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059A - 벌크소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촉매 및 전극 - Google Patents

벌크소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촉매 및 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059A
KR20180130059A KR1020170065169A KR20170065169A KR20180130059A KR 20180130059 A KR20180130059 A KR 20180130059A KR 1020170065169 A KR1020170065169 A KR 1020170065169A KR 20170065169 A KR20170065169 A KR 20170065169A KR 20180130059 A KR20180130059 A KR 20180130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k
organometallic compound
bulk material
electrode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7853B1 (ko
Inventor
김형주
이대원
한정환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65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853B1/ko
Priority to PCT/KR2018/005783 priority patent/WO2018216983A2/ko
Publication of KR20180130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B01J27/02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B01J27/04Sulfides
    • B01J27/047Sulfides with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or polonium
    • B01J27/051Molybde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02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4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dimensions, e.g. grain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39/00Compounds of molybdenum
    • C01G39/06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4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1/0447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4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1/051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 C25B11/073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atalyst material
    • C25B11/075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atalyst material consisting of a single catalytic element or catalytic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2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wo dimensions, e.g. plate-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01P2004/32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을 포함하는 벌크소재에 있어서, 그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기금속화합물은 MXn으로 표시되고, 상기 M은 전이금속이고, 상기 X는 S, Se, Te, 또는 O이고, 상기 n은 1 내지 3인, 벌크소재 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면에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이 형성되어 있는 벌크소재는 전극에 도포된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에 지속적인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여 인시투(in situ)로 만들어진 소재로서, 종래의 나노소재 제조 방법에 비해 간단하게 제조될 뿐 아니라 백금과 유사한 수준의 수소 생성 반응 활성과 전하 이동 속도론(charge transfer kinetics)을 지니며, 수소 생성 반응 안정성 또한 높아 수소 생성 반응을 비롯한 여러 전기화학적 반응의 촉매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벌크소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촉매 및 전극{BULK MATERIAL,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CATALYST AND ELECTROD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벌크소재, 상기 벌크소재의 제조방법, 및 상기 벌크소재를 포함하는 촉매 및 전극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의 유망한 대체연료로서 최근 수소연료가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요에 발맞추어 최근 수전해(water electrolysis)와 바이오매스(biomass) 유래 원료들의 전기화학적 산화반응(electrocatalytic oxidation)으로 수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음극(cathode)에서 일어나는 수전해를 통한 전기화학적 수소 생성 반응(electrocatalytic hydrogen evolution reaction)이 효율적인 수소 생산을 위한 주요 단계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전기화학 반응을 촉진시키는 전기촉매(electrocatalysts) 중 백금 또는 백금 계 촉매가 반응속도론(kinetics) 측면에서 수소 생성 반응에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이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나, 백금의 높은 가격과 적은 매장량으로 인해 실제 수소의 대량 생산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우수한 수소 생성 반응 활성을 지니며 동시에 낮은 가격과 풍부한 매장량을 가진 촉매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여러 종류의 촉매 중, 가격이 저렴하고 지구상에 풍부하며 산성 조건에서 장시간 안정성을 지닌 이황화몰리브데넘(molybdenum disulfide, MoS2)은 백금을 대체할 유력한 수소 생성 반응 촉매로서 주목 받아 왔다. 하지만, 상용 벌크(bulk) MoS2는 수소 생성 반응에 대해 활성을 지니는 모서리 자리(edge sites)의 수가 불활성을 띠는 기저 평면 자리(basal plane sites)의 수에 비해 매우 작아 백금에 비해 매우 낮은 수소 생성 반응 활성을 지닌다. 따라서, MoS2의 수소 생성 반응 활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기저 평면 자리의 수에 대하여 모서리 자리의 수를 최대화하는 MoS2 나노촉매(nanocatalysts)를 제작 하는 연구들이 많이 시도되어 왔다. 기존의 연구들은 수열합성(hydrothermal synthesis), 용매열합성(solvothermal synthesis), 전기 도금(electrodeposition),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나노구조를 지닌 MoS2를 제작하고 이것의 수소 생성 반응의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러나, 아직 종래의 나노소재(nanomaterials) MoS2는 백금에 비해 낮은 수소 생성 반응 활성을 지니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복잡한 나노소재 제작 방법으로 인하여 아직 값싸고 효율적으로 수소를 대량 생산하기에는 문제점이 많다. 따라서, 백금과 유사한 수준의 수소 생성 반응 활성을 지니는 나노소재 MoS2와 이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제작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4428호는 나노와이어 형상의 이황화몰리브데늄 촉매 및 그를 이용한 바이오연료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벌크소재, 상기 벌크소재의 제조방법, 및 상기 벌크소재를 포함하는 촉매 및 전극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을 포함하는 벌크소재에 있어서,
그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기금속화합물은 MXn으로 표시되고,
상기 M은 전이금속이고,
상기 X는 S, Se, Te, 또는 O이고,
상기 n은 1 내지 3인,
벌크소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벌크소재를 포함하는 촉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벌크소재를 포함하는 전극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을 전극에 도포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전극을 용매에 용해시킨 후,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벌크 유기금속화합물 표면에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2);
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금속화합물은 MXn으로 표시되고,
상기 M은 전이금속이고,
상기 X는 S, Se, Te, 또는 O이고,
상기 n은 1 내지 3인,
벌크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면에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이 형성되어 있는 벌크소재는 전극에 도포된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에 지속적인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여 인시투(in situ)로 만들어진 소재로서, 종래의 나노소재 제조 방법에 비해 간단하게 제조될 뿐 아니라 백금과 유사한 수준의 수소 생성 반응 활성과 전하 이동 속도론(charge transfer kinetics)을 지니며, 수소 생성 반응 안정성 또한 높아 수소 생성 반응을 비롯한 여러 전기화학적 반응의 촉매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촉매와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촉매를 이용한 수소 생성 반응의 활성을 비교하는 전류 밀도 - 전압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촉매와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촉매를 이용한 수소 생성 반응시의 전하 이동 속도론을 비교하는 임피던스(impedance) 허수부 - 임피던스 실수부 나이퀴스트 도시(Nyquist plot)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촉매와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촉매를 이용한 수소 생성 반응의 장시간 안정성을 비교하는 전압 - 반응 시간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촉매의 형상을 보여주는 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촉매의 형상을 보여주는 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촉매의 형상을 보여주는 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촉매의 형상을 보여주는 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비교예 2에 따른 촉매의 형상을 보여주는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을 포함하는 벌크소재에 있어서,
그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기금속화합물은 MXn으로 표시되고,
상기 M은 전이금속이고,
상기 X는 S, Se, Te, 또는 O이고,
상기 n은 1 내지 3인,
벌크소재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 벌크소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나노구조란 단위입자에서 최소한 1 차원의 크기가 100 nm 미만의 구조를 의미한다. 즉, 직경이 100 nm 미만의 구상입자는 물론 2 차원적인 즉, 면적은 약 10 μm 내지 100 μm 정도의 길이를 갖지만 두께가 약 10 nm 내지 20 nm인 2 차원 구조의 플레이크(flake) 또한 선형 (wire), 튜브 (tube)등과 같은 나노구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이란 상기 정의된 나노구조를 갖는 유기금속화합물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이란 유기금속 원자 또는 분자가 모여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약 10 μm 이상의 크기를 가진 유기금속화합물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기금속화합물은 금속 칼코게나이드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칼코게나이드 또는 금속 산화물은 각각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MX2
[화학식 2]
MO2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M은 Mo, W, Ti, 또는 V이며,
X는 S, Se, 또는 Te일 수 있다.
즉, 상기 금속 칼코게나이드는 MoS2, MoSe2, MoTe2, WS2, WSe2, WTe2, TiS2, TiSe2, TiTe2, VS2, VSe2, VTe2,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칼코게나이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금속 산화물은 MoO2, WO2, TiO2, VO2,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 칼코게나이드의 형성 과정은 기체화된 금속 전구체를 공급하는 과정, 칼코겐(chacogen) 함유 기체를 공급하는 과정, 및 상기 기체화된 금속 전구체 및 칼코겐 함유 기체를 반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서로 순서를 달리하거나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칼코겐 함유 기체로서 황화수소(H2S)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S2, Se2, Te2를 포함하는 기체, H2Se, 및 H2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체를 이용할 수 있다.
기체화된 금속 전구체는 금속 파우더를 가열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즉, 금속 파우더를 가열하여 기체화된 라디칼(radical)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파우더는 MoO, MoO2, MoO3, WO2, WO3, VO, VO2, V2O3, V2O5, V3O5, TiO, TiO2, Ti2O3, Ti3O5,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MoF3, MoF6, MoF4, Mo4F20, MoCl2, MoCl3, MoCl6, MoCl4, MoCl5, MoBr3, MoBr4, MoI2, MoI3, MoI4, WF6, WF4, [WF5]4, WCl2, WCl6, WCl4, [WCl5]2, [W6Cl12]Cl6, WBr3, WBr6, WBr4, WBr5, W6Br14, WI2, WI3, WI4, VF2, VF3, VF4, VF5, VCl2, VCl3, VCl4, VBr2, VBr3, VBr4, VI2, VI3, VI4, TiF2, TiF3, TiF4, TiCl4, TiCl3, TiCl2, TiBr3, TiBr4,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할로겐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Mo(CO)6, W(CO)6, V(CO)6, Ti(CO)6,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카보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금속 파우더 및 칼코겐 함유 기체를 이용하여 MoS2, MoSe2, MoTe2, WS2, WSe2, WTe2, TiS2, TiSe2, TiTe2, VS2, VSe2, VTe2,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칼코게나이드를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은 상기 벌크소재 전체 표면의 약 10% 내지 약 100%에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은 상기 벌크소재 전체 표면의 약 10% 내지 약 100%, 약 20% 내지 약 100%, 약 30% 내지 약 100%, 약 40% 내지 약 100%, 약 50% 내지 약 100%, 약 60% 내지 약 100%, 약 70% 내지 약 100%, 약 80% 내지 약 100%, 약 90% 내지 약 100%, 약 10% 내지 약 90%, 약 10% 내지 약 80%, 약 10% 내지 약 70%, 약 10% 내지 약 60%, 약 10% 내지 약 50%, 약 10% 내지 약 40%, 약 10% 내지 약 30%, 또는 약 10% 내지 약 20%에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은 2 차원 판상형 또는 0 차원 구(sphere)형의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벌크소재는 상기 2 차원 판상형 또는 0 차원 구형의 형태를 갖는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을 복수 개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의 크기는 약 1 μm 이상이면 제한이 없으며, 이때, 상기 크기는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의 형태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정사각 판상형일 경우 각 변의 직경을 의미할 수 있고, 직사각 판상형일 경우 가로의 직경 또는 세로의 직경일 수 있고, 구형의 경우 구의 직경일 수 있다.
상기 벌크소재는 상기 복수 개의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벌크소재 표면에 노출된 상기 벌크 유기금속화합물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은 그 형태의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구형, 판상형, 사각뿔형, 원통형 등 모든 형태가 가능할 수 있고, 크기는 약 1 nm 내지 약 100 n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의 크기는 그 형태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sphere) 형태일 경우 상기 구의 직경을 의미하고, 타원형일 경우 장축의 직경 또는 단축의 직경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의 크기는 예를 들어, 약 1 nm 내지 약 100 nm, 약 10 nm 내지 약 100 nm, 약 20 nm 내지 약 100 nm, 약 30 nm 내지 약 100 nm, 약 40 nm 내지 약 100 nm, 약 50 nm 내지 약 100 nm, 약 60 nm 내지 약 100 nm, 약 70 nm 내지 약 100 nm, 약 80 nm 내지 약 100 nm, 약 90 nm 내지 약 100 nm, 약 1 nm 내지 약 90 nm, 약 1 nm 내지 약 80 nm, 약 1 nm 내지 약 70 nm, 약 1 nm 내지 약 60 nm, 약 1 nm 내지 약 50 nm, 약 1 nm 내지 약 40 nm, 약 1 nm 내지 약 30 nm, 약 1 nm 내지 약 20 nm, 또는 약 1 nm 내지 약 10 n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은 상기 벌크소재의 표면에 랜덤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벌크소재가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수소 생성 반응 촉매로서 사용될 경우 수전해를 통한 수소 생성 반응 활성 및 수소 생성 반응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벌크소재는 수전해를 통한 수소 생성 반응 용 촉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물의 전환 기술은 에너지 전환 기술의 중심에 있으며, 화학연료 형태의 재생 자원 저장의 일환이 된다. 실제로, 전기화학적 물의 분해는 지속 가능한 고순도 수소의 공급이라는 점에서 매우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이고 안정한 촉매 재료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염기 분위기에서의 수전해는 두 가지의 반쪽 전지 반응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그 중 한 가지는 환원극에서 일어나는 수소 발생 반응 (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이며 또 다른 한 가지는 산화극에서 일어나는 산소 발생 반응(oxygen evolution reaction (OER))이다.
즉, 상기 벌크소재는 상기 환원극에서 일어나는 수소 발생 반응의 촉매로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환원극(음극)은 상기 벌크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벌크소재가 전극(음극)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극은 평판형 전극, 유리 탄소 전극 또는 회전 디스크 전극일 수 있고, 상기 전극의 재료는 탄소, 금속, 금속 산화물, 전도성 고분자,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을 전극에 도포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전극을 용매에 용해시킨 후,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벌크 유기금속화합물 표면에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2);
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금속화합물은 MXn으로 표시되고,
상기 M은 전이금속이고,
상기 X는 S, Se, Te, 또는 O이고,
상기 n은 1 내지 3인,
벌크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벌크소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단계 1은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을 전극에 도포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기금속화합물은 금속 칼코게나이드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칼코게나이드 또는 금속 산화물은 각각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MX2
[화학식 2]
MO2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M은 Mo, W, Ti, 또는 V이며,
X는 S, Se, 또는 Te일 수 있다.
즉, 상기 금속 칼코게나이드는 MoS2, MoSe2, MoTe2, WS2, WSe2, WTe2, TiS2, TiSe2, TiTe2, VS2, VSe2, VTe2,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칼코게나이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금속 산화물은 MoO2, WO2, TiO2, VO2,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 칼코게나이드의 형성 과정은 기체화된 금속 전구체를 공급하는 과정, 칼코겐(chacogen) 함유 기체를 공급하는 과정, 및 상기 기체화된 금속 전구체 및 칼코겐 함유 기체를 반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서로 순서를 달리하거나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칼코겐 함유 기체로서 황화수소(H2S)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S2, Se2, Te2를 포함하는 기체, H2Se, 및 H2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체를 이용할 수 있다.
기체화된 금속 전구체는 금속 파우더를 가열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즉, 금속 파우더를 가열하여 기체화된 라디칼(radical)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파우더는 MoO, MoO2, MoO3, WO2, WO3, VO, VO2, V2O3, V2O5, V3O5, TiO, TiO2, Ti2O3, Ti3O5,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MoF3, MoF6, MoF4, Mo4F20, MoCl2, MoCl3, MoCl6, MoCl4, MoCl5, MoBr3, MoBr4, MoI2, MoI3, MoI4, WF6, WF4, [WF5]4, WCl2, WCl6, WCl4, [WCl5]2, [W6Cl12]Cl6, WBr3, WBr6, WBr4, WBr5, W6Br14, WI2, WI3, WI4, VF2, VF3, VF4, VF5, VCl2, VCl3, VCl4, VBr2, VBr3, VBr4, VI2, VI3, VI4, TiF2, TiF3, TiF4, TiCl4, TiCl3, TiCl2, TiBr3, TiBr4,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할로겐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Mo(CO)6, W(CO)6, V(CO)6, Ti(CO)6,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카보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금속 파우더 및 칼코겐 함유 기체를 이용하여 MoS2, MoSe2, MoTe2, WS2, WSe2, WTe2, TiS2, TiSe2, TiTe2, VS2, VSe2, VTe2,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칼코게나이드를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은 2 차원 판상형 또는 0 차원 구형의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벌크소재는 상기 2 차원 판상형 또는 0 차원 구형의 형태를 갖는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을 복수 개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의 크기는 약 1 μm 이상이면 제한이 없으며, 이때, 상기 크기는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의 형태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정사각 판상형일 경우 각 변의 직경을 의미할 수 있고, 직사각 판상형일 경우 가로의 직경 또는 세로의 직경일 수 있고, 구형의 경우 구의 직경일 수 있다.
상기 전극은 평판형 전극, 유리 탄소 전극, 또는 회전 디스크 전극일 수 있고, 상기 전극의 재료는 탄소, 금속, 금속 산화물, 전도성 고분자,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단계 2는 상기 전극을 용매에 용해시킨 후,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벌크 유기금속화합물 표면에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용매는 황산 수용액, 염산 수용액, 질산 수용액,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즉, 산성상태 수용액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인가되는 전압은 약 0 V 내지 약 -2 V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인가되는 전압은 약 0 V 내지 약 -2 V, 약 -0.5 V 내지 약 -2 V, 약 -1 V 내지 약 -2 V, 약 -1.5 V 내지 약 -2 V, 약 0 V 내지 약 -1.5 V, 약 0 V 내지 약 -1 V, 또는 약 0 V 내지 약 -0.5 V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인가되는 전류는 약 0 mA/cm2 내지 약 -1,000 mA/cm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인가되는 전류는 약 0 mA/cm2 내지 약 -1,000 mA/cm2, 약 -10 mA/cm2 내지 약 -1,000 mA/cm2, 약 -50 mA/cm2 내지 약 -1,000 mA/cm2, 약 -100 mA/cm2 내지 약 -1,000 mA/cm2, 약 -200 mA/cm2 내지 약 -1,000 mA/cm2, 약 -300 mA/cm2 내지 약 -1,000 mA/cm2, 약 -400 mA/cm2 내지 약 -1,000 mA/cm2, 약 -500 mA/cm2 내지 약 -1,000 mA/cm2, 약 -600 mA/cm2 내지 약 -1,000 mA/cm2, 약 -700 mA/cm2 내지 약 -1,000 mA/cm2, 약 -800 mA/cm2 내지 약 -1,000 mA/cm2, 약 -900 mA/cm2 내지 약 -1,000 mA/cm2, 약 0 mA/cm2 내지 약 -900 mA/cm2, 약 0 mA/cm2 내지 약 -800 mA/cm2, 약 0 mA/cm2 내지 약 -700 mA/cm2, 약 0 mA/cm2 내지 약 -600 mA/cm2, 약 0 mA/cm2 내지 약 -500 mA/cm2, 약 0 mA/cm2 내지 약 -400 mA/cm2, 약 0 mA/cm2 내지 약 -300 mA/cm2, 약 0 mA/cm2 내지 약 -200 mA/cm2, 약 0 mA/cm2 내지 약 -100 mA/cm2, 약 0 mA/cm2 내지 약 -50 mA/cm2, 또는 약 0 mA/cm2 내지 약 -10 mA/cm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는 간헐적 또는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것일 수 있다.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경우 약 1 시간 내지 약 200 시간 동안 인가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는 약 1 시간 내지 약 200 시간, 약 10 시간 내지 약 200 시간, 약 20 시간 내지 약 200 시간, 약 40 시간 내지 약 200 시간, 약 60 시간 내지 약 200 시간, 약 80 시간 내지 약 200 시간, 약 100 시간 내지 약 200 시간, 약 120 시간 내지 약 200 시간, 약 140 시간 내지 약 200 시간, 약 160 시간 내지 약 200 시간, 약 180 시간 내지 약 200 시간, 약 1 시간 내지 약 180 시간, 약 1 시간 내지 약 160 시간, 약 1 시간 내지 약 140 시간, 약 1 시간 내지 약 120 시간, 약 1 시간 내지 약 100 시간, 약 1 시간 내지 약 80 시간, 약 1 시간 내지 약 60 시간, 약 1 시간 내지 약 40 시간, 약 1 시간 내지 약 20 시간, 또는 약 1 시간 내지 약 10 시간 동안 인가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 또는 반응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나노구조 형태가 만들어지다 다시 붕괴되어 표면에 나노구조 형성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또는 표면이 벌크형태로 다시 변형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벌크 유기금속화합물 표면에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이 형성된 벌크소재가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은 상기 벌크소재 전체 표면의 약 10% 내지 약 100%에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은 상기 벌크소재 전체 표면의 약 10% 내지 약 100%, 약 20% 내지 약 100%, 약 30% 내지 약 100%, 약 40% 내지 약 100%, 약 50% 내지 약 100%, 약 60% 내지 약 100%, 약 70% 내지 약 100%, 약 80% 내지 약 100%, 약 90% 내지 약 100%, 약 10% 내지 약 90%, 약 10% 내지 약 80%, 약 10% 내지 약 70%, 약 10% 내지 약 60%, 약 10% 내지 약 50%, 약 10% 내지 약 40%, 약 10% 내지 약 30%, 또는 약 10% 내지 약 20%에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은 그 형태의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구형, 판상형, 사각뿔형, 원통형 등 모든 형태가 가능할 수 있고, 크기는 약 1 nm 내지 약 100 n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의 크기는 그 형태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sphere) 형태일 경우 상기 구의 직경을 의미하고, 타원형일 경우 장축의 직경 또는 단축의 직경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의 크기는 예를 들어, 약 1 nm 내지 약 100 nm, 약 10 nm 내지 약 100 nm, 약 20 nm 내지 약 100 nm, 약 30 nm 내지 약 100 nm, 약 40 nm 내지 약 100 nm, 약 50 nm 내지 약 100 nm, 약 60 nm 내지 약 100 nm, 약 70 nm 내지 약 100 nm, 약 80 nm 내지 약 100 nm, 약 90 nm 내지 약 100 nm, 약 1 nm 내지 약 90 nm, 약 1 nm 내지 약 80 nm, 약 1 nm 내지 약 70 nm, 약 1 nm 내지 약 60 nm, 약 1 nm 내지 약 50 nm, 약 1 nm 내지 약 40 nm, 약 1 nm 내지 약 30 nm, 약 1 nm 내지 약 20 nm, 또는 약 1 nm 내지 약 10 n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은 상기 벌크소재의 표면에 랜덤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벌크소재가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수소 생성 반응 촉매로서 사용될 경우 수전해를 통한 수소 생성 반응 활성 및 수소 생성 반응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벌크소재의 제조 및 수소 생성 반응 평가
<단계 1>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을 전극에 도포하는 단계
상업용 벌크 MoS2 분말 0.04 g을 탈이온수(deionized water) 0.05 mL, 5 wt% 나피온(Nafion) 용액 0.16 mL, 아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1 mL 의 혼합 용액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1 시간 동안 분산 시켰다. 그 후에, 제조된 벌크 MoS2 분산물을 스프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전극으로 사용되는 카본 페이퍼(carbon paper) 상에 도포한 뒤 감압 상태 100에서 1 시간 동안 증발건조법을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상기의 방법을 통해 벌크 MoS2가 카본 페이퍼 상에 0.35 mg/cm2의 양 만큼 도포되었다.
<단계 2> 벌크소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벌크 MoS2가 도포된 카본 페이퍼 전극을 상온의 0.5 M 황산 수용액에 담근 뒤, 42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0.464 V (vs. SHE)의 전압을 가해 벌크소재 MoS2를 제조하였다. 이때 백금 선과 3 M 염화나트륨(NaCl) 용액 속의 은/염화은(Ag/AgCl) 전극이 양극(anode)과 기준 전극(reference electrode)으로 각각 사용되었다. 상기 제조된 벌크소재 MoS2의 형상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단계 3> 벌크소재의 수소 생성 반응 평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벌크소재의 수소 생성 반응 활성과 전하 이동 속도론, 그리고 수소 생성 반응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 실시예 2] 벌크소재의 제조 및 수소 생성 반응 평가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인가 전압을 -0.314 V (vs. SHE)로, 인가 시간을 96시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벌크소재 MoS2를 제조하고 제조된 벌크소재 MoS2의 수소 생성 반응 활성과 전하 이동 속도론, 그리고 수소 생성 반응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제조된 벌크소재 MoS2의 형상을 도 5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3] 벌크소재의 제조 및 수소 생성 반응 평가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아닌 일정하게 -10 mA/cm2의 전류 밀도를 인가한 것과, 인가 시간을 144 시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벌크소재 MoS2를 제조하고 제조된 벌크소재 MoS2의 수소 생성 반응 활성과 전하 이동 속도론을 평가하였다. 상기 제조된 벌크소재 MoS2의 형상을 도 6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4] 벌크소재의 제조 및 수소 생성 반응 평가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인가 전압을 -0.314 V (vs. SHE)로, 인가 시간을 24 시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벌크소재 MoS2를 제조하고 제조된 벌크소재 MoS2의 수소 생성 반응 활성과 전하 이동 속도론을 평가하였다. 상기 제조된 벌크소재 MoS2의 형상을 도 7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 1] 백금소재의 제조 및 수소 생성 반응 평가
상업용 백금 소재의 수소 생성 반응 활성과 전하 이동 속도론, 그리고 수소 생성 반응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단계 2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백금의 수소 생성 반응 활성과 전하 이동 속도론, 그리고 수소 생성 반응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 비교예 2] 벌크 MOS 2 제조 및 수소 생성 반응 평가
상기 비교예 1에 있어서 상업용 벌크 MoS2을 백금 대신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수소 생성 반응 활성과 전하 이동 속도록을 평가하였다. 상기 제조된 벌크 MoS2의 형상을 도 8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것과 달리 표면이 매끄러워 나노구조의 MoS2가 형성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 실시예 제조예에서 제조된 소재의 특성분석
하기 표 1에 상기 실시예 및 제조예에서 제조된 촉매 소재의 제조 조건 및 수소 생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촉매 촉매 소재 제조 조건:
인가 전압(V vs. SHE) 또는
인가 전류 밀도(mA/cm2)
촉매 소재 제조조건:
인가 시간
(시간)
도 1의 촉매 활성 테스트 결과에서 전류 밀도
10 mA/cm2
전압
(V vs. SHE)
도 3의 촉매 안정성 테스트 결과에서 100 시간 수소 생성 반응 전/후 전압
(V vs. SHE)
실시예 1 MoS2 -0.464 V 42 -0.069 -0.102/-0.119
실시예 2 MoS2 -0.314 V 96 -0.086 -0.112/-0.142
실시예 3 MoS2 -10 mA/cm2 144 -0.203
실시예 4 MoS2 -0.464 V 24 -0.250
비교예 1 Pt -0.062 -0.083/-0.102
비교예 2 MoS2 -0.468
상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2에 따른 촉매를 이용한 수소 생성 반응의 활성을 비교하는 전류 밀도 - 전압 그래프에서 비교예 2와 같이 표면에 나노구조가 없는 상업용 MoS2 촉매의 경우 수소생성 반응 전류 밀도 10 mA/cm2 발생시 필요한 전압 (V vs. SHE)이 약 -0.468 V로서 매우 높은 반면, 나노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그 값이 약 -0.069 V 내지 -0.250 V로서 필요 전압이 매우 크게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상기 낮은 전압에서도 수소 생성 반응이 잘 일어남을 확인함으로써 실시예 1 내지 4의 촉매 구조가 매우 우수한 촉매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표면에 나노 플레이크(flake) 구조들이 많이 형성된 실시예 1의 경우 기존 수소 생성반응 촉매로서 널리 쓰이는 고가의 상업용 Pt 촉매와 비교하였을 때 수소생성 반응 전류 밀도 10 mA/cm2 발생시 필요한 전압이 -0.069V로서 상업용 백금(-0.062V)과 매우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2는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촉매와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촉매를 이용한 수소 생성 반응시의 전하 이동 속도론을 비교하는 임피던스(impedance) 허수부 - 임피던스 실수부 나이퀴스트 도시(Nyquist plot)를 나타내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반원 모양의 그래프가 작으면 작을수록 전극 내에서 이동하는 전하들의 속도가 빨라 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전극 내에서 빠른 전하들의 이동 속도는 높은 수소생성 반응 효율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 표면에 나노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비교예 2와 같이 표면에 나노구조가 없는 상업용 MoS2 촉매와 비교 하였을 때 전극 내에서 이동하는 전하들의 속도가 월등히 빨라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는 도 1의 수소생성 반응 활성이 우수한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었다.
도 3은 비교예 1에 따른 촉매와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촉매를 이용한 수소 생성 반응의 장시간 안정성을 비교하는 전압 - 반응 시간 그래프이다. 수소생성 반응 전류 밀도 10 mA/cm2 발생 시, 100 시간 동안 초기 전압과 비교하여 촉매 활성이 저하 되어 전압이 증가하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으로서, 장시간 반응을 하면서 일정하게 전압이 유지되는지를 확인하는 실험 결과를 상기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1 및 도 2에 나타내었듯이 표면에 나노 플레이크(flake) 구조들이 형성된 실시예 1 및 2의 수소생성 반응 전류 밀도 10 mA/cm2에서 100 시간 수소 생성 반응 전/후 전압 (V vs. SHE)은 각 -0.102 V/-0.119 V, -0.112 V/-0.142 V 로 100 시간 수소생성 반응 후에도 성능 저하 없이 일정하게 전압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이는 비교예 1의 상업용 백금 촉매를 사용한 결과와 비교했을 때도 활성 및 안정성이 거의 유사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벌크소재를 포함하는 촉매는 특히 수소 생성 반응을 위한 촉매로서 기존 고가의 상업용 백금 촉매와 비교 하였을 때, 유사한 활성 및 안정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6)

  1.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을 포함하는 벌크소재에 있어서,
    그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기금속화합물은 MXn으로 표시되고,
    상기 M은 전이금속이고,
    상기 X는 S, Se, Te, 또는 O이고,
    상기 n은 1 내지 3인,
    벌크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은 Mo, W, Ti, 또는 V인 것인, 벌크소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은 상기 벌크소재 전체 표면의 10% 내지 100%에 형성된 것인, 벌크소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은 2 차원 판상형 또는 0 차원 구형의 형태이고,
    상기 벌크소재 표면에 노출된 상기 벌크 유기금속화합물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벌크소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의 크기는 1 nm 내지 100 nm인 것인, 벌크소재.
  6. 제1항의 벌크소재를 포함하는 촉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수전해를 통한 수소 생성 반응 용인 것인, 촉매.
  8. 제1항의 벌크소재를 포함하는 전극.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벌크소재는 상기 전극의 표면에 도포된 것인, 전극.
  10. 벌크 유기금속화합물을 전극에 도포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전극을 용매에 용해시킨 후,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벌크 유기금속화합물 표면에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2);
    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금속화합물은 MXn으로 표시되고,
    상기 M은 전이금속이고,
    상기 X는 S, Se, Te, 또는 O이고,
    상기 n은 1 내지 3인,
    벌크소재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되는 전압은 0 V 내지 -2 V인, 벌크소재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되는 전류는 0 mA/cm2 내지 -1,000 mA/cm2인, 벌크소재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또는 전류는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것인, 벌크소재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또는 전류는 1 시간 내지 200 시간 동안 인가되는 것인, 벌크소재의 제조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은 상기 벌크소재 전체 표면의 10% 내지 100%에 형성된 것인, 벌크소재의 제조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구조의 유기금속화합물의 크기는 1 nm 내지 100 nm인 것인, 벌크소재의 제조방법.
KR1020170065169A 2017-05-26 2017-05-26 벌크소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촉매 및 전극 KR102087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169A KR102087853B1 (ko) 2017-05-26 2017-05-26 벌크소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촉매 및 전극
PCT/KR2018/005783 WO2018216983A2 (ko) 2017-05-26 2018-05-21 벌크소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촉매 및 전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169A KR102087853B1 (ko) 2017-05-26 2017-05-26 벌크소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촉매 및 전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059A true KR20180130059A (ko) 2018-12-06
KR102087853B1 KR102087853B1 (ko) 2020-03-12

Family

ID=6439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169A KR102087853B1 (ko) 2017-05-26 2017-05-26 벌크소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촉매 및 전극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7853B1 (ko)
WO (1) WO201821698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7945A (zh) * 2019-07-12 2019-10-15 南昌航空大学 一种纳米复合材料二硒化钼修饰二氧化钛纳米管阵列的电化学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8826A (ko) * 2008-04-14 2009-10-19 삼성전기주식회사 금속 칼코게나이드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69959A (ko) * 2010-12-21 2012-06-2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황화몰리브데늄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KR101466647B1 (ko) * 2013-09-02 2014-12-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나노층 제조 방법
KR101616512B1 (ko) * 2014-04-30 2016-04-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판상형 무기칼코게나이드 및 무기산화물의 복합 물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792B1 (ko) * 2014-03-28 2016-03-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슈퍼커패시터
KR101623736B1 (ko) * 2015-05-29 2016-05-2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이황화몰리브덴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8826A (ko) * 2008-04-14 2009-10-19 삼성전기주식회사 금속 칼코게나이드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69959A (ko) * 2010-12-21 2012-06-2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황화몰리브데늄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KR101466647B1 (ko) * 2013-09-02 2014-12-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나노층 제조 방법
KR101616512B1 (ko) * 2014-04-30 2016-04-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판상형 무기칼코게나이드 및 무기산화물의 복합 물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853B1 (ko) 2020-03-12
WO2018216983A3 (ko) 2019-01-17
WO2018216983A2 (ko)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Recent progress of transition metal carbides/nitrides for electrocatalytic water splitting
Li et al. Earth‐abundant transition‐metal‐based electrocatalysts for water electrolysis to produce renewable hydrogen
Zang et al. Heterogeneous single atom electrocatalysis, where “singles” are “married”
Dutta et al. Self-supported nickel iron layered double hydroxide-nickel selenide electrocatalyst for superior water splitting activity
Long et al. Enhancing full water-splitting performance of transition metal bifunctional electrocatalysts in alkaline solutions by tailoring CeO2–transition metal oxides–Ni nanointerfaces
Yu et al. Nanocrystalline Ni0. 85Se as efficient non-noble-metal electrocatalyst for hydrogen evolution reaction
Samanta et al. Doping of Ni in α-Fe2O3 nanoclews to boost oxygen evolution electrocatalysis
Huang et al. Fe–Ni layered double hydroxide arrays with homogeneous heterostructure as efficient electrocatalysts for overall water splitting
Yang et al. Superior oxygen evolution reaction performance of Co3O4/NiCo2O4/Ni foam composite with hierarchical structure
Tang et al. Highly efficient electrochemical hydrogen evolution based on nickel diselenide nanowall film
Wang et al. Metal-organic-framework template-derived hierarchical porous CoP arrays for energy-saving overall water splitting
Guo et al. Efficient bifunctional vanadium-doped Ni 3 S 2 nanorod array for overall water splitting
Zhang et al. Coaxial Ni–S@ N-doped carbon nanofibers derived hierarchical electrodes for efficient H2 production via urea electrolysis
Yao et al. Self-assembled Ni3S2 nanosheets with mesoporous structure tightly held on Ni foam as a highly efficient and long-term electrocatalyst for water oxidation
Muthurasu et al. Vertically aligned metal–organic framework derived from sacrificial cobalt nanowire template interconnected with nickel foam supported selenite network as an integrated 3D electrode for overall water splitting
Guo et al. Fe3O4-CoP x Nanoflowers Vertically Grown on TiN Nanoarrays as Efficient and Stable Electrocatalysts for Overall Water Splitting
Partanen et al. Oxygen evolution reaction kinetic barriers on nitrogen-doped carbon nanotubes
Bao et al. Electronic and structural engineering of NiCo2O4/Ti electrocatalysts for efficient oxygen evolution reaction
JP6932751B2 (ja) 水分解酸素発生用の四酸化三コバルトアレイ/チタンメッシュ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92868A (ko) 전이금속황화물의 계층적 나노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수소발생반응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718281A (zh) 一种石墨烯量子点/MXene纳米片二维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Meng et al. Rational construction of uniform CoS/NiFe2O4 heterostructure as efficient bifunctional electrocatalysts for hydrogen evolution and oxygen evolution reactions
Marimuthu et al. One-step fabrication of copper sulfide catalysts for HER in natural seawater and their bifunctional properties in freshwater splitting
Ramírez et al. Rhenium-based electrocatalysts for water splitting
KR102111074B1 (ko) 가역연료전지 또는 재생연료전지의 산소극 촉매용 백금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