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934A - 자동 주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주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934A
KR20180115934A KR1020170048442A KR20170048442A KR20180115934A KR 20180115934 A KR20180115934 A KR 20180115934A KR 1020170048442 A KR1020170048442 A KR 1020170048442A KR 20170048442 A KR20170048442 A KR 20170048442A KR 20180115934 A KR20180115934 A KR 20180115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syringe
main body
cylind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욱
정선회
김희찬
이정찬
김길제
김영호
박성우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70048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5934A/ko
Publication of KR20180115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8Means for causing or aiding aspiration or plunger re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5/31513Piston constructions to improve sealing or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25Dosing
    • A61M5/31528Dosing by means of rotational movements, e.g. screw-thread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45Setting modes for do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2005/3158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electrically dri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사 용액을 수용하는 주사기 실린더가 착탈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부를 갖는 본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주사기 실린더에 결합된 피스톤을 지지하는 피스톤 홀더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을 왕복 이동시키는 플런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플런저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리니어 구동부; 및 상기 거치부에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주사기 실린더를 홀딩 및 홀딩해제하는 한 쌍의 실린더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주사장치{AUTOMATIC IN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주사기를 장착하여, 주사량을 미세 조절하며 자동으로 주사할 수 있는 자동 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병의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약액을 체내에 주입하기 위해 주사기를 사용한다. 또한, 대형병원의 약제부 등에서는 주사액을 혼합 및 제조하는 업무 등에도 주사기를 사용한다.
통상, 주사기를 사용하여 피부에 약물을 주입하는 등의 약물을 다루는 경우, 한 손으로 주사기 실린더와 피스톤이 구비된 플런저를 잡은 상태에서 플런저를 밀어, 약물을 주입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이, 주사기로 약물을 주입할 때, 주사기 본체와 플런저를 잡은 손이 흔들릴 경우 주사 위치를 정확히 잡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플런저를 누르는 과정에서 손이 흔들릴 경우 주사바늘에 의해 피부가 상처를 입을 수 있는 등 안전성 측면에서 많은 위험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유리 조각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주사기에 필터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한 손으로 주사기 피스톤을 조절하는 것은 힘들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동작이 많은 주사 조제 업무 등에서 사용자들은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주사량을 미세 조절하며 자동으로 주사할 수 있는 자동 주사 장치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45554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의 자동 주사 장치는, 본체의 상측에 주사기가 장착되는 주사기 지지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주사기 지지대에 결합된 주사기 이송수단으로 주사기 지지대를 왕복이동시켜, 주사기의 피스톤에 결합된 피스톤 이송수단으로 피스톤을 이송시킴에 따라 주사기 내에 수용된 주사액이 주입되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 주사 장치는 그 구조상, 정해진 직경을 갖는 주사기만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다양한 직경을 갖는 주사기를 번갈아 가며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45554호(발명의 명칭: 자동주사장치, 등록일: 2007.07.2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사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주사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사량을 미세 조절하며 자동으로 주사할 수 있는 자동 주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 용액을 수용하는 주사기 실린더가 착탈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부를 갖는 본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주사기 실린더에 결합된 피스톤을 지지하는 피스톤 홀더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을 왕복 이동시키는 플런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플런저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리니어 구동부; 및 상기 거치부에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주사기 실린더를 홀딩 및 홀딩해제하는 한 쌍의 실린더 홀더를 포함하는, 자동 주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의 이동방향에 대해 가로로 상기 거치부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실린더 홀더가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니어 구동부는, 정역회전가능한 구동 액추에이터;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며,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축; 상기 나사축이 나사 결합되어, 상기 나사축과의 나사 운동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체의 직선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축; 및 상기 이동체와 상기 플런저를 연결하는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부에 마련된 한 쌍의 실린더 홀더를 상호 접근 및 이격시켜, 거치부에 거치된 주사기 실린더를 홀딩 및 홀딩해제함으로써, 주사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주사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사량을 미세 조절하며 자동으로 주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본체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본체의 상부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한 쌍의 실린더 홀더가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장치에 주사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플런저가 피스톤을 가압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플런저가 피스톤을 가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장치에 다른 주사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플런저가 피스톤을 가압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플런저가 피스톤을 가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장치(10)는 본체(11)와, 플런저(21)와, 리니어 구동부(31)와, 한 쌍의 실린더 홀더(61)를 포함한다.
본체(11)는 밀폐된 사각형 단면의 통 형상을 가진다.
본체(11)의 상부에는 주사기 실린더(3)가 거치되는 거치부(13)가 노출되게 마련되고, 본체(11)의 내부에는 리니어 구동부(31)가 밀폐 수용되어 있다. 리니어 구동부(31)가 본체(11)에 밀폐 수용됨에 따라, 본체(11)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리니어 구동부(31)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장치(10)를 지속적으로 소독하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거치부(13)에는 주사 용액을 수용하는 주사기 실린더(3)가 착탈가능하게 거치된다. 거치부(13)에는 한 쌍의 실린더 홀더(61)와 함께 주사기 실린더(3)의 자유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15)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체(11)에는 본체(11)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7)가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17)는 본체(11)의 하부 일측에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본체(11)는 전체적으로 권총의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본체(11)에는, 후술할 리니어 구동부(31)의 구동 액추에이터(33)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플런저(21)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19)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 버튼(19)은 누르는 정도에 따라 구동 액추에이터(33)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플런저(21)는 일정 길이의 봉 형상을 가지며, 거치부(13)와 대향하게 본체(11)의 상부에 배치된다. 거치부(13)를 향하는 플런저(21)의 단부에는 주사기 실린더(3)에 결합된 피스톤(5)을 지지하는 피스톤 홀더(23)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런저(21)가 직선 왕복이동함에 따라, 거치부(13)에 거치된 주사기 실린더(3)에 결합된 피스톤(5)을 왕복 이동시키게 된다.
리니어 구동부(31)는 본체(11)에 마련되어, 플런저(21)를 직선 왕복 이동시킨다. 리니어 구동부(31)는 구동 액추에이터(33)와, 나사축(41)과, 이동체(45)와, 가이드 축(51)과, 커플러(55)를 포함한다.
구동 액추에이터(33)는 플런저(21)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액추에이터(33)로서 구동 모터(35)와, 구동 모터(35)와 직결되어 감속하며 구동 모터(35)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기(37)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 액추에이터(33)는 정역회전한다. 여기서, 구동 액추에이터(33)로서 스텝 모터가 마련될 수도 있다.
나사축(41)은 일정 길이의 봉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수나사(43)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축(41)의 일단부는 구동 액추에이터(33)에 직결되어, 구체적으로는 구동 액추에이터(33)의 감속기(37)에 직결되고, 나사축(41)의 타단부는 본체(11)에 마련된 베어링(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나사축(41)은 구동 액추에이터(33)의 회전력에 의해 정역 회전한다.
이동체(45)는 블록 형상을 가지며, 나사축(41)에 나사 결합된다. 이동체(45)의 일단부는 나사축(41)에 나사 결합되고, 나사축(41)의 타단부는 가이드 축(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이동체(45)는 나사축(41)과의 나사 운동에 의해 나사축(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한다.
가이드 축(51)은 일정 길이의 봉 형상을 가지며, 나사축(41)과 나란하게 본체(11)에 마련된다. 가이드 축(51)에는 이동체(45)가 슬라이딩 결합되며, 이동체(45)의 직선 왕복 이동을 안내한다.
커플러(55)는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본체(11)에 인출입가능하게 마련된다. 커플러(55)의 일단부는 이동체(45)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플런저(21)에 연결된다.
한 쌍의 실린더 홀더(61)는 거치부(13)에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마련된다. 각 실린더 홀더(61)는 블록 형상을 가지며, 주사기 실린더(3)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각 실린더 홀더(61)의 내주면은 원호 단면형상을 가진다.
한편, 거치부(13)에는 한 쌍의 실린더 홀더(6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63)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63)는 플런저(21)의 이동방향에 대해 가로로 본체(11)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끼움턱의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63)에는 한 쌍의 실린더 홀더(61)가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실린더 홀더(61)는 플런저(21)의 중심 축선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게 가이드(63)에 끼움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함에 따라, 거치부(13)에 거치된 주사기 실린더(3)의 외주면에 상호 밀착 및 밀착해제하여 주사기 실린더(3)를 홀딩 및 홀딩해제한다. 이로써, 주사기 실린더(3)를 거치부(13)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장치(10)는 한 쌍의 보조 실린더 홀더(65)를 더 포함한다.
한 쌍의 보조 실린더 홀더(65)는 거치부(13)의 선단에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마련된다. 각 보조 실린더 홀더(65)는 블록 형상을 가지며, 주사기 실린더(3)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각 보조 실린더 홀더(65)의 내주면은 원호 단면형상을 가진다.
또한, 거치부(13)에는 한 쌍의 보조 실린더 홀더(65)의 이동을 안내하는 보조 가이드(67)가 마련되어 있다. 보조 가이드(67)는 플런저(21)의 이동방향에 대해 가로로 본체(11)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끼움턱의 형상을 가진다. 보조 가이드(67)에는 한 쌍의 보조 실린더 홀더(65)가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보조 실린더 홀더(65)는 플런저(21)의 중심 축선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게 보조 가이드(67)에 끼움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함에 따라, 거치부(13)에 거치된 주사기 실린더(3)의 선단부의 외주면에 상호 밀착 및 밀착해제하여, 한 쌍의 실린더 홀더(61)와 함께 주사기 실린더(3)를 홀딩 및 홀딩해제한다. 이로써, 주사기 실린더(3)를 거치부(13)에 좀 더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63)와 보조 가이드(67)가 본체(11)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끼움턱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63)는 본체(11)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된 끼움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한 쌍의 실린더 홀더(61)는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장치(10)는 구동 액추에이터(33)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71)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71)는 본체(11)의 손잡이(17)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된다. 본체(11)의 손잡이(17)에는 배터리(71)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포트(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참조부호 16은 격벽이다. 격벽(16)은 본체(11)의 하부에 마련되어, 구동 액추에이터(33)와 이동체(45)의 영역을 구획한다. 또한, 격벽은 나사축(41)이 관통 결합됨과 동시에, 가이드 축(51)을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장치(10)를 이용하여 주사 용액을 체내에 주사하는 과정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상, 피스톤(5)과 플런저(21)가 도 5의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전진 이동이라 하고, 피스톤(5)과 플런저(21)가 도 5의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후진 이동이라고 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 용액을 수용하며 피스톤(5)이 결합된 주사기(1)의 주사기 실린더(3)를 본체(11)의 거치부(13)에 거치한다.
이 때, 한 쌍의 실린더 홀더(61)와 한 쌍의 보조 실린더 홀더(65)를 각각 상호 이격시킨 상태에서, 주사기(1)의 피스톤(5)의 자유단부를 플런저(21)의 피스톤 홀더(23)에 끼움 결합함과 동시에, 플런저(21)를 향하는 주사기 실린더(3)의 단부를 한 쌍의 실린더 홀더(61)와 지지턱(15) 사이에 위치시킨 후, 한 쌍의 실린더 홀더(61)와 한 쌍의 보조 실린더 홀더(65)를 각각 상호 접근시켜 주사기 실린더(3)를 홀딩하여, 주사기(1)를 본체(11)에 장착한다.
이어서, 시술자가 본체(11)를 파지한 상태에서 주사기(1)의 주사 바늘(7)을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에 침투시킨 후, 플런저(21)가 주사기 실린더(3)를 향해 전진 이동하도록, 조작 버튼(19)을 조작한다.
조작 버튼(19)의 조작 신호에 의해, 구동 액추에이터(33)는 일방향으로 정회전하고, 구동 액추에이터(33)가 일방향으로 정회전함에 따라, 나사축(41) 또한 일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나사축(41)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체(45)는 나사축(41)과 나사 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이동체(45)는 가이드 축(51)에 의해 안내되며 나사축(41)을 따라 구동 액추에이터(33)를 향해 전진 이동하게 된다.
이동체(45)가 전진 이동함에 따라, 이동체(45)와 커플러(55)에 의해 연결된 플런저(21)가 주사기 실린더(3)를 향해 전진 이동하고, 플런저(21)의 전진 이동에 의해 피스톤(5) 또한 전진 이동하여, 주사기 실린더(3)에 수용된 주사 용액을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에 주입하게 된다. 이 때, 구동 액추에이터(33)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주사량 및 주사 속도를 미세 조절하며 자동으로 주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원하는 주사량의 주사가 완료되면, 조작 버튼(19)을 누름 해제하고, 주사기(1)의 주사 바늘(7)을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로부터 분리시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장치(10)를 피시술자로부터 이격시킨 후, 본체(11)에 거치된 주사기(1)를 본체(11)로부터 분리시켜 폐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 자동장치(10)를 이용하여, 주사기 실린더(3)에 주사 용액을 수용하는 과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스톤(5)이 주사 바늘(7)에 인접하게 주사기 실린더(3)에 결합되고, 주사기 실린더(3)가 거치부(13)에 거치된 상태에서, 주사 용액을 수용하는 주사 용액 용기에 주사 바늘(7)을 삽입한 후, 플런저(21)가 후진 이동하도록, 조작 버튼(19)을 조작한다.
조작 버튼(19)의 조작 신호에 의해, 구동 액추에이터(33)는 타방향으로 역회전하고, 나사축(41) 또한 타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나사축(41)이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체(45)는 나사축(41)과 나사 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이동체(45)는 가이드 축(51)에 의해 안내되며 나사축(41)을 따라 구동 액추에이터(33)의 반대 방향을 향해 후진 이동하게 된다.
이동체(45)가 후진 이동함에 따라, 플런저(21)가 주사기 실린더(3)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후진 이동하고, 플런저(21)의 후진 이동에 의해 피스톤(5) 또한 후진 이동하여, 주사기 실린더(3)와 피스톤(5) 사이의 공간 영역으로 주사 용액이 유입된다.
그리고, 원하는 주사 용액의 양이 주사기 실린더(3)에 수용되면, 조작 버튼(19)을 누름 해제하고, 주사기(1)의 주사 바늘(7)을 주사 용액 용기으로부터 분리시켜, 주사기(1)에 원하는 주사 용액의 양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장치(10)에 전술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주사기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주사기(1′)가 장착된 상태를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장치(10)에 플런저(21)가 피스톤(5)을 가압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플런저(21)가 피스톤(5)을 가압한 상태를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장치(10)에 주사기(1′)가 거치된 상태에서 주사 용액을 체내에 주사하기 위해, 플런저(21)가 피스톤(5)을 가압하는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부에 마련된 한 쌍의 실린더 홀더를 상호 접근 및 이격시켜, 거치부에 거치된 주사기 실린더를 홀딩 및 홀딩해제함으로써, 주사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주사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사량을 미세 조절하며 자동으로 주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주사하는 과정에서, 주사기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써 원하는 위치에 적절한 양의 주사 용액을 안전하게 주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약물 조제 작업 등과 같이 힘이 많이 들거나 반복적인 작업에 있어서,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실린더 홀더가 상호 접근 및 이격함에 따라 거치부에 거치된 주사기 실린더를 홀딩 및 홀딩해제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쌍의 실린더 홀더와 한 쌍의 보조 실린더 홀더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주사기 실린더가 거치부에 장착시 한 쌍의 실린더 홀더와 한 쌍의 보조 실린더 홀더의 각 자유단부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호 이격하면서 주사기 실린더가 한 쌍의 실린더 홀더와 한 쌍의 보조 실린더 홀더 사이에 끼움 결합된 후, 한 쌍의 실린더 홀더와 한 쌍의 보조 실린더 홀더의 각 자유단부가 자체 탄성력에 상호 접근하여, 주사기 실린더가 한 쌍의 실린더 홀더와 한 쌍의 보조 실린더 홀더에 후크 결합되어, 본체의 거치부에 거치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자동 주사장치
11 : 본체
13 : 거치부
17 : 손잡이
21 : 플런저
31 : 리니어 구동부
33 : 구동 액추에이터
41 : 나사축
45 : 이동체
51 : 가이드 축
61 : 실린더 홀더

Claims (5)

  1. 주사 용액을 수용하는 주사기 실린더가 착탈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부를 갖는 본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주사기 실린더에 결합된 피스톤을 지지하는 피스톤 홀더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을 왕복 이동시키는 플런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플런저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리니어 구동부; 및
    상기 거치부에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주사기 실린더를 홀딩 및 홀딩해제하는 한 쌍의 실린더 홀더를 포함하는, 자동 주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이동방향에 대해 가로로 상기 거치부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실린더 홀더가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자동 주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구동부는,
    정역회전가능한 구동 액추에이터;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며,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축;
    상기 나사축이 나사 결합되어, 상기 나사축과의 나사 운동에 의해 직선 왕복이동하는 이동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체의 직선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축; 및
    상기 이동체와 상기 플런저를 연결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자동 주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자동 주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자동 주사장치.
KR1020170048442A 2017-04-14 2017-04-14 자동 주사장치 KR20180115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442A KR20180115934A (ko) 2017-04-14 2017-04-14 자동 주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442A KR20180115934A (ko) 2017-04-14 2017-04-14 자동 주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934A true KR20180115934A (ko) 2018-10-24

Family

ID=6413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442A KR20180115934A (ko) 2017-04-14 2017-04-14 자동 주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5934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677B1 (ko) * 2018-12-17 2019-05-21 아크로웰 주식회사 주사액 배합장치
CN110051539A (zh) * 2019-05-28 2019-07-26 遵义医学院附属医院 一种注射器的辅助装置
CN114469278A (zh) * 2022-01-19 2022-05-13 刘前生 一种骨科关节处积液抽取设备
CN114906363A (zh) * 2022-05-05 2022-08-16 广州领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水光针自动灌装器
KR20220149251A (ko) *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인젝터용 구동장치
KR20230021530A (ko) * 2021-08-05 2023-02-14 장영환 분말 약제, 액상 약제 및 니들 내장형 자동 주사기 장치
KR20230021523A (ko) * 2021-08-05 2023-02-14 장영환 약액통과 니들이 내장된 자동 주사기 장치
KR20230021524A (ko) * 2021-08-05 2023-02-14 장영환 분말 약제, 액상 약제 및 니들 내장형 수동 주사기 조립체
KR20230021528A (ko) * 2021-08-05 2023-02-14 장영환 약액통과 니들이 내장된 자동 주사기 장치
KR20230021527A (ko) * 2021-08-05 2023-02-14 장영환 약액통과 니들이 내장된 자동 주사기 장치
KR20230021525A (ko) * 2021-08-05 2023-02-14 장영환 니들 내장형 자동 주사기 장치
KR102525448B1 (ko) * 2022-11-25 2023-04-25 주식회사 노투스팜 주사기 탈착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인젝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677B1 (ko) * 2018-12-17 2019-05-21 아크로웰 주식회사 주사액 배합장치
CN110051539A (zh) * 2019-05-28 2019-07-26 遵义医学院附属医院 一种注射器的辅助装置
KR20220149251A (ko) *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인젝터용 구동장치
KR20230021527A (ko) * 2021-08-05 2023-02-14 장영환 약액통과 니들이 내장된 자동 주사기 장치
KR20230021530A (ko) * 2021-08-05 2023-02-14 장영환 분말 약제, 액상 약제 및 니들 내장형 자동 주사기 장치
KR20230021523A (ko) * 2021-08-05 2023-02-14 장영환 약액통과 니들이 내장된 자동 주사기 장치
KR20230021524A (ko) * 2021-08-05 2023-02-14 장영환 분말 약제, 액상 약제 및 니들 내장형 수동 주사기 조립체
KR20230021528A (ko) * 2021-08-05 2023-02-14 장영환 약액통과 니들이 내장된 자동 주사기 장치
KR20230021525A (ko) * 2021-08-05 2023-02-14 장영환 니들 내장형 자동 주사기 장치
CN114469278A (zh) * 2022-01-19 2022-05-13 刘前生 一种骨科关节处积液抽取设备
CN114906363A (zh) * 2022-05-05 2022-08-16 广州领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水光针自动灌装器
CN114906363B (zh) * 2022-05-05 2024-05-24 广州领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水光针自动灌装器
KR102525448B1 (ko) * 2022-11-25 2023-04-25 주식회사 노투스팜 주사기 탈착의 편의성을 강화한 의료용 인젝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5934A (ko) 자동 주사장치
AU2001261790B2 (en) Fluid material dispensing syringe
JP3886453B2 (ja) 湿/乾自動注射器アセンブリ
JP6525972B2 (ja) 自己注射器用作動装置
KR101328443B1 (ko) 약물 주입장치
US20110218497A1 (en) Multiple-injection medical apparatus
KR101864360B1 (ko) 무선 충전 주사액 자동 주입장치
AU2001261790A1 (en) Fluid material dispensing syringe
MXPA01011493A (es) Aparato de inyeccion y metodo para su operacion.
WO2006090509A1 (ja) 歯科用カートリッジ式電動注射器における薬液注入速度制御方法及び装置
KR101705317B1 (ko) 주사기 결합식 자동약액주입장치
EP2249901A1 (en) Medical injection apparatus
CN106492311A (zh) 一种手持式可辅助注射器自动抽吸和注射的装置
EA032587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ничтожения игл для подкожных инъекций
KR101648056B1 (ko) 자동약액주입장치
KR101368920B1 (ko) 의료용 약물 주입장치
JP6789463B1 (ja) 電動注射器補助具
CN110051909B (zh) 可连续注射的无针注射器
KR20050117488A (ko) 약물주사용 건의 약물손실방지장치
CN108785081A (zh) 一种脚踏控制往返抽吸式配药装置及配药方法
KR100955988B1 (ko) 지방자동주입장치
KR20180060007A (ko) 보조 주사 장치
CN110418657A (zh) 牙科安全注射器
KR200323923Y1 (ko) 지방이식장치
CN113171518A (zh) 一种儿童辅助自动皮下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