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049A -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049A
KR20180132049A KR1020187025485A KR20187025485A KR20180132049A KR 20180132049 A KR20180132049 A KR 20180132049A KR 1020187025485 A KR1020187025485 A KR 1020187025485A KR 20187025485 A KR20187025485 A KR 20187025485A KR 20180132049 A KR20180132049 A KR 20180132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ixels
polyhedron
pixel
rect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3124B1 (ko
Inventor
자하르첸코 블라디슬라프
최광표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32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10Selection of transform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12Panospheric to cylindrical image transfor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005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40Filling a planar surface by adding surface attributes, e.g. colour or texture
    • G06T3/009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18Image warping, e.g. rearranging pixels individ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1/00Image generation
    • G06T2211/40Computed tomography
    • G06T2211/416Exact reconstr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 다면체의 전개도에 상기 이미지들을 투영하여 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투영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rectangular image)로 재구성(reshaping)하는 단계 및 상기 직사각형 이미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가상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상 현실 관련 기술과 장치가 발전함에 따라, 이를 활용한 가상 현실 장치들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장치는 엔터테인먼트, 교육, 사무,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가상 현실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이미지는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움직이게 되므로, 가상 현실 이미지는 사용자를 둘러싼 주변의 모든 이미지를 포함하여야 한다. 즉, 가상 현실 장치에서 제공하는 가상 현실 이미지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주변 모든 방향에 해당하는 이미지, 즉, 360도 이미지이다. 따라서, 가상 현실 장치에 대한 관심과 함께 이러한 360도 이미지의 처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360도 이미지 처리 방법은 이미지 크기가 커 처리 효율이 떨어지고 전력 소모가 많으며, 이미지의 일부가 유실되어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이고 고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일 실시예는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고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효율적으로 고품질의 360도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360도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획득한 이미지를 다면체에 투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투영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의 수평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의 수평 이동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의 수직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의 수직 이동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재구성된 실제 직사각형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들의 이동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의 수직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선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투영 이미지 복원 방법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투영 이미지 복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투영 이미지 복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투영 이미지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및 2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투영 이미지의 생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9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 및 도 31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들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 및 도 3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들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들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들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 다면체에 상기 이미지들을 투영하여 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투영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rectangular image)로 재구성(reshaping)하는 단계 및 상기 직사각형 이미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직사각형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직사각형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투영 이미지를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투영 이미지를 다면체로 조립하고, 상기 다면체를 역투영(back-projection)하여 역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다면체에 상기 이미지들을 투영하여 투영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투영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고, 상기 직사각형 이미지를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일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일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일 실시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일 실시예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의 실시예에 대하여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일 실시예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일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일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일 실시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도 1은 360도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60도 이미지는 특정 위치(110)를 중심으로 하여 특정 위치를 360도로 둘러싼 주위 환경을 나타내는 이미지(120)이다. 사용자가 가상 현실 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가상 현실 내에서 사용자를 360도로 둘러싼 주위 환경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360도 이미지가 될 수 있다. 가상 현실 장치는 360도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가상 현실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가상 현실 내에서 이동하거나 시선을 돌리는 경우에도 그에 따른 적절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21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이미지들을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처리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처리 장치를 둘러싼 주위 환경을 촬영함으로써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처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처리 장치를 둘러싼 주위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는 이미지 처리 장치에 포함된 구성 요소일 수도 있고, 이미지 처리 장치와 별개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파노라마 방식으로 주위 환경을 촬영할 수도 있고, 전, 후, 좌, 우, 상, 하 등 각 방향을 각각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처리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함으로써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즉, 외부 장치가 주위 환경을 촬영하거나 가상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이미지 처리 장치로 이미지를 전송하고, 이미지 처리 장치는 이를 수신함으로써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그 후, 22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다면체에 상기 이미지들을 투영하여 투영 이미지(projection image)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처리 장치는 투영 이미지 생성 시, 이미지들을 다면체에 투영하는 경우 다면체의 영역에 대응되는 전개도의 영역에 이미지들을 투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처리 장치는 투영 이미지 생성 시, 상기 다면체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상기 다면체에 투영된 상기 이미지들을 투영할 수 있다. 도 3, 도 4, 도 25, 및 도 26에 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획득한 이미지를 다면체에 투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210 단계에서 획득한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이미지(310)이다. 도 3(a)에서는 구 형태의 이미지를 획득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 후, 좌, 우, 상, 하 방향의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도 3(b)는 획득한 이미지(310)를 다면체(320)에 투영한 도면이다. 특히, 도 3(b)는 다면체(320)로 정20면체를 사용하여, 획득한 이미지(310)가 투영된 정20면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면체(320)는 동일한 모양과 면적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삼각형으로 구성되는 다면체(320)일 수 있다. 이때, 다면체(320)의 일 면은, 삼각형이 둘 이상 모여 만들어진 다른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삼각형이 둘 이상 합쳐져 만들어지는 사각형이 다면체(320)의 일 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투영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b)에 도시된 정20면체를 전개한 전개도에 획득한 이미지(310)를 투영하여 생성된 투영 이미지(410)를 나타내고 있다. 투영 이미지(410)는 획득한 이미지(310)가 투영된 정20면체를 펼쳐놓은 전개도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 이미지는 아이코사히드랄 투영 기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아이코사히드랄 투영 이미지(icosahedral projection image)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획득한 이미지(310)를 정20면체에 투영하는 것을 예로 들어 이미지 처리 과정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다면체는 정20면체에 한정되지 않고, 획득한 이미지를 정8면체 및 정4면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다면체에 투영하여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면체의 전개도를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면체의 투상도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5 및 2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a)는 다면체로 정20면체를 사용하는 대신 정8면체를 사용하여, 획득한 이미지가 투영된 정8면체(251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5(c)는 다면체로 정4면체를 사용하여, 획득한 이미지가 투영된 정4면체(25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b)는 도 25(a)에 도시된 정8면체를 전개한 전개도에 획득한 이미지를 투영하여 생성된 투영 이미지(2520)를 나타내고, 도 25(d)는 도 25(c)에 도시된 정4면체를 전개한 전개도에 획득한 이미지를 투영하여 생성된 투영 이미지(2540)를 나타낸다. 도 25(b)의 투영 이미지(2520)는 획득한 이미지가 투영된 정8면체를 펼쳐놓은 전개도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5(d)의 투영 이미지(2540)는 획득한 이미지가 투영된 정8면체를 펼쳐놓은 전개도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면체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다면체에 투영된 이미지를 투영함으로써 투영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한 이미지가 정8면체(2610)에 투영되고, 정8면체(2610)에 투영된 이미지 중 상측의 4개의 면 상의 이미지가 정8면체 상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2620)에 재차 투영됨으로써 정8면체(2610)의 투상도(2630)가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도 26(a)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정8면체(2610)에 투영된 이미지 중 하측의 4개의 면 상의 이미지가 정8면체 하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재차 투영됨으로써 정8면체(2610)의 다른 투상도가 획득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8면체(2610)의 2개의 투상도를 포함하는 투영 이미지(2640)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된 투영 이미지가 도 26(b)에 도시된 투영 이미지(2640)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할 필요 없이, 생성된 투영 이미지를 그대로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도 2의 설명으로 돌아오면, 23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투영 이미지(410)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rectangular image)로 재구성(reshaping)한다. 투영 이미지(410)는 다면체(320)를 전개한 2차원 이미지인 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360도 이미지(310)와 관련 없는 여백이 존재한다. 이러한 여백은 도면 상에서는 여백에 불과하지만, 이미지 처리 과정에 있어서는 처리해야 할 데이터에 해당한다. 따라서, 여백이 많을수록 이미지 처리 장치가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많아져 처리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투영 이미지(410)를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과정은 이러한 여백을 줄여 이미지 처리 장치가 처리해야 할 불필요한 데이터를 줄여주는 과정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킨다는 의미는 픽셀 데이터의 이동을 의미한다. 즉, 물리적인 픽셀의 이동이 아니라, 특정 픽셀의 픽셀 데이터를 다른 픽셀의 픽셀 데이터로 저장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 이미지(410)를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 시, 픽셀의 삭제 또는 새로운 픽셀의 추가 없이, 픽셀의 위치만을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투영 이미지(410)의 전체 픽셀 개수 및 픽셀 데이터의 변경 없이, 단순히 픽셀의 위치만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재구성된 직사각형 이미지와 투영 이미지(410)의 면적은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 이미지(410)를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는데 있어서 픽셀의 위치만 이동되고, 전체 픽셀 개수와 픽셀 데이터는 동일한 바, 픽셀의 위치 이동 내역 또는 픽셀의 원래 위치만을 알 수 있으면 직사각형 이미지를 쉽게 투영 이미지(410)로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 이미지를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 시, 투영 이미지의 픽셀을 이동시킨 후 여백을 추가하여 직사각형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a) 내지 도 2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20면체 또는 정8면체의 전개도를 사용하여 생성된 투영 이미지의 픽셀을 이동시킨 후 픽셀이 이동된 투영 이미지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여백(2710,2720,2730)을 추가하여 직사각형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 이미지를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 시, 투영 이미지의 픽셀 이동없이 여백을 추가하여 직사각형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4면체의 전개도를 사용하여 생성된 투영 이미지의 픽셀을 이동시키지 않고 투영 이미지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여백(2740)을 추가하여 직사각형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재구성된 직사각형 이미지가 여백을 포함하는 경우, 재구성된 직사각형 이미지와 투영 이미지의 면적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 이미지(410)를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 시, 각 행(row) 별로 상기 각 행에 포함된 픽셀들의 평행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평행 이동 방향에 따라 각 행의 왼쪽 끝(left edge) 또는 오른쪽 끝(right edge)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지도록 각 행 별로 각 행에 포함된 픽셀들을 왼쪽(left) 또는 오른쪽(right)으로 수평 이동 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 이미지(410)를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 시, 각 열(column) 별로 상기 각 열에 포함된 픽셀들의 수직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수직 이동 방향에 따라 각 열의 위쪽 끝(top edge) 또는 아래쪽 끝(bottom edge)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지도록 각 열 별로 상기 각 열에 포함된 픽셀들을 위쪽(up) 또는 아래쪽(down)으로 수직 이동 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픽셀의 수직 이동 및 수평 이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11은 픽셀의 수직 이동 및 수평 이동을 통해 투영 이미지(410)를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방법 및 그 결과를 나타내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51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투영 이미지(410)가 도시된 평면 상에서 하나의 행을 선택한다. 이때, 투영 이미지(410)의 가장 위쪽에 있는 픽셀이 위치한 행이 x축이 될 수 있다.
그 후, 52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한 행의 번호가 설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a)에 투영 이미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투영 이미지는 삼각형이 3개 층으로 쌓여있는 형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 2개층을 한쪽 방향으로 이동 시키고 아래 1개 층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 시키기 위하여, 설정값을 전체 행 길이의 2/3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520 단계에서 선택한 행의 번호가 설정값 이하라고 판단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는 530 단계로 진행하여 선택한 행의 왼쪽 끝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지도록 선택한 행에 포함된 픽셀들을 왼쪽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520 단계에서 선택한 행의 번호가 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는 540 단계로 진행하여 선택한 행의 오른쪽 끝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지도록 선택한 행에 포함된 픽셀들을 오른쪽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그 후, 55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하지 않은 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하지 않은 행이 존재하는 경우, 510 단계로 되돌아가 위 과정을 반복한다.
510 단계 내지 550 단계는 도 6(a)에 도시된 투영 이미지를 도 6(b)에 도시된 이미지로 재구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의 수평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의 수평 이동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투영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삼각형은 9개의 픽셀을 포함하고, 사각형으로 표시된 각 픽셀은 각각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다. 가장 위쪽에 위치한 픽셀을 포함하는 행을 x축이라하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행 번호가 증가한다고 설정할 수 있다. 설정값을 전체 행 길이, 즉, 투영 이미지의 높이의 2/3로 설정하는 경우, 전체 행 길이의 2/3 이하의 행 번호를 갖는 행들에 대하여 각 행의 왼쪽 끝(71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지도록 각 행에 포함된 픽셀들을 왼쪽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또한, 전체 행 길이의 2/3 를 초과하는 행 번호를 갖는 행들에 대하여 각 행의 오른쪽 끝(미도시)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지도록 각 행에 포함된 픽셀들을 왼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 a, f, g, h, i, j, s, x, y, z, 1, 2 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포함된 행 위쪽의 행들은 좌측으로, 3, 4, 5, 6, 7, #, $, %, ^, & 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포함된 행 위쪽의 행들은 우측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도 8에 픽셀들의 이동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서 도시하는 이동 결과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의 수평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에서 픽셀 데이터를 갖도록 표시된 픽셀들만 이동한 것을 가정하고, 그 수평 이동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투영 이미지는 도 7에 도시된 것보다 많은 수의 삼각형으로 구성되는 바, 실제 픽셀의 수평 이동 결과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달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위에 위치한 행은 A, J 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2개의 픽셀 외에 오른쪽에 추가로 픽셀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픽셀들이 오른쪽으로 이동한 아래 3개 행에 포함된 픽셀들은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오른쪽 끝으로 더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과정을 통해 도 6(a)에 도시된 투영 이미지는 도 6(b)에 도시된 이미지로 재구성될 수 있다.
55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하지 않은 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하지 않은 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560 단계로 진행하여 투영 이미지가 도시된 평면 상에서 하나의 열을 선택한다. 이때, 투영 이미지의 가장 왼쪽에 있는 픽셀이 위치한 행이 y축이 될 수 있다.
57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한 열의 위쪽 끝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지도록 선택한 열에 포함된 픽셀들을 위쪽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58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하지 않은 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하지 않은 열이 존재하는 경우, 560 단계로 되돌아가 위 과정을 반복한다. 580 단계에서 선택하지 않은 열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직사각형 이미지의 재구성이 완료된 것이다.
560 단계 내지 580 단계는 도 6(b)에 도시된 재구성된 투영 이미지를 도 6(c)에 도시된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의 수직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의 수직 이동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이미지 처리 장치는 각 열의 위쪽 끝(91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지도록 각 열에 포함된 픽셀들을 위쪽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따라서, D, G, U, Z, g, 3 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포함된 열의 오른쪽에 있는 열들은 모두 위쪽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A, B, E, S, X, a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포함된 열 및 J, C, F, T, Y, f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포함된 열은 이미 가장 위쪽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져 있어 이동하지 않는다. 이동하지 않는 픽셀들을 포함하는 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에 픽셀들의 이동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서 도시하는 이동 결과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의 수직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8에서 도시한 수평 이동 결과를 바탕으로 수직 이동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제 픽셀의 수평 이동 결과는 도 10에 도시한 것과 달리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560 단계 내지 580 단계,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하는 픽셀의 수직 이동 과정은 선택한 열의 위쪽 끝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지도록 선택한 열에 포함된 픽셀들을 위쪽으로 이동 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선택한 열의 아래쪽 끝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지도록 선택한 열에 포함된 픽셀들을 아래쪽으로 이동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각 행, 열에 포함된 픽셀들을 수평 이동 또는 수직 이동 시키더라도 재구성된 직사각형 이미지 내의 인접한 픽셀들은 연속적인 픽셀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7에서 A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픽셀과 J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픽셀은 투영 이미지(410)를 생성하기 전, 다면체에서 인접하게 위치했던 픽셀들이다. 즉, 투영 이미지(410)는 다면체(320)를 전개한 것이어서, 투영 이미지(410)에서 A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픽셀과 J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픽셀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원래 두 픽셀들은 다면체(320)에서 하나의 꼭지점에서 인접하게 위치했던 픽셀들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지에서 인접한 픽셀들은 연속적인 픽셀 데이터를 가질 확률이 높다. 따라서, 픽셀 데이터 A 와 J는 연속적인 데이터를 가질 확률이 높다. 여기서, 연속적인 데이터는 데이터 값의 급격한 변화 없이 점진적으로 변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미지 처리에 있어서, 연속적인 데이터는 불연속적인 데이터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 가능하다. 재구성된 직사각형 이미지의 인접한 픽셀들은 연속적인 픽셀 데이터를 가질 확률이 높아 빠르고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과정을 통해 도 6(b)에 도시된 투영 이미지는 도 6(c)에 도시된 이미지로 재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재구성된 실제 직사각형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5 내지 도 10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해 재구성된 실제 직사각형 이미지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직사각형 이미지는 도 6(c)와 유사하게 좌측 상단과 우측 하단으로 픽셀이 몰려있는 듯 모양으로 재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도 2의 설명으로 돌아오면, 일 실시예에서,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시, 투영 이미지의 제1 경계선(boundary)을 구성하는 픽셀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제1 경계선을 구성하는 픽셀들이 제1 경계선과 연결되는 반대편 경계선인 제2 경계선에 연결되도록 이동 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 내지 도 15 및 도 28 내지 38에는 투영 이미지의 제1 경계선을 구성하는 픽셀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제1 경계선을 구성하는 픽셀들이 제1 경계선과 연결되는 반대편 경계선인 제2 경계선에 연결되도록 이동 시켜 직사각형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구체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 이미지는 정20면체 또는 정8면체의 전개도를 사용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제1 경계선 및 제2 경계선이 모두 복수의 선으로 구성될 수 있고, 기준점을 설정하여 복수의 픽셀들을 기준점 반대편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반복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121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기준점을 설정한다. 기준점은 이동 시킬 픽셀과 이동 시키지 않을 픽셀을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체 행 길이, 즉, 투영 이미지의 좌측 끝을 기준으로 가로 길이의 1/10 지점을 기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122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투영 이미지가 도시된 평면 상에서 하나의 열을 선택한다.
123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한 열과 기준점을 비교하여 선택한 열의 열 번호가 기준점의 열 번호보다 작다고 판단하는 경우, 1240 단계로 진행하여 선택한 열에 포함된 픽셀들을 기준점 반대편으로 이동 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 이미지의 제1 경계선을 구성하는 픽셀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제1 경계선을 구성하는 픽셀들이 제1 경계선과 연결되는 반대편 경계선인 제2 경계선에 연결되도록 이동 시킬 수 있다.
123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한 열의 열 번호가 기준점의 열 번호보다 크거나 같다고 판단하는 경우, 바로 1250 단계로 진행한다.
125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하지 않은 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하지 않은 열이 존재하는 경우, 1220 단계로 되돌아가 위 과정을 반복한다.
1210 단계 내지 1250 단계는 도 13(a)에 도시된 투영 이미지를 도 13(b)에 도시된 이미지로 재구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들의 이동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투영 이미지의 좌측 끝을 기준으로 가로 길이의 1/10 지점을 기준점(14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점의 열 번호보다 작은 열 번호를 갖는 픽셀들(1420)은 기준 점 반대편으로 이동 시킨다. 이때, 제1 경계선(1430)을 구성하는 픽셀들이 제1 경계선과 연결되는 반대편 경계선인 제2 경계선(1440)에 연결되도록 이동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경계선(1430)과 제2 경계선(1440)은 투영 이미지(410)를 생성하기 전, 다면체(320)에서 하나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선이다. 즉, 투영 이미지(410)는 다면체(320)를 전개한 것이어서, 투영 이미지(410)에서 제1 경계선(1430)과 제2 경계선(1440)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원래 다면체(320)에서는 하나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선이다. 따라서, 제1 경계선을 구성하는 픽셀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제1 경계선을 구성하는 픽셀들이 제1 경계선과 연결되는 반대편 경계선인 제2 경계선에 연결되도록 이동시키더라도 투영 이미지(410)에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니며, 단지 어느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투영 이미지(410)를 나타내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125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하지 않은 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하지 않은 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1260 단계로 진행하여 투영 이미지가 도시된 평면 상에서 하나의 열을 선택한다.
1260 단계 내지 1280 단계는 도 5의 560 단계 내지 도 580 단계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중복되는 내용은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127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한 열의 위쪽 끝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지도록 선택한 열에 포함된 픽셀들을 위쪽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128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하지 않은 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하지 않은 열이 존재하는 경우, 1280 단계로 되돌아가 위 과정을 반복한다.
1260 단계 내지 1280 단계는 도 13(b)에 도시된 재구성된 투영 이미지를 도 13(c)에 도시된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의 수직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미지 처리 장치는 각 열의 위쪽 끝(151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지도록 각 열에 포함된 픽셀들을 위쪽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미 가장 위쪽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져 있어 이동하지 않는 픽셀을 포함하는 열이 존재할 수 있다. 이동하지 않는 픽셀들을 포함하는 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과정을 통해 도 13(b)에 도시된 투영 이미지는 도 13(c)에 도시된 이미지로 재구성될 수 있다.
도 28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먼저, 281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기준점을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지점을 기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282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투영 이미지가 도시된 평면 상에서 하나의 행을 선택한다. 283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한 행과 기준점을 비교하여 선택한 행이 기준점에 대해 이동 방향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2840 단계로 진행하여 선택한 행에 포함된 픽셀들을 기준점 반대편으로 이동 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 이미지의 제1 경계선을 구성하는 픽셀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제1 경계선을 구성하는 픽셀들이 제1 경계선과 연결되는 반대편 경계선인 제2 경계선에 연결되도록 이동 시킬 수 있다. 283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한 행이 기준점에 대해 이동 방향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바로 2850 단계로 진행한다. 285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하지 않은 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하지 않은 행이 존재하는 경우, 2820 단계로 되돌아가 위 과정을 반복한다.
2810 단계 내지 2850 단계는 도 29(a)에 도시된 투영 이미지를 도 29(b) 또는 도 29(d)에 도시된 이미지로 재구성하거나 또는 도 32(a)에 도시된 투영 이미지를 도 32(b) 또는 도 32(d)에 도시된 이미지로 재구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도 30 내지 도 31 및 도 33 내지 3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0 내지 도 31 및 도 33 내지 도 3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들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 이미지는 정20면체 또는 정8면체의 전개도를 사용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투영 이미지의 하단 끝을 기준으로 세로 길이의 1/3 지점을 기준점(30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점(3010)에 대해 이동 방향에 있는 픽셀들, 즉, 기준점(3010)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있는 픽셀들은 기준 점 반대편으로 이동 시킨다. 이때, 제1 경계선(3020)을 구성하는 픽셀들이 제1 경계선과 연결되는 반대편 경계선인 제2 경계선(3030)에 연결되도록 이동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경계선(3020) 및 제2 경계선(3030)은 모두 복수의 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투영 이미지의 상단 끝을 기준으로 세로 길이의 1/3 지점을 기준점(31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점(3110)에 대해 이동 방향에 있는 픽셀들, 즉, 기준점(3110)을 기준으로 위쪽에 있는 픽셀들은 기준 점 반대편으로 이동 시킨다. 이때, 제1 경계선(3120)을 구성하는 픽셀들이 제1 경계선과 연결되는 반대편 경계선인 제2 경계선(3130)에 연결되도록 이동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경계선(3120) 및 제2 경계선(3130)은 모두 복수의 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을 참조하면, 투영 이미지의 세로 길이의 1/2 지점을 기준점(3310,34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픽셀의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기준점에 대해 이동 방향에 있는 픽셀들은 기준 점 반대편으로 이동 시킨다. 이때, 제1 경계선(3320,3420)을 구성하는 픽셀들이 제1 경계선과 연결되는 반대편 경계선인 제2 경계선(3330,3430)에 연결되도록 이동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경계선(3320,3420) 및 제2 경계선(3330,3430)은 모두 복수의 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2810 단계 내지 2850 단계에서 투영 이미지의 픽셀들이 이동된 후 286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여백을 추가하여 직사각형 이미지를 생성한다. 2860 단계는 도 29(b) 및 도 29(d)에 도시된 이미지를 각각 도 29(c) 및 도 29(e)에 도시된 이미지로 재구성하거나 또는 도 32(b) 및 도 32(d)에 도시된 이미지를 각각 도 32(c) 및 도 32(e)에 도시된 이미지로 재구성하기 위한 과정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 이미지의 픽셀들이 이동된 후 여백이 추가됨으로써 직사각형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도 35 및 도 37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점을 설정하여 복수의 픽셀들을 기준점 반대편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반복될 수 있다. 도 35(a)에 도시된 이미지를 도 35(b)에 도시된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과정은 도 13(a)에 도시된 이미지를 도 13(b)에 도시된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과정과 동일하고, 도 37(a)에 도시된 이미지를 도 37(b)에 도시된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과정은 도 32(a)에 도시된 이미지를 도 32(b)에 도시된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과정과 동일한 바, 그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5(c) 및 도 37(c)에 도시된 직사각형 이미지가 생성되는 과정을 도 36 및 도 3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6 및 도 38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들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투영 이미지의 하단 끝을 기준으로 세로 길이의 1/3 지점을 기준점(36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점의 행 번호보다 작은 행 번호를 갖는 픽셀들은 기준 점 반대편으로 이동 시킨다. 이때, 제1 경계선(3620)을 구성하는 픽셀들이 제1 경계선과 연결되는 반대편 경계선인 제2 경계선(3630)에 연결되도록 이동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경계선(3620) 및 제2 경계선(3630)은 모두 복수의 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투영 이미지의 좌측 끝을 기준으로 가로 길이의 1/10 지점을 기준점(38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점의 열 번호보다 작은 열 번호를 갖는 픽셀들은 기준 점 반대편으로 이동 시킨다. 이때, 제1 경계선(3820)을 구성하는 픽셀들이 제1 경계선과 연결되는 반대편 경계선인 제2 경계선(3830)에 연결되도록 이동 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의 설명으로 돌아오면, 일 실시예에서,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시, 투영 이미지 내에 복수 개의 기준선을 설정하고, 복수 개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픽셀들을 이동 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5에서 도시하고 있는 실시예에서는 픽셀 이동 시, 왼쪽 끝, 오른쪽 끝, 위쪽 끝, 아래 쪽 끝 중 어느 하나를 기준선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지도록 픽셀을 이동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이와 달리 복수 개의 기준선을 설정하여 각각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지도록 픽셀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선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6(b)를 도 6(b)를 비교하면, 동일하게 픽셀의 수평 이동을 통해 투영 이미지(320)를 재구성하게 되나 그 결과가 달라진다. 이는 픽셀을 한쪽 방향으로 수평 이동 시키는 경우, 도 6(b)는 하나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이동 시킨 도면이나, 도 16(b)는 복수 개의 기준선 각각을 기준으로 이동 시킨 도면이기 때문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기준선(1710, 1720, 1730, 1740, 1750, 1760)이 설정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7에서 위에 2개 층은 각 삼각형의 왼쪽 기준선을 기준으로 픽셀들을 왼쪽 방향으로 이동 시키고 아래 1개 층은 전체적으로 가로 길이의 가로 길이의 1/10만큼 이동시킨 뒤 오른쪽 기준선을 기준으로 픽셀을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과정을 통해 도 16(a)에 도시된 투영 이미지는 도 16(b)에 도시된 이미지로 재구성될 수 있다. 도 16(b)에 도시된 이미지를 도 16(c)에 도시된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과정은 픽셀의 수직 이동 과정인 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처리 장치는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을 이동 시킨다고 결정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항상 모든 픽셀을 이동 시킬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므로, 먼저 픽셀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고 픽셀을 이동 시킨다고 결정하는 경우, 그 픽셀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 에서 E, F, G, H, I, N, O, P, Q, R 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포함된 행과 S, T, U, V, W, b, k, l, m ,n, o, t 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포함된 행들은 이미 좌측 끝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져 있으므로 픽셀들을 이동시킬 필요는 없다. 또한, 도 9에서 A, B, E, S, X, a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포함된 열 및 J, C, F, T, Y, f의 픽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포함된 열은 이미 가장 위쪽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져 있어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의 이동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평 이동 후 수직 이동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수직 이동 후, 픽셀들을 기준점 반대편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 이미지를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함으로써, 이미지 처리 장치가 처리해야 할 불필요한 데이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재구성된 직사각형 이미지의 인접한 픽셀들은 연속적인 픽셀 데이터를 가질 확률이 높아져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들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직사각형 이미지를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픽셀의 위치 이동 방법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직사각형 이미지를 재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픽셀의 위치 이동 방법을 통해 직사각형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2의 설명으로 돌아오면, 24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직사각형 이미지를 처리한다. 240 단계에서는, 230 단계에서 투영 이미지를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함으로써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줄어들고, 재구성된 직사각형 이미지의 인접한 픽셀들이 연속적인 픽셀 데이터를 가질 확률이 높아 보다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사각형 이미지를 처리하는 과정은, 압축, 렌더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처리 방법은 처리된 직사각형 이미지를 상기 투영 이미지로 복원하는데 필요한 복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원 정보에는 픽셀의 위치 이동 내역 및/또는 픽셀의 원래 위치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픽셀의 위치 이동 내역 및/또는 픽셀의 원래 위치만을 수 있으면 직사각형 이미지를 쉽게 투영 이미지(410)로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처리 방법은 처리된 직사각형 이미지와 복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처리된 직사각형 이미지와 복원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이를 수신하는 측에서 처리된 직사각형 이미지를 쉽게 투영 이미지(410)로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 이미지를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함으로써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줄어들고, 재구성된 직사각형 이미지의 인접한 픽셀들은 연속적인 픽셀 데이터를 가질 확률이 높아 보다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지금까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이미지 처리 장치(1800)는 제어부(1810) 및 메모리(18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처리 장치(1800)는 가상 현실 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1810)는 이미지 처리 장치(18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며, 메모리(1820)를 제어함으로써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810)는 이미지 처리 장치(18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 주변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코어(core)와 GPU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다면체에 상기 이미지들을 투영하여 투영 이미지를 생성하며, 투영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고, 직사각형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10)는 도 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미지 처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복되는 내용은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10)는 투영 이미지 생성 시, 이미지들을 다면체에 투영하는 경우 다면체의 영역에 대응되는 전개도의 영역에 이미지들을 투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10)는 투영 이미지 생성 시, 다면체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상기 다면체에 투영된 이미지들을 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10)는 투영 이미지(410)를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 시, 픽셀의 삭제 또는 새로운 픽셀의 추가 없이, 픽셀의 위치만을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10)는 상기 투영 이미지의 픽셀을 이동시킨 후 적어도 하나의 여백을 추가하여 직사각형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10)는 투영 이미지(410)를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 시, 각 행 별로 상기 각 행에 포함된 픽셀들의 평행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평행 이동 방향에 따라 각 행의 왼쪽 끝 또는 오른쪽 끝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지도록 각 행 별로 각 행에 포함된 픽셀들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수평 이동 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10)는, 투영 이미지(410)를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 시 각 열 별로 상기 각 열에 포함된 픽셀들의 수직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수직 이동 방향에 따라 각 열의 위쪽 끝 또는 아래쪽 끝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지도록 각 열 별로 상기 각 열에 포함된 픽셀들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수직 이동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10)는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시, 투영 이미지의 제1 경계선을 구성하는 픽셀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제1 경계선을 구성하는 픽셀들이 제1 경계선과 연결되는 반대편 경계선인 제2 경계선에 연결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10)는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시, 투영 이미지 내에 복수 개의 기준선을 설정하고, 복수 개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픽셀들을 이동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10)는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을 이동 시킨다고 결정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10)는 직사각형 이미지를 상기 투영 이미지로 복원하는데 필요한 복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10)는 처리된 직사각형 이미지와 복원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10)는 투영 이미지를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함으로써, 이미지 처리 장치가 처리해야 할 불필요한 데이터를 줄일 수 있다.
메모리(1820)는 이미지 처리 장치(18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모리(1820)는 휘발성(volatile) 저장 매체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 저장 매체의 조합(combinatio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RAM, DRAM, S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semiconductor memory)가 포함될 수 있으며,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하드 디스크(hard disk), 플래시 낸드 메모리(Flash NAND Memory)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820)는 제어부(18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8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미지 처리 장치(1800)는 카메라부, 수신부, 전송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부는 이미지 처리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처리 장치를 360도로 둘러싼 주위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360도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부는 처리된 직사각형 이미지와 복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 및 전송부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800)는 처리해야 할 데이터를 줄이고, 인접한 픽셀들이 연속적인 픽셀 데이터를 가지도록 이미지를 처리하여 데이터 처리에 소요되는 전력을 줄이고, 처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9에서 도시하고 있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처리된 직사각형 이미지를 360도 이미지(310)로 복원하는 방법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먼저, 191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직사각형 이미지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사각형 이미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이미지(310)들을 획득하고, 다면체(320)의 전개도에 이미지(310)들을 투영하여 투영 이미지(410)를 생성하며, 투영 이미지(410)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여 생성된 이미지일 수 있다. 즉, 1910 단계에서 획득하는 직사각형 이미지는 도 2 내지 도 17에서 도시하고 있는 이미지 처리 방법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일 수 있다.
그 후, 192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직사각형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투영 이미지(410)를 복원한다. 일 실시예에서, 직사각형 이미지를 투영 이미지(410)로 복원하는 과정은 도 2 내지 도 17에서 도시하고 있는 투영 이미지(410)를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과정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9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직사각형 이미지를 투영 이미지(410)로 복원하는데 필요한 복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투영 이미지(410) 복원 시, 수신한 복원 정보를 바탕으로 투영 이미지(410)를 복원할 수 있다. 즉, 수신한 복원 정보를 바탕으로 복원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0에 수신한 복원 정보를 바탕으로 복원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투영 이미지 복원 방법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먼저, 201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복원 정보를 바탕으로 복원 방법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201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원 방법 중에서 하나의 복원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201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가 복원 방법을 방법 A로 결정하는 경우, 2020 단계로 진행하여 방법 A를 이용하여 투영 이미지를 복원하고, 복원 방법을 방법 B로 결정하는 경우, 2030 단계로 진행하여 방법 B를 이용하여 투영 이미지를 복원하며, 복원 방법을 그 외 다른 방법으로 결정하는 경우, 204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방법을 이용하여 투영 이미지를 복원한다. 여기서, 복원 방법 A, B 및 다른 복원 방법은 각 복원 방법을 구분하기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이고, 특정 복원 방법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복원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투영 이미지 복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1은 도 5에 도시된 방법으로 재구성된 직사각형 이미지를 투영 이미지(410)로 복원시키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직사각형 이미지를 투영 이미지(410)로 복원시키는 과정은 투영 이미지(410)를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지는 바,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211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직사각형 이미지가 도시된 평면 상에서 하나의 열을 선택한다.
그 후, 212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한 열의 픽셀을 아래쪽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때, 선택한 열에 포함된 픽셀들을 아래쪽 끝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원래 있던 위치로 이동 시키는 것이다. 이는 투영 이미지(410)의 복원 과정인 바, 원래 이미지를 복원하기 위한 당연한 과정이다.
213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하지 않은 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하지 않은 열이 존재하는 경우, 2110 단계로 되돌아가 위 과정을 반복한다. 2130 단계에서 선택하지 않은 열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2140 단계로 진행한다.
214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투영 이미지(410)가 도시된 평면 상에서 하나의 행을 선택한다.
그 후, 215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한 행의 번호가 설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2150 단계에서 선택한 행의 번호가 설정값 이하라고 판단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는 2160 단계로 진행하여 선택한 행에 포함된 픽셀들을 오른쪽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2150 단계에서 선택한 행의 번호가 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는 2170 단계로 진행하여 선택한 행에 포함된 픽셀들을 왼쪽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218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하지 않은 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하지 않은 행이 존재하는 경우, 2140 단계로 되돌아가 위 과정을 반복한다. 2180 단계에서 선택하지 않은 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투영 이미지(410)의 복원이 완료된 것이다.
도 2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투영 이미지 복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2는 도 12에 도시된 방법으로 재구성된 직사각형 이미지를 투영 이미지로 복원시키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2에서 2210 단계 내지 2230 단계는 도 21의 2110 단계 내지 2230 단계와 동일한 바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221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직사각형 이미지가 도시된 평면 상에서 하나의 열을 선택한다. 그 후, 222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한 열의 픽셀을 아래쪽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2230 단계에서 선택하지 않은 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하지 않은 열이 존재하는 경우, 2210 단계로 되돌아가 위 과정을 반복한다. 223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가 선택하지 않은 열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2240 단계로 진행한다.
224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픽셀을 선택한다.
225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된 픽셀이 기준점을 넘어 이동된 픽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2250 단계에서 선택된 픽셀이 기준점을 넘어 이동된 픽셀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는 2260 단계로 진행하여 기준점 반대편으로 픽셀을 이동시킨다. 즉, 픽셀을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것이다.
225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된 픽셀이 기준점을 넘어 이동된 픽셀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2270 단계로 바로 진행한다.
227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선택하지 않은 픽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하지 않은 픽셀이 존재하는 경우, 2270 단계로 되돌아가 위 과정을 반복한다. 227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가 선택하지 않은 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투영 이미지의 복원이 완료된 것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재구성된 직사각형 이미지를 투영 이미지로 복원시키는 방법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직사각형 이미지 재구성 방법에 따라 다양한 복원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도 19의 설명으로 돌아가면, 1930 단계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투영 이미지를 다면체로 복원하고, 다면체를 역투영(back-projection)하여 역투영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역투영 이미지는 특정 위치를 둘러싼 주위 환경을 나타내는 이미지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 이미지가 이미지들을 다면체에 투영하는 경우 다면체의 영역에 대응되는 전개도의 영역에 상기 이미지들을 투영함으로써 생성되는 경우 투영 이미지를 조립함으로써 다면체로 복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 이미지가 다면체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상기 다면체에 투영된 이미지들을 투영함으로써 생성되는 경우 투영 이미지를 입체화함으로써 다면체로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처리 장치는 특정 위치를 둘러싼 주위 환경 전체 또는 일부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가 가상 현실 장치이고, 사용자가 가상 현실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시선에 따라 사용자 주위 환경에 대한 역투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역투영 이미지는 사용자 주위 환경 전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아니라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보여지는 사용자 주위 환경 중 일부를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역투영 이미지는 사용자 주위 환경 전체를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도 있다. 즉, 역투영 이미지는 360도 이미지일 수도 있다. 이미지 처리 장치는 1920 단계에서 적은 데이터를 갖는 직사각형 이미지를 이용하여 투영 이미지를 복원함으로써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 따르면, 처리된 직사각형 이미지를 바탕으로 역투영 이미지 생성 시, 적은 데이터를 복원함에 따라 적은 전력으로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도 2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이미지 처리 장치(2300)는 수신부(2310), 메모리(2320) 및 제어부(2330)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처리 장치(2300)는 가상 현실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이미지 처리 장치(1800)와 동일한 장치일 수 있다.
수신부(2310)는 직사각형 이미지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수신하는 직사각형 이미지는 이미지 처리된 직사각형 이미지일 수 있다. 수신부(2310)는 USB 인터페이스부, DVD 인터페이스부 등 다양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230)가 USB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2300)는 이미지 파일을 USB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나아가,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경우, 통신부가 수신부(2310)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근거리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유선 인터넷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2320)는 이미지 처리 장치(23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모리(232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 저장 매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RAM, DRAM, S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가 포함될 수 있으며,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낸드 메모리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2320)는 제어부(233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330)는 이미지 처리 장치(23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며, 메모리(2320)를 제어함으로써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330)는 이미지 처리 장치(23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 주변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코어와 GPU를 통합한 SoC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30)는 직사각형 이미지 획득하고, 직사각형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투영 이미지를 복원하며, 투영 이미지를 다면체로 복원하고, 다면체를 역투영하여 역투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사각형 이미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이미지(310)들을 획득하고, 다면체(320)의 전개도에 이미지(310)들을 투영하여 투영 이미지(410)를 생성하며 상기 투영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여 생성된 이미지일 수 있다. 즉, 1910 단계에서 획득하는 직사각형 이미지는 도 2 내지 도 17에서 도시하고 있는 이미지 처리 방법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 이미지가 이미지들을 다면체에 투영하는 경우 다면체의 영역에 대응되는 전개도의 영역에 상기 이미지들을 투영함으로써 생성되는 경우 투영 이미지를 조립함으로써 다면체로 복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 이미지가 다면체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상기 다면체에 투영된 이미지들을 투영함으로써 생성되는 경우 투영 이미지를 입체화함으로써 다면체로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30)는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미지 처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복되는 내용은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30)는 수신부(2310)를 제어하여 직사각형 이미지를 투영 이미지로 복원하는데 필요한 복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투영 이미지 복원 시, 수신한 복원 정보를 바탕으로 투영 이미지를 복원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2300)는 직사각형 이미지를 바탕으로 역투영 이미지 생성 시, 적은 데이터를 복원함에 따라 적은 전력으로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지금까지는 획득한 이미지(310)를 정20면체에 투영하는 것을 예로 들어 이미지 처리 과정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다면체(320)는 정20면체에 한정되지 않고, 획득한 이미지(310)를 다양한 형태의 다면체(320)에 투영하여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4에 다양한 형태의 다면체(320)를 이용하여 생성한 투영 이미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투영 이미지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a)는 정팔면체, 도 24(b), (c)는 정육면체, (d)는 18면체에 각각 획득한 이미지(310)를 투영하여 생성할 수 있는 투영 이미지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이러한 다면체들을 동일한 모양과 면적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삼각형으로 구성되는 다면체일 수 있다. 이때, 다면체의 일 면은, 삼각형이 둘 이상 모여 만들어진 다른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c)는 각 면이 2개의 삼각형이 합쳐져 만들어진 사각형으로 구성되는 정육면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4에 도시된 다면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다면체를 이용하여 투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일 실시예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5)

  1.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
    다면체에 상기 이미지들을 투영하여 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투영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rectangular image)로 재구성(reshaping)하는 단계; 및
    상기 직사각형 이미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에 상기 이미지들을 투영하여 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들을 상기 다면체에 투영하는 경우 상기 다면체의 영역에 대응되는 전개도의 영역에 상기 이미지들을 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에 상기 이미지들을 투영하여 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면체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상기 다면체에 투영된 상기 이미지들을 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투영 이미지의 픽셀을 이동시킨 후 적어도 하나의 여백을 추가하여 직사각형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단계는,
    각 행(row) 별로 상기 각 행에 포함된 픽셀들의 평행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평행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각 행의 왼쪽 끝(left edge) 또는 오른쪽 끝(right edge)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지도록 상기 각 행 별로 상기 각 행에 포함된 픽셀들을 왼쪽(left) 또는 오른쪽(right)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단계는,
    각 열(column) 별로 상기 각 열에 포함된 픽셀들의 수직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수직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각 열의 위쪽 끝(top edge) 또는 아래쪽 끝(bottom edge)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픽셀이 채워지도록 상기 각 열 별로 상기 각 열에 포함된 픽셀들을 위쪽(up) 또는 아래쪽(down)으로 수직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을 이동 시킨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투영 이미지의 제1 경계선(boundary)을 구성하는 픽셀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상기 제1 경계선을 구성하는 픽셀들이 상기 제1 경계선과 연결되는 반대편 경계선인 제2 경계선에 연결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투영 이미지 내에 복수 개의 기준선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픽셀들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이미지를 상기 투영 이미지로 복원하는데 필요한 복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는,
    동일한 모양과 면적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삼각형으로 구성되는 다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12. 직사각형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직사각형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투영 이미지를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투영 이미지를 다면체로 복원하고, 상기 다면체를 역투영(back-projection)하여 역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이미지를 상기 투영 이미지로 복원하는데 필요한 복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영 이미지를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복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투영 이미지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이미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다면체에 상기 이미지들을 투영하여 투영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투영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15.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다면체에 상기 이미지들을 투영하여 투영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투영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직사각형 이미지로 재구성하고, 상기 직사각형 이미지를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KR1020187025485A 2016-04-05 2016-05-18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493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3537 WO2017175888A1 (ko) 2016-04-05 2016-04-05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PCT/KR2016/003537 2016-04-05
PCT/KR2016/005289 WO2017175910A1 (ko) 2016-04-05 2016-05-18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049A true KR20180132049A (ko) 2018-12-11
KR102493124B1 KR102493124B1 (ko) 2023-01-30

Family

ID=6000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485A KR102493124B1 (ko) 2016-04-05 2016-05-18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25133B2 (ko)
EP (1) EP3416138B1 (ko)
KR (1) KR102493124B1 (ko)
CN (1) CN109074677B (ko)
WO (2) WO20171758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413A (ko) *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팀제파 멀티 프로젝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5858B (zh) 2016-05-16 2022-09-13 三星电子株式会社 视频编码方法和设备、视频解码方法和设备
WO2018124720A1 (ko) 2016-12-27 2018-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360도 이미지를 부호화 또는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US10891711B2 (en) 2017-04-13 2021-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108307166A (zh) * 2018-03-09 2018-07-20 嘀拍信息科技南通有限公司 一种新的全景视频传输投影模型
CN111489411B (zh) * 2019-01-29 2023-06-20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线条绘制方法、装置、图像处理器、显卡及车辆
GB2585645B (en) * 2019-07-08 2024-04-17 Toshiba Kk Computer vision method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4601A (en) 1944-01-25 1947-07-29 Joel E Crouch Icosahedral map
US6459451B2 (en) * 1996-06-24 2002-10-01 Be Her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anoramic camera to capture a 360 degree image
JP2003141562A (ja) * 2001-10-29 2003-05-16 Sony Corp 非平面画像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記憶媒体、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259784B2 (en) 2002-06-21 2007-08-2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mera color calibration and image stitching
US7782357B2 (en) 2002-06-21 2010-08-24 Microsoft Corporation Minimizing dead zones in panoramic images
US20060013505A1 (en) * 2002-11-06 2006-01-19 Shing-Tung Yau Analysis of geometric surfaces by comformal structure
JP4355535B2 (ja) * 2003-08-07 2009-11-04 株式会社岩根研究所 360度画像変換処理装置
KR100732958B1 (ko) 2004-08-13 2007-06-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20면체 파노라마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장치
KR100755450B1 (ko) * 2006-07-04 2007-09-0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평면 호모그래피를 이용한 3차원 재구성 장치 및 방법
CN101606177B (zh) * 2007-01-04 2013-07-17 鸣川肇 信息处理方法
KR101120131B1 (ko) 2009-05-29 2012-03-22 주식회사 영국전자 지능형 광역 감시 카메라, 그 제어회로 및 제어방법,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 시스템
CN102342099A (zh) 2009-05-29 2012-02-01 (株)荣国电子 智能型监控摄像装置及采用该装置的影像监控系统
US20130044258A1 (en) 2011-08-15 2013-02-21 Danfung Dennis Method for presenting video content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130043300A (ko) * 2011-10-20 2013-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를 통해 투사되는 영상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870636B2 (ja) * 2011-11-09 2016-03-0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6506648A (ja) 2012-12-06 2016-03-03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パノラマ画像のための環状ビュー
JP6421445B2 (ja) * 2014-01-24 2018-11-14 株式会社リコー 投影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校正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112616B2 (ja) * 2014-04-18 2017-04-12 Necフィールディング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527503A (en) 2014-06-17 2015-12-30 Next Logic Pty Ltd Generating a sequence of stereoscopic images for a head-mounted display
US10204658B2 (en) 2014-07-14 2019-02-12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playing back panorama video content
JP6464599B2 (ja) * 2014-07-31 2019-02-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higang Li and Ying Hai, ‘A Full-View Spherical Image Format’, 201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attern Recognition, 23-26 August 201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413A (ko) *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팀제파 멀티 프로젝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124B1 (ko) 2023-01-30
US10825133B2 (en) 2020-11-03
CN109074677B (zh) 2023-07-07
CN109074677A (zh) 2018-12-21
EP3416138B1 (en) 2020-09-23
EP3416138A1 (en) 2018-12-19
US20190108612A1 (en) 2019-04-11
WO2017175888A1 (ko) 2017-10-12
WO2017175910A1 (ko) 2017-10-12
EP3416138A4 (en)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2049A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9242943B (zh) 一种图像渲染方法、装置及图像处理设备、存储介质
CN108470379B (zh) 三维图像融合方法和装置
US10127722B2 (en) Mobile capture visualization incorporating thre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imagery
US11069122B2 (en) Photorealistic three dimensional texturing using canonical views and a two-stage approach
US9818217B2 (en) Data driven design and animation of animatronics
US9692965B2 (en) Omnidirectional image editing program and omnidirectional image editing apparatus
CN108352082B (zh) 将3d对象推挤到平面中的技术
Liao et al. A subdivision-based representation for vector image editing
KR101956098B1 (ko) 2.5차원 이미지를 활용한 가상 전시 공간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N103905761A (zh) 图像处理系统和图像处理方法
KR20190125526A (ko) 사용자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3610981A (zh) 脸部模型生成方法、交互方法及相关装置
KR20180056124A (ko) 전자 장치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
KR102366258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6716500B (zh) 一种信息处理装置及深度定义方法
CN111105489A (zh) 数据合成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JP6297169B2 (ja) 描画装置、および描画方法
CN115761166A (zh) 基于矢量瓦片的地图构建方法及其应用
US10275925B2 (en) Blend shape system with texture coordinate blending
KR20180137478A (ko)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56985B1 (ko) 가상 현실 인터랙션 방법 및 그 장치
JP5616198B2 (ja) 異なる詳細度を持つ同一地物の外観表示用画像の生成方法及びその装置
CN112204624A (zh) 模型自动剪切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0684558B1 (ko) 텍스쳐 밉매핑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