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872A -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의 증강 방법 및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 Google Patents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의 증강 방법 및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872A
KR20180133872A KR1020187031233A KR20187031233A KR20180133872A KR 20180133872 A KR20180133872 A KR 20180133872A KR 1020187031233 A KR1020187031233 A KR 1020187031233A KR 20187031233 A KR20187031233 A KR 20187031233A KR 20180133872 A KR20180133872 A KR 20180133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tant
component
polyoxyethylene
caused
trade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897B1 (ko
Inventor
무네카즈 오가와
아키히로 니시무라
슈코 니시미
Original Assignee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3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8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 A01N35/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containing aldehyde or keto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e.g. acetophenone; Derivatives thereof, e.g. acet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현저하게 증강시키는 방법,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인 (a) 성분과 함께,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 식물유, 파라핀류, 수지류 및 테르펜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b) 성분을 사용하여,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증강시키는 방법 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의 증강 방법 및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본 발명은 특정한 계면 활성제 등의 성분을 사용하여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 특히 침달 효과나 치료 효과를 각별히 증강시키는 방법과, 특정한 계면 활성제 등의 성분과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를 사용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식물병원균은, 기생하는 식물의 세포 내부에 병원균 본체가 침입, 증식함으로써 병해를 일으킨다. 그 때문에, 발병 후의 병해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식물 세포에 대한 침투 이행성이나 침달성을 갖는 화합물이 아니면, 침달 효과나 치료 효과 등을 얻지 못한다.
또한, 식물에 대한 침투 이행성이나 침달성을 갖는 화합물은, 식물체의 신진 대사가 활발해져, 성장이 현저한 온도 범위인 생육 적온(예를 들어, 오이, 가지, 피망, 수박, 멜론 등은 25 내지 30℃, 소맥, 대맥 등은 10 내지 25℃, 양배추, 배추, 딸기, 양상추, 당근 등은 15 내지 20℃, 토마토 등은 15 내지 25℃)에서는 식물체에 침투하기 쉬워져,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는 한편, 높은 침투 이행성이나 침달성을 갖는 화합물이어도, 생육 적온보다도 저온에서는 침투 이행성이나 침달성이 저하되어, 실용상, 충분한 방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백분병의 병원균(16속 약 900종)은, 그 대다수가 식물의 표면에만 기생하는 「표피 기생균」으로서, 병원균 본체는 세포 외부에 머물고, 흡기만을 식물의 세포 내로 침입시켜, 영양 흡수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식물에 대한 침투 이행성이나 침달성을 갖지 않는 화합물(예를 들어, 황, 클로로탈로닐이나 크레속심메틸 등) 및 식물 세포 내부에서 충분한 살균 활성을 나타내는 만큼의 침투 이행성이나 침달성을 갖지 않는 화합물(예를 들어, 탄산수소칼륨이나 이미노크타딘 등)이어도, 대다수의 백분병에 대해서는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일부의 백분병균, 예를 들어 피망 백분병이나 배 백분병 등은, 식물체의 내부에 기생하는 「내부 기생균」이며, 이 병원균에 의한 백분병에 대해서는, 높은 침투 이행성이나 침달성을 갖는 화합물이 아니면, 충분한 치료 효과나 침달 효과 등을 얻지 못한다.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의 대표적인 화합물은 피리오페논과 메트라페논을 들 수 있으며, 양쪽의 화합물은 각종 식물 병해에 유효하고, 특히 백분병에 대하여 우수한 예방 효과와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아릴페닐케톤계 화합물은 침투 이행성과 침달성을 갖고, 내부 기생성 백분병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그러나, 생육 적온보다도 저온 조건에서의 시용 등, 식물의 생육 스테이지나 기온, 습도나 일조량 등의 생육 환경에 따라서는, 실용상, 충분한 방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피리오페논을 포함하는 벤조일피리딘 유도체가 살균제로서 유용한 것이 기재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각종 보조제와 혼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제하여 사용 가능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피리오페논에 특정한 계면 활성제 등을 조합하여 방제 효과를 증강시키는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없고, 메트라페논의 방제 효과를 증강시키는 방법에 관한 기재는 일절 없다.
특허문헌 2에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피리오페논을 함유하는 벤조일피리딘 유도체 또는 그의 염과, 8종류의 효력 증강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제 조성물이, 소맥 백분병에 대한 치료 효과와 베이퍼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피리오페논에 특정한 계면 활성제 등을 조합하여, 소맥 백분병 이외의 백분병에 대한 침달 효과, 치료 효과나 잔효성 등을 증강시키는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없고, 메트라페논의 방제 효과를 증강시키는 방법에 관한 기재는 일절 없다.
특허문헌 3에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메트라페논을 함유하는 살균성 2-메톡시벤조페논 화합물 및 소맥 백분병과 오이 백분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메트라페논의 방제 효과를 증강시키는 방법에 관한 기재는 일절 없다.
국제 공개 공보 WO 2002/002527 국제 공개 공보 WO 2008/004596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897904호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는, 각종 식물 병해에 대하여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침달 효과, 치료 효과, 잔효성이나 식물의 생육 적온보다 저온에서의 살균 효과가 충분하지 않거나 하여, 충분한 방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에 특정한 계면 활성제 등의 성분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침달 효과, 치료 효과 등을 증강시켜, 각종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를 현저하게 증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연구한 결과,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의 시용 시에, 특정한 계면 활성제 등의 성분을 첨가하면,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예상할 수 없는 우수한 침달 효과, 치료 효과 등이 얻어진다는 지견을 얻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 식물유, 파라핀류, 수지류 및 테르펜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성분(이하, 간단히 (b) 성분이라고도 한다)을 사용하여 (a)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이하, 간단히 (a) 성분이라고도 한다)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증강시키는 방법, 및 (a) 성분과 (b) 성분을 식물 또는 식물의 재배 토양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 병해에 대하여 안정된 높은 방제 효과를 발휘하므로, 식물 병해의 방제에 유용하다.
(a)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인 피리오페논(pyriofenone) 및 메트라페논(metrafenone)은, 각각, The Pesticide Manual(제17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의 983 내지 984페이지와 767 내지 768페이지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a) 성분은 염의 형태여도 된다. 염으로서는, 농업상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나트륨염, 칼륨염과 같은 알칼리 금속염; 마그네슘염, 칼슘염과 같은 알칼리 토금속염; 모노메틸암모늄염, 디메틸암모늄염, 트리에틸암모늄염과 같은 암모늄염; 염산염, 과염소산염, 황산염, 질산염과 같은 무기산염; 아세트산염, 푸마르산염, 메탄술폰산염과 같은 유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b)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 알칸올아미드계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헵타메틸트리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옥시프로필헵타메틸트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헵타메틸트리실록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헵타메틸트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실록산, 폴리에테르트리실록산, 폴리에테르폴리메틸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에테르폴리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디메틸실록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폴리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히드록시프로필헵타메틸트리실록산, 실록산폴리알킬렌옥사이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테르실록산, 폴리에테르트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디메틸실록산, 히드록시프로필헵타메틸트리실록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폴리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헵타메틸트리실록산, 폴리에테르폴리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또는 실록산폴리알킬렌옥사이드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는, 후에 설명하는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식물유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 등이 바람직하고, 식물유로서는, 에틸화 채종유, 메틸화시드 오일, 메틸화 채종유 등이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테르실록산(상품명 Break-Thru OE441; Evonic사제), 폴리에테르트리실록산(상품명 Break-Thru S240, Break-Thru S233; Deussa사제), 폴리옥시에틸렌디메틸실록산(상품명 Dyne-Amic(메틸화시드 오일과의 혼합물); Helena Chemical사제),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상품명 KF-640; 신에쓰 가가꾸 고교사제, 상품명 마쿠피카; 이시하라 산교사제),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폴리메틸실록산(상품명 Kinetic; Helena Chemical사제),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헵타메틸트리실록산(상품명 Masil SF19; Emerald사제),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상품명 Quark(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와의 혼합물); Simplot사제), 히드록시프로필헵타메틸트리실록산(상품명 Silglow(에톡실화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알릴에테르아세테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와의 혼합물); Britiz사제, 상품명 SYL-TAC(에틸화 채종유와 메틸화 채종유의 혼합물과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와의 혼합물; Wilbur-Ellis사제),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헵타메틸트리실록산(상품명 Silwet L77; Helena Chemical사제, 상품명 Slippa(직쇄 알코올 계면 활성제와의 혼합물); Interagro사제), 폴리에테르폴리메틸실록산 공중합체(상품명 Syl-Coat; Wilbur-Ellis사제),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상품명 Xiameter; Dow사제), 폴리옥시알킬렌옥시프로필헵타메틸트리실록산(상품명 브레이크스루(폴리옥시알킬렌프로페닐에테르와의 혼합물); 산케이 가가쿠사제), 실록산폴리알킬렌옥사이드 공중합체(상품명 Vestis(폴리알킬렌옥사이드와의 혼합물); Simplot사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테르실록산(상품명 Break-Thru OE441; Evonic사제), 폴리에테르트리실록산(상품명 Break-Thru S240, Break-Thru S233; Deussa사제), 폴리옥시에틸렌디메틸실록산(상품명 Dyne-Amic(메틸화시드 오일과의 혼합물); Helena Chemical사제),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폴리메틸실록산(상품명 Kinetic; Helena Chemical사제),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상품명 Quark(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와의 혼합물); Simplot사제), 히드록시프로필헵타메틸트리실록산(상품명 Silglow(에톡실화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알릴에테르아세테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와의 혼합물); Britiz사제, 상품명 SYL-TAC(에틸화 채종유와 메틸화 채종유의 혼합물과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의 혼합물); Wilbur-Ellis사제),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헵타메틸트리실록산(상품명 Silwet L77; Helena Chemical사제), 폴리에테르폴리메틸실록산 공중합체(상품명 Syl-Coat; Wilbur-Ellis사제) 또는 실록산폴리알킬렌옥사이드 공중합체(상품명 Vestis(폴리알킬렌옥사이드와의 혼합물); Simplot사제)가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의 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디 또는 트리)페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디 또는 트리)벤질페닐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 디 또는 트리)벤질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디 또는 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 디 또는 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디 또는 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의 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 알킬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 에테르, 알킬페닐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비스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수지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미드, 알킬페녹시폴리에톡시에탄올,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녹시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또는 폴리옥시에틸렌로진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가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는, 앞서 설명한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후에 설명하는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파라핀류, 식물유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히드록시프로필헵타메틸트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실록산폴리알킬렌옥사이드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하고,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고,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디메틸벤젠술폰산나트륨 등이 바람직하고, 파라핀류로서는, 파라핀유 등이 바람직하고, 식물유로서는, 톨유, 톨유 지방산, 톨유 지방산 에스테르, 메틸화 채종유, 에틸화 채종유, 메틸화 카놀라유, 글리세린 등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상품명 알소프 30; 스미토모 가가꾸사제, 상품명 Agral 90; Syngenta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상품명 ADwet90(디에틸렌글리콜과 톨유 지방산의 혼합물); Simplot사제, 상품명 Persist Ultra(메틸화 카놀라유와의 혼합물); Simplot사제, 상품명 Ad-Max 90(글리세린과 디메틸벤젠술폰산나트륨의 혼합물); Simplot사제, 상품명 Prime Oil(톨유와 파라핀유의 혼합물); WinField사제),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녹시에테르(상품명 Agral; Syngenta사제), 4-노닐페닐-폴리에틸렌글리콜(상품명 Arkopal N100; Clariant사제), 옥틸페녹시폴리에톡시에탄올(상품명 Citowett; BASF사제),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놀(상품명 R-11; Wilbur-Ellis사제),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상품명 쿠사리노; 니혼 노야쿠사제, 상품명 SYL-TAC(에틸화 채종유와 메틸화 채종유의 혼합물과 히드록시프로필헵타메틸트리실록산의 혼합물); Wilbur-Ellis사제),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테르(상품명 노이겐 EA110; 다이이치 고교 세야쿠사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상품명 믹스 파워(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와의 혼합물); Synjenta사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는,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상품명 라미겐 ES-70; 다이이치 고교 세야쿠사제), 폴리옥시에틸렌 C16 내지 C18 지방산 에스테르(상품명 Emulan PS700; BASF사제), 폴리옥시에틸렌 수지산 에스테르(상품명 KK스티커; 아그로카네쇼사제, 상품명 스카시(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와의 혼합물); 가오사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상품명 노이겐 ET-120E; 다이이치 고교 세야쿠사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아민(상품명 파이오닌 D-3605; 다께모또 유시사제)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상품명 노이겐 TDS-70; 다이이치 고교 세야쿠사제), 알킬아릴폴리옥시알켄에테르(상품명 Induce; Helena사제), N,N-Bis2-오메가-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상품명 Entry(톨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와의 혼합물); Simplot사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상품명 ADwet90(디에틸렌글리콜과 톨유 지방산의 혼합물); Simplot사제, 상품명 Persist Ultra(메틸화 카놀라유와의 혼합물); Simplot사제, 상품명 Ad-Max 90(글리세린과 디메틸벤젠술폰산나트륨의 혼합물); Simplot사제, 상품명 Prime Oil(톨유와 파라핀유의 혼합물); WinField사제),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놀(상품명 R-11; Wilbur-Ellis사제), 알킬아릴폴리옥시알켄에테르(상품명 Induce; Helena사제),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상품명 SYL-TAC(에틸화 채종유와 메틸화 채종유의 혼합물과 히드록시프로필헵타메틸트리실록산의 혼합물); Wilbur-Ellis사제) 또는 N,N-Bis2-오메가-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상품명 Entry(톨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와의 혼합물); Simplot사제)이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헥시탄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혹은 그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피마자유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경화 피마자유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알킬아민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또는 지방산 아미드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혹은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는, 앞서 설명한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후에 설명하는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파라핀류, 식물유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수지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고,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나프틸메탄술폰산디알킬디메틸암모늄 등이 바람직하고, 파라핀류로서는 파라핀 베이스 석유 등이 바람직하고, 식물유로서는, 메틸화 대두유 등이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헥시탄 지방산 에스테르(상품명 어프로치 BI; 마루와 바이오케미칼사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상품명 Tween20; 와코준야쿠사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상품명 Destiny, 상품명 DestinyHC(메틸화 대두유와 이성화당의 혼합물); WinField사제, 상품명 스카시(폴리옥시에틸렌 수지산 에스테르와의 혼합물); 가오사제, 상품명 솔 겐40; 다이이치 고교 세야쿠사제, 상품명 브라보(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와 폴리나프틸메탄술폰산디알킬디메틸암모늄의 혼합물); 아그로카네쇼사제), 피마자유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상품명 D-230; 다께모또 유시사제), 경화 피마자유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상품명 D-230kz; 다께모또 유시사제), 폴리에틸렌글리콜이소트리데실에스테르(상품명 Genapol X-80; Clariant사제),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올레산에스테르(상품명 Nikkol MYO-10V; 닛코 케미컬즈사제),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상품명 Nikkol MYS-55V; 닛코 케미컬즈사제),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와 다가 알코올폴리에틸렌옥사이드 지방산 에스테르의 혼합물(상품명 Agridex(파라핀 베이스 석유와의 혼합물); Bayer사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상품명 Destiny, 상품명 DestinyHC(메틸화 대두유와 이성화당의 혼합물); WinField사제) 또는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와 다가 알코올폴리에틸렌옥사이드 지방산 에스테르의 혼합물(상품명 Agridex(파라핀 베이스 석유와의 혼합물); Bayer사제)이 바람직하다.
알칸올아미드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알킬알칸올아미드 또는 그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그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칸올아미드계 계면 활성제는, 앞서 설명한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또는 후에 설명하는 황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 등이 바람직하고, 황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황산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다.
알칸올아미드계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알칸올아민 계면 활성제(에탄올아민과 트리에탄올아민의 혼합물)(상품명 Cohere(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황산에스테르와 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물); Helena사제), 알킬알칸올아미드(상품명 아미논 PK-02S; 가오사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칸올아민 계면 활성제(에탄올아민과 트리에탄올아민의 혼합물)(상품명 Cohere(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황산에스테르와 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물); Helena사제)이 바람직하다.
(b)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황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인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고, 인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디알킬술포숙신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 알킬벤젠술폰산, α-올레핀술폰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술폰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술포숙신산 하프 에스테르, 나프탈렌술폰산 및 알킬나프탈렌술폰산; 도데실벤젠술폰산디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술폰산, 폴리나프틸메탄술폰산디알킬디메틸암모늄 또는 그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디알킬술포숙신산염(상품명 뉴칼겐 EP-70G; 다께모또 유시사제, 상품명 뉴칼겐 EX-70; 다께모또 유시사제) 등을 들 수 있다.
황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고급 알코올 황산에스테르염,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의 중합체의 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벤질페닐에테르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테르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테르의 중합체의 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의 황산에스테르, 황산화올레핀 또는 그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황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또한, 황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는, 앞서 설명한,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알칸올계 계면 활성제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칸올아미드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황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황산에스테르(상품명 Cohere(알칸올아미드 계면 활성제(에탄올아민과 트리에탄올아민의 혼합물)와 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물); Helena사제), 라우릴황산나트륨(상품명 모노겐 Y-100; 다이이치 고교 세야쿠사제), 알킬황산염(상품명 TRADER Pro(황산마그네슘과의 혼합물); Comtorir Commercial Des Lubrifiants사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황산에스테르(상품명 Cohere(알칸올아미드 계면 활성제(에탄올아민과 트리에탄올아민의 혼합물)와 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물); Helena사제)가 바람직하다.
인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의 중합체의 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벤질페닐에테르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테르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테르의 중합체의 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의 인산에스테르 또는 그들 인산에스테르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인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C12 내지 C15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상품명 Phospholan PS-222; AkzoNobel사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2인산에스테르(상품명 포스페놀 ML-220; 도호 가가쿠사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4인산에스테르(상품명 포스페놀 RD-510Y; 도호 가가쿠사제),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인산에스테르(상품명 플라이서프 A212C; 다이이치 고교 세야쿠사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인산에스테르(상품명 플라이서프 A212C; 다이이치 고교 세야쿠사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와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당해 양태에서 사용되는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와 폴리나프틸메탄술폰산나트륨의 혼합물(상품명 그라민 S; 산쿄 가가꾸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에톡실화 지방족 아민계 계면 활성제, 디알킬암모늄염계 계면 활성제 및 알킬암모늄염계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에톡실화 지방족 아민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에톡실화 지방 아민; 우지 알킬아민에톡실레이트; 우지 아민에톡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에톡실화 지방족 아민계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에톡실화 지방 아민(상품명 Ethylan TT-15; Akcros chemicals사제), 우지 알킬아민에톡실레이트(상품명 Genamin T-150; Clariant사제), 우지 아민에톡실레이트(상품명 Genamin T-200; Clariant사제, 상품명 Ethomeen T/25; AkzoNobel사제) 등을 들 수 있다.
디알킬암모늄염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나프틸메탄술폰산디알킬디메틸암모늄,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디알킬암모늄염계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폴리나프틸메탄술폰산디알킬디메틸암모늄(상품명 니즈(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와의 혼합물); 가오사제),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상품명 카티오겐 TML; 다이이치 고교 세야쿠사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상품명 카티오겐 TML; 다이이치 고교 세야쿠사제)가 바람직하다.
식물유로서는, 톨유, 야자유, 대두유, 채종유, 옥수수유, 아마인유, 해바라기유, 면실유, 에스테르화 채종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팜유, 아보카도유, 카놀라유, 톨유 지방산, 톨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식물유에는, 식물유로부터의 추출물(글리세린, 지방산 등), 알킬화 식물유(메틸화 대두유, 메틸화 채종유, 메틸화시드 오일, 에틸화 채종유, 메틸화 카놀라유 등)도 포함된다.
그 중에서도, 톨유, 톨유 지방산, 톨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메틸화 대두유, 메틸화시드 오일, 메틸화 채종유 및 에틸화 채종유가 바람직하다.
또한, 식물유는, 앞서 설명한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나 후에 설명하는 파라핀류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디메틸실록산, 히드록시프로필헵타메틸트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N,N-Bis2-오메가-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식물유의 구체예로서는, 톨유(상품명 Prime Oil(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와 파라핀유의 혼합물); WinField사제), 톨유 지방산(상품명 ADwet90(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와 디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 Simplot사제), 톨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상품명 Entry(N,N-Bis2-오메가-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과의 혼합물); Simplot사제), 메틸화 채종유(상품명 Tipo; Belchim사제), 정제 대두유(상품명 Soy Oil Spray; UNITED SUPPLIERS사제), 메틸화 대두유(상품명 Destiny, 상품명 DestinyHC(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와 이성화당의 혼합물; WinField사제), 메틸화시드 오일(상품명 Dyne-Amic(폴리옥시에틸렌디메틸실록산과의 혼합물); Helena Chemical사제), 에틸화 채종유와 메틸화 채종유의 혼합물(상품명 SYL-TAC(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와 히드록시프로필헵타메틸트리실록산)의 혼합물; Wilbur-Ellis사제), 메틸화 카놀라유(상품명 Persist Ultra(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와의 혼합물); Simplot사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톨유(상품명 Prime Oil(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와 파라핀유의 혼합물); WinField사제), 톨유 지방산(상품명 ADwet90(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와 디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 Simplot사제), 톨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상품명 Entry(N,N-Bis2-오메가-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과의 혼합물); Simplot사제), 메틸화 대두유(상품명 Destiny, 상품명 DestinyHC(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와 이성화당의 혼합물; WinField사제), 메틸화시드 오일(상품명 Dyne-Amic(폴리옥시에틸렌디메틸실록산과의 혼합물); Helena Chemical사제) 또는 에틸화 채종유와 메틸화 채종유의 혼합물(상품명 SYL-TAC(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와 히드록시프로필헵타메틸트리실록산의 혼합물); Wilbur-Ellis사제), 메틸화 카놀라유(상품명 Persist Ultra(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와의 혼합물); Simplot사제)가 바람직하다.
(b) 파라핀류로서는, 파라핀, 석유, 광물유, 파라핀 베이스 석유, 파라핀 베이스 광물유, 파라핀유, 기계유, 스핀들유, 나프타, 유동 파라핀, 케로신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파라핀 베이스 석유, 파라핀 베이스 광물유 또는 파라핀유가 바람직하다.
파라핀류의 구체예로서는, 파라핀 베이스 석유(상품명 Agridex(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와 다가 알코올폴리에틸렌옥사이드 지방산 에스테르의 혼합물); Bayer사제), 파라핀 베이스 광물유(상품명 Assist(계면 활성제와의 혼합물); BASF사제), 파라핀유(상품명 Prime Oil(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와 톨유의 혼합물); WinField사제), 파라핀(상품명 페탄 V; 아그로카네쇼사제), 기계유(상품명 라비산 스프레이; 닛본 소다사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파라핀 베이스 석유(상품명 Agridex(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와 다가 알코올폴리에틸렌옥사이드 지방산 에스테르의 혼합물); Bayer사제), 파라핀 베이스 광물유(상품명 Assist(계면 활성제와의 혼합물); BASF사제) 또는 파라핀유(상품명 Prime Oil(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와 톨유의 혼합물); WinField사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와 파라핀류의 혼합물도 더 사용할 수 있다. 당해 양태의 구체예로서는, 파라핀 베이스 석유,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와 다가 알코올폴리에틸렌옥사이드 지방산 에스테르의 혼합물(상품명 Agridex; Bayer사제) 등을 들 수 있다.
(b) 수지류로서는, 알키드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키드 수지가 바람직하다.
수지류의 구체예로서는, 프탈산 변성 글리세롤알키드 수지(상품명 Latron B-1956; Simplot사제), 아세트산비닐 수지 에멀젼(상품명 비니블란 1035F; 닛신 가가꾸 고교사제), 아크릴 수지(상품명 비니블란 ADH7102; 닛신 가가꾸 고교사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탈산 변성 글리세롤 알키드 수지(상품명 Latron B-1956; Simplot사제)가 바람직하다.
(b) 테르펜류로서는, α-피넨, β-피넨, β-피넨 중합체, 피넨(디테르펜) 중합체, 피넨(폴리테르펜) 중합체, 디-1-멘텐, 리모넨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β-피넨 중합체, 피넨(디테르펜) 중합체 또는 피넨(폴리테르펜)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테르펜의 구체예로서는, β-피넨 중합체(상품명 SURFIX; Helena사제), 피넨(디테르펜) 중합체(상품명 NU FILM 17(탄화수소 수지와 페트로라툼폴리알킬옥시 화합물의 혼합물); Miller사제), 피넨(폴리테르펜) 중합체(상품명 NU FILM P(폴리알킬옥시 화합물과의 혼합물); Miller사제), 디-1-멘텐(상품명 LASTICK; Helena사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β-피넨 중합체(상품명 SURFIX; Helena사제), 피넨(디테르펜) 중합체(상품명 NU FILM 17(탄화수소 수지와 페트로라툼폴리알킬옥시 화합물의 혼합물); Miller사제) 또는 피넨(폴리테르펜) 중합체(상품명 NU FILM P(폴리알킬옥시 화합물과의 혼합물); Miller사제)가 바람직하다.
(b) 성분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 식물유, 파라핀류, 수지류 및 테르펜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그의 구체예로서는,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 알칸올아미드계 계면 활성제, 황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인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에톡시화 지방족 아민계 계면 활성제, 식물유, 파라핀류, 알키드 수지 및 테르펜류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식물유 및 파라핀류가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b)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테르실록산, 폴리에테르트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디메틸실록산, 히드록시프로필헵타메틸트리실록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폴리메틸실록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헵타메틸트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폴리메틸실록산 공중합체, 실록산폴리알킬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다가 알코올폴리에틸렌옥사이드 지방산 에스테르, 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N-Bis2-오메가-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톨유, 톨유 지방산, 톨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메틸화 대두유, 메틸화 채종유, 에틸화 채종유, 메틸화시드 오일, 메틸화 카놀라유, 파라핀 베이스 석유, 파라핀 베이스 광물유, 파라핀유, 프탈산 변성 글리세롤 알키드 수지, β-피넨 중합체, 피넨(디테르펜) 중합체 및 피넨(폴리테르펜)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한 (b)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다가 알코올폴리에틸렌옥사이드 지방산 에스테르, 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황산에스테르, 폴리에테르트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디메틸실록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폴리메틸실록산, 히드록시프로필헵타메틸트리실록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헵타메틸트리실록산, 폴리에테르폴리메틸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놀, 실록산폴리알킬렌옥사이드 공중합체, 알킬아릴폴리옥시알켄에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톨유, 메틸화 대두유, 메틸화시드 오일, 메틸화 카놀라유, 파라핀 베이스 석유, 파라핀 베이스 광물유 및 파라핀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증강 방법은, 각종 식물 병해의 방제에 유효하다.
예를 들어, 마그나포르테균에 의한 도열병, 코클리오볼루스균에 의한 호마잎마름병, 리족토니아균에 의한 문고병 등의 벼의 병해; 에리시페균에 의한 백분병, 푸사리움균에 의한 붉은곰팡이병, 푹시니아균에 의한 녹병, 피티움균에 의한 갈색 설부병, 우스틸라고균에 의한 나흑수병, 슈도세르코스포라균에 의한 눈무늬병, 세프토리아균에 의한 잎마름병 또는 껍질마름병 등의 보리류의 병해; 파에오스파에리아균에 의한 반점병, 푹시니아균에 의한 녹병, 세토스파에리아균에 의한 매문병, 코클리오볼루스균에 의한 호마잎마름병, 피티움균에 의한 근부병, 우스틸라고균에 의한 흑수병 등의 옥수수의 병해; 우스틸라고균에 의한 흑수병, 스타고노스포라균에 의한 엽소병, 푹시니아균에 의한 녹병, 지베렐라균에 의한 초두 부패병, 칼다리오미세스균에 의한 그을음병, 슈도세르코스포라균에 의한 잎마름병 등의 사탕수수의 병해 등의 볏과 작물의 병해;
오이디움균에 의한 백분병, 파콥소라균에 의한 녹병, 페로노스포라균에 의한 노균병, 피토프토라균에 의한 역병, 콜레토트리쿰균에 의한 탄저병, 스클레로티니아균에 의한 균핵병, 보트리티스균에 의한 회색곰팡이병 등의 콩과 작물의 병해;
페로노스포라균에 의한 노균병, 알테르나리아균에 의한 흑반병 등의 십자화과 작물의 병해;
브레미아균에 의한 노균병, 피토프토라균에 의한 역병, 보트리티스균에 의한 회색곰팡이병, 스클레로티니아균에 의한 균핵병, 아에시지움균에 의한 녹병 등의 국화과 작물의 병해;
알테르나리아균에 의한 윤문병, 풀비아균에 의한 잎곰팡이병, 피토프토라균에 의한 역병, 보트리티스균에 의한 회색곰팡이병, 오이디움균에 의한 백분병 등의 토마토의 병해; 알테르나리아균에 의한 하역병, 피토프토라균에 의한 역병, 스클레로티니아균에 의한 균핵병 등의 감자의 병해 등의 가짓과 작물의 병해;
콜레토트리쿰균에 의한 탄저병, 스파에로테카균에 의한 백분병, 디디멜라균에 의한 덩굴마름병, 슈도페로노스포라균에 의한 노균병, 피토프토라균에 의한 역병, 코리네스포라균에 의한 갈반병 등의 박과 작물의 병해;
페로노스포라균에 의한 노균병, 피토프토라균에 의한 역병, 보트리티스균에 의한 회색곰팡이병, 스클레로티니아균에 의한 균핵병, 푹시니아균에 의한 녹병 등의 파과 작물의 병해;
알테르나리아균에 의한 검은 잎마름병 또는 흑반병, 보트리티스균에 의한 회색곰팡이병, 스클레로티니아균에 의한 균핵병, 에리시페균에 의한 백분병, 세르코스포라균에 의한 반점병 등의 미나리과 작물의 병해;
보트리티스균에 의한 잎마름병, 피토프토라균에 의한 역병, 포몹시스균에 의한 줄기마름병 등의 백합과 작물의 병해;
페로노스포라균에 의한 노균병, 에리시페균에 의한 백분병, 리족토니아균에 의한 입고병 등의 마디풀과 작물의 병해;
푸사리움균에 의한 만할병, 세라토시스티스균에 의한 흑반병, 스트렙토마이세스균에 의한 입고병 등의 메꽃과 작물의 병해;
페로노스포라균에 의한 노균병, 피토프토라균에 의한 역병, 보트리티스균에 의한 회색곰팡이병, 스클레로티니아균에 의한 균핵병, 오이디움균에 의한 백분병, 세르코스포라균에 의한 갈반병 등의 명아주과 작물의 병해;
엘시노에균에 의한 흑두병, 콜레토트리쿰균에 의한 만부병, 에리시페균에 의한 백분병, 플라스모파라균에 의한 노균병, 보트리티스균에 의한 회색곰팡이병, 슈도세르코스포라균에 의한 갈반병, 디아포르테균에 의한 지팽병(枝膨病) 등의 포도과 작물의 병해;
스파에로테카균에 의한 백분병, 보트리티스균에 의한 회색곰팡이병, 글로메렐라균에 의한 탄저병 등의 딸기의 병해; 모닐리니아균에 의한 모닐리아병, 포도스파에라균에 의한 백분병, 알테르나리아균에 의한 반점낙엽병, 벤투리아균에 의한 흑성병, 글로메렐라균에 의한 탄저병, 디플로카르폰균에 의한 갈반병, 보트리오스파에리아균에 의한 윤문병, 지고피알라균에 의한 그을음점무늬병, 글로에오데스균에 의한 매반병, 미코스파에렐라균에 의한 흑점병 등의 사과의 병해; 벤투리아균에 의한 흑성병, 알테르나리아균에 의한 흑반병, 필락티니아균에 의한 백분병, 피토프토라균에 의한 역병 등의 배류의 병해; 모닐리니아균에 의한 회성병, 클라도스포리움균에 의한 흑성병, 포몹시스균에 의한 포몹시스 부패병 등의 복숭아의 병해 등의 장미과 작물의 병해;
디아포르테균에 의한 흑점병, 엘시노에균에 의한 더댕이병 등의 귤과 작물의 병해;
글로에오스포리움균에 의한 탄저병, 세르코스포라균에 의한 낙엽병, 필락티니아균에 의한 백분병, 지고피알라균에 의한 그을음점무늬병 등의 감나무과 작물의 병해;
콜레토트리쿰균에 의한 탄저병, 페스탈로티옵시스균에 의한 윤반병, 슈도모나스균에 의한 적소병, 카멜리아균에 의한 떡병 등의 동백과 작물의 병해;
등의 식물 병해의 방제에 유효하다.
충분한 치료 효과나 침달 효과 등이 얻어진다는 점에서, 상기한 식물 병해 중, 바람직하게는 백분병,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기생성 백분병,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파에로테카균, 오이디움균 또는 필락티니아균에 의한 백분병의 방제에 유효하다.
또한, 푸사리움균에 의한 붉은곰팡이병, 콜레토트리쿰균에 의한 탄저병, 틸레티아균에 의한 성흑수병, 우스틸라고균에 의한 나흑수병, 세팔로스포리움균에 의한 조반병, 세프토리아균에 의한 껍질마름병 등의 보리류의 병해; 비포라리스균에 의한 호마잎마름병, 콜레토트리쿰균에 의한 탄저병, 푸사리움균에 의한 깨씨무늬병 등의 옥수수의 병해; 글로메렐라균에 의한 적부병, 세라토시스티스균에 의한 흑부병, 스클레로스포라균에 의한 노균병 등의 사탕수수의 병해 등의 볏과 작물의 병해;
세르코스포라균에 의한 자반병, 페로노스포라균에 의한 노균병, 푸사리움균에 의한 입고병, 세프토리아균에 의한 갈문병, 디아포르테균에 의한 흑점병, 콜레토트리쿰균에 의한 탄저병, 셉토글로에움균에 의한 잠병(Sleeping-blight) 등의 대두의 병해 등의 콩과 작물의 병해;
알테르나리아 브라시카에균에 의한 흑반병, 알테르나리아 브라시콜라균에 의한 검은 그을음병, 페로노스포라균에 의한 노균병, 슈도모나스균에 의한 흑반세균병, 크산토모나스균에 의한 흑부병, 포마균에 의한 뿌리썩음병 등의 양배추의 병해; 알테르나리아균에 의한 흑반병, 푸사리움균에 의한 위황병, 크산토모나스균에 의한 흑부병 등의 무의 병해; 알테르나리아균에 의한 흑반병, 크산토모나스균에 의한 흑부병, 베르티실리움균에 의한 황화병 등의 배추의 병해 등의 십자화과 작물의 병해;
알테르나리아균에 의한 윤문병, 클라비박터균에 의한 궤양병, 크산토모나스균에 의한 반점세균병 등의 토마토의 병해; 알테르나리아균에 의한 갈반병, 포몹시스균에 의한 갈문병 등의 가지의 병해; 스트렙토마이세스균에 의한 더댕이병, 헬민토스포리움균에 의한 은빛비듬병, 스폰고스포라균에 의한 가루더댕이병 등의 감자의 병해 등 가짓과 작물의 병해;
알테르나리아균에 의한 흑반병, 슈도모나스균에 의한 반점세균병, 크산토모나스균에 의한 갈반세균병 등의 오이의 병해 등의 박과 작물의 병해;
알테르나리아균에 의한 흑반병, 보트리티스균에 의한 회색부패병 또는 균사성 부패병, 푸사리움균에 의한 건부병, 페로노스포라균에 의한 노균병 등의 양파의 병해 등의 파과 작물의 병해;
알테르나리아균에 의한 검은 잎마름병 또는 흑반병, 크산토모나스균에 의한 반점세균병; 셀러리의, 세프토리아균에 의한 잎마름병, 스클레로티니아균에 의한 균핵병, 슈도모나스균에 의한 세균성 잎마름병 등의 당근의 병해 등의 미나리과 작물의 병해;
페로노스포라균에 의한 노균병, 푸사리움균에 의한 위조병, 콜레토트리쿰균에 의한 탄저병 등의 시금치의 병해 등의 명아주과 작물의 병해;
등의 종자 전염성 병해에도 유효하다.
또한, 푸사리움균, 피티움균, 리족토니아균, 베르티실리움균, 플라스모디오포라균, 티엘라비옵시스균 등의 식물병원균에 의해 야기되는 토양 병해의 방제에도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해 각종 식물병원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식물로서는, 농업상 유용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볏과 작물(벼, 소맥, 대맥, 귀리, 호밀, 옥수수, 사탕수수 등), 콩과 작물(대두, 강남콩, 팥 등), 십자화과 작물(양배추, 배추, 무, 순무,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유채, 서양유채 등), 국화과 작물(양상추, 우엉, 쑥갓 등), 가짓과 작물(감자, 가지, 토마토, 피망, 담배 등), 박과 작물(오이, 호박, 멜론, 수박 등), 파과 작물(파, 부추, 염교, 마늘 등), 미나리과 작물(셀러리, 당근, 파슬리 등), 백합과 작물(백합, 튤립, 아스파라거스 등), 마디풀과(메밀 등), 메꽃과(고구마 등), 명아주과 작물(시금치, 사탕무 등), 포도과 작물(포도 등), 장미과 작물(장미, 딸기, 사과, 배, 복숭아, 비파, 아몬드 등), 귤과 작물(귤, 레몬, 오렌지 등), 감나무과 작물(단감 등), 동백과 작물(차나무 등), 모크세이과 작물(올리브, 자스민 등), 아욱과 작물(목화, 카카오, 오크라 등), 파초과 작물(바나나 등), 생강과 작물(생강 등), 꼭두서닛과 작물(커피나무 등) 또는 파인애플과 작물(파인애플, 아나나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가짓과 작물 또는 박과 작물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오이 또는 피망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a) 성분 및 (b) 성분은,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한,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한쪽의 성분을 다른 쪽의 성분에 첨가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종래의 농약 제제와 마찬가지로, 각종 보조제와 혼합하여 분제, 입제, 과립 수화제, 수화제, 수성 현탁제, 유성 현탁제, 수용제, 유제, 액제, 페이스트제, 에어로졸제, 미량 살포제 등의 통상의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든 제제 형태로 제제하여 사용해도 된다.
제제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a) 성분 및 (b) 성분을 함께 혼합하여 제제 제조해도 되고, 이들을 따로따로 제제 제조해도 된다.
제제에 사용하는 보조제로서는, 규조토, 소석회, 탄산칼슘, 탈크, 화이트 카본, 카올린, 벤토나이트, 카올리나이트 및 세리사이트의 혼합물, 클레이,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황산나트륨, 제올라이트, 전분 등의 고형 담체; 물, 톨루엔, 크실렌, 솔벤트나프타, 디옥산, 아세톤, 이소포론, 메틸이소부틸케톤, 클로로벤젠, 시클로헥산,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알코올 등의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보조제는 본 발명의 목적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한,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것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량제, 증점제, 침강 방지제, 동결 방지제, 분산 안정제, 약해 경감제, 방미제 등 통상 사용되는 각종 보조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 성분 및 (b) 성분의 총량에 대한 각종 보조제의 배합비는, 중량비로 일반적으로 0.005:99.995 내지 95:5, 바람직하게는 0.2:99.8 내지 90:10이다. 이들 제제의 실제 사용 시에는,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물 등의 희석제로 소정 농도로 희석하고, 필요에 따라 각종 전착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른 농약, 예를 들어 살균제, 살충제, 살진드기제, 살선충제, 살토양 해충제, 항바이러스제, 유인제, 제초제, 식물 성장 제조제, 미생물 제제 등을 더 병용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한층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상기 다른 농약 중의, 살균제의 유효 성분 화합물(일반명 또는 일본 식물 방역 협회 시험 코드)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특별히 기재가 없는 경우에도, 이들 화합물에, 염, 알킬에스테르, 광학 이성체와 같은 각종 구조 이성체 등이 존재하는 경우는, 당연히 그들도 포함된다.
메파니피림(mepanipyrim), 피리메타닐(pyrimethanil), 시프로디닐(cyprodinil)과 같은 아닐리노피리미딘계 화합물;
플루아지남(fluazinam)과 같은 피리딘아민계 화합물;
5-클로로-7-(4-메틸피페리딘-1-일)-6-(2,4,6-트리플루오로페닐)[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과 같은 트리아졸로 피리미딘계 화합물;
트리아디메폰(triadimefon), 비테르타놀(bitertanol), 트리플루미졸(triflumizole), 에타코나졸(etaconazole), 프로피코나졸(propiconazole), 펜코나졸(penconazole), 플루실라졸(flusilazole), 미클로부타닐(myclobutanil), 시프로코나졸(cyproconazole), 테부코나졸(tebuconazole), 헥사코나졸(hexaconazole), 푸르코나졸시스(furconazole-cis), 프로클로라즈(prochloraz), 메트코나졸(metconazole), 에폭시코나졸(epoxiconazole), 테트라코나졸(tetraconazole), 옥스포코나졸푸마르산염(oxpoconazole fumarate), 프로티오코나졸(prothioconazole), 트리아디메놀(triadimenol), 플루트리아폴(flutriafol), 디페노코나졸(difenoconazole), 플루퀸코나졸(fluquinconazole), 펜부코나졸(fenbuconazole), 브로무코나졸(bromuconazole), 디니코나졸(diniconazole), 트리시클라졸(tricyclazole), 프로베나졸(probenazole), 시메코나졸(simeconazole), 페푸라조에이트(pefurazoate), 입코나졸(ipconazole), 이미벤코나졸(imibenconazole), 아자코나졸(azaconazole), 트리티코나졸(triticonazole), 이마잘릴(imazalil), 입펜트리플루코나졸(ipfentrifluconazole), 메펜트리플루코나졸(mefentrifluconazole)과 같은 아졸계 화합물;
퀴노메티오네이트(quinomethionate)와 같은 퀴녹살린계 화합물;
마네브(maneb), 지네브(zineb), 만제브(mancozeb), 폴리카르바메이트(polycarbamate), 메티람(metiram), 프로피네브(propineb), 티람(thiram)과 같은 디티오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
프탈라이드(fthalide), 클로로탈로닐(chlorothalonil), 퀸토젠(quintozene)과 같은 유기 염소계 화합물;
베노밀(benomyl), 카르벤다짐(carbendazim), 티아벤다졸(thiabendazole), 푸베리아졸(fuberiazole)과 같은 이미다졸계 화합물;
시목사닐(cymoxanil)과 같은 시아노아세트아미드계 화합물;
메탈락실(metalaxyl), 메탈락실-M(metalaxyl-M; 별칭 메페녹삼(mefenoxam)), 옥사딕실(oxadixyl), 오푸레이스(ofurace), 베날락실(benalaxyl), 베날락실-M(benalaxyl-M; 별칭 키랄락실(kiralaxyl, chiralaxyl)), 푸랄락실(furalaxyl), 시프로푸람(cyprofuram), 카르복신(carboxin), 옥시카르복신(oxycarboxin), 티플루자미드(thifluzamide), 보스칼리드(boscalid), 빅사펜(bixafen), 이소티아닐(isotianil), 티아디닐(tiadinil), 세닥산(sedaxane), 피라지플루미드(pyraziflumid)와 같은 아닐리드계 화합물;
디클로플루아니드(dichlofluanid)와 같은 술파미드계 화합물;
수산화제2 구리(cupric hydroxide), 유기 구리(oxine copper), 무수 황산구리, 노닐페놀술폰산구리, 8-히드록시퀴놀린구리, 도데실벤젠술폰산비스에틸렌디아민구리 착염(Ⅱ), (별칭 DBEDC)과 같은 구리계 화합물;
포세틸알루미늄(fosetyl-Aluminium), 톨클로포스메틸(tolclofos-methyl), 에디펜포스(edifenphos), 이프로벤포스(iprobenfos)와 같은 유기 인계 화합물;
캡탄(captan), 캡타폴(captafol), 폴펫(folpet)과 같은 프탈이미드계 화합물;
프로시미돈(procymidone), 이프로디온(iprodione), 빈클로졸린(vinclozolin)과 같은 디카르복시이미드계 화합물;
플루톨라닐(flutolanil), 메프로닐(mepronil), 베노다닐(benodanil)과 같은 벤즈아닐리드계 화합물;
펜티오피라드(penthiopyrad), 펜플루펜(penflufen), 푸라메트피르(furametpyr), 이소피라잠(isopyrazam), 실티오팜(silthiopham), 페녹사닐(fenoxanil), 펜푸람(fenfuram), 플룩사피록사드(fluxapyroxad), 벤조빈디플루피르(benzovindiflupyr), 피디플루메토펜(pydiflumetofen)과 같은 아미드계 화합물;
플루오피람(fluopyram), 족사미드(zoxamide)와 같은 벤즈아미드계 화합물;
이소페타미드(isofetamid)와 같은 티오펜아미드계 화합물;
트리포린(triforine)과 같은 피페라진계 화합물;
피리페녹스(pyrifenox), 피리속사졸(pyrisoxazole)과 같은 피리딘계 화합물;
페나리몰(fenari㏖), 누아리몰(nuarimol)과 같은 카르비놀계 화합물;
펜프로피딘(fenpropidin)과 같은 피페리딘계 화합물;
펜프로피모르프(fenpropimorph), 트리데모르프(tridemorph)와 같은 모르폴린계 화합물;
펜틴히드록시드(fentin hydroxide), 펜틴아세테이트(fentin acetate)와 같은 유기 주석계 화합물;
펜시큐론(pencycuron)과 같은 요소계 화합물;
디메토모르프(dimethomorph), 플루모르프(flumorph), 피리모르프(pyrimorph), 이프로발리카르브(iprovalicarb), 벤티아발리카르브-이소프로필(benthiavalicarb-isopropyl), 발리페날에이트(valifenalate), 만디프로파미드(mandipropamid)와 같은 카르복실산아미드계 화합물;
디에토펜카르브(diethofencarb)와 같은 페닐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 펜피클로닐(fenpiclonil)과 같은 시아노피롤계 화합물;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크레속심메틸(kresoxim-methyl), 메토미노스트로빈(metominostrobin), 트리플록시스트로빈(trifloxystrobin), 피콕시스트로빈(picoxystrobin), 오리자스트로빈(oryzastrobin), 디목시스트로빈(dimoxystrobin), 피라클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플루옥사스트로빈(fluoxastrobin), 에네스트로부린(Enestroburin), 피라옥시스트로빈(Pyraoxystrobin), 피라메토스트로빈(Pyrametostrobin), 쿠목시스트로빈(coumoxystrobin), 에녹사스트로빈(enoxastrobin), 페나민스트로빈(fenaminstrobin), 플루페녹시스트로빈(flufenoxystrobin), 트리클로피리카르브(triclopyricarb), 만데스트로빈(mandestrobin)과 같은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
파목사돈(famoxadone)과 같은 옥사졸리디논계 화합물;
에타복삼(ethaboxam)과 같은 티아졸카르복사미드계 화합물;
페나미돈(fenamidone)과 같은 이미다졸리논계 화합물;
펜헥사미드(fenhexamid)와 같은 하이드록시아닐리드계 화합물;
플루술파미드(flusulfamide), 아미술브롬(amisulbrom), 시아조파미드(cyazofamiid)와 같은 술폰아미드계 화합물;
시플루페나미드(cyflufenamid)와 같은 옥심 에테르계 화합물;
디티아논(dithianon)과 같은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멥틸디노캅(meptyldinocap)과 같은 크로톤산계 화합물;
발리다마이신(validamycin), 카수가마이신(kasugamycin), 폴리옥신(polyoxins), 펜피콕사미드(fenpicoxamid)와 같은 항생 물질;
이미녹타딘(iminoctadine), 도딘(dodine)과 같은 구아니딘계 화합물;
테부플로퀸(tebufloquin), 퀴녹시펜(quinoxyfen), 퀴노푸멜린(quinofumelin)과 같은 퀴놀린계 화합물;
플루티아닐(flutianil)과 같은 티아졸리딘계 화합물;
프로파모카르브염산염(propamocarb hydrochloride), 피리벤카르브(pyribencarb), 톨프로카르브(tolprocarb), 피카르부트라족스(picarbutrazox)와 같은 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
황(Sulfur), 석회황제와 같은 황계 화합물;
그 밖의 화합물로서, 이소프로티올란(isoprothiolane), 피로퀼론(pyroquilon), 디클로메진(diclomezine), 클로로피크린(chloropicrin), 다조메트(dazomet), 메탐 나트륨염(metam-sodium), 니코비펜(nicobifen), 디클로시메트(diclocymet), 프로퀴나지드(proquinazid), 플루오피콜라이드(fluopicolide), 카프로파미드(carpropamid), 페림존(ferimzone), 스피록사민(spiroxamine), 펜피라자민(fenpyrazamine), 아메톡트라딘(ametoctradin), 옥사티아피프롤린(oxathiapiprolin), 디피메티트론(dipymetitrone), 아시벤조라르 S 메틸(acibenzolar-s-methyl), 디클로벤티아족스(dichlobentiazox), SB-4303, BAF-1107, MIF-1002, KUF-1411, BAF-1120, BAF-1510, BAF-1511, NF-180, S-2399, SYJ-259, AKD-5195, BYF-1303, S-2367, S-2190, BAF-1401, KF-37, KYIF-1402 등을 들 수 있다.
미생물 살균제로서, 바실루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균주(Bacillus amyloliqefaciens strain) QST713, 바실루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균주 FZB24, 바실루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균주 MBI600, 바실루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균주 D747,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Pseudomonas fluorescens), 바실루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트리코데르마 아트로비리데(Trichoderma atroviride) SKT-1 등을 들 수 있다.
식물 추출물로서, 티트리유(Tea tree oil)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농약 중의, 살충제, 살진드기제, 살선충제 또는 살토양 해충제, 즉 살해충제의 유효 성분 화합물(일반명 또는 일본 식물 방역 협회 시험 코드)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특별히 기재가 없는 경우에도, 이들 화합물에, 염, 알킬에스테르, 광학 이성체와 같은 각종 구조 이성체 등이 존재하는 경우는, 당연히 그들도 포함된다.
프로페노포스(profenofos), 디클로르보스(dichlorvos), 페나미포스(fenamiphos), 페니트로티온(fenitrothion), EPN((RS)-(O-에틸 O-4-니트로페닐페닐포스포노티오에이트)), 다이아지논(diazinon),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클로르피리포스메틸(chlorpyrifos-methyl), 아세페이트(acephate), 프로티오포스(prothiofos), 포스티아제이트(fosthiazate), 카두사포스(cadusafos), 디술포톤(disulfoton), 이속사티온(isoxathion), 이소펜포스(isofenphos), 에티온(ethion), 에트림포스(etrimfos), 퀴날포스(quinalphos), 디메틸빈포스(dimethylvinphos), 디메토에이트(dimethoate), 술프로포스(sulprofos), 티오메톤(thiometon), 바미도티온(vamidothion), 피라클로포스(pyraclofos), 피리다펜티온(pyridaphenthion), 피리미포스메틸(pirimiphos-methyl), 프로파포스(propaphos), 포살론(phosalone), 포르모티온(formothion), 말라티온(malathion), 테트라클로르빈포스(tetrachlorvinphos), 클로르펜빈포스(chlorfenvinphos), 시아노포스(cyanophos), 트리클로르폰(trichlorfon), 메티다티온(methidathion), 펜토에이트(phenthoate), 옥시데프로포스(oxydeprofos; 별칭ESP), 아진포스메틸(azinphos-methyl), 펜티온(fenthion), 헵테노포스(heptenophos), 메톡시클로르(methoxychlor), 파라티온(parathion), 포스포카르브(phosphocarb), 디메톤-S-메틸(demeton-S-methyl), 모노크로토포스(monocrotophos), 메타미도포스(methamidophos), 이미시아포스(imicyafos), 파라티온-메틸(parathion-methyl), 테르부포스(terbufos), 포스파미돈(phosphamidon), 포스메트(phosmet), 포레이트(phorate)와 같은 유기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카르바릴(carbaryl), 프로폭수르(propoxur), 알디카르브(aldicarb), 카르보푸란(carbofuran), 티오디카르브(thiodicarb), 메토밀(methomyl), 옥사 밀(oxamyl), 에티오펜카르브(ethiofencarb), 피리미카르브(pirimicarb), 페노부카르브(fenobucarb), 카르보술판(carbosulfan), 벤푸라카르브(benfuracarb), 벤디오카르브(bendiocarb), 푸라티오카르브(furathiocarb), 이소프로카르브(isoprocarb), 메톨카르브(metolcarb), 크실릴카르브(xylylcarb), XMC(3,5-크실릴메틸카르바메이트), 페노티오카르브(fenothiocarb)와 같은 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
카르탑(cartap), 티오시클람(thiocyclam), 옥살산수소티오시클람(thiocyclam oxalate), 티오시클람염산염(thiocyclam hydrochloride), 벤술탑(bensultap), 디오술탑(thiosultap), 모노술탑(monosultap; 별칭 티오술탑모노나트륨(thiosultap-monosodium)), 비술탑(bisultap; 별칭 티오술탑디나트륨(thiosultap-disodium)), 폴리티알란(polythialan)과 같은 네레이스톡신 유도체;
산화펜부타주석(fenbutatin oxide), 사이헥사틴(cyhexatin)과 같은 유기 금속계 화합물;
펜발레레이트(fenvalerate), 퍼메트린(permethrin), 시퍼메트린(cypermethrin), 알파-시퍼메트린(alpha-cypermethrin), 제타-시퍼메트린(zeta-cypermethrin), 세타-시퍼메트린(theta-cypermethrin), 베타-시퍼메트린(beta-cypermethrin), 델타메트린(deltamethrin), 시할로트린(cyhalothrin), 감마-시할로트린(gamma-cyhalothrin), 람다-시할로트린(lambda-cyhalothrin), 테플루트린(tefluthrin), 카파-테플루트린(kappa-tefluthrin), 에토펜프록스(ethofenprox), 플루펜프록스(flufenprox), 시플루트린(cyfluthrin), 베타-시플루트린(beta-cyfluthrin), 펜프로파트린(fenpropathrin), 플루시트리네이트(flucythrinate), 플루발리네이트(fluvalinate), 시클로프로트린(cycloprothrin), 피레트린(pyrethrins), 에스펜발레레이트(esfenvalerate), 테트라메트린(tetramethrin), 레스메트린(resmethrin), 프로트리펜부트(protrifenbute), 비펜트린(bifenthrin), 카파-비펜트린(kappa-bifenthrin), 아크린아트린(acrinathrin), 알레트린(allethrin), 타우-플루발리네이트(tau-fluvalinate), 트랄로메트린(tralomethrin), 프로플루트린(profluthrin), 메토플루트린(metofluthrin), 엡실론메토플루트린(epsilon-metofluthrin), 헵타플루트린(heptafluthrin), 페노트린(phenothrin), 플루메트린(flumethrin), 몸플루오로트린(momfluorothrin), 엡실론몸플루오로트린(epsilon-momfluorothrin), 실라플루오펜(silafluofen), 클로로프랄레트린(chloroprallethrin)과 같은 피레트로이드계 화합물;
디플루벤주론(diflubenzuron), 클로르플루아주론(chlorfluazuron), 테플루벤주론(teflubenzuron), 플루페녹수론(flufenoxuron), 루페누론(lufenuron), 노발루론(novaluron), 트리플루무론(triflumuron), 헥사플루무론(hexaflumuron), 비스트리플루론(bistrifluron), 노비플루무론(noviflumuron), 플루아주론(fluazuron)과 같은 벤조일우레아계 화합물;
메토프렌(methoprene),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 페녹시카르브(fenoxycarb), 디오페놀란(diofenolan)과 같은 유약 호르몬-유사 화합물;
피리다벤(pyridaben)과 같은 피리다지논계 화합물;
펜피록시메이트(fenpyroximate), 피브로닐(fipronil), 테부펜피라드(tebufenpyrad), 에티프롤(ethiprole), 톨펜피라드(tolfenpyrad), 아세토프롤(acetoprole), 피라플푸프롤(pyrafluprole), 피리프롤(pyriprole), 시에노피라펜(cyenopyrafen), 피플루부미드(pyflubumide), 플루피프롤(flufiprole)과 같은 피라졸계 화합물;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니텐피람(nitenpyram), 아세타미프리드(acetamiprid), 티아클로프리드(thiacloprid), 티아메톡삼(thiamethoxam), 클로티아니딘(clothianidin), 니디노테푸란(nidinotefuran), 디노테프란(dinotefuran), 니티아진(nithiazine)과 같은 네오니코티노이드계 화합물;
테부페노지드(tebufenozide), 메톡시페노지드(methoxyfenozide), 크로마페노지드(chromafenozide), 할로페노지드(halofenozide)와 같은 히드라진계 화합물;
피리달릴(pyridalyl), 플로니카미드(flonicamid)와 같은 피리딘계 화합물;
스피로디클로펜(spirodiclofen), 스피로메시펜(spiromesifen), 스피로테트라마트(spirotetramat)와 같은 환상 케토-엔올계 화합물;
플루아크리피림(fluacrypyrim), 피리미노스트로빈(pyriminostrobin)과 같은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
플루페네림(flufenerim), 피리미디펜(pyrimidifen)과 같은 피리미디나민계 화합물;
말라티온(malathion)과 같은 유기 황 화합물;
시로마진(cyromazine)과 같은 트리아진계 화합물;
히드라메틸논(hydramethylnon)과 같은 히드라존계 화합물;
플루벤디아미드(flubendiamide), 클로란트라닐리프롤(chlorantraniliprole), 시안트라닐리프롤(cyantraniliprole), 시클라닐리프롤(cyclaniliprole), 테트라닐리프롤(tetraniliprole), 브로플라닐리드(broflanilide), 시할로디아미드(cyhalodiamide)와 같은 디아미드계 화합물;
디아펜티우론(diafenthiuron), 클로로메티우론(chloromethiuron)과 같은 티오우레아계 화합물;
아미트라즈(amitraz), 클로르디메포름(chlordimeform), 클로로메부포름(chloromebuform)과 같은 포름 아미딘계 화합물;
플루피라디푸론(flupyradifurone)과 같은 부테노라이드계 화합물;
또한, 그 밖의 화합물로서, 부프로페진(buprofezin), 헥시티아족스(hexythiazox), 트리아자메이트(triazamate), 피메트로진(pymetrozine), 클로르페나피르(chlorfenapyr), 인독사카르브(indoxacarb), 아세퀴노실(acequinocyl), 에톡사졸(etoxazole), 1,3-디클로로프로펜(1,3-dichloropropene), 벤클로티아즈(benclothiaz), 비페나제이트(bifenazate), 프로파르기트(propargite), 클로펜테진(clofentezine), 메타플루미존(metaflumizone), 시플루메토펜(cyflumetofen), 피리플루퀴나존(pyrifluquinazone), 페나자퀸(fenazaquin), 아미도플루메트(amidoflumet), 술플루라미드(sulfluramid), 히드라메틸논(hydramethylnon), 메탈데히드(metaldehyde), 술폭사플로르(sulfoxaflor), 플루엔술폰(fluensulfone), 벨부틴(verbutin), 디클로로메조티아즈(dicloromezotiaz), 트리플루메조피림(triflumezopyrim), 플루헥사폰(fluhexafon), 티옥사자펜(tioxazafen), 아피도피로펜(afidopyropen), 플로메토퀸(flometoquin), 플루아자인돌리진(fluazaindolizine), 플룩사메타미드(fluxametamide)를 들 수 있다.
또한, 바실루스 투린기엔시스 아이자와이(Bacillus thuringiensis aizawai), 바실루스 투린기엔시스 쿠르스타키(Bacillus thuringiensis kurstaki), 바실루스 투린기엔시스 이스라엘렌시스(Bacillus thuringiensis israelensis), 바실루스 투린기엔시스 자포넨시스(Bacillus thuringiensis japonensis), 바실루스 투린기엔시스 테네브리오니스(Bacillus thuringiensis tenebrionis) 또는 바실루스 투린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가 생성되는 결정 단백 독소, 곤충 병원 바이러스제, 곤충 병원 사상균제, 선충 병원 사상균제등과 같은 미생물 농약;
아버멕틴(avermectin), 에마멕틴벤조에이트(emamectin Benzoate), 밀베멕틴(milbemectin), 밀베마이신(milbemycin), 스피노사드(spinosad), 이버멕틴(ivermectin), 레피멕틴(lepimectin), 아바멕틴(abamectin), 에마멕틴(emamectin), 스피네토람(spinetoram)과 같은 항생 물질 또는 반합성 항생 물질;
아자디라크틴(azadirachtin), 로테논(rotenone), 리아노딘(ryanodine)과 같은 천연물;
디트(deet)와 같은 기피제 등과 혼용,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여러가지의 제제, 또는 그의 희석물의 시용은, 통상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시용 방법, 즉 살포(예를 들어 살포, 분무, 미스팅, 아토마이징, 산립, 수면 시용 등), 토양 시용(혼화, 관주 등), 표면 시용(도포, 분의, 도말, 피복 등), 종자 처리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소위 초고농도 소량 살포법(ultra low volume)에 의해 시용할 수도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활성 성분을 100% 함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a) 성분과 (b) 성분의 시용량은, 대상 식물, 처리 방법, 제제 형태, 처리량, 처리 시기 등의 조건의 차이에 따라 상이하므로,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식물의 경엽 처리의 경우, 1헥타르당,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의 합계가, 통상 5g 내지 10000g, 바람직하게는 10g 내지 50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g 내지 2500g이다. 종자 처리의 경우, 종자 중량 100㎏에 대하여,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의 시용량의 합계가, 통상 1g 내지 2000g, 바람직하게는 1g 내지 10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1g 내지 500g이다. 토양에 대한 시용의 경우, 1헥타르당,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의 시용량의 합계가, 통상 5g 내지 10000g, 바람직하게는 10g 내지 50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g 내지 1000g이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의 농도는, 대상 식물, 처리 방법, 제제 형태, 처리량, 처리 시기 등의 조건의 차이에 따라 상이하므로,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예를 들어 식물의 경엽 또는 토양에 시용하는 경우, 통상 0.01ppm 내지 100000ppm, 바람직하게는 0.1ppm 내지 100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1ppm 내지 1000ppm이다. 종자 처리의 경우, 통상 0.25 내지 500g/종자 1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g/종자 100㎏이다.
(a) 성분과 (b) 성분의 중량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식물의 종류, 시용 장면, 시용 방법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에 걸쳐 바꿀 수 있다. (a) 성분과 (b) 성분의 중량비는 통상 1:10000 내지 10000:1,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500:1,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1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를 이하에 기재한다.
(1)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인 (a) 성분과 함께,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 식물유, 파라핀류, 수지류 및 테르펜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b) 성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증강시키는 방법.
(2) (a) 성분이, 피리오페논 및 메트라페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에 기재된 방법.
(3) (a) 성분이, 피리오페논인, (1)에 기재된 방법.
(4) (a) 성분이, 메트라페논인, (1)에 기재된 방법.
(5) (b) 성분이,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파라핀류 및 식물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성분인, (1) 내지 (4)에 기재된 방법.
(6) (b) 성분이,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7) 당해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 및 알칸올아미드계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8) 당해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9) (b) 성분이,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10) (b) 성분이,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및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11) (b) 성분이,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및 식물유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12) (b) 성분이,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및 식물유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13) (b) 성분이,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및 식물유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14) (b) 성분이,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식물유 및 파라핀류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15) (b) 성분이,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식물유 및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16) (b) 성분이,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17) (b) 성분이,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 및 식물유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18) (b) 성분이,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 및 파라핀류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19) 당해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황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및 인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0) 상기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황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및 인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1) (b) 성분이, 인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2) (b) 성분이, 황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및 알칸올아미드계 계면 활성제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3) 상기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에톡실화 지방족 아민계 계면 활성제, 디알킬암모늄염계 계면 활성제 및 알킬암모늄염계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4) 상기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에톡실화 지방족 아민계 계면 활성제, 디알킬암모늄염계 계면 활성제 및 알킬암모늄염계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5) (b) 성분이, 식물유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6) 상기 식물유가, 톨유, 톨유 지방산, 톨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야자유, 대두유, 메틸화 대두유, 채종유, 메틸화 채종유 및 에틸화 채종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 내지 (4) 또는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7) (b) 성분이, 파라핀류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8) (a) 성분과 (b) 성분의 혼합 중량비가 1:5000 내지 500:1인, (1)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9) (a) 성분이 피리오페논이며, (a) 성분과 (b) 성분의 혼합 중량비가 15:1 내지 1:400인, (1) 내지 (3), (5)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30) (a) 성분이 메트라페논이며, (a) 성분과 (b) 성분의 혼합 중량비가 50:1 내지 1:150인, (1), (2), (4)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31)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인 (a) 성분과 함께,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 식물유, 파라핀류, 수지류 및 테르펜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b) 성분을 식물 또는 식물의 재배 토양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32) (a) 성분이, 피리오페논 및 메트라페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31)에 기재된 방법.
(33) (a) 성분이, 피리오페논인, (31)에 기재된 방법.
(34) (a) 성분이, 메트라페논인, (31)에 기재된 방법.
(35) (b) 성분이,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파라핀류 및 식물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성분인,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36) (b) 성분이,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인,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37) 상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 및 알칸올아미드계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38) 상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인,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39) (b) 성분이,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인,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40) (b) 성분이,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및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인, (32) 내지 (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41) (b) 성분이,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및 식물유인,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42) (b) 성분이,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및 식물유인,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43) (b) 성분이,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및 식물유인,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44) (b) 성분이,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식물유 및 파라핀류인,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45) (b) 성분이,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식물유 및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인,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46) (b) 성분이,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인,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47) (b)가,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 및 식물유인,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48) (b)가,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 및 파라핀류인,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49) 상기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황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및 인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50) 상기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에톡실화 지방족 아민계 계면 활성제, 디알킬암모늄염계 계면 활성제 및 알킬암모늄염계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31) 또는 (35)에 기재된 방법.
(51) 상기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에톡실화 지방족 아민계 계면 활성제, 디알킬암모늄염계 계면 활성제 및 알킬암모늄염계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52) (b) 성분이, 식물유인,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53) 상기 식물유가, 톨유, 톨유 지방산, 톨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야자유, 대두유, 메틸화 대두유, 채종유, 메틸화 채종유 및 에틸화 채종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31) 내지 (34) 또는 (5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54) (b) 성분이, 파라핀류인,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55) (a) 성분과 (b) 성분의 혼합 중량비가 1:5000 내지 500:1인,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56) (a) 성분이 피리오페논이며, (a) 성분과 (b) 성분의 혼합 중량비가 15:1 내지 1:400인, (31) 내지 (33), (35) 내지 (5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57) (a) 성분이 메트라페논이며, (a) 성분과 (b) 성분의 혼합 중량비가 50:1 내지 1:150인, (31), (32), (34) 내지 (5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58) 보호하는 작물이 오이인, (1) 내지 (5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59) 보호하는 작물이 피망인, (1) 내지 (5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60) 식물 병해가 백분병인, (1) 내지 (5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시험예를 기재하지만, 이것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오이 백분병·치료 효과·온도별 시험)
직경 7.5㎝의 폴리 화분에서 오이(품종: 사가미한지로후시나리)를 재배하여, 1.5엽기에 도달했을 때에 오이 백분병균(Sphaerotheca fuliginea)의 분생자 현탁액을 엽표에 분무 접종하고, 20℃ 및 28℃ 실내, 조명 하에서 3일간 육묘 후, 피리오페논의 살포액을 제조하여(투하약의 양 90g ai/ha, 살포액량 800L/ha), 스프레이건으로 엽표에 살포하였다. 약액 건조 후, 20℃ 및 28℃ 실내, 조명 하에서 6일간 육묘하였다. 1엽째 엽표의 병반 면적률을 조사하여, 하기의 식으로부터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방제가=(1-a/b)×100
a: 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b: 무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Figure pct00001
이와 같이, (b) 성분이 없는 경우,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는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온도가 높을 때에 비하여, 방제가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하의 시험예와 같이 (b) 성분을 가함으로써,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다.
시험예 2(오이 백분병·치료 효과 시험)
직경 7.5㎝의 폴리 화분에서 오이(품종: 사가미한지로후시나리)를 재배하여, 1.5엽기에 도달했을 때에 오이 백분병균(Sphaerotheca fuliginea)의 분생자 현탁액을 엽표에 분무 접종하고, 20℃ 실내, 조명 하에서 3일간 육묘 후, 각 사용 제품을 포함하는 수용액(0.5v/v%)으로, 피리오페논의 살포액을 제조하여(투하약의 양 90g ai/ha, 살포액량 800L/ha), 스프레이건으로 엽표에 살포하였다. 약액 건조 후, 20℃ 실내, 조명 하에서 6일간 육묘하였다. 1엽째 엽표의 병반 면적률을 조사하여, 하기의 식으로부터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표 중, 무가용이란, (b) 성분을 첨가하지 않고 상기한 처리가 행하여진 것이다(이하, 마찬가지).
방제가=(1-a/b)×100
a: 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b: 무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시험예 3(오이 백분병·치료 효과 시험)
직경 7.5㎝의 폴리 화분에서 오이(품종: 사가미한지로후시나리)를 재배하여, 1.5엽기에 도달했을 때에 오이 백분병균(Sphaerotheca fuliginea)의 분생자 현탁액을 엽표에 분무 접종하고, 20℃ 실내, 조명 하에서 3일간 육묘 후, 각 사용 제품을 포함하는 수용액(0.05 내지 0.25v/v%)으로, 피리오페논의 살포액을 제조하여(투하약의 양 90g ai/ha, 살포액량 800L/ha), 스프레이건으로 엽표에 살포하였다. 약액 건조 후, 20℃ 실내, 조명 하에서 6일간 육묘하였다. 1엽째의 병반 면적률을 조사하여, 하기의 식으로부터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방제가=(1-a/b)×100
a: 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b: 무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Figure pct00004
시험예 4(오이 백분병·치료 효과 시험)
직경 7.5㎝의 폴리 화분에서 오이(품종: 사가미한지로후시나리)를 재배하여, 1.5엽기에 도달했을 때에 오이 백분병균(Sphaerotheca fuliginea)의 분생자 현탁액을 엽표에 분무 접종하고, 20℃ 실내, 조명 하에서 3일간 육묘 후, 각 사용 제품을 포함하는 수용액(0.025 내지 0.25v/v%)으로, 피리오페논의 살포액을 제조하여(투하약의 양 90g ai/ha, 살포액량 800L/ha), 스프레이건으로 엽표에 살포하였다. 약액 건조 후, 온실 내에서 4일간 육묘한 후, 20℃ 실내, 조명 하에서 5일간 육묘하였다. 1엽째의 병반 면적률을 조사하여, 하기의 식으로부터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방제가=(1-a/b)×100
a: 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b: 무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Figure pct00005
시험예 5(오이 백분병·치료 효과 시험)
직경 7.5㎝의 폴리 화분에서 오이(품종: 사가미한지로후시나리)를 재배하여, 1.5엽기에 도달했을 때에 오이 백분병균(Sphaerotheca fuliginea)의 분생자 현탁액을 엽표에 분무 접종하고, 20℃ 실내, 조명 하에서 3일간 육묘 후, 각 사용 제품을 포함하는 수용액(0.025 내지 4.0v/v%)으로, 피리오페논(약량 90g ai/ha) 또는 메트라페논(300g ai/ha)의 살포액을 제조하여(살포액량 800L/ha), 스프레이건으로 엽표에 살포하였다. 약액 건조 후, 20℃ 실내, 조명 하에서 7일간 육묘하였다. 1엽째의 병반 면적률을 조사하여, 하기의 식으로부터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방제가=(1-a/b)×100
a: 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b: 무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Figure pct00006
시험예 6(오이 백분병·치료 효과 시험)
직경 7.5㎝의 폴리 화분에서 오이(품종: 사가미한지로후시나리)를 재배하여, 1.5엽기에 도달했을 때에 오이 백분병균(Sphaerotheca fuliginea)의 분생자 현탁액을 엽표에 분무 접종하고, 20℃ 실내, 조명 하에서 3일간 육묘 후, 사용 제품을 포함하는 수용액(0.01 내지 5.0v/v%)으로, 피리오페논(약량 90g ai/ha) 또는 메트라페논(300g ai/ha)의 살포액을 제조하여(살포액량 800L/ha), 스프레이건으로 엽표에 살포하였다. 약액 건조 후, 20℃ 실내, 조명 하에서 6일간 육묘하였다. 1엽째의 병반 면적률을 조사하여, 하기의 식으로부터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방제가=(1-a/b)×100
a: 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b: 무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Figure pct00007
시험예 7(오이 백분병·치료 효과 시험)
직경 7.5㎝의 폴리 화분에서 오이(품종: 사가미한지로후시나리)를 재배하여, 1.5엽기에 도달했을 때에 오이 백분병균(Sphaerotheca fuliginea)의 분생자 현탁액을 엽표에 분무 접종하고, 20℃ 실내, 조명 하에서 3일간 육묘 후, 사용 제품을 포함하는 수용액(0.02 내지 0.07v/v%)으로, 피리오페논(약량 90g ai/ha) 또는 메트라페논(300g ai/ha)의 살포액을 제조하여(살포액량 800L/ha), 스프레이건으로 엽표에 살포하였다. 약액 건조 후, 20℃ 실내, 조명 하에서 5일간 육묘하였다. 1엽째의 병반 면적률을 조사하여, 하기의 식으로부터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방제가=(1-a/b)×100
a: 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b: 무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Figure pct00008
시험예 8(오이 백분병·치료 효과 시험)
직경 7.5㎝의 폴리 화분에서 오이(품종: 사가미한지로후시나리)를 재배하여, 1.5엽기에 도달했을 때에 오이 백분병균(Sphaerotheca fuliginea)의 분생자 현탁액을 엽표에 분무 접종하고, 20℃ 실내, 조명 하에서 3일간 육묘 후, 각 사용 제품을 포함하는 수용액(0.001 내지 5.0v/v%)으로, 피리오페논(약량 90g ai/ha) 혹은 메트라페논(300g ai/ha)의 살포액을 제조하여(살포액량 800L/ha), 스프레이건으로 엽표에 살포하였다. 약액 건조 후, 20℃ 실내, 조명 하에서 7일간 육묘하였다. 1엽째의 병반 면적률을 조사하여, 하기의 식으로부터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방제가=(1-a/b)×100
a: 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b: 무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Figure pct00009
시험예 9(오이 백분병·치료 효과 시험)
직경 7.5㎝의 폴리 화분에서 오이(품종: 사가미한지로후시나리)를 재배하여, 1.5엽기에 도달했을 때에 오이 백분병균(Sphaerotheca fuliginea)의 분생자 현탁액을 엽표에 분무 접종하고, 20℃ 실내, 조명 하에서 3일간 육묘 후, 각 사용 제품을 포함하는 수용액(0.005 내지 1.0v/v%)으로, 피리오페논(약량 90g ai/ha) 또는 메트라페논(300g ai/ha)의 살포액을 제조하여(살포액량 800L/ha), 스프레이건으로 엽표에 살포하였다. 약액 건조 후, 20℃ 실내, 조명 하에서 7일간 육묘하였다. 1엽째의 병반 면적률을 조사하여, 하기의 식으로부터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방제가=(1-a/b)×100
a: 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b: 무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Figure pct00010
시험예 10(오이 백분병·침달성 시험)
직경 7.5㎝의 폴리 화분에서 오이(품종: 사가미한지로후시나리)를 재배하여, 1.5엽기에 도달했을 때에, 각 사용 제품을 포함하는 수용액(0.015 내지 4.0v/v%)으로, 피리오페논(약량 90g ai/ha)의 살포액을 제조하여(살포액량 800L/ha), 스프레이건으로 엽표에 살포하였다. 약액 건조 후, 20℃ 실내 조명 하에서 4일간 육묘하고, 오이 백분병균(Sphaerotheca fuliginea)의 분생자 현탁액을 엽리에 분무 접종하고, 20℃ 실내, 조명 하에서 8일간 육묘하였다. 1엽째의 엽리의 병반 면적률을 조사하여, 하기의 식으로부터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방제가=(1-a/b)×100
a: 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b: 무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Figure pct00011
시험예 11(피망 백분병·치료 효과 시험)
직경 7.5㎝의 폴리 화분에서 피망(품종: 교나미)을 재배하여, 8.5엽기에 도달했을 때에 피망 백분병균(Oidiopsis sicula Scalia)의 분생자를 뿌려 접종하고, 온실 내, 조명 하에서 3일간 육묘 후, 각 사용 제품을 포함하는 수용액(0.07 내지 4.0v/v%)으로, 피리오페논(약량 90, 110gai/ha)의 살포액을 제조하여(살포액량 600L/ha), 스프레이건으로 엽표에 살포하였다. 약액 건조 후, 온실 내, 조명 하에서 17일간 육묘한 후, 하위엽으로부터 상위 8엽을 잎마다 하기 지수로 조사하여 발병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발병도로부터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조사 지수:
0: 포자 형성 없음
1: 엽리에 10% 미만의 병반 형성(포자, 병족 세포, 분생자 생산 세포)이 확인된다
2: 엽리에 10% 내지 25%의 병반 형성(포자, 병족 세포, 분생자 생산 세포)이 확인된다
3: 엽리에 26% 내지 50%의 병반 형성(포자, 병족 세포, 분생자 생산 세포)이 확인된다
4: 엽리에 51% 내지 75%의 병반 형성(포자, 병족 세포, 분생자 생산 세포)이 확인된다
5: 엽리에 76% 내지 100%의 병반 형성(포자, 병족 세포, 분생자 생산 세포)이 확인된다
발병도={Σ(정도별 발병 엽수×지수)}×100/(발병 엽수×5)
방제가=(1-a/b)×100
a: 처리구의 발병도, b: 무처리구의 발병도
Figure pct00012
시험예 12(오이 백분병·치료 효과 시험)
직경 7.5㎝의 폴리 화분에서 오이(품종: 사가미한지로후시나리)를 재배하여, 1.5엽기에 도달했을 때에 오이 백분병균(Sphaerotheca fuliginea)의 분생자 현탁액을 엽표에 분무 접종하고, 20℃ 실내, 조명 하에서 4일간 육묘 후, 각 제품을 포함하는 수용액(0.015 내지 0.5v/v%)으로, 피리오페논(약량 90g ai/ha)의 살포액을 제조하여(살포액량 800L/ha), 스프레이건으로 엽표에 살포하였다. 약액 건조 후, 20℃ 실내, 조명 하에서 6일간 육묘하였다. 1엽째의 병반 면적률을 조사하여, 하기의 식으로부터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방제가=(1-a/b)×100
a: 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b: 무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Figure pct00013
시험예 13(오이 백분병·침달성 시험)
직경 7.5㎝의 폴리 화분에서 오이(품종: 사가미한지로후시나리)를 재배하여, 1.5엽기에 도달했을 때에, 각 제품을 포함하는 수용액(0.015 내지 1.0v/v%)으로, 피리오페논(약량 90g ai/ha)의 살포액을 제조하여(살포액량 800L/ha), 스프레이건으로 엽표에 살포하였다. 약액 건조 후, 20℃ 실내 조명 하에서 3일간 육묘하고, 오이 백분병균(Sphaerotheca fuliginea)의 분생자 현탁액을 엽리에 분무 접종하고, 20℃ 실내, 조명 하에서 7일간 육묘하였다. 1엽째의 엽리의 병반 면적률을 조사하여, 하기의 식으로부터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방제가=(1-a/b)×100
a: 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b: 무처리구의 병반 면적률
Figure pct00014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의 증강 방법은, 식물 병해에 대하여 안정된 높은 방제 효과를 발휘하므로, 식물 병해의 방제에 유용하다.
또한, 2016년 4월 1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6-81693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 개시로서, 원용되는 것이다.

Claims (16)

  1.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인 (a) 성분과 함께,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 식물유, 파라핀류, 수지류 및 테르펜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b) 성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증강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a) 성분이, 피리오페논 및 메트라페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b) 성분이,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파라핀류 및 식물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성분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 및 알칸올아미드계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계면 활성제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a) 성분이 피리오페논이고, (b) 성분이 식물유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a) 성분이 피리오페논이고, (b) 성분이 파라핀류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성분과 (b) 성분의 혼합 중량비가 1:5000 내지 500:1인 방법.
  9.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인 (a) 성분과 함께,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 식물유, 파라핀류, 수지류 및 테르펜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b) 성분을 식물 또는 식물의 재배 토양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a) 성분이, 피리오페논 및 메트라페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b) 성분이,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파라핀류 및 식물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성분인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 활성제, 다가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 및 알칸올아미드계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인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a) 성분이 피리오페논이고, (b) 성분이 식물유인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a) 성분이 피리오페논이고, (b) 성분이 파라핀류인 방법.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성분과 (b) 성분의 혼합 중량비가 1:5000 내지 500:1인 방법.
KR1020187031233A 2016-04-15 2017-04-13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의 증강 방법 및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KR102368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81693 2016-04-15
JPJP-P-2016-081693 2016-04-15
PCT/JP2017/015187 WO2017179673A1 (ja) 2016-04-15 2017-04-13 アリールフェニルケトン系殺菌剤の植物病害防除効果の増強方法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872A true KR20180133872A (ko) 2018-12-17
KR102368897B1 KR102368897B1 (ko) 2022-03-04

Family

ID=60041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233A KR102368897B1 (ko) 2016-04-15 2017-04-13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의 증강 방법 및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11950592B2 (ko)
EP (1) EP3443842A4 (ko)
JP (2) JP6961908B2 (ko)
KR (1) KR102368897B1 (ko)
CN (1) CN109068640A (ko)
AU (1) AU2017251168B2 (ko)
BR (1) BR112018067916B1 (ko)
CA (1) CA3017461C (ko)
CL (2) CL2018002885A1 (ko)
CO (1) CO2018010431A2 (ko)
CR (1) CR20180486A (ko)
EC (1) ECSP18076858A (ko)
GE (1) GEP20207148B (ko)
IL (1) IL262291B2 (ko)
MA (1) MA43837A (ko)
MX (1) MX2018012536A (ko)
MY (1) MY194527A (ko)
PH (1) PH12018501946A1 (ko)
RU (1) RU2735252C2 (ko)
UA (1) UA124933C2 (ko)
WO (1) WO2017179673A1 (ko)
ZA (1) ZA2018062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2733B2 (en) 2016-03-07 2022-08-16 Ishihara Sangyo Kaisha, Ltd. Method for enhancing plant disease controlling effects of isofetamid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CN109068640A (zh) * 2016-04-15 2018-12-21 石原产业株式会社 芳基苯基酮系杀菌剂的植物病害防除效果的增强方法及植物病害防除方法
US20210204540A1 (en) * 2018-05-30 2021-07-08 Aquasolution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powdery mildew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0212A (ko) * 1997-04-25 2001-03-15 이시하라 겐조 유해 생물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유해 생물 방제방법
WO2002002527A1 (en) 2000-07-05 2002-01-10 Ishihara Sangyo Kaisha, Ltd. Benzoylpyridine derivative or its salt, fungicide containing it as an active ingredient, its production process and intermediate for producing it
WO2008004596A1 (fr) 2006-07-05 2008-01-10 Ishihara Sangyo Kaisha, Ltd. Composition antibactérienne et procédé pour le contrôle des maladies des plantes
KR100897904B1 (ko) 2007-08-02 2009-05-18 이원구 말린 연씨집을 이용한 학습교재
KR20110004386A (ko) * 2008-04-17 2011-01-13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유해 생물 방제제 조성물 및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
JP2013523713A (ja) * 2010-03-30 2013-06-17 ビーエイエスエフ・ソシエタス・エウロパエア 農薬活性を増強するためのコポリマーの使用
KR20130103746A (ko) * 2010-09-14 2013-09-24 바스프 에스이 피리피로펜 살곤충제 및 애주번트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40037909A (ko) * 2011-07-08 2014-03-27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살균제 조성물 및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KR20150048784A (ko) * 2012-08-24 2015-05-07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살충 테르펜 혼합물 및 생물학적 방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07996B (it) 1986-03-18 1989-06-01 Magis Farmaceutici Composti contenenti ferro biodisponibile, procedimento per la loro preparazione e composizioni farmaceutiche che li contengono.
ES2172864T3 (es) 1997-08-20 2002-10-01 Basf Ag 2-metoxibenzofenonas fungicidas.
US5945567A (en) 1997-08-20 1999-08-31 American Cyanamid Company Fungicidal 2-methoxybenzophenones
JP4083366B2 (ja) 2000-04-10 2008-04-30 花王株式会社 農薬用展着剤組成物
EP1559320A4 (en) * 2002-10-31 2006-10-04 Ishihara Sangyo Kaisha PYRIDINE DERIVATIVES SUBSTITUTED WITH 3-BENZOYL-2,4,5 OR THEIR SALTS AND BACTERICIDES CONTAINING THEM
KR20060064624A (ko) * 2003-08-14 2006-06-13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벤즈아미독심 살진균 유도체를 위한 아쥬반트 형태의 알콜옥시알킬레이트의 용도, 적절한 약제 및 키트
JP5940463B2 (ja) * 2010-03-08 2016-06-29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活性物質及びポリアルキレンオキシドビニルエステルグラフトポリマーを含む組成物
AU2011226529B2 (en) * 2010-03-12 2015-01-22 Monsanto Technology Llc Plant health compositions comprising a water-soluble pesticide and a water-insoluble agrochemical
JP5940369B2 (ja) * 2011-05-27 2016-06-29 石原産業株式会社 植物病害の防除方法
EP2879494B1 (en) 2012-08-03 2018-01-31 Bayer CropScience AG Composition comprising a pesticidal terpene mixture and a fungicide
HUE045600T2 (hu) * 2013-06-27 2020-01-28 Ishihara Sangyo Kaisha Javított növénybiztonsággal rendelkezõ herbicid készítmény
JP6386868B2 (ja) 2014-10-16 2018-09-05 株式会社アイ・ライティング・システム 調光機能を備えた点灯装置
CN105165828B (zh) 2015-10-28 2017-05-10 陕西上格之路生物科学有限公司 一种含苯菌酮和硝苯菌酯的杀菌组合物
CN109068640A (zh) * 2016-04-15 2018-12-21 石原产业株式会社 芳基苯基酮系杀菌剂的植物病害防除效果的增强方法及植物病害防除方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0212A (ko) * 1997-04-25 2001-03-15 이시하라 겐조 유해 생물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유해 생물 방제방법
WO2002002527A1 (en) 2000-07-05 2002-01-10 Ishihara Sangyo Kaisha, Ltd. Benzoylpyridine derivative or its salt, fungicide containing it as an active ingredient, its production process and intermediate for producing it
WO2008004596A1 (fr) 2006-07-05 2008-01-10 Ishihara Sangyo Kaisha, Ltd. Composition antibactérienne et procédé pour le contrôle des maladies des plantes
KR20090036558A (ko) * 2006-07-05 2009-04-14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살균제 조성물 및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KR100897904B1 (ko) 2007-08-02 2009-05-18 이원구 말린 연씨집을 이용한 학습교재
KR20110004386A (ko) * 2008-04-17 2011-01-13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유해 생물 방제제 조성물 및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
JP2013523713A (ja) * 2010-03-30 2013-06-17 ビーエイエスエフ・ソシエタス・エウロパエア 農薬活性を増強するためのコポリマーの使用
KR20130103746A (ko) * 2010-09-14 2013-09-24 바스프 에스이 피리피로펜 살곤충제 및 애주번트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40037909A (ko) * 2011-07-08 2014-03-27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살균제 조성물 및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KR20150048784A (ko) * 2012-08-24 2015-05-07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살충 테르펜 혼합물 및 생물학적 방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17461A1 (en) 2017-10-19
IL262291B2 (en) 2024-03-01
JP6961908B2 (ja) 2021-11-05
ECSP18076858A (es) 2018-10-31
UA124933C2 (uk) 2021-12-15
RU2018138914A (ru) 2020-05-15
WO2017179673A1 (ja) 2017-10-19
US11950592B2 (en) 2024-04-09
ZA201806298B (en) 2019-12-18
IL262291B1 (en) 2023-11-01
BR112018067916A2 (pt) 2019-01-22
CO2018010431A2 (es) 2018-12-14
KR102368897B1 (ko) 2022-03-04
RU2018138914A3 (ko) 2020-06-03
CL2020003410A1 (es) 2021-05-28
GEP20207148B (en) 2020-09-10
CL2018002885A1 (es) 2018-12-14
CN109068640A (zh) 2018-12-21
PH12018501946A1 (en) 2019-06-17
MY194527A (en) 2022-11-30
JP7279297B2 (ja) 2023-05-23
BR112018067916B1 (pt) 2022-08-30
AU2017251168B2 (en) 2021-07-08
MX2018012536A (es) 2019-02-25
IL262291A (en) 2018-11-29
EP3443842A1 (en) 2019-02-20
US20190150434A1 (en) 2019-05-23
EP3443842A4 (en) 2019-09-11
CA3017461C (en) 2023-08-22
RU2735252C2 (ru) 2020-10-29
JP2022001594A (ja) 2022-01-06
CR20180486A (es) 2018-12-07
MA43837A (fr) 2018-11-28
AU2017251168A1 (en) 2018-09-27
JPWO2017179673A1 (ja)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9297B2 (ja) アリールフェニルケトン系殺菌剤の植物病害防除効果の増強方法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KR102317161B1 (ko) 이소페타미드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의 증강 방법 및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KR20180014717A (ko) 살균제 조성물 및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US11317627B2 (en) Soybean disease control composition and soybean disease control method
TWI822950B (zh) 含有待克利(Difenoconazole)之農藥製劑及該農藥製劑之安定化方法
KR20180014704A (ko) 살균제 조성물 및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