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216A - 밀봉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와이어 밀봉부 - Google Patents

밀봉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와이어 밀봉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216A
KR20180133216A KR1020180062617A KR20180062617A KR20180133216A KR 20180133216 A KR20180133216 A KR 20180133216A KR 1020180062617 A KR1020180062617 A KR 1020180062617A KR 20180062617 A KR20180062617 A KR 20180062617A KR 20180133216 A KR20180133216 A KR 20180133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cavity
support element
sealing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0894B1 (ko
Inventor
두에인 엘. 브란팅햄
클라라 피. 카본
에릭 이. 샤스틴
Original Assignee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33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01R13/5221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having cable sea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65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밀봉부(10)는 와이어 케이블(38)과 같은 세장형 요소 및 공동 벽(48)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밀봉부(10)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유연성 재료로 형성된 밀봉부 본체(12)를 포함한다. 밀봉부(10)는 공동 표면과 결합하는 외부 표면(14)을 갖는다. 밀봉부 본체(12)는 그를 통해 연장하고 밀봉부 본체(12)의 내부 표면(18)에 의해 둘러싸이는 갤러리(16)를 형성한다. 밀봉부 본체(12)는 외부 표면(14)의 전방 엣지(22)로부터 내부 표면(18)의 전방 엣지(22)로 연장하는 전방 표면(20) 및 외부 표면(14)의 후방 엣지(28)로부터 내부 표면(18)의 후방 엣지(28)로 연장하는 후방 표면(26)을 갖는다. 밀봉부(10)는 유리 충진 폴리에스테르 또는 NYLON과 같은 강성 재료로 형성된 지지 요소(32)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는 내부 표면(18)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밀봉부 본체(12)를 통해 연장한다.

Description

밀봉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와이어 밀봉부{SEA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WIRE SEAL}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6월 5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5/614,012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밀봉된 전기 커넥터 및 특히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공동 내에 전기 케이블을 밀봉하기 위한 와이어 밀봉부에 관한 것이다.
많은 적용예에서, 전기 케이블을 단자 또는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하고 습기, 먼지 등과 같은 환경 오염물에 대해 연결을 밀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소위 단일 와이어 밀봉부가 관련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으며, 해당 밀봉부는 케이블 외피 상으로 배열되고 케이블과 단자 또는 커넥터 하우징의 내벽 사이에 밀봉부를 제공한다.
탄성의 단일 와이어 밀봉부를 다루는 전형적인 종래 기술 문서는 미국 특허 제4,895,533호이다. 이 문서는 커넥터를 위한 방수 플러그를 개시한다. 방수 플러그는 커넥터 하우징의 내벽에 끼워 맞출 수 있는 외부 튜브부를 갖는 고무 플러그, 상기 고무 플러그의 외부 튜브부 옆에 장착된 강성의 안정화 튜브, 및 그의 중심부 내의 전기 와이어 삽입 구멍을 포함한다. 탄성의 단일 와이어 밀봉부를 다루는 추가의 전형적인 종래 기술 문서는 독일 특허 DE19828482 A1이다. 이 문서는 전도체와 커넥터 하우징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기 위한 단일 와이어 밀봉부를 개시한다. 강화 영역이 밀봉부 본체의 밀봉 영역에 접합된다. 또한, 강화 리브가 제1 측에서 강화 영역의 중공 원통형 베이스에, 그리고 인접한 제2 측에서 밀봉 립에 연결된다.
밀봉부의 측방향 압축이 와이어 케이블과 커넥터 하우징 사이의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케이블 밀봉부는 또한 종방향으로 압축되어 커넥터 하우징에서 단자의 원하지 않는 이동을 일으킬 수 있고, 이는 간헐적 전기 단선 및/또는 단자의 프레팅 부식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종방향 압축을 감소 또는 제거하면서 여전히 측방향 압축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밀봉부가 바람직하다.
배경 기술 섹션에서 논의된 발명 대상은 배경 기술 섹션에서의 그의 언급사항의 결과로서 단지 종래 기술로 가정되어서는 안 된다. 유사하게, 배경 기술 섹션에서 언급되었거나 배경 기술 섹션의 발명 대상과 연관된 문제는 종래 기술에서 기존에 인지되어왔다고 가정되어서는 안 된다. 배경 기술 섹션의 발명 대상은 단지 상이한 접근법을 나타내며, 그 자체 또한 발명일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장형 요소, 예컨대, 와이어 케이블, 그리고 예컨대, 커넥터 본체 내의, 공동 벽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밀봉부가 제공된다. 밀봉부는 유연성 재료로 형성되는 밀봉부 본체를 포함한다. 밀봉부는 공동 벽과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된 외부 표면을 갖는다. 밀봉부 본체는 밀봉부 본체의 내부 표면으로 둘러싸인 종방향 축을 따라 밀봉부 본체를 통해 연장하는 갤러리를 형성한다. 밀봉부 본체는 외부 표면의 전방 엣지로부터 내부 표면의 전방 엣지로 연장하는 전방 표면을 추가로 포함한다. 밀봉부 본체는 또한 외부 표면의 후방 엣지로부터 내부 표면의 후방 엣지로 연장하는 후방 표면을 포함한다. 밀봉부는 강성 재료로 형성되고 종방향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밀봉부 본체를 통해 연장하는 지지 요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강성 재료는 75 내지 85 범위의 쇼어 A 경도계 값을 갖는 강성 중합체 재료 예컨대, 유리-충진 폴리에스테르 또는 유리-충진 폴리아미드 재료일 수 있다. 유연성 재료는, 실리콘 고무와 같이, 45 내지 55 범위의 쇼어 A 경도계 값을 갖는 유연성 중합체 재료일 수 있다. 지지 요소를 형성하는 강성 재료는 밀봉부 본체를 형성하는 유연성 재료보다 적어도 20점 더 높은 쇼어 A 경도계 값을 가질 수 있다.
밀봉부 본체 및 갤러리는 각각 종방향 축을 따라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지지 요소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지지 요소의 중앙부는 원주방향 마루부 또는 원주방향 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밀봉부는 종방향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지지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지지 요소는 종방향 축으로부터 등거리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요소 내의 각각의 지지 요소는 복수의 지지 요소 내의 2개의 인접한 지지 요소로부터 등거리로 배열될 수 있다.
지지 요소는 오직 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 표면으로 연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지 요소의 제1 부분은 전방 표면을 넘어서 연장하고, 지지 요소의 제2 부분은 전방 및 후방 표면 사이에 있고, 지지 요소의 제3 부분은 후방 표면을 넘어서 연장한다. 제1 및 제3 부분은 제2 부분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제1, 제2, 및 제3 부분은 각각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부분은 둥근 전방 엣지를 가질 수 있고 제3 부분은 둥근 후방 엣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술된 밀봉부 그리고 단자 공동 및 단자 공동과 연통하는 밀봉부 공동을 형성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밀봉부 공동은 공동 벽을 형성한다. 밀봉부는 밀봉부 공동 내에 수용되고 외부 표면은 공동 벽과 밀봉 결합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또한 전기 단자에 의해 종단되고 단자 공동 내에 수용되는 단부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을 포함한다. 내부 표면은 와이어 케이블과 밀봉 결합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밀봉부 공동 내에 밀봉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하우징에 부착된 밀봉부 유지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밀봉부 공동은 단자 공동에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를 갖는 전방 벽을 형성한다. 지지 요소는 전방 벽 및 밀봉부 유지장치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밀봉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밀봉부를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 조립체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전기 케이블 조립체를 조립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전기 케이블 조립체를 조립하는 프로세스의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부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와이어 케이블과 같은, 세장형 요소 그리고, 전기 커넥터 하우징 내의 공동과 같은, 공동 벽과 밀봉 결합하는 밀봉부(10)의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밀봉 결합은 그 사이에 액체, 고체 또는 기체의 통과를 억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반드시 밀폐된 밀봉부가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밀봉부(10)는 유연성 재료 예컨대, 고무 기반 실리콘으로 형성된 밀봉부 본체(12)를 포함한다. 밀봉부(10)의 외부 표면(14)은 공동 벽과 밀봉 결합한다. 밀봉부 본체(12)는 종방향 축(X)를 따라 밀봉부 본체(12)를 통해 연장하는 갤러리(16)를 형성한다. 갤러리(16)는 세장형 본체를 밀봉 결합하는 밀봉부 본체(12)의 내부 표면(18)으로 둘러싸인다. 밀봉부 본체(12)는 외부 표면(14)의 전방 엣지(22)로부터 내부 표면(18)의 전방 엣지(24)로 연장하는 전방 표면(20) 및 외부 표면(14)의 후방 엣지(28)로부터 내부 표면(18)의 후방 엣지(30)로 연장하는 후방 표면(26)을 형성한다. 밀봉부(10)는 밀봉부 본체(12)와 밀봉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 요소(32)를 추가로 포함한다. 지지 요소(32) 각각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고 밀봉부 본체(12)를 통해 연장하는 원통형 통로(34) 내에 배치되고 원통형 통로는 종방향 축(X)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지지 요소(32)는 종방향 축(X)으로부터 등거리로 그리고 복수의 지지 요소 내의 2개의 인접 지지 요소(32)로부터 등거리로 배열된다. 지지 요소(32)는 강성 재료, 예컨대 30% 유리 충진 폴리에스테르 또는 30% 유리 충진 폴리아미드(NYLON)로 형성된다. 지지 요소(32)는 내부 표면(18)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밀봉부 본체(12)를 통해 연장한다. 밀봉부 본체(12) 및 갤러리(16)는 각각 종방향 축(X)에 대해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각각의 지지 요소(32)는 지지 요소(32)가 통로(34) 외부로 밀려나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원주방향 홈부 또는 마루부(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지지 요소(32)는 오직 밀봉부 본체(12)의 전방 표면(20)으로부터 밀봉부 본체(12)의 후방 표면(26)으로 연장한다. 외부 표면 및 내부 표면은 공동 벽 및 세장형 요소와 각각 결합하도록 구성된 유연성 리브를 형성한다.
지지 요소(32)는 밀봉부 본체(12)가 몰딩된 후에 밀봉부 본체(12) 내에 삽입될 수 있고 또는 제2 샷 프로세스에서 밀봉부 본체(12)와 공동 몰딩될 수 있다.
밀봉부 본체(12)를 형성하는 유연성 재료를 형성하는 강성 재료는 45 내지 55 범위의 쇼어 A 경도계 값을 갖는 반면 지지 요소(32)는 75 내지 85 범위의 쇼어 A 경도계 값을 갖는다. 강성 재료의 쇼어 A 경도계 값은 바람직하게는 유연성 재료의 쇼어 A 경도계 값보다 적어도 20점 더 높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되고 상술된 밀봉부(10)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36)의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36)는 전기 단자(40)에 의해 종단되는 단부를 갖는 절연 재킷을 구비한 와이어 케이블(38) 및 와이어 케이블(38)의 절연 재킷의 부분을 둘러싸는 밀봉부(10)를 포함한다. 밀봉부(10)의 내부 표면(18)은 와이어 케이블(38)과 밀봉 결합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36)는 또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폴리아미드(NYLON)와 같은 절연 재료로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42)을 포함하고, 이는 와이어 케이블(38)의 전기 단자(40)가 수용되는 단자 공동(44) 및 단자 공동(44)과 연통하며 밀봉부(10)가 수용되는 밀봉부 공동(46)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40)는 단자 공동(44) 내에 삽입된 중간 하우징 내에 포함된다. 밀봉부 공동(46)은 공동 벽(48)을 형성하고 외부 표면(14)은 공동 벽(48)과 밀봉 결합한다. 밀봉부 공동(46)은 단자 공동(44)에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52)를 갖는 전방 벽(50)을 형성한다. 지지 요소(32)의 전방 단부(54)는 밀봉부(10)가 밀봉부 공동(46) 내로 삽입될 때 이 전방 벽(50)에 접촉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36)는 또한 한 쌍의 스냅 피팅(58)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42)에 부착되는 밀봉부 유지장치(56)를 포함한다. 밀봉부 유지장치(56)는 밀봉부 공동(46) 내에 밀봉부(10)를 고정시킨다. 지지 요소(32)의 후방 단부(60)는 밀봉부 유지장치(56)에 접촉한다.
도 3 내지 15는 도 2에서 도시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36)를 조립하는 비제한적인 예의 프로세스(100)를 도시하고 설명한다. 프로세스(100)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2, 와이어 케이블과 밀봉부 확장 도구를 제공하는 단계는, 도 4에서 도시된 와이어 케이블(38) 및 밀봉부 확장 도구(62)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밀봉부 확장 도구(62)는 원추형 팁(64), 및 와이어 케이블(38)의 전기 단자(40)가 수용되는 도구 공동(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는 원통형 본체(66)를 갖는다.
단계 104, 밀봉부 확장 도구 내에 단자를 삽입하는 단계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 확장 도구(62)의 도구 공동 내에 단자(40)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106, 밀봉부의 갤러리 내로 밀봉부 확장 도구의 팁을 삽입하는 단계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10)의 갤러리(16) 내로 밀봉부 확장 도구(62)의 팁(64)을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108, 밀봉부 확장 도구에 걸쳐 밀봉부를 활주시키는 단계는,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케이블(38)이 갤러리(16) 내에 수용되고 밀봉부(10)의 내부 표면(18)이 와이어 케이블(38)과 밀봉 결합할 때까지 밀봉부(10)를 밀봉부 확장 도구(62)의 원추형 팁(64) 및 원통형 본체(66)에 걸쳐 활주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갤러리(16) 주위의 지지 요소(32)의 방사상 배열은 밀봉부 본체(12)가 원추형 팁(64)에 걸쳐 갤러리(16)의 직경을 신장하고 확장하도록 한다.
단계 110, 밀봉부 확장 도구로부터 단자를 제거하는 단계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 확장 도구(62)의 도구 공동으로부터 단자(40)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112,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42)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114, 커넥터 하우징 내로 단자의 팁 및 밀봉부를 삽입하는 단계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42)의 단자 공동(44) 내로 전기 단자(40)를 삽입하는 것 그리고 외부 표면(14)이 밀봉부 공동과 밀봉 결합하도록 커넥터 하우징(42)의 밀봉부 공동(46) 내로 밀봉부(10)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116, 밀봉부 유지장치를 커넥터 하우징에 부착하는 단계는, 도 12 내지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 유지장치(56)를 커넥터 하우징(42)에 부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밀봉부 유지장치(56)는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요소(32)의 후방 단부(60)에 접촉하고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요소(32)의 전방 단부(54)가 밀봉부 공동(46)의 전방 벽(50)에 접촉할 때까지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 공동(46)에서 밀봉부(10)를 전방으로 밀어낸다.
밀봉부(10')의 다른 비제한적인 예가 도 16에서 도시된다. 이 밀봉부(10')에서, 지지 요소(32')의 제1 부분(68')은 밀봉부 본체(12')의 전방 표면(20')을 넘어서 연장하고, 지지 요소(32')의 제2 부분(70')은 전방 및 후방 표면(20', 26') 사이에 있고, 지지 요소(32')의 제3 부분(72')은 후방 표면(26')을 넘어서 연장한다. 제1 및 제3 부분(68', 72')은 제2 부분(70')보다 큰 직경을 갖고 제2 부분(70')을 넘어서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제1 및 제3 부분(68', 72')은 둥근 전방 엣지(76')와 둥근 후방 엣지(78')를 각각 구비한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인 곰팡이모양 또는 "버섯 형상" 헤드(74')를 형성한다.
여기서 나타낸 예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지만, 광학 케이블, 공압관, 및/또는 유압관과 같은 다른 세장형 요소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밀봉부의 다른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 밀봉부는 또한 이들 중 임의의 것과 상호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 하우징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종방향 압축에 저항하는 지지 요소(32)를 갖는 밀봉부(10) 및 이러한 밀봉부(10)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36)가 제공된다. 밀봉부(10)는 밀봉부(10)의 종방향 압축을 감소시키거나 제거시키는 이점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단자(40)에 대한 밀봉부(10)를 통한 종방향 진동의 전달이나 변위를 감소시키거나 제거시킨다.
본 발명은 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매우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오히려 단지 하기 청구항에 제시된 범위로 제한된다. 더욱이, 제1, 제2 등의 용어 사용은 중요도의 임의의 순서를 나타내지 않고, 오히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단수(a, an 등) 용어의 사용은 수량의 제한을 나타내지 않고, 오히려 참조된 아이템의 적어도 하나의 존재를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상위, 하위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임의의 특정 배향을 나타내지 않고, 오히려 상위, 하위 등의 용어는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고 다양한 요소 사이에서 위치적 관계를 확립하는데 사용된다.

Claims (20)

  1. 세장형 요소(38) 및 공동 벽(48)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밀봉부(10)이며, 상기 밀봉부(10)는
    밀봉부 본체(12)로서, 공동 벽(48)과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된 외부 표면(14)을 갖는 유연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밀봉부 본체(12)는 밀봉부 본체(12)의 내부 표면(18)에 의해 둘러싸이는 종방향 축(X)을 따라 그를 통해 연장하는 갤러리(16)를 형성하고, 밀봉부 본체(12)는 외부 표면(14)의 전방 엣지(22)로부터 내부 표면(18)의 전방 엣지(22)로 연장하는 전방 표면(20) 및 외부 표면(14)의 후방 엣지(28)로부터 내부 표면(18)의 후방 엣지(28)로 연장하는 후방 표면(26)을 추가로 포함하는, 밀봉부 본체(12); 및
    내부 표면(18)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밀봉부 본체(12)를 통해 연장하는 강성 재료로 형성되는, 지지 요소(32)를 포함하는, 밀봉부(10).
  2. 제1항에 있어서, 강성 재료는 유연성 재료보다 적어도 20점 더 높은 쇼어 A 경도계 값을 갖는, 밀봉부(10).
  3. 제1항에 있어서, 밀봉부 본체(12) 및 갤러리(16)는 각각 종방향 축(X)에 대해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10).
  4. 제3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32)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10).
  5. 제4항에 있어서, 밀봉부(10)는 종방향 축(X)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지지 요소(32)를 포함하는, 밀봉부(10).
  6.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지지 요소(32)는 종방향 축(X)으로부터 등거리로 배열되는, 밀봉부(10).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지지 요소(32) 내의 각각의 지지 요소(32)는 복수의 지지 요소(32) 내의 2개의 인접한 지지 요소(32)로부터 등거리로 배열되는, 밀봉부(10).
  8. 제4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32)의 중앙부는 원주방향 마루부를 형성하는, 밀봉부(10).
  9. 제4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32)의 중앙부는 원주방향 홈부를 형성하는, 밀봉부(10).
  10. 제4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32)는 오직 전방 표면(20)으로부터 후방 표면(26)으로 연장하는, 밀봉부(10).
  11. 제1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32')의 제1 부분(68')은 전방 표면(20')을 넘어서 연장하고, 지지 요소(32')의 제2 부분(70')은 전방 및 후방 표면(20') 사이에 있고, 지지 요소(32')의 제3 부분(72')은 후방 표면(26')을 넘어서 연장하고, 제1 및 제3 부분(68', 72')은 제2 부분(70')보다 큰 직경을 갖는, 밀봉부(10').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부분(72')은 각각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10').
  13. 제11항에 있어서, 제1 부분(68')은 둥근 전방 엣지(76')를 갖고 제3 부분(72')은 둥근 후방 엣지(78')를 갖는, 밀봉부(10').
  14. 제1항에 있어서, 강성 재료는 75 내지 85 범위의 쇼어 A 경도계 값을 갖는 강성 중합체 재료인, 밀봉부(10).
  15. 제14항에 있어서, 강성 재료는 유리-충진 폴리에스테르 및 유리-충진 폴리아미드로 구성된 리스트로부터 선택되는, 밀봉부(10).
  16. 제1항에 있어서, 유연성 재료는 45 내지 55 범위의 쇼어 A 경도계 값을 갖는 유연성 중합체 재료인, 밀봉부(10).
  17. 제16항에 있어서, 유연성 재료는 실리콘 고무인, 밀봉부(10).
  18. 전기 커넥터 조립체(36)이며,
    제1항에 따른 밀봉부(10);
    커넥터 하우징으로서, 단자 공동(44), 및 단자 공동(44)과 연통하는 밀봉부 공동(46)을 형성하고, 상기 밀봉부 공동(46)은 공동 벽(48)을 형성하고, 밀봉부(10)는 밀봉부 공동(46) 내에 수용되고 외부 표면(14)은 공동 벽(48)과 밀봉 결합하는, 커넥터 하우징(42);
    와이어 케이블(38)로서, 전기 단자(40)에 의해 종단되고 단자 공동(44) 내에 수용되는 단부를 갖고, 내부 표면(18)은 와이어 케이블(38)과 밀봉 결합하는, 와이어 케이블(38); 및
    밀봉부 공동(46) 내에 밀봉부(1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커넥터 하우징(42)에 부착되는, 밀봉부 유지장치(56)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36).
  19. 제18항에 있어서, 밀봉부 공동(46)은 단자 공동(44)에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52)를 갖는 전방 벽(50)을 형성하고, 지지 요소(32)는 전방 벽(5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36).
  20. 제19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32)는 밀봉부 유지장치(56)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36).
KR1020180062617A 2017-06-05 2018-05-31 밀봉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와이어 밀봉부 KR102060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14,012 US10148032B1 (en) 2017-06-05 2017-06-05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wire seal
US15/614,012 2017-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216A true KR20180133216A (ko) 2018-12-13
KR102060894B1 KR102060894B1 (ko) 2019-12-30

Family

ID=6249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617A KR102060894B1 (ko) 2017-06-05 2018-05-31 밀봉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와이어 밀봉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48032B1 (ko)
EP (1) EP3413404B1 (ko)
JP (1) JP6840700B2 (ko)
KR (1) KR102060894B1 (ko)
CN (1) CN10898800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227A (ko) * 2019-09-16 2021-03-24 주식회사 딕누리 유리 고정용 패킹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0416B (zh) * 2019-03-29 2020-10-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插口保护结构及电子设备
US11495908B2 (en) 2019-04-01 2022-11-08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iquid cooling features
US11539158B2 (en) * 2019-09-09 2022-12-27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terminal seal and electrical connector containing same
JP7392349B2 (ja) * 2019-09-24 2023-12-06 住友電装株式会社 通信ケーブル
EP4343980A1 (en) 2022-06-14 2024-03-27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wire seal with a secondary terminal lock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15Y2 (ko) 1986-03-12 1992-02-03
GB2216736B (en) 1988-02-12 1992-09-02 Yazaki Corp Waterproof plug for electrical connector
US5145410A (en) * 1990-08-06 1992-09-08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 connector
JP2921641B2 (ja) * 1994-05-23 1999-07-19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DE19828482A1 (de) 1998-06-25 1999-12-30 Whitaker Corp Einzeladerdichtung
US6783014B2 (en) * 2001-06-07 2004-08-31 Rexam Medical Packaging Inc. Double shell closure with support ribs
US6957817B2 (en) 2002-10-29 2005-10-25 Mar Don Corporation Seal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seal
US7118416B2 (en) 2004-02-18 2006-10-10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Cable connector with elastomeric band
DE102004012883A1 (de) 2004-03-16 2005-11-10 Hirschmann Electronics Gmbh & Co. Kg Steckverbinder für den elektrischen Anschluss von Solarpanels
JP2006032199A (ja) 2004-07-20 2006-02-02 Yazaki Corp 栓および栓付き防水コネクタ
DE102005057952A1 (de) 2005-12-05 2007-06-06 Robert Bosch Gmbh Stecker einer Steckverbindung mit Transportsicherung für eine Mattendichtung
DE102007034817B4 (de) 2007-07-25 2019-11-28 Volkswagen Ag Gedichtetes Kontaktgehäuse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in einem Fahrzeug
JP5035132B2 (ja) 2008-06-19 2012-09-26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GB2479771B (en) * 2010-04-22 2012-10-03 Tekmar Energy Ltd Seal assembly having deformable tubular seal member
WO2013178726A1 (en) 2012-05-31 2013-12-05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Single wire seal for sealing an electric cable in an aperture of a terminal
JP5931616B2 (ja) 2012-07-09 2016-06-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防水型コネクタ及びワイヤシール
US9577367B2 (en) 2014-04-09 2017-02-21 Delphi Technologies, Inc. Sealed connector with an extended seal sleeve and an anti-water pooling retainer
CN104470301A (zh) * 2014-12-06 2015-03-25 无锡高卓流体设备有限公司 一种密封件
EP3057183B1 (de) 2015-02-12 2019-09-11 Aptiv Technologies Limited Gedichteter Stec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227A (ko) * 2019-09-16 2021-03-24 주식회사 딕누리 유리 고정용 패킹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40700B2 (ja) 2021-03-10
KR102060894B1 (ko) 2019-12-30
CN108988005A (zh) 2018-12-11
JP2019023510A (ja) 2019-02-14
CN108988005B (zh) 2020-10-09
US20180351286A1 (en) 2018-12-06
EP3413404B1 (en) 2021-02-24
EP3413404A1 (en) 2018-12-12
US10148032B1 (en)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894B1 (ko) 밀봉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와이어 밀봉부
US9577367B2 (en) Sealed connector with an extended seal sleeve and an anti-water pooling retainer
EP1686660B1 (en) Environmentally sealed connector with blind mating capability
EP2166624B1 (en) A resilient plug, a waterproof connector and a method of assembling it
CN111668654A (zh) 连接器组件及其组装方法
EP2856568B1 (en) Single wire seal for sealing an electric cable in an aperture of a terminal
CN109768419B (zh) 连接器
US6764329B2 (en) Waterproof resilient plug to provide sealing between a wire and a housing
US20170110826A1 (en) Sealing member and connector
KR101658656B1 (ko) 고무 마개 고정 구조
US10116085B1 (en) Sealed connector with an extended seal sleeve and retainer
CN109149457B (zh) 线束组件及其密封件保持器
EP2999057B1 (en) Seal
US20190115689A1 (en) Connector
US7048580B2 (en) Waterproof plug for waterproof connector
EP3065229A1 (en) Sealing member for electrical connectors
EP4343980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wire seal with a secondary terminal locking mechanism
CN112993916A (zh) 支撑元件
US5376023A (en) Electric connector
US20230402787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eal with a secondary terminal locking mechanism
US11450985B2 (en) Connector with integrated seal retainer and secondary terminal lock
JP2019220248A (ja) 多芯電線の防水構造
US11552427B2 (en) Connector housing and wire harness
CN117239465A (zh) 具有带次级端子锁定机构的线材密封件的电连接器
CN117855932A (zh) 电插头装置的密封件、壳体组件、电插头装置和铸造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