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241A - 하천의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 - Google Patents

하천의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8241A
KR20180128241A KR1020170063553A KR20170063553A KR20180128241A KR 20180128241 A KR20180128241 A KR 20180128241A KR 1020170063553 A KR1020170063553 A KR 1020170063553A KR 20170063553 A KR20170063553 A KR 20170063553A KR 20180128241 A KR20180128241 A KR 20180128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ration
water quality
filtration inlet
quality impr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8627B1 (ko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다주건설 (주)
김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주건설 (주), 김성현 filed Critical 다주건설 (주)
Priority to KR1020170063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62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8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10)의 상류의 물을 취수하고 여과하여 상기 보(10)의 하류로 유출함에 따라, 상기 보(10)의 하류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관 구조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보(10)의 상류의 하천 바닥에 매설되어 침투수가 여과되어 유입되도록 형성된 여과유입부(110); 상기 여과유입부(110)의 여과수가 상기 보(10)를 월류하도록, 상기 여과유입부(110)의 일단에 형성된 월류부(120); 상기 여과수를 상기 보(10)의 하류로 유출하도록, 상기 월류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유출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장치(100)를 제시함으로써, 전기와 같은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지 않고, 시공이 간편하여 공사기간 및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하천의 유량이 증대함에 따라 여과성능도 증대하고, 유지관리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수두차가 작은 경우에도 정화성능의 발휘가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하천의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WATER PURIFYING APPARATUS FOR RIVER AND WATER PURIFY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환경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하천의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4대강 사업으로 인하여 하천마다 보를 설치함에 따라 수질 악화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종 정화장치에 관한 고안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들은 공통적으로 전기와 같은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다는 점, 시공이 복잡하여 공사기간 및 비용이 크게 소요된다는 점, 하천의 유량의 증감에 따른 고려가 없다는 점, 정화장치의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점, 수두차가 작은 경우 성능의 발휘가 어렵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전기와 같은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지 않고, 시공이 간편하여 공사기간 및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하천의 유량이 증대함에 따라 여과성능도 증대하고, 유지관리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수두차가 작은 경우에도 정화성능의 발휘가 가능하도록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보(10)의 상류의 물을 취수하고 여과하여 상기 보(10)의 하류로 유출함에 따라, 상기 보(10)의 하류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관 구조의 장치로서, 상기 보(10)의 상류의 하천 바닥에 매설되어 침투수가 여과되어 유입되도록 형성된 여과유입부(110); 상기 여과유입부(110)의 여과수가 상기 보(10)를 월류하도록, 상기 여과유입부(110)의 일단에 형성된 월류부(120); 상기 여과수를 상기 보(10)의 하류로 유출하도록, 상기 월류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유출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장치(100)를 제시한다.
상기 여과유입부(110)는 여과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월류부(120)는, 상기 보(10)의 상단을 향하도록, 상기 여과유입부(110)의 일단에 상향절곡구조로 형성된 상향절곡부(121); 상기 보(10)의 상단을 통과하도록, 상기 상향절곡부(121)의 일단에 형성된 통과부(122); 상기 보(10)의 하류를 향한 하향절곡구조로 형성된 하향절곡부(12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과부(122)에는 공기배출공(124)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배출공(124)에는 공기배출용 일방향밸브(125)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배출공(124)에는 공기배출관(126)이 설치되되, 상기 공기배출관(126)의 배출구가 하천의 수면위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출부(130)는, 하향 경사를 갖도록 상기 월류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하향경사부(131); 트임부가 하천의 수면위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향 경사를 갖도록 상기 하향경사부(131)의 일단에 형성된 상향경사부(13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출부(130)는, 트임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개폐용 밸브(13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유입부(110)를 역세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유입부(110)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역세관(140); 상기 역세관(140)에 대하여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도록, 일단이 상기 역세관(140)에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여과유입부(110) 또는 상기 월류부(120)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역세용 공급관(141);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세관(140)은 유공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질개선장치(100)를 이용한 수질개선구조물로서, 상기 보(10); 상기 보(10)의 상류의 하천 바닥에 매설되어 침투수가 여과되어 유입되도록 형성된 여과유입부(110)와, 상기 여과유입부(110)의 여과수가 상기 보(10)를 월류하도록 상기 여과유입부(110)의 일단에 형성된 월류부(120)와, 상기 여과수를 상기 보(10)의 하류로 유출하도록 상기 월류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유출부(130)를 구비한 관 구조의 상기 수질개선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보(10)의 상단에는 홈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질개선장치(100)의 월류부(120)의 통과부(122)는 상기 홈부(11)를 통과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질개선장치(100)를 이용한 수질개선구조물로서, 상기 보(10); 상기 보(10)의 상류의 하천 바닥에 매설되어 침투수가 여과되어 유입되도록 형성된 여과유입부(110)와, 상기 여과유입부(110)의 여과수가 상기 보(10)를 월류하도록 상기 여과유입부(110)의 일단에 형성된 월류부(120)와, 상기 여과수를 상기 보(10)의 하류로 유출하도록 상기 월류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유출부(130)와, 상기 여과유입부(110)를 역세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유입부(110)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역세관(140)과, 상기 역세관(140)에 대하여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도록, 일단이 상기 역세관(140)에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여과유입부(110) 또는 상기 월류부(120)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역세용 공급관(141)을 구비한 관 구조의 상기 수질개선장치(100); 상기 역세용 공급관(141)에 대하여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보(10)에 인접한 육상에 설치된 역세용 공급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전기와 같은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지 않고, 시공이 간편하여 공사기간 및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하천의 유량이 증대함에 따라 여과성능도 증대하고, 유지관리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수두차가 작은 경우에도 정화성능의 발휘가 가능하도록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수질개선구조물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수질개선장치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수질개선구조물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수질개선구조물의 제2 실시예의 정면도.
도 5는 수질개선구조물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수질개선구조물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수질개선장치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보(10)의 상류의 물을 취수하고 여과하여 보(10)의 하류로 유출함에 따라, 상기 보(10)의 하류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관 구조의 수질개선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는, 보(10)의 상류의 하천 바닥에 매설되어 침투수가 여과되어 유입되도록 형성된 여과유입부(110); 여과유입부(110)의 여과수가 보(10)를 월류하도록, 여과유입부(110)의 일단에 형성된 월류부(120); 여과수를 보(10)의 하류로 유출하도록, 월류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유출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수질개선장치(100)을 이용한 수질개선구조물은 기본적으로, 보(10); 보(10)의 상류의 하천 바닥에 매설되어 침투수가 여과되어 유입되도록 형성된 여과유입부(110)와, 여과유입부(110)의 여과수가 보(10)를 월류하도록 여과유입부(110)의 일단에 형성된 월류부(120)와, 여과수를 보(10)의 하류로 유출하도록 월류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유출부(130)를 구비한 관 구조의 수질개선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관 구조의 수질개선장치(100)가 보(10)를 타고 넘는 구조로 설치하되, 수질개선장치(100)의 여과유입부(110)를 보(10)의 상류의 하천 바닥에 매설하여 침투수가 여과되어 유입되도록 하고, 여과수가 수질개선장치(100)의 월류부(120)에 의해 보(10)를 타고 넘도록 하며, 여과수가 수질개선장치(100)의 유출부(130)를 통해 보(10)의 하류로 유출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질개선장치(100)의 원리를 수학식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Q : 총유량
Q1 : 자연적으로 보(10)를 타고 넘는 월류수
Q2 : 수질개선장치(100)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
Figure pat00002
A : 관 구조의 수질개선장치(100)의 단면적
V : 수질개선장치(100)를 통과하는 여과수의 유속
Figure pat00003
h : 수질개선장치(100)의 월류부(120)의 상단과 유출부(130)의 트임부의 수두차
즉, 수질개선장치(100)의 월류부(120)의 상단과 유출부(130)의 트임부의 수두차(h)로 인하여 수질개선장치(100) 내부에는 수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별도의 동력이 없더라도 수질개선장치(100)를 통해 여과수가 보(10)의 하류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보(10)의 하류에는, 자연적으로 보(10)를 타고 넘는 월류수(Q1)와, 수질개선장치(100)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Q2)가 혼합되어 공급되고, 이로 인해 깨끗한 여과수(Q2)가 오염된 월류수(Q1)를 희석함에 따라 보(10)의 하류의 수질이 개선된다.
본 발명은 위 기본적 효과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추가효과를 얻도록 한다.
첫째, 여과를 위하여 전기와 같은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지 않다.
둘째, 단지 수질개선장치(100)를 보(10)에 설치하기만 하면 되고, 복잡한 콘크리트 시공 등이 전혀 필요없으므로, 시공성이 우수하다.
셋째, 보의 상류의 유량이 증가하는 경우, 상술한 유속(V)이 증대함에 따라 여과수의 유량도 증가하게 되므로, 유량의 증가에 따른 여과성능의 증대가 가능하다.
넷째, 고장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구조이므로, 유지관리 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다섯째, 수두차가 큰 경우는 물론, 수두차가 작은 경우라도 여과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10)의 상류의 하천 바닥에 매설되어 침투수가 여과되어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여과유입부(110)로는, 종래의 우물, 하천수 여과 등에 사용되는 여과스크린 등을 적용하면 된다.
여과유입부(110)의 여과수가 보(10)를 월류하도록 여과유입부(1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월류부(120)는, 보(10)의 상단을 향하도록, 여과유입부(110)의 일단에 상향절곡구조로 형성된 상향절곡부(121); 보(10)의 상단을 통과하도록, 상향절곡부(121)의 일단에 형성된 통과부(122); 보(10)의 하류를 향한 하향절곡구조로 형성된 하향절곡부(123);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구조의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수질개선장치(100) 전체가 폐쇄구조를 취하는 경우, 수질개선장치(10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월류부(120)의 통과부(122)에 공기가 고임에 따라, 여과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통과부(122)에 공기배출공(12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배출공(124)이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 이를 통해 외부의 공기나 물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공기배출공(124)에는 공기배출용 일방향밸브(12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갈수기에 보(10)의 상류의 유량이 감소함에 따라 보(10)를 월류하는 유량이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위 구조를 취하는 경우 수질개선장치(100) 내부가 항상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갈수기로 인하여 월류 유량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사이폰 현상에 의해 여과수의 하류 공급을 지속할 수 있다.
공기배출공(124)을 통한 공기배출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기배출공(124)에 별도의 공기배출관(126)을 설치하고, 그 공기배출관(126)의 배출구가 하천의 수면위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7).
평상시 보의 상단이 물에 잠기는 구조인 경우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평상시 보의 상단이 수면위로 노출되는 구조인 경우에는 수질개선장치(100)의 여과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보(10)의 상단에 홈부(11)가 형성되고, 수질개선장치(100)의 월류부(120)의 통과부(122)가 홈부(11)를 통과하도록 설치된 구조를 취함으로써, 평상시 수질개선장치(100)가 전체적으로 물에 잠기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여과수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수질개선장치(100)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하여, 수질개선장치(100)가 설치된 홈부(11)의 빈 공간은 몰탈 등에 의해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출부(130)는 여과수를 보(10)의 하류로 유출하도록 월류부(120)의 일단에 형성되는데, 유출부(130)를 통해 유출되는 물이 보(10)의 하류 수면위의 공기와 접촉하도록 하는 경우, 여과수의 용존산소량이 증대된다는 부수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유출부(130)는, 하향 경사를 갖도록 월류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하향경사부(131); 트임부가 하천의 수면위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향 경사를 갖도록 하향경사부(131)의 일단에 형성된 상향경사부(132);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내지 7).
유출부(130)의 트임부를 개폐하도록 개폐용 밸브(133)를 설치하는 경우, 수질개선장치(100)의 최초 통수 시, 개폐용 밸브(133)를 폐쇄한 상태에서 수질개선장치(100) 내부가 여과수에 의해 완전히 충전되도록 하고(여과수 유입 시 관 내부의 공기는 공기배출공(124)을 통해 배출됨), 이후 비로소 개폐용 밸브(133)를 개방하여 여과수의 통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수질개선장치(100) 내부가 여과수에 의해 완전히 충전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통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여과수의 유량을 증대할 수 있다는 점, 상술한 갈수기의 경우라 하더라도 사이폰 현상에 의한 지속적인 여과수의 하류 공급이 가능하다는 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장시간 사용 시 여과유입부(110)의 폐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적은 비용에 의한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역세구조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여과유입부(110)를 역세하기 위하여 여과유입부(110)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역세관(140); 역세관(140)에 대하여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도록, 일단이 역세관(140)에 결합하고, 타단이 여과유입부(110) 또는 월류부(120)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역세용 공급관(141);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세관(140)으로는 유공관 구조 등을 적용하면 된다.
보(10)에 인접한 육상(고수부지 등)에 컴프레서 등의 역세용 공급장치(200)를 설치해 두고, 위 역세용 공급관(141)을 역세용 공급장치(200)를 연결해 두는 경우, 역세가 필요할 때면 언제든지 역세용 공급장치(200)의 구동에 의해 역세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간편한 유지관리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하천의 규모가 큰 경우, 하천의 폭방향을 따라 열지어 복수의 수질개선장치(1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의 수질개선장치(100)의 역세용 공급관(141)을 하나의 역세용 공급장치(200)를 설치하고, 그 하나의 역세용 공급장치(200)에 의해 각각의 수질개선장치(100)를 역세하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하여 바람직하다(도 3,4).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보 11 : 홈부
100 : 수질개선장치 110 : 여과유입부
120 : 월류부 121 : 상향절곡부
122 : 통과부 123 : 하향절곡부
124 : 공기배출공 125 : 공기배출용 일방향밸브
126 : 공기배출관 130 : 유출부
131 : 하향경사부 132 : 상향경사부
133 : 개폐용 밸브 140 : 역세관
141 : 역세용 공급관 200 : 역세용 공급장치

Claims (13)

  1. 보(10)의 상류의 물을 취수하고 여과하여 상기 보(10)의 하류로 유출함에 따라, 상기 보(10)의 하류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관 구조의 장치로서,
    상기 보(10)의 상류의 하천 바닥에 매설되어 침투수가 여과되어 유입되도록 형성된 여과유입부(110);
    상기 여과유입부(110)의 여과수가 상기 보(10)를 월류하도록, 상기 여과유입부(110)의 일단에 형성된 월류부(120);
    상기 여과수를 상기 보(10)의 하류로 유출하도록, 상기 월류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유출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유입부(110)는 여과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장치(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부(120)는,
    상기 보(10)의 상단을 향하도록, 상기 여과유입부(110)의 일단에 상향절곡구조로 형성된 상향절곡부(121);
    상기 보(10)의 상단을 통과하도록, 상기 상향절곡부(121)의 일단에 형성된 통과부(122);
    상기 보(10)의 하류를 향한 하향절곡구조로 형성된 하향절곡부(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장치(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부(122)에는 공기배출공(1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장치(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공(124)에는 공기배출용 일방향밸브(1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장치(100).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공(124)에는 공기배출관(126)이 설치되되, 상기 공기배출관(126)의 배출구가 하천의 수면위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장치(10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130)는,
    하향 경사를 갖도록 상기 월류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하향경사부(131);
    트임부가 하천의 수면위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향 경사를 갖도록 상기 하향경사부(131)의 일단에 형성된 상향경사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장치(10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130)는,
    트임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개폐용 밸브(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장치(10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유입부(110)를 역세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유입부(110)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역세관(140);
    상기 역세관(140)에 대하여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도록, 일단이 상기 역세관(140)에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여과유입부(110) 또는 상기 월류부(120)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역세용 공급관(14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장치(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관(140)은 유공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장치(100).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질개선장치(100)를 이용한 수질개선구조물로서,
    상기 보(10);
    상기 보(10)의 상류의 하천 바닥에 매설되어 침투수가 여과되어 유입되도록 형성된 여과유입부(110)와, 상기 여과유입부(110)의 여과수가 상기 보(10)를 월류하도록 상기 여과유입부(110)의 일단에 형성된 월류부(120)와, 상기 여과수를 상기 보(10)의 하류로 유출하도록 상기 월류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유출부(130)를 구비한 관 구조의 상기 수질개선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10)의 상단에는 홈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질개선장치(100)의 월류부(120)의 통과부(122)는 상기 홈부(11)를 통과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
  13. 제9항 또는 제10항의 수질개선장치(100)를 이용한 수질개선구조물로서,
    상기 보(10);
    상기 보(10)의 상류의 하천 바닥에 매설되어 침투수가 여과되어 유입되도록 형성된 여과유입부(110)와, 상기 여과유입부(110)의 여과수가 상기 보(10)를 월류하도록 상기 여과유입부(110)의 일단에 형성된 월류부(120)와, 상기 여과수를 상기 보(10)의 하류로 유출하도록 상기 월류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유출부(130)와, 상기 여과유입부(110)를 역세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유입부(110)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역세관(140)과, 상기 역세관(140)에 대하여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도록, 일단이 상기 역세관(140)에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여과유입부(110) 또는 상기 월류부(120)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역세용 공급관(141)을 구비한 관 구조의 상기 수질개선장치(100);
    상기 역세용 공급관(141)에 대하여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보(10)에 인접한 육상에 설치된 역세용 공급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
KR1020170063553A 2017-05-23 2017-05-23 하천의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 KR102068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553A KR102068627B1 (ko) 2017-05-23 2017-05-23 하천의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553A KR102068627B1 (ko) 2017-05-23 2017-05-23 하천의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241A true KR20180128241A (ko) 2018-12-03
KR102068627B1 KR102068627B1 (ko) 2020-01-21

Family

ID=64743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553A KR102068627B1 (ko) 2017-05-23 2017-05-23 하천의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6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433A (ko) * 1998-11-09 1999-02-25 김세중 사이펀을 활용한 댐준설과 분수시설
JPH11323889A (ja) * 1998-05-14 1999-11-26 Kaisei Kogyo Kk 取水装置
JP2007144343A (ja) * 2005-11-29 2007-06-14 Mitsuru Takasaki 河川の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20150001135A (ko) * 2013-06-26 2015-01-06 다주건설 (주) 여재팩을 구비한 여과용 유공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3889A (ja) * 1998-05-14 1999-11-26 Kaisei Kogyo Kk 取水装置
KR19990014433A (ko) * 1998-11-09 1999-02-25 김세중 사이펀을 활용한 댐준설과 분수시설
JP2007144343A (ja) * 2005-11-29 2007-06-14 Mitsuru Takasaki 河川の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20150001135A (ko) * 2013-06-26 2015-01-06 다주건설 (주) 여재팩을 구비한 여과용 유공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627B1 (ko)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7890B2 (en) Separator and separation method
WO2022062367A1 (zh) 分质分区cso调蓄净化系统及净化方法
JP4681641B2 (ja) 分離装置
CN109881557A (zh) 一种排水系统及其排水方法
KR100681933B1 (ko) 저류지에서의 수질 정화 증대 장치
EP1951964B1 (en) Swirl chamber with movable non-return valve and air injector for prevention of sedimentation in storm water and waste water drains
JP2001003402A (ja) 堰堤を利用した取水方式
KR20180128241A (ko) 하천의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
KR100763119B1 (ko) 우수처리시스템
JP2006322148A (ja) 雨水の地下貯留浸透施設
KR20180135293A (ko) 보 우회 구조의 하천의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
KR100986644B1 (ko) 빗물 처리시스템
JPH0874232A (ja) 表流水の背面取水装置
JP5033406B2 (ja) 雨水流出抑制施設
CN107724517A (zh) 一种城市道路暴雨径流泥沙过滤装置
KR100625746B1 (ko)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KR100499612B1 (ko) 스크린 수로를 이용한 고형물 분리와 여과수 확보방법 및장치
CN220644532U (zh) 一种雨水调蓄渗透装置
US10407317B2 (en) Floating filter media filtration system with backwash
CN109629410A (zh) 一种用于高架桥的虹吸式雨排水系统
KR20080018195A (ko) 이중 분리를 이용하여 필터 암거수로 내의 역류 중에 기체및 액체를 분배하는 장치 및 방법
CN214115140U (zh) 一种分质分区cso调蓄净化系统
JP7407450B2 (ja) 取水装置
KR100795399B1 (ko) 개량된 하수도의 우수 토실
KR200300517Y1 (ko) 월류수용 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