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432A - 마스크팩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432A
KR20210001432A KR1020190077519A KR20190077519A KR20210001432A KR 20210001432 A KR20210001432 A KR 20210001432A KR 1020190077519 A KR1020190077519 A KR 1020190077519A KR 20190077519 A KR20190077519 A KR 20190077519A KR 20210001432 A KR20210001432 A KR 20210001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ack
extract
dipeptide
acety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2578B1 (ko
Inventor
소경석
조건우
구혜림
차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77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578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8Thermochromatic; Photochromic; Phototrop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마스크팩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에 의하면,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리된 영역별로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될 수 있고, 영역별로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됨으로써, 사용자 안면 부위에 따라 가장 필요한 유효성분을 적용하여 피부관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주름이 많은 곳에는 주름 완화가 가능하고, 피부 트러블이나 피지가 많이 발생하는 곳에는 트러블 케어나 피지 케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얼굴 부위별로 맞춤형 케어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팩{mask pack}
본 발명은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리된 영역별로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됨으로써, 사용자 안면 부위에 따라 가장 필요한 유효성분을 적용하여 피부관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여성의 본능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 들어 자신을 더욱 예뻐 보이게 하기 위한 체형 관리나 미용 또는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도 피부관리를 위해 화장품에 관심을 두게 됨에 따라 화장품 시장은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크게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베이스와 색조 화장품 등으로 나눌 수 있고, 고형,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료로 제조되며, 이들을 보관하는 화장품 용기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보습,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여드름 완화, 아토피 완화, 항염증이나 각질용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도 널리 소비되고 있다.
한편, 미용 팩(pack)은 크림이나 마스크 형태로 되어있어 얼굴에 바르거나 붙이는 식으로 쓰이는 화장품의 일종이며 주로 크림과 마스크(mask) 형의 두 종류가 있으며, 마스크 형 즉, 마스크팩은 시트지에 액상이나 로션, 오일, 크림 등의 팩제가 적셔져 있는 제품을 말한다.
마스크 팩은, 손쉽게 얼굴 마사지를 하기 위하여 부직포나 미용필름 등에 피부 미용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을 겔 형태로 함침시켜 얼굴 형태에 맞게 마스크 형상으로 제작한 것으로서, 최근 들어 피부 미용 기능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 팩이 시판되면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 팩은 PE필름 상에 부직포를 적층하고, 부직포에 기능성 화장품을 겔 형태로 코팅한 후, PE필름을 덮고서 마스크 형상으로 포밍하고, 포밍된 마스크 팩을 분리하여 포장함으로써 제조된다.
위와 같이 마스크팩의 시트는 보통 부직포나 셀룰로오스를 기반으로 해서 만들어지며, 안면 윤곽에 대응되도록 눈구멍과 콧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시트상에 피부 노폐물 제거, 주름 제거, 미백 효과 등이 있는 다양한 성분을 함침시켜 피부 관리에 활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마스크팩은 하나의 시트에 한 종류의 유효성분이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목적에 맞는 유효성분이 도포된 마스크팩을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얼굴의 어느 부분은 주름 완화가 필요하고, 다른 부분은 트러블이나 피지 케어가 필요로 하는 경우와 같이 얼굴 부위별로 요구되는 특성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이러한 요구에 맞춰 여러 종류의 마스크팩을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 안면 부위에 따라 가장 필요한 유효성분을 적용하여 피부관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마스크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리된 영역별로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마스크팩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영역별로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됨으로써, 사용자 안면 부위에 따라 가장 필요한 유효성분을 적용하여 피부관리의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또한, 주름이 많은 곳에는 주름 완화가 가능하고, 피부 트러블이나 피지가 많이 발생하는 곳에는 트러블 케어나 피지 케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얼굴 부위별로 맞춤형 케어를 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안면 윤곽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시트; 및, 상기 시트상에 형성되고,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리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영역별로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영역은 눈 상부와 코를 커버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피부 트러블 케어 또는 피지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유효성분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피부 트러블 케어를 위한 유효성분은, Asiaticoside, Asiatic Acid, Centella Asiatica Extract, Madecassoside,Madecassic Acid, Propolis Extract,Artemisia Princeps Leaf Extract(쑥 추출물), Helichrysum Arenarium Extract(옐로우체이스트위드 추출물), Melaleuca Alternifolia(Tea Tree) Leaf Oil, Melaleuca Alternifolia Leaf Water, Melaleuca Alternifolia Flower/Leaf/Stem Extract, Melaleuca Alternifolia Leaf Oil, Melaleuca Alternifolia Extract, Melaleuca Alternifolia Leaf Extract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지 제거를 위한 유효성분은, Betula Platyphylla Japonica Juice(자작수액), Castanea Crenata(Chestnut) Shell Extract(밤껍질 추출물), Lavandula Angustifolia(Lavender) Flower Extract(라벤더꽃 추출물), Epilobium Fleischeri Extract(에필로비움플레이스케리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영역은 눈 하부를 커버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다크서클 완화 또는 주름 완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유효성분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다크서클 완화를 위한 유효성분은, Broussonetia Extract(닥나무추출물), Ascobyl Glucoside(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Arbutin(알부틴), (-)-alpha-bisabolol(알파-비사보롤), Ethyl Ascorbyl Ether(에칠아스코빌에텔), Oil Soluble Licorice(Glycyrrhiza) Extract(유용성감초추출물), Ascorbyl Tetraisopalmitate(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Niacinamide, Tranexamic Acid, Retin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름 완화를 위한 유효성분은, Retinol(레티놀), Retinyl Palmitate(레티닐팔미테이트), Adenosine(아데노신), Adenosine solution(2%)(아데노신액(2%), Polyethoxylated Retinamide(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 Acetyl Hexapeptide-8, Acetyl tetrapeptide-5, Acetyl Heptapeptide-9, Acetyl Hexapeptide-37, Acetyl Octapeptide-3, Acetyl Dipeptide-1 Cetyl Ester, Ascorbic Acid Polypeptide, Avena Sativa(Oat) Peptide, Copper Tripeptide-1, Caffeoyl Tripeptide-1, Dipeptide-2, Glycine Max(Soybean) Polypeptide, Hexanoyl Dipeptide-3 Norleucine Acetate, Galloyl Nonapeptide-11, Hexapeptide-9, Heptasodium Hexacarboxymethyl Dipeptide-12, Myristoyl Pentapeptide-17,Nonapeptide-1, Nicotinoyl Tripeptide-1,Nicotinoyl Dipeptide-23, Oligopeptide-29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영역은 코 하부의 양측과 입꼬리를 연결하는 선을 커버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영역은 주름 완화 또는 피부 탄력 증진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유효성분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주름 완화를 위한 유효성분은, Retinol(레티놀), Retinyl Palmitate(레티닐팔미테이트), Adenosine(아데노신), Adenosine solution(2%)(아데노신액(2%), Polyethoxylated Retinamide(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 Acetyl Hexapeptide-8, Acetyl tetrapeptide-5, Acetyl Heptapeptide-9, Acetyl Hexapeptide-37, Acetyl Octapeptide-3, Acetyl Dipeptide-1 Cetyl Ester, Ascorbic Acid Polypeptide, Avena Sativa(Oat) Peptide, Copper Tripeptide-1, Caffeoyl Tripeptide-1, Dipeptide-2, Glycine Max(Soybean) Polypeptide, Hexanoyl Dipeptide-3 Norleucine Acetate, Galloyl Nonapeptide-11, Hexapeptide-9, Heptasodium Hexacarboxymethyl Dipeptide-12, Myristoyl Pentapeptide-17,Nonapeptide-1, Nicotinoyl Tripeptide-1,Nicotinoyl Dipeptide-23, Oligopeptide-29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부 탄력 증진을 위한 유효성분은, 콜라겐류, 펩타이드류. 비타민류, Retinol(레티놀), Retinyl Palmitate(레티닐팔미테이트), Adenosine(아데노신), Adenosine solution(2%)(아데노신액(2%), Polyethoxylated Retinamide(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 Acetyl Hexapeptide-8, Acetyl tetrapeptide-5, Acetyl Heptapeptide-9, Acetyl Hexapeptide-37, Acetyl Octapeptide-3, Acetyl Dipeptide-1 Cetyl Ester, Ascorbic Acid Polypeptide, Avena Sativa(Oat) Peptide, Copper Tripeptide-1, Caffeoyl Tripeptide-1, Dipeptide-2, Glycine Max (Soybean) Polypeptide, Hexanoyl Dipeptide-3 Norleucine Acetate, Galloyl Nonapeptide-11, Hexapeptide-9, Heptasodium Hexacarboxymethyl Dipeptide-12, Myristoyl Pentapeptide-17, Nonapeptide-1, Nicotinoyl Tripeptide-1, Nicotinoyl Dipeptide-23, Oligopeptide-29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영역은 턱선을 커버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제4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4 영역은 수분 케어를 위한 유효성분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수분 케어를 위한 유효성분은, 히알루론산, 감마 PGA, ceramide 3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트의 안면을 커버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온도에 따라 감응하여 색상이 변하는 안료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되도록 제작되고 상기 분리된 각각의 시트는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리된 영역은, 상기 안면을 일부 벗어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안면 윤곽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시트; 및 상기 시트상에 형성되고,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영역;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독립된 영역은, 상기 시트가 차지하는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안면 윤곽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시트; 및 상기 시트상에 형성되고,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리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영역별로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은 동일한 단일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되도록 제작되고 상기 분리된 각각의 시트는 동일한 단일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리된 영역별로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마스크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역별로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됨으로써, 사용자 안면 부위에 따라 가장 필요한 유효성분을 적용하여 피부관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주름이 많은 곳에는 주름 완화가 가능하고, 피부 트러블이나 피지가 많이 발생하는 곳에는 트러블 케어나 피지 케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얼굴 부위별로 맞춤형 케어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상에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영역들을 표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이 얼굴 상부만 커버하도록 제조된 경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이 얼굴 하부만 커버하도록 제조된 경우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상에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영역들을 표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이 얼굴 상부만 커버하도록 제조된 경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이 얼굴 하부만 커버하도록 제조된 경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100)은 크게 사용자의 안면 윤곽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시트(101); 및, 상기 시트(101)상에 형성되고, 상기 시트(101)가 안면을 커버하는 부분 중에서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리된 영역(110, 120, 130, 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100)은 상기 영역(110, 120, 130, 140)별로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영역(110, 120, 130, 140)은 눈 상부와 코를 커버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제1 영역(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영역(110)은 양쪽 눈의 윗 부분 즉, 이마의 하부를 가로지르는 선과 콧등을 지나가는 세로선이 수직으로 만나 전체적으로 T자와 유사한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T존(T zone)으로 불린다.
T존 즉, 제1 영역(110)의 가로선의 길이는 양쪽 눈초리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가로선의 하단은 눈 위 5cm 정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110)의 세로선의 길이는 코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고, 그 폭은 미간 간격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눈초리 간격, 미간 간격, 코 길이는 대한민국 남자 평균이 각각 10.5cm, 3.6cm, 5.3cm 이며, 대한민국 여자 평균이 각각 10.1cm, 3.6cm, 4.7cm 이다. 따라서 위 각 평균수치의 ±1~2cm 범위에서 상기 제1 영역(110)을 형성함으로써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역(110)에는 피부 트러블 케어 또는 피지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유효성분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110)이 커버하는 눈 윗부분과 콧등은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는 빈도가 높고 피지가 많이 생성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T존 즉, 제1 영역(110)에는 피부 트러블과 피지를 케어할 수 있는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 트러블 케어를 위한 유효성분은, Asiaticoside, Asiatic Acid, Centella Asiatica Extract, Madecassoside,Madecassic Acid, Propolis Extract,Artemisia Princeps Leaf Extract(쑥 추출물), Helichrysum Arenarium Extract(옐로우체이스트위드 추출물), Melaleuca Alternifolia(Tea Tree) Leaf Oil, Melaleuca Alternifolia Leaf Water, Melaleuca Alternifolia Flower/Leaf/Stem Extract, Melaleuca Alternifolia Leaf Oil, Melaleuca Alternifolia Extract, Melaleuca Alternifolia Leaf Extract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지 제거를 위한 유효성분은, Betula Platyphylla Japonica Juice(자작수액), Castanea Crenata(Chestnut) Shell Extract(밤껍질 추출물), Lavandula Angustifolia(Lavender) Flower Extract(라벤더꽃 추출물), Epilobium Fleischeri Extract(에필로비움플레이스케리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역(110, 120, 130, 140)은 눈 하부를 커버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제2 영역(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120)은 눈 하단을 따라 형성되는 영역이므로 아이존(eye zone)으로 불리운다.
상기 제2 영역(120)은 양쪽 눈 하부에 위치하며 다크서클이나 주름이 많이 생성되는 부분이므로 상기 제2 영역(120)은 다크서클 완화 또는 주름 완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유효성분이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크서클 완화를 위한 유효성분은, Broussonetia Extract(닥나무추출물), Ascobyl Glucoside(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Arbutin(알부틴), (-)-alpha-bisabolol(알파-비사보롤), Ethyl Ascorbyl Ether(에칠아스코빌에텔), Oil Soluble Licorice(Glycyrrhiza) Extract(유용성감초추출물), Ascorbyl Tetraisopalmitate(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Niacinamide, Tranexamic Acid, Retin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 완화를 위한 유효성분은, Retinol(레티놀), Retinyl Palmitate(레티닐팔미테이트), Adenosine(아데노신), Adenosine solution(2%)(아데노신액(2%), Polyethoxylated Retinamide(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 Acetyl Hexapeptide-8, Acetyl tetrapeptide-5, Acetyl Heptapeptide-9, Acetyl Hexapeptide-37, Acetyl Octapeptide-3, Acetyl Dipeptide-1 Cetyl Ester, Ascorbic Acid Polypeptide, Avena Sativa(Oat) Peptide, Copper Tripeptide-1, Caffeoyl Tripeptide-1, Dipeptide-2, Glycine Max(Soybean) Polypeptide, Hexanoyl Dipeptide-3 Norleucine Acetate, Galloyl Nonapeptide-11, Hexapeptide-9, Heptasodium Hexacarboxymethyl Dipeptide-12, Myristoyl Pentapeptide-17,Nonapeptide-1, Nicotinoyl Tripeptide-1,Nicotinoyl Dipeptide-23, Oligopeptide-29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역(110, 120, 130, 140)은 코 하부의 양측과 입꼬리를 연결하는 선을 커버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제3 영역(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영역(130)은 코 양측으로부터 입꼬리 부분까지 코 옆 주름이 많이 생성되며, 피부 탄력이 저하되면 피부 처짐이 자주 발생하는 영역이으로서, 링클존(wrinkle zone)으로 불리운다. 따라서 상기 제3 영역(130)은 주름 완화 또는 피부 탄력 증진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유효성분이 도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름 완화를 위한 유효성분은, Retinol(레티놀), Retinyl Palmitate(레티닐팔미테이트), Adenosine(아데노신), Adenosine solution(2%)(아데노신액(2%), Polyethoxylated Retinamide(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 Acetyl Hexapeptide-8, Acetyl tetrapeptide-5, Acetyl Heptapeptide-9, Acetyl Hexapeptide-37, Acetyl Octapeptide-3, Acetyl Dipeptide-1 Cetyl Ester, Ascorbic Acid Polypeptide, Avena Sativa(Oat) Peptide, Copper Tripeptide-1, Caffeoyl Tripeptide-1, Dipeptide-2, Glycine Max(Soybean) Polypeptide, Hexanoyl Dipeptide-3 Norleucine Acetate, Galloyl Nonapeptide-11, Hexapeptide-9, Heptasodium Hexacarboxymethyl Dipeptide-12, Myristoyl Pentapeptide-17,Nonapeptide-1, Nicotinoyl Tripeptide-1,Nicotinoyl Dipeptide-23, Oligopeptide-29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부 탄력 증진을 위한 유효성분은, 콜라겐류, 펩타이드류. 비타민류, Retinol(레티놀), Retinyl Palmitate(레티닐팔미테이트), Adenosine(아데노신), Adenosine solution(2%)(아데노신액(2%), Polyethoxylated Retinamide(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 Acetyl Hexapeptide-8, Acetyl tetrapeptide-5, Acetyl Heptapeptide-9, Acetyl Hexapeptide-37, Acetyl Octapeptide-3, Acetyl Dipeptide-1 Cetyl Ester, Ascorbic Acid Polypeptide, Avena Sativa(Oat) Peptide, Copper Tripeptide-1, Caffeoyl Tripeptide-1, Dipeptide-2, Glycine Max (Soybean) Polypeptide, Hexanoyl Dipeptide-3 Norleucine Acetate, Galloyl Nonapeptide-11, Hexapeptide-9, Heptasodium Hexacarboxymethyl Dipeptide-12, Myristoyl Pentapeptide-17, Nonapeptide-1, Nicotinoyl Tripeptide-1, Nicotinoyl Dipeptide-23, Oligopeptide-29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역(110, 120, 130, 140)은 턱선을 커버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제4 영역(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4 영역(140)은 턱선을 따라 양쪽 귀 구슬이 보이는 지점까지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전체적으로 U자형을 이루므로 U존(U zone)이라 불리운다.
일반적으로 양쪽 귀 구슬에서 턱 밑까지의 길이는 대한민국 남자 및 여자 평균이 각각 31cm, 29.3cm이다. 따라서 위 각 평균수치의 ±1~2cm 범위에서 상기 제4 영역(140)을 형성함으로써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제4 영역(140)은 피부가 자주 건조해지고 그에 따라 각질이 많이 생성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를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제4 영역(140)은 수분 케어를 위한 유효성분이 도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분 케어를 위한 유효성분은, 히알루론산 감마 PGA, ceramide 3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101)의 안면을 커버하는 면의 반대쪽 면 즉, 외측면에는 온도에 따라 감응하여 색상이 변하는 안료가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도감응안료가 시트(101) 외측면에 도포되면, 마스크팩(100)을 얼굴에 붙이고 일정 시간 후에 온도가 상승하면 색상이 변하므로, 사용자가 마스크팩(100)을 분리해낼 시간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분리된 각각의 시트(201, 301)는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210, 220, 330, 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것은 마스크팩(200)이 얼굴 상부만 커버하도록 제조된 경우로서 제1 영역(210)과 제2 영역(220)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것은 마스크팩(300)이 얼굴 하부만 커버하도록 제조된 경우로서 제3 영역(330)과 제4 영역(340) 구비된 것이다.
이때, 상기 분리된 각각의 시트(201, 301)의 둘 이상의 영역에는 동일한 단일 유효성분이 도포, 예를 들어 도 2의 시트(201)의 제2 영역(120) 및 제3 영역(130)에는 동일한 단일 유효성분이 도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안면 윤곽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시트; 및 상기 시트상에 형성되고, 상기 시트가 상기 시트가 차지하는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져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영역;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이 제공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마스크팩에 따르면,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리된 영역별로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될 수 있고, 영역별로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됨으로써, 사용자 안면 부위에 따라 가장 필요한 유효성분을 적용하여 피부관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주름이 많은 곳에는 주름 완화가 가능하고, 피부 트러블이나 피지가 많이 발생하는 곳에는 트러블 케어나 피지 케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얼굴 부위별로 맞춤형 케어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200, 300 : 마스크팩 101, 201, 301 : 시트
110, 210 : 제1 영역 120, 220 : 제2 영역
130, 330 : 제3 영역 140, 340 : 제4 영역

Claims (23)

  1. 사용자의 안면 윤곽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시트; 및
    상기 시트상에 형성되고,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리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영역별로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눈 상부와 코를 커버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피부 트러블 케어 또는 피지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트러블 케어를 위한 유효성분은,
    Asiaticoside, Asiatic Acid, Centella Asiatica Extract, Madecassoside,Madecassic Acid, Propolis Extract,Artemisia Princeps Leaf Extract(쑥 추출물), Helichrysum Arenarium Extract(옐로우체이스트위드 추출물), Melaleuca Alternifolia(Tea Tree) Leaf Oil, Melaleuca Alternifolia Leaf Water, Melaleuca Alternifolia Flower/Leaf/Stem Extract, Melaleuca Alternifolia Leaf Oil, Melaleuca Alternifolia Extract, Melaleuca Alternifolia Leaf Extract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 제거를 위한 유효성분은,
    Betula Platyphylla Japonica Juice(자작수액), Castanea Crenata(Chestnut) Shell Extract(밤껍질 추출물), Lavandula Angustifolia(Lavender) Flower Extract(라벤더꽃 추출물), Epilobium Fleischeri Extract(에필로비움플레이스케리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눈 하부를 커버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다크서클 완화 또는 주름 완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크서클 완화를 위한 유효성분은,
    Broussonetia Extract(닥나무추출물), Ascobyl Glucoside(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Arbutin(알부틴), (-)-alpha-bisabolol(알파-비사보롤), Ethyl Ascorbyl Ether(에칠아스코빌에텔), Oil Soluble Licorice(Glycyrrhiza) Extract(유용성감초추출물), Ascorbyl Tetraisopalmitate(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Niacinamide, Tranexamic Acid, Retin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완화를 위한 유효성분은,
    Retinol(레티놀), Retinyl Palmitate(레티닐팔미테이트), Adenosine(아데노신), Adenosine solution(2%)(아데노신액(2%), Polyethoxylated Retinamide(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 Acetyl Hexapeptide-8, Acetyl tetrapeptide-5, Acetyl Heptapeptide-9, Acetyl Hexapeptide-37, Acetyl Octapeptide-3, Acetyl Dipeptide-1 Cetyl Ester, Ascorbic Acid Polypeptide, Avena Sativa(Oat) Peptide, Copper Tripeptide-1, Caffeoyl Tripeptide-1, Dipeptide-2, Glycine Max(Soybean) Polypeptide, Hexanoyl Dipeptide-3 Norleucine Acetate, Galloyl Nonapeptide-11, Hexapeptide-9, Heptasodium Hexacarboxymethyl Dipeptide-12, Myristoyl Pentapeptide-17,Nonapeptide-1, Nicotinoyl Tripeptide-1,Nicotinoyl Dipeptide-23, Oligopeptide-29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코 하부의 양측과 입꼬리를 연결하는 선을 커버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은 주름 완화 또는 피부 탄력 증진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완화를 위한 유효성분은,
    Retinol(레티놀), Retinyl Palmitate(레티닐팔미테이트), Adenosine(아데노신), Adenosine solution(2%)(아데노신액(2%), Polyethoxylated Retinamide(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 Acetyl Hexapeptide-8, Acetyl tetrapeptide-5, Acetyl Heptapeptide-9, Acetyl Hexapeptide-37, Acetyl Octapeptide-3, Acetyl Dipeptide-1 Cetyl Ester, Ascorbic Acid Polypeptide, Avena Sativa(Oat) Peptide, Copper Tripeptide-1, Caffeoyl Tripeptide-1, Dipeptide-2, Glycine Max(Soybean) Polypeptide, Hexanoyl Dipeptide-3 Norleucine Acetate, Galloyl Nonapeptide-11, Hexapeptide-9, Heptasodium Hexacarboxymethyl Dipeptide-12, Myristoyl Pentapeptide-17,Nonapeptide-1, Nicotinoyl Tripeptide-1,Nicotinoyl Dipeptide-23, Oligopeptide-29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탄력 증진을 위한 유효성분은,
    콜라겐류, 펩타이드류. 비타민류, Retinol(레티놀), Retinyl Palmitate(레티닐팔미테이트), Adenosine(아데노신), Adenosine solution(2%)(아데노신액(2%), Polyethoxylated Retinamide(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 Acetyl Hexapeptide-8, Acetyl tetrapeptide-5, Acetyl Heptapeptide-9, Acetyl Hexapeptide-37, Acetyl Octapeptide-3, Acetyl Dipeptide-1 Cetyl Ester, Ascorbic Acid Polypeptide, Avena Sativa(Oat) Peptide, Copper Tripeptide-1, Caffeoyl Tripeptide-1, Dipeptide-2, Glycine Max (Soybean) Polypeptide, Hexanoyl Dipeptide-3 Norleucine Acetate, Galloyl Nonapeptide-11, Hexapeptide-9, Heptasodium Hexacarboxymethyl Dipeptide-12, Myristoyl Pentapeptide-17, Nonapeptide-1, Nicotinoyl Tripeptide-1, Nicotinoyl Dipeptide-23, Oligopeptide-29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턱선을 커버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제4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영역은 수분 케어를 위한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케어를 위한 유효성분은,
    히알루론산, 감마 PGA, ceramide 3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안면을 커버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온도에 따라 감응하여 색상이 변하는 안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되도록 제작되고 상기 분리된 각각의 시트는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영역은, 상기 안면을 일부 벗어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20. 사용자의 안면 윤곽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시트; 및
    상기 시트상에 형성되고,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영역;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된 영역은, 상기 시트가 차지하는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22. 사용자의 안면 윤곽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시트; 및
    상기 시트상에 형성되고,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리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영역별로 서로 다른 유효성분이 도포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은 동일한 단일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되도록 제작되고 상기 분리된 각각의 시트는 동일한 단일 유효성분이 도포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KR1020190077519A 2019-06-28 2019-06-28 마스크팩 KR102232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519A KR102232578B1 (ko) 2019-06-28 2019-06-28 마스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519A KR102232578B1 (ko) 2019-06-28 2019-06-28 마스크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32A true KR20210001432A (ko) 2021-01-06
KR102232578B1 KR102232578B1 (ko) 2021-03-26

Family

ID=7412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519A KR102232578B1 (ko) 2019-06-28 2019-06-28 마스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5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415A (ko) 2021-03-03 2022-09-14 김정국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마스크 팩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777A (ko) * 2015-03-24 2016-10-06 주식회사 오브 이중 효과 닌자 마스크
KR20170045822A (ko) * 2015-10-20 2017-04-28 고경찬 미용용 마스크 팩
KR20170050329A (ko) * 2015-10-30 2017-05-11 유비코스(주) 마스크팩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20180072179A (ko) * 2016-12-21 2018-06-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3799A (ko)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디엠씨케이컴퍼니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KR101961852B1 (ko) * 2018-07-20 2019-03-25 (주)아우딘퓨쳐스 필-오프 타입의 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777A (ko) * 2015-03-24 2016-10-06 주식회사 오브 이중 효과 닌자 마스크
KR20170045822A (ko) * 2015-10-20 2017-04-28 고경찬 미용용 마스크 팩
KR20170050329A (ko) * 2015-10-30 2017-05-11 유비코스(주) 마스크팩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20180072179A (ko) * 2016-12-21 2018-06-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3799A (ko)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디엠씨케이컴퍼니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KR101961852B1 (ko) * 2018-07-20 2019-03-25 (주)아우딘퓨쳐스 필-오프 타입의 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415A (ko) 2021-03-03 2022-09-14 김정국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마스크 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578B1 (ko)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8976A (en) Anatomical dressings for cosmetic treatments
CN102525870A (zh) 中药美容面膜
KR102232578B1 (ko) 마스크팩
CN106822717A (zh) 一种美白淡斑祛皱紧致肌肤的草本制剂及其制造方法
CN102526454B (zh) 一种美容面膜粉及其制备方法
CN102988263A (zh) 一种具有护唇、美唇功效的蜂毒组合物
CN103385845A (zh) 一种白茯苓美白调理面膜
KR20160114777A (ko) 이중 효과 닌자 마스크
JP7395623B2 (ja) 造形可変な全方位スキンケアマスク
KR102342783B1 (ko) 캐릭터 연출이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팩
CN217138684U (zh) 一种可减少活性物用量的涂装膜布以及基于该膜布的面膜
CN104873424A (zh) 美白面膜
KR20220103298A (ko) 다중 마스크 팩
KR20220103308A (ko) 멀티 마스크 팩
KR102355602B1 (ko) 피부미용 화장품 포장체 및 그 제조방법
CN106880559A (zh) 一种眼部肌肤护肤品
JP3231025U (ja) 美容シートマスク
TWM638234U (zh) 可有效攜帶氫分子之面膜結構
KR20230103509A (ko) 수분 공급 및 자외선 차단이 용이한 마스크 팩
CN201154090Y (zh) 一种豆皮制品
CN209628923U (zh) 具有美容效果的面罩结构
KR20040025293A (ko) 일회용 피부미백 및 보습 마스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545904A (zh) 一种可变造型全方位护肤的面膜
CN107174554A (zh) 一种含有玫瑰果肉的护肤品
CN104666213A (zh) 面膜软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