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5711A - 롤러형 유체주입장치 - Google Patents

롤러형 유체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5711A
KR20180135711A KR1020170074265A KR20170074265A KR20180135711A KR 20180135711 A KR20180135711 A KR 20180135711A KR 1020170074265 A KR1020170074265 A KR 1020170074265A KR 20170074265 A KR20170074265 A KR 20170074265A KR 20180135711 A KR20180135711 A KR 20180135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needle
opening
fluid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345B1 (ko
Inventor
기 수 한
한나래
Original Assignee
기 수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 수 한 filed Critical 기 수 한
Priority to KR1020170074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34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61Methods for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롤러형 유체주입장치는,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된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에 연계되며, 피부에 침부재를 롤링압박하여 미세구멍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토출부로부터 상기 침부재 측으로 이어지는 상기 유체의 유로를 개방시켜,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를 통과한 상기 유체를 상기 미세구멍을 통해 피부에 주입시키는 주입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롤러형 유체주입장치{ROLLER TYPE APPARATUS FOR INJECTING FLUID}
본 발명은 롤러형 유체주입장치로서, 피부의 케어나 치료 등에 사용되는 화장품, 또는 모발치료 등에 사용되는 치료액 등의 유체가 수용된 롤러형 유체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람의 피부는 표피(외피)층, 진피(내피)층, 피하조직층으로 나뉘는데, 건강하고 젊은 피부는 진피층의 약 80%가 콜라겐, 엘라스틴 등으로 채워져 있다.
그러나, 진피층은 시간이 지날수록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양이 현저히 줄어들어(수축) 이로 인해 진피층이 얇아져 피부가 건조해지거나 주름이 발생하여 피부의 탄력이 줄어든다.
따라서,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 콜라겐과 엘라스틴 등의 생성이나 도움을 주는 각종 영양물질, 예를 들면 비타민C나 펩타이드 등의 물질(기능성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여 방지해 왔다.
그런데, 피부에 도포된 영양물질들이 표피층을 통과하여 진피층으로 침투되는 양은 전체함량의 0.3% 내외로 상당히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다.
이처럼 앞서 언급한 각종 영양물질을 단순히 피부의 표피층에 도포해서는 그 효과를 발휘하는데 상당히 미약하므로, 이러한 영양물질을 피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진피층까지 손실 없이 효과적으로 침투시키는 기구의 개발이 시급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622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피부에 대한 약물 등을 흡수유도하는 롤러형 유체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형 유체주입장치는,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된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에 연계되며, 피부에 침부재를 롤링압박하여 미세구멍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토출부로부터 상기 침부재 측으로 이어지는 상기 유체의 유로를 개방시켜,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를 통과한 상기 유체를 상기 미세구멍을 통해 피부에 주입시키는 주입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주입유닛은, 롤러 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복수 개가 장착된 침부를 가진 침부재; 및 상기 침부재가 회전되게 장착되며, 내부에 형성된 상기 유체의 유로가 피부에 대한 상기 침부재의 롤링압박으로 개방되고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조립체는,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의 유로로서 상기 토출부와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된 연결하우징;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에 관통배치되며, 상기 중공의 외부에 위치된 부분에는 상기 침부재가 장착되고, 피부에 대한 상기 침부재의 롤링압박으로 이동되어 상기 중공을 개방시키는 개폐부재; 및 피부에 대한 상기 침부재의 롤링압박이 해제 시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개폐부재를 복귀시켜 상기 중공을 차단하도록, 상기 연결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상기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은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 반대 측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에 관통배치되며,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 측 단부에 측방향 확장된 확장부가 형성된 개폐바; 및 상기 개폐바에서 상기 중공의 외부 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침부재가 회전되게 상기 침부재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침홀더;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바는, 외주면이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 내면과 이격되거나, 외주면에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바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침홀더는 상기 개폐바가 관통체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 측 일면에 상기 관통홀을 중심부로 하면서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 반대 측으로 테이퍼진 수집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하우징은, 상기 침홀더가 인입배치된 롤러홈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홈에는 내부 측면에 상기 침홀더의 양측부가 인입되어 상기 침홀더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형 유체주입장치는, 피부에 침부재를 롤링압박하여 미세구멍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토출부로부터 침부재 측으로 이어지는 유체의 유로를 개방시켜, 수용부재의 토출부를 통과한 유체를 미세구멍을 통해 피부에 주입시키도록 주입유닛이 구성됨으로써, 침부재로 피부에 미세구멍을 빠른 시간 내에 많이 천공시키면서 동시에 미세구멍을 통해 많은 양의 유체를 피부에 주입시킴에 따라, 피부에 대한 유체의 주입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형 유체주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롤러형 유체주입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롤러형 유체주입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롤러형 유체주입장치를 조립한 것을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5는 도 4의 롤러형 유체주입장치에서 침부재가 피부에 롤링압박되면서 유체가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롤러형 유체주입장치에서 개폐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롤러형 유체주입장치에서 침홀더의 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형 유체주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롤러형 유체주입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롤러형 유체주입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롤러형 유체주입장치를 조립한 것을 나타낸 조립도이고, 도 5는 도 4의 롤러형 유체주입장치에서 침부재가 피부에 롤링압박되면서 유체가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울러, 도 6은 도 2의 롤러형 유체주입장치에서 개폐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롤러형 유체주입장치에서 침홀더의 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러형 유체주입장치(1000)는 수용부재(100)와 주입유닛(2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용부재(100)는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수용된 유체가 외부로 나오는 통로로서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는데, 외형을 포함한 구체적인 형상은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유체를 수용할 수 있고 토출구가 있는 구조라면 종래의 어떠한 구조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상기 유체는 피부(1)의 케어나 치료 등에 사용되는 화장품, 또는 모발치료 등에 사용되는 치료액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유닛(200)은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에 연계되며, 피부(1)에 침부재(210)를 롤링압박하여 미세구멍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토출부(100a)로부터 침부재(210) 측으로 이어지는 유체의 유로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따라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를 통과한 유체를 미세구멍을 통해 피부(1)에 주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입유닛(200)은 침부재(210)와 하우징조립체(H)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침부재(210)는 바디부(211)와 침부(212)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바디부(211)는 롤러 형상을 취하고 침부(212)는 이러한 바디부(211)에 복수 개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구조를 지닌다.
이와 같은 침부재(210)는 바디부(211)가 피부(1)에 압박되면서 구르게 되면, 즉 롤링압박되면, 롤링되는 방향으로 피부(1)에 많은 미세구멍을 형성시키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를 통해 나온 유체가 침부재(2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침부(212) 각각으로 흘러서 피부(1)에 주입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조립체(H)는 침부재(210)가 회전되게 장착되며, 내부에 형성된 유체의 유로가 피부(1)에 대한 침부재(210)의 롤링압박으로 개방되고 탄성부재(2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조립체(H)는 연결하우징(220), 개폐부재(230), 및 탄성부재(24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하우징(220)은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의 유로로서 토출부(100a)와 연통되는 중공(220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를 통해 토출된 유체는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으로 유입되어 중공(220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하우징(220)은 후술되는 개폐부재(230)의 침홀더(232)가 인입배치된 롤러홈(220b)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홈(220b)에는 내부 측면에 침홀더(232)의 양측부가 인입되어 침홀더(232)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20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홈(220c)은 상기 연결하우징(220) 내측에서 침부재(210)가 상하이동 시 침홀더(232)를 견고하게 가이드함에 따라, 원활하면서도 안정적인 이동을 구현하게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230)는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에 관통배치되며, 중공(220a)의 외부에 위치된 부분에는 침부재(210)가 장착되고, 피부(1)에 대한 침부재(210)의 롤링압박으로 이동되어 중공(220a)을 개방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부재(210)가 피부(1)에 롤링압박되는 경우에는 침부재(210)가 수용부재(100) 측으로 이동한 만큼 개폐부재(230)가 함께 이동하게 됨으로써,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을 막지 않게 된다. 참고로, 이때의 탄성부재(240)는 개폐부재(230)에 의해 상측으로 압축된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240)는 연결하우징(220)에 지지되어 개폐부재(230)를 탄성지지하는데, 침부재(210)의 피부(1)에 대한 롤링압박이 해제 시 탄성복원력으로 개폐부재(230)를 하측으로 밀어서 개폐부재(230)의 위치를 복귀시켜 중공(220a)을 차단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부재(210)의 피부(1)에 대한 롤링압박이 해제된 경우에는 탄성부재(240)가 탄성복원력으로 개폐부재(230)를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강)시킴으로써, 개폐부재(230)가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을 막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재(230)는 개폐바(231)와 침홀더(23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바(231)는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에 관통배치된다.
이러한 개폐바(231)는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을 차단하도록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측 단부에 측방향 확장된 확장부(231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확장바가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을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측에서 막는 경우에는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이 차단되어 유체가 침부재(210) 측으로 흐르지 않게 되고, 확장바가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으로부터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측으로 이격된 경우에는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이 차단되지 않음으로써, 유체가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을 통해 침부재(210) 측으로 흐르게 된다.
아울러, 상기 침홀더(232)는 개폐바(231)에서 중공(220a)의 외부 측 단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침홀더(232)는 침부재(210)가 회전되게 침부재(210)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구조를 취한다. 즉,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홀더(232)는 침부재(210)의 바디부(211)에 형성된 측부홈(211a)에 끼워질 수 있도록 지지돌기(232a)가 양측 내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측부홈(211a)과 지지돌기(232a)는 침부재(2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형 구조를 취한다.
또한, 상기 개폐바(231)는 외주면에 중공(220a)과 연통되는 바홈(231b)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100)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유체는 침부재(210) 측으로 이동하기 위해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을 통과해야 하는데, 개폐바(231)가 연결하우징(220) 중공(220a)의 내면과 거의 접촉된 상태인 경우에는 틈이 거의 없기 때문에,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을 통한 유체의 이동량이 거의 미미한 한계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개폐바(231)는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과 연통되도록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바홈(231b)이 형성됨에 따라,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 내측으로 유입된 유체가 개폐바(231)의 바홈(231b)을 통해 충분한 양이 침부재(210) 측으로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흘러서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일례로서, 상기 개폐바(231)는 외주면이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 내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연결하우징(220) 중공(220a)의 내면과 개폐바(231) 사이의 이격간격을 통해 침부재(210) 측으로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흘러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은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반대 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하우징(220)은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가 삽입되어 조립되는 조립홈(220d)이 형성되는데,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를 통해 토출된 유체가 제일 먼저 조립홈(220d) 내에 머무르게 된다.
이때, 만약 상기 중공(220a)에서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측 부분이 테이퍼지지 않고 단순히 직각구조인 테두리구조를 취한다면, 유체가 연결하우징(220)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공(220a) 측으로 유입이 어렵게 되지만,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측 부분이 깔때기 형상으로서 테이퍼진 구조를 취한다면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를 통해 토출된 유체가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 내측으로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수집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침홀더(232)는 개폐바(231)가 관통체결되는 관통홀(232b)이 형성되며,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측 일면에 유체를 수집을 가이드하는 수집홈(232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집홈(232c)은 관통홀(232b)을 중심부로 하면서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반대 측으로 테이퍼진 구조를 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을 통해 이동된 유체는 침홀더(232)의 관통홀(232b)을 통과하여 침부재(210)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과 침홀더(232)의 관통홀(232b)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일정 양이 머무르게 되는데, 침홀더(232)의 관통홀(232b) 측으로 유체가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수집되기 위해, 바람직하게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측 일면에 관통홀(232b)을 중심부로 하면서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 반대 측으로 테이퍼진 수집홈(232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술된 롤러형 유체주입장치(1000)가 피부(1)를 롤링압박하여 시술하는 상태에서 유체의 이동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피시술자의 피부(1) 상에 침부재(210)를 롤링압박하게 되면, 침부재(210) 및 이와 체결된 개폐부재(230)는 피부(1) 상에서 높이의 변화가 없게 되지만, 시술자의 손에 파지된 수용부재(100)의 하방 압박으로 인하여 수용부재(100)와 연결하우징(220)은 하측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230)의 개폐바(231)에 형성된 확장부(231a)가 연결하우징(220) 중공(220a)의 상부 내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어 이격됨으로써,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를 통해 토출된 유체의 유로로서 역할을 하는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이 개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를 통해 토출된 유체는 중공(220a)을 통해 하강하는데, 구체적으로 개폐바(231)의 바홈(231b)을 따라 흘러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종국적으로 침홀더(232)의 관통홀(232b)을 통해 하측에 배치된 침부재(210)까지 이동하게 됨으로써, 종국적으로 침부재(210)에 의해 형성된 피부(1)의 미세구멍을 통해 피부(1)에 주입된다.
참고로, 시술자가 수용부재(100)를 들어올려서 피시술자의 피부(1)로부터 침부재(210)의 롤링압박이 해제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40)의 상단부가 연결하우징(2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침홀더(232)를 하측으로 밀어냄으로써, 개폐바(231)도 하강함에 따라 개폐바(231)의 확장부(231a)가 연결하우징(220)의 중공(220a)을 차단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롤러형 유체주입장치(1000)는, 피부(1)에 침부재(210)를 롤링압박하여 미세구멍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토출부(100a)로부터 침부재(210) 측으로 이어지는 유체의 유로를 개방시켜, 수용부재(100)의 토출부(100a)를 통과한 유체를 미세구멍을 통해 피부(1)에 주입시키도록 주입유닛(200)이 구성됨으로써, 침부재(210)로 피부(1)에 미세구멍을 빠른 시간 내에 많이 천공시키면서 동시에 미세구멍을 통해 많은 양의 유체를 피부(1)에 주입시킴에 따라, 피부(1)에 대한 유체의 주입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피부 1000 : 롤러형 유체주입장치
100 : 수용부재 100a : 토출부
200 : 주입유닛 210 : 침부재
211 : 바디부 211a : 측부홈
212 : 침부 H : 하우징조립체
220 : 연결하우징 220a : 중공
220b : 롤러홈 220a : 가이드홈
220d : 조립홈 230 : 개폐부재
231 : 개폐바 231a : 확장부
231b : 바홈 232 : 침홀더
232a : 지지돌기 232b : 관통홀
232c : 수집홈 240 : 탄성부재

Claims (8)

  1.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된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에 연계되며, 피부에 침부재를 롤링압박하여 미세구멍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토출부로부터 상기 침부재 측으로 이어지는 상기 유체의 유로를 개방시켜,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를 통과한 상기 유체를 상기 미세구멍을 통해 피부에 주입시키는 주입유닛;
    을 포함하는 롤러형 유체주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유닛은,
    롤러 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복수 개가 장착된 침부를 가진 침부재; 및
    상기 침부재가 회전되게 장착되며, 내부에 형성된 상기 유체의 유로가 피부에 대한 상기 침부재의 롤링압박으로 개방되고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조립체;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형 유체주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조립체는,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의 유로로서 상기 토출부와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된 연결하우징;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에 관통배치되며, 상기 중공의 외부에 위치된 부분에는 상기 침부재가 장착되고, 피부에 대한 상기 침부재의 롤링압박으로 이동되어 상기 중공을 개방시키는 개폐부재; 및
    피부에 대한 상기 침부재의 롤링압박이 해제 시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개폐부재를 복귀시켜 상기 중공을 차단하도록, 상기 연결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상기 탄성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형 유체주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은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 반대 측으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형 유체주입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에 관통배치되며,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 측 단부에 측방향 확장된 확장부가 형성된 개폐바; 및
    상기 개폐바에서 상기 중공의 외부 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침부재가 회전되게 상기 침부재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침홀더;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형 유체주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바는, 외주면이 상기 연결하우징의 중공 내면과 이격되거나, 외주면에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바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형 유체주입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침홀더는 상기 개폐바가 관통체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 측 일면에 상기 관통홀을 중심부로 하면서 상기 수용부재의 토출부 반대 측으로 테이퍼진 수집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형 유체주입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우징은, 상기 침홀더가 인입배치된 롤러홈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홈에는 내부 측면에 상기 침홀더의 양측부가 인입되어 상기 침홀더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형 유체주입장치.
KR1020170074265A 2017-06-13 2017-06-13 롤러형 유체주입장치 KR101994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265A KR101994345B1 (ko) 2017-06-13 2017-06-13 롤러형 유체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265A KR101994345B1 (ko) 2017-06-13 2017-06-13 롤러형 유체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711A true KR20180135711A (ko) 2018-12-21
KR101994345B1 KR101994345B1 (ko) 2019-06-28

Family

ID=64959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265A KR101994345B1 (ko) 2017-06-13 2017-06-13 롤러형 유체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3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4381A (zh) * 2019-06-17 2019-10-22 广东国源国药制药有限公司 微针装置
KR102150363B1 (ko) * 2019-07-08 2020-09-01 (주)엠큐어 구형 니들롤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951B1 (ko) 2021-03-09 2023-02-06 한상범 두피관리용 미세침이 구비된 스탬프 타입 유체 주입기 자동 작동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179B1 (ko) * 2015-11-24 2016-03-31 지승구 피부용 약물주입장치
KR101682863B1 (ko) * 2016-09-12 2016-12-06 이창우 가압 개방식 약물 전달 기구를 갖는 니들 디스크 롤러 장치
KR101686226B1 (ko) 2016-09-13 2016-12-15 윤형 롤러 어셈블리 및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바이알 커넥트 마이크로 니들
KR101700563B1 (ko) * 2016-09-12 2017-01-31 이창우 양방형 접속 구조를 갖는 점탄성 연결캡을 포함하는 니들 디스크 롤러 장치
KR101701097B1 (ko) * 2016-09-12 2017-02-14 이창우 동축 이중 회전형 니들 디스크 롤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179B1 (ko) * 2015-11-24 2016-03-31 지승구 피부용 약물주입장치
KR101682863B1 (ko) * 2016-09-12 2016-12-06 이창우 가압 개방식 약물 전달 기구를 갖는 니들 디스크 롤러 장치
KR101700563B1 (ko) * 2016-09-12 2017-01-31 이창우 양방형 접속 구조를 갖는 점탄성 연결캡을 포함하는 니들 디스크 롤러 장치
KR101701097B1 (ko) * 2016-09-12 2017-02-14 이창우 동축 이중 회전형 니들 디스크 롤러 장치
KR101686226B1 (ko) 2016-09-13 2016-12-15 윤형 롤러 어셈블리 및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바이알 커넥트 마이크로 니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4381A (zh) * 2019-06-17 2019-10-22 广东国源国药制药有限公司 微针装置
KR102150363B1 (ko) * 2019-07-08 2020-09-01 (주)엠큐어 구형 니들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345B1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345B1 (ko) 롤러형 유체주입장치
KR101710887B1 (ko) 화장품 흡수를 위한 피부 자극기
CA2487784C (en) Low profile, pivotal connection infusion assembly
KR101573252B1 (ko) 이미용기구
JP2019093120A (ja) ウェアラブルヒトインスリン注射用液体供給装置
KR101865668B1 (ko) 피부 미용을 위한 니들디스크 롤러장치
KR101897958B1 (ko) 피부 자극을 위한 미용기
CN102413853A (zh) 能够控制流体输送的微针单元
KR101776154B1 (ko) 침부재를 가진 화장품용기
KR101457437B1 (ko) 수동형 피부미용장치
KR102129338B1 (ko) 피부 자극 및 천공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JP3218942U (ja) ローラー型流体注入装置
KR20180132217A (ko) 피부용 약물 주입기
KR102632015B1 (ko) 미세바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피부 자극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111144B1 (ko) 의료용 침술장치
KR101714552B1 (ko) 피부용 액체 주입장치
JP3218898U (ja) スタンプ型流体注入装置
KR101179526B1 (ko) 의료용 침술장치
KR200493737Y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156633B1 (ko) 약액 주입기
CN213759978U (zh) 一种新型的美容针
KR102428086B1 (ko) 화장품을 가이드 유로인 헤드부에 금속 미세바늘 플레이트가 결합된 피부 자극기
KR20200068219A (ko) 볼러스 카운터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KR20200059958A (ko)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KR102268926B1 (ko) 볼러스 카운터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