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567A -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 - Google Patents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567A
KR20170004567A KR1020150095097A KR20150095097A KR20170004567A KR 20170004567 A KR20170004567 A KR 20170004567A KR 1020150095097 A KR1020150095097 A KR 1020150095097A KR 20150095097 A KR20150095097 A KR 20150095097A KR 20170004567 A KR20170004567 A KR 20170004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ghting
electrode
guide frame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4865B1 (ko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150095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8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8Sl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6Ligh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에 관한 것으로, 벽체의 출입구 테두리에 설치되는 문틀(3); 상기 문틀(3)의 상측에 설치되는 안내프레임(5); 상기 안내프레임(5)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상호 연동하도록 장착되는 3중의 슬라이더(7); 3중의 상기 슬라이더(7)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안내프레임(5)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3중의 문짝(9); 및 상기 안내프레임(5)을 거쳐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광하도록 상기 문짝(9)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문짝(9)의 위치에 따라 전기 공급이 단속됨으로써, 급전 상태에서는 점등되고 단전 상태에서는 소등되는 점등수단(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문틀을 따라 움직이는 문짝의 점등부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문짝의 개폐 상태에 따라 점등수단으로 공급되는 전기를 단속할 수 있으므로, 점등수단의 점등 또는 소등을 통해 문짝의 장식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Threefold Interlocking Sliding Door Possible To Be Lit}
본 발명은 3중 연동 미닫이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연동하도록 문짝을 3중으로 연결한 미닫이문에서 각각의 문짝에 점등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점등수단의 점멸 상태에 따라 문짝의 외관을 장식하거나 문짝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중 연동 미닫이문은 문을 구성하는 개별 문짝을 연동하도록 3중으로 연결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장치(특허등록 제10-1347213호)를 구비한 3중 연동 도어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 연동 도어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103), 복수의 밀대(105), 연동구(107), 전동수단(109)으로 이루어진 연동장치를 구비하는 바, 상기 안내레일(103)은 3중 문짝(113) 각각의 문짝(111)을 상호 연동하도록 지지한다. 또, 상기 복수의 밀대(105)는 안내레일(103)의 저면에 요철구조에 의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그 저면에 각각의 문짝(111)을 결합함으로써 이들 문짝(111)이 안내레일(10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동구(107)는 위와 같은 밀대(105)를 전동수단(109)의 전동벨트(115)에 연결하는 부재로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밀대(105)의 일측단에 장착되며, 한 쪽 모서리에 형성된 파지블럭(117)에 의해 전동벨트(115)와 결합된다. 끝으로, 전동수단(109)은 출입자에 의해 문짝(111)에 걸리는 외력을 연동구(107)를 통해 이웃한 문짝(111)으로 전파하는 수단으로서, 위에서 언급한 데로 좌우측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풀리(119)와 이들 풀리(119)에 감겨 돌아가는 전동벨트(115)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위와 같은 연동 도어(101)는 연동장치의 연동 작용에 의해 맨 앞쪽에 위치하는 전방 문짝(111)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3중 문짝(113) 전체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3중 연동 도어(101)는 각각의 문짝(111)이 도시된 것처럼 앞뒤가 막힌 간막이 형태로 되어 있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유리창 등을 끼우도록 중심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작되므로, 표면에 장식포를 부착하거나 도색을 하는 것 외에는 달리 외관을 꾸밀 수 없어 장식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문짝(111)의 표면에 장식포 부착하거나 도색을 하더라도, 야간에 조명이 없는 곳에서는 장식포나 도색 부분이 식별되지 않으므로, 외관의 장식성이 더욱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101)는 문짝(111)에 알림판을 달거나 특정 정보를 표시하더라도 조명이 없는 곳에서는 야간에 이러한 정보가 식별되지 못하므로 정보 전달 기능을 기대할 수 없고, 정보 식별을 위해 문짝(9)에 조명 수단을 장착하는 경우, 조명 수단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과 같은 장비 등으로 인해 문짝(111)의 개폐동작 등 도어(101)의 작동이나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것은 물론이고, 외관이 크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347213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3중 연동 도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문틀을 따라 연동하여 움직이는 3중 연동 도어의 문짝에 점등부재를 장착하여 문짝의 위치에 따라 점멸하도록 함으로써, 문짝의 장식성을 높이고, 점등부재의 점등 여부 또는 색채에 따라 문짝과 관련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체의 출입구 테두리에 설치되는 문틀; 상기 문틀의 상측에 설치되는 안내프레임; 상기 안내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상호 연동하도록 장착되는 3중의 슬라이더; 3중의 상기 슬라이더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안내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3중의 문짝; 및 상기 안내프레임을 거쳐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광하도록 상기 문짝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문짝의 위치에 따라 전기 공급이 단속됨으로써, 급전 상태에서는 점등되고 단전 상태에서는 소등되는 점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점등수단은, 외부의 인입선과 결선되도록 상기 안내프레임 일측에 장착되는 인입부재; 상기 문짝의 일측에 장착되는 점등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점등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인입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문짝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인입부재와 접촉된 때는 상기 점등부재에 급전을 하고, 상기 인입부재와 분리된 때는 상기 점등부재에 단전을 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입부재는, 상기 안내프레임의 판체를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안내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인입전극; 상기 인입전극의 외부 노출단에 연결되어, 상기 인입전극에 전기를 공급하는 인입단자; 상기 안내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인입전극을 상기 안내프레임에 대한 절연 상태로 고정하는 절연받침; 및 상기 절연받침에 대하여 상기 인입전극을 축방향으로 탄력을 갖도록 지지하는 반동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문짝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인입전극의 내측단과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슬라이더 위에 돌출 상태로 결합되는 인입접속단; 및 상기 인입접속단과 탄력적으로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문짝의 상측 가로대 상단에 결합되는 점등접속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입접속단은, 상기 문짝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인입전극에 접촉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인입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전기를 단속하는 제1 단자판; 상기 문짝의 위치와 무관하게 상시 상기 점등접속단에 접촉을 유지하면서 상기 인입부재로부터 전달된 전기를 상기 점등접속단으로 전달하는 제2 단자판; 일단이 상기 제1 단자판에, 타단이 상기 제2 단자판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제1 단자판과 상기 제2 단자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전극; 및 상기 접속전극을 삽입하여 상기 슬라이더에 대한 절연 상태로 지지하되,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인입전극에 접촉시킬 수 있는 높이에서 상기 제1 단자판을 지지하는 절연스페이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점등접속단은, 일단이 상기 제2 단자판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점등부재에 결선되되, 축방향으로 자체 탄력을 갖는 통전핀; 상기 통전핀을 상기 상측 가로대에 절연 상태로 신축 가능하게 고정하는 절연부싱; 및 상기 통전핀의 타단과 상기 점등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에 따르면, 문틀을 따라 이동하는 각각의 문짝에 점등부재가 장착되고, 각각의 문짝이 예컨대, 완전 폐쇄위치와 같은 특정 위치에 있을 때에만 점등부재에 전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전선 등과 같이 미닫이문의 외부로 노출되는 각종 장비를 동원하지 않고도 점등부재를 점등시킬 수 있고, 따라서 특히 야간에 문짝의 장식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입부재와 접속부재가 상호 접촉되는 특정 위치에서만 점등부재가 점등되도록 하는 한편, 인입부재와 접속부재가 분리되는 다른 위치에서는 점등부재가 소등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점등부재의 점등 여부에 따라 또는 점등 색채에 따라 문짝의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미닫이문의 사용편리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3중 연동 도어를 부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연동 미닫이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문짝과 안내프레임을 부분 절결하여 점등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2의 안내프레임과 슬라이드 그리고 점등수단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C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연동 미닫이문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미닫이문은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문틀(3), 안내프레임(5), 슬라이더(7), 문짝(9), 및 점등수단(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문틀(3)은 미닫이문(1)의 테두리를 이루는 부분으로, 벽체에 형성되는 출입구에 설치되어 문짝(9)을 개폐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지지한다. 이를 위해, 문틀(3)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 한 쌍의 가로보와 좌우 한 쌍의 세로기둥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프레임(5)은 슬라이더(7)를 통해 문짝(9)을 개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서,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3)의 출입구 상측에 설치되어, 상호 연동하도록 삽입되는 3중의 슬라이더(7)를 길이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와 같이 3중의 슬라이더(7)를 지지하기 위해 안내프레임(5)은 아래로 개방된 횡단면 ㄷ자 모양의 함체에 의해 외곽이 마감되는 바, 상판을 이루는 판체(21)의 저면에 전방, 중간, 후방 3중의 안내홈(23)이 앞뒤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이 각각의 안내홈(23)을 통해 전방, 중간, 후방 슬라이더(7)를 상호 연동시키면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슬라이더(7)는 위에서 언급한 데로, 안내프레임(5)과 문짝(9)을 중간에서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안내프레임(5)의 안내홈(23)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편, 3중의 문짝(9)과 각각 일대일 대응하도록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각각의 문짝(9)이 안내프레임(5)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슬라이더(7)는 도 6에 간략히 도시된 것처럼, 중간 슬라이더(7) 위에 설치된 벨트풀리 뭉치(25)와 전후방 슬라이더(7) 위에 설치된 파지구(27)에 의해 상호 연동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3 개의 문짝(9) 중 어느 것을 문틀(3)을 따라 이동시켜도 모든 문짝(9)이 좌우로 상대 이동한다.
상기 문짝(9)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문틀(3)을 따라 이동하면서 미닫이문(1)의 출입구를 실질적으로 개폐하는 부분으로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3중의 슬라이더(7)와 일대일 대응하도록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문짝(9)은 사용자에 의해 일측이 가압될 때 슬라이더(7)와 함께 안내프레임(5)을 따라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미닫이문(1)의 출입구를 개폐한다.
이때, 각각의 문짝(9)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에 공간이 발생하도록 얇은 금속 판재를 넓적한 사각통 모양으로 이어붙인 중공블럭에 의해 제작되는 바,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세로대(31)와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길이가 짧은 가로대(33)를 상호 접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문짝(9)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대(33)를 상하측에 배치하고, 그 좌우측단에 세로대(31)를 접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이때, 문짝(9)의 중간에는 개방구(35)가 발생되는 바, 이 개방구(35)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창문 등을 달 수 있다.
상기 점등수단(11)은 위와 같이 문틀을 따라 개폐 이동하는 문짝(9)에 장착되어 안내프레임(5)을 거쳐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광하는 장식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상측 가로대(33)의 하단면에 장착되는 바, 이 경우 개방구(35) 위쪽에서 개방구(35) 중심을 향해 빛을 조사함으로써, 개방구(35) 자체가 또는 개방구(35)에 끼워진 창문이 발광하도록 하여 문짝(9)의 심미감을 배가시킨다.
이를 위해, 점등수단(11)은 다시 인입부재(41), 점등부재(43), 그리고 접속부재(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문짝(9)의 위치에 따라 인입부재(41)와 접속부재(45)가 접촉 또는 분리됨으로써,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단속하여 점등부재(43)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점등부재(43)는 인입부재(41)와 접속부재(45)가 접촉된 급전 상태에서는 점등되고, 인입부재(41)와 접속부재(45)가 분리된 단전 상태에서는 소등된다.
여기에서, 상기 인입부재(41)는 외부의 전기를 점등수단(11)으로 끌어들이는 수단으로, 도 3 및 도 4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프레임(5)의 판체(21)에 장착되어, 외부에서 문틀(3)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한 쌍의 ± 인입선(L)과 결선된다. 따라서, 인입부재(41)는 인입선(L)을 통해 외부의 전기를 점등수단(11)으로 끌어들인다.
이를 위해, 인입부재(41)는 다시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인입전극(51), 인입단자(53), 절연받침(55), 및 반동스프링(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인입전극(51)은 인입선(L)의 전기를 접속부재(45)로 전달하는 도전체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바, 상단에 나사공이 형성되고, 내측단 즉, 하단에 전극헤드가 형성된 원통형 핀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때, 인입전극(51)은 판체(21)를 관통하여 안내프레임(5)에 장착되므로, 외측단 즉, 상단은 안내프레임(5)의 외부로 노출되고, 내측단 즉, 하단은 안내프레임(5)의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인입전극(51)의 상단에는 체결핀(59)을 통해 인입단자(53)가 연결되며, 하단에는 접속부재(45)의 제1 단자판(81)이 접촉 또는 분리된다.
또, 상기 인입단자(53)는 인입선(L)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인입전극(51)을 통전시키는 부품으로,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로 노출된 인입전극(51)의 상단에 체결핀(59)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인입전극(51)에 전기를 공급한다.
또, 상기 절연받침(55)은 인입전극(51)을 지지하여 안내프레임(5)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인입전극(51)을 동시에 고정하도록 좌우로 길게 연장된 판체 형태로 되어 있으며, 고정나사(61)를 통해 판체(21)에 고정된다. 또한, 절연받침(55)은 각각의 인입전극(51)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인입전극(51)과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원통형 안내부싱(6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입전극(5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아래쪽에서 안내부싱(63)에 삽입되는 바, 상단에 체결되는 인입단자(53)가 안내부싱(63) 상단에 걸림으로써, 안내부싱(63)으로부터의 이탈이 저지된다. 한편, 절연받침(55)은 특히 안내프레임(5)이 금속과 같은 도체로 제작될 때, 인입전극(51)을 절연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체로 제작되어, 인입전극(51)을 절연 상태로 안내프레임(5)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끝으로, 상기 반동스프링(57)은 인입전극(51)에 대해 축방향 탄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싱(63)의 외주면 하단에 끼워져 인입전극(51) 하단의 전극헤드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반동스프링(57)은 절연받침(55)에 끼워진 인입전극(51)이 축방향으로 탄력을 갖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인입전극(51)은 접속부재(45)의 제1 단자판(81)과 접촉 또는 분리됨에 있어 탄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점등부재(43)는 문짝(9)의 일측에 장착되어 문짝(9)의 장식성을 높이는 수단으로서, 전구나 전등 등 발광이 가능한 다양한 요소들이 채용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모듈이 채용된다. 또한, 점등부재(43)는 문짝(9)의 어느 부분에도 장착이 가능하나, 장식성을 최대로 높이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측 가로대(33)의 하단에 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하측 가로대(33)의 상측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좌우측 세로대(31)의 내측단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점등부재(43)는 개방구(35)로 또는 개방구(35)에 끼워지는 유리창에 다양한 색채의 빛을 비추어 문짝(9)의 심미감을 높인다. 더욱이, 점등부재(43)는 점등 여부나 점등 색채에 따라 문짝(9)의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끝으로, 상기 접속부재(45)는 위와 같은 인입부재(41)와 점등부재(4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즉, 도면 상 하단 부분은 점등부재(43)에 결합되고, 타단 즉, 도면 상 상단 부분은 인입부재(41)와 접촉 또는 분리된다. 따라서, 접속부재(45)는 문짝(9)과 함께 이동하면서 인입부재(41)와 접촉된 때는 점등부재(43)에 전기를 공급하여 점등시키고, 인입부재(41)와 분리된 때는 공급되던 전기를 끊어 점등부재(43)를 소등시킨다.
이를 위해, 접속부재(45)는 다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인입접속단(71)과 점등접속단(7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먼저 상기 인입접속단(71)은 접속부재(45)의 인입부재(41) 측 접속모듈로서, 도시된 것처럼 접속부재(45)의 상반부를 이루는 바, 문짝(9)의 위치에 따라 인입부재(41) 즉, 인입전극(51)의 내측단과 접촉 또는 분리됨으로써, 점등부재(43)로 공급되는 전기를 단속한다. 이를 위해, 인입접속단(7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제1 단자판(81), 제2 단자판(83), 접속전극(85), 그리고 절연스페이서(8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도 4와 같이 슬라이더(7) 위에 돌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제1 단자판(81)의 위치를 높여, 그만큼 인입부재(41)의 높이를 줄이고, 따라서 인입부재(41)와 인입접속단(71) 사이의 접촉 또는 분리가 보다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단자판(81)은 인입전극(51) 하단의 전극헤드와 직접적으로 접촉 또는 분리되는 부분으로, 인입접속단(71)의 상단에 위치하는 바, 문짝(9) 즉, 슬라이더(7)의 좌우 이동에 따라 인입전극(51)과 접촉 또는 분리됨으로써, 인입부재(41)로부터 점등접속단(73)으로 전달되는 전기를 단속한다. 또, 상기 제2 단자판(83)은 점등접속단(73)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인입접속단(71)의 하단에 배치되는 단자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절연스페이서(87)와 사이에 슬라이더(7)를 개재시키도록 슬라이더(7) 저면에 부착됨으로써 점등접속단(73)에 접촉되어, 인입부재(41)로부터 인입접속단(71)으로 인입된 전기를 점등접속단(73)으로 전달한다. 이때, 인입접속단(71) 즉, 제2 단자판(83)은 슬라이더(7)와 문짝(9)이 일체로 움직이므로, 문짝(9)의 위치와 무관하게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문짝(9)의 상단 즉, 상측 가로대(33) 내에 장착된 점등접속단(73)과 상시 접촉을 유지한다. 또, 상기 접속전극(85)은 인입접속단(71)에서 실질적으로 전기를 전달하는 도전체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스페이서(87)를 통해 세워진 상태로 슬라이더(7)를 관통하여 제2 단자판(83)에 접속됨으로써, 제1 단자판(81)과 상기 제2 단자판(8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끝으로, 상기 절연스페이서(87)는 접속전극(85)을 절연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좌우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된 접속전극(85)을 지지하되, 절연받침(55)과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슬라이더(7)에 대한 절연을 유지한다. 절연스페이서(87)는 특히 인입접속단(71)의 높이를 결정하는 바, 슬라이더(7) 바닥면에서 위로 돌출되어, 인입전극(51)에 접촉되는 제1 단자판(81)의 높이를 높이게 된다.
한편, 상기 점등접속단(73)은 접속부재(45)의 점등부재(43) 측 접속모듈로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재(45)의 하반부를 이루도록 문짝(9)의 상측 가로대(33) 상단에 결합되는 바, 인입접속단(71)과의 접촉을 상시 유지하도록 제2 단자판(83)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이를 위해, 점등접속단(73)은 다시 통전핀(91), 절연부싱(93), 그리고 연결선(95)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먼저 상기 통전핀(91)은 인입접속단(71)으로부터 인입되는 전기를 점등부재(43)로 전달하는 도전체로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일단 즉, 상단이 제2 단자판(83)에 접촉되며, 타단 즉, 하단에는 연결선(95)이 결선된다. 특히, 통전핀(91)은 제2 단자판(83)에 대해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바, 다양한 수단에 의해 탄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자체로 축방향 탄력을 갖는 예컨대, 리노핀(Leeno Pin)과 같은 신축핀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절연부싱(93)은 위 통전핀(91)을 신축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체로 되어 상측 가로대(33)의 상단 프레임에 고정되는 바, 중앙 통공에 통전핀(91)을 끼워 지지함으로써, 통전핀(91)이 상측 가로대(33)에 신축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절연부싱(93) 또한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체로 제작되어, 통전핀(91)을 상측 가로대(33)에 대해 절연 상태로 유지한다. 끝으로, 연결선(95)은 일반 전선으로, 통전핀(91)과 점등부재(43)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단이 통전핀(91) 하단에, 하단이 점등부재(43)에 각각 결선된다.
이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등이 가능한 3종 연동 미닫이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미닫이문(1)에 의하면, 문짝(9)이 문틀(3)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때, 문짝(9)에 장착된 점등수단(11)도 함께 이동하면서 문짝(9)의 개방구(35)에 끼워진 유리창과 같은 특정부위를 점등부재(43)에 의해 조사함으로써, 문짝(9) 외관의 장식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미닫이문(1)에는 외부에서 점등수단(11)을 통해 점등부재(43)에 전기를 공급하는데, 전원에서 공급된 전기는 최초 문틀(3)을 관통하여 연결된 인입선(L)을 통해 점등수단(11)의 인입부재(41)로 전달된다.
인입부재(41)에 전달된 전기는 인입단자(53)와 인입전극(51)을 통해 접속부재(45)로 전달되는데, 이때, 인입부재(41)는 인입전극(51)이 반동스프링(57)에 의해 탄력을 확보함으로써 접속부재(45)와 탄력적으로 접촉 또는 분리된다.
한편, 인입부재(41)에 의해 급전된 접속부재(45)는 인입전극(51)과 접촉하는 인입접속단(71)의 제1 단자판(81), 이 제1 단자판(81)에 결합된 접속전극(85), 그리고 접속전극(85) 하단에 결합된 제2 단자판(83)을 차례로 거쳐 점등접속단(73)에 전기를 공급한다. 이렇게 해서 급전된 점등접속단(73)은 통전핀(91)과 연결선(95)을 통해 점등부재(43)로 전기를 공급하여 점등부재(43)에서 빛을 발한다.
이때, 인입접속단(71) 즉, 제1 단자판(81)은 인입부재(41) 즉, 인입전극(51)과 별체로 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 문짝(9)이 완전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제1 단자판(81)과 인입전극(51)이 접촉되어 접속부재(45)와 인입부재(41)를 통전시킴으로써 점등부재(43)를 점등시킨다. 그러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예컨대 전방 문짝(9)이 완전 개방되어 제1 단자판(81)과 인입전극(51)이 분리되면 접속부재(45)와 인입부재(41)는 단전되고, 따라서 점등부재(43)는 소등된다.
이에 따라, 미닫이문(1)은 문짝(9)의 위치에 따라 점등수단(11)을 점등 또는 소등시킴으로써, 외관의 심미감을 높일 뿐 아니라, 점등부재(43)의 점등 여부 또는 점등 색채에 따라 개폐 여부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1 : 미닫이문 3 : 문틀
5 : 안내프레임 7 : 슬라이더
9 : 문짝 11 : 점등수단
21 : 판체 23 : 안내홈
31 : 세로대 33 : 가로대
35 : 개방구 41 : 인입부재
43 : 점등부재 45 : 접속부재
51 : 인입전극 53 : 인입단자
55 : 절연받침 57 : 반동스프링
63 : 안내부싱 71 : 인입접속단
73 : 점등접속단 81 : 제1 단자판
83 : 제2 단자판 85 : 접속전극
87 : 절연스페이서 91 : 통전핀
93 : 절연부싱 95 : 연결선
L : 인입선

Claims (5)

  1. 벽체의 출입구 테두리에 설치되는 문틀(3);
    상기 문틀(3)의 상측에 설치되는 안내프레임(5);
    상기 안내프레임(5)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상호 연동하도록 장착되는 3중의 슬라이더(7);
    3중의 상기 슬라이더(7)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안내프레임(5)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3중의 문짝(9); 및
    상기 안내프레임(5)을 거쳐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광하도록 상기 문짝(9)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문짝(9)의 위치에 따라 전기 공급이 단속됨으로써, 급전 상태에서는 점등되고 단전 상태에서는 소등되는 점등수단(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등수단(11)은,
    외부의 인입선(L)과 결선되도록 상기 안내프레임(5) 일측에 장착되는 인입부재(41);
    상기 문짝(9)의 일측에 장착되는 점등부재(43); 및
    일단은 상기 점등부재(43)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인입부재(41)와 접촉하여, 상기 문짝(9)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인입부재(41)와 접촉된 때는 상기 점등부재(43)에 급전을 하고, 상기 인입부재(41)와 분리된 때는 상기 점등부재(43)에 단전을 하는 접속부재(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재(41)는,
    상기 안내프레임(5)의 판체(21)를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안내프레임(5)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프레임(5)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인입전극(51);
    상기 인입전극(51)의 외부 노출단에 연결되어, 상기 인입전극(51)에 전기를 공급하는 인입단자(53);
    상기 안내프레임(5)에 결합되어, 상기 인입전극(51)을 상기 안내프레임(5)에 대한 절연 상태로 고정하는 절연받침(55); 및
    상기 절연받침(55)에 대하여 상기 인입전극(51)을 축방향으로 탄력을 갖도록 지지하는 반동스프링(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45)는,
    상기 문짝(9)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인입전극(51)의 내측단과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슬라이더(7) 위에 돌출 상태로 결합되는 인입접속단(71); 및
    상기 인입접속단(71)과 탄력적으로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문짝(9)의 상측 가로대(33) 상단에 결합되는 점등접속단(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입접속단(71)은,
    상기 문짝(9)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인입전극(51)에 접촉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인입부재(41)로부터 전달되는 전기를 단속하는 제1 단자판(81);
    상기 문짝(9)의 위치와 무관하게 상시 상기 점등접속단(73)에 접촉을 유지하면서 상기 인입부재(41)로부터 전달된 전기를 상기 점등접속단(73)으로 전달하는 제2 단자판(83);
    일단이 상기 제1 단자판(81)에, 타단이 상기 제2 단자판(83)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제1 단자판(81)과 상기 제2 단자판(8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전극(85); 및
    상기 접속전극(85)을 삽입하여 상기 슬라이더(7)에 대한 절연 상태로 지지하되, 상기 슬라이더(7)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인입전극(51)에 접촉시킬 수 있는 높이에서 상기 제1 단자판(81)을 지지하는 절연스페이서(8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점등접속단(73)은,
    일단이 상기 제2 단자판(83)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점등부재(43)에 결선되되, 축방향으로 자체 탄력을 갖는 통전핀(91);
    상기 통전핀(91)을 상기 상측 가로대(33)에 절연 상태로 신축 가능하게 고정하는 절연부싱(93); 및
    상기 통전핀(91)의 타단과 상기 점등부재(43)를 연결하는 연결선(9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
KR1020150095097A 2015-07-03 2015-07-03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 KR101754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097A KR101754865B1 (ko) 2015-07-03 2015-07-03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097A KR101754865B1 (ko) 2015-07-03 2015-07-03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567A true KR20170004567A (ko) 2017-01-11
KR101754865B1 KR101754865B1 (ko) 2017-07-06

Family

ID=5783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097A KR101754865B1 (ko) 2015-07-03 2015-07-03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8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798A (ko) 2017-05-30 2018-12-10 김성만 2열 기어 구조 및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213B1 (ko) 2012-06-25 2014-01-03 안재옥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193B1 (ko) * 2010-06-30 2011-07-19 이용태 엘이디 조명이 구비된 위치확인 자동도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213B1 (ko) 2012-06-25 2014-01-03 안재옥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798A (ko) 2017-05-30 2018-12-10 김성만 2열 기어 구조 및 3점 치합 기어를 이용한 연동문의 기어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865B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1434B2 (en) Movable lighting apparatus
US20180122600A1 (en) Actuator alternating indicator light
KR101754865B1 (ko)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
US9115860B2 (en) Interior lamp for vehicle
KR101676562B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거울
KR101532869B1 (ko) 엘이디 조명등장치
JP4301932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の固定接点構造
KR102292015B1 (ko) 간편 장착 및 전원 연결구조를 갖는 레일조명
KR101748681B1 (ko) 조명등 천장 결합장치
CN208349255U (zh) 导轨结构
CN102777810B (zh) 发光装置和背光源灯条
KR20200001628U (ko) 조명기구용 전원공급레일
JP2010106601A (ja) 足元照明灯付きドア装置
DE102004002315A1 (de) Möbel mit einem Schiebeelement mit einem Leuchtmittel
KR101655270B1 (ko) 가압 체결 방식의 조명 레일용 전원 플러그
CN103644700A (zh) 冰箱及其搁架组件
KR101713963B1 (ko) 간접 조명장치
CN109404803B (zh) 灯组件和驱动器组件之间具有独立调节的嵌入式照明灯具
CN208204728U (zh) 橱柜灯具
KR101893117B1 (ko) 이동 설치가 용이한 조명선반
KR200486297Y1 (ko) 결합 길이가 가변 되는 후면 커버 일체형 등기구 결합 장치
KR101457678B1 (ko) 탁상 스탠드용 스위치 장치
KR101014444B1 (ko) 조광스위치 어셈블리
CN206918769U (zh) 一种线性灯
KR101227948B1 (ko) 진열장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