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776A -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776A
KR20180126776A KR1020170061591A KR20170061591A KR20180126776A KR 20180126776 A KR20180126776 A KR 20180126776A KR 1020170061591 A KR1020170061591 A KR 1020170061591A KR 20170061591 A KR20170061591 A KR 20170061591A KR 20180126776 A KR20180126776 A KR 20180126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tered magnet
iron
boron
magnet alloy
neodym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영
이현숙
정회봉
김수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1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6776A/ko
Publication of KR20180126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0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0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053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H01F1/055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and magnetic transition metals, e.g. SmCo5
    • H01F1/05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and magnetic transition metals, e.g. SmCo5 and IIIa elements, e.g. Nd2Fe14B
    • H01F1/0571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and magnetic transition metals, e.g. SmCo5 and IIIa elements, e.g. Nd2Fe14B in the form of particles, e.g. rapid quenched powders or ribbon flakes
    • H01F1/0575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and magnetic transition metals, e.g. SmCo5 and IIIa elements, e.g. Nd2Fe14B in the form of particles, e.g. rapid quenched powders or ribbon flakes pressed, sintered or bonded together
    • H01F1/057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and magnetic transition metals, e.g. SmCo5 and IIIa elements, e.g. Nd2Fe14B in the form of particles, e.g. rapid quenched powders or ribbon flakes pressed, sintered or bonded together sint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13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made from strip(s) or ribb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d2Fe14B 주상; 및 상기 주상 주위를 둘러싸는 Nd-리치상을 포함하고, 상기 Nd-리치상은 하기 ⅰ) 또는 ⅱ)를 추가로 포함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ⅰ) TM 원소 또는 TM-X 화합물(TM= 천이금속, X=C, N 또는 F); 또는
ⅱ) Y 원소 또는 Nd-Y 화합물(Y= F, Cl, Br, I, S, Se, Te 또는 N).

Description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 및 이의 제조방법{Nd-Fe-B SINTERED MAGNET ALLOY STRI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최종 제조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의 보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정 원소 또는 화합물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984년 등장한 Nd-Fe-B 소결자석은 기존의 알리코 및 페라이트계 자석에 비해 최대자기에너지적이 약 10 배 정도 높은 40~45 MGOe 급의 가장 우수한 자기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가정, 산업, 군사목적의 소형, 고성능, 경량화를 위해 필수적인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저탄소/녹색성장이라는 새로운 산업 발전 모델의 대두로 풍력발전소 등 모터, 엑츄에이터, 발전기 등에 사용되어 에너지 변환(전기기계에너지)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영구자석이 핵심소재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등 응용시장 확대에 따라 영구자석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2000년대 하이브리드/전기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모터가 대부분 Nd-Fe-B 자석을 채용하게 되면서 Nd-Fe-B 자석 수요의 매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2025년에는 약 30조 시장이 예상되고 있고, 자동차의 지속적인 효율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기술적으로도 기존 Nd-Fe-B 자석보다 2 - 3단계 업그레이드된 성능 개발이 필수적이다.
하이브리드/전기자동차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구동 모터에 적용되는 Nd-Fe-B 소결자석의 연구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모터의 작동 온도 범위인 200~220℃에서 보자력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단점이 있어 자동차 모터의 적용이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향후 Nd-Fe-B계 영구자석의 수요량이 매년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나, 국내 자석산업은 대부분 알리코 자석 또는 페라이트 자석 위주로 생산되고 있으며, Nd-Fe-B 자석의 경우 소결자석은 대부분 일본과 중국에서 완제품을 수입하거나 반제품을 가공 및 표면처리하여 국내에 공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Nd-Fe-B 자석 산업 동향이 전무한 이유는 희토류 자석의 물질특허 문제, 국내 희토류 자석 생산기술 부족 및 희토류 소재 보유국의 자원 무기화 정책 때문이다. 그러나 향후 Nd-Fe-B 자석의 물질특허만료 시점이 도래함과 동시에 국내 일부 기업의 희토류 광산 개발 참여 및 미국, 호주 등 해외 국가의 희토류 광산 개발이 본격화되는 것에 기인하여 희토류 소재 확보도 용이해 질것으로 보여지며, 이에 국내에서도 Nd-Fe-B 자석의 연구개발 및 생산기술 확보가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Nd2Fe14B 주상; 및 상기 주상 주위를 둘러싸는 Nd-리치상을 포함하고, 상기 Nd-리치상은 하기 ⅰ) 또는 ⅱ)를 추가로 포함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 등을 제공한다:
ⅰ) TM 원소 또는 TM-X 화합물(TM= 천이금속, X=C, N 또는 F); 또는
ⅱ) Y 원소 또는 Nd-Y 화합물(Y= F, Cl, Br, I, S, Se, Te 또는 N).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Nd2Fe14B 주상; 및 상기 주상 주위를 둘러싸는 Nd-리치상을 포함하고, 상기 Nd-리치상은 하기 ⅰ) 또는 ⅱ)를 추가로 포함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을 제공한다:
ⅰ) TM 원소 또는 TM-X 화합물(TM= 천이금속, X=C, N 또는 F); 또는
ⅱ) Y 원소 또는 Nd-Y 화합물(Y= F, Cl, Br, I, S, Se, Te 또는 N).
상기 ⅰ) 또는 ⅱ)는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 내지 3㎛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네모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은 스트립-캐스팅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a) Nd 원소, Fe 원소 및 B 원소에, 하기 ⅰ) 또는 ⅱ)를 추가한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준비된 원료를 용탕시킨 후, 냉각롤을 포함하는 스트립-캐스팅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ⅰ) TM 원소 또는 TM-X 화합물(TM= 천이금속, X=C, N 또는 F); 또는
ⅱ) Y 원소 또는 Nd-Y 화합물(Y= F, Cl, Br, I, S, Se, Te 또는 N).
상기 ⅰ) 또는 ⅱ)는 Nd 원소, Fe 원소 및 B 원소 총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용탕시킨 원료가 냉각롤에 적용되는 시작 온도는 1300℃ 내지 1500℃이고, 종료 온도는 600℃ 내지 800℃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냉각롤에 적용한 후, 600℃ 내지 800℃의 온도를 30초 내지 10 분 동안 유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롤의 회전속도는 1m/s 내지 10m/s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의 두께는 0.1mm 내지 1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은 특정 원소 또는 화합물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원소 또는 화합물은 Nd2Fe14B 주상이나 불순물로 작용하는 α-Fe상과 반응하지 않고, 스트립-캐스팅 공정시 Nd-리치상의 유동 속도를 저하시키면서 Nd-리치상에 고르게 분포됨으로써, Nd2Fe14B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 성장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최종 제조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의 보자력(Hc)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자력이 향상된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은 전기자동차 모터 구동 부품뿐만 아니라, 자기저장소재 등 미래 첨단 정보 통신 및 구동 부품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에서 Nd2Fe14B 결정립의 크기에 따른 보자력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원소 또는 화합물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을 나타낸 그림이다.
Nd-Fe-B 소결자석은 가장 높은 자기에너지를 갖는 자석이지만 보자력 온도계수가 높기 때문에 모터의 구동 온도 부근에서 쉽게 열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모터의 작동 온도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온에서의 보자력을 향상 시키거나, 온도가 상승함에 따른 보자력의 감소율을 낮춰야 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이방성계수가 큰 Dy, Tb와 같은 중희토류 원소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나, 중희토류 원소는 매장량이 적고 가격 또한 매우 비싸기 때문에 그 사용량을 저감하는 연구와 함께 보자력 향상을 위한 기술적인 해결방안 제시가 필수적이고 이에 따라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2000년대가 시작되면서 Nd-Fe-B 자석 분야에서 이와 같이 중희토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보자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고, 대표적인 개발기술로는 Nd-Fe-B 자석의 결정립 미세화 기술과 결정립계 중희토류 확산기술로 분류된다.
본 발명자들은 결정립 미세화 기술을 이용하여 Nd-Fe-B 소결자석 합금의 보자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던 중, Nd 원소, Fe 원소 및 B 원소에 특정 원소 또는 화합물을 추가한 원료를 대상으로 스트립-캐스팅 공정을 수행한 경우, Nd2Fe14B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 성장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결정립 미세화 기술에 따르면, Nd-Fe-B 소결자석 합금의 보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Nd-Fe-B 소결자석 합금을 구성하는 각 결정립을 균질하게 제어하고 미세한 결정립이 분포하도록 하는 미세조직 제어기술이다. 결정립 크기를 미세화함으로써 Nd-Fe-B 소결자석 합금의 결정립을 다자구 상태에서 단자구 상태로 만들어 결정자기 이방성의 효과를 최대한 높이는 방법으로, 단자구 상태에서는 더 큰 에너지에 의해 자화반전이 발생함으로 감자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자력이 높아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도 1 참고).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네오디뮴-철- 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
본 발명은 Nd2Fe14B 주상; 및 상기 주상 주위를 둘러싸는 Nd-리치상을 포함하고, 상기 Nd-리치상은 하기 ⅰ) 또는 ⅱ)를 추가로 포함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을 제공한다:
ⅰ) TM 원소 또는 TM-X 화합물(TM= 천이금속, X=C, N 또는 F); 또는
ⅱ) Y 원소 또는 Nd-Y 화합물(Y= F, Cl, Br, I, S, Se, Te 또는 N).
본 발명에 따른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은 Nd2Fe14B 주상; 및 상기 주상 주위를 둘러싸는 Nd-리치상을 포함하고, 상기 Nd-리치상은 하기 ⅰ) 또는 ⅱ)를 추가로 포함한다:
ⅰ) TM 원소 또는 TM-X 화합물(TM= 천이금속, X=C, N, F); 또는
ⅱ) Y 원소 또는 Nd-Y 화합물(Y= F, Cl, Br, I, S, Se, Te, N).
이때, 상기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은 Nd2Fe14B 주상 및 Nd-리치상을 포함하는 라멜라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스트립-캐스팅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은 박편 또는 리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ⅰ) 또는 ⅱ)는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Nd2Fe14B 주상이나 불순물로 작용하는 α-Fe상과 반응하지 않고, 스트립-캐스팅 공정시 Nd-리치상의 유동 속도를 저하시키면서 Nd-리치상에 고르게 분포됨으로써, Nd2Fe14B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 성장의 억제로 인해, 최종 제조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합금 스트립의 보자력(Hc)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Nd-리치상 대비, 상기 ⅰ) 또는 ⅱ)는 0.1 중량% 내지 0.5 중량% 추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ⅰ) 또는 ⅱ)의 함량이 너무 작은 경우, Nd-리치상에 효과적인 분포가 어려워 Nd2Fe14B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 성장을 억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ⅰ) 또는 ⅱ)의 함량이 너무 큰 경우, 불순물로 작용하게 되어, 최종 제조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의 물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ⅰ)은 천이금속을 포함하는 원소(TM 원소) 또는 이를 포함하는 화합물(TM-X 화합물, X=C, N, F)로써, 이때, 천이금속은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Y, Zr, Nb, Mo, Ru, Rh, Pd 및 A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Ti, V, Cr, Co, Cu, Zn, Zr,Nb 및 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ⅱ)는 Nd와 화합물을 이룰 수 있는 원소(Y 원소) 또는 이를 포함하는 화합물(Nd-Y 화합물, Y= F, Cl, Br, I, S, Se, Te, N)로써, Nd와 화합물을 이룰 수 있는 원소는 F, Cl, Br, I, S, Se, Te 및 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Nd와 화합물을 이룰 수 있는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NdF3, NdCl2, NdCl3, NdBr3, NdI2, NdI3, NdS, Nd2S3, NdSe, NdTe, Nd2Te3 및 Nd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ⅰ) 또는 ⅱ)으로 인하여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 성장은 억제된 것으로, 상기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산화, 분말 배향 등에 따른 문제점이 있고,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는 스트립-캐스팅 공정 이후 소결 공정을 거침으로써, 약 2배 가량 성장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Nd-Fe-B 소결자석 합금의 결정립이 너무 커지게 되면 다자구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보자력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은 특정 원소 또는 화합물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원소 또는 화합물은 Nd2Fe14B 주상이나 불순물로 작용하는 α-Fe상과 반응하지 않고, 스트립-캐스팅 공정시 Nd-리치상의 유동 속도를 저하시키면서 Nd-리치상에 고르게 분포됨으로써, Nd2Fe14B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 성장의 억제로 인해, 최종 제조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합금의 보자력(Hc)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자력이 향상된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은 전기자동차 모터 구동 부품뿐만 아니라, 자기저장소재 등 미래 첨단 정보 통신 및 구동 부품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네오디뮴-철- 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a) Nd 원소, Fe 원소 및 B 원소에, 하기 ⅰ) 또는 ⅱ)를 추가한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준비된 원료를 용탕시킨 후, 냉각롤을 포함하는 스트립-캐스팅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ⅰ) TM 원소 또는 TM-X 화합물(TM= 천이금속, X=C, N, F); 또는
ⅱ) Y 원소 또는 Nd-Y 화합물(Y= F, Cl, Br, I, S, Se, Te, 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의 제조방법 이후, 분말화 공정, 캡슐화 및 자성배열 공정, 소결 공정 및 열처리 공정을 통해,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을 최종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보자력이 향상된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을 제조하기 위해, 스트립-캐스팅 공정에 적용하기 위한 원료에 특정 원소 또는 화합물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특정 원소 또는 화합물은 Nd2Fe14B 주상이나 불순물로 작용하는 α-Fe상과 반응하지 않고, 스트립-캐스팅 공정시 Nd-리치상의 유동 속도를 저하시키면서 Nd-리치상에 고르게 분포됨으로써, Nd2Fe14B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일 스트립-캐스팅 공정 이후, 분말화 공정 중에 특정 원소 또는 화합물을 추가한다면, Nd-리치상 산화물의 존재로 인하여, 특정 원소 또는 화합물을 Nd-리치상에 분포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의 제조방법은 Nd 원소, Fe 원소 및 B 원소에, 하기 ⅰ) 또는 ⅱ)를 추가한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a) 단계]를 포함한다:
ⅰ) TM 원소 또는 TM-X 화합물(TM= 천이금속, X=C, N, F); 또는
ⅱ) Y 원소 또는 Nd-Y 화합물(Y= F, Cl, Br, I, S, Se, Te, N).
상기 ⅰ) 또는 ⅱ)에 대해서는 전술한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ⅰ) 또는 ⅱ)는 Nd 원소, Fe 원소 및 B 원소 총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ⅰ) 또는 ⅱ)가 Nd 원소, Fe 원소 및 B 원소 총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Nd-리치상에 효과적인 분포가 어려워 Nd2Fe14B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 성장을 억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ⅰ) 또는 ⅱ)가 Nd 원소, Fe 원소 및 B 원소 총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불순물로 작용하게 되어, 최종 제조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의 물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의 제조방법은 상기 준비된 원료를 용탕시킨 후, 냉각롤을 포함하는 스트립-캐스팅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b) 단계]를 포함한다.
Nd2Fe14B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합금 스트립의 보자력(Hc)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스트립-캐스팅 공정 조건을 추가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탕시킨 원료가 냉각롤에 적용되는 시작 온도는 1300℃ 내지 1500℃이고, 종료 온도는 600℃ 내지 8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냉각롤의 회전속도는 1m/s 내지 10m/s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용탕시킨 원료를 냉각롤 상에서 서서히 냉각시킴으로써, Nd2Fe14B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냉각롤에 적용한 후, 600℃ 내지 800℃의 온도를 30초 내지 10 분 동안 유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600℃ 내지 800℃의 온도 범위에서 서냉을 통해 Nd2Fe14B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 성장을 더욱 억제시킬 수 있다.
상기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의 두께는 0.1mm 내지 1mm일 수 있다.
한편, Nd2Fe14B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 성장은 억제된 것으로, 상기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산화, 분말 배향 등에 따른 문제점이 있고,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는 스트립-캐스팅 공정 이후 소결 공정을 거침으로써, 약 2배 가량 성장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Nd-Fe-B 소결자석 합금의 결정립이 너무 커지게 되면 다자구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보자력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Nd-Fe-B 소결자석 합금 박편을 제조하기 위해서, Nd 원소 33 중량부, Fe 원소 66 중량부 및 B 원소 1 중량부에, 하기 ⅰ) 또는 ⅱ)를 0.1~ 0.5 중량부로 변경하면서 추가한 원료를 준비하였다.
ⅰ) TM 원소 또는 TM-X 화합물(TM= 천이금속, X=C, N, F); 또는
ⅱ) Y 원소 또는 Nd-Y 화합물(Y= F, Cl, Br, I, S, Se, Te, N).
먼저, 준비된 원료를 1600℃ 이상의 온도로 유도가열하여 용탕시켰다. 이후, 용탕시킨 원료를 Cu 재질의 냉각롤에 적용하여 냉각롤의 표면을 따라 냉각 및 응고시켜 Nd-Fe-B 소결자석 모합금 박편을 제조하였다. 이때, 용탕시킨 원료가 냉각롤에 적용되는 시작 온도는 1300~1500℃이고, 종료 온도는 600~800℃이며, 냉각롤의 회전속도는 1~10m/s이다.
그 다음, 제조된 Nd-Fe-B 소결자석 모합금 박편은 600~800℃에서 30초 이상 유지한 후, 질소 가스 분위기에서 급냉시켜 Nd-Fe-B 소결자석 0.1~1mm 두께의 합금 박편을 최종 제조하였다. 이때, 최종 제조된 Nd-Fe-B 소결자석 합금 박편은 Nd2Fe14B 주상(결정립계상); 및 이의 주위를 둘러싸는 Nd-리치상을 포함하는 라멜라 구조로써, 상기 Nd-리치상은 하기 ⅰ) 또는 ⅱ)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ⅰ) TM 원소 또는 TM-X 화합물(TM= 천이금속, X=C, N, F); 또는
ⅱ) Y 원소 또는 Nd-Y 화합물(Y= F, Cl, Br, I, S, Se, Te, N)(도 2 참고).
또한, 최종 제조된 Nd-Fe-B 소결자석 합금 박편에서 Nd2Fe14B 주상(결정립계상)의 평균 입자 크기는 3㎛ 이하, 바람직하게 1㎛ 이하인 것으로 확인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Nd2Fe14B 주상; 및
    상기 주상 주위를 둘러싸는 Nd-리치상을 포함하고,
    상기 Nd-리치상은 하기 ⅰ) 또는 ⅱ)를 추가로 포함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
    ⅰ) TM 원소 또는 TM-X 화합물(TM= 천이금속, X=C, N 또는 F); 또는
    ⅱ) Y 원소 또는 Nd-Y 화합물(Y= F, Cl, Br, I, S, Se, Te 또는 N).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ⅰ) 또는 ⅱ)는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상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모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은 스트립-캐스팅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
  5. (a) Nd 원소, Fe 원소 및 B 원소에, 하기 ⅰ) 또는 ⅱ)를 추가한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준비된 원료를 용탕시킨 후, 냉각롤을 포함하는 스트립-캐스팅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의 제조방법:
    ⅰ) TM 원소 또는 TM-X 화합물(TM= 천이금속, X=C, N 또는 F); 또는
    ⅱ) Y 원소 또는 Nd-Y 화합물(Y= F, Cl, Br, I, S, Se, Te 또는 N).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ⅰ) 또는 ⅱ)는 Nd 원소, Fe 원소 및 B 원소 총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가 추가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시킨 원료가 냉각롤에 적용되는 시작 온도는 1300℃ 내지 1500℃이고, 종료 온도는 600℃ 내지 800℃인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냉각롤에 적용한 후, 600℃ 내지 800℃의 온도를 30초 내지 10 분 동안 유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냉각롤의 회전속도는 1m/s 내지 10m/s를 유지하는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의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의 두께는 0.1mm 내지 1mm인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의 제조방법.
KR1020170061591A 2017-05-18 2017-05-18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6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591A KR20180126776A (ko) 2017-05-18 2017-05-18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591A KR20180126776A (ko) 2017-05-18 2017-05-18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776A true KR20180126776A (ko) 2018-11-28

Family

ID=6456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591A KR20180126776A (ko) 2017-05-18 2017-05-18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67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0392A (zh) * 2019-11-28 2020-03-13 厦门钨业股份有限公司 钕铁硼合金粉末、钕铁硼磁体材料及制备方法和应用
CN111681867A (zh) * 2020-06-19 2020-09-18 华南理工大学 钕铁硼磁粉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0392A (zh) * 2019-11-28 2020-03-13 厦门钨业股份有限公司 钕铁硼合金粉末、钕铁硼磁体材料及制备方法和应用
CN111681867A (zh) * 2020-06-19 2020-09-18 华南理工大学 钕铁硼磁粉及其制备方法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6325B2 (ja) 希土類永久磁石、その製造方法、並びに永久磁石回転機
JP4737431B2 (ja) 永久磁石回転機
KR101642999B1 (ko) 희토류 자석의 제조 방법
KR101245465B1 (ko) 희토류 영구 자석, 그의 제조 방법, 및 영구 자석 회전기
US9087631B2 (en) Permanent magn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tor and power generator using the same
KR101451430B1 (ko) 희토류 영구 자석 및 그의 제조 방법
JP5093485B2 (ja) 希土類永久磁石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0064578A1 (ja) Nd系焼結磁石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42897A (ko) R-Fe-B계 소결 자석 및 그것의 제조방법
CN108063045B (zh) 一种无重稀土钕铁硼永磁材料及其制备方法
JP6007945B2 (ja) ナノコンポジット磁石の製造方法
JP2010045068A (ja) 永久磁石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859922B (zh) 一种低重稀土含量的R-Fe-B类磁体的制备方法
JP4700578B2 (ja) 高抵抗希土類系永久磁石の製造方法
CN103368282A (zh) 永磁体以及使用该永磁体的电动机和发电机
JP4238114B2 (ja) 高抵抗希土類磁石用粉末とその製造方法及び希土類磁石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モータ用ロータとモータ
CN104707990A (zh) 一种提高钕铁硼快淬纳米晶磁粉矫顽力的方法
JP4919109B2 (ja) 永久磁石回転機及び永久磁石回転機用永久磁石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
KR101866023B1 (ko) 자기특성이 우수한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방법
KR20180126776A (ko) 네오디뮴-철-보론계 소결자석 합금 스트립 및 이의 제조방법
JP5943507B2 (ja) R−t−b−m−a系希土類永久磁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73462B1 (ko)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방법
CN105679479A (zh) 永磁材料及永磁材料的制备方法
CN105632673B (zh) 永磁材料的制备方法及永磁材料
CN110767402B (zh) 一种异方性粘结磁粉及其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