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041A - 소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조파 수조 - Google Patents

소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조파 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041A
KR20180116041A KR1020170048726A KR20170048726A KR20180116041A KR 20180116041 A KR20180116041 A KR 20180116041A KR 1020170048726 A KR1020170048726 A KR 1020170048726A KR 20170048726 A KR20170048726 A KR 20170048726A KR 20180116041 A KR20180116041 A KR 20180116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partition plate
region
height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3897B1 (ko
Inventor
김경성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8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89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02B1/02Hydraulic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파 장치(Wave generator)가 탑재된 2차원 수조의 효과적인 시험을 위한 소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조파 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 장치는 조파 수조의 내부공간에서 파(Wave)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내부 공간을 조파 영역과 소산 영역으로 구분하는 구획판과, 파(Wave)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구획판의 전측에 구비되는 소파 부재와, 상기 조파 수조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판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판의 상단은 상기 조파 영역 자유 표면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파(Wave)의 일부분을 상기 소산 영역으로 넘김으로써 에너지의 소산을 촉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파 장치의 설치 공간이 부족한 2차원 조파 수조 특히, 짧은 수조 길이를 가지는 조파 수조에서도 설치 공간을 크게 요구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적용되어 효과적인 소파가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소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조파 수조{ Wave absorbing device and Wave basin using of the same }
본 발명은 조파 장치(Wave generator)가 탑재된 2차원 수조의 효과적인 시험을 위한 소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조파 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파 장치가 탑재된 2차원 수조는 길이와 폭이 수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나 설치 공간의 제약에 의해 효과적인 실험을 위한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조파 장치에서 생성된 파(Wave)가 타측 벽면과 충돌한 이후 반사파(Reflection wave)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험 결과물의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2차원 조파 수조에는 조파 장치에서 생성된 파(Wave)의 에너지를 소산시키기 위해 소파기(Wave absorbing device)가 구비되고 있다.
도 1 에는 소파기가 구비된 2차원 조파 수조의 일반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2차원 조파 수조(Wave basin, 10)의 내부 공간에는 시험을 위한 유체가 수용되고, 일측 벽면에는 파(Wave)의 생성을 위한 조파기(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파 수조(10)의 타측 벽면에는 소파기(4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조파기(20)에서 생성된 파(Wave)의 에너지를 소산 시킨다.
일반적인 파의 에너지는 파정(wave crest)에서 가장 높고, 파곡(Wave trough)에서 가장 낮으며, 해안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파(Wave)가 부서지는 것으로 에너지가 소산 된다.
이에 따라, 소파기(40)의 형태는 주로 파(Wave)가 부서지도록 유도하여 에너지를 소산 시키는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타공 형태의 평판 또는 구조물의 형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파고(Wave height)가 높은, 즉 많은 양의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는 파(Wave)를 소산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소파기가 제안되고는 있으나, 소파의 효율성은 소파기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2차원 조파 수조의 경우 원활한 소파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실험 시 발생시킬 수 있는 파(Wave)의 형태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KRKR100307092 B1 KRKR20160006999 A KRKR20080065056 A
본 발명의 목적은 조파 수조의 내부공간을 조파 영역과 소산 영역으로 구분하고, 조파 영역에서 생성되는 파(Wave)로부터 에너지가 가장 집중되는 파정의 일부를 소산 영역으로 넘김으로써 에너지를 소산 시키는 소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파 영역과 소산 영역으로 구분되는 조파 수조의 내부공간에서 소파 부재를 통해 파(Wave)의 에너지를 1차 소산 시키고, 소파 부재의 용적을 넘어서 전달되는 파(Wave)로부터 파정의 일부를 소산 영역으로 넘김으로써 에너지를 소산 시키는 소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소파 장치가 구비되는 조파 수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 장치는 조파 수조의 내부공간에서 파(Wave)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내부 공간을 조파 영역과 소산 영역으로 구분하는 구획판과, 파(Wave)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구획판의 전측에 구비되는 소파 부재와, 상기 조파 수조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판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판의 상단은 상기 조파 영역 자유 표면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파(Wave)의 일부분을 상기 소산 영역으로 넘김으로써 에너지의 소산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판은 상기 레일을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파 부재는 상기 구획판과 연결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파 장치는 조파 수조의 내부공간에서 파(Wave)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내부 공간을 조파 영역과 소산 영역으로 구분하는 구획판과, 상기 조파 수조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판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판의 상단은 상기 조파 영역 자유 표면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파(Wave)의 일부분을 상기 소산 영역으로 넘김으로써 에너지의 소산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내부 공간에 시험을 위한 유체가 수용되는 조파 수조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파(Wave)를 생성하는 조파기와, 상기 내부 공간을 조파 영역과 소산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파(Wave)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판의 상단은 상기 조파 영역의 자유 표면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파(Wave)의 일부분을 상기 소산 영역으로 넘김으로써 에너지의 소산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판은 상기 레일을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파 영역에는 파(Wave)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구획판의 전측에서 파(Wave)의 에너지를 1차 소산시키기 위한 소파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조파 영역에 위치되어 파(Wave)의 에너지를 1차 소산시키기 위한 소파 부재가 더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구획판과 함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 장치는 조파 수조의 내부공간을 조파 영역과 소산 영역으로 구분하는 높이 조절부를 이용하여, 조파 수조에서 생성되는 파(Wave)로부터 에너지가 가장 높은 파정을 소산 영역으로 넘김으로써 파의 운동에너지를 위치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를 통해 에너지의 소산을 촉진시킨다.
따라서, 소파 장치의 설치 공간이 부족한 2차원 조파 수조 특히, 짧은 수조 길이를 가지는 조파 수조에서도 설치 공간을 크게 요구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적용되어 효과적인 소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파 장치에는 상기 높이조절부에 소파 부재를 더 구비하여 소파부재를 통해 파(Wave)의 에너지를 1차 소산 시키고, 소파부재의 용적을 넘어서 전달되는 파(Wave)로부터 파정의 일부를 소산 영역으로 넘겨 2차 소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소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소파 장치는 레일과 월류벽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월류벽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효과를 가지는 소파 장치가 포함되는 조파 수조는 다양한 수심에 적용 가능하며, 테스트의 정확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 은 소파기가 구비된 2차원 조파 수조의 일반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파 장치가 채용된 조파 수조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파 수조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부의 일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조파 수조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조파 수조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조파 수조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평면도.
도 8 은 소파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조파 수조에 대한 입자기반 전산유체 해석 모델.
도 9 는 도 2에 도시된 조파 수조의 실시 형태에 대한 입자기반 전산유체 해석 모델.
도 10 은 도 8 및 도 9 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중 조파기로부터 9m, 10m, 11m 떨어진 지점에서 파고의 변화를 비교 도시한 그래프.
도 11 은 도 1 에 도시된 조파 수조의 실시 형태에 대한 입자기반 전산유체 해석 모델.
도 12 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높이 조절부가 적용된 조파 수조에 대한 입자기반 전산유체 해석 모델.
도 13 은 도 11 및 도 12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중 조파기로부터 9m, 10m, 11m 떨어진 지점에서 파고의 변화를 비교 도시한 그래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소파 장치가 채용된 조파 수조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파 수조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부의 일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파 장치가 채용된 조파 수조(100)는 테스트 유체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에 높이 조절부(300)가 설치되어 조파 영역(200)과 소산 영역(400)이 구분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300)와 소산 영역(400)에 의해 조파기(20)로부터 생성되는 파(Wave)의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소파 장치가 형성된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소파 장치는 파(Wave)의 일부분을 상기 소산 영역(400)으로 넘김으로써 에너지의 소산을 촉진한다.
이를 위해 상기 높이 조절부(300)는 조파 수조(100)의 내부공간에서 파(Wave)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구획판(340)과, 상기 구획판(340)을 조파 수조(100)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레일(320)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320)은 파(Wave)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조파 수조(100)의 좌우 양측에 수조의 높이를 따라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340)은 조파 수조의 넓이(B)와 적어도 수조 높이(L)의 1/3 이상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레일(320)에 끼움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레일(320)에는 구획판(340)의 삽입을 위한 체결홈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판(340)은 요구되는 높이에 따라 복수개가 적층 형태로 설치되거나, 높이가 다른 복수의 구획판(340)을 구비하여 교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구획판(340)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파 장치는 조파 영역(200) 내 자유 표면의 높이와 일치시킴으로써 파(Wave)의 에너지를 소산 시킨다.
일반적으로 해양파를 정의하는 수식은 아래 [수식 1]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01
...................... [수식 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자유 표면 높이,
Figure pat00003
는 시간,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는 좌표계에서의 수평 및 수직 방향,
Figure pat00006
는 임의의 물리량을 나타냄)
그리고, 파(Wave)에 수반되는 압력은 아래 [수식 2]와 같은 압력방정식에서 2차 미소항을 생략한 [수식 3]의 방식으로 구할 수 있으며, [수식 3]에서 우변의 제2항은 정수압을 나타내고 압력 변동을
Figure pat00007
라 하면 [수식 4]와 같이 구할 수 있으며, 압력은 파고인
Figure pat00008
가 최고가 되는 파정에서 가장 높은 압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9
................[수식 2]
Figure pat00010
...........................................[수식 3]
Figure pat00011
........ [수식 4]
(여기서,
Figure pat00012
는 밀도,
Figure pat00013
는 진폭,
Figure pat00014
는 중력가속도,
Figure pat00015
는 수심,
Figure pat00016
는 파수,
Figure pat00017
는 각주파수를 나타냄)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소파 장치는 파(Wave)의 에너지가 가장 높은 부분인 파정의 유체가 구획판(340)을 넘어가도록 함으로써 파(Wave)의 운동에너지를 위치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를 통해 에너지의 소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조파 영역(200)에서 생성된 파(Wave)는 자유 표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는 상기 구획판(340)을 통과하면서 가장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파정의 유체가 구획판(340)을 넘어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넘어가는 파정의 유체는 소산 영역(400)으로 넘어간 이후 힘의 방향이 수조의 저면을 향하거나, 조파 수조(100)의 타측 벽면과 충돌 이후 구획판(340)에 의해 차폐되면서 소산 된다.
따라서, 조파 수조(100)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판(340)에 구분되는 조파 영역(200)과 소파 영역(400)은 각각 구획판(340)에 의해 차폐된 유체의 수용 공간일 수도 있고, 유체가 서로 연통되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소파 장치는 조파 영역(200)에서 생성된 파(Wave)의 에너지가 가장 높은 파정 부분의 에너지를 소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소산시킬 경우 효과적으로 반사파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획판(340)이 조파 영역(200)과 소산 영역(400)을 서로 독립적인 공간으로 형성하는 구조와 서로 연통되는 공간으로 형성하는 구조 모두 파정 부분의 에너지 소산이 가능하며, 서로 연통되는 경우에도 구획판(340)의 높이가 적어도 수조 높이(L) 대비 1/3 이상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소산 영역(400)으로 넘어온 파정 부분의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소산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높이 조절부(300)는 전술한 실시 예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도 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파 수조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구획판(3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레일(320)을 따라 등 간격으로 복수의 탄성돌기(342)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320)에는 상기 레일(32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구획판(340)의 모서리 일부분이 끼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획판 홀더(360)가 더 구비되며, 상기 구획판 홀더(360)에는 상기 탄성돌기(342)와 대응되는 크기의 고정홀(362)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획판 홀더(360)에 끼움 장착된 구획판(340)을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고정홀(362)과 탄성돌기(342)가 대응되는 높이에서 구획판(340)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다시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탄성돌기(342)를 가압하면서 구획판(340)을 이동시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파 수조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는 구획판(320)의 높이 조절이 승강 모터(39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세히, 본 실시 예에서 높이 조절부(300)는 상기 승강 모터(390)와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는 승강레일(322)과, 상기 승강레일(322)과 쌍을 이루어 상기 구획판(320)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324) 및 상기 가이드레일(324)과 승강레일(322)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구획판(32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구획판 홀더(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레일(322)은 커플러나 기어구조를 통해 상기 승강모터(39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외면에는 나선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레일(322)과 결합되는 구획판 홀더(360)에는 내부에 상기 승강레일(322)의 나선과 대응되는 내부 나선이 형성되어 승강레일(3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324)과 결합되는 구획판 홀더(360)에는 볼베어링이 구비된다. 따라서, 가이드레일(324)과 이와 결합되는 구획판 홀더(360)는 상기 승강레일(322)의 회전에 의해 구획판(320)이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마찰 저항을 줄이면서 구획판(320)의 상하 이동을 보조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아래에서 설명할 소파 부재를 더 구비하여 2차에 걸친 에너지 소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도 6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파 수조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7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들은 파(Wave)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구획판(320)의 전측에 파(Wave)의 1차 소산을 위한 소파 부재(380)가 더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소파 부재(380)는 다공성 구조물로 적어도 수조 높이(L)의 1/3 정도 높이를 가지면서 수조 넓이(B)와 대응되는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획판(320)과 이격된 위치에서 조파 수조(100)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구획판(320)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파 부재(380)는 구획판(320)에 설치되어 구획판(380)과 함께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구획판(320)에는 상기 소파 부재(380)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등의 설치구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구획판(320)의 높이 조절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320)이 대략“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파 부재(380)의 후단 일부분과 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소파 부재(380)는 후단 일부분의 형상이 상기 레일(320)과 대응되어 접하도록 형성되며, 이로 인해 소파 부재(380)가 구획판(320)과 함께 승강 이동하면서 좌우 측면이 안정적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로 형성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조파 수조(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에는 소파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조파 수조에 대한 입자기반 전산유체 해석 모델이 도시되어 있고, 도 9 에는 도 2에 도시된 조파 수조의 실시 형태에 대한 입자기반 전산유체 해석 모델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 에는 도 8 및 도 9 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중 조파기로부터 9m, 10m, 11m 떨어진 지점에서 파고의 변화를 비교 도시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도 8과 같이 조파기만 구비되는 2차원 조파수조(10)에서 조파기로부터 11미터 이격된 위치에서의 파고를 시계열로 표시하면 도 10에서 적색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파가 생성이 되고 그로 인해 파고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도 9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파 장치가 구비되는 경우, 높이 조절부(300)를 통해 파(Wave)의 파정 부분이 소산 영역(400)으로 넘어감에 따라 잔류 에너지가 소산되어 도 10에서 청색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파고의 변화가 거의 없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11 에는 도 1 에 도시된 조파 수조의 실시 형태에 대한 입자기반 전산유체 해석 모델이 도시되어 있고, 도 12 에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높이 조절부가 적용된 조파 수조에 대한 입자기반 전산유체 해석 모델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 에는 도 11 및 도 12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중 조파기로부터 9m, 10m, 11m 떨어진 지점에서 파고의 변화를 비교 도시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은 소파기가 구비되는 경우 본원 발명의 소파 장치가 가지는 작용효과를 비교 설명한다.
상세히, 2차원 조파수조(10)에 소파기(40)가 설치되는 구조(도 11)에서 조파기로부터 11미터 이격된 위치에서의 파고는 시계열로 도 13에서 적색 실선과 같이 도시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소파 장치가 구비된 구조(도 12)에서 조파기로부터 11미터 이격된 위치에서의 파고는 시계열로 도 13에서 청색 실선으로 도시되며 적색 실선에 비해 청색 실선이 파고의 변화가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소파 장치에서는 소파 부재(400)를 통과한 이후 높이 조절부(300)에 의해 2차 에너지 소산이 이루어짐에 따라 반사파의 생성이 억제됨으로써 파(Wave)의 위상변화가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파 장치를 이용하는 조파 수조(100)의 경우 반사파의 영향을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실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파 수조(100)의 길이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에너지 소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100........ 조파 수조 200........ 조파 영역
300........ 높이 조절부 320........ 레일
340........ 구획판 380........ 소파 부재
400........ 소산 영역

Claims (8)

  1. 조파 수조(100)의 내부공간에서 파(Wave)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내부 공간을 조파 영역(200)과 소산 영역(400)으로 구분하는 구획판(340);
    파(Wave)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구획판(340)의 전측에 구비되는 소파 부재(380);
    상기 조파 수조(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판(34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레일(320);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판(340)의 상단은 상기 조파 영역(200) 자유 표면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파(Wave)의 일부분을 상기 소산 영역(400)으로 넘김으로써 에너지의 소산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340)은 상기 레일(320)을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파 부재(200)는 상기 구획판(340)과 연결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장치.
  4. 조파 수조(100)의 내부공간에서 파(Wave)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내부 공간을 조파 영역(200)과 소산 영역(400)으로 구분하는 구획판(340);
    상기 조파 수조(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판(34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레일(320);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판(340)의 상단은 상기 조파 영역(200) 자유 표면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파(Wave)의 일부분을 상기 소산 영역(400)으로 넘김으로써 에너지의 소산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장치.
  5. 내부 공간에 시험을 위한 유체가 수용되는 조파 수조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파(Wave)를 생성하는 조파기(20);
    상기 내부 공간을 조파 영역(200)과 소산 영역(400)으로 구분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부(300)는,
    상기 파(Wave)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구획판(340)과,
    상기 구획판(34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레일(320)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판(340)의 상단은 상기 조파 영역(200)의 자유 표면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파(Wave)의 일부분을 상기 소산 영역(400)으로 넘김으로써 에너지의 소산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 수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340)은 상기 레일(320)을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 수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파 영역(200)에는 파(Wave)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구획판(340)의 전측에서 파(Wave)의 에너지를 1차 소산시키기 위한 소파 부재(3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 수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340)에는 상기 조파 영역(200)에 위치되어 파(Wave)의 에너지를 1차 소산시키기 위한 소파 부재(380)가 더 설치되어 상기 레일(320)을 따라 구획판(340)과 함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 수조.
KR1020170048726A 2017-04-14 2017-04-14 소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조파 수조 KR101963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726A KR101963897B1 (ko) 2017-04-14 2017-04-14 소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조파 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726A KR101963897B1 (ko) 2017-04-14 2017-04-14 소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조파 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041A true KR20180116041A (ko) 2018-10-24
KR101963897B1 KR101963897B1 (ko) 2019-07-31

Family

ID=64132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726A KR101963897B1 (ko) 2017-04-14 2017-04-14 소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조파 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054A (ko) 2019-10-14 2021-04-2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차원 파랑 재현 수조용 실험 모델 상부 위치 고정 및 높이 조정 지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092B1 (ko) 1998-12-05 2002-02-19 박병권 수평형타공판을이용한소파장치
KR20080065056A (ko) 2007-01-08 2008-07-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경사형 돈모판을 이용한 소파장치
KR20100047463A (ko) * 2008-10-29 2010-05-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다열 커든월―파일 방파제 구조
KR100978231B1 (ko) * 2009-12-24 2010-08-26 해양환경관리공단 인공해안이 설치된 조파수조
JP2015222206A (ja) * 2014-05-22 2015-12-10 株式会社Ihi 水理実験装置の水路設計方法
KR20160006999A (ko) 2014-07-10 2016-0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회전승강형 소파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092B1 (ko) 1998-12-05 2002-02-19 박병권 수평형타공판을이용한소파장치
KR20080065056A (ko) 2007-01-08 2008-07-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경사형 돈모판을 이용한 소파장치
KR20100047463A (ko) * 2008-10-29 2010-05-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다열 커든월―파일 방파제 구조
KR100978231B1 (ko) * 2009-12-24 2010-08-26 해양환경관리공단 인공해안이 설치된 조파수조
JP2015222206A (ja) * 2014-05-22 2015-12-10 株式会社Ihi 水理実験装置の水路設計方法
KR20160006999A (ko) 2014-07-10 2016-0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회전승강형 소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054A (ko) 2019-10-14 2021-04-2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차원 파랑 재현 수조용 실험 모델 상부 위치 고정 및 높이 조정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897B1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ng et al. Hydrodynamic performance of a pile-restrained WEC-type floating breakwater: An experimental study
KR101963897B1 (ko) 소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조파 수조
US8622658B2 (en) Pile to minimize noise transmission and method of pile driving
KR20120032942A (ko) 모형선 시험장치
CN202258736U (zh) 一种隔变压器噪音装置
KR101680472B1 (ko) 파력 발전 장치
JP2013060769A (ja) 津波防波堤
JP2015222206A (ja) 水理実験装置の水路設計方法
KR101312563B1 (ko) 부유식 방파제 및 그를 이용한 발전 장치
Naman et al. Multipath Geometry Channel Model in Shallow Water Acoustic Communication
JP5896640B2 (ja) 波エネルギー変換装置
JP2001020248A (ja) 消波構造物
WO2015136364A2 (en) Method and ghost attenuator for mitigating ghost effect
Mai On the role of aeration, elasticity and wave-structure interaction on hydrodynamic impact loading
US3177466A (en) Artificial sound channel
KR101674807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지지 장치
CN210526780U (zh) 一种可移动式水下超声清洗装置及海洋环境监测浮标
Vu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wave generator using an oscillating wedge
CHEN et al. Analytic study on acoustic interference pattern in shallow water
CN109982510A (zh) 一种pcb板在线切割装置的承托结构
CN213152630U (zh) 一种浅层地震勘查仪保护装置
JP2017020849A (ja) 渦検知装置および渦検知装置を用いたポンプ機場およびポンプ振動評価方法
Mumtaz et al. Hydraulic erosion patterns downstream of corrugated aprons: investigating free and submerged jet effects
JP2023141978A (ja) 水槽中での音響通信試験又は音響測位試験における音響反射影響の軽減方法、音響反射影響の評価方法、及び音響反射影響の軽減システム
KR20160056147A (ko) 시추선의 해수 유동 감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