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930A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930A
KR20180121930A KR1020187027734A KR20187027734A KR20180121930A KR 20180121930 A KR20180121930 A KR 20180121930A KR 1020187027734 A KR1020187027734 A KR 1020187027734A KR 20187027734 A KR20187027734 A KR 20187027734A KR 20180121930 A KR20180121930 A KR 20180121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length
max
less
intensity
optic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구로다
야스히로 고이께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야스히로 고이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야스히로 고이께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1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01L51/5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7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disper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편광 선글라스를 통하여 관찰하였을 때에도 색의 재현성이 양호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표시 소자의 광 출사면측의 면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 X를 갖고, 광학 필름 X에 표시 소자측으로부터 입사하는 광 중, 광학 필름 X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인 L1이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고, 광학 필름 X의 광 출사면측으로부터 광학 필름 X의 수직 방향으로 출광하는 광이며, 상기 편광자 a의 흡수축과 평행인 흡수축을 갖는 편광자 b를 통과한 광인 L2가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이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로 대표되는 표시 장치는, 휘도, 해상도, 색 영역 등의 성능이 급속하게 진보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성능의 진보에 비례하여, 휴대용 정보 단말기,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의 옥외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한 표시 장치가 증가하고 있다.
햇살이 강한 옥외 등의 환경에서는, 눈부심을 경감하기 위해 편광 기능을 구비한 선글라스(이하, 「편광 선글라스」라고 칭함)를 쓴 상태에서 표시 장치를 관찰하는 경우가 있다.
표시 장치가 편광판을 포함하는 경우, 표시 장치의 편광의 흡수축과, 편광 선글라스의 편광의 흡수축이 직교하면 화면이 어두워져 보이지 않게 된다(이하, 「블랙 아웃」이라고 칭함)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의 수단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07198호 공보
특허문헌 1은,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백색 발광 다이오드(백색 LED)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편광판의 시인측에 3000 내지 30000㎚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고분자 필름을 특정한 각도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의 수단으로는 블랙 아웃의 문제는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백색 발광 다이오드(백색 LED)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리타데이션값에 특유한 간섭 불균일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근년, 휘도, 해상도, 색 영역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시 장치의 광원 및 표시 소자가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의 광원으로서는, 특허문헌 1에서 사용하고 있는 백색 LED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근년, 백라이트의 광원으로서 양자 도트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가 제안되기 시작하고 있다. 또한, 현재의 표시 소자의 주류는 액정 표시 소자이지만, 근년, 유기 EL 소자의 실용화가 확산되고 있는 중이다.
이들 근년의 표시 장치를 편광 선글라스를 통하여 관찰한 경우, 상기 문제(블랙 아웃 및 간섭 불균일)를 발생시키지 않아도, 색의 재현성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색의 재현성이 양호한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광학 시트의 선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주류였던 백색 LED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와, 근년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표시 장치의 차이에 착안하였다. 그 결과, 근년의 표시 장치는, 백색 LED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하여RGB의 분광 스펙트럼이 샤프하고, 색 영역(재현할 수 있는 색의 폭)이 넓다는 것과, 색 영역이 넓기 때문에, 리타데이션을 갖는 광학 필름 및 편광의 흡수축을 통과함으로써 색의 재현성에 문제를 발생시키기 쉽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더 검토한 결과, 색 영역이 넓은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색의 재현성의 문제는, 광원의 분광 스펙트럼을 고려하는 것만으로는 해소할 수 없고, 표시 소자의 분광 스펙트럼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내어,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하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을 제공한다.
[1] 표시 소자의 광 출사면측의 면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 X를 갖고, 하기 조건 1-1 및 조건 2-1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조건 1-1>
상기 광학 필름 X에 표시 소자측으로부터 입사하는 광 중, 상기 광학 필름 X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을 L1이라고 한다. 상기 L1의 강도를 1㎚마다 측정한다. 청색의 파장 영역을 400㎚ 이상 500㎚ 미만, 녹색의 파장 영역을 500㎚ 이상 600㎚ 미만, 적색의 파장 영역을 600㎚ 이상 780㎚ 이하로 한다. 상기 L1의 청색의 파장 영역의 최대 강도를 Bmax, 상기 L1의 녹색의 파장 영역의 최대 강도를 Gmax, 상기 L1의 적색의 파장 영역의 최대 강도를 Rmax라고 한다.
상기 Bmax를 나타내는 파장을 L1λB, 상기 Gmax를 나타내는 파장을 L1λG, 상기 Rmax를 나타내는 파장을 L1λR이라고 한다.
상기 B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αB, 상기 G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αG, 상기 G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αG, 상기 R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αR이라고 한다.
L1λB, L1λG, L1λR, +αB, -αG, +αG 및 -αR이, 이하 (1) 내지 (4)의 관계를 만족한다.
Figure pct00001
<조건 2-1>
상기 광학 필름 X의 광 출사면측으로부터 광학 필름 X의 수직 방향으로 출광하는 광이며, 상기 편광자 a의 흡수축과 평행인 흡수축을 갖는 편광자 b를 통과한 광을 L2라고 한다. 상기 L2의 강도를 1㎚마다 측정한다. 상기 L2의 분광 스펙트럼의 기울기가 부로부터 정으로 변화하는 파장을 보텀 파장, 상기 L2의 분광 스펙트럼의 기울기가 정으로부터 부로 전환되는 파장을 피크 파장이라고 한다.
상기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βR, 상기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βR, 상기 G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βG, 상기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βG, 상기 B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βB, 상기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βB라고 한다.
R 이상 +βR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을 Rβ, -βG 이상 +βG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500㎚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을 Gβ, -βB 이상 +βB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400㎚ 이상 500㎚ 미만의 파장 영역을 Bβ라고 한다.
상기 Rβ, 상기 Gβ 및 상기 Bβ의 각각의 파장 영역에, 상기 보텀 파장 및 상기 피크 파장을 각각 하나 이상 갖는다.
[2] 표시 소자의 광 출사면측의 면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이며, 광학 필름에 입사하는 광이 상기 조건 1-1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조건 2-1을 만족하는 광학 필름을 선정하는,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편광 선글라스를 통하여 관찰하였을 때, 색의 재현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은, 편광 선글라스를 통하여 관찰하였을 때의 색의 재현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광학 필름을 효율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구비한 3색 독립 방식의 유기 EL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광학 필름에 표시 소자측으로부터 입사하는 광(L1)의 분광 스펙트럼의 일례이다.
도 3은 표시 소자가 액정 표시 소자이고, 백라이트의 광원이 냉음극 형광관(CCFL)이고,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광학 필름에 표시 소자측으로부터 입사하는 광(L1)의 분광 스펙트럼의 일례이다.
도 4는 표시 소자가 액정 표시 소자이고, 백라이트의 광원이 백색 LED이고,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광학 필름에 표시 소자측으로부터 입사하는 광(L1)의 분광 스펙트럼의 일례이다.
도 5는 표시 소자가 액정 표시 소자이고, 백라이트의 1차 광원이 청색 LED이고, 2차 광원이 양자 도트이고,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광학 필름에 표시 소자측으로부터 입사하는 광(L1)의 분광 스펙트럼의 일례이다.
도 6은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구비한 3색 독립 방식의 유기 EL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이며, 편광자 a의 흡수축과 평행인 흡수축을 갖는 편광자 b를 통과한 광(L2)의 분광 스펙트럼의 일례이다.
도 7은 표시 소자가 액정 표시 소자이고, 백라이트의 광원이 냉음극 형광관(CCFL)이고, 액정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이며, 편광자 a의 흡수축과 평행인 흡수축을 갖는 편광자 b를 통과한 광(L2)의 분광 스펙트럼의 일례이다.
도 8은 표시 소자가 액정 표시 소자이고, 백라이트의 광원이 백색 LED이고, 액정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이며, 편광자 a의 흡수축과 평행인 흡수축을 갖는 편광자 b를 통과한 광(L2)의 분광 스펙트럼의 일례이다.
도 9는 표시 소자가 액정 표시 소자이고, 백라이트의 1차 광원이 청색 LED이고, 2차 광원이 양자 도트이고,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이며, 편광자 a의 흡수축과 평행인 흡수축을 갖는 편광자 b를 통과한 광(L2)의 분광 스펙트럼의 일례이다.
도 10은 도 2의 분광 스펙트럼과 도 6의 분광 스펙트럼을 중첩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의 분광 스펙트럼과 도 7의 분광 스펙트럼을 중첩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4의 분광 스펙트럼과 도 8의 분광 스펙트럼을 중첩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의 분광 스펙트럼과 도 9의 분광 스펙트럼을 중첩한 도면이다.
도 14는 표시 소자가 액정 표시 소자이고, 백라이트의 1차 광원이 청색 LED이고, 2차 광원이 양자 도트이고,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광학 필름에 표시 소자측으로부터 입사하는 광(L1)의 분광 스펙트럼의 다른 예이다.
도 15는 백색 발광층 및 컬러 필터를 구비한 컬러 필터 방식의 유기 EL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광학 필름에 표시 소자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입사하는 광(L1)의 분광 스펙트럼의 일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표시 소자의 광 출사면측의 면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 X를 갖고, 하기 조건 1-1 및 조건 2-1을 만족하는 것이다.
<조건 1-1>
상기 광학 필름 X에 표시 소자측으로부터 입사하는 광 중, 상기 광학 필름 X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을 L1이라고 한다. 상기 L1의 강도를 1㎚마다 측정한다. 청색의 파장 영역을 400㎚ 이상 500㎚ 미만, 녹색의 파장 영역을 500㎚ 이상 600㎚ 미만, 적색의 파장 영역을 600㎚ 이상 780㎚ 이하로 한다. 상기 L1의 청색의 파장 영역의 최대 강도를 Bmax, 상기 L1의 녹색의 파장 영역의 최대 강도를 Gmax, 상기 L1의 적색의 파장 영역의 최대 강도를 Rmax라고 한다.
상기 Bmax를 나타내는 파장을 L1λB, 상기 Gmax를 나타내는 파장을 L1λG, 상기 Rmax를 나타내는 파장을 L1λR이라고 한다.
상기 B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αB, 상기 G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αG, 상기 G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αG, 상기 R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αR이라고 한다.
L1λB, L1λG, L1λR, +αB, -αG, +αG 및 -αR이, 이하 (1) 내지 (4)의 관계를 만족한다.
Figure pct00002
<조건 2-1>
상기 광학 필름 X의 광 출사면측으로부터 광학 필름 X의 수직 방향으로 출광하는 광이며, 상기 편광자 a의 흡수축과 평행인 흡수축을 갖는 편광자 b를 통과한 광을 L2라고 한다. 상기 L2의 강도를 1㎚마다 측정한다. 상기 L2의 분광 스펙트럼의 기울기가 부로부터 정으로 변화하는 파장을 보텀 파장, 상기 L2의 분광 스펙트럼의 기울기가 정으로부터 부로 전환되는 파장을 피크 파장이라고 한다.
상기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βR, 상기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βR, 상기 G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βG, 상기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βG, 상기 B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βB, 상기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βB라고 한다.
R 이상 +βR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을 Rβ, -βG 이상 +βG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500㎚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을 Gβ, -βB 이상 +βB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400㎚ 이상 500㎚ 미만의 파장 영역을 Bβ로 한다.
상기 Rβ, 상기 Gβ 및 상기 Bβ의 각각의 파장 영역에, 상기 보텀 파장 및 상기 피크 파장을 각각 하나 이상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의 표시 장치(100)는, 표시 소자(10)의 광 출사면 상에 편광자 a(40), 광학 필름 X(20)를 갖고 있다. 도 1의 표시 장치(100)에서는, 표시 소자로서 유기 EL 표시 소자(10a)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도 1의 표시 장치(100)는, 편광자 a(40)와 광학 필름 X(20)의 사이에, 그 밖의 광학 필름(30)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그 밖의 광학 필름(30)을, 편광자 a(40)와 광학 필름 X(20)의 사이에 배치하고 있지만, 그 밖의 광학 필름(30)의 배치 개소는, 표시 소자와 편광자 a의 사이나, 광학 필름 X보다 관찰자측이어도 된다. 또한, 표시 장치의 표시 소자가 액정 표시 소자인 경우, 액정 표시 소자의 배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백라이트가 필요하다.
(조건 1-1)
조건 1-1은, 표시 장치의 RGB(적색, 녹색, 청색)의 분광 스펙트럼이 샤프함을 나타내는 조건이다. 조건 1-1에 대하여, 도면을 인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구비한 3색 독립 방식의 유기 EL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소자를 백색 표시시켰을 때, 광학 필름에 표시 소자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입사하는 광(L1)의 강도를 1㎚마다 측정하였을 때의 분광 스펙트럼의 일례이다. 또한, 도 2의 분광 스펙트럼은 최대 강도를 100으로 하여 각 파장의 강도를 규격화한 것이다.
도 2 중, Bmax는 청색의 파장 영역(400㎚ 이상 500㎚ 미만)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 Gmax는 녹색의 파장 영역(500㎚ 이상 600㎚ 미만)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 Rmax는 적색의 파장 영역(600㎚ 이상 780㎚ 이하)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 중, L1λB는 Bmax를 나타내는 파장, L1λG는 Gmax를 나타내는 파장, L1λR은 Rmax를 나타내는 파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 중, +αB는, B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나타내고 있다. -αG는, G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나타내고 있다. +αG는, G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나타내고 있다. -αR은, R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분광 스펙트럼은 RGB의 스펙트럼이 모두 샤프하며, L1λB, L1λG, L1λR, +αB, -αG, +αG 및 -αR이, 이하 (1) 내지 (4)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Figure pct00003
도 3은, 표시 소자가 컬러 필터 구비 액정 표시 소자이고, 백라이트의 광원이 냉음극 형광관(CCFL)이고,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소자를 백색 표시시켰을 때에, 광학 필름에 표시 소자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입사하는 광(L1)의 강도를 1㎚마다 측정하였을 때의 분광 스펙트럼의 일례이다. 도 3도 RGB의 분광 스펙트럼이 모두 샤프하고, 상기 (1) 내지 (4)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또한, 도 3의 분광 스펙트럼은 최대 강도를 100으로 하여 각 파장의 강도를 규격화한 것이다.
도 4는, 표시 소자가 컬러 필터 구비 액정 표시 소자이고, 백라이트의 광원이 백색 LED이며,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소자를 백색 표시시켰을 때에, 광학 필름에 표시 소자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입사하는 광(L1)의 분광 스펙트럼의 일례이다. 도 4는, B(청색)의 분광 스펙트럼이 샤프하고, 또한 G(녹색)의 분광 스펙트럼이 비교적 샤프하기 때문에, 상기 (1) 내지 (3)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기는 하지만, R(적색)의 분광 스펙트럼이 브로드하기 때문에, 상기 (4)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지 않다. 또한, 도 4의 분광 스펙트럼은 최대 강도를 100으로 하여 각 파장의 강도를 규격화한 것이다.
도 4의 분광 스펙트럼에 유사한 분광 스펙트럼으로서, 도 15의 타입을 들 수 있다. 도 15의 분광 스펙트럼은, 백색 발광층 및 컬러 필터를 구비한 유기 EL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소자를 백색 표시시켰을 때에, 광학 필름에 표시 소자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입사하는 광(L1)의 강도를 1㎚마다 측정하였을 때의 분광 스펙트럼의 일례이다. 도 15의 분광 스펙트럼은, B(청색)의 분광 스펙트럼이 샤프한 한편, G(녹색)의 고파장측의 분광 스펙트럼 및 R(적색)의 분광 스펙트럼이 브로드하다. 이 때문에, 도 15의 분광 스펙트럼은, 상기 (1) 및 (2)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기는 하지만, 상기 (3) 및 (4)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지 않다. 또한, 도 15의 분광 스펙트럼은 최대 강도를 100으로 하여 각 파장의 강도를 규격화한 것이다.
도 5는, 표시 소자가 컬러 필터 구비 액정 표시 소자이고, 백라이트의 1차 광원이 청색 LED이고, 2차 광원이 양자 도트이고,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소자를 백색 표시시켰을 때에, 광학 필름에 표시 소자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입사하는 광(L1)의 강도를 1㎚마다 측정하였을 때의 분광 스펙트럼의 일례이다. 도 5도 RGB의 분광 스펙트럼이 모두 샤프하며, 상기 (1) 내지 (4)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분광 스펙트럼은 최대 강도를 100으로 하여 각 파장의 강도를 규격화한 것이다.
이어서, RGB의 분광 스펙트럼과, 색 영역의 넓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RGB의 3색의 혼합에 의해 재현할 수 있는 색 영역은, CIE-xy 색도도 상의 삼각형으로 표시된다. 상기 삼각형은, RGB 각 색의 정점 좌표를 정하여, 각 정점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RGB의 분광 스펙트럼이 각각 샤프하면, CIE-xy 색도도에 있어서, R의 정점 좌표는 x의 값이 커지고 y의 값이 작아지고, G의 정점 좌표는 x의 값이 작아지고 y의 값이 커지고, B의 정점 좌표는 x의 값이 작아지고 y의 값이 작아진다. 즉, RGB의 분광 스펙트럼이 각각 샤프하면, CIE-xy 색도도에 있어서 RGB 각 색의 정점 좌표를 연결한 삼각형의 면적이 커져, 재현할 수 있는 색 영역의 폭이 넓어진다. 또한, 색 영역의 폭이 넓어지는 것은, 동화상의 박력, 임장감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색 영역을 나타내는 규격으로서는, 「ITU-R 권고 BT.2020(이하, 「BT.2020」이라고 칭함)」 등을 들 수 있다. ITU-R은,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Radiocommunication Sector(국제 전기 통신 연합 무선 통신 부문)」의 약칭이며, ITU-R 권고 BT.2020은 슈퍼 하이비전의 색 영역의 국제 규격이다.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CIE-xy 색도도에 기초하는 BT.2020의 커버율이 후술하는 범위이면, 동화상의 박력 및 임장감을 향상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BT.2020의 커버율을 나타내는 식>
[L1의 CIE-xy 색도도의 면적 중, BT.2020의 CIE-xy 색도도의 면적과 중복되는 면적/BT.2020의 CIE-xy 색도도의 면적]×100(%)
이어서, 색의 재현성의 문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건 1-1을 만족하는 색 영역이 넓은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편광 선글라스를 통하여 화상을 관찰한 경우에, 색의 재현성의 문제를 발생시키기 쉽다. 이 원인은, 광학 필름의 리타데이션값과, 복굴절률의 파장 의존성의 영향에 의해, 파장이 커짐에 따라 L2의 분광 스펙트럼의 강도의 변화의 주기가 커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도 6 내지 9는, 도 2 내지 5의 분광 스펙트럼을 갖는 L1을 리타데이션값: 11,000㎚의 광학 필름에 입사시켜, 광학 필름의 광 출사면측으로부터 광학 필름의 수직 방향으로 출광하는 광이며, 편광자 a의 흡수축과 평행인 흡수축을 갖는 편광자 b를 통과한 광(L2)의 분광 스펙트럼이다. L2의 분광 스펙트럼은, 편광 선글라스를 통하여 시인되는 분광 스펙트럼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도 6 내지 9의 L2의 분광 스펙트럼을 보면, 파장이 커짐에 따라, L2의 분광 스펙트럼의 강도의 변화의 주기가 크게 되어 있다. 또한, 도 6 내지 9의 L2의 분광 스펙트럼은, L1의 분광 스펙트럼의 최대 강도를 100으로 하여 각 파장의 강도를 규격화한 것이다. 또한, 도 6 내지 9의 L2는 P 편광(광학 필름 X에 대하여 연직 방향의 편광)의 광이다.
도 10은 도 2와 도 6을 겹친 것, 도 11은, 도 3과 도 7을 겹친 것, 도 12는 도 4와 도 8을 겹친 것, 도 13은 도 5와 도 9를 겹친 것이다.
도 12의 L1은 조건 1-1을 만족하지 않는 것이다. 도 12에서는, L1의 분광 스펙트럼 중에, L2의 분광 스펙트럼의 대부분이 들어가 있다. 즉, 도 12와 같이, L1의 분광 스펙트럼이 샤프하지 않은 것은, 색 영역은 좁기는 하지만, L1의 분광 스펙트럼 및 L2의 분광 스펙트럼에 큰 차가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색의 재현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한편, 도 10, 도 11 및 도 13과 같이, L1의 분광 스펙트럼이 샤프한 것은, L1의 분광 스펙트럼 중에, L2의 분광 스펙트럼이 들어가기 어렵게 되고, 색의 재현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특히, 적색(R)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L1의 분광 스펙트럼 중에, L2의 분광 스펙트럼이 들어가기 어렵게 된다. 이 원인은, 광학 필름의 리타데이션값 및 복굴절률의 파장 의존성 등의 영향에 의해, L2의 분광 스펙트럼의 강도의 변화의 주기가 파장의 증가에 수반하여 커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L1 및 L2의 분광 스펙트럼은, 표시 소자를 백색 표시시켰을 때의 분광 스펙트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분광 스펙트럼은,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시, 분광 광도계의 수광기는 표시 장치의 광 출사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도록 설치하고, 시야각은 1도로 한다. 또한, 측정의 대상으로 하는 광은, 표시 장치의 유효 표시 영역의 중심을 통과하는 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광 스펙트럼은, 예를 들어 코니카 미놀타사제의 분광 방사 휘도계 CS-2000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BT.2020의 커버율을 산출할 때 필요하게 되는 「L1의 CIE-xy 색도도의 면적」은, 적색(R) 표시, 녹색(G) 표시 및 청색(B) 표시 시의 CIE-Yxy 표색계의 x값 및 y값을 각각 측정하고, 해당 측정 결과로부터 얻어진 「적색(R)의 정점 좌표」, 「녹색(G)의 정점 좌표」 및 「청색(B)의 정점 좌표」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CIE-Yxy 표색계의 x값 및 y값은, 예를 들어 코니카 미놀타사제의 분광 방사 휘도계 CS-2000으로 측정할 수 있다.
(조건 2-1)
조건 2-1은, 색의 재현성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조건 2-1에 있어서, 「편광자 b」는, 실질적으로 「편광 선글라스의 편광자」를 의도한 것이다. 즉, 조건 2에 있어서, 「광학 필름 X의 수직 방향으로 출광하는 광이며, 편광자 a의 흡수축과 평행인 흡수축을 갖는 편광자 b를 통과한 광(L2)」이란, 「광학 필름 X의 수직 방향으로 출광하는 광이며, 편광 선글라스의 편광자를 통과한 광(편광 선글라스를 통하여 인간이 시인하는 광)」을 의도하고 있다.
또한, 조건 2-1에 있어서, 「-βR 이상 +βR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이라고 규정하고 있는 것은, 600㎚ 미만 또는 780㎚ 초과의 파장 영역에 대해서는, -βR 이상 +βR 이하의 파장 영역이라도, 보텀 파장 및 피크 파장을 카운트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조건 2-1에 있어서는, 500㎚ 미만 또는 600㎚ 이상의 파장 영역에 대해서는, -βG 이상 +βG 이하의 파장 영역이라도, 보텀 파장 및 피크 파장을 카운트하지 않고, 400㎚ 미만 또는 500㎚ 이상의 파장 영역에 대해서는, -βB 이상 +βB 이하의 파장 영역이라도, 보텀 파장 및 피크 파장을 카운트하지 않는다.
도 10의 실선은 도 2에 상당하고, 도 10의 파선은 도 6에 상당한다.
도 10 중, -βR, +βR, -βG, +βG, -βB, +βB는 이하의 파장을 나타내고 있다.
R: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
R: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
G: G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
G: G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
B: B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
B: B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
L2의 분광 스펙트럼의 기울기가 부로부터 정으로 변화하는 파장을 보텀 파장, L2의 분광 스펙트럼의 기울기가 정으로부터 부로 전환되는 파장을 피크 파장이라고 한 경우, 도 10의 파선은, Rβ, Gβ 및 Bβ의 각각의 파장 영역에, 보텀 파장 및 피크 파장을 각각 하나 이상 갖고 있으며, 조건 2-1을 만족하고 있다.
또한, Rβ, Gβ 및 Bβ은 이하의 파장을 나타내고 있다.
Rβ: -βR 이상 +βR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
Gβ: -βG 이상 +βG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500㎚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
Bβ: -βB 이상 +βB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400㎚ 이상 500㎚ 미만의 파장 영역
조건 2-1을 만족하는 경우, 「(i) L1의 적색(R)의 최대 강도 근방의 산 중에 L2의 적색(R)의 파장 영역의 산이 하나 이상 들어가는 것」, 「(ⅱ) L1의 녹색(G)의 최대 강도 근방의 산 중에 L2의 녹색(G)의 파장 영역의 산이 하나 이상 들어가는 것」 및 「(ⅲ) L1의 청색(B)의 최대 강도 근방의 산 중에 L2의 청색(B)의 파장 영역의 산이 하나 이상 들어가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즉, 조건 2-1을 만족하는 경우, L1의 각 파장 영역(R, G, B)의 분광 스펙트럼과, L2의 각 파장 영역(R, G, B)의 분광 스펙트럼의 차가 생기기 어렵게 되고, 색의 재현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조건 2-1을 만족하지 않는 것은, 상기 (i) 내지 (ⅲ)의 적어도 어느 것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건 2-1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색의 재현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상기 (i) 내지 (ⅲ) 중에서는, 상기 (i)을 만족하는 것이 가장 어렵다. 이것은, 리타데이션의 파장 분산성에 의해, 파장이 길어짐에 따라 분광 스펙트럼의 주기가 길어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L1의 분광 스펙트럼이 샤프한 경우, 통상의 설계로는, L1의 적색(R)의 최대 강도 근방의 산 중에 L2의 적색(R)의 파장 영역의 산이 하나 이상 넣을 수 없어, 조건 2-1을 만족할 수 없다. 즉, L1의 분광 스펙트럼이 샤프한 경우, 통상의 설계로는, 조건 2-1을 만족할 수 없어, 색의 재현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리타데이션의 파장 분산성(특히, 복굴절률의 파장 의존성이 영향을 미친 리타데이션의 파장 분산성)을 고려하여, 색의 재현성의 저하의 억제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종래 주류였던 백라이트의 광원으로서 백색 LED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1의 적색(R)의 분광 스펙트럼이 브로드하기 때문에, L1의 적색(R)의 최대 강도 근방의 산 중에, L2의 적색(R)의 파장 영역의 산이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다. 즉, 편광 선글라스를 통하여 관찰하였을 때의 색의 재현성의 저하는, 종래의 주류였던 백색 LED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과제이다.
조건 2-1에 있어서, L2는 편광되어 있으며, P 편광이어도 되고, S 편광이어도 된다. 또한, 통상의 편광 선글라스는 S 편광을 커트하는 것이 많다. 이 때문에, L2가 P 편광인 경우에 조건 2-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2-1에서는, Rβ, Gβ 및 Bβ의 각각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상기 보텀 파장 및 상기 피크 파장을 각각 2 이상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색의 재현성의 문제를 보다 억제하기 위해, 이하의 조건 2-2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2-2를 만족함으로써, 색의 재현성 저하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조건 2-2>
상기 R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αR, 상기 R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αR, 상기 G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αG, 상기 R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αG, 상기 B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αB, 상기 R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αB라고 한다.
R 이상 +αR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을 Rα, -αG 이상 +αG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500㎚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을 Gα, -αB 이상 +αB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400㎚ 이상 500㎚ 미만의 파장 영역을 Bα라고 한다.
상기 Rα, 상기 Gα 및 상기 Bα의 각각의 파장 영역에, 상기 L2의 보텀 파장 및 상기 L2의 피크 파장을 각각 하나 이상 갖는다.
또한, 조건 2-2에 있어서, 「-αR 이상 +αR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이라고 규정하고 있는 것은, 600㎚ 미만 또는 780㎚ 초과의 파장 영역에 대해서는, -αR 이상 +αR 이하의 파장 영역이라도, 보텀 파장 및 피크 파장을 카운트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조건 2-2에 있어서는, 500㎚ 미만 또는 600㎚ 이상의 파장 영역에 대해서는, -αG 이상 +αG 이하의 파장 영역이라도, 보텀 파장 및 피크 파장을 카운트하지 않고, 400㎚ 미만 또는 500㎚ 이상의 파장 영역에 대해서는, -αB 이상 +αB 이하의 파장 영역이라도, 보텀 파장 및 피크 파장을 카운트하지 않는다.
조건 2-2에서는, Rβ, Gβ 및 Bβ의 각각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상기 보텀 파장 및 상기 피크 파장을 각각 2 이상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L1의 적합한 양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조건 1-1(L1의 분광 스펙트럼이 샤프)을 만족하기 때문에, 통상의 설계로는 색의 재현성에 문제를 발생시키기 쉽기는 하지만, 조건 2-1을 만족함으로써, 색의 재현성의 문제를 억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L1의 분광 스펙트럼이 매우 샤프해도, 조건 2-1을 만족하면 색의 재현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근년, 색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L1의 분광 스펙트럼이 매우 샤프하게 되는 표시 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L1의 분광 스펙트럼이 매우 샤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색의 재현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L1의 분광 스펙트럼이 이하의 조건 1-2 내지 조건 1-5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L1의 분광 스펙트럼이 매우 샤프하고, 색 영역이 매우 넓은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색의 재현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합하다. 조건 1-1 내지 1-4는 주로 색 순도를 높임에 따른 색 영역의 확대, 조건 1-5는 주로 밝기를 고려한 색 영역의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조건 1-2를 만족함으로써, 간섭 불균일도 억제하기 쉬워진다.
<조건 1-2>
조건 1-1의 측정에서 얻은 L1의 분광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청색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분광 스펙트럼의 강도의 평균값 BAve, 녹색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분광 스펙트럼의 강도의 평균값 GAve, 적색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분광 스펙트럼의 강도의 평균값 RAve를 산출한다. 청색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L1의 강도가 BAve를 연속하여 초과하는 파장 영역을 Bp, 녹색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L1의 강도가 GAve를 연속하여 초과하는 파장 영역을 Gp, 적색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L1의 강도가 RAve를 연속하여 초과하는 파장 영역을 Rp라고 한다. Bp, Gp 및 Rp를 나타내는 파장 영역이 모두 하나이다.
도 2, 도 4 및 도 5의 분광 스펙트럼은, Bp, Gp 및 Rp를 나타내는 파장 영역이 모두 하나이며 조건 1-2를 만족하고 있다. 한편, 도 3의 분광 스펙트럼은, Bp, Gp 및 Rp를 나타내는 파장 영역이 2개 있으며, 조건 1-2를 만족하지 않는다.
<조건 1-3>
상기 +αB, 상기 -αG, 상기 +αG 및 상기 -αR이, 이하 (5) 내지 (6)의 관계를 만족한다.
Figure pct00004
도 2, 도 3 및 도 5의 분광 스펙트럼은 (5) 및 (6)의 관계를 만족하고, 조건 1-3을 만족하고 있다. 한편, 도 4의 분광 스펙트럼은 (6)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지 않고, 조건 1-3을 만족하지 않는다.
<조건 1-4>
상기 B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βB, 상기 G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βG, 상기 G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βG, 상기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βR이라고 한다.
상기 +βB, 상기 -βG, 상기 +βG 및 상기 -βR이, 이하 (7) 내지 (8)의 관계를 만족한다.
Figure pct00005
도 2, 도 3 및 도 5의 분광 스펙트럼은 모두 (7) 및 (8)의 관계를 만족하고, 조건 1-4를 만족하고 있다. 한편, 도 4의 분광 스펙트럼은 (8)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지 않고, 조건 1-4을 만족하고 있지 않다.
<조건 1-5>
상기 Bmax, 상기 Gmax 및 상기 Rmax 중 최대 강도를 L1max라고 한다. Bmax/L1max, Gmax/L1max 및 Rmax/L1max가 각각 0.27 이상.
도 2, 도 3 및 도 5의 분광 스펙트럼은, Bmax/L1max, Gmax/L1max 및 Rmax/L1max가 각각 0.27 이상이며, 조건 1-5를 만족하고 있다. 한편, 도 4의 분광 스펙트럼은, Rmax/L1max가 각각 0.27 미만이며, 조건 1-5를 만족하고 있지 않다.
조건 1-5에서는, Bmax/L1max, Gmax/L1max 및 Rmax/L1max는, 각각 0.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색 영역을 확장한다는 관점에서는 L1의 분광 스펙트럼은 샤프한 것이 바람직한 한편, 조건 2-1을 만족하기 쉽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L1의 분광 스펙트럼은 극단적으로 샤프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상기 +βR과 상기 -βR의 차[+βR-(-βR)]는 15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8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내지 8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상기 +βG와 상기 -βG의 차[+βG-(-βG)]는, 2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내지 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내지 5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상기 +βB와 상기 -βB의 차[+βB-(-βB)]는, 15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내지 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색 영역을 확장한다는 관점 및 조건 2-2를 만족하기 쉽게 한다는 관점의 밸런스로부터, 상기 +αR과 상기 -αR의 차[+αR-(-αR)]는 10 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내지 5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상기 +αG와 상기 -αG의 차[+αG-(-αG)]는, 1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내지 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상기 +αB와 상기 -αB의 차[+αB-(-αB)]는,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내지 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L1의 분광 스펙트럼이 매우 샤프한 표시 장치로서는, 3색 독립 방식의 유기 EL 표시 장치, 백라이트에 양자 도트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표시 소자)
표시 소자로서는, 액정 표시 소자, 유기 EL 표시 소자, 무기 EL 표시 소자, 플라스마 표시 소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소자는, 터치 패널 기능을 소자 내에 구비한 인셀 터치 패널 액정 표시 소자여도 된다.
이들 표시 소자 중에서도, 3색 독립 방식의 유기 EL 표시 소자는, L1의 분광 스펙트럼이 샤프하게 되기 쉬워, 본 발명의 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되기 쉽다. 또한, 유기 EL 표시 소자는 광 취출 효율이 과제로 되어 있으며, 광 취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3색 독립 방식의 유기 EL 소자에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구비한 3색 독립 방식의 유기 EL 소자는, 광 취출 효율을 향상시키면 향상시킬수록 L1의 분광 스펙트럼이 샤프하게 되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되기 쉽다.
또한, 표시 소자가 액정 표시 소자이며, 백라이트로서 양자 도트를 사용한 경우에도, L1의 분광 스펙트럼이 샤프하게 되기 쉬워, 본 발명의 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되기 쉽다.
표시 소자는, 상기 식으로 표현되는 CIE-xy 색도도에 기초하는 BT.2020의 커버율이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편광자 a)
편광자 a는, 표시 소자의 출사면 상이며, 광학 필름 X보다 표시 소자측에 설치된다.
편광자 a로서는, 예를 들어 요오드 등에 의해 염색하고, 연신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비닐포르말 필름, 폴리비닐아세탈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비누화 필름 등의 시트형 편광자, 평행으로 배열된 다수의 금속 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리오트로픽 액정이나 2색성 게스트-호스트 재료를 도포한 도포형 편광자, 다층 박막형 편광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편광자 a는, 투과하지 않는 편광 성분을 반사하는 기능을 구비한 반사형 편광자여도 된다.
편광자 a의 양면은, 플라스틱 필름, 유리 등의 투명 보호판으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보호판으로서, 광학 필름 X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편광자 a는, 예를 들어 1/4λ판과의 조합에 의해 반사 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표시 소자가 액정 표시 소자인 경우, 액정 표시 소자의 광 입사면측에는 배면 편광자가 설치되며, 액정 표시 소자 상에 위치하는 편광자 a의 흡수축과, 액정 표시 소자 아래에 위치하는 배면 편광자의 흡수축을 직교하여 배치함으로써, 액정 셔터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편광 선글라스는 원칙적으로 S 편광을 흡수하기 위해, 편광 선글라스의 편광자의 흡수축의 방향도 원칙적으로 수평 방향이다. 이 때문에,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에 대하여, 편광자 a의 흡수축의 방향 각도가, ± 10° 미만의 범위 내로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각도는 ±5° 미만이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시 소자와 광학 필름 X의 사이에 2 이상의 편광자를 갖는 경우, 표시 소자로부터 가장 이격된 측에 위치하는 편광자를 편광자 a라고 한다.
(광학 필름 X)
광학 필름 X는 표시 소자의 광 출사면측의 면 상이며, 편광자 a보다 광 출사면측에 설치된다. 또한, 표시 장치가 복수의 편광자를 갖는 경우, 가장 광 출사면측에 위치하는 편광자(편광자 a)보다 광 출사면측에 광학 필름 X를 설치한다.
표시 소자 상에 복수의 광학 필름을 설치하는 경우, 광학 필름 X는, 표시 소자로부터 가장 이격된 측(시인자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 X는, 광학 필름 X를 투과하기 전의 광을 변환하여, L1과 L2의 관계가 조건 2-1을 만족하는 역할을 갖는다.
광학 필름 X에 수직 방향으로 입사하는 L1의 강도를 「I0」, 광학 필름 X의 파장 550㎚의 리타데이션값을 「Re550」,[광학 필름 X를 구성하는 재료의 파장 400 내지 780㎚의 각 파장의 복굴절률/광학 필름 X를 구성하는 재료의 파장 550㎚의 복굴절률]을 「N(λ)」, 편광자 a의 편광자의 흡수축(직선 편광의 진동 방향)과 광학 필름 X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를 「θ」라고 한 경우, 광학 필름 X의 광 출사면측으로부터 광학 필름 X의 수직 방향으로 출광하는 광이며, 편광자 a의 흡수축과 평행인 흡수축을 갖는 편광자 b를 통과한 광(L2)의 강도인 I는, 이하의 식 (A)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L1은, 광학 필름 X보다 표시 소자측에 위치하는 편광자 a를 통과한 직선 편광임을 전제로 하고 있다.
Figure pct00006
광학 필름 X의 구성은, 상기 식 (A)를 바탕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광학 필름 X를 투과하기 전의 L1의 분광 스펙트럼을 측정한다. 이어서, L1의 분광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와, 상기 식 (A)에 기초하여, 광학 필름 X의 리타데이션값에 따른 L2의 분광 스펙트럼을 시뮬레이션한다. 이어서, L1의 분광 스펙트럼과, 시뮬레이션으로 얻어진 L2의 분광 스펙트럼을 대비하여, 조건 2-1을 만족하는 리타데이션을 갖는 광학 필름을 광학 필름 X로서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광학 필름 X의 구성을 결정함으로써, 광학 필름 X의 리타데이션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고, 색의 재현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 a의 편광자의 흡수축(직선 편광의 진동 방향)과 광학 필름 X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 θ가 45도인 경우에, I의 값은 최댓값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θ를 45도로 한 하기 식 (B)에 의해 상기 시뮬레이션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7
표시 소자 상에 복수의 광학 필름을 설치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필름 X는, 표시 소자로부터 가장 이격된 측(시인자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광학 필름 X와, 광학 필름 X보다 표시 소자측에 위치하는 광학 필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시뮬레이션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광학 필름 X의 지상축 방향과, 광학 필름 X보다 표시 소자측에 위치하는 광학 필름의 지상축 방향을 동일하게 한 경우이며, 양쪽의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가 동일한 경우, 양쪽 광학 필름의 합계 두께로 Re550을 산출하여, 상기 시뮬레이션을 행할 수 있다.
광학 필름 X의 리타데이션값을 크게 하면 조건 2-1을 만족하기 쉽게 되지만, 간단히 리타데이션값을 크게 해도 조건 2-1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광학 필름 X의 리타데이션값을 지나치게 크게 하면, 광학 필름 X의 두께가 지나치게 커지거나, 광학 필름 X의 재료로서 취급성이 나쁜 특수한 소재를 사용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또한, 리타데이션값이 지나치게 작으면, 편광 선글라스를 통하여 관찰하였을 때에, 블랙 아웃나 간섭 불균일을 발생시키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광학 필름 X로서는, 리타데이션값 3,000㎚ 이상 100,000㎚ 이하의 범위에서 조건 2-1을 만족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 X의 리타데이션값은, 4,000㎚ 이상 3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0㎚ 이상 20,0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000㎚ 이상 15,000㎚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7,000㎚ 이상 12,0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리타데이션값은 파장 550㎚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값이다.
광학 필름 X의 리타데이션값은, 광학 필름의 면 내에 있어서 굴절률이 가장 큰 방향인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nx와, 광투과성 필름의 면 내에 있어서 상기 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 ny와, 광학 필름의 두께 d에 의해, 하기 식 (C)에 의해 표현되는 것이다.
Figure pct00008
상기 리타데이션값은, 예를 들어 오지 게이소꾸 기키사제의 상품명 「KOBRA-WR」, 「PAM-UHR100」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2 이상의 편광자를 사용하여, 광학 필름 X의 배향축 방향(주축의 방향)을 구한 후, 2개의 축(배향축의 굴절률 및 배향축에 직교하는 축)의 굴절률(nx, ny)을,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제 NAR-4T)에 의해 구한다. 여기서, 보다 큰 굴절률을 나타내는 축을 지상축이라고 정의한다. 광학 필름의 두께 d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미터(상품명: Digimatic Micrometer, 미츠토요사제)에 의해 측정하여, 단위를 ㎚로 환산한다. 복굴절률(nx-ny)과 필름의 두께 d(㎚)의 곱으로부터, 리타데이션을 계산할 수도 있다.
광학 필름 X는, 플라스틱 필름 등의 광투과성 기재를 주체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광투과성 기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필름, 아크릴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을 연신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복굴절률을 크게 하기 쉽다고 하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을 연신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투과성 기재 중에서도 정분산성(단파장측을 향함에 따라 복굴절률이 커지는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연신한 것(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정분산성이 강하고, 단파장측을 향함에 따라 복굴절률이 커지는(장파장측을 향함에 따라 복굴절률이 작아지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다른 플라스틱 필름과 동등한 리타데이션값이라도 상기 조건 2-1을 만족하기 쉽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합하다. 바꾸어 말하면, 광학 필름 X의 기재로서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경우, 기재의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하지 않아도, 상기 조건 2-1을 만족하기 쉽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합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PEN 필름) 등이 적합하다.
연신은, 세로 1축 연신, 텐터 연신, 축차 2축 연신 및 동시 2축 연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투과성 기재 중에서도, 기계적 강도의 관점에서, 정의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의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광투과성 기재란, 광투과성 기재의 배향축 방향(주축의 방향)의 굴절률 n1과, 배향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 n2가, n1>n2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의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광투과성 기재로서는, PET 필름, PEN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아라미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광투과성 기재의 두께는, 취급성 및 박막화의 관점에서, 5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내지 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 X는, 광투과성 기재 상에 기능층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기능층으로서는, 하드 코팅층, 방현층, 반사 방지층, 대전 방지층, 방오층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광학 필름)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위상차 필름, 하드 코팅 필름, 가스 배리어 필름 등의 그 밖의 광학 필름을 가져도 된다. 또한, 그 밖의 광학 필름은, 광학 필름 X보다 표시 소자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패널)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표시 소자와 광학 필름 X의 사이에 터치 패널을 구비한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여도 된다. 표시 소자 상의 편광자 a와 터치 패널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장 광 출사면측에 위치하는 편광자(편광자 a)를, 터치 패널과 광학 필름 X의 사이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패널로서는, 저항막식 터치 패널,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인셀 터치 패널, 전자기 유도식 터치 패널, 광학식 터치 패널 및 초음파식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백라이트)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표시 소자의 배면에는 백라이트가 배치된다.
백라이트로서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직하형 백라이트의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백라이트의 광원으로서는 LED, CCFL 등을 들 수 있지만, 광원으로서 양자 도트를 사용한 백라이트는, L1의 분광 스펙트럼이 샤프하게 되기 쉬워, 본 발명의 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되기 쉽다.
광원으로서 양자 도트를 사용한 백라이트는, 적어도 1차 광을 방출하는 1차 광원과, 1차 광을 흡수하여 2차 광을 방출하는 양자 도트로부터되는 2차 광원으로 구성된다.
1차 광원이 청색에 상당하는 파장의 1차 광을 방출하는 경우, 2차 광원인 양자 도트는, 1차 광을 흡수하여 적색에 상당하는 파장의 2차 광을 방출하는 제1 양자 도트 및 1차 광을 흡수하여 녹색에 상당하는 파장의 2차 광을 방출하는 제2 양자 도트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양자 도트 및 상기 제2 양자 도트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양자 도트(Quantum dot)는, 반도체의 나노미터 사이즈의 미립자이며, 전자나 여기자가 나노미터 사이즈의 작은 결정 내에 갇히는 양자 가둠 효과(양자 사이즈 효과)에 의해, 특이적인 광학적, 전기적 성질을 나타내며, 반도체 나노 입자라든가, 반도체 나노 결정이라고도 불리는 것이다.
양자 도트는, 반도체의 나노미터 사이즈의 미립자이며, 양자 가둠 효과(양자 사이즈 효과)를 발생시키는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양자 도트는,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광학 필름 중에 함유시키면 된다.
표시 장치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휴대 정보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등의 소형 사이즈(대각 1인치)부터 거대 모니터 등의 대형 사이즈(대각 500인치)까지 적용 가능하다.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은, 표시 소자의 광 출사면측의 면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이며, 광학 필름에 입사하는 광이 상기 조건 1-1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조건 2-1을 만족하는 광학 필름을 선정하는 것이다.
L1 및 L2의 분광 스펙트럼은,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시, 분광 광도계의 수광기는 표시 장치의 광 출사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도록 설치하고, 측정 시, 시야각은 1도로 한다. 또한, 측정의 대상으로 하는 광은, 표시 장치의 유효 표시 영역의 중심을 통과하는 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2의 분광 스펙트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2-1을 만족하는 광학 필름을 선정은, 이하의 (a), (b)의 수순으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조건 1-1에 있어서 측정한 L1의 분광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와, 상기 식 (A)에 기초하여, 광학 필름 X의 리타데이션값에 따른 L2의 분광 스펙트럼을 시뮬레이션에 의해 산출한다. 또한, 상기 식 (A) 대신 상기 식 (B)를 사용해도 된다.
(b) L1의 분광 스펙트럼과, 시뮬레이션으로 산출한 L2의 분광 스펙트럼을 대비하여, 조건 2-1을 만족하는 리타데이션을 갖는 광학 필름을 광학 필름 X로서 선정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에 의하면, 편광 선글라스를 통하여 관찰하였을 때의 색의 재현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광학 필름을 효율적으로 선정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은, L1의 분광 스펙트럼이 매우 샤프한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구체적으로는, L1의 분광 스펙트럼이 상기 조건 1-2 내지 1-5를 만족하는 경우, 색의 재현성의 문제는 보다 심각화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이 매우 유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은, 색의 재현성을 보다 양호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추가로 상기 조건 2-2를 선정 조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부」 및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으로 한다.
1. 광학 필름의 제작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290℃에서 용융하여, 필름 형성 다이를 통하여, 시트형으로 압출하고, 수랭 냉각한 회전 급랭 드럼 상에 밀착시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 시험 장치(도요 세키사)에서, 120℃에서 1분간 예열한 후, 120℃에서 4.0배 고정단 1축 연신하여, 면 내에 복굴절성을 갖는 광학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광학 필름의 파장 550㎚에 있어서의 굴절률 nx=1.701, ny=1.6015이며, Δn=0.0995였다.
이 광학 필름의 막 두께를 조정하고, 이하의 리타데이션값(Re)을 갖는 광학 필름 i 내지 vi을 얻었다.
광학 필름 i: Re=3,000㎚
광학 필름 ii: Re=4,000㎚
광학 필름 iii: Re=6,000㎚
광학 필름 iv: Re=7,000㎚
광학 필름 v: Re=8,000㎚
광학 필름 vi: Re=11,000㎚
광학 필름 vii: Re=15,000㎚
2. L1의 분광 스펙트럼의 측정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시야각 1도로 하여, 이하의 표시 장치 A 내지 E를 백색 표시시켰을 때, 광학 필름에 표시 소자측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사하는 광(L1)의 강도를 1㎚마다 측정하였다. 표시 장치 A 내지 E에 있어서, 편광자 a의 흡수축(직선 편광의 진동 방향)과 광학 필름 X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45도로 하고 있다. 또한, 측정 개소는 표시 장치의 유효 표시 영역의 중심으로 하였다. 표시 장치 A의 L1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2, 표시 장치 B의 L1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3, 표시 장치 C의 L1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4, 표시 장치 D의 L1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5, 표시 장치 E의 L1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14에 도시한다. 또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한 조건 1-1 내지 1-5에 관한 수치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조건 1-1 내지 1-5를 만족하는 것을 「○」, 만족하지 않는 것을 「×」로 하여,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표시 장치 A>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구비한 3색 독립 방식의 유기 EL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시판 중인 표시 장치. CIE-xy 색도도에 기초하는 BT.2020의 커버율: 77%.
<표시 장치 B>
표시 소자가 컬러 필터 구비 액정 표시 소자이고, 백라이트의 광원이 냉음극 형광관(CCFL)이고,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시판 중인 표시 장치.
<표시 장치 C>
표시 소자가 컬러 필터 구비 액정 표시 소자이고, 백라이트의 광원이 백색 LED이며,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시판 중인 표시 장치. CIE-xy 색도도에 기초하는 BT.2020의 커버율: 49%.
<표시 장치 D(양자 도트를 사용한 표시 장치 1)>
표시 소자가 컬러 필터 구비 액정 표시 소자이고, 백라이트의 1차 광원이 청색 LED이고, 2차 광원이 양자 도트이고,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시판 중인 표시 장치. CIE-xy 색도도에 기초하는 BT.2020의 커버율: 68%.
<표시 장치 E(양자 도트를 사용한 표시 장치 2)>
표시 소자가 컬러 필터 구비 액정 표시 소자이고, 백라이트의 1차 광원이 청색 LED이고, 2차 광원이 양자 도트이고, 표시 소자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시판 중인 표시 장치. CIE-xy 색도도에 기초하는 BT.2020의 커버율: 52%.
Figure pct00009
3. 표시 장치 A-i 내지 A-vii, 표시 장치 B-i 내지 B-vii, 표시 장치 C-i 내지 C-vii, 표시 장치 D-i 내지 D-vii 및 표시 장치 E-i 내지 E-vii의 제작
표시 장치 A 내지 E의 광학 필름으로서, 광학 필름 i 내지 vii을 배치하여, 표시 장치 A-i 내지 A-vii, 표시 장치 B-i 내지 B-vii, 표시 장치 C-i 내지 C-vii, 표시 장치 D-i 내지 D-vii 및 표시 장치 E-i 내지 E-vii을 얻었다.
4. L2의 시뮬레이션, L2의 분광 스펙트럼의 측정
상기 2에서 측정한 L1의 분광 스펙트럼과, 상기 식 (B)를 바탕으로, 표시 장치 A-i 내지 A-vii, 표시 장치 B-i 내지 B-vii, 표시 장치 C-i 내지 C-vii, 표시 장치 D-i 내지 D-vii 및 표시 장치 E-i 내지 E-vii의 광학 필름의 광 출사면측으로부터 광학 필름의 수직 방향으로 출광하는 광이며, 편광자 a의 흡수축과 평행인 흡수축을 갖는 편광자 b를 통과한 광(L2)이 강도인 I를 시뮬레이션에 의해 산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한 조건 2-1 및 2-2에 관한 수치를 표 2 내지 6에 나타낸다. 또한, 조건 2-1 및 2-2를 만족하는 것을 「○」, 만족하지 않는 것을 「×」로 하여, 함께 표 2 내지 6에 나타낸다.
또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산출한 조건 2-1 및 2-2에 관한 수치를 실측값에 기초하여 산출한바, 마찬가지의 결과가 얻어졌다.
5. 평가
이하와 같이, 표시 장치 A-i 내지 A-vii, 표시 장치 B-i 내지 B-vii, 표시 장치 C-i 내지 C-vii, 표시 장치 D-i 내지 D-vii 및 표시 장치 E-i 내지 E-vii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내지 표 6에 나타낸다.
5-1. 블랙 아웃
표시 장치의 화면을 백색 표시 혹은 대략 백색 표시로 하였다. 편광 선글라스를 통하여 여러 가지 각도로부터 화면을 관찰하고, 화면이 어두워진 개소가 있는지 여부를 눈으로 평가하였다.
A: 화면이 어두워진 개소가 없다.
C: 화면이 어두워진 개소가 있다.
5-2. 색의 재현성
표시 장치의 화면을 컬러 표시로 하였다. 편광 선글라스를 쓴 상태(상태 1), 및 편광 선글라스를 벗고 화면 상에 편광 선글라스와 동일 색으로 염색한 유리판을 설치한 상태(상태 2)에서, 각각 정면으로부터 화면을 관찰하고, 편광 선글라스를 쓴 상태의 색 재현성을 눈으로 평가하였다.
상태 1과 상태 2의 색의 차가 신경쓰이지 않는 것을 2점, 상태 1과 상태 2의 색의 차가 약간 신경이 쓰이는 것을 1점, 상태 1과 상태 2의 색의 차가 심하게 신경이 쓰이는 것을 0점으로 하여, 20명이 평가를 행하여, 평균점을 산출하였다.
AA: 평균점이 1.7점 이상
A: 평균점이 1.5점 이상 1.7점 미만
B: 평균점이 1.0점 이상 1.5점 미만
C: 평균점이 1.0점 미만
5-3. 동화상의 임장감
표시 장치의 화면을 컬러의 동화상 표시로 하여, 편광 선글라스를 벗은 상태에서 화면을 관찰하고, 동화상의 임장감을 눈으로 평가하였다.
A: 임장감을 강하도록 느낀다.
B: 임장감을 느낀다.
C: 임장감이 좀 부족하다.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표 1 내지 표 6의 결과로부터, 조건 1-1 및 조건 2-1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표시 장치 A-iv 내지 A-vii, B-vi, B-vii, D-ii 내지 D-vii, E-iv 내지 E-vii)는, 색 영역이 넓기 때문에 동화상의 임장감이 우수함과 함께, 색 영역이 넓음으로써 발생하기 쉬운 색의 재현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조건 1-1 및 조건 2-1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중에서도, 추가로 조건 1-2 내지 1 내지 5를 만족함과 함께, CIE-xy 색도도에 기초하는 BT.2020의 커버율이 60% 이상인 표시 장치(표시 장치 A-iv 내지 A-vii, D-ii 내지 D-vii)는, 동화상의 임장감이 보다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조건 1-1 및 조건 2-1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중에서도, 추가로 조건 2-2를 만족하는 표시 장치(표시 장치 A-iv 내지 A-vii, D-iii 내지 D-vii, E-iv 내지 E-vii)는, 색의 재현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었다. 그 중에서도, 조건 2-1에 있어서 각 파장 영역의 보텀 파장 및 피크 파장의 수가 각각 2 이상인 표시 장치(표시 장치 A-vii, D-vi, D-vii, E-vii)는, 더 색의 재현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표 중에서는 평가하지 않았지만, 표시 장치 B-i 내지 B 내지 vii은, 조건 1-2를 만족하지 않는 점에서, 리타데이션값에 특유한 간섭 불균일을 억제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10: 표시 소자
10a: 유기 EL 표시 소자
20: 광학 필름 X
30: 그 밖의 광학 필름
40: 편광자 a
100: 표시 장치

Claims (9)

  1. 표시 소자의 광 출사면측의 면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 X를 갖고, 하기 조건 1-1 및 조건 2-1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조건 1-1>
    상기 광학 필름 X에 표시 소자측으로부터 입사하는 광 중, 상기 광학 필름 X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을 L1이라고 한다. 상기 L1의 강도를 1㎚마다 측정한다. 청색의 파장 영역을 400㎚ 이상 500㎚ 미만, 녹색의 파장 영역을 500㎚ 이상 600㎚ 미만, 적색의 파장 영역을 600㎚ 이상 780㎚ 이하로 한다. 상기 L1의 청색의 파장 영역의 최대 강도를 Bmax, 상기 L1의 녹색의 파장 영역의 최대 강도를 Gmax, 상기 L1의 적색의 파장 영역의 최대 강도를 Rmax라고 한다.
    상기 Bmax를 나타내는 파장을 L1λB, 상기 Gmax를 나타내는 파장을 L1λG, 상기 Rmax를 나타내는 파장을 L1λR이라고 한다.
    상기 B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αB, 상기 G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αG, 상기 G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αG, 상기 R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αR이라고 한다.
    L1λB, L1λG, L1λR, +αB, -αG, +αG 및 -αR이, 이하 (1) 내지 (4)의 관계를 만족한다.
    Figure pct00015

    <조건 2-1>
    상기 광학 필름 X의 광 출사면측으로부터 광학 필름 X의 수직 방향으로 출광하는 광이며, 상기 편광자 a의 흡수축과 평행인 흡수축을 갖는 편광자 b를 통과한 광을 L2라고 한다. 상기 L2의 강도를 1㎚마다 측정한다. 상기 L2의 분광 스펙트럼의 기울기가 부로부터 정으로 변화하는 파장을 보텀 파장, 상기 L2의 분광 스펙트럼의 기울기가 정으로부터 부로 전환되는 파장을 피크 파장이라고 한다.
    상기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βR, 상기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βR, 상기 G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βG, 상기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βG, 상기 B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βB, 상기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βB라고 한다.
    R 이상 +βR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을 Rβ, -βG 이상 +βG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500㎚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을 Gβ, -βB 이상 +βB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400㎚ 이상 500㎚ 미만의 파장 영역을 Bβ라고 한다.
    상기 Rβ, 상기 Gβ 및 상기 Bβ의 각각의 파장 영역에, 상기 보텀 파장 및 상기 피크 파장을 각각 하나 이상 갖는다.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 1-2를 만족하는, 표시 장치.
    <조건 1-2>
    상기 조건 1-1의 측정에서 얻은 L1의 분광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청색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분광 스펙트럼의 강도의 평균값 BAve, 녹색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분광 스펙트럼의 강도의 평균값 GAve, 적색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분광 스펙트럼의 강도의 평균값 RAve를 산출한다. 청색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L1의 강도가 BAve를 연속하여 초과하는 파장 영역을 Bp, 녹색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L1의 강도가 GAve를 연속하여 초과하는 파장 영역을 Gp, 적색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L1의 강도가 RAve를 연속하여 초과하는 파장 영역을 Rp라고 한다. Bp, Gp 및 Rp를 나타내는 파장 영역의 수가 모두 하나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 1-3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조건 1-3>
    상기 +αB, 상기 -αG, 상기 +αG 및 상기 -αR이, 이하 (5) 내지 (6)의 관계를 만족한다.
    Figure pct00016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 1-4를 만족하는, 표시 장치.
    <조건 1-4>
    상기 B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βB, 상기 G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βG, 상기 G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βG, 상기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βR이라고 한다.
    상기 +βB, 상기 -βG, 상기 +βG 및 상기 -βR이, 이하 (7) 내지 (8)의 관계를 만족한다.
    Figure pct00017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 1-5를 만족하는, 표시 장치.
    <조건 1-5>
    상기 Bmax, 상기 Gmax 및 상기 Rmax 중 최대 강도를 L1max라고 한다. Bmax/L1max, Gmax/L1max 및 Rmax/L1max가 각각 0.27 이상.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 2-2를 만족하는, 표시 장치.
    <조건 2-2>
    상기 R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αR, 상기 R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αR, 상기 G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αG, 상기 R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αG, 상기 B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αB, 상기 R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αB라고 한다.
    R 이상 +αR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을 Rα, -αG 이상 +αG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500㎚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을 Gα, -αB 이상 +αB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400㎚ 이상 500㎚ 미만의 파장 영역을 Bα라고 한다.
    상기 Rα, 상기 Gα 및 상기 Bα의 각각의 파장 영역에, 상기 L2의 보텀 파장 및 상기 L2의 피크 파장을 각각 하나 이상 갖는다.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 X가 정의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광투과성 기재를 갖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가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표시 장치.
  9. 표시 소자의 광 출사면측의 면 상에, 편광자 a 및 광학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이며, 광학 필름에 입사하는 광이 하기 조건 1-1을 만족하는 경우에, 하기 조건 2-1을 만족하는 광학 필름을 선정하는,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
    <조건 1-1>
    상기 광학 필름 X에 표시 소자측으로부터 입사하는 광 중, 상기 광학 필름 X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을 L1이라고 한다. 상기 L1의 강도를 1㎚마다 측정한다. 청색의 파장 영역을 400㎚ 이상 500㎚ 미만, 녹색의 파장 영역을 500㎚ 이상 600㎚ 미만, 적색의 파장 영역을 600㎚ 이상 780㎚ 이하로 한다. 상기 L1의 청색의 파장 영역의 최대 강도를 Bmax, 상기 L1의 녹색의 파장 영역의 최대 강도를 Gmax, 상기 L1의 적색의 파장 영역의 최대 강도를 Rmax로 한다.
    상기 Bmax를 나타내는 파장을 L1λB, 상기 Gmax를 나타내는 파장을 L1λG, 상기 Rmax를 나타내는 파장을 L1λR이라고 한다.
    상기 B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αB, 상기 G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αG, 상기 G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αG, 상기 Rmax의 1/2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αR이라고 한다.
    L1λB, L1λG, L1λR, +αB, -αG, +αG 및 -αR이, 이하 (1) 내지 (4)의 관계를 만족한다.
    Figure pct00018

    <조건 2-1>
    상기 광학 필름 X의 광 출사면측으로부터 광학 필름 X의 수직 방향으로 출광하는 광이며, 상기 편광자 a의 흡수축과 평행인 흡수축을 갖는 편광자 b를 통과한 광을 L2라고 한다. 상기 L2의 강도를 1㎚마다 측정한다. 상기 L2의 분광 스펙트럼의 기울기가 부로부터 정으로 변화하는 파장을 보텀 파장, 상기 L2의 분광 스펙트럼의 기울기가 정으로부터 부로 전환되는 파장을 피크 파장이라고 한다.
    상기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βR, 상기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R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βR, 상기 G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βG, 상기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G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βG, 상기 B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마이너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대 파장을 -βB, 상기 Rmax의 1/3 이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L1λB의 플러스 방향측에 위치하는 최소 파장을 +βB라고 한다.
    R 이상 +βR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을 Rβ, -βG 이상 +βG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500㎚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을 Gβ, -βB 이상 +βB 이하의 파장 영역이며, 또한 400㎚ 이상 500㎚ 미만의 파장 영역을 Bβ라고 한다.
    상기 Rβ, 상기 Gβ 및 상기 Bβ의 각각의 파장 영역에, 상기 보텀 파장 및 상기 피크 파장을 각각 하나 이상 갖는다.
KR1020187027734A 2016-02-29 2017-02-22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 KR201801219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37533 2016-02-29
JP2016037533 2016-02-29
PCT/JP2017/006616 WO2017150302A1 (ja) 2016-02-29 2017-02-22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光学フィルムの選定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930A true KR20180121930A (ko) 2018-11-09

Family

ID=59742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734A KR20180121930A (ko) 2016-02-29 2017-02-22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77975B2 (ko)
EP (1) EP3425615A4 (ko)
JP (1) JP6876674B2 (ko)
KR (1) KR20180121930A (ko)
CN (1) CN109074761A (ko)
TW (1) TWI711861B (ko)
WO (1) WO20171503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25105B (zh) 2016-01-08 2021-04-21 日商大日本印刷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顯示裝置之光學膜之選擇方法
US10677975B2 (en) 2016-02-29 2020-06-09 Dai Nippon Printing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optical film for display device
JP2020134678A (ja) * 2019-02-19 2020-08-31 東洋紡株式会社 位相差層積層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WO2022191131A1 (ja) * 2021-03-08 2022-09-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干渉色の評価方法、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6819A (ja) 2007-04-03 2008-10-23 Toppan Printing Co Ltd 液晶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9205928A (ja) 2008-02-27 2009-09-10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微小共振器色変換el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ディスプレイ
JP2009251000A (ja) 2008-04-01 2009-10-29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
TWI400493B (zh) * 2008-05-01 2013-07-01 Ind Tech Res Inst 低色偏偏光組合體及其於背光單元、液晶顯示器之應用
JP4888853B2 (ja) * 2009-11-12 2012-02-29 学校法人慶應義塾 液晶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5396439B2 (ja) 2011-07-22 2014-01-22 学校法人慶應義塾 液晶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6089343B2 (ja) * 2011-08-05 2017-03-0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光学フィルム
JP2014081433A (ja) 2012-10-15 2014-05-08 Japan Display Inc 3次元画像表示装置
JP6136527B2 (ja) 2012-10-29 2017-05-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インセルタッチパネル液晶素子の前面用の光学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セルタッチパネル型液晶表示装置
KR101631350B1 (ko) 2012-12-17 2016-06-16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10539717B2 (en) 2012-12-20 2020-01-21 Samsung Sdi Co., Ltd. Polarizing plates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es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s
KR20140098419A (ko) 2013-01-31 2014-08-08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JP6102300B2 (ja) 2013-02-08 2017-03-29 東洋紡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6461455B2 (ja) 2013-04-26 2019-01-30 東洋紡株式会社 デジタル画像表示装置
JP6192465B2 (ja) * 2013-09-27 2017-09-06 ホシデン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6290628B2 (ja) * 2014-01-09 2018-03-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6378525B2 (ja) * 2014-04-17 2018-08-22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JP6169530B2 (ja) 2014-05-13 2017-07-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15225129A (ja) * 2014-05-26 2015-12-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画像表示装置、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ならびにタッチパネル
TWI725105B (zh) * 2016-01-08 2021-04-21 日商大日本印刷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顯示裝置之光學膜之選擇方法
US10677975B2 (en) 2016-02-29 2020-06-09 Dai Nippon Printing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optical film for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4761A (zh) 2018-12-21
EP3425615A4 (en) 2019-10-23
JP6876674B2 (ja) 2021-05-26
WO2017150302A1 (ja) 2017-09-08
US20190064416A1 (en) 2019-02-28
EP3425615A1 (en) 2019-01-09
JPWO2017150302A1 (ja) 2019-01-24
US10677975B2 (en) 2020-06-09
TWI711861B (zh) 2020-12-01
TW201732398A (zh) 2017-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550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
KR20180121930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
EP3401894B1 (en) Image display device
JP6059830B1 (ja) 画像表示装置
JP2021047409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光学フィルムの選定方法
JP6908262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光学フィルムの選定方法
JP6947472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光学フィルムの選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