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792A - 보체불활성화법을 이용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개선된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보체불활성화법을 이용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개선된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792A
KR20180125792A KR1020170060560A KR20170060560A KR20180125792A KR 20180125792 A KR20180125792 A KR 20180125792A KR 1020170060560 A KR1020170060560 A KR 1020170060560A KR 20170060560 A KR20170060560 A KR 20170060560A KR 20180125792 A KR20180125792 A KR 20180125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porin
antibody
cell line
sample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042B1 (ko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70060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042B1/ko
Publication of KR20180125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54Immunoglobul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8Neurolog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원은 보체불활성화법을 이용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개선된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신경 척수염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체불활성화법을 이용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개선된 검출 방법 {IMPROVED METHOD FOR DETECTING ANTI-AQUAPORIN 4 ANTIBODY USING COMPLEMENT INACTIVATION}
본원은 보체불활성화법을 이용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개선된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신경 척수염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신경 척수염(neuromyelits optica, NMO)은 대표적인 불치 뇌질환 중 하나로서, 중추신경과 시신경에 영향을 주는 염증성 탈수초성 자가면역질환이다. 시신경 척수염은 성상 세포에서 주로 발현되는 아쿠아포린 4라는 수분 전달 통로 단백질에 대한 시신경 척수염 특이항체의 유무로 다른 질병과 구별될 수 있다. 아쿠아포린 4 단백질은 뇌와 중추신경을 염증세포로부터 보호하는 혈 뇌 장벽을 구성하고 있는 성상세포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항-아쿠아포린 4 항체와 아쿠아포린 4의 결합은 시신경 척수염 발병 과정에서 핵심이 되는 주요 기전인데, 시신경 척수염 특이항체인 항-아쿠아포린 4 항체가 항원인 아쿠아포린 4에 결합하면서 보체매개 세포독성 혹은 항체의존성 세포 매개성 세포독성을 유발하여 성상세포에 손상을 주게 되어 시신경 척수염을 발병시킨다.
항-아쿠아포린 4 항체는 시신경 척수염 환자에서 검출되나, 정상인과 기타의 신경학적 질환 환자에서는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혈액의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유무는 시신경 척수염의 진단에 매우 특이적인 진단적 검사로써 2015년 국제패널진단 기준에 명시되어 있다 (2015 international panel criteria for diagnosis of NMOSD). 또한 시신경 척수염 환자에서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유무는 진단적 지표일 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예후 예측 및 치료에 대한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이기도 하다.
이러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검출은 종래 알려진 면역학적 방법을 통해 수행되어 왔다. 다양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검출 방법의 개략도가 도 1에 나타나 있다. 특히 아쿠아포린 4를 발현하는 살아있는 세포주를 이용한 검사법인 세포기반 측정법(cell-based assay, CBA) 및 유세포분석법(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FACS)은 민감도와 특이도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장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 검사법의 정확도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 2에 표시되어 있다.
다만, 종래의 아쿠아포린 4 발현 세포주를 이용한 검사법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었다. 첫째로, 매 회 검사시마다 세포주에 인간 아쿠아포린 4 유전자를 형질감염시켜야 하므로 (주로 HEK-293 세포주 사용) 각각의 검사마다 세포주의 아쿠아포린 4 발현의 정도에 심한 차이가 유발되었다 (Waters, et al., Aquaporin-4 antibodies in neuromyelitis optica and longitudinally extensive transverse myelitis Archives neurology 2008). 이러한 아쿠아포린 4 의 발현 정도 차이는 매 검사시마다 심한 변동성을 유발하였다. 또한, 매 검사시마다 세포주에 인간 아쿠아포린 4 유전자를 형질감염시켜야 했으므로 이에 따라 검사 시간과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환자 혈액 내의 보체(complement)는 항-아쿠아포린 4 항체화의 작용으로 인해 보체매개 세포독성(CDC)을 일으킨다. 따라서 높은 항-아쿠아포린 4 항체 활성을 가지는 환자의 혈액은 검사에 필요한 아쿠아포린 4 발현 세포주를 사멸시키고, 이러한 세포주의 사멸은 높은 질병 활성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혈액 검사 결과를 위음성으로 판독할 가능성을 내포하였다. 또한, 이러한 세포주 사멸은 높은 항-아쿠아포린 4 항체 활성을 가지는 환자 혈액에서의 항원-항체 반응을 낮게 평가하게 되어 검사의 정량화에 장애가 되었다.
시신경 척수염의 진단을 위해 환자의 시료 내 항-아쿠아포린 4 항체를 검출하는 데에 있어서, 높은 민감도와 특이성을 위해 살아있는 세포주를 이용하는 경우 검사간의 변동성(inter-trial variability)이 심하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높은 활성도의 항체에 의해 세포가 사멸하여 검사시 위음성 출현 가능성이 높으며, 세포 사멸로 인해 항체 정량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원발명은,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검출을 위해 살아있는 세포주를 이용하는 분석 방법에 있어서, 아쿠아포린 4를 안정적으로 과발현하는 세포주를 이용하고 여기에 보체불활성화 원리를 도입함으로써 상기 나열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 내의 보체(complement)를 불활성화시키고; 아쿠아포린 4를 발현하는 세포주를 상기 시료로 처리하고; 항-아쿠아포린 4 항체와 상기 세포주의 결합 여부를 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검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본원의 제 1 측면의 방법에 따라 항-아쿠아포린 4 항체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신경 척수염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구현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구현예 및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살아있는 세포주를 이용해 항-아쿠아포린 4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아쿠아포린 4를 안정적으로 과발현하는 세포주 U87MG-AQP4를 이용함으로써, 검사시 세포주의 아쿠아포린 4 발현량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검사간 변동성을 감소시키고, 검사시마다 일시적으로 아쿠아포린 4의 cDNA를 형질감염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자 하였다. 또한, 여기에 추가적으로 검사 전에 시료 내 보체를 불활성화시킴으로써, 항체 활성이 높은 시료에 의한 세포주 사멸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검사의 위음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항체를 정확하게 정량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다양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 검사법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다양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 검사법들의 정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살아있는 세포 (transient cell line, HEK-293 cell)를 이용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 검사 결과의 예시이다.
도 4는 종래의 유세포분석법에 의한 항-아쿠아포린 항체 검사시의 세포주 사멸에 따른 위음성 결과의 예시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인간 아쿠아포린 4 발현 세포주 제작을 위한 벡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간 아쿠아포린 4 발현 세포주의 제작을 확인한 형광 이미지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간 아쿠아포린 4 발현 세포주를 이용하여 종래의 유세포 분석법에 의해 항-아쿠아포린 4 항체 검사를 실시한 결과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간 아쿠아포린 4 발현 세포주를 이용하여 종래의 유세포 분석법에 의해 항-아쿠아포린 4 항체 검사를 실시한 결과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간 아쿠아포린 4 발현 세포주를 이용하여 보체불활성화법을 적용한 유세포 분석법에 의해 항-아쿠아포린 4 항체 검사를 실시한 결과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간 아쿠아포린 4 발현 세포주를 이용하여 보체불활성화법을 적용한 유세포 분석법에 의해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정량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도 11은 종래의 방법과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체불활성화법에 따라 유세포 분석법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한다.
이하, 본원의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검출 방법 및 시신경 척수염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 내의 보체(complement)를 불활성화시키고; 아쿠아포린 4를 발현하는 세포주를 상기 시료로 처리하고; 항-아쿠아포린 4 항체와 상기 세포주의 결합 여부를 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검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시신경 척수염(NMO)은 데빅씨 병(Devic's disease) 또는 데빅증후군(Devic's syndrome)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환자의 자체 면역시스템이 시신경과 척수를 공격하여 시신경염과 척수염을 유발하는 자가면역성, 염증성 이상이다. NMO 환자에서의 자가면역공격의 목표가 바로 아쿠아포린 4(aquaporin 4, AQP4)로 알려진 신경계 세포의 단백질이므로, NMO 환자의 혈액 및 뇌척수액 등에서는 항-아쿠아포린 4 항체가 발견된다.
이러한 시신경 척수염의 진단을 위해 환자의 시료 내 항-아쿠아포린 4 항체를 검출하는 데에 있어서, 높은 민감도와 특이성을 위해 살아있는 세포주를 이용하는 경우 검사간의 변동성(inter-trial variability)이 심하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높은 활성도의 항체에 의해 세포가 사멸하여 검사시 위음성 출현 가능성이 높으며, 세포 사멸로 인해 항체 정량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은 살아있는 세포를 이용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 검사 (FACS) 결과의 예시이다. FACS 결과는 아래와 같이 분석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도 4는 살아있는 세포를 이용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 검사 (FACS)시 높은 활성의 항체로 인한 위음성 검사결과의 예시이다. 도 4에 따르면, FACS 결과 양성으로 표시되어야 하는 세포들이 사멸하여 음성으로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세포의 사멸은 보체매개 세포독성으로 인한 것이므로, 본원발명의 방법에 따라 본격적인 검사 전에 시료를 보체불활성화 처리함으로써 위음성 결과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주를 시료로 처리하는 것은 세포주를 시료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세포주를 시료와 접촉시킨 후 인큐베이션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시료는 전혈, 혈청, 혈장 및 뇌척수액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항-아쿠아포린 4 항체 및 보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체액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시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세포주는 한국세포주은행(KCLB)에 수탁번호 KCLRF-BP-00400로 기탁된, 아쿠아포린 4를 과발현하는 U87MG 세포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항-아쿠아포린 4 항체와 상기 세포주의 결합 여부를 탐지하는 것은, 세포주에서 발현되는 아쿠아포린 4와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결합을 2차 항체를 이용해 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차 항체는 항-아쿠아포린 4 항체를 인식하여 결합하며, 상기 2차 항체에 결합된 발색 물질을 이용해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색 물질은 형광 물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항-아쿠아포린 4 항체와 상기 세포주의 결합 여부를 탐지하는 것은 유세포분석(FACS) 또는 세포기반 분석(CBA)에 의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시료 내의 보체를 불활성화시키는 것은 시료를 약 45℃ 내지 약 65℃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료 내의 보체를 불활성화시키는 것은 시료를 약 50℃ 내지 약 60℃, 또는 약 56℃로 가열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시료를 가열하여 약 10 분 내지 약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큐베이션은 약 20 분 내지 약 50 분, 약 25 분 내지 약 40 분, 또는 약 30 분 동안 수행됨으로써 보체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본원의 제 1 측면의 방법에 따라 항-아쿠아포린 4 항체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신경 척수염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환자의 시료 내에서 항-아쿠아포린 4 항체가 검출되는 경우, 해당 환자는 시신경 척수염을 앓는 환자라고 진단할 수 있다.
본원의 제 1 측면와 관련하여 기술된 내용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본원의 제 2 측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1. U87MG 세포주를 이용한 인간 아쿠아포린 4 발현 안정 세포주 제작
1) 리포펙타민(Lipofectamine) 시약을 이용하여 인간 아쿠아포린 4(AQP4) (M23)이 삽입된 pIRES-DsRed2 벡터 (도 5)를 U87MG 세포주에 형질감염시켰다.
2) 형질감염된 U87MG 세포주에 네오마이신을 처리하여 인간 AQP4를 발현하는 세포주만을 선택(selection)하였다.
3) 각각의 세포주를 단일 콜로니로 96 웰 플레이트에 배양한 후 다시 네오마이신을 처리하였다.
4) 위 3의 과정을 반복하여 안정적으로 AQP4를 발현하는 세포의 콜로니를 선택하였다.
5) 형광현미경으로 AQP4를 포함하는 세포의 dsRED 시그널을 확인하였다 (도 6).
2. AQP4 발현 U87MG 세포주를 이용한 종래의 유세포분석법 기반 항- 아쿠아포린 4 항체 검사
1) AQP4를 발현하는 U87MG 세포주(AQP4-U87MG) 5X106 개를 FACS 버퍼로 세척한 후, 2 mL의 혈청 (환자 또는 대조군으로부터 얻은)를 추가하였다.
2) 혼합물을 4℃에서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후 FACS 버퍼로 세척하고, 다시 1800 rpm에서 3 분간 원심분리하였다.
3) FITC를 발현하는 항-인간 IgG (2차 항체)를 혼합물에 추가하고 4℃에 30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4) 유세포분석기로 분석하였다 (도 6).
종래의 유세포분석법에 기반하여, 10 명의 환자에서 dsRed-AQP4 발현 U87MG 세포주를 이용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 검사를 실시하였다. AQP4와 반응이 강한 시료 (AQP4에 대한 항체가 있는 시료)일수록 닷 플랏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7). 도 7에서 1 LSH 환자와 4 KHS 환자가 검사 양성에 해당한다.
도 8은 dsRed-AQP4 발현 U87MG 세포주를 이용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 검사에서 높은 활성을 가진 시료에 의한 세포의 사멸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NMO 1/25 농도 시료에서는 높은 활성의 항체로 인해 세포주의 사멸이 발생하여 검사가 불가하였다. 또한 NMO 1/50 농도 시료는 NMO 1/100 농도 시료에 비해 2 배 높은 활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일부 세포주의 사멸로 인해 오히려 항원-항체 반응의 정도가 낮게 측정되었다.
3. AQP4 -발현 U87MG 세포주와 보체불활성화를 이용한 유세포분석법 기반 항-아쿠아포린 4 항체 검사
1) 위 실시예 2. 항목의 검사법 중 1) 단계에서 사용할 환자의 혈청을 56℃도에서 3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보체를 불활성화시켰다.
2) 이후 위 실시예 2. 항목의 2) 내지 4) 단계를 수행하였다.
3) 보체불활성화를 시키지 않은 serum과 보체불활성화를 시킨 항체의 역가를 비교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라 보체불활성화를 시킨 dsRed-AQP4 발현 U87MG 세포주를 이용하여 항-아쿠아포린 4 항체 검사를 수행한 경우, 세포 사멸이 없어 높은 활성의 시료 (1/25)도 안정적으로 검사가 가능하였다 (도 9). 보체불활성화를 시킨 dsRed-AQP4 발현 U87MG 세포주를 이용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 검사의 히스토그램이 도 10에 나타나 있다. 도 10으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라 항-아쿠아포린 4 항체 검사를 수행할 경우 아쿠아포린 4의 농도에 따른 안정적인 정량화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1은 종래의 항-아쿠아포린 4 항체 검사법과 본 실시예에 따른 보체불활성화법(decomplementation)을 적용한 기법에 따른 유세포 분석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종래의 검사법은 특정 항체 농도 이상에서 농도가 올라감에 따라 오히려 FACS 결과의 수치가 감소하는데 반해, 보체불활성화법은 항체의 농도 증가에 따라 비교적 일정한 FACS결과 수치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 내의 보체(complement)를 불활성화시키고;
    아쿠아포린 4를 발현하는 세포주를 상기 시료로 처리하고;
    항-아쿠아포린 4 항체와 상기 세포주의 결합 여부를 탐지하는 것
    을 포함하는,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검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전혈, 혈청, 혈장 및 뇌척수액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검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주는 수탁번호 KCLRF-BP-00400로 기탁된, 아쿠아포린 4를 과발현하는 U87MG 세포주인,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검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아쿠아포린 4 항체와 상기 세포주의 결합 여부를 탐지하는 것은, 세포주에서 발현되는 아쿠아포린 4와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결합을 2차 항체를 이용해 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검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아쿠아포린 4 항체와 상기 세포주의 결합 여부를 탐지하는 것은 유세포분석(FACS) 또는 세포기반 분석(CBA)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검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내의 보체를 불활성화시키는 것은 시료를 45℃ 내지 65℃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검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시료를 50℃ 내지 60℃로 가열하는 것인,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검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시료를 가열하여 10 분 내지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검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항-아쿠아포린 4 항체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신경 척수염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70060560A 2017-05-16 2017-05-16 보체불활성화법을 이용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개선된 검출 방법 KR102089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560A KR102089042B1 (ko) 2017-05-16 2017-05-16 보체불활성화법을 이용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개선된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560A KR102089042B1 (ko) 2017-05-16 2017-05-16 보체불활성화법을 이용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개선된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792A true KR20180125792A (ko) 2018-11-26
KR102089042B1 KR102089042B1 (ko) 2020-03-13

Family

ID=6460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560A KR102089042B1 (ko) 2017-05-16 2017-05-16 보체불활성화법을 이용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개선된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19072A (zh) * 2023-08-28 2023-09-29 迪亚莱博(张家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抗aqp4自身抗体检测的抗原蛋白组合物及化学发光检测试剂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8464B2 (ja) * 2003-11-25 2010-09-08 マヨ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フォー メディカル エデュケーション アンド リサーチ 視神経脊髄炎用マーカー
KR20160147420A (ko) * 2015-06-15 2016-12-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비닐 설폰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시신경 척추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8464B2 (ja) * 2003-11-25 2010-09-08 マヨ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フォー メディカル エデュケーション アンド リサーチ 視神経脊髄炎用マーカー
KR20160147420A (ko) * 2015-06-15 2016-12-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비닐 설폰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시신경 척추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tley J et al., ‘Aquaporin-4 antibody isoform binding specificities do not explain clinical variations in NMO’, Neurol Neuroimmunol Neuroinflamm., 2015, Vol. 2, pp e121.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19072A (zh) * 2023-08-28 2023-09-29 迪亚莱博(张家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抗aqp4自身抗体检测的抗原蛋白组合物及化学发光检测试剂盒
CN116819072B (zh) * 2023-08-28 2023-11-17 迪亚莱博(张家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抗aqp4自身抗体检测的抗原蛋白组合物及化学发光检测试剂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042B1 (ko)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hkawa et al. Autoantibodies to epilepsy-related LGI1 in limbic encephalitis neutralize LGI1-ADAM22 interaction and reduce synaptic AMPA receptors
González‐Gualda et al. A guide to assessing cellular senescence in vitro and in vivo
Ohkawa et al.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ABAA receptor autoantibodies in autoimmune encephalitis
Waters et al. Evaluation of aquaporin‐4 antibody assays
Waters et al. Detection of anti-aquaporin-4 antibodies in neuromyelitis optica: current status of the assays
Jarius et al. Standardized method for the detection of antibodies to aquaporin-4 based on a highly sensitive immunofluorescence assay employing recombinant target antigen
Jarius et al. Aquaporin‐4 antibodies (NMO‐IgG) as a serological marker of neuromyelitis optica: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Cossins et al. The search for new antigenic targets in myasthenia gravis
Illingworth et al. ICCS/ESCCA consensus guidelines to detect GPI‐deficient cells in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PNH) and related disorders part 3–data analysis, reporting and case studies
Sinmaz et al. Autoantibodies in movement and psychiatric disorders: updated concepts in detection methods, pathogenicity, and CNS entry
Gambichler et al. Neurological disorders in patients with bullous pemphigoid: clin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s
CN102203613B (zh) 神经性自身免疫紊乱
Kang et al. Clinical usefulness of cell-based indirect immunofluorescence assay for the detection of aquaporin-4 antibodies in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
CA2744196A1 (en) Methods of detecting a neurological condition via analysis of circulating phagocytes
Armangue et al. EU paediatric MOG consortium consensus: Part 3–Biomarkers of paediatric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antibody-associated disorders
CN108459160A (zh) 生物标志物在制备用于检测中枢神经系统的试剂中的用途
AU2010258757A1 (en) Method and system to detect, diagnose, and monitor the progression of Alzheimer's disease
Molina et al. Detection of autoantibodies in central nervous system inflammatory disorders: Clinical application of cell-based assays
Thouin et al. Comparison of N-methyl-D-aspartate receptor antibody assays using live or fixed substrates
KR102089042B1 (ko) 보체불활성화법을 이용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개선된 검출 방법
US20020004212A1 (en) Detection of surface-associated human leukocyte elastase
Kim et al. Evaluating an in-house cell-based assay for detecting antibodies against muscle-specific tyrosine kinase in myasthenia gravis
Njenga et al. Evaluation of ICT filariasis card test using whole capillary blood: comparison with Knott's concentration and counting chamber methods
KR101885007B1 (ko) 인지기능장애의 진단 방법 및 키트
Simpson et al. Comparison of the EUROIMMUN Dermatology Profile ELISA to the novel BIOCHIP Mosaic 7 for the diagnosis of immunobullous skin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78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308

Effective date: 2020020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