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552A - 포충기 - Google Patents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552A
KR20180134552A KR1020170072412A KR20170072412A KR20180134552A KR 20180134552 A KR20180134552 A KR 20180134552A KR 1020170072412 A KR1020170072412 A KR 1020170072412A KR 20170072412 A KR20170072412 A KR 20170072412A KR 20180134552 A KR20180134552 A KR 20180134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adhesive sheet
attract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066B1 (ko
Inventor
엄훈식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2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066B1/ko
Priority to PCT/KR2018/006515 priority patent/WO2018226062A1/ko
Publication of KR20180134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포충기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일측에 제공된 포충용 점착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점착 시트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제공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받아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정도로 외부로 제공하는 유인 패턴, 및 상기 베이스 상에 제공된 점착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충기{INSECT TRAP}
본 발명은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광원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 및 점착하여 포충하는 점착형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리, 모기, 나방 등과 같은 날아다니는 해충은 여러 가지 병균을 옮기는 전염체로서 인체나 농작물에 직, 간접적으로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이러한 해충을 없애기 위해서 각종 농약이나 살충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인체에 유해하고 생태계 불균형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그 대안으로 생분해성 살충제의 개발과 성적 유인물인 페로몬 또는 천적을 이용한 퇴치법 및 유인살충 등의 많은 방법이 연구되었다.
상기 유인살충의 예로서, 해충의 습성상 주변보다 밝은 빛으로 이동하는 양성 주광성을 이용하여 본체 내부에 적외선 히터램프를 장착하여 그 히터램프 측으로 유인된 해충을 히터램프의 열에 의해 감전시키도록 하는, 소위 전격 살충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격 살충기는 고전압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력이 많이 소비되는 동시에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해충이 감전될 때 소음과 악취가 발생하고, 해충에 묻은 오염물질 또는 그 파편이 비산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포충 효율이 높은 포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일측에 제공된 포충용 점착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점착 시트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제공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받아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정도로 외부로 제공하는 유인 패턴, 및 상기 베이스 상에 제공된 점착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은 상기 광을 반사하거나 상기 광을 흡수한 후 다른 파장의 광으로 출사하는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재료는 상기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밀도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은 복수 개의 스팟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팟의 개수는 상기 영역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팟의 크기는 상기 영역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은 상기 유인 패턴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된 가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스팟, 적어도 하나의 라인, 또는 복수 개의 스팟과 복수 개의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팟 및 상기 라인은 상기 베이스에서의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밀도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은 클러스터(cluster)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은 복수 개로 제공될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들은 상기 베이스 상에 랜덤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들은 상기 베이스 상에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은 자외선 및 가시광선 중 적어도 한 대역의 광을 반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베이스 상에 제공되고, 상기 유인 패턴은 상기 점착층 상에 제공되거나, 상기 유인 패턴은 상기 베이스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유인 패턴 상에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유인 패턴은 상기 점착층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점착 시트를 수용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점착 시트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충기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의 광량 및 상기 유인 패턴에 의해 반사된 광량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광량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충기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광량 센서에서 감지된 광량에 따라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점착 시트 중 적어도 하나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교체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충기는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를 갖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광원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점착 시트와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양 면을 갖는 판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양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헤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검은 색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대상 곤충용 유인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충 효율이 높은 포충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광원부의 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광원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의 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에 있어서, 유인 패턴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점착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포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점착 시트는 포충기에 장착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곤충을 유인하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부(170), 광원부(170)의 일측에 제공된 포충용 점착 시트(140), 광원부(170)와 점착 시트(140)를 수용하는 본체(110), 및 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곤충이 이동될 수 있는 통공(121)을 갖는 커버(120)를 포함한다.
광원부(170)는 곤충이 유인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한다. 곤충에 따라 유인되는 광의 파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광원부(170)는 곤충이 유인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며, 곤충에 따라 유인되는 광의 파장이 다를 경우 파장을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곤충을 포충할 수 있다.
점착 시트(140)는 광원부(170)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된다. 점착 시트(140)는 곤충을 포획하기 위한 점착층(141)을 포함한다. 점착 시트(140)는 곤충이 최대한 용이하게 포획될 수 있도록 노출되는 면이 넓도록 시트의 형태, 즉,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점착 시트(140)는 베이스(142), 베이스(142) 상에 제공되며 광원(172)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받아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정도로 외부로 제공하는 유인 패턴(143)과, 베이스(142) 상에 제공된 점착층(141)을 포함한다. 점착 시트(140)는 광원부(170)로부터 출사된 광을 받아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정도로 외부로 제공한다.
본체(110)는 광원부(170)와 점착 시트(140)를 수납한다. 본체(110)는 광원부(170)와 점착 시트(140)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전방이 개구된다. 광원부(170)와 점착 시트(140)는 내부 공간 내에 다양한 방식으로 수납될 수 있다. 본체(110)는 광원부(170)가 장착되는 광원 장착부(130)를 가질 수 있으며, 광원부(170)는 광원 장착부(130)에 의해 본체(110)에 장착된다.
본체(110)는 일측에 점착 시트(140)가 본체(110)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구(113)를 가질 수 있다. 점착 시트(140)는 삽입구(113)를 통해 직립하여 상하 슬라이드 방식 또는 좌우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구(113)는 점착 시트(140)가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113)의 적어도 일측에는 점착 시트(140)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111)이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홈(111)은 점착 시트(140)의 가장자리부가 끼워져 고정되되 점착 시트(140)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점착 시트(140)의 두께에 대응하는 소정 거리에 해당하는 두께로 형성된다. 가이드 홈(111)은 점착 시트(140)의 점착층(141)과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113)는 개방된 구조이거나 또는 도어(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도어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삽입구(113)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거나 개방시킬 수 있다
본체(110)는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본체(110)에 수용되는 광원(172)과 점착 시트(140)의 형상에 따라 이에 대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 시트(140)가 장변과 단변을 갖는 사각 판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점착 시트(140)가 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체(110)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동시에 제조 단가를 크게 높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용되는 플라스틱계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커버(120)는 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본체(110)에 장착되는 경우 본체(110)의 개구된 전방을 커버(120)한다. 커버(120)에는 곤충이 유입될 수 있는 통공(121)이 제공된다.
커버(120)는 통공(121)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는 통공 가림막(122)을 가질 수 있다. 통공 가림막(122)은 통공(121)의 적어도 일부를 가릴 수 있는 것이라면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공 가림막(122)은 커버(120)와 일체형이거나 또는 커버(120)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분리형일 수 있다. 통공 가림막(122)는 커버(120)에서 연장되어 본체(110)쪽으로 오목한 형태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통공 가림막(122)이 커버(120)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된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통공 가림막(122) 부분은 커버(120)의 다른 부분과 분리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통공 가림막(122)과 커버(120)의 나머지 부분은 분리되지 않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공(121)의 면적을 최대화 하여 해충의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통공 가림막(122)이 커버(1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별도의 부피를 차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포충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커버(120)는 본체(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본체(110)를 커버(120)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120)는 평면상에서 볼 때 본체(110) 내부의 광원부(170)와 점착 시트(140)와 중첩되어 광원부(170)와 점착 시트(140)를 가릴 수 있도록 양 면을 갖는 판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커버(1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120)는 광원부(170)로부터 출사된 광 및 점착 시트(140)를 거쳐 제공되는 광이 외부로 진행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일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커버(120)는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광의 전부 또는 일부를 투과시키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커버(120)은 광원부(170)로부터 출사된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시키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120)는 투명, 일부 투명 및 유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커버(120)가 일부 투명 또는 유색일 수 있다. 이 경우, 포집된 해충이 외부에서 육안으로 직시되어 사용자에게 혐오감을 주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120)는 광원(172)으로부터 또는 광원(172)으로부터 점착 시트(140)를 거쳐서 제공되는 광이 투과되는 부분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Methacrylate-Styrene; M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120)는 광원(172)으로부터 출사된 광 및 점착 시트(140)를 거쳐 제공되는 광을 굴절, 산란, 및/또는 분산시킬 수 있도록, 양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요철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120)는 양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헤이즈(haze)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커버(120)는 본체(110)에서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 환경에 따라 커버(120)의 배치 형태를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120)는 슬라이딩 이동으로 본체(110)에서 탈착되거나 또는 자석을 이용하여 본체(110)로부터 탈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커버(120)를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과도한 힘을 줌으로써 점착 시트(140) 등 포충기에 설치된 구성 부품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커버(120)는 본체(110)와 신축성 소재의 고리, 체인, 끈 등으로 연결되거나 커버(120)의 일 측은 본체(110)와 고정되되 커버(120)의 타 측이 본체(110)와 탈착될 수 있는 형태를 채용함으로써, 커버(120)와 본체(110)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곤충은 광원부(170)로부터 출사된 광에 유인되며, 커버(120)의 통공(121)을 통해 본체(110) 내부 공간 내로 들어갈 수 있다. 본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간 곤충은 내부 공간 내에서 움직이다가 배치된 점착 시트(140)에 포획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광원부(170), 점착 시트(140), 본체(110), 및 커버(120)에 대해 순차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7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광원부(170)의 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광원부(170)는 곤충을 유인하는 광을 출사하는 것으로 면광원 형태 및/또는 점광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부(170)는 점광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광원부(170)는 기판(171), 광원(172), 기판(171) 및 광원(172)을 보호하는 보호관(174)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71)은 소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기판(171) 상에는 복수 개의 광원(172)이 소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광원(172)이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광원(172)은 일 직선을 따라 제공되거나, 지그재그 형상을 따라 제공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광원부(170)는 곤충의 종류에 따라 가시광선 내지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곤충은 습성상 양성 주광성을 갖는 곤충일 수 있다. 광원부(170)는 양성 주광성을 갖는 곤충이 선호하는 파장 대역, 예를 들어,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광원부(170)로부터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이 출사되는 경우, 광의 파장은 약 350nm 내지 약 400nm일 수 있다. 광원부(170)가 복수 개의 광원들(172)을 포함하는 경우, 각 광원(172)은 동일한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거나,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광원(172)은 모두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광원들(172)은 자외선 파장 대역 중 일부를 출사하고, 나머지 광원들(172)은 자외선 파장 대역 중 다른 파장 대역의 일부를 출사할 수 있다. 일 예로, 일부 광원들(172)은 약 350 nm 내지 약 400 nm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할 수 있으며, 나머지 광원(172)은 이와 다른 파장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광원들(172)이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을 갖는 경우, 광원들(172)은 다양한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광원(172)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파장은 곤충을 유인하기 위한 파장 대역에 더해, 곤충이나 세균을 살균 또는 불활성화시키는 파장 대역의 광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경우, 포충기 내부에 곤충이 포획되는 바, 이러한 곤충 사체 등으로 인한 세균의 증식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살균 기능을 갖는 광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은(172)는 자외선 C 파장 대역인 약 100 nm 내지 280 nm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 할 수 있다.
광원(172)은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보호관(174)은 기판(171)과 광원들(172)을 보호한다. 보호관(174)은 투명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며, 광원들(172)과 기판(171)을 보호함과 동시에 광원들(172)로부터 출사된 광을 투과시킨다. 보호관(174)은 상술한 기능을 만족하는 한, 다양한 재료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재료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보호관(174)은 석영이나 고분자 유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분자 유리 재료의 경우, 모노머의 종류, 성형 방법, 조건에 따라 흡수/투과시키는 파장이 다르기 때문에 광원들(172)으로부터 출사되는 파장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PVA),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저밀도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과 같은 유기 고분자는 자외선은 거의 흡수하지 않으나, 폴리에스테르(polyester)와 같은 유기 고분자는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다.
보호관(174)은 기판(171)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긴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양측이 개구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보호관(174)의 개구된 부분에는 보호관(174)의 양측을 덮는 캡(175)이 제공될 수 있다. 양측에 제공된 캡(175)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배선을 외부로 뽑기 위한 개구가 제공될 수 있다. 캡(175)의 외부로는 기판(171)에 연결되어 광원들(172)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배선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관(174)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관(174)은 일측이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보호관(174)의 일측에 캡(175)이 제공될 수 있다. 일측에 캡(175)이 형성된 경우, 일측의 캡(175)을 통해 광원들(172)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배선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부(170)는 일 방향으로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71)의 일면 상에 광원들(172)이 제공된 경우, 광원들(172)이 제공된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주로 광이 출사될 수 있다. 그러나, 광원부(170)가 출사하는 광의 방향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광원부(17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광원부(170)는 적어도 한 개의 기판(171)과 기판(171) 상에 실장된 복수 개의 광원들(172)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하나의 기판(171) 상에 복수 개의 광원들(172)이 제공될 수 있으며, 광원들(172)은 기판(171)의 양면 상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즉, 기판(171)이 전면과 배면을 갖는 경우, 광원들(172)은 기판(171)의 전면에도 제공되고 배면에도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부(170)는 기판(171)의 전면 방향과 배면 방향 모두로 광을 출사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71)이 하나로 제공되며, 그 기판(171)의 양면에 광원들(172)이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광원부(170)를 이룬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광원부(170)가 제공될 수도 있다. 즉, 기판(171)과 그 기판(171) 일 면에 광원들(172)이 배열된 광원부(170)가 두 개로 준비될 수 있으며, 그 두 개의 기판(171)의 배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부착됨으로써 양면 방향으로 광이 출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b및 도 4c를 참조하면, 광원부(170)의 기판(171)은 광이 다양한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b의 경우 기판(171)의 단면이 삼각형을 갖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며, 도 4c의 경우 기판(171)의 단면이 사각형을 갖는 경우를 도시하였는 바, 도 4b및 도 4c의 기판(171)은 전체적으로 삼각 기둥과 사각 기둥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들(172)은 각 삼각 기둥과 사각 기둥의 측면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각 측면들로부터 광이 출사됨으로써 일 방향이 아닌 다양한 방향으로 광이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기판(171)이 삼각 기둥이나 사각 기둥을 갖는 하나의 기판(171)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평판 형상을 갖는 광원부(170)를 복수 개 이용하여 삼각 기둥이나 사각 기둥 형상으로 조립함으로써 삼각 기둥형, 사각 기둥형 광원부(170)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광원부(170)의 단면이 직선형, 삼각형, 사각형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광원부(170)가 원형이나 다각형을 가질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광원부(170)가 한 벌로 제공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원부(170)는 두 벌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 광원부(170)에 제공된 개별 광원(172)의 개수 또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술한 실시예의 도 2에서는 광원부(170)가 점착 시트(140)를 가로지르며 장변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광원부(170)가 단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거나, 점착 시트(140)의 가장자리 측에 배치되거나, 점착 시트(140)의 한 변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 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더해, 광원부(170)의 배치 시, 점착 시트(140)와 수직한 전면 방향, 점착 시트(140)과 평행한 측면 방향, 점착 시트(140)에 비스듬한 경사 방향 등으로 광이 진행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부(170)로부터 출사된 광에 유인된 곤충들을 포획하는 점착 시트(140)가 광원부(170)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바,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4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점착 시트(140)는 광원부(170; 도 2 참조)의 적어도 일측, 예를 들어, 광원부(170)의 배면 측에 제공될 수 있다. 점착 시트(14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면 측이나 측면 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부(170)로부터 출사된 광이 외부로 진행할 수 있도록, 점착시트(140)은 광원부(170)의 일부만을 가리거나, 일부 투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점착 시트(140)는 베이스(142), 베이스(142) 상에 제공되며 광원부(170)로부터 출사된 광을 받아 외부 방향으로 광을 제공하는 유인 패턴(143), 및 베이스(142) 상에 제공되며 곤충을 포획하기 위한 점착층(141)을 포함한다.
베이스(142)는 전체적인 점착 시트(140)의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판상으로 제공된다. 점착 시트(140)의 평면상에서의 형상은 장변과 단변을 갖는 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충기의 전체적인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베이스(142)는 그 상면에 유인 패턴(143) 및 점착층(141)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종이, 고분자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분자 수지의 예로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riacetate cellulos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층(141)은 베이스(142)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층(141)은 곤충이 접촉하는 경우 점착층(141)에 부착되어 다시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점착력을 가진다. 따라서, 점착층(141)의 접착 정도는 접촉시 물리/화학적으로 계면이 분리되지 않는 접착뿐만 아니라, 탈리가 가능한 점착을 포함한다. 다만, 점착 시트(140)의 장착시 다른 구성 요소와 잘못 접촉했을 때 다른 구성 요소가 분리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일정한 힘을 가하면 분리가 가능하되 곤충의 경우는 다시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점착력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점착층(141)은 합성 접착제, 천연 점착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합성 접착제로는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부텐계 점착제, 폴리아이소부틸렌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점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 점착제로는 천연 고무나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점착층(141)은 투명, 일부 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점착층(141)의 재료는 특정 파장의 광을 흡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자외선과 같은 특정 파장의 광을 흡수하는 재료도 무방하다.
점착층(141)은 베이스(142)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점착 시트(140)가 본체(110)에 장착될 때 다른 구성 요소와 점착층(141) 간의 접촉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점착층(141)이 가장자리에 제공되지 않음으로써 점착 시트(140)를 본체(110)에 슬라이드 삽입할 때, 점착층(141)과 가이드 부채와의 접촉이 최소화된다. 이에 따라, 점착 시트(140)가 용이하게 본체(11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점착층(141)과 다른 구성 요소와의 접촉이 크게 문제되지 않는 경우에는 점착층(141)이 베이스(142)의 전면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층(141)에는 점착 기능을 하는 재료 이외에도 다양한 첨가제가 추가될 수 있다. 첨가제로는 곤충의 유인제(예를 들어, 페로몬), 살균제, 산화 방지제, 증점제, 향료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점착층(141)에는 자외선 차단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자외선 차단제가 포함되는 경우, 자외선에 의한 점착층(141)의 변성이 방지될 수 있다.
유인 패턴(143)은 점착층(141) 상에 제공된다. 유인 패턴(143)은 광원부(170)로부터의 광을 받아 외부로 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인 패턴(143)은 광원부(170)로부터 출사된 광을 곤충이 용이하게 유인되도록 영역에 따라 다양한 강도로 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인 패턴(143)은 광 반사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원부(170)로부터 출사된 광의 일부를 외부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유인 패턴(143)은 형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원부(170)로부터 출사된 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다른 파장의 광으로 변환하여 외부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다.
유인 패턴(143)이 반사나 형광을 통해 제공하는 광의 유인 패턴(143)으로부터 제공된 광은 자외선이나 가시광선 파장 대역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자외선 파장 대역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유인 패턴(143)의 파장대역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곤충에 따라, 곤충이 반응하는 파장 대역 내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반사 물질이나 형광 물질은 분말 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고분자 수지와 혼합된 형태로 성막될 수 있다. 광반사 물질로는 입경이 작은 무기 충전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기 충전제로는 황산바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탄산칼슘, 염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이산화티탄, 알루미나, 실리카, 탈크, 제올라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형광 물질로는 황화물계 형광체, 산화물계 형광체, 질화물계 형광체, 불화물계 형광체 등으로부터, 형광체의 종류, 흡수 대역, 발광 대역 등에 따라,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무기 충전제나 형광체 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인 패턴(143)은 점착층(141)의 일부 영역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인 패턴(143)은 베이스(142) 상의 일부 영역 상에 제공되며, 다른 일부 영역에는 유인 패턴(143)이 제공되지 않는다. 유인 패턴(143)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인 패턴(143)을 이루는 재료, 예를 들어, 반사 물질이나 형광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스팟(spot)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개별적인 스팟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형일 수 있다. 유인 패턴(143)은 곤충이 보았을 때 곤충이 선호하는 형상, 예를 들어, 꽃이나 음식의 형상을 가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유인 패턴(143)은 스팟들이 꽃과 같은 형상으로 보일 수 있도록 소정 영역 내에 군집하는 클러스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유인 패턴(143)은 곤충이 쉽게 유인되는 형상을 갖도록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밀도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밀도는 베이스(142)의 단위 면적당 또는 단위 부피당 유인 패턴 재료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유인 패턴(143)이 제공되는 영역을 제1 영역(A1)이라고 하고, 유인 패턴(143)이 제공되지 않는 영역을 제2 영역(A2)이라고 하면, 제1 영역(A1)은 서로 이격된 형태로 베이스(142) 상에 배치된다. 제1 영역(A1)은 베이스(142) 상에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a에서는 행과 열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제1 영역(A1)이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행 방향을 따라, 또는 열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행이나 열 방향은 베이스(142)의 가장자리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인 패턴(143)은 복수 개의 제1 영역(A1) 내에서 각각이 균일한 밀도를 갖는 것은 아니며, 서로 이격된 제1 영역(A1)들 사이에서도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인 패턴(143)이 복수 개의 스팟으로 이루어진 경우, 스팟의 배치가 제1 영역(A1) 내에서도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있어서, 제1 영역(A1) 중 어느 하나를 살펴보면, 제1 영역(A1) 내에 제공된 스팟은 제1 영역(A1)의 중심부에서 개수가 많고 주변부로 갈수록 개수가 작아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제1 영역(A1) 내의 스팟들의 밀도는 유인 패턴(143) 내 중심부와 주변부가 서로 다른 정도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유인 패턴(143)에 있어서 스팟들의 밀도는 제1 영역(A1)의 중심이 가장 높으며 바깥 쪽인 제2 영역(A2) 쪽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스팟들 내에 포함된 반사 재료나 형광 재료의 양이 각 스팟마다 동일한 농도로 제공된 경우가 도시되었으며, 스팟들은 동일한 검정색 점으로 도시되었다. 이에 따라, 스팟의 개수에 따라 전체적인 유인 패턴의 밀도가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반사 재료나 형광 재료의 농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영역에 따라 동일한 개수의 스팟을 형성하되, 개별적인 스팟이 서로 다른 농도로 반사 재료나 형광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팟의 개수보다는 스팟 자체의 재료의 농도에 따라 유인 패턴의 밀도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인 패턴(143)의 밀도가 영역을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곤충의 유인 확률이 높아진다. 곤충의 경우 자연에 있는 패턴 중에서, 꽃과 같이 중심부쪽으로 소정 물질(예를 들어, 꿀)의 밀도가 높은 패턴에 더욱 쉽게 유인된다. 이에, 본 발명의 유인 패턴(143) 또한 자연 상에 있는 패턴에 대응하여 곤충을 속임으로써 더욱 쉽게 곤충을 포획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포충기 내부에서 점착 시트(140)의 유인 패턴(143)에 의해 반사되거나 변환된 광을 따라 포집된 곤충이 본체(110) 내부를 배회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곤충, 특히 파리는 광이 직접 조사되는 경우 보다 빛이 굴절 또는 확산되는 경우에 유인 효율이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광원(172)에서 조사된 광이 유인 패턴(143)에 의해 반사 또는 변환되도록 함으로써, 곤충의 광 유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점착 시트(140), 점착층(141), 및/또는 유인 패턴(143)은 다양한 컬러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 시트(140), 점착층(141), 및/또는 유인 패턴(143)곤충의 유인 확률을 높이기 위해 컬러를 가질 수 있다. 곤충이 파리인 경우 점착 시트(140), 점착층(141), 및/또는 유인 패턴(143)은 파리의 유인 확률이 높은 컬러, 예를 들어, 적색으로 착색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사용자에게 곤충의 포획 정도가 곧바로 시인되지 않도록 점착 시트(140), 점착층(141), 및/또는 유인 패턴(143)은 어두운 색, 예를 들어, 검은색으로 착색될 수 있다.
상술한 점착 시트(140)는 베이스(142) 기판(171)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점착층(141) 및 유인 패턴(143)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4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40)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의 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술한 실시예들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40)에는 유인 패턴(143)이 점착층(141) 상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142)와 점착층(14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층(141)은 광원(172)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점착층(141)을 통과하여 유인 패턴(143)에 의해 반사되거나 특정 파장으로 형광 변환된 후 외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투명하거나 일부 투명할 수 있다.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점착 시트(140)에는 유인 패턴(143)이 점착층(141) 상이나 베이스(142) 상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점착층(141)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점착층(141a)을 먼저 형성한 후 유인 패턴(143)을 형성하고, 다시 유인 패턴(143) 상에 상부 점착층(141b)을 더 도포함으로써 점착층(141) 내에 유인 패턴(143)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141) 내에 유인 패턴(143)을 이루는 재료를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농도가 되도록 형성하는 방식으로 점착층(141) 내에 유인 패턴(143)을 제조할 수 있다. 점착층(141) 내에 포함된 유인 패턴 재료들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스팟의 형태로 시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착층(141) 내에서 제1 영역(A1)에는 유인 패턴 재료가 소정의 농도로 제공되며 제2 영역(A2)에는 유인 패턴 재료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A1) 내에서도 유인 패턴 재료의 농도는 유인 패턴(143) 내 중심부와 주변부가 서로 다른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인 패턴 재료가 점착층(141) 내에 포함되는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유인 패턴 재료의 양에 따라 점착층(141)의 두께가 더 두꺼워지거나 얇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인 패턴 재료의 농도가 높은 영역은 농도가 낮은 영역보다 점착층(141)이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와 같은 실시예들의 경우, 유인 패턴(143)이 점착층(141)의 상면에 형성되지 않고 하부에 형성되므로 점착층(141)의 상면을 가리는 부분이 제거됨으로써 점착층(141)의 점착력이 향상된다. 그 결과, 곤충의 포집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점착층(141)은 광원(172)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점착층(141)을 통과하여 유인 패턴(143)에 의해 반사되거나 특정 파장으로 형광 변환된 후 외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투명하거나 일부 투명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와 같은 실시예들의 경우, 점착층(141)의 재료는 특정 파장의 광을 흡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자외선과 같은 특정 파장의 광을 흡수하는 재료로 사용된 경우, 유인 패턴(143)에 특정 파장의 광이 반사되거나 변환되기 전에 점착층(141)에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의 경우 곤충의 선호 파장을 고려하여 그 파장을 흡수하지 않는 점착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40)에 있어서, 유인 패턴(143)은 다양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40)에 있어서, 유인 패턴(143)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40)에서는 유인 패턴(143)이 제공된 제1 영역(A1)이 랜덤하게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유인 패턴(143)이 랜덤하게 배치됨으로써 실제 자연에서의 사물의 배치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40)에서는 유인 패턴(143) 내의 스팟들의 크기가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팟의 크기는 동일하되 소정 방향에 따라 유인 패턴(143) 내의 스팟의 개수가 달라짐으로써 유인 패턴(143)의 밀도가 달라지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도 7a의 실시예에서는 스팟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을 도시하였다. 제1 영역(A1) 내의 스팟들은 직경이 소정 방향, 예를 들어, 제1 방향(D1)을 따라 점점 커지다가 다시 작아진다. 특히, 전체적으로 볼 때 제1 영역(A1) 내의 스팟들은 제1 영역(A1)의 중심부로부터 제2 영역(A2)쪽, 즉, 바깥쪽으로 갈수록 스팟들의 크기가 작아지며, 이에 따라, 유인 패턴(143)의 면적이 바깥쪽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40)에서는 스팟들과 같은 형태가 아니더라도 곤충을 속일 수 있는 패턴이라면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c에서는 소정 방향에 따른 패턴의 밀도를 달리 형성하기 위해 서로 다른 두께의 선을 다양하게 배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의 밀도 차이를 주기 위해 제1 방향(D1)과, 제1 방향(D1)에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선들을 이용하였으나, 선들의 연장 방향이나, 선들의 개수, 선들의 길이, 선들의 두께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40)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유인 패턴(143)이 조합될 수 있는 바, 스팟들과 선들이 배치된 것을 도시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들로 이루어진 제1 영역(A1)과 스팟들로 이루어진 제1 영역(A1)이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혼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선들과 스팟들은 베이스(142)에서의 어느 영역에 배치되느냐에 따라 서로 다른 밀도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40)에서는 유인 패턴(143)이 상기 유인 패턴(143)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된 가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스팟들 이외에도 이러한 방사형 패턴들은 사용함으로써 자연에서의 꽃과 유사한 형태로 유인 패턴(14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40)에서는 유인 패턴(143)이 제1 영역(A1) 내에서도 서로 다른 농도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인 패턴(143)이 제공되는 제1 영역(A1)은 복수 개의 서브 영역들을 가질 수 있으며, 각 서브 영역마다 유인 패턴(143)의 농도는 서로 달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A1)이 세 개의 서브 영역, 즉, 제1 내지 제3 서브 영역(A1a, A1b, A1c)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며, 제1 내지 제3 서브 영역(A1a, A1b, A1c)는 중심부로부터 주변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인 패턴(143)은 각 서브 영역 내에서 서로 다른 농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중심부로부터 주변부로 갈수록 농도가 더 낮아질 수 있다. 즉, 유인 패턴(143)은 제1 서브 영역(A1a)에 가장 높은 농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및 제3 서브 영역(A1b, A1c)에 순차적으로 낮은 농도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유인 패턴(143)의 각 서브 영역에 따른 농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순서와 상관없이 다양한 조합으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점착층(141)과 유인 패턴(143)이 평면상에서 볼 때 중첩하는 형태로 제공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점착 시트(14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점착층(141)은 베이스(142) 상의 일부 영역 상에 제공되며, 유인 패턴(143)은 점착층(141)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일부 영역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착층(141)과 유인 패턴(143)이 중첩하는 경우보다 곤충에 대한 유인 효과가 적을 수는 있을 것이나, 점착층(141)이나 유인 패턴(143)의 재료 및 제조 방법 등의 문제로 인해 점착층(141)과 유인 패턴(143)이 중첩하도록 형성하기 어려울 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40)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바,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4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점착 시트(140)의 일측으로부터 손잡이(145)가 소정 길이로 돌출된다. 손잡이(145)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점착 시트(140)를 파지하여 포충기의 본체(110) 내부로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145)로 인해 사용자의 점착 시트(140) 교체가 용이해진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시트(140)는 곤충을 일정 정도 이상 포획하거나, 시간이 소요된 후 교체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시트(140)는 교체가 가능한 소모품으로써 별개로 제조 판매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 시트(140)의 상면에는 이형 시트(미도시)가 제공되며, 포충기의 본체(110)에 장착할 때 이형 시트를 제거한 후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점착 시트 이외의 구성 요소, 예를 들어, 본체와 커버 등이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부가 기능을 하는 구성 요소가 추가 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110)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본체(110)는 점착 시트(미도시)가 본체(110) 내로 안내되는 가이드레일(114)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레일(114)은 가이드 홈(111)으로 안내되어 삽입된 점착 시트가 본체(110)와 점착되지 않도록 점착 시트의 이동 방향을 안내한다. 또한 가이드레일(114)은 점착 시트의 가장자리부가 끼워져 고정될 때 점착 시트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점착 시트의 두께에 대응하는 소정 거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점착 시트의 점착층(141)이 본체(110)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길이에 해당되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b 및 도 10c를 참조하면, 본체(110)는 점착 시트 지지부(120)를 가질 수 있다. 점착 시트 지지부(120)는 본체(110)에 삽입된 점착 시트가 본체(110)와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점착 시트를 지지 또는 고정할 수 있다.
도 10d를 참조하면, 본체(110) 및 점착 시트에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상호 대향되는 극성을 갖는 자석부재(160)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점착 시트에 제공된 자석 부재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점착 시트에도 자석 부재가 제공되며, 사용자가 점착 시트를 본체(110)에 설치한 후 포충기를 설치 환경에 따라 회전시키더라도 점착 시트가 본체(11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e를 참조하면, 본체(110)에는 광원부(170)를 고정하는 날개부(3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날개부(315)에는 센서(313) 및/또는 표시부(314)가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센서(313) 및/또는 표시부(314)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센서(313)의 경우 광원부(170) 내의 기판 상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표시부(314)의 경우 본체(110)의 외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센서(313)는 점착 시트에 포집된 해충의 종류, 점착 시트에 해충이 포집된 면적, 점착 시트의 명암, 광원부(170) 주변의 온도, 광원부(170)에서 조사되는 광의 광도, 포충기 주변 광의 조도, 점착 시트의 삽재 여부, 커버의 탈착 여부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313)는 광원부(170)에서 조사되는 광의 광량이나, 점착 시트의 유인 패턴을 통해 제공되는 광의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 시트의 유인 패턴을 통해 제공되는 광의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 센서의 경우, 포충량이 많을 경우 포충시의 개체수 증가에 따라 광량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광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포충된 곤충의 개체수 파악이 가능할 수 있다.
표시부(314)는 센서(313)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광원부(170)의 교체 알람, 점착 시트의 삽재 여부, 커버의 탈착 여부 등의 각종 정보를 사용자가 시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일 예로, 표시부(314)는 광량 센서에서 감지된 광량에 따라 광원부 및/또는 점착 시트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표시부(314) 대신, 또는 표시부(314)와 함께 소리발생기(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각종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센서는 포충기 주변 광의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도센서에는 상기 주변 광의 조도범위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주변 광의 조도 범위에 따라 광원부(170)의 광도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포충기는 광원부(170)의 광도조절부(미도시)를 추가로 갖고, 상기 조도 범위에 따라 바람직한 광원부(170)의 광도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광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포충기는 광원부(170)에서 해충의 광 유인 효율에 적합한 세기의광이 조사되도록 제어하여 효율적인 전력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포충기는 온도센서(도면에 미도시)를 더 가질 수 있고, 상기 온도센서는 포충기에 실장된 광원부(170)에서 발생하는열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한 온도 보다 높아지는 경우 광원부(17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포충기는 점착 시트의 삽재 여부, 커버의 탈착 여부를 감지하는 마그네틱 센서를 가질 수 있고, 점착 시트가 불완전하게 삽재되거나 커버가 본체(110)에 불완전하게 부착된 경우 사용자에게 전술한 바와 같이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포충기는 리미트 센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리미트 센서는 점착 시트가 삽재되거나, 커버가 본체(110)에 부착되는 경우 광원부(170)에 전력을 공급하고, 점착 시트가 불완전하게 삽재되거나 커버가 본체(110)에 불완전하게 부착된 경우 광원부(170)에 전력을 차단하거나 사용자에게 전술한 바와 같이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포충기는 내부로 해충의 유입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가질 수 있고, 해충이 포충기 내로 유입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전술한 바와 같이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후술할 포집된 해충을 관찰할 수 있는 카메라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20)는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체(110)의 전방에 탈착이 가능하게 마련되되, 적어도 일부에 곤충이 유입될 수 있는 통공(121)을 가질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커버(120)는 통공(121)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는 통공 가림막(122)을 가질 수 있다. 통공 가림막(122)은 통공(121)의 적어도 일부를 가릴 수 있는 것이라면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통공 가림막(122)은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도출된 형태일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커버(120)가 통공(121)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는 통공 가림막(122)을 가지되, 본체(110)의 내부를 향하는 오목한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공 가림막(122)은 커버(120)와 일체형일 수 있고, 통공(121)은 오목한 형태의 통공 가림막(122)에 의해 형성된 커버(120)의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포충기는 통공 가림막(122)을 가짐으로써 통공(121)을 통해 외부에서 점착 시트가 보이지 않도록 시야를 가려주어 점착 시트에 점착되어 포집된 해충이 관찰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통공 가림막(122)이 커버(1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별도의 부피를 차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포충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커버(120)의 후방, 본체(110)의 전방 또는 측방, 점착 시트 등에 코팅 또는 접착된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거나, 별도로 장착되며 광촉매 물질이 포함된 광촉매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광촉매 재료는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촉매 반응을 일으키는 재료로서, 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등을 들 수 있다. 광촉매는 광촉매를 구성하는 재료에 따라 다양한 파장 대역의 광에 반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파장 대역의 광 중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에 광촉매 반응을 일으키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광촉매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부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따라 동일하거나 유사한 메커니즘을 갖는 다른 광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광촉매는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되어 화학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광촉매와 접촉하는 유체 내의 각종 오염 물질, 세균 등을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분해시킨다. 이러한 광촉매 반응을 이용하면 유체를 살균, 정화, 탈취 처리 등을 할 수 있다. 특히 살균의 경우, 균 세포내의 효소와 호흡계에 작용하는 효소 등을 파괴시켜 살균 또는 항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막고, 이들이 내놓는 독소도 분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에는 커버(120)의 후방, 본체(110)의 전방 또는 측방, 점착 시트 등에 티타늄 산화물(TiO2)이 포함될 수 있다. 티타늄 산화물은 커버(120) 등의 표면에 별도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커버(120)를 제조할 때 그 재료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티타늄 산화물에 자외선이 조사될 때에는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며, 상기 이산화탄소에 의해 곤충이 유인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포충기는 광원 장착부의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제어하는 스위치(도면에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전력 공급원의 설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포충기는 사용자가 점착 시트에 포집된 해충을 관찰할 수 있는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카메라는 줌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포충기에 장착된 통신모듈에 신호를 송신하여 원격에서 카메라를 움직이거나, 줌 기능을 사용하고 포충기에 포집된 해충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포충기는 사용자가 해충의 포집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점착 시트에 포집된 해충이 차지하는 면적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가설치될 수 있고, 상기 센서에 의해 해충의 포집 여부가 검출되거나 또는 미리 입력된 면적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있다. 일 예로, 상기 센서는 점착 시트의 명암을 감지하는 명암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명암센서는 해충이 점착된 영역과 점착되지 않은영역의 명암의 대비를 통해 해충의 포집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포충기는 유인제 분사장치(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하거나 점착 시트에 해충의 유인물질이 포함되어, 해충의 유인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곤충, 특히 파리는 광이 직접 조사되는 경우 보다 빛이 굴절 또는 확산되는 경우에 유인 효율이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전술한 포충기는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굴절 또는 확산시켜 광유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의 표면이 요철처리 되거나, 별도의 확산필름이 부착 또는 코팅되거나, 확산제가 도포 또는 코팅될 수 있으며, 커버(120)의 상기 외면은 커버 내면 및 표면을 모두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 별도의 확산필름이 부착 또는 코팅되거나, 확산제가 도포 또는 코팅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10: 본체 120: 커버
130: 광원 장착부 140: 점착 시트
141: 점착층 142: 베이스
143: 유인 패턴 170: 광원부

Claims (25)

  1.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일측에 제공된 포충용 점착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 시트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제공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받아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정도로 외부로 제공하는 유인 패턴; 및
    상기 베이스 상에 제공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포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은 상기 광을 반사하거나, 상기 광을 흡수한 후 다른 파장의 광으로 출사하는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재료는 상기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밀도로 제공되는 포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은 복수 개의 스팟을 포함하고,
    상기 스팟의 개수는 상기 영역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포충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은 복수 개의 스팟을 포함하고,
    상기 스팟의 크기는 상기 영역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포충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은 상기 유인 패턴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된 가지들을 포함하는 포충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스팟, 적어도 하나의 라인, 또는 복수 개의 스팟과 복수 개의 라인들을 포함하는 포충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팟 및 상기 라인은 상기 베이스에서의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밀도로 제공되는 포충기.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은 클러스터(cluster)로 제공되는 포충기.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은 복수 개로 제공된 포충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들은 상기 베이스 상에 랜덤하게 배치된 포충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들은 상기 베이스 상에 규칙적으로 배치된 포충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은 자외선 및 가시광선 중 적어도 한 대역의 광을 반사하는 포충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베이스 상에 제공되고, 상기 유인 패턴은 상기 점착층 상에 제공된 포충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은 상기 베이스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유인 패턴 상에 제공된 포충기.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패턴은 상기 점착층 내에 제공된 포충기.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점착 시트를 수용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점착 시트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갖는 포충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의 광량 및 상기 유인 패턴에 의해 제공된 광의 광량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광량 센서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광량 센서에서 감지된 광량에 따라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점착 시트 중 적어도 하나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교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를 갖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광원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점착 시트와 이격된 포충기.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양 면을 갖는 판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양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헤이즈를 갖는 포충기.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검은 색으로 제공되는 포충기.
  2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대상 곤충용 유인제를 포함하는 포충기.
  24.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제공되며 외부로부터 수신된 광을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정도로 제공하는 유인 패턴; 및
    상기 베이스 상에 제공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포충기용 점착 시트.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상에 제공된 이형 시트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용 점착 시트.
KR1020170072412A 2017-06-09 2017-06-09 포충기 KR102514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412A KR102514066B1 (ko) 2017-06-09 2017-06-09 포충기
PCT/KR2018/006515 WO2018226062A1 (ko) 2017-06-09 2018-06-08 포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412A KR102514066B1 (ko) 2017-06-09 2017-06-09 포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552A true KR20180134552A (ko) 2018-12-19
KR102514066B1 KR102514066B1 (ko) 2023-03-27

Family

ID=6456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412A KR102514066B1 (ko) 2017-06-09 2017-06-09 포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4066B1 (ko)
WO (1) WO20182260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880B1 (ko) * 2019-09-24 2020-08-14 국립생태원 말레이즈 트랩, 비행간섭 트랩 및 피트폴 트랩기능을 갖는 곤충류 복합 포충장치
KR20200142297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에코원 해충 포획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5002A (en) * 1998-01-22 2000-12-05 Holder; Billy G. Sanitary folding paper bug catcher
KR20080087485A (ko) * 2007-03-27 2008-10-01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포획장치
KR20100013183A (ko) * 2008-07-30 2010-02-09 변대영 카렌다형 끈끈이
KR20150113502A (ko) * 2014-03-31 2015-10-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및 점착 시트를 구비하는 포충 장치
WO2016039390A1 (ja) * 2014-09-09 2016-03-17 鵬図商事株式会社 捕虫ユニットおよび捕虫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454A (ko) * 2007-12-11 2009-06-16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포획장치
TWI540960B (zh) * 2012-12-28 2016-07-11 Dainippon Jochugiku Kk 飛翔昆蟲捕捉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5002A (en) * 1998-01-22 2000-12-05 Holder; Billy G. Sanitary folding paper bug catcher
KR20080087485A (ko) * 2007-03-27 2008-10-01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포획장치
KR20100013183A (ko) * 2008-07-30 2010-02-09 변대영 카렌다형 끈끈이
KR20150113502A (ko) * 2014-03-31 2015-10-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및 점착 시트를 구비하는 포충 장치
WO2016039390A1 (ja) * 2014-09-09 2016-03-17 鵬図商事株式会社 捕虫ユニットおよび捕虫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297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에코원 해충 포획 장치
KR102144880B1 (ko) * 2019-09-24 2020-08-14 국립생태원 말레이즈 트랩, 비행간섭 트랩 및 피트폴 트랩기능을 갖는 곤충류 복합 포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066B1 (ko) 2023-03-27
WO2018226062A1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1078B1 (ko) 점착형 포충기
CN112514862B (zh) 昆虫诱捕装置及使用方法
AU2020368900B2 (en) Insect trap device
CN114868718B (zh) 黏着型捕虫器
CN110831437B (zh) 捕虫器
KR102514066B1 (ko) 포충기
KR20150125220A (ko) 포충 장치
CN110430753B (zh) 黏着型捕虫器
JP2000060403A (ja) フェロモントラップによる鱗支目その他飛翔性害虫の自動計数装置。
KR102525233B1 (ko) 포충기
KR20190000473A (ko) 포충기
KR20170004755A (ko) 포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