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940A - 코일 부품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940A
KR20180131940A KR1020170089090A KR20170089090A KR20180131940A KR 20180131940 A KR20180131940 A KR 20180131940A KR 1020170089090 A KR1020170089090 A KR 1020170089090A KR 20170089090 A KR20170089090 A KR 20170089090A KR 20180131940 A KR20180131940 A KR 20180131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line
extension line
coil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3437B1 (ko
Inventor
정지형
문병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5/860,061 priority Critical patent/US10847308B2/en
Priority to JP2018001110A priority patent/JP6456004B2/ja
Publication of KR20180131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코일 본체와 제1 및 제2 인출부를 포함하는 내부 코일과 상기 내부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외부전극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 인출부 중 하나 이상은 제1 및 제2 인출선, 상기 제1 및 제2 인출선 중 하나 이상과 연결되어 외부전극과 직접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일 부품 {COIL COMPONENT}
본 개시는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박막형 파워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무선통신기기 및 웨어러블 기기의 발전으로 인하여 고기능의 경박단소의 부품이 요구된다. 특히, 최신의 휴대용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 주파수가 고주파화되어 가며, 사용 주파수 영역에서의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전원단에서 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파워 인덕터는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의 발전에 따라 점차 고주파수 및 고전류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요구한다.
그런데, 내부 코일 패턴의 도금 두께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외부전극 노출부의 면적을 줄이면서 칩의 외부전극과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Rdc 가 증가하여 칩 특성이 나빠지게된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1999-204337호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여러 과제 중 하나는 외부전극과 내부 코일의 인출선 간의 접촉 면적을 줄이면서도 외부전극과 내부 코일 간의 접촉성을 개선하고, 내부 코일의 인출선 부근에서 과도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지지 부재, 내부 코일 및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내부 코일을 봉합하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외부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코일은 코일 본체와, 상기 코일 본체의 일 단부 및 타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인출부 및 제2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출부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인출선과 제 2 인출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인출선과 코일 본체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자성 물질로 충진되며, 상기 제1 인출부는 상기 제1 외부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외부전극과 상기 내부 코일 간의 접촉 면적을 확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선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여러 효과 중 하나는 외부전극과 내부 코일 인출선 간의 접촉성을 강화하여 Rdc 를 감소시키고 과도금을 방지하여 도금 두께의 균일성을 개선하는 코일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 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 는 도1 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3 은 도2 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상면도이다.
도4(a) 는 도2 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상면도이며, 도4(b) 는 도4(a) 의 절단 이전의 개략적인 상면도의 일부이다.
도5(a) 는 도2 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상면도이며, 도5(b) 는 도5(a) 의 절단 이전의 개략적인 상면도의 일부이다.
도6(a) 는 도2 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상면도이며, 도5(b) 는 도5(a) 의 절단 이전의 개략적인 상면도의 일부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설명하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코일 부품
도1 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2 는 도1 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1 및 도2 를 참조하면, 코일 부품 (100) 은 바디 (1) 와 상기 바디의 외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외부전극 (21, 22) 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 (1) 는 코일 부품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두께 (T)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면 및 하면, 폭 (W)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길이 (L)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단면 및 제2 단면을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디 (1) 는 자성 특성을 가지는 자성 물질 (11), 상기 자성 물질에 의해 봉합되는 지지 부재 (12) 및 내부 코일 (13) 을 포함한다.
상기 자성 물질 (11) 은, 예를 들어, 페라이트 또는 금속계 연자성 재료가 충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로 Mn-Zn계 페라이트, Ni-Zn계 페라이트, Ni-Zn-Cu계 페라이트, Mn-Mg계 페라이트, Ba계 페라이트 또는 Li계 페라이트 등의 공지된 페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계 연자성 재료로는, Fe, Si, Cr, Al, 및 Ni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일 수 있고, 예를 들어, Fe-Si-B-Cr 계 비정질 금속 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계 연자성 재료의 입경은 0.1 ㎛ 이상 20㎛ 이하일 수 있으며,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 상에 분산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 (12) 는 내부 코일을 지지하며, 내부 코일을 보다 박형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인데, 실질적으로 그 전체적인 형상은 그에 의해 지지되는 내부 코일의 형상과 대응된다. 상기 지지 부재는 절연 특성을 가지는 박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적절한데, 예를 들어, PCB 기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 부재 (12) 의 두께는 상기 내부 코일을 지지하기 적절한 정도이면 충분한데, 예를 들어, 약 6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부재는 중앙에 관통홀 (H) 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 (H) 은 자성 물질로 충진되어 자성 코어의 기능을 하며, 코일 부품의 투자율을 증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내부 코일 (13) 을 살펴보면, 상기 내부 코일은 전체적으로 스파이럴 형상을 가지는 코일 본체 (131) 와 상기 코일 본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인출부 (132) 및 제2 인출부 (133) 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인출부는 지지 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외부전극과 연결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2 인출부는 지지 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제2 외부전극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 및 제2 인출부는 지지 부재 내 포함되는 비아전극 (v) 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및 제2 인출부는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 부재와 직접 접하면서 시드 패턴으로서 기능하는 베이스층과 그 위의 도금층을 포함한다. 상기 도금층은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이방 도금층 및 등방 도금층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출부는 실질적으로 제2 인출부와 대칭적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대칭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은 그 형상 및 사이즈 등이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외부전극과 연결되는 제1 인출부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제2 외부전극과 연결되는 제2 인출부에도 상기 제1 인출부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1 및 도2 를 참조하면, 제1 인출부 (132) 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인출선 (1321) 과 제2 인출선 (1322) 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인출선은 모두 코일 본체 (131) 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인출선, 상기 코일 본체에 의해 개구부 (h) 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의 내부는 자성 물질로 충진된다. 상기 개구부 (h) 는 자성 물질을 충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대하는 기능을 하는 것과 함께, 제1 인출부를 형성할 때 도금의 면적이 넓어지면 과도금이 우려되는바, 이러한 과도금을 방지하여 균일한 도금 두께를 구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 인출선 (1321) 의 일단부는 제1 외부전극과 연결되며 타단부는 코일 본체와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인출선 (1322) 의 일단부는 제1 외부전극과 연결되며 타단부는 코일 본체와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1 인출선과 제2 인출선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그 길이에 있어서, 제1 인출선이 제2 인출선보다 더 길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인출선과 제2 인출선의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인출부와 수직하도록 구성되는 제1 연장선 (132a) 이 더 배치된다. 상기 제1 연장선은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립 형상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 인출부의 각각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공정 조건에 따라 적절한 폭을 선택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 연장선 (132a) 은 상기 제1 및 제2 인출선과 구별되는 경계를 가지는 것으로 표현하였지만, 제1 연장선과 제1 및 제2 인출선은 동일한 도금 공정을 통해 한번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인출선 내지 연장선들 간에 경계선이 보여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1 및 제2 인출선과 구별되는 상이한 재질이나 상이한 공정을 통해 제1 연장선을 형성하는 경우, 각각의 인출선 내지 연장선들 간에 경계선이 확인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및 제2 인출선이 코일 본체와 함께 형성하는 개구부에 의해, 제1 인출부의 상면 및 하면의 단면적이 작아지고,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적은 오히려 증가하기 때문에 과도금 및 도금 두께 편차 발생의 우려가 감소될 수 있다. 다만, 이처럼 제1 인출부에 제1 및 제2 인출선을 적용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게 되면, 제1 인출부와 제1 외부전극 간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면서, Rdc 값이 증가할 수 있는 우려가 있게된다. 그런데, 본 개시의 코일 부품은 제1 연장선을 더 포함하기 때문에, 제1 인출부와 제1 외부전극 간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결과적으로, 과도금 방지, 도금 두께 편차의 방지, Rdc 특성 저하 방지, 및 접촉면적의 충분한 확보로 인한 신뢰성 개선의 효과를 동시에 발휘할 수가 있는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다.
도2 를 참조하면, 제1 연장선 (132a) 이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은 다이싱 절단면 (D) 으로 구성되는데, 다이싱 절단면과 그 이외의 외부면을 구별하기 위하여 다이싱 절단면은 보다 두꺼운 선으로 표시한다. 제1 연장선 (132a) 의 폭, 다시 말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다이싱 공정을 통해 제어가능한데, 다이싱 블레이드의 변동폭이 미리 준비해 둔 최초의 제1 연장선의 폭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경우에는 제1 연장선을 폭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하여 다이싱 절단면이 최대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외부전극과의 접촉성 개선과 도금 두께 균일성 확보에 있어서 유리하다.
다음, 도3 에 개시된 코일 부품 (200) 은 도2 의 코일 부품 (100) 과 대비하여 제1 및 제2 인출선 사이에 제1 및 제2 인출선과 나란한 제3 인출선 (1323) 이 더 포함되는 것이 상이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1 및 도2 의 코일 부품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3 의 코일 부품 (200) 은 제3 인출선 (1323) 을 더 포함하기 있기 때문에, 내부 코일의 인출부의 도금 성장에 있어서 과도금이 발생할 가능성이 보다 낮아진다. 또한, 제3 인출선에 의해 내부 코일의 상면 및 하면으로 자성 시트 내지 자성 몰딩재를 압착할 때, 인출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보다 분산될 수 있고, 인출부의 뒤틀림 등의 문제가 개선될 수 있어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제1 및 제2 인출선 사이에 복수의 인출선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각각의 인출선의 폭을 차별화할 수 있고, 형상을 물결 형상이나 V 자 형상 등으로 변형할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또한, 도3 의 코일 부품 (200) 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연장선은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연장선 (132a) 과 제2 연장선 (132b) 을 포함하여, 복수의 연장편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연장선이 제3 인출선에 의해 서로 이격되도록 표현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1회의 공정으로 제1 및 제2 연장선, 제3 인출선을 동시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구성 간 경계선이 확인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도4(a) 는 도2 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코일 부품 (300) 의 상면도이며, 도4(b) 는 도4(a) 의 절단 이전의 개략적인 상면도의 일부이다. 그래서, 도4(b) 는 점선으로 표현된 다이싱 절단선 (D) 을 포함한다. 도4(a) 및 도4(b) 에서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2 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4(a) 는 제1 및 제2 인출선 (132) 사이에 이와 평행한 제3 인출선 (1323) 및 제4 인출선 (1324) 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인출선은 길이 방향과 나란하며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내지 제4 인출선과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제1 연장선 (132a) 및 제2 연장선 (132b) 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연장선 (132a) 은 제2 연장선 (132b) 와 불연속적으로 배치된 연장편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연장선은 제2 연장선으로부터 길이 방향 및 폭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연장선과 제1 외부전극이 서로 접촉하는 모서리와 상기 제2 연장선과 제1 외부전극이 서로 접촉하는 모서리로서, 제1 및 제2 연장선이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은 다이싱 절단면 (D) 으로 구성되는데, 다이싱 절단면과 그 이외의 외부면을 구별하기 위하여 다이싱 절단면은 보다 두꺼운 선으로 표시한다. 상기 제1 및 제2 연장선이 제1 외부전극과 서로 맞닿는 모서리에 의해 제1 외부전극과 내부 코일 간의 접촉 면적이 더 증가될 수 있고, Rdc 가 감소될 수 있다.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연장선 (132a) 의 길이 (제1 연장선의 폭: W1) 는 상기 제2 연장선 (132b) 의 길이 (제2 연장선의 폭: W2) 보다 더 짧은데, 이는, 후술하는 도4(b) 를 참조하면, 절단 이전에 제2 연장선이 제1 연장선에 비해 코일 본체쪽으로 배치되었기 때문이다. 제2 연장선에 비해 제1 연장선이 더 많이 절단되어 칩 내부로 잔존하지 않은 것이다.
도4(b) 를 참조하면, 도4(a) 의 다이싱 절단면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 수 있다. 도4(b) 에서, 다이싱 절단면 (D) 의 우측은 절단 후 칩 형태로서 잔존하는 영역 (도4(a) 와 일치) 이며, 좌측은 절단 후 칩 이외의 영역이다. 도4(b) 에서 알 수 있듯이 코일 부품 (300) 내 잔존하는 제1 및 제2 연장선 이외에 제2 연장선의 연장부 (132b') 과 제3 연장선 (132c') 이 더 포함되는데, 상기 제2 연장선의 연장부와 상기 제3 연장선은 다이싱 공정 이후 제거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잔존하는 구성과 구별하기 위하여 우측 상단에 "(')" 로 표시하였다. 제1 내지 제3 연장선 (132a, 132b, 132b', 132c') 은 제1 내지 제4 인출선들과 전체적으로 계단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도4(b) 의 제3 연장선은 다이싱 절단면을 보다 좌측으로 이동하여 칩의 길이 방향 사이즈를 더 크게 하는 경우, 칩 내부에 잔존할 수도 있는 구성이다. 다이싱 블레이드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작동할 때, 다이싱 블레이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의 연장편을 배치시켜두게 되면, 다이싱 블레이드의 변동폭이 선폭보다 커서 연장편의 어느 것도 확보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가 발생할 우려를 없앨 수가 있다.
다음, 도5(a) 는 도2 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코일 부품 (400) 의 상면도이며, 도5(b) 는 도5(a) 의 절단 이전의 개략적인 상면도의 일부이다. 그래서, 도5(b) 는 점선으로 표현된 다이싱 절단선 (D) 을 포함한다. 도5(a) 및 도5(b) 에서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2 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5(a) 를 참조하면, 코일 부품 (400) 은 제1 및 제2 인출선 (1321, 1322) 사이에 이와 평행한 제3 인출선 (1323) 및 제4 인출선 (1324) 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인출선은 길이 방향과 나란하며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내지 제4 인출선과 소정의 각도 (θ) 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제1 연장선 (132a) 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연장선 (132a) 과 복수의 인출선 간 각도는 직각보다 작은 예각이면 충분하며,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선 (132a) 에 의해 제1 외부전극과 내부 코일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는데, 실질적으로 제1 외부전극과 내부 코일 간의 접촉되는 모서리는 두꺼운 실선으로 표시한다.
상기 제1 연장선 (132a) 은 절단 공정 이전에는 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스트립 형상을 가졌으나, 다이싱 절단면에 의해 스트립의 일부 만이 잔존하게 된 것인데,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5(b) 를 참조한다.
도5(b) 에서, 다이싱 절단면 (D) 의 우측은 절단 후 칩 형태로서 잔존하는 영역 (도5(a) 와 일치) 이며, 좌측은 절단 후 칩 이외의 영역이다. 도5(b) 에서 알 수 있듯이 코일 부품 (400) 내 잔존하는 제1 연장선 (132a) 이외에 상기 제1 연장선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선 연장부 (132a') 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제1 연장선 연장부 (132a') 는 다이싱 공정 이후 제거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잔존하는 구성과 구별하기 위하여 우측 상단에 " (')" 을 표시하였다. 상기 제1 연장선 연장부 (132a') 와 제1 연장선 (132a) 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사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다이싱 블레이드를 길이 방향에 따라 이동하며 작동할 때, 다이싱 블레이드의 변동폭이 상당히 크더라도 연장편의 적어도 일부를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게 되며, 그 결과, 제1 외부전극과 제1 인출부 간에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다음, 도6(a) 는 도2 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코일 부품 (500) 의 상면도이며, 도6(b) 는 도6(a) 의 절단 이전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그래서, 도6(b) 는 점선으로 표현된 다이싱 절단선 (D) 을 포함한다. 도6(a) 및 도6(b) 에서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2 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6(a) 는 제1 및 제2 인출선 (132) 사이에 이와 평행한 제3 인출선 (133) 및 제4 인출선 (134) 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인출선은 길이 방향과 나란하며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내지 제4 인출선과 소정의 각도 (θ1, θ2) 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제1 연장선 (132a) 과 제2 연장선 (132b) 를 더 포함하며, 제1 연장선과 제2 연장선은 서로 불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연장편으로서, 제1 및 제2 연장선을 보면, 상기 제1 연장선 (132a) 과 인출선 간의 각도 (θ1) 및 상기 제2 연장선 (132b) 과 인출선 간의 각도 (θ2) 는 직각보다 작은 예각이면 충분하며,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연장선과 적어도 하나의 인출선 간의 각도와 제2 연장선과 적어도 하나의 인출선 간의 각도가 서로 상이한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연장선 (132a, 132b) 에 의해 제1 외부전극과 내부 코일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는데, 실질적으로 제1 외부전극과 내부 코일 간의 접촉되는 모서리는 두꺼운 실선으로 표시한다.
상기 제1 및 제2 연장선 (132a, 132b) 은 절단 공정 이전에는 연속적으로 연결된 것이며, 다이싱 절단면 (D) 에 의해 불연속적으로 잔존하게 된 것인데,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6(b) 를 참조한다. 여기서, 절단 공정 이전에는 연속적으로 연결된 것이라는 의미는, 재질의 차이에 따라 경계선이 있는 경우, 혹은 재질의 동일성에 따라 경계선이 없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6(b) 에서, 다이싱 절단면 (D) 의 우측은 절단 후 칩 형태로서 잔존하는 영역 (도6(a) 와 일치) 이며, 좌측은 절단 후 칩 이외의 영역이다. 도6(b) 에서 알 수 있듯이 코일 부품 (500) 내 잔존하는 제1 및 제2 연장선 (132a, 132b) 이외에 상기 제1 및 제2 연장선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및 제2 연장선 연장부 (132a', 132b') 및 제3 연장부 (132c') 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제1 및 제2 연장선 연장부와 제3 연장부는 다이싱 공정 이후 제거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잔존하는 구성과 구별하기 위하여 우측 상단에 " (')" 을 표시하였다. 상기 제1 연장선 연장부 (132a'), 제1 연장선 (132a) 및 제2 연장선 (132b), 제3 연장부 (132c') 은 전체적으로 V 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다이싱 블레이드를 길이 방향에 따라 이동하며 작동할 때, 다이싱 블레이드의 변동폭이 상당히 크더라도 연장편의 적어도 일부를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게 되며, 그 결과, 제1 외부전극과 제1 인출부 간에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기의 설명을 제외하고 상술한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제1 인출부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제2 인출부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인출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개시에 따른 코일 부품에 의할 경우, 내부 코일의 인출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외부전극과 내부 코일의 인출부 간의 접촉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Rdc 감소 및 접착력 증가의 효과를 도출하고, 과도금을 방지시켜 도금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도출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일 예"라는 표현은 서로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각 서로 다른 고유한 특징을 강조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시된 일 예들은 다른 일례의 특징과 결합되어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한 일예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일예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일례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일예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때,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100: 코일 부품
1: 바디
11: 자성 물질
12: 지지 부재
13: 코일
131: 코일 본체
132: 코일 인출부
132a, 132b: 코일 인출선
21, 22: 제1 및 제2 외부전극

Claims (16)

  1.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내부 코일 및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내부 코일을 봉합하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고, 두께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면 및 하면,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단면 및 제2 단면을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외부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코일은 코일 본체와 상기 코일 본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인출부 및 제2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출부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인출선과 제2 인출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출선, 상기 제2 인출선 및 상기 코일 본체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자성 물질로 충진되며,
    상기 제1 인출부는, 상기 제1 외부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외부전극과 상기 내부 코일 간의 접촉 면적을 확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선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선은 상기 제1 및 제2 인출선과 180° 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는, 코일 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출부는 상기 내부 코일의 코일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인출부와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는, 코일 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선의 적어도 일 모서리는 절단선인, 코일 부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출선의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인출선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인출선과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제3 인출선이 더 포함되는, 코일 부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선은 상기 제1 및 제2 인출선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단일의 연장선인, 코일 부품.
  7. 제6항에 있어서,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인출선과 상기 제2 인출선 간의 이격된 길이는 상기 상기 연장선과 상기 제1 외부전극 간의 접촉되는 모서리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짧은, 코일 부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선의 단면은 스트립 형상인, 코일 부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선은 상기 제1 및 제2 인출선의 사이에서 불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폭방향 및 길이 방향 중 하나 이상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연장편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장편은 상기 개구부에 대한 폭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코일 부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장편의 각각은 스트립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스트립 형상의 최대 폭은 동일한, 코일 부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장편의 각각은 스트립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스트립 형상의 최대 폭은 상이한, 코일 부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출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선은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는, 코일 부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출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선은 서로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는, 코일 부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출부는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 부재와 직접 접하는 베이스층과 그 위에 도금층으로 구성되는, 코일 부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출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선, 및 상기 코일 본체는 경계면이 없는 일체로 구성되는, 코일 부품.


KR1020170089090A 2017-06-01 2017-07-13 코일 부품 KR101973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60,061 US10847308B2 (en) 2017-06-01 2018-01-02 Coil component
JP2018001110A JP6456004B2 (ja) 2017-06-01 2018-01-09 コイル部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68537 2017-06-01
KR1020170068537 2017-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940A true KR20180131940A (ko) 2018-12-11
KR101973437B1 KR101973437B1 (ko) 2019-09-02

Family

ID=6467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090A KR101973437B1 (ko) 2017-06-01 2017-07-13 코일 부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456004B2 (ko)
KR (1) KR1019734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376A (ko) * 2019-04-12 2020-10-21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부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19567B2 (ja) * 2020-07-15 2024-07-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4337A (ja) 1998-01-12 1999-07-30 Tdk Corp 平面コイル及び平面トランス
JP2002015925A (ja) * 2000-06-27 2002-01-18 Fdk Corp 積層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2009295927A (ja) * 2008-06-09 2009-12-17 Tdk Corp 薄膜電子部品
KR20160014302A (ko) * 2014-07-29 2016-02-11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20160081054A (ko) * 2014-12-30 2016-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4917A (ja) * 2014-06-17 2016-01-12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KR101792317B1 (ko) * 2014-12-12 2017-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4337A (ja) 1998-01-12 1999-07-30 Tdk Corp 平面コイル及び平面トランス
JP2002015925A (ja) * 2000-06-27 2002-01-18 Fdk Corp 積層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2009295927A (ja) * 2008-06-09 2009-12-17 Tdk Corp 薄膜電子部品
KR20160014302A (ko) * 2014-07-29 2016-02-11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20160081054A (ko) * 2014-12-30 2016-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376A (ko) * 2019-04-12 2020-10-21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56004B2 (ja) 2019-01-23
JP2018207093A (ja) 2018-12-27
KR101973437B1 (ko) 201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301B1 (ko) 자성시트, 무선충전 모듈 및 자성시트 제조방법
US10475569B2 (en) Inductor and printed circuit board
KR102004807B1 (ko) 코일 부품
US9653797B2 (en) Antenna module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823191B1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681405B1 (ko) 파워 인덕터
KR20180131940A (ko) 코일 부품
KR20150035280A (ko) 코일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04915A (ko) 박막형 인덕터
US20190156977A1 (en) Coil component
KR102609143B1 (ko) 코일 전자 부품
KR20190032896A (ko) 박막형 칩 전자부품
CN210432325U (zh) 磁场屏蔽片和具备其的无线电力接收装置以及便携终端设备
CN109087775B (zh) 线圈组件
KR20150134858A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실장기판
KR20180024045A (ko)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85976A (ko) 자성 시트와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안테나 장치
CN205846205U (zh) 半闭合金属缝隙环境下的nfc天线
US10607766B2 (en) Coil component including coil disposed on a projection
KR20190074465A (ko) 코일 전자부품
KR20170086362A (ko) 코일 부품
US10847308B2 (en) Coil component
KR20190004916A (ko) 박막형 인덕터
KR101962001B1 (ko) 자성체 시트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안테나 및 이의 형성 방법
KR20170085873A (ko) 칩 전자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