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578A -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족관절 자극 방법 - Google Patents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족관절 자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578A
KR20180129578A KR1020170068921A KR20170068921A KR20180129578A KR 20180129578 A KR20180129578 A KR 20180129578A KR 1020170068921 A KR1020170068921 A KR 1020170068921A KR 20170068921 A KR20170068921 A KR 20170068921A KR 20180129578 A KR20180129578 A KR 20180129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ressure sensor
foot
heel
low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407B1 (ko
Inventor
김현우
정봉근
김영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129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61B5/1038Measuring plantar pressure during ga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족관절 자극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는, 보행시 바닥과 접촉하는 발의 뒷꿈치 및 발가락 부분의 영역에 부착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환자의 앞정강근에 부착되어, 상기 압력센서에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 동작하는 저주파 자극 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족관절 자극 방법{ANKLE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LOW FREQUENCY STIMULATION FOOT ORTHOSIS DEVICE}
본 발명은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족관절 자극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저주파 자극을 이용하여 발보조기 장치를 착용한 환자의 족관절에 자극을 주는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족관절 자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족관절 발보조기(Ankle Foot Orthosis : AFO)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풋드랍(foot drop)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처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족관절 발보조기는 하퇴와 발바닥의 각도를 90도로 유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족관절 발보조기에 기능적 관절을 달아서 족관절의 움직임이 어느 정도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족관절 발보조기는 족관절을 유지 또는 고정하는 기능만 할 뿐, 환자의 보행시 발끝처짐 증상을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72860호(2016.11.04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저주파 자극을 이용하여 환자의 족관절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족관절 자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는, 보행시 바닥과 접촉하는 발의 뒷꿈치 및 발가락 부분의 영역에 부착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환자의 앞정강근에 부착되어, 상기 압력센서에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 동작하는 저주파 자극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는, 상기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면 오프(off)되고, 상기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면 온(on)될 수 있다.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는,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온(on)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는, 상기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면 온(on)되되,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의 압력값에 기초하여 자극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보행시 바닥과 접촉하는 발의 뒷꿈치 및 발가락 부분의 영역에 부착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환자의 앞정강근에 부착되어, 상기 압력센서에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 동작하는 저주파 자극 패드를 포함하는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에서의 족관절 자극 방법은, 상기 발의 뒷꿈치 및 발가락 부분의 영역에 위치하는 압력센서가, 환자의 보행시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가, 상기 측정된 압력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가, 상기 측정된 압력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가, 상기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면 오프(off)되고, 상기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면 온(on)될 수 있다.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는,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온(on)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는, 상기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면 온(on)되되,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의 압력값에 기초하여 자극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주파 자극을 이용하여 환자의 보행시 발생할 수 있는 발끝처짐 증상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풋드랍(foot drop) 증상이 있는 환자가 병원을 내원하지 않더라도, 보행을 하면서 인가되는 저주파 자극을 통해 스스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의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 및 저주파 자극패드가 부착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사람의 보행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관절 자극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의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 및 저주파 자극패드가 부착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발보조기 장치는, 족관절에 이상이 있는 환자 보다 자세하게는 풋드랍(foot drop) 증상이 발생하는 환자에게 처방되는 것이다. 초창기에 발보조기 장치는 무릎 부위 이하의 하퇴부와 발바닥의 각도를 90도로 유지 고정하는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이후, 발보조기 장치는 기능적 관절을 달아서 족관절의 움짐임이 어느 정도 가능하게 제작되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발보조기 장치는 풋드랍(foot drop)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착용되며, 족관절의 움직임이 어느 정도 가능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발보조기 장치는 발의 뒷꿈치부터 밀착되게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100)는, 압력센서(110) 및 저주파 자극 패드(130)를 포함한다.
압력센서(110)는 보행시 환자의 발에 감지되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압력센서(11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시 바닥과 접촉하는 발의 뒷꿈치 부분의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1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시 바닥과 접촉하는 발가락 부분의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110)는 발가락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지만,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가락과 인접한 부분의 영역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센서(110)는 보행시 환자가 땅바닥을 디딜 때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저주파 자극 패드(130)는 전기적인 자극(예컨대,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여 근육에 수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저주파 자극 패드(130)는 환자의 발끝처짐 증상을 방지하거나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저주파 자극 패드(130)는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앞정강근에 부착될 수 있다. 저주파 자극 패드(130)는 환자의 앞정강근의 벨리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앞정강근은 정강이뼈의 외측에 있는 근육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신체에 이상이 없는 사람이 발가락을 위로 들었을 경우, 튀어나오는 근육을 말한다. 저주파 자극 패드(130)는, 환자의 앞정강근에 부착되어 압력센서(110)에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저주파 자극 패드(130)는, 발의 뒷꿈치 부분의 영역에 부착되는 압력센서(110) 및/또는 발가락 부분의 영역에 부착되는 압력센서(110)에서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 온(on), 오프(off)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130)는,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에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오프(off)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130)는,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에 압력이 감지되면 온(on)될 수 있다. 즉, 풋드랍(foot drop) 증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 과정 중 뒷꿈치가 바닥에 닿는 힐 스트라이크(heel strike) 부터 발가락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토 오프(toe off)까지의 과정에서 발끝처짐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보행 중에 발끌림이 발생하여 보행에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
도 3은 사람의 보행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람의 보행과정은 스탠스 단계(stance phase)와 스윙 단계(swing phase)로 구성된다. 스탠스(stance)는 발이 지면에 닿아 있는 것을 말하고, 스윙(swing)은 한발의 발등이 다시 땅에 착지될 때까지 발이 들려있는 것을 말한다. 이때, 스탠스 단계(stance phase)의 시작 시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힐 스트라이크(heel strike)라고 하며, 스윙 단계(swing phase)의 시작(또는, 스탠스 단계의 종료)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힐 오프(heel off) 및/또는 토우 오프(toe off)라고 한다.
한편, 풋드랍(foot drop) 증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행과정 중 E(toe off) 내지 A(heel strike)까지의 과정에서 발끝처짐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따르면(발의 뒷꿈치 부분의 영역에 부착되는 압력센서(110) 및/또는 발가락 부분의 영역에 부착되는 압력센서(110)에서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 저주파 자극 패드(130)를 온(on), 오프(off)), 환자의 보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발끝처짐 증상을 완화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저주파 자극 패드(130)는,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온(on)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과정(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에 압력이 감지됨)을 지나 F과정으로 진입(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음) 하더라도 G과정으로 진입하기 전에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온(on) 상태를 유지시킴에 따라 발끝처짐으로 인해 발끔림이 발생하여 환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주파 자극 패드(130)는,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에 압력이 감지되면 온(on)되되,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의 압력값에 기초하여 자극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저주파 자극 패드(130)는,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에 압력이 감지되면 온(on)되는 경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의 압력값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자극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압력센서(110)는 환자가 바닥을 딛는 순간 체중에 따라 측정되는 압력값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주파 자극 패드(130)는 발의 뒷꿈치 및 발가락 부분의 영역에 부착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10)에 의해 그 동작이 온(on) 또는 오프(off)될 뿐만 아니라, 상기 압력센서(110)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값에 기초하여 자극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이 5이고,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의 압력값이 3인 경우,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130)에는 '하' 레벨의 자극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이 5이고,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의 압력값이 5인 경우,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130)에는 '중' 레벨의 자극이 가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이 5이고,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의 압력값이 7인 경우,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130)에는 '상' 레벨의 자극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상, 중, 하 레벨은 임의로 설정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새롭게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저주파 자극 패드(130)는 압력센서(110)에 의해 감지되어 측정되는 압력값에 따라 그 자극의 세기를 조절하여 환자의 보행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에 압력이 감지되면, 일괄적으로 같은 세기의 자극을 저주파 자극 패드(130)에 인가하는 것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에 감지되는 경우 측정된 압력값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의 자극을 저주파 자극 패드(130)에 인가하게 되면 환자는 보행시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들은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값)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발가락 부분의 영역에 압력센서(110)가 부착되는 경우, 상기 압력센서(110)에서 측정된 압력값이 체중의 일정 퍼센트(%)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저주파 자극 패드(130)가 동작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100)에서의 족관절 자극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관절 자극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100)는 보행시 바닥과 접촉하는 발의 뒷꿈치 및 발가락 부분의 영역에 부착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10) 및 환자의 앞정강근에 부착되어, 상기 압력센서(110)에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 동작하는 저주파 자극 패드(13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의 뒷꿈치 및 발가락 부분의 영역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가, 환자의 보행시 압력을 측정한다(S410).
저주파 자극 패드(130)가, 상기 측정된 압력에 따라 동작한다(S430). 저주파 자극 패드(130)는,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에 압력이 감지되면 오프(off)되고, 상기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에 압력이 감지되면 온(on)될 수 있다. 저주파 자극 패드(130)는,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온(on)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130)는, 상기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에 압력이 감지되면 온(on)되되,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10)의 압력값에 기초하여 자극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저주파 자극을 이용하여 환자의 보행시 발생할 수 있는 발끝처짐 증상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풋드랍(foot drop) 증상이 있는 환자가 병원을 내원하지 않더라도, 보행을 하면서 인가되는 저주파 자극을 통해 스스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환자의 앞정강근에 자극(저주파 자극)이 가해지는 경우, 처져 있던 발끝에 자극이 주어져 재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한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의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앱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
110 : 압력센서
130 : 저주파 자극 패드

Claims (8)

  1. 보행시 바닥과 접촉하는 발의 뒷꿈치 및 발가락 부분의 영역에 부착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환자의 앞정강근에 부착되어, 상기 압력센서에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 동작하는 저주파 자극 패드;를 포함하는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는,
    상기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면 오프(off)되고,
    상기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면 온(on)되는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는,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는,
    상기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면 온(on)되되,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의 압력값에 기초하여 자극의 세기를 조절하는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
  5. 보행시 바닥과 접촉하는 발의 뒷꿈치 및 발가락 부분의 영역에 부착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환자의 앞정강근에 부착되어, 상기 압력센서에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 동작하는 저주파 자극 패드를 포함하는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에서의 족관절 자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의 뒷꿈치 및 발가락 부분의 영역에 위치하는 압력센서가, 환자의 보행시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가, 상기 측정된 압력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족관절 자극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가, 상기 측정된 압력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가,
    상기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면 오프(off)되고,
    상기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면 온(on)되는 족관절 자극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는,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족관절 자극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자극 패드는,
    상기 발의 뒷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에 압력이 감지되면 온(on)되되,
    상기 발가락 부분에 위치하는 압력센서의 압력값에 기초하여 자극의 세기를 조절하는 족관절 자극 방법.
KR1020170068921A 2017-05-26 2017-06-02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 KR101968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65371 2017-05-26
KR1020170065371 2017-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578A true KR20180129578A (ko) 2018-12-05
KR101968407B1 KR101968407B1 (ko) 2019-04-11

Family

ID=64743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921A KR101968407B1 (ko) 2017-05-26 2017-06-02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4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4425A (ko) * 2020-09-11 2022-03-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발바닥 전기자극장치 및 발바닥 전기자극방법
KR20220055929A (ko) 2020-10-27 2022-05-04 황성국 팔다리 운동용 저주파 자극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9561A1 (en) * 2006-01-31 2007-08-02 Good Samaritan Children's Therapy Unit Muscle stimulation method and system to improve walking
KR20160101175A (ko) * 2014-01-24 2016-08-24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자극 장치
KR101672860B1 (ko) 2015-07-13 2016-11-04 양영봉 척추 및 무릎과 발목관절의 정형과 보행을 위한 보조기구
KR20170035830A (ko) * 2014-07-23 2017-03-31 시스템 인스트루먼츠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자극 장치, 트레이닝 장치 및 전기자극 방법
US20170106189A1 (en) * 2014-06-13 2017-04-20 Fundacion Tecnalia Research & Innovation System and method for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9561A1 (en) * 2006-01-31 2007-08-02 Good Samaritan Children's Therapy Unit Muscle stimulation method and system to improve walking
KR20160101175A (ko) * 2014-01-24 2016-08-24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자극 장치
US20170106189A1 (en) * 2014-06-13 2017-04-20 Fundacion Tecnalia Research & Innovation System and method for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KR20170035830A (ko) * 2014-07-23 2017-03-31 시스템 인스트루먼츠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자극 장치, 트레이닝 장치 및 전기자극 방법
KR101672860B1 (ko) 2015-07-13 2016-11-04 양영봉 척추 및 무릎과 발목관절의 정형과 보행을 위한 보조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4425A (ko) * 2020-09-11 2022-03-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발바닥 전기자극장치 및 발바닥 전기자극방법
KR20220055929A (ko) 2020-10-27 2022-05-04 황성국 팔다리 운동용 저주파 자극 장치
KR20230002228A (ko) 2020-10-27 2023-01-05 황성국 팔다리 운동용 저주파 자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407B1 (ko)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117B1 (ko)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CN106659892B (zh) 用于功能性电刺激的系统和方法
CN108135537B (zh) 用于治疗骨关节炎的系统、装置和方法
Qu Impacts of different types of insoles on postural stability in older adults
Veltink et al. Three dimensional inertial sensing of foot movements for automatic tuning of a two-channel implantable drop-foot stimulator
US10137025B2 (en) Device and method for electric stimulation of muscles involved in human physiological gait pattern and brace to support an anatomical joint with such device
US20080167580A1 (en) Rehabilitation System
US201200594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flex-based functional gait training
US20050131317A1 (en) Sensor prosthetic for improved balance control
KR101648270B1 (ko) 보행 단계 판정을 위한 발모듈, 이를 이용한 보행 단계 판정 방법, 보행 분석 시스템 및 능동형 보행 보조 장치
US20200197194A1 (en) Method of identifying parameter of characteristic of muscle, and walking assistance apparatuses and method based on the method
US201801261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unctional Restoration and Rehabilitation of Posture, Gait and Movement
KR101968407B1 (ko)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
Khoo et al. Real-time biofeedback device for gait rehabilitation of post-stroke patients
Fiolkowski et al. Does postural instability affect the initiation of human gait?
KR20190129469A (ko) 능동형 보행 신경근 전기 자극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저장 매체
Apps et al. Biomechanical locomotion adaptations on uneven surfaces can be simulated with a randomly deforming shoe midsole
KR102065278B1 (ko) 하지질환자용 보행 관련 감각 자극 장치
KR102239909B1 (ko) 지능형 보행 신경근 전기 자극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저장 매체
Emborg et al. Withdrawal reflexes examined during human gait by ground reaction forces: site and gait phase dependency
KR102306130B1 (ko)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
US11007366B2 (en) Stimulation device for activating at least one muscle involved in raising the foot
KR102495354B1 (ko) 보행 보조 장치 및 보행 보조 방법
KR102430159B1 (ko) 발바닥 전기자극장치 및 발바닥 전기자극방법
KR102511983B1 (ko) 뇌혈관 재활환자의 보행능력 평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