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957A -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957A
KR20180116957A KR1020170049936A KR20170049936A KR20180116957A KR 20180116957 A KR20180116957 A KR 20180116957A KR 1020170049936 A KR1020170049936 A KR 1020170049936A KR 20170049936 A KR20170049936 A KR 20170049936A KR 20180116957 A KR20180116957 A KR 20180116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rip
floating
pinch roll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49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6957A/ko
Publication of KR20180116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16Unwinding or uncoiling
    • B21C47/18Unwinding or uncoiling from reel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Abstract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는 페어오프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핀치롤, 제1핀치롤과 이격된 위치의 이송경로에 마련된 제2핀치롤, 제1핀치롤과 제2핀치롤 사이의 이송경로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스트립 하면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스트립을 부상시키는 에어부상장치를 포함하고, 에어부상장치는 스트립의 하면으로부터 부상을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의 부상에어노즐 이송되는 스트립의 폭을 감지하는 폭감지장치, 폭감지장치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복수의 부상에어노즐을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스트립의 부상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GUIDING APPARATUS FOR STRIP TRANSFERING}
본 발명은 페어오프릴에서 풀려 이송되는 스트립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레스 강판과 같은 얇은 판 형상의 스트립은 압연 공정을 거쳐 제조된 후 후속 공정으로 보내기 전에 저장, 운반 기타 처리의 편리를 위해 원통 코일 형태로 권취하여 보관한다.
이러한 코일 스트립은 소둔공정, 산세공정, 정정공정 등과 같은 후속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다시 풀어서 후속공정으로 공급하기도 한다. 즉 페어오프릴에서 풀리는 스트립이 페어오프릴과 인접한 핀치롤의 동작에 의해 후속공정을 위한 이송라인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페어오프릴에서 풀리는 스트립의 선단부는 후속 핀치롤에 이르기까지 장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구간 이송되기 때문에 이송라인의 지지롤 등과 부딪혀 하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기 쉽다. 이처럼 스크래치가 생긴 스트립의 선단부분은 제품으로 이용하지 못하고 폐기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페어오프릴에서 풀려 이송되는 스트립을 부상시켜 스트립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페어오프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핀치롤; 상기 제1핀치롤과 이격된 위치의 이송경로에 마련된 제2핀치롤; 및 상기 제1핀치롤과 상기 제2핀치롤 사이의 상기 이송경로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스트립 하면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스트립을 부상시키는 에어부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부상장치는 스트립의 하면으로부터 부상을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의 부상에어노즐; 이송되는 스트립의 폭을 감지하는 폭감지장치; 및 상기 폭감지장치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복수의 부상에어노즐을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스트립의 부상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부상에어노즐은 스트립의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폭감지장치는 스트립 양측 에지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복수개가 스트립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방으로 측정을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의 측정에어노즐; 및 복수의 측정에어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에어를 감지하도록 복수의 측정에어노즐 상측에 배치된 복수의 에어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부상에어노즐과 상기 복수의 측정에어노즐은 에어공급원으로부터 함께 에어를 공급 받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에어감지부는 상기 측정에어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움직이는 감지판; 및 상기 감지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는 상기 제1핀치롤과 상기 제2핀치롤 사이의 상기 이송경로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스트립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부상장치는 상기 복수의 지지롤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는 상기 복수의 지지롤 사이에 설치되며 스트립 선단을 후속 지지롤 상부로 안내하는 경사안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는 페어오프릴에서 풀려 후속공정으로 이송되는 스트립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스트립을 부상시키기 때문에 스트립의 선단부가 장력 없이 이송되는 경우에도 스트립이 이송경로의 구조물에 닿아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는 이송경로로 진입하는 스트립의 폭을 폭감지장치가 감지하고, 이를 토대로 복수의 부상에어노즐을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스트립의 부상을 조절하기 때문에 스트립을 늘 적당한 높이로 부상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의 에어부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의 에어부상장치의 개략도로, 폭이 좁은 스트립이 이송되는 경우 에어부상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의 에어부상장치의 개략도로, 폭이 넓은 스트립이 이송되는 경우 에어부상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는 권취된 코일 스트립(1)을 풀기 위한 페어오프릴(10)과, 페어오프릴(10)에서 풀린 스트립(1)을 후속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호 이격된 다수의 지지롤(21)이 설치된 이송경로(20)와, 먼저 공급된 스트립 후단과 새로 공급되는 스트립 선단의 연결을 위해 이송경로(20)에 설치된 용접기(30)와, 페어오프릴(10)과 인접하여 설치되며 페어오프릴(10)에서 풀리는 스트립(1)을 이송경로(20)로 이동시키는 제1핀치롤(40), 용접기(30)와 인접한 이송경로(20)에 설치된 제2핀치롤(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핀치롤(40)과 제2핀치롤(50)은 스트립(1)을 이송시키며, 이들 사이의 이송경로(20)에 존재하는 스트립(1)의 장력을 유지시킨다. 이송경로(20)의 지지롤들(21) 사이에는 페어오프릴(10)로부터 새로 공급되는 스트립(1) 선단부를 후속하는 지지롤(21)의 상부로 안내하는 경사안내판들(60)이 각각 설치된다.
페어오프릴(10)에서 풀리는 스트립(1)은 제1핀치롤(40)을 거쳐 다수의 지지롤(21)이 설치된 이송경로(20)로 공급되며, 제2핀치롤(50)을 거쳐 용접기(30) 쪽으로 공급될 수 있다. 스트립(1)의 공급이 어느 정도 진행된 후 스트립(1)이 제1핀치롤(40)과 제2핀치롤(50)에 각각 물린 상태에서는 스트립(1)에 적당히 장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스트립(1)의 안정적인 이송이 이루어진다.
한편, 페어오프릴(10)에서 새롭게 풀려 이송경로(20)로 공급되는 스트립(1)의 선단부는 제1핀치롤(40)을 지나 제2핀치롤(50)에 이르기까지 장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송된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이러한 스트립(1)의 선단부분은 이송과정에서 하면이 지지롤(21)이나 경사안내판들(60)에 스치면서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는 각 지지롤(21) 사이에 설치된 에어부상장치(100)가 이송되는 스트립(1)을 부상시킴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부상장치(100)는 스트립(1)의 하면으로부터 스트립(1)의 부상을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의 부상에어노즐(111), 이송되는 스트립(1)의 폭을 감지하는 폭감지장치(130), 폭감지장치(130)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복수의 부상에어노즐(111)을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스트립(1)의 부상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에어부상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한 예처럼 복수의 지지롤들(21)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부상에어노즐(111)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스트립(1) 하부에 스트립(1)의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에어가 공급되는 제1분사헤터(11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각 부상에어노즐(111)은 개별적으로 분사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각각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복수의 부상에어노즐(11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립(1) 하면에 에어를 고르게 분사하기 위해 에어를 확산시켜 분사할 수 있다. 제1분사헤터(112)의 입구에는 에어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된 에어공급관(113)이 연결되고, 에어공급관(113)에는 에어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개폐밸브(114)가 설치될 수 있다.
폭감지장치(130)는 스트립(1) 폭 측정을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의 측정에어노즐(131)과, 복수의 측정에어노즐(131)로부터 분사되는 에어를 감지하는 복수의 에어감지부(132)를 포함한다.
복수의 측정에어노즐(131)은 이송되는 스트립(1) 양측 에지 부분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복수개가 스트립(1)의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스트립(1)이 위치하는 상방을 향하여 에어를 분사한다. 복수의 측정에어노즐(131)은 복수의 에어감지부(132) 쪽으로 에어가 직진하도록 분사할 수 있다.
복수의 측정에어노즐(132)은 스트립(1) 하측에 폭방향으로 연장된 제2분사헤더(133)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2분사헤터(133)의 입구에는 에어공급원과 연결된 에어공급관(113)이 연결되고, 에어공급관(113)에는 에어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개폐밸브(134)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부상에어노즐(111)과 복수의 측정에어노즐(131)이 동일한 에어공급원으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복수의 에어감지부(13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측정에어노즐(131)로부터 상방으로 분사되는 에어를 각각 감지하도록 복수의 측정에어노즐(131) 상측에 대응하는 수로 마련된다.
복수의 에어감지부(132)는 측정에어노즐(131)로부터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움직이는 감지판(132a), 감지판(132a)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132b)를 포함한다. 센서(132b)는 리미트스위치 등일 수 있다. 복수의 에어감지부(132)는 스트립 이송경로(20) 상측에 설치된 지지부재(136)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부상에어노즐(111)과 복수의 측정에어노즐(13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가 분사되는 부분만 노출된 상태로 경사안내판(6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부상에어노즐(111)과 측정에어노즐(131)이 경사안내판(60) 하부에 배치되면, 스트립(1)과 노즐들이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스트립(1)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에어감지부(132)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이송되는 스트립(1)의 폭을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복수의 부상에어노즐(111)을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스트립(1)의 부상 정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측정에어노즐(131)과 복수의 에어감지부(132)를 포함하는 폭감지장치(130)를 제시하였으나, 폭감지장치(13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폭감지장치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등 비접촉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은 이러한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에어부상장치(100)는 페어오프릴(10)로부터 새롭게 풀리는 스트립(1)의 선단부가 제1핀치롤(40)을 거쳐 제2핀치롤(50)에 이르는 동안에 동작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스트립(1)을 상부로 부상시켜 스트립(1)이 경사안내판(60)에 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스트립(1) 선단부가 제2핀치롤(50)에 도달한 이후에도 에어부상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송되는 스트립(1)의 폭(W1,W2)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감지장치(13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스트립의 폭(W1,W2)은 복수의 측정에어노즐(131)로부터 분사되는 에어가 각각 복수의 에어감지부(132)에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즉 도 3의 예처럼 스트립의 폭(W1)이 좁으면 분사된 기류가 스트립(1)에 의해 가려지는 정도가 적으므로 에어감지부(132)에 감지되는 수가 많고, 스트립 폭(W2)이 넓으면 분사된 기류가 스트립(1)에 가려지는 정도가 많아지므로 에어감지부(132)에 감지되는 수가 작다. 폭감지장치(130)는 이러한 방식으로 스트립의 폭(W1,W2)을 측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폭(W1)의 스트립(1)이 이송될 때는 복수의 부상에어노즐(111) 중 가운데 쪽에 위치하는 일부만이 상방으로 에어를 분사한다. 즉 도 3의 예에서 가운데 3개의 부상에어노즐(111)이 상방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스트립(1)을 부상시킨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폭(W2)의 스트립(1)이 이송될 때는 복수의 부상에어노즐(111) 모두가 상방으로 에어를 분사한다.
이처럼 본 실시 예의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는 페어오프릴(10)에서 풀려 후속공정으로 이송되는 스트립(1)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스트립(1)을 부상시키기 때문에 스트립(1)의 선단부가 장력 없이 이송되는 경우에도 스트립(1)이 이송경로(20)의 구조물에 닿지 않는다. 따라서 스트립(1)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의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는 이송경로(20)로 진입하는 스트립(1)의 폭을 폭감지장치(130)가 감지하고, 이를 토대로 복수의 부상에어노즐(111)을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스트립(1)의 부상을 조절하기 때문에 스트립(1)을 늘 적당한 높이로 부상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10: 페어오프릴, 20: 이송경로,
30: 용접기, 40: 제1핀치롤,
50: 제2핀치롤, 60: 경사안내판,
100: 에어부상장치, 111: 부상에어노즐,
130: 폭감지장치, 131: 측정에어노즐,
132: 에어감지부, 150: 제어부.

Claims (7)

  1. 페어오프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핀치롤;
    상기 제1핀치롤과 이격된 위치의 이송경로에 마련된 제2핀치롤; 및
    상기 제1핀치롤과 상기 제2핀치롤 사이의 상기 이송경로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스트립 하면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스트립을 부상시키는 에어부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부상장치는,
    스트립의 하면으로부터 부상을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의 부상에어노즐;
    이송되는 스트립의 폭을 감지하는 폭감지장치; 및
    상기 폭감지장치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복수의 부상에어노즐을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스트립의 부상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상에어노즐은 스트립의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폭감지장치는
    스트립 양측 에지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복수개가 스트립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방으로 측정을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의 측정에어노즐; 및
    복수의 측정에어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에어를 감지하도록 복수의 측정에어노즐 상측에 배치된 복수의 에어감지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상에어노즐과 상기 복수의 측정에어노즐은 에어공급원으로부터 함께 에어를 공급 받는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어감지부는,
    상기 측정에어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움직이는 감지판; 및
    상기 감지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치롤과 상기 제2핀치롤 사이의 상기 이송경로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스트립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부상장치는 상기 복수의 지지롤 사이에 설치되는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롤 사이에 설치되며 스트립 선단을 후속 지지롤 상부로 안내하는 경사안내판을 더 포함하는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
KR1020170049936A 2017-04-18 2017-04-18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 KR20180116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936A KR20180116957A (ko) 2017-04-18 2017-04-18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936A KR20180116957A (ko) 2017-04-18 2017-04-18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957A true KR20180116957A (ko) 2018-10-26

Family

ID=6409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936A KR20180116957A (ko) 2017-04-18 2017-04-18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69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6081A1 (fr) * 2020-09-29 2021-07-16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Machine de transformation de produit amélioré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6081A1 (fr) * 2020-09-29 2021-07-16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Machine de transformation de produit amélioré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4716B2 (en) Cooling method of hot-rolled steel strip
CN110267748B (zh) 热轧钢板的冷却装置及热轧钢板的冷却方法
KR101320126B1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JP4605469B2 (ja) 搬送システム
KR20180116957A (ko) 스트립 이송 안내장치
US8167302B2 (en) Paper inverting device
CN108699707B (zh) 液体去除装置和液体去除方法
KR101344333B1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KR101225771B1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JP2007204278A (ja) 基板浮上搬送装置
KR101081885B1 (ko) 부상식 기판 코터 장치
JP2015131705A (ja) 帯状体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KR101298709B1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KR20090004045U (ko) 교정기의 형강 이송 장치
KR20190084571A (ko) 전극시트 이송 장치 및 방법
KR101344329B1 (ko) 소재 상향 교정 장치
JP6959582B2 (ja) 非接触式搬送装置における帯状基材の蛇行制御方法
JP5433261B2 (ja) シート状物案内装置
KR20130002212A (ko) 열연강판 표면 냉각수 제거 장치
KR101529192B1 (ko) 노즐 검사 장치 및 노즐 검사 방법
JPH0788554A (ja) ストリップ巻取機のサイドガイド設備
KR101193858B1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JPH0331465A (ja) フロータにおける蛇行矯正方法
KR20030035002A (ko) 브라이들롤의 스트립 쏠림 방지장치
KR100803986B1 (ko) 스트립의 중심 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