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515Y1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515Y1
KR200249515Y1 KR2020010019977U KR20010019977U KR200249515Y1 KR 200249515 Y1 KR200249515 Y1 KR 200249515Y1 KR 2020010019977 U KR2020010019977 U KR 2020010019977U KR 20010019977 U KR20010019977 U KR 20010019977U KR 200249515 Y1 KR200249515 Y1 KR 2002495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ask
hook
binding strap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이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원 filed Critical 이상원
Priority to KR2020010019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5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5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515Y1/ko

Links

Landscapes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 결속끈(31) 일단에 결합되어 타측 결속끈(31)이 결속되도록 하는 후크(21)와, 상기 후크(21)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몸체(20)의 후단에 형성되어 결속끈(31)이 삽입되도록 하는 제 1 통공(23)을 형성하며, 후크(21)와 제 1 통공(23)사이의 소정위치에 돌출된 G자형상의 걸림구(22)를 형성하며, 걸림구(22)에 삽입, 결합되는 제 2 통공(12)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제 1 통공(23)으로 삽입된 결속끈(31)이 제 3 통공(11)에 고정되도록 형성하고, 제 2 통공(12)의 타단에 형성되어 걸림구(22)를 탄지하도록된 탄성편(13)이 형성된 길이조절부(10)을 구성하며, 상기 제 1 통공(23)의 양단에 돌출된 지지대(24) 내측에 형성되어 길이조절부(10)를 단속하도록된 걸림돌기(25)를 형성하여, 작업자의 귀에 가해졌던 압박감을 해소함과, 결속끈의 길이을 조절하여 작업자의 안면에 견고히 밀착되도록 하고, 작업자의 호흡시 인체에 유해한 물질과 먼지로부터 방지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고안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자의 귀에 압박감을 해소함과, 아울러 먼지나 유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와 안면과의 간격을 작게 할 필요성이 있는 방진(防塵)마스크 등에 적합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영농작업 및 농약살포시와 산업 전반에 사용되어 유해물질의 방지 또는 먼지로 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마스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천으로 된 몸체(1) 양단에 천으로 된 끈(2) 또는 고무줄을 연결시켜 사용한다. 우선 몸체(1)의 표면(1-1) 양측에 대칭 되도록 탄성력이 있는 재질의 끈(2)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기 탄성력 있는 끈(2)은 고무, 또는 섬유재질을 사용한다.
또한, 몸체(1)의 표면(1-1)양측에 위치한 끈(2)을 작업자의 귀에 걸어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마다 얼굴의 크기가 다양하므로, 작업자가 사용하는 마스크가 안면(3)과 간격이 느슨해 지거나 또는 타이트하여 작업을 방해하거나 인체에 유해한 물질과 먼지로 부터 작업자의 보호를 효율적으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마스크의 표면(1-1) 양측에 위치한 끈(2)의 끝단을 매듭지어 마스크의 길이을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이 경우 미관상 좋지 않고, 땀으로 인하여 귀뒷부분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가 있고, 끈(2) 길이 조절이 잘못되었을 경우 다시 매듭을 풀어 사용하였으며, 이때 매듭이 쉽게 풀리지 않아 길이조절에 불편함과 작업자가 장시간 작업할 경우 작업자의 귀에 가해지는 압박감으로 인하여 작업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를 해소코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의 귀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제거함과 동시에 마스크 끈의 길이를 조절 가능토록하여, 마스크 몸체의 양단과 안면이 밀착되도록 한 마스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마스크 결속끈에 몸체 전단에 후크를 형성하여, 마스크 결속끈에 길이조절부를 형성하여, 마스크 결속끈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마스크와 안면과의 간격을 작게 하여 작업자의 귀에 가해졌던 압박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마스크의 사용상태도.
도2는 본 고안의 마스크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마스크의 정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마스크용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몸체 : 20 제 1 통공 : 23
제 3 통공 : 11 제 2 통공 : 12
마스크 : 30 결속끈 : 31
길이조절부 : 10 탄성편 :13
지지대 : 24 걸림돌기 : 25
후크 : 21 걸림구 : 2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첨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마스크의 사용상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마스크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마스크 정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마스크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본 고안의 마스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구의 분해사시도로, 재질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 결속끈(31)을 마스크(30)에 봉재 실로 박음 하기전에 몸체(20)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통공(23)에 삽입하고 제 3 통공(11)으로 결속끈(31)을 삽입한다. 상기 결속끈(31)의 재질은 가죽, 섬유재질, 또는 고무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통공(11)에 결속끈(31)을 삽입후 제 1 통공(23)으로 재삽입하여, 마스크(30)의 이면에 봉재 실로 박음 하여 결합한다.
상기 일측 결속끈(31) 일단에 결합되어 타측 결속끈(31)이 결속되도록 하는후크(21)를 형성하고, 상기 후크(21)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몸체(20)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끈(31)이 삽입되도록 하는 제 1 통공(23)을 형성하며, 후크(21)와 제 1 통공(23)사이의 소정위치에 돌출된''형상의 걸림구(22)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구(22)에 삽입결합되는 제 2 통공(12)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제 1 통공(23)으로 삽입된 결속끈(31)이 몸체의 후단에 형성되어있는 제 3 통공(11)에 고정되도록 형성하고, 제 2 통공(12)의 타단에 형성되어 걸림구(22)를 탄지하도록된 탄성편(13)이 형성된 길이조절부(10)을 구성하며, 상기 길이조절부가 일정 각도에 다다르면 탄성편에 의해 제 위치로 돌아오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 1 통공(23)의 양단에 돌출된 지지대(24) 내측에 형성되어 길이조절부(10)를 단속하도록된 걸림돌기(25)를 형성하여 결속끈이 더이상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않도록 고정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결속끈의 길이을 조절하여 외부로부터 먼지나 유해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
도 3는 본 고안의 마스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로, 타측 결속끈(31)이 결속되도록 하는 후크(21)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몸체(20)의 후단에 형성되어 결속끈(31)이 삽입되도록 하는 제 1 통공(23)을 형성하며, 후크(21)와 제 1 통공(23) 사이의 소정위치에 돌출된 '' 형상의 걸림구(22)를 축으로 길이조절부를 회전하여 결속끈(31)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 1 통공(23)의 양단에 돌출된 지지대(24)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5)에 의해 단속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 마스크를 얼굴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마스크(30)의 일측 결속끈(31)를 후크(21)에 걸어 고정시키고 타측의 결속끈(31)은 안면을 지나 머리뒤에 형성된 몸체(20)의 후단에 형성된 제 1 통공(23)에 삽입되고 제 3 통공(11)에 고정 결합하여 마스크(30)가 안면에 밀착 할 수 있도록하여 작업자의 귀에 가해졌던 압박감을 제거하며, 마스크(30)의 결속끈(31)을 조이거나 느슨하게하여 지지대(24)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5)에 길이조절부(10)가 안착되도록 형성하여,안면에 견고히 밀착되도록하고, 작업자의 호흡시 인체에 유해한 물질과 먼지로부터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작업자의 귀에 가해지는 압박감과 염증이 생기는 것을 해소함과, 결속끈의 길이을 조절하여 작업자의 안면에 견고히 밀착되도록 하고, 작업자의 호흡시 인체에 유해한 물질과 먼지로부터 방지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유해물질을 작업자가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하여 안면부에 착용하는 결속끈이 부착된 마스크에 있어서,
    일측 결속끈(31) 일단에 결합되며 타측 결속끈(31)이 결속되도록 하는 후크(21)와,
    상기 후크(21)를 일측 결속끈(31)에 결합시키기 위한 후크(21)의 결합수단과,
    상기 후크(21)에 결합된 결속끈(31)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결속끈(31)의 길이조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21)의 결합수단은,
    상기 후크(21)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몸체(20)의 후단에 형성되어 결속끈(31)이 삽입되도록 하는 제 1 통공(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끈(31)의 길이조절 수단은,
    상기 후크(21)와 제 1 통공(23)사이의 소정위치에 돌출된 '' 형상의 걸림구(22)와,
    상기 걸림구(22)에 삽입결합되는 제 2 통공(12)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제 1 통공(23)으로 삽입된 결속끈(31)이 삽입되는 제 3 통공(11)이 형성된 길이조절부(10)와,
    상기 제 1 통공(23)의 양단에 돌설된 지지대(24) 내측에 형성되어 길이조절부(10)를 단속하도록된 걸림돌기(25)와,
    상기 제 2 통공(12)의 타단에 형성되어 걸림구(22)를 탄지하도록된 탄성편(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2020010019977U 2001-07-03 2001-07-03 마스크 KR2002495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977U KR200249515Y1 (ko) 2001-07-03 2001-07-03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977U KR200249515Y1 (ko) 2001-07-03 2001-07-03 마스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245A Division KR100396183B1 (ko) 2001-09-17 2001-09-17 길이 조정이 가능한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515Y1 true KR200249515Y1 (ko) 2001-11-16

Family

ID=7306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977U KR200249515Y1 (ko) 2001-07-03 2001-07-03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5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659A (ko) * 2016-04-21 2018-11-07 코겐 가부시키가이샤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659A (ko) * 2016-04-21 2018-11-07 코겐 가부시키가이샤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
KR102037020B1 (ko) 2016-04-21 2019-10-25 코겐 가부시키가이샤 계지구를 구비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6585B1 (en) Wet smoke mask
US4960121A (en) Half-face mask assembly
KR200487185Y1 (ko) 안면 마스크
KR20010071170A (ko) 방독마스크 헤드피스 및 릴리스 메카니즘
CN111972741A (zh) 具备长度调节部的功能性口罩
JP5524699B2 (ja) 締め紐取付具およびマスク
JP2004016488A (ja) ヘッドバンド付きマスク
JPH0457766B2 (ko)
US20210361016A1 (en) Headgear Attachment for Protective Mask
JP2018527076A (ja) ストラップを接続するためのバックル及びそれを含む呼吸マスクハーネス
JP2022030049A (ja) マスク用補助具
KR200188193Y1 (ko) 끈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KR100396183B1 (ko) 길이 조정이 가능한 마스크
WO2008085014A1 (en) Mask
KR102259991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귀걸이부를 구비한 접이식 안면 마스크
KR200249515Y1 (ko) 마스크
KR200281852Y1 (ko) 길이 조정이 가능한 마스크
JPH11206896A (ja) 着装帯付顔面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82711B1 (ko) 귀편한 착탈식 마스크
US20220007774A1 (en) Helmet Faceguard Covering
KR200373951Y1 (ko) 밴드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마스크
JPH084033Y2 (ja) マスクの掛紐取り付け用係止具
JP2005152229A (ja) マスク用クリップ
KR20220010938A (ko) 탄성이어밴드 탈부착형 일회용 마스크
JP3076462U (ja) 防塵マスク取付け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