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191A - Oil-water separator - Google Patents
Oil-water sepa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33191A KR20180133191A KR1020170070778A KR20170070778A KR20180133191A KR 20180133191 A KR20180133191 A KR 20180133191A KR 1020170070778 A KR1020170070778 A KR 1020170070778A KR 20170070778 A KR20170070778 A KR 20170070778A KR 20180133191 A KR20180133191 A KR 201801331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oil
- water
- pipe
- asce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름(420)과 물(430)이 섞여있는 혼합유수(400)에서 3개조의 탱크에 상승월류관(130, 230, 330)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순도와 구성물질 온도, 압력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물과 기름의 비중에 있어서 물의 비중은 1이며 기름의 비중은 0.9로서, 이에 따른 비중 차이에 의해 기름(420)과 물(430)이 3개조의 탱크 구성에 의해 분리되도록 발명된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scending flow pipes (130, 230, 330)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ree tanks in a mixed water (400) in which oil (420) and water (430)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and oil is 1, and the specific gravity of oil is 0.9, so that the oil (420) and water (430) are separated by the structure of three tanks To an oil-water separator.
보다 상세하게는 규격이 다른 3개조로 이루어진 탱크조(100, 200, 300)의 상단부가 볼록한 형태로 줄어드는 돔형으로 이루어진 포집돔(120, 220, 320)이 각각의 탱크에 단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3개조의 탱크 포집돔(120, 220, 320) 중심에 상승월류관(130, 230, 330)을 각각 연결하여 탱크조(100, 200, 300)가 단차를 형성하면서 단일몸체로 연결되게 이루어진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dome-
(특허등록 1) 유수분리기 및 그 분리방법(등록번호 10-1055785 등록일자 : 2011년 08월 03일)(Patent Registration 1) Oil separator and separation method (Registration No. 10-1055785 Registration date: August 03, 2011)
(특허등록 2) 유수분리기(등록번호 10-1063780 등록일자 : 2011년 09월 02일)(Patent registered 2) Oil-water separator (Registration No. 10-1063780 Registration date: September 02, 2011)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등록 1) 등록번호 10-1055785 등록일자 : 2011. 08. 03. 도면 1.(Patent registration 1) Registration No. 10-1055785 Registration date: 2011. 08. 03. Drawing 1.
청구항 1Claim 1
유수가 저장되는 폐수조;Wastewater storage for effluent;
상기 폐수조로부터 유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유수를 비중차 및 전해부상에 의해 물과 기름으로 분리한뒤 배출되도록 하는 유수분리조;A water tank for flowing effluent from the wastewater tank and separating the influent water into water and oil by a specific gravity difference and an electrolytic water, and discharging the water;
상기 유수분리조로부터 배출된 물의 기름함유량을 측정하는 측정수단;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n oil content of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eparation tank;
상기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물의 기름함유량에 따라 상기 물을 상기 폐수조로 보내거나 외부 또는 정수조로 보내는 흐름전환수단; 및Flow switching means for sending the water to the waste water tank according to the oil content of the water measured by the measuring means or sending the water to the outside or the purified water tank; And
상기 유수분리조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력공급수단을 포함하고,And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a current to the water separation tank,
상기 유수분리조는,The above-
상기 폐수조로부터 유수가 유입되는 유수투입구;A water inlet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from the waste water tank;
상기 유수를 비중차와 전해부상에 의해 분리하는 유수분리부;An oil water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oil water by a specific gravity difference and an electrolytic water phase;
상기 유수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기름이 배출되는 기름배출구; 및An oil outlet through which the oil separated by the oil water separator is discharged; And
상기 유수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구를 포함하고,And a water outlet through which the water separated by the oil water separator is discharged,
상기 유수분리부는,The oil-
유수가 통과하는 유수로를 제공하여 유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기름을 응집시켜 상향하여 부상되도록 하고, 상기 전력공급수단에 의해 전류가 흘러 상기 기름을 전기분해하여 부상작용을 촉진하는 분리판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판은 상기 유수분리조의 내부에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수분리조는,And a separation plate for flooding the oil contained in the oil water to float upward so as to float the oil contained in the oil water and electrolyzing the oil by the electric power supply means to promote the floatation action, Wherein the separation plate is disposed so as to be inclined inside the water separation tank,
상기 유수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유수가 유수분리부로 유동되기 전 머물게 되는 유수대기부; 상기 유수분리부를 통과하여 분리된 기름이 상기 기름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기 전 머물게 되는 기름대기부; 및A water reservoir portion in which the water flowed from the water flow input port remains before flowing to the water flow separation portion; An oil circulation unit for allowing the oil separated through the oil water separator to stay before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oil discharge port; And
상기 유수분리부를 통과하여 분리된 물이 상기 물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기 전 머물게 되는 물대기부를 더 포함하는 유수분리기.And a water basin portion where the separated water passed through the water-oil separating portion remains before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ort.
(특허등록 2) 등록번호 10-1063780 등록일자 : 2011. 09. 02. 도면 1.(Patent registration 2) Registration number 10-1063780 Registration date: 2011. 09. 02. Drawing 1.
청구항 1Claim 1
하천, 하수도 등에서 오염수를 집수하며 상기 오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110)이 구성된 집수조(100);A water collecting tank (100) comprising a discharge pipe (110) for collecting contaminated water from a river, a sewerage and the like and discharging the polluted water;
공급조(200)와 기름추출조(220)와 물회수조(230)가 순서를 이루며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 유통구(21a)가 구성되고,The
공간을 이르는 기름추출조(220)와 물회수조(230)가 두 공간으로 분리된 칸막이형 격벽(22)으로 차단되어 구성되고, 상기 공급조(210)는 상기 집수조(100)에 집수된 오염수를 끌어오도록 구성되는 펌프(211)가 구성되고,And the
상기 기름추출조(220)는 추출관(221)이 구성되고, 상기 물회수조(230)는 상기 집수조로 연결되는 회수관(231)이 구성되는 응집조(200);The
상기 응집조(200)의 기름추출조(220)에서 배출된 농축된 오염수를 공급받으며, 상부에 구성되어 기름을 추출하는 추출관(310)과, 하부에 구성되어 물을 회수하는 회수관(320)으로 구성되는 농축처리조(300);An extracting
상기 농축처리조(300)에서 배출된 오염수를 최종적으로 집수하여 분리한 후 폐수처리장으로 배출하는 분리조(400);로 구성되고,And a
상기 배출관(110)과 연결되어 상기 응집조(200)의 공급조(210)에 오염수를 공급하는 공급관(S1)과, 상기 기름추출조(220)의 추출관(221)과 연결되어 상기 농축처리조(300)로 오염수를 공급하는 공급관(S2)과, 상기 농축처리조(300)에서 오염수를 공급받아 분리조(400)로 공급하는 공급관(S3)과, 상기 물회수조(230)의 회수관(231)과 연결되어 물회수조(230)에 저장된 물을 회수관(320)으로 공급받아 상기 집수조(100)로 공급하는 물회수관(W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A supply pipe S1 connected to the
본 발명은 제1탱크조(100)에 유입되는 혼합유수(400)를 초기 단계에서 안정화 시키기 위하여 가압부상관로(160)에 압축공기(171)를 저속으로 유입시켜 혼합유수(400)에서 기름(420)이 부상되도록 하며, 상기 기름(420)이 제1상승월류관(130)을 통과하기 전에 압축공기(171)의 유입을 차단하여, 비중 차이에 의해 층분리가 이루어진 기름(420)을 제1상승월류관(130)을 통해 제2탱크조(200)에 유입시켜 제3탱크조(300)에 형성된 제3상승월류관(330)으로 기름(420)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유수분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tabilize the mixed water (400) flowing into the first tank tank (100) at the initial stage, the compressed air (171) is introduced into the pressurized portion correlation furnace (160) The flow of the compressed air 171 is blocked before th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탱크의 상단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1포집돔(120)의 중심에 곡관으로 이루어진 제1상승월류관(130)이 연결되고, 상기 제1포집돔(120)의 상단 일측면에 개폐벨브(111)가 설치된 유입정(110)이 연결되고, 탱크의 하단부 중심에 개폐벨브(141)가 설치된 제1배출관(140)이 연결되고, 탱크의 측면에 제1출입구(150)가 형성되고, 탱크의 내측 하단면에 가압부상관로(160)가 설치된 제1탱크조(100);와The
탱크의 상단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2포집돔(220)의 중심에 곡관으로 이루어진 제2상승월류관(230)에 개폐벨브(231)가 설치되어 연결되고, 탱크의 하단부 중심에 개폐벨브(241)가 설치된 제2배출관(240)이 연결되고, 탱크의 측면에 제2출입구(250)가 형성된 제2탱크조(200);와An open /
탱크의 상단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3포집돔(320)의 중심에 곡관으로 이루어진 제3상승월류관(330)이 연결되고, 탱크의 하단부 중심에 개폐벨브(341)가 설치된 제3배출관(340)이 연결되고, 탱크의 측면에 제3출입구(350)가 형성된 제3탱크조(300);를 구비하여, 제1탱크조(100)에 연결된 제1상승월류관(130)에 제2탱크조(200)를 연결하고 상기 제2탱크조(200)에 연결된 제2상승월류관(230)에 제3탱크조(300)가 단일몸체로 연결된 것에 특징이 있는 유수분리기를 제공한다.A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개조의 탱크가 상호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어 제반 조건에 따라 혼합유수에서 분리된 물을 탱크별로 수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다량으로 유입되는 혼합유수의 전량이 빠른 속도로 분리되게 발명되어 다양한 용도로 실생활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 tanks are formed in a mutually connected structure so that the water separated from the mixed liquor can be discharged at any time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Thus, the total amount of mixed liquor Speed, so that it can be used for real life in various applications.
도 1은 본 발명인 유수분리기를 분해한 상태의 제1탱크조(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제2탱크조(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제3탱크조(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유수분리기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실시예로서, 도 4의 상태에서 제1탱크조(100)에 혼합유수(400)가 유입되어 1차 층분리가 이루어진 기름(420)이 제1포집돔(120)을 거쳐 제1상승월류관(130)으로 유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층분리된 기름(420)이 제1상승월류관(130)을 통해 제2탱크조(200)에 유입되어 2차 층분리가 된 후에 제2상승월류관(230)으로 유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제2탱크조(200)에서 층분리된 기름(420)이 제2상승월류관(230)을 통해 제3탱크조(300)로 유입되어 3차 층분리가 된 후 제3상승월류관(330)으로 유입되어 기름저장탱크(600)로 배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 제1탱크조
110 : 유입정
111 : 개폐벨브
120 : 제1포집돔(중심부 상단 측으로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오목한 반원형)
130 : 제1상승월류관(곡관)
140 : 제1배출관
141 : 개폐벨브
150 : 제1출입구(탱크의 내부 유지 보수용)
160 : 가압부상관로(초기운전용)
161 : 미세통공(압축공기 배출공)
170 : 압축공기유입관
171 : 압축공기
200 : 제2탱크조
210 : 연결공(제1월류관에 연결)
220 : 제2포집돔(오목한 반원형)
230 : 제2상승월류관(곡관)
231 : 개폐벨브
240 : 제2배출관
241 : 개폐벨브
250 : 제2출입구(탱크의 내부 유지 보수용)
300 : 제3탱크조
310 : 연결공(제2월류관에 연결)
320 : 제3포집돔(오목한 반원형)
330 : 제3상승월류관(곡관)
340 : 제3배출관
341 : 개폐벨브
350 : 제3출입구(탱크의 내부 유지 보수용)
400 : 혼합유수(물과 기름이 섞여있는 상태)
410 : 부유기름(물위에 떠있는 기름)
420 : 기름(월류관을 통과하여 물과 층분리된 상태의 기름)
430 : 물(기름과 층분리된 물 또는 제1, 2, 3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수)
500 : 혼합유수탱크(유량조절 및 재처리수 리턴탱크)
600 : 기름저장탱크.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il water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FIG. 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il sepa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il sepa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Description of the symbols used i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First tank tank
110: Inflow
111: Opening and closing valve
120: first collecting dome (concave semi-circular shape gradually decreasing toward the upper end of the center)
130: 1st ascending flow pipe (bend)
140: First discharge pipe
141: Opening and closing valve
150: 1st entrance (for internal maintenance of tank)
160: Pressurizing part correlation furnace (for initial operation)
161: Micro through-hole (compressed air discharge hole)
170: Compressed air inflow pipe
171: Compressed air
200 : Second tank tank
210: connecting ball (connected to the first drainage pipe)
220: Second collecting dome (concave semicircular)
230: 2nd ascending flow pipe (bend)
231: Opening and closing valve
240: Second discharge pipe
241: Opening and closing valve
250: 2nd doorway (for internal maintenance of tank)
300 : Third tank tank
310: connecting ball (connected to the 2nd drain)
320: Third collecting dome (concave semicircular)
330: 3rd ascending flow pipe (curved pipe)
340: Third discharge pipe
341: Opening and closing valve
350: 3rd doorway (for internal maintenance of tank)
400: Mixed oil (water and oil mixed)
410: Floating oil (oil floating on water)
420: Oil (oil separated from water by passing through a flow pipe)
430: water (oil and stratified water or effluent discharged through first, second and third discharge pipes)
500: Mixed oil tank (flow control tank and return water tank)
600: Oil storage tank.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면부호에 따른 구성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유수분리기를 분해한 상태의 제1탱크조(100)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제2탱크조(200)이며, 도 3은 제3탱크조(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유수분리기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도면부호에 따른 구성은 다음과 같다.FIG. 1 is a view showing a
도면부호 100은 제1탱크조로서, 재질은 철재이며 탱크의 상단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1포집돔(120)의 중심에 곡관으로 이루어진 제1상승월류관(130)이 연결되고, 상기 제1포집돔(120)의 상단 일측면에 개폐벨브(111)가 설치된 유입정(110)이 연결되고, 탱크의 하단부 중심에 개폐벨브(141)가 설치된 제1배출관(140)이 연결되고, 탱크의 측면에 제1출입구(150)가 형성되고, 탱크의 내측 하단면에는 가압부상관로(160)가 설치되었다.A first ascending /
도면부호 110은 유입정으로서, 제1포집돔(120)을 관통하여 접합되며 제1탱크조(100)내부의 중심부에 U자형으로 굽어진 곡관의 끝이 위치되게 이루어졌으며, 제1탱크조(100)의 외부에 노출된 유입정(110)에 개폐벨브(111)가 연결되었으며, 이는 혼합유수(400)를 제1탱크조(100)에 유입시키며 제1상승월류관(130)에 형성된 곡관의 최대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서 혼합유수(400)가 유입되게 이루어졌다.
도면부호 120은 제1포집돔으로서, 제1탱크조(100)의 몸체에 연결되어 일체된 폐쇄구조로 형성되고, 탱크의 몸체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내경의 규격이 줄어드는 구조로 이루어져 비중 차이에 의해 층분리되어 상승하는 기름(420)의 수위가 높아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포집 효과가 적용된 상태에서 기름(420)이 제1상승월류관(130)으로 유입되게 되는 구조로 형성되었다.
도면부호 130은 제1상승월류관으로서, 제1포집돔(120)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게 연결되어 유입되는 기름(420)이 상승하여 수평으로 굽어진 곡관을 통해 제2탱크조(200)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졌다. 이때 수평으로 굽어진 곡관의 높이는 유입정(110)을 통해 유입하는 혼합유수(400)의 수위보다 낮게 형성된다.
도면부호 140은 제1배출관으로서, 제1탱크조(100)의 하면 중앙에 연결되어 혼합유수(400)에서 비중차이로 분리된 물(430)을 배출하는 용도로서 개폐벨브(141)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운전요령과 유속의 변화와 층분리가 진행되는 변화 상황에 따라 물(430)배출이 수동으로 조작되게 이루어졌다.The
도면부호 150은 제1출입구로서, 제1탱크조(100) 내부의 시설유지 및 보수용으로 탱크의 밀폐가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도면부호 160은 가압부상관로로서, 제1탱크조(100) 내부의 하단면에 설치되고 철재로 이루어진 관로의 상단에 다수공의 미세통공(161)이 형성된 압축공기유입관(170)을 통해서 압축공기(171)가 기포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졌다. 최초에 혼합유수(400)가 제1탱크조(100)에 유입되어 바닥면에서 부터 수위가 오르면서 탱크의 중심부에 위치한 유입정(110)에 이르렀을 때, 저속의 압축공기(171)를 유입시켜 기포의 상승작용에 의해 상기 부유기름(410)층의 아래에서 떠오르고 있는 작은 알갱이 형태의 기름(420)을 부상시켜 부유기름(410)층에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기능이 있다.
이때 분리된 기름(420)층이 제1상승월류관(130)으로 유입되기 시작하면 압축공기(171)의 유입을 중단시켜 유입정(110)을 통해 유입되는 혼합유수(400)자체 비중에 의해 층분리가 이루어지게 한다.At this time, when the separated
도면부호 200은 제2탱크조로서, 재질은 철재이며 탱크의 상단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2포집돔(220)의 중심에 곡관으로 이루어진 제2상승월류관(230)에 개폐벨브(231)가 설치되어 연결되고, 탱크의 하단부 중심에 개폐벨브(241)가 설치된 제2배출관(240)이 연결되고, 탱크의 측면에 제2출입구(250)가 형성되었다.The opening /
도면부호 210은 연결공으로서, 제2탱크조(200)의 중심부에 통공되어 기름(420)이 유입되는 제1상승월류관(130)이 용접으로 접합되어 연결되는 곳이다.
도면부호 220은 제2포집돔으로서, 제2탱크조(200)의 몸체에 연결되어 일체된 폐쇄구조로 형성되고, 탱크의 몸체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내경의 규격이 줄어드는 구조로 이루어져 비중 차이에 의해 층분리되어 상승하는 기름(420)의 수위가 높아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포집 효과가 적용된 상태에서 기름(420)이 제2상승월류관(230)으로 유입되게 되는 구조로 형성되었다.
도면부호 230은 제2상승월류관으로서, 제2포집돔(220)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게 연결되어 상승하는 기름(420)이 수평으로 굽어진 곡관을 통해 제3탱크조(300)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졌으며 기름(420)의 유입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벨브(231)가 연결되었다. 이때 수평으로 굽어진 곡관의 높이는 제1상승월류관(130)을 통해 유입되는 기름(420)의 수위보다 낮게 형성된다.
도면부호 240은 제2배출관으로서, 제2탱크조(200)의 하면 중앙에 연결되어 비중차이로 분리된 물(430)을 배출하는 용도로서 개폐벨브(241)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운전요령과 유속의 변화와 층분리가 진행되는 변화 상황에 따라 물(430)배출이 수동으로 조작되게 이루어졌다.
도면부호 250은 제2출입구로서, 제2탱크조(200) 내부의 시설유지 및 보수용으로 탱크의 밀폐가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도면부호 300은 제3탱크조로서, 재질은 철재이며 탱크의 상단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3포집돔(320)의 중심에 곡관으로 이루어진 제3상승월류관(330)이 연결되고, 탱크의 하단부 중심에 개폐벨브(341)가 설치된 제3배출관(340)이 연결되고, 탱크의 측면에 제3출입구(350)가 형성되었다.A third ascending /
도면부호 310은 연결공으로서, 제3탱크조(300)의 하단부에 통공되어 기름(420)이 유입되는 제2상승월류관(230)이 용접으로 접합되어 연결되는 곳이다.
도면부호 320은 제3포집돔으로서, 제3탱크조(300)의 몸체에 연결되어 일체된 폐쇄구조로 형성되고, 탱크의 몸체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내경의 규격이 줄어드는 구조로 이루어져 비중 차이에 의해 층분리되어 상승하는 기름(420)의 수위가 높아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포집 효과가 적용된 상태에서 기름(420)이 제3상승월류관(330)으로 유입되게 되는 구조로 형성되었다.
도면부호 330은 제3상승월류관으로서, 제3포집돔(320)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게 연결되어 상승하는 기름(420)이 수평으로 굽어진 곡관을 통해 기름저장탱크(600)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졌다. 이때 수평으로 굽어진 곡관의 높이는 제2상승월류관(230)을 통해 유입되는 기름(420)의 수위보다 낮게 형성된다.
도면부호 340은 제3배출관으로서, 제3탱크조(300)의 하면 중앙에 연결되어 비중차이로 분리된 물(430)을 배출하는 용도로서 개폐벨브(341)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운전요령과 유속의 변화와 층분리가 진행되는 변화 상황에 따라 물(430)배출이 수동으로 조작되게 이루어졌다.
도면부호 350은 제3출입구로서, 제3탱크조(300) 내부의 시설유지 및 보수용으로 탱크의 밀폐가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그 구성에 대한 작용과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실시예로서, 도 4의 상태에서 제1탱크조(100)에 혼합유수(400)가 유입되어 1차 층분리가 이루어진 기름(420)이 제1포집돔(120)을 거쳐 제1상승월류관(130)으로 유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혼합유수탱크(500)에서 유입정(110)을 통해 유입시킨 혼합유수(400)가 제1탱크조(100)내부의 중심부에 U자형으로 굽어진 곡관으로 유입시켜 혼합유수(400)의 수위를 탱크의 중심부까지 상승시킨 후, 가압부상관로(160)에 압축공기(171)를 저압으로 유입시켜 미세통공(161)으로 기포를 배출시켜 기포의 상승작용에 의해 부유기름(410)층의 아래에서 떠오르고 있는 작은 알갱이 형태의 기름(420)을 부상시켜 부유기름(410)층에 결합되게 하여 분리된 기름(420)층이 제1상승월류관(130)으로 유입되기 전에 압축공기(171)의 유입을 중단시켜 압축공기(171)가 제2탱크조(200)로 넘어가는 것을 차단한다. 이후에 유입정(110)을 통해 유입되는 혼합유수(400)가 자체 비중 차이에 의해 층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FIG. 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이때 제1탱크조(100)로 유입되는 혼합유수(400)의 기름(420)과 물(430)의 비율에 있어서 물(430)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을 때 물(430)이 제1상승월류관(130)으로 유입되기 전에 개폐벨브(141)를 개방하여 물(430)을 배출함으로서 물(430)이 제2탱크조(2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기름(420)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을 때는 개폐벨브(141)를 폐쇄한 상태에서 혼합유수(400)를 유입시켜 층분리된 기름(420)을 제2탱크조(200)로 유입시킨다.At this time, when the proportion of the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층분리된 기름(420)이 제1상승월류관(130)을 통해 제2탱크조(200)에 유입되어 2차 층분리가 된 후에 제2상승월류관(230)으로 유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1상승월류관(130)을 통해 유입된 기름(420)에 존재하는 기포 형태의 물(430)은 침전되고 추가적으로 기름(420)이 물(430)과 층분리되면서 상승하여 제2상승월류관(2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il sepa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il sepa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는 기름(420)속에 포함된 물(430)의 비율이 적어지게 되어 일정기간 개폐벨브(241)를 폐쇄한 상태에서 기름(420)을 제3탱크조(200)에 유입시키고, 물(430)의 비율이 많아지면 배출한다.At this time, the ratio of the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제2탱크조(200)에서 층분리된 기름(420)이 제2상승월류관(230)을 통해 제3탱크조(300)로 유입되어 3차 층분리가 된 후에 제3상승월류관(330)으로 유입되어 기름저장탱크(600)로 배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2상승월류관(230)을 통해 유입된 기름(420)에는 미량으로 존재하는 기포 형태의 물(430)이 최종적으로 침전되고 추가적으로 기름(420)이 물(430)과 층분리되면서 상승하여 제3상승월류관(330)을 거쳐 기름저장탱크(600)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7 shows a state in which the
상기한 바와 같이 개폐벨브(141, 241, 341)를 이용하여 물(430)을 배출하는 시기를 결정하는 것은 유입되는 혼합유수(400)속의 기름(420)과 물(430)의 비율에 의해 배출시기를 결정하고, 배출되는 물(430)속에 잔여 기름(420)이 존재하면 혼합유수탱크(500)로 리턴 시켜 재차 유수분리 절차를 시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졌다.The time for discharging the
Claims (4)
탱크의 상단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2포집돔(220)의 중심에 곡관으로 이루어진 제2상승월류관(230)에 개폐벨브(231)가 설치되어 연결되고, 탱크의 하단부 중심에 개폐벨브(241)가 설치된 제2배출관(240)이 연결되고, 탱크의 측면에 제2출입구(250)가 형성된 제2탱크조(200);와
탱크의 상단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3포집돔(320)의 중심에 곡관으로 이루어진 제3상승월류관(330)이 연결되고, 탱크의 하단부 중심에 개폐벨브(341)가 설치된 제3배출관(340)이 연결되고, 탱크의 측면에 제3출입구(350)가 형성된 제3탱크조(300);를 구비하여, 제1탱크조(100)에 연결된 제1상승월류관(130)에 제2탱크조(200)를 연결하고 상기 제2탱크조(200)에 연결된 제2상승월류관(230)에 제3탱크조(300)가 단일몸체로 연결된 것에 특징이 있는 유수분리기.The first collecting dome 120 is connected to a center of a first collecting dome 120 having a convex upper end of the tank. The first collecting dome 120 is connected to a center of the first collecting dome 120, A first outlet pipe 140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valve 141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tank and a first inlet 150 is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tank, A first tank 100 in which a pressurizing portion correlation furnace 160 is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 open / close valve 231 is installed and connected to a second ascending / descending flow pipe 230 having a curved shape at the center of a second collecting dome 220 having an upper end protruding from the tank. An open / close valve 241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tank, A second tank 200 having a second outlet 250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pipe 240,
A third discharge pipe 340 is connected to a third ascending / descending pipe 330 formed by a curved line at the center of the third collecting dome 320 having the upper end of the tank formed in a convex shape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341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tank, And a third tank 300 having a third inlet 350 formed at a side of the tank and connected to the first tank 300 through a first riser 301 connected to the first tank 100,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tank tank (3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ascending / descending flow pipe (230) connected to the second tank tank (200) by a single body.
혼합유수(400)가 자연수위에 의해 월류하도록 이루어진 제1탱크조(100)의 규격은 제2탱크조(200)보다 높게 형성되며, 제3탱크조(300)는 제2탱크조(20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탱크조의 높이에 대한 규격이 제1탱크조(100)에서 제3탱크조(300)까지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유수분리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ecification of the first tank vessel 100 in which the mixed water flow 400 is caused to flow by the natural water level is formed higher than the second tank vessel 200 and the third tank vessel 300 is formed in the second tank vessel 200, Wherein the height of the tank tank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first tank tank (100) to the third tank tank (300).
제1포집돔(120)에 연결된 제1상승월류관(130)이 수평으로 꺾이는 곡관의 위치는 유입정(111)에서 유입되는 혼합유수(400)의 수위보다 낮게 형성되고, 제2포집돔(220)에 연결된 제2상승월류관(230)이 수평으로 꺾이는 곡관의 위치는 제1월류관(130)의 수위보다 낮게 형성되고, 제3포집돔(320)에 연결된 제3상승월류관(330)이 수평으로 꺾이는 곡관의 위치는 제2상승월류관(230)의 수위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유수분리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sition of the curved line in which the first ascending / descending pipe 130 connected to the first collecting dome 120 is bent horizontally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level of the mixed liquor 400 flowing in the inlet chute 111, The third ascending / descending pipe 330 connected to the third collecting dome 320 is form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ascending / descending pipe 230 connected to the third collecting dome 320 is lower than the level of the first draining pipe 130, )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level of the second rising-up flow pipe (230).
제1상승월류관(130)은 제2탱크조(200) 몸체의 중심부에 형성된 연결공(210)에 연결되고, 제2상승월류관(230)은 제3탱크조(300) 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된 연결공(310)에 연결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유수분리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scending / descending flow pipe 13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hole 21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of the second tank tank 200 and the second ascending / descending pipe 23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third tank tank 300 (310). ≪ RTI ID = 0.0 > 31. < / RTI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0778A KR20180133191A (en) | 2017-06-05 | 2017-06-05 | Oil-water sepa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0778A KR20180133191A (en) | 2017-06-05 | 2017-06-05 | Oil-water separ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3191A true KR20180133191A (en) | 2018-12-13 |
Family
ID=6467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0778A KR20180133191A (en) | 2017-06-05 | 2017-06-05 | Oil-water sepa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33191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0080B1 (en) * | 2020-04-29 | 2021-01-29 | 최진호 |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
CN115650461A (en) * | 2021-07-07 | 2023-01-31 |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 Compact oil-water mixed liquid treatment equipment |
-
2017
- 2017-06-05 KR KR1020170070778A patent/KR2018013319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0080B1 (en) * | 2020-04-29 | 2021-01-29 | 최진호 |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
CN115650461A (en) * | 2021-07-07 | 2023-01-31 |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 Compact oil-water mixed liquid treatment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133191A (en) | Oil-water separator | |
CN206800576U (en) | Cut dirt and receive pipe | |
CN106186443A (en) | Oily waste water integrated treatment unit | |
KR101053995B1 (en) | Oil / water separator | |
KR101446272B1 (en) | Oil-water separator | |
CN107583314A (en) | A kind of vertical sedimentation basin that can shorten the sedimentation time | |
CN205917081U (en) | Mechanism is separated to unpowered profit | |
KR101657508B1 (en) | an oil-water separator tank | |
CN207468366U (en) | A kind of oily wastewater grease removal treatment device | |
CN207468254U (en) | Tank in a kind of tank | |
CN201809191U (en) | Automatic purifying device | |
CN201912802U (en) | Radial-flow sludge sedimentation filter tank with sludge layer | |
CN201981585U (en) | Integrated water saving device | |
CN110510693B (en) | Immersed blue algae collecting and dewatering platform | |
CN100384749C (en) | Self-adjusting dry-wet alternated parallel-operation water tank system | |
CN112811516A (en) | Oil-water separation device | |
KR960003776A (en) | EPS Oil Water Separator | |
CN207108545U (en) | A kind of water process separation equipment | |
KR101000076B1 (en) | discharge apparatus of superiority water | |
JP4634492B2 (en) | Underground storage tank | |
CN204298104U (en) | Fiberglass oil interceptor | |
CN219341842U (en) | Oil skimming well | |
CN211226450U (en) | Micro-nano air supporting liquid level control device | |
KR20140055668A (en) | Control device that separates oil and water in the draintank | |
CN203159360U (en) | RG type vertical sedimentation and air flotation integrated water purif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89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827 Effective date: 2020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