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713A -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713A
KR20180116713A KR1020170049393A KR20170049393A KR20180116713A KR 20180116713 A KR20180116713 A KR 20180116713A KR 1020170049393 A KR1020170049393 A KR 1020170049393A KR 20170049393 A KR20170049393 A KR 20170049393A KR 20180116713 A KR20180116713 A KR 20180116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virtual
player
virtual reality
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2392B1 (ko
Inventor
문현성
Original Assignee
문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성 filed Critical 문현성
Priority to KR1020170049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39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8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motion or position input signals, e.g. signals representing the rotation of an input controller or a player's arm motions sensed by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78Labyrinth g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36Characteristics of the input
    • A63F2009/2442Sensors or detectors
    • A63F2009/2447Motion detec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3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the game in ti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상현실 속에서 가상의 방을 탈출하는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밀폐된 방의 벽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출입문 장치; 상기 밀폐된 방 안에서 플레이어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장치; 상기 플레이어의 방향 정보를 감지하는 방향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가상현실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비주얼 장치; 상기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내 오브젝트에 대한 액션 정보를 제공하는 액션 장치; 상기 비주얼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가상현실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영상 처리 장치; 상기 가상현실 안에서 상기 밀폐된 방과 크기가 1:1로 매칭되고, 각각의 테마에 따라 내부가 가상 그래픽으로 구현되는 가상의 방을 포함하고, 해당 가상의 방을 탈출할 수 있는 룰을 포함하는 가상 방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 및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가상 방 데이터 중 미리 선택된 테마를 입력받아 상기 미리 선택된 테마가 적용된 가상의 방을 구현하고, 상기 출입문 장치, 상기 위치 감지 장치, 상기 비주얼 장치, 상기 액션 장치, 상기 영상 처리 장치, 및 상기 저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밀폐된 방 안의 플레이어의 위치와 움직임을 상기 가상현실 속 가상의 방 안의 플레이어의 위치와 움직임으로 매칭시키며, 상기 룰에 따라 상기 플레이어의 위치 정보와 상기 액션 장치의 액션 정보에 의해 만족된 특정 조건에서 방 탈출 게임이 클리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 따르면,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플레이어에게 방 탈출 게임의 다양한 테마에 따른 가상의 방을 제공함으로써, 방 탈출 게임에 대한 몰입감을 높이면서도 방 탈출 게임의 테마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테마마다 방을 설계하고 인테리어를 할 필요 없이 가상현실 속 가상의 방을 통해 동일한 방에서도 다양한 테마를 구현할 수 있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 탈출 게임의 테마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테마마다 방을 설계하고 인테리어를 해야 하는 물리적인 제약이 없어짐에 따라, 플레이어에게 다양한 테마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게임 플레이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 된 테마를 즉시 경험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GAME SYSTEM FOR ESCAPING FROM ROOM USING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된 가상의 방 안에서 방 탈출 게임이 진행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 탈출 게임은 플레이어가 문이 잠긴 방 안에 들어가서 제한 시간 내에 방을 탈출하는 게임이다. 방 탈출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방 안에 있는 각종 퍼즐이나 트릭을 풀어가며 잠긴 문과 자물쇠를 열 수 있고, 모든 퍼즐이나 트릭이 풀려야만 방을 탈출할 수 있다.
한편, 방 탈출 게임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방마다 판타지, 호러, 드라마 및 코믹 등의 테마가 정해져 있다. 이러한 테마는 플레이어를 이야기 속 주인공으로 설정하여 방 탈출에 대한 배경과 목적을 부여한다. 플레이어에게 보다 생생한 몰입감을 심어주기 위해서, 방 탈출 게임에 사용되는 각각의 방은 테마에 따라 설계되고 인테리어 된다. 따라서 방 탈출 게임은 플레이어가 테마를 선택하고, 해당 테마로 인테리어 된 방으로 들어 가 게임을 플레이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방 탈출 게임은 소모성 콘텐츠에 해당하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한 번 플레이를 하고 나면 동일한 테마로는 더 이상 플레이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방 탈출 게임에 사용되는 방은 해당 테마에 맞춰 설계되기 때문에, 한 번 인테리어 된 방의 테마를 바꾸기가 어렵다. 따라서 방 탈출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마스터(Game Master)는 플레이어에게 다양한 테마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수의 방을 마련하거나, 일정 주기마다 방의 인테리어를 재설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그래픽 기술의 발달로 VR(Virtual Reality) 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가상현실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 장치들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을 통해 플레이어는 보다 사실적인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게임 장치들의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1134008호 ‘가상현실 체감용 게임장치’ 등이 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플레이어에게 방 탈출 게임의 다양한 테마에 따른 가상의 방을 제공함으로써, 방 탈출 게임에 대한 몰입감을 높이면서도 방 탈출 게임의 테마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테마마다 방을 설계하고 인테리어를 할 필요 없이 가상현실 속 가상의 방을 통해 동일한 방에서도 다양한 테마를 구현할 수 있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한,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 탈출 게임의 테마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테마마다 방을 설계하고 인테리어를 해야 하는 물리적인 제약이 없어짐에 따라, 플레이어에게 다양한 테마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게임 플레이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 된 테마를 즉시 경험할 수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은,
가상현실 속에서 가상의 방을 탈출하는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밀폐된 방 안에서 플레이어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장치;
상기 플레이어의 방향 정보를 감지하는 방향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가상현실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비주얼 장치;
상기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내 오브젝트에 대한 액션 정보를 제공하는 액션 장치;
상기 비주얼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가상현실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영상 처리 장치;
상기 가상현실 안에서 상기 밀폐된 방과 매칭되고, 각각의 테마에 따라 내부가 가상 그래픽으로 구현되는 가상의 방을 포함하며, 해당 가상의 방을 탈출할 수 있는 룰을 포함하는 가상 방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 및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가상 방 데이터 중 미리 선택된 테마를 입력받아 상기 미리 선택된 테마가 적용된 가상의 방을 구현하고, 상기 위치 감지 장치, 상기 비주얼 장치, 상기 액션 장치, 상기 영상 처리 장치, 및 상기 저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밀폐된 방 안의 플레이어의 위치와 움직임을 상기 가상현실 속 가상의 방 안의 상기 플레이어의 위치와 움직임으로 매칭시키며, 상기 룰에 따라 상기 플레이어의 위치 정보와 상기 액션 장치의 액션 정보에 의해 만족된 특정 조건에서 방 탈출 게임이 클리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위치 감지 장치의 위치 정보, 상기 비주얼 장치의 방향 정보 및 상기 액션 장치의 액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가상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액션 장치의 액션 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의 오브젝트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선택된 테마의 난이도에 따라 남은 시간, 힌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게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션 장치는,
상기 액션 정보에 반응하여 상기 플레이어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되, 상기 피드백은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조건은 상기 가상의 방 안의 오브젝트에 의해 잠금 장치가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폐된 방과 상기 가상의 방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하나의 방을 탈출하면 다음 단계의 방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폐된 방의 벽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출입문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 따르면,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플레이어에게 방 탈출 게임의 다양한 테마에 따른 가상의 방을 제공함으로써, 방 탈출 게임에 대한 몰입감을 높이면서도 방 탈출 게임의 테마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테마마다 방을 설계하고 인테리어를 할 필요 없이 가상현실 속 가상의 방을 통해 동일한 방에서도 다양한 테마를 구현할 수 있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 탈출 게임의 테마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테마마다 방을 설계하고 인테리어를 해야 하는 물리적인 제약이 없어짐에 따라, 플레이어에게 다양한 테마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게임 플레이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 된 테마를 즉시 경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서 밀폐된 방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서 액션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서 플레이어가 가상현실의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서 가상의 방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서 영상 처리 장치에서 게임 정보를 출력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서 다른 테마가 적용된 가상의 방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은, 가상현실 속에서 가상의 방을 탈출하는 방 탈출 게임 시스템으로서, 위치 감지 장치(120), 비주얼 장치(130), 액션 장치(140), 영상 처리 장치(150), 저장 장치(160), 및 제어 장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의 방(200)은, 가상현실에서 구현되는 공간으로, 밀폐된 방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정신병동, 야외지역 등과 같이 다양한 공간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은, 밀폐된 방의 벽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출입문 장치(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서 밀폐된 방(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플레이어는 밀폐된 방(100) 안에 들어가 방 탈출 게임을 시작하게 된다. 밀폐된 방(100)은, 실제 현실에서 마련된 방으로, 직사각형, 정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원형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플레이어가 그 안에 들어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 방(100)은 방 탈출 게임의 테마에 따라 내부가 인테리어 될 필요가 없으며, 테마에 따라 인테리어 된 방은 후술되는 가상현실 속 가상의 방(200)으로 구현된다.
방 탈출 게임의 최종적인 목표는 제한 시간 내에 방 안에 있는 각종 오브젝트(퍼즐이나 트릭)를 조작함으로써 모든 잠금 장치를 해제하여 방을 탈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 탈출 게임은, 가상현실 속에서 플레이되므로 플레이어가 현실의 밀폐된 방(100)에서 나오지 못하도록 출입문이 별도의 장치에 의해 제어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플레이어에게 보다 사실적인 몰입감을 제공하기 위해 출입문 장치(110)로 출입문을 제어할 수 있다. 출입문 장치(110)는, 방 탈출 게임 플레이 중에는 플레이어가 실제로 밀폐된 방(100)에서 나오지 못하도록 잠겨있으며, 플레이어가 제한 시간 내에 모든 잠금 장치를 해제하여 방 탈출에 성공한 경우 또는, 플레이어가 모든 잠금 장치를 해제하지 못하여 제한 시간이 초과되고 방 탈출에 실패한 경우에만 열릴 수 있다.
위치 감지 장치(120)는, 밀폐된 방(100) 안에서 플레이어의 위치 정보를 감지한다. 플레이어는 현실의 밀폐된 방(100) 안에서 움직이게 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어의 위치는 가상현실 속 가상의 방(200) 안에서 플레이어의 위치와 서로 매칭된다. 따라서 위치 감지 장치(120)가 밀폐된 방(100) 안에서의 플레이어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가상현실 속 가상의 방(200) 안에서의 플레이어의 위치로 반영된다. 위치 감지 장치(120)는, 밀폐된 방(100)의 천장, 바닥 또는 벽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플레이어의 위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면 전술한 설치 장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위치 감지 장치(120)는, 플레이어가 착용하거나 소지하는 단말기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비주얼 장치(130)는, 가상현실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34)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34)은, 바람직하게는, 플레이어의 머리에 착용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주얼 장치(130)는, 플레이어의 방향 정보를 감지하는 방향 감지 모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플레이어가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34)에 출력되는 가상현실 또한 움직여야 하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서 액션 장치(140)를 도시한 도면이다. 액션 장치(140)는,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모듈(142)을 포함하고,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현실의 오브젝트에 대한 액션 정보를 제공한다. 비록 플레이어는 현실의 밀폐된 방(100) 안에 있으나, 실제 방 탈출 게임은 가상현실 속 가상의 방(200) 안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플레이어가 방을 탈출하기 위해서는 가상의 방(200) 안에 구비된 다양한 오브젝트를 조작하여 잠금 장치를 해제해야 하는데, 플레이어는 현실의 밀폐된 방(100) 안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현실 속 가상의 방 안의 오브젝트를 만질 수 없다. 따라서 액션 장치(140)는,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현실의 오브젝트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액션 정보는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위치와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액션 장치(140)에 의해 오브젝트에 대한 액션 정보가 제공되면, 오브젝트가 조작되는 위치와 방향을 알 수 있으므로, 액션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현실의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액션 장치(140)는, 도 3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어가 조작할 수 있는 컨트롤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정교하게 플레이어의 손가락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플레이어의 손에 장착하는 장갑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액션 장치(140)는, 액션 정보에 반응하여 플레이어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은,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가 가상현실의 오브젝트를 만진 경우, 액션 장치(140)는 진동을 발생시켜 플레이어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액션 장치(140)는, 가상현실의 오브젝트에 따라 조작 시 소리를 발생시켜 플레이어에게 보다 실감나는 가상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50)는, 비주얼 장치(130)의 디스플레이 모듈(134)에 가상현실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특히, 영상 처리 장치(150)는, 제어 장치(170)를 통해 위치 감지 장치(120)의 위치 정보, 비주얼 장치(130)의 방향 정보, 및 액션 장치(140)의 액션 정보를 이용하여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가상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가 오른쪽으로 고개를 돌리면, 영상 처리 장치(150)는 플레이어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34)에 출력되는 가상현실의 시야가 플레이어가 오른쪽으로 고개를 돌린 만큼 오른쪽으로 이동하도록 처리하여, 결과적으로 플레이어가 마치 가상현실 속에 있다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어가 앞으로 이동하면, 영상 처리 장치(150)는 플레이어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34)에 출력되는 가상현실의 시야가 플레이어가 이동한 만큼 더 확대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장치(150)는, 액션 장치(140)의 액션 정보에 따라 가상현실의 오브젝트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의 오브젝트가 퍼즐인 경우, 플레이어는 액션 장치(140)를 이용하여 퍼즐을 조작할 수 있는데, 영상 처리 장치(150)는, 액션 장치(140)에서 제공하는 액션 정보에 따라 퍼즐이 조작되는 모습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액션 정보에 따라 퍼즐이 조작되는 모습을 비주얼 장치(130)의 디스플레이 모듈(134)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가상현실의 오브젝트를 실제로 조작하는 것과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서 플레이어가 가상현실의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플레이어는 액션 장치(140)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내에서 오브젝트를 조작할 수 있으며, 오브젝트의 형태는 플레이어의 조작에 의해 변화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어는 액션 장치(140)를 통해 가상현실의 시계의 바늘을 조작하여 시계의 시침과 분침을 03:00로 조작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의 조작에 따라 현실의 시계와 같이 가상현실의 시계의 바늘이 돌아가며 시간이 설정된다. 한편, 가상현실의 오브젝트는 액션 장치(140)에 의해 조작되나, 가상현실에서는 플레이어가 마치 손으로 직접 조작하는 것처럼 구현될 수 있다.
저장 장치(160)는, 가상현실 안에서 밀폐된 방(100)과 매칭되고, 각각의 테마에 따라 내부가 가상 그래픽으로 구현되는 가상의 방(200)을 포함한다. 또한, 저장 장치(160)는 해당 가상의 방(200)을 탈출할 수 있는 룰을 포함하는 가상 방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서 가상의 방(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방(200)은, 도 2에 도시된 밀폐된 방(100)과 매칭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상현실 속 출입문 장치의 위치 또한 실제 출입문 장치(110)의 위치와 동일하게 매칭될 수 있다. 여기서, 밀폐된 방(100)과 가상의 방(200)이 매칭된다는 것은 플레이어의 밀폐된 방(100) 안에서의 공간이 가상현실 내 가상의 방(200)의 공간으로 구현되도록 매칭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은, 밀폐된 방(100) 안에서 플레이어가 움직이더라도, 실제 방 탈출 게임은 가상현실 속에서 플레이되므로 현실 속 밀폐된 방(100)과 가상현실 속 가상의 방(200)이 매칭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밀폐된 방(100)과 가상의 방(200)의 크기는 1:1로 매칭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밀폐된 방(100)의 크기는 10m×10m 이나 가상의 방(200)의 크기는 5m×5m 일 수 있으며,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또한, 밀폐된 방(100)의 실제 구조와 가상의 방(200)의 구조는 같은 구조가 아닐 수 있다.
한편, 밀폐된 방(100)과 가상의 방(200)의 크기가 1:1로 매칭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밀폐된 방(100)의 크기는 5m×5m이고, 가상의 방(200)의 크기는 10m×10m인 경우, 밀폐된 방(100)의 크기를 초과하는 나머지 공간은 가상현실 내에서 플레이어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밀폐된 방(100)의 벽에 부딪히지 않고 안전하게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
가상 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가상의 방(200)은 테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의 전체 크기와 출입문 장치(110)의 위치는 현실의 밀폐된 방(100)과 일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상의 방(200) 안의 인테리어나 오브젝트는 방 탈출 게임의 테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의 방(200)을 탈출할 수 있는 룰은, 가상의 방(200) 안에 있는 오브젝트의 조작 순서와 조작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시계의 예시와 같이, 먼저 시계를 특정 시간(03:00)으로 놓고 자물쇠의 비밀번호를 해당 시간(0300)으로 조작하는 경우, 잠금 장치가 해제되도록 룰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의 조작 순서는 시계가 첫 번째이고, 자물쇠가 두 번째이며, 조작 결과는 시계의 특정 시간(03:00)과, 자물쇠의 특정 비밀번호(0300)가 된다. 플레이어는 가상현실에서 룰에 포함된 오브젝트 조작 순서 및 조작 결과와 동일한 조건을 만족시켰을 경우에만 가상의 방(200)을 탈출할 수 있다.
제어 장치(170)는, 저장 장치(160)에 저장된 가상 방 데이터 중 미리 선택된 테마를 입력받아 미리 선택된 테마가 적용된 가상의 방(200)을 구현한다. 또한, 제어 장치(170)는, 위치 감지 장치(120), 비주얼 장치(130), 액션 장치(140), 영상 처리 장치(150), 및 저장 장치(160)를 제어하여, 밀폐된 방(100) 안의 플레이어의 위치와 움직임을 가상현실 속 가상의 방(200) 안의 플레이어의 위치와 움직임으로 매칭시킨다. 즉, 제어 장치(170)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170)의 제어를 통해 현실의 플레이어와 가상현실 속 플레이어가 매칭되며, 플레이어의 위치와 움직임은 영상 처리 장치(150)를 통해 가상현실에서 시각적으로 구현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 장치(100)는, 출입문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70)는, 룰에 따라 플레이어의 위치 정보와 액션 장치(140)의 액션 정보에 의해 만족된 특정 조건에서 방 탈출 게임이 클리어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특정 조건은 가상의 방(200) 안의 오브젝트에 설정된 잠금 장치가 해제된 상태를 의미하며, 잠금 장치는 복수일 수 있다. 즉, 제어 장치(170)는, 플레이어의 위치 정보에 의해 플레이어가 가상의 방(200) 안의 오브젝트가 있는 곳으로 이동했음을 판단하고, 액션 정보에 의해 해당 오브젝트를 조작하여 잠금 장치가 해제됐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가상의 방(200) 안의 오브젝트에 설정된 잠금 장치가 모두 풀리게 되면, 제어 장치(170)는 방 탈출 게임이 클리어됨에 따라 방 탈출 게임을 종료시킨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 장치(170)는, 방 탈출 게임이 클리어되었을 때 출입문 장치(110)를 개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서 영상 처리 장치(150)에서 게임 정보를 출력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 장치(150)는, 선택된 테마의 난이도에 따라 남은 시간, 힌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게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테마라고 하더라도 플레이어가 선택한 난이도에 따라 게임 내 힌트를 출력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남은 시간은 화면의 왼쪽 아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게임 내 힌트는 ‘?’ 표시로 가상의 방(200) 안의 오브젝트에 표현될 수 있다. 플레이어는 ‘?’ 표시가 표시된 오브젝트로 이동하여 이를 조작함으로써 현재 플레이어가 조작해야 하는 오브젝트가 무엇인지, 또는 어디에 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러한 게임 내 힌트가 출력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함으로써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서 다른 테마가 적용된 가상의 방(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70)는, 미리 선택된 테마가 적용된 가상의 방(200)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저장 장치(160)에는 테마별로 가상 그래픽이 구현된 가상의 방(200)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가상의 방(200)을 로드하여 즉시 방 탈출 게임의 테마를 변경할 수 있다. 실제 플레이어가 있는 밀폐된 방(100)은 동일한 방이라고 하더라도, 가상현실 속 가상의 방(200)이 테마에 따라 다르게 구현되므로 플레이어는 마치 다른 테마의 방에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는 동일한 방에서도 플레이어는 테마에 따라 가상현실 속 가상의 방(200)을 바꾸어가면서 다양한 방 탈출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서 밀폐된 방(100)과 가상의 방(20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하나의 방을 탈출하면 다음 단계의 방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다양하고 규모가 큰 방 탈출 게임을 위해서, 여러 개의 방을 연결하여 단계적으로 방을 탈출해나갈 수 있도록 방 탈출 게임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 2개를 연결하여 방 탈출 게임을 구성하는 경우, 플레이어가 먼저 첫 번째 방의 룰에 따라 특정 조건을 만족시켜 첫 번째 방을 탈출하고, 두 번째 방으로 이동하여 두 번째 방의 룰에 따라 특정 조건도 만족시키면 최종적으로 방을 탈출할 수 있도록 방 탈출 게임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플레이어는 하나의 밀폐된 방(100)에서만 위치하며, 첫 번째 가상의 방을 클리어 한 후, 가상현실 내 공간만을 두 번째 가상의 방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 내에서도 가상현실 속 가상의 방을 복수개로 구성함으로써, 전혀 상이한 테마를 서로 조합하여 다양한 방 탈출 게임을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 따르면,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플레이어에게 방 탈출 게임의 다양한 테마에 따른 가상의 방(200)을 제공함으로써, 방 탈출 게임에 대한 몰입감을 높이면서도 방 탈출 게임의 테마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테마마다 방을 설계하고 인테리어를 할 필요 없이 가상현실 속 가상의 방(200)을 통해 동일한 방에서도 다양한 테마를 구현할 수 있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 탈출 게임의 테마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테마마다 방을 설계하고 인테리어를 해야 하는 물리적인 제약이 없어짐에 따라, 플레이어에게 다양한 테마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게임 플레이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 된 테마를 즉시 경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밀폐된 방
110: 출입문 장치
120: 위치 감지 장치
130: 비주얼 장치
132: 방향 감지 모듈
134: 디스플레이 모듈
140: 액션 장치
142: 움직임 감지 모듈
150: 영상 처리 장치
160: 저장 장치
170: 제어 장치
200: 가상의 방

Claims (8)

  1. 가상현실 속에서 가상의 방을 탈출하는 방 탈출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밀폐된 방 안에서 플레이어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장치;
    상기 플레이어의 방향 정보를 감지하는 방향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가상현실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비주얼 장치;
    상기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내 오브젝트에 대한 액션 정보를 제공하는 액션 장치;
    상기 비주얼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가상현실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영상 처리 장치;
    상기 가상현실 안에서 상기 밀폐된 방과 매칭되고, 각각의 테마에 따라 내부가 가상 그래픽으로 구현되는 가상의 방을 포함하며, 해당 가상의 방을 탈출할 수 있는 룰을 포함하는 가상 방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 및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가상 방 데이터 중 미리 선택된 테마를 입력받아 상기 미리 선택된 테마가 적용된 가상의 방을 구현하고, 상기 위치 감지 장치, 상기 비주얼 장치, 상기 액션 장치, 상기 영상 처리 장치, 및 상기 저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밀폐된 방 안의 플레이어의 위치와 움직임을 상기 가상현실 속 가상의 방 안의 상기 플레이어의 위치와 움직임으로 매칭시키며, 상기 룰에 따라 상기 플레이어의 위치 정보와 상기 액션 장치의 액션 정보에 의해 만족된 특정 조건에서 방 탈출 게임이 클리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위치 감지 장치의 위치 정보, 상기 비주얼 장치의 방향 정보 및 상기 액션 장치의 액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가상현실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액션 장치의 액션 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의 오브젝트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선택된 테마의 난이도에 따라 남은 시간 및 힌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게임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션 장치는,
    상기 액션 정보에 반응하여 상기 플레이어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되, 상기 피드백은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건은 상기 가상의 방 안의 오브젝트에 의해 잠금 장치가 해제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방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하나의 방을 탈출하면 다음 단계의 방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된 방의 벽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출입문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
KR1020170049393A 2017-04-17 2017-04-17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 KR101952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393A KR101952392B1 (ko) 2017-04-17 2017-04-17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393A KR101952392B1 (ko) 2017-04-17 2017-04-17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713A true KR20180116713A (ko) 2018-10-25
KR101952392B1 KR101952392B1 (ko) 2019-02-26

Family

ID=64131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393A KR101952392B1 (ko) 2017-04-17 2017-04-17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3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247B1 (ko) * 2021-08-03 2021-10-27 주식회사 케이골프 골프 시뮬레이션을 위한 게임 맵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서버
CN113617018A (zh) * 2021-07-30 2021-11-09 上海瑞殷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vr的游戏进程引导系统及方法
CN113786602A (zh) * 2021-09-06 2021-12-14 广州博冠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密室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13087A (ko) * 2020-07-24 2022-02-04 (주)에이치오엔터테인먼트 회원 맞춤형 방탈출 게임 제공 시스템
KR102482392B1 (ko) * 2022-08-31 2022-12-29 (주)류컴 가전제품의 홍보 체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 탈출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6970A (ko) * 2009-04-23 2010-11-02 장준호 공간탈출게임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6970A (ko) * 2009-04-23 2010-11-02 장준호 공간탈출게임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VR방탈출 게임 이야기 VR연구소", 인터넷 네이버 포스트 게시글(2017.01.27.)* *
"아주 좁은 방 탈출하기 Vacate the Room VR Game 가상현실 게임 멀미왕 HTC VIVE Steam VR", 인터넷 유튜브 게시영상(2016.07.03.)*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087A (ko) * 2020-07-24 2022-02-04 (주)에이치오엔터테인먼트 회원 맞춤형 방탈출 게임 제공 시스템
CN113617018A (zh) * 2021-07-30 2021-11-09 上海瑞殷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vr的游戏进程引导系统及方法
KR102318247B1 (ko) * 2021-08-03 2021-10-27 주식회사 케이골프 골프 시뮬레이션을 위한 게임 맵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서버
CN113786602A (zh) * 2021-09-06 2021-12-14 广州博冠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密室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482392B1 (ko) * 2022-08-31 2022-12-29 (주)류컴 가전제품의 홍보 체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 탈출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392B1 (ko)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392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시스템
EP1228794B1 (en) Video game machine, player character action control method, and video game program
LaViola Jr Bringing VR and spatial 3D interaction to the masses through video games
EP1170041B1 (en) Method, video game device,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game
JP4919210B2 (ja) ビデオゲーム装置、ゲームの進行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1027910B1 (en) Game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recorded thereon
US8187094B2 (en) Game program
US2009019196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video game magic system
JP4167710B2 (ja)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AU2005202727A1 (en) Game system
KR101114997B1 (ko) 게임 소프트웨어 및 게임장치
JP2010035697A (ja) 遊技機
Jagoda Fabulously procedural: Braid, historical processing, and the videogame sensorium
JP2001517347A (ja) 多人数の触覚仮想環境
Osborn et al. Combat in games
JP2002200351A (ja) キャラクタに対するヒントを表示する処理を実行するゲーム制御方法、記録媒体、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741043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US20220319138A1 (en) Toy system for asymmetric multiplayer game play
US10307662B1 (en) Game system and method utilizing quantum phenomena as integral part of game play
JP2015180271A (ja) ビデオゲーム装置、ゲームの進行方法、サーバ装置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Low Understanding realism in computer games through phenomenology
KR20230161052A (ko) 사물인식, 공간맵핑을 활용한 ar 방탈출게임 모형 및 장치 제작 방법
JP2007252720A (ja) ジャンケンゲーム機
JPH07227478A (ja) 多画面型アミューズメントマシン
Schlarb Narrative Glitches: Action Adventure Games and Metaleptic Converg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