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659A -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 - Google Patents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659A
KR20180121659A KR1020187030565A KR20187030565A KR20180121659A KR 20180121659 A KR20180121659 A KR 20180121659A KR 1020187030565 A KR1020187030565 A KR 1020187030565A KR 20187030565 A KR20187030565 A KR 20187030565A KR 20180121659 A KR20180121659 A KR 20180121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atching
mask
hooking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020B1 (ko
Inventor
신노스케 시바타
Original Assignee
코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1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8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cup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착용 상태에 있어서, 걸이끈의 걸림 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는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마스크(1)의 계지구(10)는, 가로로 긴 박판형이며, 마스크(1)의 한쪽의 걸이끈(4)을 걸고 뺄 수 있게 걸기 위한 제1 걸림부(20)와, 제1 걸림부(20)의 제2 단부 가장자리(14)측에 위치하며 마스크(1)의 다른쪽의 걸이끈(3)을 미리 삽입 관통시켜 두기 위한 삽입 관통 구멍(31)을 갖는 제2 걸림부(30)를 포함한다. 제1 걸림부(20)는, 제1 측부 가장자리(11)로부터 연장되는 안내홈(21)과, 안내홈으로 이어지는 제1 걸림 구멍(22)을 가지며, 제2 걸림부(30)는, 삽입 관통 구멍(31)에 이어지며 삽입 관통 구멍보다 외형이 작은 제2 걸림 구멍(32)을 가지며, 제1 걸림 구멍(22)과 제2 걸림 구멍(32)이 가로방향(X)에 있어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향해 있다.

Description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
본 발명은 계지구(係止具)를 구비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걸이끈을 걸기 위한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가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이며, 길이 방향에서 대향하는 양 단부에 있어서, 상하에 위치하는 한쌍의 후크부(상부 후크부와 하부 후크부)가 배치된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계지구의 상하 후크부는, 걸이끈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이 걸리는 걸림 구멍과, 이들을 걸림 구멍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을 갖는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5-93036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에 의하면, 착용자의 머리의 배면측에 계지구를 배치하고, 상하 후크부의 안내홈으로부터 안내하여 걸림 구멍에 걸이끈의 상하측 부분을 각각 걸게 함으로써, 걸이끈의 상하측 부분이 서로 분기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의 접안부를 착용자의 안면에 피트(fit)시킬 수 있다. 그러나, 고무끈형의 걸이끈을 상하 후크부에 걸기만 했기 때문에, 마스크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가 입을 움직였을 때 등에 있어서, 걸이끈이 상하 후크부 내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위치가 어긋나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이러한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걸이끈의 상측 부분의 인장력을 비교적 크게 한 경우에는, 상기 상측 부분에 접촉하는 착용자의 귀의 상측이 마찰을 받아 위화감이나 통증을 느낄 우려가 있다. 또한, 안내홈은, 걸이끈이 진입, 후퇴 가능한 크기이기 때문에, 걸이끈이 상하 후크부의 걸림 구멍에 걸린 상태에서, 그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걸이끈을 인장시켰을 때에, 안내홈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 나와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발명을 개량한 것으로, 착용 상태에 있어서, 걸이끈의 걸림 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는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의 제공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가지며, 상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부 가장자리 및 제2 측부 가장자리와, 상기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부 가장자리 및 제2 단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로로 긴 박판형의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에 있어서, 계지구는, 상기 마스크의 한쪽의 걸이끈을 걸고 뺄 수 있게 걸기 위한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의 상기 제2 단부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며 상기 마스크의 다른쪽의 걸이끈을 미리 삽입 관통시켜 두기 위한 삽입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측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으로 이어지는 제1 걸림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삽입 관통 구멍으로 이어지고 삽입 관통 구멍보다 외형이 작은 제2 걸림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 걸림 구멍과 상기 제2 걸림 구멍이 상기 가로방향에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향해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에 있어서, 계지구는, 제1 걸림부가 제1 측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안내홈과, 안내홈으로 이어지는 제1 걸림 구멍을 가지며, 제2 걸림부가 삽입 관통 구멍으로 이어지며 삽입 관통 구멍보다 외형이 작은 제2 걸림 구멍을 가지며, 제1 걸림 구멍과 제2 걸림 구멍이 가로방향에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향해 있기 때문에, 마스크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걸이끈이 필요한 체결 강도를 발휘하여 마스크 본체를 안면에 밀접시킴과 더불어, 걸이끈이 계지구로부터 빠지지 않고, 그 위치가 상하로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에 있어서, 계지구가 한쪽의 걸이끈에 걸린 상태의 마스크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계지구의 평면도.
도 3은 계지구에 의해 한쌍의 걸이끈이 서로 연결된, 마스크의 착용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계지구에 의해 한쌍의 걸이끈을 서로 연결시킨 마스크의 착용 상태의 배면도.
도 5는 도 4에서 선 V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
도 6의 (a)는 띠형 탄성체를 사용한 걸이끈이 제1 걸림 구멍에 걸린 상태의 도면, (b)는 띠형 탄성체를 사용한 걸이끈의 단면도, (c)는 끈형 탄성체를 사용한 걸이끈이 제1 걸림 구멍에 걸린 상태의 도면, (d)는 끈형 탄성체를 사용한 걸이끈의 단면도.
도 7은 변형예의 일례에서의 계지구의 평면도.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계지구의 평면도.
아래 실시형태는, 도 1∼도 7에 나타내는 계지구(10)를 구비한 마스크(1)에 관해,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구성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3을 참조하면,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2)와 마스크 본체(2)의 양 측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고리형의 걸이끈(3, 4)을 가지며, 계지구(10)는 한쌍의 걸이끈(3, 4)을 착용자의 머리의 배면에서 서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마스크 본체(2)는, 내부 공간(7)을 구획하도록 컵형으로 부형된 피복부(5)와, 피복부(5)의 외주 가장자리의 후면측에 접합된 접안부(접안 패드)(6)를 갖는다. 걸이끈(3, 4)은, 양쪽 단부가 버클(8)을 통해 마스크 본체(2)의 양 측부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하로 분기되는 상측 부분(3A, 4A)과 하측 부분(3B, 4B)을 갖는다.
걸이끈(3, 4)에는, 스트랜드형의 고무끈 등으로 이루어진 끈형 탄성체나 평고무 등의 필요한 두께 치수를 갖는 띠형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다. 마스크(1)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필요한 피트성이나 시일성이 발휘되는 한, 마스크 본체(2)는 피복부(5)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피복부(5)는, 컵형으로 성형되지 않고, 필터 기능을 갖는 복수의 천이나 부직포를 평면적으로 겹쳐 포개거나 또는 이들을 플리츠형으로 겹쳐 포개어 입체적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도 2를 참조하면, 계지구(10)는, 세로방향(Y) 및 가로방향(X)과, 세로방향(Y)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횡단 중심선(Q)과 가로방향(X)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종단 중심선(P)을 갖는 가로로 긴 박판형이며, 가로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측부 가장자리(11) 및 제2 측부 가장자리(12)와, 세로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1 단부 가장자리(13) 및 제2 단부 가장자리(14)를 포함한다. 제1 측부 가장자리(11) 및 제2 측부 가장자리(12)는, 가로방향(X)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고, 제1 단부 가장자리(13) 및 제2 단부 가장자리(14)는, 가로방향(X)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양 측부 가장자리(11, 12) 및 양 단부 가장자리(13, 14)가 서로 교차하는 모서리부는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2 단부 가장자리(14)의 곡률은 제1 단부 가장자리(13)의 곡률보다 크고, 더욱 크게 원호형으로 곡선을 그리는 형상을 갖는다. 단, 후기의 본원 발명이 효과를 발휘하는 한, 제1 단부 가장자리(13) 및 제2 단부 가장자리(14)의 곡률은 동일해도 좋고, 제1 단부 가장자리(13)의 곡률이 제2 단부 가장자리(14)의 곡률보다 커도 좋으며, 이들 곡률은 도시된 양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계지구(10)는, 마스크(1)의 한쪽의 걸이끈(3)을 걸기 위한 제1 걸림부(20)와, 제1 걸림부(20)의 제2 단부 가장자리(14)측에 위치하며, 마스크(1)의 다른쪽의 걸이끈(4)을 미리 삽입 관통시켜 두기 위한 삽입 관통 구멍(31)을 갖는 제2 걸림부(30)를 더 갖는다. 제1 걸림부(20)는, 제1 측부 가장자리(11)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안내홈(21)과, 안내홈으로 이어지는 제1 걸림 구멍(22)을 갖는다.
제1 걸림부(20)의 안내홈(21)은, 제1 측부 가장자리(11)로부터 제1 단부 가장자리(13)를 향해 곡선을 그리게 연장되는 곡선형 부위(21a)와, 곡선형 부위(21a)의 종단으로부터 이어지도록 횡단 중심선(Q)을 따라서 가로방향(X)으로 곧게 연장되는 직선형 부위(21b)를 갖는다. 안내홈(21)의 곡선형 부위(21a)는 내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며, 직선형 부위(21b)와의 경계 근방에서 폭이 가장 좁게 되어 있다. 직선형 부위(21b)의 폭치수(W1)는, 곡선형 부위(21a)의 종단의 폭치수와 동일하고, 거의 일정하다. 곡선형 부위(21a)의 커브(curve)의 정도나 안내홈(21)의 폭치수는, 계지구(10)의 크기나 걸이끈(3, 4)의 폭치수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내홈(21) 중의 가장 광폭인 부분, 즉, 제1 측부 가장자리(11)를 분리시키는 이격 부분의 폭치수[곡선형 부위(21a)의 제1 측부 가장자리(11)측의 폭치수](W5)는, 직선형 부위(21b)의 폭치수(W1)의 적어도 3배 이상이다.
제2 걸림부(30)는, 제2 측부 가장자리(12)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삽입 관통 구멍(31)에 연통하는 절입부(33)를 더 갖는다. 절입부(33)는, 제2 측부 가장자리(12)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고, 삽입 관통 구멍(31)측에서 제2 단부 가장자리(14)측으로 약간 곡선을 그리게 되어 있다. 삽입 관통 구멍(31)은, 제2 단부 가장자리(14)측에서 목부(neck portion; 34)를 통해 제2 걸림 구멍(32)에 연통해 있다. 제2 걸림 구멍(32)은 원형이며, 그 직경은 삽입 관통 구멍(31)보다 작고, 또한, 제1 걸림 구멍(22)과 거의 동일한 크기이다. 제1 걸림 구멍(22) 및 제2 걸림 구멍(32)은, 걸이끈(3, 4)이 탄성 변형된 상태로 걸리는 한, 타원형, 삼각형, 다각형 등의 각종 공지의 형상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삽입 관통 구멍(31)에 관해서도, 걸이끈(4)이 미리 삽입 관통되는 크기를 갖는 한, 타원형, 삼각형, 다각형 등의 각종 공지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목부(34)의 폭치수(W2)는, 제2 걸림 구멍(32)의 직경보다 작고, 걸림부(20)의 안내홈(21)의 직선형 부위(21b)의 폭치수(W1)와 거의 동일하다. 직선형 부위(21b)의 폭치수(W1)와 목부(34)의 폭치수(W2)는, 띠형 탄성체로 이루어진 걸이끈(3, 4)의 폭치수 또는 끈형 탄성체로 이루어진 걸이끈(3, 4)의 직경보다 작고, 걸이끈(3, 4)이 탄성 변형되면서 제1 걸림 구멍(22) 및 제2 걸림 구멍(32)을 향해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다.
제1 걸림부(20)의 제1 걸림 구멍(22)은, 직선형 부위(21b)와 연통하는 원형의 작은 구멍이며, 그 직경은 직선형 부위(21b)의 폭치수(W1)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걸림 구멍(32)의 직경은 제1 걸림 구멍(22)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며, 제1 걸림 구멍(22)과 제2 걸림 구멍(32)은, 횡단 중심선(Q)을 따라서, 가로방향에서 서로 상반된 방향을 향해 있다. 여기서, 「제1 걸림 구멍(22)과 제2 걸림 구멍(32)이 가로방향(X)에서 상반된 방향을 향해 있다」란, 제1 걸림부(20) 및 제2 걸림부(30)에 있어서, 제1 걸림 구멍(22) 및 제2 걸림 구멍(32)보다 폭이 좁은 부분[제1 걸림부(20)에서는 직선형 부위(21b), 제2 걸림부(30)에서는 목부(34)]으로부터 제1 걸림 구멍(22) 및 제2 걸림 구멍(32)으로 향하는 방향 벡터(F1, F2)가 가로방향(X)에서 서로 상반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제1 걸림 구멍(22)과 제2 걸림 구멍(32)이 횡단 중심선(Q) 상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측부 가장자리(11) 또는 제2 측부 가장자리(12)측으로 어긋나게 위치하고 있는 경우나 안내홈(21) 및/또는 목부(34)의 형상이 도시하고 있는 양태와 상이한 것이라 하더라도, 제1 걸림 구멍(22)과 제2 걸림 구멍(32)에 관한 방향 벡터(F1, F2)가 상반되는 한, 제1 걸림 구멍(22)과 제2 걸림 구멍(32)은 가로방향(X)에서 서로 상반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제1 걸림부(20)의 안내홈(21)이 곡선형 부분(21a)을 갖지 않고, 종단 중심선(P)에 관해 경사져 제1 측부 가장자리(11)로부터 제1 걸림 구멍(22)까지 연장되는 직선형 라인이어도 좋고, 제2 걸림부(30)의 절입부(33)가, 제2 측부 가장자리(12)로부터 삽입 관통 구멍(31)까지 종단 중심선(P)을 향해 연장되는 직선형 라인이어도 좋다.
한쪽의 걸이끈(4)은, 마스크(1)의 제조 시에 제2 걸림부(30)의 삽입 관통 구멍(31)에 미리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미리 걸이끈(4)이 삽입 관통 구멍(31)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조 공정 및 개별 포장 주머니로부터 마스크(1)를 꺼냈을 때, 계지구(10)가 마스크(1)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없어, 개봉하여 사용하기 전에, 계지구(10)를 분실해 버릴 우려는 없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마스크(1)의 착용 조작에 관해 설명하면, 우선, 착용자는 마스크 본체(2)의 접안부(6)를 안면에 대고, 이러한 상태를 유지한 채 한쪽 손으로 걸이끈(4)이 삽입 관통된 계지구(10)를 쥐고 머리의 배면측으로 인장시키고, 다른쪽 손으로 걸이끈(3)을 쥐고 머리의 배면측으로 인장시킨다. 다음으로, 제1 걸림부(20)의 안내홈(21)을 가이드(guide)로 하여 제1 걸림 구멍(22)으로 유도하도록 걸이끈(3)을 인장시켜, 걸림끈(3)이 제1 걸림 구멍(22)에 걸리게 함과 더불어, 삽입 관통 구멍(31)에 삽입 관통된 걸이끈(4)이 목부(34) 내에서 슬라이드되도록 제2 단부 가장자리(14)측으로 이동시켜 걸이끈(4)이 제2 걸림 구멍(32)에 걸리게 한다. 제1 걸림부(20)에 안내홈(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걸이끈(3)을 제1 걸림 구멍(22)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제2 걸림부(30)에서 삽입 관통 구멍(31)과 제2 걸림 구멍(32) 사이에 폭이 좁은 목부(34)가 위치함으로써, 그것을 따라서 걸이끈(4)을 슬라이드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제2 걸림 구멍(32)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직접 보지 않더라도 일련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걸이끈(3, 4)이, 각각, 제1 걸림 구멍(22) 및 제2 걸림 구멍(32)에 걸려서 꺾여 접힘으로써, 상측 부분(3A, 4A)과 하측 부분(3B, 4B)으로 분기된다. 이와 같이, 고리형의 걸이끈(3, 4)을 상하로 분기시켜, 상측 부분(3A, 4A)을 귀의 상측에 걸리도록 끌어올림으로써, 걸이끈(3, 4)을 안정적으로 귀에 돌려서 걸 수 있다.
예컨대, 제1 걸림 구멍(22) 및/또는 제2 걸림 구멍(32)의 방향 벡터(F1, F2)가 세로방향(Y)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걸이끈(3, 4)의 인장력을 통해 마스크 본체(2)를 안면에 밀착시키고자 하는 힘이 충분히 작용하지 않고, 착용 중에 마스크 본체(2)가 안면으로부터 어긋나 떨어져 버릴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걸림 구멍(22)과 제2 걸림 구멍(32)은, 가로방향(X)에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향해 있기 때문에, 계지구(10)를 통해 걸이끈(3, 4)끼리 가로방향(X)으로 서로 인장하여, 필요한 체결 강도를 발휘시킬 수 있다.
도 6의 (a)는, 띠형 탄성체를 사용한 걸이끈(3)이 제1 걸림 구멍(22)에 걸린 상태의 도면, 도 6의 (b)는, 띠형 탄성체를 사용한 걸이끈(3)의 단면도, 도 6의 (c)는, 끈형 탄성체를 사용한 걸이끈(3)이 제2 걸림 구멍(22)에 걸린 상태의 도면, 도 6의 (d)는, 끈형 탄성체를 사용한 걸이끈(3)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d)는, 제1 걸림 구멍(22)에 걸이끈(3)이 걸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걸림 구멍(22)과 제2 걸림 구멍(32)은 동일한 형태 및 동일한 크기이기 때문에, 제2 걸림 구멍(32)에서도 걸이끈(4)의 걸림 양태는 동일하다.
도 6의 (a), (b)를 참조하면, 걸이끈(3)[걸이끈(4)도 동일]으로서 소정의 폭치수(R)를 갖는 평고무 등의 띠형 탄성체를 사용한 경우에, 제1 걸림 구멍(22)의 내주 길이(L1)는, 걸이끈(3)의 폭치수(R1)보다 작게 되어 있다. 마스크(1)의 착용 시에 있어서, 걸이끈(3)을 제1 걸림부(20)에 걸기 위해서는, 제1 측부 가장자리(11)측으로부터 안내홈(21)을 가이드로 하여 제1 걸림 구멍(22)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제1 걸림 구멍(22) 내에서 평고무로 이루어진 걸이끈(3)이 둥글게 말린 상태로 배치되고, 또한, 그 폭치수(R1)가 내주 길이(L1)보다 크기 때문에, 그 일부가 탄성 변형되어 직선형 부위(21b)에 진입되어 있다. 걸이끈(3)의 폭치수(R1)가 제1 걸림 구멍(22)의 내주 길이(L1)보다 작은 경우에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 걸이끈(3)이 둥글게 말린 상태로 배치되더라도 전후 방향(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우려가 있지만, 폭치수(R1)가 내주 길이(L1)보다 크고 그 일부가 직선형 부위(21b)에 진입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움직임이 규제된다.
도 6의 (c), (d)를 참조하면, 걸이끈(3)[걸이끈(4)도 동일]으로서 스트랜드형의 끈고무 등의 끈형 탄성체를 사용한 경우에, 제1 걸림 구멍(22)의 내주 길이(L1)는, 걸이끈(3)의 원형 단면의 외주 치수(외주 길이)(R2)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마스크(1)를 착용하기 위해 제1 걸림 구멍(22)에 걸이끈(3)을 배치한 상태에서, 걸이끈(3)의 일부가 탄성 변형되어 직선형 부위(21b)에 진입하기 때문에, 도 6의 (a)의 양태와 마찬가지로, 걸이끈(3)의 전후 방향에서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걸이끈(3, 4)이 평고무 등의 띠형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폭치수(R1), 고무끈 등의 끈형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외주 치수(R2)가, 제1 걸림 구멍(22) 및 제2 걸림 구멍(32)의 내주 길이(L1)보다 큰 것에 의해, 마스크(1)를 착용했을 때 걸이끈(3, 4)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걸이끈(3, 4)이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착용 상태에 있어서, 걸이끈(3, 4)의 상측 부분(3A, 4A)과 하측 부분(3B, 4B)이 동일한 장력을 갖는 경우에는, 상측 부분(3A, 4A)이 귀에 비교적 강하게 접촉하여 자극을 줄 우려가 있기 때문에, 걸이끈(3, 4)이 탄성 변형되어 적당한 저항이 생기는 것에 의해, 상측 부분(3A, 4A)과 하측 부분(3B, 4B)이 동일한 장력이 되지 않도록, 즉, 상측 부분(3A, 4A)의 장력(텐션)이 하측 부분(3B, 4B)의 장력보다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와 같이, 걸이끈(3, 4)을 상하로 꺾어 접어서 귀에 돌려서 거는 경우에는, 통상, 마스크(1)를 착용하기 전에, 머리의 치수에 맞춰 상측 부분(3A, 4A)과 하측 부분(3B, 4B)의 길이를 조정한 상태로 착용한다. 즉, 상측 부분(3A, 4A)의 길이 치수가 비교적 짧으면, 그것을 끌어올려 귀에 걸었을 때 마찰되어 착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측 부분(3A, 4A)이 하측 부분(3B, 4B)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어지도록 사전에 조정한 상태로 착용한다.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측 부분(3A, 4A)의 장력이 하측 부분(3B, 4B)의 장력과 동일한 경우에는 귀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측 부분(3A, 4A)의 장력이 작아지도록 조정하여 착용하더라도, 착용하고 있는 동안에 상측 부분(3A, 4A)의 장력과 하측 부분(3B, 4B)의 장력이 동일한 크기로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에서는, 걸이끈(3, 4)이 띠형 탄성체와 끈형 탄성체의 어느 것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1 걸림 구멍(22) 및 제2 걸림 구멍(32)에 걸렸을 때, 그 일부가 탄성 변형되어 폭이 좁은 부분으로 진입하기 때문에, 일단 걸려 버리면, 부주의하게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미리 조정한 걸이끈(3, 4)의 길이 치수가 착용 중에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단, 걸이끈(3, 4)의 이동이 완전히 규제되는 경우에는, 착용 후에 착용자 스스로가 상측 부분(3A, 4A)과 하측 부분(3B, 4B)의 길이 치수를 미세 조정할 수 없다. 따라서, 걸이끈(3, 4)을 필요한 힘으로 상측으로 또는 하측으로 인장시킴으로써 걸이끈(3, 4)이 이동할 수 있는 만큼의 여유가 있는 상태로 걸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걸림을 실현하기 위해, 걸이끈(3, 4)이 띠형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폭치수(R1) 또는 끈형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주 치수(R2)가, 제1 걸림 구멍(22) 및 제2 걸림 구멍(32)의 내주 길이(L1)의 150%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계지구(10)에 의하면, 걸이끈(3, 4)에 필요한 저항이 부하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대화할 때의 입의 움직임 정도로는, 조정한 상하측 부분(3A, 3B, 4A, 4B)의 장력이 변경되는 일은 없다. 또한, 착용자가 자신의 손으로 조작함으로써 자유롭게 상하측 부분(3A, 3B, 4A, 4B)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가령 착용 중에 이들 부분의 장력이 변경되었다 하더라도, 적당한 장력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2 걸림부(30)의 절입부(33) 중 삽입 관통 구멍(31)의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의 폭치수(W4)는, 목부(34)의 폭치수(W2)보다 작고, 또한, 안내홈(21)의 직선형 부위(21b)의 폭치수(W1)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직선형 부위(21b)의 폭치수(W1)와 목부(34)의 폭치수(W2)는, 띠형 탄성체 또는 끈형 탄성체로 이루어진 걸이끈(3, 4)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제1 걸림 구멍(22)을 향해 통과시킬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인 데 비해, 절입부(33)의 폭치수(W4)는, 탄성 변형시켜도 걸이끈(3, 4)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걸이끈(3)은, 미리 삽입 관통 구멍(31)에 삽입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절입부(33)의 폭치수(W4)를 이와 같이 비교적 작게 함으로써, 걸이끈(3)이 계지구(1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걸림부(20)에서, 안내홈(21)은 걸이끈(4)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지만, 절입부(33)에 비하여 제2 걸림 구멍(32)을 향해 크게 곡선을 그리고 있기 때문에, 제1 걸림 구멍(22)의 걸림이 해제되어 걸이끈(4)이 제1 측부 가장자리(11)측으로 이동하더라도, 간단히 계지구(10)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변형예>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계지구(10)를 구비한 마스크(1)에서의 계지구(10)의 변형예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2와 동일한 평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 제2 걸림부(30)의 절입부(33)는, 제2 측부 가장자리(12)로부터가 아니라, 제1 걸림부(20)의 안내홈(21)으로부터 삽입 관통 구멍(31)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입부(33)가 안내홈(21)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걸이끈(3, 4)을 제1 걸림부(20)의 안내홈(21)으로부터 삽입 관통시켜, 곡선형 부위(21a)에서 직선형 부위(21b)로 향하는 부분과 절입부(33)의 분기점(35)에서 절입부(33)를 따라서 걸이끈(4)을 제2 단부 가장자리(14)측으로 인장시킴으로써, 절입부(33)로부터 제2 걸림부(30)로 걸이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걸이끈(3, 4)을 제1 측부 가장자리(11)측으로부터 함께 계지구(10)에 미리 또는 사용할 때에 삽입 관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을 상이한 측부 가장자리(11, 12)로부터 삽입 관통시키는 경우에 비해 걸림 조작을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절입부(33)는,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홈(21)으로부터 거의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양태 이외에, 곡선 형태를 갖고 있어도 좋다.
<제2 실시형태>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계지구(10)를 구비한 마스크(1)에서의 계지구(10)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계지구(10)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계지구(10)와 기본적 구성이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서로 다른 점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계지구(10)에서는, 제1 걸림부(50)가 제2 걸림부(30)와 동일한 형태이며, 제1 걸림부(50)의 안내홈(51)은, 제1 측부 가장자리(11)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51a)과 연통하며, 제2 걸림부(30)의 삽입 관통 구멍(31)과 동일한 형태 및 동일한 크기의 제2 부분(51b)을 갖는다. 제1 부분(51a)은, 제2 부분(51b)측에서 제1 단부 가장자리(13)측으로 약간 곡선을 그리고 있다. 제2 부분(51b)은, 제1 단부 가장자리(13)측에서 목부(54)를 통해 제1 걸림 구멍(22)에 연통해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계지구(10)에서는, 마스크(1)의 사용 전에, 제2 걸림부(30)에 걸이끈(3)이 미리 삽입 관통됨과 더불어, 제1 걸림부(50)의 제2 부분(51b)에 걸이끈(4)이 미리 삽입 관통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착용할 때에, 제1 걸림부(50)의 제1 부분(51a)을 가이드로 하여 걸이끈(4)을 통과시켜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의 계지구(10)는, 연질 또는 경질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 외에, 필요한 탄성을 발휘하는 한, 종이제 또는 금속제이어도 좋다. 또한, 그 외형에 관해서도, 제1 걸림부(20, 50)와 제2 걸림부(30)가 가로방향(X)에서 나란히 위치하는 한, 모서리가 곡선형이 아니라 선예형이어도 좋으며, 사용하는 마스크(1)의 크기에 맞춰, 세로방향(Y) 및 가로방향(X)의 치수나 두께 치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계지구(10)에 의장성을 부여하기 위해, 유채색으로 착색되어 있어도 좋고, 도안, 기호, 문자, 상품 로고 등의 각종 의장 요소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에 기재한 본 발명에 관한 개시는, 이하의 사항으로 정리할 수 있다.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가지며, 상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부 가장자리 및 제2 측부 가장자리와, 상기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부 가장자리 및 제2 단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로로 긴 박판형의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의 한쪽의 걸이끈을 걸고 뺄 수 있게 걸기 위한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의 상기 제2 단부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며 상기 마스크의 다른쪽의 걸이끈을 미리 삽입 관통시켜 두기 위한 삽입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측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으로 이어지는 제1 걸림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삽입 관통 구멍으로 이어지며 삽입 관통 구멍보다 외형이 작은 제2 걸림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 걸림 구멍과 상기 제2 걸림 구멍이, 상기 가로방향에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향해 있다.
위 단락에 개시된 본 발명은, 적어도 이하의 실시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형태들은, 분리하거나 또는 서로 조합하여 채택할 수 있다.
(1) 상기 제1 걸림부의 상기 안내홈은, 상기 제1 측부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걸림 구멍으로 이어지며 상기 제1 걸림 구멍보다 외형이 큰 원형의 제2 부분을 갖는다.
(2) 상기 걸이끈이 띠형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이끈의 폭치수가 상기 제1 걸림 구멍 및 상기 제2 걸림 구멍의 내주 길이보다 크다.
(3) 상기 걸이끈은 끈형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이끈의 외주 치수가 상기 제1 걸림 구멍 및 상기 제2 걸림 구멍의 내주 길이보다 크다.
(4)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삽입 관통 구멍으로 이어지는 절입부를 가지며, 상기 절입부 중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의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의 폭치수는, 목부의 폭치수보다 작다.
(5) 컵형의 피복부를 갖는 마스크 본체를 포함한다.
(6)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피복부의 외주 가장자리의 후면측에 위치하는 접안부를 갖는다.
1 : 마스크
2 : 마스크 본체
3 : 걸이끈
4 : 걸이끈
5 : 피복부
6 : 접안부
10 : 계지구
11 : 제1 측부 가장자리
12 : 제2 측부 가장자리
13 : 제1 단부 가장자리
14 : 제2 단부 가장자리
20 : 제1 걸림부
21 : 안내홈
22 : 제1 걸림 구멍
30 : 제2 걸림부
31 : 삽입 관통 구멍
32 : 제2 걸림 구멍
33 : 절입부
50 : 제1 걸림부
51 : 안내홈
51a : 제1 부분
51b : 제2 부분
L1 : 제1 걸림 구멍 및 제2 걸림 구멍의 내주 길이
R1 : 띠형 탄성체로 이루어진 걸이끈의 폭치수
R2 : 끈형 탄성체로 이루어진 걸이끈의 외주 길이
X : 가로방향
Y : 세로방향

Claims (7)

  1.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가지며, 상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부 가장자리 및 제2 측부 가장자리와, 상기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부 가장자리 및 제2 단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로로 긴 박판형의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의 한쪽의 걸이끈을 걸고 뺄 수 있게 걸기 위한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의 상기 제2 단부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며 상기 마스크의 다른쪽의 걸이끈을 미리 삽입 관통시켜 두기 위한 삽입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측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으로 이어지는 제1 걸림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삽입 관통 구멍으로 이어지며 삽입 관통 구멍보다 외형이 작은 제2 걸림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 걸림 구멍과 상기 제2 걸림 구멍이, 상기 가로방향에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의 상기 안내홈은, 상기 제1 측부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걸림 구멍으로 이어지며 상기 제1 걸림 구멍보다 외형이 큰 원형의 제2 부분을 갖는 것인 마스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끈이 띠형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이끈의 폭치수가 상기 제1 걸림 구멍 및 상기 제2 걸림 구멍의 내주 길이보다 큰 것인 마스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끈은 끈형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이끈의 외주 치수가 상기 제1 걸림 구멍 및 상기 제2 걸림 구멍의 내주 길이보다 큰 것인 마스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삽입 관통 구멍으로 이어지는 절입부를 가지며, 상기 절입부 중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의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의 폭치수는 목부(neck portion)의 폭치수보다 작은 것인 마스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컵형의 피복부를 갖는 마스크 본체를 포함하는 마스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피복부의 외주 가장자리의 후면측에 위치하는 접안부를 갖는 것인 마스크.
KR1020187030565A 2016-04-21 2017-04-13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 KR102037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85601A JP6344802B2 (ja) 2016-04-21 2016-04-21 係止具を備えたマスク
JPJP-P-2016-085601 2016-04-21
PCT/JP2017/015059 WO2017183545A1 (ja) 2016-04-21 2017-04-13 係止具を備えたマス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659A true KR20180121659A (ko) 2018-11-07
KR102037020B1 KR102037020B1 (ko) 2019-10-25

Family

ID=6011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565A KR102037020B1 (ko) 2016-04-21 2017-04-13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38802B2 (ko)
EP (1) EP3446582B1 (ko)
JP (1) JP6344802B2 (ko)
KR (1) KR102037020B1 (ko)
CN (1) CN109068773B (ko)
CA (1) CA3020674C (ko)
MY (1) MY170359A (ko)
WO (1) WO20171835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4426B2 (en) 2020-06-18 2023-01-31 Jmdm Holdings Llc Facial cover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619B1 (ko) * 2018-04-10 2020-06-10 김회철 어린이 혼자서 착용 가능한 마스크용 귀걸이끈 조절부재
KR20210119813A (ko) 2020-03-25 2021-10-06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마스크용 끈 밴드
DE102020108414B4 (de) 2020-03-26 2023-02-16 Pfanner Schutzbekleidung Gmbh Gesichtsschutzmaske
USD928304S1 (en) 2020-05-07 2021-08-17 Chi Wai Philip Yu Face mask with adjustable ear loops
IT202000011122A1 (it) * 2020-05-18 2020-08-18 Luca Giacomino Tendi elastici per Mascherina proteggi bocca e naso
KR102444564B1 (ko) * 2020-07-13 2022-09-19 왕용진 안면보호구용 조명장치
KR102232316B1 (ko) 2020-07-25 2021-03-25 박동열 마스크용 걸이밴드 결속부재
JP6955289B1 (ja) * 2020-12-14 2021-10-27 尚宏 篠本 マスク用ストラップ
JP2022102019A (ja) * 2020-12-25 2022-07-07 直大 杉山 マスク取着用補助バンド
KR102291330B1 (ko) * 2020-12-31 2021-08-18 서한나 머리 또는 귀 착용 및 목걸이줄 겸용 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마스크
US20220211124A1 (en) * 2021-01-07 2022-07-07 Mark Hunter Sanitary Face Mask Assembly
USD997345S1 (en) * 2021-01-27 2023-08-29 Katharos Laboratories, Llc Tensioning device for a face mask
USD957633S1 (en) * 2021-03-01 2022-07-12 DFund Limited Head support for a face mask
USD1004074S1 (en) * 2021-03-31 2023-11-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trap tab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0139A (ja) * 1998-11-04 2000-05-23 Takehara Nobuaki 使い捨て用簡易マスク、及びマスクフレーム
KR200249515Y1 (ko) * 2001-07-03 2001-11-16 이상원 마스크
KR100406881B1 (ko) * 1997-01-22 2004-01-24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마스크를 매는 끈의 길이 조정부재
JP2005152229A (ja) * 2003-11-25 2005-06-16 Msa Japan Kk マスク用クリップ
KR100844203B1 (ko) * 2007-11-01 2008-07-04 이상원 길이 조정이 가능한 마스크
KR20130000250U (ko) * 2011-07-01 2013-01-09 (주)이지스 방진 마스크
US20140190492A1 (en) * 2013-01-10 2014-07-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 having a face seal comprising a water-vapor-breathable layer
JP2015093036A (ja) 2013-11-12 2015-05-18 也人 竹内 マスクストッパー
JP3200050U (ja) * 2015-07-10 2015-10-01 ホークアイ株式会社 マスク保持具
WO2016047579A1 (ja) * 2014-09-25 2016-03-31 光造 北村 衛生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196A (en) * 1901-12-19 1902-03-25 Max Rubin Suspension-clasp.
JP3200050B2 (ja) 1999-07-09 2001-08-20 博 安永 外科用皮膚縫合ステープラ
JP2003320041A (ja) * 2002-05-02 2003-11-11 Shigematsu Works Co Ltd マスク
JP4845861B2 (ja) * 2007-11-09 2011-12-28 興研株式会社 使い捨て式防じんマスク
JP5555058B2 (ja) * 2010-06-04 2014-07-23 ミドリ安全株式会社 マスクの締め紐長さ調整具およびマスク
JP2012016516A (ja) * 2010-07-09 2012-01-26 Midori Anzen Co Ltd マスクの締め紐長さ調整具およびマスク
JP5657995B2 (ja) * 2010-10-25 2015-01-21 モリト株式会社 コードアジャスター
JP2013252339A (ja) * 2012-06-08 2013-12-19 Planet:Kk マスク用係止具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881B1 (ko) * 1997-01-22 2004-01-24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마스크를 매는 끈의 길이 조정부재
JP2000140139A (ja) * 1998-11-04 2000-05-23 Takehara Nobuaki 使い捨て用簡易マスク、及びマスクフレーム
KR200249515Y1 (ko) * 2001-07-03 2001-11-16 이상원 마스크
JP2005152229A (ja) * 2003-11-25 2005-06-16 Msa Japan Kk マスク用クリップ
KR100844203B1 (ko) * 2007-11-01 2008-07-04 이상원 길이 조정이 가능한 마스크
KR20130000250U (ko) * 2011-07-01 2013-01-09 (주)이지스 방진 마스크
US20140190492A1 (en) * 2013-01-10 2014-07-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 having a face seal comprising a water-vapor-breathable layer
KR20150105649A (ko) * 2013-01-10 2015-09-1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수증기 통기성 층을 포함하는 안면 시일을 갖는 안면부 여과식 호흡기
JP2015093036A (ja) 2013-11-12 2015-05-18 也人 竹内 マスクストッパー
WO2016047579A1 (ja) * 2014-09-25 2016-03-31 光造 北村 衛生マスク
JP3200050U (ja) * 2015-07-10 2015-10-01 ホークアイ株式会社 マスク保持具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그러나, 고무끈형의 걸이끈을 상하 후크부에 걸기만 했기 때문에, 마스크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가 입을 움직였을 때 등에 있어서, 걸이끈이 상하 후크부 내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위치가 어긋나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이러한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걸이끈의 상측 부분의 인장력을 비교적 크게 한 경우에는, 상기 상측 부분에 접촉하는 착용자의 귀의 상측이 마찰을 받아 위화감이나 통증을 느낄 우려가 있다. 또한, 안내홈은, 걸이끈이 진입, 후퇴 가능한 크기이기 때문에, 걸이끈이 상하 후크부의 걸림 구멍에 걸린 상태에서, 그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걸이끈을 인장시켰을 때에, 안내홈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 나와 버릴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에 의하면, 착용자의 머리의 배면측에 계지구를 배치하고, 상하 후크부의 안내홈으로부터 안내하여 걸림 구멍에 걸이끈의 상하측 부분을 각각 걸게 함으로써, 걸이끈의 상하측 부분이 서로 분기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의 접안부를 착용자의 안면에 피트(fit)시킬 수 있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4426B2 (en) 2020-06-18 2023-01-31 Jmdm Holdings Llc Facial cove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6582B1 (en) 2020-05-20
JP6344802B2 (ja) 2018-06-20
WO2017183545A1 (ja) 2017-10-26
US10638802B2 (en) 2020-05-05
JP2017193802A (ja) 2017-10-26
KR102037020B1 (ko) 2019-10-25
CA3020674C (en) 2019-11-12
US20190133219A1 (en) 2019-05-09
CA3020674A1 (en) 2017-10-26
CN109068773A (zh) 2018-12-21
EP3446582A1 (en) 2019-02-27
CN109068773B (zh) 2019-12-31
MY170359A (en) 2019-07-24
EP3446582A4 (en)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1659A (ko)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
JP2017193802A5 (ko)
EP2380452B1 (en) Belt length adjuster
CN107105803A (zh) 用于调整带的长度的带扣和包括该带扣的呼吸器
US11497948B2 (en) Harness back plate and strap arrangement
US10767730B2 (en) Adjustable bungee fastener
JP2012016516A (ja) マスクの締め紐長さ調整具およびマスク
US11006698B2 (en) Clip for retaining a knot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200007764A (ko) 체결 구조체
US10238524B2 (en) Tightening system for orthotics
US20130097828A1 (en) Configuration of a Belt Attachment Part
US20130253575A1 (en) Apparatus for relieving neck pressure
US20180008490A1 (en) Diaper fastener
KR20030064603A (ko) 가방용 숄더 스트랩의 늘어짐 방지장치
CN211354199U (zh) 背包的固定件及背包
WO2016167275A1 (ja) 布体留め具
JP2005160687A (ja) サイドリリースタイプのバックル、および、リュックサック
JP2022120302A (ja) 姿勢補正具
JP3207578U (ja) ベルト通し環
JP2022068071A (ja) ブラジャーの肩ひもずれ防止装置
JP2019076482A (ja) ヘアーバンド
KR20220049384A (ko) 걸이용 밴드 및 걸이용 밴드의 연결방법
JP2018122020A (ja) バッグの保持ベルト
GB2503866A (en) Ring fitting device
TWM423653U (en) Improved bicycle cable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