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195A - 수문장치 - Google Patents

수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195A
KR20180129195A KR1020170064851A KR20170064851A KR20180129195A KR 20180129195 A KR20180129195 A KR 20180129195A KR 1020170064851 A KR1020170064851 A KR 1020170064851A KR 20170064851 A KR20170064851 A KR 20170064851A KR 20180129195 A KR20180129195 A KR 20180129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ylus
water collecting
door frame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250B1 (ko
Inventor
조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경
Priority to KR1020170064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250B1/ko
Publication of KR20180129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liding Valve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담수하기 위한 벽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담수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벽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배수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된 수문장치에 있어서, 배수구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문체와, 문체의 가장자리가 구속상태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구속홈이 형성되어 문체가 배수구를 개폐하는 방향을 따라 직선슬라이딩하게 가이드하는 문틀과, 문체를 승하강할 수 있도록 된 승하강 조정유니트와, 문체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문체가 배수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집수하고, 문체가 배수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집수된 물을 문틀의 구속홈에 분사하여 문틀의 구속홈 내의 이물질 고착을 방지하는 제1이물질 분리 유니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수문장치에 의하면, 문체의 이동에 연동되어 문틀 내의 이물질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문체의 이물질고착에 의한 이동장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문장치{floodgate apparatus}
본 발명은 횡형식 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문틀의 이물질 고착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된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 도시하수처리장, 정수처리장, 농업용 관개수로 및 기타 하천과 접하는 관개 용수로나 배수구 등에는 수리시설의 일종인 수문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수문은 통상 수직상으로 승하강될수 있게 형성되어 유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수문의 상하방향에 대한 개폐구조는 수문시설의 용량 및 크기에 따라 수동조작 또는 권양기를 이용한 전력구동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문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125835호 등 다양하게 게시되어 있다.
한편, 저수지에는 저수된 물을 농업용으로 사용할 때 배수시킬 수 있도록 벽체에 관통되게 형성된 배수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연장되어 설치된 횡형식 수문이 적용되어 있다.
횡형식 수문은 공개 특허 제10-2016-0126123호에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수문은 배수구를 개방한 이후 배수구를 폐쇄하고자 할 때 문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문틀 내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 문체의 이동시 압박에 의해 문틀에 고착될 수 있고 이러한 이물질의 고착에 의해 문체의 이동저항이 커지거나 이동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으며, 폐쇄가 안되는 경우 저수된 물이 불필요하게 배출되어 낭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문체의 이동에 연동되어 문체이 이송을 가이드하는 부분의 이물질을 분리되게 처리할 수 있는 수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문장치는 물을 담수하기 위한 벽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담수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벽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배수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된 수문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문체와; 상기 문체의 가장자리가 구속상태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구속홈이 형성되어 상기 문체가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방향을 따라 직선슬라이딩하게 가이드하는 문틀과; 상기 문체를 승하강할 수 있도록 된 승하강 조정유니트와; 상기 문체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상기 문체가 상기 배수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집수하고, 상기 문체가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집수된 물을 상기 문틀의 구속홈에 분사하여 상기 문틀의 구속홈내의 이물질 고착을 방지하는 제1이물질 분리 유니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이물질 분리 유니트는 물을 집수할 수 있는 집수공간을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게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문틀 또는 상기 벽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문체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 제1집수통과; 상기 제1집수통이 집수공간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확장시에는 상기 집수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유입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집수통이 집수공간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축소시에는 상기 집수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유입구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집수통의 유입구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와; 상기 제1집수통이 집수공간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집수공간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설치된 제1분출관과; 상기 제1분출관의 종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속홈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제1노즐;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집수통은 상기 문체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된 결합봉에 결합되며 경질소재로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게 주름져 연장된 제1주름통부분과; 상기 제1주름통 부분의 하부에서 상기 주름통부분에 의해 형성된 집수공간을 폐쇄하도록 결합되며 경질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벽체 또는 문틀에 고정되는 제1하판;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집수통에 집수된 물을 상기 문체가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배수구 주변에 분사하여 상기 배수구 주변의 이물질 고착을 방지하는 제2분출관과; 상기 제2분출관의 종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 주변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제2노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분출관은 상기 문체의 저면과 상기 제1상판 사이에 결합된 제1결합봉에 지지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분출관은 상기 문체의 저면과 상기 제1상판 사이에 상기 제1결합봉과 이격되게 결합된 제2결합봉에 지지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문체의 상부에 설치되면 상기 문체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상기 문체가 상기 배수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집수된 물을 상기 문틀의 구속홈에 분사하고, 상기 문체가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물을 집수하여 상기 문틀의 구속홈내의 이물질 고착을 방지하는 제2이물질 분리 유니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이물질 분리 유니트는 물을 집수할 수 있는 집수공간을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게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문틀 또는 상기 벽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문체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 제2집수통과; 상기 제2집수통이 집수공간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확장시에는 상기 집수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유입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집수통이 집수공간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축소시에는 상기 집수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유입구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집수통의 유입구에 설치된 제4체크밸브와; 상기 제2집수통이 집수공간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집수공간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설치된 제3분출관과; 상기 제3분출관의 종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속홈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제3노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문장치에 의하면, 문체의 이동에 연동되어 문틀 내의 이물질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문체의 이물질고착에 의한 이동장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수구에 설치된 요소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문체가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1 및 제2이물질 분리 유니트의 상세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조정박스의 내부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문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수구에 설치된 요소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문체가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1 및 제2이물질 분리 유니트의 상세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문장치(100)는 문체(110), 문틀(120), 승하강 조정유니트(140), 제1 및 제2이물질 분리 유니트(160)(180)를 구비한다.
문체(110)는 물을 담수하기 위한 벽체(10)의 바닥면(20)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담수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벽체(10)를 관통하여 형성된 배수구(30)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문체(110)는 사각판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문체(110)의 형상은 사각 형상 이외에도 배수구(30)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면서 후술되는 문틀(120)에 구속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문체(110)의 상단 중앙에는 문체(11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샤프트(142)가 연결되어 있다.
문틀(120)은 벽체(10)의 저수된 물과 접하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1)을 따라 설치되어 문체(110)가 배수구(30)를 개폐하는 방향을 따라 직선슬라이딩하게 가이드 한다.
문틀(120)은 문체(120)의 양측 가장자리가 구속상태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구속홈(126)이 각각 형성되어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슬라이딩 가이드레일(120a)(120b)로 되어 있다.
제1 및 제2슬라이딩 가이드레일(120a)(120b)은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구속홈(126)이 문체(110)를 향하여 개방되게 배치되어 있다.
문틀(120)은 제1 및 제2슬라이딩 가이드레일(120a)(120b)를 상호 지지되게 연결하는 보조 플레이트(미도시)를 갖는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거름망체(18)는 문틀(120)과 문체(110)를 에워싸게 설치되어 형성된 망크기보다 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
승하강 조정유니트(140)는 문체(110)를 승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승하강 조정유니트(140)는 문체(11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승하강 샤프트(142)의 상단에 형성된 랙기어(146)를 핸들(152)의 조정에 연동되어 조정박스(150) 내에 설치된 요소에 의해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승하강 샤프트(142)는 문체(110)의 상단으로부터 벽체(110)의 경사면(11)을 따라 조정박스(150)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참조부호 144는 승하강 샤프트(142)를 경사면(11)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면서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지지 가이드 브라켓이다.
랙기어(146)는 승하강 샤프트(142)의 상단으로부터 조정박스(150)를 관통하여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조정박스(150) 내에는 롤러(153), 피니언기어(157), 워웜휠(156) 및 워웜(154)이 설치되어 있다.
롤러(153)은 피니언기어(157) 맞은편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랙기어(146)를 지지한다.
워웜휠(154)은 조정박스(150) 내에 랙기어(146)와 치합되어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피니언기어(157)의 제1회전축(158)과 동축상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워웜(154)은 워웜휠(156)과 치합되게 설치되어 있다.
워웜(154)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152a)은 일단이 조정박스(15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타단은 핸들(152)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152)을 회전시키면 워웜(154)이 회전되고, 워웜(154)에 치합되게 설치된 워웜휠(156)이 회전되며, 워웜휠(156)과 동축상으로 설치된 피니언기어(157)가 회전되면서 랙기어(146)가 승강 또는 하강되어 문체(110)가 승하강된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승하강 유니트(140)는 모터와 같은 동력에 의해 랙기어(146)를 승하강 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이물질 분리 유니트(160)는 문체(110)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문체(110)가 배수구(3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집수하고, 문체(110)가 배수구(3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집수된 물을 문틀(120)의 구속홈(126)에 분사하여 문틀(110)의 구속홈(126)내의 이물질 고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이물질 분리 유니트(160)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가이드레일(120a)(120b) 상의 문체(110) 저부에 각각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1이물질 분리 유니트(160)는 제1집수통(161), 제1 내지 제3체크밸브(171 내지 173), 제1 및 제2분출관(165)(166) 및 제1노즐(167)(168)을 구비한다.
제1집수통(161)은 물을 집수할 수 있는 집수공간(161d)을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게 형성되되 일단이 문틀(120)에 고정되고 타단은 문체(110)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게 문체(110)의 저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결합봉(169a)(169b)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다.
제1집수통(161)을 구분하면, 제1 및 제2결합봉(169a)(169b)의 하단과 결합되며 경질소재로 형성된 상판(161b)과, 상판(161b)으로부터 하방으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게 플렉서블한 소재로 주름져 연장된 제1주름통부분(161c) 및 제1주름통부분(161c)의 하부에서 주름통부분(161c)에 의해 형성된 집수공간(161d)을 폐쇄하도록 결합되며 경질소재로 형성되어 문틀(120)에 고정된 제1하판(161a)으로 되어 있다.
제1하판(161a)은 도시된 예와 다르게 벽체(10)에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되어도 된다.
제1상판(161b)에는 후술되는 제 1 내지 제3체크밸브(171 내지 173)이 설치되어 있다.
제1체크밸브(171)는 제1상판(161b) 중앙에 집수공간(161d)과 연통되게 형성된 유입구(162)를 제1집수통(161)이 집수공간(161d)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확장시에는 유입구(162)를 개방시키고, 집수통(161)이 집수공간(161d)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축소시에는 유입구(162)를 폐쇄시키도록 유입구(162)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2체크밸브(172)는 제1상판(161b)의 유입구(162)를 중심으로 구속홈(126)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일측에서 집수공간(161d)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1배출구(164a)를 제1집수통(161)이 집수공간(161d)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축소시에는 제1배출구(164a)를 개방시키고, 집수통(161)이 집수공간(161d)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확장시에는 제1배출구(164a)를 폐쇄시키도록 제1배출구(164a)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3체크밸브(173)는 제1상판(161b)의 유입구(162)를 중심으로 제1배출구(164a) 맞은편에서 배수구(3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타측에서 집수공간(161d)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2배출구(164b)를 제1집수통(161)이 집수공간(161d)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축소시에는 제2배출구(164b)를 개방시키고, 집수통(161)이 집수공간(161d)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확장시에는 제2배출구(164b)를 폐쇄시키도록 제2배출구(164b)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1분출관(165)은 제1집수통(161)이 집수공간(161d)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집수공간(161d)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제1배출구(164a)로부터 연장되어 문체(110)의 저면과 제1상판(161b) 사이에 결합된 제1결합봉(169a)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1노즐(167)은 제1분출관(165)의 종단에 구속홈(126)을 향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제2분출관(166)은 제1집수통(161)이 집수공간(161d)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집수공간(161d)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제2배출구(164b)로부터 연장되어 문체(110)의 저면과 제1상판(161b) 사이에 제1결합봉(169a)과 이격되게 결합된 제2결합봉(169b)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2노즐(168)은 제2분출관(166)의 종단에 배수구(30) 주변을 향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2배출관(166) 및 제2노즐(168)은 제1집수통(161)에 집수된 물을 문체(110)가 배수구(3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배수구(30) 주변에 분사하여 배수구(30) 주변의 이물질 고착을 방지한다.
제2이물질 분리유니트(180)는 문체(110)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문체(110)가 배수구(3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집수된 물을 문틀(120)의 구속홈(126)에 분사하고, 문체(110)가 배수구(3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물을 집수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이물질 분리 유니트(180)는 제2집수통(181), 제4 내지 제5체크밸브(191 내지 192), 제3분출(185) 및 제3노즐(187)을 구비한다.
제2집수통(181)은 제2상판(181b)이 문체(110)의 상면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고, 제1집수통과 동일하게 제2주름관부분(181c) 및 제2하판(181a)로 되어 있다.
제2하판(181a)은 문틀(12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2상판(181b) 중앙에 형성된 유입구(182)에는 제3체크밸브(191)가 설치되어 있고, 유입구(182)를 중심으로 구속홈(126)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위치에 집수공간(181d)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4배출구(184a)를 제2집수통(181)이 집수공간(181d)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축소시에는 제4배출구(184a)를 개방시키고, 제2집수통(181)이 집수공간(181d)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확장시에는 제4배출구(184a)를 폐쇄시키도록 제4배출구(164a)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3분출관(185)은 제2집수통(181)이 집수공간(181d)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집수공간(181d)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제4배출구(184a)로부터 연장되어 문체(110)의 상면과 제2상판(181b) 사이에 결합된 제3결합봉(199a)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3노즐(187)은 제3분출관(185)의 종단에 구속홈(126)을 향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199b는 문체(110)의 상면과 제2상판(181b) 사이에 제3결합봉(199ㅁa)와 이격되게 결합된 제4결합봉이다.
여기서, 문체(110)가 배수구(30)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1집수통(161)은 주름져 축소되어 있고, 제2집수통(181)은 주름이 펴져 확장된 상태가 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횡형식 수문장치(100)는 배수구(30)를 개방시 문체(11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제3분출관(185)을 통해 문체(110)의 상승 이동경로에 대응되는 구속홈(126)에 물을 분출하여 이물질의 고착을 억제하고, 배수구(30)를 폐쇄시 문체(11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제1분출관(165)을 통해 문체(110)의 상승 이동경로에 대응되는 구속홈(126)에 물을 분출하여 이물질의 고착을 억제하고, 제2분출관(166)을 통해 배수구(30) 주변에 물을 분출하여 배수구(30)의 주변의 이물질의 고착을 억제함으로서 문체(110)의 반복 승하강에 따른 이동 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110: 문체 120: 문틀
140: 승하강 조정유니트
160, 180: 제1 및 제2이물질 분리 유니트

Claims (5)

  1. 물을 담수하기 위한 벽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담수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벽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배수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된 수문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문체와;
    상기 문체의 가장자리가 구속상태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구속홈이 형성되어 상기 문체가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방향을 따라 직선슬라이딩하게 가이드하는 문틀과;
    상기 문체를 승하강할 수 있도록 된 승하강 조정유니트와;
    상기 문체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상기 문체가 상기 배수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집수하고, 상기 문체가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집수된 물을 상기 문틀의 구속홈에 분사하여 상기 문틀의 구속홈내의 이물질 고착을 방지하는 제1이물질 분리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물질 분리 유니트는
    물을 집수할 수 있는 집수공간을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게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문틀 또는 상기 벽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문체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 제1집수통과;
    상기 제1집수통이 집수공간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확장시에는 상기 집수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유입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집수통이 집수공간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축소시에는 상기 집수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유입구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집수통의 유입구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와;
    상기 제1집수통이 집수공간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집수공간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설치된 제1분출관과;
    상기 제1분출관의 종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속홈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제1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수통은
    상기 문체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된 결합봉에 결합되며 경질소재로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게 주름져 연장된 제1주름통부분과;
    상기 제1주름통 부분의 하부에서 상기 주름통부분에 의해 형성된 집수공간을 폐쇄하도록 결합되며 경질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벽체 또는 문틀에 고정되는 제1하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수통에 집수된 물을 상기 문체가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배수구 주변에 분사하여 상기 배수구 주변의 이물질 고착을 방지하는 제2분출관과;
    상기 제2분출관의 종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 주변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제2노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분출관은 상기 문체의 저면과 상기 제1상판 사이에 결합된 제1결합봉에 지지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분출관은 상기 문체의 저면과 상기 제1상판 사이에 상기 제1결합봉과 이격되게 결합된 제2결합봉에 지지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체의 상부에 설치되면 상기 문체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상기 문체가 상기 배수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집수된 물을 상기 문틀의 구속홈에 분사하고, 상기 문체가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물을 집수하여 상기 문틀의 구속홈내의 이물질 고착을 방지하는 제2이물질 분리 유니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이물질 분리 유니트는
    물을 집수할 수 있는 집수공간을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게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문틀 또는 상기 벽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문체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 제2집수통과;
    상기 제2집수통이 집수공간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확장시에는 상기 집수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유입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집수통이 집수공간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축소시에는 상기 집수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유입구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집수통의 유입구에 설치된 제4체크밸브와;
    상기 제2집수통이 집수공간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집수공간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설치된 제3분출관과;
    상기 제3분출관의 종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속홈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제3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장치.

KR1020170064851A 2017-05-25 2017-05-25 수문장치 KR102034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851A KR102034250B1 (ko) 2017-05-25 2017-05-25 수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851A KR102034250B1 (ko) 2017-05-25 2017-05-25 수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195A true KR20180129195A (ko) 2018-12-05
KR102034250B1 KR102034250B1 (ko) 2019-11-08

Family

ID=6474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851A KR102034250B1 (ko) 2017-05-25 2017-05-25 수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2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5596A (zh) * 2019-09-25 2019-12-13 海南省水利水电勘测设计研究院 一种通过蜗轮传动的钢闸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919B1 (ko) * 2005-12-29 2007-02-05 이완영 자동 배수장치
KR100998023B1 (ko) * 2008-03-14 2010-12-03 박재찬 수문의 슬러지 처리장치
JP3199756U (ja) * 2015-06-22 2015-09-10 株式会社新興工業 斜方昇降鉛直操作型取水ゲ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9756B2 (ja) * 1997-03-27 2001-08-20 ケンナメタ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調整可能なストッ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919B1 (ko) * 2005-12-29 2007-02-05 이완영 자동 배수장치
KR100998023B1 (ko) * 2008-03-14 2010-12-03 박재찬 수문의 슬러지 처리장치
JP3199756U (ja) * 2015-06-22 2015-09-10 株式会社新興工業 斜方昇降鉛直操作型取水ゲ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5596A (zh) * 2019-09-25 2019-12-13 海南省水利水电勘测设计研究院 一种通过蜗轮传动的钢闸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250B1 (ko)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933B1 (ko) 유출빗물 연속샘플러
DE102013205084B3 (de) Schienenfahrzeug mit einer Aufbereitungsvorrichtung für Grauwasser
US9834899B2 (en) Arrangement on flowing bodies of water
CN207878405U (zh) 一种具有打捞功能的水闸
EP3488057B1 (de) Wasserversorgungseinrichtung für ein schienenfahrzeug
KR20180129195A (ko) 수문장치
EP0332090B1 (de) Vorrichtung zur Absaugung und Abführung einer Schadstoffe enthaltenden Flüssigkeit, insbesondere von Schmutzwasser
RU26154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тбора плавучей жидкости
CN105329571B (zh) 一种污水蓄水池的液位调节装置
CN214271944U (zh) 一种水利工程施工用排水装置
KR101161856B1 (ko) 이중수문
EP3751067B1 (de) Rohrsedimentationsanlage
EP1985779B1 (de) Vorrichtung zur Reinigung der Oberfläche von Wasserkörpern
KR102263671B1 (ko) 무동력 자동수문
EP3228373B1 (de) Einrichtung zum auffangen von aus einem technischen betriebsmittel oder einer gerätschaft auslaufender leichtflüssigkeit
CN206315561U (zh) 一种灌溉抽水用泥沙过滤装置
RU2554390C1 (ru) Система дифференцированн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уровня грунтовых вод
EP1580338A2 (de) Ablaufarmatur für einen Spülkasten
DE639760C (de) Abtrittspuelkasten mit Ventilverschluss
KR101954249B1 (ko) 다중구조 하천수 유입방지장치
EP0565483B1 (de) Becken in einer Abwasseranlage
AT515291B1 (de) Hebeeinrichtung
CN214781155U (zh) 一种海绵式可渗透反应墙系统
KR102378660B1 (ko) 폭우 대비 도로 배수시설용 빗물 처리 장치
DE102010005778A1 (de) Vorrichtung zum selbsttätigen Verschließen eines Zulaufes eines Behälters zur Aufnahme einer Flüssigkeit und Abscheidevor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