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604A -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604A
KR20180133604A KR1020170070597A KR20170070597A KR20180133604A KR 20180133604 A KR20180133604 A KR 20180133604A KR 1020170070597 A KR1020170070597 A KR 1020170070597A KR 20170070597 A KR20170070597 A KR 20170070597A KR 20180133604 A KR20180133604 A KR 20180133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unit
circuit unit
terminal
rect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형구
Original Assignee
세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민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0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3604A/ko
Publication of KR20180133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57Driver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retrofit LED light sources
    • H05B45/3578Emulating the electrical or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lamps
    • H05B33/0815
    • H05B33/0824
    • H05B33/088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형광램프용 안정기의 출력 단자로부터 고주파 전원을 공급받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의 출력을 정전압으로 안정시켜 출력하며, 상기 정류부의 출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전압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정류부의 출력을 접지 측으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회로부를 포함하는 정전압 회로부; 상기 정전압 회로부의 출력이 과도하게 발생될 경우 이를 차단하는 과전압 방지 회로부; 상기 정전압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펄스 폭 변조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PWM 출력부; 상기 PWM 출력부의 구동 신호에 의해 상기 정전압 회로부의 출력을 정전류로 제어하여 출력하는 정전류 회로부; 및 상기 정전류 회로부의 출력에 의해 점등 구동되는 복수의 LED가 직렬 연결 및 병렬 연결이 조합되어 구성되는 LED 어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전압 회로부에 바이패스 회로부가 포함되며 바이패스 회로부에서 정류부 출력 중 기준전압 초과분을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전자식 안정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의 발진 신호에 의한 전압 불안정을 해소하고 LED램프에 안정적인 구동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LED CONTROLLER FOR FLUORESCENT LAMP BALLAST}
본 발명은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형광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안정기에 호환성 있게 장착되어 직류 전류를 사용하는 엘이디램프를 점등 제어하며 안정기의 고주파 전원을 안정적인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엘이디램프를 점등할 수 있도록 한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부분의 실내 조명등은 형광램프이며, 형광램프를 점등시키기 위해서는 고주파 전원을 발생시키는 안정기가 요구된다. 안정기는 글로 스타터 또는 래피드 스타트 방식을 이용하는 자기식 안정기와 고속의 스위칭소자를 이용하여 고주파 전원을 생성하는 전자식 안정기로 분류된다.
전자식 안정기는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한 후에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초크 코일로 구성되는 인버터 회로를 이용하여 공진 주파수 부근의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형광램프의 점등 초기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형광물질을 여기시키고, 이후에는 저전압을 유지하여 램프를 안정적으로 점등 유지시키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전자식 안정기를 예시한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식 안정기는 입력 단자(AC IN1, AC IN2)를 통해 상용교류전원을 입력받으며, 4개의 출력 단자(CN1, CN2, CN3, CN4)를 통해 형광램프(50) 양단의 전극부에 고주파 전원을 공급한다.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는 정류부(10)와, 역률 조정부(20)와, 고주파 스위칭부(30)와, 공진 출력부(40)가 구비된다.
정류부(10)는 입력전원을 정류하는 브리지다이오드(D1~D4)와, LC 공진 필터(L1, C1)를 이용하여 정류된 전원을 평활화 하는 평활회로로 구성된다. 역률 조정부(20)는 변압기(T1) 2차측에 연결되는 인덕터와, 커패시터(C4)를 이용하여 전압과 전류의 위상을 조정해서 역률을 개선한다. 고주파 스위칭부(30)는 교호로 스위칭되는 한 쌍의 트랜지스터(Q1, Q2)와, 이 트랜지스터(Q1, Q2)를 트리거시키기 위한 트리거 회로로 구성된다. 공진 출력부(40)는 변압기(T1) 2차측에 연결되는 인덕터와 커패시터(C5, C6)를 이용하여 공진 회로를 구성하며, 고주파 스위칭부(30)의 온/오프에 따른 발진주파수가 공진주파수와 매칭시켜 점등 초기 순간 고전압을 발생시킨다.
한편, 최근에는 형광램프를 대체하여 LED가 새로운 조명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LED는 적은 소비전력, 친환경성, 장수명성 등 기존의 형광램프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LED를 점등 구동시키는 드라이버는 상용교류전원을 직류 정전압으로 변환하는 간단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에 건물 등에 설치된 전자식 안정기를 모두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인 부담으로, 전자식 안정기에 적용할 수 있는 LED램프가 출시되고 있다. 전자식 안정기에 적용 가능한 LED램프는 직관형 또는 전구형 형광램프와 동일한 규격을 가지며, 내부에는 LED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드라이버 회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6670호는 형광등 소켓에 범용 LED 모듈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안정기 타입의 LED 형광등을 제안하고 있다. 동 선행문헌을 참조하면, 전자식 안정기에서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DC 정류부와, DC 정류부의 출력을 콘덴서를 이용하여 충방전하여 일정한 DC 전원을 생성하는 DC 정전압 생성부와, LED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전압과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전압/전류 유지부를 포함한다.
하지만, 전자식 안정기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고주파의 발진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를 브리지다이오드와 평활용 커패시터로 레귤레이팅(regulating) 하여도 DC 정전압 생성부의 출력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불안정한 출력은 정전압/전류 유지부의 직렬 인덕터(L3, L4, L5)를 이용하여 정전류화 하여도 LED 램프 어레이에 가해지는 구동전압을 안정화시키지 못하게 된다. 결국 저전압에 의한 LED의 밝기 저하, 또는, 고전압에 의한 LED의 수명 저하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6670호
본 발명은 전자식 안정기의 출력을 정류한 후에 특화된 레귤레이팅 회로를 이용하여 정전압화 함으로써 전자식 안정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의 발진 신호에 의한 전압 불안정을 해소하고 LED램프에 안정적인 구동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는, 형광램프용 안정기의 출력 단자로부터 고주파 전원을 공급받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의 출력을 정전압으로 안정시켜 출력하며, 상기 정류부의 출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전압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정류부의 출력을 접지 측으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회로부를 포함하는 정전압 회로부; 상기 정전압 회로부의 출력이 과도하게 발생될 경우 이를 차단하는 과전압 방지 회로부; 상기 정전압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펄스 폭 변조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PWM 출력부; 상기 PWM 출력부의 구동 신호에 의해 상기 정전압 회로부의 출력을 정전류로 제어하여 출력하는 정전류 회로부; 및 상기 정전류 회로부의 출력에 의해 점등 구동되는 복수의 LED가 직렬 연결 및 병렬 연결이 조합되어 구성되는 LED 어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는, 상기 바이패스 회로부는,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 양단에 병렬 접속되는 저항(R12) 및 커패시터(C3)와, 상기 커패시터(C3) 양단의 충전전압이 내장된 기준전압원을 초과할 경우 도통되는 션트 레귤레이터(U1)를 포함하는 입력전압 검출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U1)가 도통될 때 순차적으로 턴 온 되는 제1 트랜지스터(Q1) 및 제2 트랜지스터(Q2)의 2단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출력단에 역 바이어스로 접속되는 제너다이오드(ZD1)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가 턴 온 될 때 상기 제너다이오드(ZD1)가 항복되면서 트리거 되도록 그 게이트 단자가 공통 접속되며 하나는 그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에 정궤환 방향으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그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에 부궤환 방향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3 트랜지스터(Q3) 및 제4 트랜지스터(Q4)를 포함하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는,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의 드레인 단자와 상기 형광램프용 안정기의 양극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C1)와, 상기 제4 트랜지스터(Q4)의 드레인 단자와 상기 형광램프용 안정기의 음극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C2)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에 따르면, 정전압 회로부에 바이패스 회로부가 포함되며 바이패스 회로부에서 정류부 출력 중 기준전압 초과분을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전자식 안정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의 발진 신호에 의한 전압 불안정을 해소하고 LED램프에 안정적인 구동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전자식 안정기를 예시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를 예시한 블록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를 예시한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과 상대적인 척도는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이나 당해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광램프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는 종래의 전자식 안정기에 형광램프를 대체하여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 전자식 안정기에 관하여는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의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는 도 1의 전자식 안정기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구성의 전자식 안정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는 직관형 형광램프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구형 형광램프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어떤 형태에서든지 전자식 안정기의 출력 단자에 대응하여 4개의 입력 단자(CN1, CN2, CN3, CN4)를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는 정류부(100)와, 정전압 회로부(200)와, 과전압 방지 회로부(300)와, PWM 출력부(400)와, 정전류 회로부(500)와, LED 어레이(610, 620)로 구성된다.
정류부(100)는 형광램프용 안정기의 출력 단자로부터 고주파 전원을 공급받아 정류한다. 정전압 회로부(200)는 정류부의 출력을 정전압으로 안정시켜 출력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는 정전압 회로부(200)에 인가되는 순간적인 고전압분을 접지 측으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회로부를 포함한다. 과전압 장지 회로부(300)는 정전압 회로부(200)의 출력이 과도하게 발생할 경우 이를 차단한다. PWM 출력부(400)는 정전압 회로부(20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펄스 폭 변조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정전류 회로부(500)는 PWM 출력부(400)의 구동 신호에 의해 정전압 회로부(200)의 출력을 정전류로 제어하여 출력한다. 정류부(100), 정전압 회로부(200), 과전압 방지 회로부(300), PWM 출력부(400), 및 정전류 회로부(50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도 3의 회로도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LED 어레이(610, 620)는 정전류 회로부(500)의 출력에 의해 점등 구동되는 복수의 LED가 직렬 연결 및 병렬 연결이 조합되어 구성되는 어레이이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의 LED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접속되어 하나의 LED 어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각각 복수의 LED들이 조합된 제1 LED 어레이(610)와 제2 LED 어레이(620)가 병렬 접속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LED 어레이는 더 많은 수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를 예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류부(100)는 4개의 다이오드가 조합된 브리지다이오드(D1~D4)를 포함한다. 브리지다이오드(D1~D4)는 형광램프용 안정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의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성분으로 변환한다.
정전압 회로부(200)는 커패시터(C4)의 충전과 방전에 의해 정류된 직류 성분을 평활하여 안정화 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정전압 회로부(200)는 정류부(100)의 출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전압을 초과할 경우 정류부의 출력(100)을 접지 측으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회로부를 포함한다. 이는 형광램프용 안정기에서 출력되는 전원에 포함된 고주파의 발진 신호에 의해 정전압 회로부(200)의 출력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LED 어레이(610, 620)에 안정된 전압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바이패스 회로부는 입력전압 검출부(210)와, 스위칭부(220)와, 바이패스부(230)를 포함한다.
입력전압 검출부(210)는 정류부의 출력 전압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검출하는 회로 구성으로서, 정류부(100)의 출력단 양단에 병렬 접속되는 저항(R12) 및 커패시터(C3)와, 커패시터(C3) 양단의 충전전압이 내장된 기준전압원을 초과할 경우 도통되는 션트 레귤레이터(U1, 212))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션트 레귤레이터(U1)의 비교 전압 입력단에는 저항(R10 및 R11의 합산 저항)과 저항(R12)의 분압에 의해 결정된 전압이 인가된다. 만약, 형광램프용 안정기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과도하게 높은 경우 저항(R12)에 병렬 접속된 커패시터(C3) 양단의 충전 전압이 상승하게 되며, 션트 레귤레이터(U1)는 내장된 기준전압원에 비해 위 충전 전압이 높을 경우 도통된다. 기준전압원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전압은 예컨대 2.5V로 설정된다.
스위칭부(2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2단 스위칭소자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2단 스위칭소자는 2개의 BJT로 구성되며, 제1 트랜지스터(Q1, 222)는 PNP BJT로, 제2 트랜지스터(Q2, 224)는 NPN BJT로 구성될 수 있다.
션트 레귤레이터(212)의 캐소드 단자가 제1 트랜지스터(222)의 베이스 단자에 접속되며, 션트 레귤레이터(212)가 도통되어 캐소드 단자가 로우 레벨로 천이될 때 제1 트랜지스터(222)가 턴 온 된다. 제1 트랜지스터(222)의 콜렉터 단자와 제2 트랜지스터(224)의 베이스 단자가 접속되며, 제1 트랜지스터(222)의 턴 온 동작에 의해 제2 트랜지스터(224)가 순차적으로 턴 온 되면서 증폭된 신호를 출력한다.
바이패스부(230)는 과도 전압분을 접지 측으로 바이패스하는 구성으로서, 제2 트랜지스터(224)의 출력단에 역 바이어스로 접속되는 제너다이오드(ZD1)와, 한 쌍의 제3 트랜지스터(Q3, 232) 및 제4 트랜지스터(Q4, 234)와, 제3 트랜지스터(232)의 드레인 단자와 형광램프용 안정기의 양극 단자(CN3) 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C1)와, 제4 트랜지스터(234)의 드레인 단자와 형광램프용 안정기의 음극 단자(CN4) 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C2)로 구성된다.
평상시에는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해 게이트 단자가 공통 접속된 제3 트랜지스터(232) 및 제4 트랜지스터(234)가 턴 오프 상태에 있게 된다. 만약, 스위칭부(220)가 동작하여 제2 트랜지스터(224)가 턴 온 되면, 제너다이오드(ZD1) 양단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제너다이오드(ZD1)가 항복되면서 제3 트랜지스터(232) 및 제4 트랜지스터(234)가 동시에 턴 온 된다.
제3 트랜지스터(232)는 그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정류부(100)의 출력단에 정궤환 방향으로 연결되고, 제4 트랜지스터(234)는 그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정류부(100)의 출력단에 부궤환 방향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정류부(100)의 정궤환 방향 출력과 부궤환 방향 출력을 접지 측으로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과도 전압분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과전압 방지 회로부(300)는 정전압 회로부(200)의 출력단 양단에 역 바이어스로 접속되는 제너다이오드(ZD3)와, 이 제너다이오드(ZD3)가 항복될 때 게이트 단자로 신호를 입력받아 정전압 회로부(200)의 출력을 접지 측으로 연결하는 사이리스터(Q6)와, 정전압 회로부(200)의 양극 출력단과 사이리스터(Q6)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서미스터(TH1)를 포함한다.
만약, 정전압 회로부(200)의 출력에서 과도 전압분이 발생하면, 저항(R17과 R18의 합산 저항)과 저항(R19)의 분압에 의해 결정된 전압이 상승하게 되며, 제너다이오드(ZD3)가 도통되면서 사이리스터(Q6)가 턴 온 된다. 사이리스터(Q6)가 턴 온 되면 서미스터(TH1)와 사이리스터(Q6)를 경유하는 회로가 연결되면서, 서미스터(TH1)에 의해 과전압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서미스터(TH1)를 이용하여 과전압을 억제함으로써, LED 어레이(610, 620) 또는 스위칭소자들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PWM 출력부(400)는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PWM 구동칩(U2)을 포함한다. PWM 구동칩(U2)의 입력 단자(VIN)에 정전압 회로부(200)의 출력이 인가되면, 구동 신호 출력 단자(DRV)를 통해 펄스 폭 변조된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정전류 회로부(500)는 LED 어레이(610, 620)에 정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구성으로서, 제5 트랜지스터(Q5)와, 정전압 회로부(200)의 양극 출력단과 제5 트랜지스터(Q5)의 드레인 단자 사이에 역 바이어스로 연결되는 다이오드(D7)와, 다이오드(D7)의 애노드 단자와 LED 어레이(610, 620)의 연결 단자 일측에 직렬 접속되는 복수의 인덕터(L1, L2, L3, L4)와, LED 어레이(610, 620)의 연결 단자 양단에 병렬 접속되는 커패시터(C6)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전압 회로부(200)의 출력 일단이 LED 구동전원 출력 단자 중 하나(Vout1)에 접속되며, 직렬로 연결되는 인덕터(L1, L2, L3, L4)의 출력이 LED 구동전원 출력 단자 중 다른 하나(Vout2)에 접속된다. 다이오드(D7)는 정전압 회로부(200)의 출력이 제5 트랜지스터(Q5)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PWM 출력부(400)의 구동 신호에 의해 제5 트랜지스터(Q5)가 트리거 되면서 직렬 연결된 복수의 인덕터(L1, L2, L3, L4)를 거쳐 정전류로 변환되며, 커패시터(C6)의 충, 방전에 의해 직류 정전압, 정전류의 구동전원을 LED 어레이(610, 620)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정류부 200 : 정전압 회로부
210 : 입력전압 검출부 212 : 션트 레귤레이터
220 : 스위칭부 222 : 제1 트랜지스터
224 : 제2 트랜지스터 230 : 바이패스부
232 : 제3 트랜지스터 234 : 제4 트랜지스터
300 : 과전압 방지 회로부 400 : PWM 출력부
500 : 정전류 회로부 610 : 제1 LED 어레이
620 : 제2 LED 어레이

Claims (3)

  1. 형광램프용 안정기의 출력 단자로부터 고주파 전원을 공급받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의 출력을 정전압으로 안정시켜 출력하며, 상기 정류부의 출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전압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정류부의 출력을 접지 측으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회로부를 포함하는 정전압 회로부;
    상기 정전압 회로부의 출력이 과도하게 발생될 경우 이를 차단하는 과전압 방지 회로부;
    상기 정전압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펄스 폭 변조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PWM 출력부;
    상기 PWM 출력부의 구동 신호에 의해 상기 정전압 회로부의 출력을 정전류로 제어하여 출력하는 정전류 회로부; 및
    상기 정전류 회로부의 출력에 의해 점등 구동되는 복수의 LED가 직렬 연결 및 병렬 연결이 조합되어 구성되는 LED 어레이
    를 포함하는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회로부는,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 양단에 병렬 접속되는 저항(R12) 및 커패시터(C3)와, 상기 커패시터(C3) 양단의 충전전압이 내장된 기준전압원을 초과할 경우 도통되는 션트 레귤레이터(U1)를 포함하는 입력전압 검출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U1)가 도통될 때 순차적으로 턴 온 되는 제1 트랜지스터(Q1) 및 제2 트랜지스터(Q2)의 2단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출력단에 역 바이어스로 접속되는 제너다이오드(ZD1)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가 턴 온 될 때 상기 제너다이오드(ZD1)가 항복되면서 트리거 되도록 그 게이트 단자가 공통 접속되며 하나는 그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에 정궤환 방향으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그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에 부궤환 방향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3 트랜지스터(Q3) 및 제4 트랜지스터(Q4)를 포함하는 바이패스부
    를 포함하는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의 드레인 단자와 상기 형광램프용 안정기의 양극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C1)와, 상기 제4 트랜지스터(Q4)의 드레인 단자와 상기 형광램프용 안정기의 음극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C2)를 더 포함하는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
KR1020170070597A 2017-06-07 2017-06-07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 KR20180133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597A KR20180133604A (ko) 2017-06-07 2017-06-07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597A KR20180133604A (ko) 2017-06-07 2017-06-07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604A true KR20180133604A (ko) 2018-12-17

Family

ID=6500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597A KR20180133604A (ko) 2017-06-07 2017-06-07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36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4849A (zh) * 2021-07-02 2021-11-02 中科慧远视觉技术(北京)有限公司 激光器恒流驱动方法及led光源驱动电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4849A (zh) * 2021-07-02 2021-11-02 中科慧远视觉技术(北京)有限公司 激光器恒流驱动方法及led光源驱动电路
CN113594849B (zh) * 2021-07-02 2022-06-10 中科慧远视觉技术(北京)有限公司 激光器恒流驱动方法及led光源驱动电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6943B2 (en) LED lamp and illumination device including the LED lamp
US9839077B2 (en) LED lighting device using ballast
US9426849B2 (en) Connection circuit for connecting a driver to an external power supply for driving an LED unit
JP5266594B1 (ja) Ledランプ、そのledランプを含む照明装置、及び、ledランプの電流制御方法
US8497636B2 (en) Auto-switching triac compatibility circuit with auto-leveling and overvoltage protection
JP5554108B2 (ja) 過電流防止式電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101521834B1 (ko) 안정기를 이용한 led 조명 장치
WO2012161795A1 (en) Lighting power circuit with peak current limiter for emi filter
US10264635B2 (en) Ripple suppression circuit and light emitting diode driver
JP4748025B2 (ja) 位相制御型電源装置
JP2008104273A (ja) 位相制御可能な直流定電流電源装置
JP6145980B2 (ja) 照明装置
JP2015053225A (ja) Led駆動回路
US10082251B1 (en) Light emitting diode driver circuit compatible with ballast
KR101338395B1 (ko) 조명 소자
KR20180133604A (ko) 형광램프용 안정기에 적용되는 엘이디램프 점등제어장치
JP6813235B2 (ja) 点灯装置
US9648690B1 (en) Dimmable instant-start ballast
KR20140049841A (ko) Led 조명등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led 조명 장치
JP5842129B2 (ja) Led点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101777566B1 (ko) 엘이디 램프
KR101564546B1 (ko) 안정기를 이용한 led조명 장치
KR100716562B1 (ko)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
US9270196B2 (en) Low-cost self-oscillating driver circuit
JP2019154150A (ja) 点灯装置、照明器具および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