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021A -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박테리아를 이용한 유해미세조류 및 조류독성물질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박테리아를 이용한 유해미세조류 및 조류독성물질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021A
KR20180119021A KR1020170052443A KR20170052443A KR20180119021A KR 20180119021 A KR20180119021 A KR 20180119021A KR 1020170052443 A KR1020170052443 A KR 1020170052443A KR 20170052443 A KR20170052443 A KR 20170052443A KR 20180119021 A KR20180119021 A KR 20180119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ystis
strain
bacillus
micro
pseudomon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이
권요셉
노성운
최종순
이창수
전민서
한상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2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9021A/ko
Publication of KR20180119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01N63/02
    • C12R1/07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분해활성을 갖는 박테리아와 분비독소 분해능을 갖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유해녹조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2종의 균주인 바실러스 속 T4 균주 (Bacillus sp. T4)는 국내 유해조류 발생의 우점종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Microcystis aeruginosa)를 사멸시키고, 슈도모나스 속 R12 균주 (Pseudomonas sp. R12)는 분비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을 분해하여, 유해녹조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속 T4 균주(Bacillus sp. T4) 및 슈도모나스 속 R12 균주 (Pseudomonas sp. R12)는 호소 및 강에 발생한 유해 녹조와 독소를 빠른 시간내에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2차 문제 발생을 예방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박테리아를 이용한 유해미세조류 및 조류독성물질의 제어방법 {Method of Controlling Harmful Algae and Cyanotoxins Using Bacterial Species Isolated from Soil}
본 발명은 국내 토양에서 분리한 조류분해활성을 갖는 박테리아와 독소 분해능을 갖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유해녹조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2종의 균주를 이용하여 녹조 현상의 우점종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Microcystis aeruginosa)의 사멸과 분비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 (Microcystin)의 분해를 통한 유해녹조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호소 및 강에 녹조현상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수자원의 음용수 및 산업용수로의 이용에 위협을 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적으로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 규모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녹조현상의 발생 원인으로는 크게 수온, 일조량, 영양염류 등이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강우량이 풍수기에 집중되어 있어 여름철에 폭염과 가뭄이 지속되고 단위면적당 비료 살포량이 OECD 국가의 평균 10배에 준하여 하천에 영양염류가 다량 유입되는 등 녹조 발생에 적합한 환경 및 사회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그 문제가 더 부각되고 있다 (표 1).
우리나라와 OECD 국가 평균 합성비료 사용량 (단위면적 대비)
인산 질소
우리나라 9.3톤/km2 22.4톤/km2
OECD 국가 평균 0.9톤/km2 2.2톤/km2
뿐만 아니라 국내의 경우 대다수의 호소 및 강에서 유독성 조류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Microcystis aeruginosa)가 우점종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그 위험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Lee et al., Algae 17(4): 275-281, 2002). 대부분의 시아노박테리아는 고등생물에게 독성으로 작용하는 이차대사산물을 생산하는데, 그 중 마이크로시스티스 속 균주는 마이크로시스틴을 생산한다. 기존의 녹조 방제기술들을 이용한 조류의 사멸은 마이크로시스틴의 분비를 오히려 촉진시킬 수 있있으며, 대량으로 방출된 마이크로시스틴은 수중 생물의 생장에도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람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마이크로시스틴은 현재까지 약 60여 이상의 변종이 알려져 있다 (kaya et al. water research 9-11, 1999). 마이크로시스틴은 간출혈과 간기능 부전 등의 급성 독성과 간암을 유발시키거나 쥐의 DNA에 영향을 주는 등 포유류에 치명적인 독소이나, 일반적인 수처리 방법으로는 제거되지 않아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Nishiwaki-Matsushima et al, J Cancer Res Clin Oncol 118: 420-424, 1992; Rao et al, Toxicology 114: 29-36, 1996).
세계적으로 녹조 발생을 예방 및 제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개발하고 시행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방법들이 기술적, 경제적인 문제를 가지거나 삼림 파괴, 강바닥 부패, 수질 악화, 생태계 교란 등의 2차 환경오염을 야기할 가능성을 지녀 수생태계에 다른 위험을 초래할 소지가 있다. 현재 대표적인 유해조류 발생 억제 및 제거방안으로 과산화수소, 오존처리, UV처리, 초음파처리, 상호대립억제작용물질, 여과 등의 물리, 화학적 처리방법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 화학적 처리방법은 화학물질의 직접적인 사용으로 인한 환경 영향성과 2차 부산물의 생성, 고가의 시설투자 비용과 운전비용 등의 명확한 한계를 가진다. 또한, 대부분의 제거 방안이 유해조류의 제거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유해조류의 분비 독소는 등한시되어 독소가 위험요소로 잔존하게 되므로 근본적인 수질 정화를 위해서는 분비 독소의 저감기술이 함께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다 친환경적이며 지속이 가능한 생물학적 유해조류 처리기술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신규 균주인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와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를 병용 처리시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사멸 및 마이크로시스틴 분해 효과가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시스티스 속 (Microcystis sp .)의 사멸을 유도하는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 균주 및 마이크로시스틴 분해능을 갖는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 균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 및 상기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미세조류 제어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이크로시스티스 속 (Microcystis sp.)의 사멸을 유도하는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 KCTC18471P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마이크로시스틴 분해능을 갖는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 KCTC18556P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 KCTC18471P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 및 상기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 KCTC18556P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미세조류 제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속 T4 균주 (Bacillus sp. T4)는 국내 유해조류 발생의 우점종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Microcystis aeruginosa)를 사멸시키고, 슈도모나스 속 R12 균주 (Pseudomonas sp. R12)는 분비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을 분해하므로, 호소 및 강에 발생한 유해 녹조와 독소를 빠른 시간내에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2차 문제 발생을 예방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16S mRNA 염기서열 동정을 통해 확인한 (a)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와 (b)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의 계통수이다.
도 2는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의 (a)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에 대한 살조 효과 및 (b) 접종에 따른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의 외형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의 접종 시 (a) OD600 값, (b) 접종 농도 및 (c)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의 성장 정도에 따른 살조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가 다른 미세조류 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의 mlrA 유전자 PCR 결과이다.
도 6은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의 (a)단일 처리와 (b)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와의 병용 처리시 독소 저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토양에서 분리한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 균주 (수탁번호: KCTC18471P)와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 균주 (수탁번호: KCTC18556P)를 이용하여 녹조 발생 유의종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Microcystis aeruginosa)의 사멸과 마이크로시스틴의 분해능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토양을 채취하고 토양에 멸균된 증류수를 가한 후, 전동 혼합기를 이용하여 토양과 멸균된 증류수가 잘 혼합되도록 하였다. 혼합된 토양과 멸균된 증류수를 원심분리하여 토양 박테리아가 들어있는 수용액층과 토양층으로 분리한 후, 상층액을 채취하여 배양하였다. 이후 서너 차례 고체 배지와 액체 배지에 번갈아 계대하여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하게 분리된 박테리아 균주들을 배양중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에 접종하여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를 사멸시키는 균주를 선별하였다. 또한, 마이크로시스틴 분해능이 있는 균주를 확인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mlr 유전자를 가지는 박테리아를 PCR 방법을 통하여 선별하였고, 다시 마이크로시스틴이 있는 배지에 넣어 실제 독소가 제거되는 박테리아 균주를 최종 선별하였다. 최종 선별된 박테리아는 16S rDNA 염기서열 동정방법으로 동정하여 BLAST Search Program (NCBI)을 사용한 결과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를 사멸시키는 균주는 바실러스 속과 높은 상동성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이를 바실러스 속 T4(Bacillus sp. T4)로 명명하였고, 마이크로시스틴의 분해능이 우수한 균주는 슈도모나스 속과 높은 상동성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이를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로 명명하였다. 상기 신규 균주는 각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2016년 6월 14일, 2017년 3월 16일로 기탁하였으며, 수탁번호는 KCTC 18471P, KCTC 18556P로 부여받았다.
그 다음, 신규 균주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의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사멸 유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균주를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에 첨가 배양하였고, 세포수를 측정하여 세포 분해가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규 균주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는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와 분비 독소물질을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으므로, 두 균주의 병용을 통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신규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 균주 (KCTC18471P)와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 균주 (KCTC18556P)는 녹조 발생 문제와 독소로 인해 발생되는 2차 환경오염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마이크로시스티스 속 (Microcystis sp .)의 사멸을 유도하는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 KCTC18471P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16s rDNA 염기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시스티스 속 (Microcystis sp .)은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Microcystis aeruginosa)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마이크로시스틴 분해능을 갖는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 KCTC18556P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은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16s rDNA 염기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시스티스 속 (Microcystis sp.)은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Microcystis aeruginosa)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시스틴은 마이크로시스티스 (Microcystis), 아나베나 (Anabaena), 오실레이토리아 (Oscillatoria) 등과 같은 시아노박테리아가 생산하는 이차대사산물이다. 이러한 시아노박테리아가 생산하는 이차대사산물 중 일부는 고등생물에게 독성물질로 작용하기도 하는데, 특히 마이크로시스티스 등과 같은 시아노박테리아들은 식수의 위생안전성을 위협하는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을 생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시스틴 (microcystin)은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Microcystis aeruginosa)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 KCTC18471P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 및 상기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 KCTC18556P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미세조류 제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해미세조류는 마이크로시스티스 속 (Microcystis sp.)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Microcystis aeruginosa)인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해미세조류 제어는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Microcystis aeruginosa)의 사멸 및 분비독소 분해를 통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분비독소는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Microcystis aeruginosa)에 의해 생성되는 마이크로시스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미생물의 분리
서울 성북구 안암동에서 토양을 채취하고 밀봉하여 실험실로 옮긴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클린벤치 내부에서 토양을 15mL 코니칼 튜브로 옮기고 멸균된 증류수를 가하였으며, 전동 혼합기를 이용하여 멸균된 증류수와 토양이 들어있는 용기를 진동시켜 토양과 멸균된 증류수가 잘 혼합되도록 하였다. 토양과 멸균된 증류수가 혼합된 15mL 코니칼 튜브를 원심분리기에 넣고 3,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토양 박테리아가 들어있는 수용액층과 토양층으로 분리를 실시한 후, 1 x 10-3, 1 x 10-4, 1 x 10-5, 1 x 10- 6 의 다양한 농도로 희석하였다. 클린벤치 내부에서 상층액을 파이펫으로 채취하여 미리 제작한 고체 LB 배지에 접종한 후 스프레더로 스프레딩 하여 배양하였다. 접종된 고체배지는 배양기에 넣어 배양하였고, 12시간 후 박테리아 콜로니를 백금루프로 채취하여 액체 LB 배지에 접종하여 다시 성장시켰으며 이후 서너 차례 고체 배지와 액체 배지에 번갈아 계대하여 순수 분리하였다.
실시예 2: 미생물의 동정
순수하게 분리 된 박테리아 균주들을 배양중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에 접종하여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를 사멸시키거나 마이크로시스틴의 분해능이 우수한 박테리아 균주를 최종 선별하였다. 최종 선별된 박테리아는 16S rDNA 염기서열 동정방법으로 동정하여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얻었다. BLAST Search Program (NCBI)을 사용한 결과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를 사멸시키는 균주는 바실러스 속과 높은 상동성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이를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로 명명하였다 (도 1A).
다음으로, 마이크로시스틴의 분해능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기 위해 독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잘 알려져 있는 mlr 유전자를 가지는 균주를 PCR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mlrA 유전자를 가지는 후보군을 확인하였다. mlr 유전자의 분석은 프라이머 쌍 5’-GACCCGATGTTCAAGATACT-3’(서열번호 3)와 5’-CTCCTCCCACAAATCAGGAC-3’(서열번호 4)을 이용하였다. PCR 조건은 초기 94℃에서 5분, 이후 94℃에서 30초, 55℃에서 30초, 72℃에서 1분을 35회 반복, 72℃에서 5분과 같이 이루어졌다. 16s rDNA 염기서열 방법으로 동정하여,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얻었다. 이를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로 명명하였다 (도 1B).
상기 동정된 2가지 균주는 각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2016년 6월 14일, 2017년 3월 16일로 기탁하였으며, 수탁번호는 KCTC 18471P, KCTC 18556P로 부여받았다.
실시예 3: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사멸 효과
실시예 1 및 2에서 분리 동정한 신규 균주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의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사멸 유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바실러스 속 T4 균주를 YEP 배지에 150 rpm으로 전배양하여 48시간 후 OD600이 1.0 값을 가지도록 하였다. 이후 exponential-phase의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4mL에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 배양액 0.2mL을 접종 (5% v/v)하여 액체 BG-11 배지, 25℃에서 배양하였고, 24시간 단위로 현미경 및 분광측정기를 이용해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도 2). 그 결과, 약 4일 후에 살조율 100%를 달성하는 것과 세포 분해를 통해 사멸을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박테리아의 성장 시간, 첨가 농도 등의 조건을 다르게 하여 추가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3). 이후 다른 여러 조류종과의 접종을 통해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가 일부 조류, 특히 마이크로시스티스 속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
실시예 4: 마이크로시스틴 분해 효과
실시예 1 및 2에서 분리 동정한 신규 균주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의 마이크로시스틴 분해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균주 슈도모나스 속 R12을 배양한 후,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에 접종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추가로, 슈도모나스 속 R12 처리 5일 후에 Adda-specified ELISA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시스틴의 양을 측정하였다. ELISA kit의 측정 파장과 MC-LR의 검출 한계는 각각 450nm와 0.01ug/L였다.
마지막으로,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와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을 각각 12시간 및 48시간 배양하여,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균주에 공동 접종 후 25℃에서 배양한 결과 독소 저감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도 6). 12시간 배양한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을 단독처리하였을 경우에는 다른 독소 저감 박테리아 S42의 효과와 비교하여, 효율이 더 낮았다 (도 6A). 그러나, 12시간 배양한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와 48시간 배양한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에는, 독소 저감 박테리아 S42 단독 또는 독소 저감 박테리아 S42 + 바실러스 속 T4의 병용 처리보다도 현저히 효율이 증가 (독소 저감 효과가 80% 이상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B). 따라서, 유해미세조류 및 조류독성물질 제어에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와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를 동시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8471P 2016061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8556P 20170316
<110>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120> Method of Controlling Harmful Algae and Cyanotoxins Using Bacterial Species Isolated from Soil <130> P17-B089 <160> 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251 <212> DNA <213> Bacillus sp. <400> 1 agttgacgag atgagtgcta gtgttagggg gtttccgccc cttagtgctg cagctaacgc 60 attaagcact ccgcctgggg agtacggtcg caagactgaa actcaaagga attgacgggg 120 gcccgcacaa gcggtggagc atgtggttta attcgaagca acgcgaagaa ccttaccagg 180 tcttgacatc ctctgacaat cctagagata ggacgtcccc ttcgggggca gagtgacagg 240 tggtgcatgg ttgtcgtcag ctcgtgtcgt gagatgttgg gttaagtccc gcaacgagcg 300 caacccttga tcttagttgc cagcattcag ttgggcactc taaggtgact gccggtgaca 360 aaccggagga aggtggggat gacgtcaaat catcatgccc cttatgacct gggctacaca 420 cgtgctacaa tggacagaac aaagggcagc gaaaccgcga ggttaagcca atcccacaaa 480 tctgttctca gttcggatcg cagtctgcaa ctcgactgcg tgaagctgga atcgctagta 540 atcgcggatc agcatgccgc ggtgaatacg ttcccgggcc ttgtacacac cgcccgtcac 600 accacgagag tttgtaacac ccgaagtcgg tgaggtaacc ttttaggagc cagccgccga 660 aggtgggaca gatgattggg gtgaagtcgt acggggaacc ccccaaaaaa aaaacccccc 720 ccccacggaa tccccacccc agaagaagaa ccccgatacc caggaattcc cccctccccc 780 cccggggggg cccccccacc taataaccca cttcgccccc ccacaaaccg aaaccaatca 840 ccctccccct ccgcccccca ccacccccca tatattcccg cacacccccc cccgttcatc 900 cccccagggg taaatacccc tccaaaaaat aaagacagcc ccccccccct cgccctctaa 960 tcccccccat aagcttcgcc gcaaaccaca ccaccccccc ctacccaatc taccccccag 1020 gccgcaggtc cactaattag acccccctct cagattggtc ctctatcggt cacccctgac 1080 aggggcaccc cccctcacct acacccaccc gcacccttct ttctcttccg ccaacacaaa 1140 aaaaaagacc attacaaacc cccaaccccc ccccctccaa ccccccgacc aaaccccaac 1200 ctggccagcc aacaaccaag tttcctacgc cccactggcg ggagaaacta a 1251 <210> 2 <211> 1219 <212> DNA <213> Pseudomonas sp. <400> 2 cggacggaga tgtcactagc cgttggatcc ttgagatttt agtggcgcag ctaacgcatt 60 aagttgaccg cctggggagt acggccgcaa ggttaaaact caaatgaatt gacgggggcc 120 cgcacaagcg gtggagcatg tggtttaatt cgaagcaacg cgaagaacct tacctggcct 180 tgacatgctg agaactttcc agagatggat tggtgccttc gggaactcag acacaggtgc 240 tgcatggctg tcgtcagctc gtgtcgtgag atgttgggtt aagtcccgta acgagcgcaa 300 cccttgtcct tagttaccag cacctcgggt gggcactcta aggagactgc cggtgacaaa 360 ccggaggaag gtggggatga cgtcaagtca tcatggccct tacggccagg gctacacacg 420 tgctacaatg gtcggtacaa agggttgcca agccgcgagg tggagctaat cccataaaac 480 cgatcgtagt ccggatcgca gtctgcaact cgactgcgtg aagtcggaat cgctagtaat 540 cgtgaatcag aatgtcacgg tgaatacgtt cccgggcctt gtacacaccg cccgtcacac 600 catgggagtg ggttgctcca gaagtagcta gtctaacctt cggggggacg gttaccacgg 660 agtgattcat gactggggtg aagtcgtaag gggaaccccc caaaaagggt tggcccgccc 720 cgggttggcg caccccgggg gggagaaaaa aggaaggggg agcccccccc ccccccgggg 780 gtttccttcc caatcctcac cccttttccc cgtcctccaa gagaatttta ccccccccct 840 ccccccgctc tctttcgccc ccccgttttg gggaccccca ccccccgggg tgacacccgg 900 gggtttttac ctaacaattt ttaaaaaaac cccccacccg ggcgcttttt cccccaaaac 960 aatccccaaa aaaaaccggg cgcccccccc ttttaaaacc cgcgcgctgg tcccccacaa 1020 aaaatttcgc gcggcgtttt tcttttggga ggaacaccca aaacaagcgc cctgatggaa 1080 agaaagaaaa cccccccccc ccccccccac aaaaaaaagg gggtgttaca aaccagcaaa 1140 aaaaaccttt tctttccccc tgcccctggg gggggggggg gggaggggtg gttttccccc 1200 tttgtccccc taatttaac 1219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1 <400> 3 gacccgatgt tcaagatact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 <400> 4 ctcctcccac aaatcaggac 20

Claims (12)

  1. 마이크로시스티스 속 (Microcystis sp .)의 사멸을 유도하는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 KCTC18471P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16s rDNA 염기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시스티스 속 (Microcystis sp .)은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Microcystis aeruginos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4. 마이크로시스틴 분해능을 갖는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 KCTC18556P 균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은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16s rDNA 염기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시스티스 속 (Microcystis sp .)은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Microcystis aeruginos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시스틴은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Microcystis aeruginosa)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8. 제1항의 바실러스 속 T4 (Bacillus sp. T4)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 및 제5항의 슈도모나스 속 R12 (Pseudomonas sp. R12)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미세조류 제어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미세조류는 마이크로시스티스 속 (Microcystis sp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미세조류 제어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시스티스 속 (Microcystis sp .)은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Microcystis aeruginos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미세조류 제어용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미세조류 제어는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Microcystis aeruginosa)의 사멸 및 분비독소 분해를 통한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미세조류 제어용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비독소는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 (Microcystis aeruginosa)에 의해 생성되는 마이크로시스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미세조류 제어용 조성물.
KR1020170052443A 2017-04-24 2017-04-24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박테리아를 이용한 유해미세조류 및 조류독성물질의 제어방법 KR20180119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443A KR20180119021A (ko) 2017-04-24 2017-04-24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박테리아를 이용한 유해미세조류 및 조류독성물질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443A KR20180119021A (ko) 2017-04-24 2017-04-24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박테리아를 이용한 유해미세조류 및 조류독성물질의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986A Division KR20210049736A (ko) 2021-04-20 2021-04-20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박테리아를 이용한 유해미세조류 및 조류독성물질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021A true KR20180119021A (ko) 2018-11-01

Family

ID=6439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443A KR20180119021A (ko) 2017-04-24 2017-04-24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박테리아를 이용한 유해미세조류 및 조류독성물질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902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8588A1 (en) 2019-08-14 2021-02-18 Algar Holding Ltd Control of green macroalgae blooms
FR3099869A1 (fr) * 2019-08-14 2021-02-19 Algar Holding Ltd Controle de la proliferation des macro algues vertes
KR102399850B1 (ko) * 2020-11-11 2022-05-18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슈도노카르디아 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해 조류 방제용 살조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14806942A (zh) * 2022-04-21 2022-07-29 广东省科学院微生物研究所(广东省微生物分析检测中心) 一株假单胞菌和其发酵产物及其在控制藻类生长中的应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8588A1 (en) 2019-08-14 2021-02-18 Algar Holding Ltd Control of green macroalgae blooms
FR3099869A1 (fr) * 2019-08-14 2021-02-19 Algar Holding Ltd Controle de la proliferation des macro algues vertes
KR102399850B1 (ko) * 2020-11-11 2022-05-18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슈도노카르디아 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해 조류 방제용 살조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14806942A (zh) * 2022-04-21 2022-07-29 广东省科学院微生物研究所(广东省微生物分析检测中心) 一株假单胞菌和其发酵产物及其在控制藻类生长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70627B (zh) 一种微生物-植物联合修复镉污染土壤的方法
Swissa et al. Atrazine biodegradation by a monoculture of Raoultella planticola isolated from a herbicides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KR20180119021A (ko)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박테리아를 이용한 유해미세조류 및 조류독성물질의 제어방법
Choure et al. Development of plant growth promoting microbial consortium based on interaction studies to reduce wilt incidence in Cajanus cajan L. Var. Manak
CN109678246A (zh) 一种适用于湖库、缓流型河道治理水华的方法
Sokolski et al. A fungal endophyte of black spruce (Picea mariana) needles is also an aquatic hyphomycete
KR20080008600A (ko)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속vsv-12 kctc10936bp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균 방제제
CN100580078C (zh) 环状芽孢杆菌wz-12及其在微生物分解处理二氯甲烷中的应用
CN103352011B (zh) 一株溶解池塘颤藻的嗜麦芽寡养单胞菌菌株czrst19及其应用
US8329446B2 (en) Green mold inhibitor
KR101432425B1 (ko) 연안 갯벌과 갯지렁이로부터 동정된 복수의 균주 속 미생물을 포함하는 유기물 정화제
CN103352010A (zh) 一株溶解池塘颤藻的蜡样芽孢杆菌菌株czbc1及其应用
CN105385642B (zh) 短波单胞菌及其应用
Afify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dominant N2 fixing cyanobacterial strains from different locations
RU2382075C1 (ru) Штамм бактерий brevibacillus laterosporus, подавляющий и предотвращающий развитие планктонных и биопленочных форм микроскопических водорослей в водных системах
CN113980852B (zh) 一种协同降解苯腈类除草剂的微生物组合物及其生产的菌剂
CN109868237A (zh) 一种巨大芽孢杆菌及其应用
CN105779349B (zh) 一种溶解池塘优势甲藻—锥状斯氏藻的蜡样芽孢杆菌菌株jzbc1及其应用
CN107828679A (zh) 一种净化养殖水体中氨的玫瑰红红球菌菌株xhrr1及其应用
CN111893053B (zh) 一株荧光假单胞菌22g5及其有效成分7-羟基环庚三烯酚酮在防治作物黄萎病中的应用
RU2735870C1 (ru)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для очистки и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нефтезагрязненных почв и грунтов методом фитобиоремедиации
KR20210049736A (ko)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박테리아를 이용한 유해미세조류 및 조류독성물질의 제어방법
KR102190929B1 (ko) 담수퇴적물로부터 분리한 감나무 탄저병균에 대해 길항력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렐룸 nnibrfg4324 균주 및 이의 용도
CN104263660B (zh) 一种生防木霉f18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vakumar et al.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potential Bacillus spp. for the management of bacterial wilt of brinj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