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265A -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 - Google Patents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265A
KR20180117265A KR1020170050151A KR20170050151A KR20180117265A KR 20180117265 A KR20180117265 A KR 20180117265A KR 1020170050151 A KR1020170050151 A KR 1020170050151A KR 20170050151 A KR20170050151 A KR 20170050151A KR 20180117265 A KR20180117265 A KR 20180117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current
breaker
earth leakage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0804B1 (ko
Inventor
서문수
김주철
박상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
Priority to KR1020170050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80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G01R31/02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8Manual release or trip mechanisms, e.g. for test purpo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이를 이용한 누전 차단 기능 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하장치에 누설전류가 발생하면 누설전류를 감지하여 누전 검출 IC에서 누설전류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누설전류 검출신호에 따라 SCR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SCR의 Anode에서 Cathode로에 많은 전류가 흘러 트립 코일이 작동하여 부하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부하장치의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ZCT에 인위적인 누설전류를 인가하여 누전 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을 점검하기 위한 자동 기능 점검 회로를 구비하는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테스트 버튼(Test Button), 다중 권선 ZCT에 권선되어 연결된 테스트 전선(Test Wire), 테스트 저항(Test Resistor)으로 구성되어, 누전 차단기능을 점검하기 위해 테스트 버튼 입력 시 다중 권선 ZCT에 관통되어 권선된 테스트 전선을 통하여 테스트 전류(Test Current)를 인가하여 누설전류 검출 기능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누전 차단기 회로에서, 상시 동작하는 부분과는 별도의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장치부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의 기능 점검을 수행하되,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의 기능 점검을 위한 테스트 전류에 의해 누전차단기가 트립 동작을 하지 않고 부하장치의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의 자동 기능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트립 코일 단선, 다중 권선 ZCT, 누설전류 검출IC, 누전차단기의 기능을 점검하기 위한 테스트 회로, 전원선 단선, 패턴 손상, 부품 등의 이상의 진단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자동 기능 점검이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에서 가능하며, 상태 이상 발생 시 부하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원격에서 차단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EARTH LEAKAGE BREAKER WITH AUTOMATIC CHECKING METHOD USING DOUBLE ELECTRIC-SHOCK PREVENTION FUNCTION, AND AUTOMATIC CHECKING PCB CIRCUIT FUN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매월 정기적으로 테스트 버튼을 이용한 수동적인 점검 기능에서 벗어나 정기적인 자동 점검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부하장치에 인가되는 전원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점검 결과를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 실시간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이를 이용한 누전 차단 기능 자동 점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990860호 "주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기능 점검이 가능한 누전 차단기 및 누전기능 점검방법(Electric leakage test system and method of electric leakage breaker)"에서는 주전원선에 인위적인 누설전류를 인가하여 누전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테스트 버튼을 구비하는 누전 차단기를 제공함으로써, 누전 차단기에 대해서 기능 점검을 실시하여 누전 차단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현재 누전 차단기와 기존의 특허는 테스트 버튼을 눌러 기능을 점검하도록 되어 있고 월 1회 점검하여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바쁜 일상과 전문적인 지식부족, 전기 안전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인하여 월 1회의 점검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종래의 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효용성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테스트 버튼을 이용한 수동적인 점검 기능에서 벗어나 정기적인 자동 점검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부하장치에 인가되는 전원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점검 결과를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 실시간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990860호 "주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기능 점검이 가능한 누전 차단기 및 누전기능 점검방법(Electric leakage test system and method of electric leakage breaker)"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350231호 "범용 누전차단기 조합형 지능형 아크차단장치(Smart arc blocking device with earth leakage breaker)"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919450호 "누전검출과 트립 코일 구동에 분리된 전원을 사용하는 누전차단기(The circuit breaker used separated power between detection of the electronic leakage and driving trip coil)"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누전 차단기 회로에서, 상시 동작하는 부분과는 별도의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장치부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누전차단기 PCB 회로부의 기능 점검을 수행하되, 누전차단기 PCB 회로부의 기능 점검을 위한 테스트 전류에 의한 트립 동작이 수행되지 않고 부하전원 유지 기반의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에 대한 기능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트립 코일 단선, ZCT, 누설전류 검출IC, 누전차단기의 기능을 점검하기 위한 테스트 회로, 전원선 단선, 패턴 손상, 부품 등의 이상을 진단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자동 기능 점검이 가능하며, 상태 이상 발생 시 부하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원격에서 차단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는, 부하장치에 누설전류가 발생하면 누설전류를 감지하여 누전 검출 IC에서 누설전류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누설전류 검출신호에 따라 SCR의 Anode에서 Cathode로 많은 전류가 흘러 트립 코일이 작동하여 부하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부하장치의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ZCT에 인위적인 누설전류를 인가하여 누전 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을 점검하기 위한 자동 기능 점검 회로를 구비하는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테스트 버튼(Test Button), 다중 권선 ZCT에 권선되어 연결된 테스트 전선(Test Wire), 테스트 저항(Test Resistor)으로 구성되어, 누전 차단기능을 점검하기 위해 테스트 버튼 입력 시 다중 권선 ZCT에 관통되어 권선된 테스트 전선을 통하여 테스트 전류(Test Current)를 인가하여 누설전류 검출 기능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진단모드 제어장치는, 누전검출 기능의 자동진단 기능을 위해 "상시 모드"와 "진단 모드"로 동작하며, "진단 모드"로 동작하여 자동 진단 시 내장된 회로를 제어하여 누설전류에 해당하는 테스트 전류를 자동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상시 모드"에서 "진단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서 진단모드 제어장치와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MCU;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진단모드와 상시모드는 MCU에서 진단모드 제어장치를 제어하되, 순서는 진단모드 제어장치를 제어하여 고장진단점검회로에 연결되는 노멀 오픈 접점에 연결하고 테스트회로 제어장치를 제어하여 ZCT에 테스트 전류를 인가하여(약 30ms) 고장을 진단하고 테스트회로 제어장치를 다시 원상태(테스트전류 인가 이전상태)로 제어하고 진단모드 제어장치를 다시 상시모드(노멀 클로즈 접점)로 전환한다. MCU는 진단모드 제어장치와 테스트회로 제어장치를 순차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상시 모드"에서 실제 누설전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누설전류 검출IC에서 누설전류 검출에 의해 누전차단기의 트립 동작을 수행하여 부하전원을 차단하며, "진단 모드" 전환을 위한 상기 진단모드 제어장치를 미리 설정된 검사 주기에 따라 상기 MCU에서 제어신호(ON) 신호 인가 시, "진단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는, "상시 모드"로 누전 차단기의 기능인 부하장치의 누설전류를 감시하여 누설전류 발생 시 부하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고, "진단 모드"로 작동 시 누설전류가 검출되어도, 전류 제한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SCR에서 상기 트립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여, 부하장치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누전 차단기의 PCB 회로부의 기능을 자동 진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진단 모드 제어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진단 모드 제어장치는, 상기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와 연결된 상기 다중 권선 ZCT에 테스트 전류를 인가하여 누설전류가 검출되어 부하장치의 전원 차단을 위해 누전차단기의 트립 동작에 필요한 PCB 회로부의 모든 부품들에 대한 기능을 점검하면서도 누전차단기를 트립 시키지 않고 부하장치의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실제 누설전류 발생하였을 때와 같이 PCB 회로부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단 트립 코일(Trip Coil)(120)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여 발생하는 기자력을 제한하여 누전차단기를 트립 시키지 않을 뿐 원리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전 차단 기능 자동 점검 방법은,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에 부하장치를 연결하여 사용 중 기 설정된 진단시간마다, MCU는 진단모드 제어장치를 통해 "상시 모드"에서 "진단 모드"로의 전환한 후 테스트회로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다중 권선 ZCT에 권선된 테스트 라인에 테스트 전류(Test Current)를 인가하고, 고장진단 검출회로를 통해 누설전류 검출 기능을 진단한 뒤 다시 상시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누전 차단 기능 자동 점검 방법은, 누전 차단기 회로에서, 상시 동작하는 부분과는 별도의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장치부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누전차단기의 기능 점검을 수행하되, 누전차단기의 기능점검을 위해 실제 테스트 전류를 인가하는 제 1 단계; 및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에서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부하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SCR이 Turn On 되어도 부하전원 차단을 위한 트립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부하전원 유지 기반의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에 대한 기능 점검이 이루어지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구성품에 대해, 누전차단기의 시험버튼을 실제로 눌러서 누전차단기의 누전차단 기능을 점검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수행시키되, 누전차단기의 트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트립 코일 및 SCR에 흐르는 전류를 누전 검출 회로의 동작에 필요한 만큼의 전류로 제한하면서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구성품 기능을 점검하는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의 누전차단 기능 점검 시, 누설전류를 인위적으로 인가하면서도 누전차단기의 트립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누전차단 기능을 점검하는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의 SCR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누전차단기의 누전차단 기능을 점검하는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의 테스트 저항 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ZCT에 누설전류를 인가하는 ZCT 관통선을 N배만큼 권선함으로써, 누전차단기의 누전차단 기능 점검에 필요한 전류를 1/N만큼 감소시킬 수 있는 누전차단기 점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의 시험버튼과 병렬로 구성되는 접점을 이용하여 누전차단기에 인위적인 누설전류를 발생시키는 누전차단기의 누설전류 발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이를 이용한 누전 차단기의 PCB 회로부의 기능 자동 점검 방법은, 누전 차단기 회로에서, 상시 동작하는 부분과는 별도의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장치부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의 기능 점검을 수행하되,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의 기능 점검을 위한 테스트 전류에 의해 누전차단기가 트립 동작을 하지 않고 부하장치의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의 자동 기능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은, 트립 코일 단선, ZCT, 누설전류 검출IC, 누전차단기의 기능을 점검하기 위한 테스트 회로, 전원선 단선, 패턴 손상, 부품 등의 이상의 진단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은, 자동 기능 점검이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에서 가능하며, 상태 이상 발생 시 부하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원격에서 차단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100) 중 MCU(150)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100)는 전원 차단부(111), 다중 권선 ZCT(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이하 'ZCT')(112), 노이즈 필터(Noise Filter)(113), 누설전류 검출IC(114), SCR(115), 트립 코일(Trip Coil)(120),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130), 진단 모드 제어장치(140), 전류 제한장치(141), 고장진단 검출회로(142), MCU(150), 정류회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차단부(111)는 전원 차단부(111)의 구동에 따라 전원선(L1, L2)의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다중 권선 ZCT(112)는 전원선(L1, L2)에서의 누설전류를 감지 시 출력단을 통해 트립 동작을 위해 누전 검출 IC(114)로 전류를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선(L1, L2)으로부터 다중 권선 ZCT(112)를 관통하여 부하장치에 전류를 공급 시, 다중 권선 ZCT(112)는 부하장치로 흐르는 전류를 감시하여 누설전류가 발생한 경우, 누설전류 검출IC(114)로 향하는 출력단으로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비율에 따라 전류를 출력한다.
노이즈 필터(Noise Filter)(113)는 다중 권선 ZCT(112)와 누설 전류 IC(114) 사이에 형성되고, 다중 권선 ZCT(112)의 출력단과 연결로 누설전류의 노이즈(noise)를 제거하여 누설 차단기(100)에서 누설전류 차단을 위한 안정적인 가동을 도모한 뒤, 노이즈가 제거된 누설전류를 누설전류 검출IC(114)로 제공함으로써, 누설전류 검출IC(114)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누설전류 검출IC(114)는 다중 권선 ZCT(112)로부터 노이즈 필터(113)를 거쳐 입력된 전류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전류 이상인 경우, SCR(115)로 트리거 신호(Trigger Signal)를 출력함으로써, SCR(115) 상의 게이트(Gate)에 트리거 신호 입력에 따라 SCR(115)의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애노드에서 캐소드로 도통되면서 트립 코일(120)에 많은 전류가 흘러 기전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부하장치의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ZCT에 인위적인 누설전류를 인가하여 누전 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을 점검하기 한다.
SCR(115)은 누전 전원이 차단 되도록 한다.
트립 코일(Trip Coil)(120)은 전원선(L1, L2)과 연결되면서 누설전류 검출IC(114)에서 누설전류 발생에 따르는 전기적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전원 차단부(111)를 동작시켜서 부하장치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누설전류 검출IC(114)에 의해 누설전류가 검출되면 누전 검출 IC(114)에서 SCR(115)의 게이트로 트리거 신호를 송출하여 SCR(115)의 애노드(Anode)에서 캐소드(Cathode)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회로가 구성되어 트립 코일(120)에 전류가 흘러 발생하는 기자력에 의해 전원 차단부(111)를 동작시켜 부하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트립 코일(120)은 1,000번의 권선을 하여 60ohm의 저항값을 갖는 경우 트립 코일(120)에 약 3.4A의 전류가 흘러 3400[AT]의 기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원 차단부(111), 다중 권선 ZCT((112), 노이즈 필터(Noise Filter)(113), 누설전류 검출IC(114), SCR(115), 트립 코일(Trip Coil)(120), 정류회로(160)로 이루어진 기존의 상시 동작하는 부분인 "누전 차단 수행 회로"를 구비하는 누전 차단기에,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130), 진단 모드 제어장치(140), 전류 제한장치(141), 고장진단 검출회로(142), MCU(150)으로 이루어진 "자동 기능 점검 회로"를 추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지 않고서도 부하장치로 공급되는 주전원을 차단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누전 차단기의 기능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며 각 기능 구성요소에 대해서 이하에서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130)는 테스트 버튼(Test Button), 다중 권선 ZCT(112)를 관통하는 연결된 테스트 전선(Test Wire), 테스트 저항(Test Resistor)으로 구성됨으로써, 누전 차단기능을 점검하기 위해 테스트 버튼 입력 시 다중 권선 ZCT(112)에 관통되어 권선된 테스트 전선을 통하여 테스트 전류(Test Current)를 인가하여 누설전류 검출 기능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130)는 MCU(150)에 의해 릴레이(Relay)의 노멀 오픈 접점(Normal Open Point)으로 테스트 버튼과 병렬로 연결 상태에서 다중 권선 ZCT(112)에 테스트 전류를 인가하는 것이다.
테스트회로 제어장치(130)는 테스트 버튼과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의 Normal open 접점을 통해 다중 권선 ZCT(112)에 테스트 전류를 인가하는 장치이다. 진단모드 제어장치(140)는 상시모드와 진단모드를 제어하는 장치로 상시 모드는 전류제한이 없는 보통의 누전 차단기 기능이며 진단 모드는 전류제한 장치를 통해 전류를 제한하고 SCR(115)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고장진단 검출회로에 연결하는 장치이다. 즉, 상시 모드는 트립 코일(120) -> 정류 회로(160) -> 진단모드 제어장치(140) -> SCR(115) 이와 같이 연결되며 진단 모드는 트립 코일(120) -> 정류 회로(160) -> 진단모드 제어장치(140) -> 전류 제한장치(141) -> 고장진단 검출회로(142) -> SCR(115)로 연결된다.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130)는 진단모드 제어장치(140)에서 회로를 진단 모드로 연결한 후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130)가 동작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시 모드"에서 실제 누설전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누설전류 검출IC에서 누설전류 검출에 의해 누전차단기의 트립 동작을 수행하여 부하전원을 차단하며, "진단 모드" 전환을 위한 상기 진단모드 제어장치를 미리 설정된 검사 주기에 따라 MCU에서 제어신호(ON) 신호 인가 시, "진단 모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은 "진단 모드"는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100)의 자동진단에 필요한 별도의 회로로 테스트 회로를 갖는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130) 상에서 다중 권선 ZCT(112)로의 테스트 전류(Test Current)의 인가가 가능한 접점 연결을 위한 스위칭이 선행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즉, 상술한 테스트 버튼과 병렬로 연결된 스위칭 수단이나 그 외의 방법에 의해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130)가 다중 권선 ZCT(112)와 자동으로 연결되어 다중 권선 ZCT(112)에 테스트 전류의 인가에 따라, 누설전류 검출IC(114)는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SCR(115)의 게이트에 트리거 신호를 송출하여 SCR(115)이 동작하도록 한다. 이때, "진단 모드"에서 다중 권선 ZCT(112)에 의한 트립 동작을 하지 못하도록 트립 코일(120) 및 PCB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누설전류의 검출 동작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만으로 제한하여 공급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전류 제한 장치(141)가 추가로 구성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최소한의 전류로의 제한을 통해 "진단 모드"를 통한 자동진단 시 SCR(115)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누전 차단기의 누전검출 기능의 고장 유무를 MCU(150)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다중 권선 ZCT(112)에 누설전류를 인가하는 것처럼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130)의 테스트 버튼 누르는 효과가 MCU(150)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면, 누전 검출 IC(114)에서 다중 권선 ZCT(112)로부터의 전류 출력에 따라 누설전류가 검출되고, SCR(115)에 신호를 전달하여 트립 코일(120)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여기서, 테스트 저항은 테스트 전류에 맞는 크기가 있는데, 종래에는 전력 소모가 커서, 이로 인해 테스트 저항이 심심치 않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ZCT에 대한 다중 권선 방식을 본 발명에서는 채택한다. 즉, 다중 권선 ZCT(112)는 ZCT에 감은 수에 비례한 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테스트 전류를 실제 필요한 전류량의 1/감은 수만 흘려도 되어 테스트 저항의 부담이 적어지도록 한다. 예컨대, 다중 권선 ZCT(112)의 권선수가 40번에 해당하면 1번 감은 것의 40배 크기의 전류가 되는 효과가 있어서, 테스트 전류를 실제 필요한 전류량의 1/40만 흘려도 되며, 이에 따라 테스트 저항의 부담이 적어지는 효과를 제공하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130)는 테스트 저항을 이용하여 테스트 전류를 다중 권선 ZCT(112)에 공급하는데, 구체적인 실시 예로 테스트 저항으로 30mA의 감도 전류를 갖는 누전 차단기에서는 3kΩ의 저항을 사용 시, 약 73mA의 전류가 흐르며 16W의 전력이 소모되어 저항이 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테스트 저항의 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중권선 ZCT(112) 즉, 변류 비(권선 비)를 조정하여 소량의 시험 전류로도 기능의 진단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진단 모드 제어장치(140)는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와 연결된 상기 다중 권선 ZCT에 테스트 전류를 인가하여 누설전류가 검출되어 부하장치의 전원 차단을 위해 누전차단기의 트립 동작에 필요한 PCB 회로부의 모든 부품들에 대한 기능을 점검하면서도 누전차단기를 트립 시키지 않고 부하장치의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실제 누설전류 발생하였을 때와 같이 PCB 회로부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단 트립 코일(Trip Coil)(120)에 전류를 제한하여 발생하는 기자력을 제한하여 누전차단기를 트립 시키지 않을 뿐 원리는 동일하다.
진단 모드 제어장치(140)는 노멀 클로즈 접점(Normal Close Point) 및 노멀 오픈 접점(Normal Open Point)에 따라 구동되는 릴레이(Relay)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노멀 클로즈 접점(Normal Close Point)의 경우, 일반 누전 차단기의 기능을 "누전 차단 수행 회로"에 연결함으로써, 전류 제한이 없으므로 트립 코일(120)이 동작하여 부하장치로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한편, 노멀 오픈 접점(Normal Open Point)의 경우, 기능 진단 모드의 기능을 "자동 기능 점검 회로"에 연결함으로써, 트립 코일(120)에 흐르는 전류 제한으로 발생하는 기자력을 현격히 제한하여 기능 진단을 수행하되 트립 코일(120)이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MCU(150)는 "상시 모드"에서 "진단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서 진단모드 제어장치와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모드와 상시모드는 MCU(150)에서 진단모드제어장치를 제어하되, 순서는 진단모드 제어장치를 제어하여 고장진단 점검회로에 연결되는 노멀 오픈 접점에 연결하고 테스트회로 제어장치를 제어하여 ZCT에 테스트 전류를 인가하여(약 30ms) 고장을 진단하고 테스트회로 제어장치를 다시 원상태(테스트전류 인가 이전상태)로 제어하고 진단모드 제어장치를 다시 상시모드(노멀 클로즈 접점)로 전환한다. MCU는 진단모드제어장치와 테스트회로 제어장치를 순차적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MCU(150)는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100)에 부하장치를 연결하여 사용 중 기 설정된 진단시간이 되면, 상시 모드에서 진단 모드로 전환하여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130)를 다중 권선 ZCT(112)로의 테스트 전류(Test Current)의 인가가 가능한 접점 연결을 위한 스위칭을 통해 연결하여 테스트 전류를 인가한 이후 다시 "상시 모드"로 전환한다.
즉, 자동진단 기능 수행 시 자동진단 회로에서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100)의 누전검출 기능을 자동 진단하고 결과를 MCU(150)에서 고장진단 검출회로(142)를 통해서 측정하여 기능의 정상 유무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MCU(150)에 의한 자동진단 기능 수행 시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100)의 누전검출 기능의 고장 진단은 진단 모드로 전환하고 테스트 전류를 인가 시 누설전류가 발생한 경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SCR(115)의 게이트에 트립 신호를 송출하여 SCR(115)이 동작하도록 한다.
이 경우, 고장진단 검출회로(142)는 트립 코일(120) 단선, 다중 권선 ZCT(112), 누설전류 검출 IC(114),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130)의 회로, 전원선(L1?L2) 단선, 패턴 손상, 부품 등의 이상을 모두 진단 가능하다. 즉, 회로부에 관련된 부품 중 어느 하나라도 이상이 있을 경우 진단 기능 수행 시 누설전류의 검출이 불가하거나 누설전류가 검출되어도 전류가 전혀 흐를 수 없어 SCR(115)로 흐르는 전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MCU(150)는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100)에서 자동 점검 기능을 위해 적용됨으로써, 미리 설정된 주기(1일, 일주일, 10일, 1개월 등 기간)에 따른 점검 시간 선택을 가능하도록 하며, 선택된 주기에 따라 자동 점검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MCU(150)는 고장진단 검출회로(142)를 통해 전원(L1, L2)에서 부하장치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지 않고 부하장치에 인가되는 전류, 전압, 누설전류 등의 "전원 상태 정보 검출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전류 제한장치(141)에 대해서 살펴본다.
일반적인 누전 차단기에서는, SCR(115)에 전류가 흐르고 트립 코일(120)에도 전류가 흐르는데 트립 코일(120)에서 발생된 기자력을 통해 무빙코어를 당겨서 누전차단 기능이 이루어진다. 평상시에는 누설전류 검출을 위해서 1mA 정도의 전류가 트립 코일(120)에 흐르고 있는데, 이때 기능 점검을 위해서 전류 제한장치(141)가 SCR(115)에 흐르는 전류를 1mA 정도로 제한하면, 트립 코일(120)에 전류를 흘려 트립 코일(120)을 포함한 어느 부위가 고장 나든, 이상이 있든 판단이 가능해지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류 제한장치(141)는 SCR(115)의 전류가 흐르는 부분에서 전류를 트립 코일(120)에서 발생된 기자력이 무빙코어를 당길 수 없도록 1mA나 2mA 정도로 제한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류 제한장치(141)는 누전 차단기(100) 상에서 SCR(115)에 의한 트립 동작을 할 경우의 트립 코일(120)에 흐르는 전류(A)는 220VAC ÷ 60Ω = 3.67(A) 이고 이때 트립 코일(120)에서 발생되는 기자력(F)은 3.67 x 1,000(T) = 3,667(AT)이지만, 진단 모드의 경우 진단 모드 제어장치(140)의 제어에 따라 SCR(115)에 흐르는 전류를 미리 설정된 임계 전류값(1.5mA)으로 제한(150kΩ)함으로써, 트립 코일(120)에서 발생되는 기자력은 1.5(AT)으로 누전 차단기(100)는 트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고장진단 검출회로(142)에 대해서 살펴보면, 누설전류 검출IC(114)의 기능이 정상일 경우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130)를 이용하여 테스트 회로를 다중 권선 ZCT(112)에 연결하여 다중 권선 ZCT(112)에 테스트 전류를 인가하면 다중 권선 ZCT(112)에서 검출된 신호를 누설전류 검출IC(114)에서 판단한다.
이때, 누설 전류 IC(114)에서 SCR(115)로 트리거 신호를 발생하면, SCR(115)이 턴 온(Turn On) 되어 SCR(115)의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고 누설전류 검출IC(114)의 구성 중 어느 곳에라도 이상이 발생한 경우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지 못하거나 출력되어도 SCR(115)이 이상인 경우 전류가 흐르지 못하므로 "고장진단 검출회로(142)"는 SCR(115)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면 누전 차단기의 누설전류 검출IC(114)에 대한 기능 점검이 가능하다.
이때, 고장진단 검출회로(142)에서 전류의 검출은 회로 상호 간의 절연을 고려하여 Relay 또는 포토 트랜지스터(Photo-Transistor)를 이용하여 SCR(115)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100) 중 MCU(150)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MCU(150)는 I/O 인터페이스(151), 제어부(152), 송수신부(153)를 포함하며, 제어부(152)는 자동 점검 모듈(152a), 정보 검출 모듈(152b), IoT 기반 통신 모듈(152c)을 구비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151)는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130), 진단모드 제어장치(140), 고장진단 검출회로(142), 그 밖의 입출력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입출력부는 자동 진단주기 설정을 위한 2bit 입력을 받음으로써, 4개(1일, 일주일, 10일, 1개월) 중 1개의 시간 선택 가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입출력부는 누전 차단기(100)의 핸들을 온(ON)시키면 일정시간 후 자동으로 누전 차단기에 대한 기능을 점검하여, 부저 및 LED 램프로 진단 결과를 알릴 수 있으며, 정상의 경우 녹색 점등, 무음, 그리고 고장의 경우 적색 점멸, 알림 음을 발생할 수 있다.
자동 점검 모듈(152a)은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100)에서 자동 점검 기능을 미리 설정된 주기(1일, 일주일, 10일, 1개월 등 기간)에 따른 점검 시간 선택 시, 선택된 주기에 따라 자동 점검이 가능하도록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130)의 테스트 버튼과 연결된 릴레이(Relay)의 접점(Normal Open)을 클로즈(Close) 상태로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다중 권선 ZCT(112)에 테스트 전류를 인가하도록 한다.
정보 검출 모듈(152b)은 전원(L1, L2)에서 부하장치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지 않고 부하장치에 인가되는 전류, 전압, 누설전류 등의 전원 상태 정보 검출을 수행한다.
여기서, 정보 검출 모듈(152b)에 의한 고장 진단 범위는 누설전류를 검출하고 차단하는 기능의 모든 부품으로, 트립 코일(120) 단선,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130)의 테스트 저항 소손 및 테스트 회로의 이상, 전원 인입 케이블(Cable)의 단선, 전원부(정류 Diode의 소손, Drop 저항 소손) 이상, SCR(115) 소손, 누설전류 검출IC(114)(IC 소손 및 주변 부품의 소손으로 누설전류 검출 불가) 이상, 다중 권선 ZCT(112) 단선, PCB 패턴의 손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기반 통신 모듈(152c)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 기반 통신으로, 송수신부(153)를 제어하여 스마트폰(200)으로부터의 원격 점검 요청을 수신하여, 점검 결과를 실시간으로 스마트폰(200)에 실시간 전송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200) 상에서 원격에서 누전 차단기(100)를 점검하고 상태 이상 발생 시 부하장치의 전원 공급을 원격에서 차단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111 : 전원 차단부
112 : 다중 권선 ZCT(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13 :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114 : 누설전류 검출IC
115 : SCR
120 : 트립 코일(Trip Coil)
130 :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
140 : 진단 모드 제어장치
141 : 전류 제한장치
142 : 고장진단 검출회로
150 : MCU
151 : I/O 인터페이스
152 : 제어부
152a : 자동 점검 모듈
152b : 정보 검출 모듈
152c : IoT 기반 통신 모듈
153 : 송수신부
160 : 정류회로

Claims (13)

  1. 부하장치에 누설전류가 발생하면 누설전류를 감지하여 누전 검출 IC에서 누설전류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누설전류 검출신호에 따라 SCR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SCR의 Anode에서 Cathode로에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전류가 흘러 트립 코일이 작동하여 부하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부하장치의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ZCT에 인위적인 누설전류를 인가하여 누전 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을 점검하기 위한 자동 기능 점검 회로를 구비하는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테스트 버튼(Test Button), 다중 권선 ZCT에 권선되어 연결된 테스트 전선(Test Wire), 테스트 저항(Test Resistor)으로 구성되어, 누전 차단기능을 점검하기 위해 테스트 버튼 입력 시 다중 권선 ZCT에 관통되어 권선된 테스트 전선을 통하여 테스트 전류(Test Current)를 인가하여 누설전류 검출 기능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단모드 제어장치는,
    누전검출 기능의 자동진단 기능을 위해 "상시 모드"와 "진단 모드"로 동작하며, "진단 모드"로 동작하여 자동 진단 시 내장된 회로를 제어하여 누설전류에 해당하는 테스트 전류를 자동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시 모드"에서 "진단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서 진단모드 제어장치와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MCU;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시 모드"에서 실제 누설전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누설전류 검출IC에서 누설전류 검출에 의해 누전차단기의 트립 동작을 수행하여 부하전원을 차단하며, "진단 모드" 전환을 위한 상기 진단모드 제어장치를 미리 설정된 검사 주기에 따라 상기 MCU에서 제어신호(ON) 신호 인가 시, "진단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시 모드"로 누전 차단기의 기능인 부하장치의 누설전류를 감시하여 누설전류 발생 시 부하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고, "진단 모드"로 작동 시 누설전류가 검출되어도, 전류 제한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SCR에서 상기 트립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여, 부하장치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누전 차단기의 PCB 회로부의 기능을 자동 진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진단 모드 제어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진단 모드 제어장치는,
    상기 테스트 회로 제어장치와 연결된 상기 다중 권선 ZCT에 테스트 전류를 인가하여 누설전류가 검출되어 부하장치의 전원 차단을 위해 누전차단기의 트립 동작에 필요한 PCB 회로부의 모든 부품들에 대한 기능을 점검하면서도 누전차단기를 트립 시키지 않고 부하장치의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실제 누설전류 발생하였을 때와 같이 PCB 회로부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단 트립 코일(Trip Coil)(120)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여 발생하는 기자력을 제한하여 누전차단기를 트립 시키지 않을 뿐 원리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7.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에 부하장치를 연결하여 사용 중 기 설정된 진단시간마다, MCU는 진단모드 제어장치를 통해 "상시 모드"에서 "진단 모드"로의 전환한 후 테스트회로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다중 권선 ZCT에 권선된 테스트 라인에 테스트 전류(Test Current)를 인가하고, 고장진단 검출회로를 통해 누설전류 검출 기능을 진단한 뒤 다시 상시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
  8. 누전 차단기 회로에서, 상시 동작하는 부분과는 별도의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장치부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누설전류 테스트 누전차단기의 기능 점검을 수행하되, 누전차단기의 기능점검을 위해 실제 테스트 전류를 인가하는 제 1 단계; 및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에서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부하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SCR이 Turn On 되어도 부하전원 차단을 위한 트립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부하전원 유지 기반의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에 대한 기능 점검이 이루어지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
  9.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구성품에 대해, 누전차단기의 시험버튼을 실제로 눌러서 누전차단기의 누전차단 기능을 점검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수행시키되, 누전차단기의 트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트립 코일 및 SCR에 흐르는 전류를 누전 검출 회로의 동작에 필요한 만큼의 전류로 제한하면서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구성품 기능을 점검하는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
  10. 누전차단기의 누전차단 기능 점검 시, 누설전류를 인위적으로 인가하면서도 누전차단기의 트립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누전차단 기능을 점검하는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
  11. 누전차단기의 SCR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누전차단기의 누전차단 기능을 점검하는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
  12. 누전차단기의 테스트 저항 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ZCT에 누설전류를 인가하는 ZCT 관통선을 N배만큼 권선함으로써, 누전차단기의 누전차단 기능 점검에 필요한 전류를 1/N만큼 감소시킬 수 있는 누전차단기 점검 방법.
  13. 누전차단기의 시험버튼과 병렬로 구성되는 접점을 이용하여 누전차단기에 인위적인 누설전류를 발생시키는 누전차단기의 누설전류 발생 방법.
KR1020170050151A 2017-04-19 2017-04-19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 KR10193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151A KR101930804B1 (ko) 2017-04-19 2017-04-19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151A KR101930804B1 (ko) 2017-04-19 2017-04-19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265A true KR20180117265A (ko) 2018-10-29
KR101930804B1 KR101930804B1 (ko) 2018-12-19

Family

ID=6410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151A KR101930804B1 (ko) 2017-04-19 2017-04-19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8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589B1 (ko) * 2018-11-30 2019-12-02 한국전기연구원 자동점검 누전차단기
KR102145826B1 (ko) * 2020-02-26 2020-08-19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누설전류 감지감도 조절식 zct
CN112165071A (zh) * 2020-08-26 2021-01-01 浙江朗威微系统有限公司 一种具有自测试功能的漏电流预警保护电路
KR20210128957A (ko) * 2019-11-05 2021-10-27 한국 전기안전공사 Ict 융합형 자가 진단 누전차단기 및 그 사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860B1 (ko) * 2009-04-22 2010-10-29 엠티엔시 (주) 주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기능 점검이 가능한 누전 차단기 및 누전기능 점검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589B1 (ko) * 2018-11-30 2019-12-02 한국전기연구원 자동점검 누전차단기
WO2020111872A1 (ko) * 2018-11-30 2020-06-04 한국전기연구원 자동점검 누전차단기
US11885847B2 (en) 2018-11-30 2024-01-30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utomatically testable short circuit breaker
KR20210128957A (ko) * 2019-11-05 2021-10-27 한국 전기안전공사 Ict 융합형 자가 진단 누전차단기 및 그 사용 방법
KR102145826B1 (ko) * 2020-02-26 2020-08-19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누설전류 감지감도 조절식 zct
CN112165071A (zh) * 2020-08-26 2021-01-01 浙江朗威微系统有限公司 一种具有自测试功能的漏电流预警保护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804B1 (ko)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804B1 (ko) 2중 감전보호 검출기능을 이용한 부동작 자동진단 검출 기술이 적용된 전기재해 예방용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의 pcb 회로부 기능의 자동 점검 방법
EP26494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ground leakage and automated self testing thereof
EP25482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visory circuit for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 device
US10252619B2 (en) Safety module and charging station provided with a safety module
US7619866B2 (en) Electric trip device provided with monitoring means, circuit breaker comprising one such trip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US7336457B2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GFCI) end-of-life (EOL) status indicator
US10840698B2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and protection device for power cord
US8472155B2 (en) Leakage detection protective circuit
EP25456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visory circuit for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 device
US9941739B2 (en) Process bus associated protective control system, merging unit, and calculation device
CN107315151B (zh) 用于测试绝缘监控设备的功能的方法和设备
JP2013529832A (ja) 設備のフェールセーフな接続または接続解除のための安全回路
US20120257315A1 (en) Arrangement for ground-fault detection in an ac circuit and power supply arrangement with ground-fault detection
US10557883B2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and protection device for power cord
CN109546642A (zh) 一种逆变器直流输入反接保护模块和装置
US11225155B2 (en)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a current
KR100990860B1 (ko) 주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기능 점검이 가능한 누전 차단기 및 누전기능 점검방법
CN113078620B (zh) 配电系统和监测配电系统中的区域选择性联锁的方法
US9692223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of testing a power distribution system
CN210468782U (zh) 电源线漏电保护装置、电连接设备以及用电器
CN113406491A (zh) 一种断路器分合闸测试装置
JP6265264B2 (ja) 漏電保護装置および漏電保護システム
JP6437304B2 (ja) 開閉端子台及びそれを使用した絶縁抵抗の測定方法若しくはそれを使用したリレー駆動回路の開閉方法
CN215833565U (zh) 一种断路器分合闸测试装置
CN106684840A (zh) 一种直流极控制系统中直流保护均不可用时出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