변경부(4403B)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으로, 서로 상이한 값이 설정되더라도 좋다. 또한,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A) 또는 위상 변경부(205B)의 어느 한쪽에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좋다. 혹은,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A) 및 위상 변경부(205B)의 양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4403A) 또는 위상 변경부(4403B)의 어느 한쪽에서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좋다. 혹은,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4403A) 및 위상 변경부(4403B)의 양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경우, 입력 신호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삽입부(207A)는, 위상 변경부(205A, 205B)와 동일한 주기로 위상 변경된, 프리앰블 신호(4406A) 및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A)를 삽입하여, 도 40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하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9는 도 1의 송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06)의, 도 51, 도 56, 도 57, 도 58과는 상이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51, 도 56, 도 57, 도 58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59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환부(220B)에는, 제어 신호(200)가 입력되더라도 좋다. 제어 신호(200)가 입력되는 경우, 전환부(220B)는, 제어 신호(200)를 이용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신호(201B)의 통과의 온/오프를 제어하더라도 좋다.
도 59는 도 51의 구성에, 도 56과 마찬가지의 전환부(220B)를 마련한 구성에 상당한다. 도 59의 구성에서는, 도 56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부(205A, 205B, 4403A, 4403B)에 더하여, 도 57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부(4405B) 및 도 58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부(4405A)도, 전환부(220B)의 설정의 온/오프에 따라, 위상 변경부(205A, 205B)와 동일하도록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바꾼다. 또, 도 56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9에 있어서도,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도, 오프인 경우도, 위상 변경부(205A, 205B)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으로, 동일한 값이 설정된다. 그러나,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와 오프인 경우의 양쪽 또는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A)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 및 위상 변경부(205B)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으로, 서로 상이한 값이 설정되더라도 좋다. 또한, 위상 변경부(4403A, 4403B)에 대해서도,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도, 오프인 경우도,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으로서, 동일한 값이 설정된다. 그러나,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와 오프인 경우의 양쪽 또는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4403A)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 및 위상 변경부(4403B)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으로, 서로 상이한 값이 설정되더라도 좋다. 또한, 위상 변경부(4405A, 4405B)에 대해서도,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도, 오프인 경우도,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으로서, 동일한 값이 설정된다. 그러나,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와 오프인 경우의 양쪽 또는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4405A)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 및 위상 변경부(4405B)의 위상 변경의 주기의 값으로, 서로 상이한 값이 설정되더라도 좋다. 또한,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A) 및 위상 변경부(205B)의 어느 한쪽에서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좋다. 혹은,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205A) 및 위상 변경부(205B)의 양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4403A) 및 위상 변경부(4403B)의 어느 한쪽에서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좋다. 혹은,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4403A) 및 위상 변경부(4403B)의 양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그리고,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4405A) 또는 위상 변경부(4405B)의 어느 한쪽에서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좋다. 혹은, 전환부(220B)의 설정이 온인 경우 및 설정이 오프인 경우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부(4405A) 및 위상 변경부(4405B)의 양쪽에 있어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경우, 입력 신호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삽입부(207A)는, 위상 변경부(205A, 205B)와 동일한 주기로 위상 변경된, 프리앰블 신호(4406A) 및 가드 심볼(GI의 심볼)의 신호(4404A)를 삽입하여, 도 40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하는 베이스밴드 신호(208A)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207B)는, 위상 변경부(205B)와 동일한 주기로 위상 변경된, 프리앰블 신호(4406B) 및 가드 심볼(GI의 심볼) 신호(4404B)를 삽입하여, 도 41의 프레임 구성에 근거하는 베이스밴드 신호(208B)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를 실시함으로써, 실시의 형태 8, 실시의 형태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1)
실시의 형태 1 등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예컨대, 도 2,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도 48, 도 49, 도 50, 도 51, 도 52, 도 53, 도 54, 도 55, 도 56, 도 57, 도 58, 도 59에 있어서, 가중 합성부(203), 위상 변경부(205A) 및/또는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행했다. 이후에서는,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멀티 패스 등이 존재하는 환경에 있어서, 양호한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구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우선, 도 2, 도 18, 도 19,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도 52, 도 53, 도 54, 도 55 등과 같이, 가중 합성부(203)와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할 때의 위상 변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를 y(i)로 준다고 한다.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 i는 심볼 번호이고, 예컨대,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예컨대,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치 y(i)는, N의 주기라고 가정하고, 위상 변경치로서, N개의 값을 준비한다. 또, N은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예컨대, 이 N개의 값으로서, Phase[0], Phase[1], Phase[2], Phase[3], …, Phase[N-2], Phase[N-1]을 준비한다. 다시 말해, Phase[k]가 되고, k는, 0 이상 N-1 이하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Phase[k]는, 0라디안 이상 2π라디안 이하의 실수로 한다. 또한, x는, 0 이상 N-1 이하의 정수로 하고, y는, 0 이상 N-1 이하의 정수로 하고, x≠y로 한다. 그리고, 이들을 만족시키는 모든 x, y에 있어서, Phase[x]≠Phase[y]가 성립하는 것으로 한다. 또, 주기 N으로 가정했을 때의 위상 변경치 y(i)의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Phase[0], Phase[1], Phase[2], Phase[3], …, Phase[N-2], Phase[N-1]로부터, M개의 값을 추출하고, 이들 M개를, Phase_1[0], Phase_1[1], Phase_1[2], …, Phase_1[M-2], Phase_1[M-1]로 나타낸다. 다시 말해, Phase_1[k]가 되고, k는, 0 이상 M-1 이하의 정수로 한다. 또, M은 N보다 작은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이때, 위상 변경치 y(i)는, Phase_1[0], Phase_1[1], Phase_1[2], …, Phase_1[M-2], Phase_1[M-1] 중 어느 하나의 값을 취한다고 한다. 그리고, Phase_1[0], Phase_1[1], Phase_1[2], …, Phase_1[M-2], Phase_1[M-1]은, 각각, 적어도 1회, 위상 변경치 y(i)로서 이용된다고 한다.
예컨대, 그 일례로서, 위상 변경치 y(i)의 주기가 M인 방법이 있다. 이때, 이하의 식이 성립한다.
[수학식 153]
Figure pct00160
또, x는, 0 이상 M-1 이하의 정수이다. 또한, y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한, 도 2 등과 같이, 가중 합성부(203)와 위상 변경부(205B)에서, 가중 합성 처리와 위상 변경 처리를 개별적으로 행하더라도 좋고, 가중 합성부(203)에서의 처리와 위상 변경부(205B)에서의 처리를, 도 60과 같이, 제 1 신호 처리부(6000)에서 실시하더라도 좋다. 또, 도 60에 있어서, 도 2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다.
예컨대, 식 (3)에 있어서, 가중 합성을 위한 행렬을 F, 위상 변경에 관한 행렬을 P로 했을 때, 행렬 W(=P×F)를 미리 준비하여 둔다. 그리고, 도 60의 제 1 신호 처리부(6000)는, 행렬 W와, 신호(201A)(s1(t)), 신호(201B)(s2(t))를 이용하여, 신호(204A, 206B)를 생성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도 2, 도 18, 도 19,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도 52, 도 53, 도 54, 도 55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부(209B, 209A, 4403B, 4403A, 4405B, 4405A)는, 위상 변경의 신호 처리를 행하더라도 좋고,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위상 변경치 y(i)를 설정함으로써,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에 의해,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멀티 패스 등이 존재하는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가, 양호한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치 y(i)가 취할 수 있는 값의 수를 적게 함으로써, 데이터의 수신 품질에 대한 영향을 적게 하면서, 송신 장치, 수신 장치의 회로 규모를 작게 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다음으로, 도 20, 도 21, 도 22, 도 48, 도 49, 도 50, 도 51, 도 56, 도 57, 도 58, 도 59 등과 같이, 가중 합성부(203) 및 위상 변경부(205A)와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할 때의 위상 변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를 y(i)로 주는 것으로 한다.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 i는 심볼 번호이고, 예컨대,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치 y(i)는, Nb의 주기라고 가정하고, 위상 변경치로서 Nb개의 값을 준비한다. 또, Nb는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예컨대, 이 Nb개의 값으로서, Phase_b[0], Phase_b[1], Phase_b[2], Phase_b[3], …, Phase_b[Nb-2], Phase_b[Nb-1]을 준비한다. 다시 말해, Phase_b[k]가 되고, k는, 0 이상 Nb-1 이하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Phase_b[k]는, 0라디안 이상 2π라디안 이하의 실수로 한다. 또한, x는, 0 이상 Nb-1 이하의 정수로 하고, y는, 0 이상 Nb-1 이하의 정수로 하고, x≠y로 한다. 그리고, 이들을 만족시키는 모든 x, y에 있어서, Phase_b[x]≠Phase_b[y]가 성립하는 것으로 한다. 또, 주기 Nb로 가정했을 때의 위상 변경치 y(i)의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Phase_b[0], Phase_b[1], Phase_b[2], Phase_b[3], …, Phase_b[Nb-2], Phase_b[Nb-1]로부터, Mb개의 값을 추출하고, 이들 Mb개를, Phase_1[0], Phase_1[1], Phase_1[2], …, Phase_1[Mb-2], Phase_1[Mb-1]로 나타낸다. 다시 말해, Phase_1[k]가 되고, k는, 0 이상 Mb-1 이하의 정수로 한다. 또, Mb는, Nb보다 작은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이때, 위상 변경치 y(i)는, Phase_1[0], Phase_1[1], Phase_1[2], …, Phase_1[Mb-2], Phase_1[Mb-1] 중 어느 하나의 값을 취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Phase_1[0], Phase_1[1], Phase_1[2], …, Phase_1[Mb-2], Phase_1[Mb-1]은, 각각, 적어도 1회, 위상 변경치 y(i)로서 이용된다고 한다.
예컨대, 그 일례로서, 위상 변경치 y(i)의 주기가 Mb인 방법이 있다. 이때, 이하가 성립한다.
[수학식 154]
Figure pct00161
또, x는, 0 이상 Mb-1 이하의 정수이다. 또한, y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A)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를 w(i)로 준다고 한다. 또, i는 심볼 번호이고, 예컨대,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치(i)는, Na의 주기라고 가정하고, 위상 변경치로서 Na개의 값을 준비한다. 또, Na는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예컨대, 이 Na개의 값으로서, Phase_a[0], Phase_a[1], Phase_a[2], Phase_a[3], …, Phase_a[Na-2], Phase_a[Na-1]을 준비한다. 다시 말해, Phase_a[k]가 되고, k는, 0 이상 Na-1 이하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Phase_a[k]는, 0라디안 이상 2π라디안 이하의 실수로 한다. 또한, x는, 0 이상 Na-1 이하의 정수로 하고, y는, 0 이상 Na-1 이하의 정수로 하고, x≠y로 한다. 그리고, 이들을 만족시키는 모든 x, y에 있어서, Phase_a[x]≠Phase_a[y]가 성립하는 것으로 한다. 또, 주기 Na로 가정했을 때의 위상 변경치 w(i)의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Phase_a[0], Phase_a[1], Phase_a[2], Phase_a[3], …, Phase_a[Na-2], Phase_a[Na-1]로부터, Ma개의 값을 추출하고, 이들 Ma개를, Phase_2[0], Phase_2[1], Phase_2[2], …, Phase_2[Ma-2], Phase_2[Ma-1]로 나타낸다. 다시 말해, Phase_2[k]가 되고, k는, 0 이상 Ma-1 이하의 정수로 한다. 또, Ma는, Na보다 작은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이때, 위상 변경치 w(i)는, Phase_2[0], Phase_2[1], Phase_2[2], …, Phase_2[Ma-2], Phase_2[Ma-1] 중 어느 하나의 값을 취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Phase_2[0], Phase_2[1], Phase_2[2], …, Phase_2[Ma-2], Phase_2[Ma-1]은, 각각, 적어도 1회, 위상 변경치 w(i)로서 이용된다고 한다.
예컨대, 그 일례로서, 위상 변경치 w(i)의 주기가 Ma인 방법이 있다. 이때, 이하가 성립한다.
[수학식 155]
Figure pct00162
또, x는, 0 이상 Ma-1 이하의 정수이다. 또한, y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한, 도 20 등과 같이, 가중 합성부(203)와 위상 변경부(205A, 205B)에서, 가중 합성 처리와 위상 변경 처리를 개별적으로 행하더라도 좋고, 가중 합성부(203)에서의 처리와 위상 변경부(205A, 205B)에서의 처리를, 도 61과 같이, 제 2 신호 처리부(6100)에서 실시하더라도 좋다. 또, 도 61에 있어서, 도 2, 도 20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다.
예컨대, 식 (52)에 있어서, 가중 합성을 위한 행렬을 F, 위상 변경에 관한 행렬을 P로 했을 때, 행렬 W(=P×F)를 미리 준비하여 둔다. 그리고, 도 61의 제 2 신호 처리부(6100)는, 행렬 W와 신호(201A)(s1(t)), 신호(201B)(s2(t))를 이용하여, 신호(206A, 206B)를 생성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도 20, 도 21, 도 22, 도 48, 도 49, 도 50, 도 51, 도 56, 도 57, 도 58, 도 59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부(209B, 209A, 4403B, 4403A, 4405B, 4405A)는, 위상 변경의 신호 처리를 행하더라도 좋고,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Na와 Nb는 동일한 값이더라도 좋고, 상이한 값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Ma와 Mb는 동일한 값이더라도 좋고, 상이한 값이더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위상 변경치 y(i) 및 위상 변경치 w(i)를 설정함으로써,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에 의해,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멀티 패스 등이 존재하는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가, 양호한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치 y(i)가 취할 수 있는 값의 수를 적게 함으로써, 데이터의 수신 품질에 대한 영향을 적게 하면서, 송신 장치, 수신 장치의 회로 규모를 작게 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본 실시의 형태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 방법에 대하여 적용하면,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다. 단, 그 이외의 위상 변경 방법에 대하여 적용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12)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2, 도 18, 도 19,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도 52, 도 53, 도 54, 도 55 등과 같이, 가중 합성부(203)와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할 때의 위상 변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를 y(i)로 주는 것으로 한다.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 i는 심볼 번호이고, 예컨대,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치 y(i)는 N의 주기라고 한다. 또, N은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이 N개의 값으로서, Phase[0], Phase[1], Phase[2], Phase[3], …, Phase[N-2], Phase[N-1]을 준비한다. 다시 말해, Phase[k]가 되고, k는, 0 이상 N-1 이하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Phase[k]는, 0라디안 이상 2π라디안 이하의 실수로 한다. 또한, x는, 0 이상 N-1 이하의 정수로 하고, y는, 0 이상 N-1 이하의 정수로 하고, x≠y로 한다. 그리고, 이들을 만족시키는 모든 x, y에 있어서, Phase[x]≠Phase[y]가 성립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Phase[k]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 k는, 0 이상 N-1 이하의 정수로 한다.
[수학식 156]
Figure pct00163
그리고, Phase[0], Phase[1], Phase[2], Phase[3], …, Phase[N-2], Phase[N-1]을 이용하여, 위상 변경치 y(i)의 주기가 N이 되도록 한다. 주기 N이 되도록 하기 위해, Phase[0], Phase[1], Phase[2], Phase[3], …, Phase[N-2], Phase[N-1]을 어떻게 늘어놓더라도 좋다. 또, 주기 N이 되기 때문에, 예컨대, 이하가 성립하는 것으로 한다.
[수학식 157]
Figure pct00164
또, x는, 0 이상 N-1 이하의 정수이고, y는, 0 이상의 정수이다. 그리고, 이들을 만족시키는 모든 x, y에서, 식 (157)이 성립한다.
또, 도 2 등과 같이, 가중 합성부(203)와 위상 변경부(205B)에서, 가중 합성 처리와 위상 변경 처리를 개별적으로 행하더라도 좋고, 가중 합성부(203)에서의 처리와 위상 변경부(205B)에서의 처리를, 도 60과 같이, 제 1 신호 처리부(6000)에서 실시하더라도 좋다. 또, 도 60에 있어서, 도 2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다.
예컨대, 식 (3)에 있어서, 가중 합성을 위한 행렬을 F, 위상 변경에 관한 행렬을 P로 했을 때, 행렬 W(=P×F)를 미리 준비하여 둔다. 그리고, 도 60의 제 1 신호 처리부(6000)는, 행렬 W와, 신호(201A)(s1(t)), 신호(201B)(s2(t))를 이용하여, 신호(204A, 206B)를 생성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도 2, 도 18, 도 19,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도 52, 도 53, 도 54, 도 55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부(209B, 209A, 4403B, 4403A, 4405B, 4405A)는, 위상 변경의 신호 처리를 행하더라도 좋고,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위상 변경치 y(i)를 설정함으로써,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에 의해,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멀티 패스 등이 존재하는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가, 양호한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치 y(i)가 취할 수 있는 값의 수를 한정적으로 함으로써, 데이터의 수신 품질에 대한 영향을 적게 하면서, 송신 장치, 수신 장치의 회로 규모를 작게 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다음으로, 도 20, 도 21, 도 22, 도 48, 도 49, 도 50, 도 51, 도 56, 도 57, 도 58, 도 59 등과 같이, 가중 합성부(203) 및 위상 변경부(205A)와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할 때의 위상 변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를 y(i)로 주는 것으로 한다.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 i는 심볼 번호이고, 예컨대,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치 y(i)는, Nb의 주기라고 한다. 또, Nb는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이 Nb개의 값으로서, Phase_b[0], Phase_b[1], Phase_b[2], Phase_b[3], …, Phase_b[Nb-2], Phase_b[Nb-1]을 준비한다. 다시 말해, Phase_b[k]가 되고, k는, 0 이상 Nb-1 이하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Phase_b[k]는, 0라디안 이상 2π라디안 이하의 실수로 한다. 또한, x는, 0 이상 Nb-1 이하의 정수로 하고, y는, 0 이상 Nb-1 이하의 정수로 하고, x≠y로 한다. 그리고, 이들을 만족시키는 모든 x, y에 있어서, Phase_b[x]≠Phase_b[y]가 성립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Phase_b[k]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 k는, 0 이상 Nb-1 이하의 정수로 한다.
[수학식 158]
Figure pct00165
그리고, Phase_b[0], hase_b[1], Phase_b[2], Phase_b[3], …, Phase_b[Nb-2], Phase_b[Nb-1]을 이용하여, 위상 변경치 y(i)의 주기가 Nb가 되도록 한다. 주기 Nb로 하기 위해, Phase_b[0], Phase_b[1], Phase_b[2], Phase_b[3], …, Phase_b[Nb-2], Phase_b[Nb-1]을 어떻게 늘어놓더라도 좋다. 또, 주기 Nb가 되기 때문에, 예컨대, 이하가 성립하는 것으로 한다.
[수학식 159]
Figure pct00166
또, x는, 0 이상 Nb-1 이하의 정수이고, y는, 0 이상의 정수이다. 그리고, 이들을 만족시키는 모든 x, y에서, 식 (159)가 성립한다.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A)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를 w(i)로 준다고 한다. 또, i는 심볼 번호이고, 예컨대,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치 w(i)는, Na의 주기라고 한다. 또, Na는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이 Na개의 값으로서, Phase_a[0], Phase_a[1], Phase_a[2], Phase_a[3], …, Phase_a[Na-2], Phase_a[Na-1]을 준비한다. 다시 말해, Phase_a[k]가 되고, k는, 0 이상 Na-1 이하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Phase_a[k]는, 0라디안 이상 2π라디안 이하의 실수로 한다. 또한, x는, 0 이상 Na-1 이하의 정수로 하고, y는, 0 이상 Na-1 이하의 정수로 하고, x≠y로 한다. 그리고, 이들을 만족시키는 모든 x, y에 있어서, Phase_a[x]≠Phase_a[y]가 성립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Phase_a[k]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 k는, 0 이상 Na-1 이하의 정수로 한다.
[수학식 160]
Figure pct00167
그리고, Phase_a[0], Phase_a[1], Phase_a[2], Phase_a[3], …, Phase_a[Na-2], Phase_a[Na-1]을 이용하여, 위상 변경치 w(i)의 주기가 Na가 되도록 한다. 주기 Na로 하기 위해, Phase_a[0], Phase_a[1], Phase_a[2], Phase_a[3], …, Phase_a[Na-2], Phase_a[Na-1]을 어떻게 늘어놓더라도 좋다. 또, 주기 Nb가 되기 때문에, 예컨대, 이하가 성립하는 것으로 한다.
[수학식 161]
Figure pct00168
또, x는, 0 이상 Na-1 이하의 정수이고, y는, 0 이상의 정수이다. 그리고, 이들을 만족시키는 모든 x, y에서, 식 (161)이 성립한다.
또, 도 20 등과 같이, 가중 합성부(203)와 위상 변경부(205A, 205B)에서 가중 합성 처리와 위상 변경 처리를 개별적으로 행하더라도 좋고, 가중 합성부(203)에서의 처리와 위상 변경부(205A, 205B)에서의 처리를, 도 61과 같이, 제 2 신호 처리부(6100)에서 실시하더라도 좋다. 또, 도 61에 있어서, 도 2, 도 20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다.
예컨대, 식 (52)에 있어서, 가중 합성을 위한 행렬을 F, 위상 변경에 관한 행렬을 P로 했을 때, 행렬 W(=P×F)를 미리 준비하여 둔다. 그리고, 도 61의 제 2 신호 처리부(6100)는, 행렬 W와 신호(201A)(s1(t)), 신호(201B)(s2(t))를 이용하여, 신호(206A, 206B)를 생성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도 20, 도 21, 도 22, 도 48, 도 49, 도 50, 도 51, 도 56, 도 57, 도 58, 도 59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부(209B, 209A, 4403B, 4403A, 4405B, 4405A)는, 위상 변경의 신호 처리를 행하더라도 좋고,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Na와 Nb는 동일한 값이더라도 좋고, 상이한 값이더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위상 변경치 y(i) 및 위상 변경치 w(i)를 설정함으로써,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에 의해,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멀티 패스 등이 존재하는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가, 양호한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치 y(i) 및 위상 변경치 w(i)가 취할 수 있는 값의 수를 한정적으로 함으로써, 데이터의 수신 품질에 대한 영향을 적게 하면서, 송신 장치, 수신 장치의 회로 규모를 작게 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본 실시의 형태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 방법에 대하여 적용하면,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다. 단, 그 이외의 위상 변경 방법에 대하여 적용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다.
당연하지만, 본 실시의 형태와 실시의 형태 11을 조합하여 실시하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식 (156)으로부터, M개의 위상 변경치를 추출하더라도 좋다. 또한, 식 (158)로부터 Mb개의 위상 변경치를 추출하더라도 좋고, 식 (160)으로부터 Ma개의 위상 변경치를 추출하더라도 좋다.
(실시의 형태 13)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2, 도 18, 도 19,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도 52, 도 53, 도 54, 도 55 등과 같이, 가중 합성부(203)와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할 때의 위상 변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를 y(i)로 준다고 한다.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 i는 심볼 번호이고, 예컨대,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치 y(i)는 N의 주기라고 한다. 또, N은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이 N개의 값으로서, Phase[0], Phase[1], Phase[2], Phase[3], …, Phase[N-2], Phase[N-1]을 준비한다. 다시 말해, Phase[k]가 되고, k는, 0 이상 N-1 이하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Phase[k]는, 0라디안 이상 2π라디안 이하의 실수로 한다. 또한, x는, 0 이상 N-1 이하의 정수로 하고, y는, 0 이상 N-1 이하의 정수로 하고, x≠y로 한다. 그리고, 이들을 만족시키는 모든 x, y에 있어서, Phase[x]≠Phase[y]가 성립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Phase[k]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 k는, 0 이상 N-1 이하의 정수로 한다.
[수학식 162]
Figure pct00169
그리고, Phase[0], Phase[1], Phase[2], Phase[3], …, Phase[N-2], Phase[N-1]을 이용하여, 위상 변경치 y(i)의 주기가 N이 되도록 한다. 주기 N으로 하기 위해, Phase[0], Phase[1], Phase[2], Phase[3], …, Phase[N-2], Phase[N-1]을 어떻게 늘어놓더라도 좋다. 또, 주기 N이 되기 때문에, 예컨대, 이하가 성립하는 것으로 한다.
[수학식 163]
Figure pct00170
또, x는, 0 이상 N-1 이하의 정수이고, y는, 0 이상의 정수이다. 그리고, 이들을 만족시키는 모든 x, y에서, 식 (163)이 성립한다.
또, 도 2 등과 같이, 가중 합성부(203)와 위상 변경부(205B)에서, 가중 합성 처리와 위상 변경 처리를 개별적으로 행하더라도 좋고, 가중 합성부(203)에서의 처리와 위상 변경부(205B)에서의 처리를, 도 60과 같이, 제 1 신호 처리부(6000)에서 실시하더라도 좋다. 또, 도 60에 있어서, 도 2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다.
예컨대, 식 (3)에 있어서, 가중 합성을 위한 행렬을 F, 위상 변경에 관한 행렬을 P로 했을 때, 행렬 W(=P×F)를 미리 준비하여 둔다. 그리고, 도 60의 제 1 신호 처리부(6000)는, 행렬 W와, 신호(201A)(s1(t)), 신호(201B)(s2(t))를 이용하여, 신호(204A, 206B)를 생성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도 2, 도 18, 도 19,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도 52, 도 53, 도 54, 도 55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부(209B, 209A, 4403B, 4403A, 4405B, 4405A)는, 위상 변경의 신호 처리를 행하더라도 좋고,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위상 변경치 y(i)를 설정함으로써, 복소 평면에 있어서, 위상 변경치 y(i)가 취할 수 있는 값이, 위상의 관점으로부터, 균일하게 존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멀티 패스 등이 존재하는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가, 양호한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다음으로, 도 20, 도 21, 도 22, 도 48, 도 49, 도 50, 도 51, 도 56, 도 57, 도 58, 도 59 등과 같이, 가중 합성부(203) 및 위상 변경부(205A)와 위상 변경부(205B)가 존재할 때의 위상 변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B)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를 y(i)로 준다고 한다.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 i는 심볼 번호이고, 예컨대,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치 y(i)는, Nb의 주기라고 한다. 또, Nb는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이 Nb개의 값으로서, Phase_b[0], Phase_b[1], Phase_b[2], Phase_b[3], …, Phase_b[Nb-2], Phase_b[Nb-1]을 준비한다. 다시 말해, Phase_b[k]가 되고, k는, 0 이상 Nb-1 이하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Phase_b[k]는, 0라디안 이상 2π라디안 이하의 실수로 한다. 또한, x는, 0 이상 Nb-1 이하의 정수로 하고, y는, 0 이상 Nb-1 이하의 정수로 하고, x≠y로 한다. 그리고, 이들을 만족시키는 모든 x, y에 있어서, Phase_b[x]≠Phase_b[y]가 성립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Phase_b[k]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 k는, 0 이상 Nb-1 이하의 정수로 한다.
[수학식 164]
Figure pct00171
그리고, Phase_b[0], Phase_b[1], Phase_b[2], Phase_b[3], …, Phase_b[Nb-2], Phase_b[Nb-1]을 이용하여, 위상 변경치 y(i)의 주기가 Nb가 되도록 한다. 주기 Nb로 하기 위해, Phase_b[0], Phase_b[1], Phase_b[2], Phase_b[3], …, Phase_b[Nb-2], Phase_b[Nb-1]을 어떻게 늘어놓더라도 좋다. 또, 주기 Nb가 되기 때문에, 예컨대, 이하가 성립하는 것으로 한다.
[수학식 165]
Figure pct00172
또, x는, 0 이상 Nb-1 이하의 정수이고, y는, 0 이상의 정수이다. 그리고, 이들을 만족시키는 모든 x, y에서, 식 (165)가 성립한다.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 변경부(205A)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치를 w(i)로 준다고 한다. 또, i는 심볼 번호이고, 예컨대, 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예컨대, 위상 변경치 w(i)는, Na의 주기라고 한다. 또, Na는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이 Na개의 값으로서, Phase_a[0], Phase_a[1], Phase_a[2], Phase_a[3], …, Phase_a[Na-2], Phase_a[Na-1]을 준비한다. 다시 말해, Phase_a[k]가 되고, k는, 0 이상 Na-1 이하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Phase_a[k]는, 0라디안 이상 2π라디안 이하의 실수로 한다. 또한, x는, 0 이상 Na-1 이하의 정수로 하고, y는, 0 이상 Na-1 이하의 정수로 하고, x≠y로 한다. 그리고, 이들을 만족시키는 모든 x, y에 있어서, Phase_a[x]≠Phase_a[y]가 성립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Phase_a[k]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 k는, 0 이상 Na-1 이하의 정수로 한다.
[수학식 166]
Figure pct00173
그리고, Phase_a[0], Phase_a[1], Phase_a[2], Phase_a[3], …, Phase_a[Na-2], Phase_a[Na-1]을 이용하여, 위상 변경치 w(i)의 주기가 Na가 되도록 한다. 주기 Na로 하기 위해, Phase_a[0], Phase_a[1], Phase_a[2], Phase_a[3], …, Phase_a[Na-2], Phase_a[Na-1]을 어떻게 늘어놓더라도 좋다. 또, 주기 Nb가 되기 때문에, 예컨대, 이하가 성립하는 것으로 한다.
[수학식 167]
Figure pct00174
또, x는, 0 이상 Na-1 이하의 정수이고, y는, 0 이상의 정수이다. 그리고, 이들을 만족시키는 모든 x, y에서, 식 (167)이 성립한다.
또, 도 20 등과 같이, 가중 합성부(203)와 위상 변경부(205A, 205B)에서, 가중 합성 처리와 위상 변경 처리를 개별적으로 행하더라도 좋고, 가중 합성부(203)에서의 처리와 위상 변경부(205A, 205B)에서의 처리를, 도 61과 같이, 제 2 신호 처리부(6100)에서 실시하더라도 좋다. 또, 도 61에 있어서, 도 2, 도 20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다.
예컨대, 식 (52)에 있어서, 가중 합성을 위한 행렬을 F, 위상 변경에 관한 행렬을 P로 했을 때, 행렬 W(=P×F)를 미리 준비하여 둔다. 그리고, 도 61의 제 2 신호 처리부(6100)는, 행렬 W와 신호(201A)(s1(t)), 신호(201B)(s2(t))를 이용하여, 신호(206A, 206B)를 생성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도 20, 도 21, 도 22, 도 48, 도 49, 도 50, 도 51, 도 56, 도 57, 도 58, 도 59에 있어서의 위상 변경부(209B, 209A, 4403B, 4403A, 4405B, 4405A)는, 위상 변경의 신호 처리를 행하더라도 좋고,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Na와 Nb는 동일한 값이더라도 좋고, 상이한 값이더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위상 변경치 y(i) 및 위상 변경치 w(i)를 설정함으로써, 복소 평면에 있어서, 위상 변경치 y(i) 및 위상 변경치 w(i)가 취할 수 있는 값이, 위상의 관점으로부터, 균일하게 존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직접파가 지배적인 환경, 멀티 패스 등이 존재하는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가, 양호한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본 실시의 형태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 방법에 대하여 적용하면,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다. 단, 그 이외의 위상 변경 방법에 대하여 적용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다.
당연하지만, 본 실시의 형태와 실시의 형태 11을 조합하여 실시하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식 (162)로부터, M개의 위상 변경치를 추출하더라도 좋다. 또한, 식 (164)로부터 Mb개의 위상 변경치를 추출하더라도 좋고, 식 (166)으로부터 Ma개의 위상 변경치를 추출하더라도 좋다.
(보충 5)
변조 방식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고 있는 변조 방식 이외의 변조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실시의 형태, 그 외의 내용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NU(Non-uniform)-QAM, π/2 시프트 BPSK, π/4 시프트 QPSK, 어느 값의 위상을 시프트한 PSK 방식 등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위상 변경부(209A, 209B, 4403A, 4403B, 4405A, 4405B)는, CDD(Cyclic Delay Diversity), CSD(Cyclic Shift Diversity)이더라도 좋다.
(보충 6)
본 개시에서는, 예컨대, 도 2, 도 18~도 22, 도 28~33, 도 44~61에 있어서, 매핑 후의 신호 s1(t)와 매핑 후의 신호 s2(t)가 서로 상이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매핑 후의 신호 s1(t)와 매핑 후의 신호 s2(t)는,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심볼 번호 i=a(a는 예컨대 0 이상의 정수)로 했을 때, 매핑 후의 신호 s1(i=a)과 매핑 후의 신호 s2(i=a)가,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좋다.
또, 매핑 후의 신호 s1(i=a)과 매핑 후의 신호 s2(i=a)가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수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매핑 후의 신호 s1(i=a)과 매핑 후의 신호 s2(i=b)가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좋다(b는 0 이상의 정수이고, a≠b). 또한, s1(i)의 복수의 심볼을 이용하여 제 1 데이터 계열을 전송하고, s2(i)의 복수의 심볼을 이용하여 제 1 데이터 계열과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좋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개시는,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02 : 오류 정정 부호화부
104 : 매핑부
106 : 신호 처리부
107A, 107B : 무선부
109A, 109B : 안테나부

Claims (3)

  1. 제 1 베이스밴드 신호와 제 2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하여 프리코딩 처리를 실시하여 제 1 프리코딩 신호와 제 2 프리코딩 신호를 생성하는 가중 합성부와,
    상기 제 1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는 제 1 파일럿 삽입부와,
    상기 제 2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제 1 위상 변경부와,
    상기 제 1 위상 변경부에 의해 위상 변경이 실시된 제 2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는 제 2 파일럿 삽입부와,
    상기 제 2 파일럿 삽입부에 의해 파일럿 신호가 삽입된 위상 변경 후의 상기 제 2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다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제 2 위상 변경부
    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상 변경부는, 상기 제 1 베이스밴드 신호와 상기 제 2 베이스밴드 신호가 동일한 경우와 상이한 경우에, 위상 변경의 주기의 설정을 바꾸는 송신 장치.
  3. 제 1 베이스밴드 신호와 제 2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하여 프리코딩 처리를 실시하여 제 1 프리코딩 신호와 제 2 프리코딩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고,
    상기 제 2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위상 변경을 실시하고,
    위상 변경이 실시된 제 2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고,
    파일럿 신호가 삽입된 위상 변경 후의 제 2 프리코딩 신호에 대하여 다시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송신 방법.
KR1020187027219A 2016-04-27 2017-04-11 송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2326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36593A KR102385494B1 (ko) 2016-04-27 2017-04-11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28389P 2016-04-27 2016-04-27
US62/328,389 2016-04-27
US201662329028P 2016-04-28 2016-04-28
US62/329,028 2016-04-28
US201662437627P 2016-12-21 2016-12-21
US62/437,627 2016-12-21
JP2017004543 2017-01-13
JPJP-P-2017-004543 2017-01-13
JPJP-P-2017-065889 2017-03-29
JP2017065889 2017-03-29
PCT/JP2017/014739 WO2017187953A1 (ja) 2016-04-27 2017-04-11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593A Division KR102385494B1 (ko) 2016-04-27 2017-04-11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938A true KR20180136938A (ko) 2018-12-26
KR102326630B1 KR102326630B1 (ko) 2021-11-15

Family

ID=601616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593A KR102385494B1 (ko) 2016-04-27 2017-04-11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20187027219A KR102326630B1 (ko) 2016-04-27 2017-04-11 송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집적 회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593A KR102385494B1 (ko) 2016-04-27 2017-04-11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11218198B2 (ko)
EP (1) EP3451551A4 (ko)
KR (2) KR102385494B1 (ko)
CN (2) CN114640360A (ko)
BR (1) BR112018071436A2 (ko)
CA (1) CA3020075C (ko)
CO (1) CO2018011378A2 (ko)
MY (1) MY186343A (ko)
TW (1) TWI710236B (ko)
WO (1) WO20171879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61657A4 (en) * 2015-10-08 2018-10-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ss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method and reception device
WO2019140562A1 (en) 2018-01-17 2019-07-2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nd phase rotation for sub-physical resource block allocation with two tone modulation
TWI717864B (zh) * 2019-10-16 2021-02-01 國立交通大學 用於無線接收機之基頻系統及其基頻信號處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3330A1 (en) * 2004-07-16 2006-01-19 Ha Kil-Sik MIMO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of OFDM-based wireless LAN systems
US20100322349A1 (en) * 2006-10-23 2010-12-23 Moon Il Lee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cyclic delay diversity
EP2854318A1 (en) * 2012-05-22 2015-04-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transmitter, and receiver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9696B2 (ja) 2001-08-10 2008-07-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WO2006070750A1 (ja) * 2004-12-27 2006-07-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無線送信方法および無線受信方法
KR100996023B1 (ko) 2005-10-31 2010-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TWI343200B (en) * 2006-05-26 2011-06-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generation using phase-shift based pre-coding
US20080049863A1 (en) 2006-08-28 2008-02-2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soft decision generation with lattice reduction aided MIMO detection
JP4455630B2 (ja) * 2007-08-29 2010-04-21 株式会社東芝 送信機および受信機
JP5154295B2 (ja) * 2008-05-02 2013-02-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ユーザ装置並びに通信制御方法
WO2010004586A2 (en) 2008-07-10 2010-01-14 Centre Of Excellence In Wireless Technology Method and system f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8407551B2 (en) * 2008-12-15 2013-03-26 Quantenna Communications, Inc. Low complexity LDCP decoding
JP5392268B2 (ja) * 2009-01-05 2014-01-22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移動局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5578619B2 (ja) * 2010-12-10 2014-08-2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MX2013000954A (es) * 2010-12-10 2013-03-22 Panasonic Corp Metodo de generacion de señales y aparato de generacion de señales.
US20120224651A1 (en) 2011-03-03 2012-09-06 Yutaka Murakami Signal generation method and signal generation apparatus
EP3573250B1 (en) * 2011-04-19 2020-12-16 Sun Patent Trust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US9294165B2 (en) * 2011-04-19 2016-03-2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Signal generating method and signal generating device
WO2013035336A1 (ja) * 2011-09-08 2013-03-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信号生成方法及び信号生成装置
JP2014216745A (ja) * 2013-04-24 2014-11-17 日本放送協会 Mimo送信装置、mimo受信装置及びmimo通信システム
JP6323753B2 (ja) 2013-06-14 2018-05-16 サン パテント トラスト 送信方法
WO2015022170A1 (en) 2013-08-15 2015-02-19 Sony Corporation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mimo broadcast system
EP3525369B1 (en) * 2013-10-31 2020-12-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ssion method
US9813124B2 (en) * 2013-11-27 2017-11-07 Mediatek Inc. Methods for codeword level interference cancellation with network assistance
JP6323087B2 (ja) * 2014-03-13 2018-05-16 日本電気株式会社 変調装置
US9160579B1 (en) 2014-03-26 2015-10-1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Low PAPR modulation for coverage enhancement
WO2016021357A1 (ja) * 2014-08-07 2016-02-11 三菱電機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JP5971574B2 (ja) * 2015-07-29 2016-08-17 サン パテント トラスト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EP3361657A4 (en) * 2015-10-08 2018-10-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ss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method and reception device
WO2017150418A1 (ja) 2016-02-29 2017-09-0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送信方法、送信装置、受信方法、受信装置
JP6829252B2 (ja) 2016-04-27 2021-02-1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CN109417411B (zh) 2016-06-30 2022-08-05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发送装置以及发送方法
WO2018012520A1 (ja) 2016-07-14 2018-01-1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送信方法、送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受信装置
ES2937399T3 (es) 2016-08-12 2023-03-28 Ericsson Telefon Ab L M Libros de códigos multi-haz con sobrecarga adicionalmente optimizada
WO2018110442A1 (ja) 2016-12-12 2018-06-21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US10448423B2 (en) 2017-03-22 2019-10-15 Ofinno, Llc Data multiplexing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CN111434049B (zh) 2017-06-19 2021-06-11 弗吉尼亚科技知识产权有限公司 使用多天线收发器无线传输的信息的编码和解码
WO2019011878A1 (en) * 2017-07-11 2019-01-17 Sony Corporation SPATIO-TEMPORAL BLOCK CODING WITH MULTIPLE STREA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3330A1 (en) * 2004-07-16 2006-01-19 Ha Kil-Sik MIMO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of OFDM-based wireless LAN systems
US20100322349A1 (en) * 2006-10-23 2010-12-23 Moon Il Lee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cyclic delay diversity
EP2854318A1 (en) * 2012-05-22 2015-04-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transmitter, and receiver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 "MIMO for DVB-NGH, the next generation mobile TV broadcasting," IEEE Commun. Mag., vol.57, no.7, pp.130-137, July 2013.
비특허문헌 2 : "Standard conformable antenna diversity techniques for OFDM and its application to the DVB-T system," IEEE Globecom 2001, pp.3100-3105, Nov. 2001.
비특허문헌 3 : IEEE P802.11n(D3.00) Draft STANDARD for Information Technology-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Specific requirements-Part11 :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PHY) specifications, 20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20075A1 (en) 2017-11-02
CA3020075C (en) 2024-02-27
CN109121463B (zh) 2022-03-15
CO2018011378A2 (es) 2018-10-31
CN114640360A (zh) 2022-06-17
EP3451551A1 (en) 2019-03-06
US11711122B2 (en) 2023-07-25
US20230336222A1 (en) 2023-10-19
EP3451551A4 (en) 2019-04-10
US20220085853A1 (en) 2022-03-17
WO2017187953A1 (ja) 2017-11-02
MY186343A (en) 2021-07-14
KR102326630B1 (ko) 2021-11-15
CN109121463A (zh) 2019-01-01
US20200382178A1 (en) 2020-12-03
TWI710236B (zh) 2020-11-11
KR102385494B1 (ko) 2022-04-11
TW201739221A (zh) 2017-11-01
US11218198B2 (en) 2022-01-04
KR20210136181A (ko) 2021-11-16
BR112018071436A2 (pt) 201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4860B2 (ja) 送信装置
JP2023040290A (ja) 端末および送信方法
JP7260570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08352871B (zh) 发送方法、发送装置、接收方法、接收装置
US20230336222A1 (en) Integrated circuit
JP2017011685A (j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CN109417411B (zh) 发送装置以及发送方法
JP2023118904A (ja)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JP2023110054A (j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