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668A - 호흡기 마스크용 안면 밀봉부 - Google Patents

호흡기 마스크용 안면 밀봉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668A
KR20180115668A KR1020187014229A KR20187014229A KR20180115668A KR 20180115668 A KR20180115668 A KR 20180115668A KR 1020187014229 A KR1020187014229 A KR 1020187014229A KR 20187014229 A KR20187014229 A KR 20187014229A KR 20180115668 A KR20180115668 A KR 20180115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eal
user
face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린 카일 톰슨
아미 엘리자베스 콰이어링
에드워드 파워스 시몬즈
그레이엄 피터 윌슨
칼 에스코트 터커
크리스토퍼 워드
카일 데인 허드슨
Original Assignee
스코트 테크놀로지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코트 테크놀로지즈, 인크. filed Critical 스코트 테크놀로지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80115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05Means for improving the adaptation of the mask to the patient
    • A61M16/0616Means for improving the adaptation of the mask to the patient with face sealing means comprising a flap or membrane projecting inwards, such that sealing increases with increasing inhalation gas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83Holding devices therefor
    • A61M16/0694Chin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호흡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 및 입을 덮도록 구성된 본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사용자의 안면에 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시키도록 구성된 안면 밀봉부를 포함한다. 안면 밀봉부는 본체와 안면 사이에 밀봉의 제1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해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 표준 반사식 밀봉부를 포함한다. 안면 밀봉부는 또한 본체와 안면 사이에 밀봉의 제2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해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 역 반사식 밀봉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마스크 본체가 안면 밀봉부에 대해 적소(in place)에서 떠오르게 허용하며, 사용자가 말하고 있거나 자신의 안면을 이동시킬 경우라도 마스크와 안면 사이의 밀봉을 유지한다.

Description

호흡기 마스크용 안면 밀봉부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호흡 보호용 호흡기 마스크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은 착용자에게 향상된 쾌적함을 제공하는 호흡기 마스크 안면 밀봉부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 마스크들은, 기체들, 증기들, 에어로졸들(예를 들어, 먼지들, 안개들, 및/또는 생물학적 약제들) 등과 같은 유해한 재료들에 개인이 노출되는 환경들에서 사용된다. 호흡기 마스크들은 매우 다양한 타입들 및 사이즈들로 형성되며, 더 값싼 일회용 마스크들로부터 교체가능한 여과 카트리지들을 포함하는 더 높은 비용의 재사용가능한 마스크들까지 다양하다. 대부분의 호흡기 마스크들은 사용자의 안면에 대해 밀봉하는 안면 밀봉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안면 밀봉부들은 밀봉부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는 가요성 립(lip)들, 개스킷들, 쿠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사용자들이 비교적 쾌적하고 적절한 밀봉을 제공하는 마스크와의 맞춤(fit)을 달성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일부 사용자들은, 마스크의 안면 밀봉부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밀봉부가 생성되는 경우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일부 알려진 안면 밀봉부들은 사용자의 얼굴에 균등하지 않은 압력을 가하여, 안면 밀봉부의 더 높은 압력 영역들(일반적으로 "핫 스팟(hot spot)들"로 지칭됨)이 사용자 안면과의 불편한 접촉점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리하게, 표준 반사식 밀봉부(reflex seal)를 갖는 제1 부분 및 역 반사식 밀봉부를 갖는 제2 부분을 갖는 안면 밀봉부를 포함하는 호흡기 마스크, 특히 구비용(oronasal) 마스크를 제공한다. 제1 및 제2 부분들 각각은 개구를 갖는 U 형상을 한정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부분들의 개구는 상이한 방향들로 지향된다. 특히, 제1 부분의 U 형상의 개구는 사용자의 안면에서 멀어지게 지향되지만, 제2 부분의 U 형상의 개구는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지향된다. 달리 말하면, 사용자의 관점으로부터 단면으로 보았을 때, 제1 부분(표준 반사식 밀봉부)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볼록하지만, 제2 부분(역 반사식 밀봉부)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오목하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턱들 및 볼(cheek)들이 움직이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안면에 대해 우수한 밀봉을 제공한다. 이것은, 마스크의 본체가 밀봉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안면 위로 떠오르게(float) 안면 밀봉부의 제2 부분의 역 반사식 밀봉부가 허용하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구비용 호흡기 마스크는 상부 부분, 하부 부분, 및 안면 밀봉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안면 밀봉부는 상부 부분에 표준 반사식 부분을 갖고, 하부 부분에 역 반사식 밀봉 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은 제1 최하부 및 제1 개구를 갖는 U자형 단면 형상을 갖고, 역 반사식 밀봉 부분은 제2 최하부 및 제2 개구를 갖는 U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제1 개구는 제1 방향으로 지향되고, 제2 개구는 제2 방향으로 지향되며, 제1 및 제2 방향들은 상이하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본체는 내부 표면 및 내부 표면에 대향하는 외부 표면을 더 포함하며,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부 표면으로의 방향은 제1 방향이고, 외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표면으로의 방향은 제2 방향이고,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를 갖는 U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본체는 내부 표면 및 내부 표면에 대향하는 외부 표면을 더 포함하며,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부 표면으로의 방향은 제1 방향이고, 외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표면으로의 방향은 제2 방향이고, 역 반사식 밀봉 부분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를 갖는 U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부 표면으로의 방향은 제1 방향이고, 외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표면으로의 방향은 제2 방향이며,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은 제2 방향으로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벽, 제1 방향으로 본체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벽 - 제1 벽 및 제2 벽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함 -, 및 제1 벽과 제2 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접촉 표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부 표면으로의 방향은 제1 방향이고, 외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표면으로의 방향은 제2 방향이며, 역 반사식 밀봉 부분은 제1 방향으로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벽,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제1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벽, 및 제2 방향으로 제2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벽을 포함하고, 제1 벽 및 제3 벽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제3 벽은 접촉 표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은 상부 부분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어,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이 사용자의 코에 인접한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역 반사식 밀봉 부분은 하부 부분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어,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역 반사식 밀봉 부분이 사용자의 입에 인접한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호흡 마스크(respiratory mask) 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본체는 프레임 상으로 오버몰딩되고, 프레임은 제1 듀로미터(durometer)를 갖는 제1 재료로 구성되고, 본체 및 안면 밀봉부는 제2 듀로미터를 갖는 제2 재료로 구성되며, 제1 듀로미터는 제2 듀로미터보다 크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프레임 및 본체는 부착가능한 구성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함께 한정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안면 밀봉부는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과 역 반사식 밀봉 부분 사이에 전이 부분을 더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전이 부분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면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본체는 하니스(harness)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비용 호흡 마스크는, 상부 부분, 하부 부분, 및 안면 밀봉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안면 밀봉부는 상부 부분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볼록한 제1 밀봉부 - 볼록한 제1 밀봉부는 제1 방향으로 지향되는 개구를 한정하는 제1 U자형 단면 형상을 가짐 -, 및 하부 부분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오목한 제2 밀봉부 - 오목한 제2 밀봉부는 제2 방향으로 지향되는 개구를 한정하는 제2 U자형 단면 형상을 갖고,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서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반대임 - 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제1 방향은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멀어지고, 제2 방향은 사용자의 안면을 향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볼록한 제1 밀봉부는 제2 방향으로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벽, 제1 방향으로 본체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벽 - 제1 벽 및 제2 벽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함 -, 및 제1 벽과 제2 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밀봉 랜드(land)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오목한 제2 밀봉부는 제1 방향으로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벽,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제1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벽, 및 제2 방향으로 제2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벽을 가지며, 제1 벽 및 제3 벽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오목한 제2 밀봉부의 제3 벽은 밀봉 표면을 포함하며, 제3 벽은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밀봉 표면에서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안면 밀봉부는 본체와 단일의 통합 구조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비용 호흡 마스크는 제1 듀로미터를 갖는 제1 재료로 구성된 프레임 및 제1 듀로미터보다 작은 제2 듀로미터를 갖는 제2 재료로 구성된 본체를 포함하며, 본체는 프레임 상으로 오버몰딩되고 안면 밀봉부를 포함하고, 안면 밀봉부는 본체와 단일의 통합 구조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안면 밀봉부는 제1 벽, 제2 벽, 제1 벽과 제2 벽 사이에 한정된 제1 개구, 및 제1 개구에 대향하는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제1 접촉 표면을 갖는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을 가지며, 제1 벽 및 제2 벽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제1 개구는 제1 방향으로 지향되고, 제1 접촉 표면은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안면 밀봉부는 제3 벽, 제4 벽, 제3 벽과 제4 벽 사이에 한정된 제2 개구, 및 제4 벽 상의 제2 접촉 표면을 갖는 역 반사식 밀봉 부분을 추가로 가지며, 제2 개구는 제2 방향으로 지향되고,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서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반대이고, 제2 접촉 표면은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 1은 호흡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호흡기 마스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호흡기 마스크의 일부의 부분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호흡기 마스크의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호흡기 마스크의 단면 사시도이고,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호흡기 마스크의 단면을 예시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호흡기 마스크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유리하게, 표준 반사식 밀봉부를 갖는 제1 부분 및 역 반사식 밀봉부를 갖는 제2 부분을 갖는 안면 밀봉부를 포함하는 호흡기 마스크, 특히 구비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밀봉부의 제1 부분은, 사용자의 코 및 볼들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근접하게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맞물려서 밀봉을 사용자의 안면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부분은 구비용 마스크의 상부 부분에 존재한다. 밀봉부의 제2 부분은, 사용자의 입 및 턱끝(chin)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근접하게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맞물려서 밀봉을 사용자의 안면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제1 및 제2 부분들 각각은 개구를 갖는 U자형 단면 형상을 한정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부분들의 개구는 상이한 방향들로 지향된다. 특히, 제1 부분의 U 형상의 개구는 사용자의 안면에서 멀어지게 지향되지만, 제2 부분의 U 형상의 개구는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지향된다. 달리 말하면, 사용자의 관점으로부터 단면으로 보았을 때, 제1 부분(표준 반사식 밀봉부)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볼록하지만, 제2 부분(역 반사식 밀봉부)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오목하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턱들 및 볼들이 움직이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안면에 대해 우수한 밀봉을 제공한다. 이것은, 마스크의 본체가 사용자와 마스크 사이의 밀봉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안면 위로 "떠오르게" 안면 밀봉부의 제2 부분의 역 반사식 밀봉부가 허용하기 때문이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의 설명의 이점을 갖는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세부사항들로 본 개시내용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이해하는데 관련되는 그 특정 세부사항들만을 나타내는 도면들의 협약 심볼들에 의해 구성요소들이 적절한 곳에서 표현되었음을 유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최상부" 및 "최하부" 등과 같은 관계형 용어들은 하나의 엔티티 또는 요소를 다른 엔티티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고, 그러한 엔티티들 또는 요소들 사이의 임의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암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만을 설명하려는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념들을 제한하려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들은, 문맥상 명확하게 달리 표시되지 않으면, 복수형들을 또한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용어들 "구비", "구비하는", "포함" 및/또는 "포함하는"이 언급된 특성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성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구성요소들, 및/또는 그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달리 한정되지 않으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을 포함함)은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 및 관련 기술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그렇게 한정되지 않으면,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것임을 추가로 이해할 것이다.
이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하는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라 구성된 호흡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호흡기 마스크의 일 실시예가 도면들에 도시되고 일반적으로 "10"으로 지정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스크(10)는, 기체들, 증기들, 에어로졸들(이를테면, 먼지들, 안개들, 및/또는 생물학적 약제들) 등과 같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유해한 재료들에 사용자가 노출되는 환경들에서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도록 구성된 구비용 마스크이다. 마스크(10)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코 및 입을 덮도록 구성되는 본체(12)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0)는 사용자의 눈들을 덮지 않는 구비용 하프(half) 마스크이다. 그러나, 마스크(10)는 그러한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대안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타입의 마스크(10)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스크(10)의 본체(12)는 내부측(16) 및 내부측(16)에 대향하는 외부측(18)을 포함한다. 본체(12)는 코 영역(20)(마스크 본체(12)의 "상부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음) 및 입 영역(22)(마스크 본체(12)의 "하부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음)을 포함한다. 코 영역(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 영역(20)이 사용자의 코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위해 사용자의 코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코 영역(20)은 사용자의 상부 볼들의 일부들 및 코를 덮는다. 도 4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0)의 입 영역(22)은 사용자의 입을 덮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입 영역(22)은 입, 턱끝의 적어도 일부, 및 사용자의 하부 볼들의 일부들을 덮는다.
마스크(10)의 본체(12)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24)을 포함한다. 각각의 개구(24)는 교체가능한 필터 카트리지, 밸브, 공기 호스, 및/또는 스피치 모듈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부착가능한 구성요소들(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체(12)는 마스크(10)의 특정한 응용예 및 사용된 부착가능한 구성요소들의 수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개구들(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마스크(10)는 마스크 본체(12)를 사용자의 안면 상에 유지하고 그에 의해, 사용자의 코 및 입 위의 위치에 마스크(10)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니스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니스는, 마스크 본체(12)에 부착되어, 마스크(10)를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스트랩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마스크 본체(12)는 하니스가 커플링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부착 요소들(2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하니스가 임의의 다른 구조를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하니스는 재사용가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니스는 일회용이다. 하니스는 비교적 일반적인 살균 방법들로 살균하기에 비교적 용이한 재료들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제조된다.
마스크 본체(12)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본체(12)는 적어도 일부의 가요성을 본체(12)에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적합한 재료들의 예들은 열경화성 수지들, 열가소성 수지들, 탄성중합체들,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들, 쿠션재 및/또는 완충재, 형상 기억 재료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마스크 본체(12)는 사용자의 안면에 대해 마스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시키도록 구성되는 안면 밀봉부(26)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안면 밀봉부(26)는 밀봉부의 제1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 및 밀봉부의 제2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역 반사식 밀봉부(26b) 둘 모두를 포함한다.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 및 역 반사식 밀봉부(26b)는 총괄하여 "밀봉부(26)"으로 지칭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는 마스크 본체(12)의 코 영역(20)을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는 사용자의 코에 인접한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림으로써 사용자의 안면으로 본체(12)의 코 영역(2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 밀봉부(26)의 역 반사식 밀봉부(26b)는 마스크 본체(12)의 입 영역(22)을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역 반사식 밀봉부(26b)는 사용자의 입에 인접한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림으로써 사용자의 안면으로 본체(12)의 입 영역(2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시키도록 구성된다.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 및 역 반사식 밀봉부(26b)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제1 밀봉부" 및 "제2 밀봉부"로 각각 지칭될 수 있다.
도 2는 안면 밀봉부(26)의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마스크(10)의 일부의 부분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마스크 본체(12)의 코 영역(20)의 일부는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구성을 예시하기 위해 도 2로부터 절단되었다.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는 마스크 본체(12)의 코 영역(20)을 따라 연장되는 비교적 가요성인 립에 의해 한정된다. 예를 들어, 마스크(10)는, 본체(12) 및 밀봉부(26)가 몰딩되는 단단한 프레임(27)을 포함할 수 있다.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를 포함하는 전체 밀봉부(26)는 프레임(27)보다 낮은 듀로미터를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프레임(27)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같은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밀봉부(26)를 포함하는 마스크 본체(12)의 나머지는 실리콘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또는 프레임(27)보다 더 가요성인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는 방향 A(도면들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로 마스크 본체(12)로부터, 접촉 표면으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밀봉 랜드(30)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1 벽(28)을 포함한다. 제1 벽(28)의 방향 A는,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즉, 일반적으로는 마스크 본체(12)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즉,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제1 벽(28)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한 방향(즉, 방향 A)으로 마스크 본체(12)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도 2는 평행한 것으로 도시되지 않은 방향 A에 대한 2개의 화살표들을 도시한다. 방향 화살표들은 화살표들이 연관되는 마스크의 일부에 대해 도시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는 밀봉 랜드(30)로부터 제2 벽(32)의 자유단(34)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2 벽(32)을 포함한다. 즉, 제1 벽(28) 및 제2 벽(32)은 밀봉 랜드(30)에서 서로 교차한다. 제2 벽(32)은,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멀리 (즉, 일반적으로는 마스크 본체(12)를 향해) 연장되는 방향 B로 밀봉 랜드(30)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제1 벽(28) 및 제2 벽(32)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벽(28), 밀봉 랜드(30), 및 제2 벽(32)의 상대적인 기하구조는 U자형 단면 형상(즉, U자형 단면 형상)을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에 제공한다.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U 형상은, U 형상의 곡선형 부분을 형성하는 개구(36)와 대향하여 밀봉 랜드(30)에 의해 한정된 개구(36) 및 최하부(38)를 갖는다. 달리 말하면, 개구(36) 및 최하부(38) 각각은 제1 벽(28)과 제2 벽(32) 사이에서 연장되며, 서로 제1 벽(28) 및 제2 벽(32)의 대향 단부들 상에 존재한다. 최하부(38)는 또한 "꼭대기(apex)"로 지칭될 수 있으며, 제1 벽(28)과 제2 벽(32) 사이에서 연장된다.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구성 및 개구(36)의 방향 때문에 자유단(34)은 마스크(10)의 내부 내에 위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U 형상의 개구(36)는 방향 B에 있으며, 사용자의 안면 및 최하부(38)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즉,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U-형상의 개구(36)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밀봉 랜드(30)는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예시된 실시예는 마스크 본체(12)의 코 영역(20)을 따른 연속적인 밀봉 부재이다.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예시된 실시예는 본체(12)의 나머지와 단일의 통합 구조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적어도 제1 벽(28)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본체(12)의 나머지와 단일의 통합 구조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제1 벽(28) 및/또는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임의의 다른 구조는 마스크 본체(12)에 부착된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구조는 마스크 본체(12)에 부착된 재사용가능한 별개의 몰딩된 부재(예를 들어, 제1 벽(28))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마스크의 본체가 필터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많은 재사용가능한 호흡기 마스크들에서 일반적인 것처럼,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는 마스크 본체(12)의 필터링 구조(도시되지 않음)의 일부에 의해 한정된다.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는 적어도 일부 가요성으로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다양한 구조들, 이를테면 벽(28), 밀봉 랜드(30), 및/또는 벽(32)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구조들 중 하나 이상은,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가 일 범위의 상이한 안면들의 사이즈 및 형상에 따르도록 구성되기 위해 충분히 가요성이다. 예를 들어,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를 포함하는 밀봉부(26)의 가요성 때문에, 동일한 마스크가 상이한 안면 기하구조 및 특성부 사이즈들을 각각 갖는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재료들의 예들은 열경화성 수지들, 열가소성 수지들, 탄성중합체들,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들, 쿠션재 및/또는 완충재, 형상 기억 재료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재료(들), 가요성의 양, 치수들, 형상, 배향, 포지션, 위치 등과 같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다양한 구조들의 다양한 설계 파라미터들은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가 사용자의 안면에 미리 결정된 밀봉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3은 마스크(10)의 측 단면도이며, 마스크 본체(12)는 도 5의 라인 3-3을 따라 절단된다. 도 3은 안면 밀봉부(26)의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역 반사식 밀봉부(26b)는 마스크 본체(12)의 입 영역(22)을 따라 연장되는 비교적 가요성인 립에 의해 한정된다. 예를 들어, 역 반사식 밀봉부(26b)를 포함하는 전체 밀봉부(26)는 프레임(27)보다 낮은 듀로미터를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역 반사식 밀봉부(26b)는 방향 C로 마스크 본체(12)로부터 제2 벽(50)으로 연장되는 제1 벽(48)을 포함한다. 제1 벽(48)의 방향 C는,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멀리 (즉, 일반적으로는 마스크 본체(12)를 향해) 연장된다. 즉,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제1 벽(48)은 방향 C로 마스크 본체(12)로부터, 일반적으로는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역 반사식 밀봉부(26b)는 제2 벽(50)로부터 제3 벽(52)의 자유단(54)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3 벽(52)을 포함한다. 즉, 제1 벽(48) 및 제3 벽(52)은 제2 벽(50)에서 서로 교차한다. 제3 벽(52)은,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하는 (즉, 일반적으로는 마스크 본체(12)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방향 D로 제2 벽(50)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제1 벽(48) 및 제3 벽(52)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제3 벽(52)은 역 반사식 밀봉부(26b)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접촉 표면"으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제3 벽(52)의 밀봉 표면(55)은 역 반사식 밀봉부(26b)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밀봉 표면(55)은 밀봉 랜드 또는 접촉 표면으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제2 벽(50)은 밀봉 표면(55)을 사용자의 안면에 대해 가압하기 위한 반응성 밀봉력을 제공하도록 스프링처럼 기능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예시된 실시예는 마스크 본체(12)의 입 영역(22)을 따른 연속적인 밀봉 부재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벽(48), 제2 벽(50), 및 제3 벽(52)의 상대적인 기하구조는 U자형 단면 형상을 역 반사식 밀봉부(26b)에 제공한다.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U 형상은, U 형상의 곡선형 부분을 형성하는 개구(56)와 대향하여 제2 벽(50)에 의해 한정된 개구(56) 및 최하부(58)를 갖는다. 최하부(58)는 또한 "꼭대기"로 지칭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개구(56) 및 최하부(58)(및 제2 벽(50)) 각각은 제1 벽(48)과 제3 벽(52) 사이에서 연장되며, 서로 제1 벽(48) 및 제3 벽(52)의 대향 단부들 상에 존재한다.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U 형상의 개구(56)는 방향 D에 있으며,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연장된다. 즉,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U 형상의 개구(56)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포인팅된다. 도 4에서 최상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준 및 역 반사식 밀봉부들(26a 및 26b)의 U 형상들의 개구들(36 및 56)은 각각, 서로로부터 상이한 방향들로 포인팅된다. 즉,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U 형상은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멀리 방향 B로 펼쳐지고,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U 형상은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방향 D로 펼쳐진다.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예시된 실시예는 본체(12)의 나머지와 단일의 통합 구조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벽(48)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본체(12)의 나머지와 단일의 통합 구조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제1 벽(48) 및/또는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임의의 다른 구조는 마스크 본체(12)에 부착된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구조는 마스크 본체(12)에 부착된 재사용가능한 별개의 몰딩된 부재(예를 들어, 제1 벽(48))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마스크의 본체가 필터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많은 재사용가능한 호흡기 마스크들에서 일반적인 것처럼, 역 반사식 밀봉부(26b)는 마스크 본체(12)의 필터링 구조(도시되지 않음)의 일부에 의해 한정된다.
역 반사식 밀봉부(26b)는 적어도 일부 가요성으로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다양한 구조들, 이를테면 제1 벽(48), 제2 벽(50), 및/또는 제3 벽(52)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구조들 중 하나 이상은, 역 반사식 밀봉부(26b)가 일 범위의 상이한 안면들의 사이즈 및 형상에 따르도록 구성되기 위해 충분히 가요성이다. 예를 들어, 역 반사식 밀봉부(26b)를 포함하는 밀봉부의 가요성 때문에, 동일한 마스크가 상이한 안면 기하구조 및 특성부 사이즈들을 각각 갖는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재료들의 예들은 열경화성 수지들, 열가소성 수지들, 탄성중합체들,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들, 쿠션재 및/또는 완충재, 형상 기억 재료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재료(들), 가요성의 양, 치수들, 형상, 배향, 포지션, 위치 등과 같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다양한 구조들의 다양한 설계 파라미터들은 역 반사식 밀봉부(26b)가 사용자의 안면에 미리 결정된 밀봉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4는 (양식화된 사람의 안면으로 도시된)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마스크(10)의 단면을 예시한 마스크(10)의 단면 사시도이며, 마스크 본체(12)는 도 5의 라인 3-3을 따라 절단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마스크 본체(12)의 코 영역(20)은 사용자의 코를 덮는 반면, 마스크 본체(12)의 입 영역(22)은 사용자의 입을 덮는다. 마스크(10)의 안면 밀봉부(26)는 사용자의 안면에 마스크 본체(1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린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가 사용자의 상부 볼들 및 코를 덮도록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는 사용자의 코에 인접한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린다. 따라서,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예시된 실시예는 사용자의 안면으로 마스크 본체(12)의 코 영역(20)을 밀봉시킨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반사식 밀봉부(26b)가 사용자의 턱끝 및 하부 볼들을 덮도록 역 반사식 밀봉부(26b)는 사용자의 입에 인접한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린다. 따라서,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예시된 실시예는 사용자의 안면으로 마스크 본체(12)의 입 영역(22)을 밀봉시킨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 및 역 반사식 밀봉부(26b)는 마스크 본체(12)를 따라 그리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안면 주위에 연속적인 원주 밀봉 부재를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U 형상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멀리있는 개구(36)에서 방향 B로 펼쳐지는 반면,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U 형상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하는 개구(56)에서 방향 D로 펼쳐진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표준 및 역 반사식 밀봉부들(26a 및 26b)의 U 형상들의 개구들(36 및 56)은 각각, 서로로부터 상이한 방향들로, 즉 각각 방향들 B 및 D로 포인팅된다. 추가로, 위에서 설명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 및 역 반사식 밀봉부(26b)가 일반적으로 반대 방향들로 포인팅하는 개구들을 가진 U 형상들을 갖기 때문에 방향들 B 및 D는 서로 반대인 것으로 고려되지만,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마스크의 맞춤의 차이들은 방향들 B 및 D로 하여금 서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반대, 예를 들어, 180° ± 45°이게 할 수 있다. 마스크(10)의 하니스가 사용자의 머리 주위에 조여질 경우,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 및 역 반사식 밀봉부(26b)는 마스크 본체(12)가 사용자의 안면에 대해 상이한 방향들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는 하니스가 조여질 경우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멀리 마스크 본체(12)를 밀어낸다. 역 반사식 밀봉부(26b)는 마스크 본체(12)가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멀리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이는, 비교적 연속적인 균등하게 분배된 압력을 안면 밀봉부(26)를 따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와 역 반사식 밀봉부(26b) 사이의 마스크 본체(12) 내의 전이 부분(64)을 도시하는 마스크(10)의 측면도이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표준 및 역 반사식 밀봉부들(26a 및 26b)의 U 형상들의 개구들(36 및 56)은 각각, 상이한 방향들로 포인팅된다. 부가적으로, 역 반사식 밀봉부(26b)는 마스크 본체(12)로부터 멀리 지향되고 마스크의 외부에 노출되는 자유단(54)을 포함하지만,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자유단(34)은 마스크의 내부 내에 위치된다. 측면으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는 볼록하고, 역 반사식 밀봉부(26b)는 오목하다. 따라서, 밀봉부(26)는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와 역 반사식 밀봉부(26b) 사이에 전이 부분(64)을 포함하며, 여기서, 밀봉부(26)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오목하거나 볼록하지 않다. 마스크 본체(12)는 제1 단부(66), 제2 단부(68), 및 제1 단부(66)와 제2 단부(68) 사이에서 연장되는 거리를 포함한다. 전이 부분(64)은 제1 단부(66)와 제2 단부(68) 사이의 대략 중간에 위치될 수 있지만, 전이 부분(64)은 주어진 사용자의 안면에 대해 최상의 밀봉을 제공할 마스크 본체(12)의 길이를 따른 임의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U 형상과 방향 D를 따른 개구(56)의 배향은 마스크 본체(12)로부터 사용자의 볼들 및 턱끝을 격리시키며, 이는 사용자가 이동할 때 마스크(10)가 떠오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역 반사식 밀봉부(26b)는 사용자의 움직임 동안 역 반사식 밀봉부(26b)와 꼭 맞게 맞물리는 (그리고 그에 따라 밀봉되는) 것처럼 사용자의 턱끝을 유지시킨다. 즉, 역 반사식 밀봉부(26b)는 안면 밀봉부(26)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밀봉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사용자 및 마스크(10)가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밀봉 표면(55)은 알려진 표준 반사식 밀봉부들의 밀봉 랜드들보다 더 큰 표면적을 가지며, 이는 더 큰 영역에 걸쳐 밀봉력을 확산시킬 수 있고, 밀봉부(26b)의 쾌적함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리고/또는 역 반사식 밀봉부(26b)가 알려진 표준 반사식 밀봉부들보다 일 범위의 상이한 안면들의 사이즈 및 형상에 더 양호하게 따를 수 있게 하고 그에 의해, 그 범위의 상이한 안면들과의 밀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시된 안면 밀봉부(26)는 사용자의 모든 각각의 움직임에 따라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알려진 호흡기 마스크들보다 더 높은 맞춤 인자를 초래할 수 있다. 안면 밀봉부(26)에 의해 제공되는 향상된 쾌적함 및 맞춤은, 마스크가 한번에 수시간 동안 착용되는 경우라도 더 양호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안면 밀봉부(26)는 적절한 개인 보호 장비(PPE)를 착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인내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안면 밀봉부(26)의 역 반사식 밀봉부(26b)는 사용자의 턱끝 및 하부 볼들에 따라 연속적이고 균등하게 분배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안면 밀봉부의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는 일 범위의 상이한 안면들의 사이즈 및 형상을 따를 수 있다. 마스크 본체(10)의 상부 부분에서의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의 기하구조는, 비교적 급속하게 방향을 변화시키는 형상들을 갖는 볼 및 코 영역에서 사용자의 안면에 따르는 반면, 마스크 본체(10)의 하부 부분에서의 역 반사식 밀봉부(26b)의 기하구조는, 더 균일한 형상을 갖고 사용자의 볼 및 코 영역에서와 같이 급속하게 방향을 변화시키지는 않을 수 있는 사용자의 턱끝에 대해 큰 쾌적한 영역을 제공한다. 따라서, 역 반사식 밀봉부(26b)와 결합된 표준 반사식 밀봉부(26a)를 갖는 안면 밀봉부(26)의 하이브리드 설계는 알려진 호흡기 마스크 안면 밀봉부들과 비교할 때 개선된 쾌적함 및 맞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리하게, 표준 반사식 밀봉부를 갖는 제1 부분(26a) 및 역 반사식 밀봉부를 갖는 제2 부분(26b)을 갖는 안면 밀봉부(26)를 포함하는 호흡기 마스크(10), 특히 구비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제1 부분(26a) 및 제2 부분(26b) 각각은 개구(36, 56)를 갖는 U 형상을 각각 한정할 수 있으며, 제1 부분(26a) 및 제2 부분(26b)의 개구(36, 56)는 상이한 방향들로 지향된다. 특히, 제1 부분(26a)의 U 형상의 개구(36)는 사용자의 안면에서 멀어지게 지향되지만, 제2 부분(26b)의 U 형상의 개구(56)는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지향된다. 달리 말하면, 사용자의 관점으로부터 단면으로 보았을 때, 제1 부분(표준 반사식 밀봉부)(26a)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볼록하지만, 제2 부분(역 반사식 밀봉부)(26b)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오목하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턱들 및 볼들이 움직이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안면에 대해 우수한 밀봉을 제공한다. 이것은, 마스크의 본체(12)가 안면 밀봉부(26)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밀봉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안면 위로 떠오르게 안면 밀봉부(26)의 제2 부분의 역 반사식 밀봉부(26b)가 허용하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구비용 호흡기 마스크(10)는 상부 부분(20), 하부 부분(22), 및 안면 밀봉부(26)를 포함하는 본체(12)를 포함하며, 안면 밀봉부(26)는 상부 부분(20)에 표준 반사식 부분(26a)을 갖고, 하부 부분(22)에 역 반사식 밀봉 부분(26b)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26a)은 제1 최하부(38) 및 제1 개구(36)를 갖는 U자형 단면 형상을 갖고, 역 반사식 밀봉 부분(26b)은 제2 최하부(58) 및 제2 개구(56)를 갖는 U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제1 개구(36)는 제1 방향으로 지향되고, 제2 개구(56)는 제2 방향으로 지향되며, 제1 및 제2 방향들은 상이하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본체(12)는 내부 표면(16) 및 내부 표면(16)에 대향하는 외부 표면(18)을 더 포함하며, 내부 표면(16)으로부터 외부 표면(18)으로의 방향은 제1 방향이고, 외부 표면(18)으로부터 내부 표면(16)으로의 방향은 제2 방향이고,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26a)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36)를 갖는 U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본체(12)는 내부 표면(16) 및 내부 표면(16)에 대향하는 외부 표면(18)을 더 포함하며, 내부 표면(16)으로부터 외부 표면(18)으로의 방향은 제1 방향이고, 외부 표면(18)으로부터 내부 표면(16)으로의 방향은 제2 방향이고, 역 반사식 밀봉 부분(26b)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56)를 갖는 U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부 표면으로의 방향은 제1 방향이고, 외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표면으로의 방향은 제2 방향이며,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26a)은 제2 방향으로 본체(12)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벽(28), 제1 방향으로 본체(12)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벽(32) - 제1 벽(28) 및 제2 벽(32)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함 -, 및 제1 벽(28)과 제2 벽(32) 사이에서 연장되는 접촉 표면(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부 표면으로의 방향은 제1 방향이고, 외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표면으로의 방향은 제2 방향이며, 역 반사식 밀봉 부분(26b)은 제1 방향으로 본체(12)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벽(48),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제1 벽(48)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벽(50), 및 제2 방향으로 제2 벽(50)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벽(52)을 포함하고, 제1 벽(48) 및 제3 벽(52)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제3 벽(52)은 접촉 표면(55)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26a)은 상부 부분(20)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어,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26a)이 사용자의 코에 인접한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역 반사식 밀봉 부분(26b)은 하부 부분(22)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어,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역 반사식 밀봉 부분(26b)이 사용자의 입에 인접한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호흡 마스크(10)는 프레임(27)을 더 포함하며, 본체(12)는 프레임(27) 상으로 오버몰딩되고, 프레임(27)은 제1 듀로미터를 갖는 제1 재료로 구성되고, 본체(12) 및 안면 밀봉부(26)는 제2 듀로미터를 갖는 제2 재료로 구성되며, 제1 듀로미터는 제2 듀로미터보다 크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프레임(27) 및 본체(12)는 부착가능한 구성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24)를 함께 한정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안면 밀봉부(26)는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26a)과 역 반사식 밀봉 부분(26b) 사이에 전이 부분(64)을 더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전이 부분(64)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면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본체(12)는 하니스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25)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호흡 마스크(10)는, 상부 부분(20), 하부 부분(22), 및 안면 밀봉부(26)를 포함하는 본체(12)를 포함하며, 안면 밀봉부(26)는 상부 부분(20)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볼록한 제1 밀봉부(26a) - 볼록한 제1 밀봉부(26a)는 제1 방향으로 지향되는 개구(36)를 한정하는 제1 U자형 단면 형상을 가짐 -, 및 하부 부분(22)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오목한 제2 밀봉부(26b) - 오목한 제2 밀봉부(26b)는 제2 방향으로 지향되는 개구(56)를 한정하는 제2 U자형 단면 형상을 갖고,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서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반대임 - 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제1 방향은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멀어지고, 제2 방향은 사용자의 안면을 향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볼록한 제1 밀봉부(26a)는 제2 방향으로 본체(12)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벽(28), 제1 방향으로 본체(12)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벽(32) - 제1 벽(28) 및 제2 벽(32)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함 -, 및 제1 벽(28)과 제2 벽(32) 사이에서 연장되는 밀봉 랜드(30)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오목한 제2 밀봉부(26b)는 제1 방향으로 본체(12)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벽(48),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제1 벽(48)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벽(50), 및 제2 방향으로 제2 벽(50)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벽(52)을 가지며, 제1 벽(48) 및 제3 벽(52)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오목한 제2 밀봉부(26b)의 제3 벽(52)은 밀봉 표면(55)을 포함하며, 제3 벽(52)은,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밀봉 표면(55)에서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안면 밀봉부(26)는 본체(12)와 단일의 통합 구조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비용 호흡 마스크는 제1 듀로미터를 갖는 제1 재료로 구성된 프레임(27) 및 제1 듀로미터보다 작은 제2 듀로미터를 갖는 제2 재료로 구성된 본체(12)를 포함하며, 본체(12)는 프레임(27) 상으로 오버몰딩되고 안면 밀봉부(26)를 포함하고, 안면 밀봉부(26)는 본체(12)와 단일의 통합 구조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안면 밀봉부(26)는 제1 벽(28), 제2 벽(32), 제1 벽(28)과 제2 벽(32) 사이에 한정된 제1 개구(36), 및 제1 개구(36)에 대향하는 제1 벽(28)과 제2 벽(32) 사이의 제1 접촉 표면(30)을 갖는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26a)을 가지며, 제1 벽(28) 및 제2 벽(32)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제1 개구(36)는 제1 방향으로 지향되고, 제1 접촉 표면은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안면 밀봉부는 제3 벽(48), 제4 벽(52), 제3 벽(48)과 제4 벽(52) 사이에 한정된 제2 개구(56), 및 제4 벽(52) 상의 제2 접촉 표면(55)을 갖는 역 반사식 밀봉 부분(26b)을 추가로 가지며, 제2 개구(56)는 제2 방향으로 지향되고,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서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반대이고, 제2 접촉 표면(55)은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은 다음의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 호흡 마스크(respiratory mask)로서,
사용자의 코 및 입을 덮도록 구성된 본체를 포함하며, 본체는 사용자의 안면에 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시키도록 구성된 안면 밀봉부를 포함하고, 안면 밀봉부는 본체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밀봉의 제1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 표준 반사식 밀봉부를 포함하며, 안면 밀봉부는 본체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밀봉의 제2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 역 반사식 밀봉부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안면 밀봉부의 표준 반사식 밀봉부 및 역 반사식 밀봉부는 서로 상이한 방향들로 포인팅되는 개구들을 갖는 U-형상들을 포함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안면 밀봉부의 표준 반사식 밀봉부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멀리 포인팅되는 개구를 갖는 U-형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안면 밀봉부의 역 반사식 밀봉부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포인팅되는 개구를 갖는 U-형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안면 밀봉부의 표준 반사식 밀봉부는 본체로부터, 표준 반사식 밀봉부가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밀봉 랜드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1 벽을 포함하며, 제1 벽은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표준 반사식 밀봉부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방향으로 밀봉 랜드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2 벽을 포함한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안면 밀봉부의 역 반사식 밀봉부는 본체로부터 제2 벽으로 연장되는 제1 벽을 포함하고, 제1 벽은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에서 멀리 연장되는 방향으로 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역 반사식 밀봉부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2 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3 벽을 포함하며, 역 반사식 밀봉부는 제3 벽의 밀봉 표면에서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본체는 사용자의 코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코 영역을 포함하며, 안면 밀봉부의 표준 반사식 밀봉부는 코 영역을 따라 연장되어, 표준 반사식 밀봉부가 사용자의 코에 인접한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8. 실시예 1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본체는 사용자의 입을 덮도록 구성된 입 영역을 포함하며, 안면 밀봉부의 역 반사식 밀봉부는 입 영역을 따라 연장되어, 역 반사식 밀봉부가 사용자의 입에 인접한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9. 실시예 1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안면 밀봉부의 표준 반사식 밀봉부는 사용자의 상부 볼들 및 코를 덮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0. 실시예 1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안면 밀봉부의 역 반사식 밀봉부는 사용자의 하부 볼들 및 턱끝을 덮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1. 실시예 1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안면 밀봉부는 마스크 본체와 단일의 통합 구조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12. 실시예 1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호흡 마스크는 하프 마스크이다.
실시예 13. 실시예 1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면 상에 본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하니스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14. 실시예 1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본체는 필터 카트리지, 밸브, 또는 공기 호스 중 적어도 하나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개구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호흡 마스크로서,
사용자의 코 및 입을 덮도록 구성된 본체를 포함하며, 본체는 사용자의 안면에 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시키도록 구성된 안면 밀봉부를 포함하고, 안면 밀봉부는 본체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밀봉의 제1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밀봉부를 포함하고, 안면 밀봉부는 본체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밀봉의 제2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2 밀봉부를 더 포함하며, 제1 밀봉부 및 제2 밀봉부는 서로 상이한 방향들로 포인팅되는 개구들을 갖는 U-형상들을 포함한다.
실시예 16. 실시예 15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제1 밀봉부의 U-형상의 개구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멀리 포인팅된다.
실시예 17. 실시예 15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제2 밀봉부의 U-형상의 개구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포인팅된다.
실시예 18. 실시예 15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안면 밀봉부의 제1 밀봉부는 본체로부터, 제1 밀봉부가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밀봉 랜드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1 벽을 포함하며, 제1 벽은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제1 밀봉부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방향으로 밀봉 랜드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2 벽을 포함한다.
실시예 19. 실시예 15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안면 밀봉부의 제2 밀봉부는 본체로부터, 제2 밀봉부가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밀봉 랜드로 연장되는 제1 벽을 포함하며, 제1 벽은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에서 멀리 연장되는 방향으로 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제2 밀봉부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밀봉 랜드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2 벽을 포함한다.
실시예 20. 실시예 15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안면 밀봉부의 제2 밀봉부는 본체로부터 제2 벽으로 연장되는 제1 벽을 포함하고, 제1 벽은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에서 멀리 연장되는 방향으로 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제2 밀봉부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2 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3 벽을 포함하며, 제2 밀봉부는 제3 벽의 밀봉 표면에서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21. 실시예 15의 호흡 마스크에 있어서, 안면 밀봉부는 마스크 본체와 단일의 통합 구조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위의 설명은 제한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서-설명된 실시예들(및/또는 그들의 양태들)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들에 적응시키기 위해 많은 수정들이 행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치수들, 재료들의 타입들,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배향들, 및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수 및 포지션들은 소정의 실시예들의 파라미터들을 한정하도록 의도되며, 제안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일 뿐이다.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 내의 많은 다른 실시예들 및 수정들은 위의 설명을 검토할 시에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범위가 부여되는 등가물들의 전체 범주와 함께 그러한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용어들 "포함하는(including)" 및 "여기서(in which)"는 각각의 용어들 "포함하는(comprising)" 및 "여기서(wherein)"의 평이한 동등어(plain-English equivalent)들로서 사용된다. 또한,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용어들 "제1", "제2", 및 "제3" 등은 단지 라벨들로서 사용되며, 그들의 대상물들에 대한 수치적인 요건들을 부과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추가로, 다음의 청구범위의 제한들은, 그러한 청구범위가 어구 "하기 위한 수단", 뒤이어 추가 구조가 없는 기능의 진술을 명백하게 사용하지 않으면 그리고 사용할 때까지, 수단-플러스-기능의 형태로 기입되지는 않으며, 35 U.S.C. § 112의 제6항에 기반하여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위의 본 명세서에서 특히 도시되고 설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위에서 반대로 언급되지 않았다면, 첨부한 도면들 모두가 실척에 맞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위의 교시들의 관점에서 가능하다.

Claims (20)

  1. 상부 부분(20), 하부 부분(22), 및 안면 밀봉부(26)를 포함하는 본체(12)를 포함하며,
    상기 안면 밀봉부(26)는,
    상기 상부 부분(20) 내의 표준 반사식(reflex) 밀봉 부분(26a); 및
    상기 하부 부분(22) 내의 역 반사식 밀봉 부분(26b)을 갖는, 구비용(oronasal) 호흡 마스크(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26a)은 제1 최하부(38) 및 제1 개구(36)를 갖는 U자형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역 반사식 밀봉 부분(26b)은 제2 최하부(58) 및 제2 개구(56)를 갖는 U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개구(36)는 제1 방향으로 지향되고, 상기 제2 개구(56)는 제2 방향으로 지향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은 상이한,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2)는 내부 표면(16) 및 상기 내부 표면(16)에 대향하는 외부 표면(18)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표면(16)으로부터 상기 외부 표면(18)으로의 방향은 제1 방향이고, 상기 외부 표면(18)으로부터 상기 내부 표면(16)으로의 방향은 제2 방향이고, 상기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26a)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36)를 갖는 U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2)는 내부 표면(16) 및 상기 내부 표면(16)에 대향하는 외부 표면(18)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표면(16)으로부터 상기 외부 표면(18)으로의 방향은 제1 방향이고, 상기 외부 표면(18)으로부터 상기 내부 표면(16)으로의 방향은 제2 방향이고, 상기 역 반사식 밀봉 부분(26b)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56)를 갖는 U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5. 제1항에 있어서,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부 표면으로의 방향은 제1 방향이고,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표면으로의 방향은 제2 방향이며,
    상기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26a)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본체(12)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벽(28);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본체(12)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벽(32) - 상기 제1 벽(28) 및 상기 제2 벽(32)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함 -; 및
    상기 제1 벽(28)과 상기 제2 벽(32) 사이에서 연장되는 접촉 표면(30)을 포함하는,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6. 제1항에 있어서,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부 표면으로의 방향은 제1 방향이고,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표면으로의 방향은 제2 방향이며,
    상기 역 반사식 밀봉 부분(26b)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본체(12)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벽(48);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벽(48)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벽(50);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벽(50)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벽(5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벽(48) 및 상기 제3 벽(52)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3 벽(52)은 접촉 표면(55)을 포함하는,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26a)은 상기 상부 부분(20)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26a)이 상기 사용자의 코에 인접한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 반사식 밀봉 부분(26b)은 상기 하부 부분(22)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역 반사식 밀봉 부분(26b)이 상기 사용자의 입에 인접한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9.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27)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12)는 상기 프레임(27) 상으로 오버몰딩되고, 상기 프레임(27)은 제1 듀로미터(durometer)를 갖는 제1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2) 및 상기 안면 밀봉부(26)는 제2 듀로미터를 갖는 제2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듀로미터는 상기 제2 듀로미터보다 큰,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7) 및 상기 본체(12)는 부착가능한 구성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24)를 함께 한정하는,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밀봉부(26)는 상기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26a)과 상기 역 반사식 밀봉 부분(26b) 사이에 전이 부분(64)을 더 갖는,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부분(64)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면인,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2)는 하니스(harness)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25)를 더 포함하는,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14. 상부 부분(20), 하부 부분(22), 및 안면 밀봉부(26)를 포함하는 본체(12)를 포함하며,
    상기 안면 밀봉부(26)는,
    상기 상부 부분(20)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볼록한 제1 밀봉부(26a) - 상기 볼록한 제1 밀봉부(26a)는 제1 방향으로 지향되는 개구(36)를 한정하는 제1 U자형 단면 형상을 가짐 -; 및
    상기 하부 부분(22)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오목한 제2 밀봉부(26b) - 상기 오목한 제2 밀봉부(26b)는 제2 방향으로 지향되는 개구(56)를 한정하는 제2 U자형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반대임 - 를 갖는,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15.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향하는,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한 제1 밀봉부(26a)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본체(12)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벽(28);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본체(12)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벽(32) - 상기 제1 벽(28) 및 상기 제2 벽(32)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함 -; 및
    상기 제1 벽(28)과 상기 제2 벽(32) 사이에서 연장되는 밀봉 랜드(land)(30)를 갖는,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제2 밀봉부(26b)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본체(12)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벽(48);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벽(48)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벽(50);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벽(50)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벽(52)을 가지며,
    상기 제1 벽(48) 및 상기 제3 벽(52)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한,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제2 밀봉부(26b)의 제3 벽(52)은 밀봉 표면(55)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벽(52)은,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밀봉 표면(55)에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밀봉부(26)는 상기 본체(12)와 단일의 통합 구조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20. 제1 듀로미터를 갖는 제1 재료로 구성된 프레임(27);
    상기 제1 듀로미터보다 작은 제2 듀로미터를 갖는 제2 재료로 구성된 본체(12)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2)는 상기 프레임(27) 상으로 오버몰딩되고 안면 밀봉부(26)를 포함하고, 상기 안면 밀봉부(26)는 상기 본체(12)와 단일의 통합 구조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면 밀봉부(26)는,
    제1 벽(28), 제2 벽(32), 상기 제1 벽(28)과 상기 제2 벽(32) 사이에 한정된 제1 개구(36), 및 상기 제1 개구(36)에 대향하는 상기 제1 벽(28)과 상기 제2 벽(32) 사이의 제1 접촉 표면(30)을 갖는 표준 반사식 밀봉 부분(26a) - 상기 제1 벽(28) 및 상기 제2 벽(32)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1 개구(36)는 제1 방향으로 지향되며, 상기 제1 접촉 표면은 사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됨 -; 및
    제3 벽(48), 제4 벽(52), 상기 제3 벽(48)과 상기 제4 벽(52) 사이에 한정된 제2 개구(56), 및 상기 제4 벽(52) 상의 제2 접촉 표면(55)을 갖는 역 반사식 밀봉 부분(26b) - 상기 제2 개구(56)는 제2 방향으로 지향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반대이며, 상기 제2 접촉 표면(55)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됨 - 을 갖는, 구비용 호흡 마스크(10).
KR1020187014229A 2015-10-22 2016-10-20 호흡기 마스크용 안면 밀봉부 KR201801156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44906P 2015-10-22 2015-10-22
US62/244,906 2015-10-22
PCT/US2016/057920 WO2017070351A1 (en) 2015-10-22 2016-10-20 Face seal for respirator ma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668A true KR20180115668A (ko) 2018-10-23

Family

ID=5855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229A KR20180115668A (ko) 2015-10-22 2016-10-20 호흡기 마스크용 안면 밀봉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18894B2 (ko)
EP (1) EP3365074A4 (ko)
JP (1) JP6904641B2 (ko)
KR (1) KR20180115668A (ko)
CN (1) CN108601961A (ko)
AU (1) AU2016342192B2 (ko)
WO (1) WO20170703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7793A1 (ko) 2018-09-28 2020-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탄소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28496A (ko) * 2019-03-07 2021-10-26 슬립넷 코포레이션 안면 마스크 시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9380A (zh) * 2019-02-01 2019-07-12 东莞迅安塑胶纤维制品有限公司 伸缩式呼吸面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1992A (en) * 1949-04-26 1952-04-08 Aerick Calven Treatment mask
US4167185A (en) * 1977-04-18 1979-09-11 A-T-O Inc. Face mask seal
US4739755A (en) * 1986-10-17 1988-04-26 American Cyanamid Company Respirator
US5265595A (en) * 1989-06-19 1993-11-30 Hans Rudolph, Inc. Mask for breath analysis
US5540223A (en) * 1994-02-17 1996-07-30 Respironics, Inc. Respiratory mask facial seal
SE531310C2 (sv) 2005-04-12 2009-02-17 Interspiro Ab Andningsmask
US8136523B2 (en) * 2007-03-19 2012-03-20 Hans Rudolph, Inc. Ventilation mask with continuous seal connected by resilient cushion
EP2183032B1 (en) 2007-08-31 2018-04-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facepiece with thermoset elastomeric face seal
US8955516B2 (en) * 2009-04-08 2015-02-17 Scott Technologies, Inc. Face seals for respirato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spirators
US20150084235A1 (en) * 2013-09-26 2015-03-26 Moldex-Metric, Inc. Overmolding buckles at the same time as overmolding a lens respirator
CN103961821A (zh) * 2014-03-31 2014-08-06 于永东 消防呼吸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7793A1 (ko) 2018-09-28 2020-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탄소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28496A (ko) * 2019-03-07 2021-10-26 슬립넷 코포레이션 안면 마스크 시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18894B2 (en) 2021-02-16
EP3365074A4 (en) 2019-07-17
JP6904641B2 (ja) 2021-07-21
EP3365074A1 (en) 2018-08-29
US20190151687A1 (en) 2019-05-23
JP2018532902A (ja) 2018-11-08
AU2016342192A1 (en) 2018-05-10
WO2017070351A1 (en) 2017-04-27
CN108601961A (zh) 2018-09-28
AU2016342192B2 (en)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92748T3 (es) Valvula de respirador.
ES2686144T3 (es) Válvula de respirador
JP6290930B2 (ja) 清浄空気吸入室を有する呼吸用マスク
AU2017248735B2 (en) Headgear for first responders
KR102386181B1 (ko) 코 지지 연장부를 갖는 호흡 마스크
KR20160045105A (ko)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
KR20180115668A (ko) 호흡기 마스크용 안면 밀봉부
US20200391057A1 (en) Respirator Mask with Eyewear Interface
KR20180115670A (ko) 음성 전달 특징부를 갖는 호흡기 마스크
KR101361012B1 (ko) 마스크
KR102325079B1 (ko) 다목적용 방진 마스크
CN103041523B (zh) 呼吸保护面罩
KR101218787B1 (ko) 방진 마스크
KR20210039166A (ko) 필터 교환형 마스크
CN113811367B (zh) 面罩颏部维持特征部
KR20220075287A (ko) 마스크
KR101215209B1 (ko) 체크밸브를 이용한 코마개
JP6664141B2 (ja) 呼吸装置の全面形面体
CN215303216U (zh) 一种可重复使用的口罩
KR102511530B1 (ko) 마스크용 코클립
GB2604957A (en) Face mask
KR20220037079A (ko)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