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058A - 사료급이기 - Google Patents

사료급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058A
KR20180120058A KR1020170121677A KR20170121677A KR20180120058A KR 20180120058 A KR20180120058 A KR 20180120058A KR 1020170121677 A KR1020170121677 A KR 1020170121677A KR 20170121677 A KR20170121677 A KR 20170121677A KR 20180120058 A KR20180120058 A KR 20180120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feeding
feeder
hopper
targe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206B1 (ko
Inventor
조경호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대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대성이엔지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대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17012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20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0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07Transportable fodder pails or troughs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가축에게 급이할 다량의 사료를 일시 저장하는 호퍼부(3); 상기 호퍼부(3)를 적재판(11)에 싣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주행부(5); 및 상기 호퍼부(3)의 출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적재판(11)에 배치되어, 상기 주행부(5)에 의해 이동한 위치에서, 상기 호퍼부(3)로부터 공급되는 사료를 목표 지점(M)에 투입하는 급이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급이 시 컨베이어벨트를 목표 지점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료급이기와 목표 지점의 사이를 충분히 이격시켜도 목표 지점과 컨베이어벨트 사이에 간격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어, 사료급이기의 이동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사료 급이 수율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사료급이기{Meal Feeding Machine}
본 발명은 사료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축용으로 사용되는 TMR 등 각종 사료를 복수의 열로 열을 지어 배치된 여물통 등과 같은 목표 지점에 보다 편리하고, 청결하며, 손실 없이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사료급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 사료를 급이할 때 작업자의 일손을 덜고 작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료급이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사육시설이 대형화됨에 따라 사료 급이 작업의 자동화는 피할 수 없는 추세에 놓이게 되었다.
그 하나의 예로 사료 급이기(공개특허 제10-2011-0041003호)를 들 수 있는데, 이 장치는 사료 급이기 자체가 직접 이동하면서 사료를 급이함에 있어 일측 방향으로만 사료를 급이할 수 있기 때문에, 급이하는 방향을 전환하여야 하므로, 사료 급이 시간이 길어지고, 따라서 작업 편리성이나 효율성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사료 급이기(등록특허 제10-1185625호)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런데, 이 사료 급이기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호퍼(103)로 투입된 사료를 메인 컨베이어벨트(110)를 통해 급이부(107)로 공급하고, 급이부(107) 공급된 사료를 급이 컨베이어벨트(112)를 통해 도면 상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택하여 이송하여 목표 지점에 급이한다. 이때, 급이 컨베이어벨트(112)가 설치된 지지프레임(113)이 호퍼(103) 저면 후단에 부착되기 때문에, 지지프레임(113) 더 나아가, 사료 급이기(101) 전체를 목표지점에 밀착시키지 못할 경우, 사료 급이기(101)는 급이 컨베이어벨트(112)와 목표 지점 사이의 간격을 벌리게 되고, 이에 따라 급이 컨베이어벨트(15)에서 토출되는 사료가 목표 지점에 미치지 못하고 지면으로 망실되게 하므로, 급이 수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물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료 급이기(101) 즉, 급이 컨베이어벨트(112)를 목표 지점에 밀착시키면 되지만, 사료 급이기(101)를 목표지점에 밀착되도록 배치시키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려워 작업 효율성을 저하시키며, 급이 컨베이어벨트(112)와 목표 지점 사이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 급이 컨베이어벨트(112)를 측방으로 충분히 돌출시키는 것은 이동을 위해 사료 급이기(101)를 차량에 적재한 때, 차량의 횡폭을 크게 증가시킴으로써, 차량 주행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료 급이기(101)의 차량 적재를 피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사료 급이기(101)를 매 목표 지점마다 차량을 통하지 않고 이동시켜야 하는 등 이동과 관련하여 작업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11-0041003 등록특허 10-118562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사료급이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료 급이 시 사료 급이기를 목표 지점에 밀착시키거나 급이방향을 바뀌기 위해 유턴시켜야 하는 등 급이 시 사료급이기의 이동과 관련하여 야기되는 어려움을 해소함으로써, 급이 작업의 효율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대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급이 시 급이부 컨베이어벨트와 목표 지점 간에 간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사료가 컨베이어벨트와 목표 지점 사이로 망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료의 급이 수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대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위와 같이 급이 수율을 높이면서도 사료급이기의 주행성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대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축에게 급이할 다량의 사료를 일시 저장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를 적재판에 싣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주행부; 및 상기 호퍼부의 출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적재판에 배치되어, 상기 주행부에 의해 이동한 위치에서, 상기 호퍼부로부터 공급되는 사료를 목표 지점에 투입하는 급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료급이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급이부는 상기 호퍼부로부터 공급된 사료를 이송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상기 목표 지점에 사료를 투입할 때 상기 목표 지점을 향하여 접근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이부는 상기 호퍼부로부터 공급된 사료를 선입선출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기 목표 지점에 투입하는 컨베이어벨트 조립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이부는, 외부 몸체를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길이방향으로 궤도 운동하도록 장착되어, 사료를 나르는 컨베이어벨트;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상기 목표 지점으로 사료를 급이할 때, 상기 지지프레임을 사료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변위수단; 및 상기 변위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이 사료 이송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지지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안내레일; 및 상기 호퍼부 후방 저면에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안내레일을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료급이기에 따르면, 주행부의 좌우 횡방향 양측으로 선택하여 사료를 급이할 수 있으므로, 주행부에 의해 사료 급이 위치로 이동함에 있어, 컨베이어벨트의 급이방향을 바뀌기 위해 사료급이기를 유턴시키지 않아도 되고, 또 컨베이어벨트와 목표 지점 간의 간격을 없애기 위해 사료급이기를 목표지점에 밀착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급이 작업의 효율성 및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료 급이 시 목표 지점을 향하여 급이부 즉, 컨베이어벨트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컨베이어벨트와 목표 지점 사이의 간격을 없앨 수 있고, 따라서 컨베이어벨트와 목표 지점 사이로 사료가 망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어, 사료 급이 수율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급이 수율을 높이기 위해 컨베이어벨트를 주행부에 대해 좌우 측방으로 돌출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사료 급이 수율을 높이면서도 사료급이기의 주행성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사료 급이기를 도시한 후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급이기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급이기에서 주행부를 제외하고 도시한 우측 후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급이기에서 주행부를 제외하고 도시한 좌측 후방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급이부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a)는 사료를 좌측으로 급이하는 상태를, (b) 급이 중이 아닌 상태를, (c)는 사료를 우측으로 급이하는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급이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료급이기는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호퍼부(3), 주행부(5), 및 급이부(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호퍼부(3)는 TMR 사료 등 가축에 급이할 각종 사료를 급이하기 전에 다량으로 일시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개방된 형태를 취하고 있어 사료배합기 등에서 배합된 각종 사료를 위쪽으로 투입하여 일시 저장하도록 되어 있으며, 투입된 사료를 순차적으로 급이부(7)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호퍼부(3)는 바닥에 공급컨베이어벨트 등의 이송수단(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송수단은 급이부(7)까지 연장되어, 외부에서 투입된 사료를 급이부(7)로 공급한다. 이때, 이송수단의 구동원은 주행부(5)의 엔진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주행부(5)는 위와 같은 호퍼부(3)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주행 또는 운행수단으로서,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과 같은 일반 차량에 해당하는 바, 트럭 외에도 적재판(11) 등을 통해 호퍼부(3)를 싣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운행수단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급이부(7)는 호퍼부(3)로부터 공급되는 사료를 가축용 사료통 등 목표 지점(M)에 급이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부(3)의 출구측에 인접하도록 예컨대, 주행부(5) 적재판(11)의 후단에 가로로 배치되는 바, 주행부(5)에 적재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호퍼부(3)로부터 공급된 사료를 목표 지점(M)에 급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목표 지점(M)은 예컨대 가축이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마련된 여물통 등을 의미한다. 또한, 급이부(7)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호퍼부(3)로부터 공급된 사료를 선입선출 방식으로 순차 이송하여 목표 지점(M)에 급이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벨트(15)를 이용하는 컨베이어벨트 조립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급이부(7)는 위와 같이 호퍼부(3)로부터 공급된 사료를 목표 지점(M)에 급이함에 있어, 모듈 전체가 사료를 이송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호퍼부(3)는 목표 지점(M)에 사료를 급이할 때 목표 지점(M)을 향하여 접근하도록 이동하고, 급이가 종료된 뒤에는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급이부(7)는 다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3), 컨베이어벨트(15), 변위수단(17), 및 안내수단(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3)은 급이부(7)의 외부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11)의 후단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바, 컨베이어벨트(15)를 장착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H빔 형태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다만, 지지프레임(13) 위에는 컨베이어벨트(15)로 공급된 사료가 밖으로 넘치지 않도록 하는 차단판(21)이 지지프레임(13)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이 차단판(2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부(3)와 일체로 또는 고정,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15)는 호퍼부(3)로부터 급이부(7)로 공급된 사료를 목표 지점(M)에 직접적으로 급이하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23)를 통해 지지프레임(13) 상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바, 지지프레임(13) 상에 장착되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궤도 운동함으로써, 호퍼부(3)에서 공급된 사료를 목표 지점(M)으로 실어 나른다. 이때, 컨베이어벨트(15)의 좌우측 모서리 위에는 컨베이어벨트(15)를 향해 기울어진 마감판(25)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좌우측 모서리와 지지프레임(13) 사이의 틈새로 사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변위수단(17)은 지지프레임(13) 즉, 급이부(7)를 사료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분으로, 지지프레임(13)을 적재판(11) 즉, 차체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떤 수단도 적용이 가능한 바,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3)과 적재판(11) 사이에서 지지프레임(13)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를 채용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 즉, 변위수단(17)은 실린더 몸체(27) 쪽 일단이 적재판(11)에, 푸시로드(29) 쪽 타단이 지지프레임(13)에 결합됨으로써, 컨베이어벨트(15)에 공급된 사료가 목표 지점(M)으로 운반되는 이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지지프레임(13)을 이동시킨다. 즉, 컨베이어벨트(15)가 도 6의 (a)로 도시된 것처럼, 화살표(A)를 따라 도면 상 우측으로 사료를 이송할 때 유압실린더는 축소되어 지지프레임(13)을 도면 상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반대로 도 6의 (c)로 도시된 것처럼, 화살표(B)를 따라 도면 상 좌측으로 사료를 이송할 때는 유압실린더가 신장되어 지지프레임(13)을 도면 상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끝으로, 상기 안내수단(19)은 지지프레임(13)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마찬가지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3)의 안내레일(31)과, 적재판(11)의 지지롤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안내수단(19)은 변위수단(17)에 의해 사료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는 지지프레임(13)을 안내하는 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31)은 지지프레임(13) 상에 특히, 지지프레임(13)의 측상변 모서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안내턱(35) 저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며, 지지롤러(33)는 안내레일(31) 즉, 안내턱(35)을 통해 지지프레임(13)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31)을 지지하도록 호퍼부(3) 후방 저면에 안내레일(31)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바, 안내레일(31) 상에 정합되어 구름 이동함으로써 안내레일(31)을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료급이기(1)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사료급이기(1)에 의해 사료 급이를 하고자 할 때, 맨 먼저 주행부(5)를 통해 사료급이기(1) 전체를 급이 시작지점에 위치시킨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우측 맨 앞쪽에 위치하는 여물통 즉, 목표 지점(M)에 급이부(7) 출구가 위치하도록 주행부(5)로 사료급이기(1)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나서, 급이부(7)의 변위수단(17) 즉, 유압실린더를 도 6의 (c)와 같이 신장시켜, 지지프레임(13)이 안내수단(19)을 통해 우측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급이부(7)의 지지프레임(13)과 컨베이어벨트(15)가 도 4와 같이 우측으로 돌출되면, 호퍼부(3)와 급이부(7)의 동작을 개시하여 호퍼부(3)로 투입된 사료가 급이부(7)로 공급되도록, 또 급이부(7)로 공급된 사료가 컨베이어벨트(15)를 따라 목표 지점(M)으로 급이되도록 한다. 이때, 컨베이어벨트(15)가 도 4와 같이 목표 지점(M)까지 충분히 연장되어 있으므로, 컨베이어벨트(15)를 통해 이송되는 사료는 빠짐없이 목표 지점(M) 즉, 여물통 안으로 투입된다.
이후, 첫 번째 목표 지점(M)에 급이가 완료되면, 사료급이기(1)는 호퍼부(3) 및/또는 급이부(7)의 동작을 멈추고, 주행부(5)를 가동하여 다음 목표 지점(M)으로 위치를 옮긴다. 다음 목표 지점(M)에서도 동일하게 급이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급이와 주행 동작을 동일하게 반복하여 일렬로 된 일군의 목표 지점(M) 전체를 급이한다.
이렇게 해서, 일렬로 된 복수의 목표 지점(M)을 급이한 뒤에는 사료급이기(1) 전체를 180도 회전시키지 않고 좌측에 인접한 일렬된 다른 일군의 목표 지점(M)을 급이하게 된다. 즉, 주행부(5)를 그대로 후진시킴으로써, 유턴하지 않고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 일렬로 배치된 다른 일군의 목표 지점(M)을 급이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를 위해 변위수단(17)은 도 6의 (a)로 도시된 것처럼 축소되어 지지프레임(13)과 컨베이어벨트(15)를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반대쪽 목표 지점(M)에 대한 급이 준비가 완료되면, 위에서와 동일한 순서에 따라 일렬로 된 다른 일군의 목표 지점(M) 전체를 역방향으로 순차 급이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복수 열의 목표 지점(M)에 대한 급이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1 : 사료급이기 3 : 호퍼부
5 : 주행부 7 : 급이부
11 : 적재판 13 : 지지프레임
15 : 컨베이어벨트 17 : 변위수단
19 : 안내수단 21 : 차단판
23 : 풀리 25 : 마감판
29 : 푸시로드 31 : 안내레일
33 : 지지롤러 35 : 안내턱
M : 목표 지점

Claims (3)

  1. 가축에게 급이할 다량의 사료를 일시 저장하는 호퍼부(3);
    상기 호퍼부(3)를 적재판(11)에 싣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주행부(5); 및
    상기 호퍼부(3)의 출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적재판(11)에 배치되어, 상기 주행부(5)에 의해 이동한 위치에서, 상기 호퍼부(3)로부터 공급되는 사료를 목표 지점(M)에 투입하는 급이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급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이부(7)는 상기 호퍼부(3)로부터 공급된 사료를 이송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상기 목표 지점(M)에 사료를 투입할 때 상기 목표 지점(M)을 향하여 접근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급이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급이부(7)는 상기 호퍼부(3)로부터 공급된 사료를 선입선출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기 목표 지점(M)에 투입하는 컨베이어벨트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급이기.
KR1020170121677A 2017-09-21 2017-09-21 사료급이기 KR102052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677A KR102052206B1 (ko) 2017-09-21 2017-09-21 사료급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677A KR102052206B1 (ko) 2017-09-21 2017-09-21 사료급이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935A Division KR101808484B1 (ko) 2017-04-26 2017-04-26 사료급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058A true KR20180120058A (ko) 2018-11-05
KR102052206B1 KR102052206B1 (ko) 2019-12-04

Family

ID=6432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677A KR102052206B1 (ko) 2017-09-21 2017-09-21 사료급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2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326A (ko) * 2020-07-01 2022-01-10 배남섭 가축사료 자동급이기 사료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139A (ko) * 2002-04-19 2003-10-30 주식회사 린도 배합사료 운송 급여용 차량
KR20110041003A (ko) 2009-10-15 2011-04-21 (유)대도 사료 급이기
KR20110104157A (ko) * 2010-03-16 2011-09-22 변기원 이동식 양방향 사료 공급장치
KR101185625B1 (ko) 2012-03-02 2012-09-26 유한회사 대성이엔지 사료 급이기
KR101244872B1 (ko) * 2012-10-21 2013-03-18 육심교 자가 이동형 사료 급이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139A (ko) * 2002-04-19 2003-10-30 주식회사 린도 배합사료 운송 급여용 차량
KR20110041003A (ko) 2009-10-15 2011-04-21 (유)대도 사료 급이기
KR20110104157A (ko) * 2010-03-16 2011-09-22 변기원 이동식 양방향 사료 공급장치
KR101185625B1 (ko) 2012-03-02 2012-09-26 유한회사 대성이엔지 사료 급이기
KR101244872B1 (ko) * 2012-10-21 2013-03-18 육심교 자가 이동형 사료 급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326A (ko) * 2020-07-01 2022-01-10 배남섭 가축사료 자동급이기 사료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206B1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2177B2 (en) Extruded chain rail for loading system
EP0574307B1 (en) Bar-storage apparatus
KR101658454B1 (ko)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
CN101480804B (zh) 具有金属板加工装置和运输装置的加工金属板的机械设备
US20080217137A1 (en) Feeding Device For a Packaging Machine
CN104551980B (zh) 一种磨床给料机以及给料方法
GB2161444A (en) Conveying workpieces to and from work stations
CN104309999A (zh) 进板机构、进板方法
FI112052B (fi) Irtotavaran lastausvaunu
CN108069217A (zh) 一种往复式输送机构及其输送方法
KR101808484B1 (ko) 사료급이기
KR101013102B1 (ko) 토너 카트리지의 블레이드 용접 장치
CA2741380C (en) Singulator for sorting random items
KR20180120058A (ko) 사료급이기
CN109175129A (zh) 一种切管机自动上料机
JPH1077116A (ja) 循環コンベヤ
US7559738B2 (en) Device and a method for switching pallets
JP2000136003A (ja) 棒材用倉庫
US5176056A (en) Panel cutting machine
JP2009286615A (ja) 荷の移載装置及び自動倉庫
CN208120104U (zh) 物料运输系统
CN116710228A (zh) 用于加工机的卸载站以及用于对管状或棒状的工件进行切割加工的加工机
US2225532A (en) Can feeding device
US4427329A (en) Monorail jig box loader
CN111169932A (zh) 自动拼板分料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23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412

Effective date: 201910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