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986A -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986A
KR20180130986A KR1020170067392A KR20170067392A KR20180130986A KR 20180130986 A KR20180130986 A KR 20180130986A KR 1020170067392 A KR1020170067392 A KR 1020170067392A KR 20170067392 A KR20170067392 A KR 20170067392A KR 20180130986 A KR20180130986 A KR 20180130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ball screw
variable support
support shaft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8650B1 (ko
Inventor
박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Priority to KR1020170067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65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4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 B23Q1/4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crew p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8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 B23Q5/40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by feed shaft, e.g. lead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한 쌍의 컬럼(Column)을 하나의 볼 스크루(Ball screw)로 이동시키고, 비교적 대형의 가공할 구조물이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공할 구조물 또는 제조할 3차원 형상의 구조물이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본체 상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 상기 본체 상에 마련된 다수의 리니어 가이드, 상기 다수의 리니어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연결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부에 마련된 제1 및 제2의 컬럼, 장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이송하도록 이송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볼 스크루(Ball screw)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동기제어를 하지 않으면서도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고 볼 스크루를 하나만 제어하면 되므로 베이스 플레이트를 길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Transferring device of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쌍의 컬럼(Column)을 하나의 볼 스크루(Ball screw)로 이동시키고, 비교적 대형의 가공할 구조물이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 기계라 함은 각종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비금속의 공작물을 적당한 공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 또 절삭 장치로서는 커팅머신, 절단 장치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되고, 금속, 목재 등의 다양한 재료를 특정 치수에 알맞게 절삭하는 기계를 말하는 것으로, 절삭 대상의 종류, 절삭 방법, 절삭 치수 등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진 절삭기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공작 기계로는 터닝 센터, 머시닝센터, 문형머시닝센터, 스위스 턴, 방전 가공기, 수평형 NC 보링머신, CNC 선반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공작 기계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해당 작업의 용도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 최근의 공작 기계는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 NC) 장치에 컴퓨터의 기능을 추가하여 자동으로 3차원(X축, Y축 및 Z축) 가공을 할 수 있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머시닝센터는 공작물의 분할기능을 갖추고 다면 가공, 밀링가공, 드릴링가공 등의 여러 가지 종류의 가공을 할 수 있으며, 또한 공구 자동 교환장치(Auto Tool Changer, ATC)가 구비되어 가공종류에 맞는 공구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CNC 공작 기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머시닝센터는 주축이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는 수직형(vertical) 머시닝센터와 주축이 수평으로 장착되어 수평형(horizontal) 머시닝센터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머시닝센터를 세분하면 컬럼 무빙형(column moving type) 머시닝센터, 새들 무빙형(saddle moving type) 머시닝센터, 램형(ram type) 머시닝센터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컬럼 무빙형 머시닝센터와 새들 무빙형 머시닝센터는 주로 2개의 축(X축, Y축)과 1개의 축(Z축)이 별개로 이동하는 구조이고, 램형 머시닝센터는 3개의 축(X축, Y축, Z축)이 동시에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대형의 가공장치로서 3차원 형상 제조장치 등이 사용되며, 3차원 형상 제조장치에서 사용되는 한 쌍의 컬럼을 각각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컬럼에 볼 스크루 장치를 마련하고, 이 볼 스크루 장치에 대해 각각의 모터를 마련하여 동기제어를 실행하고 있다.
즉, 모든 가공기는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가공물을 고정하고 가공 축이 이동하면서 가공을 하거나 이동 테이블인 베이스가 이동하면서 고정된 가공 축이 가공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된다. 대형 구조물을 가공하려면 두 가지 점을 고려해야 하는데 가공 축이 견고하여 안정적 가공이고, 대형 구조물을 이송시킬 때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밀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대부분의 대형 오면 가공기 또는 플래너 밀링 등에서는 장축의 볼 스크루를 사용한다. 즉, 베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해 베이스의 하부에 하나의 볼 스크루를 사용한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 기계의 X축 이송장치로서, 지면에 설치된 베드(102), 베드(2)의 상부에 X축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 하도록 설치된 새들(103), 새들(103)의 상부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 하도록 새들(103)의 상부에 설치 컬럼(104), Z축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 하도록 컬럼(4)의 일 측에 설치된 스핀들 유닛(105), 및 테이블(106)을 포함하고, 베드(102)상에 제1 리니어 가이드(110), 제2 리니어 가이드(120) 및 제3 리니어 가이드(130)가 형성되며, 볼 스크루 유닛(140)이 베드(102)의 상단면 상에서 제1 리니어 가이드(110)와 제2 리니어 가이드(120)에 평행하면서 제1 리니어 가이드(110)와 제2 리니어 가이드(120) 사이에 설치되며, 볼 스크루 유닛(140)에 의해 새들(103)이 베드(102) 상에서 X축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때 제1 리니어 가이드(110), 제2 리니어 가이드(120) 및 제3 리니어 가이드(130)는 새들(103)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공작 기계의 X축 이송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절삭 대상이 안착된 작업대의 상부에 위치하며 절삭 대상을 절삭하는 벨트 형태의 톱이 풀리에 귄취되어 상기 풀리 구동에 의하여 순환 회전을 하도록 하는 헤드, 서포터를 매개로 상기 헤드와 연결되며 상기 헤드의 후방에 기립 위치한 컬럼, 상기 컬럼에 장착되며 상기 컬럼의 높이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제1 서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좌우 1쌍의 볼 스크루가 상기 서포터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산 결합을 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볼 스크루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서포터에 결합된 상기 헤드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장치, 상기 컬럼에 장착된 제2 서보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피니언 및 상기 칼럼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과 결합되어 있는 랙과 LM 가이드를 구비하여, 상기 제2 서보 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LM 가이드를 따라 상기 컬럼을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 이동장치를 구비한 절삭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01207호(2015.09.03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0781호(2010.07.09 등록)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소형의 가공 장치에는 적용이 용이하지만, 대형의 가공장치로서 3차원 형상 제조장치 또는 공작 기계에서는 새들의 상부에 마련된 컬럼에 장착된 스핀들 유닛과 3차원 형상 제조장치 또는 공작 기계의 자체의 하중에 의해 3차원 형상 제조장치 또는 공작 기계가 전도되거나 가공 과정에서 변형되는 가공 대상의 하중에 의해 베드 상에 마련된 테이블의 평탄도가 균일하지 않게 되어 정밀 가공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컬럼에 장착된 제2 서보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피니언 및 칼럼을 지지한 상태에서 피니언과 결합되어 있는 랙과 LM 가이드를 구비하여, 제2 서보 모터의 구동으로 LM 가이드를 따라 상기 컬럼을 전후 이동시키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컬럼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가 컬럼에 마련되어 있어 컬럼 자체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와 같은 컬럼에 비교적 하중이 큰 가공 장치를 장착하는 경우, 컬럼의 이동을 위한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이러한 기술에서는 랙과 피니언의 초기 장착을 위한 작업이 번잡하고, 컬럼의 이동과정에서 랙과 피니언의 어긋남이 발생할 염려도 있었다.
또한, 대형의 가공장치로서 3차원 형상 제조장치 또는 공작 기계에서 사용되는 한 쌍의 컬럼을 각각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컬럼에 볼 스크루 장치를 마련하고, 이 볼 스크루 장치에 대해 각각의 모터를 마련하여 동기제어를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동기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모터를 동일하게 이동시켜야 하므로 장비를 초기에 세팅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사용 도중 두 개의 컬럼이 어긋나므로 각각의 컬럼의 위치를 보정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 동기제어를 하게 되면 볼 스크루가 길어지게 되면 정밀도를 구현하는데 더욱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종래의 기술과 같이, 베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해 베이스의 하부에 하나의 볼 스크루를 사용하는 경우, 베이스에 마련되는 가공할 구조물 또는 제조할 3차원 형상의 구조물의 위치에 따라 베이스가 안정되게 유지되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대형의 가공할 구조물 또는 3차원 형상 제조물을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한 쌍의 컬럼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물의 가공 또는 3차원 형상 제조 과정에서 가공기의 이동 과정에서 컬럼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를 길게 함과 동시에 한 쌍의 컬럼의 이동을 정밀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는 본체 상에 마련되어 공작 기계 또는 3차원 형상 가공 기계를 이송하는 장치로서, 가공할 구조물 또는 제조할 3차원 형상의 구조물이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본체 상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 상기 본체 상에 마련된 다수의 리니어 가이드, 상기 다수의 리니어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연결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부에 마련된 제1 및 제2의 컬럼, 장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이송하도록 이송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볼 스크루(Ball screw)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 상기 다수의 리니어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 부분에 마련된 제1 및 제2의 리니어 가이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된 제3 및 제4의 리니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본체의 주변 부분에 마련된 다수의 고정 지지축과 상기 본체의 중앙 부분에 마련된 다수의 변동 지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변동 지지축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지지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 상기 볼 스크루 부재는 장축의 볼 스크루 축, 상기 볼 스크루 축의 일 단에 마련되고 상기 이송모터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브래킷부, 상기 볼 스크루 축의 타 단에 마련되고 볼 스크루 축을 지지하는 엔드 브래킷부, 상기 볼 스크루 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볼 스크루 축에서 이동 가능한 너트 브래킷부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 브래킷부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 상기 볼 스크루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또는 상기 본체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 상기 다수의 변동 지지축의 각각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의 감지 상태에 따라 상기 다수의 변동 지지축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 또는 다수의 변동 지지축의 각각에 마련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각각의 변동 지지축과 연결 플레이트와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간격 이내인 경우 다수의 변동 지지축의 각각에 의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 상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 상기 제어부에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변동 지지축을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 수단은 솔레노이드, 유압식 실린더, 공압식 실린더 또는 전동식 실린더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 상태의 해제는 상기 각각의 변동 지지축의 좌우 회전 또는 상하 이동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 의하면, 제1 및 제2의 컬럼과 일체로 마련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이동 가능한 연결 플레이트를 볼 스크루 부재로 이송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기술과 달리 동기제어를 하지 않으면서도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고 볼 스크루를 하나만 제어하면 되므로 베이스 플레이트를 길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 의하면, 본체 상에 다수의 리니어 가이드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구조물의 가공 또는 3차원 형상 제조 과정에서 가공기의 이동 과정에서 컬럼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 의하면, 길게 마련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처짐 및 진동을 방지하여 베이스 플레이트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제1 및 제2의 컬럼의 이송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새들, 컬럼 및 스핀들 유닛이 설치된 공작 기계의 X축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 지지대를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의 동작의 제1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 지지대를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의 동작의 제2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 지지대를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의 동작의 제3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 지지대를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의 동작의 제4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는 이송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볼 스크루 부재로 제1 및 제2의 컬럼을 이동시키는 공작 기계 또는 3차원 형상 제조장치에 적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건축용 형상을 제조하기 위해 3차원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형상을 제조하는 대형의 3차원 형상 제조장치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형 오면 가공기 또는 플래너 밀링 등에 적용 가능하다.
또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솔레노이드(solenoid)'는 전류가 코일에 공급되었을 때 코일 속으로 플런저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작동시켜 기계적인 움직임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자 기계식 장치로,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실린더'는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는 유압식 실린더, 공압식 실린더 또는 전동식 실린더로서,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5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에서 A-A 선에 따른 단면도 이며, 도 5는 도 4에서 B-B 선에 따른 단면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는 본체(10) 상에 마련되어 공작 기계 또는 3차원 형상 가공 기계를 이송하는 장치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할 구조물이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 상기 본체(10) 상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40), 상기 본체(10) 상에서 마련된 다수의 리니어 가이드(80, 81, 82, 83), 상기 다수의 리니어 가이드(80, 81, 82, 83)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연결 플레이트(9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양측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 플레이트(91)의 상부에 마련된 제1 및 제2의 컬럼(90. 90'), 장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91)를 이송하도록 이송모터(20)에 의해 작동되는 볼 스크루(Ball screw) 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볼 스크루 부재(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나사 산이 마련된 볼 스크루 축(31), 상기 이송모터(20)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볼 스크루 축(31)의 일 단에 마련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장착된 모터 브래킷부(12), 볼 스크루 축(31)의 타 단에 마련되어 볼 스크루 축(31)을 지지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장착된 엔드 브래킷부(13), 볼 스크루 축(31)에 삽입되고 연결 플레이트(91)가 장착되는 너트 브래킷부(14)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 브래킷부(14)는 연결 플레이트(91)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송모터(20)는 모터 브래킷부(12) 측에 장착되고, 이 이송모터(20)는 볼 스크루 축(31)의 길이, 직경 및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무게,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형성될 3차원 형상의 구조물 또는 가공할 구조물의 중량 등에 대응하는 출력을 갖도록 마련되며, 볼 스크루 축(31)의 회전을 위한 정밀 제어를 위해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 볼 스크루 축(31)과 너트 브래킷에 형성된 나사의 형상은 사각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수단(40)은 상기 본체(10)의 주변 부분에 마련된 다수의 고정 지지축(41)과 상기 본체의 중앙 부분에 마련된 다수의 변동 지지축(4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지지축(41)은 도 3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부의 4 모서리 부분에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 플레이트(91)의 이동에 방해가 안 되는 부분에 다수 개를 마련하거나 또는 일 측변의 하부 전체에 마련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 지지축(41)은 본체(10)의 4 모서리 부분 상에 마련되고, 이 고정 지지축(41) 상에 베이스 플레이트(11)가 탑재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변동 지지축(42)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전체 면적에 걸쳐 다수 개가 다수의 열로 마련되며, 이와 같은 변동 지지축(42)은 연결 플레이트(91)의 이동에 따라 동일 열에서 동시에 좌우 회전 또는 상하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는 상기 다수의 변동 지지축(42)의 각각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50), 상기 감지부(50)에서의 감지 상태에 따라 상기 다수의 변동 지지축(42)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 변동 지지축(42)를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7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50)는 볼 스크루 축(31) 상에서 이동 가능한 연결 플레이트(91)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마련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구비하며, 각각의 센서는 비접촉식으로 변동 지지축(42)의 형상을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감지부(50)는 제어부(60)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감지된 변동 지지축(42)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송신부를 구비한다. 상기 송신부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지그비, RFID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와 송신부는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전단 및 후단에 각각 마련된 하나의 제1 센서 및 제2 센서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일 열로 마련된 변동 지지축(42)의 개수에 대응하여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각각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감지부(50)가 연결 플레이트(91)의 전단 및 후단에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다수의 변동 지지축(42)의 각각의 전단 또는 후단에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마련하고, 각각의 변동 지지축(42)에서 연결 플레이트(91)의 이동을 감지하는 구조로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통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61)와 메모리(62)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모리(62)에는 감지부(50)에 의해 감지된 각각의 변동 지지축(42)과 연결 플레이트(91)와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간격 이내인 경우 다수의 변동 지지축(42)의 각각에 의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지지 상태를 해제하는 값이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메모리(62)에는 볼 스크루 축(31)의 길이에 대한 정보, 각각의 변동 지지축(42)의 설치 간격에 대한 정보, 이송모터(20)의 회전에 대응하는 연결 플레이트(91)의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 감지부(50)에서 감지된 변동 지지축(42)과 연결 플레이트(91)와의 간격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61)는 메모리(62)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변동 지지축(42)과 연결 플레이트(91)와의 간격이 예를 들어 1㎝인 경우, 상기 변동 지지축(42)의 지지 상태를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또 변동 지지축(42)을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70)은 솔레노이드, 유압식 실린더, 공압식 실린더 또는 전동식 실린더 중의 어느 하나 및 제어부(60)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위한 수신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75)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지그비, RFID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리니어 가이드(80, 81, 82, 8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91)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레일로서 기능 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양단 부분에 마련된 제1 및 제2의 리니어 가이드(80, 8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부에 마련된 제3 및 제4의 리니어 가이드(82, 83)로 이루어진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의 컬럼(90. 9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제1의 리니어 가이드(80)와 제3의 리니어 가이드(82) 사이의 간격과 제2 리니어 가이드(81)와 제4의 리니어 가이드(83)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게 마련된다. 또한, 제1 내지 제4의 리니어 가이드(80, 81, 82, 83)에는 각각 연결 플레이트(9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가 마련되며, 연결 플레이트(91)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 부가 마련된다. 즉 돌출부에 홈 부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연결 플레이트(9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각각의 제1 및 제2 컬럼(90, 90')의 이동 과정에서 컬럼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의 컬럼(90. 90')은 연결 플레이트(91)에 의해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의 리니어 가이드(80, 81)에 마련된 연결 플레이트(91)의 상부에 결합되고, 각각의 제1 및 제2의 컬럼(90. 90') 상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유압식 또는 전동식 실린더(92, 9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의 컬럼(90. 90')의 각각의 일 측에는 상기 실린더(92, 92')의 동작에 필요한 동력이 공급되는 동력공급라인(PL)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91)와 제1 및 제2의 컬럼(90. 90')은 동일 재질로 일체로 마련되던가 또는 용접, 나사 체결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화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의 컬럼(90. 90')의 실린더(92, 92')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암 모듈(100)이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의 컬럼(90. 90')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의 컬럼(90. 90')이 하부에서 연결 플레이트(9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부에서 수평 암 모듈(100)에 의해 연결되므로, 제1 및 제2의 컬럼(90. 90')의 이동시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수평 암 모듈(10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안착된 구조물을 가공하기 위해 X, Y, Z 축으로 이동 가능한 가공기(101)가 마련되며, 이 가공기(101)에는 가공할 동작에 필요한 동력이 공급되는 동력공급라인(PL)이 연결되어 있다. 즉 가공기(101)는 수평 암 모듈(100) 상에 마련된 이송 홀더 모듈과 이송 레일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연결 플레이트(91)의 이동에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제1 및 제2의 컬럼(90. 90')에 마련된 실린더(92, 92')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의 구조에서는 제1 내지 제4의 리니어 가이드(80, 81, 82, 83)를 마련한 상태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공기(101)의 중량이 비교적 작아 가공 도중, 가공기(101)가 수평 암 모듈(100)의 일 측에서 발생시키는 토크가 제1 및 제2의 컬럼(90. 90')의 비틀림 현상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경우, 제1 및 제2의 리니어 가이드(80, 81) 만을 마련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리니어 가이드는 제1 및 제2의 컬럼(90. 90') 사이의 길이, 가공기(101)의 중량, 가공기(101)의 이동 경로에 따라 제1 및 제2의 컬럼(90. 90')에서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면, 제1 및 제2의 리니어 가이드(80, 81) 만을 적용하던가 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의 리니어 가이드(80, 81, 82, 83)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5개 이상의 리니어 가이드를 마련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공기(101)를 예를 들어 3차원 형상 제조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가공기(101)는 건축물에 포함된 구조물의 형성에 필요한 건축재와 상기 건축물에 포함된 공간의 형성에 필요한 충진재를 공급하는 소재 공급 모듈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소재 공급 모듈은 필요에 따라 복수 종류의 소재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건축물의 포함된 바닥, 벽체, 천정, 지붕, 기둥 등의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건축재를 공급하는 건축재 공급모듈, 건축재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재를 공급하는 접착재 공급모듈, 구조물을 단열시키기 위한 단열재를 공급하는 단열재 공급모듈, 구조물 내부에 매입되는 철근을 공급하는 철근 공급모듈, 건축물의 구조물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채우기 위한 충진재를 공급하는 충진재 공급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 작동 수단(70)에 의해 변동 지지축(42)을 작동하는 과정에 대해 도 6 내지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 변동 지지축(42)을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70)의 동작의 제1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다.
상기 작동 수단(7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식 실린더, 공압식 실린더 또는 전동식 실린더의 실린더(71)에 변동 지지축(42)이 장착되고, 이 변동 지지축(4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 도 6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연결 플레이트(91)의 전단 및 후단에 감지부(50)로서 제1 센서 및 제2 센서가 마련된 구조를 적용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수의 변동 지지축(42)의 각각의 전단 및 후단에 제1 센서 및 제2 센서가 마련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동 지지축(42)이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지지한 상태에서 이송모터(20)의 작동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91)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연결 플레이트(91)에 장착된 제1 센서가 변동 지지축(42)을 감지하고, 이 감지 신호는 감지부(50)에 마련된 송신부를 통해 제어부(6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은 감지 신호는 실시간으로 연속하여 전송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61)는 감지 신호가 메모리(62)에 저장된 변동 지지축(42)과 연결 플레이트(91)와의 설정 간격 이내인가 판단하고, 연결 플레이트(91)가 설정 간격 이내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부(75)로 실린더(71)의 작동 명령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실린더(71)는 작동을 개시하여 도 6에서 '가'부 상세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동 지지축(42)이 하강하여 연결 플레이트(91)와 변동 지지축(42)의 접촉을 방지하며, 이후, 제2 센서에 의해 변동 지지축(42)과 연결 플레이트(91)와의 설정 간격 이내를 벗어난 것으로 감지되면, 다시 실린더(71)가 작동하여 변동 지지축(42)을 상승시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지지하게 한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작동 수단(70)으로서 실린더(71)와 변동 지지축(42)이 별도의 구조로 결합된 상태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린더 자체를 변동 지지축의 형상으로 마련하는 것에 의해 일체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는 실린더(71)에 직접 변동 지지축(42)이 장착되므로, 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91)의 전후 부분에서 연속적으로 변동 지지축(42)이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지지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 변동 지지축(42)을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70)의 동작의 제2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다.
상기 작동 수단(7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를 구비한 솔레노이드(72), 플랜저에 결합된 브래킷(73), 일 측이 본체(10)에 장착되고 타 측이 변동 지지축(42)과 브래킷(73)에 결합된 경첩(74)을 포함하며, 본체(10)에는 변동 지지축(42)을 수용하기 위한 홈부(17)가 마련되며, 이에 따라 변동 지지축(42)은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동 지지축(42)이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지지한 상태에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모터(20)의 작동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91)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연결 플레이트(91)에 장착된 제1 센서가 변동 지지축(42)을 감지하고, 이 감지 신호는 감지부(50)에 마련된 송신부를 통해 제어부(6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은 감지 신호는 실시간으로 연속하여 전송된다.
제어부(60)의 마이크로프로세서(61)는 감지부(50)에서의 감지 신호가 메모리(62)에 저장된 변동 지지축(42)과 연결 플레이트(91)와의 설정 간격 이내인가 판단하고, 연결 플레이트(91)가 설정 간격 이내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부(75)로 솔레노이드(72)의 작동 명령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72)는 작동을 개시하여 플런저를 인출하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의 인출에 따라 변동 지지축(42)이 회전(도 7에서 우측으로 회전)하여 홈부(17)에 내장되게 한다. 이후, 제2 센서에 의해 변동 지지축(42)과 연결 플레이트(91)와의 설정 간격 이내를 벗어난 것으로 감지되면, 솔레노이드(72)가 작동하여 플런저를 인입하는 것에 의해 도 7의 (a)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는 연결 플레이트(91)와 변동 지지축(42)의 접촉 없이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 변동 지지축(42)을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의 동작의 제3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다.
도 8에 도시된 작동 수단(70)은 플런저를 구비한 솔레노이드(72), 플랜저와 변동 지지축(42)에 결합된 브래킷을 포함하고, 본체(10)에 변동 지지축(42)을 수용하기 위한 홈부(17)가 마련되고, 이 홈부(17)의 일 측에 변동 지지축(42)이 핀(75)에 의해 피봇(pivot) 구조로 장착되며, 이에 따라 변동 지지축(42)은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동 지지축(42)이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지지한 상태에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모터(20)의 작동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91)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연결 플레이트(91)에 장착된 제1 센서가 변동 지지축(42)을 감지하고, 이 감지 신호는 감지부(50)에 마련된 송신부를 통해 제어부(6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은 감지 신호는 실시간으로 연속하여 전송된다. 제어부(60)의 마이크로프로세서(61)는 감지부(50)에서의 감지 신호가 메모리(62)에 저장된 변동 지지축(42)과 연결 플레이트(91)와의 설정 간격 이내인가 판단하고, 연결 플레이트(91)가 설정 간격 이내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부(75)로 솔레노이드(72)의 작동 명령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72)는 작동을 개시하여 플런저를 인출하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의 인출에 따라 변동 지지축(42)이 회전(도 6에서 우측으로 회전)하여 홈부(17)에 내장되게 한다. 이후, 제2 센서에 의해 변동 지지축(42)과 연결 플레이트(91)와의 설정 간격 이내를 벗어난 것으로 감지되면, 솔레노이드(72)가 작동하여 플런저를 인입하는 것에 의해 도 8의 (a)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는 홈부(17)에 변동 지지축(42)이 장착되며, 핀(74)에 의해 회전 가능한 피봇 구조로서, 도 7에 도시된 구조에 비해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대한 변동 지지축(42)의 지지력이 강화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 변동 지지축(42)을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의 동작의 제4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다.
도 9에 도시된 작동 수단(70)에서는 솔레노이드(72)에 변동 지지축(42)이 장착되고, 솔레노이드(72)에 의해 변동 지지축(42) 자체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또 도 9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감지부(50)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연결 플레이트(91)의 전단 및 후단에 마련된 구조와 달리, 다수의 변동 지지축(42)의 각각의 전단 또는 후단에 마련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예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동 지지축(42)이 솔레노이드(72)에 유지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지지한 상태에서 이송모터(20)의 작동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91)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변동 지지축(42)에 장착된 제1 센서가 연결 플레이트(91)를 감지하고, 이 감지 신호는 감지부(50)에 마련된 송신부를 통해 제어부(6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은 감지 신호는 실시간으로 연속하여 전송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61)는 감지 신호가 메모리(62)에 저장된 변동 지지축(42)과 연결 플레이트(91)와의 설정 간격 이내인가 판단하고, 연결 플레이트(91)가 설정 간격 이내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부(75)로 솔레노이드(72)의 작동 명령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72)는 작동을 개시하여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동 지지축(42)을 회전(도 9의 (a)에서 좌측으로 회전)시켜 연결 플레이트(91)와 변동 지지축(42)의 접촉을 방지하며, 이후, 제2 센서에 의해 변동 지지축(42)과 연결 플레이트(91)와의 설정 간격 이내를 벗어나면, 솔레노이드(72)가 작동하여 변동 지지축(42)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켜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지지하게 한다.
또 이송모터(20)의 작동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91)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솔레노이드(72)가 작동을 개시하여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동 지지축(42)을 회전(도 9의 (b)에서 우측으로 회전)시켜 연결 플레이트(91)와 변동 지지축(42)의 접촉을 방지하며, 이후, 제2 센서에 의해 변동 지지축(42)와 연결 플레이트(91)와의 설정 간격 이내를 벗어나면, 솔레노이드(72)가 작동하여 변동 지지축(42)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켜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지지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4 예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에서는 솔레노이드(7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변동 지지축(42)이 솔레노이드(72)에 직접 장착되므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구조에 비해 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는 다수의 변동 지지축이 본체 상에 마련된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 예에서는 모터 브래킷부와 엔드 브래킷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 브래킷부와 엔드 브래킷부가 본체에 장착되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는 감지부에서 연결 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다수의 변동 지지축의 위치를 감지하고 제어부에서 다수의 변동 지지축의 각각을 제어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볼 스크루 축, 연결 플레이트와 다수의 변동 지지축의 각각의 초기 장착 시, 장착 위치를 설정하고 이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이송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의 이동 위치에 대응하여 제어부가 각각의 변동 지지축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조로 마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동기제어를 하지 않으면서도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고 볼 스크루를 하나만 제어하면 되므로 베이스 플레이트를 길게 할 수 있다.
10 : 본체
11 : 베이스 플레이트
40 : 지지 수단
80, 81, 82, 83 : 제1 내지 제4의 리니어 가이드
90, 90' : 제1 및 제2의 컬럼
91 : 연결 플레이트

Claims (9)

  1. 본체 상에 마련되어 공작 기계 또는 3차원 형상 가공 기계를 이송하는 장치로서,
    가공할 구조물 또는 제조할 3차원 형상의 구조물이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본체 상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
    상기 본체 상에 마련된 다수의 리니어 가이드,
    상기 다수의 리니어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연결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부에 마련된 제1 및 제2의 컬럼,
    장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이송하도록 이송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볼 스크루(Ball screw)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다수의 리니어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 부분에 마련된 제1 및 제2의 리니어 가이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된 제3 및 제4의 리니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본체의 주변 부분에 마련된 다수의 고정 지지축과 상기 본체의 중앙 부분에 마련된 다수의 변동 지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변동 지지축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지지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볼 스크루 부재는 장축의 볼 스크루 축, 상기 볼 스크루 축의 일 단에 마련되고 상기 이송모터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브래킷부, 상기 볼 스크루 축의 타 단에 마련되고 볼 스크루 축을 지지하는 엔드 브래킷부, 상기 볼 스크루 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볼 스크루 축에서 이동 가능한 너트 브래킷부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 브래킷부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볼 스크루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또는 상기 본체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
  6. 제3항에서,
    상기 다수의 변동 지지축의 각각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의 감지 상태에 따라 상기 다수의 변동 지지축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 또는 다수의 변동 지지축의 각각에 마련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
  7. 제4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각각의 변동 지지축과 연결 플레이트와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간격 이내인 경우 다수의 변동 지지축의 각각에 의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 상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어부에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변동 지지축을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 수단은 솔레노이드, 유압식 실린더, 공압식 실린더 또는 전동식 실린더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 상태의 해제는 상기 각각의 변동 지지축의 좌우 회전 또는 상하 이동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
KR1020170067392A 2017-05-31 2017-05-31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 KR101958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392A KR101958650B1 (ko) 2017-05-31 2017-05-31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392A KR101958650B1 (ko) 2017-05-31 2017-05-31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986A true KR20180130986A (ko) 2018-12-10
KR101958650B1 KR101958650B1 (ko) 2019-03-15

Family

ID=6467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392A KR101958650B1 (ko) 2017-05-31 2017-05-31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6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8591A (zh) * 2019-07-05 2019-09-17 百越(天津)机械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机床结构
KR102093765B1 (ko) * 2019-10-15 2020-03-26 오강현 세라믹 보드 가공장치
KR102604853B1 (ko) * 2023-03-07 2023-11-22 주식회사 신일테크 툴 연동형 가동써포터를 구비한 면 절삭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7040A (ja) * 1995-11-27 1997-08-12 Honda Motor Co Ltd タレット式工作機械
JP2005262375A (ja) * 2004-03-18 2005-09-29 Mori Seiki Co Ltd 工作機械
KR100970781B1 (ko) 2010-01-14 2010-07-16 우영산업(주) 톱을 이용한 칼럼 이송형 절삭 장치
KR20120085037A (ko) * 2011-01-21 2012-07-31 주식회사 대한 공작기계용 소재공급 및 적재장치
KR20150101207A (ko) 2014-02-26 2015-09-0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x축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7040A (ja) * 1995-11-27 1997-08-12 Honda Motor Co Ltd タレット式工作機械
JP2005262375A (ja) * 2004-03-18 2005-09-29 Mori Seiki Co Ltd 工作機械
KR100970781B1 (ko) 2010-01-14 2010-07-16 우영산업(주) 톱을 이용한 칼럼 이송형 절삭 장치
KR20120085037A (ko) * 2011-01-21 2012-07-31 주식회사 대한 공작기계용 소재공급 및 적재장치
KR20150101207A (ko) 2014-02-26 2015-09-0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x축 이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8591A (zh) * 2019-07-05 2019-09-17 百越(天津)机械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机床结构
KR102093765B1 (ko) * 2019-10-15 2020-03-26 오강현 세라믹 보드 가공장치
KR102604853B1 (ko) * 2023-03-07 2023-11-22 주식회사 신일테크 툴 연동형 가동써포터를 구비한 면 절삭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650B1 (ko)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8871B2 (en) Secondary positioning device for workpiece machining
KR101958650B1 (ko) 공작 기계의 이송장치
EP1116548A2 (en) A machine tool having a vertical main spindle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497075B1 (ko) 수치제어 공작기계
KR101082972B1 (ko) 양두 밀링 가공 장치
CN206779883U (zh) 一种多轴雕铣加工平台
CN2912870Y (zh) 阵列轴数控龙门钻床
CN201776618U (zh) 一种多工位组合机床
EP2687307B1 (en) Method for machining curved surface using lathe
CN104339210A (zh) 卧式双头加工中心
EP3907038B1 (en) Machine tool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N110919053B (zh) 一种托辊轴双头数控铣扁机
CN103949892A (zh) 一种改进和创新的高速复合cnc加工中心机床
JPH11221707A (ja) 穴あけロボット
CN100591471C (zh) 基于双滑块驱动滑移机构的可斜向加工机床模块结构
KR101338405B1 (ko) 롱 스트로크를 갖는 이중 스핀들 머시닝 센터
KR102165419B1 (ko) 공작기계의 x축 이송장치
KR100910590B1 (ko)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다목적 조각기
CN108772752B (zh) 一种高精度激光多点定位数控机床
CN206779882U (zh) 一种高精度雕铣钻攻机床
CN212761569U (zh) 一种基于激光定位的板材自动攻丝机
US20220203475A1 (en) Composite working machine
JP3281553B2 (ja) コイルばね製造機の工具作動装置
KR100685464B1 (ko) 드릴링 머시인
CN101380717B (zh) 一种双滑块驱动连杆机构的可斜向加工的机床模块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