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302A - 사용자 컬렉션을 제공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컬렉션을 제공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302A
KR20180125302A KR1020170060037A KR20170060037A KR20180125302A KR 20180125302 A KR20180125302 A KR 20180125302A KR 1020170060037 A KR1020170060037 A KR 1020170060037A KR 20170060037 A KR20170060037 A KR 20170060037A KR 20180125302 A KR20180125302 A KR 20180125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open market
collection
user coll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브
Priority to KR1020170060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5302A/ko
Publication of KR20180125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을 지원하는 웹 서버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에 따라 오픈 마켓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픈 마켓 서버와, 상기 오픈 마켓 서버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 마켓 서버는, 사용자 정보 관리, 상품 정보 등록, 상품 정보 검색, 상품 상세 정보 제공, 구매 및 결제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상거래 모듈과, 복수의 등록 상품 중에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별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선별한 상품의 목록이 포함된 사용자 컬렉션을 생성하는 사용자 컬렉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통한 오픈 마켓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컬렉션을 제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마케팅에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오픈 마켓 서비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컬렉션을 제공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OPEN MARKET SERVICE SYSTEM AND METHOD PROVIDING USER COLLECTION}
본 발명은 의류, 잡화 등의 상품을 전자 상거래를 통해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접 상품의 마케팅에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픈 마켓은 온라인 상에서 개인이나 소규모 업체가 판매 아이템을 등록하여 구매자에게 직접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총칭한다.
오픈 마켓은 판매자로 하여금 인터넷에서의 판매시스템 구축 및 홍보의 부담을 줄여주고, 구매자로 하여금 다양한 판매 아이템을 종류별, 가격별 등 다양한 형태로 쉽게 검색하여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근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오픈 마켓이 서비스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픈 마켓은 많은 판매자들이 입점하여 유사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데, 각 판매자들은 자신의 제품을 홍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반적인 오픈 마켓에서는 등록된 각 상품에 대한 마케팅을 위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오픈 마켓의 메인 페이지나 별도 페이지에 노출시켜 사용자들이 접속 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면 해당 상품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통적인 마케팅 방법은 마케팅 효율성에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새로운 관점의 마케팅 방법에 대한 시도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픈 마켓 사이트에 등록된 상품(예를 들어, 의류, 잡화 등) 중에 사용자가 상품을 직접 선별하여 사용자 컬렉션을 제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마케팅에 참여할 수 있는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복수의 등록 상품 중에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별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가 선별한 상품의 목록이 포함된 사용자 컬렉션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컬렉션의 상품을 다른 사용자가 구매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컬렉션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오픈 마켓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컬렉션은 개별적인 URL이 할당된 사용자 컬렉션 페이지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픈 마켓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컬렉션 페이지에는 해당 사용자 컬렉션을 타 사용자 또는 SNS 사이트에 공유하기 위한 메뉴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픈 마켓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컬렉션 페이지는 해당 사용자 컬렉션에 대한 사용자 리뷰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오픈 마켓 서비스 방법은, 상기 사용자 컬렉션을 통해 발생한 매출액을 산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컬렉션을 제작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을 지원하는 웹 서버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에 따라 오픈 마켓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픈 마켓 서버와, 상기 오픈 마켓 서버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 마켓 서버는, 사용자 정보 관리, 상품 정보 등록, 상품 정보 검색, 상품 상세 정보 제공, 구매 및 결제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상거래 모듈과, 복수의 등록 상품 중에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별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선별한 상품의 목록이 포함된 사용자 컬렉션을 생성하는 사용자 컬렉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등록 상품 중 사용자가 상품을 직접 선별하여 사용자 컬렉션을 제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머천다이저(merchandiser)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새로운 개념의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제작한 사용자 컬렉션을 SNS 사이트나 블로그, 카페 등을 통해 타 사용자에게 공유하여 상품 홍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마케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컬렉션을 통한 상품 판매에 대한 보상 시스템을 마련하여 사용자 컬렉션을 제작한 사용자가 보다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동기를 부여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사용자 컬렉션의 생성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마켓 서비스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사용자 컬렉션을 제공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100)은 웹 서버(110), 오픈 마켓 서버(120),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130)를 포함한다.
웹 서버(11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을 웹 사이트를 통해 지원하며, PC 클라이언트 및 모바일 클라이언트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웹 서버(110)는 HTTP 형태로 전달되는 서비스 요청을 처리한다.
오픈 마켓 서버(12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에 따라 오픈 마켓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구체적으로 전자 상거래 모듈(121) 및 사용자 컬렉션 모듈(122)을 포함한다.
전자 상거래 모듈(121)은 사용자 정보 관리, 상품 정보 등록, 상품 정보 검색, 상품 상세 정보 제공, 구매 및 결제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상거래 모듈(121)은 사용자 클라이언트(10)로부터 사용자 정보 등록 요청이 전달되면, 전달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DB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 요청을 데이터베이스 서버(130)에 전달한다. 이때, 사용자 정보는 이름, 아이디, 이메일, 패스워드, 주소, 전화번호 등과 같은 기본정보 이외에 상품 판매 활동을 위한 상호명, 금융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클라이언트(10)로부터 사용자 정보 수정 및 삭제 요청이 전달되면, 사용자 정보 DB에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수정 및 삭제시키기 위한 수정 및 삭제 요청을 데이터베이스 서버(130)에 전달한다.
전자 상거래 모듈(121)은 사용자 클라이언트(10)로부터 상품 정보 등록 요청이 전달되면, 상품 정보 DB에 해당 상품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 요청을 데이터베이스 서버(130)에 전달한다. 이때, 상품 정보는 판매자 아이디, 상품명, 가격, 설명글, 이미지 리스트, 등록 날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클라이언트(10)로부터 상품 정보 수정 및 삭제 요청이 전달되면, 상품 정보 DB에서 해당 상품 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시키기 위한 수정 요청 및 삭제 요청을 데이터베이스 서버(130)에 전달한다.
전자 상거래 모듈(121)은 사용자 클라이언트(10)로부터 상품 검색 요청이 전달되면, 상품 정보 DB에 해당 상품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요청을 데이터베이스 서버(130)에 전달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서버(130)의 상품 정보 DB로부터 전달된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품 리스트를 전달받아 사용자 클라이언트(10)로 전달한다.
전자 상거래 모듈(121)은 사용자가 특정 상품과 관련된 링크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클릭 또는 선택했을 때 상품 상세 정보에 관한 페이지를 제공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품 상세 정보 보기 요청이 전달되면, 상품 정보 DB에 해당 상품 상세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보기 요청을 데이터베이스 서버(13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품 정보 DB로부터 전달된 상품 아이디에 대응되는 상품 상세 데이터를 전달받아 사용자 클라이언트(10)로 전달한다.
전자 상거래 모듈(121)은 사용자가 구매 버튼을 클릭하거나 선택했을 때 생성되는 페이지를 제공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10)로부터 상품 구매 요청이 전달되면, 미리 설정된 외부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결제 작업을 수행한다. 결제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로그 정보 DB에 상품 구매 정보에 대한 이력을 보존하기 위한 저장 요청을 데이터베이스 서버(130)에 전달한다.
사용자 컬렉션 모듈(122)은 복수의 등록 상품 중에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별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선별한 상품의 목록이 포함된 사용자 컬렉션(300, 도 2 참조)을 생성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사용자 컬렉션의 생성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상거래 모듈(121)이 제공하는 여러 상품 상세 정보 페이지(210, 220, 230)를 조회하고, 여기에 수록된 상품들(A, B, C)을 선별 및 선택하여 이들 상품들(A, B, C)을 사용자 컬렉션(300)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서버(130)는 오픈 마켓 서버(12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오픈 마켓 서버(120)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30)는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 및 검색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며, 기존의 상용 데이터베이스나 분산 파일 시스템(Distributed file system)이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서버(130)는 데이터에 대한 접근 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정보 DB, 상품 정보 DB, 사용자 컬렉션 DB 등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100)의 오픈 마켓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마켓 서비스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전자 상거래 모듈(121)은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S10). 앞선 설명과 같이 사용자의 상품 검색 및 상세 정보 보기 요청 등에 따라 판매자의 등록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클라이언트(10)에 제공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컬렉션 모듈(122)은 복수의 등록 상품 중에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별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S20). 상품 상세 정보 페이지(210, 220, 230)에는 해당 상품(A, B, C)을 사용자 컬렉션(300)에 담기 위한 메뉴가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가 메뉴를 클릭하거나 선택하면 전자 상거래 모듈(121)은 선택 정보를 사용자 컬렉션 모듈(122)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컬렉션 모듈(122)은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선별한 상품의 목록이 포함된 사용자 컬렉션(300)을 생성하고, 사용자 컬렉션(300)의 상품을 다른 사용자가 구매할 수 있도록 사용자 컬렉션(300)을 출력한다(S40).
각 사용자마다 자신의 사용자 컬렉션(300)을 소유할 수 있으며, 한 사용자가 복수개의 사용자 컬렉션(300)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특정 테마, 브랜드, 스타일 등 다양한 기준에 근거하여 여러 개의 사용자 컬렉션(300)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컬렉션(300)은 각 컬렉션마다 개별적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할당된 사용자 컬렉션 페이지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컬렉션(300)은 데이터베이스 서버(130)로 전달되어 사용자 컬렉션 DB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저장된 사용자 컬렉션(300)을 불러내어 다른 상품을 추가하거나 기존의 상품을 다른 상품으로 교체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 컬렉션 페이지에는 해당 사용자 컬렉션(300)을 타 사용자 또는 SNS 사이트에 공유하기 위한 메뉴가 구비되거나 해당 페이지의 URL을 복사하기 위한 메뉴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 컬렉션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자신의 SNS 계정에 등록하거나 타 사용자에게 전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컬렉션 페이지는 해당 사용자 컬렉션(300)에 대한 사용자 리뷰를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다.
구매를 희망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컬렉션(300)에 포함된 상품들을 선택하거나 클릭하면, 사용자 컬렉션 모듈(122)은 이러한 선택 정보를 전자 상거래 모듈(121)로 전달하여 결제 과정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상거래 모듈(121)은 선택된 상품의 상품 상세 정보 페이지나 상품 결제 페이지가 구매를 희망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상거래 모듈(121)은 구매자가 사용자 컬렉션(300)에 포함된 상품들 모두를 일괄적으로 구매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전자 상거래 모듈(121)은 사용자 컬렉션(300)을 통해 판매가 이루어진 판매 상품을 확인하고(S50), 이를 근거로 사용자 컬렉션(300)을 통해 발생한 매출액을 산정한다(S60). 그리고, 매출액 산정 결과를 근거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해당 사용자 컬렉션(300)을 제작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한다(S70). 이러한 보상은 해당 오픈 마켓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거나 현금으로 교환 가능한 포인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보상 시스템에 따라 사용자 컬렉션(300)을 제작한 사용자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마케팅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오픈 마켓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컬렉션을 제공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예시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10: 사용자 클라이언트 100: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
110: 웹 서버 120: 오픈 마켓 서버
121: 전자 상거래 모듈 122: 사용자 컬렉션 모듈
130: 데이터베이스 서버 210, 220, 230: 상품 페이지
300: 사용자 컬렉션

Claims (6)

  1.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등록 상품 중에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별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가 선별한 상품의 목록이 포함된 사용자 컬렉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컬렉션의 상품을 다른 사용자가 구매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컬렉션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컬렉션은 개별적인 URL이 할당된 사용자 컬렉션 페이지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컬렉션 페이지에는 해당 사용자 컬렉션을 타 사용자 또는 SNS 사이트에 공유하기 위한 메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컬렉션 페이지는 해당 사용자 컬렉션에 대한 사용자 리뷰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컬렉션을 통해 발생한 매출액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컬렉션을 제작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방법.
  6.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을 지원하는 웹 서버;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에 따라 오픈 마켓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픈 마켓 서버; 및
    상기 오픈 마켓 서버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 마켓 서버는,
    사용자 정보 관리, 상품 정보 등록, 상품 정보 검색, 상품 상세 정보 제공, 구매 및 결제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상거래 모듈; 및
    복수의 등록 상품 중에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별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선별한 상품의 목록이 포함된 사용자 컬렉션을 생성하는 사용자 컬렉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
KR1020170060037A 2017-05-15 2017-05-15 사용자 컬렉션을 제공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5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037A KR20180125302A (ko) 2017-05-15 2017-05-15 사용자 컬렉션을 제공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037A KR20180125302A (ko) 2017-05-15 2017-05-15 사용자 컬렉션을 제공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302A true KR20180125302A (ko) 2018-11-23

Family

ID=64565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037A KR20180125302A (ko) 2017-05-15 2017-05-15 사용자 컬렉션을 제공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53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3918B2 (ja) 生成プログラム、生成装置及び生成方法
US115013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pping in a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US109976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 shared shopping cart
US9734503B1 (en) Hosted product recommendations
US9703793B1 (en) Data aggregation and caching
US9589295B2 (en) Purchasing systems and methods
JPH10207945A (ja) 分散コンテンツ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201977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pping in a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US20220253881A1 (en) Using hyperlinks to track referrals incorporating products in multi-level marketing systems
US202103125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global product data
US20220366469A1 (en) Smart link for outside network input/output
KR101984071B1 (ko) 온라인 대행판매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CN109146614B (zh) 一种基于小程序的商城数据处理方法及系统
WO2012103462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pping in a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Rehman Influence of e-commerce and its emerging innovations in banks
US81507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et sale using sale contents
US10096045B2 (en) Tying objective ratings to online items
KR20180073534A (ko) 큐레이션 콘텐츠 마케팅을 통한 리셀링 플랫폼 시스템
KR100943106B1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Vyas et al. Future of E-Commerce: A Robust Review
TW200825971A (en) Method of processing merchandise information distribution business support of bookstore, merchandise information distribution business support processing system, and corporate PR support processing system of bookstore
JP6494170B2 (ja) 流通管理システム
KR20180125302A (ko) 사용자 컬렉션을 제공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6499332B1 (ja) 提案装置、提案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14174565A (ja) 電子商取引サーバ、電子商取引方法および電子商取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