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206A - 로트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로트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206A
KR20180125206A KR1020170059723A KR20170059723A KR20180125206A KR 20180125206 A KR20180125206 A KR 20180125206A KR 1020170059723 A KR1020170059723 A KR 1020170059723A KR 20170059723 A KR20170059723 A KR 20170059723A KR 20180125206 A KR20180125206 A KR 20180125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
facility
processing
product
management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420B1 (ko
Inventor
김형모
Original Assignee
김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모 filed Critical 김형모
Priority to KR1020170059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420B1/ko
Publication of KR20180125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1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cooperation between machine tools, manipulators and conveyor or other workpiece supply system, workc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제품 가공이 예정된 해당 로트를 제품 가공이 완료될 이전 로트에 대한 가공이 완료되기 전에 준비하여, 이전 로트에 대한 가공이 완료되는 즉시 해당 로트에 대한 가공이 시작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로스 타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로트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로트 관리 방법은 제품 가공을 위한 로트와 설비를 배정하는 단계와, 제품 가공을 위한 준비 작업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와, 준비 작업이 완료된 해당 로트(LOT)를 다음 이동될 설비에서의 이전 로트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설비 옆으로 이동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 작업이 완료된 해당 로트가 이동 배치될 설비에서 사용되는 가공을 위한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트 관리 방법{LOT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로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로스 타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로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제품 제조 공정에서는 최종 제품으로 완성되기까지 다양한 공정을 거치게 되고, 해당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설비들이 사용된다.
한편, 로트(LOT) 방식에 의한 제품 제조 공정에서는 설비들이 각 단위 공정들을 처리하도록 최적의 위치에 배치되며, 완성전 제품은 로트(LOT) 단위로 각각의 설비나 장비(tool)로 이동하면서 가공된다.
이때, 제품에 대한 한 사이클(cycle) 가공에 대해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은 로스(loss) 타임이 발생한다.
먼저, 해당 설비에 제품을 배정하는데, 15분이 소요되고, 설비로 제품을 이송하하는데, 5분이 소요된다. 또한, 가공 비트를 준비하는데 10분이 소요되고, 가공을 위한 데이터를 변환하는데 7분이 소요되며, 제품 설비를 셋팅하는데 8분이 소요된다.
이처럼 제품에 대한 한 사이클 가공시 45분 정도의 로스 타임이 발생하여 1일 평균 7회~9회 사이클 가공이 이루어지는 경우, 설비마다 300분~400분 정도의 로스 타임이 발생하여 설비 가동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제품 가공이 예정된 해당 로트(LOT)를 제품 가공이 완료될 이전 로트에 대한 가공이 완료되기 전에 준비하여, 이전 로트에 대한 가공이 완료되는 즉시 해당 로트에 대한 가공이 시작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로스 타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로트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트 관리 방법은 제품 가공을 위한 로트와 설비를 배정하는 단계와, 제품 가공을 위한 준비 작업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와, 준비 작업이 완료된 해당 로트(LOT)를 다음 이동될 설비에서의 이전 로트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설비 옆으로 이동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 작업이 완료된 해당 로트가 이동 배치될 설비에서 사용되는 가공을 위한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하는 단계 사이에 가공 완료 예정시간을 현황판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각 제품별로 산출된‘표준가공 cycle 시간’을 더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하는 단계 사이에 가공시 사용되는 가공 비트(Bit)를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환하는 단계 이후에, 이전 로트에 대한 작업을 완료하는 단계와, 제품 설비를 셋팅하는 단계와, 제품 가공 작업을 시작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로트 관리 방법에 따르면, 제품 가공이 예정된 해당 로트를 제품 가공이 완료될 이전 로트에 대한 가공이 완료되기 전에 준비하여, 이전 로트에 대한 가공이 완료되는 즉시 해당 로트에 대한 가공이 시작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로스 타임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트 관리 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트 관리 방법이 적용된 공정 설비에서 배치된 설비들 사이에서의 로트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트 관리 방법이 적용된 공정 설비에서 현황판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트 관리 방법이 적용된 공정 설비의 제어부 및 주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트 관리 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트 관리 방법이 적용된 공정 설비에서 배치된 설비들 사이에서의 로트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트 관리 방법이 적용된 공정 설비에서 현황판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트 관리 방법이 적용된 공정 설비의 제어부 및 주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트 관리 방법은, 제품 가공을 위한 로트와 설비를 배정하는 단계(S10)와, 제품 가공을 위한 준비 작업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S20)와, 준비 작업이 완료된 해당 로트(LOT)를 다음 이동될 설비에서의 이전 로트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설비 옆으로 이동 배치하는 단계(S30)와, 상기 준비 작업이 완료된 해당 로트가 이동 배치될 설비에서 사용되는 가공을 위한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이처럼 미리 해당 로트를 배치함으로써, 작업이 완료된 로트가 설비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즉시 작업할 로트를 투입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에 발생하던 로스 타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배정하는 단계(S10)와 상기 결정하는 단계(S20) 사이에 가공 완료 예정시간을 현황판에 표시하는 단계(S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하는 단계(S11)에서는 각 제품별로 산출된‘표준가공 cycle 시간’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황판(100)에 더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현황판(100)에는 각각의 로트 번호(D1)가 4열과 4행으로 배열되어 표시되고, 표시된 각각의 로트(D1) 아래에는 가공 시작 시간 표시부(D2)와, 가공 완료 예정 시간 표시부(D3)가 2열로 배열되어 표시되며, 가공 완료 예정 시간 표시부(D3) 아래에는 데이터 준비 여부 표시부(D4)와, 설비제품 대기 표시부(D5)가 2열로 배열되어 표시된다. 상기 데이터 준비 여부 표시부(D4) 또는 상기 설비제품 대기 표시부(D5)의 경우, 원형 동그라미로 표시되면 데이터 준비가 안되었거나 설비제품이 대기하고 있지 않다는 표시이고, 내부가 검은색 또는 다른 색상으로 채워진 원형 동그라미로 표시되면 준비가 완료되었거나 설비제품의 대기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현황판에 가공 완료 예정시간을 표시함으로써, 현황판에 표시된 내용에 근거하여 준비 작업 순서를 설정할 수 있고, 사전에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발생하던 로스 타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S20)와 상기 변환하는 단계(S50) 사이에 가공시 사용되는 가공 비트(Bit)를 준비하는 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가공 비트를 미리 준비하기 때문에 종래에 발생하던 로스 타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하는 단계(S50) 이후에, 이전 로트에 대한 작업을 완료하는 단계(S60)와, 제품 설비를 셋팅하는 단계(S70)와, 제품 가공 작업을 시작하는 단계(S80)를 순차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로트를 관리 하는 경우, 제품 설비를 셋팅하는 단계(S70)에서만 로스 타임이 발생하고, 다른 단계에서는 로스 타임이 확연히 줄어들기 때문에 공정 전체적으로 로스 타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고, 앞서 설명한 도 1을 더불어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트 관리 방법에 있어서, 로트가 설비 옆에 미리 배치됨으로써, 어떻게 로스 타임을 줄일 수 있는지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트 관리 방법이 적용된 공정 설비에서 배치된 설비들 사이에서의 로트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품 가공을 위한 각 설비(E1))가 평면상으로 4열과 4행으로 배열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설비를 연결할 수 있고, 설비 전체를 하나의 루프(loop)로 감쌀 수 있는 형태로 로트 이동 가이드 라인(T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설비는 예컨대, 설비는 CNC 설비이거나 LAZER 설비일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설비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공정 설비 배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트 관리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제품 가공을 위한 로트와 설비를 배정하는 단계(S10)와 제품 가공을 위한 준비 작업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S20)를 실시한 후, 준비 작업이 완료된 해당 로트(LOT)를 다음 이동될 설비에서의 이전 로트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설비 옆으로 이동 배치하는 단계(S30)를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도 2의 하단부에 도시된 것처럼, 준비 작업이 완료된 해당 로트(LOT)(118)를 다음 이동될 설비에서의 이전 로트(116)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설비 옆으로 이동 배치할 수 있고, 이렇게 미리 배치하는 경우, 도 2의 상단부에 도시된 것처럼, 이전 로트(112)가 설비로부터 이탈하여 이동하면, 미리 설비 옆으로 이동 배치되었던 준비 작업이 완료된 해당 로트(114)를 바로 이동 배치될 설비로 접근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당 부분 로스 타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트 관리 방법이 적용된 공정 설비의 제어 시스템 및 주변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것처럼, 공정 설비의 제어 시스템(50)은 제어부(54)와 통신부(52)와, 메모리(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제어 시스템(50)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원격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4)는 주변 시스템인 데이터베이스(58) 또는 입출력장치(60)와 연결되어 제품 가공에 필요한 정보를 수시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트 관리 방법에 따르면, 제품 가공이 예정된 해당 로트를 제품 가공이 완료될 이전 로트에 대한 가공이 완료되기 전에 준비하여, 이전 로트에 대한 가공이 완료되는 즉시 해당 로트에 대한 가공이 시작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로스 타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로트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S10 : 배정하는 단계
S20 : 결정하는 단계
S30 : 배치하는 단계
S40 : 준비하는 단계
S50 : 변환하는 단계
S60 : 이전 로트에 대한 작업을 완료하는 단계
S70 : 제품 설비를 셋팅하는 단계
S80 : 제품 가공 작업을 시작하는 단계
E1 : 설비
T1 : 로트 이동 가이드 라인
50 : 제어 시스템
54 : 제어부
52 : 통신부
56 : 메모리
58 : 데이터베이스
60 : 입출력장치

Claims (5)

  1. 제품 가공을 위한 로트와 설비를 배정하는 단계;
    제품 가공을 위한 준비 작업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준비 작업이 완료된 해당 로트(LOT)를 다음 이동될 설비에서의 이전 로트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설비 옆으로 이동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준비 작업이 완료된 해당 로트가 이동 배치될 설비에서 사용되는 가공을 위한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트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하는 단계 사이에 가공 완료 예정시간을 현황판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트 관리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각 제품별로 산출된‘표준가공 cycle 시간’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트 관리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하는 단계 사이에 가공시 사용되는 가공 비트(Bit)를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트 관리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 이후에, 이전 로트에 대한 작업을 완료하는 단계와, 제품 설비를 셋팅하는 단계와, 제품 가공 작업을 시작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트 관리 방법.
KR1020170059723A 2017-05-15 2017-05-15 로트 관리 방법 KR102018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723A KR102018420B1 (ko) 2017-05-15 2017-05-15 로트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723A KR102018420B1 (ko) 2017-05-15 2017-05-15 로트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206A true KR20180125206A (ko) 2018-11-23
KR102018420B1 KR102018420B1 (ko) 2019-09-04

Family

ID=64565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723A KR102018420B1 (ko) 2017-05-15 2017-05-15 로트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4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6512A (ja) * 2001-02-13 2002-08-23 Sony Corp ロット管理方式の生産方法と被処理体搬送容器
JP2006343952A (ja) * 2005-06-08 2006-12-21 Fujitsu Ltd 製造管理装置、製造管理方法および製造管理プログラム
JP2013186866A (ja) * 2012-03-12 2013-09-19 Hitachi Ltd 加工工程計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6512A (ja) * 2001-02-13 2002-08-23 Sony Corp ロット管理方式の生産方法と被処理体搬送容器
JP2006343952A (ja) * 2005-06-08 2006-12-21 Fujitsu Ltd 製造管理装置、製造管理方法および製造管理プログラム
JP2013186866A (ja) * 2012-03-12 2013-09-19 Hitachi Ltd 加工工程計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420B1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1803B2 (en) System and processes for performing quick changeovers on assembly lines
CN101986278B (zh) 一种电子类设备的自动测试方法及系统
US91222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achine from the field of automation engineering
US20110029140A1 (en) Central control and instrumentation system for a technical install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a central control and instrumentation system
CN103443725B (zh) 伺服控制装置的异常诊断装置及异常诊断系统
US20030163917A1 (en) Wire harness guided assembly and method for use thereof
KR101445531B1 (ko) 데이터 수집 시스템, 데이터 수집 장치, 데이터 수집 시스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데이터 수집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9632496B2 (en) Engineering apparatus which associates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data with human machine interface data
CN109324572A (zh) 机台自动化管理系统及其方法
US20140207831A1 (en) Data creating device and method
DE102017130613A1 (de) Aufgabenplanungsvorrichtung
US20170277172A1 (en) Sim system,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duction informatization system
CN104603700B (zh) 用于设计分布控制系统的方法及其设计工具
EP2527939A2 (en) Safety-augmenting ba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DE102010020279B4 (de) Überwachungs- und Steuervorrichtung
KR20180125206A (ko) 로트 관리 방법
Pinjar et al. Productivity improvement through single minute exchange of die (SMED) technique
CN105139770A (zh) 一种快速拼接led显示系统及其显示方法
CN205880649U (zh) 一种伺服驱动器老化测试系统
CN104021499A (zh) 半导体制造控制方法
CN117035279A (zh) 排产计划联动调整方法及装置
CN107544451B (zh) 一种加工车间数控机床集中调度系统及方法
CN103592527A (zh) 测试系统
CN106066639A (zh) 产品制造/加工工位/工序建立/管理方法、系统、设备
CN115438952A (zh) 一种排产方法及其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