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569A - 조명거울 - Google Patents

조명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569A
KR20180116569A KR1020170049011A KR20170049011A KR20180116569A KR 20180116569 A KR20180116569 A KR 20180116569A KR 1020170049011 A KR1020170049011 A KR 1020170049011A KR 20170049011 A KR20170049011 A KR 20170049011A KR 20180116569 A KR20180116569 A KR 20180116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ghting
transparent member
lighting element
surfa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7131B1 (ko
Inventor
성진현
Original Assignee
성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진현 filed Critical 성진현
Priority to KR102017004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13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전용의 조명요소가 일체로 구비된 조명거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명거울은, 미러; 및 상기 미러 주연을 따라 제공되어 상기 미러와 결합되는 조명요소;를 포함하는 조명거울에 있어서, 상기 조명요소는 복수의 LED 소자를 장착한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에 제공되는 투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부재는 상기 LED 소자의 점광원을 면광으로 변환하는 면광전환부; 및 상기 미러를 수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는 상기 장착부 상부와 상기 면광전환부 내측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거울은, 조명요소를 LED 소자 및 투명부재로 구성하는 하는 한편, 투명부재를 면광형태의 광조사를 위한 기능적 요소로 활용하는 동시에 미러를 장착하기 위한 기구적 요소로 활용함으로써, 부품수 절감에 따른 조립성 및 거울의 형상이나 장식을 위한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박형이면서도 미러와 조명요소 상호간에 일체감 있는 세련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거울{LIGHTENING DEVICE INCORPORATIED MIRROR}
본 발명은 거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명요소가 구비된 조명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울은 외부 광원을 이용해 피사체를 반사시켜 시인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태양광과 같은 자연광이 차단된 실내에서는 인공적인 광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종래 백열등, 형광 램프 또는 LED 등의 통상의 실내 조명요소가 별도로 제공되어 거울 사용을 위해 직간접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거울 사용의 편의성 또는 장식 등의 목적으로 별도로 제공되는 실내 조명요소를 이용하는 대신에 전용의 조명요소를 거울 주연부를 따라 이격 또는 연속적으로 배치한 형태의 조명거울이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알려진 조명거울의 경우, 점광원 백열등 또는 선광원 형광 램프를 이용한 조명거울은 제작비용은 저렴하지만 조명요소 자체의 볼륨이나 형상에 의해 박형 제작이 어렵고 베젤영역에서의 조명요소와 미러간 일체성과 관련된 장식미 구현을 위한 설계 자유도에 한계가 있고, 조명요소의 결합에 수반되는 부품요소가 많아져 조립 및 제작과정이 복잡해지고, 또한 실내 직접조명에 필요한 고휘도의 조도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소요 전력량 및 조명요소의 볼륨이나 형상이 과도해져 장식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어 실제 적용에 있어서 불충분한 휘도하에서 간접조명의 열악한 장식 요소로만 구현가능한 한계가 있다. 또한 시트상 면발광 소재를 이용한 조명거울도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형태의 조명거울은 장식성이 우수하고 부품요소가 작은 장점은 있으나 거울 표면에 대해 별도의 가공 또는 처리가 필요하여 제작이 어렵고 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 대부분의 거울의 경우 거의 매일같이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거울 본연의 기능 외에 생활 및 사용과 관련된 다른 편의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성 및 거울의 형상이나 장식을 위한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고, 저비용 박형 제작이 가능하고, 조명요소가 미러의 베젤을 겸하면서도 미러와 조명요소 상호간에 일체감 있는 세련된 외관을 갖고, 이와 동시에 장식성 구현에 충분한 간접조명은 물론 장식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실내 직접조명에 필요한 휘도 구현이 용이한 저전력 소모형 조명거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활 및 사용의 편의성과 관련된 조명거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과제와 관련된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미러; 및 상기 미러 주연을 따라 제공되어 상기 미러와 결합되는 조명요소;를 포함하는 조명거울에 있어서, 상기 조명요소는 복수의 LED 소자를 장착한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에 제공되는 투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부재는 상기 LED 소자의 점광원을 면광으로 변환하는 면광전환부; 및 상기 미러를 수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는 상기 장착부 상부와 상기 면광전환부 내측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2) 상기 면광전환부은 하면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LED 소자 각각이 수용되는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직상방 상면에 형성되는 반사홈; 및 상기 수용홈을 제외한 영역에 가공된 반사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조명거울.
(3) 상기 반사패턴에 반사잉크가 일체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의 조명거울.
(4) 상기 조명요소는 상기 미러의 주연 형상에 따라 분할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조명거울.
(5) 상기 장착부의 상면과 미러의 배면 사이에 배치되어 조명요소와 결합되는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조명거울.
(6) 상기 보조부재는 분할 제작된 투명부재의 분할 지점을 연속적으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의 조명거울.
(7) 상기 회로기판의 배면에 배치되어 조명요소와 결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조명거울.
(8)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절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의 조명거울.
(9) 상기 미러와 조명요소이 결합은 상기 장착부의 내측면과 미러의 배면 경계에 제공되는 실링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조명거울.
(10) 상기 조명요소, 상기 보조부재 또는 상기 프레임은 상기 장착부를 매개롤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5) 또는 (6)의 조명거울.
(11) 상기 조명요소의 전기적 제어를 위한 터스 스위치 또는 액정시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조명거울.
(12) 상기 면광전환부의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복수의 LED 소자 각각의 직상방에 제공되는 장식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조명거울.
본 발명에 따른 조명거울은, 조명요소를 LED 소자 및 투명부재로 구성하는 하는 한편, 투명부재를 면광형태의 광조사를 위한 기능적 요소로 활용하는 동시에 미러를 장착하기 위한 기구적 요소로 활용함으로써, 부품수 절감에 따른 조립성 및 거울의 형상이나 장식을 위한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고, 저비용 박형 제작이 가능하고, 조명요소가 미러의 베젤을 겸하면서도 미러와 조명요소 상호간에 일체감 있는 세련된 외관 제공이 가능하고, 장식에 충분한 저휘도 간접조명은 물론 장식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실내 고휘도 직접조명을 저전력 소모형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거울은, 액정시계가 미러에 일체형으로 구비됨으로써 생활 및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의 정면도.
도 2는 도 1 조명거울의 A-A선 부분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부재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재 평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의 부분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 또는 균등물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선택적으로' 제공, 구비 또는 포함된다고 할 때, 이는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위한 필수적으로 채택되는 구성요소는 아니나 그러한 해결과제와 견련성을 가지고 임의적으로 채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10)의 정면도를, 도 2는 도 1 조명거울(10)의 A-A선 부분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조명거울(10)은 미러(100); 및 상기 미러(100) 주연을 따라 제공되어 상기 미러(100)와 결합되는 조명요소(2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조명요소(200)는 복수의 LED 소자(222)를 장착한 회로기판(220); 및 회로기판(220)의 상부에 제공되는 투명부재(210);를 포함한다. LED 소자(222)는 회로기판(220)의 장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투명부재(210)는 LED 소자(222)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면광형태의 출사광으로 유도하는 기능적 역할과 함께 미러(100)를 장착하기 위한 기구적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러한 LED 소자(222)는 휘도 대비 전력소비량의 낮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투명부재(210)에 대한 광학요소의 효율적 설계를 통해 저출력 LED 소자(222)를 사용하면서도 충분한 휘도 구현에 유리하다.
상기 투명부재(210)는 그 광학적 기능 및 기구적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 면광형태의 출사광을 유도하는 면광전환부(212)와, 미러(100)를 수용하는 장착부(21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투명부재(210) 중 적어도 면광전환부(212)는 아크릴이나 유리와 같은 광투과성이 양호한 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광전환부(212)는 미러(100)와의 일체감을 있는 외관을 구성하면서 그 베젤 영역을 구성하고, LED 광으로부터 조사된 광에 대해 반사, 확산 등의 광경로 제어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그 상면으로 균일한 면광형태의 출사광을 유도한다. 조명요소(200) 내지 조명거울(10) 전체의 박형 제작을 위해 면광전환부(212) 하면에서 회로기판(220)에 장착된 LED 소자(222)를 수용하는 수용홈(212a)이 구비되며, 광경로를 제어하기 위해 면광전환부(212)의 상면에 형성되는 반사홈(212b) 및 그 하면에 형성되는 반사패턴(212c)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반사잉크(212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12a)은 면광전환부(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각각의 수용홈(212a)은 각각의 LED 소자(222)를 수용함으로써 회로기판(220)의 상면은 투명소재의 하면에 기밀하게 밀착되고 이에 따라 전체 조명요소(200)의 두께를 박형으로 제작하기에 유리하다. 수용부 내측의 천정면(212a1)은 역반사면(212b1)으로 기능하여 조사광의 일부를 반사패턴(212c) 측으로 유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천정면(212a1)은 하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홈(212b)도 상기 수용홈(212a)과 마찬가지로 면광전환부(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되 수용홈(212a)에 대응하여 그 직상방 상면에 형성된다. 반사홈(212b)은 실시예에서와 같이 원뿔형으로 음각 형성됨으로써 반사홈(212b)에는 하방으로 예각 경사진 반사면(212b1)이 구비된다. 반사면(212b1)은 LED 소자(222)로부터 조사된 광의 일부를 면광전환부(212)의 하면 쪽으로 역반사하게 되고, 역반사된 조사광은 투명판 하면에 가공 형성된 반사패턴(212c)에 의해 재반사되어 면광전환부(212)의 상면으로 유도 출사된다.
상기 반사패턴(212c)은 상기 수용부 내측의 천정면(212a1) 또는 반사홈(212b)에 구비된 반사면(212b1)에 의한 역반사 광을 재반사, 산란 및 확산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도트형 또는 선형의 요철 패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면광전환부(212)의 상면으로 출사되는 광은 LED 소자(222)로부터의 직접 출사광과 역반사 및 재반사된 간접 출사광이 혼합된 형태를 이루고, 광의 산란, 확산 내지 혼합 효과가 증진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조도 및 고효율의 휘도를 갖는 면광을 조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반사패턴(212c)에는 스크린 인쇄 또는 스프레이 방식으로 반사잉크(212d)가 일체로 코팅될 수 있다. 반사잉크(212d)는 역반사된 광이나 내부에서 전반사된 광이 상기 반사패턴(212c)의 존재에 불구하고 면광전환부(212)의 하면으로 출사되거나 소멸되는 광을 최소화하여 광 전환 효율 및 출사되는 면상 광의 휘도를 극대화하는 한편, LED 소자(222)를 실장한 회로기판(220)이 광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열화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투명부재(210)의 장착부(211)는 미러(10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요소로서, 면광전환부(212) 내측으로 단차를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두면부재의 단면 ‘ㄴ’자 형상을 갖는다. 장착부(211)는 면광전환부(212)보다 두께가 얇기 때문에 장착부(211)의 상면 및 면광전환부(212)의 측면 내측으로 미러(100)가 완전하고도 견고하게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장착부(211) 두께 조절을 통해 단차 크기를 조절하고 미러(100)의 두께를 이러한 단차 크기에 일치하도록 설계한다면 면광전환부(212) 상면과 미러(100) 전면의 높이가 완전히 일치되어 미러(100)와 조명요소(200) 사이의 물리적 경계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은 일체감 있는 외관 형성이 가능하다. 한편, 면광전환부(212)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의 폭은 재료비를 고려하되 미러(100)의 수용지지의 목적에 비추어 가능한 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부재(210)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도 4는 회로기판(220)의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요소(200)를 구성하는 투명부재(210) 및/또는 회로기판(220)은 용이한 제작 및 조립을 위해 분할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조명요소(200)를 투명부재(210) 또는 회로기판(220)을 단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나, 투명부재(210) 또는 회로기판(220)을 미러(100)의 주연 형상을 따라 연속된 단일체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투명부재(210)를 금형으로 사출하거나 회로기판(220)을 회로 손상 없이 타공해야 하는 등의 정밀 가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임가공비가 상승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실시예에서는 직선 변을 갖는 사각 미러(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대체로 직선형의 투명부재(210) 및 회로기판(220)으로 4 분할 제작한 예를 나타내었다. 분할 제작시 투명부재(210)는 직선 압출 공정을 이용해 저비용으로 간단히 제작될 수 있고, 회로기판(220)의 경우도 타발 등과 같은 부수적인 공정에 의해 회로가 손상될 위험은 현저히 억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분할 제작된 투명부재(210) 및 회로기판(220)은 볼트(500)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이를 위해 투명부재(210) 및 회로기판(220) 각각에는 볼트 체결공(215, 225)이 형성된다. 이 경우, 분할 제작된 투명부재(210) 및 회로기판(220)이 볼트(500)로 체결된 상태에서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투명부재(210) 유닛 상호간의 분할 지점 간 경계(216)가 하나의 회로기판(220) 유닛에 의해 커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시예에서 투명부재(210) 유닛은 평면 형상은 사다리꼴을 이루어 조명거울(10)의 모서리 경계에서 맞대어져 그 경계(216)는 조명거울(10)을 중앙으로 사선으로 연장되는데, 이러한 투명부재(210) 유닛의 경계(216)는 평면 사각으로 제작된 회로기판(220) 유닛에 의해 연속적으로 커버됨으로써 볼트(500) 체결 후 조명요소(200) 조립체는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미러(100)와 조명요소(200) 조립체간 결합은, 미러(100)를 조명요소(200) 조립체 내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실링제(6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링제(600)는 장착부(211)의 내측면과 미러(100)의 배면 경계에 제공됨으로써, 조명거울(10)의 외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예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장착부(211)의 상면과 미러(100)의 배면 사이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추가적인 결합수단이 제공되어 미러(100)와 조명요소(200) 조립체 간 결합을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5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거울에서 선택적을 더 포함될 수 있는 보조부재(30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보조부재(300)는 조명거울(10)의 결합력 및 견고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는 조명요소(200) 조립체 자체 결합력 및 견고성과 조명요소(200)와 미러(100)간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측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조부재(30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강성 및 인성이 우수한 베크라이트와 같은 복합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부재(300)는 조명요소(200)를 구성하는 투명부재(210) 및 회로기판(220)과 마찬가지로 분할 제작되어 조명요소(200)의 장착부(211) 상면과 미러(100)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명요소(200)의 장착부(211)와의 결합은 볼트(500)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할 제작된 보조부재(300) 각각에는 길이방향으로 볼트 체결공(305)이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투명부재(210)와 회로기판(220) 간 결합에서와 마찬가지로, 볼트(500)로 체결된 상태에서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기 위해 보조부재(300) 유닛는 분할 제작된 투명부재(210)의 분할 지점을 연속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보조부재(300)유닛은 평면 ‘ㄷ’ 형상으로 이루어져 투명부재(210) 유닛 간 사선 경계(216)를 연속적으로 커버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한편 보조부재(300)와 조명요소(200)간 결합에 있어 그 사이에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양자간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부재(300)는 미러(100)의 두께와 조명요소(200) 중 장착부(211)의 두께차에 따른 미러(100) 표면과 조명요소(200) 중 면광전환부(212)의 표면 간 단차를 조절하여 외관 특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조명요소(200)의 장착부(211) 상면과 면광전환부(212) 상면 사이의 단차 크기가 정해진 경우에 이러한 단차 크기를 보상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미러(100) 두께가 단차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 보조부재(300)를 개재시킴으로써 미러(100) 표면이 면광전환부(212)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또는 전면으로 더 돌출시켜 외관 특성을 변경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명요소(200)와 볼트(500) 결합된 보조부재(300)의 조립체는 미러(100) 배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조명거울(10)의 외관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장착부(211) 및 보조부재(300)의 내측면과 미러(100)의 배면 경계에 제공되는 실링제(6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보조부재(300) 및 미러(100) 배면 간에는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거울에서 선택적을 더 포함될 수 있는 부재로서 프레임(40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프레임(400)은 상기 보조부재(300)와 유사하게 조명거울(10) 전체의 결합력 및 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과, 이와 동시에 조명거울(10)의 배면측으로 노출된 회로기판(22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기 또는 이물질에 의해 조명요소(200)가 고장 또는 기능장애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40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조명 거울의 측면 노출시 외관 특성에 유리하고 제작이 용이하고 충분한 강성을 갖는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00)의 ‘T’형 단면은 수평부(420) 및 수직부(430)로 구성된다. 수평부(420)는 회로기판(220)에 볼트(500) 결합되어 그 배면을 차폐하고 수직부(430)의 상단은 면광전환부(212)의 배면에 밀착됨으로써 그 내측에 위치하는 회로기판(220)의 측면 측을 차폐함으로써 회로기판(220)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완전히 차폐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부(430)는 조명거울(10)의 장착을 위한 연결브라켓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금속 재질의 프레임(400)을 길이 방향으로 볼트 체결공(405)이 형성된 단일체를 절곡성형한 것으로 예시하였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400)의 절곡 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프레임(400) 내측으로는 절개부(410)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400) 및 회로기판(220) 간 연결은 볼트 체결공(405)을 통과하여 볼트(500) 체결된다. 한편 프레임(400)의 연속된 구조로 인하여, 분할 제작된 회로기판(220)의 분할 지점은 프레임(400)에 의해 자연스럽게 연속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할 때, 조명거울(10)은 생활 및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미러(100)와 일체로 형성되는 조명요소(200)에 대한 전기적 제어를 위한 터치 스위치(700) 또는 액정시계(80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위치(700)에 의한 조명요소(200)에 대한 전기적 제어는 ON/OFF 기능은 물론 휘도 조절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사용환경에 따라 조명요소(200)를 장식성 구현을 위한 저휘도 간접조명 또는 실내에서의 고휘도 직접조명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위치(700) 또는 액정시계(800)의 배치는 반사 영상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적소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위치(700) 및 액정시계(800) 가 미러(100)의 하단 및 상단 각각에 배치된 예를 나타내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10)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면광전환부(212)의 상면에 제공되되, 복수의 LED 소자(222) 각각의 직상방에 제공되는 장식캡(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식캡(230)의 주연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237)이 구비되며, 면광전환부(212)에는 체결돌기(237)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체결홈(217)이 구비된다. 이러한 장식캡(230)은 복수의 LED 소자 각각으로부터의 직접 조사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조명요소의 외관 특성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조명요소를 박형으로 제작시 LED 소자(222) 직상방 영역에서의 LED 직접 출사광은 상기 장식캡(230)에 의해 확산 및 산란됨으로써 최종 출사면인 면광전환부(212)의 표면에서의 눈부심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조명 외관을 개선하고 장식효과를 동시에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장식캡(230)의 실시예에 예시된 반구형 외에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예컨대 기둥형, 뿔대형 또는 뿔형 중 어느 하나의 그룹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들을 조합한 그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장식캡(230)의 결합방식도 제시된 실시예에 따른 억지끼워맞춤 방식 외에, 장식캡(230)의 하단 주연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해당 플랜지를 투명판에 볼트 체결하는 방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거울(10)은, 조명요소(200)를 LED 소자(222) 및 투명부재(210)로 구성하는 하는 한편, 투명부재(210)를 면광형태의 광조사를 위한 기능적 요소로 활용하는 동시에 미러(100)를 장착하기 위한 기구적 요소로 활용함으로써, 부품수 절감에 따른 조립성 및 거울의 형상이나 장식을 위한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저비용 박형으로 제작 가능하고, 조명요소(200)가 미러(100)의 베젤을 겸하면서도 미러(100)와 조명요소(200) 상호간에 일체감 있는 세련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거울(10)은 장식에 충분한 저휘도 간접조명은 물론 장식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실내 고휘도 직접조명을 저전력 소모형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거울(10)은, 터치 스위치(700) 및 액정시계(800)가 미러(1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됨으로써 생활 및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사항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상기 조명요소(200)의 투명부재(210) 중 면광전환부(212) 외 장착부(211)는 불투명으로 구성할 수 있다. 투명부재(210)의 면광전환부(212) 및 장착부(211)는 동질 또는 이질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광전환부(212)에서의 광제어 과정에서 광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면광전환부(212)의 노출된 외측면 측으로 누설광을 차폐하기 위한 별도의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러(100)는 평면 또는 변은 예시된 사각 형상 외에 주연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원형 또는 타원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이 경우 조명요소(200)의 투명부재(210) 및 회로기판(220)과, 보조부재(300)의 분할 제작 형태는 제조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하되 특정 부재의 분할 지점 경계는 다른 부재에 의해 연속적으로 커버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부재(300)는 조명요소(200)의 다른 부재가 체결력 향상 또는 단차 크기를 보상하여 외관 특성을 개선 측면에서 제작환경에 따라 복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0: 조명거울
100: 미러
200: 조명요소
210: 투명부재
211: 장착부 212: 면광전환부
212a: 수용홈 212a1: 천정면
212b: 반사홈
212b1: 반사면
212c: 반사패턴 212d: 반사잉크
215: 체결공
216: 경계 217: 체결홈
220: 회로기판
222: LED 소자 225: 체결공
230: 장식캡
237: 체결돌기
300: 보조부재
305: 체결공
400: 프레임
405: 체결공 410: 절개부
420: 수평부 430: 수직부
500: 볼트
600: 실링제
700: 터치 스위치
800: 액정시계

Claims (12)

  1. 미러; 및 상기 미러 주연을 따라 제공되어 상기 미러와 결합되는 조명요소;를 포함하는 조명거울에 있어서, 상기 조명요소는 복수의 LED 소자를 장착한 회로기판; 및 회로기판의 상부에 제공되는 투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부재는 상기 LED 소자의 점광원을 면광으로 변환하는 면광전환부; 및 상기 미러를 수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는 상기 장착부 상부와 상기 면광전환부 내측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광전환부은 하면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LED 소자 각각이 수용되는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직상방 상면에 형성되는 반사홈; 및 상기 수용홈을 제외한 영역에 가공된 반사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패턴에 반사잉크가 일체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요소는 상기 미러의 주연 형상에 따라 분할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상면과 미러의 배면 사이에 배치되어 조명요소와 결합되는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분할 제작된 투명부재의 분할 지점을 연속적으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배면에 배치되어 조명요소와 결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절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와 조명요소이 결합은 상기 장착부의 내측면과 미러의 배면 경계에 제공되는 실링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10. 제1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요소, 상기 보조부재 또는 상기 프레임은 상기 장착부를 매개롤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에 상기 조명요소의 전기적 제어를 위한 터스 스위치 또는 액정시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광전환부의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복수의 LED 소자 각각의 직상방에 제공되는 장식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KR1020170049011A 2017-04-17 2017-04-17 조명거울 KR102017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011A KR102017131B1 (ko) 2017-04-17 2017-04-17 조명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011A KR102017131B1 (ko) 2017-04-17 2017-04-17 조명거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569A true KR20180116569A (ko) 2018-10-25
KR102017131B1 KR102017131B1 (ko) 2019-10-21

Family

ID=6413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011A KR102017131B1 (ko) 2017-04-17 2017-04-17 조명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1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369A (ja) * 1999-03-16 2000-09-26 Nagae Yoshitaka 照明付き鏡
JP2008073174A (ja) * 2006-09-20 2008-04-03 Wako Denken Kk 照明付き鏡
JP2011152330A (ja) * 2010-01-28 2011-08-11 Lixil Corp 照明付き鏡装置
JP2012516180A (ja) * 2009-01-30 2012-07-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ミラー面と照明ユニットとを有するミラー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369A (ja) * 1999-03-16 2000-09-26 Nagae Yoshitaka 照明付き鏡
JP2008073174A (ja) * 2006-09-20 2008-04-03 Wako Denken Kk 照明付き鏡
JP2012516180A (ja) * 2009-01-30 2012-07-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ミラー面と照明ユニットとを有するミラーユニット
JP2011152330A (ja) * 2010-01-28 2011-08-11 Lixil Corp 照明付き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131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0505B2 (ja) 面状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101657295B1 (ko) 직하형 led 면조명 장치
KR20170116071A (ko) 엠블럼을 조명하기 위한 광 조립체
US20060146576A1 (en) Backlight system
WO2011016271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US9062848B2 (en) Light source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including the light source device
EP2309170A1 (en) Embedded lamp with auxiliary illumination
JP2012164625A (ja) 照明器具
KR101078850B1 (ko)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KR101081232B1 (ko) 직하광원 방식의 엘이디 조명장치
KR101858062B1 (ko) 장식렌즈 및 이를 구비한 직하형 led 면조명 장치
JP2009283197A (ja) 照明器具
JP4917638B2 (ja) エッジライトパネル
KR20180116569A (ko) 조명거울
JP2009252447A (ja) 導光器、照明装置、表示装置
JP4471359B2 (ja) 自動販売機用の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20170309205A1 (en) Led module and sign box
KR100757746B1 (ko) 엘이디의 조도 향상을 위한 렌즈
CN210776108U (zh) 一种用于电视机背光模组的透镜
JP5853128B2 (ja) 照明器具
JPH0529442Y2 (ko)
CN220228870U (zh) 光学模组及灯具
KR200455818Y1 (ko) 광고판 발광다이오드용 반사컵
CN220154778U (zh) 补光灯和电子设备
CN219056105U (zh) 进气格栅总成及含有进气格栅总成的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