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798A - 2열 기어 구조 및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 - Google Patents

2열 기어 구조 및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798A
KR20180130798A KR1020170066840A KR20170066840A KR20180130798A KR 20180130798 A KR20180130798 A KR 20180130798A KR 1020170066840 A KR1020170066840 A KR 1020170066840A KR 20170066840 A KR20170066840 A KR 20170066840A KR 20180130798 A KR20180130798 A KR 20180130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s
gear
door
fixing
gea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6262B1 (ko
Inventor
김성만
Original Assignee
김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만 filed Critical 김성만
Priority to KR102017006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26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05F2017/007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with means for interlocking the wing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어를 2열로 구성하고, 특히 2열 기어가 서로 중첩하되 서로 엇갈리게 중첩하도록 구성하므로, 어느 하나의 기어는 하나의 치가, 그리고 다른 하나의 기어는 두 개의 치가 항상 맞물리게 하여 3점 치합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급격하게 연동문을 여닫거나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덜컹거리지 않고 안정적이면서 편하게 여닫을 수 있게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 2열 기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2열 기어 구조 및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DOUBLE GEARS AND 3-POINT MESHING GEAR BOX FOR DOOR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2열 기어 구조 및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동문에 장착하여 이웃한 문을 연동하게 하는 기어 박스에 구성하는 기어를 2열로 구성하고, 특히 이들 기어가 서로 엇갈려서 중첩하게 구성하므로 이웃하여 연동하는 문이 항상 3점 치합되게 하여 문의 개폐가 부드럽게 이루어지면서도 안정적으로 여닫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연동문은 통상 세 개의 문으로 구성하고, 어느 하나의 문을 여닫음에 따라 다른 문들도 함께 여닫히도록 구성한 문을 말한다. 이러한 연동문은 이처럼 여러 개의 문이 함께 여닫힐 수 있도록,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이웃한 문들과 함께 여닫힐 수 있게 구성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4567호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에 관한 것으로, 벽체의 출입구 테두리에 설치되는 문틀; 상기 문틀의 상측에 설치되는 안내프레임; 상기 안내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상호 연동하도록 장착되는 3중의 슬라이더; 3중의 상기 슬라이더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안내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3중의 문짝; 및 상기 안내프레임을 거쳐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광하도록 상기 문짝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문짝의 위치에 따라 전기 공급이 단속됨으로써, 급전 상태에서는 점등되고 단전 상태에서는 소등되는 점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문틀을 따라 움직이는 문짝의 점등부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문짝의 개폐 상태에 따라 점등수단으로 공급되는 전기를 단속할 수 있으므로, 점등수단의 점등 또는 소등을 통해 문짝의 장식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18788호
양문형 연동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문틀 상단에 설치되어 양문형 미닫이문의 좌우 문짝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안내프레임; 양측단에 설치된 한 쌍의 벨트풀리에 의해 상기 안내프레임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연동벨트; 상기 안내프레임 저면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되, 상기 문틀에 의해 형성되는 출입구 중심에 대해 대칭을 이루며 상호 이합하는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상기 연동벨트에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이동판;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이동판을 상호 이합하는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상기 연동벨트에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복수의 문짝이 좌우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양문형 미닫이문에 적용되어 문짝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모든 문짝을 더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25572호
다양한 폭으로 제공되는 중문과 좌,우측문에 적용될 수 있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는 각각 고정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수단을 벨트와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일체로 조립 설치하여 3개의 문이 연동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문과 좌,우측문의 폭에 맞는 다양한 길이의 본체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중문과 좌,우측문을 교체할 경우에도 상기 본체부를 재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본체부의 가공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중문과 좌,우측문과의 조립 및 설치가 매우 간편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있는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런 종래 연동문을 연동시켜 주는 구성 중에서, 랙과 피니언과 같은 기어의 맞물림 방식으로 연동시켜 주는 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기어 방식은 이웃한 두 개의 문에 랙과 기어를 장착하고, 어느 한쪽 문을 여닫음에 따라 기어가 랙을 따라 이동하게 하여 다른 문이 함께 여닫히게 구성한다.
(2) 이에, 기존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은 항상 기어가 맞물린 상태로 있어야 하는 데, 통상 기어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기어 이빨이 맞물린 상태로 있으므로, 기밀 유지가 잘 안 될 뿐만 아니라 덜컹거리는 등 소음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3) 또한, 연동문을 급격하게 여닫으면 기어가 이웃한 치를 강제로 타고 넘어가면서 맞물림이 이탈할 우려가 있고, 기어 사이에서 백래쉬가 커서 소음 발생과 안정적으로 여닫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4567호 (공개일 : 2017.01.11)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18788호 (공개일 : 2017.02.20)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25572호 (공개일 : 2017.03.08)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기어를 2열로 구성하고, 특히 2열 기어가 서로 중첩하되 서로 엇갈리게 중첩하도록 구성하므로, 어느 하나의 기어는 하나의 치가, 그리고 다른 하나의 기어는 두 개의 치가 항상 맞물리게 하여 3점 치합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급격하게 연동문을 여닫거나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덜컹거리지 않고 안정적이면서 편하게 여닫을 수 있게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 2열 기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는, 미리 정한 크기로 내부가 비게 형성하고,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서로 마주하게 두 개의 제1 슬롯(110)을 형성한 고정 본체(100); 상기 고정 본체(100)에 헛돌게 장착한 조절 나사(200); 상기 제1 슬롯(110)과 미리 정한 각도로 서로 마주하게 두 개의 제2 슬롯(3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본체(100) 안에서 조절 나사(200)로 체결하여 고정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되, 상기 제2 슬롯(310)과 제1 슬롯(110)이 항상 일부가 중첩되게 설치하는 조절 본체(300); 두 개의 기어(400', 400")가 중첩된 상태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조절 본체(300) 내에 설치되는 2열 기어 구조(400); 및 상기 제1 및 제2 슬롯(110, 310)을 관통하게 끼워지면서 상기 2열 기어 구조(400)에 끼워져서 회전 지지하고, 고정 본체(100) 밖으로 돌출한 한쪽에는 풀리(510)를 장착한 회전축(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회전축(500)은 2열 기어 구조(400)를 장착하는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작은 지름으로 단차지게 형성하고;, 상기 2열 기어 구조(400)는 지름이 작은 상기 회전축(500)의 한쪽에 끼워지게 장착 구멍(410)을 형성하되, 상기 장착 구멍(410)에는 서로 마주하는 양쪽에 고정 홈(411)을 연장 형성하며;, 상기 풀리(510)는 상기 회전축(500)과 마주하는 면에 서로 마주보게 돌출 성형하여 상기 회전축(500)의 한쪽과 밀착하게 끼워지면서 상기 고정 홈(411)에 삽입 고정되는 두 개의 고정 돌기(511)를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본체(100)에는, 상기 풀리(510)의 지지를 받는 벨트(V)를 안내하도록 제자리 회전하는 안내 가이드(121)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기어나 랙에 맞물려서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두 개의 기어(400', 400")를 포함하되;, 상기 기어(400', 400")는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되, 어느 하나의 기어가 랙이나 다른 기어에 항상 한 점 치합이 되고, 나머지 하나의 기어가 랙이나 다른 기어에 항상 두 점 치합이 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기어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열 기어 구조 및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기어를 2열로 구성하고, 특히 2열 기어가 서로 엇갈리게 겹쳐지도록 장착하므로, 어느 하나의 기어는 하나의 치가, 그리고 다른 하나의 기어는 두 개의 치가 항상 랙에 맞물리게 하여 3점 치합이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 있다.
(2) 이에, 연동문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급격하게 여닫는 동작 등에도 랙과 피니언 등의 기어 이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덜컥거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여닫을 수 있다.
(3) 조절 나사를 돌리면 일부가 엇갈리게 형성한 두 개의 슬롯이 서로 중첩되는 곳에 있는 회전축의 위치에 따라 벨트의 장력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쉽고 편리하게 풀리의 장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회전축에 2열 기어 구조를 삽입한 상태에서 이 회전축에 풀리를 끼움에 따라 2열 기어 구조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 수단을 갖추지 않고서도 쉽고 편리하게 조립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 박스를 적용한 3중 연동문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 박스의 전체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 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고정 본체(a)와 조절 본체(b)의 구성을 비교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조절 나사를 조절함에 따라 조절 본체와 회전축이 움직이면 벨트의 장력 조절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열 기어 구조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열 기어 구조와 회전축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려고 분해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2열 기어 구조와 이를 이용한 기어 박스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여기서는 2열 기어 구조에 관해 먼저 설명하고 기어 박스에 관한 구성을 나중에 설명한다.
(2열 기어 구조의 구성)
2열 기어 구조(400)는, [도 6]과 같이, 두 개의 기어(400', 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어(400', 400")는 랙이나 다른 기어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으로, 특히 서로 중첩하게 일체로 구성하되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어느 하나의 어느 하나의 기어가 랙이나 다른 기어에 항상 한 점 치합이 되고, 나머지 하나의 기어가 랙이나 다른 기어에 항상 두 점 치합이 되게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랙이나 기어는 2열 기어 구조(400)를 이루는 두 개의 기어(400', 400")와 같은 폭으로 제작하거나, 각 기어(400', 400")에 하나씩 대응할 수 있도록 두 개로 구성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400', 400")에 치합하는 것으로 랙과 기어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치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2열 기어 구조를 이용한 아래의 기어 박스에서는 2열 기어 구조(400)에 사용하는 기어(400', 400")로 피니언 기어로, 이에 맞물리는 것으로 랙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기어 박스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B)는,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고정 본체(100), 조절 나사(200), 조절 본체(300), 2열 기어 구조(400), 그리고 회전축(5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2열 기어 구조(400)는 두 개의 기어(400', 400")가 서로 중첩하되 어긋나게 설치함으로써, 어느 하나는 하나의 치가 다른 하나는 두 개의 치가 랙에 치합하여 항상 3점 치합이 되게 하여 안정적으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덜컹거리지 않고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연동문은, [도 1]과 같이, 여러 개의 문(D1, D2, D3)이 예시적으로 랙-피니언 기어를 이용하여 함께 여닫을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랙(R)은 바깥쪽 문(D1, D3)에 2열 또는 두 개의 피니언 기어와 치합할 수 있는 폭으로 장착하고, 가운데 문에는 벨트(V)로 연결한 본 발명에 따른 기어 박스(B)를 두 개 장착한다. 이때, 피니언은 기어 박스(B)에 장착하여 벨트(V)로 동력을 전달받거나 전달하게 된다.
고정 본체(100)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미리 정한 형상으로 제작하며, 특히 내부가 비게 하여 후술할 조절 본체(300)를 수납할 수 있게 제작한다. 도면에서, 상기 고정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제작하여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 조절 본체(300)를 수납할 수 있게 하고,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비틀어지거나 눌리지 않도록 미리 정한 위치에 지지대(120)를 장착한다. 도면에서는 세 개의 지지대(120)를 장착한 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12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안내 가이드(121)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 가이드(121)는 후술할 풀리(510)에 장착할 벨트(V)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일종의 롤러를 의미한다. 여기서, 벨트(V)는 [도 1]과 같이 중간 문에 장착한 두 개의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기어 박스(B)를 연결하는 벨트를 말한다.
또한, 상기 고정 본체(10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면에 제1 슬롯(110)을 형성한다. 제1 슬롯(110)은 후술할 조절 나사(200)를 돌림에 따라 조절 본체(300)가 움직이는 고정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길게 형성한다. 여기서, 고정 본체(100)의 길이 방향은 "ㄷ"자 형상의 가로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본체(100)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제1 슬롯(110)을 형성한 면에 고정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3 슬롯(130)을 형성한다. 제3 슬롯(130)은 후술할 조절 본체(300)가 고정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진퇴할 수 있게 안내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조절 본체(300)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조절 나사(200)는, [도 2]·[도 3]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고정 본체(100)에 장착한다. 이때, 조절 나사(200)는 고정 본체(100)의 "ㄷ"자 형상의 세로 부분에 그 가로 부분과 나란한 방향, 즉 고정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장착한다.
특히, 상기 조절 나사(200)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고정 본체(100)에 끼운 상태에서 빠지지 않고 헛돌 수 있도록 스냅 링(210)을 갖춘다. 이때, 스냅 링(210)은 조절 나사(200)를 고정 본체(100)에 완전히 끼운 상태에서 헛돌 수 있게 장착한다.
조절 본체(300)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고정 본체(100) 내부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조절 본체(300)는 조절 나사(200)가 맞물리게 하여 이 조절 나사(200)를 돌림에 따라 고정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진퇴할 수 있게 장착한다.
특히, 상기 조절 본체(3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내부에 후술할 2열 기어 구조(400)를 장착할 수 있게 중공으로 제작하고,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상술한 제1 슬롯(110)과 미리 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제2 슬롯(310)을 형성한다. 제2 슬롯(310)은, [도 5]와 같이, 조절 나사(200)를 돌림에 따라 조절 본체(300)가 도면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1 슬롯(110)과 중첩하는 부분이 달라지게 하여 그 중첩 부분에 설치할 회전축(500)이 움직이게 하여 장력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조절 본체(300)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가이드 돌기(320)를 돌출 성형한다. 가이드 돌기(320)는 상술한 제3 슬롯(130)에 끼워져서 조절 본체(300)가 고정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때 안정적으로 정해진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게 안내한다.
2열 기어 구조(400)는, [도 2]·[도 3]·[도 6] 및 [도 7]과 같이, 두 개의 기어(400', 400")를 서로 중첩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 상기 두 개의 기어(400', 400")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완전하게 중첩하게 하지 않고 엇갈려서 중첩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상적으로 랙(또는 피니언 기어)에 형성한 두 개의 치(Tooth) 사이에 피니언 기어(또는 랙)에 형성한 한 개의 치가 맞물리게 되므로, 어느 하나의 기어에 형성한 두 개의 치와 다른 하나의 기어에 형성한 하나의 치가 항상 치합하게 하여 3점 치합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처럼 2열 기어 구조(400)는 2열로 배치한 두 개의 랙에 3점 치합이 되므로, 연동문을 여닫을 때 받는 강한 충격 등에도 덜컹거리거나 치합이 분리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회전축(500)은, [도 2]·[도 3]·[도 5] 및 [도 7]과 같이, 상술한 2열 기어 구조(400)가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500)은 2열 기어 구조(400)가 끼워진 상태에서 양단이 각각 상술한 제1 및 제2 슬롯(110, 310)에 끼워지게 장착한다. 이에,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절 나사(200)를 돌리면, [도 5b(b)]와 같이 조절 본체(300)가 움직임에 따라 제1 및 제2 슬롯(110, 310)의 달라지는 겹침 부분을 따라 이동하면서 장력 조절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500)은, [도 1]과 같이 두 개의 기어 박스(B)가 연동하게 하려고 고정 본체(100) 밖으로 돌출한 한쪽에 풀리(510)를 장착하고, 이 풀리(510)를 통해 벨트(V)를 연결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500)은 풀리(510)를 쉽게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500)은, [도 7]과 같이, 한쪽을 가늘게 제작하여 2열 기어 구조(400)를 끼워 넣었을 때 빠지지 않고 회전 지지를 할 수 있게 한쪽을 다른 한쪽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가늘게 제작한다.
또한, 상기 2열 기어 구조(400)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이처럼 작은 지름을 가진 회전축(500)의 한쪽에 끼울 수 있도록 장착 구멍(410)을 형성하되, 이 장착 구멍(410)에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고정 홈(411)을 연장 형성하여 후술할 풀리(510)가 이 고정 홈(411)에 끼워져서 함께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풀리(510)에는, [도 7]과 같이, 상기 회전축(500)과 마주하는 면에 두 개의 고정 돌기(511)를 돌출 성형한다. 이때, 두 개의 고정 돌기(511) 사이에는 회전축(500)이 끼워지게 하여 지지가 되게 하고, 고정 돌기(511)의 끝은 상술한 고정 홈(411)에 끼워져서 풀리(510)와 2열 기어 구조(400)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2열로 배열한 기어 중에서 어느 하나는 두 개의 치가 랙에 치합되게 하고 다른 하나는 하나의 치가 랙에 치합되게 구성하므로, 항상 3점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연동문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덜컹거리거나 치합이 이탈 또는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안정적이면서도 부드럽게 여닫을 수 있게 된다.
100 : 고정 본체
110 : 제1 슬롯
120 : 지지대
121 : 안내 가이드
130 : 제3 슬롯
200 : 조절 나사
210 : 스냅 링
300 : 조절 본체
310 : 제2 슬롯
320 : 가이드 돌기
400 : 2열 기어 구조
500 : 회전축

Claims (4)

  1. 미리 정한 크기로 내부가 비게 형성하고,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서로 마주하게 두 개의 제1 슬롯(110)을 형성한 고정 본체(100);
    상기 고정 본체(100)에 헛돌게 장착한 조절 나사(200);
    상기 제1 슬롯(110)과 미리 정한 각도로 서로 마주하게 두 개의 제2 슬롯(3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본체(100) 안에서 조절 나사(200)로 체결하여 고정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되, 상기 제2 슬롯(310)과 제1 슬롯(110)이 항상 일부가 중첩되게 설치하는 조절 본체(300);
    두 개의 기어(400', 400")가 중첩된 상태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조절 본체(300) 내에 설치되는 2열 기어 구조(400); 및
    상기 제1 및 제2 슬롯(110, 310)을 관통하게 끼워지면서 상기 2열 기어 구조(400)에 끼워져서 회전 지지하고, 고정 본체(100) 밖으로 돌출한 한쪽에는 풀리(510)를 장착한 회전축(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
  2. 제1 항에서,
    상기 회전축(500)은 2열 기어 구조(400)를 장착하는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작은 지름으로 단차지게 형성하고,
    상기 2열 기어 구조(400)는 지름이 작은 상기 회전축(500)의 한쪽에 끼워지게 장착 구멍(410)을 형성하되, 상기 장착 구멍(410)에는 서로 마주하는 양쪽에 고정 홈(411)을 연장 형성하며,
    상기 풀리(510)는 상기 회전축(500)과 마주하는 면에 서로 마주보게 돌출 성형하여 상기 회전축(500)의 한쪽과 밀착하게 끼워지면서 상기 고정 홈(411)에 삽입 고정되는 두 개의 고정 돌기(511)를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
  3. 제1 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고정 본체(100)에는,
    상기 풀리(510)의 지지를 받는 벨트(V)를 안내하도록 제자리 회전하는 안내 가이드(121)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
  4. 다른 기어나 랙에 맞물려서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두 개의 기어(400', 400")를 포함하되,
    상기 기어(400', 400")는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되,
    어느 하나의 기어가 랙이나 다른 기어에 항상 한 점 치합이 되고,
    나머지 하나의 기어가 랙이나 다른 기어에 항상 두 점 치합이 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 기어 구조.
KR1020170066840A 2017-05-30 2017-05-30 2열 기어 구조 및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 KR101976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840A KR101976262B1 (ko) 2017-05-30 2017-05-30 2열 기어 구조 및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840A KR101976262B1 (ko) 2017-05-30 2017-05-30 2열 기어 구조 및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798A true KR20180130798A (ko) 2018-12-10
KR101976262B1 KR101976262B1 (ko) 2019-05-07

Family

ID=6467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840A KR101976262B1 (ko) 2017-05-30 2017-05-30 2열 기어 구조 및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26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7255A (ja) * 2008-06-24 2010-01-14 T & T Takamatsu Tategu:Kk 蝶番装置
KR101133838B1 (ko) * 2011-11-03 2012-04-06 허숙희 도어의 연동 유닛 및 이를 갖는 연동 도어 장치
KR20120134768A (ko) * 2011-06-03 2012-12-12 김동현 미닫이문 연동 개폐 장치
US8973643B2 (en) * 2004-04-15 2015-03-10 Unifor S.P.A. Multipanel sliding door
KR20170004567A (ko) 2015-07-03 2017-01-11 정영호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
KR20170018788A (ko) 2015-08-10 2017-02-20 정영호 양문형 연동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KR20170025572A (ko) 2015-08-28 2017-03-08 장영근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3643B2 (en) * 2004-04-15 2015-03-10 Unifor S.P.A. Multipanel sliding door
JP2010007255A (ja) * 2008-06-24 2010-01-14 T & T Takamatsu Tategu:Kk 蝶番装置
KR20120134768A (ko) * 2011-06-03 2012-12-12 김동현 미닫이문 연동 개폐 장치
KR101133838B1 (ko) * 2011-11-03 2012-04-06 허숙희 도어의 연동 유닛 및 이를 갖는 연동 도어 장치
KR20170004567A (ko) 2015-07-03 2017-01-11 정영호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
KR20170018788A (ko) 2015-08-10 2017-02-20 정영호 양문형 연동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KR20170025572A (ko) 2015-08-28 2017-03-08 장영근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262B1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681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 개폐장치
KR101093900B1 (ko)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KR100880272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1220034B1 (ko) 슬라이드가능한 디바이더요소용 구동장치, 구동 조립체 및디바이더 요소
JP2005336888A (ja) 開閉体連動装置
KR101321686B1 (ko)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
KR101254681B1 (ko)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US20220233011A1 (en) Telescopic curtain guide rail
CA2733485C (en) Shutter with gear drive for louvres
KR20170022482A (ko) 3도어 접철문의 슬라이드식 연동장치
KR20120134768A (ko) 미닫이문 연동 개폐 장치
US6094864A (en) Door/window frame structure
KR101976262B1 (ko) 2열 기어 구조 및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
CN113876173A (zh) 一种电动窗帘装置
KR102160790B1 (ko)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가이드 안전 장치
US6786540B2 (en) Drive device for motor vehicle sliding sunroofs
JP3755779B2 (ja) 連動引き戸
KR102012844B1 (ko)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KR101612336B1 (ko)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JP4086850B2 (ja) 扉開口位置調整システム
US20220333437A1 (en) Scissor-type guide with spring biasing aid
US6105656A (en) Carrier assembly for vertical blinds
WO2021141853A1 (en) Tension adjustment system for a drive member of a covering
KR102019868B1 (ko) 포켓 연동도어
KR101809846B1 (ko)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