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539A -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및 위치 결정 지원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및 위치 결정 지원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539A
KR20180131539A KR1020187026196A KR20187026196A KR20180131539A KR 20180131539 A KR20180131539 A KR 20180131539A KR 1020187026196 A KR1020187026196 A KR 1020187026196A KR 20187026196 A KR20187026196 A KR 20187026196A KR 20180131539 A KR20180131539 A KR 20180131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coil
contact state
s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우이치 사이토
고이치 호소미
유코 고토
다케시 시미즈
가즈모토 미야지마
가츠시 후지모토
히토시 나카무라
준코 지기라
Original Assignee
데이진 화-마 가부시키가이샤
고꾸리쯔 다이가꾸 호우징 오사까 다이가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화-마 가부시키가이샤, 고꾸리쯔 다이가꾸 호우징 오사까 다이가꾸 filed Critical 데이진 화-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1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2Chairs with means to adjust position of patient; Contr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61N2/006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for magnetic stimulation of nerv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61N2/008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for pain treatment or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4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force, pressure or mechanical tension
    • A61B2090/065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force, pressure or mechanical tension for measuring contact or contact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의 기구부의 신속한 위치 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은, 대상자의 헤드부에 맞닿음 또는 근접되는 코일부 (11) 와, 코일부 (11) 를 지지하는 기구부 (30) 를 구비한다. 기구부 (30) 는, 복수의 가동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복수의 조정 기구를 포함하고, 그 복수의 조정 기구에 의한 조정에 의해 코일부 (11) 의 위치 및 자세를 결정한다. 접수 수단은, 코일부 (11) 의 위치 및 자세의 적어도 일방에 대한 원하는 변경을 접수한다. 안내 수단은, 접수한 원하는 변경에 대응한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조정 기구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조정 순서를 안내한다.

Description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및 위치 결정 지원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본 발명은,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및 위치 결정 지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이 구비하는 기구부의 위치 결정을 지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 시스템은, 대상자의 동통 완화나 우울증 등의 검사나 치료, 뇌에 대한 자기 자극에 관한 연구 등을 목적으로 하여, 대상자의 뇌에 두개를 개재하여 비침습적으로 자기 자극을 부여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등을 참조).
자기 자극은, 자기 자극 코일 (이하, 간단히 코일이라고 한다) 을 대상자의 헤드부의 자극 부위 근방에 배치하고, 이 코일에 펄스 전류를 흘려, 자극을 부여하는 대상이 되는 부위 (이하, 자극 부위라고 한다) 에 변동 자장에 의한 유도 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이 시스템에는, 일반적으로, 코일을 지지하고, 임의의 위치나 자세 (방향) 로 유지할 수 있는 기구부가 구비되어 있다. 또, 이 기구부는, 통상, 복수의 가동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이들 기구에 의해 가동 부재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코일의 위치가 정밀하게 결정된다.
한편, 코일의 적정한 위치 및 자세는, 목적에 따라, 또한, 대상자마다 상이하다. 예를 들어, 동통 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자극 부위는, 동통 부위에 대응하는 뇌 내의 운동야 (運動野) 라고 불리는 해부학적 영역이 된다. 또, 그러한 해부학적 영역에 자기 자극을 효율적으로 부여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두개의 형상이나 뇌구 등을 포함하는 뇌의 형상을 고려하여 자기 자극의 방향을 정할 필요가 있는데, 두개나 뇌의 형상은 개인차가 크다. 그 때문에, 시스템의 조작자는, 목적 및 대상자에 맞추어, 코일의 위치 및 자세를 그때마다 조정하게 된다.
일본 특허공보 제5453325호
그러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의 기구부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이유로부터 가동 부재의 움직임이 복잡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자기 자극을 부여하는 대상이 인간의 헤드부이기 때문에, 시스템에 있어서의 몇 개의 가동 부재는, 코일이 헤드부 표면에 대응한 곡선을 따라 이동하거나, 헤드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당해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거나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헤드부 표면에 대응한 곡선을 따라 이동하는 코일의 움직임을 실현하기 위한 각 가동 부재의 동작은 현저하게 복잡화된다. 따라서, 시스템의 조작자는, 코일을 원하는 위치 및 자세로 신속히 조정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사정에 의해,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구부의 신속한 위치 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제 1 관점의 발명은,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에 있어서,
대상자의 헤드부에 맞닿음 또는 근접시키는 코일부와,
복수의 가동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복수의 조정 기구를 포함하고, 그 복수의 조정 기구에 의한 조정에 의해 상기 코일부의 위치 및 자세를 결정하는 기구부와,
상기 코일부의 위치 및 자세의 적어도 일방에 대한 원하는 변경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접수한 원하는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복수의 조정 기구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구비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2 관점의 발명은,
상기 접수 수단이, 상기 코일부의 상기 헤드부에 대한 접촉 상태의 입력을 상기 원하는 변경으로서 접수하는, 상기 제 1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3 관점의 발명은,
상기 접촉 상태가, 상기 코일부의 외측 가장자리부 중 일부만이 상기 헤드부에 접촉하는 편측 접촉 상태인, 상기 제 2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4 관점의 발명은,
상기 접수 수단이,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기 헤드부에 대한 접촉의 양태가 서로 상이한 복수 종류의 편측 접촉 상태를 선택지로서 갖고, 조작자의 선택에 의해 하나의 편측 접촉 상태가 상기 접촉 상태로서 입력되는, 상기 제 3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5 관점의 발명은, 상기 접촉 상태가, 상기 코일부의 상기 헤드부에 대한 밀착 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6 관점의 발명은,
상기 접수 수단이, 상기 코일부의 위치 및 자세의 적어도 일방의 소정량의 변경을 상기 원하는 변경으로서 접수하는, 상기 제 1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7 관점의 발명은,
상기 상대적인 소정량의 변경이,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량의 이동, 또는, 소정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각도량의 회전인, 상기 제 6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8 관점의 발명은,
상기 접수 수단이, 상기 소정의 방향과 소정의 이동량의 조합, 또는,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과 각도량의 조합이 서로 상이한 복수 종류의 변경을 선택지로서 갖고, 조작자에 의해 하나의 변경이 상기 원하는 변경으로서 선택되는, 상기 제 7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9 관점의 발명은,
상기 복수의 가동 부재의 현시점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안내 수단이,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상기 제 1 관점 내지 제 8 관점 중 어느 하나의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10 관점의 발명은,
상기 복수의 가동 부재의 현시점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수 수단이, 상기 코일부의 목표가 되는 위치 및 자세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원하는 변경으로서 접수하는, 상기 제 1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11 관점의 발명은,
상기 안내 수단이,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상기 제 10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12 관점의 발명은, 상기 안내 수단이, 상기 취득된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가, 상기 조정 순서에 의해 안내되는 위치와 일치 또는 허용 범위 내에서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상기 제 11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13 관점의 발명은,
상기 안내 수단이, 조정해야 할 상기 복수의 조정 기구의 순번과 그 조정 기구의 조정 방향을 적어도 나타내는, 상기 제 1 관점 내지 제 12 관점 중 어느 하나의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14 관점의 발명은,
상기 안내 수단이, 현시점에 있어서 조정해야 할 상기 조정 기구 또는 상기 가동 부재가 강조되거나 또는 지시된 화상 혹은 동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제 1 관점 내지 제 13 관점 중 어느 하나의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15 관점의 발명은,
상기 안내 수단이, 상기 조정 순서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상기 제 1 관점 내지 제 14 관점 중 어느 하나의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16 관점의 발명은,
상기 기구부가, 상기 코일부가 이동 방향의 하나로서 상기 대상자의 헤드부의 표면에 대응한 곡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되는, 상기 제 1 관점 내지 제 15 관점 중 어느 하나의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17 관점의 발명은,
상기 기구부가, 상기 코일부가 이동 방향의 하나로서 상기 대상자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되는, 상기 제 1 관점 내지 제 16 관점 중 어느 하나의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18 관점의 발명은,
상기 기구부가, 상기 코일부가 이동 방향의 하나로서 상기 대상자의 헤드부의 대략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되는, 상기 제 1 관점 내지 제 17 관점 중 어느 하나의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19 관점의 발명은,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구부의 위치 결정 지원 방법으로서,
상기 기구부가, 복수의 가동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복수의 조정 기구를 포함하고, 그 복수의 조정 기구에 의한 조정에 의해 상기 코일부의 위치 및 자세를 결정하는 기구부이고,
상기 코일부의 위치 및 자세의 적어도 일방에 대한 원하는 변경을 접수하는 접수 공정과,
상기 접수한 원하는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복수의 조정 기구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안내 공정을, 장치에 의해 실행시키는 위치 결정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제 20 관점의 발명은,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구부의 위치 결정 지원 방법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기구부는, 복수의 가동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복수의 조정 기구를 포함하고, 그 복수의 조정 기구에 의한 조정에 의해 상기 코일부의 위치 및 자세를 결정하는 기구부이고,
상기 코일부의 위치 및 자세의 적어도 일방에 대한 원하는 변경을 접수하는 접수 공정과,
상기 접수한 원하는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복수의 조정 기구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안내 공정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형태로 제공되어도 되고, 서버에 보존되어 당해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는 형태로 제공되어도 된다.
제 21 관점의 발명은,
1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사용하여 상기 코일부의 상기 헤드부에 대한 접촉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접수 수단이, 상기 검출된 접촉 상태의 입력을 접수하는, 상기 제 2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22 관점의 발명은,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접촉 상태를 정량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안내 수단이, 그 정량적으로 검출된 접촉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 기구의 조정량 또는 목표 위치를 구하는, 상기 제 21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23 관점의 발명은,
상기 접촉 상태가, 상기 코일부의 외측 가장자리부 중 일부만이 상기 헤드부에 접촉하는 편측 접촉 상태와, 상기 코일부의 상기 헤드부에 대한 밀착 상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제 21 관점 또는 제 22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24 관점의 발명은,
상기 센서부가, 촬상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기계 스위치 센서, 정전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제 21 관점 내지 제 24 관점 중 어느 하나의 관점의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수 수단이, 코일부의 위치 및 자세의 적어도 일방에 대한 원하는 변경을 접수하고, 안내 수단이, 그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코일부를 지지하는 기구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조정 기구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조정 순서를 안내한다. 그 때문에, 조작자는, 안내되는 조정 순서에 따라 조정 기구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코일부를 원하는 위치 및 자세로 조정할 수 있어, 기구부의 위치 결정을 신속히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자는, 조정 순서의 안내를 반복하여 받음으로써, 기구부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의 조정 기술을 조기에 습득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위치 결정 기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체격 조정 기구 및 헤드기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헤드기어에 있어서의 코일부의 조정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 은, 편측 접촉 상태의 일례로서, 두정부측 (상측) 의 편측 접촉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에 있어서의 치료 개시까지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도이다.
도 9 는,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편측 접촉 상태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조정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도의 일례이다.
도 12 는, 롤 방향의 회동 (回動) 축이 이상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의 헤드부와 코일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롤 방향의 회동축이 이상적인 위치에 있는 경우의 헤드부와 코일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7 은, 각 조정 기구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도이다.
도 18 은, 코일의 두정부측의 편측 접촉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경우의 표시예 1 이다.
도 19 는, 코일의 두정부측의 편측 접촉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경우의 표시예 2 이다.
도 20 은, 코일의 두정부측의 편측 접촉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경우의 표시예 3 이다.
도 21 은, 코일의 두정부측의 편측 접촉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경우의 표시예 4 이다.
도 22 는, 코일부를 목표의 위치 및 자세로 변경하기 위한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도이다.
도 23 은,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동등, 또는 공통의 기능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기호를 붙여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제 1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은, 대상자의 동통 완화를 목적으로 한 자기 자극 치료에 적합한 구성을 갖고 있고, 코일부의 위치 결정을 정밀하게 실시하고, 그것을 재현할 수 있는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은, 그 기구부의 신속한 위치 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코일부의 위치 및 자세에 대한 원하는 변경이 입력되면, 그 변경이 이루어지는 조정 순서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1) 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1) 은, 자기 자극 회로부 (10) 와, 위치 결정 기구부 (30) 와, 위치 정보 표시부 (40) 와, 제어 장치 (50) 를 갖고 있다.
자기 자극 회로부 (10) 는, 변동 자장을 형성하여 유도 전류에 의한 자극 (이하 이 명세서에 있어서 간단히 「자기 자극」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을 대상자의 뇌에 부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자기 자극 회로부 (10) 는, 코일부 (11) 와, 코일부 (11) 에 접속된 코일 구동부 (12) 를 갖고 있다. 코일부 (11) 는, 헤드부 맞닿음면을 갖고 있고, 이 면이 대상자의 헤드부 (뇌) 중 자기 자극을 부여하고자 하는 부위에 근접 또는 맞닿도록 배치된다. 코일부 (11) 는, 전류가 흐르면 자장을 형성한다. 코일 구동부 (12) 는, 코일부 (11) 에 펄스상의 전류를 흘려, 코일부 (11) 와 소정의 위치 관계에 있는 장소에 순간적으로 변동 자장을 형성시킨다. 이 변동 자장에 의한 유도 전류가, 대상자의 뇌에 대한 자기 자극이 된다.
위치 결정 기구부 (30) 는, 대상자에게 자기 자극을 부여할 때에 시스템 내의 각 부 (특히 코일부 (11)) 와 대상자의 뇌의 위치 관계를 필요에 따라 조정하기 위한 기구부이다. 또한, 도 1 에서는, 위치 결정 기구부 (30) 를 나타내는 블록 내에 코일부 (11) 와 위치 정보 표시부 (40) 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것은, 코일부 (11) 와 위치 정보 표시부 (40) 가, 위치 결정 기구부 (30) 와 물리적으로 근접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기 위함이고, 이들 요소간의 포함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도 2 에 위치 결정 기구부 (30) 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기구부 (30) 는, 의자 (31) 와, 체격 조정 기구 (32) 와, 헤드기어 (33) 를 갖고 있다.
의자 (31) 는, 시트면과 등받이를 갖고 있고, 대상자의 신체 전체를 앉은 자세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에 체격 조정 기구 (32) 및 헤드기어 (33) 의 구성을 나타낸다.
체격 조정 기구 (32) 는, 대상자의 체격에 따라, 의자 (31) 에 앉은 대상자의 후두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격 조정 기구 (32) 는, 후두부 레스트 (321) 와, 전후 방향 조정 기구 (322) 와, 상하 방향 조정 기구 (323) 와, 체격 조정 가이드 (324) 와, 높이 조정 기구 (325) 를 갖고 있다.
후두부 레스트 (321) 는, 대상자의 후두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후두부를 받는 만곡 요면을 갖고 있다. 후두부 레스트 (321) 는, 전후 방향 조정 기구 (322) 및 상하 방향 조정 기구 (323)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전후 방향 조정 기구 (322) 는, 후두부 레스트 (321) 의 위치를, 대상자의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하 방향 조정 기구 (323) 는, 후두부 레스트 (321) 의 위치를, 의자 (31) 에 앉은 대상자의 상하 방향 (의자 (31) 의 등받이 방향) 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전후 방향 조정 기구 (322) 및 상하 방향 조정 기구 (323) 는, 체격 조정 가이드 (324)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체격 조정 가이드 (324) 는, 높이 조정 기구 (325)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높이 조정 기구 (325) 는, 체격 조정 가이드 (324) 의 높이를, 의자 (31) 에 앉은 대상자의 상하 방향을 따라 조정할 수 있다.
헤드기어 (33) 는, 코일부 (11) 를 지지하고, 코일부 (11) 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기어 (33) 는, 가압 방향 조정 기구 (331) 와, 요 방향 조정 기구 (332) 와, 피치 방향 조정 기구 (333) 와, 롤 방향 조정 기구 (334) 와, 헤드기어 가이드 (335) 와, 착탈 기구 (336) 를 갖고 있다.
도 4 에 헤드기어 (33) 에 있어서의 코일부 (11) 의 조정 방향을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부 (11) 의 조정 방향은, 가압 방향 (F), 요 방향 (Y), 피치 방향 (P), 및 롤 방향 (R) 의 4 방향이다. 가압 방향 (F) 은, 코일부 (11) 를 대상자 (90) 의 헤드부에 가압하는 방향, 즉, 대상자 (90) 의 헤드부의 대략 중심을 향하는 방향 (J) 이다. 요 방향 (Y) 은, 대상자 (90) 의 헤드부의 대략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축으로 한 회전 방향이다. 피치 방향 (P) 은, 대상자 (90) 의 헤드부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표면에 대응한 곡선 방향이다. 롤 방향 (R) 은, 대상자 (90) 의 헤드부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표면에 대응한 곡선 방향이다. 또한, 헤드부의 표면에 대응한 곡선 방향이란, 후술하는 최적 자극 위치의 탐색에 있어서, 코일부 (11) 의 위치를 헤드부의 표면을 따라 순조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곡선 방향이다. 예를 들어, 성인 헤드부의 평균적인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헤드부 모델의 표면의 곡률에 근사한 곡률, 혹은 그것보다 약간 작은 (헐거운) 곡률을 갖는 곡선의 방향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부 (11) 는, 가압 방향 조정 기구 (331)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가압 방향 조정 기구 (331) 는, 코일부 (11) 의 위치를, 가압 방향 (F) 으로 조정할 수 있다. 가압 방향 조정 기구 (331) 는, 요 방향 조정 기구 (332)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요 방향 조정 기구 (332) 는, 가압 방향 조정 기구 (331) 의 회전 위치를 요 방향 (Y) 으로 조정할 수 있다. 요 방향 조정 기구 (332) 는, 피치 방향 조정 기구 (333) 에 지지되어 있다. 피치 방향 조정 기구 (333) 는, 요 방향 조정 기구 (332) 의 위치를 피치 방향 (P)으로 조정할 수 있다. 피치 방향 조정 기구 (333) 는, 롤 방향 조정 기구 (334) 에 지지되어 있다. 롤 방향 조정 기구 (334) 는, 피치 방향 조정 기구 (333) 의 경사 각도를 롤 방향 (R) 으로 조정할 수 있다. 롤 방향 조정 기구 (334) 는, 헤드기어 가이드 (335) 에 지지되어 있다. 헤드기어 가이드 (335) 는, 착탈 기구 (336)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착탈 기구 (336) 는, 헤드기어 가이드 (335) 를, 체격 조정 가이드 (321) 에 대해, 의자 (31) 에 앉은 대상자 (90) 의 상하 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정보 표시부 (40) 는, 위치 결정 기구부 (30) 를 구성하는 각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 위치 정보 표시부 (40) 는, 복수의 위치 표시부 (41) 를 갖고 있다. 위치 표시부 (41) 는, 하나의 조정 기구 즉 하나의 가동 부재에 대해 한 개씩 형성되어 있다. 위치 표시부 (41) 는, 대응하는 가동 부재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시각 적으로 확인 가능한 양태로 표시한다. 조작자는, 이 위치 표시부 (41) 가 표시하는 위치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위치 표시부 (41) 로는, 예를 들어, 디지털식 또는 아날로그식의 인디케이터를 생각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로는, 예를 들어, 눈금, 각도계, 포지션 인디케이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포지션 인디케이터는, 가동 부재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이동량 (조출량 (繰出量)) 을 카운터나 액정 화면에서 표시하는 것이다.
도 5 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 (50) 는,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어 장치 (50) 는, 주요부로서, 조작부 (51) 와, 디스플레이부 (52) 와, 연산부 (53) 와, 인터페이스부 (54) 와, 기억부 (55) 를 갖고 있다.
조작부 (51) 는, 조작자로부터 조작을 받아 여러 가지의 입력이 이루어진다. 조작부 (51) 로는, 예를 들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52) 는, 각종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 (52) 로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 (51) 및 디스플레이부 (52) 는, 이들이 일체적으로 구성된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로 할 수도 있다. 또, 제어 장치 (50) 는, 그러한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조작자는, 모바일 단말을 원하는 장소에 가지고 갈 수 있으므로, 화면의 조작이나 열람을 실시하면서 위치 결정 기구부 (30) 의 조정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연산부 (53) 는 프로세서이고, 이른바 MPU 혹은 CPU 라고 불리는 반도체 IC 이다. 연산부 (53) 는, 캐시 메모리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인터페이스부 (54) 는, 조작부 (51) 및 디스플레이부 (52) 와 연산부 (53) 사이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데이터의 교환을 실시한다.
기억부 (55) 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연산부 (53) 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거나 한다. 기억부 (55) 로는, 예를 들어, HDD (Hard Disc Drive) 나,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한 SSD (Solid State Device)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제어 장치 (50) 는, 연산부 (53) 가 기억부 (55) 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판독 출력하여 실행함으로써, 복수의 기능 블록으로서 기능한다.
도 6 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 (50) 는, 기능 블록으로서, 접수부 (501), 안내부 (502), 및 코일 구동 제어부 (503) 를 갖는다.
접수부 (501) 는,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여러 가지의 입력을 접수한다. 본 예에서는, 접수부 (501) 는, 자기 자극 조건, 자기 자극 발생 지령, 치료 개시 지령 등의 입력을 접수한다. 자기 자극 조건에는, 자기 자극 강도, 치료를 실시할 때의 자기 자극의 발생 패턴 등이 포함된다.
또, 본 예에서는, 접수부 (501) 는, 코일부 (11) 의 위치 및 자세의 적어도 일방에 대한 원하는 변경의 입력을 접수하는 것으로 한다. 이 변경의 입력은,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복수 종류의 변경 중에서 하나를 조작자가 선택함으로써 실시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의 「변경」은, 코일부 (11) 의 대상자 헤드부에 대한 소정의 접촉 상태를 개선 또는 해소하기 위한 변경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는, 「변경」은, 코일부 (11) 의 편측 접촉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변경이다. 편측 접촉 상태란, 코일부 (11) 의 헤드부 맞닿음면이 대상자의 헤드부 표면에 대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코일부 (11) 에 있어서의 헤드부 맞닿음면의 외측 가장자리부 중 일부만이 헤드부 표면에 접촉하는 상태를 말한다.
또, 본 예에서는, 「복수 종류의 변경」은, 복수 종류의 편측 접촉 상태의 각각에 대해 그 편측 접촉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변경이다. 복수 종류의 편측 접촉 상태는, 코일부 (11) 의 헤드부 맞닿음면의 외측 가장자리부 중 어느 부분이 대상자 헤드부에 접촉하고 있는 것인지에 따라 분류된다. 본 예에서는, 코일부 (11) 의 대상자 헤드부에 접촉하는 장소로서, 두정부측 (상측), 측두부측 (하측), 전두부측 (전측), 후두부측 (후측), 측두부와 전두부 사이 (전측 경사 하측), 두정부와 후두부의 사이 (후측 경사 상측) 의 6 종류를 생각한다. 또한, 접촉하는 장소의 분류는 일례이고,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에, 편측 접촉 상태의 일례로서, 두정부측 (상측) 의 편측 접촉 상태를 나타낸다. 동통 완화 치료의 경우에는, 뇌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 부근에 존재하는 운동야에 자극 부위가 있다. 두정부측의 편측 접촉 상태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부 (11) 의 헤드부 맞닿음면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두정부측 (상측) (U) 이, 대상자 (90) 의 두정부로부터 측두부까지의 사이의 영역에 접촉하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안내부 (502) 는, 코일부 (11) 의 위치 및 자세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의 원하는 변경이 접수부 (501) 에 입력되면, 그 변경을 이루는 조정 순서를 안내한다. 안내부 (502)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종류의 조정 순서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조정 순서 기억부 (502A) 를 갖고 있다. 「복수 종류의 조정 순서 정보」는, 각각, 「복수 종류의 변경」의 각각과 대응되어 있다. 안내부 (502) 는, 입력된 원하는 변경에 대응한 조정 순서 정보를, 조정 순서 기억부 (502A) 로부터 판독 출력하고, 그 조정 순서 정보가 나타내는 조정 순서를 시각적 혹은 청각적으로 안내한다. 조정 순서를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조정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나 표를 단지 하드웨어로서의 디스플레이부 (52) 에서 표시할 뿐이어도 되고, 동영상을 사용하여 이해하기 쉽게 네비게이션하도록 해도 된다. 혹은, 각 조정 기구에 발광부를 형성하여, 조정할 필요가 있는 조정 기구의 발광부를 순차 발광시키도록 제어해도 된다.
또한, 안내부 (502) 는, 입력된 원하는 변경에 기초하여 소정의 계산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 당해 원하는 변경을 이루는 조정 순서를 구하여 안내해도 된다.
코일 구동 제어부 (503) 는, 접수부 (501) 에서 접수한 각종 지령에 따라 코일 구동부 (12) 를 제어한다. 본 예에서는, 코일 구동 제어부 (503) 는, 단발 자기 자극 지령에 응답하여, 설정된 자기 자극 조건에 따라 단발의 자기 자극을 대상자 (90) 에게 부여하기 위하여, 코일 구동부 (12) 를 제어한다. 또, 코일 구동 제어부 (503) 는, 치료 개시 지령에 응답하여, 설정된 자기 자극 조건에 따라 복수발의 자기 자극을 소정의 패턴으로 대상자 (90) 에게 부여하기 위하여, 코일 구동부 (12) 를 제어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수부 (501) 및 안내부 (502) 는,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접수 수단 및 안내 수단의 일례이다.
이것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1) 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1) 에 있어서의 치료 개시까지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도이다.
스텝 S101 에서는, 체격 조정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자는, 먼저, 대상자 (90) 를 의자 (31) 에 앉힌다. 이 때, 헤드기어 (33) 가 체격 조정 가이드 (324) 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착탈 기구 (336) 를 조작하여, 헤드기어 (33) 를 상측으로 올린다. 다음으로, 조작자는, 높이 조정 기구 (325) 에 의해, 체격 조정 가이드 (324) 의 높이를 대상자 (90) 의 체격에 맞추어 조정한다. 또, 조작자는, 전후 방향 조정 기구 (322) 및 상하 방향 조정 기구 (323) 에 의해, 후두부 레스트 (321) 의 위치를 대상자 (90) 의 후두부에 맞도록 전후 상하 방향으로 조정한다.
스텝 S102 에서는, 헤드기어 (33) 의 접속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자는, 착탈 기구 (336) 를 조작하여, 헤드기어 가이드 (335) 를 하측으로 내리고, 체격 조정 가이드 (321) 에 접속한다.
스텝 S103 에서는, 코일 위치의 임시 설정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자는, 헤드기어 (33) 의 각 조정 기구를 조정하여 코일부 (11) 의 위치를 임시 설정한다. 임시 설정하는 위치는, 대상자 (90) 의 헤드부의 의료용 화상을 참조하여 동통 부위에 따라 지정된 자극 부위에 대응한 위치이다.
또한, 이 코일 위치의 임시 설정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각 조정 기구의 조정이 잘 되지 않고, 나아가서는 효율이 양호한 조정 순서도 알기 어렵다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대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104 에서는, 최적 자극 위치의 탐색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자는, 접수부 (501) (하드웨어 상에서의 조작부 (51)) 에서의 입력 조작을 실시하여, 자기 자극 강도를 비교적 강하게 설정한다. 그리고, 헤드기어 (33) 의 각 조정 기구를 조정하여 코일부 (11) 의 위치를 임시 설정 한 위치의 주변에서 조금씩 바꾸면서, 자기 자극 발생 지령을 접수부 (501) 에서 그때마다 입력한다. 코일 구동 제어부 (503) 는, 그 자기 자극 발생 지령에 순차적으로 응답하여 자기 자극을 발생시킨다. 조작자는, 자기 자극을 발생시킬 때마다 대상자 (90) 의 트위치 반응을 본다. 그리고, 가장 강한 트위치 반응이 나타난 위치를 최적 자극 위치로 결정한다.
스텝 S105 에서는, 치료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자는, 접수부 (501) (조작부 (51)) 에서의 입력 조작을 실시하여, 자기 자극 강도를 치료에 최적인 강도로 되돌린다. 그리고, 접수부 (501) 에서 치료 개시 지령을 입력한다. 코일 구동 제어부 (503) 는, 코일 구동부 (12) 를 제어하여, 설정된 자기 자극 조건에 따라 치료용의 자기 자극을 개시한다.
여기서, 스텝 S103 의 코일 위치의 임시 설정에 있어서, 조정이 잘 되지 않는 경우의 대응에 대해 설명한다.
코일 위치의 임시 설정에서는, 코일부 (11) 로부터의 자기 자극이 자극 부위에 최단 거리로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코일부 (11) 의 헤드부 맞닿음면이 대상자 헤드부에 밀착하도록, 코일부 (11) 의 자세를 조정하는 경우가 많다. 또, 코일부 (11) 로부터의 변동 자장의 강도 (따라서 유도 전류의 강도) 는, 코일 형상에 따라 상이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지향성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고, 코일부 (11) 를 대상자 헤드부에 밀착시킴으로써, 자기 자극의 방향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코일 위치의 임시 설정이 잘 되지 않고, 코일부 (11) 가 대상자 헤드부에 대해 편측 접촉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코일부 (11) 와 대상자의 헤드부 표면의 위치 관계가, 헤드기어 (33) 의 각 조정 기구의 조정만으로 정해지지 않는 것, 각 조정 기구의 조정 방향이 여러 가지 사정이나 제약에 의해 단순하지 않은 것 등으로부터, 코일부 (11) 의 움직임을 직감적으로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조정 방향의 하나에 대상자의 헤드부 표면에 대응한 곡선 방향이 포함되면, 조정의 난이도는 올라간다. 코일의 편측 접촉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효율이 양호한 조정 순서는, 편측 접촉 상태의 패턴에 따라 거의 정해져 있지만, 조작자가 이 조정 순서에 순식간에 도달하는 것은 일반적으로는 그다지 용이하지 않다. 또, 일반적으로, 대상자 헤드부의 표면으로부터 뇌 내의 치료 부위까지는 어느 정도의 거리가 있다. 만약, 코일부 (11) 가 대상자 헤드부에 밀착되어 있지 않기 (예를 들어 편측 접촉 상태가 되기) 때문에, 자기 자극의 방향이 올바른 방향으로부터 어긋나 버리면, 상기 거리 때문에, 치료 부위에 원하는 전류 자극을 생성할 수 없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편측 접촉 상태를 해소하여, 코일부 (11) 와 대상자 헤드부의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래서, 이와 같은 코일의 편측 접촉 상태를 발생시킨 경우에는, 조작자는, 제어 장치 (50) 의 접수부 (501) (조작부 (51)) 를 조작하여, 이 편측 접촉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조정 순서가 안내되는 기능을 이용한다.
도 9 에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또, 도 10 에 편측 접촉 상태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조작자는, 접수부 (501) (디스플레이부 (52)) 에서 표시되는, 도 10 에 나타내는 편측 접촉 상태 선택 화면에 있어서, 접수부 (501) (조작부 (51)) 를 조작함으로써, 현시점에 있어서의 편측 접촉 상태를 복수의 선택지 중에서 선택한다 (스텝 T101). 이로써, 접수부 (501) 는, 선택된 편측 접촉 상태를 「해소하고자 하는 편측 접촉 상태의 입력」으로서 접수한다 (스텝 T102). 그러면, 안내부 (502) 는, 선택된 편측 접촉 상태에 대응한 조정 순서 정보를 조정 순서 기억부 (502A) 로부터 판독 출력한다 (스텝 T103). 그리고, 안내부 (502) 는, 그 조정 순서 정보가 나타내는 조정 순서를 시각적 혹은 청각적으로 안내한다 (스텝 T104).
안내부 (502) 는, 예를 들어, 조정 순서를, 하드웨어로서의 디스플레이부 (52) 에 의해 표시한다. 조정 순서의 표시로는, 예를 들어, 어느 조정 기구의 가동 부재를 어느 순번으로 어느 방향으로 조정할지를 나타내는 플로도를 표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조정 순서의 안내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양을 조정할지에 대해서는, 안내 가능한 경우에는 안내를 해도 되고, 조작자의 감각에 맡기도록 해도 된다.
도 11 에, 조정 순서를 나타내기 위해 안내부 (502) 에 의해 표시되는 플로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 에 나타내는 플로도는, 「두정부측」의 편측 접촉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조정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1 의 플로도에 있어서, 「상당량」이란, 조작자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양을 의미한다. 「상당량」대신에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구체적인 이동량을, 눈금의 수치를 이용하여 나타내어도 된다.
이 조정 순서는 이하와 같다.
먼저, 스텝 1 에서는, 가압 방향 조정 기구 (331) 에 의해, 코일부 (11) 를 상측 (헤드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으로 이동시키는 조정을 실시한다. 이것은, 코일부 (11) 를 헤드부로부터 떼어 내어 코일부 (11) 를 이동시켜도 헤드부에 닿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스텝 2 에서는, 높이 조정 기구 (325) 에 의해, 체격 조정 가이드 (324) 의 높이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정을 실시한다. 코일부 (11) 의 두정부측이 편측 접촉 상태가 되는 경우, 원인은,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부 (11) 에 있어서의 롤 방향 (R) 의 회동축의 위치가, 대상자 (90) 의 헤드부의 크기 또는 형상에 맞는 적정한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코일부 (11) 의 회동의 궤적은, 측두부측으로 갈수록 헤드부 표면과의 간격이 넓어져 버리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가압 방향 (F) 으로 위치를 조정해도 편측 접촉이 되어 버린다. 그래서, 여기서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부 (11) 에 있어서의 롤 방향 (R) 의 회동축의 위치를 올려 적정한 위치로 되돌리기 위해서, 체격 조정 가이드 (324) 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코일부 (11) 의 회동의 궤적은, 헤드부 표면에 대해 거의 평행이 되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가압 방향 (F) 으로 위치를 조정해도, 편측 접촉이 되지 않는다.
이어서, 스텝 3 에서는, 상하 방향 조정 기구 (323) 에 의해, 후두부 레스트 (321) 가 대상자 (90) 의 후두부에 위화감 없이 맞도록 상하 방향의 조정을 실시한다. 이것은, 스텝 2 에서 체격 조정 가이드 (324) 의 높이를 변경시킨 것에 의해, 후두부 레스트 (321) 의 높이도 변경되었기 때문에, 후두부 레스트 (321) 의 조정이 다시 필요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어서, 스텝 4 에서는, 가압 방향 조정 기구 (331) 에 의해, 코일부 (11) 를 하측 (헤드부에 가까워지는 방향) 으로 이동시키는 조정을 실시한다. 이것은, 스텝 1 에서 코일부 (11) 를 대상자 헤드부로부터 떼어 내고 있으므로, 원래의 높이로 되돌리기 위함이다.
Figure pct00001
표 1 에는, 지금까지 나타낸 두정부에서의 편측 접촉을 조정한 결과나, 그 이외의 부위 (여기서는 측두부 및 후두부) 에서의 편측 접촉을 조정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한, 표 중의 「스텝」이란 작업 순서를 의미한다. 따라서, 스텝 4 에서 완료했다고 하는 것은 4 개의 순번으로 조정 종료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또, 표 중의 「이동량」은 본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량의 단위량으로 나타내어져 있고, 요 방향 (332), 피치 방향 (333) 및 롤 방향 (334) 은 각 조정 기구를 따른 곡선적인 이동량 (단위 ; °) 이고, 그 이외에는 직선적인 이동량 (단위 ; ㎜) 이다.
이와 같이, 조작자는, 표시된 조정 순서에 따라 조정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코일의 편측 접촉 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수부 (501) 가, 코일부 (11) 의 위치 및 자세에 대한 원하는 변경을 접수하고, 안내부 (502) 가, 그 변경을 이루는 조정 순서를 안내하므로, 조작자는, 안내된 조정 순서에 따라 조정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코일부 (11) 의 위치 및 자세에 대한 원하는 변경을 이룰 수 있고, 조작자는, 위치 결정 기구부 (30) 의 위치 결정을 신속히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복수 종류의 조정 기구는, 대상자 헤드부의 표면에 대응한 곡선 방향을 따라 가동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정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조정 기구 전체로서 (요컨대 위치 결정 기구부 (30) 로서), 코일부 (11) 의 위치 및 자세를, 요, 피치, 롤, 병진 (竝進) (가압 방향) 의 적어도 4 자유도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코일부 (11) 의 위치는, 평상시 익숙함이 있는 직교계의 좌표축을 따른 움직임으로는 되지 않아, 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나 원하는 회전 방향으로의 방향 변경을 실시하기 위한 조정 순서를 직감적으로 생각해 내기 어렵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것에 의한 조정의 신속화에 대한 공헌도가 크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자는, 조정 순서의 안내를 반복하여 받음으로써, 위치 결정 기구부 (30) 에 있어서의 구조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위치 결정 기구부 (30) 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의 조정 기술을 조기에 습득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은, 위치 결정 기구부의 각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위치 정보를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 장치에 보내고, 당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결정 기구부의 조정 순서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2) 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2) 은, 자기 자극 회로부 (10) 와, 위치 결정 기구부 (30) 와, 위치 정보 표시부 (40) 와, 위치 정보 출력부 (60) 와, 제어 장치 (50) 를 갖고 있다.
자기 자극 회로부 (10), 위치 결정 기구부 (30) 및 위치 정보 표시부 (40) 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이것들의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위치 정보 출력부 (60) 는, 위치 결정 기구부 (30) 의 각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위치 정보를 신호로서 출력한다. 위치 정보 출력부 (60) 는, 제어 장치 (50) 와 접속되어 있어, 상기 신호를 제어 장치 (50) 에 보낸다. 위치 정보 출력부 (60) 와 제어 장치 (50) 의 접속은,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위치 정보 출력부 (60) 는, 복수의 위치 검출부 (61) 를 갖고 있다. 위치 검출부 (61) 는, 하나의 조정 기구에 적어도 한 개씩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검출부 (61) 는, 대응하는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광이나 전기 등에 의한 신호로서 출력한다.
위치 검출부 (61) 로는, 예를 들어, 경사 센서, 로터리 인코더, 와이어식 인코더, 광학식 또는 자기식의 리니어 인코더, 출력 포트가 형성된 포지션 인디케이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도 15 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 (50) 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주요부로서, 조작부 (51) 와, 디스플레이부 (52) 와, 연산부 (53) 와, 인터페이스부 (54) 와, 기억부 (55) 를 갖고 있다.
인터페이스부 (54) 는, 위치 정보 출력부 (60) 로부터 보내져 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연산부 (53) 에 보낸다.
연산부 (53) 는, 인터페이스부 (54) 로부터 보내져 오는 위치 정보를 처리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장치에 있어서의 각 하드웨어 요소는, 상기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6 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 (50) 는, 기능 블록으로서, 접수부 (501), 안내부 (502), 코일 구동 제어부 (503), 및 취득부 (504) 를 갖는다.
접수부 (501) 는,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자기 자극 조건, 자기 자극 발생 지령, 치료 개시 지령 등의 입력을 접수한다. 또, 접수부 (501) 는, 조작자가 코일부 (11) 의 편측 접촉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선택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그 편측 접촉 상태의 입력을 접수한다.
취득부 (504) 는, 위치 정보 출력부 (60) 로부터 신호를 통하여 보내져 오는 각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위치 정보를, 현재 위치 정보로서 취득한다. 현재 위치 정보의 취득은, 비교적 짧은 주기로 반복 실시되어, 순차적으로 갱신된다.
안내부 (502) 는, 코일부 (11) 의 편측 접촉 상태가 입력되면, 그 편측 접촉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조정 순서를, 취득부 (504) 에 의해 취득된 각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정 순서를 표시함과 함께, 각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고, 조정의 진척을 모니터링하여, 각 시점에서 적절한 안내를 실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수부 (501), 안내부 (502), 및 취득부 (504) 는,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접수 수단, 안내 수단, 및 취득 수단의 일례이다.
이하, 코일 위치의 임시 설정에 있어서, 각 조정 기구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 은, 각 조정 기구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도이다.
스텝 T201 에서는, 편측 접촉 상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자가, 복수의 선택지 중에서 현재의 편측 접촉 상태를 선택한다.
스텝 T202 에서는, 편측 접촉 상태의 입력을 접수한다.
구체적으로는, 접수부 (501) 가, 선택된 편측 접촉 상태의 입력을 접수한다.
스텝 T203 에서는, 조정 순서 정보를 판독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안내부 (502) 가, 선택된 편측 접촉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조정 순서를 나타내는 조정 순서 정보를, 조정 순서 기억부 (502A) 로부터 판독 출력한다.
스텝 T204 에서는, 조정 순서와 기구부의 이미지도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안내부 (502) 가, 판독 출력한 조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도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어느 조정 기구를 어느 순번으로 어느 방향으로 조정할지를, 조정 기구마다 각 조정 스텝으로서 나누어 표시한다. 또, 안내부 (502) 는, 위치 결정 기구부 (30) 의 각 조정 기구를 모델화한 이미지도를 표시한다.
스텝 T205 에서는, 현시점에 있어서의 조정 스텝의 안내를 한다.
구체적으로는, 안내부 (502) 가,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도 중에서, 현시점의 조정 대상인 조정 기구의 조정 스텝을 강조하여 표시한다. 또한, 도 18 의 플로도에 있어서, 목표 위치 및 현재 위치의 수치는,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위치에 대응한 눈금을 나타내고 있다. 「상당량」이란, 조작자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양이라는 의미이다.
또, 안내부 (502) 가,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기구부 (30) 의 이미지도 중에서, 현시점의 조정 대상인 조정 기구를 강조하여 표시함과 함께, 조정하는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한다. 그 옆에는, 현시점의 조정 대상인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위치를 나타내는 직선상의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인디케이터 상에 목표 위치와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각각 표시한다. 안내부 (502) 는, 추가로, 현시점의 조정 대상인 조정 기구와 조정 방향을 음성으로 안내한다. 예를 들어, 「△△ 번의 조정 기구를 □□ 방향으로 조정해 주세요」 등으로 안내한다.
또한,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현재 위치는, 취득부 (504) 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로부터 도출된다. 목표 위치는, 조정 전의 현재 위치에 조정해야 할 방향으로 조정해야 할 양을 가산하여 도출된다. 조정해야 할 양은 디폴트로 정해져 있는 양 (예를 들어 편측 접촉 해소용으로서 사전에 설정된 상대 이동량 혹은 목표 위치) 을 이용해도 되고, 어떠한 정보나 조건 등에 기초하여 결정 (예를 들어 시스템측의 연산 처리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 해도 된다. 또한, 강조 표시는, 예를 들어, 조정 대상이 되는 조정 기구의 이미지도나 조정 스텝의 색을 바꾸거나, 망점을 넣거나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스텝 T206 에서는, 안내에 따라 조정 기구의 조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자 (91) 는, 현시점의 조정 대상인 조정 기구에 있어서, 인디케이터를 보면서 현재 위치가 목표 위치에 일치하도록 조정을 개시한다. 안내부 (502) 는, 인디케이터 상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의 표시를 거의 실시간으로 갱신한다.
스텝 T207 에서는, 현재 위치와 목표 위치의 일치 판정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안내부 (502) 는, 조정 기구의 현재 위치가 목표 위치에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일치는, 완전 일치뿐만 아니라, 소정의 허용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일치한 경우에는, 현시점의 조정 대상인 조정 기구에서의 조정은 완료된 것으로 인식하여, 다음의 스텝으로 진행된다. 일치 판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음의 순서에서 이 스텝 T207 을 종료시킬 수 있다. 즉, 조정 기구의 조정에 있어서, 목표 위치를 명확하게 도출할 수 없는 것, 예를 들어, 대상자의 체격, 헤드부의 위치나 형상에 맞추어 위화감이 없도록 조정하는 것 등의 경우에는, 조작자가, 조정 완료 후, 조작부 (51) 에 있어서 「조정 완료」의 입력을 실시한다. 안내부 (502) 는, 이 「조정 완료」의 입력에 의해, 조정 완료를 인식한다. 조정 완료가 인식되면, 다음의 스텝으로 진행된다.
스텝 T208 에서는, 다음으로 조정해야 할 조정 스텝 (요컨대 다음의 조정 대상이 되는 조정 기구) 의 유무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안내부 (502) 가, 다음 순번의 조정해야 할 조정 기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있다면, 다음 차례의 조정 기구를 현시점에서의 조정 대상이 되는 조정 기구로 설정하여 스텝 T205 로 되돌아오고, 없으면 안내를 종료한다.
도 20 및 도 21 에, 코일의 두정부측의 편측 접촉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현시점에서 조정해야 할 조정 스텝이 2 번째의 조정 스텝인 경우의 예이다. 조정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도 중에서, 1 번째의 조정 스텝이 종료되고, 2 번째의 조정 스텝을 강조 표시하고 있다. 또, 위치 결정 기구부 (30) 의 이미지도 중에서, 2 번째의 조정 스텝에서 조정하는 조정 기구를 강조 표시함과 함께, 그 조정 방향을 도 21 중에 있어서 화살표로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위치 정보를 순차적으로 취득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인 조정 순서의 안내나 조정의 진척에 따른 안내가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 및 이점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취득된 위치 정보는, 필요에 따라,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2) 과는 상이한 장치 등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 안내부는, 제어 장치 (50) 와는 상이한 장치 등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제어 장치 (50) 가 안내부로부터 수취한 조정 순서나 가동 부재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장치 등은, 예를 들어 서버나 워크 스테이션이다. 상기 장치 등은,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에 대해 원격으로 존재하는 것이어도 되고, 근린에 존재하는 것이어도 된다.
(제 1 변형예)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코일 위치의 임시 설정에 있어서, 조작자는, 코일부 (11) 의 대상자 헤드부에 대한 밀착 상태를 개선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접수부 (501) 는, 소정의 (요컨대 문제가 있는) 밀착 상태가 개선되는 코일부 (11) 의 위치 및 자세의 적어도 일방의 변경을, 상기의 「원하는 변경」으로서 접수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예에서는, 「복수 종류의 변경」은, 복수 종류의 부적정한 밀착 상태의 각각에 대해 그 밀착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변경이다. 복수 종류의 부적정한 밀착 상태는, 코일부 (11) 의 위치를 가압 방향 (F) 으로 조정해도 그 가동 범위 내에 적정한 위치가 없어, 코일부 (11) 의 헤드부 맞닿음면이 대상자 헤드부에 충분히 밀착되어 있지 않는 밀착 부족 상태인지, 혹은 코일부 (11) 의 헤드부 맞닿음면이 대상자 헤드부에 과잉하게 가압되어 있어 대상자가 불쾌하게 느끼는 과밀착 상태인지에 따라 분류된다. 또한, 밀착 상태의 분류는 일례이고,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정 순서 기억부 (502A) 는,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복수 종류의 밀착 상태에 각각이 대응한 복수의 조정 순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안내부 (502) 는, 입력된 밀착 상태에 대응한 조정 순서 정보를, 조정 순서 기억부 (502A) 로부터 판독 출력하고, 그 조정 순서 정보가 나타내는 조정 순서를 안내한다.
이와 같은 제 1 변형예에 의하면, 조작자는, 안내된 조정 순서에 따라 조정하는 것만으로, 코일의 부적정한 밀착 상태를 해소시킬 수 있다.
(제 2 변형예)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코일 위치의 임시 설정에 있어서, 조작자는, 코일부 (11) 의 대상자 헤드부에 대한 접촉 상태 및 밀착 상태를 개선하고 싶다고 생각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위치나 자세를 상대적으로 소정량만큼 변경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경우에 따라서는 의도적으로 편측 접촉 상태로 하는 것도 포함된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접수부 (501) 는, 코일부 (11) 의 위치 및 자세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소정량의 변경이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또, 접수부 (501) 는, 당해 상대적인 소정량의 변경을, 상기의 「원하는 변경」으로서 접수하는 것으로 한다.
본 예에서는, 상기의 「상대적인 소정량의 변경」은,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의 양의 이동, 소정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의 회전 각도량의 회전 등이다.
또, 본 예에서는, 「복수 종류의 변경」은, 코일부 (11) 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의 조합이 서로 상이한 변경, 혹은, 코일부 (11) 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량의 조합이 서로 상이한 변경이다.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의 선택지로는, 예를 들어, 이동 방향은,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전, 후, 좌, 우,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 하로 하고, 이동량은, 10 ㎜, 20 ㎜, 30 ㎜ 로 할 수 있다. 또,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량의 선택지로는, 예를 들어, 회전 방향은, 전, 후, 우, 좌로 하고, 회전 각도량은, 10°, 20°, 30°로 할 수 있다.
조정 순서 기억부 (502A) 는,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이동 방향 및 이동량에 대응한 조정 순서 정보와,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량에 대응한 조정 순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안내부 (502) 는, 입력된 이동 방향 및 이동량 혹은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량에 대응한 조정 순서 정보를, 조정 순서 기억부 (502A) 로부터 판독 출력하고, 그 조정 순서 정보가 나타내는 조정 순서를 안내한다.
이와 같은 제 2 변형예에 의하면, 조작자는, 안내된 조정 순서에 따라 조정하는 것만으로, 코일부 (11) 를 원하는 방향으로 원하는 양만큼 이동시키거나, 원하는 회전 방향으로 원하는 각도량만큼 회전시키거나 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은,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지만, 제어 장치가 갖는 기능 블록의 기능이 상이하다.
접수부 (501) 는, 코일부 (11) 의 목표가 되는 위치 및 자세의 적어도 일방이 입력된다. 요컨대, 이 실시형태의 접수부 (501) 는, 코일부 (11) 가 당해 목표가 되는 위치 및 자세를 취하는 코일부 (11) 의 위치 및 자세의 변경을, 「원하는 변경」으로서 접수한다. 여기서는, 조작자가, 위치 결정 기구부 (30) 의 좌표계에 있어서 원하는 위치 및 자세 (방향) 를 입력하고, 접수부 (501) 가, 그것을 접수한다. 또한, 위치 결정 기구부 (30) 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원하는 위치 및 자세 (방향) 의 입력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당해 좌표계에 대상자 (90) 의 헤드부와 코일부 (11) 를 각각 임의의 위치 및 자세로 배치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나타내는 3 차원 화상을 디스플레이부 (52) 에 표시한다. 조작자는, 수집한 대상자의 정보를 기초로, 당해 가상 공간 내에서 헤드부와 코일부 (혹은 자기 자극을 부여하는 위치와 방향을 모델화한 화상) 를, 실제의 치료시에 있어야 할 적절한 위치 관계로 배치한다. 이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코일부 (11) 의 위치 결정 기구부 (30) 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원하는 위치 및 자세를 특정한다.
또한, 대상자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3 차원 화상은, 실제의 화상은 아니고 모델화한 화상이어도 된다. 또, 코일부의 화상은, 자기 자극을 부여하는 위치와 방향을 모델화한 화상이어도 된다.
취득부 (504) 는, 위치 정보 출력부 (60) 로부터 신호를 통하여 보내져 오는 각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위치 정보를, 현재 위치 정보로서 취득한다. 현재 위치 정보의 취득은, 비교적 짧은 주기로 반복 실시되어, 순차적으로 갱신된다.
안내부 (502) 는, 취득부 (504) 에 의해 취득된 현재 위치 정보와, 접수부 (501) 에 의해 접수한 코일부 (11) 의 목표의 위치 및 자세에 기초하여, 조정 순서를 연산에 의해 구하고, 그것을 안내한다. 조정 순서는, 어느 조정 기구를 어느 순번으로 어느 위치 (눈금) 로 조정할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코일부 (11) 를 목표의 위치 및 자세로 변경하기 위한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 는, 코일부 (11) 를 목표의 위치 및 자세로 변경하기 위한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도이다.
스텝 T301 에서는, 원하는 위치 및 자세 (방향) 를 입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자가, 코일부의 목표의 위치 및 자세를 입력한다.
스텝 T302 에서는, 원하는 위치 및 자세의 입력을 접수한다.
구체적으로는, 접수부 (501) 가, 그 목표의 위치 및 자세의 입력을 접수한다.
스텝 T303 에서는, 조정 순서를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안내부 (502) 가, 코일부 (11) 를, 현재의 위치 및 자세로부터, 접수한 목표의 위치 및 자세로 변경하기 위한 조정 순서를 연산에 의해 구한다.
스텝 T304 에서는, 조정 순서를 안내한다.
구체적으로는, 안내부 (502) 가, 스텝 302 에서 구한 조정 순서를 안내한다. 안내는,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정 순서를 표시함과 함께, 각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고, 조정의 진척을 모니터링하여, 각 시점에서 적절한 안내를 실시한다.
(제 4 실시형태)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은, 코일부의 대상자 헤드부에 대한 위치 관계를, 센서를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특정함으로써, 코일부의 대상자 헤드부에 대한 접촉 상태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접촉 상태를 개선 또는 해소하기 위한 위치 결정 기구부의 조정 순서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접촉 상태」는,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밀착 상태 (밀착 부족, 과밀착 등) 나 편측 접촉 상태 등을 포함한다.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 은,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4) 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4) 은, 자기 자극 회로부 (10) 와, 위치 결정 기구부 (30) 와, 위치 정보 표시부 (40) 와, 위치 정보 출력부 (60) 와, 센서부 (70) 와, 제어 장치 (50) 를 갖고 있다. 또한, 도 23에서는, 위치 결정 기구부 (30) 를 나타내는 블록 내에 센서부 (70) 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것은, 센서부 (70) 가, 위치 결정 기구부 (30) 와 물리적으로 근접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기 위함이고, 이들 요소 간의 포함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자기 자극 회로부 (10) 와, 위치 결정 기구부 (30) 와, 위치 정보 표시부 (40) 와, 위치 정보 출력부 (60) 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 자기 자극 회로부 (10) 는,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코일부 (11) 와 코일 구동부 (12) 를 갖고 있다.
센서부 (70) 는, 코일부 (11) 자체에, 또는, 코일부 (11) 및 대상자 헤드부를 부감 (俯瞰) 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1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고, 코일부 (11) 의 대상자 헤드부에 대한 위치 관계가 반영된 신호를 출력한다. 센서부 (70) 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24 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 (50) 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 (50) 는, 접수부 (501) 와, 안내부 (502) 와, 코일 구동 제어부 (503) 와, 취득부 (504) 와,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를 갖고 있다. 또한,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는,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검출 수단의 일례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수부 (501) 와, 안내부 (502) 와, 코일 구동 제어부 (503) 와, 취득부 (504) 는, 적어도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있다.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는, 센서부 (70) 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코일부 (11) 의 대상자 헤드부에 대한 위치 관계를 정량적으로 특정하여, 코일부 (11) 의 밀착 상태나 편측 접촉 상태를 검출한다. 즉,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는, 센서부 (70) 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코일부 (11) 가 대상자 헤드부에 대해 적정한 압력으로 밀착되어 있는지, 편측 접촉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 편측 접촉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코일부 (11) 가 대상자의 헤드부 표면에 대해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어긋나 있는지, 혹은 어느 정도 경사져 있는지 등을 고분해능으로 검출한다.
센서부 (70) 는, 예를 들어, 촬상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기계 스위치 센서, 정전 센서, 가속도 센서 등 중 하나 이상 또한 일 종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 (70) 는, 코일부 (11) 의 헤드부 맞닿음면의 근방에, 또는 코일부 (11) 및 대상자 헤드부를 부감할 수 있는 위치에, 1 또는 복수의 촬상 센서가 장착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상 센서는, 대상자 헤드부를 혹은 코일부 (11) 와 대상자 헤드부의 쌍방을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는, 이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해석 처리를 실행하고, 대상자 헤드부를, 혹은 코일부 (11) 와 대상자 헤드부의 쌍방을 화상 인식하고, 그 결과로부터 코일부 (11) 의 헤드부 표면에 대한 편측 접촉 상태를 검출한다.
또 예를 들어, 센서부 (70) 는, 코일부 (11) 의 헤드부 맞닿음면 상, 당해 헤드부 맞닿음면의 근방, 혹은 당해 헤드부 맞닿음면의 외측 가장자리부 등에, 복수의 초음파 센서가 장착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초음파 센서는, 당해 센서로부터 대상자 헤드부까지의 거리에 따른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는, 이들 신호에 기초하여 해석 처리를 실행하고, 각 센서의 위치로부터 대상자의 헤드부 표면까지의 거리를 인식하고, 그 결과로부터 코일부 (11) 의 헤드부 표면에 대한 편측 접촉 상태를 검출한다.
또 예를 들어, 센서부 (70) 는, 코일부 (11) 의 헤드부 맞닿음면 상에, 또는 당해 헤드부 맞닿음면의 근방에, 혹은 당해 헤드부 맞닿음면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복수의 적외선 센서가 장착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적외선 센서는, 당해 센서로부터 대상자 헤드부까지의 거리에 따른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는, 이들 신호에 기초하여 해석 처리를 실행하고, 각 센서의 위치로부터 대상자의 헤드부 표면까지의 거리를 인식하고, 그 결과로부터 코일부 (11) 의 헤드부 표면에 대한 편측 접촉 상태를 검출한다.
또 예를 들어, 센서부 (70) 는, 코일부 (11) 의 헤드부 맞닿음면 상에, 또는 당해 헤드부 맞닿음면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복수의 압력 센서가 장착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압력 센서는, 대상자 헤드부와 접촉하여 당해 헤드부로부터 가해진 압력에 따른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는, 이들 신호에 기초하여 해석 처리를 실행한다. 이로써,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는, 각 센서의 위치에 대해, 대상자 헤드부와 접촉하고 있는지,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밀착도로 접촉하고 있는지를 인식하고, 그 결과로부터 코일부 (11) 의 헤드부 표면에 대한 밀착 상태나 편측 접촉 상태를 검출한다.
또 예를 들어, 센서부 (70) 는, 코일부 (11) 의 헤드부 맞닿음면 상에, 또는 당해 헤드부 맞닿음면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복수의 기계 스위치 센서가 장착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기계 스위치 센서는, 통상은 오프를 유지하고 있지만, 스위치 부분이 대상자의 헤드부와 접촉하여 일정 이상의 힘으로 소정량 가압되면 온이 되고, 그 온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는, 이들 신호에 기초하여 해석 처리를 실행한다. 이로써,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는, 각 센서의 위치에 대해, 대상자 헤드부와 접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하고, 그 결과로부터 코일부 (11) 의 헤드부 표면에 대한 편측 접촉 상태를 검출한다. 또한, 기계 스위치 센서가, 스위치 부분이 가압되는 양에 따라 복수 단계의 상태를 취할 수 있고, 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코일부 (11) 의 헤드부 표면에 대한 밀착 상태도 검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센서부 (70) 는, 코일부 (11) 의 헤드부 맞닿음면 상에, 또는 당해 헤드부 맞닿음면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복수의 정전 센서가 장착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정전 센서는, 당해 센서로부터 대상자 헤드부까지의 거리에 따른 신호나, 당해 센서가 대상자 헤드부와 접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는, 이들 신호에 기초하여 해석 처리를 실행한다. 이로써,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는, 각 센서의 위치에 대해, 대상자 헤드부와의 거리나 접촉의 유무를 인식하고, 그 결과로부터 코일부 (11) 의 헤드부 표면에 대한 편측 접촉 상태를 검출한다.
또 예를 들어, 센서부 (70) 는, 상기 서술한 센서에 더하여, 코일부 (11) 에 가속도 센서를 추가로 장착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속도 센서는, 코일부 (11) 의 직교 좌표계에 있어서의 당해 센서에 가해지는 중력 가속도의 각 성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는, 이들 신호에 기초하여 해석 처리를 실행한다. 이로써,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는, 코일부 (11) 의 경사를 인식하고, 그 결과로부터 다른 센서에서 얻은 코일부 (11) 의 위치나 자세에 관한 정보를 보충하여, 대상자 헤드부에 대한 편측 접촉 상태를 양호한 정밀도로 검출한다.
또 예를 들어, 센서부 (70) 는, 상기 서술한 센서를 조합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접촉 상태 검출부 (505) 가, 센서부 (70) 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코일부 (11) 의 부적정한 밀착 상태나 편측 접촉 상태를 검출하면, 접수부 (501) 는, 그것들의 상태의 입력을 접수하고, 안내부 (502) 는, 그 밀착 상태를 개선하거나, 그 편측 접촉 상태를 해소하거나 하기 위한 조정 순서를 구하여, 조작자를 향하여 안내한다.
또한, 이 때의 조정 순서를 구하는 방법, 즉, 제어 장치 (50) 에 있어서의 접수부 (501), 안내부 (502) 및 접촉 상태 검출부 (505) 의 동작으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3 가지의 케이스를 생각할 수 있다.
제 1 케이스에서는,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는, 코일부 (11) 의 접촉 상태 즉 밀착 상태나 편측 접촉 상태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를 접수부 (501) 에 입력한다. 이 경우, 안내부 (502) 는, 접수부 (501) 에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조정 기구의 자유도를 고려한 3 차원 해석 등의 수법에 의해, 각 조정 기구의 조정 방향 및 조정량 (이동량) 혹은 목표 위치 (예를 들어, 위치 정보 표시부 (40) 가 표시하는 수치의 목표치) 를 계산 상의 해답으로서 구한다. 또한, 안내부 (502) 는, 통상, 조정량 혹은 목표 위치를 연산에 의해 구하지만, 미리 준비한 대응표를 이용하여 구하도록 해도 된다.
제 2 케이스에서는,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는, 코일부 (11) 의 접촉 상태 즉 밀착 상태나 편측 접촉 상태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로부터, 코일부 (11) 의 밀착 상태나 편측 접촉 상태의 종류를 특정하고, 이것을 접수부 (501) 에 입력 한다. 이 경우, 안내부 (502) 는, 접수부 (501) 에 입력된, 밀착 상태나 편측 접촉 상태의 종류에 따라, 대응하는 조정 순서를 연산 또는 대응표에 의해 구한다.
제 3 케이스에서는,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는, 코일부 (11) 의 접촉 상태 즉 밀착 상태나 편측 접촉 상태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를, 혹은, 그 데이터로부터 특정되는 코일부 (11) 의 밀착 상태나 편측 접촉 상태의 종류를 조작자에게 알린다. 조작자는, 그 알려진 정보를 기초로, 코일부 (11) 의 밀착 상태나 편측 접촉 상태의 종류를 접수부 (501) 에 입력한다. 밀착 상태나 편측 접촉 상태의 종류의 입력은, 예를 들어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작자가, 미리 준비된 복수의 선택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실시한다. 안내부 (502) 는, 입력된 종류의 밀착 상태나 편측 접촉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조정 순서를, 연산에 의해 혹은 대응표에 의해 구한다.
또한, 안내부 (502) 에 의한 조정 순서의 안내 방법은,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촉 상태 검출부 (505) 는, 센서부 (70) 를 사용하여 코일부 (11) 의 헤드부에 대한 접촉 상태를 검출하고, 접수부 (501) 는, 상기 검출된 접촉 상태의 입력을 접수하므로, 코일부 (11) 의 헤드부에 대한 접촉 상태, 특히 밀착 상태나 편측 접촉 상태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조정 순서를 안내할 수 있고, 조작자는, 경험이나 직감에 의지하지 않고 상기 접촉 상태를 특정한 후에, 조정 순서의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또, 접수부 (501) 가, 상기 검출된 접촉 상태의 입력을 자동으로 접수하는 경우에는, 조작자 자신에 의한 조작을 개재시키지 않고, 조정 순서의 안내를 받을 수 있어, 조작자의 판단이나 조작에 관련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접촉 상태 검출부 (505) 가, 상기 접촉 상태를 정량적으로 검출하고, 안내부 (502) 는, 그 정량적으로 검출된 접촉 상태에 기초하여, 조정 기구의 조정량 또는 목표 위치를 구하는 경우에는, 조작자는, 보다 정밀도가 높은 조정 순서가 안내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작부 (51) 및 디스플레이부 (52) 는, 터치 패널을 갖는 모바일 단말이어도 된다. 이로써, 조작자는, 조정 순서를 소지하여 참조하면서 조정 기구의 조정을 실시할 수 있어, 편리성이 양호하다.
또 예를 들어,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은, 동통 완화 치료용에 한정되지 않고, 우울증 치료용이나 연구용이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코일부의 「원하는 변경」은, 코일부의 위치 및 자세의 적어도 일방에 대한 변경이면 된다.
또 예를 들어, 위치 결정 기구부는, 코일부의 이동이 대상자의 헤드부 표면에 대응한 곡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이면 어느 구성이어도 되고, 로봇 아암과 같은 것이어도 된다.
1, 2 :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10 : 자기 자극 회로부
11 : 코일부
12 : 코일 구동부
30 : 위치 결정 기구부
31 : 의자
32 : 체격 조정 기구
321 : 후두부 레스트
322 : 전후 방향 조정 기구
323 : 상하 방향 조정 기구
324 : 체격 조정 가이드
325 : 높이 조정 기구
33 : 헤드기어
331 : 가압 방향 조정 기구
332 : 요 방향 조정 기구
333 : 피치 방향 조정 기구
334 : 롤 방향 조정 기구
335 : 헤드기어 가이드
336 : 착탈 기구
40 : 위치 정보 표시부
41 : 위치 표시부
50 : 제어 장치
51 : 조작부
52 : 디스플레이부
53 : 연산부
54 : 인터페이스부
55 : 기억부
60 : 위치 정보 출력부
61 : 위치 검출부
70 : 센서부
90 : 대상자
501 : 접수부
502 : 안내부
503 : 코일 구동 제어부
504 : 취득부
505 : 접촉 상태 검출부

Claims (24)

  1.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에 있어서,
    대상자의 헤드부에 맞닿음 또는 근접시키는 코일부와,
    복수의 가동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복수의 조정 기구를 포함하고, 그 복수의 조정 기구에 의한 조정에 의해 상기 코일부의 위치 및 자세를 결정하는 기구부와,
    상기 코일부의 위치 및 자세의 적어도 일방에 대한 원하는 변경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접수한 원하는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복수의 조정 기구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구비한,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 수단은, 상기 코일부의 상기 헤드부에 대한 접촉 상태의 입력을 상기 원하는 변경으로서 접수하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상태는, 상기 코일부의 외측 가장자리부 중 일부만이 상기 헤드부에 접촉하는 편측 접촉 상태인,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 수단은,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기 헤드부에 대한 접촉의 양태가 서로 상이한 복수 종류의 편측 접촉 상태를 선택지로서 갖고, 조작자의 선택에 의해 하나의 편측 접촉 상태가 상기 접촉 상태로서 입력되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상태는, 상기 코일부의 상기 헤드부에 대한 밀착 상태를 포함하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 수단은, 상기 코일부의 위치 및 자세의 적어도 일방의 소정량의 변경을 상기 원하는 변경으로서 접수하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인 소정량의 변경은,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량의 이동, 또는, 소정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각도량의 회전인,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 수단은, 상기 소정의 방향과 소정의 이동량의 조합, 또는,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과 각도량의 조합이 서로 상이한 복수 종류의 변경을 선택지로서 갖고, 조작자에 의해 하나의 변경이 상기 원하는 변경으로서 선택되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동 부재의 현시점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동 부재의 현시점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수 수단은, 상기 코일부의 목표가 되는 위치 및 자세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원하는 변경으로서 접수하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취득된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가, 상기 조정 순서에 의해 안내되는 위치와 일치 또는 허용 범위 내에서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조정해야 할 상기 조정 기구의 순번과 그 조정 기구의 조정 방향을 적어도 나타내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현시점에 있어서 조정해야 할 조정 기구 또는 가동 부재가 강조되거나 또는 지시된 화상을 표시하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조정 순서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는, 상기 코일부가 이동 방향의 하나로서 상기 대상자의 헤드부의 표면에 대응한 곡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되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는, 상기 코일부가, 이동 방향의 하나로서 상기 대상자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되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는, 상기 코일부가, 이동 방향의 하나로서 상기 대상자의 헤드부의 대략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되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19.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구부의 위치 결정 지원 방법으로서,
    상기 기구부는, 복수의 가동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복수의 조정 기구를 포함하고, 그 복수의 조정 기구에 의한 조정에 의해 상기 코일부의 위치 및 자세를 결정하는 기구부이고,
    상기 코일부의 위치 및 자세의 적어도 일방에 대한 원하는 변경을 접수하는 접수 공정과,
    상기 접수한 원하는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복수의 조정 기구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안내 공정을, 장치에 의해 실행시키는 위치 결정 지원 방법.
  20.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구부의 위치 결정 지원 방법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기구부는, 복수의 가동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복수의 조정 기구를 포함하고, 그 복수의 조정 기구에 의한 조정에 의해 상기 코일부의 위치 및 자세를 결정하는 기구부이고,
    상기 코일부의 위치 및 자세의 적어도 일방에 대한 원하는 변경을 접수하는 접수 공정과,
    상기 접수한 원하는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복수의 조정 기구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조정 순서를 안내하는 안내 공정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21. 제 2 항에 있어서,
    1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사용하여 상기 코일부의 상기 헤드부에 대한 접촉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접수 수단은, 상기 검출된 접촉 상태의 입력을 접수하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접촉 상태를 정량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안내 수단은, 그 정량적으로 검출된 접촉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 기구의 조정량 또는 목표 위치를 구하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상태는, 상기 코일부의 외측 가장자리부 중 일부만이 상기 헤드부에 접촉하는 편측 접촉 상태와, 상기 코일부의 상기 헤드부에 대한 밀착 상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24. 제 2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촬상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기계 스위치 센서, 정전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KR1020187026196A 2016-04-06 2017-03-31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및 위치 결정 지원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KR201801315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6361 2016-04-06
JPJP-P-2016-076361 2016-04-06
PCT/JP2017/013717 WO2017175685A1 (ja) 2016-04-06 2017-03-31 経頭蓋磁気刺激システム及び位置決め支援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539A true KR20180131539A (ko) 2018-12-10

Family

ID=6000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196A KR20180131539A (ko) 2016-04-06 2017-03-31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및 위치 결정 지원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111274A1 (ko)
EP (1) EP3441113A4 (ko)
JP (1) JP6687724B2 (ko)
KR (1) KR20180131539A (ko)
CN (1) CN108883289A (ko)
AU (1) AU2017247398A1 (ko)
CA (1) CA3020256A1 (ko)
WO (1) WO2017175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1435B2 (ja) * 2017-07-20 2020-10-21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位置情報取得方法
JP2021508522A (ja) * 2017-12-21 2021-03-11 ニューラレース 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非侵襲的な慢性疼痛療法の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CN109224301B (zh) * 2018-11-05 2023-09-01 长春大学 具有精确定位及自动跟踪功能的经颅磁刺激装置及方法
US11497924B2 (en) * 2019-08-08 2022-11-15 Realize MedTech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point of care magnetic stimulation therapy
CA3202444A1 (en) 2020-12-16 2022-06-23 Teijin Pharma Limited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8268A1 (en) * 2002-05-17 2003-11-27 Musc Foundation For Research Develop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positioning a probe or sensor
US7651459B2 (en) * 2004-01-06 2010-01-26 Neuronet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il positioning for TMS studies
AU2012200610B2 (en) * 2004-04-15 2014-07-10 Neuronet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roximity of a TMS coil to a subject's head
US8177702B2 (en) * 2004-04-15 2012-05-15 Neuronet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roximity of a TMS coil to a subject's head
WO2008001003A2 (fr) * 2006-06-26 2008-01-03 UNIVERSITE LOUIS PASTEUR (Etablissement Public à Caractère Scientifique, Culturel et Professionnel) Installation robotisee pour le positionnement et le deplacement d'un organe ou instrument et appareil de traitement comprenant une telle installation
US9884200B2 (en) * 2008-03-10 2018-02-06 Neuronetics, Inc. Apparatus for coil positioning for TMS studies
WO2010147064A1 (ja) * 2009-06-15 2010-12-23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磁気刺激装置
US10342987B2 (en) * 2011-04-28 2019-07-09 Osaka University Therapeutic electromagnetic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of generating custom data pairs used in said device
US20160030762A1 (en) * 2013-03-15 2016-02-04 Neuhorizon Medical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coil positioning with data integration
CN104436443B (zh) * 2014-11-20 2017-02-22 西安索立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脑皮质经颅磁刺激三维定位导航系统及导航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11274A1 (en) 2019-04-18
JP6687724B2 (ja) 2020-04-28
CA3020256A1 (en) 2017-10-12
EP3441113A1 (en) 2019-02-13
AU2017247398A1 (en) 2018-09-27
WO2017175685A1 (ja) 2017-10-12
CN108883289A (zh) 2018-11-23
JPWO2017175685A1 (ja) 2019-01-17
EP3441113A4 (en)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1539A (ko) 경두개 자기 자극 시스템 및 위치 결정 지원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DK2252367T3 (en) Device for coil positioning for tms study
EP2982412B1 (en) Head positioning device, medical system, medical instrument positioning device, and holding shell
EP2394579B1 (en) X-ray imaging systems and methods
EP2962727B1 (en) Position-finding apparatus
US9351635B2 (en) Assembly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rough positioning of ophthalmological equipment
CN103054579A (zh) 磁共振成像系统
JP6980016B2 (ja) 患者位置決めが改善された歯科用撮像装置
CN110896611A (zh) 一种基于摄像头的经颅磁刺激诊疗导航系统
EP3498173A1 (en) Patient positioning in diagnostic imaging
CN209826968U (zh) 一种手术机器人系统
WO2016104411A1 (ja) 経頭蓋磁気刺激装置
JP6244815B2 (ja) X線撮影方法
CN113101549A (zh) 放疗系统和放疗3d视觉实时监测姿态保持方法
JP6299010B2 (ja) X線撮影装置及びx線撮影方法
JP6142321B2 (ja) X線撮影装置及びx線撮影方法
JP6921449B1 (ja) 介助ロボットシステム、介助ロボット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CN113945589A (zh) 一种带防脱落检测的口腔种植手术机器人及控制方法
JP2024508838A (ja) コイル位置案内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を含む脳刺激装置及び方法
CN118021472A (zh) 用于植牙手术的动作追踪系统
JP2004261482A (ja) 人体背骨測定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