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799A -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 Google Patents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799A
KR20180123799A KR1020170057935A KR20170057935A KR20180123799A KR 20180123799 A KR20180123799 A KR 20180123799A KR 1020170057935 A KR1020170057935 A KR 1020170057935A KR 20170057935 A KR20170057935 A KR 20170057935A KR 20180123799 A KR20180123799 A KR 20180123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weight
ski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4281B1 (ko
Inventor
문재철
현재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케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케이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케이컴퍼니
Priority to KR1020170057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281B1/ko
Publication of KR20180123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자연)성분으로부터 유래된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성분을 함유하여 피부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피부에 자연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피부 진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특히, 피부에 발생하는 여드름을 진정시키기 위해 녹차수, 감국꽃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바실러스 또는 어성초 추출물 발효 여과물, 멜랄레우카 알테르니폴리아 추출물, 마그놀올, 토타롤, 녹차카테킨, 프로폴리스 추출물, 삼나무잎 추출물 및 연잎 추출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Cosmetic composition for acne improvement containing natural ingredients and ample type liquid cosmetic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원료를 주원료로 하고, 합성원료를 부원료로 제조된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면포(comedone)는 여드름의 가장 초기의 병변으로 피지 분비가 많은 얼굴, 가슴 등 등에 주로 나타난다. 면포의 발생 원인으로는 피지분비 증가, 모낭 내 이상 각호, Propionibacterium acnes의 군락 형성, 염증 반응 등이 있으나, 세부 및 분자 수준에서의 발생 기전에 관해서는 아직 정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다.
Testosterone과 같은 남성 호르몬에 의해 피지선이 비대해져 피지가 과잉 분비되고 다양한 피부 오염으로 인하여 모공이 막히면 1차적인 micro-comedones(미세면포)가 형성된다. 면포는 피지선의 활성화와 각화항진이 거듭되어 모낭공이 좁아져 피지의 배출이 지장을 받아 피지가 모낭공에 막혀 있는 상태를 말하며 각질과 피지 등이 차 있어 하얗게 보이는 폐쇄면포(whitehead)와 쌓인 피지 성분이 산화되어 검게 보이는 개방면포(blackhead)로 구분된다. 이런 면포의 벽조직이 파괴되면 내용물이 주변 조직으로 확산되어 피지선 개구부 주변에 염증을 일으키게 되어 염증성 병변[구진(papule), 농포(pustule), 낭종(cyst), 결절(nodule)]의 여드름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이를 방치해 두면 육아종이 형성되어 피부에 색소침착 또는 흉터를 남기게 된다. 이러한 염증 후의 색소침착은 1년 이상 지속될 수 있어서 여드름 자체보다 더 큰 외관상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최근에는 화장품의 사용으로 인한 면포발생(comedogenicity), 즉, 화장품에 배합되는 원료 중에서 lanolin, hydrocarbons, oleic/oleyl & alcohol, lactic acid, fats, oils, fatty acids, isopropyl esters 등은 피부 모공을 막아 여드름의 초기단계인 면포를 유발함으로써 염증성 여드름으로 악화시키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면포는 모공을 막아 원활한 피지 배출을 저해하며 모공 확장을 더욱 악화시키며 염증성 병변 등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되기고 하므로 화장품 개발에 있어서 여드름성 피부 또는 민감성 피부를 대상으로 면포를 유발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중요한 실정이다.
한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4914호(발명의 명칭 : 피부 장벽 강화와 세포 재생으로 여드름을 치료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4914호 (공고일자 : 2014.11.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진정, 미백, 보습, 노화 방지, 항산화 등의 효능을 가질 수 있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발생하는 여드름을 진정시키기 위해 녹차수, 감국꽃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바실러스 또는 어성초 추출물 발효 여과물, 멜랄레우카 알테르니폴리아 추출물, 마그놀올, 토타롤, 녹차카테킨, 프로폴리스 추출물, 삼나무잎 추출물 및 연잎 추출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보습을 위해 위치하젤 추출물, 글리세린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피부 노화를 예방하기 위해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1,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7, 카르노신 및 글루타치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3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천연 방부제로서 황금뿌리 추출물 및 모란뿌리 추출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4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피부의 재생을 촉진하여 여드름 흉터를 없앨 수 있도록 산자나무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5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지의 발생을 억제하여 모공을 축소시키기 위해 라벤더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안정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점증제로서 잔탄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피부의 주름 개선을 위해 아데노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의 온도를 낮추어 미백 효능을 부여하기 위해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장료 조성물의 변색을 방지하는 금속이온봉쇄제로서 디소듐이디티에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제1조성물, 제2조성물, 제3조성물, 제4조성물, 제5조성물, 라벤더수, 잔탄검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천연물질로부터 유래된 천연 원료이고, 아데노신 및 디소듐이디티에이는 합성 원료이되,천연 원료 90 내지 100중량부당 합성 원료 0.1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한편, 제1조성물은, 녹차수 1 내지 100중량부, 감국꽃 추출물 1 내지 3중량부, 고삼 추출물 1 내지 3중량부, 바실러스 또는 어성초 추출물 발효 여과물 1 내지 3중량부, 멜랄레우카 알테르니폴리아 추출물 0.1 내지 1중량부, 마노놀올 0.01 내지 1 중량부, 토타롤 0.1 내지 1중량부, 녹차카테킨 0.01 내지 0.5 중량부, 프로폴리스 추출물 0.1 내지 1중량부, 삼나무잎 추출물 1 내지 5중량부, 연잎 추출물 1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조성물은, 위치하젤 추출물 1 내지 10중량부, 글리세린 0.1 내지 1중량부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1 내지 1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제3조성물은,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1,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7, 카르노신 및 글루타치온은 각각 0.1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제4조성물은, 황금뿌리 추출물 0.1 내지 1중량부 및 모란뿌리 추출물 0.1 내지 1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제5조성물은, 산자나무 추출물 1 내지 5중량부 및 감태 추출물 0.1 내지 3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천연(자연)성분으로부터 유래된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성분을 함유하여 피부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피부에 자연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피부 진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멜랄레우카 알테르니폴리아(티트리)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에 해로운 외부 물질의 활성을 잃게 하여 피부에 정착하여 증식하는 것을 예방하고 피부를 진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피부에 발생할 수 있는 여드름 등 피부 트러블을 진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과도한 피지는 조절하고 피부 수분은 유지해 줌으로써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피지의 과잉 분비를 막아줌으로써 피부의 번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피부 노화를 방지하여 탄력있는 피부를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피부의 재생을 촉진하여 여드름 흉터를 없애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피부의 점도를 안정화시켜 유효성분의 활성을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고, 피부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광도 측정 원리에 의한 피부 유분량 측정 장치인 SebumeterTM SM810의 옵티컬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Facial stage DM-3TM image system을 사용한 sebum number의 분석 이미지들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병변 계수에 의한 평가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광도 측정 원리에 의한 피부 유분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안면 이미지 분석에 의한 피지 개수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안면 이미지 분석에 의한 피지 분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피험자에 의한 설문평가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사용성 설문 평가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물질을 농축하여 얻는 것으로서, 그 중 특정 활성성분을 적당한 용매로 분리한 후, 용매를 증발시키고 남은 덩어리나 가루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기 용어 "추출물"은 각종 한약재 등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것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상기 추출물은 액상, 고상 또는 이들의 혼합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발효 여과물"은 발효 등의 과정을 거쳐 생성된 물질로부터 필터 등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남은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또는 천연 유래의 원료를 이용하여 여드름 진정(개선), 주름 개선, 미백, 피부보습, 항노화, 모공 축소, 피부 유분량 감소, 피지 발생 억제 등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화장료 조성물은 토너,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 크림, 아이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포밍 워시,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젤, 워시오프 팩, 필오프 팩, 시트상 마스크 팩, 하이드로젤 마스크 팩, 리포젤 마스크팩, 클레이 마스크 팩, 비누, 스프레이, 선 크림, 선 로션, 선 밤, 선 미스트, 비비 크림,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및 프라이머 제품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앰플에 담길 수 있는 워터 타입의 묽은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크게 제1조성물, 제2조성물, 제3조성물, 제4조성물 및 제5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조성물은 피부에 발생하는 여드름을 진정시키기 위해 녹차수(Camellia Sinensis Leaf Water), 감국꽃 추출물(Chrysanthemum Indicum Flower Extract), 고삼 추출물(Sophora Flavescens Root Extract), 바실러스(Bacillus)/어성초 추출물 발효 여과물(Houttuynia Cordata Extract Ferment Filtrate), 멜랄레우카 알테르니폴리아 추출물(Melaleuca Alternifolia Extract), 마그놀올(Magnolol), 토타롤(Totarol), 녹차카테킨(Camellia Sinensis Catechins) 프로폴리스 추출물(Propolis Extract), 삼나무잎 추출물(Cryptomeria Japonica Leaf Extract), 연잎 추출물(Nelumbo Nucifera Leaf Extract)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조성물은 녹차수 1 내지 100중량부, 감국꽃 추출물 1 내지 3중량부, 고삼 추출물 1 내지 3중량부, 어성초 추출물 발효 여과물 1 내지 3중량부, 멜랄레우카 알테르니폴리아 추출물 0.1 내지 1중량부, 마노놀올 0.01 내지 1 중량부, 토타롤 0.1 내지 1중량부, 녹차카테킨 0.01 내지 0.5 중량부, 프로폴리스 추출물 0.1 내지 1중량부, 삼나무잎 추출물 1 내지 5중량부, 연잎 추출물 1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조성물에서의 녹차수는 녹차에서 유래한 성분인 카테킨, 플라보놀, 카페인, 비타민 B1, B2, C, 나이아신, 펜토텐산 등을 함유하는 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녹차는 그 종류 및 재배 일수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하며, 말린 녹차와 말리지 않은 녹차가 모두 사용 가능하다. 녹차수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녹차수에 함유된 각 성분은 카테킨, 플라보놀 등의 성분은 피부에 발생한 염증을 가려앉혀 피부를 진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감국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감국꽃 추출물은 피부의 항균, 항산화 활성을 위해 사용된다.
고삼 추출물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로서, 고삼 추출물의 주요 성분인 마트린(Matrine), 옥시마트린(Oxymatrine)은 피부의 염증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바실러스로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가 사용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바실러스는 여드름 원인균의 생육을 저해하여 여드름 발생을 억제하며,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 기능을 수행한다.
어성초는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nb)의 개화기의 지상부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어성초 추출물을 발효한 후 이를 여과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남은 물질을 사용하며, 이러한 어성초 추출물 발효 여과물은 피부의 살균, 항균, 소염 역할을 수행한다.
멜랄레우카 알테르니폴리아 추출물은 피부의 항균, 항진균 작용을 위해 사용되며, 멜랄레우카 알테르니폴리아를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마그놀올은 후박나무(목련과)에 존재하는 화합물로서 구취 유발 억제, 피부암억제 및 불안완화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의 마그놀올은 추출온도 0℃ 내지 50℃에서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저급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으나, 각각의 자연원(natural source)으로부터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될 수도 있다.
토타롤은 토타롤(totarol)은 뉴질랜드 원산의 큐프레스아카에아 류(Cupressacaea family)로부터의 포도카르푸스 토타라(Podocarpus totara) 나무로부터 추출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토타롤은 상기 마그놀올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녹차카테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녹차에서 유래한 성분이며, 녹차카테킨의 작용 및 기능에 대해서는 위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폴리스는 수지 50%, 밀랍 30%, 정유 10%, 화분 5%, 미네랄 5% 등을 주요 성분으로 함유한다. 프로폴리스는 크로마토그래피 기기를 이용하여 분석할 경우, 페놀계로서 카페인산, 계피산, 페루라산이, 알데하이드 계로는 바닐린, 유게놀이 검출된다. 또한 쿠마린계로서 에스크레틴, 크리신, 아피게닌이 검출되며, 플라보노이드계로서 케츠세틴, 켐페롤, 람노네틴이 검출되며, 비타민A, 비타민E 등의 비타민계와 아밀라아제, 카텝신, 리파아제와 같은 효소도 검출된다. 본 발명에서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여드름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이나 피부염을 치료 또는 진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삼나무 추출물 및 연잎 추출물은 여드름 균(P. acnes)에 대한 성장을 억제하는 항균력을 갖고, 지질 합성(Lipogenesis)을 억제하며 대식세포(Macrophage)로부터 분비되는 산화질소 및 TNF-α 생성 증가로 면역증강 활성화를 촉진함으로써 여드름 개선 및 피부면역증강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의 제2조성물은 피부 보습 기능을 부가하기 위하여 혼합되는 것으로서 위치하젤 추출물(Hamamelis Virginiana(Witch Hazel) Extract), 글리세린(Glycerine)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조성물은, 위치하젤 추출물 1 내지 10중량부, 글리세린 0.1 내지 1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1 내지 1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하젤 추출물은 아열대에 서식하는 낙엽수의 일종인 위치하젤 나무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모공축소, 피부 보습 및 진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글리세린(Glycerin)은 3개의 수산기를 가진 3가 알코올로서, 수분결합 능력이 있어 수분 발란스를 유지시켜줌으로써, 피부 보습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미생물의 균주 배양으로 얻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피부에 생긴 주름을 제거하고, 피부 보습을 유지하여 피부에 탄력을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제3조성물은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방지하기 위해 부가되는 것으로서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7(Palmitoyl Tetrapeptide-7), 카르노신(Carnosine) 및 글루타치온(Glutathio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3조성물은,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1,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7, 카르노신 및 글루타치온은 각각 0.1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1 및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7은 펩타이드 유도체들로서, 본 발명에서 이들은 피부 연조직 내의 콜라겐 활성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피부 주름을 제거하고,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카르노신은 LDH의 증가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카르노신은 피부 노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L-카르로신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카르노신(Carnosine)은 β-알라닌과 히스티딘이 결합된 β-알라닌-L-히스티딘의 디펩타이드(Dipeptide)로 수명이 긴 조직에서 상당히 많은 양이 발견되고, 특히 척추 동물 근육 세포의 비단백질 부분에 많이 존재하는데 그 양은 약 1~20mM에 달한다. 카르노신은 세포를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는 항산화제로서,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을 제거하는데 뛰어난 효과를 갖는 자유 라디칼 소거제(Free Radical Scavenger)로 알려져 있다. 또한, 카르노신은 활성 산소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도, 카르노신이 배양 세포의 수명을 연장하고 노화 세포를 회복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글루타치온은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제로 아스코르빈산(비타민 C), 토코페롤(비타민 E)등과 같은 생체 내 다른 항산화제와 가역적으로 반응하면서 생체내에 존재하는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 글루타치온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제4조성물은 천연 방부제로서 황금뿌리 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및 모란뿌리 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4조성물은, 황금뿌리 추출물 0.1 내지 1중량부, 모란뿌리 추출물 0.1 내지 1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금 추출물은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황금의 뿌리에서 추출한 것으로 피부 보습, 자극 완화 및 진정 성분으로 사용된다.
모란뿌리 추출물은 목단이라고도 불리는 모란의 뿌리를 정제하여 얻어진 추출물로 방부제 성분으로 사용된다.
또한, 제5조성물은 피부의 재생을 촉진하여 여드름 흉터를 없애거나 옅어지도록 추가되며, 산자나무 추출물(Hippophae Rhamnoides Extract) 및 감태 추출물(Ecklonia Cava Extrac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5조성물은, 산자나무 추출물 1 내지 5중량부, 감태 추출물 0.1 내지 3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5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했을 때, 0.1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5조성물이 이러한 비율범위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충분한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고, 상기 비율범위를 벗어나 혼합되는 경우 변색, 변취 등 제형상의 어려움이 있고, 첨가량 증가에 따른 개선효과의 증가율이 미미하기 때문이다.
산자나무 추출물은 산자나무로부터 추출된 물질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은 산자나무의 전초로부터 분리된 추출물일 수 있다. 원산지는 중앙아시아 고비사막에서 자생하는 수종으로 뿌리혹 박테리아가 있어 질소 고정능력이 강하며 내한성이 강한 수종이다.
감태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가 뛰어나 주로 미백 화장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감태 추출물은 이러한 효능에 의해 피부 재생을 촉진하기 위한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피지의 발생을 억제하여 모공을 축소시키기 위해 라벤더수(Lavandula Angustifolia (Lavender) Wa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라벤더는 아세트산리날릴(Linalyl acetate), 리날로올(Linalool), 라반둘롤(Lavandulol)을 주요 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라벤더수는 살균, 항염, 안정, 면역증강, 조직재생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안정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점증제로서 잔탄검(Xanthan Gu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잔탄검은 유기점증제로서 용액상에서 나선 체인(helix chains)으로 연결되어 느슨하게 묶인 매트릭스(matrix)를 형성하고, 나선(helix) 때문에 증가된 유체역학적 부피(hydrodynamic volume)가 점도 상승(viscosity build)을 일으켜서 점증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의 잔탄검은 천연점증제로서 균일한 점증을 가능하게 해줌으로써, 본 발명인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를 높여 효능 성분이 장기간 안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피부의 온도를 낮추어 미백 효능을 부여하기 위해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비타민B군인 나이아신류의 일종으로, 니코틴아마이드라고도 알려진 수용성 비타민 B3이다.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세라마이드와 함께 라멜라 구조 형성에 필요한 콜레스테롤과 지방산의 합성을 동시에 촉진하여 표피의 수분 상실을 감소시키고 지질량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나이아신아마이드은 얼굴 피부의 색소 침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기본 피부 톤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에 영양 및 탄력을 주어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효모발효물(Saccharomyces Fermen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는 효모로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쉬조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드스(Schizosaccharomyces ellipsoids),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oulardii)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피부의 자극을 완화시키기 위해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아로마오일로서 라벤더오일(Lavandula Angustifolia (Lavender) Oil)을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설명된 제1조성물, 제2조성물, 제3조성물, 제4조성물, 제5조성물, 라벤더수, 잔탄검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천연물질로부터 유래된 천연 원료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의 변색을 방지하는 금속이온봉쇄제로서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디소듐이디티에이는 합성 원료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의 주름 개선하고 피부의 노화를 발지하기 위해 합성 원료인 아데노신(Adenosin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피부의 주름 개선을 위해 아데노신(Adenosin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천연 원료 90 내지 100중량부당 합성 원료 0.1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서 천연 원료와 합성 원료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합성 원료가 너무 많이 포함되는 경우, 합성원료가 인체에 축적되어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피부 알레르기, 피부 자극, 홍조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1조성물, 제2조성물, 제3조성물, 제4조성물, 제5조성물은 각 추출물 또는 유효 성분들이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조성물 0.01 내지 100중량부, 제2조성물 0.01 내지 10중량부, 제3조성물 0.1 내지 1중량부, 제4조성물 0.1 내지 5중량부, 제5조성물 0.1 내지 3중량부, 라벤더수 10 내지 20중량부, 잔탄검 0.1 내지 1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 내지 5중량부, 효모발효물 1 내지 5중량부,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내지 1중량부, 라벤더오일 0.1 내지 1중량부, 아데노신 0.01 내지 0.1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1 내지 1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혼합비율은 본 발명인 화장료 조성물이 어느 하나의 기능에 치우치지 않고, 피부 진정, 보습,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 변질 방지, 피부 재생 촉진, 피지 발생 억제, 점도 안정성, 미백 등의 효과를 골고루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된 비율이며, 이러한 효과는 아래의 시험결과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 시험예 ]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을 이용하여 액상의 화장료 조성물(이하, '시험제품'이라 함)을 제조하였으며, 본 발명에서의 유효성분 및 함량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구분 유효성분 함량(중량부)


제1조성물
녹차수, 감국꽃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바실러스 또는 어성초 추출물 발효 여과물, 멜랄레우카 알테르니폴리아 추출물, 마그놀올, 토타롤, 녹차카테킨, 프로폴리스 추출물, 삼나무잎 추출물, 연잎 추출물

90
제2조성물 위치하젤 추출물, 글리세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7
제3조성물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1,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7, 카르노신, 글루타치온 0.5
제4조성물 황금뿌리 추출물, 모란뿌리 추출물 3
제5조성물 산자나무 추출물, 감태 추출물 1
라벤더수 15
잔탄검 2
나이아신아마이드 2
효모발효물 2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5
라벤더오일 0.5
아데노신 0.05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2. 시험제품의 시험방법
1일 2회(아침, 저녁) 세안 후 에센스 단계에서 3~5 방울을 취하여 볼과 이마부터 코, 입가 방향으로 얼굴에 가볍게 발라준 뒤 흡수시키도록 하였다. 본 시험은 병력 조사 및 피부 상태 진단을 통해 시험 목적에 적합한 여성 피험자 20명 이상을 대상으로 시험제품을 사용법에 따라 사용하도록 하였다. 평가는 시험제품 사용 전과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병변계수, 유분량, 피지 개수, 피시험자에 의한 설문평가 및 피부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1) 피험자 선정
본 시험의 피험자는 코와 턱을 제외한 안면에 폐쇄면포가 3개 이상 있는 20 ~ 40세의 여성 피험자 20명을 선정하였다. 한편, 아래에 기술된 항목에 해당되는 지원자는 시험 대상군에서 제외하였다.
① 임신, 수유 또는 6개월 이내에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
② 피부질환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피부외형제를 1개월 이상 사용한 경우
③ 동일한 시험에 참가한 뒤 1개월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④ 시험부위에 홍반, 모세관혈관확장 등의 피부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⑤ 시험시작 1개월 이내에 시험부위에 동일 또는 유사한 화장품 또는 의약품을 사용한 경우
⑥ 만성 소모성 질환(천식, 당뇨, 고혈압 등)이 있는 경우
⑦ 아토피 피부염을 가지는 있는 경우
⑧ 시험 기간 동안 추적관찰이 힘든 경우
한편, 피험자는 시험기간 동안 시험제품 이외의 기능성 화장품 및 새로 사용하는 화장품, 혹은 의약품과의 혼용을 금지하도록 하였다.
(2) 피험자 수 및 이에 대한 근거
피험자 수는 기능성 화장품의 유효성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2003, 2005), 화장품 표시, 광고 실증을 위한 시험방법 가이드라인(2013)에 준하여 20명 이상을 선정하여 시험을 시행하였다.
3. 평가 방법
(1) 병변계수에 의한 평가
시험제품 사용 전과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일정한 조도와 각도 하에서 코와 턱 부위를 제외한 안면의 폐쇄면포, 개방면포, 구진, 농포를 각각 계수하여 분석하였다(표 2 참조).
Lesion Criteria description
비염증성 병변
(Non-inflamed lesions)
폐쇄면포
(Whitehead)
0.1cm 크기의 병변으로서 발적, 종창이 동반되지 않는 초기단계
개방면포
(Blackhead)
폐쇄면포형과 유사하나 정점에 산화하여 검게 된 병변
염증성 병변(Inflamed lesions) 구진
(Papule)
0.1~0.5cm 크기의 병변으로서 발적 혹은 부종을 동반
농포
(Pustule)
0.1~0.5cm 크기로써 구진의 정점에 농이 있는 것
(2) 광도 측정 원리에 의한 피부 유분량 측정
도 1과 같이, 피부 유분량은 Sebumeter-cassette에 있는 두께 0.1mm의 mat synthetic tape로 피부에서 분비된 유분을 흡착한 후 광도를 측정하는 SebumeterTM (C+K, Germany)를 이용하였다. Device의 슬롯 안에 cassette를 끼웠을 때 투명도는 테이프를 통하여 지나가는 light source를 수치(㎍ sebum/cm2)로 나타낸다. 본 시험에서는 시험제품 사용 전과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좌.우 뺨 정면을 각각 1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3) 안면 촬영 장치에 의한 피지 개수 분석
도 2와 같이, 피지 개수 측정은 Facial stage DM-3TM(Moritex,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기기는 안면부위를 촬영하여 분석하는 기기로서 500만 화소 해상도, 형광조도, 3,800 룩스, 조사각 45도 및 초점 자동조정 등의 기능으로 안면부위 정면, 측면을 일정한 거리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형광 및 UV(365nm) 램프를 이용하여 안면부위의 모공, 피지, 색소침착 및 주름 등을 촬영한 후,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이 가능한 기기이다. 본 시험에서는 제품 사용 전과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안면 뺨(Width=350, Height=100 픽셀)을 분석하였다.
(4) 피험자에 의한 설문평가
효능 및 사용성 설문평가는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5점 척도(1 : 전혀 그렇지 않다 ~ 5 : 매우 그렇다)로 피험자가 직접 문답하도록 하였으며, 긍정적인 답변(4, 5번 선택)을 분석하였다.
(5) 피부 안정성 평가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시험자의 관찰 및 문진을 통해 주관적 피부 자극감과 객관적 피부 자극을 평가하였다.
(6) 통계 분석
모든 데이터의 통계적 유의성은 SPSSTM Package Program (IBM,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정규성은 첨도(kurtosis)와 왜도(skewness)를 통해 검증하였고, 시점 별 비교는 모수일 경우 paired t-test, 비모수일 경우는 Wilcoxon signed-ranks 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ρ값이 0.05 미만으로 설정하였으며 증감률은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4. 시험 결과
(1) 병변 계수에 의한 평가 분석 결과
병변계수 분석 결과, 아래의 [표 3]과 같이 폐쇄면포가 대폭 감소하였으며(ρ<0.05), 구진 및 농포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개선율은 각각 10.03%, 15.48%, 58.21%로 나타났다. 아래의 표 3은 whitehead, blackhead, papule and pustule number by lesion counting의 통계 분석 결과표이다. 또한, 도 3은 병변 계수에 의한 평가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Parameter Week N Mean1 SD P-value2 Decrement(%)
Whitehead Before 23 20.54 12.83 - -
4W 23 18.48 12.24 0.019* 10.03▼
Blackhead Before 23 3.80 2.86 - -
4W 23 3.78 3.55 0.936 0.53▼
Papule Before 23 2.52 2.33 - -
4W 23 2.13 2.71 0.288 15.48▼

Pustule
Before 23 0.67 1.43 - -
4W 23 0.28 0.69 0.061W
58.21▼
1) Decrease of the mean value represents reduction of whitehead, blackhead, papule and pustule number(▼)
2) Significantly different at *<0.05 compared with before treatment
W) Wilcoxon Signed Ranks Test
(2) 광도 측정 원리에 의한 피부 유분량 분석 결과
피부 유분량 분석 결과, 시험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유분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개선율은 10.80%였다. 아래의 표 4는 sebum output level by photometry method에 의한 통계 분석 결과표이다. 또한, 도 4는 광도 측정 원리에 의한 피부 유분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Week N Mean1 SD P-value Decrement(%)
Before 23 26.20 12.19 - -
4W 23 23.37 12.05 0.092* 10.80▼
* 1) Decrease of the mean value represents reduction of sebum output level(▼)
(3) 안면 이미지 분석에 의한 피지 개수 분석 결과
피지 개수 분석 결과,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피지 개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 < 0.05), 개선율은 67.91%였다. 아래의 표 5는 sebum number by fluorescence image analysis에 의한 통계 분석 결과표이다. 또한, 도 5는 안면 이미지 분석에 의한 피지 개수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Item Week N Mean1 SD P-value2 Decrement(%)
Sebum
number
Before 23 826.91 564.39 - -
4W 23 265.35 212.01 0.000* 67.91▼
1) Decrement of the mean value represents decrease of sebum number(▼)
2) Significantly different at *<0.05 compared with before treatment
5. 피험자에 의한 설문평가 분석 결과
(1) 효능 설문평가 분석 결과
효능에 관한 설문 평가 결과, 모든 항목에 대하여 피험자의 약 57%~91%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아래의 표 6은 self-questionnaires for efficacy에 있어서 긍정적인 답변의 결과표이다. 또한, 도 6은 안면 이미지 분석에 의한 피지 분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Item Frequency (N)1 Percentage (%)2
폐쇄면포 감소
(Decrease of whitehead)

17

73.91
개방면포 감소
(Decrease of blackhead)

13

56.52
피지 컨트롤
(Sebum control)
21 91.30
새로운 여드름 생성 안됨
(Decrease of novel acne production)

14

60.87
번들거림 감소
(Decrease of greasy)
13 56.52
1) Frequency(N) = Number of positive answers (4:Agree ~ 5:Strongly agree)
2) Percentage(%) = Number of positive answers / Total number of subjects (23) × 100
(2) 사용성 설문평가 분석
사용성 설문 평가 결과, '향'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피험자의 약 52%~91%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아래의 표 7은 self-questionnaires for usability에 있어서 긍정적인 답변의 결과표이다. 여기서, n=23이다. 또한, 도 7은 피험자에 의한 설문평가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Item Frequency (N)1 Percentage (%)2

(Color)
13 56.52

(Scent)
10 43.48
흡수력
(Absorption)
19 82.61
발림성
(Spreadability)
21 91.30
끈적임 없음
(No viscosity)
12 52.17
자극없고 피부에 잘 맞음
(Comfortable without the irritation)

17

73.91
만족도
(Satisfaction)
18 78.26
1) Frequency(N) : The number of positive answers (4:Agree ~ 5:Strongly agree)
2) Percentage(%) = Number of positive answers / Total number of subjects (23) × 100
6. 피부 안정성 평가 결과
본 시험기간 중 모든 피험자에서 피부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여기서 n=23이다. 또한, 도 8은 사용성 설문 평가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Symptom 4W
주관적 자극감
(Subjrctive irritation)
가려움
(Itching)
0
찌르듯이 아픔
(Prickling)
0
화끈거림
(Burning)
0
따끔거림
(Stinging)
0
뻣뻣함
(Stiffness)
0
당김
(Tightening)
0
눈이 따갑다
(Burning of eyes)
0
눈물이 난다
(Weeping)
0
기타
(etc.)
0
객관적 자극
(Objective irritation)
홍반
(Erythema)
0
부종
(Edema)
0
인설
(Scale)
0
구진
(Papule)
0
기타
(etc.)
0
총 이상반응 자의 수
(Total number of subjects)
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피부에 발생하는 여드름을 진정시키기 위해 녹차수, 감국꽃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바실러스 또는 어성초 추출물 발효 여과물, 멜랄레우카 알테르니폴리아 추출물, 마그놀올, 토타롤, 녹차카테킨, 프로폴리스 추출물, 삼나무잎 추출물 및 연잎 추출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피부 보습을 위해 위치하젤 추출물, 글리세린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피부 노화를 예방하기 위해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1,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7, 카르노신 및 글루타치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3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천연 방부제로서 황금뿌리 추출물 및 모란뿌리 추출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4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피부의 재생을 촉진하여 여드름 흉터를 없앨 수 있도록 산자나무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5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피지의 발생을 억제하여 모공을 축소시키기 위해 라벤더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안정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점증제로서 잔탄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피부의 주름 개선을 위해 아데노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피부의 온도를 낮추어 미백 효능을 부여하기 위해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변색을 방지하는 금속이온봉쇄제로서 디소듐이디티에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성물, 제2조성물, 제3조성물, 제4조성물, 제5조성물, 라벤더수, 잔탄검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천연물질로부터 유래된 천연 원료이고,
    상기 아데노신 및 상기 디소듐이디티에이는 합성 원료이되,
    상기 천연 원료 90 내지 100중량부당 상기 합성 원료 0.1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성물은,
    상기 녹차수 1 내지 100중량부, 상기 감국꽃 추출물 1 내지 3중량부, 상기 고삼 추출물 1 내지 3중량부, 상기 바실러스 또는 상기 어성초 추출물 발효 여과물 1 내지 3중량부, 상기 멜랄레우카 알테르니폴리아 추출물 0.1 내지 1중량부, 상기 마노놀올 0.01 내지 1 중량부, 상기 토타롤 0.1 내지 1중량부, 상기 녹차카테킨 0.01 내지 0.5 중량부, 상기 프로폴리스 추출물 0.1 내지 1중량부, 상기 삼나무잎 추출물 1 내지 5중량부, 상기 연잎 추출물 1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성물은,
    상기 위치하젤 추출물 1 내지 10중량부, 상기 글리세린 0.1 내지 1중량부 및 상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1 내지 1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조성물은,
    상기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1, 상기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7, 상기 카르노신 및 상기 글루타치온은 각각 0.1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4조성물은,
    상기 황금뿌리 추출물 0.1 내지 1중량부 및 상기 모란뿌리 추출물 0.1 내지 1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5조성물은,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1 내지 5중량부 및 상기 감태 추출물 0.1 내지 3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KR1020170057935A 2017-05-10 2017-05-10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KR101934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935A KR101934281B1 (ko) 2017-05-10 2017-05-10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935A KR101934281B1 (ko) 2017-05-10 2017-05-10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799A true KR20180123799A (ko) 2018-11-20
KR101934281B1 KR101934281B1 (ko) 2019-01-02

Family

ID=6456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935A KR101934281B1 (ko) 2017-05-10 2017-05-10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28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098B1 (ko) * 2019-07-26 2019-12-12 (주)티이엔 여드름 피부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001432A (ko)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마스크팩
KR102281606B1 (ko) * 2021-04-16 2021-07-26 (주)바이오신펩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등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49786B1 (ko) * 2021-10-05 2022-01-10 여지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2002B1 (ko) * 2021-10-22 2022-04-01 (주)바이오신펩 펩타이드 복합체 및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등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983B1 (ko) 2019-01-24 2020-11-10 대구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0053B1 (ko) 2021-04-08 2022-02-08 노성균 필업 리프팅 앰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181B1 (ko) * 2006-09-27 2007-10-04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태 추출물을 이용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432A (ko)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마스크팩
KR102055098B1 (ko) * 2019-07-26 2019-12-12 (주)티이엔 여드름 피부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81606B1 (ko) * 2021-04-16 2021-07-26 (주)바이오신펩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등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49786B1 (ko) * 2021-10-05 2022-01-10 여지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2002B1 (ko) * 2021-10-22 2022-04-01 (주)바이오신펩 펩타이드 복합체 및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등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281B1 (ko)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281B1 (ko)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KR101779999B1 (ko) 국소 피부 케어 제형
KR101972071B1 (ko) 피부톤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09350579B (zh) 美白化妆品添加剂和美白醒肤露及其制备方法
CN103860453B (zh) 一种活颜紧致润肤霜及其制备方法
CN110090191A (zh) 一种晒后修复组合物及其化妆品
KR102471043B1 (ko) 호호바씨 오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CN114796024B (zh) 用于皮肤屏障修复的仿生皮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494737B (zh) 一种以姜花作为抗衰老护肤因子的化妆品制剂及制备方法
CN104027280A (zh) 一种抗衰老中药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CN107184511A (zh) 一种具有消炎、促进肌肤修复再生以及美白功效的活性外敷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1639578B1 (ko) 바실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568207B (zh) 美白化妆品添加剂和美白补水面膜及其制备方法
JP7338842B2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10103440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6176360A (zh) 一种含有睡莲花萃取物、雪莲花萃取物和狭叶松果菊花萃取物的花蜜霜及其制备方法
KR20130089045A (ko)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2870122B (zh) 一种具有光防护功效的高稳定性纳米乳液及其制备方法
KR101675062B1 (ko) 멜라토닌을 이용한 이중 코팅된 순수 비타민 c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TWI740442B (zh) 多功能水包油包水潤膚組成物
CN109966372A (zh) 一种地骨皮提取物及其新应用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116768A (zh) 水分露和胶原酶抑制剂及其制备方法
CN113116767A (zh) 醒肤露及其制备方法和胶原酶抑制剂
CN111467269A (zh) 含夏块菌提取物的保养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