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8314A - Door impact beam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Door impact beam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8314A
KR20180118314A KR1020170051452A KR20170051452A KR20180118314A KR 20180118314 A KR20180118314 A KR 20180118314A KR 1020170051452 A KR1020170051452 A KR 1020170051452A KR 20170051452 A KR20170051452 A KR 20170051452A KR 20180118314 A KR20180118314 A KR 20180118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oor
impact beam
housing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4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32645B1 (en
Inventor
조홍영
박병학
이상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70051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645B1/en
Publication of KR20180118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3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6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9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diago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transvers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impact beam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improving safety of occupants by varying the structure and position of the door impact beam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 seat at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door impact beam device includes: a first impact beam having a first housing into which one end of the first impact beam is inserted, in which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is fixed to the inside of a door through a first fixing hinge; a second impact beam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impact beam through a connection pin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a second housing,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housing is fixed to the door through a second fixing hinge; a third impact beam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impact beam through the connection pin,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a third housing,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third housing is fixed to the door through a third fixing hinge; a seat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seat disposed inside the door in a vehicle body; and an impact beam control device for moving the connection pi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at moved by the seat control device.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DOOR IMPACT BEAM DEVICE FOR VEHICLE} [0001] DOOR IMPACT BEAM DEVICE FOR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시트의 위치에 따라서 도어 임팩트 빔의 구조와 위치를 가변시켜 충돌 시 승객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impact beam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change the structure and position of a door impact beam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 seat at the time of side collision of a vehicle,

차량의 측면 충돌 시 도어패널의 실내 침입 량이 순간적으로 급증하여 탑승객에 대한 치명적인 상해를 초래하기 때문에, 도어패널의 실내 침입을 막아주는 동시에 측면 충돌 시의 충격을 완충 및 흡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어패널 내에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도어 임팩트 빔이 설치되고 있다. The door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door panel from being intruded into the door and absorb shock and absorb the impact of the side panel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a side of the vehicle. A door impact beam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도 1는 도어패널(10)에 임팩트 빔(12)이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어패널(10)의 내측면에서 전후에 브라켓(40)이 장착되고,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도어 임팩트 빔(12)의 양 끝단이 지지용 브라켓(40)에 의하여 감싸지며 고정된다. 1 shows a structure in which an impact beam 12 is installed on a door panel 10. A bracket 40 is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oor panel 10 and a door impact beam Both ends of the supporting bracket 12 are enclosed and fixed by the supporting bracket 40. [

통상, 프론트 도어 및 리어 도어 사이에는 차체 골격체의 일부분인 센터필러가 형성되어 있는 바, 프론트 도어 내에 설치되는 도어 임팩트 빔(12)의 후단끝과 리어 도어내에 설치되는 도어 임팩트 빔(12)의 전 단끝은 차체 폭 방향을 따라 센터필러(50)와 중첩된다. A center pillar, which is a part of the vehicle body fram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door and the rear door. The door impact beam 12 installed in the front door and the door impact beam 12 installed in the rear door The front end is overlapped with the center pillar 50 along the vehicle body width direction.

한편, 차량의 측면으로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 도어 임팩트 빔(12)의 중앙 부분이 안쪽으로 휘어지고, V자 형태로 꺾일 수 있고, 이 뾰족한 부분이 승객에 상해를 입힐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n the side of the vehicle, the central portion of the door impact beam 12 may be bent inward and folded in a V-shape, which may injure the passenger.

따라서, 자동차의 측면 충돌 사고율이 증가하고 있고, 탑승자의 사망비율이 높아지는 추세에 발맞추어, 도어 임팩트 빔에 대한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하고, 승객이 탑승한 시트의 위치에 따라서 탑승자를 충돌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액티브 도어 임팩트 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Accordingly,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accident rate of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is increasing and the rate of death of the occupant is increasing, the rigidity and strength of the door impact beam are secured and the occupant is protected from collision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an active door impact beam that can be applied to a vehicle.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section a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not previous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1465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14657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856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8566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측면 충돌 사고율 증대와 탑승자의 사망률이 높아지는 추세에 맞추어, 도어 임팩트 빔에 대한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하고, 승객이 탑승한 시트의 위치에 따라서 탑승자를 충돌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impact beam device capable of securing rigidity and strength against a door impact beam and protecting an occupant from a collis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 seat occupied by the passenger, And to provide an automotive door impact beam apparatus.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는, 제1 빔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은 도어의 내측에 제1 고정 힌지를 통해서 고정되는 제1 임팩트 빔, 상기 도어의 차체 안쪽에 배치되는 시트의 위치를 제어하는 시트 제어 장치, 및 상기 시트 제어 장치에 의해서 움직이는 상기 시트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 빔을 움직이는 임팩트 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As a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or impact beam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into which one end of a first beam is inserted, and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is fixed to a first fixed A first impact beam fixed through a hinge, a seat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position of a seat disposed inside the vehicle body of the door, and an impacting device for moving the first beam, depending on a position of the seat moved by the seat control device Beam control device.

제2 빔의 일단이 상기 제1 빔과 연결 핀을 통해서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하우징에 삽입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타단은 제2 고정 힌지를 통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제2 임팩트 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빔은 상기 제1 빔의 반대방향 상부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beam is connected to the first beam via the connection pin,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eam is fixed to the door through the second fixing hinge, And the second beam may be inclined to the upper side opposite to the first beam.

제3 빔의 일단이 상기 제1 빔과 연결 핀을 통해서 연결되고, 타단은 제3 하우징에 삽입되며, 상기 제3 하우징의 타단은 제3 고정 힌지를 통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제3 임팩트 빔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빔은 상기 제1 빔의 반대방향 하부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beam is connected to the first beam via the connection pin,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third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beam is fixed to the door through the third fixing hinge, And the third beam may be inclin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eam opposite to the first beam.

상기 임팩트 빔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빔의 타단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연결 핀, 상기 연결 핀의 일단에 형성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를 관통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연결 핀을 통해서 상기 제1 빔을 길이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impact beam control device includes a connecting pin disposed across the other end of the first beam, a moving member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in, a screw passing through the moving member, And a beam actuator for pushing or pulling the first beam longitudinally through the connection pin.

상기 임팩트 빔 제어 장치는, 상기 연결 핀의 일단에 형성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를 관통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연결 핀을 통해서 상기 제1 빔을 길이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mpact beam control device includes a moving member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in, a screw penetrating through the moving member, and a screw rotating the screw to move the first bea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mov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pin A pushing or pulling beam actuator.

상기 제1 하우징에 삽입되는 상기 제1 빔의 외주면과 대응하여 내주면을 갖는 삽입 홈이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An insertion groove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eam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may be formed in the first housing.

상기 시트는 힙 시트와 백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제어 장치는, 상기 힙 시트의 전후 및 상하 위치를 제어하는 힙 시트 조절 스위치, 상기 백 시트의 경사를 제어하는 백 시트 조절 스위치, 및 상기 힙 시트 또는 상기 백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시트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eat includes a heap seat and a back sheet, wherein the seat control device includes a heap seat adjustment switch for controlling the back and forth and up and down positions of the heap seat, a back seat adjustment switch for controlling the inclination of the back sheet, And a seat actuator that provides a forc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at or the back sheet.

상기 임팩트 빔 제어 장치는, 상기 힙 시트의 전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 빔의 타단을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The impact beam controller may move the other end of the first beam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s of the heap sheet.

상기 임팩트 빔 제어 장치는, 상기 시트의 전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연결 핀을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The impact beam control device can move the connecting pi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sea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는 제1 빔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은 도어의 내측에 제1 고정 힌지를 통해서 고정되는 제1 임팩트 빔, 제2 빔의 일단이 상기 제1 빔과 연결 핀을 통해서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하우징에 삽입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타단은 제2 고정 힌지를 통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제2 임팩트 빔, 제3 빔의 일단이 상기 제1 빔과 연결 핀을 통해서 연결되고, 타단은 제3 하우징에 삽입되며, 상기 제3 하우징의 타단은 제3 고정 힌지를 통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제3 임팩트 빔, 상기 도어의 차체 안쪽에 배치되는 시트의 위치를 제어하는 시트 제어 장치, 및 상기 시트 제어 장치에 의해서 움직이는 상기 시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 핀을 움직이는 임팩트 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oor impact beam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into which one end of a first beam is inserted and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is fixed to a door through a first fixed hinge, The second beam is connected to the door through the first beam and the connecting pin,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eam is fixed to the door through the second fixing hinge, The third beam is connected to the door through the third fixing hinge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beam is connected to the door through the connection pin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third housing, A beam, a seat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position of a seat disposed inside the vehicle body of the door, and an impact beam control device for moving the connection pi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at moved by the seat control device It can be included.

상기 제2 빔은 상기 제1 빔의 반대방향 상부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3 빔은 상기 제1 빔의 반대방향 하부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beam may be disposed obliquely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eam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hird beam may be inclin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eam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임팩트 빔 제어 장치는, 상기 연결 핀의 일단에 형성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를 관통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연결 핀을 통해서 상기 제1 빔을 길이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mpact beam control device includes a moving member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in, a screw penetrating through the moving member, and a screw rotating the screw to move the first bea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mov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pin A pushing or pulling beam actuator.

상기 시트는 힙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제어 장치는, 상기 힙 시트의 전후 및 상하 위치를 제어하는 힙 시트 조절 스위치, 상기 힙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시트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임팩트 빔 제어 장치는, 상기 백 시트의 전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연결 핀을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Wherein the seat includes a heap seat, the seat control device includes a heap seat adjustment switch for controlling the front, back and up and down positions of the heap seat, and a seat actuator for providing a for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eap seat, The impact beam control device can move the connection pi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back and forth positions of the back sheet.

상기 임팩트 빔 제어 장치는, 상기 시트의 전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연결 핀을 앞으로 또는 뒤로 움직일 수 있다. The impact beam control device may move the connection pin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front and back positions of the sea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서, 도어 임팩트 빔을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rigidity and the strength can be secured as a whole by constructing at least one door impact beam.

또한, 도어 임팩트 빔의 위치를 승객이 탑승한 시트의 위치에 따라서 변경함으로써, 탑승자를 충돌사고로부터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 Further,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door impact beam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seat on which the passenger is seated, it is possible to easily protect the occupant from a collision accident.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와 시트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도어 임팩트 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와 빔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oor impact beam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vehicle door impact beam apparatus and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vehicle door impact beam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ctive door impact beam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cylinder and a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entire specification.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first, second, etc. in order to distinguish them from each other because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the same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와 시트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vehicle door impact beam apparatus and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임팩트 빔 장치는 주요 구성요소들로써 제1 임팩트 빔(210), 제2임팩트 빔(220), 제3 임팩트 빔(230), 및 연결 핀(27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impact beam apparatus includes a first impact beam 210, a second impact beam 220, a third impact beam 230, and a connecting pin 270 as main components.

상기 제1 임팩트 빔(210)은 제1 고정 힌지(212), 제1 하우징(214), 및 제1 빔(216)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임팩트 빔(220)은 제2 고정 힌지(222), 제2 하우징(224), 및 제2 빔(226)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임팩트 빔(230)은 제3 고정 힌지(232), 제3 하우징(234), 및 제3 빔(236)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2, 3 빔(216, 226, 236)은 상기 연결 핀(270)을 통해서 서로 연결된다. The first impact beam 210 includes a first fixed hinge 212, a first housing 214 and a first beam 216 and the second impact beam 220 includes a second fixed hinge 222 The second housing 224 and the second beam 226. The third impact beam 230 includes a third fixed hinge 232, a third housing 234, and a third beam 236 ). The first, second, and third beams 216, 226, and 23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pin 270.

상기 제1, 2, 3 고정 힌지(212, 222, 232)는 도어의 이너 패널(325) 또는 아우터 패널(315)에 고정되고, 상기 제1, 2, 3 하우징(214, 224, 234)의 후단에 상기 제1, 2, 3 고정 힌지(212, 222, 232)가 고정되고, 이를 통해서 이너 패널(325) 또는 아우터 패널(31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ed hinges 212, 222, and 232 are fixed to the inner panel 325 or the outer panel 315 of the door,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ings 214, 224,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ed hinges 212, 222, and 232 are fixed to the rear end and are rotatably fixed to the inner panel 325 or the outer panel 315.

상기 제1, 2, 3 빔(216, 226, 236)의 후단은 상기 제1, 2, 3 하우징(214, 224, 234) 안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 2, 3 빔(216, 226, 236)은 각각 상기 제1, 2, 3 하우징(214, 224, 234)을 기준으로 앞뒤로 움직일 수 있다. The rear end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eams 216, 226 and 236 are inserted in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ings 214, 224 and 234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beams 216, 236 may be moved back and forth relative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ings 214, 224, 234, respectively.

상기 제1, 2, 3 빔(216, 226, 236)의 각 선단부는 상기 연결 핀(270)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 핀(270)은 상기 제1, 2, 3 빔(216, 226, 236)의 선단부를 설정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The end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eams 216, 226 and 23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ng pin 270. The connecting pin 270 is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beams 216 and 226 And 236 can be sequentially passed through in the set order.

상기 임팩트 빔 장치는 도어의 내측에 구성되고,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차체의 안쪽에는 시트(240, 250)가 구비된다. 상기 시트(240, 250)는 승객의 힙과 대응하는 힙 시트(240, 250)와 승객의 등과 대응하는 백 시트(240, 250)를 포함한다. The impact beam device is configured on the inside of the door, and sheets 240 and 250 ar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the door. The seat 240, 250 includes a heap seat 240, 250 corresponding to the heap of the passenger, and a backsheet 240, 250 corresponding to the back of the passenger.

상기 힙 시트(240, 250)의 측면에는 힙 시트 조절 스위치(260)와 백 시트 조절 스위치(265)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240, 250)의 내부에는 상기 힙 시트(240, 250)의 전후 위치와 상기 백 시트(240, 250)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한 시트 액추에이터(430)가 각각 구성될 수 있다. A heap seat adjustment switch 260 and a back sheet adjustment switch 265 ar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heap sheets 240 and 250, respectively. A seat actuator 430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heap seats 240 and 250 and the inclination of the back sheets 240 and 250 may be formed in the seats 240 and 250,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트 액추에이터(430)의 구조 등에 대해서는 공지기술을 참조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is made to a known technique for the structure of the seat actuator 430 and the like.

아울러, 승객 또는 차량 제어부(420)가 상기 힙 시트(240, 250)를 차량의 후방으로 움직이면, 빔 액추에이터(320)는 상기 연결 핀(270)을 후방으로 움직여서, 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3빔(226, 236)의 후단은 상기 제2,3하우징(224, 234) 안으로 더 삽입되고, 상기 제1 빔(216)은 상기 제1 하우징(214) 안으로 덜 삽입된다. In addition, when the passenger or vehicle control unit 420 moves the heatsheets 240 and 250 to the rear of the vehicle, the beam actuator 320 moves the connection pin 270 rearward, thereby more safely protecting the passenger . At this time, the rear ends of the second and third beams 226 and 236 are further inserted into the second and third housings 224 and 234, and the first beam 216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214 do.

반대로, 승객 또는 차량 제어부(420)가 상기 힙 시트(240)를 차량의 전방으로 움직이면, 빔 액추에이터(320)는 상기 연결 핀(270)을 전방으로 움직여서, 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3빔(226, 236)의 후단은 상기 제2,3하우징(224, 234) 안으로 덜 삽입되고, 상기 제1 빔(216)은 상기 제1 하우징(214)에 더 삽입된다. Conversely, if the passenger or vehicle control unit 420 moves the heatsheet 240 to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beam actuator 320 can move the connecting pin 270 forward to more safely protect the passenger. At this time, the rear ends of the second and third beams 226 and 236 are less inserted into the second and third housings 224 and 234, and the first beam 216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214 do.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의 구성과 비교하여 특징적인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door impact beam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haracteristic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of FIG. 2 will be describ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임팩트 빔 제어 장치는, 빔 액추에이터(320), 스크류(310), 및 이동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impact beam control apparatus may include a beam actuator 320, a screw 310, and a movable member 300.

상기 연결 핀(270)의 일단에 상기 이동 부재(300)가 고정되고, 상기 스크류(310)가 상기 이동 부재(300)를 관통하며, 상기 빔 액추에이터(320)는 상기 스크류(310)를 회전시키도록 도어의 일측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빔 액추에이터(320)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member 300 is fix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pin 270 and the screw 310 passes through the moving member 300 and the beam actuator 320 rotates the screw 310 A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door. Here, the beam actuator 320 may include a motor.

상기 빔 액추에이터(320)가 상기 스크류(31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 부재(300)와 상기 연결 핀(270)이 차체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빔 액추에이터(320)가 상기 스크류(31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 부재(300)와 상기 연결 핀(270)이 차체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When the beam actuator 320 rotates the screw 310 in one direction, the moving member 300 and the connection pin 270 can be moved forward relative to the vehicle body, and the beam actuator 320 When the screw 31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moving member 300 and the connecting pin 270 can move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임팩트 빔 제어 장치가 상기 연결 핀(270)을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연결 핀(270)은 상하방향 또는 수평선에 대해서 설정된 각을 가진 경사진 라인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beam control device has been described as moving the connection pin 270 in the front-rear direction. However, the connection pin 270 may be moved along an inclined line having an angle se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line. Can mov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도어 임팩트 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ctive door impact beam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임팩트 빔 시스템은 시트 제어 장치(400), 임팩트 빔 제어 장치(410), 차량 제어부(420), 시트 액추에이터(430), 및 빔 액추에이터(320)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액추에이터(430)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빔 액추에이터(3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4, the impact beam system includes a seat controller 400, an impact beam controller 410, a vehicle controller 420, a seat actuator 430, and a beam actuator 320, The beam actuator 320 can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eam actuator 430.

아울러, 상기 차량 제어부(420)는 시트(240, 250)의 설정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빔 액추에이터(320)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시트 제어 장치(400)의 설정에 따라서 상기 임팩트 빔 제어 장치(4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vehicle controller 420 may automatically control the setting of the sheets 240 and 250 and the beam actuator 320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and the setting of the seat controller 400 The impact beam controller 410 can control the impact beam controller 41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따라서, 시트(240, 250)의 전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임팩트 빔의 설정 구조를 가변 시킴으로써, 시트(240, 250)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을 측면 충돌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Therefore, by changing the setting structure of the impact beam in accordance with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sheets 240, 250, the passengers aboard the seats 240, 250 can be effectively protected from side collision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와 빔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cylinder and a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임팩트 빔(210)은 제1 빔(216), 제1 하우징(214), 및 제1 고정 힌지(2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힌지(212)의 일단은 도어의 내측에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impact beam 210 includes a first beam 216, a first housing 214, and a first fixed hinge 212, And one e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door.

상기 제1 하우징(214)의 후단은 상기 제1 고정 힌지(21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고정 힌지(212)와 체결되고, 상기 제1 하우징(214)에는 상기 제1 빔(216)의 후단이 삽입되는 삽입 홈(500)이 형성된다. The rear end of the first housing 214 is coupled to the first fixed hinge 212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first fixed hinge 212 and the first beam 21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00.

상기 삽입 홈(500)의 내주면과 상기 제1 빔(216)의 외주면을 서로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빔(216)의 외주면은 상기 삽입 홈(500)의 내주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50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eam 216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eam 216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500 .

상기 삽입 홈(500) 안에서 후단으로 개방되는 개방 홀(5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빔(216)의 삽입 깊이에 따라서 상기 삽입 홈(500)의 내부에 충진된 에어는 상기 개방 홀(510)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거나 내부로 충진될 수 있다. An opening hole 510 is 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500 to be opened to the rear end. The air filled in the insertion groove 5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r fill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opening hole 510 in accordance with the insertion depth of the first beam 216.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to the scope that are deemed to be valid.

210: 제1 임팩트 빔 212: 제1 고정 힌지
214: 제1 하우징 216: 제1 빔
220: 제2 임백트 빔 222: 제2 고정 힌지
224: 제2 하우징 226: 제2 빔
230: 제3 임팩트 빔 232: 제3 고정 힌지
234: 제3 하우징 236: 제3 빔
240: 힙 시트 250: 백 시트
260: 힙 시트 조절 스위치 265: 백 시트 조절 스위치
270: 연결 핀 300: 이동 부재
310: 스크류 315: 아우터 패널
320: 빔 액추에이터 325: 이너 패널
400: 시트 제어 장치 410: 임팩트 빔 제어 장치
420: 차량 제어부 430: 시트 액추에이터
500: 삽입 홈 510: 개방 홀
210: first impact beam 212: first fixed hinge
214: first housing 216: first beam
220: second light beam 222: second fixed hinge
224: second housing 226: second beam
230: Third impact beam 232: Third fixed hinge
234: third housing 236: third beam
240: heap sheet 250: back sheet
260: Heap seat adjustment switch 265: Back seat adjustment switch
270: connecting pin 300: moving member
310: screw 315: outer panel
320: beam actuator 325: inner panel
400: Seat control device 410: Impact beam control device
420: vehicle controller 430: seat actuator
500: insertion groove 510: opening hole

Claims (14)

제1 빔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은 도어의 내측에 제1 고정 힌지를 통해서 고정되는 제1 임팩트 빔;
상기 도어의 차체 안쪽에 배치되는 시트의 위치를 제어하는 시트 제어 장치; 및
상기 시트 제어 장치에 의해서 움직이는 상기 시트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 빔을 움직이는 임팩트 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
A first impact beam including a first housing into which one end of a first beam is inserted,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being fixed to the inside of the door through a first fixing hinge;
A seat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position of a seat disposed inside a vehicle body of the door; And
An impact beam control device for moving said first beam in accordance with a position of said seat moved by said seat control device;
Wherein the door impact beam device comprises:
제1항에서,
제2 빔의 일단이 상기 제1 빔과 연결 핀을 통해서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하우징에 삽입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타단은 제2 고정 힌지를 통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제2 임팩트 빔;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빔은 상기 제1 빔의 반대방향 상부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impact beam having one end of the second beam connected to the first beam and the connection pin, the other end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eam being fixed to the door through a second fixed hinge; / RTI >
Wherein the second beam is disposed obliquely to the upper side opposite to the first beam.
제2항에서,
제3 빔의 일단이 상기 제1 빔과 연결 핀을 통해서 연결되고, 타단은 제3 하우징에 삽입되며, 상기 제3 하우징의 타단은 제3 고정 힌지를 통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제3 임팩트 빔; 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빔은 상기 제1 빔의 반대방향 하부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third impact beam having one end of the third beam connected to the first beam and the connection pin, the other end being inserted into the third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beam being fixed to the door through a third fixed hinge; / RTI >
And the third beam is disposed obliquely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eam opposite to the first beam.
제1항에서,
상기 임팩트 빔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빔의 타단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연결 핀;
상기 연결 핀의 일단에 형성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를 관통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연결 핀을 통해서 상기 제1 빔을 길이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mpact beam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connecting pin disposed across the other end of the first beam;
A moving member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A screw passing through the moving member; And
A beam actuator rotating the screw to push or pull the first beam longitudinally through the mov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pin;
Wherein the door impact beam device comprises:
제2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 빔 제어 장치는,
상기 연결 핀의 일단에 형성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를 관통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연결 핀을 통해서 상기 제1 빔을 길이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and 3,
The impact beam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moving member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A screw passing through the moving member; And
A beam actuator rotating the screw to push or pull the first beam longitudinally through the mov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pin;
Wherein the door impact beam device comprises:
제1항에서,
상기 제1 하우징에 삽입되는 상기 제1 빔의 외주면과 대응하여 내주면을 갖는 삽입 홈이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n insertion groove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eam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제1항에서,
상기 시트는 힙 시트와 백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제어 장치는,
상기 힙 시트의 전후 및 상하 위치를 제어하는 힙 시트 조절 스위치;
상기 백 시트의 경사를 제어하는 백 시트 조절 스위치; 및
상기 힙 시트 또는 상기 백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시트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heet comprises a heap sheet and a back sheet,
Wherein the seat control device comprises:
A heap seat adjustment switch for controlling the front, back, and up and down positions of the heap seat;
A back sheet adjustment switch for controlling the inclination of the back sheet; And
A sheet actuator for providing a forc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eap sheet or the back sheet;
Wherein the door impact beam device comprises:
제7항에서,
상기 임팩트 빔 제어 장치는,
상기 힙 시트의 전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 빔의 타단을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mpact beam control apparatus includes:
And moves the other end of the first beam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s of the heap seat.
제3항에서,
상기 임팩트 빔 제어 장치는,
상기 시트의 전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연결 핀을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impact beam control apparatus includes:
And the connecting pin is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front-back position of the seat.
제1 빔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은 도어의 내측에 제1 고정 힌지를 통해서 고정되는 제1 임팩트 빔;
제2 빔의 일단이 상기 제1 빔과 연결 핀을 통해서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하우징에 삽입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타단은 제2 고정 힌지를 통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제2 임팩트 빔;
제3 빔의 일단이 상기 제1 빔과 연결 핀을 통해서 연결되고, 타단은 제3 하우징에 삽입되며, 상기 제3 하우징의 타단은 제3 고정 힌지를 통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제3 임팩트 빔;
상기 도어의 차체 안쪽에 배치되는 시트의 위치를 제어하는 시트 제어 장치; 및
상기 시트 제어 장치에 의해서 움직이는 상기 시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 핀을 움직이는 임팩트 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
A first impact beam including a first housing into which one end of a first beam is inserted,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being fixed to the inside of the door through a first fixing hinge;
A second impact beam having one end of the second beam connected to the first beam and the connection pin, the other end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eam being fixed to the door through a second fixed hinge;
A third impact beam having one end of the third beam connected to the first beam and the connection pin, the other end being inserted into the third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beam being fixed to the door through a third fixed hinge;
A seat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position of a seat disposed inside a vehicle body of the door; And
An impact beam control device for moving the connection pi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seat moved by the seat control device;
Wherein the door impact beam device comprises:
제10항에서,
상기 제2 빔은 상기 제1 빔의 반대방향 상부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3 빔은 상기 제1 빔의 반대방향 하부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beam is disposed obliquely to the upper sid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beam,
And the third beam is disposed obliquely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eam opposite to the first beam.
제10항에 있에서,
상기 임팩트 빔 제어 장치는,
상기 연결 핀의 일단에 형성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를 관통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연결 핀을 통해서 상기 제1 빔을 길이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impact beam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moving member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A screw passing through the moving member; And
A beam actuator rotating the screw to push or pull the first beam longitudinally through the mov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pin;
Wherein the door impact beam device comprises:
제10항에서,
상기 시트는 힙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제어 장치는,
상기 힙 시트의 전후 및 상하 위치를 제어하는 힙 시트 조절 스위치; 및
상기 힙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시트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임팩트 빔 제어 장치는, 상기 백 시트의 전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연결 핀을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heet comprises a heap sheet,
Wherein the seat control device comprises:
A heap seat adjustment switch for controlling the front, back, and up and down positions of the heap seat; And
A seat actuator that provides a forc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eatsheet; Lt; / RTI >
Wherein the impact beam control device moves the connection pi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front and back positions of the back sheet.
제10항에서,
상기 임팩트 빔 제어 장치는, 상기 시트의 전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연결 핀을 앞으로 또는 뒤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mpact beam control device moves the connection pin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front and back positions of the seat.
KR1020170051452A 2017-04-21 2017-04-21 Door impact beam device for vehicle KR1019326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452A KR101932645B1 (en) 2017-04-21 2017-04-21 Door impact beam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452A KR101932645B1 (en) 2017-04-21 2017-04-21 Door impact beam devic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314A true KR20180118314A (en) 2018-10-31
KR101932645B1 KR101932645B1 (en) 2018-12-27

Family

ID=64099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452A KR101932645B1 (en) 2017-04-21 2017-04-21 Door impact beam devic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645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6979A (en) 2002-08-07 2004-03-04 Nissan Motor Co Ltd Car body side structure
JP2008087741A (en) 2006-10-05 2008-04-17 Toyota Motor Corp Reinforcement structure for vehicle door
JP5888313B2 (en) 2013-12-13 2016-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Vehicle side collision det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645B1 (en)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7537B2 (en) Vehicle seat belt device
USRE44432E1 (en) Headrest on a vehicle seat
US5290084A (en) Motor vehicle seat arrangement having a side cheek movable between a rest position and an operating position
CN107150651B (en) Safety air curtain for vehicle
EP1902898B1 (en) Seat-bulkhead assembly, in particular for a commercial vehicle, and commercial vehicle provided with such seat-bulkhead assembly
US20130008088A1 (en) Motor Vehicle Comprising an Actuator for Opening the Side Door
KR20180060402A (en) Tilt extension apparatus for cushion part of seat
JP2006504563A (en) Car with passenger compartment in the form of a separation unit
GB2392652A (en) Side Panel Occupant Protection
KR20200053951A (en) Device of steering column for working together airbag system
KR101932645B1 (en) Door impact beam device for vehicle
US20190106923A1 (en) Door Drive for a Motor Vehicle Door
JP4770486B2 (en) Sun visor control device
JPH07205733A (en) Vehicle safety mechanism
KR20180061840A (en) Dive seat for vehicle with anti-submarine function
JP4083653B2 (en) Active knee bolster
KR100456544B1 (en) Apparatus for rotating automobile seat for reducing passenger injury in the case of side-impact collision
JP5087982B2 (en) Rear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JP3135604B2 (en) Automotive airbag equipment
US4047737A (en) Seat belt system for motor cars
KR100387629B1 (en) Safety seat structure for an automobile
KR20220121608A (en) Seat safety apparatus for vehicle
JP3564713B2 (en) Vehicle instrument panel structure
JP2020185850A (en) Load transmission mechanism
JP5045204B2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