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252A -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 Google Patents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252A
KR20180120252A KR1020187029147A KR20187029147A KR20180120252A KR 20180120252 A KR20180120252 A KR 20180120252A KR 1020187029147 A KR1020187029147 A KR 1020187029147A KR 20187029147 A KR20187029147 A KR 20187029147A KR 20180120252 A KR20180120252 A KR 20180120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ser
simulation machine
machine according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온 보데
Original Assignee
무그 비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1604115.4A external-priority patent/GB2548341A/en
Priority claimed from GB1604155.0A external-priority patent/GB2548149A/en
Priority claimed from GB1604240.0A external-priority patent/GB2548162A/en
Application filed by 무그 비브 filed Critical 무그 비브
Publication of KR20180120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dentistry or oral 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과 연결되고 외측을 향하는 지지 표면을 가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표면은 복수 개의 위치들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Description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본 발명은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에 관한 것이다.
연습을 위한 치과학 기술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기계들 예를 들어, 출원인에 의해 제조된 Simodont 기계가 알려져 있다. 상기 기계들은 가상현실 기술을 실현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치과학 과정을 실습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시뮬레이션 기계들은 일반적으로 3D 글래스(glasses)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볼 수 있는 3D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장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장치 스크린 아래에 적어도 한 개의 핸드피스(예를 들어, 물리적인 시뮬레이션되는 치공구)가 배열되고, 전기 모터 및 일련의 링크기구들을 포함한 기구에 의해 상기 핸드피스가 상기 기계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치아, 치아 세트 또는 턱의 가상 3D 영상에 대해 치과학 작업(예를 들어, 치아에 드릴링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핸드피스가 사용자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핸드피스의 상대 위치 및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이 측정된다. 상기 핸드피스는 치과의사의 드릴을 시뮬레이션하고 학생이 드릴링을 수행함에 따라 학생에게 촉각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수련 치과의사들이 가상 치아가 아니라 실제 치아에 대해 동일한 기술을 수행해야 하기 전에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는 수련 치과의사를 위한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한다. 수련 환경이 더욱 실제적일수록 학생은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에 대해 실습하는 것으로부터 실제 환자에 대해 치의학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더욱 매끄럽게 전환된다.
전형적으로, 3D 모델이 인공적으로 구성된다. 서로 다른 수련 요건 및 상황을 위해 서로 다른 모델들이 설계된다 - 예를 들어, 특정 모델은 (시뮬레이션된 수련 시나리오에서 학생이 고정해야 하는) 빠진 치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모델들은, 다른 특징들 또는 치과학 수련 프로그램에 따르는 특징들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가상/실제 치과학 작업에서 촉감(tactility)을 연습하기 위한 지지 플랫폼의 예가 중국 특허 공개 제CN 10171932A호에서 설명된다. 상기 중국 특허 공개 제CN 10171932A호에서 설명되는 지지 플랫폼은 사용자의 집게손가락이 삽입되는 링 부재를 가진 하부 치아 조립체를 포함한다. 근위 마디뼈(proximal phalanx)를 가진 사용자 집게손가락의 부분 (집게손가락이 배열될 수 있는 링 부분)이 링 부재내에 고정되고, 링 부재의 내부표면이 사용자 집게손가락의 링 부분을 지지한다. 링 부분은 피스톤 및 위치설정 핀에 의해 하부 치아 조립체에 장착되고 따라서 링 부재는 치아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평면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한다. 링 부재의 내부 표면은 치아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평면 위에 위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과 연결되는 지지 표면을 가진 지지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가 제공되고, 상기 지지 표면은 복수 개의 위치들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지지 표면은 상측 지지 표면일 수 있다. 상기 지지 표면은 지지부의 상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표면은 지지부의 외측을 향하는 표면일 수 있다. 상기 지지 표면은 지지부의 상측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 손가락과 연결되는 지지 표면을 가진 지지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가 제공되고, 상기 지지 표면은 250mm2 미만, 선호적으로 200mm2 미만, 선호적으로 150mm2 미만, 선호적으로 100mm2 미만의 지지 표면적을 가진다.
본 발명이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따르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의 사시도.
도 2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의 사용자가 투시 스크린을 통해 보는 대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지지부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도 1의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선택적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도 6은 지지부가 선택적 위치에 있을 때 도 3과 유사한 사시도.
도 7은 지지부가 선택적 위치에 있을 때 도 3과 유사한 사시도.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가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다.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치과학 학생들이 치과학 기술을 실습하기 위해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100)가 이용된다. 학생은 투시 스크린(101)을 향하여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의자에 앉는다. 일반적으로 핸드 레스트(hand rest)(102)는 학생이 치과의사용 드릴과 같은 치과학용 핸드피스(108)를 작동시키는 영역을 형성한다. 전원 버튼(105)이 기계의 온/오프 기능을 제공하고, 높이 조절 스위치(106)에 의해 사용자는 핸드 레스트(102) 및 투시 스크린(101)을 포함한 기계(100)의 위치에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투시 스크린(101)은 가상 현실의 3D 동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의 이동은 학생에 의한 (일반적으로 핸드 레스트(101)의 영역내에 위치한) 핸드 피스(108)의 운동에 해당한다. 학생은 수동적인 3D 글래스(passive 3D glasses)를 착용하며 투시 스크린(101)의 영상을 본다. 마우스(104)에 의해 기계의 사용자는 투시 스크린(101)의 영상의 방향 및 상대 위치를 삼차원으로 조정할 수 있다. 풋 페달(foot pedal)(107)은 시뮬레이션된 드릴( 또는 다른 파워 치공구)의 작동을 용이하게 제어한다.
기계(100)는 또한, 실습 프로그램, 개인별 레슨, 평점 및 표시 데이터, 멘토 설명과 같은 학생의 실습과 관련된 정보에 접근하고 이전의 실습 자료를 검토하기 위해 학생이 이용하는 (접촉 감지형 스크린일 수 있는) 실습 스크린(103)을 포함한다. 시뮬레이션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투시 스크린(101)에 표시되는 영상들이 실습 스크린(103)으로 출력되어 관찰자는 학생의 기계사용을 검토할 수 있다.
치과용 거울과 같이 환자에 대해 치과학 작업을 수행시 이용되는 특정 치공구가 이용될 때, 치과의사는 적절한 위치에서 상기 거울을 고정하고 거울의 단부는 환자 구강의 일부분에 놓이며, 예를 들어, 거울 단부는 환자 볼의 내측부에 놓이고 따라서 볼의 내측부에 의해 균형을 잡게 된다(steadied).
그러나 다른 특정 공구들, 예를 들어, 치과의사용 드릴은 치과의사에 의해 고정되고 조종되어야 한다. 드릴을 이용할 때, 치과의사는 환자의 구강내에서 관련 치아위에서 버(burr)가 작동하는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 치과의사의 손을 지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특히, 치과의사는 치과의사용 드릴을 고정하는 팔의 손가락을 작업이 진행되는 치아와 근접한 위치의 치아 또는 잇몸 또는 턱의 일부분위에 배열할 수 있다.
알 수 있듯이, 인접한 치아 또는 잇몸 또는 턱의 일부분을 지지대(prop)로 또는 지지를 위해 이용하면 작은 국소 영역에 지지기능이 제공될 뿐이다.
종래기술의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는 상대적으로 평평하고 상대적으로 큰 표면을 제공해 왔으며,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의 작업자는 상기 표면에 작업자의 손을 배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대적으로 평평하고 상대적으로 큰 표면은 환자 구강의 내측부를 표시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의 사용자의 새끼손가락 또는 넷째 손가락 또는 가운데 손가락의 단부 또는 팁(tip) 또는 단부 또는 팁의 변부와 같이 손가락의 일부분과 연결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지지표면을 제공하여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위에 더욱 현실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사용자 손가락의 단부 또는 팁을 지지하면, 다음에 사용자의 손은 지지된다. 상기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의 상대적으로 작고 구분된 지지부는 수련과정 동안 더욱 현실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지지표면은 치과의사가 환자에 대해 작업하는 동안 지지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환자 치아의 표면과 유사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표면은 치과의사가 환자에 대해 작업하는 동안 지지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잇몸의 일부분 또는 환자 턱의 일부분과 유사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표면은 250mm2 미만, 또는 200mm2 미만, 또는 150mm2 미만, 또는 100mm2 미만의 지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고할 때 지지부(10)와 함께 핸드 레스트(102)가 도시된다. 상기 핸드 레스트(102)는 일반적으로 U 자형상을 가지며 원호형상 섹션(32)에 의해 제2 암(31)과 연결된 제1 암(30)을 가진다. 상기 지지부(10)는 영역(33)에서 상기 제1 암(30)과 연결된다. 제1 암(30)은 요홈(34)을 포함한다.
또 다른 추가 지지부(20)가 영역(35)에서 제2 암(31)과 연결된다. 제2 암(31)은 요홈(36)을 포함한다.
지지부(10)는 일반적으로 기다란 몸체(11)를 가지고 상기 몸체는 몸체의 단부에서 상부 지지표면(12)을 가진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표면(12)이 상기 지지부(10)의 상부면에 제공된다. 지지표면(12)은 지지부(10)의 상측 단부에서 외측을 향하는 지지표면을 제공한다. 추가 지지부(20)는 일반적으로 기다란 대응 몸체(21)를 가지고 상기 몸체는 몸체의 단부에서 또 다른 상부 지지표면(22)을 가진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표면(22)이 상기 추가 지지부(20)의 상부면에 제공된다. 지지표면(22)은 지지부(20)의 상측 단부에서 외측을 향하는 지지표면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부(10)는 영역(33)에서 피봇(13)에 의해 상기 핸드 레스트(102)에 장착된다.
상기 또 다른 지지부(20)는 영역(35)에서 피봇(23)에 의해 상기 핸드 레스트(102)에 피봇회전하도록 장착된다.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각각의 전개 위치 및 (지지부(10)와 관련하여 도시되지 않은) 저장 위치에서 디텐트(detent)(14)는 상기 지지부(10) 및 따라서 지지표면(12)을 고정하도록 작동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지지부(10)의 위치에 해당하는 복수의 전개 위치들 및 도 4에 도시된 저장 위치에서 디텐트(24)는 추가 지지부(20) 및 따라서 또 다른 지지표면(22)을 고정하도록 작동한다.
상기 디텐트(24)는 요홈(37, 38, 39)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일반적으로 기다란 몸체의 제2 단부(25)에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리브(rib) 또는 리브들을 포함하여,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지지부(10)의 전개 위치들에 해당하는 세 개의 전개 위치들 중 하나의 전개 위치에 상기 추가 지지부(2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디텐트는 또한 도 4의 저장 위치에서 상기 추가 지지부(20)를 고정한다.
피봇(23)은 축(A)을 가진 피봇 핀(23A)을 포함하고, 상기 축 주위에서 상기 추가 지지부(2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기다란 몸체(21)는 편향 장치(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제1 방향(B)으로 편향된다. 편향장치를 이용하면, 상기 디텐트가 상기 추가 지지부(20)를 저장 위치 또는 전개위치에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보장된다. 스프링에 저항하는 방향 즉 화살표(C) 방향으로 상기 추가 지지부(20)를 이동시켜서 디텐트를 분리시키며 상기 추가 지지부를 교대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여 상기 디텐트가 분리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추가 지지부(20)는 U 자형상부의 내측부에 장착된다. 도 3에서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것처럼, 상기 피봇 핀(23A)은 U 자형상부의 외측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화살표(C) 방향으로 피봇 핀(23A)을 가압하여 디텐트를 분리하고 추가 지지부(20)는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는 또한 축(이 경우 피봇 핀(23A)과 동일한 축(A))을 가진 피봇 핀(13A)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세 개의 전개 위치들 및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저장위치사이에서 지지부(10)의 운동은 해당 위치들사이에서 상기 추가 지지부(20)의 운동과 유사하다.
다시 도 2를 참고할 때,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의 사용자가 투시 스크린(101)을 통해 보는 것이 도시된다. 사용자는 가상으로 시뮬레이션된 치아(51,52,53,54)를 가진 가상으로 시뮬레이션된 잇몸(50)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가상으로 시뮬레이션된 드릴 버(56)를 가진 가상으로 시뮬레이션된 드릴(55)을 볼 수 있다. 알 수 있듯이, 도 2에 도시되고 가상으로 시뮬레이션된 특징부들은 실제 치과의사에 의해 이용되는 동등한 드릴 및 버와 실제 환자에 관한 동등한 특징부를 나타낸다.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는 시뮬레이션된 물리적인 치과의사용 공구의 형태를 가진 핸드피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된 물리적인 드릴(108)을 포함하고 상기 드릴은 상기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의 사용자에 의해 고정될 때 사용자가 실제 드릴과 같은 느낌을 가지게 된다.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의 사용자는 펜(pen)과 같이 핸드피스를 쥐거나 고정할 수 있고, 상기 핸드피스(108)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및 집게 손가락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핸드피스(108)는 사용자의 가운데 손가락의 기다란 변부상에 배열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된 치과의사용 공구는 학생이 드릴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학생 등에게 촉각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표면(12)은 시뮬레이션된 물리적인 환자 부분이다. 지지표면은 상대적으로 작다. 특히 학생이 손가락의 일부분 예를 들어, 새끼손가락 또는 넷째 손가락 또는 가운데 손가락과 같은 손가락의 단부 또는 팁 또는 단부 또는 팁의 변부를 상기 지지표면(12)에 배열할 수 있도록 지지표면의 크기가 정해지며 이것은 치과의사가 환자에 대해 작업을 수행할 때 치과의사가 접근할 수 있는 지지부 형태를 가장 양호하게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표면(12)은 치과의사가 지지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환자 치아의 표면과 유사한 크기를 가진다. 환자 구강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제한된 공간을 고려할 때 환자의 전체 잇몸이 상기 지지표면(12)보다 상당히 크면 치과의사는 환자의 전체 잇몸 라인(gum line)으로 떨어져 치과의사의 손을 지지할 수 없다. 오히려 실제에서 치과의사의 손을 지지하기 위해 치과의사는 단지 잇몸 라인의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들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로, 치과의사는 상기 잇몸 라인의 작은 해당 부분에 새끼손가락의 단부 또는 팁 또는 단부 또는 팁의 변부를 놓거나 넷째 손가락의 단부 또는 팁 또는 단부 또는 팁의 변부를 놓거나 가운데 손가락의 단부 또는 팁 또는 단부 또는 팁의 변부를 놓을 수 있을 뿐이고, 따라서 상기 지지표면(12)은, 지지를 위해 치과의사가 손가락 예를 들어, 새끼손가락 또는 넷째 손가락 또는 가운데 손가락의 일부분 특히 상측 부분 예를 들어, 단부 또는 팁 또는 단부 또는 팁의 변부를 놓게 되는 잇몸 라인 부분의 양호한 물리적 표현이다.
환자의 하부 턱의 치아 열은 평면을 형성한다. 치과의사가 상기 치아열내에서 치아들 중 한 개에 구멍을 드릴링할 때, 치과의사는 (상기 설명과 같이) 치과의사의 새끼손가락 또는 넷째 손가락 또는 가운데 손가락의 일부분을 환자의 치아열의 치아들 중 또 다른 치아에 놓을 수 있다. 드릴링하기 전에, 드릴 팁은 환자 치아의 열에 의해 형성된 상기 평면에서 시작하거나 상기 평면보다 약간 위에서 시작한다. 드릴링하는 동안, 드릴 팁은 환자 치아의 열에 의해 형성된 상기 평면 아래에서 드릴링한다. 드릴링하는 동안, 드릴은 목표 크기 전형적으로 0.5 내지 1.0센티미터로 환자 치아를 드릴링하고, 즉 드릴은 환자 치아의 상기 평면 아래로 약 0.5 내지 1.0센티미터까지 연장될 수 있다.
유사하게,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는 가상으로 시뮬레이션된 치아열 중 하나의 치아를 시뮬레이션하는 물리적인 지지표면(12)을 제공한다. 상기 물리적인 시뮬레이션된 치아는 가상으로 시뮬레이션된 치아 열의 가상 평면을 형성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새끼손가락 또는 넷째 손가락의 일부분을 상기 지지표면(12)위에 놓는다. 시뮬레이션된 드릴링을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는 물리적인 시뮬레이션 드릴(핸드피스(108))을 고정하여 사용자가 투시 스크린(101)에서 볼 수 있는 가상의 시뮬레이션 드릴(55)의 가상 시뮬레이션 버(56)는 물리적인 가상 치아의 지지표면에 의해 형성된 가상 평면에 위치하거나 상기 가상 평면보다 약간 위에 위치한다. 드릴링하는 동안,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에서 시뮬레이션되어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에서 더욱 현실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과정에 따라 시뮬레이션 드릴(55)의 시뮬레이션 버(56)는 물리적인 가상 치아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 평면 아래로 약 0.5 내지 1.0센티미터 연장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표면(12)은 환자의 일부분에 관한 물리적 시뮬레이션을 나타내는 반면에, 지지표면이 환자의 일부분을 나타낼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특징부위에 새끼손가락 또는 넷째 손가락 또는 가운데 손가락의 단부 또는 팁 또는 단부 또는 팁의 변부를 배열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특징부에 대해 손을 지지하는 것을 배우는 것과 관련된 기술이 존재한다. 상기 기술은 지지표면(12)이 환자의 일부분을 나타낼 필요없이 지지표면(12)을 이용하여 습득될 수 있다. 손가락의 단부 또는 팁을 작은 특징부(small feature)로부터 떨어져 배열하여 손을 지지하는 기술이 습득되면, 환자의 일부분에 관한 물리적 시뮬레이션을 나타내기 위해 지지표면을 배열함으로써 손가락의 단부 또는 팁을 환자 구강내에 위치하는 작은 특징부로부터 떨어져 배열하여 손을 지지하는 또 다른 기술이 습득될 수 있다.
지지표면(12)은 환자의 일부분에 관한 물리적 시뮬레이션을 나타낼 수 있지만 상기 지지표면(12)은 학생이 투시 스크린(101)을 통해 보는 것처럼 표현되거나 표현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지지표면(12)은 학생이 투시 스크린(101)을 통해 보는 것처럼 표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고 가상으로 시뮬레이션된 치아 및 잇몸의 위치를 핸드피스(102)에 대해 적절하게 배열하는 실시예에 의해, 상기 지지표면(12)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배열될 때 지지표면은 가상 치아(54)의 물리적 시뮬레이션을 표현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가상 시뮬레이션 잇몸 및 치아가 도 2에 도시된다. 학생은 학생의 손에 물리적 시뮬레이션 드릴(핸드피스(108))를 고정한다. 학생은 상기 물리적인 시뮬레이션 드릴을 펜과 같이 고정하고, 물리적 시뮬레이션 드릴이 학생의 우측 손의 엄지손가락 및 집게 손가락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핸드피스는 학생의 우측 손의 가운데 손가락의 기다란 변부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가상 시뮬레이션 드릴(55) 및 버(56)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표현된다. 상기 환경에서 환자에 대해 작업을 수행하는 치과의사는 우측 손의 새끼손가락 또는 넷째 손가락 또는 가운데 손가락의 단부 또는 팁을 가상 시뮬레이션 치아(54)와 동등한 실제 치아위에 배열하여 가상 시뮬레이션 치아(53)와 동등한 실제 치아속에 드릴링하려고 한다. 상기 환경에서, 가상 시뮬레이션 치아(54)를 표현하기 위해 지지부(10) 및 지지표면(12)은 도 7에서와 같이 배열되고 따라서,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의 사용자는 사용자의 새끼 손가락 또는 가운데 손가락의 단부 또는 팁을 지지표면(12)위에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가상으로 시뮬레이션된 버(56) 및 가상으로 시뮬레이션된 치아(53)이 작업되는 동안 마치 투시되는 다른 부품들 특히 가상 시뮬레이션 드릴(55)에 대해 정확하게 배열된 것처럼 느껴질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의 사용자는 가상 시뮬레이션 치아(53)에 대해 작업하고자 하지만 사용자의 좌측 손에 물리적인 시뮬레이션 드릴(108)을 고정하고자 한다. 물리적인 시뮬레이션 드릴이 사용자의 좌측 손의 엄지손가락 및 집게 손가락사이에 고정될 때 사용자는 물리적인 시뮬레이션 드릴을 펜과 같이 고정할 수 있다. 핸드피스는 사용자의 가운데 손가락의 기다란 변부위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환경에서, 치과의사는 좌측 손의 새끼손가락 또는 가운데 손가락의 단부 또는 팁을 가상 시뮬레이션 치아(52)와 동등한 실제 치아위에 지지하고자 한다. 한 가지 선택사항으로서 가상의 시뮬레이션 특징부를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재배열하여 도 7에 도시된 지지표면(12)의 위치가 가상 시뮬레이션 치아(52)와 일치한다. 선택적으로, 지지표면(12)이 가상 시뮬레이션 치아(12)의 위치와 일치하고 따라서 가상 시뮬레이션 치아(12)의 물리적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도 6의 위치로 지지부(10) 및 따라서 지지표면(12)이 이동한다.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의 사용자가 가상 시뮬레이션 치아(52)에 대해 작업하고 사용자의 우측 손에 상기 드릴을 고정하고자 한다면 지지표면은 동일한 위치(즉 도 6에서와 같이)에 유지되고 모델은 이동하여 지지표면은 가상 시뮬레이션 치아(53)와 일치하거나 선택적으로 모델은 동일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지지부(10) 및 지지표면(12)은 도 4에 도시되고 지지표면(12)이 상기 가상 시뮬레이션 치아(53)와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세 개의 치아들에 관한 세 개의 물리적 시뮬레이션을 나타내는 지지표면(12)의 세 개의 전개위치들이 제공되면 네 개의 가상 시뮬레이션 치아들위에 작업할 때 손가락의 단부 또는 팁 및 손이 지지될 수 있다. 이것은, 서로 다른 가상 시뮬레이션 치아가 작업되어야 할 때마다 모델을 이동시켜야 하는 작업을 제거한다.
상기 추가 지지부(20) 및 추가 지지표면(12)에 의해 환자 턱의 우측부가 유사하게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알 수 있듯이, 지지부(10)가 도 4에서와 같이 향할 때, 학생의 손가락은 완전히 상부 원형 표면위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의 새끼손가락 또는 넷째 손가락 또는 가운데 손가락의 단부 또는 팁이 완전히 상부 원형 표면위에 배열될 수 있다. 지지부(10)가 도 6에서와 같이 향하면, 학생의 손가락은 부분적으로 원형 단부 표면의 일부분에 배열되고 부분적으로 상기 원형 단부 표면과 바로 인접한 원통형 표면의 일부분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의 새끼손가락 또는 가운데 손가락의 단부 또는 팁의 변부는 부분적으로 원형 단부 표면의 일부분에 배열되고 부분적으로 상기 원형 단부 표면과 바로 인접한 원통형 표면의 일부분에 배열될 수 있다. 지지부(10)가 도 7의 위치에 배열되면, 학생의 손가락은 부분적으로 지지부의 원형 단부 표면의 일부분에 배열되고 부분적으로 상기 원형 단부 표면과 바로 인접한 지지부(10)의 원통형 표면의 마주보는 부분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의 새끼손가락 또는 가운데 손가락의 단부 또는 팁의 변부는 부분적으로 지지부의 원형 단부 표면의 일부분에 배열되고 부분적으로 상기 원형 단부 표면과 바로 인접한 지지부(10)의 원통형 표면의 마주보는 부분에 배열될 수 있다.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의 핸드피스가 펜과 같이 쥐거나 고정되며 상기 핸드피스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및 집게 손가락사이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새끼손가락의 단부 또는 팁이 지지표면(12) 또는 지지표면(22)위에 지지될 때, 상기 핸드피스는 횡 방향, 위에서 아래로 및 앞에서 뒤를 향해 전체 운동범위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지지부는 방향을 가지며 모든 환경에서 학생의 손가락 예를 들어, 학생의 손가락의 단부 또는 팁은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위에 배열되어 더욱 현실적인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가 제공된다.
알 수 있듯이, 지지부가 도 4 또는 도 6 또는 도 7에서와 같이 방향을 가지면 지지부 표면은 몸체의 단부를 향해 제공된다.
100.......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101.......투시 스크린,
102.......핸드 레스트,
105.......전원 버튼,
106.......높이 조절 스위치,
108.......핸드 피스,
107........풋 페달.

Claims (31)

  1.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과 연결되고 외측을 향하는 지지 표면을 가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표면은 복수 개의 위치들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위치들은 제1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과 연결되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과 연결되는 제2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위치들은 제3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과 연결되는 제3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위치들은 저장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위치들사이에서 지지표면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부는 피봇에 의해 피봇운동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반적으로 기다란 몸체를 포함하고 지지 표면이 몸체의 단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지지 표면은 몸체의 제1 단부에 제공되고, 피봇은 상기 몸체의 제2 단부와 근접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각각의 위치에 지지표면을 고정하기 위해 디텐트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9.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피봇은 피봇축을 포함하고, 피봇 축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지지표면이 이동하여 디텐트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10.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지지 몸체는 디텐트와 연결되기 위해 제1 방향과 반대이고 피봇 축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가 레스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12. 제5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지지부가 피봇에 의해 레스트에 피봇회전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13. 제12항에 있어서, 지지부가 레스트의 영역의 제1 측부에 배열되고, 피봇의 피봇 핀이 레스트의 영역의 제2 측부에서 접근하여 디텐트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14. 제4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지지표면이 저장위치에 있을 때 지지부는 레스트의 요홈속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15. 제11항에 있어서, 레스트는 일반적으로 U 자형상을 가지며 제1 암 및 제2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16. 제15항에 있어서, 지지부가 제1 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17. 제1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과 연결되는 제2 지지 표면을 가진 제2 지지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표면은 복수 개의 제2 위치들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제2 지지부는 제2 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18. 제17항에 있어서, 지지부 및/또는 제2 지지부는 U 자형상의 내측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19.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 손가락의 팁과 연결되는 지지 표면을 가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표면은 250mm2 미만, 선호적으로 200mm2 미만, 선호적으로 150mm2 미만, 선호적으로 100mm2 미만의 지지 표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20. 제19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단지 한 개의 지지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21. 제20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일반적으로 기다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표면은 몸체의 단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22. 제21항에 있어서, 지지표면은 외측을 향하는 지지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23. 제22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레스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24. 제23항에 있어서, 레스트는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을 가지며 제1 암 및 제2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25. 제24항에 있어서, 지지부가 제1 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26. 제25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U 자형상의 내측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상 시뮬레이션 모델을 투시하기 위한 투시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28. 제27항에 있어서, 가상 시뮬레이션 모델은 지지표면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29.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과 연결되는 지지 표면을 가진 지지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로서,
    상기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는 작업해야 하는 시뮬레이션된 치아의 영상을 발생시키고 상기 시뮬레이션된 치아는 시뮬레이션된 상부 표면을 가지며, 상기 지지 표면은 시뮬레이션된 치아 열의 상부 표면들의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시뮬레이션된 상부 표면은 영상속에서 시뮬레이션된 치아 열의 상부 표면들의 평면에 배열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30.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과 연결되는 지지 표면 및 치과의사의 공구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핸드피스를 가진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상에서 치과학적 작업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및 제1 손가락사이에 핸드피스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지지표면위에서 제2 손가락의 팁위에 배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가락은 사용자의 집게 손가락이고 제2 손가락은 사용자의 새끼 손가락, 사용자의 넷째 손가락 및 사용자의 가운데 손가락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7029147A 2016-03-10 2017-03-09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KR201801202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604115.4A GB2548341A (en) 2016-03-10 2016-03-10 Movement tracking and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GB1604155.0 2016-03-10
GB1604155.0A GB2548149A (en) 2016-03-10 2016-03-10 Model generation for dental simulation
GB1604115.4 2016-03-10
GB1604240.0A GB2548162A (en) 2016-03-11 2016-03-11 Dental simulation machine
GB1604240.0 2016-03-11
PCT/EP2017/054959 WO2017153259A1 (en) 2016-03-10 2017-03-02 Model generation for dental simulation
EPPCT/EP2017/054959 2017-03-02
PCT/EP2017/055339 WO2017153416A1 (en) 2016-03-10 2017-03-07 Movement tracking and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EPPCT/EP2017/055339 2017-03-07
PCT/EP2017/055615 WO2017153551A1 (en) 2016-03-10 2017-03-09 Dental simulation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252A true KR20180120252A (ko) 2018-11-05

Family

ID=59790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147A KR20180120252A (ko) 2016-03-10 2017-03-09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76846B2 (ko)
EP (1) EP3427246A1 (ko)
JP (1) JP2019509117A (ko)
KR (1) KR20180120252A (ko)
CN (1) CN108780613A (ko)
AU (1) AU2017231703A1 (ko)
CA (1) CA3016863A1 (ko)
WO (1) WO20171535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474A (ko) 2020-02-04 2021-08-12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기반의 치아 감별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0015U1 (ru) * 2020-05-13 2020-10-0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я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И.П. Павл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тренажер для освоения навыков работы со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м зеркалом
CN116057603A (zh) 2020-07-16 2023-05-02 帕斯科超声波有限公司 牙科训练设备、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071B2 (ko) * 1973-08-06 1977-03-14
US6088020A (en) * 1998-08-12 2000-07-11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 America, Inc. (Ita) Haptic device
FR2808366B1 (fr) * 2000-04-26 2003-12-19 Univ Paris Vii Denis Diderot Procede et systeme d'apprentissage en realite virtuelle, et application en odontologie
US7249952B2 (en) * 2000-10-03 2007-07-31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ethods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dental procedures and for training dental students
DE10217630A1 (de) * 2002-04-19 2003-11-13 Robert Rien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lernen und Trainieren zahnärztlicher Behandlungsmethoden
US7544061B2 (en) * 2005-05-06 2009-06-09 Poitras Bernard M Apparatus for teaching and practicing dental procedures
US8662900B2 (en) * 2009-06-04 2014-03-04 Zimmer Dental Inc. Dental implant surgical training simulation system
CN101719322B (zh) * 2009-12-03 2011-05-04 北京航空航天大学 虚拟现实牙科手术触感训练支撑平台
US8716973B1 (en) 2011-02-28 2014-05-06 Moog Inc. Haptic user interface
JP5970175B2 (ja) * 2011-11-15 2016-08-17 長田電機工業株式会社 歯科治療模擬実習台
US10108266B2 (en) * 2012-09-27 2018-10-2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Haptic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system for simulation of surgical procedures
CN203217859U (zh) * 2013-04-12 2013-09-25 十堰市太和医院 口腔根管治疗电子仿真实验教学模型
US9218751B2 (en) * 2013-05-31 2015-12-22 Dentalez, Inc. Clinical simulation device
US9723300B2 (en) 2014-03-17 2017-08-01 Spatial Intelligence Llc Stereoscopic display
EP2988289A1 (en) * 2014-08-22 2016-02-24 Moog B.V. Medical procedure simulator
US10504386B2 (en) * 2015-01-27 2019-12-10 Align Technology, Inc. Training method and system for oral-cavity-imaging-and-modeling equipment
US10540910B2 (en) * 2016-06-06 2020-01-21 New York University Haptic-based dental simulationrpb
US10888399B2 (en) * 2016-12-16 2021-01-12 Align Technology, Inc. Augmented reality enhancements for dental practition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474A (ko) 2020-02-04 2021-08-12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기반의 치아 감별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3551A1 (en) 2017-09-14
JP2019509117A (ja) 2019-04-04
AU2017231703A1 (en) 2018-10-04
CN108780613A (zh) 2018-11-09
US11176846B2 (en) 2021-11-16
US20190096285A1 (en) 2019-03-28
EP3427246A1 (en) 2019-01-16
CA3016863A1 (en) 201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Survey on multisensory feedback virtual reality dental training systems
CN108701429B (zh) 训练机器人手术系统的用户的方法、系统、以及存储媒体
US8662900B2 (en) Dental implant surgical training simulation system
Tse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haptic dental training system-haptel
US10540910B2 (en) Haptic-based dental simulationrpb
JP7174966B2 (ja) 歯科手術技能訓練のための視覚触覚融合拡張現実シミュレータ
KR20180120252A (ko) 치과용 시뮬레이션 기계
WO2013186413A1 (es) Dispositivo avanzado para la formacion en soldadura basado en simulacion con realidad aumentada y actualizable en remoto.
KR20180121605A (ko) 운동 추적 및 시뮬레이션 장치와 방법
ES2845936T5 (es) Generación de modelos para simulación dental
WO2008023250A1 (en) Motion coaching device, method and system
Bloomfield et al. Collision awareness using vibrotactile arrays
Kreutzberg New virtual reality for architectural investigations
CN106575486B (zh) 医学手术模拟器
US20210312834A1 (en) Vibrotactil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ining and Practicing Dental Procedures
JP2019020670A (ja) 熟練動作教示システム
US11657730B2 (en) Simulator for manual tasks
KR102127664B1 (ko) 가상 현실 기반의 발치 시술을 위한 협조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319355A1 (en) Apparatuses for simulating dental procedures and methods
GB2548162A (en) Dental simulation machine
US11403963B2 (en) Automated dental articulator and method for training and practicing dental procedures
DK180682B1 (en) Apparatus for simulating medical procedures and methods
Rausch et al. Comparing Auditory and Haptic Feedback for a Virtual Drilling Task.
GB2554756A (en) Simulator for manual tasks
Govea-Valladares et al. Haptic-Assisted Virtual Osteotomy As a Train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