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259A -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259A
KR20180134259A KR1020170071914A KR20170071914A KR20180134259A KR 20180134259 A KR20180134259 A KR 20180134259A KR 1020170071914 A KR1020170071914 A KR 1020170071914A KR 20170071914 A KR20170071914 A KR 20170071914A KR 20180134259 A KR20180134259 A KR 20180134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ped
drain hole
drain
sewage
ma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식
Original Assignee
김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식 filed Critical 김호식
Priority to KR102017007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4259A/ko
Publication of KR20180134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되는 하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어 유입되는 하수를 배수구로 배출시키며,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하수에 포함된 머리카락이나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고, 이 걸러진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의 배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단 중앙에는 배수홀이 형성되며,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배수홀이 형성된 하단 중앙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다단으로 계단식완곡부가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 상기 배수홀과 연통하는 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계단식완곡부에 안착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면 중 통공이 형성된 영역의 둘레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배수홀과 연통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배수공이 형성된 영역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유입되는 하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는 개폐부로 이루어지는 트랩; 및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 다수개가 일 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하단에 위치한 계단식완곡부에 안착하는 안착부의 상단에 안착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수트랩{WASTE TRAP}
본 발명은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하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어 유입되는 하수를 배수구로 배출시키며,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하수에 포함된 머리카락이나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고, 이 걸러진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의 배수를 필요로 하는 공간의 바닥에는 하수관이 시공되며, 특히 세면 또는 샤워 등과 같이 물 사용이 빈번한 욕실 바닥의 하수관 입구에는 원활한 배수 흐름을 유도함과 동시에 생활하수(domestic sewage, 生活下水 / 이하 "하수"라 함)에 섞인 머리카락이나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어 하수구 막힘을 방지함과 더불어 하수 본관 및 가옥 배수관에서 발생하는 해로운 하수가스(악취)의 역류 및 벌레 등이 실내로 침입함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배수트랩을 설치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 중 한국등록특허 제10-1147044호에는 배수구에 남아있는 물의 부력으로 승강하는 동시에 자력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악취 등을 차단하는 "배수트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욕실이나 화장실 등에서 사용한 하수가 배수트랩 본 체의 덮개를 통과혀여 배수구로 유입된 후 수위유지구에 채워지게 되며, 이러한 하수의 지속적인 유입시 차단판이 배수구로부터 분리되어 하향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하수관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배수구 안으로의 하수 유입이 멈춰지면 수위유지구 안으로 일부의 하수가 채워진 상태가 유지되는데, 이때 차단판이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차단판 상면의 자성체가 배수구 저면에 구비된 금속판(또는 자성체)가 들러붙게 되어 배수구의 저면(출구)으로부터 올라오는 악취 등의 냄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하수에 섞여 함께 배수되는 머리카락 및 각종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이 상기 차단판 위에 계속 적치되고 수위유지구 내부에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면 차단판이 승강 작용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단판에 의한 배수구 저면의 봉쇄가 불가능하여 악취의 역류 또한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47044호 (2012.05.10. 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2899호 (2017.03.08.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것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입되는 하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어 유입되는 하수를 배수구로 배출시키며,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하수에 포함된 머리카락이나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고, 이 걸러진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하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어 유입되는 하수를 배수구로 배출시키며,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하수에 포함된 머리카락이나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고, 이 걸러진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의 배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단 중앙에는 배수홀이 형성되며,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배수홀이 형성된 하단 중앙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다단으로 계단식완곡부가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 상기 배수홀과 연통하는 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계단식완곡부에 안착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면 중 통공이 형성된 영역의 둘레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배수홀과 연통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배수공이 형성된 영역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유입되는 하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는 개폐부로 이루어지는 트랩; 및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 다수개가 일 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하단에 위치한 계단식완곡부에 안착하는 안착부의 상단에 안착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된 계단식완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계단식완곡부에는, 유입되는 하수에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나선 형태의 경사면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 상단 둘레에는 내부로 움푹하게 패인 고정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필터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연결부의 배수공이 형성된 영역의 상단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배수공을 개폐하는 개폐판; 상기 개폐판에서 상기 배수공과 대향하는 측면의 반대 측면에 무게추를 수납하기 위해 일체로 연장 형성된 수납 바스켓; 및 상기 수납 바스켓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스켓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된 계단식완곡부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계단식완곡부의 내경보다 짧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된 계단식완곡부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계단식완곡부 하방에 위치하는 계단식완곡부의 외경보다는 긴 길이를 갖는 변으로 이루어진 판 형상의 커버체, 상기 커버체의 외측 둘레에서 직상방으로 연장되는 커버 브릿지로 이루어지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체와 상기 커버 브릿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탑재되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세라믹 소재의 타일;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체의 하면 모서리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의 하면 중앙에는 움푹하게 패인 단턱홈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된 계단식완곡부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계단식완곡부에는 상기 커버체에 형성된 단턱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은 메인 플레이트의 계단식완곡부 상에 형성된 경사면에 따라 배수구로 수직 낙하하는 직수형 배수의 흐름을 회전하면서 흘러 내려가는 와류형 배수 흐름으로 변화시켜 배수의 배출 흐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만 유입되는 하수의 자중에 의해 개폐판이 힌지 회동하여 배수공을 개방하여 배수하고, 하수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개폐판이 원위치로 힌지 회동하여 배수홀을 패쇄하여 배수구로부터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머리카락이나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구비되는 필터를 빗살 형태로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 다수개가 일 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하는 형상적인 특징으로 인해 슬릿에 걸러진 이물질을 일 방향으로 밀어내어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메인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따라 절개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트랩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필터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필터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탑 플레이트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탑 플레이트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이 물 사용공간의 바닥에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입되는 하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어 유입되는 하수를 배수구로 배출시키며,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하수에 포함된 머리카락이나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고, 이 걸러진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필터가 구비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의 배수 흐름을 유도하는 메인 플레이트(100)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에 안착되어 유입되는 하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유입되는 하수를 배수시키는 트랩(200)과,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로 유입되는 하수가 상기 트랩(200)으로 흘러가는 과정에서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3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메인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따라 절개한 절개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 구성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배수구로 수직 낙하하는 직수형 배수의 흐름을 회전하면서 흘러 내려가는 와류형 배수 흐름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물 사용 공간의 바닥 설치되는 관계로 녹이 잘 생기지 않고, 부식이 잘 되지 않는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 사용공간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를 덮을 수 있도록 대략 판 형상을 갖고, 상하로 관통된 배수홀(100a)이 하단 중앙에 형성되며,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배수홀(100a)이 형성된 하단 중앙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다단으로 계단식완곡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계단식완곡부(110)는 하수에 와류형 배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곡면으로 경사지게 다단으로 형성된 영역으로서, 다단으로 형성된 상기 계단식완곡부(110)의 둘레는 하방으로 갈수록 그 둘레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계단식완곡부(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계단식완곡부는 둘레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나선 형태의 경사면(110a)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데, 이는 유입되는 하수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여 배수구를 통해 신속히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계단식완곡부(110)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배수홀(100a)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제1계단식완곡부(111)와, 상기 제1계단식완곡부(111)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계단식완곡부(112)와, 상기 제2계단식완곡부(112)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제3계단식완곡부(113)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계단식완곡부(112)는 상기 제1계단식완곡부(111)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되, 둘레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면(110a)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제2계단식완곡부(112)로 유입되는 하수가 상기 제1계단식완곡부(111)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와류형 배수 흐름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하수를 신속히 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트랩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랩(200)은 유입되는 하수의 최종 배수 흐름을 유도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로 유입되는 하수로부터 하중을 전달받고, 이 전달받은 하중에 의해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배수홀(100a)을 개방시킴으로써 하수를 배출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로 유입되는 하수의 하중이 제거되었을 때, 즉,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로 하수가 유입되지 않을 때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배수홀(100a)을 폐쇄시켜 배수구로부터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트랩(200)은 성형성이 우수하고, 2차 가공성 가지며, 내충격성, 내약품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ABS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이나 압출 성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트랩(200)은 배수홀(100a)과 연통하는 통공(210a)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최하단에 위치한 계단식완곡부(제1계단식완곡부, 111)에 안착하는 안착부(210)와, 상기 안착부(210)의 하면 중 통공(210a)이 형성된 영역의 둘레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는 상기 배수홀(100a)과 연통하는 배수공(220a)이 형성되는 연결부(220)와, 상기 연결부(220)의 배수공(200a)이 형성된 영역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유입되는 하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는 개폐부(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부(210)는 전체적으로 원판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통공(210a)이 형성된 링 형상을 갖는다.
상기 연결부(220)는 전체적으로 상기 안착부(210)의 하면 중 통공(210a)이 형성된 영역의 둘레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갖되, 하부 둘레에서 하단의 중앙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를 이루며, 이때, 하단의 내경을 기준으로 직상방을 따라 일측이 절단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20)는 하부 일측, 즉, 내경을 기준으로 절단된 면에는 상기 배수홀(100a)과 연통하는 배수공(220a)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230)는 상기 연결부(220)의 배수공(220a)이 형성된 영역의 상단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220)의 배수공(220a)을 개폐하는 개폐판(231)과, 상기 개폐판(231)에서 배수공(220a)과 대향하는 측면의 반대 측면에 무게추를 수납하기 위해 일체로 연장 형성된 수납 바스켓(232)과, 상기 수납 바스켓(232)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스켓 커버(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판(231)은 배수공(220a)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 양측이 상기 배수공(220a)이 형성된 상단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배수공(220a)으로 하수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개폐판(231)에서 배수공(220a) 영역과 대응하는 측면이 하수의 하중을 전달받아 힌지 결합된 상단 양측을 기준으로 연동하여 힌지 회동하여 상기 배수공(220a)을 개방되고, 반대로 하수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하수의 하중이 제거되어 상기 개폐판(231)의 자체 하중과 상기 수납 바스켓(232)에 수납되는 무게추의 하중에 의해 개폐판(231)이 원위치로 힌지 회동하여 배수공(220a)을 폐쇄함으로써 배수구를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20) 중 배수공(220a)이 형성된 영역의 테두리 부분과 상기 테두리 부분과 대향하는 상기 개폐판의 테두리 부분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성체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자화시킨다면, 하수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하수의 하중이 제거되어 상기 개폐판(231)의 자체 하중과 상기 수납 바스켓(232)에 수납되는 무게추의 자중에 의해 개폐판(231)이 원위치로 힌지 회동하는 과정에서 무게추의 자중과 함께 연결부(220)와 개폐판(23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개폐판(230)이 배수공(220a)을 보다 기밀 폐쇄할 수 있어 배수구를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필터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필터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300)는 유입되는 하수를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하수에 포함된 머리카락이나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트랩(200)과 마찬가지로 성형성이 우수하고, 2차 가공성 가지며, 내충격성, 내약품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ABS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이나 압출 성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3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310) 다수개가 일 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최하단에 위치한 계단식완곡부(제1계단식완곡부, 111)에 안착하는 안착부(210)의 상단에 안착된다.
상기 필터(300)는 대략 빗살 형태로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310) 다수개가 일 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데, 이러한 형상적인 특징으로 인해 상기 필터(300)의 슬릿(310)에 걸러진 이물질을 일 방향으로 밀어내어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30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상기 트랩(200)의 안착부(210)에 상기 필터(300)를 안착시키거나, 상기 트랩(200)의 안착부(210)에 안착된 상기 필터(300)를 안착부(210)로부터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필터(300)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태의 핸들부(310a)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안착부(210) 상단 둘레에는 내부로 움푹하게 패인 고정홈(210b)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필터(300)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홈(210b)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310b)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300)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부(310b)를 상기 안착부(210)의 고정홈(210b)에 삽입 배치함으로써 상기 필터(300)가 안착부(210)에 안착된 상태에서 하수가 유입되더라도 상기 필터(300)가 배치된 위치에서 유동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탑 플레이트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탑 플레이트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이 물 사용공간의 바닥에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은 물 사용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었을 때, 설치된 위치에서 유려한 마감을 위해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계단식 완곡부(110)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계단식완곡부(제3계단식완곡부, 113)의 내경보다 짧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계단식완곡부(110)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계단식완곡부(제3계단식완곡부, 113) 하방에 위치하는 계단식완곡부(제2계단식완곡부, 112)의 외경보다는 긴 길이를 갖는 변으로 이루어진 판 형상의 커버체(410), 상기 커버체(410)의 외측 둘레에서 직상방으로 연장되는 커버 브릿지(420)로 이루어지는 탑 플레이트(400)와, 상기 커버체(410)와 상기 커버 브릿지(4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탑재되는 세라믹 소재의 타일(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플레이트(400)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와 마찬가지로 물 사용 공간의 바닥 설치되는 관계로 녹이 잘 생기지 않고 부식성이 잘 되지 않는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체(410)의 하면 모서리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단턱(410a)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410a)의 하면 중앙에는 움푹하게 패인 단턱홈(410b)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계단식완곡부(110)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계단식완곡부(제3계단식완곡부, 113)에는 상기 커버체(410)에 형성된 단턱홈(410b)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턱(11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체(410)와 상기 커버 브릿지(4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세라믹 소재의 타일에 탑재되었을 때, 상기 메인 플레이트(100)의 상단이 상기 세라믹 소재의 타일(500)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면 물 사용 공간의 바닥을 유려하게 마감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메인 플레이트 100a: 배수홀
110: 계단식완곡부 110a: 경사면
111: 제1계단식완곡부 112: 제2계단식완곡부
113: 제3계단식완곡부 113a: 돌출턱
200: 트랩 210: 안착부
210a: 통공 210b: 고정홈
220: 연결부 220a: 배수공
230: 개폐부 231: 개폐판
232: 수납 바스켓 233: 바스켓 커버
300: 필터 310: 슬릿
310a: 핸들부 310b: 돌출부
400: 탑 플레이트 410: 커버체
410a: 단턱 410b: 단턱홈
420: 커버 브릿지 500: 타일

Claims (6)

  1. 하수의 배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단 중앙에는 배수홀이 형성되며,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배수홀이 형성된 하단 중앙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다단으로 계단식완곡부가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
    상기 배수홀과 연통하는 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계단식완곡부에 안착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면 중 통공이 형성된 영역의 둘레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배수홀과 연통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배수공이 형성된 영역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유입되는 하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는 개폐부로 이루어지는 트랩; 및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 다수개가 일 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하단에 위치한 계단식완곡부에 안착하는 안착부의 상단에 안착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된 계단식완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계단식완곡부에는, 유입되는 하수에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나선 형태의 경사면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상단 둘레에는 내부로 움푹하게 패인 고정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필터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연결부의 배수공이 형성된 영역의 상단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배수공을 개폐하는 개폐판;
    상기 개폐판에서 상기 배수공과 대향하는 측면의 반대 측면에 무게추를 수납하기 위해 일체로 연장 형성된 수납 바스켓; 및
    상기 수납 바스켓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스켓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된 계단식완곡부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계단식완곡부의 내경보다 짧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된 계단식완곡부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계단식완곡부 하방에 위치하는 계단식완곡부의 외경보다는 긴 길이를 갖는 변으로 이루어진 판 형상의 커버체, 상기 커버체의 외측 둘레에서 직상방으로 연장되는 커버 브릿지로 이루어지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체와 상기 커버 브릿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탑재되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세라믹 소재의 타일;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의 하면 모서리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의 하면 중앙에는 움푹하게 패인 단턱홈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된 계단식완곡부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계단식완곡부에는 상기 커버체에 형성된 단턱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KR1020170071914A 2017-06-08 2017-06-08 배수트랩 KR20180134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914A KR20180134259A (ko) 2017-06-08 2017-06-08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914A KR20180134259A (ko) 2017-06-08 2017-06-08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259A true KR20180134259A (ko) 2018-12-18

Family

ID=6495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914A KR20180134259A (ko) 2017-06-08 2017-06-08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42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9093A (zh) * 2021-12-24 2022-05-06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防堵塞的厨房装配式排水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9093A (zh) * 2021-12-24 2022-05-06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防堵塞的厨房装配式排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4386B2 (en) Filter assembly
AU745922B2 (en) Waste outlet
US20120012510A1 (en) Filter and filter assembly
IE47759B1 (en) Trapped gulley
KR20060118044A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20180134259A (ko) 배수트랩
KR20180049886A (ko) 배수트랩
KR101690457B1 (ko) 배수 트랩
KR102376779B1 (ko) 우수 및 오폐수 받이장치
JP2003003548A (ja) 排水弁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200348050Y1 (ko) 세면기용 트랩 배수관
KR200490200Y1 (ko) 거름부재를 갖춘 배수트랩
KR200262197Y1 (ko) 하수구트랩
KR20040086229A (ko) 욕조용 이물질 걸름구조
KR200484438Y1 (ko) 필터부를 구비한 벨모양 배수트랩
KR200244689Y1 (ko) 하수구 악취역류방지용 배수변
KR200230642Y1 (ko) 하수구 덮개
KR200223980Y1 (ko) 배수트랩
KR101726293B1 (ko) 물을 사용하지 않고 악취를 차단하면서 위생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소변기용 카트리지
AU2007100030A4 (en) Filter assembly
KR200313969Y1 (ko) 세면기용 트랩
KR200169068Y1 (ko) 욕실용 배수장치
KR200266230Y1 (ko) 배수구
KR960005431Y1 (ko) 맨 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