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351A -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351A
KR20180129351A KR1020170065240A KR20170065240A KR20180129351A KR 20180129351 A KR20180129351 A KR 20180129351A KR 1020170065240 A KR1020170065240 A KR 1020170065240A KR 20170065240 A KR20170065240 A KR 20170065240A KR 20180129351 A KR20180129351 A KR 20180129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conductive
angle
mold
conductive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335B1 (ko
Inventor
박영빈
노형도
이호민
이인용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65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335B1/ko
Publication of KR20180129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1/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lamination processes; Safety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1/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lamination processes; Safety arrangements
    • B32B41/02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이 구비된 스마트 몰드를 통해 섬유강화복합재를 제조함으로써, 전도성 섬유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정렬시킨 후 수지를 주입시, 전극을 통해 전기저항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전도성 섬유의 정렬 방향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몰드에 전극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강화복합재의 제조시마다 모니터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섬유강화복합재에 전극을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of monitoring alignment of fibers using smart mold}
본 발명은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을 구비한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강화복합재의 제조 공정에서 섬유의 정렬 불량을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몰드를 이용한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소섬유강화복합재의 제조시 몰드의 내부에 탄소섬유를 미리 정해진 정렬 방향으로 정렬되게 배열한 후 수지를 주입하여 제조한다. 이 때, 상기 탄소섬유들이 상기 정렬 방향을 벗어날 경우 탄소섬유강화복합재의 기능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정렬 방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제조공정 동안 몰드의 내부에서 탄소섬유들이 상기 정렬 방향을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다. 또한, 탄소섬유강화복합재의 제조가 완료된 이후 저항변화 등을 측정하여 정렬 방향을 판단할 경우, 제조 시간과 제조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563130호에서는 섬유강화복합재 내부에 저항변화를 측정하는 금속선을 포함시켜 변형을 확인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금속선을 보강용 탄소섬유 기재 내부에 미리 배치하여야 하므로, 제조가 까다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563130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강화복합재의 제조단계에서 섬유의 정렬 불량을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전도성 섬유에 대한 정보, 상기 전도성 섬유의 적층 정보, 적어도 한 쌍의 전극들이 배치된 스마트 몰드의 형상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들이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수치해석하여 상기 전극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전도성 섬유가 기울어진 각도에 따른 전기저항값을 수치해석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몰드에 상기 전도성 섬유를 미리 설정된 설정 각도로 정렬시켜 배치한 후, 상기 스마트 몰드에 수지를 주입하여 섬유강화복합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수지를 주입하는 동안, 상기 전극들 사이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치해석 데이터로부터 상기에서 측정한 전기저항값에 따른 상기 전도성 섬유의 기울어진 각도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 각도와 상기 설정 각도를 비교하여, 상기 수지 주입에 따른 상기 전도성 섬유의 정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장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들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전도성 섬유와 수지가 투입되도록 형성된 스마트 몰드와; 상기 전도성 섬유에 대한 정보, 상기 전도성 섬유의 적층 정보, 상기 스마트 몰드의 형상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정보들이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수치해석하여 상기 전극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전도성 섬유가 기울어진 각도에 따른 전기저항값을 수치해석 데이터를 산출하는 연산부와; 상기 스마트 몰드에 상기 전도성 섬유를 미리 설정된 설정 각도로 정렬시켜 배치한 후 수지를 주입하는 동안, 상기 전극들 사이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수치해석 데이터로부터 상기에서 측정한 전기저항값에 따른 상기 전도성 섬유의 기울어진 각도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 각도와 상기 설정 각도를 비교하여, 상기 수지 주입에 따른 상기 전도성 섬유의 정렬 불량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극이 구비된 스마트 몰드를 통해 섬유강화복합재를 제조함으로써, 전도성 섬유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정렬시킨 후 수지를 주입시, 전극을 통해 전기저항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전도성 섬유의 정렬 방향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몰드에 전극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강화복합재의 제조시마다 모니터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섬유강화복합재에 전극을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섬유강화복합재의 제조단계에서 전도성 섬유의 정렬 불량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3은 전기적 경로의 설정에 따른 수치해석 데이터의 차이를 나타낸다.
도 4는 단방향 연속 탄소섬유의 정렬시 적층수별 전기 전기저항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평직 연속 탄소섬유의 정렬시 적층수별 전기 전기저항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탄소섬유와 유리섬유가 직조된 평직 연속 하이브리드 섬유의 정렬시 적층수별 전기 전기저항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장치는, 스마트 몰드(10), 입력부(미도시), 연산부(미도시), 측정부(30) 및 검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몰드(10)는, 섬유강화복합재를 제조하기 위해 형성된 몰드이다. 상기 스마트 몰드(10)는, 내부에 전도성 섬유(2)와 수지(미도시)가 투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마트 몰드(10)는 직육면체 형상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조하고자 하는 섬유강화복합재에 대응되는 형상이면 가능하다.
상기 스마트 몰드(10)에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들(20)이 구비된다.
상기 전극들(20)은, 2쌍의 제1,2전극들(21)(2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전극들(21)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전극들(22)은 상기 제1전극들(21)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전극들(21)과 상기 제2전극들(22)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전극들(20)은, 상기 스마트 몰드(10)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전극들(20)은, 상기 스마트 몰드(10)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극들(20)은 구리 호일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미도시)는,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섬유(2)에 대한 정보, 상기 전도성 섬유의 적층 정보, 상기 스마트 몰드(10)의 형상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전도성 섬유(2)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종류, 상기 전도성 섬유(2)의 토우(tow) 단위 길이당 전기저항값, 상기 토우들간의 거리에 따른 전기저항값을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섬유(2)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도성 섬유(2)의 기본적인 전기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섬유(2)에 대한 정보는 섬유 제조업체나 판매처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적층 정보는,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적층 플라이(ply) 수를 의미하고, 상기 섬유강화복합재의 설계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몰드(10)의 형상 정보는, 상기 스마트 몰드(10)의 형상에 따른 크기, 부피, 면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미도시)는, 상기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한다.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은, 상기 스마트 몰드(10)에서 상기 전극들(20)과 상기 전도성 섬유(2)의 관계를 전기저항 등가회로로 변환한 모델이다.
상기 연산부(미도시)는,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수치해석하여, 상기 전극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전도성 섬유가 기울어진 각도에 따른 전기저항값을 수치해석 데이터로 산출한다.
상기 수치해석 데이터는, 상기 전극(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전도성 섬유(2)가 기울어진 각도(θ)에 대한 전기저항값들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상기 측정부(미도시)는, 상기 섬유강화복합재의 제조 공정시 상기 전극들(20) 사이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부(미도시)는, 멀티미터(Multimeter)가 사용된다.
상기 검출부(미도시)는, 상기 측정부(미도시)에서 상기 전극들(20)사이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하면, 상기 수치해석 데이터를 참고하여 상기 측정한 전기저항값에 따른 상기 전도성 섬유(2)의 기울어진 각도를 도출한다. 또한, 상기 검출부(미도시)는, 상기 도출 각도와 설계시 미리 설정된 설정 각도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정렬 불량을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니터링하는 검사자나 상기 섬유강화복합재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자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본 정보를 입력한다.(S1)
상기 기본 정보는, 상기 전도성 섬유(2)에 대한 정보,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적층 수, 상기 스마트 몰드(10)의 형상 정보 및 상기 전극들(20)의 개수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섬유(2)는 상기 섬유강화복합재의 제조공정시 사용되는 섬유이다. 상기 전도성 섬유(2)는, 단방향 연속 탄소섬유, 평직 연속 탄소섬유, 탄소섬유와 유리섬유가 직조된 평직 연속 하이브리드 섬유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전기적 특성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도성 섬유(2)의 토우 단위 길이당 전기저항값, 상기 토우들간의 거리에 따른 전기저항값을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적층 수는, 상기 섬유강화복합재의 설계시 상기 섬유강화복합재의 성능에 맞춰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몰드(10)의 형상 정보는, 상기 섬유강화복합재의 설계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미도시)는, 상기 입력된 기본 정보들을 이용해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한다.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은, 상기 스마트 몰드(10)에서 상기 전도성 섬유(2)와 상기 전극들(20)의 구조를 전기저항 등가회로로 변환된 것이다.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은,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종류, 전기적 특성, 적층 정보, 상기 스마트 몰드(10)의 형상 정보, 상기 전극들(20)의 개수 등에 따라 다르게 구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전도성 섬유들의 전기적 연결 경로를 모두 고려하지 않고, 가장 전기가 흐르기 쉬운 하나의 대표 경로(dominant path)만을 고려하여, 상기 전기저항 등가회로로 모델링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한 쌍의 전극들(20)사이에 복수의 전도성 섬유들(2)이 배치되면, 상기 전극들(20)사이에서 상기 전도성 섬유들(2)을 통해 전기가 흐르는 전기적 경로는 복수개이나, 복수의 전기적 연결 경로들 중에서 대표 경로만을 고려한다.
도 3은 전기적 경로의 설정에 따른 수치해석 데이터의 차이를 나타낸다.
도 3a는, 하나의 대표 경로만을 고려하여 모델링한 경우 수치해석 데이터(Numerical)는 실험 데이터(4-probe)를 나타내고, 도 3b는 모든 전기적 경로를 고려하여 모델링한 경우 수치해석 데이터(Numerical)는 실험 데이터(4-probe)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실험 데이터(4-probe)는 상기 수치해석 데이터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직접 실험을 통해 측정한 데이터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대표 경로(P1)만을 고려하여 모델링한 수치해석 데이터와 실험 데이터는 거의 유사하나, 상기 모든 전기적 연결 경로(P2)를 고려하여 모델링한 수치해석 데이터는 실험 데이터와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전기적 연결 경로들 중에서 상기 하나의 대표 경로(P1)만을 고려하여 모델링하여 수치해석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은,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종류나 적층 수에 따라 다르게 구축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상기 전도성 섬유(2)가 단방향 연속 탄소섬유(Uni-directional carbon fiber)일 때, 상기 단방향 연속 탄소섬유의 적층수(Ply)별 상기 전도성 섬유(2)의 기울어진 각도(θ)에 따른 전기저항값을 나타내는 수치해석 데이터(Numerical analysis) 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상기 전도성 섬유(2)가 평직 연속 탄소섬유(Plain-weave carbon fiber)일 때, 상기 평직 연속 탄소섬유의 적층수(Ply)별 상기 전도성 섬유(2)의 기울어진 각도(θ)에 따른 전기저항값을 나타내는 수치해석 데이터(Numerical analysis)와 4-프로브(4-probe)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f는, 상기 전도성 섬유(2)가 평직 연속 하이브리드 섬유(Carbon-glass hybrid fiber)일 때, 상기 평직 연속 하이브리드섬유의 적층수(Ply)별 상기 전도성 섬유(2)의 기울어진 각도(θ)에 따른 전기저항값을 나타내는 수치해석 데이터(Numerical analysis)와 4-프로브(4-probe) 데이터를 나타낸다.
상기 평직 연속 하이브리드 섬유는, 일 방향은 탄소섬유 토우들이 배치되고 상기 탄소섬유 토우들에 수직한 방향으로는 유리섬유 토우들이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종류와 적층 수에 따라 서로 다른 시뮬레이션 모델이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수치해석하여, 상기 전극들(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전도성 섬유(2)가 기울어진 각도(θ)에 따른 전기저항값을 수치해석 데이터로 산출한다.(S2)(S3)
상기 수치해석 데이터를 산출하고 나면, 상기 섬유강화복합재를 제조한다.
상기 섬유강화복합재를 제조하는 공정은, 상기 스마트 몰드(10)에 상기 전도성 섬유(2)를 미리 설정된 설정 각도(θ1)로 정렬시켜 배치하는 과정과, 상기 스마트 몰드(10)에 수지를 주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S4)(S5)
상기 설정 각도(θ1)는 상기 섬유강화복합재의 설계시 설정된다.
상기 수지는 RTM(Resin Transfer Molding)공법으로 고압으로 주입된다. 상기 스마트 몰드(10)에 상기 수지를 주입시 고압으로 인해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정렬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지를 주입하는 동안 상기 전극들 사이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한다.(S6)
상기 측정시간이나 측정 횟수는 조절가능하다.
상기 전기저항값을 측정하면, 상기 수치해석 데이터로부터 상기 측정한 전기저항값에 따른 상기 전도성 섬유(2)의 기울어진 각도를 도출한다.(S7)
예를 들어, 상기 전도성 섬유(2)가 단방향 연속 탄소섬유이고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적층수가 1층(1-Ply)이면, 도 4a의 수치해석 데이터로부터 상기 전도성 섬유의 각도를 도출할 수 있다. 즉, 도 4a의 수치해석 데이터로부터 상기에서 측정된 전기저항값이 약 5.8이면, 상기 전도성 섬유(2)의 각도(θ2)는 20도인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수치해석 데이터로부터 도출한 도출 각도(θ2)를 상기 설정 각도(θ1)와 비교한다.(S8)
상기 도출 각도(θ2)와 상기 설정 각도(θ1)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정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S9)
상기 도출 각도(θ2)와 상기 설정 각도(θ1)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설정 오차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정렬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출 각도(θ2)와 상기 설정 각도(θ1)의 차이가 상기 설정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정렬이 흐트러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지를 주입하는 동안,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정렬 상태 변화나 정렬 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정렬 불량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수지 주입을 중단하거나, 상기 수지를 주입하는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섬유강화복합재의 제조단계에서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정렬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정렬 불량을 보다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도출 각도(θ2)와 상기 설정 각도(θ1)의 차이,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정렬 상태를 별도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몰드(110)는 상부 몰드(111)와 하부 몰드(112)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몰드(110)에 구비된 전극들(120)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되는 것이 상기 일 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유사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극들(120)은, 상기 상부 몰드(111)에 구비된 적어도 한 쌍의 상부 전극들(121)과, 상기 하부 몰드(112)에 구비된 적어도 한 쌍의 하부 전극들(12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마트 몰드(110)에서 제1높이에 한 쌍의 전극들이 구비되고, 상기 제1높이와 다른 높이에 또 다른 한 쌍의 전극들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도성 섬유(2)의 적층 플라이에 대응되는 높이마다 전극을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된 전극들은 각각의 높이에 배치된 전도성 섬유층의 정렬 방향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전도성 섬유 10: 스마트 몰드
20: 전극 21: 제1전극
22: 제2전극 30: 측정부

Claims (13)

  1. 전도성 섬유에 대한 정보, 상기 전도성 섬유의 적층 정보, 적어도 한 쌍의 전극들이 배치된 스마트 몰드의 형상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들이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수치해석하여 상기 전극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전도성 섬유가 기울어진 각도에 따른 전기저항값을 수치해석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몰드에 상기 전도성 섬유를 미리 설정된 설정 각도로 정렬시켜 배치한 후, 상기 스마트 몰드에 수지를 주입하여 섬유강화복합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수지를 주입하는 동안, 상기 전극들 사이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치해석 데이터로부터 상기에서 측정한 전기저항값에 따른 상기 전도성 섬유의 기울어진 각도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 각도와 상기 설정 각도를 비교하여, 상기 수지 주입에 따른 상기 전도성 섬유의 정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은,
    상기 스마트 몰드의 하부에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하부 전극들과, 상기 스마트 몰드의 상부에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상부 전극들을 포함하는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섬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도성 섬유의 토우 단위 길이당 전기저항값, 상기 토우들간의 이격 거리에 따른 전기저항값을 포함하는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치해석 데이터는,
    상기 전도성 섬유의 적층 수마다 상기 전도성 섬유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른 전기저항값을 포함하는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섬유는, 단방향 연속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섬유는, 평직 연속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섬유는, 탄소섬유와 유리섬유가 직조된 평직 연속 하이브리드 섬유를 포함하는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구리 호일 테이프를 사용하는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출 각도와 상기 설정 각도의 차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10. 적어도 한 쌍의 전극들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전도성 섬유와 수지가 투입되도록 형성된 스마트 몰드와;
    상기 전도성 섬유에 대한 정보, 상기 전도성 섬유의 적층 정보, 상기 스마트 몰드의 형상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정보들이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수치해석하여 상기 전극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전도성 섬유가 기울어진 각도에 따른 전기저항값을 수치해석 데이터를 산출하는 연산부와;
    상기 스마트 몰드에 상기 전도성 섬유를 미리 설정된 설정 각도로 정렬시켜 배치한 후 수지를 주입하는 동안, 상기 전극들 사이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수치해석 데이터로부터 상기에서 측정한 전기저항값에 따른 상기 전도성 섬유의 기울어진 각도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 각도와 상기 설정 각도를 비교하여, 상기 수지 주입에 따른 상기 전도성 섬유의 정렬 불량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은,
    상기 스마트 몰드의 하부에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하부 전극들과, 상기 스마트 몰드의 상부에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상부 전극들을 포함하는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섬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도성 섬유의 토우 단위 길이당 전기저항값, 상기 토우들간의 이격 거리에 따른 전기저항값을 포함하는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치해석 데이터는,
    상기 전도성 섬유의 적층 수마다 상기 전도성 섬유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른 전기저항값을 포함하는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KR1020170065240A 2017-05-26 2017-05-26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39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240A KR101939335B1 (ko) 2017-05-26 2017-05-26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240A KR101939335B1 (ko) 2017-05-26 2017-05-26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351A true KR20180129351A (ko) 2018-12-05
KR101939335B1 KR101939335B1 (ko) 2019-01-16

Family

ID=64744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240A KR101939335B1 (ko) 2017-05-26 2017-05-26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3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960B1 (ko) * 2020-11-06 2021-10-18 울산과학기술원 브이에이알티엠을 이용한 복합재 제조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130B1 (ko) 1998-02-18 2006-03-22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보강용 탄소섬유기재, 적층체 및 검출방법
JP2006265769A (ja) * 2005-03-24 2006-10-05 Toray Ind Inc 導電性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80173111A1 (en) * 2003-08-06 2008-07-24 Thostenson Erik T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damage in aligned carbon nanotube fiber composites using networks
JP4190292B2 (ja) * 2001-04-06 2008-12-03 カーネギー−メロン ユニバーシティ ナノ構造材料の製造方法
KR20120114396A (ko) * 2010-02-02 2012-10-16 어플라이드 나노스트럭처드 솔루션스, 엘엘씨. 평행하게-정렬된 카본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섬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130B1 (ko) 1998-02-18 2006-03-22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보강용 탄소섬유기재, 적층체 및 검출방법
JP4190292B2 (ja) * 2001-04-06 2008-12-03 カーネギー−メロン ユニバーシティ ナノ構造材料の製造方法
US20080173111A1 (en) * 2003-08-06 2008-07-24 Thostenson Erik T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damage in aligned carbon nanotube fiber composites using networks
JP2006265769A (ja) * 2005-03-24 2006-10-05 Toray Ind Inc 導電性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14396A (ko) * 2010-02-02 2012-10-16 어플라이드 나노스트럭처드 솔루션스, 엘엘씨. 평행하게-정렬된 카본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섬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960B1 (ko) * 2020-11-06 2021-10-18 울산과학기술원 브이에이알티엠을 이용한 복합재 제조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335B1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408B1 (ko)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구조물의 손상 모니터링 방법
CN109041578A (zh) 温度传感器
CN102346242B (zh) 电导率测量系统的校准
Matsuzaki et al. Flow control by progressive forecasting using numerical simulation during vacuum-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
KR101939335B1 (ko) 스마트 몰드를 이용하여 섬유의 정렬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Luan et al. Large-scale deformation and damage detection of 3D printed continuous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matrix composite structures
CN104880144B (zh) 具有显示面板的变形检测功能的电子装置及相应的方法
KR101997779B1 (ko)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의 파손 위치 감지 방법
CN107560768A (zh) 一种基于纤维增强复合材料的曲面压力传感装置
JP2009006497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パネル及びその異常検出方法並びに繊維補強基材
Kunadt et al. Design and properties of a sensor network embedded in thin fiber-reinforced composites
CN108802443B (zh) 探针卡系统、探针载体装置及探针载体装置的制法
CN103137606A (zh) 电阻测试结构及方法
CN102903870A (zh) 电化学装置、方法和组件
CN103180705A (zh) 用于测量力的微机电传感器以及对应的方法
CN101216301B (zh) 不合格焊盘间距检测装置及方法
US9791516B2 (en) Inspection method of fuel battery
CN102879646A (zh) 基板检查装置和基板检查方法
CN108181029A (zh) 碳纳米纸传感器多方向监测纤维增强复合材料应变的方法
Weck et al. Embedded sensor networks for textile‐reinforced thermoplastics: Sensor network design and mechanical composite performance
JP5151269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2190450B1 (ko)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의 홀 가공시 손상 모니터링 방법
CN217522001U (zh) 测试结构、量子芯片
TWI612312B (zh) 探針卡系統、探針載體裝置及探針載體裝置之製法
US20140252686A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bubbles during operations of injecting resin for the manufacture of fibre composite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