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643A - Single module box structure with camber reinforcement structure - Google Patents

Single module box structure with camber reinforcement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643A
KR20180133643A KR1020170070720A KR20170070720A KR20180133643A KR 20180133643 A KR20180133643 A KR 20180133643A KR 1020170070720 A KR1020170070720 A KR 1020170070720A KR 20170070720 A KR20170070720 A KR 20170070720A KR 20180133643 A KR20180133643 A KR 20180133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tructure
camber
side walls
packing
sea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7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0593B1 (en
Inventor
우장헌
Original Assignee
(주)모든피씨산업
우장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든피씨산업, 우장헌 filed Critical (주)모든피씨산업
Priority to KR1020170070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593B1/en
Publication of KR20180133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6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5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w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 structure composed of upper and lower end walls and both side walls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linearly changeable and assemblable single module box structure with a camber reinforcement structure, which comprises a plurality of camber reinforcement bars embedded in an upper end wall and forming a curved surface in an upper direction.

Description

캠버보강 구조를 가지며 선형변경조립이 가능한 단일모듈 박스구조체{SINGLE MODULE BOX STRUCTURE WITH CAMBER REINFORCEMENT STRUCTUR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gle module box structure having a camber reinforcing structure,

본 발명은 캠버보강근에 의해 휨저항성을 향상시키고, 박스구조체 간 맞물림에 의해 처짐, 뒤틀림 등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1개의 규격화 된 형상을 가지고 직선구간은 물론 곡선구간의 시공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박스구조체 간 연결부분에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박스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bending resistance by the camber reinforcing bars and improve the resistance to deflection, warping and the like due to the interlocking of the box structures,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construct the straight section as well as the straight section with one standardized shape To a box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 watertightness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ox structures.

일반적으로 지하 또는 지면 상부에 박스형태의 내부 공간이 제공되어 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용되어지는 상하수도, 전력구, 통신구 및 공동구(이하, "구조물"이라함) 등은 통상 현장타설방식이나 현장조립방식에 의하여 시공되어지고 있다.In general, water and sewerage, electric power, communication, and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ructure"), which are used to provide a box-shaped internal space above the ground or the ground, .

현장타설방식은 구조물이 시공되어질 부분을 따라 절토나 굴토한 후 평탄화 작업을 거쳐 평탄화 된 부분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기초콘크리트 상부에 거푸집을 시공한 후 가로철근 및 세로철근으로 이루어진 보강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고, 콘크리트가 양생되어진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 것을 반복하여 구조물이 시공되어지게 된다. 현장타설방식을 통해 얻어진 구조물은 절토, 굴토, 기초콘트리트, 거푸집, 보강철근, 콘크리트, 양생 및 거푸집 제거 등의 공정이 소요됨에 따라 작업공기와 더불어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field installation method, the concrete is cut and cut along the part to be constructed, and then the flattened work is applied to the flattened part, the concrete is laid on the flattened part, the formwork is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foundation concrete and the reinforcing bar made of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and the vertical reinforcement is inserted After the concrete is cured by curing, the concrete is cured and then the form is disassembled repeatedly so that the structure is constructed. The structure obtained through the field installation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cost in addition to the working air due to the processes such as cutting, excavation, foundation concrete, formwork, reinforcing steel, concrete, curing and mold removal.

현장조립방식은 설계치수대로 제조공장에서 제조되어진 박스구조체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굴토 및 평탄화된 부분에 그대로 박스구조체를 안착시킨 후 안착된 박스구조체에 다른 박스구조체가 맞대어지게 바닥에 안치시키고, 맞대어진 부분에 모르타르 및 수팽창 지수재가 삽입되는 것을 반복하여 구조물이 시공되어지게 된다.In the field assembly method, the box structure manufactured in the manufacturing factory is transported to the site according to the design dimensions, and the box structure is placed on the crushed and flattened portion as it is, and then the other box structure is placed on the bottomed box structure. The mortar and the water expansive index material are repeatedly inserted into the part to be constructed.

현장조립방식을 통해 시공되어진 구조물은 연약지반의 부등침하에 따라 박스구조체가 맞대어진 부분이 벌어져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장조립방식은 박스구조체의 모서리에 각각 관통홈을 형성하여 강선이 삽입되어 양측으로 노출되어지도록 한 후 노출된 강선에 강선정착구를 결합시켜 프리스트레스가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부등침하 및 부등침하에 의하여 박스구조체가 맞대어진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누수발생을 막을 수 있게 된다.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constructed through on-site assembly method is leaked due to the uneven settlement of the soft ground due to the uneven settlement of the box structure. To solve this problem, the field assembly method is applied to the corner of the box structure And the steel wire fixture is coupled to the exposed steel wire so that the prestress acts to prevent the portion where the box structure touches by the uneven settlement and the uneven settlement from spread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이러한 구조물을 이루는 박스구조체에 있어 주철근이 매립되어 상재하중에 대한 휨저항성을 높이도록 하나, 예기치 않은 상재하중이 발생되거나 부등침하 등에 의한 처짐 발생시 상부벽체에 균열이 발생되고 이러한 균열은 누수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In the box structure of such a structure, the cast iron rope is embedded to increase the bending resistance against the overburden load. However, cracks are generated in the upper wall when an unexpected overburden load occurs or a deflection occurs due to an uneven settlement, There is a problem.

또한, 상하수구, 전력구, 통신구 및 공동구 등은 각각 용도 등에 따라 구조물의 형태가 다름으로써, 곡선구간을 시공하는 경우와 직선구간을 시공하는 경우 각각 다른 형상의 박스구조체를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structure differs depending on the use and the like of the upper sewer, the power section, the communication section, and the cavit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box structure having different shapes is required to be produced when the curve section is constructed and when the linear section is constructed there was.

또한 박스구조체와 박스구조체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양측으로부터 강선과 강선장착구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가 구조물에 작용하더라도 박스구조체 간 접합부에서 수밀성을 확실히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Also, even if a prestress acts on a structure using a steel wire and a steel wire mounting hole from both sides while the box structure and the box structur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tightness can not be surely guaranteed at the junction between the box structure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3158호Korean Patent No. 10-1133158

본 발명의 목적은 박스구조체 자체의 휨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직선 및 곡선구간에 상관없이 시공이 용이하며 접합부에서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박스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x structure which is improved in resistance to bending of a box structure itself and is easy to install regardless of a straight line and a curved section and can improve water tightness at a junction.

본 발명의 캠버보강 구조를 가지며 선형변경조립이 가능한 단일모듈 박스구조체(이하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라함)는 상,하단벽체, 양 측벽체로 이루어진 박스구조체에 있어서, 상단벽체에 복수로 매입되며 상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캠버보강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ingle module box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box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having a camber reinforcing structure and capable of linear chang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x structure composed of upper and lower walls, And a camber reinforcing bar forming a curved surface in an upward direction.

하나의 예로 상기 상단벽체에는 상기 캠버보강근의 중앙부에서 골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the upper wall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for supporting a trough portion at the center of the camber reinforcement.

하나의 예로 상기 지지대는 하부받침판과 상기 하부받침판에서 직교하면서 돌출되며 끝단에 지지공이 형성되는 지지기둥으로 구성되어 상기 캠버보강근의 중앙부에서 골부분이 상기 지지공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is composed of a lower support plate, a support column perpendicularly protruded from the lower support plate, and a support hole formed at an end thereof, so that a valley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at the center of the camber reinforcement bar to be supported .

하나의 예로 하단벽체, 양 측벽체에 복수로 매입되며 하부 및 외측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캠버보강근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e example is a lower wall, a plurality of camber reinforcement rods embedded in both side walls and forming a curved surface downward and outward.

하나의 예로 상,하단벽체 및 양 측벽체에는 전,후면에 끼움홈과 끼움돌기가 교번으로 형성되며, 양 측벽체에는 일 측벽체에 끼움돌기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타 측벽체에는 끼움홈이 외측으로 요홈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one example,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the side walls are alternately formed with fitting grooves and fitting protrusions on the front and rear sides. In both side walls, the fitt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ne side wall and the fitt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walls. And is formed in a groove shape on the outer side.

하나의 예로 양 측벽체는 길이가 달라 상,하단벽체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For example, the two sidewalls may have different lengths and the lower end wall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하나의 예로 상,하단벽체, 양 측벽체의 전,후면에는 충진홈이 형성되며 상기 충진홈의 양단에 한쌍의 몸체로 구성된 백업패킹이 구성되고 상기 백업패킹에 의해 형성되는 충진공간에는 실란트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one example, a filling groove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walls of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both side walls, and a backup packing composed of a pair of bodies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lling groove, and the filling space formed by the backup packing is filled with a sealant .

하나의 예로 한쌍의 백업패킹은 복수의 연결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a pair of backup packings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linking bars.

하나의 예로 인접하는 박스구조체의 일 충진홈에 상기 백업패킹이 구성되며, 각각 충진홈에는 실란트가 주입되고, 각각 주입된 실란트에 신축가능한 지수단이 매립되도록 하여 인접하는 박스구조체를 접합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one example, the back-up packing is formed in one filling groove of an adjacent box structure, sealants are injected into the filling grooves, respectively, and the expansible expansible end is embedded in the injected sealant to bond adjacent box structures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는 캠버보강근에 의해 휨저항성을 향상시키고, 박스구조체 간 맞물림 등에 의해 처짐, 뒤틀림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구조적 건전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ox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bending resistance by the camber reinforcing bars and improving the resistance to deflection and warping due to the interlocking between box structures, and thus has excellent structural integrity.

또한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는 1개의 규격화 된 형상을 가지고 직선구간은 물론 곡선구간의 시공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box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facilitating the construction of a straight section as well as a curved section with one standardized shape.

또한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는 박스구조체 간 연결부분에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lso, the box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water tightness can be improv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ox structures.

또한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는 단면이 대칭형을 이루고 있어 회전에 의해서도 조립이 가능하여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Also, since the box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ymmetrical cross section, it can be assembled by rotation,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ase of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는 그 자체로 휨저항성이 향상되어 토피에 따른 철근매립양 등의 영향을 덜 받고 시공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있는 장점이 있다. Also, the box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being economical because it has improved bending resistance by itself and can be applied less by the influence of buried amount of reinforcing steel according to the toe.

도 1은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를 나타내는 절개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절개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가 횡방향으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가 종방향으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에 백업패킹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에 백업패킹 및 실란트가 구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에 백업패킹, 실란트 및 지수단이 구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백업패킹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x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ox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x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x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n a lateral direc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x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ckup packing is mounted on a box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backup packing and sealant are constructed in the box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cking packing, a sealant, and an exponent end are formed in the box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back-up packing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hi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1)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단벽체(11, 12), 양 측벽체(13)로 이루어진 박스구조체에 있어서, 상단벽체(11)에 복수로 매입되며 상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캠버보강근(14)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재하중에 노출되는 상단벽체(11)에 상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캠버보강근(14)이 배근되도록 함으로써 상재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예로 예기치 못한 하중이 발생되는 경우(공사중 중장비 차량의 반복주행, 지진 등) 처짐량이 허용처짐량을 초과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벽체(11)에서 주철근의 대용으로 상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캠버보강근(14)이 배치됨으로써 휨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켜 균열 등에 의한 붕괴, 누수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1 and 2, the box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x structure composed of upper and lower end walls 11 and 12 and both side walls 13, And a camber reinforcing bar (14) forming a curved surface in an upward direction.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wall 11 exposed to the upper load is provided with a camber reinforcement 14 which forms a curved surface in an upward direction, thereby improving resistance to the upper load. For example, when an unexpected load 2, the upper wall 11 may be provided with a camber reinforcing bar 14 which forms a curved surface in an upward direction as a substitute for the main steel reinforcing bars 14 (see FIG. 2) ) Is disposed so as to improve the resistance to bending,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collapse and leakage due to cracks and the like.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벽체(12), 양 측벽체(13)에는 종래 박스구조체와 같이 주철근(a)이 매입되는 것이며 상단벽체(11)에 상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캠버보강근(14)이 매입되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lower wall 12 and the side walls 13 are provided with a camber reinforcing bar 14 which forms a curved surface upward in the upper wall 11, .

또한 본 발명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벽체(12), 양 측벽체(13)에 복수로 매입되며 하부 및 외측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캠버보강근(14)이 더 구성되도록 하는 예도 제시한다. 이렇게 구성됨에 의해 토압 등에 대한 저항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4,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camber reinforcement rods 14, which are embedded in the bottom wall 12 and both side walls 13, form a curved surface downward and outward, are further constructed. By such construction, resistance to earth pressure and the like can be improved.

휨저항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단벽체(11)에는 상기 캠버보강근(14)의 중앙부에서 골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대(15)가 더 구성되도록 한다. 지지대(15)는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하부받침판과 상기 하부받침판에서 직교하면서 돌출되어 상기 캠버보강근(14)의 중앙부에서 골부분에 접하도록 하는 지지기둥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캠버보강근(14)에 있어 상방향으로 돌출된 중앙부에서 상재하중에 대한 정모멘트를 받도록 하여 휨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킴에 더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된 중앙부에 상기 지지대(15)가 하방향에서 지지하도록 매입됨으로써 휨에 대한 저항성을 더욱 배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2, the upper wall 11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15 for supporting a trough portion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amber reinforcing bar 14 to further improve bending resistance. The supporting column 15 may have a support column which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protrudes orthogonally from the lower pedestal plate and the lower pedestal plate so as to contact the valley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mber reinforcing bar 14. [ In the camber reinforcing bars 14 forming the curved surface in the upward directio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amber reinforcement rods 14 receives the upper limit of the upper load at the central portion protruding upward, thereby improving the resistance to bending. ) Is embedded so as to be suppor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warping.

또한 도 4에서는 지지대(15)의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는 바, 본 실시 예의 지지대(15)는 하부받침판(151)과 상기 하부받침판(151)에서 직교하면서 돌출되며 끝단에 지지공(152-1)이 형성된 지지기둥(152)으로 구성되어 상기 캠버보강근(14)의 중앙부에서 골부분이 상기 지지공(152-1)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예가 더 제시된다. 이와 같이 지지공(152-1)에 의해 캠버보강근(14)이 지지 및 고정되도록 하여 휨에 대한 보강성면이나 캠버보강근(14)의 시공성면에서 더욱 유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support table 15. The support table 15 of this embodiment is orthogonally protruded from the lower support plate 151 and the lower support plate 151 and has support holes 152-1 Is formed in the support hole 152-1 so that a trough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152-1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mber reinforcement rope 14 to be supported. As described above, the camber reinforcement rope 14 is supported and fixed by the support hole 152-1 so that the reinforcement surface for bending and the workability of the camber reinforcement rope 14 are more advantageous.

또한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단벽체(11,12) 및 양 측벽체(13)에 전,후면에 끼움홈(16)과 끼움돌기(17)가 교번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박스구조체(1)가 종방향(박스구조체(1)의 길이방향)으로 조립시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박스구조체(1)에 있어 각각 대향하는 끼움홈(16)에 끼움돌기(17)가 각각 삽입되도록 하여 하중, 침하 등에 의한 종방향으로 조립된 박스구조체(1)에 비틀림,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1, the box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grooves 16 and the fitting protrusions 17 are formed alternately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wall bodies 11 and 12 and both side walls 13, So that the box structure 1 is fitted in the fitting grooves 16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box structure 1 when the box structure 1 is assemb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x structure 1) So that the box structure 1 assemb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load, the settling,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twisting and sagging.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1)에는 양 측벽체(13)에 일 측벽체(13)에 끼움돌기(17)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타 측벽체(13)에는 끼움홈(16)이 외측으로 요홈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횡방향(박스구조체(1) 직경방향)으로 인접하는 박스구조체(1) 간에도 각각 대향하는 끼움홈(16)에 끼움돌기(17)가 각각 삽입되도록 하여 하중, 침하 등에 의한 횡방향으로 조립된 박스구조체(1)에 비틀림, 처짐을 방지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box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fitting protrusions 17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one side wall body 13 and the fitting grooves 16 outside the other side wall body 13 The protrusions 17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s 16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between adjacent box structures 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ox structure 1)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box structure 1 assemb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due to load, sinking, and the like is prevented from twisting and sagging.

또한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1)는 양 측벽체(13)의 길이가 다르게 구성하여 상,하단벽체(11, 12)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는데 이렇게 구성됨에 의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박스구조체(1)의 조립시 직선구간은 물론 곡선구간도 1개의 형상으로 프리캐스트화 된 박스구조체(1)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the box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s of the side walls 1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 walls 11 and 12 are configured in a trapezoidal shape. As a result, The box structure 1 can be assembled by the box structure 1 which is pre-cast in a single shape as well as a straight line section when the box structure 1 is assembled.

즉 곡선구간의 시공에서 별도로 제작된 박스구조체(곡선형 박스구조체 등)에 의한 시공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박스구조체를 제작할 필요가 없이 상,하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된 박스구조체(1)만을 제작함으로써 직선 및 곡선구간을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현장시공 또한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it is not necessary to produce a box structure in various shapes by constructing a box structure (a curved box structure or the like) separately manufactured in the construction of a curved section, so that only the box structure 1 having the trapezoidal shap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nstruct the curved section,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and facilitating the field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1)에는 도 1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단벽체(11, 12), 양 측벽체(13)의 전,후면에 충진홈(18)이 형성되도록 하여 종방향으로 박스구조체(1) 간 조립시 양 박스구조체(1)의 충진홈(18)이 상호 대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박스구조체(1)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단벽체(11, 12), 양 측벽체(13)의 전,후면 중 일면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이 형성된 백업패킹(19)이 한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백업패킹(19)에 의해 형성되는 충진공간에는 실란트(20)가 충진되도록 하는 것이다. In the box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lling grooves 18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wall bodies 11 and 12 and both side walls 13 as shown in FIGS. 1 and 7, 5, the box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filling grooves 18 of the two box structures 1 are opposed to each other when assembling the box structures 1 in the direction And a backing packing 19 formed with a space so as to form a filling space on one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ide walls 13. The backing packing 19 is filled with a sealant (20) is filled.

즉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백업패킹(19)은 상,하단벽체(11, 12), 양 측벽체(13)의 전,후면 중 일면에 부착되되 백업패킹(19)에 의해 형성되는 충진공간이 상기 충진홈(18)에 대향하도록 하여 실란트(20)가 충진공간은 물론 충진홈(18)에도 충진되어 경화됨으로써 2중의 수밀패킹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5, the backup packing 19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walls 11 and 12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th side walls 13, The sealant 20 is filled in the filling space as well as the filling groove 18 so as to be cured so as to enable double water-tight water-tight packing.

상기 백업패킹(19)은 이격을 형성하는 한쌍의 몸체(191)로 구성되고 몸체(191) 간 이격에 의해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The back-up packing 19 is composed of a pair of bodies 191 forming a space, and a space is formed by separating the bodies 191 from each other.

상기 백업패킹(19) 및 상기 실란트(20)가 박스구조체(1)에 구성되어 작동되는 예가 도 8에 도시되고 있는 바, 이를 설명하면 우선 도 8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박스구조체(1)의 충진홈(18) 양 측단에 각각 몸체(191)가 거치되어 접착제로 가고정된 후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박스구조체(1)가 접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와이어가 각 박스구조체(1)에 형성된 와이어홀을 관통하도록 한 후 와이어홀을 통해 와이어에 와이어정착구를 결합시키고, 와이어 인장기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당겨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함으로써 양 박스구조체(1)의 충진홈(18)에 백업패킹(19)이 압착되어지게 된다.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backup packing 19 and the sealant 20 are constructed and operated in the box structure 1. As shown in FIGS. 8A and 8B, The body 191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filling groove 18 of the one box structure 1 and is fixed with an adhesive so that the other box structure 1 is contacted as shown in FIG. .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wire is passed through the wire hole formed in each box structure 1, then the wire fixing port is connected to the wire through the wire hole, and the wire is pulled by using the wire tensioner to introduce the prestress The back-up packing 19 is squeezed into the filling groove 18 of both box structures 1.

다음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주입장치에 의해 실란트(20)가 양 박스구조체(1)의 충진홈(18)에 충진되도록 하는 것이다.8 (d), the sealant 20 is filled into the filling grooves 18 of the two box structures 1 by means of the injection device, though 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

실란트(20)의 주입은 예로 주사기 형태의 주입장치를 이용하여 백업패킹(19) 외부에서 내부를 향하여 관통되게 주입장치를 삽입한 상태에서 실란트(20)가 충진홈(18)에 고압으로 주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실란트(20)가 충진홈(18)에 주입되어지는 과정에서 충진홈(18)의 내부에 있는 잔류된 공기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백업패킹(19) 상부에 형성된 공기배출홀을 통해 배출되어지게 됨에 따라 실란트(20)가 용이하게 주입되어지게 된다. The sealant 20 is injected at a high pressure into the filling groove 18 in a state in which the injection device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of the back-up packing 19 through the inside of the back-up packing 19 using a syringe-type injection device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injecting the sealant 20 into the filling groove 18, the air remaining in the filling groove 18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the air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packing 19 And the sealant 20 is easily injected as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실란트(20)를 미리 일 박스구조체(1)의 백업패킹(19) 사이 충진홈(18)에 도포한 후에 타 박스구조체(1)를 접합하여 수밀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ealant 20 is applied in advance to the filling grooves 18 between the backup packings 19 of the one-box structure 1, and then the other box structures 1 are bonded to form a watertight structure can do.

이와 같이 실란트(20)의 백업패킹(19) 사이 충진홈(18)에 주입하는 기술은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는 바, 상기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technique of injecting the sealant 20 into the filling grooves 18 between the back-up packings 19 can be variously presented, and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이렇게 양 박스구조체(1) 사이에서 백업패킹(19)이 가압됨에 의해 2중(한쌍의 몸체(191))으로 수밀성이 보장되도록 하며, 이에 더하여 한쌍의 몸체(191) 사이에 실란트(20)가 주입되어 경화됨으로써 실란트(20)에 의해 박스구조체(1) 접합부에서 수밀성이 배가되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back packing 19 is pressed between the two box structures 1 to ensure watertightness with a double (a pair of bodies 191). In addition, a sealant 20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bodies 191 And the sealant 20 doubles the watertightness at the junction of the box structure 1 by being injected and hardened.

또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박스구조체(1)의 일 충진홈(18)에 상기 백업패킹(19)이 구성되며, 각각 충진홈(18)에는 실란트(20)가 주입되고, 각각 주입된 실란트(20)에 신축가능한 지수단(21)이 매립되도록 하여 인접하는 박스구조체(1)를 접합시키도록 하는 예가 제시된다. 9, the backup packing 19 is formed in one filling groove 18 of the adjacent box structure 1, and the sealant 20 is injected into the filling groove 18,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adjacent expandable box structures 1 are joined by allowing the expansible end 21 to be embedded in the sealant 20.

우선 도 9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박스구조체(1)의 충진홈(18) 양 측단에 각각 몸체(191)가 거치되어 접착제로 고정된 후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박스구조체(1)의 충진홈(18)에 실란트(20)가 주입되도록 한다. 9 (a) and 9 (b), the body 191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filling groove 18 of the one-box structure 1 and fixed with an adhesive, The sealant 20 is injected into the filling groove 18 of each box structure 1 as shown in FIG.

이후 실란트(2)가 경화되기 전에 도 9의 (d),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충진홈(18)에 충진된 실란트(2)에 신축가능한 지수단(21)의 양단부가 각각 매립되도록 박스구조체(1)간 접하도록 하는 것이다. Before the sealant 2 is cured, both end portions of the expansible end 21 that can be stretched are filled in the sealant 2 filled in the fill groove 18, as shown in FIGS. 9 (d) and 9 (e) So that the box structure 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와이어가 각 박스구조체(1)에 형성된 와이어홀을 관통하도록 한 후 와이어홀을 통해 와이어에 와이어정착구를 결합시키고, 와이어 인장기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당겨 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함으로써 양 박스구조체(1)의 충진홈(18)에 백업패킹(19)이 압착되어지게 된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wire is passed through a wire hole formed in each box structure 1, then the wire fixing port is connected to the wire through the wire hole, and the wire is pulled by using a wire tensioner The back-up packing 19 is squeezed into the filling groove 18 of both box structures 1.

이렇게 각각 충진홈(18)의 실란트(20)에 양단이 매립되도록 하는 신축가능한 지수단(21)이 구성됨에 따라 도 9의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공후 부등침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조립된 박스구조체(1)에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지수단(21)이 인장되면서 간극이 형성된 박스구조체(1)를 연결하고 있어 간극을 통해서 유입되는 수분에 대해서도 수밀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9 (e), since the expandable exponent stages 21 are formed so that the both ends of the fill grooves 18 are embedded in the sealant 20, Even when a gap is formed in the box structure 1, the box structure 1 having the gap formed therein is connected while the exponential edge 21 is stretched, so that the water tightness is ensured even for moisture flowing through the gap.

즉 본 실시 예의 경우 백업패킹(19)과 실란트(20)의 이중 수밀구조에 더하여 조립된 박스구조체(1)가 사후적으로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지수단(21)에 의한 수밀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여 수밀성을 더욱 배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even when the box structure 1 assembled in addition to the dual watertight structure of the back packing 19 and the sealant 20 is formed with a gap after the watertightness, The watertightness is further doubled.

여기서 지수단(21)은 신축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야 하는 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여 신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exponential edge 21 should be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as shown in the figure, wrinkles may be formed to enable expansion and contraction.

한편 상기 백업패킹(19)은 한쌍의 몸체(191)가 이격을 형성하며 구성되는데 고압으로 실란트(20)가 주입되는 경우 또는 박스구조체(1) 간 접합과정에서 몸체(191)가 벌어지면서 몸체(191)와 박스구조체(1) 간 탈리되는 부분이 발생되어 이렇게 탈리되는 부분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몸체(191) 간에 충진된 실란트(20)가 충진홈(18)에서 부분적으로 탈리되어 이렇게 탈리되는 부분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sealant 20 is injected at a high pressure, or when the body 191 is opened during the bonding process between the box structures 1, the back packing 19 is formed with a pair of bodies 191, 191 and the box structure 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leakage may occur as a result of the separation of the sealant 20 between the body 191 and the box structure 1, So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leakage may occur.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10에서 백업패킹(19)의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는데 한쌍의 몸체(191) 간을 복수의 연결대(192)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고압으로 실란트(20)가 주입되는 경우 또는 박스구조체(1) 간 접합과정에서 몸체(191)가 벌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대(192)가 상기 몸체(191) 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몸체(191)의 중앙부에서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실란트(20)를 몸체(191) 간에 주입시 실란트(20)에 상기 연결대(192)가 매입되도록 하여 실란트(20)가 몸체(191) 간 충진홈(18)에서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up packing 19 is shown in FIG. 10. In the case where the sealant 20 is injected at a high pressure by connecting a pair of bodies 191 with a plurality of connecting blocks 192, The connecting member 192 is configured to be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body 191 while being orthogonal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191 The sealant 20 is embedded in the sealant 20 when the sealant 20 is injected between the bodies 191 so that the sealant 20 is firmly attached to the fill groove 18 between the bodies 191. [

즉 본 실시 예의 백업패킹(19)의 적용에 의해 박스구조체(1) 간 접합부에서 수밀성을 배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by applying the backup packing 19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tightness at the junction between the box structures 1 is doubled.

한편 상기 실란트(20)는 상기 백업패킹(19)에서 충진홈(18)에 충진되는데 실란트(20)의 경화과정에서 수축에 의해 실란트(20)와 백업패킹(19) 또는 충진홈(18)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이러한 간극에 의해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Meanwhile, the sealant 20 is filled in the filling groove 18 in the backing packing 19, and between the sealant 20 and the backing packing 19 or the filling groove 18 due to shrinkage during the curing process of the sealant 20, There is a problem that leakage may occur due to such a gap.

이에 본 발명에서는 실란트(20)의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의 실란트(20)는 수용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비나파스수지 20 내지 40중량부, 탄산칼슘 피막이 도포된 소성된 석회석 10 내지 20중량부, 탄화규소 1 내지 3중량부, 셀룰로오스 에테르 1 내지 3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ant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exemplified by 20 to 40 parts by weight of a non-porous resin, 100 parts by weight of a calcined limestone coated with a calcium carbonate coating 10 to 20 parts by weight, 1 to 3 parts by weight of silicon carbide, and 1 to 3 parts by weight of cellulose ether.

여기서 수용성 수지를 주재로 사용하는 이유는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충진후 유기용제가 증발하여 페이스트에 공극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극의 경우 표면까지 균열로 이어질 수 있어 균열에 의한 누수문제가 생길 수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수용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점을 해결한 것이다. 여기서 수용성 수지는 수용성 폴리우레아 수지 등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The reason for using the water-soluble resin as the main material is that when the resin using the organic solvent is used, the organic solvent evaporates after the filling and the pores are formed in the paste. In such a case, the surface may lead to cracking, As a result, the present embodiment solves this problem by using a water-soluble resin. Here, the water-soluble resin is not limited to water-soluble polyurea resin or the like.

또한 충진후 경화과정에서는 수축에 의해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가 발생되거나 수축에 의해 온도균열, 수축균열이 발생되어 균열에 의한 누수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수축 및 균열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탄산칼슘 피막이 도포된 소성된 석회석이 첨가되도록 한다. Also, in the curing process after fill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may occur due to shrinkage, or temperature cracks and shrinkage cracks may occur due to shrinkage, which may cause leakage problems due to crack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rease shrinkage and crack resistance Allow calcined limestone coated with calcium carbonate coating to be added.

상기 석회석은 1000 내지 1300℃로 소성시킨 석회석이 사용되는데, 소성된 석회석은 산화칼슘이 수화되면서 수산화칼슘이 생성되도록 하여 배합시 페이스트를 팽창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The limestone is calcined limestone at 1000 to 1300 캜. Calcined limestone hydrates the calcium oxide to form calcium hydroxide, thereby expanding the paste during mixing.

이러한 팽창은 공극을 남긴 채로 외관상의 용적팽창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팽창은 2단계의 팽창에 의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최초로 미세한 콜로이드상의 수산화칼슘을 생성할 때 처음 팽창을 하고 이것이 완전히 종료한 후에도 계속하여 장대한 이방성의 육각판상 결정으로 성장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페이스트를 팽창시킴으로써 수축 및 균열 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This expansion is known to cause apparent expansion of the volume while leaving voids. The expansion is known to be due to a two-stage expansion. The first expansion occurs when the fine colloidal calcium hydroxide is first produced, and even after it is completely terminated, Of hexagonal plate crystals. Therefore, the shrinkage and crack resistance can be improved by expanding the paste.

그런데 소성된 석회석은 수화활성이 매우 높아 배합시 물과 반응하여 단시간에 수화반응을 완결해, 수용성 수지가 반응이 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팽창 발현이 종료되어 페이스트에서 팽창성 즉 케미컬(chemical)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은 실질적으로 하지 못하고, 또 자기수축에 대한 억제 효과도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calcined limestone has a very high hydration activity, so it reacts with water at the time of mixing and completes the hydration reaction in a short time. When the water-soluble resin is not reacted, the expansion is terminated and the expansion of the paste, that is, the introduction of chemical prestres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self-contraction.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소성된 석회석을 사용하되, 석회석은 소성후 이산화탄소 포함가스와 반응시켜 입자 표면에 탄산칼슘 피막이 도포되도록 하여 사용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소성이 완료된 석회석을 소성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포함가스와 반응시켜 입자 표면에 탄산칼슘 피막이 도포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In this embodiment, calcined limestone is used, and limestone is reacted with carbon dioxide-containing gas after calcination to provide an example in which the calcium carbonate coating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Preferably, the calcined limestone is reacted with the carbon dioxide-containing gas generated in the calcination process so that the calcium carbonate coating is applied to the particle surface.

이와 같이 소성이 완료된 석회석에 탄산칼슘 피막이 도포되도록 하는 이유는 소성된 석회석의 수화활성을 지연시켜 수용성 수지의 반응이 충분히 진행된 후에 팽창효능이 발현되어 팽창재의 팽창성능이 효율적으로 발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충진전 배합과정, 보관과정에서 팽창성능이 기 발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reason for applying the calcium carbonate coating to the calcined limestone is to delay the hydration activity of the calcined limestone so that the expansion effect is exhibited after the reaction of the water-soluble resin sufficiently progresses, so that the expansion performance of the expandable material is efficiently expressed. It is also intended to prevent the expansion performance from being exhibited during the preparation process and the storage process before the filling.

이를 위해 소성이 완료된 석회석을 소성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포함가스와 반응시켜 석회석 입자 표면에 탄산칼슘 피막이 도포되도록 하는 것이다. For this purpose, the calcined limestone is reacted with the carbon dioxide-containing gas generated in the calcination process so that the calcium carbonate coating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limestone particles.

즉 소성이 완료된 석회석에 150 내지 400℃ 온도하에서 10 내지 50중량%로 이산화탄소가 함유된 가스를 공급하여 확산에 의해 표면에 탄산칼슘 피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calcined limestone is supplied with a gas containing carbon dioxide in an amount of 10 to 50% by weight at a temperature of 150 to 400 ° C to form a calcium carbonate film on the surface by diffusion.

이와 같이 피막이 형성되도록 하여 소성된 석회석 내부는 활성이 매우 높은 CaO가 존재하게 되며, 표면에는 탄산칼슘(CaCO3)을 생성시켜 수분과의 반응을 지연시키는 것이다. 즉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가 확산되면서 소성된 석회석의 미세한 공극으로 전달되며, 이산화탄소가 소성된 석회석의 전 표면에서 반응하여 미세한 CaCO3 피막을 계속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피막의 형성에 의해 석회석간 응집을 제어하여 팽창효율의 저하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The inside of the calcined limestone in which the coating is formed is highly active CaO, and calcium carbonate (CaCO 3 ) is formed on the surface to delay the reaction with water. That is, the gas containing carbon dioxide is diffused and transferred to the fine pores of the calcined limestone, and the carbon dioxide reacts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alcined limestone to continuously form a fine CaCO 3 film. Further, cohesion between limestone is controlled by the formation of such a coating, thereby preventing the expansion efficiency from being lowered.

바람직하게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가스는 전체대비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10 내지 5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타당한데 이는 너무 농도가 큰 경우 피막의 두께가 커져서 수화반응을 지연시키는 것이 아니라 수화반응을 차단하여 적정의 시기에 팽창성능의 발현을 기대할 수 없는 바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다. Preferably, the gas containing carbon dioxide has a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of 10 to 5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amount. If the concentration is too large,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is increased so that the hydration reaction is not delayed but the hydration reaction is blocked. And the expansion performance can not be expected to occur at the time of starting the engine.

상기 비나파스수지는 액상수지를 스프레이 건조하여 제조한 분산 물질로서 물에 분산시키면 안정한 액상수지가 되고 물에 분산된 수지는 건조 후 물에 녹지 않는 비가역적인 폴리머 필름을 형성하고 액상수지와 같이 사용되어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non-napas resin is a dispersion material prepared by spray-drying a liquid resin. When dispersed in water, the resin becomes a stable liquid resin and the resin dispersed in water forms an irreversible polymer film that is insoluble in water after drying and used as a liquid resin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ve strength.

특히 상기 비나파스수지가 첨가되어 경화후 페이스트의 탄성이 발현되도록 하여 차량 등에 의해 박스구조체(1) 간 접합부로 진동이 전달 등 계속적인 하중의 전달에 의한 실란트(20) 및 백업패킹(19)에 부과되는 피로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비나파스수지의 첨가에 의해 경화후 외압에 의해 실란트(20) 및 백업패킹(19)에 작용하는 하중을 완화시켜 피로균열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In particular, the non-napas resin is added so that the elasticity of the paste is exhibited after the curing, so that the sealant 20 and the backup packing 19, which are caused by continuous transmission of the load such as transmission of vibration to the junction between the box structures 1, Thereby improving the resistance to fatigue which is imposed. By the addition of such non-napas resin, the load acting on the sealant 20 and the back-up packing 19 is relieved by the external pressure after curing, thereby preventing fatigue cracking.

상기 탄화규소는 매우 단단하고 깨끗하며, 규소와 탄소의 결정성 화합물로 2500℃ 이상에서 분해된다. 고온강도가 높고, 내마모성, 내산화성, 내식성, 크랙 저항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여 탄화규소는 소성된 석회석에 형성되는 공극이 냉각과정에서 수축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시켜주도록 함으로써 페이스트의 팽창후 수축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팽창성의 보존력을 높여주는 것이다. The silicon carbide is very hard and clean, and is a crystalline compound of silicon and carbon and is decomposed at 2500 ° C or higher. The high-temperature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oxidation resistance, corrosion resistance, crack resistance and other properties are excellent, so that silicon carbide keeps the pores formed in the calcined limestone without being shrunk or deformed during the cooling process, . That is, it enhances the retention of swelling.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증점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증점제로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사용되는 이유는 증점작용은 물론 공기연행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밀실한 충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강도를 개선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The cellulose ether is used as a thickener. The reason why cellulose ether is used as a thickening agent is to perform air entraining action as well as a thickening action so as to achieve tight filling and improve strength.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1 : 상단벽체 12 : 하단벽체
13 : 양측벽체 14 : 캠버보강근
15 : 지지대 16 : 끼움홈
17 : 끼움돌기 18 : 충진홈
19 : 백업패킹 20 : 실란트
11: upper wall 12: lower wall
13: Both side walls 14: Camber rebar
15: support member 16:
17: insertion projection 18: filling groove
19: Backup packing 20: Sealant

Claims (9)

상,하단벽체, 양 측벽체로 이루어진 박스구조체에 있어서,
상단벽체에 복수로 매입되며 상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캠버보강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보강 구조를 가지며 선형변경조립이 가능한 단일모듈 박스구조체.
In the box structure comprising the upper, lower wall, and both side walls,
And a camber reinforcing structure embedded in the upper wall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forming a curved surface in an upward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벽체에는 상기 캠버보강근의 중앙부에서 골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보강 구조를 가지며 선형변경조립이 가능한 단일모듈 박스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wall is provided with a camber reinforcing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valley portion at the center of the camber reinforcing ba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하부받침판과 상기 하부받침판에서 직교하면서 돌출되며 끝단에 지지공이 형성되는 지지기둥으로 구성되어 상기 캠버보강근의 중앙부에서 골부분이 상기 지지공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보강 구조를 가지며 선형변경조립이 가능한 단일모듈 박스구조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base comprises a lower support plate and a support column which protrudes orthogonally from the lower support plate and has a support hole formed at an end thereof so that a valley portion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hole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amber reinforcement. Single module box structure with linear change assembly.
제 1항에 있어서,
하단벽체, 양 측벽체에 복수로 매입되며 하부 및 외측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캠버보강근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보강 구조를 가지며 선형변경조립이 가능한 단일모듈 박스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ower wall, and a camber reinforcing structure embedded in a plurality of the side walls and forming a curved surface downwardly and outwardly. The single module box structure has a camber reinforcing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하단벽체 및 양 측벽체에는 전,후면에 끼움홈과 끼움돌기가 교번으로 형성되며, 양 측벽체에는 일 측벽체에 끼움돌기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타 측벽체에는 끼움홈이 외측으로 요홈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보강 구조를 가지며 선형변경조립이 가능한 단일모듈 박스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and lower wall bodies and both side walls are formed with alternating fitting grooves and fitting protrusion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 two side walls are formed with projecting protrusions on one side wall and protruding on the other side wall. Wherein the camber reinforcing structure is formed in a shape of a rectangle.
제 1항에 있어서,
양 측벽체는 길이가 달라 상,하단벽체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보강 구조를 가지며 선형변경조립이 가능한 단일모듈 박스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wo side walls have different lengths and the lower end wall has a trapezoidal shape. A single module box structure having a camber reinforcing structure and capable of linearly changing and assembling.
제 1항에 있어서,
상,하단벽체, 양 측벽체의 전,후면에는 충진홈이 형성되며 상기 충진홈의 양단에 한쌍의 몸체로 구성된 백업패킹이 구성되고 상기 백업패킹에 의해 형성되는 충진공간에는 실란트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보강 구조를 가지며 선형변경조립이 가능한 단일모듈 박스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lling groove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the side walls and a backup packing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filling groove by a pair of bodies and the filling space formed by the backing packing is filled with a sealant A single module box structure having a camber reinforcing structure and capable of linear change assembly.
제 7항에 있어서,
한 쌍의 백업패킹은 복수의 연결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보강 구조를 가지며 선형변경조립이 가능한 단일모듈 박스구조체.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pair of backup packings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and wherein the single backpack packing is linearly changeable and has a camber reinforcing structure.
제 7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박스구조체의 일 충진홈에 상기 백업패킹이 구성되며, 각각 충진홈에는 실란트가 주입되고, 각각 주입된 실란트에 신축가능한 지수단이 매립되도록 하여 인접하는 박스구조체를 접합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보강 구조를 가지며 선형변경조립이 가능한 단일모듈 박스구조체.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acking packing is formed in one filling groove of an adjacent box structure, sealants are injected into the filling grooves, respectively, and the expansible expansible end is embedded in the injected sealant, thereby joining adjacent box structures. A single module box structure with camber reinforcement structure and linear changeable assembly.
KR1020170070720A 2017-06-07 2017-06-07 Single module box structure with camber reinforcement structure KR1020005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720A KR102000593B1 (en) 2017-06-07 2017-06-07 Single module box structure with camber reinforcemen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720A KR102000593B1 (en) 2017-06-07 2017-06-07 Single module box structure with camber reinforcement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643A true KR20180133643A (en) 2018-12-17
KR102000593B1 KR102000593B1 (en) 2019-07-16

Family

ID=65007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720A KR102000593B1 (en) 2017-06-07 2017-06-07 Single module box structure with camber reinforcement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593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675A (en) * 1994-11-28 1996-06-11 Mizutani Kensetsu Kogyo Kk Oblique prestressed box culvert and its prestress introducing method
JPH09235770A (en) * 1996-03-01 1997-09-09 Asahi Concrete Works Co Ltd Box culvert
JP2004019285A (en) * 2002-06-18 2004-01-22 Geostr Corp Divided type arcuate culvert
KR100897649B1 (en) * 2008-01-25 2009-05-18 (주)케이지엔지니어링 A drain pipe repair device
KR20120009212A (en) * 2010-07-23 2012-02-01 임인혁 Box structure for shear bucking prevention that habe rotation function
KR101133158B1 (en) 2010-03-19 2012-04-19 주식회사 한양피씨 Chnage section connection structure for concrete pc box
KR20150118697A (en) * 2014-04-15 2015-10-23 주식회사 우리이앤씨 Cut-off plate with hollownecss and multidirectional member
KR101687542B1 (en) * 2016-05-11 2016-12-19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Fixing Structure of the Reinforeced Spacer for the Upper Horizontal Reba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675A (en) * 1994-11-28 1996-06-11 Mizutani Kensetsu Kogyo Kk Oblique prestressed box culvert and its prestress introducing method
JPH09235770A (en) * 1996-03-01 1997-09-09 Asahi Concrete Works Co Ltd Box culvert
JP2004019285A (en) * 2002-06-18 2004-01-22 Geostr Corp Divided type arcuate culvert
KR100897649B1 (en) * 2008-01-25 2009-05-18 (주)케이지엔지니어링 A drain pipe repair device
KR101133158B1 (en) 2010-03-19 2012-04-19 주식회사 한양피씨 Chnage section connection structure for concrete pc box
KR20120009212A (en) * 2010-07-23 2012-02-01 임인혁 Box structure for shear bucking prevention that habe rotation function
KR20150118697A (en) * 2014-04-15 2015-10-23 주식회사 우리이앤씨 Cut-off plate with hollownecss and multidirectional member
KR101687542B1 (en) * 2016-05-11 2016-12-19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Fixing Structure of the Reinforeced Spacer for the Upper Horizontal Reb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593B1 (en)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91739A (en) Composite type self-adhesion water stop band, manufacturing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881338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soil sheathing structure having zero pressure grouting cut off wall and soil sheathing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same
KR101122659B1 (en) Method execution for jointing between precast concrete panels for building remodeling
CN209854880U (en) Prefabricated assembled escape canal
KR101604726B1 (en) Culvert connected by shear connecting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2000593B1 (en) Single module box structure with camber reinforcement structure
CN101356318A (en) Precast concrete segment having connecting structure using steel duct, and connecting structure thereof
CN102409794A (en) Wall body building block and wall corner
CN105780940A (en) Building expansion joint anti-seeping structure
JP2634381B2 (en) Split type box culver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CN111188368B (en) Anti-seepage layer pre-stressed fixing sleeve
CN205399731U (en) Assembled reinforced concrete wall structure based on heat channel cuts off technique
KR101959287B1 (en) Box structure with bidirectional posttension tructure
KR017870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ncrete block by using native rock
CN218757629U (en) Waterproof structure of plugging into of new and old basement structure under narrow and small space
CN105735517A (en) Assembly type reinforced concrete wall structure based on thermal bridge partition technology
CN214738999U (en) Precast concrete wall
CN201062393Y (en) Hollow concrete block for round or arc buildings
CN111648465B (en) Combined hollow slab basement exterior wall
CN211737147U (en) Prefabricated piecing and assembling connecting device for tunnel with super-large section
CN210288159U (en) Split type precast concrete culvert's concatenation structure
KR101649904B1 (en) Waterstop connector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reof
RU138593U1 (en) SELF-ORIENTING BUILDING MODULE WITH "LEGKOSTROY" SUPPORT INSERTS
CN109306720B (en) Water intaking structure
KR101817556B1 (en) Structure of Retaining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