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778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778A
KR20180131778A KR1020170068288A KR20170068288A KR20180131778A KR 20180131778 A KR20180131778 A KR 20180131778A KR 1020170068288 A KR1020170068288 A KR 1020170068288A KR 20170068288 A KR20170068288 A KR 20170068288A KR 20180131778 A KR20180131778 A KR 20180131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time
filter
driving time
re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8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1778A/ko
Priority to US15/656,006 priority patent/US20180347838A1/en
Priority to CN201710670339.6A priority patent/CN109000305A/zh
Publication of KR20180131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46/004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by using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30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실내 공간으로 토출하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의 풍속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팬; 상기 팬의 전단에 구비되는 필터;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도 감지 센서; 및 상기 팬 및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풍속을 고려하여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계산되고,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
본 발명은 실내 공기의 오염도 및 공기조화기의 풍속에 기초하여 필터의 보다 정확한 교체시기를 판단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는 실외기에 구비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실내기에 구비될 수 있다. 팽창밸브는 실내기 및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실내기에는 상기 실내기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는 상기 실내기 내에서 팬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는 실내기에 형성된 공기유입구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팬이 구동되면, 상기 실내기로 유입되는 공조공간의 공기는 상기 필터를 통해 여과되고, 실내열교환기를 통해 냉매와 열교환한 후에 상기 실내기 밖으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공기청정기인 경우,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외기의 구성 및 실내열교환기의 구성은 제외되며, 공기청정기는 팬 및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필터를 청소하지 않고 장시간 사용할 경우, 필터에 쌓인 이물질로 인해, 실내기로부터 토출된는 공기의 여과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터를 적절한 시기에 청소하지 않을 경우, 필터에 쌓인 이물질이 공기의 유동 경로를 막아서, 토출 공기의 풍속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필터의 설치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 또는 공기조화기의 구동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필터의 청소 또는 교체 시점을 알려주는 공기조화기가 일반적으로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999-0048551호는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공기청정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내기(또는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환경 및 풍속에 따라서, 필터의 청소 또는 교체 시점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먼지가 많은 환경에 실내기 또는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경우 필터는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로 청소 또는 교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풍의 사용시간이 길수록 필터는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로 청소 또는 교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상대적으로 먼지가 적은 환경에 실내기 또는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경우 필터는 상대적으로 긴 주기로 청소 또는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약풍의 사용시간이 길수록 필터는 상대적으로 긴 주기로 청소 또는 교체될 수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필터의 청소 또는 교체 주기를 일괄적으로 결정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먼지가 많은 환경에 실내기가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필터의 오염으로 인한 실내기의 풍량 저하를 팬 또는 실내기의 고장으로 오판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기의 설치 환경에 따라서 필터의 교체 시점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 저하에 대하여, 사용자가 실내기 또는 팬의 고장으로 오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실내 공간으로 토출하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의 풍속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팬; 상기 팬의 전단에 구비되는 필터;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도 감지 센서; 및 상기 팬 및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풍속을 고려하여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계산되고,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풍속은 약풍, 중풍 및 강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을 계산할 때, 상기 팬의 실제 구동시간에 상기 풍속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을 계산할 때, 약풍, 중풍 및 강풍의 순서로 가중치를 점진적으로 높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을 계산할 때, 상기 팬의 실제 구동 시간에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값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값이 클수록 큰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계산된 팬의 누적 구동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먼지 필터 및 탈취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과,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는 먼지 센서 및 가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상기 먼지 필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하기 위한 기설정된 제1시간 및 상기 탈취 필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하기 위한 기설정된 제2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시간과 상기 제2시간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작동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계산된 팬의 누적 구동시간이 제1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표시부에 먼지 필터의 교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계산된 팬의 누적 구동시간이 제2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표시부에 탈취 필터의 교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 상기 제1시간 및 상기 제2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은 먼지 필터 및 탈취 필터 각각에 대하여 구분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팬, 필터 및 오염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으로서, 팬의 구동이 개시되는 팬 구동단계; 팬의 풍속이 감지되는 풍속감지단계; 및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필터의 교체 시기가 판단되는 필터교체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교체판단단계에서 상기 풍속을 고려하여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이 계산되고, 상기 누적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가 판단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필터교체판단단계는 누적 구동시간 계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팬의 풍속은 약풍, 중풍 및 강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적 구동시간이 계산될 때, 상기 풍속에 따른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누적 구동시간이 계산될 때, 약풍, 중풍 및 강풍의 순서로 가중치가 점진적으로 높게 적용될 수 잇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필터교체판단단계 이전에, 오염도 감지 센서에 의해 공조공간의 오염도가 감지되는 오염도감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적 구동시간이 계산될 때, 오염도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오염도에 따라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오염도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오염도가 높을수록 상기 누적 구동시간의 계산에 큰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먼지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교체판단단계는 계산된 누적 구동시간과 상기 먼지 필터의 교체를 위한 기설정된 제1시간의 비교를 통해 먼지 필터의 교체 여부가 판단되는 제1판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먼지 필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탈취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교체판단단계는 계산된 누적 구동시간과 상기 탈취 필터의 교체를 위한 기설정된 제2시간의 비교를 통해 탈취 필터의 교체 여부가 판단되는 제2판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판단단계에서 상기 누적 구동시간이 상기 제1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부를 통해 먼지 필터의 교체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제1알람단계, 및 상기 제2판단단계에서 상기 누적 구동시간이 상기 제2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부를 통해 탈취 필터의 교체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제2알람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기의 설치 환경에 따라서 필터의 교체 시점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필터의 교체 시점을 각각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 저하에 대하여, 사용자가 실내기 또는 팬의 고장으로 오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스탠드형 실내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천정 매립형 실내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공기조화기의 실시예로서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압축기(100), 실내열교환기(200), 팽창밸브(300), 실외열교환기(40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I"는 실내기를 나타내고 "O"는 실외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팽창밸브(300)가 실내기(I)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팽창밸브(300)는 실외기(O)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실내기(I)와 실외기(O)에 각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압축기(100)는 냉매를 압축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압축기(100)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가압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로 만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는 공기조화기(10) 내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가 공기조화기(10) 내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압축기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서 직렬 및/또는 병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00)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200)는 실내 공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200) 내로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내열교환기(200)는 공기조화기(10)의 냉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는 실외 공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400) 내로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는 공기조화기(10)의 냉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00) 및 실외열교환기(400)는 핀-튜브 방식의 열교환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열교환기(200) 측에는 팬(210)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400) 측에는 실외팬(41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팬(210)은 제1모터(220)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상기 실외팬(410)은 제2모터(42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는 냉방 모드와 난방 모드가 전환될 때, 냉매의 순환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유로전환밸브(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600)는 4방 밸브(four-way valve)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로전환밸브(600)는 냉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외기로 안내하고, 난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내기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의 일측에는 어큐뮬레이터(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500)는 상기 압축기(100)를 향하는 냉매를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로 분리하고, 기상 냉매만 상기 압축기(100)로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내기(I)에는 실내기(I)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필터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스탠드형 실내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천정 매립형 실내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및 3을 함께 참조하면, 실내기(I)에는 공조공간의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50, 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50, 60)는 실내기(I) 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고 냄새를 제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내기(I)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31) 및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3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기(I)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30)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30)에 상기 공기 유입구(31) 및 공기 토출구(32)가 형성될 수 있다.
실내기(I) 내에는 팬(210), 실내열교환기(200) 및 필터(50, 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210)의 구동에 의해 공조공간의 공기는 상기 공기 유입구(31)를 통해 실내기(I) 내로 유입되고, 필터(50, 60) 및 실내열교환기(2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실내기(I) 밖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팬(210)의 작동에 따른 공기의 유동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공기 유입구(31), 상기 필터(50, 60), 상기 실내열교환기(200) 및 상기 공기 토출구(32)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50, 60)는 상기 공기 유입구(3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필터(50, 60)는 상기 팬(210) 및 상기 실내열교환기(200)에 비해 상기 공기 유입구(31)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210)이 구동되면, 공조공간의 공기는 상기 필터(50, 60)를 통과한 후에 상기 실내열교환기(200)에서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210)의 구동시간이 지속될수록, 상기 필터(50, 60)에 이물질이 쌓일 수 있다. 상기 필터(50, 60)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필터(50, 60)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50, 60)에 이물질이 쌓이면, 팬(210)의 구동에 의한 풍속이 상대적으로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50, 60)의 수명이 다되면, 필터(50, 60)를 새로운 필터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사용자는 필터(50, 60)의 교체 시기를 쉽게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필터(50, 60)의 누적 사용 시간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필터(50, 60)의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는 실내기(I)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의 저하를 실내기(I)의 고장 또는 팬(210)의 고장으로 오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오인하기 전에, 풍속의 저하가 필터(50, 60)이 쌓인 이물질에 기인한 것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필터(50, 60)는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공조공간의 환경에 따라서 그 수명에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또는 냄새가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에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필터(50, 60)의 수명은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반대로, 먼지 또는 냄새가 상대적으로 적은 공간에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필터(50, 60)의 수명은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50, 60)는 먼지 필터(50) 및 탈취 필터(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 필터(50)는 상기 탈취 필터(60)에 비해 공기 유입구(31)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공기 유입구(31)로부터 팬(210)을 향하여 상기 먼지 필터(50) 및 상기 탈취 필터(6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입구(3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먼지 필터(50) 및 상기 탈취 필터(60)를 순차적으로 경유할 수 있다.
또한, 먼지 필터(50)의 탈취 필터(60)의 수명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 필터(50)와 탈취 필터(60)의 교체 시기를 각각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공조공간의 환경을 고려하여 필터(50, 60)의 교체 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전술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공기조화기의 일 실시예로서 공기청정기의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모드가 입력되는 입력부(21), 공기조화기의 작동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22), 팬의 누적 구동 시간 및 필터(50, 60)의 교체를 위한 설정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5), 및 상기 입력부(21)와 상기 표시부(22)를 제어하며 상기 메모리(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1)와 상기 표시부(22)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21) 및 상기 표시부(22)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전술한 압축기(100), 팬(210), 실외팬(410) 및 팽창밸브(300)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공조공간에 구비되는 오염도 감지 센서(710, 7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710, 720)는 실내기(I)에 구비되거나, 공조공간에 설치되는 유선 리모컨에 구비될 수 있다.
오염도 감지 센서(710, 720)는 먼지 센서(710) 및 가스 센서(7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센서(720)는 냄새를 감지하는 냄새 센서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의 일 실시예로서 공기청정기는 공조공간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31), 먼지 필터(50), 탈취 필터(60), 팬(210) 및 토출구(32)를 구비할 수 있다.
팬(210)의 구동에 의해 흡입구(31)를 통해 공기청정기 내로 유입된 공기는 먼지 필터(50), 탈취 필터(60), 팬(210) 및 토출구(32)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공기청정기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팬(210)은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입력부(21), 표시부(22) 및 메모리(2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먼지 센서(710) 및 가스 센서(720)를 포함하는 오염도 감지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 1 내지 4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시예와 도 5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차이는 냉매의 순환을 위한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이 구비되는지 여부에 있다. 즉, 공기청정기에는 압축기 및 열교환기와 같은 구성이 필요 없으며, 특히 실외기와 같은 구성이 필요 없다.
다만, 도 1 내지 4의 실시예와 도 5의 실시예는 팬(210), 필터(50, 60), 오염도 감지 센서(710, 720)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50, 60)는 수명이 다 되면 교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서 서로 공통점이 있다.
또한, 필터(50, 60)는 팬(210)의 전단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팬(21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 경로를 기준으로 팬(210)보다 상류에 상기 필터(50, 60)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필터(50, 60)는 상기 팬(210)과 상기 흡입구(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먼지 필터(50)는 탈취 필터(60)에 비해 상기 흡입구(31)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5를 함께 참조하면, 팬(210)은 실내 공기(즉, 공조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실내공간(즉, 공조공간)으로 토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210)은 복수 개의 풍속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풍속은 약풍, 중풍 및 강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710, 720)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 센서(710)는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의 수준을 감지하고, 가스 센서(720)는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의 수준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스 센서(720)는 실내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냄새의 수준을 감지하는 냄새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210)이 구동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팬(210)의 누적 구동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팬(210)의 풍속에 따라서 단위 시간 동안 필터(50, 60)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달라질 수 있으며, 필터(50, 60)의 수명이 달리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는 팬(210)의 풍속을 고려하여 상기 누적 구동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즉, 팬(210)의 누적 구동시간은 실제로 팬(210)이 구동되는 시간에 풍속에 따른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상기 팬(210)의 누적 구동시간을 계산할 때,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에 상기 풍속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C)는 팬(210)의 누적 구동시간을 계산할 때, 약풍, 중풍 및 강풍의 순서로 가중치를 점진적으로 높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이 동일한 경우, 누적 구동시간은 약풍일 때 가장 작고 강풍일 때 가장 클 수 있다.
따라서,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에 풍속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누적 구동시간을 계산하면, 단순히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만으로 팬(210)의 수명을 판단하는 것 보다 정확한 필터(50, 60)의 수명이 판단될 수 있다.
한편,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서 필터(50, 60)의 수명이 달리질 수 있다. 즉,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필터(50, 60)의 수명은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반대로,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면 필터(50, 60)의 수명은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필터(50, 60)의 교체 주기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에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누적 구동시간을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팬(210)의 누적 구동시간을 계산할 때, 팬(210)의 실제 구동 시간에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710, 720)에서 감지된 값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710, 720)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하, 중, 상으로 판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오염도 하, 오염도 중 및 오염도 상의 순서로 가중치가 점진적으로 높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핀(210)의 실제 구동시간이 동일한 경우, 누적 구동시간은 오염도가 하일 때 가장 작고 오염도가 상일 때 가장 클 수 있다.
따라서,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에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누적 구동시간을 계산하면, 단순히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만으로 팬(210)의 수명을 판단하는 것 보다 정확한 필터(50, 60)의 수명이 판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C)는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에 팬(210)의 풍속에 따른 가중치 및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필터(50, 60)의 교체를 위한 누적 구동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계산된 팬(210)의 누적 구동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필터(50, 60)의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계산된 팬(210)의 누적 구동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이 되면 필터(50, 60)의 수명이 다 되어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메모리(25)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C)에 의해 계산되는 팬(210)의 누적 구동시간 역시 메모리(25)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5)에 저장되는 누적 구동시간은 팬(210)이 구동될 때마다 갱신될 수 있다. 또한, 필터(50, 60)가 교체되면 상기 메모리(25)에 저장되는 누적 구동시간이 초기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50, 60)는 먼지 필터(50) 및 탈취 필터(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710, 720)는 먼지 센서(710) 및 가스 센서(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 필터(50)와 상기 탈취 필터(60)는 그 수명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상기 먼지 필터(50)의 교체 주기와 상기 탈취 필터(60)의 교체 주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팬(210)의 구동에 따른 누적 구동시간은 먼지 필터(50)를 위한 누적 구동시간과 탈취 필터(60)를 위한 누적 구동시간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메모리(25)에는 제어부(C)에 의해 계산된 팬(210)의 누적 구동시간이 저장될 수 있으며, 팬(210)의 누적 구동시간은 먼지 필터(50) 및 탈취 필터(60) 각각에 대하여 구분되도록 상기 메모리(25)에 저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지 필터(50)의 교체 주기를 판단하기 위한 팬(210)의 누적 구동시간은 제1 누적 구동시간으로서 메모리(25)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누적 구동시간은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에 풍속에 따른 가중치 및 먼지 센서(710)에서 감지된 오염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또한, 탈취 필터(60)의 교체 주기를 판단하기 위한 팬(210)의 누적 구동시간은 제2 누적 구동시간으로서 메모리(25)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누적 구동시간은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에 풍속에 따른 가중치 및 가스 센서(720)에서 감지된 오염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계산에 의해, 상기 제1 누적 구동시간과 상기 제2 누적 구동시간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먼지 필터(710)의 교체 시기를 판단하기 위한 기설정된 제1시간 및 상기 탈취 필터(720)의 교체 시기를 판단하기 위한 기설정된 제2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시간 및 상기 제2시간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25)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필터(50, 60)의 교체 시기가 도래하면, 그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22)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C)는 계산된 팬(210)의 누적 구동시간이 제1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표시부(22)에 먼지 필터(50)의 교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2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팬(210)의 제1 누적 구동시간이 상기 제1시간 이상이 되면, 상기 표시부(22)를 통해 먼지 필터(50)의 교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계산된 팬(210)의 누적 구동시간이 제2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표시부(22)에 탈취 필터(60)의 교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2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팬(210)의 제2 누적 구동시간이 상기 제2시간 이상이 되면, 상기 표시부(22)를 통해 탈취 필터(60)의 교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공간(또는 공조공간)의 공기의 상태에 따라서 팬의 실제 구동시간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서로 다른 필터 각각의 교체 시기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팬(210)의 구동이 개시되는 팬 구동단계(S100), 팬(210)의 풍속이 감지되는 풍속감지단계(S300), 및 필터(50, 60)의 교체 시기가 판단되는 필터교체판단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구동단계(S100)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의 입력에 의해 팬(210)의 구동이 개시될 수 있다.
상기 풍속감지단계(S300)에서는 팬(210)의 풍속이 제어부(C)에 의해 감지 또는 검출될 수 있다. 상기 팬(210)의 풍속은 팬(210)의 RPM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약풍, 중풍 및 강풍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교체판단단계(S400)에서는 상기 팬(210)이 누적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필터(50, 60)이 교체 시기가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교체판단단계(S400)에서는 상기 팬(210)의 풍속을 고려하여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이 제어부(C)에 의해 계산되고, 상기 누적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50, 60)의 교체 시기가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교체판단단계(S400)는 누적 구동시간 계산단계(S410)를 포함할 수 있다. 누적 구동시간 계산단계(S410)에서는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에 풍속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즉, 누적 구동시간 계산단계(S410)에서 누적 구동시간이 계산될 때,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에 팬(210)의 풍속에 따른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팬(210)이 구동되는 동안에 풍속이 변하는 경우 상기 풍속에 따른 가중치 역시 변할 수 있다. 이때, 풍속이 강할수록 높은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실제 구동시간을 기준으로 누적 구동시간이 계산될 때, 약풍, 중풍 및 강풍의 순서로 가중치가 점진적으로 높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풍은 1, 중풍은 2, 강풍은 3의 가중치를 가질 수 있다. 즉,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이 1시간이고 풍속이 강풍인 경우 누적 구동시간은 3시간(=1*3)이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이 1시간이고 풍속이 약풍인 경우 누적 구동시간은 1시간(=1*1)이 될 수 있다.
한편, 필터(50, 60)의 교체 주기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공조공간의 오염도가 감지되는 오염도감지단계(S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도 감지단계(S200)는 상기 필터교체판단단계(S400)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오염도 감지단계(S200)에서는 오염도 감지 센서(710, 720)를 통해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감지될 수 있으며, 실내공기의 오염도는 상, 중, 하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누적 구동시간 계산단계(S410)에서 누적 구동시간이 계산될 때,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에 오염도에 따라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염도가 상은 3, 오염도 중은 2, 오염도 하는 1의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즉,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이 1시간이고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중이면, 누적 구동시간은 2시간(=1*2)이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이 1시간이고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상이면, 누적 구동시간은 3시간(=1*3)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팬의 실제 구동시간에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필터(50, 60)의 교체 시기를 판단하기 위한 누적 구동시간이 계산되기 때문에, 필터(50, 60)의 교체 시기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특히,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에 전술한 풍속에 따른 가중치 및 오염도에 따른 가중치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이 1시간이고 풍속이 강풍이며 오염도가 상인 경우, 누적 구동시간은 9시간(=1*3*3)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50, 60)는 먼지 필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오염도 감지 센서(710, 720)는 먼지 센서(710) 및 가스 센서(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적 구동시간 계산단계(S410)에서는 상기 먼지 센서(710)에 의해 감지된 오염도와 상기 가스 센서(720)에 의해 감지된 오염도에 따른 가중치가 서로 구분되어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먼지 센서(710)에 의해 감지된 오염도는 먼지 필터(50)의 교체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누적 구동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가스 센서(720)에 의해 감지된 오염도는 탈취 필터(60)의 교체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누적 구동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필터(50)와 탈취 필터(60)의 교체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누적 구동시간은 아래 표 1과 같이 각각 계산될 수 있다. 먼지 필터(50)에 대한 누적시간 계산에 있어서 오염도는 먼지 센서(710)에서 검출될 수 있고, 탈취 필터(60)에 대한 누적 시간 계산에 있어서 오염도는 가스 센서(720)에서 검출될 수 있다.
팬의 실제 구동시간 풍속 오염도 계산된
누적 구동시간
먼지 필터 1시간 강풍(3) 상(3) 1*3*3 = 9시간
탈취 필터 1시간 중풍(2) 하(1) 1*2*2 = 2시간
상기 필터교체판단단계(S400)는 먼지 필터(50)의 교체 여부가 판단되는 제1판단단계(S430) 및 탈취 필터(60)의 교체 여부가 판단되는 제2판단단계(S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판단단계(S430)에서는 상기 누적 구동시간 계산단계(S410)에서 계산된 누적 구동시간과 상기 먼지 필터(50)의 교체를 위해 기설정된 제1시간의 비교를 통해 먼지 필터(50)의 교체 여부가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2판단단계(S450)에서는 상기 누적 구동시간 계산단계(S410)에서 계산된 누적 구동시간과 상기 탈취 필터(60)의 교체를 위해 기설정된 제2시간의 비교를 통해 탈취 필터(60)의 교체 여부가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누적 구동시간 계산단계(S410)에서 계산되는 누적 구동시간은 먼지 필터(50)의 교체를 위한 제1 누적 구동시간 및 탈취 필터(60)의 교체를 위한 제2 누적 구동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누적 구동시간 및 상기 제2 누적 구동시간은 각각 구분되어 계산될 수 있으며, 구분되어 메모리(25)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누적 구동시간은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에 풍속에 따른 가중치 및 먼지 센서(710)에 의해 감지된 오염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누적 구동시간은 팬(210)의 실제 구동시간에 풍속에 따른 가중치 및 가스 센서(720)에 의해 감지된 오염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필터교체판단단계(S400)를 통해 먼지 필터(50) 및 탈취 필터(60)의 교체 주기 또는 교체 시기가 각각 별도로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먼지 필터(50)의 교체 시기를 알리는 제1알림단계(S500) 및 탈취 필터(60)의 교체 시기를 알리는 제2알림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판단단계(S430)에서 상기 누적 구동시간(즉, 제1 누적 구동시간)이 상기 제1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알림단계(S500)에서 표시부(22)를 통해 사용자에게 먼지 필터(50)의 교체에 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판단단계(S450)에서 상기 누적 구동시간(즉, 제2 누적 구동시간)이 상기 제2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알림단계(S600)에서 표시부(22)를 통해 사용자에게 탈취 필터(60)의 교체에 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교체판단단계(S400) 이후에,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즉, 팬의 구동이 종료되었는지 여부)가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S700).
팬(210)의 구동이 종료되지 않고 계속되는 경우, 전술한 누적 구동시간의 계산 및 필터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50 먼지 필터 60 탈취 필터
100 압축기 200 실내열교환기
210 팬 300 팽창밸브
400 실외열교환기 410 실외팬
500 어큐뮬레이터 600 유로전환밸브
710 먼지 센서 720 가스 센서(냄새 센서)
C 제어부

Claims (20)

  1.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실내 공간으로 토출하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의 풍속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팬;
    상기 팬의 전단에 구비되는 필터;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도 감지 센서; 및
    상기 팬 및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풍속을 고려하여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계산되고,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속은 약풍, 중풍 및 강풍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을 계산할 때, 상기 팬의 실제 구동시간에 상기 풍속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을 계산할 때, 약풍, 중풍 및 강풍의 순서로 가중치를 점진적으로 높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을 계산할 때, 상기 팬의 실제 구동 시간에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값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값이 클수록 큰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계산된 팬의 누적 구동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먼지 필터 및 탈취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는 먼지 센서 및 가스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상기 먼지 필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하기 위한 기설정된 제1시간 및 상기 탈취 필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하기 위한 기설정된 제2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시간과 상기 제2시간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7항에 있어서,
    공기조화기의 작동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계산된 팬의 누적 구동시간이 제1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표시부에 먼지 필터의 교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계산된 팬의 누적 구동시간이 제2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표시부에 탈취 필터의 교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 상기 제1시간 및 상기 제2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은 먼지 필터 및 탈취 필터 각각에 대하여 구분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팬, 필터 및 오염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으로서,
    팬의 구동이 개시되는 팬 구동단계;
    팬의 풍속이 감지되는 풍속감지단계; 및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필터의 교체 시기가 판단되는 필터교체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교체판단단계에서 상기 풍속을 고려하여 상기 팬의 누적 구동시간이 계산되고, 상기 누적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교체판단단계는 누적 구동시간 계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팬의 풍속은 약풍, 중풍 및 강풍을 포함하며,
    상기 누적 구동시간이 계산될 때, 상기 풍속에 따른 가중치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구동시간이 계산될 때, 약풍, 중풍 및 강풍의 순서로 가중치가 점진적으로 높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교체판단단계 이전에,
    오염도 감지 센서에 의해 공조공간의 오염도가 감지되는 오염도감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적 구동시간이 계산될 때, 오염도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오염도에 따라 가중치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오염도가 높을수록 상기 누적 구동시간의 계산에 큰 가중치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먼지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교체판단단계는 계산된 누적 구동시간과 상기 먼지 필터의 교체를 위한 기설정된 제1시간의 비교를 통해 먼지 필터의 교체 여부가 판단되는 제1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단단계에서 상기 누적 구동시간이 상기 제1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부를 통해 먼지 필터의 교체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제1알람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먼지 필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탈취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교체판단단계는 계산된 누적 구동시간과 상기 탈취 필터의 교체를 위한 기설정된 제2시간의 비교를 통해 탈취 필터의 교체 여부가 판단되는 제2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단단계에서 상기 누적 구동시간이 상기 제2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부를 통해 탈취 필터의 교체를 알리는 제2알람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70068288A 2017-06-01 2017-06-0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31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288A KR20180131778A (ko) 2017-06-01 2017-06-0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15/656,006 US20180347838A1 (en) 2017-06-01 2017-07-21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troller
CN201710670339.6A CN109000305A (zh) 2017-06-01 2017-08-08 空气调节器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288A KR20180131778A (ko) 2017-06-01 2017-06-0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778A true KR20180131778A (ko) 2018-12-11

Family

ID=6445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288A KR20180131778A (ko) 2017-06-01 2017-06-0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347838A1 (ko)
KR (1) KR20180131778A (ko)
CN (1) CN1090003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3926A (zh) * 2019-11-27 2021-06-15 布鲁雅尔公司 空气净化器
CN112728739B (zh) * 2020-12-28 2022-07-26 博锐尚格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算法预测的空调箱送风温度设定值确定方法和装置
CN115121072B (zh) * 2022-08-31 2023-09-29 安徽省青阳县五溪矿业有限责任公司 一种矿用除尘器的过滤格栅更换确定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8417A (en) * 1995-06-28 1997-10-21 Kabushiki Kaisha Toshiba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dehumidifying operation function
US5810908A (en) * 1997-05-02 1998-09-22 Bemis Manufacturing Company Electronic control for air filtering apparatus
GB2351924B (en) * 1999-05-04 2003-03-19 Simatelex Manuf Co Air purifier
TW593939B (en) * 2002-12-11 2004-06-21 Ind Tech Res Inst Flowrate feedback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fan filter unit
KR100721458B1 (ko) * 2005-12-19 2007-05-25 주식회사 경동에버런 폐열회수형 환기유닛의 필터 교환시기 알림 장치 및 그방법
US7698906B2 (en) * 2005-12-30 2010-04-20 Nexajoule, Inc. Sub-wet bulb evaporative chiller with pre-cooling of incoming air flow
US7875099B2 (en) * 2007-07-31 2011-0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ir filtration in computer systems
KR101598626B1 (ko) * 2009-01-09 2016-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실내기
WO2012177072A2 (en) * 2011-06-24 2012-12-27 Woongjin Coway Co., Ltd Dehumidification-type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938023B (zh) * 2012-11-15 2016-03-02 创天昱科技(深圳)有限公司 空气净化器中过滤网有效使用时间的积算方法及装置
CN104374046B (zh) * 2014-10-27 2017-10-3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过滤网的清洁提醒方法和系统
EP3276273B1 (en) * 2015-03-27 2020-09-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9557070B2 (en) * 2015-05-07 2017-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6247531A (zh) * 2016-08-03 2016-12-21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空气净化器控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47838A1 (en) 2018-12-06
CN109000305A (zh) 2018-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46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4341615B2 (ja) 空気調和装置
CN100373103C (zh) 检测热泵型复式空调的管道的阻塞状态的系统及方法
US20060086103A1 (en) Abnormal state detecting apparatus of multi-type air 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US7765812B2 (en) System for detecting mis-connected state between communication lines for multi-type air 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KR100661144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검출방법
KR2018013177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4190600A (ja) 空気調和装置
JP2018146171A (ja) 空調システム
JP5766061B2 (ja) 空気調和機
JPWO2018037496A1 (ja) 空気調和装置
KR102243654B1 (ko) 공기조화장치
KR20060108027A (ko) 멀티에어컨 및 그의 압축기 제어방법
KR10187363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77282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KR101911271B1 (ko)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KR0164758B1 (ko) 공기조화기의 필터청소시기 감지방법
KR101045337B1 (ko) 공기조화기용 송풍감지장치
JP3322758B2 (ja) 空気調和機
KR10220723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90276A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70537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575696B1 (ko) 비상전원공급부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KR20070107260A (ko) 다중콤프 공기조화기
KR100517928B1 (ko) 균유기능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