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941A - 기체 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 - Google Patents

기체 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941A
KR20180123941A KR1020170058348A KR20170058348A KR20180123941A KR 20180123941 A KR20180123941 A KR 20180123941A KR 1020170058348 A KR1020170058348 A KR 1020170058348A KR 20170058348 A KR20170058348 A KR 20170058348A KR 20180123941 A KR20180123941 A KR 20180123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ath
supply
discharge
tan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9670B1 (ko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1020170058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670B1/ko
Publication of KR20180123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26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F15B21/048Arrangements for compressed air preparation, e.g. comprising air driers, air condensers, filters, lubricators or pressure reg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저장공간부를 갖고, 공압실린더의 피스톤을 이동시키기 위한 압축용 기체가 저장되기 위한 리시브탱크몸체, 메인유입로를 갖고, 공압실린더의 기체가 상기 리시브탱크몸체로 유입되기 위한 기체유입관, 메인배출로를 갖고, 상기 리시브탱크몸체의 기체가 공압실린더로 공급되도록 배출되는 기체배출관, 상기 기체유입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수분을 기체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수분제거수단, 및 상기 리시브탱크몸체의 저장공간부 저면에 위치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드레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제거수단에 의해 분리된 수분은 상기 리시브탱크몸체의 저장공간부 저면에 저수되어 상기 드레인부에 의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압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된 기체 내부에 포함된 수분을 지속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연계된 다른 부품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운영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수명을 증가시킴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기체 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Air receive tank with improved water removal efficiency in the gas}
본 발명은 에어 리시브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체에 포함된 수분을 지속적으로 분리시켜 배출시킬 수 있어 연계된 다른 구성들의 부식을 방지 및 최소화시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기체 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장치는 유압, 공압 및 진공압등을 이용하여 실린더의 피스톤을 동작시키는 장치로서, 흔히 중장비나 안티 브레이크 시스템, 클러치 및 조향장치 등 많은 기계류에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공압실린더의 경우, 피스톤의 왕복 이동을 위해 기체가 저장된 에어 리시브탱크가 구비되어 유입밸브와 유출밸브가 제어됨에 따라, 기체가 이동되어 피스톤이 왕복이동된다.
이러한 에어 리시브탱크는 종래 공개특허 2001-0093470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리시브탱크와 각 밸브가 구비되고, 동시에 제어됨에 따라, 해당 피스톤을 이동시킨다.
그러나 기체에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이 수분이 포함된 기체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부식 가능한 부품들을 부식시킴에 따라,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일부의 수분은 리시브탱크의 저면에 저수되어 별도로 배수되지만, 기체에 포함된 수분의 극히 일부만 분리되어 저수됨에 따라,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기체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내부에 저장공간부를 갖고, 공압실린더의 피스톤을 이동시키기 위한 압축용 기체가 저장되기 위한 리시브탱크몸체, 메인유입로를 갖고, 공압실린더의 기체가 상기 리시브탱크몸체로 유입되기 위한 기체유입관, 메인배출로를 갖고, 상기 리시브탱크몸체의 기체가 공압실린더로 공급되도록 배출되는 기체배출관, 상기 기체유입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수분을 기체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수분제거수단, 및 상기 리시브탱크몸체의 저장공간부 저면에 위치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드레인부,를 포함하여 공압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된 기체 내부에 포함된 수분을 지속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연계된 다른 부품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운영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수명을 증가시킴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체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공간부를 갖고, 공압실린더의 피스톤을 이동시키기 위한 압축용 기체가 저장되기 위한 리시브탱크몸체, 메인유입로를 갖고, 공압실린더의 기체가 상기 리시브탱크몸체로 유입되기 위한 기체유입관, 메인배출로를 갖고, 상기 리시브탱크몸체의 기체가 공압실린더로 공급되도록 배출되는 기체배출관, 상기 기체유입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수분을 기체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수분제거수단, 및 상기 리시브탱크몸체의 저장공간부 저면에 위치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드레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제거수단에 의해 분리된 수분은 상기 리시브탱크몸체의 저장공간부 저면에 저수되어 상기 드레인부에 의해 배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분제거수단은, 상기 기체유입관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 및 상기 냉각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공급되는 기체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기체모터, 및 상기 기체모터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체공급부는, 상기 기체유입관의 메인유입로와 연통되는 구동공급로와 구동배출로를 갖는 어댑터, 상기 어댑터의 구동공급로와 연결되어 상기 기체모터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 상기 어댑터의 구동배출로와 연결되어 상기 기체모터를 거친 기체를 상기 메인유입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배출라인, 상기 공급라인을 개폐시키기 위한 공급밸브, 상기 배출라인을 개폐시키기 위한 배출밸브, 및 상기 공급밸브와 배출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공급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기체유입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메인유입로와 연결하기 위한 기체연결로가 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어댑터의 기체연결로는 상기 메인유입로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공급로는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연결로의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배출로은 리시브탱크몸체와 인접한 기체연결로의 후단에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체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에 의하면, 공압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된 기체 내부에 포함된 수분을 지속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연계된 다른 부품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운영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수명을 증가시킴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시브탱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시브탱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10)는 리시브탱크몸체(100)와 기체유입관(200), 기체배출관(300), 수분제거수단(400) 및 드레인부(500)를 포함한다.
리시브탱크몸체(100)는 내부에 저장공간부(102)를 갖고, 공압실린더의 피스톤을 이동시키기 위한 압축용 기체가 저장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기체유입관(200)은 메인유입로(202)를 갖고, 공압실린더의 기체가 리시브탱크몸체(100)로 유입되기 위해 구비된다.
기체배출관(300)은 메인배출로(302)를 갖고, 리시브탱크몸체(100)의 기체가 공압실린더로 공급되도록 배출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수분제거수단(400)은 기체유입관(200)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수분을 기체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드레인부(500)는 리시브탱크몸체(100)의 저장공간부(102) 저면에 위치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기체 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10)를 살펴보면, 공압실린더의 작동에 관여한 후, 기체유입관(200)을 통해 리시브탱크몸체(100)의 저장공간부(102)로 기체가 유입되되, 수분제거수단(400)에 의해 기체에서 수분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 분리된 수분은 리시브탱크몸체(100)의 저장공간부(102) 저면에 저수되며, 이 저수된 수분은 일정 주기 또는 필요 시, 드레인부(500)에 의해 분리 배출된다.
이를 위한, 수분제거수단(40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판(410)과 냉각팬(420) 및 구동부(430)로 구성된다.
방열판(410)은 기체유입관(200)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구비되고, 냉각팬(420)은 방열판(410)을 냉각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구동부(430)는 냉각팬(420)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인가되는 전웡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432)를 사용한다.
물론, 다른 실시 예의 구동부(6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모터(610)와 기체공급부(620)로 구성될 수 있다.
기체모터(610)는 공급되는 기체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압축된 기체가 통과되면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기체공급부(620)는 기체모터(610)로 압축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기체공급부(62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621)와 공급라인(622), 배출라인(623), 공급밸브(624), 배출밸브(625) 및 공급제어부(626)로 구성된다.
어댑터(621)는 기체유입관(200)의 메인유입로(202)와 연통되는 구동공급로(6212)와 구동배출로(6214)가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공급라인(622)은 어댑터(621)의 구동공급로(6212)와 연결되어 기체모터(610)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배출라인(623)은 어댑터(621)의 와 연결되어 기체모터(610)를 거친 기체를 메인유입로(202)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공급밸브(624)는 공급라인(622)을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배출밸브(625)는 배출라인(623)을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공급제어부(626)는 공급밸브(624)와 배출밸브(625)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기체공급부(62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공급제어부(626)에 의해 공급밸브(624)와 배출밸브(625)가 동시에 작동되어 공급라인(622)과 배출라인(623)을 개방시킨다.
이에, 기체유입관(200)의 메인유입로(202)를 따라 이동되던 기체가 구동공급로(6212)와 공급라인(622)을 따라 기체모터(610)를 통과되어 회전력이 발생되고, 배출라인(623)과 배출라인(623)을 따라 메인유입로(202)로 다시 유입된다.
다시 말해, 리시브탱크몸체(100)의 저장공간부(102)로 유입되는 기체 중 일부를 순환시켜 기체모터(610)를 작동시키는 동력원으로 사용함에 운영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기체모터(610)로 순환되는 기체는 수분제거수단(400)에 의해 수분이 분리된 기체가 순환됨에 따라, 기체모터(610)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어댑터(621)는 기체유입관(2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메인유입로(202)와 연결하기 위한 기체연결로(6216)가 내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어댑터(621)의 기체연결로(6216)는 메인유입로(20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기체연결로(6216)를 통과하는 기체의 속도가 증가되어 기체 일부가 기체모터(610)로 순환됨에 따라 이동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공급로(6212)는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연결로(6216)의 전단에 형성되며, 구동배출로(6214)는 리시브탱크몸체(100)와 인접한 기체연결로(6216)의 후단에 형성된다.
이에, 기체모터(610)로 기체의 일부가 용이하게 유입되고, 기체모터(610)를 거친 기체는 리시브탱크몸체(100)의 저장공간부(102)로 유입되는 기체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유입시킬 수 있다.
10 : 에어 리시브탱크 100 : 리시브탱크몸체
200 : 기체유입관 300 : 기체배출관
400 : 수분제거수단 500 : 드레인부
600 : 구동부

Claims (7)

  1. 내부에 저장공간부를 갖고, 공압실린더의 피스톤을 이동시키기 위한 압축용 기체가 저장되기 위한 리시브탱크몸체;
    메인유입로를 갖고, 공압실린더의 기체가 상기 리시브탱크몸체로 유입되기 위한 기체유입관;
    메인배출로를 갖고, 상기 리시브탱크몸체의 기체가 공압실린더로 공급되도록 배출되는 기체배출관;
    상기 기체유입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수분을 기체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수분제거수단; 및
    상기 리시브탱크몸체의 저장공간부 저면에 위치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드레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제거수단에 의해 분리된 수분은 상기 리시브탱크몸체의 저장공간부 저면에 저수되어 상기 드레인부에 의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수단은,
    상기 기체유입관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 및
    상기 냉각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기체 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공급되는 기체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기체모터; 및
    상기 기체모터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공급부;를 포함하는 기체 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공급부는,
    상기 기체유입관의 메인유입로와 연통되는 구동공급로와 구동배출로를 갖는 어댑터;
    상기 어댑터의 구동공급로와 연결되어 상기 기체모터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
    상기 어댑터의 구동배출로와 연결되어 상기 기체모터를 거친 기체를 상기 메인유입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배출라인;
    상기 공급라인을 개폐시키기 위한 공급밸브;
    상기 배출라인을 개폐시키기 위한 배출밸브; 및
    상기 공급밸브와 배출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공급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체 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기체유입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메인유입로와 연결하기 위한 기체연결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기체연결로는 상기 메인유입로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공급로는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연결로의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배출로은 리시브탱크몸체와 인접한 기체연결로의 후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
KR1020170058348A 2017-05-10 2017-05-10 기체 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 KR101989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348A KR101989670B1 (ko) 2017-05-10 2017-05-10 기체 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348A KR101989670B1 (ko) 2017-05-10 2017-05-10 기체 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941A true KR20180123941A (ko) 2018-11-20
KR101989670B1 KR101989670B1 (ko) 2019-06-14

Family

ID=6456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348A KR101989670B1 (ko) 2017-05-10 2017-05-10 기체 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6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169A (ko) * 2002-04-02 2003-10-10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조립체
KR20100007541U (ko) * 2009-01-16 2010-07-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윤활유 공급 탱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169A (ko) * 2002-04-02 2003-10-10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조립체
KR20100007541U (ko) * 2009-01-16 2010-07-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윤활유 공급 탱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670B1 (ko)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201600094897A1 (it) Gruppo di compressione per compressore privo di lubrificazione
US20040047744A1 (en) Air compressor assembly with continuous auto drain tank
KR20110134106A (ko) 이동식 유압회로 플러싱 장치
KR100922449B1 (ko) 유체 이송 장치
KR20170023703A (ko) 하이브리드 작업 차량
KR20180125226A (ko) 에너지 절감형 선박 공기순환시스템
KR101348872B1 (ko) 라디에이터용 청소장치
KR101989670B1 (ko) 기체 내 수분제거 효율이 향상된 에어 리시브탱크
EP2963300B1 (en) Air compression device
KR101494681B1 (ko) 스폿 용접건의 냉각수 순환장치
JP7179285B2 (ja) 工作液供給システム
KR102267530B1 (ko) 스크류 압축기 및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유틸리티 차량용 시스템
CN109072921A (zh) 制冷剂压缩机单元
SE529854C2 (sv) Anordning för kylning av ett hus samt förfarande
CN104350210A (zh) 作业机械
JP5277998B2 (ja) クーラント冷却装置
TWI758649B (zh) 使用於工具機且可選擇性內循環的冷卻裝置
JP2007107445A (ja) 油圧発生装置
JP2000080677A (ja) 油圧回路における作動油の気泡除去回路
US6951222B2 (en) Radiator cleaning device
JP7359616B2 (ja) 工作機械
KR101514219B1 (ko) 용접건 냉각수 차단장치
TWM594682U (zh) 使用於工具機且可選擇性內循環的冷卻裝置
JP2005271041A (ja) スポット溶接機における冷却媒体の回収方法及び装置
KR101626353B1 (ko) 소방용 엔진펌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