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794A -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가상 배치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가상 배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794A
KR20180125794A KR1020170060563A KR20170060563A KR20180125794A KR 20180125794 A KR20180125794 A KR 20180125794A KR 1020170060563 A KR1020170060563 A KR 1020170060563A KR 20170060563 A KR20170060563 A KR 20170060563A KR 20180125794 A KR20180125794 A KR 20180125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rtificial tooth
procedure
subject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097B1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7006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09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5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06T7/74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involving reference images or patch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 G06T2207/10008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from scanner, fax or cop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72Tomographic images
    • G06T2207/10081Computed x-ray tomography [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52Implant; Prosthe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가상 배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시술자 이미지에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를 가상 배치하는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 수신 시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정합하여 정합 이미지를 생성하는 정합부, 정합 이미지에서 인공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식립 위치를 확인하고, 인공 치아 식립 위치에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를 가상으로 배치하여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 배치에 따른 인공 치아 시술 예측 이미지를 생성하는 상담용 배치부 및 정합 이미지에 인공 치아의 식립 위치에 하나 이상의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를 가상으로 배치하여, 인공 치아의 식립 위치에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선택을 포함하는 피시술자에 대한 시술 플래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플래닝용 배치부를 포함하되, 상담용 배치부에서 이용되는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는 시술 플래닝 생성 이전에 선택된 것이며, 플래닝용 배치부에서 이용되는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는 시술 플래닝을 위해 피시술자에 맞춤형으로 선택되고 조정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가상 배치 방법{Service Apparatus for Virtual Arranging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and Method for Virtual Arranging of Images}
본 발명은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가상 배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시술자로부터 획득된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로 정합 이미지를 생성하고, 정합 이미지로부터 인공 치아 시술 이후의 예측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가상 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본래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인체조직을 대신할 수 있는 대치물을 의미하며, 특히, 치과에서는 픽스츄어(fixture), 어버트먼트(abutment) 및 크라운(crown)을 포함하는 보철물을 이용하여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실제 치아의 위치에 이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에 천공을 형성하여 천공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고,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융착되면 픽스츄어에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결합하는 형태로 시술된다. 시술자는 잇몸 제거, 치조골 위치 설정, 평탄화, 초기홀 형성 및 확장, 나사산 형성 등의 다양한 과정을 통해 천공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치아 상태를 플래너로 제공한 후, 플래너로부터 제공되는 플래닝 데이터,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 등을 이용하여 피시술자에게 인공 치아를 시술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시술자가 플래너로부터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을 위한 플래닝 데이터,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 등을 직접 제공받아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피시술자는 인공 치아 시술의 스케줄 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치과를 복수 번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피시술자는 인공 치아 시술 후의 자신의 얼굴 변화를 예측하기 어려워 시술 여부를 결정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서비스 장치가 피시술자로부터 획득된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로 정합 이미지를 생성하고, 정합 이미지로부터 인공 치아 시술 후의 피시술자 얼굴 변화에 대한 예측 이미지를 생성하는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가상 배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시술 조건과 유사한 시술 조건을 갖는 다른 피시술자의 정보를 기준으로 예측 이미지 생성하는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가상 배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는, 피시술자 이미지에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를 가상 배치하는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 수신 시 상기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정합하여 정합 이미지를 생성하는 정합부, 상기 정합 이미지에서 상기 인공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식립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인공 치아 식립 위치에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를 가상으로 배치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 배치에 따른 인공 치아 시술 예측 이미지를 생성하는 상담용 배치부 및 상기 정합 이미지에 상기 인공 치아의 식립 위치에 하나 이상의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를 가상으로 배치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식립 위치에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선택을 포함하는 상기 피시술자에 대한 시술 플래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플래닝용 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담용 배치부에서 이용되는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는 상기 시술 플래닝 생성 이전에 선택된 것이며, 상기 플래닝용 배치부에서 이용되는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는 상기 시술 플래닝을 위해 피시술자에 맞춤형으로 선택되고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술 플래닝에 따라 상기 정합 이미지에 선택된 인공 치아의 부품 이미지인 픽스츄어 이미지, 어버트먼트 이미지 및 크라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식립 위치에 가상으로 시술하는 가상시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담용 배치부는, 상기 피시술자의 안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 배치에 따른 상기 피시술자의 안면 이미지의 변화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완료된 인공 치아 시술에 대하여, 피시술자 정보, 적어도 하나의 픽스츄어 이미지가 가상으로 배치된 정합 이미지, 예측 이미지, 플래닝 데이터, 인공 치아 시술 전후의 비교 이미지를 각각의 인공 치아 시술에 대하여 빅데이터로 저장하는 빅데이터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담용 배치부는, 상기 빅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빅데이터 중에서 상기 피시술자의 시술 조건과 임계치 이상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피시술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피시술자에 대한 상기 예측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술 조건은, 피시술자의 성별, 나이, 치아 타입, 식립 위치, 치열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담용 배치부는, 상기 빅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빅데이터 중에서 상기 피시술자의 시술 조건과 임계치 이상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피시술자에 대한 인공 치아 시술 전과 후에 대한 안면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빅데이터저장부에 상기 피시술자에 대한 과거 정보가 기저장된 상태이면, 상기 과거 정보와 상기 피시술자 정보를 비교하여 치료가 필요한 부분을 확인하는 진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치아 시술용 이미지 가상 배치 방법은, 피시술자 이미지에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를 가상 배치하는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방법에 있어서,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 수신 시 상기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정합하여 정합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정합 이미지에서 상기 인공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식립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인공 치아 식립 위치에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를 가상으로 배치하는 동작,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 배치에 따른 인공 치아 시술 예측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정합 이미지에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를 가상으로 배치하되, 피시술자에 맞춤형으로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를 선택하고 조정하여 상기 피시술자에 대한 시술 플래닝을 수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가상 배치 방법은, 서비스 장치가 피시술자로부터 획득된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로 정합 이미지를 생성하고, 정합 이미지로부터 인공 치아 시술 후의 피시술자 얼굴 변화에 대한 예측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피시술자가 인공 치아 시술 후의 자신의 얼굴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가상 배치 방법은,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시술 조건과 유사한 시술 조건을 갖는 다른 피시술자의 정보를 기준으로 예측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예측 이미지 생성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시술자 장치에서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술자 장치에서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술자 장치에서 상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 상담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 예측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피시술자 장치(100), 시술자 장치(150) 및 서비스 장치(200)를 포함한다.
피시술자 장치(100)는 병원 특히, 치과에 방문한 환자(이하, 피시술자라 함)가 사용하는 휴대용 장치 또는 병원 로비 등에 구비되어 피시술자가 조작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피시술자 장치(100)는 시술자 장치(15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피시술자 장치(100)는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피시술자 장치(100)가 병원 로비 등에 구비될 경우, 피시술자 장치(100)는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등 피시술자가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피시술자는 피시술자 장치(100)에 주민등록번호 등의 피시술자 고유 정보를 입력하여 인증을 받을 수 있다. 피시술자 장치(100)가 휴대용 장치일 경우, 휴대용 장치는 스마트 폰, 휴대단말기, 태블릿 PC 등 피시술자가 휴대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아울러, 피시술자 장치(100)에는 시술자 장치(150)와 통신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피시술자는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여 인증을 받을 수 있다.
피시술자 장치(100)는 인증이 완료된 이후에 시술자 장치(150)에서 획득된 피시술자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피시술자 장치(100)는 시술자가 피시술자의 정보를 검사한 이후에 시술자 장치(150)에서 입력한 시술자 소견을 표시할 수 있다. 피시술자 장치(100)는 시술자 장치(150)에서 검수가 완료된 상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피시술자 장치(100)는 시술자 장치(150)로부터 수신된 상담 정보에 대한 변경 요청사항을 입력하여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변경 요청사항은, 보철물에 대한 종류 선택 등이 될 수 있다.
피시술자 장치(100)는 시술자 장치(150)에서 생성된 피시술자의 시술 스케줄을 표시할 수 있다. 피시술자 장치(100)는 피시술자의 입력에 따라 시술 스케줄에 대한 변경 신호를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피시술자 장치(100)는 시술 스케줄에 대응되는 시술 시각이 도래하면, 이를 알리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시술자 장치(150)는 병원 특히, 치과에서 근무하는 의사(이하, 시술자라 함)가 사용하는 장치로,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시술자 장치(150)는 피시술자 장치(100)와의 통신을 위해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 장치(150)는 서비스 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해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시술자 장치(150)는 서비스 장치(200)와의 통신을 통해 피시술자에 대한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를 포함하는 피시술자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시술자 장치(15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피시술자에 대한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의 정합 이미지, 인공 치아 시술 후의 예측 이미지 및 인공 치아 시술을 위한 플래닝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시술자 장치(150)는 정보획득부(151), 시술상담부(153) 및 시술관리부(155)를 포함한다.
정보획득부(151)는 시술자의 입력에 의해 피시술자의 정보를 획득한다. 피시술자의 정보는, 피시술자의 이름, 피시술자의 성별, 피시술자의 나이, 전신병력, 치아 타입, 인공 치아의 시술이 필요한 식립 위치에 대응되는 치아 번호, 피시술자의 안면 이미지, 피시술자의 두부를 촬영한 CT(computed tomography)촬영이미지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한 오랄스캔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면 이미지는 복수의 2D 이미지 또는 3D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획득부(151)는 피시술자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시술자 장치(150)는 안면촬영장치(미도시), CT촬영장치(미도시) 및 오랄스캔장치(미도시)를 포함하는 영상장치와 연결되거나, 영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획득부(151)는 시술자로부터 입력되는 피시술자의 정보에 대한 시술자의 소견을 획득할 수 있다.
정보획득부(151)는 획득된 피시술자의 정보 및 소견을 이용하여 전자차트를 생성한다. 정보획득부(151)는 피시술자의 정보 또는 피시술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전자차트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시술상담부(153)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담 정보인 즉, 정합 이미지, 인공 치아 시술 후의 예측 이미지 및 인공 치아 시술을 위한 플래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여 피시술자에게 인공 치아 시술을 위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플래닝 데이터는 인공 치아 시술을 위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시술될 픽스츄어의 식립 정보를 포함한다. 픽스츄어의 식립 정보는, 구강 내부에서 픽스츄어가 식립될 식립 위치, 직경 및 길이를 포함하는 규격, 식립 방향, 식립 깊이, 픽스츄어의 종류 등을 포함한다. 이때, 픽스츄어는 인공 치아의 부품 중 하나 이고, 인공 치아의 부품은 픽스츄어, 픽스츄어에 결합 가능한 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에 결합 가능한 크라운을 포함하는 보철물일 수 있다.
정합 이미지는, 서비스 장치(200)가 시술자 장치(150)로부터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가 수신되는 즉시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를 정합하여 생성한 3차원 이미지이다. 시술자는 정합 이미지를 통해 피시술자의 하악 치조의 신경, 상악동 및 전치부 절치공 형상 및 골밀도 등을 포함하는 신경 및 골형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시술상담부(153)는 정합 이미지를 표시하고, 시술자는 표시된 정합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중 어느 위치에 인공 치아를 식립할 것인지 등과 같은 인공 치아 시술과 관련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시술상담부(153)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재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정보획득부(151)를 활성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재촬영한 후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측 이미지는, 인공 치아 시술 후 피시술자의 안면 변화를 예측한 이미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측 이미지는 정합 이미지에서 확인되는 인공 치아를 식립할 적어도 하나의 식립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보철물 이미지가 가상으로 배치되고, 보철물 이미지가 배치된 정합 이미지를 피시술자의 안면 이미지에 결합한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이미지일 수 있다. 시술상담부(153)는 예측 이미지를 표시하고, 시술자는 표시된 예측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와 인공 치아의 시술이 완료된 이후에 피시술자의 안면 변화에 대하여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아울러, 시술상담부(153)는 피시술자와 시술 조건이 임계치 이상 유사한 다른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 전과 후의 안면 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시술자는 다른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 전과 후의 안면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와 시술 조건이 유사한 다른 피시술자의 안면 변화에 대하여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인공 치아 시술 전과 후의 안면 이미지는 2D, 3D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플래닝 데이터는, 피시술자에 인공 치아를 시술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로,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시술될 픽스츄어의 식립 정보 및 드릴링가이드 정보를 의미하고, 이는 서비스 장치(200)의 관리자 예컨대, 플래너로부터 설계됨으로써 생성된다. 픽스츄어의 식립 정보는, 구강 내부에서 픽스츄어가 식립될 식립 위치, 직경 및 길이를 포함하는 규격, 식립 방향, 식립 깊이, 픽스츄어의 종류 등을 포함한다. 드릴링가이드 정보는, 픽스츄어가 식립될 천공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품번, 종류, 이미지, 명칭 등의 정보와, 픽스츄어가 식립될 위치에서의 삽입 깊이를 나타내는 삽입 깊이정보,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사용순서정보를 포함한다.
플래닝 데이터 중 픽스츄어의 식립 정보는, 정합 이미지에 적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드릴링가이드 정보는, 드릴링을 위한 드릴 장치에 대한 이미지 및 사용법에 대한 텍스트데이터로 표시될 수 있다. 시술자는, 플래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 치아 시술이 필요한 식립 위치에 삽입될 픽스츄어, 픽스츄어와 결합될 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와 결합될 크라운에 대하여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시술관리부(155)는 시술상담부(153)가 피시술자에게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 이후에 시술자로부터 상담 결과를 입력받는다. 시술관리부(155)는 입력된 상담 결과를 기반으로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컨펌 신호 또는 수정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시술관리부(155)는 수정 데이터를 생성한 경우, 수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 이미지를 수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술관리부(155)가 수정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면, 시술상담부(153)는 수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비스 장치(200)에서 수정된 예측 이미지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시술관리부(155)는 컨펌 신호 또는 수정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 이후에,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스케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케줄 정보는, 서비스 장치(200)가 플래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 시에 필요한 보철물의 제작 시간 및 배송 시간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스케줄 정보를 의미한다.
시술관리부(155)는 수신된 스케줄 정보를 기반으로 피시술자에 대한 시술 스케줄을 생성한다. 시술 스케줄은, 시술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스케줄 정보, 대기중인 다른 피시술자들의 진료 및 시술 시간 등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시술 스케줄은, 정보획득부(151)에서 피시술자의 정보가 획득된 시각부터 피시술자의 시술까지가 하루(one-day)에 진행될 수 있는 스케줄이다.
시술관리부(155)는 생성된 시술 스케줄을 피시술자 장치(100)로 전송하고, 보철물의 배송 상태, 다른 피시술자들의 진료 및 시술 진행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시술 스케줄을 갱신하여 피시술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술관리부(155)는 보철물의 배송 상태, 다른 피시술자들의 진료 및 시술 진행 상황 등 각각의 동작에 소요되는 예상 시간을 할당하여 시술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시술관리부(155)는 각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이 예상 시간보다 길어지면 이를 반영하여 시술 스케줄을 재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시술관리부(155)는 각각의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이 예상 시간보다 짧아지면 이를 반영하여 시술 스케줄을 재생성할 수 있다.
시술관리부(155)는 피시술자 장치(100)로부터 스케줄 변경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생성된 시술 스케줄을 변경할 수 있다. 시술관리부(155)는 시술 스케줄을 기반으로 피시술자의 시술 시각이 도래하면, 피시술자에 대한 인공 치아 시술 시각임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0)는 피시술자에게 인공 치아 시술 시에 필요한 플래닝 데이터를 설계하는 플래너가 사용하는 장치로,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0)는 시술자 장치(150)와의 통신을 위해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0)는 피시술자에 대한 안면 이미지,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를 포함하는 피시술자 정보를 획득하는 시술자 장치(150)와 통신을 수행하여 피시술자에 대한 인공 치아 시술 상담 및 인공 치아 시술 플래닝을 포함하는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장치(200)는 크게 메모리(210)와 제어부(220)를 포함하고, 메모리(210)는 빅데이터저장부(210a), 디지털 라이브러리(210b)를 포함한다. 제어부(220)는 데이터관리부(220a), 정합성공판단부(220b), 영상정합부(220c), 진단부(220d), 가상배치부(220e), 플래닝부(220f), 스케줄생성부(220g) 및 가이드생성부(220h)를 포함한다. 아울러,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비스 장치(200)는 플래너의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동작에 따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 등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빅데이터저장부(210a)는 시술자 장치(150)로부터 수신되는 피시술자 정보를 빅데이터로 저장한다. 아울러, 빅데이터저장부(210a)는 피시술자 정보에 포함된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의 정합으로 생성된 정합 이미지, 정합 이미지를 기반으로 생성된 안면 이미지 및 플래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저장부(210a)는 인공 치아 시술 전후의 피시술자에 대한 안면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디지털 라이브러리(210b)는 보철물에 대한 이미지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픽스츄어에 대한 픽스츄어 이미지, 픽스츄어에 결합 가능한 복수개의 어버트먼트에 대한 어버트먼트 이미지 및 어버트먼트에 결합 가능한 크라운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관리부(220a)는 시술자 장치(150)로부터 수신된 피시술자 정보를 빅데이터저장부(210a)에 저장한다. 이때, 피시술자 정보에는 시술자의 소견이 포함될 수 있다. 피시술자 정보는, 피시술자의 이름, 피시술자의 성별, 피시술자의 나이, 전신병력, 치아 타입, 인공 치아의 시술이 필요한 식립 위치에 대응되는 치아 번호, 피시술자의 안면 이미지, 피시술자의 두부를 촬영한 CT촬영이미지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한 오랄스캔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면 이미지는 복수의 2D 이미지 또는 3D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관리부(220a)는 피시술자 정보 중에서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의 데이터 형식을 확인한다. 데이터관리부(220a)는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형식을 정합 표준 데이터 형식과 비교한다. 데이터관리부(220a)는 정합 표준 데이터 형식과 상이한 데이터 형식을 갖는 이미지의 데이터 형식을 정합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일반적으로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는 파일 확장자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데이터 형식의 변환없이 정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데이터관리부(220a)는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의 품질 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정합 표준 데이터 형식과 동일한 데이터 형식을 변환한다. 데이터관리부(220a)는 데이터 형식이 변환된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를 정합성공판단부(220b)로 제공한다.
정합성공판단부(220b)는 변환된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의 정합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예컨대, 피시술자의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 획득 시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마커가 부착된 상태로 획득되면, 정합성공판단부(220b)는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마커를 확인한다. 이때, 레퍼런스 마커는 인공 치아를 시술하고자 하는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부착되는 마커로, 인공 치아의 시술 위치, 잇몸 등 다양한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정합성공판단부(220b)는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마커를 이용하여 두 개의 이미지에 대한 정합 성공 가능성을 확인한다. 예컨대, 정합성공판단부(220b)는 각각의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이미지의 개수 등을 기준으로 정합 성공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정합성공판단부(220b)는 구강 내부에 레퍼런스 마커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피시술자의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가 획득되면,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위치를 선택한다. 정합성공판단부(220b)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위치에 생성형 레퍼런스 마커를 적용하고, 생성형 레퍼런스 마커에 깊이 맵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정합성공판단부(220b)는 깊이 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출된 동일한 위치에 대한 깊이 값을 이용하여 정합 성공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정합성공판단부(220b)는 두 개의 이미지에 대한 정합 성공 가능성이 임계치 이하이면 정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시술자 장치(150)로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를 재요청한다. 반대로, 정합성공판단부(220b)는 두 개의 이미지에 대한 정합 성공 가능성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정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두 개의 이미지를 영상정합부(220c)로 제공한다. 정합성공판단부(220b)는 기 설정된 영상 정합 성공 기준에 기초하여 영상 정합 성공 가능성을 확인한다. 이때, 영상 정합 성공 기준은,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마커의 동일여부,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가 동일한 피시술자에 대한 이미지인지의 여부,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부정확성 여부,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의 동일한 위치에 깊이 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출된 깊이 값의 동일 여부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영상정합부(220c)는 정합성공판단부(220b)에서 정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된 두 개의 이미지 즉,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의 정합을 수행한다. 영상정합부(220c)는, 자동 정합 알고리즘에 의해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의 자동 정합을 수행할 수 있고, 플래너의 입력에 의해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정합부(220c)는 CT촬영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마커와 오랄스캔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를 동일한 위치에서 중첩될 수 있도록 오랄스캔이미지를 제어하여 두 개의 이미지를 정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정합부(220c)는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영상정합부(220c)는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의 이미지 분석을 수행한다. 영상정합부(220c)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CT촬영이미지에 포함된 레퍼런스 마커의 개수, 레퍼런스 마커 사이의 각도, 각 레퍼런스 마커의 방위 및 레퍼런스 마커의 상대적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영상정합부(220c)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오랄스캔이미지에 포함된 레퍼런스 마커의 개수, 레퍼런스 마커 사이의 각도, 각 레퍼런스 마커의 방위 및 레퍼런스 마커의 상대적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레퍼런스 마커의 방위를 확인하기 위해서 레퍼런스 마커는, 구형, 평면형, 다각형 및 원통형 및 그 밖의 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영상정합부(220c)는 레퍼런스 마커의 원점을 기준으로 x, y, z값을 확인하여 방위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결과에 따라, 영상정합부(220c)는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 이후에 각각의 이미지에 포함된 레퍼런스 마커 중에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해야 하지만,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레퍼런스 마커를 추출한다. 영상정합부(220c)는 추출된 레퍼런스 마커의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오랄스캔이미지의 비율, 방향 및 각도를 제어한다. 영상정합부(220c)는 오랄스캔이미지의 제어를 통해 CT촬영이미지에 포함된 레퍼런스 마커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해야 하는 오랄스캔이미지에 포함된 레퍼런스 마커를 서로 일치시킬 수 있다. 영상정합부(220c)는 CT촬영이미지에 포함된 레퍼런스 마커와 오랄스캔이미지에 포함된 레퍼런스 마커가 일치되면, 두 개의 이미지를 정합하여 하나의 3차원 정합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정합부(220c)는 정합 이미지 생성 후에 정합 이미지에 포함된 레퍼런스 마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이 될 수 있는 레퍼런스 마커를 선택한다. 영상정합부(220c)는 선택된 레퍼런스 마커의 깊이 값을 산출한다. 영상정합부(220c)는 산출된 레퍼런스 마커에 대한 깊이 값의 조절을 통해 정합 이미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영상정합부(220c)는 정합 이미지로부터 피시술자의 치열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피시술자 정보로서 빅데이터저장부(210a)에 저장할 수 있다.
영상정합부(220c)는 깊이 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출된 동일한 위치에 대한 깊이 값을 이용하여 정합 성공 가능성이 확인된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를 정합한다. 영상정합부(220c)는 CT촬영이미지에서 복수의 위치에 대한 깊이 값을 산출하고, CT촬영이미지에서 선택된 복수의 위치에 동일한 복수의 위치를 오랄스캔이미지에서 선택한다. 영상정합부(220c)는 선택된 오랄스캔이미지에서의 복수의 위치에 대한 깊이 값을 CT촬영이미지에서 산출된 깊이 값과 동일하도록 오랄스캔이미지의 비율, 방향 및 각도를 제어한다. 영상정합부(220c)는 CT촬영이미지와 깊이 값이 동일해진 오랄스캔이미지를 CT촬영이미지와 정합하여 정합 이미지를 생성한다.
영상정합부(220c)는 이미지 정합이 성공하면, 정합 이미지를 진단부(220d)와 가상배치부(220e)로 각각 제공한다. 이때, 정합 이미지는 3차원 이미지로, 피시술자의 하악 치조의 신경, 상악동 및 전치부 절치공 형상 및 골밀도 등을 포함하는 신경 및 골형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반대로, 이미지 정합이 실패한 것으로 확인되면 영상정합부(220c)는 시술자 장치(150)로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 중 오류가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재요청한다.
진단부(220d)는 피시술자의 CT촬영이미지, 오랄스캔이미지 및 정합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로부터 인공 치아 시술 이전에 선행되어야 하는 치료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확인된 치료가 선행될 수 있도록 시술자 장치(150)로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진단부(220d)는 빅데이터저장부(210a)에 피시술자에 대한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가 기저장된 상태이면, 획득된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를 기저장된 이미지들과 비교하여 인공 치아 시술 이전에 선행되어야 하는 치료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진단부(220d)는 인공 치아 시술 전에 선행되어야 하는 치료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확인된 치료가 선행될 수 있도록 시술자 장치(150)로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배치부(220e)는 인공 치아 시술 후의 피시술자의 안면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예측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상담용 배치부(221), 피시술자에 대한 시술 플래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플래닝용 배치부(222) 및 정합 이미지에 보철물을 가상으로 시술한 가상시술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담용 배치부(221)는 빅데이터저장부(210a)를 기반으로, 피시술자와 시술 조건이 유사한 다른 피시술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피시술자와 시술 조건이 유사한 다른 피시술자가 존재하면, 상담용 배치부(221)는 다른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 전후의 안면 이미지를 빅데이터저장부(210a)에서 호출하여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한다. 반대로, 피시술자와 시술 조건이 유사한 다른 피시술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담용 배치부(221)는 피시술자를 위한 예측 이미지를 생성하여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담용 배치부(221)는 빅데이터저장부(210a)에 저장된 다른 피시술자들에 대한 빅데이터를 호출한다. 빅데이터는, 다른 피시술자들에 대한 시술 정보로, 다른 피시술자에 대한 이름, 성별, 나이, 치아 타입, 인공 치아 시술을 수행한 식립 위치에 대응되는 치아 번호, 치열 상태, 안면 이미지, CT촬영이미지, 오랄스캔이미지, 정합 이미지, 플래닝 데이터 및 인공 치아 시술 전후의 안면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담용 배치부(221)는 피시술자의 정보와 시술 조건이 유사한 다른 피시술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상담용 배치부(221)는 빅데이터저장부(210a)에 저장된 빅데이터 중에서 피시술자의 성별, 나이, 치아 타입, 식립 위치, 치열 상태를 포함하는 시술 조건을 부분적으로 비교 조합하여 시술 조건이 임계치 이상 유사한 다른 피시술자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담용 배치부(221)는 피시술자의 정보와 시술 조건이 임계치 이상 유사한 다른 피시술자가 존재하면, 다른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 전과 후의 안면 이미지를 추출하여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한다. 상담용 배치부(221)는 피시술자가 인공 치아 시술을 진행하고자 하는 식립 위치에 대응하는 치아 번호가 23번이면, 23번에 인공 치아를 시술한 다른 피시술자의 시술 전후 안면 이미지를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피시술자가 인공 치아 시술을 진행하고자 하는 치아 번호가 41번, 23번일 경우, 상담용 배치부(221)는 41번, 23번에 인공 치아를 모두 시술한 한 명의 다른 피시술자의 시술 전후 안면 이미지를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피시술자가 인공 치아 시술을 진행하고자 하는 치아 번호가 41번, 23번일 경우, 상담용 배치부(221)는 41번, 23번에 인공 치아를 각각 시술한 두 명의 다른 피시술자의 시술 전후 안면 이미지를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상담용 배치부(221)는 피시술자와 시술 조건이 임계치 이상 유사한 다른 피시술자의 플래닝 데이터(예컨대, 픽스츄어 식립 정보가 정합 이미지에 적용된 플래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에 대한 예측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담용 배치부(221)는 다른 피시술자의 플래닝 데이터에서 피시술자의 식립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 이미지를 추출한다. 상담용 배치부(221)는 추출된 부분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예측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예측 이미지는, 인공 치아 시술 후에 피시술자의 얼굴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이미지일 수 있다.
예컨대, 상담용 배치부(221)는 피시술자가 인공 치아 시술을 진행하고자 하는 식립 위치에 대응하는 치아 번호가 23번이면, 23번에 인공 치아를 시술한 다른 피시술자의 플래닝 데이터에서 식립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 이미지를 추출한다. 아울러, 피시술자가 인공 치아 시술을 진행하고자 하는 식립 위치에 대응하는 치아 번호가 41번, 23번이면, 상담용 배치부(221)는 41번, 23번 모두에 인공 치아를 시술한 다른 피시술자의 플래닝 데이터에서 식립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담용 배치부(221)는 41번, 23번 각각에 인공 치아를 시술한 서로 다른 피시술자의 플래닝 데이터에서 식립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상담용 배치부(221)는 추출된 부분 이미지를 피시술자의 정합 이미지에 결합한다. 상담용 배치부(221)는 부분 이미지가 결합된 정합 이미지와 피시술자의 안면 이미지를 결합하여 예측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담용 배치부(221)는 예측 이미지 생성 시에 사용한 다른 피시술자의 플래닝 데이터를 플래닝용 배치부(222)로 제공한다.
확인 결과, 피시술자와 시술 조건이 유사한 다른 피시술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담용 배치부(221)는 피시술자의 정합 이미지에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를 가상으로 배치한다. 상담용 배치부(221)는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가 가상으로 배치된 정합 이미지를 피시술자의 안면 이미지에 결합하여 예측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안면 이미지가 복수의 2D 이미지일 경우, 상담용 배치부(221)는 복수의 2D 이미지를 결합하여 3D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담용 배치부(221)는 복수의 2D이미지에 포함된 각각의 특징점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2D이미지를 결합하여 하나의 3D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상담용 배치부(221)는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가 가상으로 배치된 정합 이미지를 3D이미지에 적용하여 예측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담용 배치부(221)는 안면 이미지가 피시술자의 정면에서 획득된 2D이미지일 경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가 가상으로 배치된 정합 이미지를 2D이미지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상담용 배치부(221)는 오버레이하여 표시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안면 이미지로부터 확인되는 특징점을 기준으로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가 가상으로 배치된 정합 이미지를 안면 이미지에 정합하여 예측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담용 배치부(221)는 깊이 맵(depth map)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2D이미지에서의 깊이를 산출할 수 있다. 상담용 배치부(221)는 산출된 깊이를 기반으로 가상의 3D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3D이미지에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가 가상 배치된 정합 이미지를 적용하여 예측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담용 배치부(221)는 안면 이미지가 3D이미지일 경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가 가상 배치된 정합 이미지와 3D이미지를 결합하여 예측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플래닝용 배치부(222)는 정합 이미지에서 인공 치아 시술이 필요한 식립 위치를 확인한다. 플래닝용 배치부(222)는 디지털 라이브러리(210b)에 저장된 복수의 픽스츄어 이미지 중에서 확인된 식립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픽스츄어 이미지를 선택한다. 플래닝용 배치부(222)는 선택된 픽스츄어 이미지를 정합 이미지에 가상으로 배치한다. 플래닝용 배치부(222)는 픽스츄어 이미지를 피시술자에 맞춤형으로 선택하고 조정할 수 있다.
플래닝용 배치부(222)는 픽스츄어 이미지가 배치된 정합 이미지를 가상시술부(223)으로 제공한다. 가상시술부(223)는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에 대한 이미지를 픽스츄어 이미지에 가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가상시술부(223)는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크라운에 대한 이미지를 어버트먼트 이미지에 가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
플래닝용 배치부(222)는 정합 이미지에 배치된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 이미지에 대한 정보 예컨대, 픽스츄어 이미지에 대응되는 픽스츄어의 식립 정보를 플래닝부(220f)로 제공한다. 이때, 픽스츄어의 식립 정보는, 픽스츄어가 식립될 식립 위치, 직경 및 길이를 포함하는 규격, 식립 방향, 식립 깊이, 픽스츄어의 종류 등일 수 있다. 플래닝용 배치부(222)는 시술자 장치(150)로부터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컨펌 신호가 수신되거나, 시술자 장치(150)로부터 플래닝 데이터가 수정된 수정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플래닝부(220f)로 제공할 수 있다.
플래닝용 배치부(222)는 상담용 배치부(221)에서 제공된 다른 피시술자의 플래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 이미지를 피시술자의 정합 이미지에 배치한다. 플래닝용 배치부(222)는 정합 이미지에 배치된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피시술자에 적합한 플래닝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플래닝부(220f)로 제공한다.
플래닝부(220f)는 플래닝용 배치부(222)로부터 제공된 픽스츄어의 식립 정보를 기반으로 플래닝 데이터를 생성한다. 플래닝 데이터는,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시술될 픽스츄어의 식립 정보 및 드릴링가이드 정보를 의미한다. 드릴링가이드 정보는, 픽스츄어가 식립될 천공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품번, 종류, 이미지, 명칭 등의 정보와, 픽스츄어가 식립될 위치에서의 삽입 깊이를 나타내는 삽입 깊이정보,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사용순서정보를 포함한다.
플래닝부(220f)는 플래닝용 배치부(222)로부터 플래닝데이터에 대한 컨펌 신호가 수신되거나, 수정 데이터가 수신되면,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컨펌 또는 수정을 수행하고, 플래닝 데이터를 스케줄생성부(220g) 및 가이드생성부(220h)로 제공한다. 플래닝부(220f)는 생성된 또는 수정된 플래닝 데이터를 빅데이터저장부(210a)에 저장할 수 있다.
스케줄생성부(220g)는 스케줄 정보를 생성한다. 스케줄 정보는, 플래닝 데이터에 따른 보철물 제작 시간과 제작된 보철물에 대한 배송 시간이 고려된 스케줄이다. 보철물은, 픽스츄어 이미지에 대응되는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크라운을 포함한다. 아울러, 스케줄 정보는, 픽스츄어를 식립하기 위한 천공 형성에 필요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서지컬 가이드에 대한 제작 시간 및 배송 시간도 함께 고려될 수 있다. 스케줄생성부(220g)는 생성된 스케줄을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한다.
가이드생성부(220h)는 플래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 치아 시술에 필요한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에 대한 가이드를 생성한다. 특히, 가이드생성부(220h)는 인공 치아의 부품 중 크라운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생성부(220h)는 서지컬 가이드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가이드생성부(220h)는 생성된 크라운에 대한 이미지 및 서지컬 가이드에 대한 이미지를 3D프린터(미도시) 등의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비스 장치(200)는 외부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0)는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무선 통신 또는 USB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플래너는, 외부장치에 의한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와 서지컬 가이드에 대한 제작이 완료되면, 택배 등의 물류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를 시술자 장치(150)의 사용자인 시술자에게 배송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 장치(200)에서 정합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술자 장치(150)의 사양이 충분히 뒷받침될 경우, 정합 이미지 생성은 시술자 장치(1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1동작에서는 시술자 장치(150)가 인공 치아를 시술하고자 하는 피시술자에 대한 피시술자 정보를 획득한다. 203동작에서는 서비스 장치(200)가 피시술자 정보에 포함된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를 자동 정합하여 정합 이미지를 생성한다. 205동작에서는 서비스 장치(200)가 피시술자 정보에 포함된 피시술자의 안면 이미지를 이용하여 인공 시술 후의 피시술자 안면 변화를 나타낸 예측 이미지를 증강현실 이미지로 생성한다.
207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서비스 장치(200)에서 생성된 정합 이미지 및 예측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상담을 진행한다. 209동작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플래닝 데이터를 생성하고, 시술자 장치(150)는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검수를 수행한다.
211동작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시술자 장치(150)에서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검수가 완료되면 플래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보철물을 제작한다. 213동작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정합 이미지, 예측 이미지 및 플래닝 데이터를 저장한다. 215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의 시술자는 플래닝 데이터, 제작된 보철물을 기반으로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을 진행한다. 이때, 보철물은, 픽스츄어 이미지에 대응되는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크라운을 포함하는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를 포함한다. 또한, 시술자는 픽스츄어를 식립하기 위한 천공 형성에 필요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천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201동작 내지 215동작은 피시술자가 병원에 방문한 시점부터 24시간 이내에 이루어져 하루(one-day) 동안에 인공 치아 시술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피시술자의 정보를 획득하고, 303동작에서 시술자는 입력부(미도시)를 이용하여 피시술자 정보에 대한 소견을 입력한다. 305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피시술자의 정보 및 소견을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고, 307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피시술자의 정보 및 소견을 피시술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309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피시술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소견이 입력된 전자차트를 표시한다.
311동작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피시술자 정보를 기반으로 피시술자에 대한 상담 정보를 생성한다. 상담 정보는, 시술자가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을 위해 피시술자와 상담할 때 필요한 정보로, 정합 이미지, 예측 이미지 및 플래닝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313동작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상담 정보를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한다. 315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상담 정보에 대한 검수를 수행한다. 시술자 장치(150)는 검수 결과에 따라 예측 이미지,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컨펌 신호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 장치(150)는 검수 결과에 따라 정합 이미지에 배치된 픽스츄어 이미지에 대한 위치 변경 신호 또는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수정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시술자 장치(150)가 플래닝 데이터를 수정하면, 수정된 수정 데이터에 의해 정합 이미지 또는 예측 이미지가 자동적으로 수정될 수 있다.
317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가 상담 정보에 대한 검수 결과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면, 323동작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검수 결과에 따라 스케줄 정보를 생성한다. 325동작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생성된 스케줄 정보를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한다. 327동작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플래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이드를 생성한다. 329동작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상담 정보를 빅데이터로 저장한다.
315동작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상담 정보에 대한 검수가 종료되면, 319동작을 수행한다. 319동작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검수 결과가 반영된 상담 정보를 피시술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321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피시술자의 입력에 의해 상담 정보를 표시한다.
331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325동작에서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스케줄 정보를 기반으로 피시술자에 대한 시술 스케줄을 생성한다. 시술 스케줄은,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을 진행하기 위한 스케줄로, 스케줄 정보, 대기중인 다른 피시술자들의 진료 및 시술 시간 등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아울러, 시술 스케줄은, 301동작에서 피시술자의 정보를 획득한 시각부터 임계 시간 예컨대, 24시간 이내에 시술을 수행할 수 있는 스케줄이다.
333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생성된 시술 스케줄을 피시술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335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피시술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시술 스케줄을 표시한다. 337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시술 스케줄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신호가 입력되면 339동작을 수행한다. 339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변경신호를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한다. 341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변경신호를 기반으로 시술 스케줄을 갱신하고, 349동작을 수행한다. 337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변경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343동작을 수행한다. 343동작에서 변경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를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하고, 349동작을 수행한다.
349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생성된 시술 스케줄 또는 갱신된 시술 스케줄에 대응되는 시술 시각의 도래여부를 확인한다. 349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시술 스케줄에 따른 시술 시각이 도래하면 351동작을 수행한다. 351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시술 시각이 도래함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한다. 349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시술 시각이 도래하지 않으면, 시술 시각의 도래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337동작의 확인결과, 변경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피시술자 장치(100)는 345동작을 수행한다. 345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시술 스케줄에 대응되는 시술 시각이 도래하면 347동작을 수행한다. 347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시술 시각이 도래함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한다. 345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시술 시각이 도래하지 않으면, 시술 시각의 도래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시술자 장치에서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피시술자의 입력에 의해 피시술자에 대한 인증 완료 여부를 확인한다. 401동작의 확인 결과, 피시술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지 않으면 피시술자 장치(100)는 피시술자의 인증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피시술자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피시술자 장치(100)가 병원 로비 등에 구비될 경우, 피시술자는 주민등록번호 등의 피시술자 고유 정보를 입력하여 인증을 받을 수 있다. 피시술자 장치(100)가 휴대용 장치일 경우, 시술자 장치(150)와 통신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여 인증을 받을 수 있다.
401동작의 확인 결과, 피시술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피시술자 장치(100)는 403동작을 수행한다. 403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피시술자로부터 시술자의 소견을 확인하기 위한 소견확인신호가 수신됨이 확인되면, 405동작을 수행한다. 405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시술자 장치(150)를 통해 입력된 시술자의 소견을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하고 407동작을 수행한다.
403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소견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407동작을 수행한다. 407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피시술자로부터 상담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상담정보확인신호가 수신됨이 확인되면, 409동작을 수행한다. 409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시술자 장치(150)로부터 수신된 상담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411동작을 수행한다. 상담 정보는, 시술자가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을 위해 피시술자와 상담할 때 필요한 정보로, 정합 이미지, 예측 이미지 및 플래닝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407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상담정보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411동작을 수행한다. 411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피시술자로부터 시술 스케줄을 확인하기 위한 시술스케줄 확인신호가 수신됨이 확인되면 413동작을 수행하고, 시술스케줄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시술스케줄 확인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413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시술자 장치(150)에서 생성된 시술 스케줄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415동작을 수행한다.
415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피시술자로부터 시술 스케줄에 대응되는 날짜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날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417동작을 수행하고, 변경날짜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421동작을 수행한다. 417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변경날짜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날짜로 시술 스케줄에 대한 변경신호를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한다. 419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를 시술자 장치(150)로부터 시술 스케줄에 대한 변경이 완료됨을 알리는 변경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421동작을 수행하고, 변경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415동작으로 회귀하여 상기의 동작을 재수행한다.
421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시술 스케줄에 대응되는 시술 시각이 도래하는지 확인한다. 421동작의 확인결과, 시술 시각이 도래하면 423동작에서 피시술자 장치(100)는 시술 시각이 도래함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한다. 421동작의 확인결과, 시술 시각이 도래하지 않으면 피시술자 장치(100)는 시술 시각의 도래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술자 장치에서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외부로부터 피시술자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신호에 대한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획득신호는 시술자 장치(150)에 구비된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501동작의 확인 결과, 획득신호가 수신되면 시술자 장치(150)는 503동작을 수행하고, 획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획득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503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피시술자의 정보를 획득한다. 피시술자의 정보는, 피시술자의 이름, 피시술자의 성별, 피시술자의 나이, 전신병력, 치아 타입, 인공 치아의 시술이 필요한 식립 위치에 대한 치아 번호, 피시술자의 안면 이미지, 피시술자의 두부를 촬영한 CT촬영이미지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한 오랄스캔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면 이미지는 복수의 2D 이미지 또는 3D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술자 장치(150)는 안면촬영장치(미도시), CT촬영장치(미도시) 및 오랄스캔장치(미도시)를 포함하는 영상장치와 연결되거나, 영상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505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시술자로부터 획득된 피시술자 정보에 대한 소견을 입력받는다. 이때, 505동작을 생략 가능하다.
507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획득된 피시술자 정보 및 입력된 소견을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시술자 장치(150)는 서비스 장치(200)와 무선 통신 등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509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 피시술자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상담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한다. 상담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도 6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술자 장치에서 상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601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정합 이미지를 수신하고, 603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수신된 정합 이미지를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한다. 시술자는 정합 이미지를 통해 피시술자의 하악 치조의 신경, 상악동 및 전치부 절치공 형상 및 골밀도 등을 포함하는 신경 및 골형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시술자는 표시된 정합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중 어느 위치에 인공 치아를 식립할 것인지 등과 같은 인공 치아 시술과 관련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시술자 장치(15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정합 이미지가 수신되기 이전에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재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재촬영하여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605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예측 이미지를 수신하고, 607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수신된 예측 이미지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예측 이미지는, 인공 치아 시술 후 피시술자의 안면 변화를 예측한 이미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측 이미지는 정합 이미지에서 확인되는 인공 치아를 식립할 적어도 하나의 식립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가 가상으로 배치되고,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가 배치된 정합 이미지를 피시술자의 안면 이미지에 결합한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이미지일 수 있다. 시술자는 표시된 예측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와 인공 치아의 시술이 완료된 이후에 피시술자의 안면 변화에 대하여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아울러, 605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피시술자와 시술 조건이 임계치 이상 유사한 다른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 전과 후의 안면 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609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플래닝 데이터를 수신하고, 611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수신된 플래닝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플래닝 데이터는, 피시술자에 인공 치아를 시술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로,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시술될 픽스츄어의 식립 정보 및 드릴링가이드 정보를 의미한다. 픽스츄어의 식립 정보는, 구강 내부에서 픽스츄어가 식립될 식립 위치, 직경 및 길이를 포함하는 규격, 식립 방향, 식립 깊이, 픽스츄어의 종류 등을 포함한다. 드릴링가이드 정보는, 픽스츄어가 식립될 천공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품번, 종류, 이미지, 명칭 등의 정보와, 픽스츄어가 식립될 위치에서의 삽입 깊이를 나타내는 삽입 깊이정보,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사용순서정보를 포함한다. 시술자는, 플래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 치아 시술이 필요한 식립 위치에 삽입될 픽스츄어, 픽스츄어와 결합될 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와 결합될 크라운에 대하여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플래닝 데이터 중 픽스츄어 식립 정보는 정합 이미지에 적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정합 이미지 수신 및 표시, 예측 이미지 수신 및 표시, 플래닝 데이터 수신 및 표시가 순차적으로 동작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정합 이미지, 예측 이미지 및 플래닝 데이터가 순차적 또는 일시적으로 수신된 이후에 표시될 수 있다.
613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컨펌 신호가 수신됨이 확인되면 617동작을 수행한다. 617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플래닝 데이터를 컨펌하였음을 알리는 컨펌 신호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고 도 5의 511동작으로 리턴한다.
613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컨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615동작을 수행한다. 615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플래닝 데이터를 수정하고 617동작을 수행한다. 617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수정된 플래닝 데이터인 수정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고 도 5의 611동작으로 리턴한다. 이때, 시술자 장치(150)가 플래닝 데이터를 수정하면, 시술자 장치(150)는 예측 이미지를 수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511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스케줄 정보를 수신한다. 스케줄 정보는, 플래닝 데이터에 따른 보철물의 제작 시간 및 보철물의 배송 시간을 반영한 스케줄 정보이다. 513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스케줄 정보를 기반으로 피시술자의 시술 스케줄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시술자 장치(150)는 시술자로부터 시술 스케줄을 입력받을 수 있고, 스케줄 정보와 대기중인 다른 피시술자들의 진료 및 시술 시간 등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시술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515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생성된 시술 스케줄을 피시술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아울러, 시술자 장치(150)는 시술 스케줄을 생성한 이후에 보철물의 배송 상태, 다른 피시술자들의 진료 및 시술 진행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시술 스케줄을 갱신하여 피시술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517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피시술자 장치(100)로부터 스케줄 변경 요청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517동작의 확인결과, 스케줄 변경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시술자 장치(150)는 519동작을 수행한다. 519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피시술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스케줄 변경 요청신호를 기반으로 피시술자의 시술 스케줄을 변경하고 521동작을 수행한다. 517동작의 확인결과, 스케줄 변경 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시술자 장치(150)는 521동작을 수행한다.
521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시술 스케줄을 기반으로 피시술자의 시술 날짜 예컨대, 시술 시각의 도래여부를 확인한다. 521동작의 확인결과, 시술 날짜가 도래하면 523동작에서 시술자 장치(150)는 피시술자에 대한 인공 치아 시술 날짜임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시술자 장치(150)는 인공 치아 시술 수행 시,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플래닝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521동작의 확인결과, 시술 날짜가 도래하지 않으면 시술자 장치(150)는 시술 날짜의 도래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1동작에서 제어부(220)는 시술자 장치(150)로부터 피시술자 정보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701동작의 확인 결과, 피시술자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220)는 703동작을 수행하고, 피시술자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220)는 피시술자 정보의 수신을 대기한다. 이때, 피시술자 정보는, 피시술자의 이름, 피시술자의 성별, 피시술자의 나이, 전신병력, 치아 타입, 인공 치아의 시술이 필요한 식립 위치에 대한 치아 번호, 피시술자의 안면 이미지, 피시술자의 두부를 촬영한 CT촬영이미지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한 오랄스캔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면 이미지는 복수의 2D 이미지 또는 3D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시술자 정보는, 시술자 장치(150)에서 입력한 피시술자에 대한 시술자의 소견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시술자의 소견은, 피시술자의 잇몸 상태 등에 따른 인공 치아 시술 시 유의 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703동작에서 제어부(220)는 피시술자에 대한 상담 정보를 생성한다. 상담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도 8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 상담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01동작에서 제어부(220)는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의 데이터 형식을 확인한다. 제어부(220)는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형식을 정합 표준 데이터 형식과 비교한다. 803동작에서 제어부(220)는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의 데이터 형식을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정합 표준 데이터 형식과 상이한 데이터 형식을 갖는 이미지의 데이터 형식을 정합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일반적으로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는 파일 확장자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데이터 형식의 변환없이 정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의 품질 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정합 표준 데이터 형식과 동일한 데이터 형식을 변환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장치(200)는 디코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805동작에서 제어부(220)는 변환된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의 정합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예컨대, 피시술자의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 획득 시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마커가 부착된 상태로 획득되면, 제어부(220)는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마커를 확인한다. 이때, 레퍼런스 마커는 인공 치아를 시술하고자 하는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부착되는 마커로, 인공 치아의 시술 위치, 잇몸 등 다양한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마커를 이용하여 두 개의 이미지에 대한 정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피시술자의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 획득 시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레퍼런스 마커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획득되면, 제어부(220)는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위치를 선택한다. 제어부(22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위치에 생성형 레퍼런스 마커를 적용하고, 생성형 레퍼런스 마커에 깊이 맵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깊이 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출된 동일한 위치에 대한 깊이 값을 이용하여 정합 성공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805동작의 확인결과, 두 개의 이미지가 정합 가능하면 제어부(220)는 811동작을 수행하고, 정합이 불가능하면 제어부(220)는 807동작을 수행한다. 807동작에서 제어부(220)는 시술자 장치(150)로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를 재요청한다. 809동작에서 제어부(220)는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가 재수신되면 801동작으로 회귀한다. 809동작에서 제어부(220)는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가 재수신되지 않으면 807동작으로 회귀하여 시술자 장치(150)로 이미지의 재요청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811동작에서 제어부(220)는 변환된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의 정합을 수행한다. 제어부(220)는 CT촬영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마커와 오랄스캔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를 동일한 위치에서 중첩될 수 있도록 오랄스캔이미지를 제어하여 두 개의 이미지를 정합하여 813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제어부(220)는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의 이미지 분석을 수행한다. 제어부(220)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CT촬영이미지에 포함된 레퍼런스 마커의 개수, 레퍼런스 마커 사이의 각도, 각 레퍼런스 마커의 방위 및 레퍼런스 마커의 상대적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오랄스캔이미지에 포함된 레퍼런스 마커의 개수, 레퍼런스 마커 사이의 각도, 각 레퍼런스 마커의 방위 및 레퍼런스 마커의 상대적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레퍼런스 마커의 방위를 확인하기 위해서 레퍼런스 마커는, 구형, 평면형, 다각형 및 원통형 및 그 밖의 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220)는 레퍼런스 마커의 원점을 기준으로 x, y, z값을 확인하여 방위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결과에 따라, 제어부(220)는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 이후에 각각의 이미지에 포함된 레퍼런스 마커 중에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해야 하지만,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레퍼런스 마커를 추출한다. 제어부(220)는 추출된 레퍼런스 마커의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오랄스캔이미지의 비율, 방향 및 각도를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오랄스캔이미지의 제어를 통해 CT촬영이미지에 포함된 레퍼런스 마커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해야 하는 오랄스캔이미지에 포함된 레퍼런스 마커를 서로 일치시킬 수 있다. 제어부(220)는 CT촬영이미지에 포함된 레퍼런스 마커와 오랄스캔이미지에 포함된 레퍼런스 마커가 일치되면, 두 개의 이미지를 정합하여 하나의 3차원 정합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정합 이미지 생성 후에 정합 이미지에 포함된 레퍼런스 마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이 될 수 있는 레퍼런스 마커를 선택한다. 제어부(220)는 선택된 레퍼런스 마커의 깊이 값을 산출한다. 제어부(220)는 산출된 레퍼런스 마커에 대한 깊이 값의 조절을 통해 정합 이미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정합 이미지로부터 피시술자의 치열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피시술자 정보로서 메모리(210)에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정합은 플래너의 입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제어부(220)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깊이 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출된 동일한 위치에 대한 깊이 값을 이용하여 정합 성공 가능성이 확인된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를 정합한다. 제어부(220)는 CT촬영이미지에서 복수의 위치에 대한 깊이 값을 산출하고, CT촬영이미지에서 선택된 복수의 위치에 동일한 복수의 위치를 오랄스캔이미지에서 선택한다. 제어부(220)는 선택된 오랄스캔이미지에서의 복수의 위치에 대한 깊이 값을 CT촬영이미지에서 산출된 깊이 값과 동일하도록 오랄스캔이미지의 비율, 방향 및 각도를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CT촬영이미지와 깊이 값이 동일해진 오랄스캔이미지를 CT촬영이미지와 정합하여 정합 이미지를 생성한다.
813동작에서 제어부(220)는 이미지 정합의 성공여부를 확인한다. 813동작의 확인결과, 이미지 정합이 실패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20)는 807동작을 수행한다. 807동작에서 제어부(220)는 시술자 장치(150)로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 중 오류가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재요청한다. 809동작에서 제어부(220)는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재수신되면 801동작으로 회귀한다. 809동작에서 제어부(220)는 이미지가 재수신되지 않으면 807동작으로 회귀하여 시술자 장치(150)로 이미지의 재요청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813동작의 확인결과, 이미지 정합이 성공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20)는 815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정합 이미지는 3차원 이미지로, 피시술자의 하악 치조의 신경, 상악동 및 전치부 절치공 형상 및 골밀도 등을 포함하는 신경 및 골형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815동작에서 제어부(220)는 정합 이미지를 기반으로 예측 이미지를 생성한다. 예측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9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 예측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901동작에서 제어부(220)는 메모리(210)에 저장된 다른 피시술자들에 대한 빅데이터를 호출한다. 빅데이터는, 다른 피시술자들에 대한 시술 정보로, 다른 피시술자에 대한 이름, 성별, 나이, 치아 타입, 인공 치아 시술을 수행한 식립 위치에 대한 치아 번호, 치열 상태, 안면 이미지, CT촬영이미지, 오랄스캔이미지, 정합 이미지, 플래닝 데이터 및 인공 치아 시술 전후의 안면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903동작에서 제어부(220)는 도 7의 701동작에서 수신된 피시술자의 정보와 시술 조건이 임계치 이상 유사한 다른 피시술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메모리(210)에 저장된 빅데이터 중에서 701동작에서 수신된 피시술자의 성별, 나이, 치아 타입, 식립 위치에 대응되는 치아 번호, 치열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분적으로 비교 조합하여 시술 조건이 임계치 이상 유사한 다른 피시술자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903동작의 확인 결과, 피시술자의 정보와 시술 조건이 임계치 이상 유사한 다른 피시술자가 존재하면, 제어부(220)는 905동작을 수행한다. 905동작에서 제어부(220)는 다른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 전과 후의 안면 이미지를 추출하여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한다. 시술자 장치(150)의 시술자가 피시술자와 시술 조건이 유사한 다른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 전과 후의 안면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에 대한 인공 치아 시술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피시술자가 인공 치아 시술을 진행하고자 하는 식립 위치에 대응되는 치아 번호가 23번이면, 제어부(220)는 23번에 인공 치아를 시술한 다른 피시술자의 시술 전후 안면 이미지를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피시술자가 인공 치아 시술을 진행하고자 하는 식립 위치에 대응되는 치아 번호가 41번, 23번일 경우, 제어부(220)는 41번, 23번에 인공 치아를 시술한 두 명의 다른 피시술자의 시술 전후 안면 이미지를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907동작에서 제어부(220)는 다른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 시에 사용된 플래닝 데이터를 호출하고 911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피시술자가 복수의 식립 위치에 인공 치아를 시술하고자 할 경우, 각각의 식립 위치에 대응되는 치아 번호와 관련된 플래닝 데이터를 호출할 수 있다. 911동작에서 제어부(220)는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후의 예측 이미지를 생성하고 도 8의 817동작으로 리턴한다. 이때, 예측 이미지는, 인공 치아 시술 후에 피시술자의 얼굴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이미지일 수 있다.
903동작의 확인 결과, 피시술자의 정보와 시술 조건이 임계치 이상 유사한 다른 피시술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220)는 909동작을 수행한다. 909동작에서 제어부(220)는 피시술자의 정합 이미지를 기반으로 플래닝 데이터를 생성하고, 911동작을 수행한다. 911동작에서 제어부(220)는 피시술자의 안면 이미지에 플래닝 데이터를 적용하여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 후의 예측 이미지를 생성하고 도 8의 817동작으로 리턴한다.
817동작에서 제어부(220)는 도 8에서 생성된 정합 이미지와 도 9에서 생성된 예측 이미지 및 플래닝 데이터를 메모리(210)에 저장하고, 819동작을 수행한다. 819동작에서 제어부(220)는 정합 이미지, 예측 이미지 및 플래닝 데이터를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하고 도 7의 705동작으로 리턴한다.
705동작에서 제어부(220)는 시술자 장치(150)로부터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컨펌 신호가 수신됨이 확인되면 709동작을 수행하고, 705동작에서 제어부(220)는 시술자 장치(150)로부터 컨펌 신호가 수신되지 않음이 확인되면 707동작을 수행한다. 707동작에서 제어부(220)는 시술자 장치(150)로부터 플래닝 데이터가 수정된 수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709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수정 데이터를 메모리(210)에 빅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709동작에서 제어부(220)는 스케줄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스케줄 정보는, 플래닝 데이터에 따른 보철물을 생성하여 시술자에게 배송되는 스케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711동작에서 제어부(220)는 생성된 스케줄 정보를 시술자 장치(150)로 전송하고 713동작에서 제어부(220)는 스케줄 정보에 따라 가이드를 생성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비스 장치(200)의 관리자인 플래너는 생성된 가이드를 기반으로 보철물의 제작이 완료되면, 택배 등의 물류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시술자 장치(150)의 사용자인 시술자에게 배송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9)

  1. 피시술자 이미지에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를 가상 배치하는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 수신 시 상기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정합하여 정합 이미지를 생성하는 정합부;
    상기 정합 이미지에서 상기 인공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식립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인공 치아 식립 위치에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를 가상으로 배치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 배치에 따른 인공 치아 시술 예측 이미지를 생성하는 상담용 배치부; 및
    상기 정합 이미지에 상기 인공 치아의 식립 위치에 하나 이상의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를 가상으로 배치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식립 위치에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선택을 포함하는 상기 피시술자에 대한 시술 플래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플래닝용 배치부;
    를 포함하되,
    상기 상담용 배치부에서 이용되는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는 상기 시술 플래닝 생성 이전에 선택된 것이며,
    상기 플래닝용 배치부에서 이용되는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는 상기 시술 플래닝을 위해 피시술자에 맞춤형으로 선택되고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술 플래닝에 따라 상기 정합 이미지에 선택된 인공 치아의 부품 이미지인 픽스츄어 이미지, 어버트먼트 이미지 및 크라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식립 위치에 가상으로 시술하는 가상시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용 배치부는,
    상기 피시술자의 안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 배치에 따른 상기 피시술자의 안면 이미지의 변화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완료된 인공 치아 시술에 대하여, 피시술자 정보, 적어도 하나의 픽스츄어 이미지가 가상으로 배치된 정합 이미지, 예측 이미지, 플래닝 데이터, 인공 치아 시술 전후의 비교 이미지를 각각의 인공 치아 시술에 대하여 빅데이터로 저장하는 빅데이터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용 배치부는,
    상기 빅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빅데이터 중에서 상기 피시술자의 시술 조건과 임계치 이상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피시술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피시술자에 대한 상기 예측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술 조건은,
    피시술자의 성별, 나이, 치아 타입, 식립 위치, 치열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용 배치부는,
    상기 빅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빅데이터 중에서 상기 피시술자의 시술 조건과 임계치 이상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피시술자에 대한 인공 치아 시술 전과 후에 대한 안면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저장부에 상기 피시술자에 대한 과거 정보가 기저장된 상태이면, 상기 과거 정보와 상기 피시술자 정보를 비교하여 치료가 필요한 부분을 확인하는 진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9. 피시술자 이미지에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를 가상 배치하는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방법에 있어서,
    CT촬영이미지 및 오랄스캔이미지 수신 시 상기 CT촬영이미지와 오랄스캔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정합하여 정합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정합 이미지에서 상기 인공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식립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인공 치아 식립 위치에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를 가상으로 배치하는 동작;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 배치에 따른 인공 치아 시술 예측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정합 이미지에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의 이미지를 가상으로 배치하되, 피시술자에 맞춤형으로 상기 인공 치아의 부품 또는 전체를 선택하고 조정하여 상기 피시술자에 대한 시술 플래닝을 수립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70060563A 2017-05-16 2017-05-16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가상 배치 방법 KR102424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563A KR102424097B1 (ko) 2017-05-16 2017-05-16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가상 배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563A KR102424097B1 (ko) 2017-05-16 2017-05-16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가상 배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794A true KR20180125794A (ko) 2018-11-26
KR102424097B1 KR102424097B1 (ko) 2022-07-25

Family

ID=64602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563A KR102424097B1 (ko) 2017-05-16 2017-05-16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가상 배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09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810A (ko) * 2008-08-28 2010-03-10 (주)이우테크놀로지 가상 치아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10001278A (ko) * 2009-06-30 2011-01-06 이한나 얼굴 비율에 따른 치아성형/임플란트 시술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10020323A (ko) * 2009-08-19 2011-03-03 주식회사바텍 보철을 위한 치아 모델 처리 장치와 그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19241A (ko) * 2013-08-13 2015-02-25 이희서 원격 제작 가능한 치아 성형 시스템 및 방법
KR101550369B1 (ko) * 2014-12-05 2015-09-08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크라운,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KR20160142142A (ko) * 2015-06-02 2016-12-12 와이메디칼네트워크 주식회사 치아 3d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한 치과 이력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810A (ko) * 2008-08-28 2010-03-10 (주)이우테크놀로지 가상 치아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10001278A (ko) * 2009-06-30 2011-01-06 이한나 얼굴 비율에 따른 치아성형/임플란트 시술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10020323A (ko) * 2009-08-19 2011-03-03 주식회사바텍 보철을 위한 치아 모델 처리 장치와 그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19241A (ko) * 2013-08-13 2015-02-25 이희서 원격 제작 가능한 치아 성형 시스템 및 방법
KR101550369B1 (ko) * 2014-12-05 2015-09-08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크라운,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KR20160142142A (ko) * 2015-06-02 2016-12-12 와이메디칼네트워크 주식회사 치아 3d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한 치과 이력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097B1 (ko) 202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4096B1 (ko) 인공 치아 시술용 영상 정합을 위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정합 방법
US10485614B2 (en)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for dental surgery
KR102417565B1 (ko)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치아 시술 서비스 방법
US20150343709A1 (en) Database and marketplace for medical devices
US20100105011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ooth Implant Planning And Tooth Implant Kits
US20130172731A1 (en) Image-overlay medical evaluation devices and techniques
US20070154866A1 (en) System & method for the design, creation and installation of implant-supported dental prostheses
EP3524139B1 (en) Mobile apparatus-linked implant evaluation system
WO2020153410A1 (ja) 施術支援システム、処理装置、及びプレート
US20140324182A1 (en) Control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ositioning an endoprosthesis
CN114302691A (zh) 用于正畸治疗的分析和预测模型
KR102419010B1 (ko) 인공 치아 시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시술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치아 시술 정보 제공 방법
KR102191798B1 (ko) 임플란트 수술결과 평가방법 및 장치, 그를 위한 스캔정보 획득방법
CN210784765U (zh) 兼具光学导航功能的数字化种植导板及种植系统
KR101934008B1 (ko) 인공 치아의 플랜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KR20180125794A (ko)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가상 배치 방법
WO2020171665A2 (ko) 치과 임플란트 수술지원 시스템
KR101941096B1 (ko) 인공 치아의 시술 가이드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1870901B1 (ko) 인공 치아 시술을 위한 오브젝트 주문 시스템 및 방법
CN202920375U (zh) 植牙导航透视一次性整合系统
KR101928985B1 (ko) 인공 치아의 시술 가이드를 확인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586205B1 (ko) 치아 치료를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1913810B1 (ko) 피시술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KR101913814B1 (ko) 피시술자의 플래닝 데이터를 수정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KR20160133086A (ko) 치과치료전문가의 치과치료 노하우를 이용하는 치과치료 컨설팅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