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296A - 도어의 유리창 구조 - Google Patents

도어의 유리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296A
KR20180133296A KR1020170069912A KR20170069912A KR20180133296A KR 20180133296 A KR20180133296 A KR 20180133296A KR 1020170069912 A KR1020170069912 A KR 1020170069912A KR 20170069912 A KR20170069912 A KR 20170069912A KR 20180133296 A KR20180133296 A KR 20180133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door
bending
me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3860B1 (ko
Inventor
고동희
Original Assignee
고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동희 filed Critical 고동희
Priority to KR1020170069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86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0Peep-holes; Devices for speaking through; Doors having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독기, 살균기, 건조기, 오븐 등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유리창을 갖는 도어의 유리창 구조에 관한 것으로, 금속판재(1)에 유리노출구(9)를 천공하고 유리노출구(9) 이면에 판유리(13)를 고정하여 도어의 유리창을 형성하되, 상기 금속판재(1)에 유리노출구(9)를 천공하면서, 유리노출구(9)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간격을 오목하게 이면측으로 절곡 성형하여 절곡테두리면(11)을 형성하고, 판유리(13)를 상기 금속판재(1)의 이면에서 상기 절곡테두리면(11)의 가장자리에 밀착시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의 유리창 구조{STRUCTURE OF GLASS WINDOW OF DOOR}
본 발명은 도어의 유리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소독기, 살균기, 건조기, 오븐 등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유리창을 갖는 도어의 유리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소독기, 살균기, 건조기, 오븐 등의 도어에는 내부 살균 진행 상태, 건조 상태, 조리 상태 등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면서 자외선이나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유리창을 마련한다. 유리창에는 자외선 차단을 위한 자외선 필터를 부착하기도 한다. 그러나, 소독기, 살균기, 건조기, 오븐 등은 자외선 또는 히터에 의한 열에 유리와 유리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이로 인해 유리창의 프레임에 변형이 발생할 경우 유리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조립된 유리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헐겁거나 불안정한 상태가 될 경우 도어 개폐시 충격으로 유리가 파손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소독기, 살균기, 건조기, 오븐 등의 도어 유리창의 프레임은 일반도어와 달리 특별한 구조를 요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6160호 고안은 식기건조기용 도어 유리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하 수평틀체와 좌우 수직틀체가 일체로 성형된 사각 도어틀체를 형성하고, 도어틀체의 상측내면과 좌우측내면 3개소에 일정한 간격으로 양면 접착 테이프를 도포하여 유리가 밀착되게 하되, 하측 수평틀체의 배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향 돌설시킨 유리 지지턱과 좌우측 금구지지턱의 안쪽으로 유리의 하단을 삽입하여 도어틀체의 배면 전체에 유리의 외주면 전체가 닿게 조립하며, 상기 좌우측 금구 지지턱에는‘[ ’형 금구의 하단 절곡부를 끼우고, 금구의 상단 절곡부는 상측 수평틀체에 고정부재를 대고 나사 체결시켜서 좌우측 금구에 의해 유리가 도어틀체 내면에 밀착 조립되게 하며, 유리 지지턱의 관통공을 통하여 양면 접착 테이프가 도포된 접착 지지구를 끼워 유리와 도어틀체가 일체화 되게 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6160호 고안에 의할 경우, 장시간 사용으로 테이프의 접착제의 접착력이 떨어져 유리가 흔들리게 되고, 도어에 충격이 가해지면 금구가 이탈하여 유리의 고정 자체가 안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리를 삽입할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유리를 삽입하여 틀을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도어 제작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도어틀체가 식기건조기 전면에 모두 드러나 외관의 심미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6160호(등록일자 : 2001년06월18일)
본 발명은, 소독기, 살균기, 건조기, 오븐 등의 도어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전면에서 보았을 때 유리를 지지하는 사각틀체가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유리를 유격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도어의 유리창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판재에 유리노출구를 천공하고 이면에 판유리를 부착하여 유리창을 형성하면서도 유리노출구 경계면에 고무링, 실리콘링 등을 부착할 필요가 없는 도어의 유리창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과제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판재에 유리노출구를 펀치에 의하여 천공하고 이면에 판유리를 부착하여 유리창을 형성하면서도, 유리노출구의 펀치 절단면이 전면에 노출되지 않는 도어의 유리창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과제 및 제2과제는, 소독기, 살균기, 건조기, 오븐 등의 도어 유리창을 금속판재에 유리노출구를 천공하고 유리노출구 이면에 판유리를 고정하여 형성하되, 금속판재에 유리노출구를 천공하면서, 유리노출구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간격을 오목하게 이면측으로 절곡 성형하여 절곡테두리면을 형성하고, 판유리를 상기 금속판재의 이면에서 상기 절곡테두리면의 가장자리에 밀착시켜 고정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과제 및 제2과제는, 상기 금속판재의 전면부에 상기 유리노출구 및 절곡테두리면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판재의 상하부 및 좌우부의 일정 부위에 날개를 성형하고, 상기 날개를 후방 직각으로 2단절곡하여 일정한 높이의 외측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프레임 내부에는 4개의 관체를 상기 판유리를 수용할 수 있게 사각으로 조립한 내측프레임을 삽입하여 외측프레임에 고정하고, 상기 내측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상기 판유리를 투입한 후 상기 외측프레임의 전면부에 형성된 상기 유리노출구의 절곡테두리면 가장자리에 밀착시킨 상태로 내측프레임과 판유리 사이를 실리콘접착제로 고정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3과제는, 상기 절곡테두리면은 2단으로 경사지게 절곡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소독기, 살균기, 건조기, 오븐 등의 도어 유리창을 스테인레스스틸 등 금속판재에 유리노출구를 천공하면서, 유리노출구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간격을 오목하게 이면측으로 절곡 성형하여 절곡테두리면을 형성하고, 판유리를 금속판재의 이면에서 상기 절곡테두리면의 가장자리에 밀착시켜 고정하기 때문에, 절곡테두리면의 탄성력으로 판유리와 금속판재간의 밀착력이 매우 좋고, 금속판재의 유리노출구 절단면이 이면측으로 감춰지기 때문에 절단면에 고무링이나 실리콘링을 별도로 삽입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도어 전면에서 손을 다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절곡테두리면이 금속판재와 연속하여 완만하게 요입(凹入) 성형됨으로써 매우 세련된 도어 외관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절곡테두리면을 2단으로 경사지게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절곡테두리면의 유리방향의 탄성력을 얻음과 동시에 유리노출구 절단면이 도어 전면에 노출되지 않고 이면의 판유리와 접촉하게 되어, 판유리와 절곡테두리면의 밀착성이 매우 우수하고, 손이 접촉하더라도 다칠 염려가 전혀 없으며, 미려한 외관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측프레임(사각틀체)에 판유리를 수용하고, 내측프레임 외부를 금속판재의 전면부와 날개로 감싸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내측프레임의 이음선이나 내측프레임과 판유리의 결합부분을 모두 감추면서, 판유리를 금속판재의 전면부에 형성된 절곡테두리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매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판유리를 전면에서 탄성력이 있는 절곡테두리면이 고정하고, 후면에서 실리콘접착제에 의하여 고정함으로써, 도어에 충격이 가해져도 충격을 절곡테두리면과 실리콘접착제가 흡수하기 때문에 유리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판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날개를 형성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속판재에 유리노출구와 절곡테두리면을 성형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절단선에 대한 단면도 위에 판유리를 가상으로 배치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유리노출구의 절곡테두리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금속판재의 날개를 절곡하여 형성한 외곽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판유리, 내측프레임 및 외측프레임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판유리, 내측프레임 및 외측프레임을 조립하여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 8은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의 후면에 물흡수테이프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도어를 뒤집어 도어 전면이 상방을 향하게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유리노출구 2개가 상하에 나란히 형성된 도어를 설치한 칫솔살균기의 도어를 열고 도어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칫솔살균기의 도어를 닫고 도어 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판재에 유리노출구와 절곡테두리면을 성형하는 방법을 도시한 제조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유리창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유리창은 스테인레스스틸(SUS) 판재, 알루미늄 판재, 아연도금강판재, 합금판재 등의 금속판재(1)를 이용하여 사각으로 성형하고, 사방 외측에 날개(5)를 성형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날개(5)는 내측프레임(17)을 수용할 수 있게 절곡선(7)을 따라 수직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 90°씩 2회 연속 절곡한다.
도 2 내지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어의 이면(후방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도시하였다. 또한,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어의 표면(전방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도시하였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5)가 형성된 금속판재(1)에 유리노출구(9)를 천공하고 유리노출구(9) 이면에 판유리(13)를 고정하여 도어의 유리창을 형성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금속판재(1)의 전면부(3)에 유리노출구(9)를 천공하면서, 유리노출구(9)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간격을 오목하게 이면측으로 절곡 성형하여 절곡테두리면(11)을 형성하고, 판유리(13)를 상기 금속판재(1)의 이면에서 상기 절곡테두리면(11)의 가장자리에 밀착시켜 고정한 데 있다. 이때, 상기 절곡테두리면(11)은 2단(a,b)으로 경사지게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제1절곡면(a)은 완만하게 절곡된 면이고, 제2절곡면(b)은 더 급하게 절곡된 면이다. 상기 유리노출구(9) 및 절곡테두리면(11)은 1개를 형성하거나, 2개 이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절곡테두리면(11)과 같은 형상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먼저 드로잉(drawing) 가공을 하여 절곡테두리면을 성형하고, 다시 펀칭(punching) 가공을 하여 유리노출구를 성형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노출구(9)와 절곡테두리면(11)의 성형을 종래 펀칭가공에 사용하는 펀처(101)와 다이스(103)를 개량하여 1회적으로 할 수 있다.
즉, 펀처(101)의 중간부에 상기 절곡테두리면(11)을 형성할 수 있는 절곡테두리면 수금형(105)을 펀처(101)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다이스(103)의 중공부 상단 가장자리에 상기 절곡테두리면(11)을 형성할 수 있는 절곡테두리면 암금형을 다이스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펀처(101)의 하단부 단면크기를 상기 유리노출구(9)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다이스(103)의 중공부의 크기를 상기 펀처(101)의 하단부의 단면크기보다 외측으로 상기 금속판재(1)의 두께의 2배 내지 3배 만큼 크게 형성하여 펀칭함으로써, 1회적인 가공으로 리노출구(9)와 절곡테두리면(11)의 성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성형함으로써, 절곡테두리면(11)이 갖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판유리(13)와 절곡테두리면(11)을 매우 긴밀하게 밀착 유지시킬 수 있고, 절단면(c)이 이면을 향하게 하여 사용자가 절단면(c)에 손을 다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절단면(c)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매우 미려한 유리창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판재(1)의 상하부 및 좌우부의 일정 부위에 날개(5)를 성형하고, 상기 금속판재(1)의 전면부(3)에 상기 유리노출구(9) 및 절곡테두리면(11)을 형성하고, 상기 날개(5)를 후방 직각으로 2단절곡하여 일정한 높이의 외측프레임(15)을 형성한다. 상기 외측프레임(15) 내부에는 4개의 관체(19)를 상기 판유리(13)를 수용할 수 있게 사각으로 조립한 내측프레임(17)을 삽입하여 외측프레임(15)에 고정한다. 내측프레임(17)을 외측 프레임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스팟용접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내측프레임(17)의 내부 공간에 상기 판유리(13)를 투입한 후 상기 외측프레임(15)의 전면부에 형성된 상기 유리노출구(9)의 절곡테두리면(11) 가장자리에 밀착시킨 상태로 내측프레임(17)과 판유리(13) 사이를 실리콘접착제(21)로 고정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함으로써, 내측프레임(17)의 전면과 측면을 외측프레임(15)이 감싼 구조를 갖게 되고, 내측프레임(17)은 도어 전면에 노출되지 않고 판유리(13)만 상기 유리노출구(9)를 통해 노출된다. 그 결과, 내측프레임(17)의 이음선이나 내측프레임(17)과 판유리(13)의 결합부분을 모두 감추면서, 판유리(13)를 금속판재(1)의 전면부(3)에 형성된 절곡테두리면(11)에 밀착시킨 상태로 매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판유리(13)를 전면에서 탄성력이 있는 절곡테두리면(11)이 고정하고, 후면에서 탄성력 있는 실리콘접착제(21)에 의하여 고정함으로써, 도어에 충격이 가해져도 충격을 절곡테두리면(11)과 실리콘접착(21)가 모두 흡수하기 때문에 유리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프레임(15)과 상기 내측프레임(17)이 조립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프레임(15)과 상기 내측프레임(17)의 이면 접합부 부근에는 물흡수테이프(23)를 부착하여 유리에 수증기가 끼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흡수테이프(23)는 흡수성 수지로 만들어진 테이프이고, 본원 발명과 같이 도어 내측에 부착할 경우 유리에 수증기가 끼는 것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실시 예>
도 10 내지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에 유리노출구(9) 및 절곡테두리면(11)을 2개 형성한 것을 치솔소독기에 사용한 경우를, 도어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이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유리노출구(9) 및 절곡테두리면(11)의 갯수와 내측프레임(17) 및 외측프레임(15)의 크기는 도어를 사용하는 소독기, 살균기, 건조기, 오븐 등의 종류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노출구(9) 및 절곡테두리면(11)이 2개 이상인 경우에도 판유리(13)와 금속판재(1)의 전면부(3)는 상기 절곡테두리면(11)의 높이 만큼 이격되고, 판유리(13)에 절곡테두리면(11)의 탄성력에 의한 밀착력이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판유리(13)를 전면에서 탄성력이 있는 절곡테두리면(11)이 고정하고, 후면에서 탄성력 있는 실리콘접착제(21)에 의하여 고정함으로써, 도어에 충격이 가해져도 충격을 절곡테두리면(11)과 실리콘접착(21)가 모두 흡수하기 때문에 유리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프레임(15)과 상기 내측프레임(17)의 이면 접합부 부근에 물흡수테이프(23)를 부착할 경우, 도어 이면의 외관을 개선함과 동시에 유리에 수증기가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소독기, 살균기, 건조기, 오븐 등에 적용할 경우, 그 외관도 매우 세련되고, 충격 흡수 기능, 유리 파손 방지 기능, 안전기능 등이 보강된다.
1 : 금속판재 3 : 전면부
5 : 날개 7 : 절곡선
9 : 유리노출구 11 : 절곡테두리면
13 : 판유리 15 : 외측프레임
17 : 내측프레임 19 : 관체
21 : 실리콘접착제 23 : 물흡수테이프
101 : 펀처 103 : 다이스
105, 107 : 절곡테두리면 성형부

Claims (3)

  1. 금속판재(1)에 유리노출구(9)를 천공하고 유리노출구(9) 이면에 판유리(13)를 고정하여 도어의 유리창을 형성하되, 상기 금속판재(1)에 유리노출구(9)를 천공하면서, 유리노출구(9)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간격을 오목하게 이면측으로 절곡 성형하여 절곡테두리면(11)을 형성하고, 판유리(13)를 상기 금속판재(1)의 이면에서 상기 절곡테두리면(11)의 가장자리에 밀착시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도어의 유리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재(1)의 전면부에 상기 유리노출구(9) 및 절곡테두리면(11)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판재(1)의 상하부 및 좌우부의 일정 부위에 날개(5)를 성형하고, 상기 날개(5)를 후방 직각으로 2단절곡하여 일정한 높이의 외측프레임(15)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프레임(15) 내부에는 4개의 관체(19)를 상기 판유리(13)를 수용할 수 있게 사각으로 조립한 내측프레임(17)을 삽입하여 외측프레임(15)에 고정하고, 상기 내측프레임(17)의 내부 공간에 상기 판유리(13)를 투입한 후 상기 외측프레임(15)의 전면부에 형성된 상기 유리노출구(9)의 절곡테두리면(11) 가장자리에 밀착시킨 상태로 내측프레임(17)과 판유리(13) 사이를 실리콘접착제(21)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유리창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테두리면(11)은 2단으로 경사지게 절곡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유리창 구조.




KR1020170069912A 2017-06-06 2017-06-06 도어의 유리창 구조 KR101943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912A KR101943860B1 (ko) 2017-06-06 2017-06-06 도어의 유리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912A KR101943860B1 (ko) 2017-06-06 2017-06-06 도어의 유리창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296A true KR20180133296A (ko) 2018-12-14
KR101943860B1 KR101943860B1 (ko) 2019-02-08

Family

ID=6474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912A KR101943860B1 (ko) 2017-06-06 2017-06-06 도어의 유리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31171A1 (en) * 2019-10-30 2021-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0005581A (es) * 2010-05-19 2011-11-18 Mabe Sa De Cv Puerta de un solo vidrio para secador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31171A1 (en) * 2019-10-30 2021-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WO2021085839A1 (en) * 2019-10-30 2021-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860B1 (ko) 2019-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26671T3 (es) Visera para un casco, en especial para un casco de motorista.
KR101943860B1 (ko) 도어의 유리창 구조
KR101084286B1 (ko) 문 틈새 낌 방지장치
CA2494301A1 (en) Door safety device
US4087942A (en) Steel door construction
BRPI0505470A (pt) janelas ou porta
KR101989781B1 (ko) 출입구 폭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도어
JP2004176258A (ja) 化粧枠および建物
KR102244145B1 (ko) 경첩의 힌지가 위치된 문의 후면 틈새를 가려주는 손끼임 방지 장치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USD545394S1 (en) Water treatment assembly
EP2105567A1 (en) Window assembly with cover panel assembly to cover window opening
EP1929911A2 (en) Section bar for shower box, sauna box and the like, door frame comprising said section b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section bar
KR102594013B1 (ko) 조립성이 향상된 살균 소독기용 도어
JP2012036585A (ja) ドア
KR20170055191A (ko)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RU2007136067A (ru) Окно или дверь
AU764892B2 (en) Insulating window and profile material therefor
JP2724273B2 (ja) 引違い窓
EP2146038A2 (en) Window for a double skin facade
KR101581011B1 (ko) 창호용 페어 글래스
JP6025517B2 (ja) 建具
KR200430416Y1 (ko) 문틀용 걸림쇠 고정프레임
KR200372674Y1 (ko) 안전도어
ES2255356B1 (es) Disposicion para fijar un frente decorativo en la superficie de un aparato domest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